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1247A - 횡편기 - Google Patents

횡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1247A
KR20210131247A KR1020210052198A KR20210052198A KR20210131247A KR 20210131247 A KR20210131247 A KR 20210131247A KR 1020210052198 A KR1020210052198 A KR 1020210052198A KR 20210052198 A KR20210052198 A KR 20210052198A KR 20210131247 A KR20210131247 A KR 20210131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grip
knitting machine
flat knitting
knitted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4089B1 (ko
Inventor
아키미쓰 이마사토
히로미 후지모토
요시유키 고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10131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1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6Thread guide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04B15/565Associated thread-clamping or thread-sever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8Thread-feed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2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eft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1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provision for incorporating internal threads in laid-in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구성) 본 발명의 횡편기는, 급사레일을 이동할 수 있고, 또한 물품을 파지함과 아울러 파지를 해제함으로써 물품을 편성포 내에 삽입할 수 있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물품삽입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부는, 급사레일을 이동하는 다른 얀피더와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또 물품공급장치로부터 물품삽입장치로 물품을 공급한다.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물품을 편성포 내의 원하는 위치에서 삽입할 수 있는 물품삽입장치를 구비하고, 또한 물품삽입장치와 다른 얀피더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고, 또한 물품삽입장치로 물품을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횡편기{A FLAT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편성포(編成布) 내로의 물품의 삽입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flat knitting machine)에 관한 것이다.
횡편기를 사용하여, RFID실, 띠 모양의 심지(interling), 압축된 쿠션재료 등을 편성포 내에 삽입할 수 있다면 편리하다. 편성포 내로의 물품의 물품삽입장치로서, 특허문헌1(US 7,246,508 B1)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있다. 특허문헌1의 물품삽입장치는, 칼라 스테이(collar stay)(칼라용의 스테이)를 삽입하는 것으로서, 카트리지(cartridge) 내의 칼라 스테이를 1개씩 꺼내고, 칼라 스테이를 압출함으로써 편성포 내에 삽입한다. 그러나 특허문헌1의 물품삽입장치는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고정된 위치에서만 칼라 스테이를 삽입할 수 있다.
: US 7,246,508 B1
특허문헌1의 물품삽입장치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원하는 위치에 물품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급사레일(給絲rail)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1의 물품삽입장치는 대형이고 부피가 크기 때문에, 급사레일에 배치할 수 없어, 전용의 레일이 필요하게 된다. 또 특허문헌1에서는, 카트리지로부터 칼라 스테이를 꺼내기 때문에, 보충을 위하여 횡편기를 정지시킬 필요가 있다. 이들 때문에 횡편기가 대형화되고 또한 편성도 비효율적이 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물품을 편성포 내의 원하는 위치에 삽입할 수 있는 물품삽입장치를 구비함과 아울러, 물품삽입장치로 물품을 공급할 수 있는 횡편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급사레일을 주행하는 얀피더로부터, 편사를 니들베드의 바늘에 공급함으로써, 편성포를 편성하는 횡편기에 있어서,
상기 급사레일 혹은 급사레일과 평행한 레일을 이동할 수 있는 캐리어와, 캐리어의 하부에 설치되고 또한 물품을 파지함과 아울러 파지를 해제함으로써 물품을 편성포 내에 삽입할 수 있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물품삽입장치와,
상기 물품삽입장치가 파지할 수 있는 위치로 물품을 공급할 수 있는 물품공급장치를 구비하고, 또한
물품삽입장치는 물품을 파지하기 위하여 상기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물품삽입장치를 횡편기의 급사레일 등을 따라 이동시키고, 또 물품삽입장치의 하부에 물품의 파지와 해제가 자유로운 지지부를 설치하기 때문에, 편성포 내의 원하는 위치에 물품을 삽입할 수 있다.
편성포 내에 삽입된 물품이 부상(浮上)하여, 원하는 위치에 안정하게 삽입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바람직하게는, 편성포 내에 삽입된 물품을 하방으로 압입하는 압입수단을 물품삽입장치에 설치하고, 삽입된 물품을 편성포의 하방으로 압입하여 위치를 안정시킨다. 압입수단은, 예를 들면 지지부를 물품의 지지위치로부터 하강시키는 기구를 설치하여, 지지부를 압입수단으로 겸용한다.
