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7203A - 신발끈이 구비된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끈이 구비된 신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27203A KR20210127203A KR1020217029126A KR20217029126A KR20210127203A KR 20210127203 A KR20210127203 A KR 20210127203A KR 1020217029126 A KR1020217029126 A KR 1020217029126A KR 20217029126 A KR20217029126 A KR 20217029126A KR 20210127203 A KR20210127203 A KR 202101272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dge element
- shoelace
- shoe
- edge
- annulus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10000002105 tongu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985 leath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26 adhesive bo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66 destr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1261 hazardous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1 molded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53 texti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5/00—Eyelet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2—Shoe lacing fastenings with elastic lace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9/00—Laces; Laces in general for garments made of textiles, leather, or plastic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탄한 상부(3)의 2줄의 아이렛(4) 및 아이렛(4)에 꿰어지는 신발끈(1), 및 상부(3)의 하나의 아이렛(4)에 체결되며, 아이렛(4)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되고, 신발끈(1)이 연장되는 관통 구멍(5)을 가지는 에지 요소(2, 9, 14)를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에지 요소(2, 9, 14)와 상기 요소를 통과하는 신발끈(1)의 종방향 영역 사이에 영구적 강성 연결, 즉 비파괴적으로 분리될 수 없는 강성 연결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발끈이 구비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끈이 구비된 신발은, 발의 발등을 덮도록 의도된 평탄한 상부의 일부에서, 평탄한 상부를 통과하는, 서로 이격되어 발등의 능선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2줄의 아이렛(eyelet), 즉 관통 구멍(through-hole)을 갖는다. 신발끈(끈 또는 줄)은 지그재그선을 형성하도록 개별 아이렛을 통해 꿰어지는데, 이 선을 따라 각각의 경우 한 줄의 아이렛 및 다른 줄의 아이렛이 서로 교번적으로 이어진다. 각각의 경우 신발끈의 두 자유 단부 중 하나는 (일반적으로) 두 줄의 각각의 상부 아이렛으로부터 돌출된다. 신발을 발 주위에 조이기 위해, 신발끈의 양 단부가 당겨지고, 그 결과 2줄의 아이렛이 서로를 향해 이동된다. 신발을 신기 위해, 조여진 신발끈의 양 단부가 (일반적으로 서로) 해제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되고, 그에 따라 신발끈이 팽팽하게 유지된다. 신발을 벗기 위해, 신발끈의 장력이 감소될 수 있도록, 신발끈의 양 단부의 고정이 해제된다; 2줄의 아이렛은 서로 멀어지게 이동되고, 그 결과 신발끈의 양 단부는 아이렛 줄의 각각의 다음 구멍을 향해 당겨진다.
예로서, 문헌 CH 264894 A, DE 446586 C, DE 1625874 U, 및 US 3526977 A는 각각 신발끈을 개시하는데, 통상적으로 편평한 원형 디스크 형태를 가지며 신발끈보다 훨씬 더 큰 직경을 갖는 단말부가 일 단부에 제공된다. 의도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신발끈은 먼저 얇은 단부를 1줄의 구멍 중 최하위 구멍에 넣어 꿰어진 후, 최하위 구멍의 내측으로부터 신발의 평탄한 재료에 대해 단말부를 통해 지지될 때까지, 2줄의 구멍에서 구멍들을 통해 지그재그로 당겨진다. 신발끈의 얇은 자유 단부는 신발끈이 팽팽해지도록 당겨진다. 신발끈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 신발에 고정되는 유지 요소를 이용하는데, 신발끈의 자유 단부 영역이 이에 견고하게 클램핑될 수 있다. 이러한 끈 방식의 목적은 사용자가 한 손으로 신발끈을 팽팽하게 하고 고정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데에 있다.
문헌 US 797743 A, US 756690 A, 및 WO 2016020898 A1은 평탄한 상부의 1개 또는 2개의 관통 구멍의 에지에 유지 요소가 각각 제공되는 신발을 개시한다. 유지 요소는 에지 관통 구멍을 통해 꿰어지는 신발끈의 단부 영역이 해제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요소들을 구비한다. 유지 요소는 다른 경우라면 일반적으로 신발끈의 양 단부를 함께 매듭짓는 것을 대체한다.
