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6043A - 회전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6043A
KR20210126043A KR1020217028156A KR20217028156A KR20210126043A KR 20210126043 A KR20210126043 A KR 20210126043A KR 1020217028156 A KR1020217028156 A KR 1020217028156A KR 20217028156 A KR20217028156 A KR 20217028156A KR 20210126043 A KR20210126043 A KR 20210126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lder
wall
connector holder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8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야 하세가와
슈지 히라이
히로후미 우쯔노미야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9029819A external-priority patent/JP712935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9029818A external-priority patent/JP722275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9039467A external-priority patent/JP7129360B2/ja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26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60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01R35/025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having a flexible conductor wound around a rotation ax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between relatively movable parts of the vehicle, e.g. between steering wheel and colum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27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with evacuation of penetrating liq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회전 커넥터 장치(1)는 스테이터(10), 회전체(20) 및 전기 커넥터(60)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체(20)는 회전체 본체(21) 및 커넥터 수용부(22)를 포함하고 있다. 커넥터 수용부(22)는 제1 커넥터 홀더(24) 및 제2 커넥터 홀더(25)를 포함하고 있다. 제2 커넥터 홀더(25)는 제2 홀더 본체(25A), 제1 벽(25B) 및 제2 벽(25C)을 포함하고 있다. 제1 벽(25B)은 제2 홀더 본체(25A)로부터 회전 축선(A1)에 평행한 축 방향(D1)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제2 벽(25C)은, 제2 홀더 본체(25A)로부터 축 방향(D1)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제1 벽(25B)에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회전 커넥터 장치
본원에 개시되는 기술은 회전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사용되는 회전 커넥터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2를 참조).
국제 공개 제2018/047581호 공보 일본 특허 제5065508호 공보
회전 커넥터 장치를 여러 차량에 대응시키기 위해, 회전 커넥터 장치의 내환경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개시되는 기술의 과제는, 회전 커넥터 장치의 내환경성을 높이는 데 있다.
제1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는, 스테이터, 회전체 및 전기 커넥터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체는 스테이터에 대하여 회전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전기 커넥터는 회전체에 설치되어 있다. 스테이터 및 회전체는, 회전 축선을 둘러싸도록 마련된 케이블 수용 공간을 스테이터 및 회전체의 사이에 획정하고 있다. 회전체는, 회전체 본체와, 전기 커넥터를 수용하는 커넥터 수용 공간을 갖는 커넥터 수용부를 포함하고 있다. 커넥터 수용부는, 제1 커넥터 홀더 및 제2 커넥터 홀더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커넥터 홀더는 회전 축선을 따라 케이블 수용 공간과 반대측으로 회전체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제2 커넥터 홀더는, 제1 커넥터 홀더와는 별도 부재이며, 제1 커넥터 홀더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커넥터 홀더는, 제2 홀더 본체, 제1 벽 및 제2 벽을 포함하고 있다. 제2 홀더 본체는 전기 커넥터를 지지하는 커넥터 지지부를 포함하고 있다. 제1 벽은 제2 홀더 본체로부터 회전 축선에 평행한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제2 벽은, 제2 홀더 본체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제1 벽에 연결되어 있다.
제2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는, 제1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커넥터 수용부는, 회전 축선을 따라 본 경우에 커넥터 수용 공간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수용부 외면과, 제1 커넥터 홀더 및 제2 커넥터 홀더의 사이에 마련되고 수용부 외면으로부터 커넥터 수용 공간 쪽으로 연장된 제1 간극을 포함하고 있다.
제3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는, 제2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제1 벽은, 축 방향에 직교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커넥터 수용 공간과 제1 간극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벽은, 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며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으로 제1 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제1 벽에 대하여 제1 간극과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3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제2 벽이 제1 벽에 대하여 제1 간극과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커넥터 수용 공간에 침입하는 액체가 전기 커넥터에 도달하는 것을 제1 벽 및 제2 벽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커넥터 장치의 내환경성을 높일 수 있다.
제4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는, 제3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제2 방향은 제1 방향에 직교한다.
제4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커넥터 수용 공간에 침입하는 액체가 전기 커넥터에 도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제1 벽 및 제2 벽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제5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는, 제3 또는 제4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제1 벽은 제1 방향에 있어서 획정된 제1 길이를 갖고 있다. 제2 벽은 제2 방향에 있어서 획정된 제2 길이를 갖고 있다. 제2 길이는 제1 길이보다 길다.
제5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커넥터 수용 공간에 침입하는 액체가 전기 커넥터에 도달하는 것을 더 효과적으로 제1 벽 및 제2 벽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제6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는, 제3 내지 제5 특징 중 어느 하나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제1 벽은, 축 방향에 있어서 제2 홀더 본체로부터 획정된 제1 축 방향 길이를 갖고 있다. 제2 벽은, 축 방향에 있어서 제2 홀더 본체로부터 획정된 제2 축 방향 길이를 갖고 있다. 제2 축 방향 길이는 제1 축 방향 길이보다 짧다.
제6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커넥터 수용 공간에 침입하는 액체가 전기 커넥터에 도달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커넥터 수용 공간을 유효 활용할 수 있다.
제7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는, 제3 내지 제6 특징 중 어느 하나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제1 커넥터 홀더는 제1 커넥터 홀더를 제2 벽에 연결하는 홀더 연결부를 포함하고 있다.
제7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제1 커넥터 홀더와 제2 커넥터 홀더를 연결하는 데 제2 벽을 이용할 수 있다.
제8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는, 제7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제2 커넥터 홀더는 제2 벽 상에 마련된 연결 돌기를 포함하고 있다. 홀더 연결부는, 제1 커넥터 홀더를 제2 커넥터 홀더에 연결하도록 연결 돌기에 걸린다.
제8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제2 벽을 이용하여 제1 커넥터 홀더와 제2 커넥터 홀더의 연결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제9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는, 제8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제1 벽은 전기 커넥터와 대향하는 제1 벽면을 포함하고 있다. 제2 벽은 제1 벽면으로부터 제2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9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커넥터 수용 공간에 침입하는 액체가 전기 커넥터에 도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제1 벽 및 제2 벽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제10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는, 제9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제2 벽은, 전기 커넥터와 대향하는 제2 벽면과, 제2 벽면의 이측에 마련된 제4 벽면을 포함하고 있다. 연결 돌기는 제4 벽면 상에 마련되어 있다.
제10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제2 벽을 이용하여 제1 커넥터 홀더와 제2 커넥터 홀더의 연결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제11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는, 제8 내지 제10 특징 중 어느 하나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제2 커넥터 홀더는 제1 리브 및 제2 리브를 포함하고 있다. 제1 리브는 제2 벽으로부터 전기 커넥터와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리브는, 제2 벽으로부터 전기 커넥터와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1 리브와 제2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연결 돌기는 제2 방향에 있어서 제1 리브 및 제2 리브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1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제2 벽을 이용하여 제1 커넥터 홀더와 제2 커넥터 홀더의 연결 강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제12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는, 제2 내지 제11 특징 중 어느 하나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수용부 외면은, 제1 외면, 제2 외면, 제3 외면 및 제4 외면을 포함하고 있다. 제1 외면은 회전 축선 쪽을 향하고 있다. 제2 외면은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커넥터 수용 공간에 대하여 제1 외면과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3 외면은 제1 외면이 향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제1 외면 및 제2 외면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4 외면은 커넥터 수용 공간에 대하여 제3 외면과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간극은, 제3 외면 및 제4 외면 중 한쪽으로부터 커넥터 수용 공간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2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제1 간극이 제3 외면 및 제4 외면 중 한쪽으로부터 커넥터 수용 공간 쪽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제1 면이나 제2 면에 액체가 넘친 경우에, 액체가 커넥터 수용 공간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회전 커넥터 장치의 내환경성을 높일 수 있다.
제13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는, 제12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제1 간극은 회전 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제13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제1 커넥터 홀더와 제2 커넥터 홀더의 연결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제14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는, 제12 또는 제13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제2 외면은 제1 커넥터 홀더 및 제2 커넥터 홀더 중 제1 커넥터 홀더 상에만 마련되어 있다.
제14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제1 커넥터 홀더와 제2 커넥터 홀더 사이의 간극이 제2 외면에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회전 커넥터 장치의 내환경성을 더 높일 수 있다.
제15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는, 제12 내지 제14 특징 중 어느 하나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제3 외면은 제1 커넥터 홀더 및 제2 커넥터 홀더 상에 마련되어 있다.
제15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제1 커넥터 홀더와 제2 커넥터 홀더 사이에 마련된 제1 간극을 제3 외면에 마련할 수 있다.
제16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는, 제12 내지 제15 특징 중 어느 하나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제1 간극은 제3 외면으로부터 커넥터 수용 공간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4 외면은 제1 커넥터 홀더 및 제2 커넥터 홀더 중 제1 커넥터 홀더 상에만 마련되어 있다.
제16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제1 커넥터 홀더와 제2 커넥터 홀더 사이의 간극이 제4 외면에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회전 커넥터 장치의 내환경성을 더 높일 수 있다.
제17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는, 제12 내지 제16 특징 중 어느 하나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제1 커넥터 홀더 및 제2 커넥터 홀더 중 한쪽은, 제1 오목부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커넥터 홀더 및 제2 커넥터 홀더 중 다른 쪽은, 제1 오목부 내에 마련된 제1 볼록부를 포함하고 있다.
제17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제1 오목부 및 제1 볼록부를 마련함으로써 제1 커넥터 홀더와 제2 커넥터 홀더의 연결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제18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는, 제17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제1 간극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오목부 및 제1 볼록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제18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제1 커넥터 홀더와 제2 커넥터 홀더의 연결 강도를 높이면서, 회전 커넥터 장치의 내환경성을 높일 수 있다.
제19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는, 제17 또는 제18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제1 오목부 및 제1 볼록부는 수용부 외면과 커넥터 수용 공간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9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커넥터 수용부의 내부에 제1 오목부 및 제1 볼록부를 마련할 수 있고, 제1 커넥터 홀더와 제2 커넥터 홀더의 연결 강도를 높이면서, 회전 커넥터 장치의 내환경성을 높일 수 있다.
제20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는, 제12 내지 제19 특징 중 어느 하나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커넥터 수용부는, 제1 커넥터 홀더 및 제2 커넥터 홀더의 사이에 마련되고 수용부 외면으로부터 커넥터 수용 공간 쪽으로 연장된 제2 간극을 포함하고 있다.
