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1435A - 단말기에 의한 조리기기의 구성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에 의한 조리기기의 구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1435A
KR20210131435A KR1020217033892A KR20217033892A KR20210131435A KR 20210131435 A KR20210131435 A KR 20210131435A KR 1020217033892 A KR1020217033892 A KR 1020217033892A KR 20217033892 A KR20217033892 A KR 20217033892A KR 20210131435 A KR20210131435 A KR 20210131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food
terminal
user
configu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3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랑 블롱
세바스티앙 볼테르
앙토니 마쏭
Original Assignee
세브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브 에스.아. filed Critical 세브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210131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14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06F9/44505Configuring for program initiating, e.g. using registry, configuration files
    • G06F9/4451User profiles; Roam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A47J36/321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performed over a network, e.g. by means of a handheld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11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the food being cooked between two heating plates, e.g. waffle-ir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06F9/44505Configuring for program initiating, e.g. using registry, configuration 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ic Ovens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Cooker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조리기기(A)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단말기(T)에 의해 조리기기(A)를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 방법은 이하 단계들을 포함한다: 조리 프로그램(prog)을 생성 및/또는 선택하는 단계, 상기 조리 프로그램(prog), 상기 조리 프로그램(prog) 실행 진행 상태에 해당하는 원하는 조리 상태(cui_s)를 생성 및/또는 선택하는 단계, 상기 조리 프로그램(prog) 및/또는 원하는 조리 상태(cui_s)로부터 조리 구성 데이터(ipc)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조리 구성 데이터(ipc)를 조리기기(A)로 전송하는 단계.

Description

단말기에 의한 조리기기의 구성 방법{METHOD FOR CONFIGURING A COOKING APPLIANCE BY A TERMINAL}
본 발명은 단말기에 의한 조리기기의 구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서로 통신할 수 있는 조리기기와 단말기를 구성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구성은 조리기기의 원격 명령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소정의 음식물 조리에 해당하는 조리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하여 조리기기를 원격 명령 및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작동 유형은 조리기기와 단말기 사이의 고품질 통신을 요구한다. 사용자는 또한, 조리기기를 명령하기 위한 단말기를 항상 소지해야 하며, 이는 구속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모든 단점 또는 일부 단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한 목적으로, 본 발명은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조리기기와 정보를 교환하는 기능이 있는 단말기에 의해 조리기기를 구성하는 방법에 관련하며, 그 구성 방법은 이하 단계들을 포함한다:
- 조리 프로그램을 생성 및/또는 선택하는 단계로서, 상기 조리 프로그램은 조리 시간과 조리 온도와의 관계를 포함하는 단계, 및/또는
- 상기 조리 프로그램의 실행 진행 상태에 해당하는 원하는 조리 상태를 생성 및/또는 선택하는 단계,
- 상기 조리 프로그램 및 원하는 조리 상태로부터, 그리고/또는 상기 조리 프로그램 및 원하는 조리 상태와 통신하여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를 결정 및/또는 선택하는 단계,
- 상기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를 조리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조리 시간은 조리기기의 가열 소자가 음식물을 익히기 위하여 작동하고 있는 동안의 시간에 해당한다. 바람직하게는, 온도 유지 지속 시간은 조리 시간에 이어진다. 그 구성은 조리 종료 후 음식물이 식지 않게 할 수 있을 것이다.
그 구성 방법은 조리기기가 해당 조리 공칭 값을 결정 및/또는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를 사용자가 생성 및/또는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조리 공칭 값은 조리 프로그램의, 그리고 경우에 따라 원하는 조리 상태의 조리 시간과 조리 온도 사이의 관계를 적응시킨 것에 해당한다.
상기 적응은 조리기기가 조리 프로그램 및/또는 원하는 조리 상태에 따라 조리를 실행하도록 하는데 필요하다.
그 구성은 조리기기의 메모리에 포함되지 않은 조리 공칭 값을 정의할 수 있고 그것을 음식물 조리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유용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새로운 조리 공칭 값에 따라 음식물의 조리를 실행하고자 할 때 조리기기를 변동하거나 대체할 필요가 없다.
한편, 조리의 명령 및 제어는 조리기기의 명령 및 제어 유닛을 통하여 국부적으로 관리된다. 구성 방법은 그 후 조리기기에 의해 조리될 음식에 대하여 적용될 조리 파라미터를 결정 및/또는 선택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명령 유닛은 조리 공칭 값이 적용되도록 한다.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는 단말기에 의해, 예를 들어 계산 기능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결정되거나, 단말기 메모리에서 저장된 복수의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 중에서 선택된다.
단말기는 메모리 내에 각각의 저장된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와 설정된 조리 프로그램 및/또는 설정된 원하는 조리 상태 사이의 관련성이 존재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는 조리 온도의 시간적 변화에 해당하는 일 세트의 계수를 포함한다.
조리기기의 명령 및 제어 유닛은 그 계수 세트를 해석하고 해당 조리 공칭 값을 결정하는 기능을 갖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단말기에 의한 조리기기의 구성 방법은 그 외에 이하 단계들을 더 포함한다:
-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필을 생성 및/또는 선택하는 단계,
- 상기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 프로필에 할당하는 단계.
