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1291A - 직진도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직진도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1291A
KR20210131291A KR1020210142796A KR20210142796A KR20210131291A KR 20210131291 A KR20210131291 A KR 20210131291A KR 1020210142796 A KR1020210142796 A KR 1020210142796A KR 20210142796 A KR20210142796 A KR 20210142796A KR 20210131291 A KR20210131291 A KR 20210131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support
measuring
measurement object
fixing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2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3594B1 (ko
Inventor
박수신
김태용
최경규
배태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142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594B1/ko
Publication of KR20210131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1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01B5/0004Suppo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01B5/0009Guiding surfaces;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non-linearity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정대상물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고정부; 및 측정대상물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일측이 상기 가압고정부에 연계되어 설치되고, 측정대상물의 외주면과의 이격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대상물의 직진도를 측정하는 가동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직진도 측정장치{STRAIGHT DEGREE MEAS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측정대상물의 직선도를 측정하는 직진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지중케이블 직진도 측정 목적은 케이블이 외부의 온도변화에 따른 균일한 수축과 팽창으로 고무슬리브 삽입 후 계면의 압력을 허용치 이상으로 유지시켜주기 위한 것이다.
케이블의 직선작업은 외피 및 금속시스 제거 후 외부 반도전층에 밴드히터와 열전대를 부착하여 직선상태를 유지한다.
외부의 온도변화에 따른 지중송전케이블의 허용치 이상의 직진성 유지가 필요하다.
도 1(a), 도 1(b)는 종래의 측정대상물(C)인 지중송전케이블의 직진성의 측정과정 정면과 측면에서의 바라본 도면이다.
종래의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대상물(C)인 지중송전케이블의 직진성의 점검을 위해, 육안점검 및 직선자(1) 및 갭개이지(3)를 이용하여 직진도를 판단하였는바 직진성의 판단의 오차 등으로 인한 고장발생이 빈번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작업자의 숙련도와 사용치구의 사용법에 따라 측정값의 차이가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갭게이지(3)를 이용하여 절연체 직진도 측정하는 경우에는 다듬질면에 손상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경우에는 디지털수평계를 활용하여 직선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이 경우 케이블 상부에서 양측의 수평상태만을 활용할 수 있고, 하부와 좌우측면의 직진도를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디지털수평계의 길이가 30cm 정도로 길이가 제한적이어서 길이가 긴 측정대상물의 직진도의 측정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측정대상물의 직선도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직진도 측정할 수 있는 직진도 측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측정대상물의 상측의 직선도 뿐만 아니라, 측정대상물의 둘레방향의 수평상태를 원활하게 측정할 수 있는 직진도 측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측정대상물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고정부; 및 측정대상물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일측이 상기 가압고정부에 연계되어 설치되고, 측정대상물의 외주면과의 이격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대상물의 직진도를 측정하는 가동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동측정부는, 선형적 형상을 가진 측정대상물의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가압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동측정부는, 상기 가압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회전지지부; 상기 제1 회전지지부와 이격하여 측정대상물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회전지지부와 연계되어 회전하는 제2 회전지지부; 상기 제1 회전지지부 및 상기 제2 회전지지부에 고정되고, 측정대상물의 외주면과 이격하여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슬라이드레일; 및 상기 슬라이드레일 상에서 이동하면서 측정대상물의 외면과의 이격거리를 측정하는 이격도 측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압고정부는, 측정대상물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복수 개의 가압링부재로 형성되는 가압본체; 및 상기 가압본체의 외주면에 단차를 두고 내입 형성되어 상기 제1 회전지지부의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내입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압고정부는, 상기 가압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내입슬리브의 외주면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회전지지부를 고정하는 회전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회전지지부는, 상기 내입슬리브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회전본체; 상기 제1 회전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레일의 일측이 고정되는 제1 레일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회전지지부는, 측정대상물의 외주면에 공차를 두고 설치되는 제2 회전본체; 상기 제2 회전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레일의 타측이 고정되는 제2 레일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회전지지부는, 상기 제1 회전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내입슬리브에 접촉되면서 상기 제1 회전지지부를 상기 내입슬리브 상에서 고정시키는 보조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압고정부 및 상기 제1 회전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둘레방향으로 회전각도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슬라이드레일은, 상기 제1 회전지지부 및 상기 제2 회전지지부의 사이를 연결하고, 이동거리눈금이 표시된 레일본체; 및 상기 레일본체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격도 측정장치가 설치되는 측정장치 고정블록;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격도 측정장치는, 상기 측정장치 고정블록에 일측이 삽입 고정되는 측정본체; 상기 측정본체에서 측정대상물의 외주면으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측정봉; 