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6017A - 지지체를 갖는 소형 클러치 장치 - Google Patents

지지체를 갖는 소형 클러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6017A
KR20210126017A KR1020217025573A KR20217025573A KR20210126017A KR 20210126017 A KR20210126017 A KR 20210126017A KR 1020217025573 A KR1020217025573 A KR 1020217025573A KR 20217025573 A KR20217025573 A KR 20217025573A KR 20210126017 A KR20210126017 A KR 20210126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support
component
clutch device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5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파스칼 카를
라이너 노이쿰
루카스 브라운
Original Assignee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210126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60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6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 F16D25/062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the clutch having friction surfaces
    • F16D25/063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the clutch having friction surfaces with clutch members exclusively moving axially
    • F16D25/0635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the clutch having friction surfaces with clutch members exclusively moving axially with flat friction surfaces, e.g. discs
    • F16D25/0638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the clutch having friction surfaces with clutch members exclusively moving axially with flat friction surfaces, e.g. discs with more than two discs, e.g. multip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0Pressure members, e.g. pressure plates, for clutch-plates or lamellae; Guiding arrangements for pressur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10Clutch systems with a plurality of fluid-actuated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00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 F16D21/02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 F16D21/06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at least two driving shafts or two driven shafts being concentric
    • F16D2021/0661Hydraulically actuated multiple lamellae clutch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파워 트레인을 위한 클러치 장치(10)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클러치 장치(10)는 하우징(12), 상기 하우징(12)에 상대적으로 회전축(D)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캐리어 몸체(14), 상기 하우징(2)에 상대적으로 상기 회전축(D)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입력 샤프트(16), 제1 클러치(18), 제2 클러치(24) 및 바람직하게 제3 클러치(30)를 갖는다. 상기 제1 클러치(18)와 상기 제2 클러치(18) 상에는 공통 지지체(36)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두 클러치(18, 24)는 디스크 캐리어(42) 상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작동력은 상기 공통 지지체(36)를 통해 상기 디스크 캐리어(42) 상에서 지지된다. 그 결과 부품이 보다 적게 필요하고 설치 공간과 비용이 절약된다.

Description

지지체를 갖는 소형 클러치 장치
본 발명은, 승용차, 화물 자동차, 버스 또는 기타 상용차와 같이 3개의 클러치를 갖는 자동차의 파워 트레인을 위한 클러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클러치 장치는 특히, 하이브리드 구동 유닛에 적합하다. 하이브리드 구동 유닛은 내연 기관, 전기 모터 및 기어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하이브리드 구동 유닛은, 전기 모터와 내연 기관이 연결된 클러치 장치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모듈을 포함한다. 클러치 장치는, 2개의 클러치를 갖는 트윈 클러치와 예를 들어, 내연 기관과 같은 구동 요소를 결합하기 위한 하나의 분리 클러치로 구성된 트리플 클러치(triple clutch)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유형의 클러치 장치들은 그들이 갖는 많은 수의 부품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상응하는 설치 공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가능한 한 콤팩트한 클러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1의 특징들을 갖는 클러치 장치에 의해서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은 종속항들과 하기 설명에 제시되어 있으며, 상기 구현예들은 각각 본 발명의 양상을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의 파워 트레인을 위한 클러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 경우 상기 클러치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습식 영역을 제한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상대적으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캐리어 몸체로서, 상기 회전축이 상기 클러치 장치의 엔진 측으로부터 기어장치 측으로 연장되는, 캐리어 몸체,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에 상대적으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입력 샤프트,
상기 지지체를 통해 상기 입력 샤프트와 회전 고정 방식으로 연결된 제1 일차 클러치 구성 부품 및 상기 제1 일차 클러치 구성 부품과 회전 연결 가능한 제2 일차 클러치 구성 부품을 갖는 제1 클러치,
서로 회전 연결 가능한 2개의 이차 클러치 구성 부품을 갖고, 제1 이차 클러치 구성 부품과 회전 고정 방식으로 상기 제1 클러치의 제2 일차 클러치 구성 부품 상에 또는 제2 일차 클러치 구성 부품 쪽으로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제1 출력 샤프트를 갖는 제2 이차 클러치 구성 부품과 연결될 수 있는 제2 클러치를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제1 클러치와 상기 제2 클러치 상에 공통 지지체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공통 지지체는 상기 회전축을 따라서 축 방향 하중에 대해 상기 제1 클러치와 상기 제2 클러치를 지지하며, 이때 상기 제1 클러치의 축 방향 하중은 기어장치 측 제1 압력 포트에 의해 클러치의 기능적 연결에 작용하고, 그리고 상기 제2 클러치의 축 방향 하중은 기어장치 측 제2 압력 포트에 의해 클러치의 기능적 연결에 작용한다.
