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549B1 - 자동 와인더로의 관사 반송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와인더로의 관사 반송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549B1
KR920002549B1 KR1019860000579A KR860000579A KR920002549B1 KR 920002549 B1 KR920002549 B1 KR 920002549B1 KR 1019860000579 A KR1019860000579 A KR 1019860000579A KR 860000579 A KR860000579 A KR 860000579A KR 920002549 B1 KR920002549 B1 KR 920002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ray
article
tub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0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6394A (ko
Inventor
히로아끼 산노오
다까하루 마쓰오까
겐지 가따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무라오앤드 캄파니
무라오 요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02880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188371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079908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38666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무라오앤드 캄파니, 무라오 요시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무라오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860006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6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9/00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 D01H9/18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for supply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to, or transporting from,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Arrangements to prevent unwinding of roving from roving bobbins
    • D01H9/187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for supply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to, or transporting from,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Arrangements to prevent unwinding of roving from roving bobbins on individual supports, e.g.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22Automatic winding machines, i.e. machines with servicing units for automatically performing end-finding, interconnecting of successive lengths of material, controlling and fault-detecting of the running material and replacing or removing of full or empty cores
    • B65H54/26Automatic winding machines, i.e. machines with servicing units for automatically performing end-finding, interconnecting of successive lengths of material, controlling and fault-detecting of the running material and replacing or removing of full or empty cores having one or more servicing units moving along a plurality of fixed winding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7/00Replacing or removing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B65H67/06Supplying cores, receptacles, or packages to, or transporting from,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B65H67/069Removing or fixing bobbins or cores from or on the vertical peg of trays, pallets or the pegs of a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61Puck as article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 와인더로의 관사 반송공급장치
제1도는 본 발명장치의 배열설치를 표시한 평면약도.
제2도는 제1도의 하부측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일부 확대 설명도.
제4도는 제3도의 일부하부측 측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좌측면도.
제6도는 관사반송레일의 일부 단면도.
제7도는 관사반송레일의 설명 개략도.
제8도는 콥 매거진에 대한 관사 공급 설명도.
제9도는 관사반송로의 구성을 표시한 평면약도.
제10도는 실끝도입처리장치의 측면도.
제11, 12도는 각각 제10도에 있어서의 절단 XI-XI, XII-XII에서의 화살표방향 단면도.
제13도는 실끝도입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제14도는 제12도의 일부확대설명도.
제15도는 제14도의 작동 설명도.
제16도는 관사반송로의 일부 평면도.
제17도는 제16도의 좌측 측면도.
제18도는 관사 발취장치의 측면도.
제19도는 관사 발취장치의 정면도.
제20도는 제19도의 좌측을 확대한 설명도.
제21도는 제20도의 우측면도로서 관사를 배치하여 표시하고 있다.
제22, 23, 24도는 제20도에 있어서의 절단선 XXII-XXII, XXⅢ-Ⅲ, XXIV-XXIV에서의 화살표 방향 일부단면도.
제25, 26, 27도는 제21도는에 있어서의 작동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동와인더 2 : 콥매거진(cop magazine)
3 : 관사(管絲)공급반송로 3a : 관사공급속 상단레일
3b : 공트레이반환측 하단레일 4 : 관사발취공급장치
5 : 실끝처리장치 7 : 관사탑재용트레이(tray)
7 : 공(空)트레이 C, C', C", C'" : 관사
본 발명은 자동와인더로 관사를 반송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말하면 방적공장에 있어서 링정방기로 감아올려진 관사(package)를 실끝처리장치에 도입인출하여 실끝을 보빈의 정부구멍에 도입 유지시키는 동시에 이 관사를, 트레이를 순환이동시켜서 구성하는 관사 반송로에 의해서 반송하면서 그 사이에 관사발취장치에 의해 콥매거진(cop magazine)을 구비한 자동와인더의 콥매거진에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콥매거진을 구비한 자동와인더에 관사를 자동적으로 공급하는 수단으로서는 각종의 수단이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관사를 정렬하여 수용한 용기를 콥매거진열의 상부에 왕복이동시키면서 관사를 필요로 하는 콥매거진에 수용한 관사를 순차적으로 공급하거나 혹은 콥매거진의 상방에 관사 보류통을 배설하여 항상 복수의 관사를 단계적으로 쌓아 보류해두고 콥매거진에 공소(空所)가 생겼을때에 공급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 관사를 평 컨베이어(flat conveyer)로 이송하면서 필요한 콥매거진부에서 게이트 도어를 이용하여 컨베이어상의 관사를 콥매거진에 도입 공급하는 수단도 알려져 있다. 그런데 전자의 공급관사 보류형(型)에서는 특별한 관사수용구의 반송장치가 필요하고 또 이것들의 대형 보류장치가 콥매거진의 상부에 배설되므로 사권취부의 감시와 조작을 충분히 할수가 없는 결점이 지적되고 있다. 한편 후자의 벨트 이송 공급형에서는 관사가 벨트에 가로놓여서 반송되기 때문에 관사의 외표면을 더럽히거나 사권층(絲券層)을 흩트러뜨릴 염려가 있다.
