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7601A -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7601A
KR20210127601A KR1020210006497A KR20210006497A KR20210127601A KR 20210127601 A KR20210127601 A KR 20210127601A KR 1020210006497 A KR1020210006497 A KR 1020210006497A KR 20210006497 A KR20210006497 A KR 20210006497A KR 20210127601 A KR20210127601 A KR 20210127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side
gear
tooth
fishing reel
driving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시 이케부쿠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210127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76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17Toothed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05Multi-speed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1Spool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17Toothed wheels
    • F16H2055/173Crown gears, i.e. gears have axially arranged tee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 필링(feeling)을 향상 가능한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해결 수단] 구동 기어(11)는, 원판부(30)와, 복수의 기어 톱니(31)를 구비한다. 원판부(30)는, 회전축심(X2)을 가진다. 복수의 기어 톱니(31)는, 원판부(30)에 있어서의 외주(外周) 측의 측면으로부터 회전축심(X2)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각각 별도로 돌출한다. 기어 톱니(31)는, 본체부(32)와 연출부(延出部)(33)를 가진다. 본체부(32)의 톱니 끝면(31c)을 통과하는 원통면(圓筒面)(CP1)과 연출부(33)의 경방향 내측면(31d)이 이루는 제1 각도 a11, a12는, 맞물림 압력각 b보다 크다.

Description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FISHING REEL DRIVE GEAR}
본 발명은,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구동 기어는, 복수의 기어 톱니를 가지고 있다. 종래의 각 기어 톱니는, 한 쌍의 톱니면을 가지고 있다. 각 톱니면은, 피니언 기어에 맞물린다. 각 톱니면에는, 맞물림 진행 방향선(L1)과, 맞물림 진행 방향선(L1)과 교차하는 복수의 맞물림 동시 접촉선(L2)이 정의되어 있다(본원 명세서의 도 9를 참조).
여기에서, 맞물림 진행 방향선(L1)은, 복수의 맞물림 동시 접촉선(L2) 각각에 있어서 톱니면이 가장 높아지는 위치를 잇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는 선이다. 복수의 맞물림 동시 접촉선(L2) 각각은, 피니언 기어가 구동 기어의 톱니면과 접촉하는 선이다.
일본국 특허공보 특허제6202796호
종래의 구동 기어에서는, 맞물림 진행 방향선(L1)이, 기어 톱니에 있어서의 외주(外周) 측의 기단(基端)으로부터, 기어 톱니에 있어서의 내주(內周) 측의 톱니 끝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피니언 기어가 기어 톱니의 내주 측의 톱니 끝에 맞물렸을 경우, 즉, 맞물림 동시 접촉선(L2)이 짧은 톱니면의 내주 측의 우각부(隅角部)(QR)에 피니언 기어가 맞물렸을 경우, 구동 기어의 기어 톱니의 내주 측의 톱니 끝(도 9의 우각부(QR))에는, 응력 집중이 생긴다.
이 경우, 기어 톱니의 기단부에 작용하는 굽힘 모멘트가 커지고, 기어 톱니가 변형할 우려가 있다. 이것에 의하여, 구동 기어를 부드럽게 회전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구동 기어가 부드럽게 회전할 수 없게 되었을 경우, 구동 기어가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면서 회전할 때에, 이음(異音)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 필링(feeling)을 향상 가능한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 시에 생기는 이음의 발생을 억제 가능한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는, 낚시용 릴에 이용되는 구동 기어이다.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는, 원판부와, 복수의 기어 톱니를 구비한다. 원판부는, 회전축심을 가진다. 복수의 기어 톱니는, 원판부에 있어서의 외주 측의 측면으로부터 회전축심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각각 별도로 돌출한다.
기어 톱니는, 본체부와, 본체부로부터 경(徑)방향 내측으로 연출(延出)하는 연출부(延出部)를 가진다. 본체부의 축 방향 외측면을 통과하는 회전축심 둘레의 원통면(圓筒面)과 연출부의 경방향 내측면이 이루는 제1 각도는, 맞물림 압력각보다 크다.
