KR20210132693A - 광학 부재용 수지 조성물, 광학 부재 및 안경 렌즈 - Google Patents

광학 부재용 수지 조성물, 광학 부재 및 안경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2693A
KR20210132693A KR1020217030736A KR20217030736A KR20210132693A KR 20210132693 A KR20210132693 A KR 20210132693A KR 1020217030736 A KR1020217030736 A KR 1020217030736A KR 20217030736 A KR20217030736 A KR 20217030736A KR 20210132693 A KR20210132693 A KR 20210132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bis
composition
polythiol compound
optic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0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히사 고우사카
유키오 가게야마
도모후미 오니시
요시오 사노
Original Assignee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32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269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1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 C08G18/7628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arom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 C08G18/764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arom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at least two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s linked to the arom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s, e.g. xylylene diisocyanate or homologues substituted on the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8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 C08G18/385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sulfur
    • C08G18/3876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sulfur containing mercapt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 C08G18/75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 C08G18/75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 C08G18/7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at least two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s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 C08G18/758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two or more cycloaliphatic r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인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와 폴리티올 화합물 (B1) 을 함유하고 있고,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의 분자량 및 관능기수를 사용하여 산출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의 당량 A 와, 폴리티올 화합물 (B1) 의 분자량 및 관능기수를 사용하여 산출되는, 폴리티올 화합물 (B1) 의 당량 B1 의 비로 나타내는 당량비 (A/B1) 가 80/100 ∼ 95/100 이다.

Description

광학 부재용 수지 조성물, 광학 부재 및 안경 렌즈
본 개시는, 광학 부재용 수지 조성물, 광학 부재 및 안경 렌즈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제의 안경 렌즈는, 유리제의 안경 렌즈와 비교하여, 경량이고 충격 내구성이 우수하다. 그 때문에, 현재의 안경 렌즈 시장에 있어서는, 플라스틱제의 안경 렌즈가 주류가 되어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티올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고굴절률을 갖는 플라스틱 렌즈가 얻어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테트라티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이소티오시아네이트 화합물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가열 경화시켜 얻어지는 함황 우레탄계 수지 렌즈가 개시되어 있다. 이 렌즈는, 무색 투명하고, 고굴절률 저분산으로 내열성이 우수한 물성을 갖고, 또한 생산성도 우수하다고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252207호
그러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티올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안경 렌즈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저순도의 폴리티올 화합물을 사용하여 조제된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광학 부재를 제작하면, 광학 부재에 의도하지 않게 착색이 발생하거나, 가열이나 광 노출을 거침으로써 착색이 발생하거나 하는 문제가 있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나 폴리티올 화합물의 종류나 성분비를 조정함으로써, 착색의 발생을 억제하고자 하면, 안경 렌즈에 요구되는 다른 특성, 예를 들어, 인장 강도가 저하된다고 하는 다른 문제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티올 화합물을 함유하는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에는, 안경 렌즈를 제작했을 때에 있어서의, 착색의 발생의 억제와 그 이외의 특성의 확보라는 관점에서, 새로운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는,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광학 부재를 제작한 경우에, 광학 부재로서의 강도를 가지면서, 광학 부재에 착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인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와 폴리티올 화합물 (B1) 을 함유하고,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의 분자량 및 관능기수를 사용하여 산출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의 당량 A 와,
폴리티올 화합물 (B1) 의 분자량 및 관능기수를 사용하여 산출되는, 폴리티올 화합물 (B1) 의 당량 B1 의 비로 나타내는 당량비 (A/B1) 가, 80/100 ∼ 95/100 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인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에 의하면,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광학 부재를 제작한 경우에, 광학 부재로서의 강도를 가지면서, 광학 부재에 착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로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바람직한 수치 범위 (예를 들어, 함유량 등의 범위) 에 대해서, 단계적으로 기재된 하한치 및 상한치는, 각각 독립적으로 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10 ∼ 9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60」이라는 기재로부터, 「바람직한 하한치 (10)」와 「보다 바람직한 상한치 (60)」를 조합하여, 「10 ∼ 60」으로 할 수도 있다.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와 폴리티올 화합물 (B1) 을 함유한다. 또,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의 분자량 및 관능기수를 사용하여 산출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의 당량 A 와, 폴리티올 화합물 (B1) 의 분자량 및 관능기수를 사용하여 산출되는, 폴리티올 화합물 (B1) 의 당량 B1 의 비로 나타내는 당량비 (A/B1) 가, 80/100 ∼ 95/100 이다.
상기 실시형태의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에 의하면,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광학 부재를 제작한 경우에, 광학 부재로서의 강도를 가지면서, 광학 부재에 의도하지 않은 착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로 할 수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로는, 예를 들어, 방향 고리를 갖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지환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의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디이소시아나토벤젠, 2,4-디이소시아나토톨루엔, 에틸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프로필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메틸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에틸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이소프로필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벤젠트리이소시아네이트, 벤젠트리이소시아네이트, 비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이딘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페닐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2-메틸페닐이소시아네이트), 비벤질-4,4'-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이소시아나토페닐)에틸렌,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벤젠, 비스(이소시아나토에틸)벤젠, 비스(이소시아나토프로필)벤젠, α,α,α',α'-테트라메틸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이소시아나토부틸)벤젠,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나프탈렌,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페닐)에테르, 2-이소시아나토페닐-4-이소시아나토페닐술파이드, 비스(4-이소시아나토페닐)술파이드, 비스(4-이소시아나토메틸페닐)술파이드, 비스(4-이소시아나토페닐)디술파이드, 비스(2-메틸-5-이소시아나토페닐)디술파이드, 비스(3-메틸-5-이소시아나토페닐)디술파이드, 비스(3-메틸-6-이소시아나토페닐)디술파이드, 비스(4-메틸-5-이소시아나토페닐)디술파이드, 비스(3-메톡시-4-이소시아나토페닐)디술파이드, 비스(4-메톡시-3-이소시아나토페닐)디술파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지환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디이소시아나토시클로헥산,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헵탄, 2,5-디이소시아나토-1,4-디티안, 2,5-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1,4-디티안, 4,5-디이소시아나토-1,3-디티오란, 4,5-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1,3-디티오란, 4,5-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2-메틸-1,3-디티오란 등을 들 수 있다.