및 상기 측정봉의 진퇴정도에 따른 상기 측정봉과 측정대상물의 이격거리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대상물의 직선도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직진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측정대상물의 상측의 직선도 뿐만 아니라, 측정대상물의 둘레방향의 수평상태를 원활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식에 따른 직진도 측정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진도 측정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측정대상물이 하방으로 휜 경우, 도 2의 직진도 측정장치의 측정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직진도 측정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직진도 측정장치의 가동측정부가 90도 회전된 상태에서 측정대상물의 직진도를 측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2의 직진도 측정장치의 가압고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직진도 측정장치의 제1 회전지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2의 직진도 측정장치의 제2 회전지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2의 직진도 측정장치의 슬라이드레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2의 직진도 측정장치의 이격도 측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진도 측정장치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진도 측정장치는 가압고정부(100) 및 가동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대상물(C)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고정부(100) 및 측정대상물(C)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일측이 상기 가압고정부(100)에 연계되어 설치되고, 측정대상물(D)의 외주면과의 이격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대상물(C)의 직진도를 측정하는 가동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고정부(100)는 측정대상물(C)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고정하여 직진도 측정장치를 측정대상물(C)의 직진도의 측정영역에 고정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측정대상물(C)은 선형적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일례로, 선형적 형상을 가진 케이블일 수 있고, 특히, 지중송전케이블일 수 있다.
특히, 측정대상물(C)은 케이블 직선화 작업이 완료된 케이블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직진도 측정장치는 케이블 직선화 작업이 완료된 케이블을 측정대상물(C)로 할 수 있다.
가압고정부(100)는 측정대상물(C)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되, 측정대상물(C)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분할형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가압고정부(100)는 측정대상물(C)의 외주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고정부(100)는 가압본체(110) 및, 내입슬리브(130)를 포함하고, 회전고정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는 가압고정부(100)의 정면도이고, 도 6(b)는 가압고정부(100)의 배면도이다.
도 7(a)는 가압고정부(100)가 오픈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가압고정부(100)가 오픈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가압고정부(100)는, 측정대상물(C)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복수 개의 가압링부재(미표시)로 형성되는 가압본체(110) 및 상기 가압본체(110)의 외주면에 단차를 두고 내입 형성되어 상기 제1 회전지지부(200)의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내입슬리브(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본체(110)는 측정대상물(C)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복수 개의 가압링부재(미표시)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가압고정부(100)는 측정대상물(C)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2개의 가압링부재(미표시)로 구비될 수 있다.
2개의 가압링부재(미표시)는 일측은 힌지(E)를 매개로 연결되어, 2개의 가압링부재(미표시)의 타측이 오픈될 수 있다.
2개의 가압링부재(미표시)의 타측에는 클램프(D)가 설치되어 측정대상물(C)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2개의 반원형의 가압링부재(미표시)가 힌지(E)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클램프(D)가 설치되는 부분이 오픈되면서 측정대상물(C)의 외주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클램프(D)에 의해 고정되면서 가압고정부(100)가 측정대상물(C)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가압고정부(100)에 설치되는 클램프(D)는 제1 가압링부재(미표시)의 단부에 갈고리형의 걸림부재(도번미표기)가 설치되고, 제2 가압링부재(미표시)의 단부에 걸림부재에 걸린 상태에서 손잡이가 회동되면서 제1 가압링부재(미표시)와 제2 가압링부재(미표시)를 밀착시켜 고정하는 가압손잡이(도번미표기)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회전지지부(200), 제2 회전지지부(300)에 설치되는 클램프(D), 힌지(E)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가압고정부(100)에 적용된 크램프, 힌지(E)의 구성 등이 거의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바, 이후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입슬리브(130)는 가압본체(110)의 외주면에 단차를 두고 내입 형성되어 상기 제1 회전지지부(200)의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내입슬리브(130)는 제1 회전지지부(200)의 내주면과 미세한 공차를 두고 설치되어, 제1 회전지지부(200)가 내입슬리브(130)의 외주면상에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내입슬리브(130)의 측면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가압본체(110)는 내입슬리브(130)의 양측 단부와 접하는 부분에 내입슬리브(130)의 외주면 상에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계단형의 단턱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고정부(100)는, 상기 가압본체(110)를 관통하여 상기 내입슬리브(130)의 외주면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회전지지부(200)를 고정하는 회전고정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지지부(200)에는 상기 회전고정부재(150)가 삽입되는 삽입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고정부재(150)는 제1 회전지지부(200)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고정홀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회전지지부(200)는 링상부재로 구비될 수 있고, 링상부재의 일측면에는 4개의 삽입고정홀이 링상부재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90도의 각도를 이루면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측정부는 측정대상물(C)의 외주면과의 이격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대상물(C)의 직진도를 측정하는 부재이다.