한편 관사를 자동와인더에 공급함에 있어서는 와인더에 있어서 실잇는 작업을 쉽게하기 위하여 미리 관사의 취출 실끝을 보빈의 정상 구멍에 도입하여 보류해두고 있으며 그 수단으로서는 일반적으로 흡입기류를 보빈 중앙 구멍으로 통하도록하여 실끝을 도입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실끝 보류관사를 취급함에 있어서 극히 신중히 취급하지 않으면 애써 도입보류한 실끝이 빠져 나가는 일이 있다. 즉 실끝도입보류관사 다수를 수용상자에 수용하여 진동시키거나 혹은 긴거리를 낙하시킬 수는 없는 것이다. 또 이와 같은 관사를 평벨트에 의해 반송함에 있어서도 관사자체가 딩굴기 쉽고 또 반송장치의 고정주위벽등에 관사가 접촉하여 그 충격력으로 애써 정상구멍에 도입보류시킨 실끝(yarn end)이 빠져버릴 염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콥매거진을 구비한 자동와인더에 관사를 공급함에 있어서 관사공급반송로중에 관사의 실끝을 도입 보류하는 관사처리장치를 조립, 설치하는 동시에 실끝도입 보류관사는 이것을 비접촉상태로 개별적으로 삽입, 설치하는 트레이를 이용하고, 더욱이 이 트레이는 폐루으프의 순환로에 따라서 이동되고, 그 사이에 콥매거진열에 따라서 설치한 반송로에는 이 반송레일에 따라서 왕복 이동하는 관사발취공급장치를 설치하여 실끝도입 보류관사를 안전하게 콥매거진에 공급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있어서(1)은 다수의 사권취부를 배열설치한 자동와인더(1)를 약시하고 있으며 이와인더(1)의 앞쪽에는 개개의 권취부에 대응하여 콥매거진(2)이 설치되어 있다. 또 이와 같은 자동와인더로서는 W.Schlafhorst & Co.의 Auto Coner가 업계에서 잘 알려져 있다. 또 콥매거진(2)으로서는 그의 내측에 매거진 크리일(Creel)(2a)을 설치하여 그의 주변에 관사 보류홈을 형성하여 복수의 관사를 보류하고 있으며 사권취부의 관사가 되감기면 매거진 크리일(2a)이 1피치회전하여 보류관사를 권취부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고, 본 발명 관사 반송공급장치는 이 매거진 크리일의 빈(空)부분에 새로이 관사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비어진 홈이 일정위치를 유지하고 있는 동안에 1개 혹은 2개의 관사를 동시 혹은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관사공급용의 관사반송로는 참조번호(3)으로서 표시한 바와 같이 콥매거진(2)의 배열전방에 평행하여 배설되어 있으며, 이 관사반송로(3)는 콥매거진 배열부에 있어서는 관사공급측 상당레일(3a)과 트레이 반환측 하단레일(3b)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그의 공급측(도면에서는 우측)에는 실끝처리장치(5)가 접속되어 있다. 또 이 관사반송로(3)의 좌단은 제9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공급측상단레일(3a)과 반환측하단레일(3b)(제2도)이 만곡강하로(3c)과 트레이 반환측 하단레일(3b)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그의 공급측(도면에서는 우측)에는 실끝처리장치(5)가 접속되어 있다. 또 이 관사반송로(3)의 좌단은 제9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공급측상단레일(3a)과 반환측하단레일(3b)(제2도)이 이 만곡하강하로(3c)로서 접속되어 있으며, 공급측의 실끝처리장치(5)와의 접속부(3e)에서는 공급측상단레일(3a)이 거의 직각으로 구부러져 있으며, 반환측하단레일(3b)은 상승반송로(3d)를 통하여 이것도 거의 직각으로 구부러져서 서로 수평 및 평행하여 실끝처리장치(5)는 접속되어 있다. 한편 이것들의 관사반송로(3)는 제6도에 그의 일부를 단면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관사는 개별적으로 삽입설치하는 트레이(7)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 트레이(7)는 관사의 사권(絲卷)외경보다 큰 직경으로 한 기반부(base plate)(7a)와 그의 정면(頂面)중앙에 안내단부(7b)와 권취보빈의 삽입측 외경보다도 약간 세경으로한 보빈받이지지부(7c)와 그의 중앙에 보빈삽설용핀(7d)을 형성하고 있으며, 합성수지등으로 일체 성형한 것을 사용한다.
그리고 안내레일은 U자 홈부를 형성한 레일(3aa)과 (3ab)를 조합하여 구성하고 그의 저변부의 한쪽으로 다가서 단면이 둥근형인 구동벨트(8)를 배치한다. 그리고 이 구동벨트(8)는 레일 조립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풀리(9')에 지탱되는 동시에 그의 외주는 레일(3aa), (3ab)과의 저면보다 약간 높게 배설해 둔다. 따라서 트레이(7)는 그의 기반부(7a)의 저면의 벨트(8)와 일방측레일(3aa)의 저면에서 지지되게 되고 구동벨트(8)의 구동에 의해서 트레이(7)가 이동한다. 즉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구동벨트(8)가 화살표(D)방향으로 구동되면 고나사반송로(3)내에 배치되어 있는 트레이(7)을 어떤 정지수단이 작용하지 않는 한 화살표(D)방향으로 이송된다. 그리하여 트레이(7)를 도시하지않은 보류장치(예컨대 전자기(電磁器)에 의한 돌출로드)를 작동시켜 일정위치에서 정치시켜서 관사(C')를 투하하여 트레이(7)에 삽입설치하고, 보류를 풀면 관사탑재 트레이로 되어서 관사(C)를 관사 반송로(3)에 따라서 화살표(B)와 같이 반송할 수가 있다. 또 이동방향측의 트레이(7)는 삽설미스의 공트레이(misloaded vacant tray)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반송관사의 취출공급수단은 제8도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관사공급을 필요로 하는 콥매거진(2)에 이르러 공급측상단레일(3a)의 관사탑재 트레이(7)로부터 관사(C)만을 참조번호(C')로 나타낸 바와 같이 끌어올려서 발취하고 기울이면서 참조번호(C")와 같이 콥매거진(2)에 공급하고, 공급된 관사는 (C"')와 같이 매거진 크리일의 수납홈에 수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관사반송로(3)는 적당한 길이로 구분한 안내레일을 길이방향으로 연접하여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구동벨트(8)로서는 단면이 둥근형의 것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구동풀리 및 안내풀리의 적당한 배열설치에 의해서 자유방향으로 안내레일을 굴곡시킬수가 있는 동시에 고저차에 의해서도 자유로이 설정할 수가 있다. 그리하여 도시한 관사반송로(3)에서는 제9도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구동벨트(8)를 관사공급측 상단레일(3a)과 트에리 반환측하단레일(3b)을 1계통으로 하고, 수평배치의 구동풀리(9a), 수직배치의 안내풀리(9b), 수평배치의 안내풀리(9c) 및 경사 배치의 안내풀리(9d)에 걸어서 설치하고 안내풀리(9b)와 구동풀리(9a)와의 사이를 공트레이(7')의 상승반송로(3d)로 하고 실끝처리장치(5)에 접속하는 반송로(3e)는 그의 구동벨트(8a)를 구동풀리(9)와 실끝처리장치내에 설치한 안내풀리(9')에 걸어서 별도 계통으로 한다. 또 이들의 풀리는 구동벨트(8)의 외경치수보다도 작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안내풀리(9b)를 제외한 다른 풀리에서는 트레이(7)의 기반부(7a)의 저면이 풀리의 측면과 접촉하여 레일에 대신하여 구동벨트(8)와 함게 이동된다. 그리하여 관사공급측 상단레일(3a)의 단말측 만곡강하로(3c) 접속부에서는 구동벨트(8)를 레일밖으로 도입하여 벨트지지를 벗어난 공트레이는 만곡 강하로(3c)를 미끄러져서 하강하고, 반환측 하단레일(3b)에 이르러 재차 하단레일에 도입되어 있는 구동밸트(8)에 의해서 공급측에 이송되고, 상승반송로(3d)에 의해서 실끝처리장치(5)에 접속되어 있는 공트레이송입측 레일(3f)내에 배설된 상기 별개 계통 구동벨트(8a)에 옮겨진다.
