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7568A -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7568A
KR20210127568A KR1020200045603A KR20200045603A KR20210127568A KR 20210127568 A KR20210127568 A KR 20210127568A KR 1020200045603 A KR1020200045603 A KR 1020200045603A KR 20200045603 A KR20200045603 A KR 20200045603A KR 20210127568 A KR20210127568 A KR 20210127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layer
conductive member
flat cable
flexible flat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5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3487B1 (ko
Inventor
유봉영
김유정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45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487B1/ko
Publication of KR20210127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7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heat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22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32Filling or coating with impervious material

Abstract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대한 것으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방법은 전도필름을 수직방향으로 커팅(Cutting)하여, 제1 전도부재 및 제2 전도부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도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제1 전도부재의 상면 및 제2 전도부재의 하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제1 전도부재와 제1 절연층을 접합하고, 제2 전도부재와 제2 절연층을 접합하는 단계 및 제1 전도부재와 제1 절연층을 포함하는 제1 커넥터 및 제2 전도부재와 제2 절연층을 포함하는 제2 커넥터를 분리하여 복수의 커넥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분리하는 단계 이후, 커넥터의 상면에 제3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커넥터의 하면 및 제3 절연층의 상면에 쉴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쉴딩층의 상면 및 하면에 제4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Method For Manufacturing Flexible Flat Cable And Flexible Flat Cable Manufactured Thereby}
선택적 라미네이팅(Laminating)을 이용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모바일기기 등 전자기기의 크기가 점점 소형화되고, 무게는 점점 경량화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전자기기 내부에 조립되는 전자부품 및 인쇄회로기판을 서로 연결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FFC)의 크기 및 무게 또한 줄어들고 있다. 이를 위해, 필름 타입 커넥터(Film Type Connector)를 이용한 전기적 접속(Electrical Connection) 방법이 고안되었다.
종래의 일반적으로 쓰이는 필름 타입 커넥터 제조 기술은 절연 물질에 금속배선을 형성하는 기술로써, 절연을 위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와 폴리아미드(Polyimide, PI) 등이 사용되고, 절연필름 위에 구리(Cu) 등의 금속을 도금한다. 이후 금속을 원하는 패턴으로 도체를 형성하고, 패턴 외의 나머지 부분을 제거하여 금속 패턴만 남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금속 배선을 패터닝(Patterning)하기 때문에 패턴 외의 금속재료의 손실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미세 배선을 패터닝하는 공정일수록 스텝 커버리지(Step Coverage) 등의 문제가 있어 원하는 배선 모양을 일정하게 제작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 및 어려움을 개선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이에 대한 보완기술 및 연구가 지속적으로 개발 및 활발히 진행중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58626호(평판 케이블 제조 방법,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2018.06.01)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99870호(FFC 케이블 및 회로필름 제조방법, 한성전자 주식회사, 2016.08.23)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175556호(패턴화된 금속필름의 제조방법, 한국과학기술원, 2012.08.14)
금속박막 일부분에 선택적으로 접착제 도포 후, 절연물질을 라미네이팅하고 분리하여 두개의 케이블을 형성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제공한다.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는 전도필름을 수직방향으로 커팅하여, 제1 전도부재 및 제2 전도부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도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제1 전도부재의 상면 및 제2 전도부재의 하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제1 전도부재의 상면에 제1 절연층을 접합하고, 제2 전도부재의 하면에 제2 절연층을 접합하는 단계 및 제1 전도부재와 제1 절연층을 포함하는 제1 커넥터 및 제2 전도부재와 제2 절연층을 포함하는 제2 커넥터를 분리하여 복수의 커넥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분리하는 단계 이후, 커넥터의 상면에 제3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커넥터의 하면 및 제3 절연층의 상면에 쉴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쉴딩층의 상면 및 하면에 제4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는 전도부재 일면의 면적보다 작게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는 전도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하여 도포하는 것을 더 특징으로 더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는 전도부재 사이에 전도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부재를 삽입하고, 일정 간격으로 벌어진 틈을 형성하여 도포하며, 도포가 완료되면 삽입부재를 제거하는 것을 더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접합하는 단계는 제1 절연층 및 제2 절연층에 열 또는 압력을 가해 접합하는 라미네이팅 기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3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커넥터의 상면에 제3 절연층을 접합 및 몰딩할 수 있다.