물품의 길이방향을 급사레일 등과 평행하게 하면, 다른 얀피더와의 간섭도 적고, 또 편성포 내에 정확하게 물품을 삽입할 수 있다. 그래서 바람직하게는, 지지부는, 물품의 길이방향이 상기 급사레일과 평행하게 되도록 물품을 지지한다.
바람직하게는, 물품삽입장치는, 상기 캐리어에 설치된 승강부재를 구비하고, 지지부는 승강부재의 하강에 의하여 닫혀서 물품을 파지하고, 상승에 의하여 파지를 해제하여 물품을 편성포 내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부재를 승강시킴으로써 물품의 파지와 해제를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는, 하부에 물품지지위치를 구비하는 1쌍의 그립편과, 각 그립편의 상기 물품지지위치의 상부의 위치로부터 돌출되는 1쌍의 핀을 구비하고, 캐리어는, 1쌍의 핀을 가이드하고 또한 대향하는 1쌍의 캠홈을 구비하고, 대향하는 1쌍의 캠홈 사이의 간격은 상부에서 넓고 하부에서 좁고, 하강에 의하여 그립편의 간격을 좁혀서 물품을 파지하고, 상승에 의하여 그립편의 간격을 넓혀서 파지를 해제한다. 이와 같이 하면, 그립편의 승강에 의하여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물품의 파지와 해제를 할 수 있다.
삽입되는 물품의 대부분은, RFID를 장착한 실, 쿠션재료 등과 같이 실 모양 혹은 띠 모양의 것이 많다. 실 모양 혹은 띠 모양의 물품은, 콘, 보빈, 릴 등으로부터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바람직하게는, 물품공급장치는, 니들베드의 하방을 수평이동하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지지되어 승강하는 승강부와, 승강부에 지지되고 개폐될 수 있는 파지부 및 커터와, 파지부에 대한 물품의 공급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승강부를 상승시켜서 파지부로 물품을 파지하고, 수평이동에 의하여 물품을 필요한 길이만큼 인출한다. 그리고 물품삽입장치에 물품을 파지시킨 후에 커터로 물품을 절단한다. 이들의 결과, 미리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지 않고, 실 모양 혹은 띠 모양의 물품을 물품삽입장치에 공급할 수 있다.
도1은, 실시예의 횡편기의 정면도이다.
도2는,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물품삽입장치의 정면도이다.
도3은,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물품삽입장치의 연직방향의 분해도이다.
도4는, 변형예의 물품삽입장치의 요부 측면도이다.
도5는,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물품공급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칩 모양의 물품을 삽입하기 위한 치구의 사시도이다.
이하에,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적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실시예)
도1∼도6에, 실시예의 횡편기(flat knitting machine)(2)와 그 변형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통상의 횡편기에 구비되어 있는 부분은 설명을 간략하게 하고, 물품의 물품삽입장치(物品揷入裝置)(10)와 물품공급장치(物品供給裝置)(12)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컨트롤러(controller)(3)는 횡편기(2)를 제어하고, 특히 캐리지(carriage)(6)를 통하여 물품삽입장치(10)를 제어함과 아울러 물품공급장치(12)를 제어한다. 횡편기(2)는, 예를 들면 전후 1쌍의 니들베드(needle bed)(4, 4)를 구비하고, 그 내부에 편침(編針)이 배치되어 있는 영역인 편성영역(5)에서 편성포(編成布)(7)를 편성한다. 전후 1쌍의 니들베드(4, 4)의 쌍방에 의하여 편성포(7)를 편성하고, 편성포(7)의 내부에 물품을 삽입한다.