직사슬 또는 분기의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메틸펜탄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부텐디이소시아네이트, 1,3-부타디엔-1,4-디이소시아네이트,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6,11-운데칸트리이소시아네이트, 1,3,6-헥사메틸렌트리이소시아네이트, 1,8-디이소시아네이트-4-이소시아나토메틸옥탄, 비스(이소시아나토에틸)카보네이트, 비스(이소시아나토에틸)에테르, 리신디이소시아나토메틸에스테르, 리신트리이소시아네이트,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술파이드, 비스(이소시아나토에틸)술파이드, 비스(이소시아나토프로필)술파이드, 비스(이소시아나토헥실)술파이드,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술폰,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디술파이드, 비스(이소시아나토에틸)디술파이드, 비스(이소시아나토프로필)디술파이드,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티오)메탄, 비스(이소시아나토에틸티오)메탄,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티오)에탄, 비스(이소시아나토에틸티오)에탄, 1,5-디이소시아네이트-2-이소시아나토메틸-3-펜탄, 1,2,3-트리스(이소시아나토메틸티오)프로판, 1,2,3-트리스(이소시아나토에틸티오)프로판, 3,5-디티아-1,2,6,7-헵탄테트라이소시아네이트, 2,6-디이소시아나토메틸-3,5-디티아-1,7-헵탄디이소시네이트, 2,5-디이소시아네이트메틸티오펜, 4-이소시아나토에틸티오-2,6-디티아-1,8-옥탄디이소시아네이트, 1,2-디이소티오시아나토에탄, 1,6-디이소티오시아나토헥산을 들 수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는, 바람직하게는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벤젠,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헵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벤젠,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헵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다.
<폴리티올 화합물 (B1)>
폴리티올 화합물 (B1) 로는, 예를 들어, 폴리올 화합물과 메르캅토기 함유 카르복실산 화합물의 에스테르 화합물, 직사슬 또는 분기의 지방족 폴리티올 화합물, 지환 구조를 갖는 폴리티올 화합물, 방향족 폴리티올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 화합물과 메르캅토기 함유 카르복실산 화합물의 에스테르 화합물에 있어서, 폴리올 화합물로는, 분자 내에 2 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고,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판디올, 프로판트리올, 부탄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비스(2-하이드록시에틸)디술파이드,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등을 들 수 있다.
메르캅토기 함유 카르복실산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티오글리콜산, 메르캅토프로피온산, 티오락트산 화합물, 티오살리실산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 화합물과 메르캅토기 함유 카르복실산 화합물의 에스테르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비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비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프로판트리올트리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프로판디올비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부탄디올비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에틸렌비스(하이드록시에틸술파이드)비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부탄디올비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부탄디올비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에틸렌글리콜비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디에틸렌글리콜비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비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키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키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직사슬 또는 분기의 지방족 폴리티올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1,2-에탄디티올, 1,1-프로판디티올, 1,2-프로판디티올, 1,3-프로판디티올, 2,2-프로판디티올, 1,6-헥산디티올, 1,2,3-프로판트리티올, 2,2-디메틸프로판-1,3-디티올, 3,4-디메톡시부탄-1,2-디티올, 2,3-디메르캅토-1-프로판올, 1,2-디메르캅토프로필메틸에테르, 2,3-디메르캅토프로필메틸에테르, 2,2-비스(메르캅토메틸)-1,3-프로판디티올, 비스(2-메르캅토에틸)에테르, 비스(2-메르캅토에틸)술파이드, 비스(2-메르캅토에틸)디술파이드,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비스(메르캅토메틸)-3,6,9-트리티아운데칸디티올을 들 수 있다.
지환 구조를 갖는 폴리티올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1,1-시클로헥산디티올, 1,2-시클로헥산디티올, 메틸시클로헥산디티올, 비스(메르캅토메틸)시클로헥산, 비스(메르캅토메틸)디티안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폴리티올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디메르캅토벤젠, 비스(메르캅토메틸)벤젠, 비스(메르캅토에틸)벤젠, 트리메르캅토벤젠, 트리스(메르캅토메틸)벤젠, 트리스(메르캅토에틸)벤젠, 디메르캅토비페닐, 4,4'-디메르캅토비벤질, 2,5-톨루엔디티올, 나프탈렌디티올, 2,4-디메틸벤젠-1,3-디티올, 4,5-디메틸벤젠-1,3-디티올, 9,10-안트라센디메탄티올, 1,3-디(p-메톡시페닐)프로판-2,2-디티올, 1,3-디페닐프로판-2,2-디티올, 페닐메탄-1,1-디티올, 2,4-비스(p-메르캅토페닐)펜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티올 화합물의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폴리티올 화합물 (B1) 은, 바람직하게는, 비스(메르캅토메틸)디티안,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비스(메르캅토메틸)-3,6,9-트리티아운데칸디티올,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부탄디올비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부탄디올비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키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및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키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비스(메르캅토메틸)-3,6,9-트리티아운데칸디티올, 비스(메르캅토메틸)디티안,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다.