또한, 쉴딩층은 상부에 전자파 차폐층 및 하부에 열 차폐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전자파 차폐층은 알루미늄(Aluminum, Al) 및 포일(Foi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열 차폐층은 다공성(Porous) 기재일 수 있다.
또한, 제4 절연층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아미드(Polyimide, PI) 및 폴리에틸렌 나프타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도필름은 구리(Copper), 은(Silver) 및 카본(Carb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는 핫 멜트 접착제(Hot-Melt Adhesive)일 수 있다.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일 실시예는 전도필름을 수직방향으로 커팅하여, 제1 전도부재 및 제2 전도부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도부재를 형성하고, 제1 전도부재의 상면 및 제2 전도부재의 하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며, 제1 전도부재와 제1 절연층을 접합하고, 제2 전도부재와 제2 절연층을 접합하며, 제1 전도부재와 제1 절연층을 포함하는 제1 커넥터 및 제2 전도부재와 제2 절연층을 포함하는 제2 커넥터를 분리하여 형성된 복수의 커넥터, 커넥터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3 절연층, 커넥터의 하면 및 제3 절연층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쉴딩층 및 쉴딩층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4 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절연층 내지 제3 절연층은 필름 타입일 수 있고, 제3 절연층은 접착물질이 도포된 필름 또는 열접착성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 형태일 수 있다.
절연물질 상에 도금된 금속박막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및 에칭(Etching) 공정을 선택적 라미네이팅 기법으로 대체함으로써, 한 번의 공정으로 두 개의 케이블을 제조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필름을 커팅하여 복수의 전도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부터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분리하는 단계까지의 순서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필름을 커팅하여 제1 전도부재 및 제2 전도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d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e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도부재와 제1 절연층을 접합하고, 제2 전도부재와 제2 절연층을 접합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f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분리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분리하는 단계부터 제4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까지의 순서도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절연층을 접합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절연층을 몰딩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쉴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도 1 내지 도 2f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방법 중 전도필름을 커팅하여 복수의 전도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부터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분리하는 단계까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 내지 도 4d는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분리하는 단계부터 제4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까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1 전도부재 및 제2 전도부재는 첨부된 도면에 따라 이를 포함하는 전도부재 또는 복수의 전도부재로 통칭하여 설명하거나 각각 따로 통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분리하면 복수의 커넥터가 형성되는데, 분리하는 단계 이후 제3 절연층, 쉴딩층 및 제4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에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제1 커넥터를 이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4d는 제1 커넥터를 이용하여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제조하는 것에 대해 설명되어 있지만, 제2 커넥터 또한 동일한 제조방법을 통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제조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도필름을 커팅하여 복수의 전도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부터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분리하는 단계까지의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방법은 전도필름(100)을 커팅하여 복수의 전도부재(110, 130)을 형성하는 단계(S110), 전도부재(110, 130)에 접착제(200)를 도포하는 단계(S120), 전도부재(110, 130)과 제1 절연층(310) 및 제2 절연층(330)을 접합하는 단계(S130) 및 제1 커넥터(410) 및 제2 커넥터(430)을 분리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방법을 도 2a 내지 도 2f를 참조하여 각 단계별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도필름을 커팅하여 제1 전도부재 및 제2 전도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전도필름(100)은 구리(Copper), 은(Silver) 및 카본(Carb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열 또는 전기와 같은 에너지가 전해지는 전도 물질이라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전도필름(100)을 커팅하는 단계(S110)는 미리 설정한 일정 길이의 간격으로 커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로길이 30㎛(마이크로미터)의 전도필름(100)이 준비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6㎛ 간격으로 커팅하여 다섯 개의 전도필름(10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도필름(100)을 커팅할 시 열 커팅, 부식 커팅 및 기계식 커팅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전도필름(100)을 커팅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도필름(100)을 커팅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접착제(200)는 핫 멜트 접착제(Hot-Melt Adhesive)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핫 멜트 접착제는 열가소성 수지(Thermoplastic Resin)만을 사용하여 고온에서 액상으로 피착제에 도포 및 접합 후 수초 내에 냉각고화되면서 접착력을 발휘하는 열용융 접착제를 일컫는다. 그러나 접착제(200)는 핫 멜트 접착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열 또는 압력을 통해 피착제를 접착할 수 있는 접착물질이라면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200)를 도포할 시, 전도부재(110, 130) 일면의 면적보다 작게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전도부재(110, 130)의 면적이 180㎛(6㎛ X 30㎛)라면, 135㎛(5㎛ X 27㎛)의 면적을 갖도록 접착제(200)를 도포할 수 있다. 다만, 상기에서 명시된 복수의 전도부재(110, 130) 및 접착제(200)를 도포하는 면적 및 길이는 본 발명을 이해하는 데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특정 값으로 한정하여 설명한 것이다.