제20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제2 간극을 마련함으로써 제1 커넥터 홀더 및 제2 커넥터 홀더의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제21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는, 제20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제1 커넥터 홀더 및 제2 커넥터 홀더 중 한쪽은, 제2 오목부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커넥터 홀더 및 제2 커넥터 홀더 중 다른 쪽은, 제2 오목부 내에 마련된 제2 볼록부를 포함하고 있다.
제21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제2 오목부 및 제2 볼록부를 마련함으로써 제1 커넥터 홀더와 제2 커넥터 홀더의 연결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제22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는, 제21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제2 간극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오목부 및 제2 볼록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제22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제1 커넥터 홀더와 제2 커넥터 홀더의 연결 강도를 높이면서, 회전 커넥터 장치의 내환경성을 높일 수 있다.
제23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는, 제21 또는 제22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제2 오목부 및 제2 볼록부는 수용부 외면과 커넥터 수용 공간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23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커넥터 수용부의 내부에 제2 오목부 및 제2 볼록부를 마련할 수 있고, 제1 커넥터 홀더와 제2 커넥터 홀더의 연결 강도를 높이면서, 회전 커넥터 장치의 내환경성을 높일 수 있다.
제24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는, 제12 내지 제23 특징 중 어느 하나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커넥터 수용부는 제1 커넥터 홀더 및 제2 커넥터 홀더의 사이에 마련된 제3 간극을 포함하고 있다.
제24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제3 간극을 마련함으로써 제1 커넥터 홀더 및 제2 커넥터 홀더의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제25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는, 제24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제1 커넥터 홀더 및 제2 커넥터 홀더 중 한쪽은, 제3 오목부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커넥터 홀더 및 제2 커넥터 홀더 중 다른 쪽은, 제3 오목부 내에 마련된 제3 볼록부를 포함하고 있다.
제25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제3 오목부 및 제3 볼록부를 마련함으로써 제1 커넥터 홀더와 제2 커넥터 홀더의 연결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제26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는, 제25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제3 간극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3 오목부 및 제3 볼록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제26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제1 커넥터 홀더와 제2 커넥터 홀더의 연결 강도를 높이면서, 회전 커넥터 장치의 내환경성을 높일 수 있다.
제27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는, 제25 또는 제26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제3 오목부 및 제3 볼록부는 수용부 외면과 커넥터 수용 공간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27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커넥터 수용부의 내부에 제3 오목부 및 제3 볼록부를 마련할 수 있고, 제1 커넥터 홀더와 제2 커넥터 홀더의 연결 강도를 높이면서, 회전 커넥터 장치의 내환경성을 높일 수 있다.
제28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는, 제12 내지 제27 특징 중 어느 하나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제1 커넥터 홀더 및 제2 커넥터 홀더 중 한쪽은, 제4 오목부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커넥터 홀더 및 제2 커넥터 홀더 중 다른 쪽은, 제4 오목부 내에 마련된 제4 볼록부를 포함하고 있다.
제28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제4 오목부 및 제4 볼록부를 마련함으로써 제1 커넥터 홀더와 제2 커넥터 홀더의 연결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제29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는, 제28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제1 간극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4 오목부 및 제4 볼록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제29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제1 커넥터 홀더와 제2 커넥터 홀더의 연결 강도를 높이면서, 회전 커넥터 장치의 내환경성을 높일 수 있다.
제30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는, 제28 또는 제29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제4 오목부 및 제4 볼록부는 수용부 외면과 커넥터 수용 공간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30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커넥터 수용부의 내부에 제4 오목부 및 제4 볼록부를 마련할 수 있고, 제1 커넥터 홀더와 제2 커넥터 홀더의 연결 강도를 높이면서, 회전 커넥터 장치의 내환경성을 높일 수 있다.
제31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는, 제12 내지 제30 특징 중 어느 하나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회전 축선을 따라 본 경우에, 제3 외면의 길이는 제2 외면의 길이보다 짧다.
제31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커넥터 수용부 상에 액체가 넘친 경우에, 제3 외면 상에 액체가 머무르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회전 커넥터 장치의 내환경성을 높일 수 있다.
제32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는, 제1 내지 제31 특징 중 어느 하나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스테이터와 회전체로 구성되는 케이블 하우징의 외부 공간과 케이블 수용 공간을 접속하는 중간 간극이 스테이터와 회전체 사이에 마련된다. 스테이터는, 케이블 수용 공간의 직경 방향 외측에 마련된 외주벽을 포함하고 있다. 외주벽은, 케이블 수용 공간의 직경 방향 외측에 마련되고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출홈과, 배출홈과 접속된 배출공을 포함한다. 배출홈은, 중간 간극 및 케이블 수용 공간에 접속된다. 배출공은, 배출홈 및 외부 공간을 접속한다.
제32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배출공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회전 커넥터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스테이터와 회전체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물 등의 액체가 회전 커넥터 장치의 내부에 침입한 경우라도, 그 액체를 홈부로 우선적으로 유도한 후에, 배출공을 사용하여 확실하게 또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의 절연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제33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는, 제32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배출홈은, 배출공과 접속되는 위치로부터 반주 이상에 걸쳐 연속해서 마련된다.
제33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간극의 여러 장소로부터 액체가 침입한 경우라도, 홈부를 통하여 배출공으로부터 액체를 배출할 수 있다.
제34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는, 제32 또는 제33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배출공은 복수의 구멍을 포함한다.
제34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액체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제35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는, 제32 내지 제34 특징 중 어느 하나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배출공은 슬릿을 포함한다.
제35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이물이 배출공을 통하여 회전 커넥터 장치의 케이블 수용 공간에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되는 기술이라면, 회전 커넥터 장치의 내환경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회전 커넥터 장치의 회전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회전 커넥터 장치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라인 IV-IV에 있어서의 회전 커넥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7의 라인 V-V에 있어서의 회전 커넥터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회전 커넥터 장치의 부분 상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라인 VII-VII에 있어서의 회전 커넥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회전 커넥터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회전 커넥터 장치의 전기 커넥터 및 제2 커넥터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6의 라인 X-X에 있어서의 회전 커넥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회전 커넥터 장치의 제1 커넥터 홀더 및 제2 커넥터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라인 XII-XII에 있어서의 회전 커넥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회전 커넥터 장치의 제2 커넥터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회전 커넥터 장치의 제2 커넥터 홀더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7의 라인 XV-XV에 있어서의 회전 커넥터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0의 라인 XVI-XVI에 있어서의 회전 커넥터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회전 커넥터 장치의 제1 커넥터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에 도시된 회전 커넥터 장치의 제1 커넥터 홀더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6의 라인 XIX-XIX에 있어서의 회전 커넥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6의 라인 XX-XX에 있어서의 회전 커넥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에 도시된 회전 커넥터 장치의 제1 커넥터 홀더 및 제2 커넥터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1에 도시된 회전 커넥터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중립 상태).
도 23은, 도 1에 도시된 회전 커넥터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제1 회전 상태).
도 24는, 도 1에 도시된 회전 커넥터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제2 회전 상태).
도 25는, 도 1에 도시된 회전 커넥터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제2 회전 상태).
도 26은, 도 1에 도시된 회전 커넥터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제3 회전 상태).
도 27은, 도 1에 도시된 회전 커넥터 장치의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회전 커넥터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9는, 도 27에 도시된 회전 커넥터 장치의 스테이터의 부분 단면 측면도이다.
도 30은, 도 29에 도시된 스테이터의 변형예의 부분 단면 측면도이다.
이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면 중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는, 대응하거나 또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커넥터 장치(1)는 스테이터(10), 회전체(20) 및 전기 커넥터(30)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체(20)는 스테이터(10)에 대하여 회전 축선(A1)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스테이터(10)는 차량 본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회전체(20)는 스티어링 휠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기 커넥터(30)는 회전체(20)에 설치되어 있다. 전기 커넥터(30)는, 예를 들어 스티어링측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티어링측 커넥터에는, 스티어링 휠의 스위치류나 에어백 장치 등의 전기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기 커넥터(30)는 회전체측 전기 커넥터라고도 칭할 수 있다.
도 2는 회전 커넥터 장치(1)의 회전체(2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체(20)는 회전체 본체(21)를 포함하고 있다. 회전체 본체(21)는, 회전 플레이트(21A), 통 형상부(21B) 및 슬리브(21C)를 포함하고 있다. 회전 플레이트(21A)는 대략 환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통 형상부(21B)는, 회전 플레이트(21A)의 내주부로부터 회전 축선(A1)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스티어링 샤프트가 통과하는 관통공(21D)을 포함하고 있다. 관통공(21D)은 회전 축선(A1)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슬리브(21C)는 환상의 형상을 갖고 있으며, 통 형상부(21B)에 설치되어 있다.
회전체(20)는 커넥터 수용부(22)를 포함하고 있다. 커넥터 수용부(22)는 전기 커넥터(30)(도 7)를 수용하는 커넥터 수용 공간(22A)을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넥터 수용 공간(22A)은 복수의 수용 공간(22A1 내지 22A3)을 포함하고 있다. 커넥터 수용부(22)는 회전체측 커넥터 수용부(22)라고도 칭할 수 있다.
커넥터 수용부(22)는 제1 커넥터 홀더(24) 및 제2 커넥터 홀더(25)를 포함하고 있다. 제2 커넥터 홀더(25)는, 제1 커넥터 홀더(24)와는 별도 부재이며, 제1 커넥터 홀더(24)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커넥터 홀더(24)는 회전체 본체(21)로부터 회전 축선(A1)에 평행한 축 방향 D1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커넥터 장치(1)는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40) 및 하우징 커버(45)를 구비하고 있다.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40) 및 하우징 커버(45)는 스테이터(10)에 설치되어 있다.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40)는, 차량 본체에 마련된 전기 기기(예를 들어, 제어 장치 및 배터리)에 접속되는 스테이터측 전기 커넥터를 수용한다.
도 4는 도 1의 라인 IV-IV에 있어서의 회전 커넥터 장치(1)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10) 및 회전체(20)는, 회전 축선(A1)을 둘러싸도록 마련된 케이블 수용 공간(50)을 스테이터(10) 및 회전체(20)의 사이에 획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 수용 공간(50)은 환상이며, 회전 축선(A1)에 대하여 둘레 방향 D2로 연장되어 있다. 회전 커넥터 장치(1)는 전기 케이블(60)을 구비하고 있다. 전기 케이블(60)은, 케이블 수용 공간(50) 내에 배치되어 있고,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40)(도 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기 케이블(60)은 가요성을 갖고 있으며, 평탄한 형상을 갖고 있다. 전기 케이블(60)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라고도 불리고 있다.