가동측정부는 제1 회전지지부(200), 제2 회전지지부(300), 슬라이드레일(400) 및 이격도 측정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측정부는 일측이 가압고정부(100)에 연계되어 설치되고, 측정대상물(C)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가동측정부는 이격도 측정장치(500)가 측정대상물(C)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측정대상물(C)의 외면과의 이격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대상물(C)의 길이방향 직진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대상물(C)이 하측으로 쳐질 경우, 가동측정부에서 측정한 측정대상물(C)의 외면과의 이격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동측정부가 측정대상물(C)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측정대상물(C)과의 외면과의 이격거리를 측정한 결과, 이격거리의 차이가 발생할 경우 측정대상물(C)의 직진도에 문제가 있음을 쉽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일측은 가압고정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은 가압고정부(100)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측정대상물(C)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동측정부는 측정대상물(C)의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가동측정부가 측정대상물(C)의 상측의 직선도 뿐만 아니라, 측정대상물(C)의 둘레방향의 수평상태를 원활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동측정부는 가압고정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가동측정부의 일측은 가압고정부(100)에 미세한 공차를 두고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가동측정부의 타측은 측정대상물(C)의 외주면에 미세한 공차를 두고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측정부는, 선형적 형상을 가진 측정대상물(C)의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가압고정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가동측정부는, 가압고정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형적 형상의 측정대상물(C)의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측정부가 측정대상물(C)의 상측을 따라 이동하면서 측정대상물(C)의 상면과의 이격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대상물(C)의 상측의 직진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측정부를 90도 회전시켜 측정대상물(C)의 일측 측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측정대상물(C)의 일측 측면과의 이격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대상물(C)의 일측 측면의 직진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가동측정부를 180도 회전시켜 측정대상물(C)의 하측을 따라 이동하면서 측정대상물(C)의 하면과의 이격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대상물(C)의 하측의 직진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가동측정부를 270도 회전시켜 측정대상물(C)의 타측 측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측정대상물(C)의 타측 측면과의 이격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대상물(C)의 타측 측면의 직진도를 측정할 수 있다.
물론, 가압측정부가 가압고정부(100)에 고정 설치되고, 가압고정부(100)의 클램프(D) 상태를 해제하여 가압고정부(100) 자체를 측정대상물(C)의 둘레방향으로 회전시켜 다시 클램프(D) 시킴으로써 가압측정부의 측정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다만, 측정의 편의를 위해 가동측정부를 가압고정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측정부는 제1 회전지지부(200), 제2 회전지지부(300), 슬라이드레일(400) 및 이격도 측정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동측정부는, 상기 가압고정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회전지지부(200)와, 상기 제1 회전지지부(200)와 이격하여 측정대상물(C)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회전지지부(200)와 연계되어 회전하는 제2 회전지지부(300)와, 상기 제1 회전지지부(200) 및 상기 제2 회전지지부(300)에 고정되고, 측정대상물(C)의 외주면과 이격하여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슬라이드레일(400) 및 상기 슬라이드레일(400) 상에서 이동하면서 측정대상물(C)의 외면과의 이격거리를 측정하는 이격도 측정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직진도 측정장치의 설치과정 및 직선도의 측정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일례로, 측정대상물(C)의 외도층에 가압고정부(100)를 고정하고, 가압고정부(100)의 내입슬리브(130)에 제1 회전지지부(200)를 설치하고 제1 회전지지부(200)와 이격하여 측정대상물(C)의 타측에 제2 회전지지부(300)를 설치하며 제1 회전지지체(200)와 제2 회전지지체(300)의 사이에 슬라이드레일(400)을 설치하고, 슬라이드레일(400)에 이격도 측정장치(500)를 설치한다.
슬라이드레일(400) 상에서 이격도 측정장치(500)를 이동시키면서 측정대상물(C)의 외주면과의 이격거리를 측정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지지부(200)는, 가압고정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레일(400)의 일측이 고정될 수 있다.