많은 끈 방식의 신발, 특히 매우 짧은 줄의 아이렛을 갖는 끈 방식의 신발에서, 신발끈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아이렛들에 대해 움직여서, 신발끈의 일 단부가 너무 길게 상부 아이렛으로부터 돌출되고 다른 단부가 너무 짧게 되어, 양 단부가 깔끔한 매듭으로 함께 묶일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DE 20 2011 003 919 U1은 2줄의 아이렛 중 2개의 최하위 아이렛 사이에 놓이는 신발끈의 각각의 세그먼트 상에 차단 요소로서 클램핑부를 클램핑하는 것을 제안하는데, 상기 클램핑부는 종방향 슬롯이 형성된 원기둥형 쉘의 형태를 가지며, 미끄러질 수 없도록 신발끈을 팽팽하게 클램핑한다. 차단 요소는 부피가 커서 아이렛을 통해 슬라이딩할 수 없고, 그 결과 전체 신발끈은 상당한 파괴적인 미끄럼으로부터 보호된다. 단점은 특히 차단 요소의 시각적 외관이다; 이는 신발의 멋진 외관을 상당히 훼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기된 과제는, 2줄의 아이렛 및 이에 꿰어지는 신발끈을 구비한 신발을, 양 단부로부터 이격된 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종방향 범위의 중앙 영역에서 신발끈이 신발의 상부에 견고하게 연결되어서, 신발끈의 사용 기간 동안(즉, 신발을 신거나 벗을 때뿐만 아니라 끈을 묶거나 풀 때에도) 연결점에서 신발끈과 상부 사이의 움직임이 없도록, 구성하는 데에 있다. 이 경우, 신발끈과 상부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단은 신발 상에 정확히 위치될 수 있어야 하고, 선택적으로 또한, 시각적으로 주의를 끌지 않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행 기술의 특징이 채택되었고, 그에 의해 신발의 상부의 관통 구멍의 에지에는, 상부에 대해 이동불가능한 방식으로 영구적으로 고정되는 요소가 제공되고, 그에 의해 신발끈이 상부의 관통 구멍을 통해 및 그에 따라 또한 에지 요소를 통해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선예로서, 에지 요소와 이를 통해 연장되는 신발끈의 종방향 영역 사이에 영구적 강성 연결(즉, 파괴되지 않고는 해제될 수 없는 강성 연결)을 제공하는 것이 제안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강성 연결은 적어도, 신발끈과 에지 요소의 연결점에서, 신발의 사용 중에 예상되는 힘에 의해, 이 두 부분이 서로에 대해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에지 요소가 아이렛에 고정된 결과로, 상부에 대한 이의 위치가 매우 정확하게 획정되고, 그 결과 에지 요소를 시각적으로 신발에 적합한 요소로 설계하는 것이 쉽게 가능하다.
통상적으로(및 바람직하게는), 에지 요소는 신발을 신었을 때 상승선을 따라, 통상적으로 발의 발등을 따라 연장되는 신발의 상부의 2줄의 구멍 중 한 줄의 최하위 아이렛에 배치된다.
통상적으로(및 바람직하게는), 에지 요소와 신발끈 사이의 영구적 연결은 신발끈의 중앙 종방향 영역에, 통상적으로 신발끈의 일 단부로부터 신발끈의 전체 길이의 48% 내지 52%에 위치한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에지 요소는, 축방향으로 차례로 위치하며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고 서로 상이한 외경을 가지는 3개의 환형체를 구비하고, 최소 외경을 갖는 환형체는 더 큰 외경을 갖는 다른 2개의 환형체 사이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에지 요소는, 중앙 환형체가 아이렛을 통과하고, 그에 따라 2개의 외부 환형체의 직경이 상부가 이완된 아이렛의 직경보다 크고, 그 결과 에지 요소가 평탄한 상부의 평면에 법선으로 상부 위에서 양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도록, 간단한 방식으로 치수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환형체는 측방향 표면이 대부분 둘러싸인 중앙 관통 구멍을 갖는 몸체이다. 이와 관련하여, 환형체의 외주가 반드시 원형일 필요는 없다. 관통 구멍의 측방향 표면을 둘러싸는 것은 또한 반드시 폐쇄하는 것은 아니다.