도 5는 커넥터 수용부(22)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커넥터 홀더(24)는 회전 축선(A1)을 따라 케이블 수용 공간(50)과 반대측으로 회전체 본체(21)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제1 커넥터 홀더(24)는 회전 축선(A1)에 평행한 축 방향 D1을 따라 회전체 본체(21)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커넥터 홀더(24)는, 회전체 본체(21)의 회전 플레이트(21A) 및 통 형상부(21B)와 하나의 단일 부재로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제1 커넥터 홀더(24)가 회전 플레이트(21A) 및 통 형상부(21B)와 별도 부재여도 된다.
도 6은 커넥터 수용부(22)의 상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수용부(22)는 수용부 외면(22B)을 포함하고 있다. 수용부 외면(22B)은 회전 축선(A1)을 따라 본 경우에 커넥터 수용 공간(22A)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수용부 외면(22B)은, 제1 외면(22C), 제2 외면(22D), 제3 외면(22E) 및 제4 외면(22F)을 포함하고 있다. 제1 외면(22C)은 회전 축선(A1) 쪽을 향하고 있다. 제2 외면(22D)은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커넥터 수용 공간(22A)에 대하여 제1 외면(22C)과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3 외면(22E)은 제1 외면(22C)이 향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제1 외면(22C) 및 제2 외면(22D)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4 외면(22F)은 커넥터 수용 공간(22A)에 대하여 제3 외면(22E)과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7은 커넥터 수용부(22)의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축선(A1)을 따라 본 경우에, 제3 외면(22E)의 길이 L3은 제2 외면(22D)의 길이 L2보다 짧다. 회전 축선(A1)을 따라 본 경우에, 제3 외면(22E)의 길이 L3은 제1 외면(22C)의 길이 L1보다 짧다. 회전 축선(A1)을 따라 본 경우에, 제4 외면(22F)의 길이는 제2 외면(22D)의 길이보다 짧다. 회전 축선(A1)을 따라 본 경우에, 제4 외면(22F)의 길이는 제1 외면(22C)의 길이보다 짧다. 그러나, 길이 L1 내지 L4의 관계는 본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넥터 수용부(22)는 긴 변 방향 D3을 갖고 있다. 축 방향 D1을 따라 본 경우에, 커넥터 수용부(22)는 긴 변 방향 D3으로 가늘고 긴 단면 형상을 갖고 있다. 길이 L1 및 L2는 긴 변 방향 D3을 따라 획정되어 있다. 길이 L3 및 L4는 축 방향 D1 및 긴 변 방향 D3에 직교하는 방향 D4로 획정되어 있다. 방향 D4는 제1 방향 D4라고도 칭할 수 있다. 긴 변 방향 D3은 제2 방향 D3이라고도 칭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외면(22D)은 제1 커넥터 홀더(24) 및 제2 커넥터 홀더(25) 중 제1 커넥터 홀더(24) 상에만 마련되어 있다. 제3 외면(22E)은 제1 커넥터 홀더(24) 및 제2 커넥터 홀더(25) 상에 마련되어 있다. 제4 외면(22F)은 제1 커넥터 홀더(24) 및 제2 커넥터 홀더(25) 중 제1 커넥터 홀더(24) 상에만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제4 외면(22F)이 제1 커넥터 홀더(24) 및 제2 커넥터 홀더(25) 상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커넥터 수용부(22)는 제1 간극(S1)을 포함하고 있다. 제1 간극(S1)은, 제1 커넥터 홀더(24) 및 제2 커넥터 홀더(25) 사이에 마련되어 있고, 수용부 외면(22B)으로부터 커넥터 수용 공간(22A)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간극(S1)은 수용부 외면(22B)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제1 간극(S1)은, 제3 외면(22E) 및 제4 외면(22F) 중 한쪽으로부터 커넥터 수용 공간(22A)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간극(S1)은 제3 외면(22E)으로부터 커넥터 수용 공간(22A)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간극(S1)은 제3 외면(22E)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그러나, 제1 간극(S1)은, 제4 외면(22F)으로부터 노출되어 있어도 되고, 제4 외면(22F)으로부터 커넥터 수용 공간(22A) 쪽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커넥터 홀더(24) 및 제2 커넥터 홀더(25) 중 한쪽은 제1 오목부(C1)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커넥터 홀더(24) 및 제2 커넥터 홀더(25) 중 다른 쪽은, 제1 오목부(C1) 내에 마련된 제1 볼록부(V1)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커넥터 홀더(24)가 제1 오목부(C1)를 포함하고 있고, 제2 커넥터 홀더(25)가 제1 볼록부(V1)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제2 커넥터 홀더(25)가 제1 오목부(C1)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제1 커넥터 홀더(24)가 제1 볼록부(V1)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제1 오목부(C1) 및 제1 볼록부(V1)가 커넥터 수용부(22)로부터 생략되어도 된다.
제1 간극(S1)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오목부(C1) 및 제1 볼록부(V1)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제1 오목부(C1) 및 제1 볼록부(V1)는 수용부 외면(22B)과 커넥터 수용 공간(22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간극(S1)은 부분적으로 제1 오목부(C1) 및 제1 볼록부(V1)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제1 간극(S1)이 전체적으로 제1 오목부(C1) 및 제1 볼록부(V1)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커넥터 홀더(24)는 제1 홀더 본체(24A)를 포함하고 있다. 제1 홀더 본체(24A)는, 제1 오목부(C1), 커넥터 수용 공간(22A) 및 홀더 수용 공간(24B)을 포함하고 있다. 제1 오목부(C1)는 홀더 수용 공간(24B)과 접속되어 있다. 제2 커넥터 홀더(25)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홀더 수용 공간(24B) 내에 배치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수용부(22)는 제2 간극(S2)을 포함하고 있다. 제2 간극(S2)은, 제1 커넥터 홀더(24) 및 제2 커넥터 홀더(25)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고, 수용부 외면(22B)으로부터 커넥터 수용 공간(22A)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간극(S2)은 수용부 외면(22B)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간극(S2)은 제1 외면(22C)으로부터 커넥터 수용 공간(22A)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간극(S2)은 제1 외면(22C)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그러나, 제2 간극(S2)은, 제2 외면(22D), 제3 외면(22E) 및 제4 외면(22F) 중 하나로부터 노출되어 있어도 되고, 제2 외면(22D), 제3 외면(22E) 및 제4 외면(22F) 중 하나로부터 커넥터 수용 공간(22A) 쪽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2 간극(S2)이 커넥터 수용부(22)로부터 생략되어도 된다.
제1 커넥터 홀더(24) 및 제2 커넥터 홀더(25) 중 한쪽은 제2 오목부(C2)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커넥터 홀더(24) 및 제2 커넥터 홀더(25) 중 다른 쪽은, 제2 오목부(C2) 내에 마련된 제2 볼록부(V2)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커넥터 홀더(24)가 제2 오목부(C2)를 포함하고 있고, 제2 커넥터 홀더(25)는 제2 볼록부(V2)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제2 커넥터 홀더(25)가 제2 오목부(C2)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제1 커넥터 홀더(24)가 제2 볼록부(V2)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제2 오목부(C2) 및 제2 볼록부(V2)가 커넥터 수용부(22)로부터 생략되어도 된다.
제2 간극(S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오목부(C2) 및 제2 볼록부(V2)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제2 오목부(C2) 및 제2 볼록부(V2)는 수용부 외면(22B)과 커넥터 수용 공간(22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간극(S2)은 전체적으로 제2 오목부(C2) 및 제2 볼록부(V2)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제2 간극(S2)이 부분적으로 제2 오목부(C2) 및 제2 볼록부(V2)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제1 홀더 본체(24A)는 제2 오목부(C2)를 포함하고 있다. 제2 오목부(C2)는 제1 외면(22C) 상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볼록부(V2)는 제4 벽(25F)으로부터 제1 벽(25B) 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커넥터 수용부(22)는 제3 간극(S3)을 포함하고 있다. 제3 간극(S3)은 제1 커넥터 홀더(24) 및 제2 커넥터 홀더(25)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3 간극(S3)은 수용부 외면(22B)으로부터 노출되어 있지 않고, 수용부 외면(22B)보다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제3 간극(S3)은 수용부 외면(22B)으로부터 노출되어 있어도 되고, 수용부 외면(22B)으로부터 커넥터 수용 공간(22A)까지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커넥터 홀더(24) 및 제2 커넥터 홀더(25) 중 한쪽은 제3 오목부(C3)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커넥터 홀더(24) 및 제2 커넥터 홀더(25) 중 다른 쪽은, 제3 오목부(C3) 내에 마련된 제3 볼록부(V3)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커넥터 홀더(24)가 제3 오목부(C3)를 포함하고 있고, 제2 커넥터 홀더(25)는 제3 볼록부(V3)를 포함하고 있다. 제2 커넥터 홀더(25)의 제1 벽(25B)은 제3 볼록부(V3)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제2 커넥터 홀더(25)가 제3 오목부(C3)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제1 커넥터 홀더(24)가 제3 볼록부(V3)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제3 오목부(C3) 및 제3 볼록부(V3)가 커넥터 수용부(22)로부터 생략되어도 된다.
제3 간극(S3)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3 오목부(C3) 및 제3 볼록부(V3)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제3 오목부(C3) 및 제3 볼록부(V3)는 수용부 외면(22B)과 커넥터 수용 공간(22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3 간극(S3)은 전체적으로 제3 오목부(C3) 및 제3 볼록부(V3)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제3 간극(S3)이 부분적으로 제3 오목부(C3) 및 제3 볼록부(V3)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제1 홀더 본체(24A)는 제3 오목부(C3)를 포함하고 있다. 제3 오목부(C3)는 홀더 수용 공간(24B)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3 오목부(C3)는 제2 오목부(C2) 및 커넥터 수용 공간(22A)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3 볼록부(V3)는 제2 볼록부(V2) 및 커넥터 수용 공간(22A)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제3 오목부(C3) 및 제3 볼록부(V3)의 배치는 본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커넥터 홀더(24) 및 제2 커넥터 홀더(25) 중 한쪽은 제4 오목부(C4)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커넥터 홀더(24) 및 제2 커넥터 홀더(25) 중 다른 쪽은, 제4 오목부(C4) 내에 마련된 제4 볼록부(V4)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커넥터 홀더(24)가 제4 오목부(C4)를 포함하고 있고, 제2 커넥터 홀더(25)는 제4 볼록부(V4)를 포함하고 있다. 제2 커넥터 홀더(25)의 제1 벽(25B)은 제4 볼록부(V4)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제2 커넥터 홀더(25)가 제4 오목부(C4)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제1 커넥터 홀더(24)가 제4 볼록부(V4)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제4 오목부(C4) 및 제4 볼록부(V4)가 커넥터 수용부(22)로부터 생략되어도 된다.