‘습식 영역’이라는 표현은 습식 작동하는, 즉 오일 윤활식 클러치를 의미한다.
‘제2 일차 클러치 구성 부품 상에 또는 제2 일차 클러치 구성 부품 쪽으로’라는 표현은 두 표현이 같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함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구성 부품들은 한 부분으로 제공될 수 있지만, 이것은 직접적으로 선택한 표현의 구성 부품은 아니다.
특히 바람직하게 지지체는 지지판이다.
마찰 클러치로서 형성된 클러치 장치의 작동을 위해, 특히 마찰 클러치의 체결을 위해, 유압 유체, 특히 오일이 압력 챔버로 펌핑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압력 챔버 내에서 압력이 증가한다. 상기 압력 챔버의 증가하는 압력은, 압력 챔버 외부에서 압력 포트에 부착되는 스프링 요소의 스프링력을 극복하고 상기 압력 포트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압력 포트는 그 결과, 마찰 클러치를 체결하고 이러한 마찰 클러치를 통해 흐르는 토크 흐름을 생성하기 위해, 압착 플레이트를 가압하고, 상기 압력 포트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이동된 압착 플레이트와 축 방향으로 고정된 카운터 플레이트 사이에서 마찰 라이닝을 마찰 결합 방식으로 가압할 수 있다. 마찰 클러치는 특히, 다판 클러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외부 디스크 캐리어와 회전 고정 방식으로 연결되지만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특히, 마찰 라이닝 또는 강판(steel plate)으로 형성된 외부 디스크들 및 내부 디스크 캐리어와 회전 고정 방식으로 연결되지만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특히 강판 또는 마찰 라이닝으로 형성된 내부 디스크들이 교대로 연이어 제공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내부 디스크들은 상기 외부 디스크 캐리어와 내부 디스크 캐리어 간의 토크 흐름을 야기하기 위해 카운터 플레이트와 압착 플레이트 사이에서 마찰 결합 방식으로 가압될 수 있다. 트랙션 모드(traction mode)에서, 내연 기관 및/또는 전기 기계에서 생성되는 토크는 외부 디스크 캐리어를 통해 도입되고, 내부 디스크 캐리어를 통해 특히, 자동차 기어장치의 기어장치 입력 샤프트로 전달되거나 그 반대로 전달될 수 있다. 압력 챔버의 압력이 감소하면, 스프링 요소의 스프링력이 압력 포트를 특히, 마찰 클러치의 체결 해제 위치에 상응하는 압력 포트의 축 방향 시작 위치로 다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이전에 압력 챔버에서 펌핑된 유압 유체가 출구로 이동될 수 있다. 클러치 작동은 대안적으로 피스톤 릴리스 시스템들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클러치 장치는 추가적으로 서로 회전 연결 가능한 2개의 삼차 클러치 구성 부품을 갖고, 제1 삼차 클러치 구성 부품과 회전 고정 방식으로 제1 클러치의 제2 일차 클러치 구성 부품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제2 출력 샤프트를 갖는 제2 삼차 클러치 구성 부품과 연결될 수 있는 제3 클러치를 포함하도록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클러치는 트리플 클러치로도 불리며, 이 경우 상기 트리플 클러치는 특히, 분리 클러치, 예를 들면 제1 클러치 그리고 제2 및 제3 클러치를 갖는 트윈 클러치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콤팩트한 구조적 형상을 갖는 트리플 클러치에 특히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2 클러치의 제1 이차 클러치 구성 부품과 제1 클러치의 제2 일차 클러치 구성 부품은 공통 디스크 캐리어로서 형성되도록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점은, 두 가지 상이한 구성 부품을 위한 재료 사용이 생략되기 때문에 추가로 콤팩트한 디자인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디스크 캐리어는 제1 클러치의 톱니형 내부 디스크들, 특히 톱니형 내부 강철 디스크들을 수용하기 위한 외부 치형부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디스크 캐리어는 제2 클러치의 톱니형 외부 디스크들, 특히 톱니형 외부 강철 디스크들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치형부를 갖도록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설계된 디스크 캐리어는 디스크 캐리어 표면들의 반경 방향 양면 사용으로 인해 콤팩트한 디자인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지지체는 제1 클러치를 향하는 자신의 외부 칼라가 상기 제1 클러치를 축 방향으로 지지하고, 그리고 제2 클러치를 향하는 상기 지지체의 S자 런아웃(S-runout)이 상기 제2 클러치를 축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지지체는 2개의 클러치의 신뢰할 수 있는 지지를 가능하게 한다.