니들베드(4, 4)의 길이방향의 일단(一端)이고 또한 니들베드(4, 4)의 사이에 물품공급장치(12)를 설치하고, 물품을 물품삽입장치(10)로 공급한다. 니들베드(4)의 상부의 급사레일(給絲rail)(8) 또는 이것과 평행한 전용레일(專用rail)을 따라, 물품삽입장치(10)와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얀피더(yarn feeder)가 예를 들면 캐리지(6)에 연동되어 이동한다. 또 물품삽입장치(10)와 얀피더를 자주(自走)시켜도 좋다. 횡편기(2)의 최상부에 상판(9)이 있고,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편사(編絲)의 콘(cone)을 배치하여 얀피더에 급사한다. 또 콘(14)으로부터, RFID를 소정의 피치로 세팅한 RFID실 혹은 띠 모양의 쿠션재 등의 물품(16)을 공급하고, 이송장치(15)로부터 물품공급장치(12)로 공급한다. 실시예에서는 물품(16)은 사상체(絲狀體)이고, 소정의 피치로 RFID(17) 등의 요소가 구비되어 있다. 요소는 사상체의 굵기가 변화되는 부분, 색이 변화되는 부분 등이어도 좋다. 물품(16)은, 그 길이방향이 니들베드(4)와 평행하게, 결과적으로 편성포(7)와 평행하게 되도록 파지(把持)되어, 편성포(7) 내에 물품(16)을 확실하게 삽입할 수 있고, 또한 물품(16)이 다른 얀피더 등과 간섭하지 않도록 한다. 물품(16)이 코인형 등인 경우에, 그 지름방향을 니들베드(4)와 평행하게 한다.
도2, 도3에 물품삽입장치(10)를 나타낸다. 물품삽입장치(10)의 하단부(下端部)(27)는 1쌍의 니들베드(4, 4)의 간극에 있고, 물품(16)을 파지하고 있는 파지위치(A)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상승하여 물품(16)을 해제하는 해제위치(B)와, 하강하여 편성포 내의 물품(16)을 하방으로 압입하는 압입위치(C)를 쇄선으로 나타낸다. 또 해제위치(B)에서는, 하단부(27)가 니들베드(4)로부터 상승하여, 다른 얀피더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20은 캐리어로서, 롤러(21)에 의하여 급사레일(8)을 따라 이동한다. 캐리어(20)는 승강로드(昇降rod)(22)를 구비하고, 그 상단(上端)의 팔로워(follower)(23)는 캐리지의 캠(30)에 눌려서 하강하여, 하단부(27)를 파지위치(A)로 하강시킨다. 캐리지는, 예를 들면 솔레노이드(solenoid)(31)를 구비하여, 캠(30)을 쇄선으로 나타내는 하강위치(32)로 더 하강시킬 수 있다. 그렇게 하면, 하단부(27)는 압입위치(C)로 하강한다. 실시예에서는 물품삽입장치(10)의 연동과, 하단부(27)의 파지위치(A)로의 하강과, 압입위치(C)로의 하강을 캠(32)에 의하여 제어하지만, 각각의 캠에 의하여 제어하여도 좋다. 승강로드(22)를 연직방향의 상방을 향하여 가압하는 가압부재(25)가 설치되어, 캠(30)의 조작을 받지 않고 있는 경우에 팔로워(23)는 쇄선으로 나타내는 상승위치(24)로 상승한다.
승강로드(22)의 하단(下端)의 축(36)에, 1쌍의 그립편(grip片)(26a, 26a)을 구비하는 지지부(26, 26)가 요동(搖動)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또 그립편(26a)의 하부에 있어서 하단부(27)보다 상부의 위치에, 좌우 1쌍의 핀(2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그립편(26a)의 하단의 직상부(直上部)에, 예를 들면 홈(34)을 형성하여 물품(16)을 지지한다. 홈(34)을 형성하지 않고, 그립편(26a, 26a) 상호간의 접촉면으로 물품(16)을 협지(挾持)하여도 좋다. 또 이 명세서에서, 좌우는 니들베드(4)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이다.