본 구동 기어에서는, 기어 톱니에 있어서, 연출부가 본체부로부터 경방향 내측으로 연출한다. 여기에서, 제1 각도가 맞물림 압력각보다 크다. 이와 같이, 기어 톱니에 연출부를 설치하고, 제1 각도를 맞물림 압력각보다 크게 하는 것에 의하여, 기어 톱니의 톱니 끝에 있어서의 내주 측의 우각부에 생기는 응력을 종래 기술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구동 기어의 회전 필링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구동 기어의 회전 필링을 향상하는 것에 의하여, 구동 기어의 회전 시에 생기는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에서는, 제1 각도가, 본체부의 축 방향 외측면을 통과하는 회전축심 둘레의 원통면과 본체부의 경방향 외측면이 이루는 제2 각도보다 크다.
이 경우, 제1 각도가 제2 각도보다 크기 때문에, 구동 기어의 회전 필링을 호적(好適)하게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구동 기어의 회전 시에 생기는 이음의 발생을 호적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에서는, 한 쌍의 톱니면이, 본체부 및 연출부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톱니면은, 기어 톱니의 기단 측에 있어서 톱니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단변(端邊)과, 기어 톱니의 선단 측에 있어서 톱니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단변을 가진다. 제1 단변은 제2 단변보다 길다.
이 경우, 제1 단변이 제2 단변보다 길기 때문에, 기어 톱니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구동 기어의 회전 필링을 호적하게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구동 기어의 회전 시에 생기는 이음의 발생을 호적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에서는, 제2 단변에 대한 제1 단변의 비가, 1.28 이상이다. 이것에 의하여, 구동 기어의 회전 필링을 보다 호적하게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구동 기어의 회전 시에 생기는 이음의 발생을 보다 호적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에서는, 톱니면이, 기어 톱니의 경방향 내측에 있어서 제1 단변 및 제2 단변을 접속하는 제3 단변과, 기어 톱니의 경방향 외측에서 제1 단변 및 제2 단변을 접속하는 제4 단변을 더 가진다. 제3 단변은 제4 단변보다 길다.
이 경우, 제3 단변은 제4 단변보다 길게 하는 것에 의하여, 기어 톱니의 톱니 끝에 있어서의 내주 측의 우각부에 있어서의 맞물림 동시 접촉선을 종래 기술보다 길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구동 기어의 회전 필링을 호적하게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구동 기어의 회전 시에 생기는 이음의 발생을 호적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에서는, 제4 단변에 대한 제3 단변의 비가, 1.10 이상이다. 이것에 의하여, 구동 기어의 회전 필링을 보다 호적하게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구동 기어의 회전 시에 생기는 이음의 발생을 보다 호적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릴 본체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핸들과, 핸들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술한 구동 기어를 구비한다. 본 낚시용 릴에서는, 상술한 구동 기어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의 회전 필링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의 회전 시에 생기는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절단선 II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3은 로터 구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로터 구동 기구의 평면도.
도 5는 구동 기어의 기어 톱니의 사시도.
도 6a는 구동 기어의 기어 톱니의 측면도.
도 6b는 구동 기어의 기어 톱니의 측면도.
도 6c는 도 5의 절단선 VIC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7은 도 6a의 맞물림 종단점(終端點)(P)을 통과하는 평면(C)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8a는 구동 기어의 기어 톱니에 있어서 맞물림에 사용하지 않는 영역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8b는 다른 실시 형태의 구동 기어의 기어 톱니에 있어서 맞물림에 사용하지 않는 영역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9는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채용한 스피닝 릴(100)(낚시용 릴의 일례)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과, 핸들(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본체(2)와, 로터(3)와, 스풀(4)을 구비한다. 로터(3)는, 릴 본체(2)의 전부(前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핸들(1)은, 핸들축(1a)과, 핸들 암(1b)과, 핸들 손잡이(1c)를 가지고 있다. 핸들축(1a)에는, 구동축(10)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핸들 암(1b)은, 핸들축(1a)에 설치된다. 핸들 손잡이(1c)는, 핸들 암(1b)에 설치된다. 덧붙여, 핸들(1)은 릴 본체(2)의 좌우 어느 쪽에도 장착 가능하다.
스풀(4)에는, 낚싯줄이 외주면에 감긴다. 스풀(4)은, 로터(3)의 전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스풀(4)은, 스풀축(15)의 선단에 장착된다. 스풀축(15)은, 스풀축심(X1)을 가진다. 로터(3)는, 피니언 기어(12)와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로터(3)는, 릴 본체(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릴 본체의 구성>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2)는, 측부가 개구(開口)하는 수납 공간을 내부에 가지는 릴 보디(2a)와, 릴 보디(2a)의 수납 공간을 막기 위하여 릴 보디(2a)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 부재(2b)(도 2)를 가진다. 또한, 릴 본체(2)는, 릴 보디(2a) 및 덮개 부재(2b)의 후부를 덮는 본체 가드(26)를 가진다.