지지체의 형상은 상당히 다양할 수 있으며, 특히 디스크 팩들 상호 간의 위치와 제1 및 제2 클러치의 주변 장치에 따라 달라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클러치 장치는 회전축을 따라서 지지체의 엔진 측 상에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체를 축 방향으로 지지하는 스냅 링을 가지며, 이 경우 상기 스냅 링은 특히, 회전축을 따라서 디스크 캐리어에 의해, 바람직하게 홀딩 수단에 의해 축 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클러치의 작동력뿐만 아니라 제2 클러치의 작동력도 마찬가지로 스냅 링을 통해 지지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디스크 캐리어는 엔진 측을 향하는 개방 단부가 핑거 림의 핑거 요소들을 가지며, 이 경우 상기 핑거 요소들은 지지체 상에 상호 작용하는 방식으로 형성된 리세스들을 관통하고, 그리고 상기 핑거 요소들은 지지체 상에서 스냅 링을 축 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특히,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홀딩 수단을 갖는다. 이로 인해 구성 부품들을 서로 신뢰할 수 있게 연결하기 위한 콤팩트한 유닛이 가능해지며, 이 경우 구성 부품들의 수를 적게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비용이 절감된다.
바람직하게 핑거 요소들과 리세스들은 부품을 절약하는 방식의 힘 분포를 위해 주연을 따라서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핑거 림은 지지체와 디스크 캐리어가 회전축을 따라서 축 방향으로 상호 지지되는 방식으로 배치되도록 주연을 따라서 핑거 요소들 사이에 지지 수단을 갖는다. 핑거 림의 지지 수단과 지지체는 부품을 절약하는 방식의 클러치 사용을 위한 균일한 힘 분배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대등하게 형성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특징 중 하나 이상에 따른 지지체의 특징들을 갖는, 전술한 특징 중 하나 이상에 따른 클러치 장치를 위한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특징 중 하나 이상에 따른 디스크 캐리어의 특징들을 갖는, 전술한 특징 중 하나 이상에 따른 클러치 장치를 위한 디스크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이하에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들과 연관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해서 설명되며, 이 경우 아래에 도시된 특징들은 본 발명의 양상을 개별적으로뿐만 아니라 조합하여서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바람직한 클러치 장치의 제1 실시 형태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2는 도 1에 따른 클러치 장치의 단면도의 컷아웃을 도시하고,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클러치 장치의 단면도의 사시 컷아웃을 도시하며,
도 4는 도 1에 따른 클러치 장치를 위한 디스크 캐리어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5는 도 4에 따른 디스크 캐리어의 측면도의 컷아웃을 도시하며,
도 6은 도 1에 따른 클러치 장치를 위한 지지체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7은 도 6에 따른 지지체의 정면도의 컷아웃을 도시하며, 그리고
도 8은 도 6에 따른 지지체의 사시도의 컷아웃을 도시한다.