에지 요소와 신발끈 사이의 연결을 위해, 가장 간단한 경우, 신발끈이 결과적으로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압력 하에 있도록 신발끈의 측방향 표면이 에지 요소에 의해 긴밀하게 둘러싸이는 것이 가능하고, 두 부분은 단순히 상당한 마찰에 의해 함께 유지된다. 그러나, 연결은 또한 에지 요소로부터 신발끈 내로 침투하는 스파이크 또는 후크에 의해, 또는 접착 결합 또는 용접에 의해 형성되거나 보강될 수 있다.
에지 요소와 신발끈 사이의 연결의 최선의 형태는 (이를 위해 플라스틱 사출 성형기의 몰드 공동을 통해 연장되는) 신발끈의 오버몰딩에 의해 제조되는 사출 성형 플라스틱부로 에지 요소를 구현함으로써 형성되는 연결일 것이다.
최적의 경우, 에지 요소와 신발끈 사이의 연결은 에지 요소와 신발의 상부 사이의 연결보다 견고하다. 이를 통해, 에지 요소가 부착되도록 의도된 신발의 아이렛에 대해 에지 요소가 지지될 때까지, 아이렛을 통해 신발끈을 뀀으로써, 신발 상에 에지 요소가 구비된 신발끈을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에지 요소가 아이렛 내로 당겨지고 강제 끼워맞춤에 의해 그 안에 고정된 채로 유지되도록, 신발끈이 짧고 강한 잡아당김으로 더 당겨진다. 신발끈에 고정된 에지 요소와 함께 신발끈을 변경하기 위해, 에지 요소가 아이렛에서 이의 맞물림 위치 밖으로 당겨지도록, 원래 뀀 방향과 반대로 신발끈을 짧고 강하게 당기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2개의 도면을 통해 예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신발의 일 예의, 해당 세부사항의, 신발끈의 종방향과 평행한 단면 평면을 갖는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가능한 에지 요소의 다른 예의 정면도를 단독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에지 요소가 구비된 신발의 해당 세부사항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가능한 에지 요소의 또 다른 예의 사시도를 단독으로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신발의 일 예의, 해당 세부사항의, 신발끈의 종방향과 평행한 단면 평면을 갖는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가능한 에지 요소의 다른 예의 정면도를 단독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에지 요소가 구비된 신발의 해당 세부사항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가능한 에지 요소의 또 다른 예의 사시도를 단독으로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비된 신발의 신발끈(1), 에지 요소(2), 및 상부(3)를, 의도된 바와 같이 함께 결합된 상태로 도시한다.
에지 요소(2)는 아이렛(4)에서 상부(3) 안에 고정되고, 신발끈(1)은 에지 요소(2)의 관통 구멍(5)을 통해 연장된다.
이 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에지 요소(2)는 서로 차례로 위치하는 3개의 환형체로 형성되고, 이들은 함께 "공통" 관통 구멍(5)을 둘러싼다. 에지 요소(2)의 중앙 환형체(6)는 아이렛(4)을 통해 연장된다. 이는 양 단부면에서 이에 인접한 2개의 환형체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즉, 외부 환형체(7)는 상부(3)의 외측에 지지되고, 내부 환형체(8)는 상부(3)의 내측에 지지된다.
외부 환형체(7)의 직경은 이상적으로는, 이의 탄성 변형성 및 아이렛(4)의 어떤 경우든 존재하는 에지 또는 상부(3)의 탄성 변형성을 상당히 활용함으로써, 이의 측면이 아이렛(4)을 통해 전방에서 중앙 환형체(6)로부터 멀리 향한 채로 밀리게 될 수 있거나, 에지 요소(2)에 체결되는 신발끈에 의해 아이렛(4)을 통해 당겨질 수 있도록, 치수결정된다. 시제품 테스트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양호한 치수가 테스트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내부 환형체(8)는 아이렛(4)을 통해 이동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내부 환형체(8)의 직경은 외부 환형체(7)의 직경보다 훨씬 더 클 수 있다.