릴 보디(2a)에는, 장대 취부(取付) 다리(2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릴 보디(2a)의 내부에는, 로터 구동 기구(5)와, 오실레이팅 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스풀축(15)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오실레이팅 기구(6)가 작동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4)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오실레이팅 기구(6)의 구성은, 종래 기술과 실질적으로 같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로터 구동 기구의 구성>
로터 구동 기구(5)는, 핸들(1)의 회전을 로터(3)에 전달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 구동 기구(5)는, 구동 기어(11)와 피니언 기어(12)를 가진다. 구동 기어(11)는, 구동축(10)과 함께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피니언 기어(12)는, 구동 기어(11)에 맞물린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12)는, 통상(筒狀)의 기어 본체(12a)와, 기어부(12b)를 가진다. 기어 본체(12a)는, 핸들축(1a)과 어긋나도록, 릴 보디(2a)에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기어 본체(12a)는, 구동 기어(11)의 회전축심(X2)과 어긋나도록, 릴 보디(2a)에 배치된다.
기어 본체(12a)는, 릴 보디(2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예를 들어, 기어 본체(12a)는, 베어링 14a 및 베어링 14b에 의하여, 릴 보디(2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기어 본체(12a)에는, 스풀축(15)을 삽통(揷通) 가능한 관통 구멍(12d)이 형성된다.
기어 본체(12a)에는, 수(雄)나사부(12e) 및 회전 멈춤 평면(12f)이 형성된다. 수나사부(12e) 및 회전 멈춤 평면(12f)을 로터(3)에 계합(係合)하는 것에 의하여, 기어 본체(12a)는, 로터(3)와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기어부(12b)는, 기어 본체(12a)에 형성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 기어(11)는, 구동축(10)과 일체로 형성된다. 구동 기어(11)는, 구동축(10)과 별체(別體)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구동축(10)은, 나사 결합에 의하여, 핸들축(1a)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구동축(10)은, 비원형 계합에 의하여, 핸들축(1a)과 일체적으로 회전시켜도 무방하다. 구동축(10)은, 덮개 부재(2b)에 장착된 베어링(27a) 및 릴 보디(2a)에 장착된 베어링(27b)을 통하여, 릴 보디(2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 기어(11)는, 페이스 기어이다. 구동 기어(11)는, 원판부(30)와, 복수의 기어 톱니(31)를 구비한다. 원판부(30)는, 회전축심(X2)을 가진다. 원판부(30)는, 원형판상(圓形板狀)으로 형성된다. 원판부(30)는, 구동축(10)과 일체로 형성된다. 원판부(30)는, 구동축(10)과 별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기어 톱니(31)는, 원판부(30)에 있어서의 외주 측의 측면으로부터 회전축심(X2)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각각 별도로 돌출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기어 톱니(31)는, 원판부(30)에 있어서의 외주 측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복수의 기어 톱니(31)는, 원판부(30)의 일 측면의 외주 측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둘레 방향은, 회전축심(X2)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축심(X2) 둘레의 방향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기어 톱니(31)는, 본체부(32)와 연출부(33)를 가진다. 본체부(32)는, 기어 톱니(31)에 있어서의 경방향 외측의 부분을 형성한다. 상세하게는, 본체부(32)는, 경방향 중앙부 및 경방향 외측의 부분을 형성한다. 본체부(32)는, 톱니 끝면(31c)(축 방향 외측면의 일례)과, 경방향 외측면(31e)을 가진다. 본체부(32)는, 제1 측면(31a)의 일부와, 제2 측면(31b)의 일부를 형성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출부(33)는, 본체부(32)로부터 경방향 내측으로 연출하는 부분이다. 연출부(33)는, 기어 톱니(31)에 있어서의 경방향 내측의 부분을 형성한다. 연출부(33)는, 경방향 내측면(31d)을 가진다. 연출부(33)는, 제1 측면(31a)의 일부와, 제2 측면(31b)의 일부를 형성한다. 제1 측면(31a) 및 제2 측면(31b)은, 본체부(32)의 한 쌍의 측면 및 연출부(33)의 한 쌍의 측면을 형성한다.