캐리어(20)의 하부에 좌우 1쌍의 캠(29, 29)이 설치되고, 각 캠(29)은 전후 1쌍의 캠홈(cam groove)(35, 35)을 구비하고, 캠홈(35, 35)의 간격은 연직방향의 상부에서 넓고, 하부에서 좁다. 또 이 명세서에서, 전후는 횡편기(2)의 정면과 배면을 연결하는 방향이다. 도3은 파지위치(A)에 있는 그립편(26a, 26a)을 나타내고, 승강로드(22)는 캐리지의 캠(30)에 의하여 눌려서 하강하여, 핀(28)은 캠홈(35)의 하부의 간격이 좁은 부분에 있다. 이 결과, 그립편(26a, 26a)은 서로 접촉하여 물품(16)을 홈(34)으로 파지한다.
도3의 상태로부터 승강로드(22)가 상승하면, 핀(28)은 캠홈(35)으로 가이드되어, 그립편(26a, 26a)은 상호간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요동함으로써, 해제위치(B)에서 해제되어 물품(16)을 해제한다. 해제된 물품(16)은 편성포 내로 낙하한다.
도2의 솔레노이드(31) 등에 의하여, 그립편(26a)의 하단부(27)를 도3의 상태로부터 압입위치(C)로 하강시킬 수 있다. 이때에, 캠홈(35, 35) 사이의 간격은 좁은 상태 그대로이기 때문에, 그립편(26a, 26a)은 열리지 않는다. 그리고 하강한 하단부(27)에 의하여, 편성포 내의 물품(16)을 하방으로 압입하여 위치를 안정시킨다.
그립편(26a, 26a)을 해제위치(B)로 상승시키면, 니들베드(4, 4) 사이의 간극의 최상부(니들베드갭)로부터 그립편(26a)의 하단부(27)를 대피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다른 얀피더가 편사를 급사하고 니들베드(4)의 바늘이 진퇴하여 편사를 조작하는 것을 그립편(26a)이 방해하지 않게 된다. 또 그립편(26a)이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대피하지 않는 경우에, 캐리지에 의하여 물품삽입장치(10)를 편성영역으로부터 대피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하여 실시예에서는, 캐리지가 물품삽입장치(10)의 연동을 해제하면, 승강로드(22)가 상승하여 그립편(26a)은 대피한다.
물품삽입장치(10)는 캐리지(6)에 의하여 연동되지 않고 자주하여도 좋다. 또한 물품삽입장치(10)를 캐리지(6)에 의하여 조작하는 것이 아니라, 물품삽입장치(10)에 전원과 컨트롤러를 설치하여 자율적으로 동작시켜도 좋다. 또 물품(16)의 압입용으로 압축공기의 파이프를 설치하여, 기류(氣流)에 의하여 압입하여도 좋다. 또 그립편(26a)과는 별도로 압입용의 기계적인 기구를 설치하여도 좋다. 그립편(26a)은 상승하여 대피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전후로 요동하여 대피하여도 좋다.
도4는, 변형예의 물품삽입장치에서 사용하는 지지부(38)를 나타낸다. 고정부재(39)는, 물품삽입장치의 캐리어(도2, 도3과 유사한 것)에 고정되고, 하단에 돌기(40)를 구비하여 물품(16)을 재치(載置)한다. 돌기(40)의 상면은, 물품(16)이 낙하하도록 경사져 있다. 승강부재(41)는, 예를 들면 도2, 도3에서의 승강로드(22)의 하단에 결합되고, 하단에 폐쇄부(42)를 구비하여, 승강로드(22)의 하강에 의하여 돌기(40)로부터의 물품(16)의 낙하를 금지하고, 승강로드(22)의 상승에 의하여 물품(16)의 낙하를 허용한다. 또 돌기(40)의 상면의 경사면에 물품(16)을 재치할 수 있도록, 폐쇄부(42)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고정부재(39)를 횡편기의 전후로 요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는, 물품공급장치(12)를 나타낸다. 실시예에서는, 이송장치(15)는 1쌍의 구동롤러로 이루어지지만, 사이드 텐션장치(side tension裝置) 등으로부터 물품(16)을 송출하여도 좋다. 니들베드(4)의 일단의 하방에 있어서 편성영역(5)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물품공급장치(12)를 설치한다. 44는 모터, 45는 이송나사, 46은 베어링이고, 이들에 의하여 베이스(48)를 수평이동시킨다. 베이스(48)는 승강부(50)를 지지하고, 동일한 나사기구 등에 의하여 승강부(50)가 승강한다.