그 구성은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를 사용자 프로필에 할당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를 그 후 재사용할 수 있도록 메모리 할 수 있다.
그 구성은 사용자가 개인화된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를 사용하고자 할 때, 예를 들어 조리 프로그램이 특정 음식물에 관련한다거나 사용자가 특정 조리 진행상태, 예를 들어 미디움과 웰던 사이의 상태를 원하는 경우, 유용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매번 새로운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를 재생성할 필요없이, 이전에 그가 생성하고 그의 사용자 프로필에 할당한 정보가 재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제1 사용자 프로필은 제1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에 할당되고 제2 사용자 프로필은 제2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에 할당된다.
따라서 구성 방법은 각각 사용자에 할당되는 다수의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를 설정할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조리기기로 전송하기 전에 다수의 조리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그 구성은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가 동일한 조리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도 유용하다. 그 경우, 조리기기는 제1 사용자의 제1 음식물과 제2 사용자의 제2 음식물을 동시에 조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원하는 조리 상태가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에 대하여 상이할 수 있다. 그 경우, 제1 음식물 및 제2 음식물은 조리 후 조리기기로부터 동시에 꺼내지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구성 방법은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조리 프로그램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원하는 조리 상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를 단말기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조리 프로그램 및 원하는 조리 상태가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단말기 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리 프로그램 또는 원하는 조리 상태를 생성할 필요가 없다.
서버에 공지되어 있는 조리 프로그램 및 원하는 조리 상태에 연결된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결정 단계는 단말기에 대하여 이미 메모리에 포함된 파라미터화 정보를 선택하거나 서버로부터 그것을 다운로드 받는 것으로 구성된다.
대체예로서, 결정은 단말기에 의해 실행되는 계산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그 구성은 서버와 접속이 없을 때 유익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프로그램이 단말기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때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방법의 단계들을 실행하도록 설치된 코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도 관련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단말기 상에서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설치된다.
본 발명은 그 외에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코드 명령어를 메모리에 포함하고 그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단말기에 관련한다.
본 발명은 또한,
-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설치된 조리 영역을 가지며 상기 음식물을 가열하도록 설치된 가열소자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원격 단말기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되어 있는 통신 유닛으로서,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를 수신하도록 설치된, 통신 유닛,
- 조리 공칭 값에 따라 조리 시간 동안 가열 소자의 조리 온도를 조절하도록 설치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의 명령 및 제어 유닛으로서, 복수의 음식물 카테고리 중에서 하나의 음식물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명령을 갖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명령 및 제어 유닛이며, 상기 조리 공칭 값이 선택된 음식물 카테고리에 따라 결정되는 제1 구성에서, 또는 대체로서, 상기 조리 공칭 값이 통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제2 구성에서 사용되도록 설치되는 명령 및 제어 유닛
을 포함하는 조리기기에도 관련한다.
따라서 조리기기는 제1 구성에 따라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실제로 익혀야 할 음식물의 카테고리를 선택하기 위한 단말기가 필요 없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선택 명령은 그 외에 원하는 조리 상태의 선택을 위하여 설치되고, 상기 조리 공칭 값은 그 외에 제1 구성에서 원하는 조리 상태의 상기 선택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제1 구성은 사용자가 음식물 카테고리 및 원하는 조리 상태를 선택할 가능성을 제공한다.
사용자를 위한 선택은 그러나 프로세서 메모리에 저장된 음식물 카테고리들로 한정된다. 그러므로 제2 구성은 통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를 사용하여 음식물 카테고리의 개수를 확장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제2 구성에서 조리기기의 프로세서 메모리 내에 정의되지 않은 원하는 조리 상태에 따라, 정의되지 않은 카테고리 내에 포함된 음식물을 조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음식물 카테고리 추가시마다 명령 및 제어 유닛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
나아가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는 사실은 사용상 융통성을 제공한다: 조리기기는 단독으로뿐만 아니라 원격 단말기에 접속되어도 작동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는 일 세트의 계수를 포함한다.
따라서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는 제2 구성에서 프로세서에 의해 고려되는 조리 파라미터 형태의 간결한 정보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각각의 음식물 카테고리는 프로세서 메모리에 저장된 일 세트의 계수에 의해 정의된다.
프로세서는 조리기기가 제1 구성이거나 제2 구성이거나 동일하게 계수 세트로부터 조리 공칭 값을 정의한다.
조리는, 프로그램의 파라미터가 제1 구성에서 프로세서 메모리에 포함된 계수들이거나 제2 구성에서 다운로드 된 계수들인 프로그램을 따른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통신 유닛이 통신 프로토콜을 따라 원격 단말기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되어 있을 때 사용자에게 신호를 발신하도록 설치된 접속 표시기를 포함한다.
그 구성은 조리기기와 단말기 사이의 통신이 성립되었는지를 알 수 있게 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제1 구성-비접속 모드에서 작동함-에서 제2 구성-접속 모드에서 작동함-으로의 전환이 가능함을 인식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1 구성에서 제2 구성으로의 전환을 위한 전환 명령을 포함한다.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는 통신 유닛에 의하여 항시 수신 가능하다.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는 그 후 프로세서 메모리에 보관된다.