신발끈(1)과 에지 요소(2) 사이의 강성 연결이 마찰에만 기반하는 것으로 의도된 경우, 에지 요소(2)의 관통 구멍(5)의 직경은 이상적으로는, 현저히 손상됨 없이, 강한 마찰력을 극복함으로써, 신발끈(1)이 단지 이를 통해 당겨질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조밀하다. 이와 관련하여 최적의 치수가 또한 테스트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된다.
상기에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관통 구멍(5)을 통해 신발끈(1)을 "강제로" 당기는 대신 신발끈(1)과 에지 요소(2)를 함께 결합하는 것은 또한,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신발끈(1)을 오버몰딩하여 에지 요소를 형성하고, 그에 따라 제조시 신발끈(1)에 에지 요소를 이미 연결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신발끈(1)의 이완된 단면 치수에 대해 도시된 것보다 넓게 관통 구멍(5)을 구성하고, 관통 구멍(5)의 방향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작은 스파이크, 후크, 또는 리브, 또는 관통 구멍(5)의 방향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핀에 의해, 또는 접착제 또는 일종의 납땜에 의해, 신발끈(1)과 에지 요소(2) 사이의 연결을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에지 요소(9)의 양 단부면을 향해 개방되는 종방향 슬롯(10)을 구비한다는 점에서 도 1과 상이한 에지 요소(9)를 도시하는데, 종방향 슬롯(10)은 개방 고리를 형성하도록 환형체들(6, 7, 8)을 중단시키고, 그에 따라 관통 구멍(5)의 측방향 표면도 좁은 원주상 영역에서 외측을 향해 중단된다.
종방향 슬롯(10)은, 신발의 상부 위에 배치되지 않았을 때, 에지 요소(9)가 신발끈(1)에 고정되도록 신발끈(1) 상으로 반경방향으로 용이하게 밀릴 수 있다는 이점과, 상부(3)의 아이렛(4)에서의 고정 동작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에지 요소(9)가 추가 영역에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특히 유리한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매우 많은 신발, 특히 많은 가죽 신발에서와 같이, 상부(3)는 2개의 층, 즉 (일반적으로 직물인) 내층(11) 및 (대개는 가죽 또는 모조 가죽인) 외층(12)으로 구성된다. 아이렛들(4) 중, 각각의 경우 내층(11)의 단지 종방향 영역의 에지에 그로밋(13)이 제공된다. (물론, 그로밋이 외층의 표면 상에서 보이는 가죽 신발도 존재한다.)
도 3에 도시된 유리한 구현예에서, 에지 요소(9)는 상부(3)의 내측으로부터 아이렛(4)의 그로밋(13)을 통해 끼워졌고, 외부 환형체(7)가 그로밋(13) 너머로 돌출되지만 외층(12)으로부터 돌출되지는 않도록, 충분히 짧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에지 요소(9)는 많은 주의를 끌지 않게 되고, 아주 근거리에서 바라볼 때에만 눈에 띈다. 에지 요소(9)의 색상이 외층(12)의 색상 또는 에지 요소(9)가 끼워지지 않은 아이렛들에 위치하는 그로밋들(13)의 색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우, 가시성이 훨씬 더 감소될 수 있다.
도 4는 신발의 상부의 아이렛에 삽입됨으로써 특히 쉽게 장착될 수 있는 에지 요소(14)를 도시한다. 에지 요소(14)는 다시 3개의 환형체(15, 16, 17)로 구성되고, 중앙 환형체(16)는 최소 직경을 갖는다.
에지 요소(14)를 장착하기 위해 아이렛에 밀어 넣어져야 하는 2개의 환형체(16, 17)의 경우, 측방향 표면이 1개 이상의 슬롯(18)에 의해 중단되고, 그 결과 이러한 환형체들(16, 17)의 남은 재료가 스프링 텅을 형성하는데, 이는 아이렛의 에지에 그로밋이 제공될 때에도(도 3) 아이렛에 삽입되고 인출 방지를 위해 걸기에 쉽게 적합하다. 아이렛에 삽입되는 동안 전방에 위치하는 환형체(17)는 화살촉 방식으로 절두원추형으로 테이퍼져서, 삽입 동작이 훨씬 더 용이해진다.