또한, 제1 전도부재(110)의 상면 및 제2 전도부재(130)의 하면에 접착제(200)를 도포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복수의 전도부재(110, 130)의 일면에만 접착제(200)를 도포할 수 있다.
또한, 도 2b에서는 가장 좌측에 위치한 전도부재(110, 130)부터 접착제(200)가 하면, 상면, 하면, 상면, 하면에 도포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지만, 접착제(200)를 도포하는 면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조업자의 정의 또는 케이블의 특징을 기초로 도포하는 면이 다를 수 있다.
도 2c 및 도 2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c를 참조하면, 접착제(200)를 도포할 시, 전도부재(110, 130)의 길이방향으로 제1 전도부재(110) 및 제2 전도부재(130)을 일정 거리 이격하여 접착제(200)를 도포하는 것을 더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전도부재(110, 130)을 2㎛ 간격으로 이격한 후, 도 2b에서 명시된 바(접착제(200)가 도포된 면적 < 전도부재(110, 130)의 면적)처럼 도포 또는 도 2c에서 명시된 바(접착제(200)가 도포된 면적 ≤ 전도부재(110, 130)의 면적)와 같이 도포할 수 있다.
또한, 도 2d를 참조하면, 접착제(200)를 도포할 시, 전도부재(110, 130) 사이에 전도부재(110, 130)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부재(210)를 삽입하여 일정 간격으로 벌어진 틈을 형성하여 도포하며, 도포가 완료되면 삽입부재(210)를 제거하는 것을 더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도부재(110, 130)과 동일한 길이의 삽입부재(210)를 전도부재(110, 130)의 상면 및 하면에 삽입하면, 1㎛ 간격으로 벌어진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이후, 도 2b에서 명시된 바(접착제(200)가 도포된 면적 < 전도부재(110, 130)의 면적)처럼 도포 또는 도 2c에서 명시된 바(접착제(200)가 도포된 면적 ≤ 전도부재(110, 130)의 면적)와 같이 도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접착제(200)를 도포한 이후 접합할 시, 열 또는 압력이 주어지기 때문에 접착제가 넓게 분포될 가능성이 있어, 접착제(200)의 면적을 줄이거나 일정 간격 이격 또는 삽입부재(210)를 통해 복수개의 전도부재(110, 130)간의 접합을 방지하고자 도 2b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복수개의 전도부재(110, 130)간의 접합을 방지하고자 하는 방법은 본 발명에서 참조한 도 2b 내지 도 2d의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도부재(110, 130)간의 접합을 방지하고자 하는 방법이라면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2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전도부재와 제1 절연층을 접합하고, 제2 전도부재와 제2 절연층을 접합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e를 참조하면, 전도부재(110, 130)에 접착제(200)를 도포하면 제1 전도부재(110)의 상면에 제1 절연층(310)을 접합하고, 제2 전도부재(130)의 하면에 제2 절연층(330)을 접합할 수 있다.
또한, 제1 절연층(310) 및 제2 절연층(330)은 필름 타입의 절연필름일 수 있다.