사용자는 그 후 그의 선택에 따라 제1 구성에 따른 조리 개시를 위하여 선택 명령을 사용할 수 있거나 제2 구성에 따른 조리 개시를 위하여 전환 명령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전환 명령은 선택 명령에서의 복수의 음식물 카테고리에 대하여 추가적 음식물 카테고리로서 나타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를 확인하는 기능을 적용하도록 설치되고, 그 확인 결과는 상기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가 적합하다는 표시기이거나 이상이 있다는 표시기이다.
확인 기능은 따라서 프로세서가 수신된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의 사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하는 보안 기능이다. 그 구성은 잘못된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의 사용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통신 유닛은 프로세서 메모리에 적어도 2개의 조리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하도록 설치된다.
그 구성은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가 정기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그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를 매회 로드하지 않을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각각의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는 조리 프로그램, 즉 음식물 카테고리에 관계된다. 전형적으로 그 음식물 카테고리는 프로세서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음식물 카테고리에 속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각각의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는 레어, 미디움 또는 웰던 등과 같은 원하는 조리 상태에 관계된다.
따라서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다수의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는 사실은 동일한 조리 프로그램에 대한 2개의 음식물을 동시에 그리고 그것들의 원하는 조리 상태가 상이하여도 조리가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단 1회의 조리에서 제1 사용자는 레어 음식물을 수득할 수 있고 제2 사용자는 웰던 음식물을 수득할 수 있다. 실제로, 웰던 음식물은 단지 조리 영역 내에 더 오래 남아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통신 유닛은 단말기로 피드백 정보를 발신하도록 설치되며, 그 피드백 정보는 조리 온도 및/또는 잔여 조리 시간 표시 및/또는 개입 통보를 포함한다.
그 구성은 음식물 조리를 원격 감시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사용자는 조리된 음식물을 가지러 가기 전에 잔여 조리 시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리기기 근방에서 대기해야 하거나 언제 조리기기로 돌아와야 하는지 알기 위하여 조리 시간을 미리 인식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통신 유닛은 복수의 피드백 정보, 2개의 연속적 정보 전송을 분리하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전송하도록 설치된다.
그 구성은 2회의 전송 사이에서 시간 간격이 생략될 수 있다는 의미에서 에너지 절약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통신 유닛은 프로세서의 적시(punctual) 순서에 따라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치된다.
그 구성은 측정 기기가 적시에 최대한 신속히 피드백 정보를 단말기로 통신할 수 있게 한다. 그 구성은 프로세서에 의해 작동 오류가 감지될 때 유용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개입 통보는 사용자를 향한 메시지, 예를 들어 "조리 영역 내의 음식물을 뒤집으시오" 또는 "예열 동안 조리 영역 내에 음식물이 있음" 등의 이상 보고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명령 및 제어 유닛은 조리 공칭 값에 따라 가열 소자의 예열을 실행하고 예열 상태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치된다.
다시 말하자면, 예열 상태는 사용자가 조리기기의 조리 영역 내에 조리할 음식물을 배치할 수 있는지 알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안내한다.
예열은 조리 공칭 값에 좌우되므로 익혀야 할 음식물의 유형에 좌우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예열 정보는 잔여 예열 시간 표시를 포함한다.
그 구성은 조리기기 내에 익혀야 할 음식물을 배치하기 전의 대기 시간을 알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조리기기의 명령 및 제어 유닛은 통신 유닛을 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경보기 및/또는 단말기로 예열 상태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치된다.
사용자가 조리기기에 근접해 있을 때, 경보기는 언제 예열이 종료될지, 그리고 언제 조리기기 내에서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을지를 사용자에게 알 수 있게 한다.
사용자가 기기에서 멀리 있으나 단말기를 소지하고 있으면, 마찬가지로 그가 조리기기 내에 음식물을 투입할 수 있음을 표시하는 알림을 수신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명령 및 제어 유닛의 프로세서는 조리 공칭 값에 따라 잔여 조리 시간에 대한 표시를 포함하는 조리 상태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치된다.
그 구성은 사용자에게 음식물이 익기 전 잔여 시간을 통보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조리 정보와 관계된 컨텐츠 및/또는 통신 유닛이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조리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치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설치된다.
음식물이 조리되는 동안 사용자는 그와 같이 조리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그의 단말기를 통하여 잔여 조리 시간을 통보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조리 시간은 조리기기의 가열소자가 음식물을 익히기 위하여 작동되는 시간에 해당한다. 바람직하게는, 온도 유지 지속 시간은 조리 시간에 이어진다. 그 구성은 조리 종료 후 음식물이 식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조리기기는 조리 영역 내에 배치된 음식물과 관계된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크기를 측정하게 되어 있는 센서를 포함하고, 조리 공칭 값은 상기 측정된 물리적 크기에 따른다.
조리 공칭 값을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된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 이외에, 프로세서가 상기 측정된 물리적 크기를 고려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선택 명령 위치에서 선택된 음식물 카테고리 또는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는 익혀야 할 음식물의 유형에 대하여 안내하고 센서는 상기 익혀야 할 음식물의 크기 및 양에 대해 안내한다.