제1 간극(S1)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4 오목부(C4) 및 제4 볼록부(V4)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제4 오목부(C4) 및 제4 볼록부(V4)는 수용부 외면(22B)과 커넥터 수용 공간(22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간극(S1)은 부분적으로 제4 오목부(C4) 및 제4 볼록부(V4)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제1 간극(S1)이 전체적으로 제4 오목부(C4) 및 제4 볼록부(V4)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제4 오목부(C4)는 제1 오목부(C1) 및 커넥터 수용 공간(22A)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4 볼록부(V4)는 제1 볼록부(V1) 및 커넥터 수용 공간(22A)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제4 오목부(C4) 및 제4 볼록부(V4)의 배치는 본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은 커넥터 수용부(22)의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간극(S1)은 회전 축선(A1)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간극(S1)은 제3 외면(22E)에 있어서 축 방향 D1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제2 간극(S2)은 회전 축선(A1)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간극(S2)은 제1 외면(22C)에 있어서 회전 축선(A1)을 따라(축 방향 D1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도 9는 제2 커넥터 홀더(25) 및 전기 커넥터(3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30)는 제1 커넥터(31) 및 제2 커넥터(32)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커넥터(31)는 복수의 버스 바(31A) 및 버스 바 케이스(31B)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버스 바(31A)는 금속제이며, 버스 바 케이스(31B)는 수지제이다. 복수의 버스 바(31A)는 버스 바 케이스(31B)로부터 축 방향 D1을 따라 돌출되어 있다. 버스 바 케이스(31B)는 복수의 버스 바(31A)를 보유 지지하고 있다. 제2 커넥터(32)는 복수의 버스 바(32A) 및 버스 바 케이스(32B)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버스 바(32A)는 금속제이며, 버스 바 케이스(32B)는 수지제이다. 복수의 버스 바(32A)는 버스 바 케이스(32B)로부터 축 방향 D1을 따라 돌출되어 있다. 버스 바 케이스(32B)는 복수의 버스 바(32A)를 보유 지지하고 있다. 복수의 버스 바(31A 및 31B)는 전기 케이블(60)(도 4 참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2 커넥터 홀더(25)는 제2 홀더 본체(25A), 제1 벽(25B) 및 제2 벽(25C)을 포함하고 있다. 제2 홀더 본체(25A)는 전기 커넥터(30)를 지지하는 커넥터 지지부(25D)를 포함하고 있다. 전기 커넥터(30)는 커넥터 지지부(25D) 상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벽(25B)은 제2 홀더 본체(25A)로부터 회전 축선(A1)에 평행한 축 방향 D1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제2 벽(25C)은, 제2 홀더 본체(25A)로부터 축 방향 D1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제1 벽(25B)에 연결되어 있다. 제1 벽(25B)은 축 방향 D1에 직교하는 제1 방향 D4로 연장되어 있다.
도 10은 커넥터 수용부(22)의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벽(25B)은 커넥터 수용 공간(22A)과 제1 간극(S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벽(25C)은 제1 벽(25B)에 대하여 제1 간극(S1)과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벽(25C)은, 축 방향 D1에 직교하는 방향이며 제1 방향 D4와는 다른 제2 방향 D3으로 제1 벽(25B)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제2 벽(25C)은, 제1 벽(25B)으로부터 제1 간극(S1)과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커넥터 수용 공간(22A)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벽(25B)은, 전기 커넥터(30)와 대향하는 제1 벽면(25B1)을 포함하고 있다. 제1 벽(25B)은 제1 벽면(25B1)의 이측에 마련된 제3 벽면(25B2)을 포함하고 있다. 제1 벽면(25B1) 및 제3 벽면(25B2)은 제2 방향 D3을 향하고 있다. 제2 벽(25C)은 제1 벽면(25B1)으로부터 제2 방향 D3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벽(25C)은 제2 벽면(25C1) 및 제4 벽면(25C2)을 포함하고 있다. 제2 벽면(25C1)은 전기 커넥터(30)와 대향하고 있다. 제4 벽면(25C2)은 제2 벽면(25C1)의 이측에 마련되어 있다. 제2 벽면(25C1) 및 제4 벽면(25C2)은 제1 방향 D4를 향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방향 D3은 제1 방향 D4에 직교한다. 그러나, 제2 방향 D3은, 제1 방향 D4에 대략 직교하고 있어도 되고, 직교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제1 벽(25B)은 제1 방향 D4에 있어서 획정된 제1 길이 AL11을 갖고 있다. 제2 벽(25C)은 제2 방향 D3에 있어서 획정된 제2 길이 AL21을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길이 AL21은 제1 길이 AL11보다 길다. 그러나, 제2 길이 AL21은 제1 길이 AL11 이하여도 된다.
제2 커넥터 홀더(25)는 제1 리브(25R1) 및 제2 리브(25R2)를 포함하고 있다. 제1 리브(25R1)는 제2 벽(25C)으로부터 전기 커넥터(30)와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리브(25R2)는, 제2 벽(25C)으로부터 전기 커넥터(30)와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1 리브(25R1)와 제2 방향 D3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리브(25R1) 및 제2 리브(25R2)는 제2 벽(25C)의 제4 벽면(25C2)으로부터 제1 방향 D4로 돌출되어 있다. 그러나, 제1 리브(25R1) 및 제2 리브(25R2) 중 적어도 하나가 제2 커넥터 홀더(25)로부터 생략되어도 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커넥터 홀더(24)는 제1 커넥터 홀더(24)를 제2 벽(25C)에 연결하는 홀더 연결부(24K)를 포함하고 있다. 홀더 연결부(24K)는 제1 홀더 본체(24A)로부터 축 방향 D1을 따라 제2 홀더 본체(25A) 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홀더 연결부(24K)는 연결홈(24K1)을 포함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커넥터 홀더(25)는 제2 벽(25C) 상에 마련된 연결 돌기(25K)를 포함하고 있다. 홀더 연결부(24K)는 제1 커넥터 홀더(24)를 제2 커넥터 홀더(25)에 연결하도록 연결 돌기(25K)에 걸린다. 연결 돌기(25K)는 제2 방향 D3에 있어서 제1 리브(25R1) 및 제2 리브(25R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 돌기(25K)는 제4 벽면(25C2) 상에 마련되어 있다. 연결 돌기(25K)는 제4 벽면(25C2)으로부터 제1 방향 D4로 돌출되어 있다. 연결 돌기(25K)는 홀더 연결부(24K)의 연결홈(24K1) 내에 배치되어 있다.
도 12는 커넥터 수용부(22)의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벽(25B)은 축 방향 D1에 있어서 제2 홀더 본체(25A)로부터 획정된 제1 축 방향 길이 AL12를 갖고 있다. 제2 벽(25C)은 축 방향 D1에 있어서 제2 홀더 본체(25A)로부터 획정된 제2 축 방향 길이 AL22를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축 방향 길이 AL22는 제1 축 방향 길이 AL12보다 짧다. 제2 길이 AL21은 제2 축 방향 길이 AL22보다 길다. 그러나, 제2 축 방향 길이 AL22는 제1 축 방향 길이 AL12와 동일하거나 제1 축 방향 길이 AL12보다 길어도 된다. 제2 길이 AL21은 제2 축 방향 길이 AL22와 동일하거나 제2 축 방향 길이 AL22보다 짧아도 된다.
도 13은 제2 커넥터 홀더(25)의 사시도이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커넥터 홀더(25)는 제3 벽(25E) 및 제4 벽(25F)을 포함하고 있다. 제4 벽(25F)은 제1 벽(25B)과 제2 방향 D3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3 벽(25E)은, 제4 벽(25F)부터 제1 벽(25B)까지 제2 방향 D3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4 벽(25F)을 제1 벽(25B)에 연결하고 있다. 제3 벽(25E)은, 제2 방향 D3에 있어서 제2 벽(25C)과 반대측으로 제1 벽(25B)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제1 볼록부(V1)는 제3 벽(25E)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1 볼록부(V1)는 제1 베이스부(V1A) 및 제1 연장부(V1B)를 포함하고 있다. 제1 베이스부(V1A)는 제3 벽(25E)으로부터 제1 방향 D4를 따라 돌출되어 있다. 제1 연장부(V1B)는 제3 벽(25E)과 제1 방향 D4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1 연장부(V1B)는 제1 베이스부(V1A)의 선단으로부터 제3 벽(25E)을 따라(긴 변 방향 D3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제1 연장부(V1B)는 제1 베이스부(V1A)의 선단으로부터 제4 볼록부(V4)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볼록부(V1)는 축 방향 D1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제4 볼록부(V4)는 축 방향 D1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연장부(V1B)는 제1 베이스부(V1A)로부터 커넥터 수용 공간(22A)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4는 제2 커넥터 홀더(25)의 사시도이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벽(25B), 제3 벽(25E) 및 제4 벽(25F)은 내부 공간(25S)을 획정하고 있다. 제2 커넥터 홀더(25)는, 제1 홀더 연결부(25G), 제2 홀더 연결부(25H) 및 제3 홀더 연결부(25J)를 포함하고 있다. 제1 홀더 연결부(25G)는 내부 공간(25S)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홀더 연결부(25H)는 제2 홀더 본체(25A)로부터 축 방향 D1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제3 홀더 연결부(25J)는 제2 홀더 본체(25A)로부터 축 방향 D1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커넥터 홀더(25)를 제1 커넥터 홀더(24)에 조립할 때, 제2 커넥터 홀더(25)는 제1 커넥터 홀더(24)의 커넥터 수용 공간(22A)에 축 방향 D1로 삽입된다. 제1 커넥터 홀더(24)는 제1 연결 돌기(24D) 및 제2 연결 돌기(24E)를 포함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연결 돌기(24D)는 제1 홀더 본체(24A)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1 홀더 연결부(25G)는 제1 연결 돌기(24D)에 걸려 있다.