도 1은 자동차의 파워 트레인을 위한 클러치 장치(10)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이 경우 상기 클러치 장치(10)는
바람직하게는 습식 영역을 제한하는 하우징(12),
상기 하우징(12)에 상대적으로 회전축(D)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캐리어 몸체(14)로서, 상기 회전축(D)이 상기 클러치 장치(10)의 엔진 측(M)으로부터 기어장치 측(G)으로 연장되는, 캐리어 몸체(14),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2)에 상대적으로 상기 회전축(D)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입력 샤프트(16),
상기 캐리어 몸체(14)를 통해 상기 입력 샤프트(16)와 회전 고정 방식으로 연결된 제1 일차 클러치 구성 부품(20) 및 상기 제1 일차 클러치 구성 부품(20)과 회전 연결 가능한 제2 일차 클러치 구성 부품(22)을 갖는 제1 클러치(18),
서로 회전 연결 가능한 2개의 이차 클러치 구성 부품(26, 28)을 갖고, 제1 이차 클러치 구성 부품(26)과 회전 고정 방식으로 상기 제1 클러치(18)의 제2 일차 클러치 구성 부품(22) 상에 또는 제2 일차 클러치 구성 부품 쪽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제1 출력 샤프트를 갖는 제2 이차 클러치 구성 부품(28)과 연결될 수 있는 제2 클러치(24), 및
바람직하게는 서로 회전 연결 가능한 2개의 삼차 클러치 구성 부품(32, 34)을 갖고, 제1 삼차 클러치 구성 부품(32)과 회전 고정 방식으로 상기 제1 클러치(18)의 제2 일차 클러치 구성 부품(22) 상에 또는 제2 일차 클러치 구성 부품 쪽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제2 출력 샤프트를 갖는 제2 삼차 클러치 구성 부품(34)과 연결될 수 있는 제3 클러치(3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클러치(18)와 상기 제2 클러치(24) 상에 공통 지지체(36)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공통 지지체는 상기 회전축(D)을 따라서 축 방향 하중에 대해 상기 제1 클러치(18)와 상기 제2 클러치(24)를 지지하며, 이때 상기 제1 클러치(18)의 축 방향 하중은 기어장치 측 제1 압력 포트(38)에 의해 클러치의 기능적 연결에 작용하고, 그리고 상기 제2 클러치(24)의 축 방향 하중은 기어장치 측 제2 압력 포트(40)에 의해 클러치의 기능적 연결에 작용한다.
입력 샤프트(16)는 특히, 내연 기관의 크랭크샤프트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클러치는 트리플 클러치로도 불린다.
본 출원에서 ‘습식 영역’이라는 표현은 습식 작동하는, 즉 오일 윤활식 클러치 장치(10)를 의미한다.
특히, 도 1 내지 3에는 예시적으로, 제1 클러치(18)가 톱니형으로 형성된 내부 강철 디스크들을 갖고, 이들 강철 디스크는 상응하게 톱니형으로 형성된 외부 디스크 캐리어(42)와 연결되어 있다. 제2 클러치(24)는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톱니형 외부 강철 디스크들을 갖고, 이들 강철 디스크들은 상응하게 톱니형으로 형성된 내부 디스크 캐리어(42)와 연결되어 있다. 두 클러치(18, 24)는 기어장치 측(G)에서는 압력 포트(38, 40)를 통해 작동된다. 따라서 모터 측(M)의 작동력은 지지체(36)에 의해 지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지지체(36)는 플러그인 결합에 의해 디스크 캐리어(42) 상에 부착되고 스냅 링(52)에 의해 축 방향으로 고정된다.
도 3에는, 도 4 및 도 5에 더 상세히 도시된 디스크 캐리어(42)가 개방 단부(56) 상에서 핑거 요소(58)들을 갖고, 이들 핑거 요소는 도 6 내지 도 8에 더 상세히 도시된 지지체(36) 상의 상응하는 리세스(64)들을 관통하는 것이 잘 나타나 있다. 디스크 캐리어(42) 상의 핑거 요소(58)들은 재료를 펀칭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지지체(36)는 기어장치 측(G)에서는 디스크 캐리어(42)에 축 방향으로 접한다. 이를 위해, 지지체(36)와 디스크 캐리어(42)는 정확한 접촉면이 생성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스냅 링(52)에 의해서는 지지체(36)가 엔진 측(M)에 축 방향으로 고정된다. 또한, 제1 클러치(18)의 작동력뿐만 아니라 제2 클러치(24)의 작동력 또한 스냅 링(52)을 통해 지지된다. 원주 방향에서, 지지체(36)는 이러한 지지체(36)의 리세스(64)들을 관통하는 디스크 캐리어(42)의 핑거 요소(58)들을 통해 고정되어 있다.
추가로 스냅 링(52)을 지지하기 위한 스냅 링 홈이 디스크 캐리어(42)의 핑거 요소(58)들의 반경 방향 내부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스냅 링(52)이 회전 속도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지지체(36)는 바람직하게는 도 8에서 잘 나타나 있는 S자 형태로 설계되어 있다. 이와 동시에 제1 클러치(18)를 향하는, 지지체(36)의 칼라(48)는 상기 제1 클러치(18)를 위한 지지부를 형성하는 반면, 제2 클러치(24)는 지지체(36)의 하부 영역의 S자 런아웃 상에 지지된다.