또한, 비스(메르캅토메틸)-3,6,9-트리티아운데칸디티올은, 바람직하게는, 4,7-비스(메르캅토메틸)-3,6,9-트리티아운데칸-1,11-디티올, 4,8-비스(메르캅토메틸)-3,6,9-트리티아운데칸-1,11-디티올, 및 5,7-비스(메르캅토메틸)-3,6,9-트리티아운데칸-1,11-디티올의 혼합물이다.
폴리티올 화합물 (B1) 의 일 양태는, 2 이상의 술파이드 결합과, 2 이상의 메르캅토기를 갖는 폴리티올 화합물을 함유한다.
또, 폴리티올 화합물 (B1) 의 일 양태는, 2 이상의 술파이드 결합과, 3 이상의 메르캅토기를 갖는 폴리티올 화합물을 함유한다.
또, 폴리티올 화합물 (B1) 의 일 양태는, 복수 종류의 폴리티올 화합물의 혼합물이다.
폴리티올 화합물 (B1) 은, 바람직하게는, 이하의 각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다.
[1] 2,5-비스(메르캅토메틸)-1,4-디티안과,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의 혼합물
[2]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과,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의 혼합물
[3] 4,7-비스(메르캅토메틸)-3,6,9-트리티아운데칸-1,11-디티올, 4,8-비스(메르캅토메틸)-3,6,9-트리티아운데칸-1,11-디티올, 및, 5,7-비스(메르캅토메틸)-3,6,9-트리티아운데칸-1,11-디티올의 혼합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와 폴리티올 화합물 (B1) 의 조합의 바람직한 예로는, 이하의 [1] ∼ [3] 을 들 수 있다.
[1] 1,3-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벤젠, 및, 4,7-비스(메르캅토메틸)-3,6,9-트리티아운데칸-1,11-디티올, 4,8-비스(메르캅토메틸)-3,6,9-트리티아운데칸-1,11-디티올, 5,7-비스(메르캅토메틸)-3,6,9-트리티아운데칸-1,11-디티올의 혼합물
[2] 1,3-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및, 2,5-비스(메르캅토메틸)-1,4-디티안 및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의 혼합물
[3] 2,5-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및 2,6-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의 혼합물, 및,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및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의 혼합물
<다른 티올기 함유 물질>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은, 폴리티올 화합물 (B1) 이외의, 다른 티올기 함유 물질을 추가로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다른 티올기 함유 물질은, 적어도 티올기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고, 예를 들어,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 분석했을 때에 얻어지는 크로마토그램에 있어서, 폴리티올 화합물 (B1) 의 피크의 위치보다 나중의 유지 시간의 위치에 피크를 출현시키는 물질이다. 다른 티올기 함유 물질은, 폴리티올 화합물 (B1) 이 복수 결합한 구조를 갖는 폴리티올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 중에, 다른 티올기 함유 물질을 존재시키는 방법에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크로마토그램에 있어서의 상기 피크를 출현시키는 티올기 함유 물질이나, 폴리티올 화합물 (B1) 이 복수 결합한 구조를 갖는 폴리티올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 중에 다른 티올기 함유 물질을 존재시킬 수 있다.
또,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를 함유하는 제 1 조성물과, 폴리티올 화합물 (B1) 을 함유하는 제 2 조성물을 혼합함으로써,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을 조제하는 경우에 있어서, 폴리티올 화합물 (B1) 의 합성에 있어서의 반응 조건이나, 반응 후의 정제의 횟수나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폴리티올 화합물 (B1) 과, 부생성물로서 발생하는 물질을 다른 티올기 함유 물질로서 함유하는 제 2 조성물을 조제하고, 이것을 상기 제 1 조성물과 혼합함으로써,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 중에 다른 티올기 함유 물질을 존재시킬 수도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및 폴리티올 화합물 (B1) 의 당량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의 분자량 및 관능기수를 사용하여 산출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의 당량 A 와, 폴리티올 화합물 (B1) 의 분자량 및 관능기수를 사용하여 산출되는, 폴리티올 화합물 (B1) 의 당량 B1 의 비로 나타내는 당량비 (A/B1) 는, 80/100 ∼ 95/100 이고, 바람직하게는 90/100 ∼ 94/10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2/100 ∼ 94/100 이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와 폴리티올 화합물 (B1) 의 당량비가 상기 범위에 있으면,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작되는 광학 부재에 있어서의 착색의 억제성이 양호하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및 폴리티올 화합물 (B1) 의 합계 함유량은,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 전체의 질량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상이다.
<그 밖의 성분>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에는, 그 밖의 성분으로서, 자외선 흡수제, 중합 촉매, 이형제, 항산화제, 착색 방지제, 형광 증백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배합해도 된다.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흡수제는, 바람직하게는, 클로로포름 용액 중에 있어서, 345 ㎚ 이상의 극대 흡수 파장을 갖는다.
자외선 흡수제로는, 예를 들어, 벤조페논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디벤조일메탄, 4-tert-부틸-4'-메톡시벤조일메탄 등을 들 수 있다.
벤조페논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2,4-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술포닉애시드, 2-하이드록시-4-n-옥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도데실옥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벤질옥시벤조페논 및 2,2'-디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다.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디-tert-부틸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ter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디-tert-아밀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디-tert-부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tert-부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tert-옥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및 2-(2-하이드록시-4-옥틸옥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등의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량은, 폴리티올 화합물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합계량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질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질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질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질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질량부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5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질량부 이하이다.
(중합 촉매)
중합 촉매는, 바람직하게는 유기 주석 화합물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알킬주석할라이드 화합물 또 알킬주석 화합물이다.