따라서 프로세서는 그 정보 전체로 정확한 조리 공칭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물리적 크기는 음식물이 점유하는 표면적 및/또는 음식물의 두께이다. 다시 말하자면, 음식물이 점유하는 표면적은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음식물의 열 분출(effusivity)로 인한 온도 변화에 해당한다.
그 구성은 익혀야 할 음식물에 대해 완전히 알게 하는데, 즉 음식물 유형 및 물리적 크기를 알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프로세서는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 및 상기 물리적 크기 값 덕분으로 음식물에 적용할 정확한 조리 공칭 값이 무엇인지 결정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그 외에 열 적응제어를 포함하고, 조리 공칭 값은 상기 열 적응제어 상태에 따른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열 적응제어 상태는 음식물의 냉동 상태에 해당한다. 그 경우, 프로세서는 적용할 조리 공칭 값을 결정하기 위하여 음식물의 그 초기 상태를 고려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조리 공칭 값은 하나 또는 다수의 시간적 범위를 포함하고, 각각은 목표 조리 온도 및 시간에 의해 정의된다. 특히, 예열은 상기 조리 공칭 값의 시간적 범위에 해당한다. 조리 시간은 조리 시간 전체를 포함하는 단 하나의 시간적 범위에 해당하거나 그 동일한 조리 시간을 포함하는 시간적 범위들의 연속에 해당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조리기기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 사용 방법은 이하 단계들을 포함한다:
-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를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조리기기의 통신 유닛에 전송하는 단계,
- 제2 구성에서 조리기기의 조리 시스템의 상기 명령 및 제어 유닛을 설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조리 공칭 값이 통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에 따라 명령 및 제어 유닛의 프로세서에 의해 결정되는, 단계,
- 조리 공칭 값의 개시되는 단계.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조리 공칭 값의 개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또는 단말기 위치에서의 인증에 의해 인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외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기 프로그램이 단말기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때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의 단계들을 실행하도록 설치된 코드 명령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단말기 상에서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설치된다.
본 발명은 그 외에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코드 명령어를 메모리에 포함하고 그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비한정적 예시로서 이하 개시된, 단말기에 의한 조리기기의 구성 방법의 실시 형태를 기술하는 상세한 설명의 도움으로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조리기기 및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조리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정면도이다.
도 3은 개방된 조리기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조리기기 사용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조리기기, 단말기 및 서버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단말기에 의한 조리기의 구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기(A)는 가열소자(ch) 및 음식물(ali)용 조리 영역(emp)을 구비한 조리 시스템(SYS)을 포함한다.
도 1에서, 조리기기(A)는 폐쇄되어 있고, 이는 조리 위치이며, 도 3에서 조리기기(A)는 개방되어 있고, 이는 조리 영역(emp)에서 음식물(ali)을 배치하거나 꺼내기 위한 위치이다.
조리기기(A)는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원격 단말기(T)와 통신하도록 설치된 통신용 카드를 구비한 통신 유닛(UC)을 포함한다. 통신 프로토콜은 라디오파를 이용한 무선 통신 프로토콜이다.
조리기기(A)는 또한 조리 시스템(SYS)을 명령 및 제어하도록 설치된 명령 및 제어 유닛(CC)도 포함한다.
조리 시스템(SYS)의 제어를 위하여, 조리기기(A)는 또한 물리적 크기를 측정할 수 있게 되어 있는 센서(cap)도 포함한다.
그 센서(cap)는 조리 영역(emp) 내에 배치된 음식물(ali)의 두께를 측정하도록 설치된 두께 센서(cap) 또는 조리 영역(emp) 내에 배치된 음식물(ali)의 하중 또는 무게를 측정하도록 설치된 스트레인 센서(cap)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령 및 제어 유닛(CC)은 메모리를 갖추고 조리 공칭 값(co)에 따라 조리 시간(t) 동안 가열소자(ch)의 조리 온도(Te)를 조절하도록 설치된 프로세서(P)를 포함한다.
명령 및 제어 유닛(CC)은 복수의 음식물 카테고리(ca) 중 하나의 음식물 카테고리(ca) 선택 명령(SEL)을 구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IU)를 포함한다.
실생활에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그림문자로 음식물 카테고리(ca)를 식별하고 상기 그림문자를 누름으로써 음식물 카테고리(ca)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IU)는 사용자가 그 상부를 누름으로써 선택 가능한 선택사양 열 적응제어(CAT)를 포함한다. 그 선택사양은 배치된 음식물(ali)이 냉동상태일 때 프로세서(P)가 조리 공칭 값(co)에 적응할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IU)는 또한 온/오프 버튼(MA), 예열이 종료될 때 켜지도록 설치된 경보기(AV), 조리 표시기(IND) 및 온도조절기의 수동 조절 버튼(MTH)도 포함한다.
조리 표시기(IND)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다수의 부분을 구비한 외부 원형부(INDe)를 포함하고, 각 색상은 "레어", "미디움" 또는 "웰던" 등의 조리 상태에 해당한다.