제2 회전지지부(300)는 제1 회전지지부(200)와 이격하여 측정대상물(C)의 타측에 설치되고, 슬라이드레일(400)을 매개로 제1 회전지지부(200)와 연결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회전지지부(200)는, 상기 내입슬리브(1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회전본체(210) 및 상기 제1 회전본체(210)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레일(400)의 일측이 고정되는 제1 레일고정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8(a)는 제1 회전지지부(200)의 측면도이고, 도 8(b)는 제1 회전지지부(200)의 정면도이고, 도 8(c)는 제1 회전지지부(200)의 배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전지지부(300)는, 측정대상물(C)의 외주면에 공차를 두고 설치되는 제2 회전본체(310) 및 상기 제2 회전본체(310)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레일(400)의 타측이 고정되는 제2 레일고정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9(a)는 제2 회전지지부(300)의 측면도이고, 도 9(b)는 제2 회전지지부(300)의 정면도이고, 도 9(c)는 제2 회전지지부(300)의 배면도이다.
슬라이드레일(400)의 일측은 제1 회전지지부(200)의 제1 레일고정부(230)에 고정되고, 슬라이드레일(400)의 타측은 제2 회전지지부(300)의 제2 레일고정부(33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본체(210) 및 제2 회전본체(310)는 각각 2개의 분할형 링상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2개의 분할형 링상부재는 일측은 힌지(E)를 매개로 연결되어, 분할형 링상부재의 타측이 오픈될 수 있다.
2개의 분할형 링상부재의 타측에는 클램프(D)가 설치되어 제1 회전본체(210)는 내입슬리브(130)에 고정되고, 제2 회전본체(310)는 측정대상물(C)에 공차를 두고 설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 레일고정부(230)는 제1 회전본체(210)에 설치되는 제1 레일고정블록(231)에 형성된 제1 레일고정홈(233)에 슬라이드레일(400)이 삽입된 상태에서, 제1 레일고정부재(235)가 제1 레일고정블록(231)의 관통하여 슬라이드레일(400)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제2 레일고정부(330)는 제2 회전본체(310)에 설치되는 제2 레일고정블록(331)에 형성된 제2 레일고정홈(333)에 슬라이드레일(400)이 삽입된 상태에서, 제2 레일고정부재(335)가 제2 레일고정블록(331)의 관통하여 슬라이드레일(400)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지지부(200)는, 상기 제1 회전본체(210)를 관통하여 상기 내입슬리브(130)에 접촉되면서 상기 제1 회전지지부(200)를 상기 내입슬리브(130) 상에서 고정시키는 보조고정부재(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가압고정부(100) 및 상기 제1 회전지지부(200)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둘레방향으로 회전각도눈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가압고정부(100)의 가압본체(110)에 둘레방향으로 0도 ~ 360도의 범위를 가지는 회전각도눈금(미도시)이 형성되고, 제1 회전지지부(200)에 회전각 표시지침이 형성될 수 있다.
가압고정부(100)의 가압본체(110)에 둘레방향의 90도, 180도, 270도, 360도 부분에 회전각도 눈금이 형성되고, 제1 회전지지부(200)에 회전각 표시지침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가압고정부(100)의 가압본체(110)에 회전각 표시지침이 형성되고, 제1 회전지지부(200)에 회전각도눈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슬라이드레일(400)은 단부가 제1 회전지지부(200) 및 제2 회전지지부(300)게 고정되고, 측정대상물(C)의 외주면을 따리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드레일(400)의 양단부는 회전지지부, 제2 회전지지부(30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측정대상물(C)의 측정길이에 따라 슬라이드레일(400)이 교체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레일(400)은, 상기 제1 회전지지부(200) 및 상기 제2 회전지지부(300)의 사이를 연결하고, 이동거리눈금(411)이 표시된 레일본체(410) 및 상기 레일본체(410)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격도 측정장치(500)가 설치되는 측정장치 고정블록(43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0(a)는 슬라이드레일(400)에 이격도 측정장치(500)가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10(b)는 슬라이드레일(400)에 이격도 측정장치(500)가 설치되기 전의 평면도이다.