승강부(50)에는, 이송장치(15)측에 파지부(把持部)(51)가 설치되어 있고, 편성영역(5)측에 커터(cutter)(5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부(50)가 상승한 위치에서, 파지부(51)가 파지하는 물품(16)을 물품삽입장치(10)가 파지할 수 있고, 승강부(50)가 하강한 위치에서는, 물품삽입장치(10)는 파지부(51) 및 커터(52)와 간섭하지 않는다. 파지부(51)와 커터(52)는 모두, 이 명세서에서의 전후방향으로 개폐되는 1쌍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파지부(51)에서는 1쌍의 부재를 닫아서 물품(16)을 파지하고, 커터(52)에서는 1쌍의 부재를 닫을 때에 물품(16)을 절단한다. 센서(54)는 물품(16)에 세팅된 RFID(17) 등을 검출하고, 검출할 요소의 종류에 따라 센서(54)의 종류를 정한다.
물품공급장치(12)의 동작을 설명한다. 최초에 파지부(51)가 물품(16)의 일단을 파지하고, 승강부(50)는 상승위치에 있는 것으로 한다. 베이스(48)는 물품(16)을 인출하는 측으로 이동하여, 센서(54)가 RFID(17)를 검출한 후 소정의 길이만큼 물품(16)을 더 인출한다(스텝1). 실시예에서는, 이 사이에 이송장치(15)에 의하여, 파지부(51)가 물품(16)을 인출하는 것을 서포트한다.
이어서, 물품삽입장치(10)가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하여, RFID(17)를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물품(16)을 파지한다(스텝2). 물품삽입장치(10)와 파지부(51), 커터(52)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들이 크로스될 때에 물품삽입장치(10)의 그립편을 상승시키거나 승강부(52)를 하강시킨다. 또 물품삽입장치(10)가 물품(16)을 파지하면, 파지부(51)를 열어서 물품(16)을 해제한다.
다음에 베이스(48)는, 물품삽입장치(10)가 파지하고 있는 물품(16)의 RFID(17)를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거리만큼 이송장치(15)측으로 이동하고, 승강부(50)는 상승하여 파지부(51)로 물품(16)을 파지한다. 이어서, 커터(52)에 의하여 물품(16)을 절단한다(스텝3). 이에 따라 삽입한 길이만큼의 물품(16)이 물품삽입장치에 지지된다.
물품(16)상의 RFID(17)의 피치(pitch)가, 물품삽입장치(10)가 삽입하는 물품(16)의 길이보다 긴 경우에, 물품(16)을 편성포 내에 삽입하고 되돌아온 물품삽입장치(10)에 물품(16)의 선단(先端)을 파지시켜서, 물품(16)을 연속으로 인출한다. 그리고 센서(54)가 RFID(17)를 검출하면, 물품공급장치(12)를 RFID(17)의 안테나의 선단 부근 등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켜서, 물품(16)을 파지함과 아울러 절단한다. 그 후에, 물품삽입장치(10)에 의한 파지를 해제하고,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의 단부(端部) 등에 설치된 흡인장치에 의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흡인하여 폐기한다. 계속하여 스텝1∼3을 실행한다.
실 모양 혹은 띠 모양의 물품이면, 이상과 같이 하여 콘(14)으로부터 물품공급장치(12)에 의하여 인출하여, 물품삽입장치(10)에 파지시킬 수 있다. 칩(chip) 모양 등 일정한 형상을 구비하여 변형시키기 어려운 물품(61)인 경우에, 도6의 치구(治具)(60) 등에 의하여 물품(61)을 물품삽입장치(10)에 공급한다. 도6의 기구도 물품공급장치의 예이다.