한편 링 정방기로 감아올려진 관사는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한 관사 컨베이어(6)에 의해서 반송되고, 후술하는 실끝처리장치(5)의 정부에 설치한 호퍼(10)(제9도)내에 저류되어서 1개씩 투입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실끝을 탐색하여 절단하는 동시에 이것을 보빈의 정부구멍에 투입하여 보류시키고 또한 이 관사를 트레이에 삽입설치하는 것이지만 관사의 공급부족, 실끝탐색 미스 혹은 트레이 삽입설치 미스등에 의해서 실끝처리장치(5)에 연결설치되는 접속부(3e)의 관사 송출측레일(3e')에는 때로는 관사를 탑재하여 않은 공트레이(7')가 송출되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공트레이(7')는 특별한 취출장치를 설치하지 않는 한 관사반송로(3)로부터 꺼낼 수가 없을 뿐만아니라 후술하는 관사 발취 공급장치(4)의 조작까지도 불편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관사 반송로(3)에는 관사 탑재트레이와 공트레이를 선별하여, 공트레이는 공트레이 반환송입측레일(3f)에 보내는 선별장치를 병설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제9도에 있어서(3h)로 표시한 상기 거의 직각의 곡부(turning part)에 선별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곡부(3h)는 실끝처리장치(5)에 연결된 구동벨트(8a)와 관사반송공급측 및 공트레이 반환측의 구동벨트(8)와의 트레이 수도부(受渡部)로서 구성되고 제1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구동풀리(9a)측에 가이드판(27)과 구동풀리(9)측에 관사가이드(28)를 설치한다. 그리고 가이드판(27) 및 관사가이드(28)는 제1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관사가이드(28)를 브래킷(28a)을 통하여 높게 위치시켜 공트레이(7')는 통과시키고 관사 탑재트레이(7)는 통과시키지 않도록 구성한다. 즉 관사를 탑재하고 있지 않은 공트레이는 모두 가이드판(27)과 구동벨트(8a)에 의해서 재차 실끝처리장치(5)로 반화되나 관사 탑재트레이에서는 관사(C)가 관사 가이드(28)에 접촉하여 반환측(3f)에 옮겨지는 일이 없이 가이드판(27)의 측면(27a)에 의해서 공급측의 구동벨트(8)측에 강제적으로 보내지게 된다.
한편 실끝처리장치(5)는, 제10도, 제11도 및 제1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프레임(5a, 5a…)으로 틀 짜임이 형성되어 그의 정부에 상기 호퍼(1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 호퍼(10)의 하부에는 1개씩의 관사를 투하하는 슈우트가 설치되고, 이 슈우트의 하부에 참조번호(11)로서 표시한 관사파지회전장치가 배치되어 이 파지회전장치(11)는 관사의 보빈 양단측을 지지하여 적극적으로 관사를 공전회동하는 동시에 그의 1개소에서 되감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하여 회전지지되는 관사의 주변의 일부에 흡입노즐(12)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흡인노즐(12)은 제1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관사(C')의 외주에 면하여 부리모양의 슬릿부(12b)와 그의 부착밑둥부에 감압공소(減壓空所)를 형성하고 잇다. 이 감압공소에는 흡입파이프(12a)가 연결설치되어 있다. 또 슬릿부(12b)의 슬릿은 감압공소의 관사 밑둥부에 대응하여 개구시킨 흡인구(12c)에 연통되고 있으며, 이 흡인구(12c)의 하부에는 실끝 안내용홈(12d)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관사(C')의 회전에 의해서 흡인된 실끝은 이홈(12d)에 의해서 안내지지된다.
한편 실끝이 인출된 관사는 파지 회전장치(11)로부터 놓아지고 그의 하부에 설치된 슈우트(13)에 의해서 안내실린더(16)내로 수직상으로 투입된다. 또 슈우트(13)의 하부에는 회전판(15)이 배치되고 이 회전판(15)은 관사의 투입을 검지하는 동시에 관사의 정부에 접촉하여 실끝의 여분의 흡인 되당기기를 규제하는 역할도 한다.
한편 이 안내시린더(16)는 고정된 반원통체(16a)와 가동반원통체(16b)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정반원통체(16a)는 프레임에 부착한 브래킷(17)의 일부에 고정설치되고 안내실린더(16)는 그의 지지부재(16c)를 상기 브래킷(17)의 축지부(18)에 설치한 축(18a)에 회전가중하게 지지하고 있다. 그리하여 이 지지부재(16c)의 일부에는 작동로드(24a)가 연결되어 있고 작동로드(24a)의 화살표방향(제13도) 작동에 의해서 가동반원통체(16b)는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여 안내실린더(16)를 개방할 수가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안내실린더(16)의 하부에는 안내실린더(16)의 저부측을 덮도록 선회판(19)이 설치되고, 이 선회판(19)은 그의 지지수직축을 상기 축(18a)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그리하여 이 선회판(19)의 한쪽에는 작동로드(26a)가 연결되어 있고, 화살표방향(제13도)으로 역행하여 이동한 상태에서 선회판(19)이 안내실린더(16)의 저면측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 폐색상태에서 안내실린더(16)에 투입된 관사는 안내실린더(16)내에 유지되게 된다. 또 선회판(19)에는 폐쇄상태에서 안내실린더(16)의 중심부에 대응하여 흡인구(19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흡인구(19a)는 선회판(19)의 하면측에 설치된 흡기덕트(20)(제14도)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 흡기덕트(20)는 선회판(19)의 안내실린더(16)대응부 밖에 설치한 통기구(19b)(제14도)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 통기구(19b)는 선회판(19)의 상면측에 브래킷(17)에 고정한 감압상자(25)와 대응시키고 있다. 즉 제14도는 선회판(19)이 안내통(16)의 저면측을 폐색상태로 하고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감압상자(25)에 연결되는 흡인호오스(25a)의 흡인기류는 통기구(19b)를 통하여 흡인구(19a)에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작동로드(26a)가 화살표(제13도)와 같이 작동하면 선회판(19)은 제1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선회하고, 이 선회에 의해서 안내실린더(16)의 저면측을 개방하여 유지한 관사를 이동시킨다. 또 통기구(19b)는 감압상사(25)의 밖에 위치하고 흡인구(19a)는 감압상자(25)의 밖에 위치하고 흡인구(19a)는 감압 상자(25)의 개구부밖에 위치하여 흡인기류를 차단한다. 또한 참조번호(17a)는 브래킷(17)의 일부에 형성된 선회판(19)의 활주시이트이다.