종래의 경우에는, 직진도를 측정하던 디지털수평계의 길이가 30cm 정도로 길이가 제한적이어서 길이가 긴 측정대상물(C)의 직진도의 측정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레일본체(410)는 제1 회전지지부(200), 제2 회전지지부(30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측정대상물(C)의 측정대상 구간의 길이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측정대상 구간 전체에 걸쳐서 간이하게 직진도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레일본체(410)의 일측은 제1 회전지지부(200)의 제1 레일고정부(230)에 고정되고, 레일본체(410)의 타측은 제2 회전지지부(300)의 제2 레일고정부(33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도 측정장치(500)는 슬라이드레일(400) 상에서 이동하면서 측정대상물(C)의 외면과의 이격거리를 측정하는 부재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도 측정장치(500)는, 상기 측정장치 고정블록(430)에 일측이 삽입 고정되는 측정본체(510)와, 상기 측정본체(510)에서 측정대상물(C)의 외주면으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측정봉(530) 및 상기 측정봉(530)의 진퇴정도에 따른 상기 측정봉(530)과 측정대상물(C)의 이격거리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재(550)를 구비할 수 있다.
측정봉(530)은 측정본체(510)의 내부에 설치된 기어조립체 등의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어 측정대상물(C)의 외주면 방향으로 진퇴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 직선자 3: 갭개이지
100: 가압고정부 110: 가압본체
130: 내입슬리브 150: 회전고정부재
200: 제1 회전지지부 210: 제1 회전본체
230: 제1 레일고정부 231: 제1 레일고정블록
253: 제1 레일고정홈 235: 제1 레일고정부재
250: 보조고정부재 300: 제2 회전지지부
310: 제2 회전본체 330: 제2 레일고정부
331: 제2 레일고정블록 333: 제2 레일고정홈
335: 제2 레일고정부재 400: 슬라이드레일
410: 레일본체 411: 이동거리눈금
430: 고정블록 500: 이격도 측정장치
510: 측정본체 530: 측정봉
550: 디스플레이부재 C: 측정대상물
D: 클램프 E: 힌지

Claims (1)

  1. 측정대상물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고정부; 및
    측정대상물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일측이 상기 가압고정부에 연계되어 설치되고, 측정대상물의 외주면과의 이격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대상물의 직진도를 측정하는 가동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측정부는,
    상기 가압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회전지지부;
    상기 제1 회전지지부와 이격하여 측정대상물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회전지지부와 연계되어 회전하는 제2 회전지지부;
    상기 제1 회전지지부 및 상기 제2 회전지지부에 고정되고, 측정대상물의 외주면과 이격하여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슬라이드레일; 및
    상기 슬라이드레일 상에서 이동하면서 측정대상물의 외면과의 이격거리를 측정하는 이격도 측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고정부는,
    측정대상물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복수 개의 가압링부재로 형성되는 가압본체; 및
    상기 가압본체의 외주면에 단차를 두고 내입 형성되어 상기 제1 회전지지부의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내입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지지부는,
    상기 내입슬리브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회전본체; 및
    상기 제1 회전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레일의 일측이 고정되는 제1 레일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회전지지부는,
    측정대상물의 외주면에 공차를 두고 설치되는 제2 회전본체; 및
    상기 제2 회전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레일의 타측이 고정되는 제2 레일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레일은,
    상기 제1 회전지지부 및 상기 제2 회전지지부의 사이를 연결하고, 이동거리눈금이 표시된 레일본체; 및
    상기 레일본체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격도 측정장치가 설치되는 측정장치 고정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이격도 측정장치는,
    상기 측정장치 고정블록에 일측이 삽입 고정되는 측정본체;
    상기 측정본체에서 측정대상물의 외주면으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측정봉; 및
    상기 측정봉의 진퇴정도에 따른 상기 측정봉과 측정대상물의 이격거리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재;를 구비하는 직진도 측정장치.