도 15 및 도 16은 커넥터 수용부(22)의 단면도이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연결 돌기(24E)는 제1 홀더 본체(24A)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2 홀더 연결부(25H)는 제2 연결 돌기(24E)에 걸려 있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홀더 연결부(25J)는 회전체 본체(21)의 통 형상부(21B)에 걸려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2 커넥터 홀더(25)가 제1 커넥터 홀더(24)에 설치되어 있다.
도 17 및 도 18은 제1 커넥터 홀더(24)의 사시도이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오목부(C1), 제2 오목부(C2) 및 제4 오목부(C4)는 축 방향 D1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오목부(C3)는 축 방향 D1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도 19는 커넥터 수용부(22)의 단면도이다.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수용 공간(22A)은 수용 공간(22A4)을 포함하고 있다. 수용 공간(22A4)은 수용 공간(22A1 내지 22A3)(도 7)과 연통되어 있다. 전기 커넥터(30) 및 제2 커넥터 홀더(25)의 커넥터 지지부(25D)는 수용 공간(22A4)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간극(S1)은 제3 외면(22E)으로부터 수용 공간(22A4)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3 간극(S3)은 홀더 수용 공간(24B)(내부 공간(25S))으로부터 수용 공간(22A4)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 20은 커넥터 수용부(22)의 단면도이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수용부(22)는 제4 간극(S4)을 포함하고 있다. 제4 간극(S4)은 제1 커넥터 홀더(24) 및 제2 커넥터 홀더(25)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커넥터 홀더(24)는 만곡벽(24C)을 포함하고 있다. 제4 간극(S4)은 만곡벽(24C) 및 커넥터 지지부(25D)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제4 간극(S4)은 만곡벽(24C)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만곡벽(24C)은 제1 홀더 본체(24A)로부터 축 방향 D1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도 21은 커넥터 수용부(22)의 사시도이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4 간극(S4)은 제1 간극(S1)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4 간극(S4)은 생략되어도 된다.
회전 커넥터 장치(1)의 특징은 이하와 같다.
(A1)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커넥터 장치(1)에서는, 제1 간극(S1)이 제3 외면(22E) 및 제4 외면(22F) 중 한쪽으로부터 커넥터 수용 공간(22A) 쪽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제2 외면(22D)에 액체가 넘친 경우에, 제1 간극(S1)을 통하여 커넥터 수용 공간(22A)에 액체가 도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커넥터 장치(1)의 내환경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체(20)가 중립 위치에 있는 중립 상태에 있어서, 제2 외면(22D)은 상측 방향을 향하고 있고, 제3 외면(22E) 및 제4 외면(22F)은 횡방향을 향하고 있다. 따라서, 중립 상태에 있어서 회전 커넥터 장치(1)의 상측으로부터 액체(L)가 넘쳐도, 제1 간극(S1)을 통하여 커넥터 수용 공간(22A)에 액체(L)가 도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체(20)가 중립 위치로부터 오른쪽으로 90도 회전한 제1 회전 상태에 있어서, 제2 외면(22D)은 횡방향을 향하고 있고, 제3 외면(22E)은 하측 방향을 향하고 있다. 따라서, 제1 회전 상태에 있어서 회전 커넥터 장치(1)의 상측으로부터 액체(L)가 넘쳐도, 제1 간극(S1)을 통하여 커넥터 수용 공간(22A)에 액체(L)가 도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A2)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간극(S1)이 회전 축선(A1)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므로, 제1 커넥터 홀더(24)와 제2 커넥터 홀더(25)의 연결 강도를 높일 수 있다.
(A3)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외면(22D)이 제1 커넥터 홀더(24) 및 제2 커넥터 홀더(25) 중 제1 커넥터 홀더(24) 상에만 마련되어 있다. 즉, 제1 커넥터 홀더(24)와 제2 커넥터 홀더(25) 사이의 간극이 제2 외면(22D)에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회전 커넥터 장치(1)의 내환경성을 더 높일 수 있다.
(A4)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외면(22E)이 제1 커넥터 홀더(24) 및 제2 커넥터 홀더(25) 상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커넥터 홀더(24)와 제2 커넥터 홀더(25) 사이에 마련된 제1 간극(S1)을 제3 외면(22E)에 마련할 수 있다.
(A5)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간극(S1)은 제3 외면(22E)으로부터 커넥터 수용 공간(22A)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4 외면(22F)은 제1 커넥터 홀더(24) 및 제2 커넥터 홀더(25) 중 제1 커넥터 홀더(24) 상에만 마련되어 있다. 즉, 제1 커넥터 홀더(24)와 제2 커넥터 홀더(25) 사이의 간극이 제4 외면(22F)에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회전 커넥터 장치(1)의 내환경성을 더 높일 수 있다.
(A6)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오목부(C1) 및 제1 볼록부(V1)를 마련함으로써 제1 커넥터 홀더(24)와 제2 커넥터 홀더(25)의 연결 강도를 높일 수 있다.
(A7)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간극(S1)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오목부(C1) 및 제1 볼록부(V1)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커넥터 홀더(24)와 제2 커넥터 홀더(25)의 연결 강도를 높이면서, 회전 커넥터 장치(1)의 내환경성을 높일 수 있다.
(A8)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오목부(C1) 및 제1 볼록부(V1)가 수용부 외면(22B)과 커넥터 수용 공간(22A)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커넥터 수용부(22)의 내부에 제1 오목부(C1) 및 제1 볼록부(V1)를 마련할 수 있고, 제1 커넥터 홀더(24)와 제2 커넥터 홀더(25)의 연결 강도를 높이면서, 회전 커넥터 장치(1)의 내환경성을 높일 수 있다.
(A9)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간극(S2)을 마련함으로써 제1 커넥터 홀더(24) 및 제2 커넥터 홀더(25)의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A10)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오목부(C2) 및 제2 볼록부(V2)를 마련함으로써 제1 커넥터 홀더(24)와 제2 커넥터 홀더(25)의 연결 강도를 높일 수 있다.
(A11)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간극(S2)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오목부(C2) 및 제2 볼록부(V2)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커넥터 홀더(24)와 제2 커넥터 홀더(25)의 연결 강도를 높이면서, 회전 커넥터 장치(1)의 내환경성을 높일 수 있다.
(A12)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오목부(C2) 및 제2 볼록부(V2)가 수용부 외면(22B)과 커넥터 수용 공간(22A)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커넥터 수용부(22)의 내부에 제2 오목부(C2) 및 제2 볼록부(V2)를 마련할 수 있고, 제1 커넥터 홀더(24)와 제2 커넥터 홀더(25)의 연결 강도를 높이면서, 회전 커넥터 장치(1)의 내환경성을 높일 수 있다.
(A13)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간극(S3)을 마련함으로써 제1 커넥터 홀더(24) 및 제2 커넥터 홀더(25)의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A14)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오목부(C3) 및 제3 볼록부(V3)를 마련함으로써 제1 커넥터 홀더(24)와 제2 커넥터 홀더(25)의 연결 강도를 높일 수 있다.
(A15)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간극(S3)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3 오목부(C3) 및 제3 볼록부(V3)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커넥터 홀더(24)와 제2 커넥터 홀더(25)의 연결 강도를 높이면서, 회전 커넥터 장치(1)의 내환경성을 높일 수 있다.
(A16)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오목부(C3) 및 제3 볼록부(V3)가 수용부 외면(22B)과 커넥터 수용 공간(22A)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커넥터 수용부(22)의 내부에 제3 오목부(C3) 및 제3 볼록부(V3)를 마련할 수 있고, 제1 커넥터 홀더(24)와 제2 커넥터 홀더(25)의 연결 강도를 높이면서, 회전 커넥터 장치(1)의 내환경성을 높일 수 있다.
(A17)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4 오목부(C4) 및 제4 볼록부(V4)를 마련함으로써 제1 커넥터 홀더(24)와 제2 커넥터 홀더(25)의 연결 강도를 높일 수 있다.
(A18)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간극(S1)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4 오목부(C4) 및 제4 볼록부(V4)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커넥터 홀더(24)와 제2 커넥터 홀더(25)의 연결 강도를 높이면서, 회전 커넥터 장치(1)의 내환경성을 높일 수 있다.
(A19)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4 오목부(C4) 및 제4 볼록부(V4)가 수용부 외면(22B)과 커넥터 수용 공간(22A)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커넥터 수용부(22)의 내부에 제4 오목부(C4) 및 제4 볼록부(V4)를 마련할 수 있고, 제1 커넥터 홀더(24)와 제2 커넥터 홀더(25)의 연결 강도를 높이면서, 회전 커넥터 장치(1)의 내환경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커넥터 수용부(22)에 있어서, 제1 볼록부(V1)가 제1 오목부(C1)에 삽입되어 있고, 또한 제1 볼록부(V1) 및 제1 오목부(C1)에 인접하는 제4 볼록부(V4)가 제4 오목부(C4)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제1 간극(S1)의 형상을 보다 복잡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3 외면(22E)으로부터 커넥터 수용 공간(22A)까지 액체가 흐르는 방향(대략 제2 방향 D3)에 있어서, 제3 외면(22E)으로부터 커넥터 수용 공간(22A)까지의 사이에 요철 구조를 2중으로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제2 방향 D3에 있어서 제1 볼록부(V1)가 제1 오목부(C1)에 삽입되어 있는 것에 대해, 제2 방향 D3과는 다른 제1 방향 D4에 있어서 제4 볼록부(V4)가 제4 오목부(C4)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제3 외면(22E)으로부터 커넥터 수용 공간(22A)까지 액체가 흐르는 방향(대략 제2 방향 D3)에 있어서, 2중의 요철 구조가 돌출되는 방향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래버린스 구조를 커넥터 수용부(22)에 마련함으로써, 제1 간극(S1)에 침입하는 액체가 커넥터 수용 공간(22A)까지 도달하는 것을 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A20)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축선(A1)을 따라 본 경우에, 제3 외면(22E)의 길이 L3이 제2 외면(22D)의 길이 L2보다 짧으므로, 커넥터 수용부(22)의 수용부 외면(22B) 상에 액체가 넘친 경우에, 제3 외면(22E) 상에 액체가 머무르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회전 커넥터 장치(1)의 내환경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체(20)가 중립 위치로부터 왼쪽으로 90도 회전한 제2 회전 상태에 있어서, 제2 외면(22D)은 횡방향을 향하고 있고, 제3 외면(22E)은 상측 방향을 향하고 있다. 그러나, 제3 외면(22E)의 길이 L3이 제2 외면(22D)의 길이 L2보다 짧으므로, 제2 회전 상태에 있어서 회전 커넥터 장치(1)의 상측으로부터 액체가 넘쳐도, 제1 간극(S1)을 통하여 커넥터 수용 공간(22A)에 액체가 도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B1)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벽(25C)이 제1 벽(25B)에 대하여 제1 간극(S1)과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커넥터 수용 공간(22A)에 침입하는 액체가 전기 커넥터(30)에 도달하는 것을 제1 벽(25B) 및 제2 벽(25C)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커넥터 장치(1)의 내환경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회전 상태에 있어서 제1 간극(S1)을 통하여 커넥터 수용 공간(22A)에 침입하는 액체가 전기 커넥터(30)에 도달하는 것을 제1 벽(25B) 및 제2 벽(25C)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도 13도 참조).