또한, 제1 절연층(310) 및 제2 절연층(330)에 열 또는 압력을 가해 접합하는 라미네이팅 기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라미네이팅 기법은 열가소성 접착 방식을 통해 제1 절연층(310) 및 제2 절연층(330)을 라미네이팅할 수 있다. 여기서 라미네이팅 기법은 제1 전도부재(110)의 상면에 제1 절연층(310)을 적층하고, 제2 전도부재(330)의 하면에 제2 절연층(330)을 적층하여 고온 또는 압력을 가하는 과정을 말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접합하는 단계(S130)에서 고온 또는 압력을 통해 접착제(200)가 용융되어 제1 전도부재(110)의 상면에 제1 절연층(310)이 접합되고, 제2 전도부재(130)의 하면에 제2 절연층(330)이 접합되어질 수 있다. 또한,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절연층(310)은 복수개의 전도부재(110, 130) 중 가장 좌측에서부터 두 번째 및 네 번째에 위치한 제1 전도부재(110)과 접합되어질 수 있고,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절연층(330)은 첫 번째, 세 번째 및 다섯 번째에 위치한 제2 전도부재(130)과 접합되어질 수 있다.
도 2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분리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f를 참조하면, 제1 전도부재(110)과 제1 절연층(310)을 포함하는 제1 커넥터(430) 및 제2 전도부재(130)과 제2 절연층(330)을 포함하는 제2 커넥터(430)를 분리하여 복수의 커넥터(410, 43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분리하는 단계부터 제4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까지의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방법은 제1 커넥터(410) 및 제2 커넥터(430)를 분리하는 단계(S140) 이후 제3 절연층(500)을 형성하는 단계(S150), 쉴딩층(600)을 형성하는 단계(S160) 및 제4 절연층(700)을 형성하는 단계(S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절연층(500)을 형성하는 단계(S150)는 제1 커넥터(410) 및 제2 커넥터(430)의 상면에 제3 절연층(500)을 접합 및 몰딩할 수 있다.
또한, 제3 절연층(500)은 필름 타입의 절연필름일 수 있고, 접착물질이 도포된 필름 도는 열접착성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방법을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각 단계별로 상세하게 더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더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부터는 제1 전도부재(110) 및 제1 절연층(310)을 포함하여 제1 커넥터(410)로 통칭하도록 한다. 또한, 제2 커넥터(430)를 이용하여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제조하는 방법은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제1 커넥터(410)을 이용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을 제조하는 방법과 동일하기에, 본 발명에서는 제1 커넥터(410)를 이용하여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을 제조하는 방법만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절연층을 접합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1 커넥터(410) 상면에 제3 절연층(500)를 접합할 시, 이상에서 도 2e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라미네이팅 기법을 이용하여 접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a에서는 라미네이팅 기법과 관련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절연층을 몰딩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접합 이후 제3 절연층(500)을 몰딩하는 방법은 디스펜싱 몰딩(Dispensing Molding), 컴프레션 몰딩(Compression Molding) 및 트랜스퍼 몰딩(Transfer Molding)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몰딩하는 단계가 완료되면 도 4b와 같이 제1 커넥터(410) 형상에 맞게 제3 절연층(500)이 접합 및 형성되어질 수 있다.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쉴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c를 참조하면, 제1 커넥터(410)의 하면 및 제3 절연층(500)의 상면에 쉴딩층(600)을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쉴딩층(600)은 상부에 전자파 차폐층(610) 및 하부에 열 차폐층(63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2 절연층(50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쉴딩층(600)은 상부가 전자파 차폐층(610)이고, 하부가 열 차폐층(630)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 커넥터(410)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쉴딩층(600)은 상부가 열 차폐층(630) 및 하부가 전자파 차폐층(610)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3 절연층(50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쉴딩층(600) 및 제1 커넥터(410)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쉴딩층(600)은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자파 차폐층(610)은 알루미늄 및 포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파를 차폐하는 전자기적 성질의 물질이면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열 차폐층(630)은 다공성 기재일 수 있다. 여기서 다공성이란 고체의 표면이나 내부에 작은 구명(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 또는 물질을 조성하는 분자와 분자 사이에 틈이 있는 성질을 일컫는다. 예를 들어, 구리(합금), 강철과 같은 금속 입자를 내부에 공극을 남겨 소결한 기재가 될 수 있다.