알킬주석할라이드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디부틸주석디클로라이드,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 모노메틸주석트리클로라이드, 트리메틸주석클로라이드, 트리부틸주석클로라이드, 트리부틸주석플루오라이드, 디메틸주석디브로마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알킬주석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디부틸주석디아세테이트,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디부틸주석디클로라이드,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 디부틸주석디아세테이트,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중합 촉매의 첨가량은, 폴리티올 화합물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합계량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01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질량부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질량부 이하이다.
(이형제)
이형제로는, 예를 들어, 이소프로필애시드포스페이트, 부틸애시드포스페이트, 옥틸애시드포스페이트, 노닐애시드포스페이트, 데실애시드포스페이트, 이소데실애시드포스페이트, 이소데실애시드포스페이트, 트리데실애시드포스페이트, 스테아릴애시드포스페이트, 프로필페닐애시드포스페이트, 부틸페닐애시드포스페이트, 부톡시에틸애시드포스페이트 등의 인산에스테르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인산에스테르 화합물은, 인산모노에스테르 화합물, 인산디에스테르 화합물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인산모노에스테르 화합물, 및 인산디에스테르 화합물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이형제의 첨가량은, 폴리티올 화합물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합계량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0.05 질량부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0.50 질량부 이하이다.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의 조제 방법]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를 함유하는 제 1 조성물, 폴리티올 화합물 (B1) 을 함유하는 제 2 조성물, 및, 필요에 따라서 사용되는, 상기 서술한 그 밖의 성분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혼합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각 성분은, 동시에, 또는, 임의의 순서로 순차, 혼합할 수 있다. 구체적인 혼합 방법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중합성 조성물의 조제 방법으로서 공지된 방법을, 어떠한 제한없이 채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의 분자량 및 관능기수를 사용하여 산출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의 당량 A 와, 폴리티올 화합물 (B1) 의 분자량 및 관능기수를 사용하여 산출되는, 폴리티올 화합물 (B1) 의 당량 B1 의 비로 나타내는 당량비 A/B1 가, 80/100 ∼ 95/100 이다. 당량비 A/B1 은, 바람직하게는 85/100 ∼ 95/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85/100 ∼ 90/100 이다.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의 당량비 A/B1 이 95/100 을 초과하면, 당해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작되는 광학 부재에 있어서, 착색의 발생을 충분히 억제할 수 없게 된다. 또, 당량비 A/B1 이 80/100 미만이면, 광학 부재에 필요시되는 인장 강도를 얻을 수 없게 된다.
당량비 A/B1 이 상기의 수치 범위에 있는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은, 당량 A/B1 이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당량 A 와 당량 B1 의 조합에 있어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의 당량 A 에 상당하는 질량의 제 1 조성물과, 폴리티올 화합물 (B1) 의 당량 B1 에 상당하는 질량의 제 2 조성물을 준비하고, 이들을 혼합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나, 폴리티올 화합물 (B1) 이, 각각 복수 종류의 화합물의 혼합물인 경우, 혼합물의 당량은, 각 화합물의 당량에, 각각의 질량 비율을 곱한 것을 가산하여 산출한다. 예를 들어, 2 종류의 화합물의 당량이 각각 X, Y 이고, 질량 비율이 40 : 60 인 경우, 혼합물의 당량은, X×40/100 + Y×60/100 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티올 화합물을 함유하는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을 조제할 때에는, 일반적으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분자량 및 관능기수로부터 구한 당량과, 폴리티올 화합물의 분자량 및 관능기수로부터 구한 당량이 1 : 1 이 되는 질량비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과, 폴리티올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혼합하고 있었다.
그러나, 폴리티올 화합물의 합성 과정에 있어서 미량의 부생성물이 생기거나, 폴리티올의 원료의 순도가 낮은 것이 사용되거나 하는 것 등에 의해서, 폴리티올 화합물의 함유 순도가 약간 낮은 조성물을 사용하여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이 조제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자의 검토에 의하면, 이러한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광학 부재를 제작하면, 광학 부재에 의도하지 않게 착색이 발생하거나, 가열이나 광 노출을 거침으로써 착색이 발생하거나 하는 것이 판명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의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는, 당량비 A/B1 을 상기 서술한 수치 범위로 함으로써, 광학 부재에 요구되는 인장 강도를 확보하면서, 착색의 발생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이 상기의 효과를 발현하는 이유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그 하나로, 이하의 이유에 의해 상기의 효과가 발현되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즉,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와 폴리티올 화합물 (B1) 의 반응을 진행시켰을 때에, 폴리티올 화합물 (B1) 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있어서의 폴리티올 화합물 (B1) 의 순도가 낮은 것 등에서 기인하여, 미반응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가 중합물 중에 잔류하고, 이 미반응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와 중합물의 광흡수 특성과 상이한 것이나, 가열이나 광 노출에 의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가 변질됨으로써 광흡수 특성이 변화된다. 당량비 A/B1 을 상기 서술한 수치 범위로 함으로써,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폴리티올 화합물의 티올기의 수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이소시아네이트기의 수보다 과잉이 되기 때문에, 미반응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존재량이 저하된다. 폴리티올 화합물 (B1) 이나, 폴리티올 화합물 (B1) 의 합성 과정에서 부생성물로서 생성되는 다른 티올기 함유 물질은, 중합물의 광흡수 특성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아, 가열이나 광 노출에 의해서도 변질되기 어려운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것들에 의해, 중합물의 기계적 강도가 크게 저하되지 않는 범위에서, 폴리티올 화합물 (B1) 이나 티올기 함유 물질 (B2) 를 늘림으로써, 착색 발생의 억제와 기계 강도를 양립시킬 수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폴리티올 화합물 (B1) 을 함유하는 제 2 조성물은, 티올값으로부터 구한 순도가 96.0 % 이하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티올값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상기 순도가 96 % 이하인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폴리티올 화합물 (B1) 의 합성 방법이나 원료에 요구되는 제약이 작아지고, 또, 고도의 정제 등이 필요없게 되기 때문에, 현저하게 높은 수율을 얻기 쉬워져, 용이하고 저렴하게 제 2 조성물, 나아가서는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제 2 조성물의 상기 순도의 하한치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광학 부재의 착색을 방지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8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8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2 % 이상이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를 함유하는 제 1 조성물의 순도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예를 들어, 제 1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해, 98 질량% 이상, 99 질량% 이상, 99.5 질량% 이상, 또는, 100 질량% 로 할 수 있다.