폐쇄된 윤곽 및 외부면과 내부면의 2개의 칼라로 인해, 도 3 내지 8에 따른 지지체(36)는 높은 수준의 강성을 갖는다. 그 결과 제1 및 제2 클러치(18, 24)의 작동력이 지지될 수 있다.
지지체(36)의 형상은 상당히 다양할 수 있으며, 특히 디스크 팩들 상호 간의 위치와 두 클러치(18, 24)의 주변 장치에 따라 달라진다.
원칙적으로, 지지체(36)는 2개의 클러치가 디스크 캐리어(42)를 공유하는 모든 클러치 애플리케이션들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시적인 트리플 클러치의 경우, 대안적으로 제2 클러치(24)와 제3 클러치(30)가 공통 디스크 캐리어 상에 배치됨으로써 제1 클러치(18)가 별도의 캐리어를 통해 연결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트윈 클러치 애플리케이션들과 하이브리드 모듈들에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1에 따르면, 예를 들어 클러치 장치(10)는 하나 이상의 댐퍼 유닛을 가지며, 상기 댐퍼 유닛은 예를 들어, 습식 영역을 제한하는 하우징(12) 내에 배치되어 있고 캐리어 몸체(14)와 상호 작용하며, 이 경우 상기 댐퍼 유닛은 진동 감쇠를 위해 상기 캐리어 몸체(14)와 연결되어 있다. 습식 영역으로서 형성된 하우징(12)에 댐퍼 유닛을 통합함으로써, 특히 회전축(D)을 따라서 축 방향 설치 공간이 절약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3에 따르면 예시적으로, 클러치 장치(10)가 이러한 클러치 장치(10)의 로터 상에서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기어 휠을 갖는 것이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기어 휠은 특히, 전기 모터와 클러치 장치(10) 간의 토크 전달을 위해 형성되었다.
전반적으로 단일 기어 휠 대신에 하나 이상의 추가 중간 휠이 사용될 수 있다. 그 결과 기어 휠들 상에서의 원주 속도가 감소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기 모터와 클러치 장치(10) 간의 토크 전달을 위해 기어 휠 대신 체인이 사용될 수도 있다.
10: 클러치 장치
12: 하우징
14: 캐리어 몸체
16: 입력 샤프트
18: 제1 클러치
20: 제1 일차 클러치 구성 부품
22: 제2 일차 클러치 구성 부품
24: 제2 클러치
26: 제1 이차 클러치 구성 부품
28: 제2 이차 클러치 구성 부품
30: 제3 클러치
32: 제1 삼차 클러치 구성 부품
34: 제2 삼차 클러치 구성 부품
36: 지지체
38: 제1 압력 포트
40: 제2 압력 포트
42: 디스크 캐리어
44: 디스크 캐리어의 외부 치형부
46: 디스크 캐리어의 내부 치형부
48: 제1 클러치를 향하는 지지체의 칼라
50: 제2 클러치를 향하는 지지체의 S자 런아웃
52: 스냅 링
54: 홀딩 수단
56: 디스크 캐리어의 개방 단부
58: 디스크 캐리어의 핑거 요소
60: 핑거 림
62: 지지 수단
64: 리세스
D: 회전축
M: 모터 측
G: 기어장치 측

Claims (10)

  1. 자동차의 파워 트레인을 위한 클러치 장치(10)로서, 상기 클러치 장치(10)는
    하우징(12),
    -상기 하우징(12)에 상대적으로 회전축(D)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캐리어 몸체(14)로서, 상기 회전축(D)이 상기 클러치 장치(10)의 엔진 측(M)으로부터 기어장치 측(G)으로 연장되는, 캐리어 몸체(14),
    -상기 캐리어 몸체(14)를 통해 입력 샤프트(16)와 회전 고정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 일차 클러치 구성 부품(20) 및 제1 일차 클러치 구성 부품(20)과 회전 연결 가능한 제2 일차 클러치 구성 부품(22)을 갖는 제1 클러치(18),
    -서로 회전 연결 가능한 2개의 이차 클러치 구성 부품(26, 28)을 갖고, 제1 이차 클러치 구성 부품(26)과 회전 고정 방식으로 상기 제1 클러치(18)의 제2 일차 클러치 구성 부품(22)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출력 샤프트를 갖는 제2 이차 클러치 구성 부품(28)과 연결될 수 있는 제2 클러치(24)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클러치(18)와 상기 제2 클러치(24) 상에 공통 지지체(36)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공통 지지체는 상기 회전축(D)을 따라서 축 방향 하중에 대해 상기 제1 클러치(18)와 상기 제2 클러치(24)를 지지하며, 상기 제1 클러치(18)의 축 방향 하중은 기어장치 측 제1 압력 포트(38)에 의해 클러치의 기능적 연결에 작용하고, 그리고 상기 제2 클러치(24)의 축 방향 하중은 기어장치 측 제2 압력 포트(40)에 의해 클러치의 기능적 연결에 작용하는, 자동차의 파워 트레인을 위한 클러치 장치(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장치(10)는 추가적으로