덧붙여, 도 5에서는, 연출부(33) 및 본체부(32)의 경계가 파선(破線)으로 도시되어 있다. 파선이 나타내는 평면은, 원판부(30)에 대하여 수직이다. 이 평면은, 톱니 끝면(31c) 및 경방향 내측면(31d)의 우각부를 통과한다. 후술하는 도 6b 및 도 6c에 있어서도, 파선은 마찬가지의 의미를 가진다.
각 기어 톱니(31)는, 제1 측면(31a)과, 제2 측면(31b)과, 톱니 끝면(31c)과, 경방향 내측면(31d)과, 경방향 외측면(31e)을 가진다. 제1 측면(31a) 및 제2 측면(31b)은, 한 쌍의 톱니면의 일례이다.
제1 측면(31a)은, 핸들(1)이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피니언 기어(12)에 맞물리는 톱니면이다. 제2 측면(31b)은,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에 피니언 기어(12)에 맞물리는 톱니면이다.
제1 측면(31a) 및 제2 측면(31b)은, 기어 톱니(31)의 한 쌍의 측면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제1 측면(31a) 및 제2 측면(31b)은, 본체부(32) 및 연출부(33)의 한 쌍의 측면을 형성한다. 제1 측면(31a) 및 제2 측면(31b)은, 본체부(32) 및 연출부(33)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제1 측면(31a) 및 제2 측면(31b) 각각은, 제1 단변(B1)과 제2 단변(B2)을 가진다.
제1 측면(31a)의 제1 단변(B1)은, 기어 톱니(31)의 기단 측에 있어서 톱니줄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측면(31a)의 제1 단변(B1)은, 제1 측면(31a)과 원판부(30)의 측면의 우각부에 의하여 형성된다.
제1 측면(31a)의 제2 단변(B2)은, 기어 톱니(31)의 선단 측에 있어서 톱니줄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측면(31a)의 제2 단변(B2)은, 제1 측면(31a)과 톱니 끝면(31c)의 우각부에 의하여 형성된다.
제2 측면(31b)의 제1 단변(B1)은, 기어 톱니(31)의 기단 측에 있어서 톱니줄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측면(31b)의 제1 단변(B1)은, 제2 측면(31b)과 원판부(30)의 측면의 우각부에 의하여 형성된다. 제2 측면(31b)의 제1 단변(B1)은, 둘레 방향에 있어서, 제1 측면(31a)의 제1 단변(B1)과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2 측면(31b)의 제2 단변(B2)은, 기어 톱니(31)의 선단 측에 있어서 톱니줄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측면(31b)의 제2 단변(B2)은, 제2 측면(31b)과 톱니 끝면(31c)의 우각부에 의하여 형성된다. 제2 측면(31b)의 제2 단변(B2)은, 둘레 방향에 있어서, 제1 측면(31a)의 제2 단변(B2)과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1 측면(31a)의 제2 단변(B2) 및 제2 측면(31b)의 제2 단변(B2)은, 톱니 끝면(31c)에도 포함된다고 해석하여도 무방하다.
제1 측면(31a) 및 제2 측면(31b)은, 제3 단변(B3)과 제4 단변(B4)을 더 가진다. 제1 측면(31a)의 제3 단변(B3)은, 기어 톱니(31)의 경방향 내측에 있어서, 제1 측면(31a)의 제1 단변(B1) 및 제1 측면(31a)의 제2 단변(B2)에 접속된다. 제1 측면(31a)의 제3 단변(B3)은, 제1 측면(31a)과 경방향 내측면(31d)의 우각부에 의하여 형성된다.
제1 측면(31a)의 제4 단변(B4)은, 기어 톱니(31)의 경방향 외측에 있어서, 제1 측면(31a)의 제1 단변(B1) 및 제1 측면(31a)의 제2 단변(B2)에 접속된다. 제1 측면(31a)의 제4 단변(B4)은, 제1 측면(31a)과 경방향 외측면(31e)의 우각부에 의하여 형성된다.
제2 측면(31b)의 제3 단변(B3)은, 기어 톱니(31)의 경방향 내측에 있어서, 제2 측면(31b)의 제1 단변(B1) 및 제2 측면(31b)의 제2 단변(B2)에 접속된다. 제2 측면(31b)의 제3 단변(B3)은, 제2 측면(31b)과 경방향 내측면(31d)의 우각부에 의하여 형성된다.