가장 넓은 환형체(15)에는 슬롯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는 또한 아이렛을 통해 끼워질 필요가 없다.
관통 구멍(19)이 다시 에지 요소(14)의 모든 환형체(15, 16, 17)를 통과한다. 바람직하게는, 관통 구멍(19)의 직경은, 신발끈이 압력에 의해 압축되지 않을 때, 의도된 바와 같이 이를 통해 끼워지는 신발끈의 직경보다 작다. 이로써, 신발끈이 마찰만으로 에지 요소(14)에서 충분히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형체들(16, 17)에 의해 형성되는 스프링 텅들의 변형이 방지되고, 그 결과 상부의 아이렛 밖으로 다시 당겨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물론, 도 4에 따른 에지 요소(14)는 또한 플라스틱으로 신발끈을 오버몰딩함으로써 이미 형성되어, 신발끈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특히, 아이렛을 통해 끼워지도록 의도되지 않은 가장 넓은 환형체(15)는 또한 신발 상의 장식 요소 또는 라벨 요소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에지 요소(14)는, 환형체(17)가 전방에서 화살 방식으로 테이퍼진 채로,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신발의 상부의 아이렛에 끼워져야 한다. 이후, 가장 넓은 환형체(15)는 상부의 외표면 상에서 시야에 선명히 보이도록 유지된다.
가장 넓은 환형체(15)에는 장식 요소 또는 라벨 요소, 예를 들어 회사 로고가 구비된다는 표시로서, 도 4에는 측방향 돌출부들(20)이 예시의 차원에서 도시된다. 돌출부(20)와 같은 구조뿐만 아니라 압입부 등에 의해서도, 상이한 치수의 에지 요소를 규정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여, 상이한 치수의 에지 요소를 구별하고 식별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다.
에지 요소의 특정의 유리한 구현예에 따르면, 에지 요소에는 전자 식별 회로, 예를 들어 RFID 칩이 구비된다. 이러한 식별 회로는 에지 요소의 주요 부분을 형성하는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오버몰딩될 수 있거나, 에지 요소의 표면 영역에 접착 결합되었을 수 있다.
이러한 옵션은 예를 들어 회사에서 직원들에게 지급하는 특히 고품질 안전화를 위해 고려될 수 있고, 이의 용도는 일부 위험 지역에서 작업할 때 모니터링되고/되거나 적용되기 위한 것이다.
Claims (13)
- 평탄한 상부(3)의 2줄의 아이렛(4) 및 상기 아이렛(4)에 꿰어지는 신발끈(1), 및 하나의 아이렛(4)에서 상기 상부(3)에 체결되며, 상기 아이렛(4)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되고, 상기 신발끈(1)이 연장되는 관통 구멍(5)을 가지는 에지 요소(2, 9, 14)를 구비한 신발로서,
상기 에지 요소(2, 9, 14)와 이를 통해 연장되는 상기 신발끈(1)의 종방향 영역 사이에 영구적 강성 연결, 즉 파괴되지 않고는 해제될 수 없는 강성 연결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1항에 있어서,
- 상기 관통 구멍(5)의 직경은 정확하게는, 현저히 손상됨 없이, 강한 마찰력을 극복함으로써, 상기 신발끈(1)이 단지 이를 통해 당겨질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작고,
- 상기 관통 구멍(5)에서의 상기 에지 요소(2)와 상기 신발끈(1) 사이의 연결은 접착제 또는 납땜에 의해 또는 횡방향 연장 핀 또는 횡방향 연장 스파이크, 후크, 또는 리브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요소(2)는 플라스틱으로 상기 신발끈(1)을 오버몰딩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요소(2, 9, 14)는 상기 신발을 신었을 때 상승선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신발의 상기 상부의 2줄의 구멍 중 한 줄의 최하위 아이렛(4)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요소(2, 9, 14)와 상기 신발끈(1) 사이의 영구적 연결은 상기 신발끈(1)의 중앙 종방향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요소(2, 9, 14)는, 축방향으로 차례로 위치하며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고 서로 상이한 외경을 가지는 3개의 환형체(6, 7, 8; 15, 16, 17)를 구비하고, 최소 외경을 갖는 환형체(6, 16)는 상기 중앙 환형체(6, 16)보다 큰 외경을 갖는 다른 2개의 환형체(7, 8; 15, 17)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6항에 있어서, 더 큰 외경을 갖는 상기 2개의 환형체(7, 8; 15, 17)의 외경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요소(9)는 상기 에지 요소(9)의 양 단부측을 향해 개방되는 종방향 슬롯(10)을 구비하고, 상기 종방향 슬롯(10)은 상기 환형체들(6, 7, 8)의 외부 측방향 표면에서 상기 환형체들(6, 7, 8) 모두를 통과하는 상기 