    -서로 회전 연결 가능한 2개의 삼차 클러치 구성 부품(32, 34)을 갖고, 제1 삼차 클러치 구성 부품(32)와 회전 고정 방식으로 상기 제1 클러치(18)의 제2 일차 클러치 구성 부품(22)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제2 출력 샤프트를 갖는 제2 삼차 클러치 구성 부품(34)과 연결될 수 있는 제3 클러치(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파워 트레인을 위한 클러치 장치(1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러치(24)의 제1 이차 클러치 구성 부품(26)과 상기 제1 클러치(18)의 제2 일차 클러치 구성 부품(22)이 공통 디스크 캐리어(42)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파워 트레인을 위한 클러치 장치(1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캐리어(42)가 상기 제1 클러치(18)의 톱니형 내부 디스크들, 특히 톱니형 내부 강철 디스크들을 수용하기 위한 외부 치형부(44)를 갖고, 그리고 상기 디스크 캐리어(42)가 상기 제2 클러치(24)의 톱니형 외부 디스크들, 특히 톱니형 외부 강철 디스크들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치형부(4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파워 트레인을 위한 클러치 장치(10).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러치(18)를 향하는 상기 지지체의 외부 칼라(48)가 상기 제1 클러치(18)를 축 방향으로 지지하고, 그리고 상기 제2 클러치(24)를 향하는 상기 지지체(36)의 S자 런아웃(50)이 상기 제2 클러치(24)를 축 방향으로 지지하는 방식으로 상기 지지체(36)가 S자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파워 트레인을 위한 클러치 장치(1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장치(10)가 스냅 링(52)을 가지며, 이 스냅 링은 상기 회전축(D)을 따라서 동축으로 상기 지지체(36)의 엔진 측(M)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체(36)를 축 방향으로 지지하며, 상기 스냅 링(52)은 특히, 상기 회전축(D)을 따라서 디스크 캐리어(42)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홀딩 수단(54)에 의해 축 방향으로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파워 트레인을 위한 클러치 장치(1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캐리어(42)가 상기 엔진 측(M)을 향하는 개방 단부(56) 상에서 핑거 림(60)의 핑거 요소(58)들을 가지며, 상기 핑거 요소(58)들은 상기 지지체(36) 상에 상호 작용하는 방식으로 형성된 리세스(64)들을 관통하며, 상기 핑거 요소(58)들은 상기 지지체(36) 상에서 상기 스냅 링(52)을 축 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해 특히,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홀딩 수단(5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파워 트레인을 위한 클러치 장치(10).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 림(60)이 주연을 따라서 상기 핑거 요소(58)들 사이에 지지 수단(62)을 구비하여 상기 지지체(36)와 상기 디스크 캐리어(42)가 상기 회전축(D)을 따라서 축 방향으로 상호 지지되는 방식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파워 트레인을 위한 클러치 장치(10).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따른 지지체(36)의 특징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따른 클러치 장치(10)를 위한 지지체(36).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크 캐리어(42)의 특징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따른 클러치 장치(10)를 위한 디스크 캐리어(42).