제2 측면(31b)의 제3 단변(B3)은, 둘레 방향에 있어서, 제1 측면(31a)의 제3 단변(B3)과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1 측면(31a)의 제3 단변(B3) 및 제2 측면(31b)의 제3 단변(B3)은, 경방향 내측면(31d)에도 포함된다고 해석하여도 무방하다.
제2 측면(31b)의 제4 단변(B4)은, 기어 톱니(31)의 경방향 외측에 있어서, 제2 측면(31b)의 제1 단변(B1) 및 제2 측면(31b)의 제2 단변(B2)에 접속된다. 제2 측면(31b)의 제4 단변(B4)은, 제2 측면(31b)과 경방향 외측면(31e)의 우각부에 의하여 형성된다.
제2 측면(31b)의 제4 단변(B4)은, 둘레 방향에 있어서, 제1 측면(31a)의 제4 단변(B4)과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1 측면(31a)의 제4 단변(B4) 및 제2 측면(31b)의 제4 단변(B4)은, 경방향 외측면(31e)에도 포함된다고 해석하여도 무방하다.
톱니 끝면(31c)은, 기어 톱니(31)의 선단면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톱니 끝면(31c)은, 본체부(32)의 선단면을 형성한다. 톱니 끝면(31c)은, 경방향 내측면(31d) 및 경방향 외측면(31e)에 접속된다. 톱니 끝면(31c)은, 제1 측면(31a) 및 제2 측면(31b)에 접속된다. 상세하게는, 톱니 끝면(31c)은, 제1 측면(31a)의 제2 단변(B2) 및 제2 측면(31b)의 제2 단변(B2)의 사이에 있어서, 기어 톱니(31)(본체부(32))의 외면을 형성한다.
경방향 내측면(31d)은, 기어 톱니(31)에 있어서 회전축심(X2)에 가까운 측의 외면(外面)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경방향 내측면(31d)은, 연출부(33)에 있어서의 경방향 내측의 외면을 형성한다. 경방향 내측면(31d)은, 톱니 끝면(31c) 및 원판부(30)의 측면에 접속된다. 경방향 내측면(31d)은, 제1 측면(31a) 및 제2 측면(31b)에 접속된다. 상세하게는, 경방향 내측면(31d)은, 제1 측면(31a)의 제3 단변(B3) 및 제2 측면(31b)의 제3 단변(B3)의 사이에 있어서, 기어 톱니(31)(연출부(33))의 외면을 형성한다.
경방향 외측면(31e)은, 기어 톱니(31)에 있어서 회전축심(X2)으로부터 떨어진 측의 외면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경방향 외측면(31e)은, 본체부(32)에 있어서의 경방향 외측의 외면을 형성한다. 경방향 외측면(31e)은, 톱니 끝면(31c) 및 원판부(30)에 접속된다. 경방향 외측면(31e)은, 제1 측면(31a) 및 제2 측면(31b)에 접속된다. 상세하게는, 경방향 외측면(31e)은, 제1 측면(31a)의 제4 단변(B4) 및 제2 측면(31b)의 제4 단변(B4)의 사이에 있어서, 기어 톱니(31)(본체부(32))의 외면을 형성한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각 기어 톱니(31)는, 이하와 같이 구성된다. 도 6a 및 도 6b는, 둘레 방향(R1)(도 5를 참조)에 있어서 각 기어 톱니(31)를 외측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의 도면이다.
도 6a의 파선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맞물림 압력각 b는, 경방향 외측으로부터 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서서히 작아진다. 예를 들어, 맞물림 압력각 b는, 제1 단변(B1)을 따라 경방향 외측으로부터 경방향 내측, 제1 단변(B1)으로부터 제2 단변(B2), 및 제2 단변(B2)을 따라 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서서히 작아진다.
도 6a에서는, 맞물림 종단점이 부호 P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제2 단변(B2) 및 제3 단변(B3)의 교점이, 맞물림 종단점(P)이 되어 있다. 맞물림 종단점(P)은, 맞물림 압력각 b가 가장 작아지는 점이다. 도 6a에서는, 맞물림 종단점(P)을 통과하는 평면(C)이 정의된다. 평면(C)은, 맞물림 종단점(P)을 통과하고, 원판부(30)의 측면에 수직이고, 둘레 방향(R1)으로 연장된다.