한 색상에서 다른 색상으로의 변환은 무지개 이미지로 점진적일 수 있다. 조리 표시기(IND)의 중앙부(INDi)는 음식물(ali) 조리 상태에 따라 변동하는 색상을 갖는다. 색상 변화 또한 점진적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중앙부(INDi)의 색상을 외부(INDe)의 색상들과 비교할 수 있고 그의 음식물의 조리 상태를 시각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중앙부 색상이 "웰던" 상태에 상당히 근접한 "미디움" 상태에 해당함을 볼 수 있다.
그 구성은 또한 조리 영역 내에서 동시에 동일한 2개의 음식물(ali)을 익힐 수 있게 하고 제1 음식물이 제2 음식물보다 덜 익어야 하는 경우 제1 음식물(ali)을 제2 음식물에 앞서 꺼낼 수 있게 한다.
온도조절기의 수동 조절 버튼(MTH)은 선택 명령(SEL)의 대체용이다.
사용자가 온도조절기의 수동 조절 버튼(MTH)을 누르면 스스로 수동으로 조리 온도(Te)를 조절할 수 있다.
자동식으로 조리기기(A)를 사용하기 위하여, 즉, 원격 단말기(T)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는 선택 명령(SEL) 또는 온도조절기의 수동 조절 버튼(MTH)으로 음식물 카테고리(ca)를 선택한다.
익혀야 할 음식물이 냉동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열 적응 제어(CAT)도 누른다.
그 순간부터, 예열이 시작되고 사용자는 경보기(AV)가 울릴 때 예열 종료 알림을 받는다. 그 순간에 사용자는 조리기기(A)를 개방하고 조리구역(emp) 내에 그의 음식물(ali)을 배치한 후 조리기기(A)를 폐쇄한다.
조리 표시기(IND)는 그 후 조리 진행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하여 점진적으로 색상을 변화시킨다. 프로세서(P)는 조리 공칭 값(co) 및 센서(cap)에 의해 실시된 측정에 의하여 그 색상을 결정하도록 설치된다. 조리기기는 또한 조리 영역(emp) 위치에 할당된 다른 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기반으로 할 수도 있다.
전술한 작동 모드는 조리기기(A)의 제1 구성(CONF1)에 해당한다. 그 제1 구성(CONF1)에 따르면, 조리기기(A)는 완전히 자동으로, 즉 단말기(T) 없이 작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프로세서(P)는 일 세트의 계수(C1, C2, ... Cn)로부터 조리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도록 설치된다. 그 계수(C1, C2, ... Cn)들은 조리 공칭 값(co)을 결정하기 위하여 프로세서(P)에 의해 사용되는 값들이다.
조리 공칭 값(co)은 하나 또는 다수의 시간적 범위에 해당하고, 하나의 범위 또는 각각의 범위들은 목표 조리 온도(Te) 및 목표 조리 시간(t)에 의해 정의된다.
따라서 특정 음식물(ali)을 위한 조리 공칭 값(co)은 예를 들어 5분 동안 고온의 제1 온도(Te), 그 후 10분간 더 낮은 온도(Te)일 수 있다.
제1 구성(CONF1)에 따른 작동에서, 선택 명령(SEL)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각각의 음식물 카테고리(ca)는 하나의 특정 계수(C1, C2, ... Cn) 세트에 해당한다.
그 후 프로세서(P)는 각각의 계수(C1, C2, ... Cn) 세트로부터 조리 공칭 값(co)을 결정하는 동일한 계산을 적용한다.
프로세서(P)는 또한 그것이 수신하는 각각의 계수(C1, C2, ... Cn) 세트가 고유의 일관성을 갖는지, 그리고 우연히 결정된 계수(C1, C2, ... Cn)들이 아닌지를 확인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프로세서(P)는 계수(C1, C2, ... Cn) 세트의 계수(C1, C2, ... Cn)들을 확인하는 함수(fv)를 적용하고 결과(r)를 수득하도록 설치된다. 그것은 소정의 계수(C1, C2, ... Cn)들의 합일 수 있다.
프로세서(P)는 또한 결과(r)를 분석하고 그 결과(r)로부터 적합 표시기인지 이상 표시기인지를 결정하도록 설치된다. 아무 이상도 감지되지 않으면, 프로세스(P)는 예열에 의해 조리를 개시할 수 있다.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기(A)는 또한 단말기(T)가 개입되는 제2 구성(CONF2)에 따라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제2 구성(CONF2)에 따르면, 도 6에 따른 단말기(T)에 의한 조리기기(A)의 구성 방법이 실행될 수 있다.
단말기(T)는 또한 구성 방법의 단계들을 실행하는 다운로드 가능 애플리케이션 형태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도 포함한다.
구성 방법의 단계(e1)는 조리 프로그램(prog)의 생성 및/또는 선택 단계이고, 상기 조리 프로그램(prog)은 조리 시간(t)과 조리 온도(Te) 사이의 관계를 포함한다.
단계(e1)와 독립적으로 실행 가능한 단계(e1')는 상기 조리 프로그램(prog)의 실행 진행 상태에 해당하는 원하는 조리 상태(cui_s)의 생성 및/또는 선택 단계이다. 그것은 예를 들어 "미디움" 또는 "웰던" 등의 상태에 관한 것일 수 있다.