[광학 부재]
상기 서술한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시켜 중합물을 생성함으로써, 광학 부재를 얻을 수 있다.
광학 부재로는, 안경 렌즈, 카메라 렌즈, 프리즘, 광 섬유, 광 디스크 혹은 자기 디스크 등에 사용되는 기록 매체용 기판, 컴퓨터의 디스플레이에 부설되는 광학 필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안경 렌즈가 바람직하고, 안경 렌즈의 기재 (基材) 가 보다 바람직하다.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의 중합 조건은, 중합성 조성물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중합 개시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이하이다. 중합 개시 온도로부터 승온하여, 그 후, 가열하여 경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승온 최고 온도는, 통상 110 ℃ 이상 130 ℃ 이하이다.
중합 종료 후, 안경 렌즈를 이형하고, 어닐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어닐 처리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00 ∼ 150 ℃ 이다.
광학 부재가 안경 렌즈인 경우, 중합은, 주형 중합법인 것이 바람직하다. 안경 렌즈는, 예를 들어, 중합성 조성물을, 유리 또는 금속제의 몰드와, 테이프 또는 개스킷을 조합한 몰드형에 주입하고 중합을 실시함으로써 얻어진다.
[안경 렌즈]
상기 광학 부재를 안경 렌즈로 하는 경우, 광학 부재를 그대로 안경 렌즈로서 사용해도 되고, 광학 부재의 절삭물을 안경 렌즈로서 사용해도 된다.
안경 렌즈는, 다른 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안경 렌즈의 표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평면, 볼록면, 오목면 등 중에서 어느 것이어도 된다.
안경 렌즈는, 단초점 렌즈, 다초점 렌즈, 누진 굴절력 렌즈 등 중에서 어느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일례로서 누진 굴절력 렌즈에 대해서는, 통상, 근용부 영역 (근용부) 및 누진부 영역 (중간 영역) 이, 하방 영역에 포함되고, 원용부 영역 (원용부) 이 상방 영역에 포함된다.
안경 렌즈는, 피니시형 안경 렌즈여도 되고 세미피니시형 안경 렌즈여도 된다.
안경 렌즈의 두께 및 직경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두께는 통상 1 ∼ 30 ㎜ 정도, 직경은 통상 50 ∼ 100 ㎜ 정도이다.
안경 렌즈의 굴절률 ne 는, 바람직하게는 1.53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8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6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67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7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80 이하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안경 렌즈는, 상기 서술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기재를 구비한다.
안경 렌즈는, 추가로, 하드 코트층, 프라이머층, 반사 방지막 및 발수막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은, 내찰상성 향상을 위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유기 규소 화합물, 산화주석, 산화규소, 산화지르코늄, 산화티탄 등의 미립자상 무기물 등을 갖는 코팅액을 도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은,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형성되고,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을 주성분으로 한다. 여기서 폴리우레탄의 함유량은, 프라이머층 중,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이다.
반사 방지막으로는, 산화규소, 이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산화탄탈 등을 적층한 막을 들 수 있다.
발수막으로는, 불소 원자를 갖는 유기 규소 화합물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상기 서술한 각 성분의 예, 함유량, 각종 물성에 대해서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예시 또는 바람직한 범위로서 기재된 사항을 임의로 조합하여도 된다.
또, 실시예에 기재한 조성에 대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한 조성에 조정을 행하면, 클레임한 조성 범위 전역에 걸쳐서 실시예와 동일하게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개시를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의 중합물인 광학 부재에 있어서의 착색성의 평가, 및 인장 강도의 측정은 이하의 순서로 실시하였다.
<착색성>
분광 투과율 측정기 「DOT-3」주식회사 무라카미 색채 기술 연구소 제조를 사용하여 측정을 실시하였다. 측정에는 0.00D, 두께 2 ㎜ 의 플라스틱 렌즈를 사용하였다.
(1) 초기 착색성
어닐 처리 전의 0.00D 렌즈의 YI 값을, DOT-3 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 가열 처리 후의 착색성
120 ℃, 2 시간의 어닐 처리를 완료한 후의, 0.00D 렌즈의 YI 값을, DOT-3 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3) 광 노출 후의 착색성
상기 어닐 처리를 실시한 후의 0.00D 렌즈에 대하여, 스가 시험기 주식회사 제조 크세논 웨더 미터 「XA25」를 사용하여 200 시간의 노출 처리를 실시하였다. 처리 후의 렌즈의 YI 를, DOT-3 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인장 강도의 측정>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플라스틱 렌즈 (0.00D) 를 직경 50 ㎜ 로 둥글림 가공하여, 인장 강도 측정용의 샘플 렌즈로 하였다.
각 샘플 렌즈의 중심으로부터 21.0 ㎜ 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2 개 지점에, 직경 1.6 ㎜ 의 구멍을 각각 뚫어, 각 샘플 렌즈에 구멍을 2 개 형성하였다.