KR1020217025573A 2019-02-19 2020-01-28 지지체를 갖는 소형 클러치 장치 KR202101260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104076.0 2019-02-19
DE102019104076.0A DE102019104076A1 (de) 2019-02-19 2019-02-19 Kompakte Kupplungsanordnung mit einem Stützkörper
PCT/DE2020/100051 WO2020169143A1 (de) 2019-02-19 2020-01-28 Kompakte kupplungsanordnung mit einem stützkörp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017A true KR20210126017A (ko) 2021-10-19

Family

ID=69528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5573A KR20210126017A (ko) 2019-02-19 2020-01-28 지지체를 갖는 소형 클러치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927991B1 (ko)
KR (1) KR20210126017A (ko)
CN (1) CN113412373B (ko)
DE (1) DE102019104076A1 (ko)
WO (1) WO20201691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207064A1 (de) 2021-03-29 2022-09-29 Magna Pt B.V. & Co. Kg Mehrfachlamellenkupplungsanordnung mit Lagerkonzept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Mehrfachlamellenkupplung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03876B2 (de) * 1974-01-28 1979-09-06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Ag, 7990 Friedrichshafen Kupplungseinrichtung für unter Last schaltbare Planetenradgetriebe, insbesondere für selbsttätig schaltende Kraftf ahrzeug-Planetenradgetriebe
JP2507465Y2 (ja) * 1990-09-25 1996-08-14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クラッチ装置
DE4341953A1 (de) * 1993-12-09 1995-01-26 Daimler Benz Ag Anordnung eines ringförmigen Axialkolbens eines Kupplungsstellgliedes bei einer Lamellenkupplung
DE10004186B4 (de) * 1999-09-30 2013-03-07 Volkswagen Ag Mehrfach-Kupplungseinrichtung
DE10115454A1 (de) * 2001-01-25 2002-08-08 Zf Sachs Ag Mehrfach-Kupplungseinrichtung, ggf. in Kombination mit einer Torsionsschwingungsdämpferanordnung oder/und einer Elektromaschine
DE10223892A1 (de) * 2002-05-29 2003-12-11 Zf Sachs Ag Mehrfach-Kupplungseinrichtung mit wenigstens zwei Lamellen-Kupplungsanordnungen
DE10350573A1 (de) * 2003-10-30 2005-06-02 Zf Friedrichshafen Ag Kupplungsanordnung in einem Getriebe mit zwei axial und radial benachbarten Kupplungen
JP4683956B2 (ja) * 2005-02-24 2011-05-18 株式会社エクセディ 複式クラッチ装置
DE502005008046D1 (de) * 2005-05-25 2009-10-15 Borgwarner Inc Kupplungsanordnung in radial geschachtelter Bauart
US7784595B2 (en) * 2006-02-13 2010-08-31 Borgwarner Inc. Integrated clutch assembly damper arrangement
DE102007042810A1 (de) * 2007-09-07 2009-03-12 Zf Friedrichshafen Ag Anordnung zur axialen Abstützung einer Endlamelle eines Lamellenpaketes mittels eines Sprengringes
DE102009000474A1 (de) * 2008-09-09 2010-03-11 Zf Friedrichshafen Ag Mehrfachkupplungseinrichtung, insbesondere Doppelkupplungseinrichtung, mit mittels eines Lamellenträgers betätigbarer Lamellen-Kupplungsanordnung
CN108916262B (zh) * 2010-03-25 2021-05-04 博格华纳公司 同心双离合器装置
DE102012024699A1 (de) * 2012-01-13 2013-07-18 Borgwarner Inc. Kupplungsanordnung mit einer Doppelkupplungseinrichtung
DE102012021074B4 (de) * 2012-10-19 2016-05-04 Getrag Getriebe- Und Zahnradfabrik Hermann Hagenmeyer Gmbh & Cie K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Hybrid-Antriebsstranges
DE102014212830A1 (de) * 2013-07-04 2015-01-08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Mehrfachkupplungseinrichtung für ein Nutzfahrzeug sowie Drehmomentübertragungseinrichtung oder Kupplung
DE102013216747A1 (de) * 2013-08-23 2015-02-2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Lamellenträger für eine Doppelkupplungsanordnung, Doppelkuppl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Lamellen dafür