KR1020210142796A 2017-05-31 2021-10-25 직진도 측정장치 KR102333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796A KR102333594B1 (ko) 2017-05-31 2021-10-25 직진도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537A KR102335993B1 (ko) 2017-05-31 2017-05-31 직진도 측정장치
KR1020210142796A KR102333594B1 (ko) 2017-05-31 2021-10-25 직진도 측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537A Division KR102335993B1 (ko) 2017-05-31 2017-05-31 직진도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291A true KR20210131291A (ko) 2021-11-02
KR102333594B1 KR102333594B1 (ko) 2021-12-02

Family

ID=64670415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537A KR102335993B1 (ko) 2017-05-31 2017-05-31 직진도 측정장치
KR1020210142794A KR102333592B1 (ko) 2017-05-31 2021-10-25 직진도 측정장치
KR1020210142804A KR102333589B1 (ko) 2017-05-31 2021-10-25 직진도 측정장치
KR1020210142792A KR102333590B1 (ko) 2017-05-31 2021-10-25 직진도 측정장치
KR1020210142793A KR102333591B1 (ko) 2017-05-31 2021-10-25 직진도 측정장치
KR1020210142796A KR102333594B1 (ko) 2017-05-31 2021-10-25 직진도 측정장치
KR1020210142795A KR102333593B1 (ko) 2017-05-31 2021-10-25 직진도 측정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537A KR102335993B1 (ko) 2017-05-31 2017-05-31 직진도 측정장치
KR1020210142794A KR102333592B1 (ko) 2017-05-31 2021-10-25 직진도 측정장치
KR1020210142804A KR102333589B1 (ko) 2017-05-31 2021-10-25 직진도 측정장치
KR1020210142792A KR102333590B1 (ko) 2017-05-31 2021-10-25 직진도 측정장치
KR1020210142793A KR102333591B1 (ko) 2017-05-31 2021-10-25 직진도 측정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2795A KR102333593B1 (ko) 2017-05-31 2021-10-25 직진도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7) KR1023359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516B1 (ko) * 2021-06-18 2024-01-25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레일형 직진도 측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8703A (ja) * 1992-08-11 1994-03-04 Nippon Glass Kk 物体表面の平坦さ測定装置
KR0149821B1 (ko) * 1995-07-25 1998-12-01 전성원 자동차 엔진용 캠샤프트의 진직도 측정장치
KR101040481B1 (ko) * 2009-06-25 2011-06-0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다축 연결형 수직펌프의 축 정렬상태 측정 시스템
KR101565548B1 (ko) * 2015-06-01 2015-11-03 김기준 3차원 측정용 지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8703A (ja) * 1992-08-11 1994-03-04 Nippon Glass Kk 物体表面の平坦さ測定装置
KR0149821B1 (ko) * 1995-07-25 1998-12-01 전성원 자동차 엔진용 캠샤프트의 진직도 측정장치
KR101040481B1 (ko) * 2009-06-25 2011-06-0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다축 연결형 수직펌프의 축 정렬상태 측정 시스템
KR101565548B1 (ko) * 2015-06-01 2015-11-03 김기준 3차원 측정용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5993B1 (ko) 2021-12-07
KR102333591B1 (ko) 2021-12-02
KR20210130692A (ko) 2021-11-01
KR20180131043A (ko) 2018-12-10
KR102333593B1 (ko) 2021-12-02
KR20210133186A (ko) 2021-11-05
KR102333594B1 (ko) 2021-12-02
KR20210131292A (ko) 2021-11-02
KR102333592B1 (ko) 2021-12-02
KR20210130691A (ko) 2021-11-01
KR102333589B1 (ko) 2021-12-02
KR20210133187A (ko) 2021-11-05
KR102333590B1 (ko) 202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3591B1 (ko) 직진도 측정장치
CN106225737A (zh) 电缆触头表面不平度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US10625322B2 (en) Apparatu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ube bending and method that uses such apparatus
JP5599054B2 (ja) 管路の内径測定装置、及び、管路の内径測定方法
KR102436207B1 (ko) 나사산 내경 측정 장치
CN209745191U (zh) 用于孔、轴带稍的检测装置
JP7219108B2 (ja) セクターモールド検査装置
EP3299130A1 (en) Inspection tool and method for non-destructive inspection of a lug
CN104833304A (zh) 基于椭圆规的压力容器椭圆形封头检验仪器
CN207263099U (zh) 一种车辆模具顶杆检测装置
CN203705260U (zh) 一种试样断后测量夹具
KR20140039945A (ko) 조합형 블록 게이지 측정장치
US20180113079A1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a long profile
JP5571236B1 (ja) ドリル検査装置
KR101421803B1 (ko) 롤의 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롤의 진단방법
KR20160072963A (ko) 타이로드의 볼 조인트 진구도 측정 장치
CN204241307U (zh) 焊网试样的测量定位卡具
JP2002255128A (ja) 缶の巻締め部寸法測定装置
KR102237864B1 (ko) 평탄도 측정장치
CN202485654U (zh) 油套管测量量规的校对装置
CN207007030U (zh) 一种轴类专用数显游标卡尺
CN207515643U (zh) 可检测工件凹槽底端壁厚的外径千分尺
CN204142143U (zh) 一种长度测量装置
US20150316366A1 (en) System for determining diameter of a seal
CN108759627A (zh) 一种便携式石墨电极端面测量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