인장 시험기에 대한 고정용 핀을 샘플 렌즈의 구멍에 장착하고, 인장 시험기에 샘플 렌즈를 세팅하여 인장 강도의 측정 (인장 속도 : 5.0 ㎜/분) 을 실시하였다. 인장 시험기로서 주식회사 오리엔테크 제조 만능 시험기 텐실론 RTC-1225A 를 사용하였다. 73.0 N/㎟ 미만을 불합격으로 하였다.
<폴리티올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순도의 측정>
폴리티올 화합물 (B1) 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순도 (%) 는, 하기 방법으로, 당해 조성물에 함유되는 폴리티올 화합물 (B1) 및 다른 티올기 함유 물질의 합계의 티올값을 구하고, 폴리티올 화합물 (B1) 의 이미 알고 있는 분자량 및 관능기수로부터 구해지는 당량을 나눗셈함으로써 구하였다.
[1] 측정용 샘플 0.2 g 을 정밀 칭량한다.
[2] 클로로포름 25 ㎖ 를 첨가하고, 용해하고 이어서 메탄올 25 ㎖ 를 첨가해서 혼합하여, 균일 용액으로 한다.
[3] 0.05 mol/ℓ 의 적정용 요오드 용액 (N/10) 을 사용하여 적정을 실시하고, 황색으로 변색된 시점을 종점으로 한다.
[4] 동일한 순서로 블랭크 측정을 실시한다.
티올값 = (S×1000)/((C-D)×f×0.1)
S : 샘플량 (g)
C : 종점에 있어서의 적정량 (㎖)
D : 블랭크량 (㎖)
f : 요오드 용액의 팩터
순도 (%) = (분자량 및 관능기수로부터 구한 당량/측정한 티올값)×100
<실시예 1>
제 1 조성물로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인 1,3-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벤젠 48.0 질량부, 이형제로서 부톡시에틸애시드포스페이트 (죠호쿠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JP-506H) 0.15 질량부, 자외선 흡수제로서 0.50 질량부의 시프로 화성 주식회사 제조 시소브 701, 촉매로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와 폴리티올 화합물 (B1) 의 합계량에 대해 100 질량ppm 이 되는 양의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 및 블루잉 염료로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티올 화합물의 합계량에 대해 550 질량ppb 가 되는 양의 미츠비시 화학 주식회사 제조 다이아레진 블루 J 를 사용하여, 이들을 혼합하고 용해시켜, 균일 용액을 조제하였다.
상기 용액에, 폴리티올 화합물 (B1) 로서, 순도가 95.8 % 인, 4,7-비스(메르캅토메틸)-3,6,9-트리티아운데칸-1,11-디티올, 4,8-비스(메르캅토메틸)-3,6,9-트리티아운데칸-1,11-디티올, 및, 5,7-비스(메르캅토메틸)-3,6,9-트리티아운데칸-1,11-디티올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제 2 조성물 52.0 질량부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균일 용액을 얻었다. 또한, 이 용액을 200 Pa 로 1 시간 탈기 처리하고, 5.0 ㎛ PTF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터로 여과를 실시함으로써,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 1 을 얻었다.
얻어진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 1 을, 직경 75 ㎜, 곡률 반경 112 ㎜ 의 상형 몰드와, 곡률 반경 112 ㎜ 의 하형 몰드와, 양자의 측면에 첩부되는 테이프를 포함하는 0.00D 용 피니시 렌즈용 몰드형 (중심 두께 2 ㎜, 에지 두께 2 ㎜) 에 주입하였다.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이 주입된 상기의 몰드형을 전기로에 투입하고, 20 ℃ 로부터 서서히 20 시간에 걸쳐 120 ℃ 까지 승온하고, 다시 120 ℃ 에서 3 시간,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 1 을 중합시켰다. 중합 종료 후, 전기로로부터 몰드형을 꺼내고, 몰드형으로부터 이형하여, 0.00D 피니시 렌즈를 얻었다.
<실시예 2>
제 1 조성물의 사용량을 45.0 질량부로 변경하고, 제 2 조성물의 사용량을 55.0 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순서로, 실시예 1 과 동일한 최대 두께를 갖는, 0.00D 피니시 렌즈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
제 1 조성물의 사용량을 49.4 질량부로 변경하고, 제 2 조성물의 사용량을 50.6 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순서로, 실시예 1 과 동일한 최대 두께를 갖는, 0.00D 피니시 렌즈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
제 1 조성물로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인 1,3-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45.0 질량부를 사용하고, 폴리티올 화합물 (B1) 로서, 순도 93.2 % 의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25.0 질량부 및 순도 95.5 % 의 2,5-비스(메르캅토메틸)-1,4-디티안 30.0 질량부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제 2 조성물을 사용하고, 촉매로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티올 화합물의 합계량에 대해 0.5 질량부가 되는 양의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를 사용하고, 자외선 흡수제로서 1.1 질량부의 시프로 화성 주식회사 제조 시소브 701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순서로, 실시예 1 과 동일한 최대 두께를 갖는, 0.00D 피니시 렌즈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5>
제 1 조성물로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인, 2,5-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및 2,6-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의 혼합물 48.1 질량부를 사용하고, 폴리티올 화합물 (B1) 로서, 순도 94.2 % 의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24.0 질량부 및 순도 95.0 % 의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27.9 질량부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제 2 조성물을 사용하고, 촉매로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티올 화합물의 합계량에 대해 0.05 질량부가 되는 양의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를 사용하고, 자외선 흡수제로서 1.1 질량부의 시프로 화성 주식회사 제조 시소브 701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순서로, 실시예 1 과 동일한 최대 두께를 갖는 0.00D 피니시 렌즈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제 1 조성물의 사용량을 50.6 질량부로 변경하고, 제 2 조성물의 사용량을 49.4 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순서로, 실시예 1 과 동일한 최대 두께를 갖는, 0.00D 피니시 렌즈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
제 1 조성물의 사용량을 44.5 질량부로 변경하고, 제 2 조성물의 사용량을 55.5 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순서로, 실시예 1 과 동일한 최대 두께를 갖는, 0.00D 피니시 렌즈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3>
제 1 조성물의 사용량을 47.6 질량부로 변경하고, 제 2 조성물의 사용량을 30.0 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 와 동일한 순서로, 실시예 1 과 동일한 최대 두께를 갖는, 0.00D 피니시 렌즈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4>
제 1 조성물의 사용량을 50.7 질량부로 변경하고, 폴리티올 화합물 (B1) 로서, 순도 94.2 % 의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22.8 질량부 및 순도 95.0 % 의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26.5 질량부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제 2 조성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한 순서로, 실시예 1 과 동일한 최대 두께를 갖는, 0.00D 피니시 렌즈를 제작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 표 1 에 있어서의 약어는 다음과 같다.