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4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d를 참조하면, 쉴딩층(600)의 상면 및 하면에 제4 절연층(700)을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4 절연층(700)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아미드(Polyimide, PI) 및 폴리에틸렌 나프타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열성, 강성 및 전기적 성질을 지닌 고분자 화합물이면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은 전도필름(100)을 수직방향으로 커팅하여, 제1 전도부재(110) 및 제2 전도부재(130)을 포함하는 복수의 전도부재(110, 130)을 형성하고, 제1 전도부재(110)의 상면 및 제2 전도부재(130)의 하면에 접착제(200)를 도포하며, 제1 전도부재(110)과 제1 절연층(310)을 접합하고, 제2 전도부재(130)과 제2 절연층(330)을 접합하며, 제1 전도부재(110)과 제1 절연층(310)을 포함하는 제1 커넥터(410) 및 제2 전도부재(130)과 제2 절연층(330)을 포함하는 제2 커넥터(430)를 분리하여 형성된 복수의 커넥터(410, 430), 커넥터(410, 43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3 절연층(500), 커넥터(410, 430)의 하면 및 제3 절연층(50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쉴딩층(600) 및 쉴딩층(600)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4 절연층(7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을 제조하는 공정은 롤투롤(Roll-to-roll) 생산방식일 수 있다.
1: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100: 전도필름
110: 제1 전도부재
130: 제2 전도부재
200: 접착제
210: 삽입부재
310: 제1 절연층
330: 제2 절연층
410: 제1 커넥터
430: 제2 커넥터
500: 제3 절연층
600: 쉴딩층
610: 전자파 차폐층
630: 열 차폐층
700: 제4 절연층

Claims (15)

  1. 전도필름을 수직방향으로 커팅(Cutting)하여, 제1 전도부재 및 제2 전도부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도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전도부재의 상면 및 상기 제2 전도부재의 하면에 접착제를 도포(Apply)하는 단계;
    상기 제1 전도부재의 상면에 제1 절연층을 접합(Adhesion)하고, 상기 제2 전도부재의 하면에 제2 절연층을 접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도부재와 상기 제1 절연층을 포함하는 제1 커넥터(Connector) 및 상기 제2 전도부재와 상기 제2 절연층을 포함하는 제2 커넥터를 분리(Separation)하여 복수의 커넥터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하는 단계 이후,
    상기 커넥터의 상면에 제3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커넥터의 하면 및 상기 제3 절연층의 상면에 쉴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쉴딩층의 상면 및 하면에 제4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는,
    상기 전도부재 일면의 면적보다 작게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는,
    상기 전도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하여 도포하는 것을 더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는,
    상기 전도부재 사이에 상기 전도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부재를 삽입하고, 일정 간격으로 벌어진 틈을 형성하여 도포하며, 도포가 완료되면 삽입부재를 제거하는 것을 더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절연층 및 상기 제2 절연층에 열 또는 압력을 가해 접합하는 라미네이팅(Laminating) 기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커넥터의 상면에 상기 제3 절연층을 접합 및 몰딩(Molding)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쉴딩층은 상부에 전자파 차폐층 및 하부에 열 차폐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차폐층은 알루미늄(Aluminum, Al) 및 포일(Foi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열 차폐층은 다공성(Porous) 기재인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방법.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절연층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아미드(Polyimide, PI) 및 폴리에틸렌 나프타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부재는 구리(Copper), 은(Silver) 및 카본(Carb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핫 멜트 접착제(Hot-Melt Adhesive)인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으로,
    전도필름을 수직방향으로 커팅하여, 제1 전도부재 및 제2 전도부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도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전도부재의 상면 및 상기 제2 전도부재의 하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며, 상기 제1 전도부재와 제1 절연층을 접합하고, 상기 제2 전도부재와 제2 절연층을 접합하며, 상기 제1 전도부재와 상기 제1 절연층을 포함하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전도부재와 상기 제2 절연층을 포함하는 제2 커넥터를 분리하여 형성된 복수의 커넥터;
    상기 커넥터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3 절연층;
    상기 커넥터의 하면 및 상기 제3 절연층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쉴딩층; 및
    상기 쉴딩층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4 절연층;