또한,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체(20)가 중립 위치로부터 왼쪽으로 45도 회전한 제3 회전 상태에 있어서, 제2 회전 상태에 있어서 제1 간극(S1)을 통하여 커넥터 수용 공간(22A)에 침입하는 액체가 전기 커넥터(30)에 도달하는 것을 제1 벽(25B) 및 제2 벽(25C)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도 13도 참조).
(B2)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방향 D3은 제1 방향 D4에 수직이므로, 커넥터 수용 공간(22A)에 침입하는 액체가 전기 커넥터(30)에 도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제1 벽(25B) 및 제2 벽(25C)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B3)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길이 AL21이 제1 길이 AL11보다 길므로, 커넥터 수용 공간(22A)에 침입하는 액체가 전기 커넥터(30)에 도달하는 것을 더 효과적으로 제1 벽(25B) 및 제2 벽(25C)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B4)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축 방향 길이 AL22가 제1 축 방향 길이 AL12보다 짧으므로, 커넥터 수용 공간(22A)에 침입하는 액체가 전기 커넥터(30)에 도달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커넥터 수용 공간(22A)을 유효 활용할 수 있다.
(B5)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커넥터 홀더(24)를 제2 벽(25C)에 연결하는 홀더 연결부(24K)를 제1 커넥터 홀더(24)가 포함하고 있으므로, 제1 커넥터 홀더(24)와 제2 커넥터 홀더(25)를 연결하는 데 제2 벽(25C)을 이용할 수 있다.
(B6)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커넥터 홀더(25)는 제2 벽(25C) 상에 마련된 연결 돌기(25K)를 포함하고 있다. 홀더 연결부(24K)는 제1 커넥터 홀더(24)를 제2 커넥터 홀더(25)에 연결하도록 연결 돌기(25K)에 걸린다. 따라서, 제2 벽(25C)을 이용하여 제1 커넥터 홀더(24)와 제2 커넥터 홀더(25)의 연결 강도를 높일 수 있다.
(B7)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벽(25C)이 제1 벽면(25B)으로부터 제2 방향 D3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커넥터 수용 공간(22A)에 침입하는 액체가 전기 커넥터(30)에 도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제1 벽(25B) 및 제2 벽(25C)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B8)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돌기(25K)가 제4 벽면(25C2) 면상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제2 벽(25C)을 이용하여 제1 커넥터 홀더(24)와 제2 커넥터 홀더(25)의 연결 강도를 높일 수 있다.
(B9)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돌기(25K)는 제2 방향 D3에 있어서 제1 리브(25R1) 및 제2 리브(25R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2 벽(25C)을 이용하여 제1 커넥터 홀더(24)와 제2 커넥터 홀더(25)의 연결 강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도 27 내지 도 29는, 회전 커넥터 장치(1)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형예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1)는 케이블 하우징(13)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블 하우징(13)은 스테이터(10)와 회전체(20)를 포함한다. 케이블 하우징(13)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 하우징(13)의 중심부에는 관통공(21D)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21D)은, 케이블 하우징(13)을 축 방향 D1로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회전 커넥터 장치(1)의 하우징 전체가 케이블 하우징(13)으로서 구성되어도 되고, 하우징의 일부가 케이블 하우징(13)으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도 28은, 도 27의 하측의 일부를 확대한 것이다. 도 27 및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10)는, 환상의 고정측 링판(12)과, 고정측 링판(12)의 외주연부에 마련된 통 형상의 외주벽(외주부)(14)을 포함한다. 회전체(20)는, 환상의 회전 플레이트(21A)와, 회전 플레이트(21A)의 내주연부에 마련된 통 형상의 통 형상부(21B)를 포함한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 고정측 링판(12) 및 회전 플레이트(21A)는 각각 원환 형상을 갖는다. 외주벽(14) 및 통 형상부(21B)는 각각 원통 형상을 갖는다.
고정측 링판(12)은, 그 두께 방향이 축 방향 D1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회전 플레이트(21A)는, 그 두께 방향이 고정측 링판(12)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회전 플레이트(21A)는, 본 변형예에서는 고정측 링판(12)의 외경보다 약간 작은 외경을 갖는다. 회전 플레이트(21A)와 고정측 링판(12)은, 각각 축 방향 D1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도록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외주벽(14)은, 고정측 링판(12)의 외주연부로부터 축 방향 D1의 한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통 형상부(21B)는, 회전 플레이트(21A)의 내주연부로부터 축 방향 D1의 다른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통 형상부(21B)는, 외주벽(14)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다. 외주벽(14)은, 통 형상부(21B)의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외주벽(14)과 통 형상부(21B)는, 직경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케이블 하우징(13)에 있어서, 스테이터(10)와 스테이터(10)에 설치된 회전체(20) 사이에, 케이블 수용 공간(50)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 수용 공간(50)은, 축 방향 D1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고정측 링판(12) 및 회전 플레이트(21A)와, 직경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외주벽(14) 및 통 형상부(21B)에 의해 둘러싸인 환상의 공간이다.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벽(14)은, 직경 방향에 있어서, 축 방향 D1에 있어서의 한쪽의 단부(51)가 회전 플레이트(21A)의 외주연부(53)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외주벽(14)의 축 방향 D1에 있어서의 한쪽의 단부(51)와 회전 플레이트(21A)의 외주연부(53)는, 각각 직경 방향에 있어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이들 사이에 중간 간극(55)이 형성되어 있다.
중간 간극(55)은, 축 방향 D1의 한쪽에 개구된다. 중간 간극(55)은, 외주벽(14) 및 회전 플레이트(21A)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중간 간극(55)은, 케이블 하우징(13)의 외연부의 근방에 원환상으로 형성된다. 중간 간극(55)은, 케이블 하우징(13)의 외부 공간(57)과 케이블 수용 공간(50)을 접속하고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중간 간극(55)은, 외주벽(14)과 회전 플레이트(21A) 사이에 형성된 통과로(59)를 통하여, 케이블 하우징(13)의 외부 공간(57)과 케이블 수용 공간(50)을 서로 접속하고 있다.
외주벽(14)에는 배출공(61)이 형성되어 있다. 배출공(61)은, 직경 방향에 있어서 케이블 하우징(13)의 외측을 향하여 개구된다. 즉, 배출공(61)은, 케이블 하우징(13)에 있어서 중간 간극(55)과는 다른 개구부이며, 중간 간극(55)의 개구 방향과는 다른 방향에 개구되어 있다. 배출공(61)은, 케이블 하우징(13)의 외부 공간(57)과 배출홈(71)의 내부 공간을 서로 접속하고 있다.
다음에, 배출공(61)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9는, 스테이터(10)의 부분 단면 측면도이다.
도 27 내지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벽(14)은, 본 변형예에서는 2중 구조로 되어 있다. 외주벽(14)은, 원통상의 제1 외주 통부(63)와, 원통상의 제2 외주 통부(65)를 갖는다. 제2 외주 통부(65)는, 제1 외주 통부(63)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제1 외주 통부(63)의 직경 방향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제1 외주 통부(63)와 제2 외주 통부(65)는, 각각 직경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도록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됨과 함께, 동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외주 통부(63)의 축 방향 도중부와, 제2 외주 통부(65)의 축 방향 도중부가, 연결부(67)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67)는, 제1 외주 통부(63)와 제2 외주 통부(65)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축 방향 D1로 2개로 구획한다. 이에 의해, 제1 외주 통부(63)와 제2 외주 통부(65) 사이에 배출홈(71) 및 추가홈(72)이 형성되어 있다.
배출홈(71)은, 연결부(67)의 축 방향 D1에 있어서의 일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추가홈(72)은, 연결부(67)의 축 방향 D1에 있어서의 타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배출홈(71)은, 그 개구 부분이 중간 간극(55)에 면하도록 축 방향 한쪽에 개구된다. 배출홈(71)은, 제1 외주 통부(63) 및 제2 외주 통부(65)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배출홈(71)은, 적어도 외주벽(14)의 둘레 방향 길이의 절반 정도의 둘레 방향 길이를 갖는다.
배출홈(71)은, 회전 커넥터 장치(1)의 내부에 침입한 모래 등의 이물을 내부에 남겨 두는 사진(砂塵) 고임부로서 기능한다. 배출홈(71)은, 중간 간극(55)을 통하여, 케이블 하우징(13)의 외부 공간(57)과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배출홈(71)은, 통과로(59)를 통하여, 케이블 수용 공간(50)과도 접속되어 있다.
배출공(61)은, 제1 외주 통부(63)에 형성되어 있다. 배출공(61)은, 직경 방향에 있어서, 제1 외주 통부(63)를 직경 방향으로 관통한다. 이에 의해, 배출공(61)은, 외주벽(14)의 둘레 방향에 도중에 끊어지지 않고 연장되는 배출홈(71)의 내부 공간을, 케이블 하우징(13)의 외부 공간(57)에 접속하고 있다.
배출공(61)은, 축 방향 D1에 있어서, 제1 외주 통부(63) 중, 연결부(67)와의 연결 부분보다 축 방향 D1에 있어서의 일방측(배출홈(71)측)에 배치되어 있다. 배출공(61)은, 배출홈(71)의 가장 깊은 부분(저부(87)의 부분)에 접속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배출공(61)은, 외주벽(14)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회전 커넥터 장치(1)를 설치한 경우에 배출홈(71) 중 최하부 부근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스테이터(10)에는, 배출홈(71)을 둘레 방향으로 구획하는 격벽은 특별히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배출홈(71)의 내부는, 배출공(61)이 배치되는 최하부와, 이 최하부와 위상이 180°다른 부분(최상부에 위치하는 부분) 사이에서, 원호상으로 길게 연속된 공간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배출공(61)은, 회전 커넥터 장치(1)의 설치 시에는,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블 하우징(13)의 외부 공간(57) 중, 칼럼 커버(5)의 내부 공간(75)에 면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배출공(61)의 축 방향 D1에 있어서의 한쪽의 단 부분(77)은, 축 방향에 있어서, 칼럼 커버(5)의 내부 공간(75), 또는 칼럼 커버(5)의 하측 단부(79)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 배출공(61)은 슬릿 형상을 갖고 있다.