그 단계(e1')는 선택사양으로 간주할 수 있다. 장점은 사용자가 원하는 조리 상태에 도달할 때 그의 단말기(T)의 디스플레이위치에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다. 그 단계를 실시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조리 진행 표시만 받게 될 것이다.
단계(e1") 또한 단계(e1) 및 단계(e1')와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그것은 사용자 식별자(id)를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필(usr)의 생성 및/또는 선택 단계(e1")에 관한 것이다.
단계(e1), (e1') 및 (e1")의 실행 이전 또는 동시에, 선택사양 단계(e0)는 적어도 하나의 조리 프로그램(prog)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원하는 조리 상태(cui_s) 및/또는 서버(S)에서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ipc)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프로필(usr)을 단말기(T)를 통하여 수신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수신된 사용자 프로필(usr)은 적어도 하나의 조리 프로그램(prog)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원하는 조리 상태(cui_s) 및/또는 서버(S)에서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ipc)와 연결될 수 있다.
그 단계는 또한 조리 프로그램(prog) 및/또는 원하는 조리 상태(cui_s)의 선택이 어떻게 서버(S)에서 전송된 정보들로부터 실행될 수 있는지도 설명한다.
서버(S)와의 동기화는 또한 조리 프로그램(prog) 및/또는 원하는 조리 상태(cui_s) 및/또는 해당 사용자 프로필(usr)의 전송에 의하여도 가능하다.
그 후 단계(e2)는 단말기(T)에 의하여 상기 조리 프로그램(prog) 및/또는 원하는 조리 상태(cui_s)로부터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ipc)를 결정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결정된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ipc)는 일 세트의 계수(C1, C2, ...Cn)를 포함하고, 상기 세트는 조리 공칭 값(co)을 결정하기 위하여 조리기기(A)의 프로세서(P)에 의해 해석 가능하다.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ipc)는 또한 선택사양으로서 원하는 조리 상태(cui_s) 관련 정보도 포함한다.
단계(e2)의 후속 단계(e2')는 상기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ipc)를 상기 사용자 프로필(usr)에 할당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그 구성은 특히 하나의 사용자(usr) 또는 다수의 사용자(usr)를 위한 다수의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ipc)를 고려할 수 있게 한다.
그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ipc)들은 단말기(T) 프로세서 메모리 또는 서버(S) 메모리에 저장 가능한데, 이는 서버(S)가 단말기(T)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끝으로 구성 방법은 상기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ipc)를 단말기(T)에 의해 조리기기(A)로 전송하는 단계(e3)로 종료된다. 다수의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ipc)를 조리기기(A)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리기기는 다수의 조리를 연속적으로 실행하거나 2개의 동일한 음식물의 2가지 조리를 동시에 실행할 목적으로 다수의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ipc)를 수신할 수 있다.
조리기기(A)가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ipc)를 수신할 때, 그 기기는 제1 구성(CONF1)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구성(CONF2)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전환 명령(COM)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전환 명령(COM)을 누를 때 조리기기(A)는 제2 구성(CONF2)으로 전환되고, 예열이 시작된다.
프로세서(P)는 그 이전에, 수신된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ipc)의 계수(C1, C2, ...Cn)에 따라, 확인 함수(fv)에 의해 계수(C1, C2, ...Cn)들의 적합성을 확인한 후, 조리 공칭 값(co)을 결정했었다. 그 결정은 조리기기(A)가 신속히 정보를 수신하자마자 또는 사용자가 전환 명령(COM)을 누를 때 예열이 개시되기 이전에 신속히 실행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IU)는 또한 통신 유닛이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원격 단말기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을 때 광신호를 발신하도록 설치되는 접속 표시기(CONNEX)도 포함한다.
그 구성은 사용자가 전환 명령(COM)을 누를 수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게 한다.
조리의 후속 단계는 제2 구성(CONF2)에서 동일하게 진행된다: 예열이 개시되고 그 예열 종료시에 경보기(AV)가 작동한다.
제2 구성(CONF2)에서, 통신 유닛(UC)은 단말기(T)로 잔여 예열시간 표시를 포함하는 예열 상태 정보(ep)를 전송하도록 설치되고, 그 정보는 프로세서(P)에 의해 결정된다.
그 구성은, 제2 구성(CONF2)에서 사용자가 그의 단말기(T)에 의해 예열 종료를 알림 받기 때문에 조리기기(A) 근방에 대기할 필요가 없으므로 유용하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그의 음식물(ali)을 조리 영역(emp) 내에 배치한 후 조리기기(A)를 재폐쇄한다.
예열 동안과 마찬가지로, 통신 유닛(UC)은 조리 시 프로세서(P)에 의해 결정되는 조리 상태 정보(cui)를 전송하도록 설치된다.
그 정보는 전송된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ipc)가 원하는 조리 상태(cui_s)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조리 표시기(IND) 색상 및/또는 조리 종료 표시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그의 단말기(T)에 의해 조리 종료를 알림 받으며, 조리 동안 조리기기(A) 근방에 대기할 필요가 없다.