한편 상기 슈우트(13)를 통하여 안내실린더(16)에 투입되는 관사는 그의 실끝을 제13도에서 표시한 바와같이 흡입노즐(12)의 상기 홈(12d)에 보류하여 연장하면서 안내실린더(16)에 넣고, 이 실끝은 그의 바로위쪽에 설치한 개구상태로 된 실끝절단장치(14)에 도입된다. 또 투입된 관사의 보빈은 선회판(19)에 의해서 유지되는 동시에 상기 흡입구(19a)를 덮도록 위치하므로 흡인구(19a)에 작용하는 감압은 보빈의 중공구멍을 통하여 보빈정부구멍에 작용하고, 절단기(14)의 작동에 의해서 절단된 실끝은 보빈중공구멍에 끌어넣어지고 제1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실끝(Ca)를 도입한 관사(C)로 된다.
한편 이 실끝처리장치(5)내에 연속하여 설치되는 상기 트레이 반송로(3e)는 제9도의 파단부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공트레이 송입측레일(3f)과 관사송cnf측레일(3e')이 구동벨트(8a)를 제외한 바이패스레일(3g)로서 구성되고 이 바이패스레일(3g)에서는 저면을 형성하여 트레이(7)가 미끄러져 움직이면서 이동된다. 그리하여 그 이동은 제13도에 표시한 요동아암(21)이 피버트축(pivot)(21a)을 중심으로하여 화살표와 같이 요동하고 이 요동에 의해서 공트레이를 1개씩 바이패스레일(3g)에 송입한다. 또 요동아암(21)의 단연부(端緣部)(21b)는 송입되는 공트레이를 규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이송입작동에 의해서 공트레이(7)는 상기 안내실린더(16)의 중심과 일치시켜서 배치되어 있고, 선회판(19)의 퇴피선동(退避扇動)(제15도)에 의해서 투하되는 관사는 대기트레이(7")의 핀(7d)에 삽입 설치된다. 이어서 안내실린더(16)의 가동반원통체(16a)가 상기한 바와 같이 작동하여 안내실린더(16)를 개방하고 이 개방상태에서 재차 요동아암(21)이 다음의 공트레이를 송입하고, 관사탑재 트레이는 이것에 의해서 바이패스레일(3g)로부터 밀어내어져 재차 구동벨트(8a)에 의해서 송출된다. 또 바이패스레일(3g)의 공트레이 대기부에는 트레이를 정확히 위치시키기 위하여 판스프링등에 의한 위치유지수단을 설치해 두는 것이 추천 장려된다. 관사 탑재트레이(7)는 상기 선별장치를 거쳐 관사공급측 상단레일(3a)에 이행되고 이 레일에 따라서 설치된 상기 관사 발취 공급장치(4)에 의해서 관사만을 콥매거진(2)에 공급한다.
즉 링정방기에서 권취된 반사는 실끝처리장치(5)의 정부에 설치된 호퍼(10)(제9도 참조)로 공급되고 이어서 실끝처리장치(5)에 의하여 관사보빈정부에 실끝을 위치시키셔 관사 반송로(3)의 일부를 형성하는 접속 부상의 트레이(7')에 이 관사를 삽입 설치한다. 그래서 필요에 따라 설치된 선별장치(제9도 참조)에 의하여 공트레이를 선별 제거하고 관사를 삽입 설치한 트레이(7)는 관사 공급측 상단 레일(3a)로 송급되고 후술하는 관사 발취 공급장치(4)에 의하여 콥매거진(2)의 빈크리일내로 투입된다.
이하 이 관사발취 공급장치(4)에 대하여 기술한다.
제18도는 관사 발취 공급장치(4)를 콥매거진(2)에 대응시켜서 표시하고 있으며, 제19도는 제18도의 콥매거진(2)을 제외한 정면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이 관사발취공급장치(4)는 프레임(29, 29)으로 구성하는 틀내에 2연형의 관사 인발기구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들의 기구는 각각 양측에 설치한 구동모우터(41, 41)에 의해서 작동한다.
참조번호(30, 30)는 커버이며 내부의 상세한 점에 대해서는 뒤에 설명한다. 그리고 프레임(29, 29)은 양측에 돌출시킨 각간(脚杆)을 형성하고 이 각간부에 각간 로울러(32, 32a, 33, 33a)를 설치하여 관사공급측 상단 레일(3a)을 품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 이 양각간부로부터는 하방으로 뻗게한 각간이 형성되고, 그의 하단측에 로울러(33b)가 각각 설치되고 이 로울러(33b)는 공트레이 반환측 하단레일(3b)의 1방측벽에 따라서 관사발취공급장치(4)의 주행자세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이 관사발취공급장치(4)의 주행 구동장치(34)는 벨트접촉식으로 구성되고, 관사공급측 상단레일(3a)의 일부에 아래로 처져서 형성한 가이드레일(3j)에 구동벨트(37)가 맞닿아져 있고, 이 벨트(37)의 구동에 의해서 발취공급장치(4)가 상단레일(3a)에 따라서 왕복이동한다. 또 이 가이드레일(3j)은 관사공급측 상단레일(3a)와 일체로 형성한 것을 표시하고 있으나, 별체로 형성하여 부착하여도 된다. 그리하여 이 구동벨트(37)는 제19도 및 제20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각간에 각각 경동(傾動)가능하게 설치된 브래킷(36, 35)에 지지된 풀리(36a, 35a)에 걸려져 있으며, 도면에서는 풀리(36a)축을 구동축으로 하여 모우터(36b)(제21도)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하여 이들의 브래킷(36, 35)은 코일스프링등에 의해 가이드 레일(3j)쪽으로 힘이 가해지고, 벨트(37)를 가이드레일(3j)에 압점시키고 있다.(제21도 참조) 또 참조번호(3c')는 공트레이 반환측하단레일(3b)의 저면측에 설치한 급전용 버스덕트(bus duct)로 발취공급장치(4)의 하부에 설치한 제어장치박스(controller box)(31)로부터 뻗은 급전용 아암로드를 이 버스덕트(3c')내에 설치하고 있다.
또 모우터(36b)의 구동정치 및 회전방향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검지수단과 지령수단에 의해서 행하여진다.