여기에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어 톱니(31)를 평면(C)(도 6a를 참조)에 의하여 절단한 단면에 있어서, 맞물림 압력각 b는, 맞물림 종단점(P)을 통과하고 원판부(30)에 평행한 면(P1)과, 맞물림 종단점(P)에 있어서 제1 측면(31a)에 수직인 면(P2)(도 7에 있어서 제1 측면(31a)을 도시하는 선에 수직인 법선)이 이루는 각도이다.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각도 a11은, 맞물림 압력각 b(도 7을 참조)보다 크다. 제1 각도 a11은, 둘레 방향(R1)(도 5를 참조)에 있어서 각 기어 톱니(31)를 외측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 회전축심(X2) 둘레의 원통면(CP1) 및 제3 단변(B3)이 이루는 각도이다. 또한, 제1 각도 a11은, 제2 각도 a21보다 크다. 제2 각도 a21은, 회전축심(X2) 둘레의 원통면(CP2) 및 제4 단변(B4)이 이루는 각도이다. 원통면(CP1, CP2)은, 제2 단변(B2)(본체부(32)의 톱니 끝면(31c))을 통과한다.
도 6c는, 톱니 끝면(31c)에 있어서 제1 측면(31a) 측의 제2 단변(B2)을 포함하고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도 5의 절단선 VIC를 참조)에 의하여 각 기어 톱니(31)를 절단한 단면이다. 이 면(도 5의 절단선 VIC를 참조)은, 톱니 끝면(31c)의 제2 단변(B2)을 포함하고 원판부(30)에 수직인 면으로 해석하여도 무방하다. 덧붙여, 제2 단변(B2)이 직선인 경우, 이 면(도 5의 절단선 VIC를 참조)은 평면이다. 제2 단변(B2)이 곡선인 경우, 이 면(도 5의 절단선 VIC를 참조)은 곡면이다.
도 6c의 단면에 있어서도, 제1 각도 a12는, 맞물림 압력각 b(도 7을 참조)보다 크다. 제1 각도 a12는, 회전축심(X2) 둘레의 원통면(CP1) 및 연출부(33)의 경방향 내측면(31d)이 이루는 각도이다. 또한, 제1 각도 a12는, 제2 각도 a22보다 크다. 제2 각도 a22는, 회전축심(X2) 둘레의 원통면(CP2) 및 본체부(32)의 경방향 외측면(31e)이 이루는 각도이다. 원통면(CP1, CP2)은, 본체부(32)의 톱니 끝면(31c)(제2 단변(B2))을 통과한다.
또한,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측면(31a)의 제1 단변(B1)은, 제1 측면(31a)의 제2 단변(B2)보다 길다. 예를 들어, 제1 측면(31a)의 제2 단변(B2)에 대한 제1 측면(31a)의 제1 단변(B1)의 비는, 1.28 이상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측면(31a)의 제2 단변(B2)에 대한 제1 측면(31a)의 제1 단변(B1)의 비는, 1.28 이상 또한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제2 측면(31b)의 제1 단변(B1)은, 제2 측면(31b)의 제2 단변(B2)보다 길다. 예를 들어, 제2 측면(31b)의 제2 단변(B2)에 대한 제2 측면(31b)의 제1 단변(B1)의 비는, 1.28 이상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측면(31b)의 제2 단변(B2)에 대한 제2 측면(31b)의 제1 단변(B1)의 비는, 1.28 이상 또한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측면(31a)의 제3 단변(B3)은, 제1 측면(31a)의 제4 단변(B4)보다 길다. 예를 들어, 제1 측면(31a)의 제4 단변(B4)에 대한 제1 측면(31a)의 제3 단변(B3)의 비는, 1.10 이상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측면(31a)의 제4 단변(B4)에 대한 제1 측면(31a)의 제3 단변(B3)의 비는, 1.10 이상 또한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제2 측면(31b)의 제3 단변(B3)은, 제2 측면(31b)의 제4 단변(B4)보다 길다. 예를 들어, 제2 측면(31b)의 제4 단변(B4)에 대한 제2 측면(31b)의 제3 단변(B3)의 비는, 1.10 이상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측면(31b)의 제4 단변(B4)에 대한 제2 측면(31b)의 제3 단변(B3)의 비는, 1.10 이상 또한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스피닝 릴(100)의 구동 기어(11)에서는, 각 기어 톱니(31)에 있어서, 연출부(33)가 본체부(32)로부터 경방향 내측으로 연출한다. 여기에서, 제1 각도 a11, a12가 맞물림 압력각 b보다 크다. 덧붙여, 종래 기술에서는, 각 기어 톱니(31)에는, 연출부(33)가 형성되지 않고, 본체부(32)만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기어 톱니(31)에 연출부(33)를 설치하고, 제1 각도 a11, a12를 맞물림 압력각 b보다 크게 하는 것에 의하여, 각 기어 톱니(31)의 톱니 끝에 있어서의 내주 측의 우각부에 생기는 응력, 예를 들어 제1 각도 a11, a12를 가지는 우각부에 생기는 응력을 종래 기술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구동 기어(11)의 회전 필링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구동 기어(11)의 회전 필링을 향상하는 것에 의하여, 구동 기어(11)의 회전 시에 생기는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구동 기어(11)에서는, 제1 각도 a11, a12가 제2 각도 a21, a22보다 크다. 이것에 의하여, 구동 기어(11)의 회전 필링을 호적하게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구동 기어(11)의 회전 시에 생기는 이음의 발생을 호적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구동 기어(11)에서는, 제1 단변(B1)은 제2 단변(B2)보다 길다. 상세하게는, 구동 기어(11)에서는, 제2 단변(B2)에 대한 제1 단변(B1)의 비가, 1.28 이상이다. 