제2 구성(CONF2)에서 더 일반적으로는 조리기기(A)는 조리기기(A) 작동에 관한 다수의 안내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re)를 단말기(T)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피드백 정보(re)는 특히 조리 온도 표시 및/또는 개입 통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개입 통보는, 예를 들어 "조리 영역 내의 음식물 뒤집으시오" 또는 "예열 동안 조리 영역 내에 음식물 존재함" 등의 이상 보고 등의 사용자를 향한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사용자가 각자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ipc)를 조리기기(A)로 전송했을 때, 그 피드백 정보(re)는 어느 조리 프로그램(prog)이 구동되었는지를 알 수 있게 한다.
또한, 통신 유닛(UC)으로 전송된 하나의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ipc)만이 조리기기(A)가 조리를 실행할 수 있게 함을 주목해야 한다.
실제로 그 정보를 단말기(T)에 의하여 전송한 후, 조리기기(A)와 단말기(T) 사이의 통신은 조리에 영향을 주지 않고 중단될 수 있다.
그 구성은 그와 같이 조리기기(A)가 적어도 하나의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ipc)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그 정보를 메모리에 보존하여 단말기(T)를 다시 사용할 필요없이 해당 조리 프로그램(prog)이 수차례 다시 채택하여 실행되게 하도록 구성되므로 유용하다.
따라서 단말기(T)는 새로운 조리 프로그램(prog)을 로드할 수 있게 하는 측정 기기(A)의 프로세서(P)의 연장부로서 나타나지만, 단말기(T)와 조리기기(A) 사이의 양호한 통신에 의존하지 않는다.
사용자는 단말기를 소지하지 않아도 조리기기를 항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므로 불이익이 없을 것이다.
경우에 따라 단말기(T) 및 조리기기(A)는 단말기(T)가 프로세서(P)의 원격 제어기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 경우 사용자는 구동되는 프로그램 순서를 선택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T)는 조리기기(A)의 사용 방법 단계들을 실시하도록 구성된다. 제1 단계에 따라 단말기는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리 파라미터화 정보(ipc)의 전송(E1)을 실행한다.
상술한 바를 대체하여, 단말기(T)는 전환 명령(COM)을 누를 필요없이 제2 구성(CONF2)에서 배치 단계(E2)를 원격에서 실행한 후, 조리 공칭 값(co)의 개시 단계, 특히 예열 개시 단계(E3)를 실행한다.
그러나 조리 공칭 값(co) 및 파라미터들의 확인은 조리기기(A)의 프로세서(P)에 의해 항시 실시됨을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조리기기(A)는 그 자동 기능을 보존하고, 명령들만 생략된다.
당연히, 본 발명은 예시로서 상술한, 단말기에 의한 조리기기의 구성 방법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와 반대로 모든 변형 실시예를 포괄한다.

Claims (1)

  1. 발명의 설명 또는 도면에 기재된 단말기(T)에 의한 조리기기(A)의 구성 방법.
KR1020217033892A 2016-05-03 2017-04-28 단말기에 의한 조리기기의 구성 방법 KR202101314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653986 2016-05-03
FR1653986A FR3050914B1 (fr) 2016-05-03 2016-05-03 Procede de configuration d’un appareil de cuisson par un terminal
PCT/FR2017/051028 WO2017191395A1 (fr) 2016-05-03 2017-04-28 Procede de configuration d'un appareil de cuisson par un terminal
KR1020187034517A KR20190003662A (ko) 2016-05-03 2017-04-28 단말기에 의한 조리기기의 구성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4517A Division KR20190003662A (ko) 2016-05-03 2017-04-28 단말기에 의한 조리기기의 구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435A true KR20210131435A (ko) 2021-11-02

Family

ID=5680257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3892A KR20210131435A (ko) 2016-05-03 2017-04-28 단말기에 의한 조리기기의 구성 방법
KR1020187034517A KR20190003662A (ko) 2016-05-03 2017-04-28 단말기에 의한 조리기기의 구성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4517A KR20190003662A (ko) 2016-05-03 2017-04-28 단말기에 의한 조리기기의 구성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520603B2 (ko)
EP (1) EP3452902B1 (ko)
KR (2) KR20210131435A (ko)
CN (1) CN109074268A (ko)
AU (1) AU2017259171B2 (ko)
BR (1) BR112018072517A2 (ko)
CA (1) CA3021273C (ko)
FR (1) FR3050914B1 (ko)
RU (1) RU2733821C2 (ko)
WO (1) WO20171913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8316266A1 (en) 2017-08-09 2020-02-20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D914447S1 (en) 2018-06-19 2021-03-30 Sharkninja Operating Llc Air diffuser
USD934027S1 (en) 2018-08-09 2021-10-26 Sharkninja Operating Llc Reversible cooking rack
USD903413S1 (en) 2018-08-09 2020-12-01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basket
USD883015S1 (en) 2018-08-09 2020-05-05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and parts thereof
USD883014S1 (en) 2018-08-09 2020-05-05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CN109597379B (zh) * 2018-11-26 2020-12-08 梁志鹏 一种厨房上位机与机器人通信的方法及电子设备
EP3931493A1 (en) 2019-02-25 2022-01-05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system with guard
US20190254476A1 (en) 2019-02-25 2019-08-22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D982375S1 (en) 2019-06-06 2023-04-04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USD918654S1 (en) 2019-06-06 2021-05-11 Sharkninja Operating Llc Grill plate
US11647861B2 (en) 2020-03-30 2023-05-16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FR3134506B1 (fr) * 2022-04-13 2024-05-10 Seb Sa Ensemble comprenant un appareil de cuisson électrique par contact avec au moins une plaque de cuisson et un dispositif d’alerte à distance.