한편 상기 프레임(29, 29)은 관사 탑재트레이(7)를 통과시키는 터널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터널부분에는 터널방향과 직행시켜서 관사투입 가이드판(38, 38)이 프레임(29)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이드판(38)은 각각 상방을 만곡시켜 양측벽을 확대한 경사판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그의 하단측에는 절곡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절곡부에 관사검지장치(39)를 설치하고 있다. 또 이 검지장치(39)로서는 광전형의 종래 검지장치가 이용되며 이 관사검지장치(39)는 가이드판(38)의 앞쪽 경사면에 설치한 구멍(39a)으로부터 콥매거진(2)에서의 크리일(2a)의 관사투입위치(2b, 2b')(제3도)의 관사존재를 검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하여 관사공급은 상기 투입위치(2b, 2b')가 모두 비어 있을 때에는 2개의 관사를 동시에 공급하고 한쪽만(보통은 좌측의 2b')이 비어있을때에는 한쪽에만 1개의 관사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관사 발취공급은 이 검지장치의 작동에 의해서 행하여진다. 또한 가이드판(38)의 설치간격은 제3도에 표시한 관사투입위치(2b, 2b')의 간격과 같게 하는 동시에 상기 트레이(7)의 기반부(7a)의 직경도 이 간격과 같은 것을 이용한다.
한편 관사의 발취장치의 구성은 상기한 바와같이 2조로 되어 있고 이것들은 앞쪽에서 보아 좌우가 대칭적으로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하는 좌측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20도, 제2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관사 발취장치 주요부는 전진(도면에서 좌측), 상승, 후퇴, 하강의 4각운동을 하는 승강회동틀(42)과 이 회동틀(42)의 하부에 전방으로 돌출시켜서 부착한 인양아암(43)과 회동틀(42)의 상부에 브래킷(42a)을 통하여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한 경동판(40)으로 되어있고, 회동틀(42)은 채널부재의 개방측을 후면으로 하고 그의 양측벽중 프레임(29)측으로 측벽의 상, 하부가 각각 지축(47, 47)의 일단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인양아암(43)은 정면을 경사시킨 양측벽을 형성하고 그의 저면에는 트레이(7)의 보빈받아 지지부(7c)(제6도)에 끼워지나 보빈의 밑동측에는 끼워질수가 없는 치수폭의 앞쪽개방슬릿(43a)을 형성하고 있다.
또 경동판(40)은 회동틀(42)의 앞쪽벽면에 따르는 간막이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관사를 품도록 전방으로 돌출시킨 측벽을 그의 양쪽에 확대 형성하고 있으며, 그의 정부측은 회동틀(42)을 덮도록 채널형으로 하고 후방측에 경사 돌출시켜서 경사정면(40a)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채널형의 일부에 축(42b)을 관통하여 설치하고 상기 브래킷(42a)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 경동판(40)의 하부에는 상기 인양아암(43)의 내측에는 연장되는 설편부(406)를 형성해둔다. 그리하여 경동판(40)의 설치하고 있으며, 이 접촉로울러(44)는 프레임(29)에 승각조정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이 회동틀(42)을 지지하고 있는 상기 지축(47, 47)은 프레임(29)의 양측벽에 고정설치된 두꺼운 벽판(29a)에 형성된 상, 하 2개의 4각형 캠홈45, 45)에 따라서 회동(回動)하고 회동틀(42)을 거의 수직상으로 유지하면서 4각형으로 회동한다.
다음에 이 회동수단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벽판(29a)의 외측에는 브래킷을 통하여 구동모우터(41)가 부착되고, 그의 출력축(29a)에 스프로킷휘일(41b)이 고정되어 있다. 제22, 제23 및 제24도는 각각 제20도의 절단선 XXII-XXII, XXⅢ-XX 및 XXIV-XXIV에서의 화살표 방향의 일부분을 표시하고 있으며, 상기 스프로킷 휘일(41b)과 상기 캠홈5, 45)의 중심부에 관통 지지시킨 축(48, 48)의 각각 일단에 부착한 같은 치수(齒數)의 스프로킷휘일(48a, 48a)을 체인(52)으로 연결한다.
한편 축(48, 48)의 타단측에는 각각 크랭크아암(50, 50)을 고정 설치하고 이 아암(50, 50)의 선단측에 스윙아암(51, 51)의 일단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아암(50, 50)의 타단측에 상기한 지축(47, 47)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이 지축(47, 47)은 캠홈5, 45)내에 돌출시켜서 이 돌출부에 캠로울러(49, 49)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모우터(41)의 회동에 의해서 축(48, 48)이 동시에 회전하고 크랭크 아암(50, 50)이 스윙아암(51, 51)을 견인하도록 회동하나, 이 스윙아암(51, 51)은 그의 일단의 캠흠(45, 45)에 캠로울러(49, 49)를 통하여 이동규제되어 있으므로 축(47, 47)은 각각 캠혼(45, 45)의 궤적에 따라서 회동이동한다. 즉 제23도에서의 캠로울러(49, 49)의 실선위치는 회동틀(42)이 제21도에서 표시한 하강후퇴위치이며, 점선(49a, 49a)으로 표시한 위치는 전진대기위치를, 점선(49b, 49b)으로 표시한 위치는 상승위치를 표시하고 있으며, 축(48, 48)의 1회전에 의해서 지축(47, 47)이 각각 캠흠(45, 45)을 따라서 회동이동하는 동시에 양지축(47)은 서로 회동틀(42)을 거의 수직상태를 유지하여 회동시킨다.
한편 회동틀(42)의 하부에 설치한 인양아암(43)은 제2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그의 저변의 높이를 트레이(7)의 보빈받아 지지부(7c)(제6도)에 대응시켜 두고, 회동틀(42)과 경동판(40)은 제25도, 제26도 및 제27도에 같이 작동하여 관사(c)를 트레이(7)로부터 인양하여 뽑아내는 동시에 관사를 경사지게하여 가이드판(38)을 통하여 투하공급한다.