치구(60) 위에 간격을 두고 물품(61)이 세팅되고, 치구(60)는 도면의 화살표방향(니들베드의 길이방향과 수평면 내에서 직각)으로 진퇴할 수 있다. 물품삽입장치의 그립편(26a, 26a)이 하강하여 물품(61)을 파지한다. 이후의 동작은 물품(16)의 경우와 동일하며, 물품삽입장치를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립편(26a, 26a)을 열어서 물품(61)을 삽입하고, 그립편(26a, 26a)을 닫고 더 하강시켜서 물품(61)을 편성포 내에 압입한다. 치구(60) 이외의 예로서,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의 일단에, 물품(61)을 다수 수용한 박스를 설치함과 아울러 니들베드의 단변방향(短邊方向)(횡편기의 전후방향)으로 진퇴하는 컨베이어를 설치하고, 컨베이어에 물품을 소정의 피치로 자동으로 공급하는 물품공급장치로 하여도 좋다.
2 : 횡편기
3 : 컨트롤러
4 : 니들베드
5 : 편성영역
6 : 캐리지
7 : 편성포
8 : 급사레일
9 : 상판
10 : 물품삽입장치
12 : 물품공급장치
14 : 콘
15 : 이송장치
16 : 물품
17 : RFID
20 : 캐리어
21 : 롤러
22 : 승강로드
23 : 팔로워
25 : 가압부재
26 : 지지부
26a : 그립편
27 : 하단부
28 : 핀
29 : 캠
30 : 캠
31 : 솔레노이드
32 : 홈
34 : 축
35 : 캠홈
38 : 지지부
39 : 고정부재
40 : 돌기
41 : 승강부재
42 : 폐쇄부
44 : 모터
45 : 이송나사
46 : 베어링
48 : 베이스
50 : 승강부
51 : 파지부
52 : 커터
54 : 센서
60 : 치구
61 : 물품

Claims (6)

  1. 급사레일(給絲rail)을 주행하는 얀피더(yarn feeder)로부터, 편사를 니들베드(needle bed)의 바늘에 공급함으로써, 편성포를 편성하는 횡편기(flat knitting machine)에 있어서,
    상기 급사레일 혹은 급사레일과 평행한 레일을 이동할 수 있는 캐리어(carrier)와, 캐리어의 하부에 설치되고 또한 물품을 파지(把持)함과 아울러 파지를 해제함으로써 물품을 편성포 내에 삽입할 수 있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물품삽입장치와,
    상기 물품삽입장치가 파지할 수 있는 위치로 물품을 공급할 수 있는 물품공급장치를
    구비하고, 또한
    물품삽입장치는 물품을 파지하기 위하여 상기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삽입장치는, 편성포 내에 삽입된 물품을 하방으로 압입하는 압입수단(壓入手段)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물품의 길이방향이 상기 급사레일과 평행하게 되도록 물품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삽입장치는, 상기 캐리어에 설치된 승강부재(昇降部材)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승강부재의 하강에 의하여 닫혀서 물품을 파지하고, 상승에 의하여 파지를 해제하여 물품을 편성포 내에 삽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하부에 물품지지위치를 구비하는 1쌍의 그립편(grip片)과, 각 그립편의 상기 물품지지위치의 상부의 위치로부터 돌출되는 1쌍의 핀(pin)을 구비하고,
    상기 캐리어는, 1쌍의 핀을 가이드하고 또한 대향(對向)하는 1쌍의 캠홈(cam groove)을 구비하고,
    대향하는 1쌍의 캠홈 사이의 간격은 상부에서 넓고 하부에서 좁고, 하강에 의하여 그립편의 간격을 좁혀서 물품을 파지하고, 상승에 의하여 그립편의 간격을 넓혀서 파지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물품은 실 모양 혹은 띠 모양이고,
    상기 물품공급장치는, 니들베드의 하방을 수평이동하는 베이스(base)와, 베이스에 지지되어 승강하는 승강부와, 승강부에 지지되고 개폐될 수 있는 파지부(把持部)와 커터(cutter)를 구비하고,
    상기 파지부에 대한 물품의 공급부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KR1020210052198A 2020-04-23 2021-04-22 횡편기 KR1025540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76743 2020-04-23
JP2020076743A JP7424901B2 (ja) 2020-04-23 2020-04-23 横編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247A true KR20210131247A (ko) 2021-11-02
KR102554089B1 KR102554089B1 (ko) 2023-07-10

Family

ID=75588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198A KR102554089B1 (ko) 2020-04-23 2021-04-22 횡편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901344B1 (ko)
JP (1) JP7424901B2 (ko)
KR (1) KR102554089B1 (ko)
CN (1) CN1135500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4034234A (ja) * 2022-08-31 2024-03-13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端糸処理装置及び端糸処理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8861A (ja) * 1998-12-16 2000-06-27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の端糸挿入装置