이것에 의하여, 각 기어 톱니(31)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구동 기어(11)의 회전 필링을 보다 호적하게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구동 기어(11)의 회전 시에 생기는 이음의 발생을 보다 호적하게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구동 기어(11)에서는, 제3 단변(B3)은 제4 단변(B4)보다 길다. 상세하게는, 구동 기어(11)에서는, 제4 단변(B4)에 대한 제3 단변(B3)의 비가, 1.10 이상이다. 이것에 의하여, 구동 기어(11)의 회전 필링을 보다 호적하게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구동 기어(11)의 회전 시에 생기는 이음의 발생을 보다 호적하게 억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특히, 본 명세서에 쓰여진 복수의 실시 형태 및 변형예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합 가능하다.
(a) 상기 실시 형태의 구동 기어(11)는, 형성형(型成形)에 의하여 형성하여도, 기계 가공에 의하여 형성하여도,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b)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낚시용 릴로서 스피닝 릴(100)을 이용하여 설명이 행하여졌지만, 본 발명은 그 외의 낚시용 릴에도 적용할 수 있다.
(c)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맞물림 종단점(P)이 제2 단변(B2) 및 제3 단변(B3)의 교점인 경우의 예가 나타내졌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맞물림에 사용되지 않는 영역(NR1)(파선 영역)은, 제2 단변(B2) 및 제3 단변(B3)의 교점을 제외한 제1 측면(31a)에 형성된다.
이것에 대하여,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맞물림에 사용되지 않는 영역(NR2)(파선 영역)은, 제2 단변(B2) 및 제3 단변(B3)의 교점을 포함하는 제1 측면(31a)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맞물림 종단점(P)은, 제2 단변(B2) 및 제3 단변(B3)의 교점을 제외하여, 제2 단변(B2) 상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맞물림 종단점(P)은, 맞물림에 사용되지 않는 영역(NR1, NR2)(파선 영역)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어서, 제2 단변(B2) 상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였다고 하여도, 제1 각도 a11, a12, 제2 각도 a21, a22, 및 맞물림 압력각 b의 관계가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되도록, 기어 톱니(31)는 형성된다.
11: 구동 기어
30: 원판부
31: 기어 톱니
31a: 제1 측면
31b: 제2 측면
31c: 톱니 끝면
31d: 경방향 내측면
31e: 경방향 외측면
32: 본체부
33: 연출부
B1: 제1 단변
B2: 제2 단변
B3: 제3 단변
B4: 제4 단변
a11, a12: 제1 각도
a21, a22: 제2 각도
b: 맞물림 압력각

Claims (7)

  1. 낚시용 릴에 이용되는 구동 기어에 있어서,
    회전축심을 가지는 원판부와,
    상기 원판부에 있어서의 외주(外周) 측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심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각각 별도로 돌출하는 복수의 기어 톱니
    를 구비하고,
    상기 기어 톱니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경(徑)방향 내측으로 연출(延出)하는 연출부(延出部)를 가지고,
    상기 본체부의 축 방향 외측면을 통과하는 상기 회전축심 둘레의 원통면(圓筒面)과 상기 연출부의 경방향 내측면이 이루는 제1 각도는, 맞물림 압력각보다 큰,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는, 상기 원통면과 상기 본체부의 경방향 외측면이 이루는 제2 각도보다 큰,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한 쌍의 톱니면은,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연출부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톱니면은, 상기 기어 톱니의 기단(基端) 측에 있어서 톱니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단변(端邊)과, 상기 기어 톱니의 선단 측에 있어서 톱니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단변을 가지고,
    상기 제1 단변은, 상기 제2 단변보다 긴,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변에 대한 상기 제1 단변의 비는, 1.28 이상인,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면은, 상기 기어 톱니의 경방향 내측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변 및 상기 제2 단변을 접속하는 제3 단변과, 상기 기어 톱니의 경방향 외측에서 상기 제1 단변 및 상기 제2 단변을 접속하는 제4 단변을 더 가지고,
    상기 제3 단변은, 상기 제4 단변보다 긴,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변에 대한 상기 제3 단변의 비는, 1.10 이상인,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
  7. 릴 본체와,
    상기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핸들과,
    상기 핸들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동 기어
    를 구비하는 낚시용 릴.