DE102013224653A1 (de) * 2013-12-02 2015-06-03 Zf Friedrichshafen Ag Automatgetriebe mit einer Kupplungseinrichtung
DE102015203652A1 (de) * 2014-03-18 2015-09-2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Druckring-Verriegelungsteil für eine Drehmomentübertragungseinrichtung sowie Kupplungseinrichtung oder Kupplung
US9719579B2 (en) * 2014-03-31 2017-08-01 Aisin Aw Co., Ltd. Speed change device
JP2016001033A (ja) * 2014-06-12 2016-01-07 Nskワーナー株式会社 湿式多板クラッチ装置
EP3034901B1 (de) * 2014-12-19 2020-10-21 Magna PT B.V. & Co. KG Kupplungsanordnung für Kraftfahrzeugantriebsstrang
DE102015205836A1 (de) * 2015-03-31 2016-10-0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Lamellenkorb, Lamellenträger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Lamellenkorbs
DE102015226522A1 (de) * 2015-12-22 2017-06-2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upplungseinrichtung
FR3049025B1 (fr) * 2016-03-16 2019-04-26 Valeo Embrayages Mecanisme d'embrayage et procede d'assemblage d'un tel mecanisme sur une chaine de transmission
FR3049023B1 (fr) * 2016-03-16 2019-04-26 Valeo Embrayages Double embrayage humide supporte sur son systeme de commande
CN107839475B (zh) * 2016-09-20 2022-08-30 博格华纳公司 用于混合动力汽车传动系的扭矩传递装置
WO2018103778A1 (de) * 2016-12-07 2018-06-1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upplungs- und bremssystem mit einem ein reibelement und ein bremselement aufnehmenden reibelementeträger; sowie antriebsstrang
KR102487173B1 (ko) * 2016-12-30 2023-01-1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DE102017130478A1 (de) * 2017-02-24 2018-08-3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Einschubmodul, Hybridmodul, Antriebsstra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Zusammenbauen eines Antriebsstrangs
CN107830077A (zh) * 2017-12-08 2018-03-23 格特拉克(江西)传动系统有限公司 一种双离合器摩擦副系统
CN207762144U (zh) * 2017-12-08 2018-08-24 格特拉克(江西)传动系统有限公司 一种双离合器摩擦副系统
FR3081951B1 (fr) * 2018-05-30 2021-10-29 Valeo Embrayages Dispositif comportant une pluralite d'embrayages
DE102019104073A1 (de) * 2019-02-19 2020-08-2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ompakte Kupplungsanordnung einer Dreifachkupplung für ein achsparalleles Hybridmodu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69143A1 (de) 2020-08-27
EP3927991A1 (de) 2021-12-29
EP3927991B1 (de) 2024-04-03
CN113412373B (zh) 2023-07-14
CN113412373A (zh) 2021-09-17
DE102019104076A1 (de) 202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1559B1 (ko) 자동차용 멀티 클러치 시스템 및 하이브리드 모듈
JP4722937B2 (ja) デュアルクラッチ装置
US6401894B1 (en) Multiple-clutch assembly
US8556053B2 (en) Twin-clutch for a twin-clutch variable speed transmission in motor vehicles
US7966901B2 (en) Torque transfer device
JP6840146B2 (ja) ローテーション軸線を有する摩擦クラッチ
EP3543556B1 (en) Triple clutch and actuator thereof
CN106907403B (zh) 离合器装置
CN113614405B (zh) 具有优化的移动摩擦的多片式离合器;混动模块,双离合器装置以及动力总成
CN105346372B (zh) 混合动力模块和具有它的汽车传动系
CN110914089B (zh) 混合动力模块
CN113389822A (zh) 双湿式离合器
CN112955339A (zh) 变速器单元和具有变速器侧的分隔壁的混动模块
KR20210126017A (ko) 지지체를 갖는 소형 클러치 장치
CN106468314B (zh) 弹簧组件和离合器装置
CN110809524B (zh) 混合动力模块
CN109863324B (zh) 具有离合器盘的扭矩传递装置和由该装置和飞轮构成的组件
CN111623048B (zh) 具有用于将片或离合器盘间隔开的板簧元件的离合器
CN106050972B (zh) 压力罐,离合器装置,用于操纵离合器装置的方法以及转矩传递装置
CN110050138B (zh) 具有与操作系统嵌套的制动装置的离合和制动系统以及驱动系
KR20140094598A (ko) 멀티 프리 디스크식 클러치
CN110891816B (zh) 混合动力模块
US20230286367A1 (en) Pressure medium-actuated separating clutch which is normally closed, comprising an actuation device which rotates therewith and axially overlaps with a damper device
KR102468301B1 (ko) 동력 전달 장치
CN110914090B (zh) 混合动力模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