R-NCO :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나타낸다.
R-SH : 폴리티올 화합물을 나타낸다.
I-1 : 1,3-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벤젠
I-2 : 2,5-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및, 2,6-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의 혼합물
I-3 : 1,3-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T-1 : 2,5-비스(메르캅토메틸)-1,4-디티안
T-2 :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T-3 :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T-4 : 4,7-비스(메르캅토메틸)-3,6,9-트리티아운데칸-1,11-디티올, 4,8-비스(메르캅토메틸)-3,6,9-트리티아운데칸-1,11-디티올, 및, 5,7-비스(메르캅토메틸)-3,6,9-트리티아운데칸-1,11-디티올의 혼합물
T-5 :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표 1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당량비 A/B1 이 80/100 ∼ 95/100 인 실시예 1 ∼ 5 의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광학 부재를 제작하면, 초기의 YI 값이 작아, 착색의 발생이 억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가열 처리나 광 노출 처리를 거쳐도 YI 값의 상승이 적어, 가열이나 광 노출에 의해서도 착색이 촉진되기 어려운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들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작된 광학 부재는, 높은 인장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당량비 A/B1 이 80/100 ∼ 90/100 으로부터 벗어나 있는 비교예 1 ∼ 4 의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을 사용하면, 얻어지는 광학 부재에 있어서, 초기의 YI 값이 커서 착색이 충분히 억제되어 있지 않거나, 초기의 착색은 억제되어 있어도, 가열 처리나 광 노출 처리를 거침으로써 YI 값이 증대하여 착색의 억제가 불충분해지거나, 인장 강도가 지나치게 낮아지거나 하여, 착색의 억제와 인장 강도의 확보를 양립시킬 수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개시의 실시형태를 총괄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인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와 폴리티올 화합물 (B1) 을 함유하고 있고,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의 분자량 및 관능기 수를 사용하여 산출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의 당량 A 와, 상기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의 티올값과, 폴리티올 화합물 (B1) 의 분자량을 사용하여 산출되는, 상기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 중의 티올 성분 전체의 당량 B1 의 비로 나타내는 당량비 (A/B1) 가, 80/100 ∼ 95/100 이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광학 부재를 제작한 경우에 있어서도, 광학 부재에 필요한 강도를 유지하면서, 광학 부재에 착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로 할 수 있다.
이번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본 개시는, 상기 각 성분의 예, 함유량, 각종 물성에 대해서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예시 또는 바람직한 범위로서 기재된 사항을 임의로 조합해도 된다.
또, 실시예에 기재한 조성에 대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한 조성이 되도록 조정을 행하면, 클레임한 조성 범위 전역에 걸쳐서 실시예와 동일하게 개시된 실시형태를 실시할 수 있다.

Claims (8)

  1.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와 폴리티올 화합물 (B1) 을 함유하는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의 분자량 및 관능기수를 사용하여 산출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의 당량 A 와,
    폴리티올 화합물 (B1) 의 분자량 및 관능기수를 사용하여 산출되는, 폴리티올 화합물 (B1) 의 당량 B1 의 비로 나타내는 당량비 (A/B1) 가, 80/100 ∼ 95/100 인,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티올 화합물 (B1) 이, 2 이상의 술파이드 결합과, 2 이상의 메르캅토기를 갖는 폴리티올 화합물을 함유하는,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폴리티올 화합물 (B1) 이, 2 이상의 술파이드 결합과, 3 이상의 메르캅토기를 갖는 폴리티올 화합물을 함유하는,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티올 화합물 (B1) 이, 복수 종류의 폴리티올 화합물의 혼합물인,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티올 화합물 (B1) 이,
    [1] 2,5-비스(메르캅토메틸)-1,4-디티안과,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의 혼합물,
    [2]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과,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의 혼합물, 또는,
    [3] 4,7-비스(메르캅토메틸)-3,6,9-트리티아운데칸-1,11-디티올, 4,8-비스(메르캅토메틸)-3,6,9-트리티아운데칸-1,11-디티올, 및, 5,7-비스(메르캅토메틸)-3,6,9-트리티아운데칸-1,11-디티올의 혼합물인,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를 함유하는 제 1 조성물과, 폴리티올 화합물 (B1) 을 함유하는 제 2 조성물의 혼합물이고,
    상기 제 2 조성물의, 티올값으로부터 구한 순도가 96.0 % 이하인,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부재용 중합성 조성물의 중합물로 이루어지는 광학 부재.