KR1020210006497A 2020-04-14 2021-01-18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 KR202101276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72237A JP7458874B2 (ja) 2020-04-14 2020-04-14 釣り用リールの駆動ギア
JPJP-P-2020-072237 2020-04-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7601A true KR20210127601A (ko) 2021-10-22

Family

ID=75472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497A KR20210127601A (ko) 2020-04-14 2021-01-18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971093B2 (ko)
JP (1) JP7458874B2 (ko)
KR (1) KR20210127601A (ko)
CN (1) CN113519473A (ko)
DE (1) DE102021202327B4 (ko)
GB (1) GB2595953A (ko)
TW (1) TW20213787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76714B2 (en) * 2019-04-10 2024-05-07 Sew-Eurodrive Gmbh & Co. Kg Gear unit including a rotatably mounted toothed part,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a gear unit including a toothed par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2796A (ja) 1993-09-01 1994-07-22 Canon Inc 情報記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21022A1 (en) * 2002-08-02 2004-02-05 Daiwa Seiko, Inc. Face gea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E102005024455B4 (de) 2005-05-24 2007-03-08 Gkn Driveline International Gmbh Kronenrad und Differentialanordnung mit einem Kronenrad
JP2007259713A (ja) 2006-03-27 2007-10-11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DE102007054764B4 (de) 2007-11-14 2014-10-23 Ass Ag Antriebstechnik Kronenrad und Kronenraddifferenzial
JP5501190B2 (ja) 2010-10-21 2014-05-21 株式会社シマノ フェースギアの噛み合い進行方向線決定方法、フェースギアの製造方法、フェースギア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駆動装置
JP6202796B2 (ja) 2012-09-25 2017-09-27 株式会社シマノ 駆動ギア
JP6565537B2 (ja) 2015-09-24 2019-08-2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ギヤ伝動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2796A (ja) 1993-09-01 1994-07-22 Canon Inc 情報記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17904A1 (en) 2021-10-14
DE102021202327A1 (de) 2021-10-14
GB202103295D0 (en) 2021-04-21
JP2021168604A (ja) 2021-10-28
TW202137878A (zh) 2021-10-16
GB2595953A (en) 2021-12-15
CN113519473A (zh) 2021-10-22
US11971093B2 (en) 2024-04-30
DE102021202327B4 (de) 2024-05-02
JP7458874B2 (ja) 202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48988A (zh) 动力转向装置
US20190327948A1 (en) Torque limiting device for fishing reel and spinning reel
KR20210127601A (ko)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
JP5480845B2 (ja) 遊星歯車機構
WO2020195648A1 (ja) 開閉部材駆動装置
JP4187911B2 (ja) 魚釣用リール
WO2020195649A1 (ja) 開閉部材駆動装置および開閉装置
US9054562B2 (en) Geared mo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010104322A (ja) 魚釣用リール
JP2020162696A (ja) 開閉部材駆動装置
JP6845669B2 (ja) 釣用リールのギア装着構造
JP2007259713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5038373A (ja) フリクション機構およびギヤードモータ
JP2020162694A (ja) 開閉部材駆動装置
JP6159279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WO2018211998A1 (ja) 波動歯車装置
JP2022097274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9041716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JP5754151B2 (ja) ウォームギヤ装置
JP2013047543A (ja) 継手ヨークおよび継手
JP2007037556A (ja) 魚釣用リール
JP4932425B2 (ja) ギヤードモータ
JP2004068964A (ja) 歯車機構
JP2023059588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24003868A (ja) 切断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