도 27에는, 회전 커넥터 장치(1)가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소정 위치에 마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스티어링 로어 커버(3)와 칼럼 커버(5) 사이에 생기는 간극 중 상측의 간극(82)으로부터, 물 등의 액체가 내부에 들어간 경우를 생각한다. 이 액체는 회전 커넥터 장치(1)의 외주의 상부 부근에 걸린다. 이 액체의 일부가 중간 간극(55)을 통하여 회전 커넥터 장치(1)의 케이블 하우징(13)의 내부 공간에 침입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원환상의 중간 간극(55)의 근방에는, 중간 간극(55)을 따르도록 형성된 배출홈(71)의 개구단이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배출홈(71)이 형성되어 있는(적어도 반주 이상의) 범위에서는, 중간 간극(55)의 어느 위치로부터 액체가 침입한 경우라도, 대부분의 경우에 당해 액체는 배출홈(71)에 들어가, 배출홈(71)을 따라 최하단부까지 흐른다. 도 29에는, 중간 간극(55)의 최상단부에 침입한 액체가 배출홈(71)을 따라 최하단부로 흐르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배출홈(71)의 최하단부에 있어서는, 배출홈(71)의 저부(87)의 근처에 배출공(61)이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배출홈(71)의 최하단부에 도달한 액체는, 당해 최하단부에 거의 고이지 않고, 배출공(61)을 통하여 배출된다. 배출홈(71)의 하부에 액체가 고이지 않으므로, 배출홈(71)의 하부에서 액면이 상승하여 케이블 수용 공간(50)에 당해 액체가 넘치도록 침입하는 일도 없다. 따라서, 케이블 수용 공간(50)에 배치되어 있는 전기 케이블(60)의 심선 용접 부분의 1차 몰드에 물 등의 액체가 걸리지 않으므로, 절연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변형예의 회전 커넥터 장치(1)는, 스테이터(10)와, 회전체(20)와, 전기 케이블(60)을 구비한다. 회전체(20)는, 스테이터(10)와의 사이에 환상의 케이블 수용 공간(50)이 형성되도록, 스테이터(1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스테이터(10)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전기 케이블(60)은 케이블 수용 공간(50)에 수용된다. 전기 케이블(60)은, 스테이터(10)에 마련된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40)와, 회전체(20)에 마련된 커넥터 수용부(22)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스테이터(10) 및 회전체(20)로 구성되는 케이블 하우징(13)의 외부 공간(57)과 케이블 수용 공간(50)을 접속하는 중간 간극(55)이, 스테이터(10)와 회전체(20) 사이에 형성된다. 스테이터(10)는, 케이블 수용 공간(50)의 직경 방향 외측에 마련된 외주벽(14)을 포함하고 있다. 외주벽(14)은, 케이블 수용 공간(50)의 직경 방향 외측에 마련되고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출홈(71)과, 배출홈(71)과 접속된 배출공(61)을 포함하고 있다. 배출홈(71)은, 중간 간극(55) 및 케이블 수용 공간(50)에 접속되어 있다. 배출공(61)은, 배출홈(71) 및 외부 공간(57)을 접속한다.
이에 의해, 배출공(61)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회전 커넥터 장치(1)를 설치함으로써, 스테이터(10)와 회전체(20) 사이의 중간 간극(55)으로부터 물 등의 액체가 내부에 침입한 경우라도, 그 액체를 배출홈(71)으로 우선적으로 유도한 후에, 배출공(61)을 사용하여 확실하게 또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커넥터 장치(1)에 있어서의 절연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의 회전 커넥터 장치(1)에 있어서, 배출홈(71)은, 배출공(61)과 접속되는 위치로부터 반주 이상에 걸쳐 연속해서 마련된다.
이에 의해, 둘레 방향에서 중간 간극(55)의 여러 장소(예를 들어, 회전 커넥터 장치(1)의 상부 부근)로부터 액체가 침입한 경우라도, 배출홈(71)을 통하여, 회전 커넥터 장치(1)의 하부 부근의 배출공(61)으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출공(61)은 1개뿐만 아니라, 복수의 구멍(61A)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배출공(61)을 복수 형성한 경우, 액체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도 28 및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의 회전 커넥터 장치(1)에 있어서, 배출공(61)은 슬릿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이물이 배출공(61)을 통하여 회전 커넥터 장치(1)의 내부에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예에서는, 배출공(61)이 슬릿을 포함하지만, 배출공(61)의 형상은 임의이며, 예를 들어 환상, 정사각 형상 등으로 할 수 있다.
배출공(61)이, 배출홈(71)의 개구에 가까운 측의 제1 외주 통부(63)의 단부를 개방시키는 절결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배출을 위한 절결도 배출공에 포함됨).
배출공(61)이 제1 외주 통부(63)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방향은, 상술한 변형예와 같이 직경 방향이어도 되고, 직경 방향으로부터 기운 방향이어도 된다.
배출공(61)을 복수 형성하는 경우에는, 최하부 부근에 집중하여 복수 형성해도 되고, 둘레 방향으로 넓은 범위에서 배열하여 복수 형성해도 된다.
배출홈(71)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반주 이상에 걸쳐 연속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주 미만이어도 된다.
또한, 본원에 있어서는 「구비하고 있다」 및 그의 파생어는, 구성 요소의 존재를 설명하는 비제한 용어이며, 기재되어 있지 않은 다른 구성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것은 「갖고 있다」, 「포함하고 있다」 및 그것들의 파생어에도 적용된다.
본원에 있어서, 「제1」이나 「제2」 등의 서수는, 단순히 구성을 식별하기 위한 용어이며, 다른 의미(예를 들어 특정 순서 등)는 갖고 있지 않다. 예를 들어, 「제1 요소」가 있다고 하여 「제2 요소」가 존재하는 것을 넌지시 의미하고 있는 것은 아니며, 또한 「제2 요소」가 있다고 하여 「제1 요소」가 존재하고 있는 것을 넌지시 의미하고 있는 것도 아니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의 「평행」 「직교」 및 「일치」의 표현은 엄밀하게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실질적인 평행」 「실질적인 직교」 및 「실질적인 일치」의 의미를 각각 포함한다. 또한, 그 밖의 배치에 관한 표현도 엄밀하게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의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라는 표현은, 예를 들어 (1) A만, (2) B만, 및 (3) A 및 B의 양쪽의 어느 것도 포함하고 있다.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라는 표현은, 예를 들어 (1) A만, (2) B만, (3) C만, (4) A 및 B, (5) B 및 C, (6) A 및 C, (7) A, B 및 C 전부의 어느 것도 포함하고 있다. 본 개시에서는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라는 표현은, 「A 중 적어도 하나 및 B 중 적어도 하나」로는 해석되지 않는다.
상기 개시 내용으로부터 생각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이 가능한 것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본원의 구체적인 개시 내용과는 다른 방법으로 본 발명이 실시되어도 된다.
1: 회전 커넥터 장치
10: 스테이터
13: 케이블 하우징
20: 회전체
21: 회전체 본체
22: 커넥터 수용부
22A: 커넥터 수용 공간
22B: 수용부 외면
22C: 제1 외면
22D: 제2 외면
22E: 제3 외면
22F: 제4 외면
24: 제1 커넥터 홀더
24K: 홀더 연결부
25: 제2 커넥터 홀더
25A: 제2 홀더 본체
25B: 제1 벽
25B1: 제1 벽면
25B2: 제3 벽면
25C: 제2 벽
25C1: 제2 벽면
25C2: 제4 벽면
25K: 연결 돌기
30: 전기 커넥터
50: 케이블 수용 공간
55: 중간 간극
60: 전기 케이블
61: 배출공
71: 배출홈
A1: 회전 축선
S1: 제1 간극
S2: 제2 간극
S3: 제3 간극
S4: 제4 간극
C1: 제1 오목부
C2: 제2 오목부
C3: 제3 오목부
C4: 제4 오목부
V1: 제1 볼록부
V2: 제2 볼록부
V3: 제3 볼록부
V4: 제4 볼록부

Claims (35)

  1.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에 대하여 회전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 설치된 전기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터 및 상기 회전체는, 상기 회전 축선을 둘러싸도록 마련된 케이블 수용 공간을 상기 스테이터 및 상기 회전체의 사이에 획정하고,
    상기 회전체는, 회전체 본체와, 상기 전기 커넥터를 수용하는 커넥터 수용 공간을 갖는 커넥터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수용부는, 상기 회전 축선을 따라 상기 케이블 수용 공간과 반대측으로 상기 회전체 본체로부터 연장된 제1 커넥터 홀더와, 상기 제1 커넥터 홀더와는 별도 부재이며 상기 제1 커넥터 홀더에 설치된 제2 커넥터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 홀더는, 상기 전기 커넥터를 지지하는 커넥터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2 홀더 본체와, 상기 제2 홀더 본체로부터 상기 회전 축선에 평행한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벽과, 상기 제2 홀더 본체로부터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벽에 연결된 제2 벽을 포함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수용부는, 상기 회전 축선을 따라 본 경우에 상기 커넥터 수용 공간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수용부 외면과, 상기 제1 커넥터 홀더 및 상기 제2 커넥터 홀더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수용부 외면으로부터 상기 커넥터 수용 공간 쪽으로 연장된 제1 간극을 포함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벽은, 상기 축 방향에 직교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커넥터 수용 공간과 상기 제1 간극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벽은, 상기 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며 상기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벽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벽에 대하여 상기 제1 간극과 반대측에 배치되는, 회전 커넥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벽은,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획정된 제1 길이를 갖고,
    상기 제2 벽은,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획정된 제2 길이를 갖고,
    상기 제2 길이는 상기 제1 길이보다 긴, 회전 커넥터 장치.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벽은,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홀더 본체로부터 획정된 제1 축 방향 길이를 갖고,
    상기 제2 벽은,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홀더 본체로부터 획정된 제2 축 방향 길이를 갖고,
    상기 제2 축 방향 길이는 상기 제1 축 방향 길이보다 짧은, 회전 커넥터 장치.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홀더는, 상기 제1 커넥터 홀더를 상기 제2 벽에 연결하는 홀더 연결부를 포함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 홀더는, 상기 제2 벽 상에 마련된 연결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 연결부는, 상기 제1 커넥터 홀더를 상기 제2 커넥터 홀더에 연결하도록 상기 연결 돌기에 걸리는, 회전 커넥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벽은, 상기 전기 커넥터와 대향하는 제1 벽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벽은, 상기 제1 벽면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커넥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벽은, 상기 전기 커넥터와 대향하는 제2 벽면과, 상기 제2 벽면의 이측에 마련된 제4 벽면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돌기는 상기 제4 벽면 상에 마련되는, 회전 커넥터 장치.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 홀더는, 상기 제2 벽으로부터 상기 전기 커넥터와 반대측으로 연장된 제1 리브와, 상기 제2 벽으로부터 상기 전기 커넥터와 반대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리브와 상기 제2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돌기는,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 및 상기 제2 리브의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 커넥터 장치.