  8. 제 7 항에 기재된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안경 렌즈.
KR1020217030736A 2019-03-28 2020-03-27 광학 부재용 수지 조성물, 광학 부재 및 안경 렌즈 KR202101326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63806 2019-03-28
JP2019063806A JP7296755B2 (ja) 2019-03-28 2019-03-28 光学部材用樹脂組成物、光学部材、及び眼鏡レンズ
PCT/JP2020/014088 WO2020196847A1 (ja) 2019-03-28 2020-03-27 光学部材用樹脂組成物、光学部材、及び眼鏡レンズ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2693A true KR20210132693A (ko) 2021-11-04

Family

ID=72608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0736A KR20210132693A (ko) 2019-03-28 2020-03-27 광학 부재용 수지 조성물, 광학 부재 및 안경 렌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85944A1 (ko)
EP (1) EP3950757A4 (ko)
JP (1) JP7296755B2 (ko)
KR (1) KR20210132693A (ko)
CN (1) CN113631612B (ko)
WO (1) WO202019684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2207A (ja) 1994-01-26 1995-10-03 Mitsui Toatsu Chem Inc 新規なポリチオール及びそれを用いた含硫ウレタン系プラスチックレンズ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0428A (en) * 1980-11-10 1982-05-20 Sumitomo Bakelite Co Ltd Curable composition
CA2337955C (en) * 2000-03-15 2006-07-25 Hoya Corporation Plastic lenses for spectacles
JP3706036B2 (ja) * 2000-03-15 2005-10-12 Hoya株式会社 眼鏡用プラスチックレンズ
CN100343299C (zh) * 2002-04-19 2007-10-17 三井化学株式会社 硫代氨基甲酸乙酯系光学材料
DE60304935T2 (de) * 2002-06-04 2006-09-21 Hoya Corp.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unststofflinsen und die hergestellte Kunststofflinse
CN1171924C (zh) * 2002-11-05 2004-10-20 浙江大学 一种制备聚硫代氨基甲酸酯光学塑料的方法
KR20060009384A (ko) * 2003-06-09 2006-01-31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투명 성형체
JP4393831B2 (ja) * 2003-09-22 2010-01-06 Hoya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JP2005325183A (ja) * 2004-05-13 2005-11-24 Mitsui Chemicals Inc 高屈折率チオウレタン系光学材料
JP4822495B2 (ja) * 2004-11-05 2011-11-24 三井化学株式会社 ポリチオールの製造方法
JP5275030B2 (ja) * 2006-08-31 2013-08-28 Hoya株式会社 ポリチオウレタン樹脂の製造方法
JP2008143872A (ja) * 2006-12-13 2008-06-26 Mitsui Chemicals Inc ビス(イソシアナトメチル)ノルボルナンの安定化方法。
CN102143984B (zh) * 2008-09-22 2013-08-21 三井化学株式会社 光学材料用聚合性组合物、光学材料及光学材料的制造方法
US20170029553A1 (en) * 2014-04-25 2017-02-02 Mitsui Chemicals, Inc. Polymerizable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s, optical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material
JPWO2016031975A1 (ja) * 2014-08-29 2017-06-22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HOYA Lens Thailand Ltd 光学用樹脂組成物、光学用樹脂組成物を硬化させて得られる光学部材、及び眼鏡用プラスチックレンズ
JP6324286B2 (ja) * 2014-09-30 2018-05-16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HOYA Lens Thailand Ltd 重合性組成物、透明樹脂、光学材料、プラスチックレンズおよび透明樹脂の製造方法
EP3275911A4 (en) * 2015-03-25 2018-11-21 Hoya Lens Thailand Ltd. Polymerizable composition, optical member, plastic lens, and eyeglass lens
JP6306102B2 (ja) * 2016-07-29 2018-04-04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HOYA Lens Thailand Ltd 樹脂組成物
KR101831889B1 (ko) * 2017-02-03 2018-02-26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플라스틱 렌즈용 폴리티올 조성물
KR101902974B1 (ko) * 2017-03-31 2018-10-02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폴리티올 화합물의 탈수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2207A (ja) 1994-01-26 1995-10-03 Mitsui Toatsu Chem Inc 新規なポリチオール及びそれを用いた含硫ウレタン系プラスチックレン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85944A1 (en) 2022-06-16
EP3950757A1 (en) 2022-02-09
JP2020164574A (ja) 2020-10-08
WO2020196847A1 (ja) 2020-10-01
CN113631612B (zh) 2024-03-15
JP7296755B2 (ja) 2023-06-23
EP3950757A4 (en) 2022-12-14
CN113631612A (zh) 202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2726B2 (en) Resin composition
US11021563B2 (en) Method for producing resin for optical component, resin for optical component, spectacle lens, and spectacles
EP2746823B1 (en) Urethane-based optical component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for
US20190225733A1 (en) Method producing resin for optical component, resin for optical component, spectacle lens, and spectacles
US11479654B2 (en) Method for producing resin for optical component, resin for optical component, spectacle lens, and spectacles
EP2860207B1 (en) Urethane-based optical memb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20220169778A1 (en) Polymerizable composition for optical members, optical member and eyeglass lens
JP7296755B2 (ja) 光学部材用樹脂組成物、光学部材、及び眼鏡レンズ
US20210206902A1 (en) Optical member resin production method
US20210206903A1 (en) Polymerizable composition for optical members
JP2021167398A (ja) 光学材料用重合性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透明樹脂の製造方法、ならびにレンズ基材の製造方法
JP2021167399A (ja) 光学材料用重合性組成物の製造方法、透明樹脂の製造方法、およびレンズ基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