즉 회동틀(42)이 제21도와 같이 후퇴한 상태에서 레임(29)을 관사공급 필요부에 정지시키는 동시에 인양아암(43)의 앞쪽에 트레이(7)를 정지시키고 상기 모우터(41)의 시동에 의해서 회동틀(42)을 회동시킨다. 이 회동에 의해서 회동틀(42)은 제25도의 점선위치로 부터 실선위치로 전진하고, 인양아암(43)의 슬릿이 트레이의 보빈받이지지부(7c)에 끼워넣어지는 동시에 경동판(40)은 그의 양측벽에서 관사를 유지하도록 위치한다. 또 경동판(40)의 간막이면은 관사와 약간의 틈을 형성한다. 이어서 회동틀(42)이 상승하면 제26도와 같이 인양아암(43)이 관사를 트레이(7)로부터 인발하고 인발된 관사는 이 아암(43)의 저변과 경동판(40)으로 지지되게 된다. 그리하여 회동틀(42)이 최상승위치에 도달하기 조금전에 경동판(40)의 상기 경사정면(40a)이 접촉로울러(44)와 맞닿고, 이 접촉에 의해서 제2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경동판(40)이 경사지지한 관사를 인발아암(43)의 저변으로부터 전방으로 미끄러뜨려서 투하시키고, 가이드판(38)을 통하여 제18도와 같이 관사(C"')를 콥매거진(2)에 공급한다. 또 프레임(29)의 전면측 상부에는 크로스 비임(46)이 설치되어 있고, 인양된 관사는 이 크로스비임(46)에 의해서 전방으로는 기울려지지않도록 규제된다.
이어서 회동틀(42)이 후퇴하면 경동판(40)의 사정면(40a)이 접촉로울러(44)와 떨어지므로 경동판(40)은 자중에 의해서 복원위치로 되고 회동틀(42)이 하강하여 제25도의 점선위치로 된다.
이상의 작동설명은 프레임(29)이 관사공급부에 정지되고, 그위치에 도달한 트레이으이 관사를 발취 공급할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관사공급부에 도달하기 전에 미리 제25도의 실선위치와 같이 회동틀(42)을 전진시켜서 대기위치에 관사를 멈추어두고, 프레임(29)을 관사공급위치를 탐색주행시켜서 필요부에서 정지시키고 제26도의 상태로부터 작동시켜도 된다. 이 경우 트레이(7)는 벨트(8)와 미끄러져서 이동된다.
또 관사반송로(3)에 따라 긴 주행거리에 걸쳐서 관사를 공급할 경우는 주행도중에 다수의 관사 탑재트레이가 존재하면 작동이 원활치않게 되므로 제3도에서 표시한 트레이 이동규제장치(54)를 관사 반송로(3)의 관사탑재 송입측에 설치해두고, 이 규제장치(54)는 발취공급장치(4)내에 송입한 관사 혹은 인양아암(43)이 보류되어 있는 관사를 검지하여 작동시키고, 필요수의 관사탑재 트레이를 공급반송로(3a)에 도입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프레임(29)의 관사통과 터널부에는 관사탑재 트레이 도입측에 트레이보류 장치를 설치하여 항상 5 내지 6개의 관사탑재 트레이를 보류시켜 두는 동시에 이 터널부는 인양아암(43)에 대응시켜서 관사탑재 트레이를 보류시키기 위한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다.
보류장치로서는 제20도의 참조번호(53)로 표시한 돌출작동핀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보류장치(53)는 상기 축(48)의 회전에 의해서 작동한다. 또 인양아암(43)에 대응시키는 보류장치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공트레이탈출측에서 제19도의 우측 관공급발취장치의 우측하부에 관사반송로(3a)의 상방으로 부터 이 레일내에 하강요동하는 스톱로드를 설치하여 축(48)의 작동에 의해서 요동시키는 동시에 이 스톱로드는 관사 탑재 트레이의 기반부를 계지하여 관사 탑재 트레이를 인양아암(43)에 대응시켜서 보류시킨다.
이어서 작동의 일예를 설명하면 관사발취장치(4)가 제21도의 상태에서 상기한 하강 요동스톱로드는 하강하여 관사공급측상단레일(3a)의 관사탑재 트레이를 보류하도록 작동하고 있으며, 돌출 작동ㅠㅣㅇ)을 퇴피시키고 있다. 따라서 관사공급측상단레일(3a)내를 구동벨트(8)에 의해서 운반되어 오는 관사 탑재 트레이(7)는 요동스톱로드에 의해서 보류된다. 또 이 보류를 검지하는 센서(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 이 센서에 의해 확인한다음 모우터(41)를 가동한다. 그리고 인양아암(43)이 제25도의 상태로된 위치에서 모우터(41)를 정지시킨다. 한편 관사발취공급장치(4)의 전체의 이동은 모우터(36b)의 구동에 의해서 행하고 관사 공급필요부를 탐색주행시킨다. 또 이 관사 공급 필요부의 검출은 공급필요부의 관사공급측상단레일(3a)에 제21도에서 표시한 위치검지판(55)이 설치되어있고, 관사 발취공급장치(4)측에는 이 위치검지판(55)에 대응시켜서 검출기(56)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관사 발취 공급장치(4)가 이동주행하여 검출기(56)가 위치 검지판(55)과 만났을때 상기한 관사검지장치(39)가 작동하여 콥매거진(2)내의 관사의 존재를 검출하고 동시에 2개의 관가공급을 필요로 할때에는 양쪽의 모우터(41, 41)를 재차 구동시켜서 상기한 바와같이 관사를 인발하여 공급하고, 제27도의 상태에서 일단 정지한다. 이때 돌출 작동핀(53)이 돌출작동하여 후속의 관사탑재 트레이를 프레임(29)밖에 보류하도록 하고 있다. 또 하강요동스톱로드는 관사공급측상단레일(3a)로부터 상방으로 퇴피시키고 있다. 또 비어져 있는 트레이는 관사발취공급장치(4)로부터 떠난것을 확인하는 장치를 설치해두고, 공트레이 배출을 확인하고 나서 모우터(41, 41)가 작동하여 제21도의 상태에서 대기시킨다.