    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층 내지 상기 제3 절연층은 필름 타입(Film Type)이고,
    상기 제3 절연층은 접착물질이 도포된 필름 또는 열접착성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 형태인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KR1020200045603A 2020-04-14 2020-04-14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KR102423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603A KR102423487B1 (ko) 2020-04-14 2020-04-14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603A KR102423487B1 (ko) 2020-04-14 2020-04-14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7568A true KR20210127568A (ko) 2021-10-22
KR102423487B1 KR102423487B1 (ko) 2022-07-20

Family

ID=78275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5603A KR102423487B1 (ko) 2020-04-14 2020-04-14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348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6574A (ja) * 1994-02-15 1995-08-22 Sumitomo Wiring Syst Ltd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の製造方法及び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用材料の製造方法
JP2674820B2 (ja) * 1989-01-31 1997-11-12 ソニーケミカル株式会社 自動専用フラット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H11306869A (ja) * 1998-04-08 1999-11-05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064478A (ja) * 2010-09-17 2012-03-29 Totoku Electric Co Ltd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
KR101175556B1 (ko) 2010-06-21 2012-08-21 한국과학기술원 패턴화된 금속필름의 제조방법
KR20160099870A (ko) 2015-02-13 2016-08-23 한성전자 주식회사 Ffc 케이블 및 회로필름 제조방법
KR20180058626A (ko) 2016-11-24 2018-06-01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평판 케이블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4820B2 (ja) * 1989-01-31 1997-11-12 ソニーケミカル株式会社 自動専用フラット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H07226574A (ja) * 1994-02-15 1995-08-22 Sumitomo Wiring Syst Ltd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の製造方法及び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用材料の製造方法
JPH11306869A (ja) * 1998-04-08 1999-11-05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75556B1 (ko) 2010-06-21 2012-08-21 한국과학기술원 패턴화된 금속필름의 제조방법
JP2012064478A (ja) * 2010-09-17 2012-03-29 Totoku Electric Co Ltd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
KR20160099870A (ko) 2015-02-13 2016-08-23 한성전자 주식회사 Ffc 케이블 및 회로필름 제조방법
KR20180058626A (ko) 2016-11-24 2018-06-01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평판 케이블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3487B1 (ko) 2022-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15037B1 (en) Process for producing a bending-type rigid printed wiring board
CN106332474B (zh) 刚性柔性基板及其制造方法
KR100307671B1 (ko) 배선구성체및그의제조방법및그의배선구성체를이용한회로기판
US11791577B2 (en) Forming connections to flexible interconnect circuits
CN111096089B (zh) 互连电路方法和器件
JP2012094597A (ja) 配線基板の製造方法
CN104982097A (zh) 内置有零件的基板及其制造方法
US9510455B2 (en) Electronic component embedded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423487B1 (ko)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CN110769668B (zh) 电磁屏蔽膜、线路板及电磁屏蔽膜的制备方法
CN105530765A (zh) 具有内埋元件的电路板及其制作方法
JP5482734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
JP2000340037A (ja) 異方性導電膜及びその製造方法
JP5125910B2 (ja) 接続部材,その形成方法,接続構造およびその形成方法
CN110784989A (zh) 自由接地膜、线路板及自由接地膜的制备方法
CN104640382B (zh) 复合基板和刚性基板
CN216531888U (zh) 树脂多层基板
WO2015125951A1 (ja) 多層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多層基板
JP2010232596A (ja) 多層配線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多層配線基板
JP2008235665A (ja) フレキシブル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8040355A (en) Forming a connection with a flexible interconnect circuit
US20190156991A1 (en)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nic component
JP2007311723A (ja) 多層回路基板
CN115707189A (zh) 布线电路基板的制造方法
JP4918917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