US7246508B1 (en) 2006-11-21 2007-07-24 Yi-Xin Lo Automatic collar stay insertion device
KR20080031784A (ko) * 2006-10-06 2008-04-11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단사 삽입장치
KR20080031794A (ko) * 2006-10-06 2008-04-11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단사 삽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623639A (fr) * 1926-10-25 1927-06-28 Dispositif s'adaptant à une machine à tricoter rectiligne pour insérer une trame dans le tricot
GB745525A (en) * 1952-10-29 1956-02-29 Fahrradwerk Elite Diamant Vvb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lat knitting machines
US5623840A (en) 1992-07-08 1997-04-29 Tecnit-Technische Textilien Und Systeme Gmbh Process for production of weave-knit material
DE19756484A1 (de) 1997-12-18 1999-06-24 Cetex Chemnitzer Textilmaschin Verfahren zur bedarfsgerechten Lieferung von Fadenmaterial
JP4015980B2 (ja) * 2003-09-19 2007-11-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端糸処理装置および方法
CN101310056B (zh) * 2005-11-17 2010-12-08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可插入经纱的横机和该横机中的编织方法
CN101310055B (zh) * 2005-11-17 2010-12-08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横机的经纱切断及保持方法以及装置
JP5892365B2 (ja) 2011-11-08 2016-03-23 福井県 物品担持布帛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8861A (ja) * 1998-12-16 2000-06-27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の端糸挿入装置
KR20080031784A (ko) * 2006-10-06 2008-04-11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단사 삽입장치
KR20080031794A (ko) * 2006-10-06 2008-04-11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단사 삽입장치
US7246508B1 (en) 2006-11-21 2007-07-24 Yi-Xin Lo Automatic collar stay inser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01344B1 (en) 2023-08-16
CN113550058B (zh) 2023-02-17
JP7424901B2 (ja) 2024-01-30
KR102554089B1 (ko) 2023-07-10
EP3901344A1 (en) 2021-10-27
CN113550058A (zh) 2021-10-26
JP2021172911A (ja) 202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7388B1 (ko) 부품 공급 장치 및 부품 공급 방법, 부품 부착 시스템
JP4545731B2 (ja) 棒材供給機および棒材加工システム
CN110087447B (zh) 一种编带元器件自动裁切、成型及切脚装置及其加工工艺
KR101934844B1 (ko) 환봉 절단장치
EP1764431B1 (en) Yarn feeding device for weft knitting machine
KR20210131247A (ko) 횡편기
KR920002549B1 (ko) 자동 와인더로의 관사 반송공급장치
KR0141351B1 (ko) 트레이의 운반 방법 및 장치
CN117842654A (zh) 一种织袜机用针筒插片排列上料装置
JP2022080543A (ja) シート状ワークの集積受け渡し装置
JP5334875B2 (ja) ワーク分離装置
JPH03133828A (ja) ばね搬送および分離装置
CN112573300B (zh) 切断装置、纱管搬运装置以及纱管供给装置
CN114762930A (zh) 一种铰链的自动组装装置
KR101617996B1 (ko) 봉재 공급기
KR100959177B1 (ko) 부싱 공급장치
JP7250319B2 (ja) 材料補給装置
TWM510911U (zh) 電子料件多流道載料設備
JP6271236B2 (ja) 容器供給装置
JP5160070B2 (ja) 遊技機本体ユニット投入システム
CN215625140U (zh) 一种上料装置
CN216066333U (zh) 一种铰链的自动组装装置
KR900010259Y1 (ko) 전자레인지의 마그네트론용 로드밴딩장치
JP6651301B2 (ja) 部品供給装置
JPH10203669A (ja) 枚葉紙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