또 매거진(2)이 1개의 관사만 필요로 할때에는 제19도에 있어서 우측의 모우터(41)만이 구동되어서 1개의 관사를 공급하고, 이 공급작동후는 우측의 관사발취공급 장치측에 관사탑재 트레이가 없고, 좌측의 관사발취공급장치측에 있는 관사 탑재트레이는 제25도의 상태에서 인양아암(43)에 걸려져 있다. 그리하여 우측의 관사발취공급장치는 제27도에 있어서의 관사를 투하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모우터(41)를 정지하고, 공트레이가 발취공급장치(4)로부터 탈출한 것을 확인하여 재차 모우터(41)를 구동하여 제21도의 상태에서 관사 탑재 트레이를 도달을 기다린다. 한편 좌측 관사발취공급장치는 우측 관사발취공급장치가 제21도의 상태로 된 것을 확인하고 좌측의 모우터(41)를 이번에는 역전시켜서 제21도의 상태로 복귀시킨다. 그리하여 좌측 관사발취공급장치 직전의 관사탑재 트레이는 우측의 관사발취 공급장치의 바로 앞으로 이동시킨다. 또 우측의 관사발취공급장치가 제25도로 부터 제21도의 상태로 작동하는 동안에 상기 하강 요동 스톱로드는 재차 관사공급측상단레일(3a)내에 요동 하강시키는 동시에 좌측의 관사발취공급장치가 제21도의 상태에서는 돌출핀(53)을 퇴입(退入)시켜 새로운 관사 탑재 트레이를 도입시키도록 하고 있으며, 이 도입관사 탑재 트레이가 관사발취공급장치의 바로앞에 도입될때까지 관사 발취공급장치는 제21도의 상태에서 대기하고 있다. 그리고 탑재트레이가 바로앞의 정위치에 왔을때 재차 모우터(41)를 구동시켜서 제25도의 상태에서 탐색주행시켜서 필요부에 관사를 공급하고 1개를 공급할 때는 공급완료후 좌측의 관사발취공급장치에 보류되어 있는 탑재트레이를 우측의 관사발취공급장치 바로앞으로 이동시키고, 또 관사발취공급장치(4)의 관사도입측에 대기보류시키고 있는 탑재트레이를 좌측의 관사발취공급장치의 바로 앞위치에 이동시켜서 재차 모우터(41)를 구동시켜서 제25도의 상태로 하여 공급대기자세로 한다. 또 이것들의 시동 및 정지장치는 제20도, 제22도에 표시한 스프로킷 휘일(48a)의 일단측에 부착한 캠판(56)과 그와 같은면에 설치한 근접스위치(57)로 조작된다.
또 관사 발취공급장치(4)의 주행이동장치(34)로서는 도시한 접촉구동벨트형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접촉 구동로울러이거나 랙피니언 형식등 자유로이 선택할수가 있다. 또 관사 발취공급장치(4)로서는 2연형의 것을 표시하였으나 단일형으로서 동일하게 구성하거나 혹은 이것들의 구동수단 혹은 조작수단을 변경하더라도 관사탑재 트레이의 관사를 인발하여 공급함에 있어서 경동판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 회동틀을 4각형으로 회동시켜서 관사를 인발하는 동시에 상승시키는 단계에서 이 경동판을 기울여서 관사를 기울이면서 공급하도록 구성하는한 본 발명의 일부를 만족시킬수가 있다.
본 발명은 콤매거진을 구비한 자동와인더로의 관사공급을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하였기 때문에 링정방기에서 감아올린 관사를 반송하면서 그 도중에서 실끝을 처리하고, 또한 트레이를 이용하여 서로닿지 않도록 반송하면서 공급하도록 하였기때문에 관사가 더러워지는 일이 없게되고, 실끝의 보류도 확실하게 유지된다. 또 반송장치를 레일과 둥근형 단면벨트에 의해서 트레이를 지지 이동하도록 하였기때문에 반송로를 설치장치에 따라서 적응시킬수가 있고 간단히 구성할 수 있다.

Claims (4)

  1. 다수의 콥매거진을 배설한 자동와인더의 콥매거진에 링정방기에서 감아올려진 관사를 이 관사보빈의 천공에 실끝을 도입 처리하여 반송하면서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실끝처리 장치(5)에 연결한 관사 반송로(3)를 관사탑재용 트레이(7)를 이용하여 이것을 적극적으로 순환이행시키는 반송레일로 구성하는 동시에 이 반송레일은 적어도 콥매거진 (2)배열부에서 관사공급측 상단 레일(3a)과 공트레이(7') 반환측 하단레일(3b)로 구성하고, 이 반송레일의 관사반송로(3)에 관사 발취공급장치(4)를 주행이 자유롭게 설치하는 동시에 이관 발취 공급장치(4)는 관사필요 콥매거진(2)에 이르러서 정지하여 반송되는 관사(c)를 트레이(7)로부터 뽑아서 콥매거진(2)에 투입공급 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와인더로의 관사 반송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관사 반송로(3)는 관사 탑재용 트레이(7)를 안내하는 틀형 안내일(3aa), (3ab)과 그의 내측에 단면이 둥근형인 구동벨트(8)를 배설하여 구성하는 동시에 관사 공급측 상단 레일(3a)의 종단부에서 만곡 강하로(3c)를 형성하여 공트레이(7')를 반환측 하단레일(3B)과 접속하고, 실끝처리장치(5)와의 접속부분에서는 그의 앞부분에서 공트레이(7') 상승반송로(3d)를 형성하여 관사 공급측 상단 레일(3a)과 거의 수평으로 평행시켜서 접속시키는 동시에 이 관사반송로(3)를 굴곡시켜서 공트레이(7')와 관사탑재 트레이(7)를 선별하는 장치를 병설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와인더로의 관사 반송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관사 반송로(3)에 접속하는 관사실끝 처리장치(5)는 공급관사를 유지하여 회전시키면서 그의 주변의 이루에 설치한 흡인 노즐(12)에 의해서 실끝을 탐색 흡인 유지하고, 이 관사를 2분할 개폐형으로 형성한 안내실린더(16)에 투입하는 동시에 이 안내실린더(16)의 하부에 설치한 선회판(19)에 의해서 투입관사를 일시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하고, 이 선회판(19)의 지지보빈의 중앙하부에 대응하여 설치한 흡기구(19a)로부터의 흡인기류에 의해서 절단한 실끝을 보빈의 천공에 도입하고, 이 선회판(19)의 회전에 의해서 실끝처리관사를 그의 하부에 대기중의 공 트레이(7')에 삽입설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와인더로의 관사 반송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관사반송로(13)에 설치하는 관사발취 공급장치(4)는 트레이 반송레일(3)에 따라서 자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34)를 설치하고, 보류한 관사 탑재 트레이(7)의 상기 관사발취공급장치(4)는 트레이 탑재 관사보빈의 하부로 전진하여 상승하는 인양아암(43)을 설치한 회틀(42)이 전진, 상승, 후퇴, 강하의 회동이동을 하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이 회동틀(42)의 상부에 화회전가능하게 지지한 경동판(40)은 회동틀(42)이 상승하였을때 그의 상부에 설치한 접촉 로울러(44)와 맞닿아서 경사져 이동하고, 이 경사이동에 의해서 인발한 관사(C")를 기울여 회동틀(42)로부터 투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와인더로의 관사반송공급장치.