중앙 관통 구멍(5)까지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2개의 인접한 환형체(16, 17)는 1개 이상의 종방향 슬롯(18)에 의해 개별 스프링 텅들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3)는 내층(11) 및 외층(12)을 구비하고, 상기 에지 요소(9)는 하나의 아이렛(4)에서 층 평면에 법선 방향으로 양측에서 상기 내층(11) 너머로 돌출되지만 상기 외층(12) 너머로 돌출되지는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렛(4)의 측방향 표면의 에지에는, 상기 내층(11)의 영역에서, 그로밋(13)이 제공되지만, 상기 외층(12)의 영역에서는 제공되지 않고, 상기 에지 요소(9)는 상기 그로밋(13)을 통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요소(14)는 상기 상부(3)의 외측 너머로 돌출되며, 상기 돌출부 상에 장식 요소 또는 라벨 요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요소(2, 9, 14)에는 전자 식별 회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ATA58/2019A AT522188B1 (de) | 2019-02-18 | 2019-02-18 | Schuh, welcher mit einem Schnürsenkel ausgestattet ist |
ATA58/2019 | 2019-02-18 | ||
PCT/AT2020/000003 WO2020168369A1 (de) | 2019-02-18 | 2020-02-18 | Schuh, welcher mit einem schnürsenkel ausgestattet is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27203A true KR20210127203A (ko) | 2021-10-21 |
Family
ID=69783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29126A KR20210127203A (ko) | 2019-02-18 | 2020-02-18 | 신발끈이 구비된 신발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EP (1) | EP3927206B1 (ko) |
KR (1) | KR20210127203A (ko) |
CN (2) | CN116941860A (ko) |
AT (1) | AT522188B1 (ko) |
ES (1) | ES2947739T3 (ko) |
MX (1) | MX2021009937A (ko) |
PL (1) | PL3927206T3 (ko) |
WO (1) | WO2020168369A1 (ko)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56690A (en) * | 1903-12-22 | 1904-04-05 | J F Lavender | Lacing-string fastener. |
US797743A (en) * | 1904-08-16 | 1905-08-22 | John A Mccoy | Shoe-lace fastener. |
DE446586C (de) | 1926-02-19 | 1927-07-06 | Willy Koch | Schuhband mit einem Sperrknopf am oberen Ende zum Verschnueren eines Schuhs mit OEsen von oben nach unten |
CH264894A (de) | 1948-07-19 | 1949-11-15 | Stierli Egon | Schuhnestel. |
DE1625874U (de) | 1950-02-13 | 1951-07-19 | Fegumak Inh Kurt Rethmeier | Spange fuer schnuersenkel-arretierung. |
US3526977A (en) | 1968-12-17 | 1970-09-08 | Catalina Partagas | Safety shoelaces |
US4258456A (en) * | 1979-06-13 | 1981-03-31 | Thurston Jay D | Shoelace holder |
US5016327A (en) * | 1989-04-10 | 1991-05-21 | Klausner Fred P | Footwear lacing system |
US6467133B1 (en) * | 2000-12-28 | 2002-10-22 | Far Great Plastics Industrial Co., Ltd. | Ice skate shoelace buckle device |
WO2008116297A1 (en) * | 2007-03-26 | 2008-10-02 | Pablo Hassid | Garment opener/closer and fastener |
US20100218349A1 (en) * | 2007-10-12 | 2010-09-02 | Whang Jong O | Tying tool for shoelace |
US8281413B2 (en) * | 2010-01-05 | 2012-10-09 | The North Face Apparel Corp. | Slip lock grommet |
DE202011003919U1 (de) | 2011-03-15 | 2011-05-12 | Fierro, Vittorio | Antirutschklemmhülse/Antirutschklemmring für Schuhschnürsenkel |
US8904673B2 (en) * | 2011-08-18 | 2014-12-09 | Palidium, Inc. | Automated tightening shoe |