FR3140255A1 (fr) * 2022-09-30 2024-04-05 Seb S.A. Appareil de cuisson avec poignée de préhension rotativ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6126B1 (ko) * 1994-12-16 1998-08-17 구자홍 전자레인지의 가열시간 제어장치 및 방법
DE19718399A1 (de) * 1997-04-30 1998-11-05 Rational Gmbh Verfahren zum individuellen Führen eines Garprozesses und zugehöriges Gargerät
US6549818B1 (en) * 1999-07-26 2003-04-15 General Electric Company Cooking appliance and cooking system
US6862494B2 (en) * 2001-12-13 2005-03-01 General Electric Company Automated cooking system for food accompanied by machine readable indicia
EP2260747B1 (de) * 2007-05-07 2013-07-10 Rational AG Gargerät zum Führen zumindest eines Garvorgangs
DE502007004408D1 (de) * 2007-08-27 2010-08-26 Rational Ag Verfahren und Gargerät zum Garen
DE102007040652B4 (de) * 2007-08-27 2016-06-02 Rational Ag Verfahren zur Einstellung eines Garprogramms
US20130149679A1 (en) * 2011-12-12 2013-06-13 Yukie J. Tokuda System and methods for virtual cooking with recipe optimization
SG11201509517YA (en) 2013-05-23 2015-12-30 Meyer Intellectual Properties Low-pressure cooking method and cookware vessel adapted for the same
DE102013107369A1 (de) * 2013-07-11 2015-01-15 Rational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Erstellen sowie zur Verwendung eines Anwenderprofils eines Gargerätes und ein Gargerät
WO2015138985A1 (en) * 2014-03-14 2015-09-17 Sorenson Nicole Ann Wirelessly operable cooking appliance
CN205433271U (zh) * 2014-08-19 2016-08-10 美亚知识产权有限公司 食物制备系统、控制旋钮、套件和烹饪装置
EP4063976A1 (en) * 2014-09-03 2022-09-28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with a smart domestic appliance by a mobile computer device
CN105095361A (zh) * 2015-06-25 2015-11-2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烹饪控制方案的获取方法及装置、电子设备
US20170016623A1 (en) * 2015-07-14 2017-01-19 Tovala Automated cooking device and method
CN108463780A (zh) * 2015-11-16 2018-08-28 厨师步骤有限公司 数据整合和个性化远程控制的烹饪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733821C2 (ru) 2020-10-07
FR3050914B1 (fr) 2019-08-23
WO2017191395A1 (fr) 2017-11-09
RU2018138862A (ru) 2020-06-03
RU2018138862A3 (ko) 2020-07-14
EP3452902A1 (fr) 2019-03-13
AU2017259171B2 (en) 2022-06-16
CN109074268A (zh) 2018-12-21
EP3452902B1 (fr) 2021-12-01
BR112018072517A2 (pt) 2019-03-12
KR20190003662A (ko) 2019-01-09
FR3050914A1 (fr) 2017-11-10
CA3021273A1 (fr) 2017-11-09
US11520603B2 (en) 2022-12-06
US20190121650A1 (en) 2019-04-25
AU2017259171A1 (en) 2018-11-22
CA3021273C (fr) 202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31435A (ko) 단말기에 의한 조리기기의 구성 방법
CN103917140B (zh) 用于烹饪器具的控制、调节和操作装置
JP6830851B2 (ja) 調理器具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調理器具
CN109068888B (zh) 烹饪设备和使用所述烹饪设备的方法
JP6098898B2 (ja) 電気機器および電気機器の制御方法
US10213046B2 (en) Cooking apparatus,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cooking tool,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P3211322A1 (en) Intelligent electric range
KR100500548B1 (ko) 가열제어 시스템
CN103960956A (zh) 烹饪加热装置及烹饪控制方法
CN107703780B (zh) 烹饪器具的控制方法、装置及系统
KR20080066171A (ko) 조리기기, 조리기기의 제어정보 보정 시스템 및 조리기기의제어정보 보정방법
JP2017106692A (ja) 加熱調理器、及び加熱調理器用のレシピデータのデータ構造
EP2995865B1 (en) Heat-cooking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a heat-cooking appliance of a heat-cooking system
CN113841012B (zh) 包括感应式烹饪炉的烹饪系统
US20230112721A1 (en) Heat press, especially knee lever-transfer press
KR20130023599A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조리기기의 레시피 자동셋팅 방법
JP6579947B2 (ja) 加熱調理システム
JP4251130B2 (ja) 誘導加熱装置
KR101250675B1 (ko) 조리기기 제어 시스템 및 조리기기 제어방법
RU2778822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приготовления блюд
JP2022180957A5 (ko)
KR100828640B1 (ko) 전기압력밥솥의 예약취사 제어방법
JP2007335088A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23007587A5 (ko)
JP3800359B2 (ja) 温水床暖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