  12. 제2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외면은, 상기 회전 축선 쪽을 향하는 제1 외면과,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상기 커넥터 수용 공간에 대하여 상기 제1 외면과 반대측에 배치된 제2 외면과, 상기 제1 외면이 향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1 외면 및 상기 제2 외면의 사이에 배치된 제3 외면과, 상기 커넥터 수용 공간에 대하여 상기 제3 외면과 반대측에 배치된 제4 외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간극은, 상기 제3 외면 및 상기 제4 외면 중 한쪽으로부터 상기 커넥터 수용 공간 쪽으로 연장되는, 회전 커넥터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간극은 상기 회전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 커넥터 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면은, 상기 제1 커넥터 홀더 및 상기 제2 커넥터 홀더 중 상기 제1 커넥터 홀더 상에만 마련되는, 회전 커넥터 장치.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외면은, 상기 제1 커넥터 홀더 및 상기 제2 커넥터 홀더 상에 마련되는, 회전 커넥터 장치.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간극은, 상기 제3 외면으로부터 상기 커넥터 수용 공간 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4 외면은, 상기 제1 커넥터 홀더 및 상기 제2 커넥터 홀더 중 상기 제1 커넥터 홀더 상에만 마련되는, 회전 커넥터 장치.
  17.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홀더 및 상기 제2 커넥터 홀더 중 한쪽은, 제1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 홀더 및 상기 제2 커넥터 홀더 중 다른 쪽은, 상기 제1 오목부 내에 마련된 제1 볼록부를 포함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간극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오목부 및 상기 제1 볼록부의 사이에 마련되는, 회전 커넥터 장치.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 및 상기 제1 볼록부는, 상기 수용부 외면과 상기 커넥터 수용 공간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 커넥터 장치.
  20. 제12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수용부는, 상기 제1 커넥터 홀더 및 상기 제2 커넥터 홀더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수용부 외면으로부터 상기 커넥터 수용 공간 쪽으로 연장된 제2 간극을 포함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홀더 및 상기 제2 커넥터 홀더 중 한쪽은, 제2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 홀더 및 상기 제2 커넥터 홀더 중 다른 쪽은, 상기 제2 오목부 내에 마련된 제2 볼록부를 포함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간극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2 오목부 및 상기 제2 볼록부의 사이에 마련되는, 회전 커넥터 장치.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목부 및 상기 제2 볼록부는, 상기 수용부 외면과 상기 커넥터 수용 공간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 커넥터 장치.
  24. 제12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수용부는, 상기 제1 커넥터 홀더 및 상기 제2 커넥터 홀더의 사이에 마련된 제3 간극을 포함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홀더 및 상기 제2 커넥터 홀더 중 한쪽은, 제3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 홀더 및 상기 제2 커넥터 홀더 중 다른 쪽은, 상기 제3 오목부 내에 마련된 제3 볼록부를 포함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간극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3 오목부 및 상기 제3 볼록부의 사이에 마련되는, 회전 커넥터 장치.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오목부 및 상기 제3 볼록부는, 상기 수용부 외면과 상기 커넥터 수용 공간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 커넥터 장치.
  28. 제12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홀더 및 상기 제2 커넥터 홀더 중 한쪽은, 제4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 홀더 및 상기 제2 커넥터 홀더 중 다른 쪽은, 상기 제4 오목부 내에 마련된 제4 볼록부를 포함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간극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4 오목부 및 상기 제4 볼록부의 사이에 마련되는, 회전 커넥터 장치.
  30.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오목부 및 상기 제4 볼록부는, 상기 수용부 외면과 상기 커넥터 수용 공간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 커넥터 장치.
  31. 제12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축선을 따라 본 경우에, 상기 제3 외면의 길이는 상기 제2 외면의 길이보다 짧은, 회전 커넥터 장치.
  32.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와 상기 회전체로 구성되는 케이블 하우징의 외부 공간과 상기 케이블 수용 공간을 접속하는 중간 간극이 상기 스테이터와 상기 회전체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케이블 수용 공간의 직경 방향 외측에 마련된 외주벽을 포함하고,
    상기 외주벽은, 상기 케이블 수용 공간의 직경 방향 외측에 마련되고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출홈과, 상기 배출홈과 접속된 배출공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홈은, 상기 중간 간극 및 상기 케이블 수용 공간에 접속되고,
    상기 배출공은, 상기 배출홈 및 상기 외부 공간을 접속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홈은, 상기 배출공과 접속되는 위치로부터 반주 이상에 걸쳐 연속해서 마련되는, 회전 커넥터 장치.
  34.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은 복수의 구멍을 포함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35. 제32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은 슬릿을 포함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KR1020217028156A 2019-02-21 2020-02-19 회전 커넥터 장치 KR202101260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29819 2019-02-21
JPJP-P-2019-029818 2019-02-21
JP2019029819A JP7129358B2 (ja) 2019-02-21 2019-02-21 回転コネクタ装置
JP2019029818A JP7222752B2 (ja) 2019-02-21 2019-02-21 回転コネクタ装置
JP2019039467A JP7129360B2 (ja) 2019-03-05 2019-03-05 回転コネクタ
JPJP-P-2019-039467 2019-03-05
PCT/JP2020/006525 WO2020171121A1 (ja) 2019-02-21 2020-02-19 回転コネクタ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043A true KR20210126043A (ko) 2021-10-19

Family

ID=72144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8156A KR20210126043A (ko) 2019-02-21 2020-02-19 회전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843210B2 (ko)
EP (1) EP3930117B1 (ko)
KR (1) KR20210126043A (ko)
CN (1) CN113439370B (ko)
WO (1) WO202017112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65508B2 (ja) 2010-03-30 2012-11-0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WO2018047581A1 (ja) 2016-09-12 2018-03-1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222U (ja) * 1991-10-02 1993-04-2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JP3393762B2 (ja) * 1996-08-20 2003-04-0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車載用回転コネクタ
JP2000223229A (ja) * 1999-01-28 2000-08-11 Yazaki Corp ハンドルとステアリングコラム間の電気的接続装置
JP3522148B2 (ja) * 1999-04-23 2004-04-2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DE10019795B4 (de) * 2000-04-20 2004-09-30 Delphi Technologies, Inc. (n.d.Ges.d. Staates Delaware), Troy Lenkstockschalter
JP4024025B2 (ja) * 2001-10-11 2007-12-19 ナイルス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JP2005229740A (ja) * 2004-02-13 2005-08-25 Sumitomo Wiring Syst Ltd 自動車用電気接続箱
JP4602176B2 (ja) * 2005-07-01 2010-12-22 矢崎総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JP4585980B2 (ja) * 2005-10-14 2010-11-2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気接続箱
KR101133890B1 (ko) * 2010-01-06 2012-04-09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 스티어링 롤 커넥트
JP5117528B2 (ja) * 2010-03-30 2013-01-1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JP5117595B2 (ja) * 2010-05-10 2013-01-1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KR20120007418A (ko) * 2010-07-14 2012-0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클럭스프링의 오토록 기구
EP2642616A4 (en) * 2010-11-19 2014-04-09 Furukawa Electric Co Ltd ROTATABLE CONNECTOR
JP5624972B2 (ja) * 2011-10-31 2014-11-1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JP5886148B2 (ja) * 2012-06-21 2016-03-16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回転コネクタ装置
JP6065227B2 (ja) * 2013-08-28 2017-01-2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JP5871438B2 (ja) * 2013-12-03 2016-03-0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JP6249528B2 (ja) * 2014-07-04 2017-12-2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JP6605337B2 (ja) * 2016-01-13 2019-11-13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WO2017170650A1 (ja) * 2016-03-31 2017-10-0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JP6868610B2 (ja) * 2016-03-31 2021-05-1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WO2017204084A1 (ja) 2016-05-23 2017-11-3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接続具、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接続構造体及び回転コネクタ装置
JP6651619B2 (ja) * 2016-05-31 2020-02-19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WO2017208544A1 (ja) * 2016-05-31 2017-12-0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65508B2 (ja) 2010-03-30 2012-11-0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WO2018047581A1 (ja) 2016-09-12 2018-03-1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30117B1 (en) 2024-06-05
EP3930117A1 (en) 2021-12-29
US20210384687A1 (en) 2021-12-09
CN113439370A (zh) 2021-09-24
EP3930117A4 (en) 2022-04-27
WO2020171121A1 (ja) 2020-08-27
US11843210B2 (en) 2023-12-12
CN113439370B (zh) 2023-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9348B2 (en) Rotary connector device
JP6928851B2 (ja) 回転コネクタ装置
JP5778574B2 (ja) 電線カバー付きコネクタ
JP4405428B2 (ja) モータ端子部構造
JP2007026759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09056992A (ja) バッテリ直付け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の保護カバー取付構造
US10586630B2 (en) Wire harness
KR20210126043A (ko) 회전 커넥터 장치
JP7222752B2 (ja) 回転コネクタ装置
JP7129360B2 (ja) 回転コネクタ
JP7129358B2 (ja) 回転コネクタ装置
JPWO2017145786A1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構造
JP6070467B2 (ja) グロメット及びグロメット付ワイヤーハーネス
JP6141147B2 (ja) ハーネス保護部材
JP7390882B2 (ja) アタッチメント、及び、ワイヤハーネス
KR20220161559A (ko) 회전 커넥터 장치
JP4217653B2 (ja) 電気接続箱のハーネス導出構造
KR20230077481A (ko) 차량용 와이어 프로텍터
JP2018045848A (ja) 端子台構造
JP6868457B2 (ja) グロメット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KR20240015926A (ko) 그로멧
CN118044081A (zh) 线束及保护器
JP2016195498A (ja) レゾルバのワイヤハーネス保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