US8800173B2 (en) * | 2011-08-23 | 2014-08-12 | Nicholas Smith | Shoelace protector and methods thereof |
CN103478978A (zh) * | 2013-09-30 | 2014-01-01 | 闽侯县祥谦溢嘉鞋业有限公司 | 可方便更换鞋带的拖鞋 |
EP3177168A1 (en) * | 2014-08-08 | 2017-06-14 | Energy Seekers S.r.l. | Lacing system for shoes and shoe manufactured with said lacing system |
KR102624363B1 (ko) * | 2015-10-27 | 2024-01-11 | 플래 코. | 신발류 폐쇄 시스템 |
DE102016106958A1 (de) * | 2016-04-14 | 2017-10-19 | NITRO Snowboards Entwicklungs-GmbH | Schnürsenkelsicherung für Innenschuh |
-
2019
- 2019-02-18 AT ATA58/2019A patent/AT522188B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20
- 2020-02-18 CN CN202311102810.3A patent/CN116941860A/zh active Pending
- 2020-02-18 EP EP20710410.0A patent/EP3927206B1/de active Active
- 2020-02-18 MX MX2021009937A patent/MX2021009937A/es unknown
- 2020-02-18 KR KR1020217029126A patent/KR2021012720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0-02-18 ES ES20710410T patent/ES2947739T3/es active Active
- 2020-02-18 WO PCT/AT2020/000003 patent/WO2020168369A1/de unknown
- 2020-02-18 PL PL20710410.0T patent/PL3927206T3/pl unknown
- 2020-02-18 CN CN202080012851.1A patent/CN113395916B/zh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0168369A1 (de) | 2020-08-27 |
CN113395916B (zh) | 2023-08-08 |
AT522188B1 (de) | 2021-04-15 |
EP3927206B1 (de) | 2023-03-29 |
EP3927206A1 (de) | 2021-12-29 |
AT522188A1 (de) | 2020-09-15 |
CN116941860A (zh) | 2023-10-27 |
CN113395916A (zh) | 2021-09-14 |
MX2021009937A (es) | 2021-09-21 |
ES2947739T3 (es) | 2023-08-17 |
US20220132994A1 (en) | 2022-05-05 |
PL3927206T3 (pl) | 2023-08-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467511A (en) | Shoelace fastening device | |
US6568103B2 (en) | Speed lacing device | |
AU2017202838B2 (en) | Interchangeable strap closure system for footwear | |
US5158428A (en) | Shoelace securing system | |
US20160270481A1 (en) | Shoelace with Magnets | |
US20160029745A1 (en) | Clip set for retaining the tightness of a laced shoe | |
CN108697202A (zh) | 鞋带和具有可替换鞋带的钩环紧固件鞋收紧系统的组合 | |
US2911697A (en) | Cord fastener | |
US20160015131A1 (en) | Shoelace and Method for Fastening a Shoe Using Same | |
KR20210127203A (ko) | 신발끈이 구비된 신발 | |
US12137776B2 (en) | Shoe equipped with a shoelace | |
JP3165710U (ja) | 靴締付バンド | |
US1740506A (en) | Lacing for shoes and other articles | |
KR200480700Y1 (ko) | 결속의 용이성을 개선한 신발끈 | |
US1715247A (en) | Shoe lace | |
KR20080017130A (ko) | 신발끈 | |
KR200184587Y1 (ko) | 신발 끈을 신속하게 묶을 수 있는 신발 | |
KR200474869Y1 (ko) | 신발 결속구 | |
GB2505556A (en) | Fasteners for footwear | |
KR200270515Y1 (ko) | 쉽게 풀리지 않는 신발 끈 | |
US8661631B2 (en) | Shoelace holder | |
KR920000118Y1 (ko) | 신발끈 결속장치 | |
EP3355739A1 (en) | Shoelace and method for fastening a shoe using same | |
KR100739654B1 (ko) | 풀림이 방지되는 신발끈 | |
JPS6330241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