KR1019860000579A 1985-02-15 1986-01-29 자동 와인더로의 관사 반송공급장치 KR9200025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28803 1985-02-15
JP60028803A JPS61188371A (ja) 1985-02-15 1985-02-15 搬送管糸の抜き取り供給装置
JP60-79908 1985-04-15
JP60079908A JPS61238666A (ja) 1985-04-15 1985-04-15 管糸の口糸導入搬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394A KR860006394A (ko) 1986-09-11
KR920002549B1 true KR920002549B1 (ko) 1992-03-27

Family

ID=26366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0579A KR920002549B1 (ko) 1985-02-15 1986-01-29 자동 와인더로의 관사 반송공급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742967A (ko)
KR (1) KR920002549B1 (ko)
DE (2) DE3645071C2 (ko)
IT (1) IT11883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0042B2 (ja) * 1988-06-21 1997-11-1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紡機におけるボビン搬送装置
US4993909A (en) * 1989-04-10 1991-02-19 Holmes International Wheel retainer blades for wheel lift apparatus
JPH049854U (ko) * 1990-05-16 1992-01-28
DE4019475A1 (de) * 1990-06-19 1992-01-02 Schlafhorst & Co W Spulmaschine mit an einer bedienstelle etwa in tischhoehe angeordneten spulenaufnahmemitteln
DE4023221A1 (de) * 1990-07-21 1992-01-23 Palitex Project Co Gmbh Zwirnmaschine, insbesondere doppeldraht-zwirnmaschine
US5137222A (en) * 1991-03-12 1992-08-11 Kabushiki Kaisha Murao And Company Cop feeding apparatus for automatic winder
DE19909701A1 (de) * 1999-03-05 2000-09-07 Schlafhorst & Co W Vorrichtung zum Beladen von Trägern mit Spinnspulen
JP2001089033A (ja) * 1999-09-21 2001-04-03 Murata Mach Ltd 自動ワインダー
EP1110898A3 (de) * 1999-12-23 2002-09-25 W. SCHLAFHORST AG & CO. Schnittstelle im Transportsystem einer Kreuzspulen herstellenden Textilmaschine
FR2826643B1 (fr) * 2001-06-25 2003-09-19 Dubuit Mach Dispositif de convoyage de supports de pile et machine d'impression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CN102078863A (zh) * 2010-06-21 2011-06-01 刘士法 自络筒式空管分理机
CN108502637B (zh) * 2018-03-26 2021-02-26 铜陵松宝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插纱装置
CN109110481B (zh) * 2018-07-13 2020-07-07 广州盛原成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上落管系统
JP2020117368A (ja) * 2019-01-25 2020-08-06 村田機械株式会社 ボビン供給装置
CN112456140B (zh) * 2020-12-08 2024-04-05 华南理工大学 用于铝制吹胀均热板的自动送料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8766A (en) * 1965-08-06 1968-02-13 Barber Colman Co Automatic bobbin handling and spooler loading mechanism
US3358940A (en) * 1965-09-24 1967-12-19 Leesona Corp Bobbin conveyor
GB1158707A (en) * 1965-10-20 1969-07-16 Murata Machinery Co Ltd An Automatic Cop Supplying Method and Apparatus
US3474975A (en) * 1967-09-11 1969-10-28 Leesona Corp Bobbin handling installation
CH544031A (de) 1971-12-07 1973-11-15 Schweiter Ag Maschf Automatische Kreuzspulmaschine
US3774859A (en) * 1972-07-03 1973-11-27 Leesona Corp Bobbin handling system
JPS5641546B2 (ko) * 1973-08-24 1981-09-29
JPS5614570B2 (ko) * 1973-10-22 1981-04-04
JPS5427037A (en) * 1977-07-29 1979-03-01 Murata Machinery Ltd Tube yarn feeding apparatus in automatic winder
US4463909A (en) * 1981-04-10 1984-08-07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Cop supplying system in automatic winder
JPS5859167A (ja) * 1981-09-25 1983-04-08 Murata Mach Ltd 管糸搬送システム
US4576341A (en) * 1982-03-08 1986-03-18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Cop transporting systems for an automatic winder
DE3244378A1 (de) * 1982-12-01 1984-08-30 W. Schlafhorst & Co, 4050 Mönchengladbach Vorrichtung zum ablegen und einbehalten des fadenendes in der spulenhuelse eines von einer kopsvorbereitungsstation an ein transportmittel weitergegebenen spinnkopses
DE3245325A1 (de) * 1982-12-08 1984-07-26 W. Schlafhorst & Co, 4050 Mönchengladbach Automatische spulenwickelmaschine
DE3341895A1 (de) * 1983-11-19 1985-05-30 W. Schlafhorst & Co, 4050 Mönchengladbach Spinn-/spul-aggregat
JPS61152839A (ja) * 1984-12-21 1986-07-11 Murao Boki Kk 搬送管糸の取り出し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604372C2 (ko) 1991-06-27
IT1188386B (it) 1988-01-07
IT8619416A1 (it) 1987-08-14
DE3645071C2 (ko) 1992-01-23
US4742967A (en) 1988-05-10
IT8619416A0 (it) 1986-02-14
KR860006394A (ko) 1986-09-11
DE3604372A1 (de) 1986-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2549B1 (ko) 자동 와인더로의 관사 반송공급장치
US4763773A (en) Doffed package transporting apparatus
JPH0759460B2 (ja) クリ−ルへのパッケ−ジ供給装置
EP2573233A2 (en) Doffing apparatus and textile machine
US4616789A (en) Yarn end readying device in winder
JPH082828A (ja) ワインダの糸巻取用チューブ供給装置
US4842206A (en) Automatic yarn end finding device for a spinning bobbin
ITMI20060272A1 (it) Punto di bobinatura di una macchina tessile per la produzione di bobine incrociate
US5273224A (en) Doffing method and paper tube supply system for an automatic winder
US4558776A (en) Apparatus for arranging cross-wound packages on an auxiliary transport belt
US5452571A (en) Winder-to-double twister connecting system
JPH0710387A (ja) ボビン定置方法および装置
JPH11255430A (ja) 線材巻取ボビンの端末処理装置
US5137222A (en) Cop feeding apparatus for automatic winder
US5473880A (en) Multi-station textile machine, especially double twisting machine or cabling machine, with sequentially arranged spool containers
JPH05270739A (ja) キャディーにかぶせ嵌められた巻管を抜き取るための装置
JPH08188340A (ja) 紡機のボビン供給・搬出装置
JPH0748735A (ja) 紡績機械のための糸キャリヤ交換ステーション
JPH0523587Y2 (ko)
EP0504444A1 (en) Cop feeding apparatus for automatic winder
JPH0631131B2 (ja) 自動ワインダ−への管糸供給装置
JPH0512304Y2 (ko)
JPS61188371A (ja) 搬送管糸の抜き取り供給装置
JPH0518931B2 (ko)
JPH04117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