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4979A - 창틀 및/또는 여닫이 창틀의 프레임 프로파일, 그리고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창틀 및/또는 여닫이 창틀의 프레임 프로파일, 그리고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4979A
KR20210124979A KR1020217024048A KR20217024048A KR20210124979A KR 20210124979 A KR20210124979 A KR 20210124979A KR 1020217024048 A KR1020217024048 A KR 1020217024048A KR 20217024048 A KR20217024048 A KR 20217024048A KR 20210124979 A KR20210124979 A KR 20210124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fixing
casing shell
groove
core pro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4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필립 칼베르캄프
Original Assignee
베카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카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베카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210124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49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4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0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20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plastics
    • E06B3/22Hollow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0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E06B3/301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consisting of prefabricated profiled members or glass
    • E06B3/306Covering plastic frames with metal or plastic profiled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5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extrusion moulding around inserts
    • B29C48/151Coating hollow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26Frames of plastics
    • E06B1/28Hollow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2Frames composed of part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20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plastics
    • E06B3/22Hollow frames
    • E06B3/221Hollow frames with the frame member having local reinforcements in some parts of its cross-section or with a filled cavity
    • E06B3/222Hollow frames with the frame member having local reinforcements in some parts of its cross-section or with a filled cavity with internal prefabricated reinforcing section members inserted after manufacturing of the hollow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0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E06B3/301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consisting of prefabricated profiled members or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8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8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 E06B3/5807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not adjustable
    • E06B3/5821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not adjustable hooked on or in the frame member, fixed by clips or otherwise elastically fixe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04Welded or soldered joints
    • E06B3/9608Mitre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12Articles with an irregular circumference when viewed in cross-section, e.g. window prof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20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plastics
    • E06B3/22Hollow frames
    • E06B3/221Hollow frames with the frame member having local reinforcements in some parts of its cross-section or with a filled ca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코어 프로파일(10, 30)을 포함하는 창문 또는 문의 창틀 및/또는 여닫이 창틀의 프레임 프로파일에 관한 것이며, 코어 프로파일(10, 30)의 서로 대향하는 외부 벽부들 중 적어도 하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두 외부 벽부 상에 케이싱 쉘부(20, 20', 40, 40')가 배치되며, 외부 벽부들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2개의 외부 벽부는 코어 프로파일(10, 30)의 종방향으로 뻗어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홈(10a, 30a)을 포함하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요홈은 코어 프로파일(10, 30)의 전체 길이에 걸쳐 뻗어 있으며, 케이싱 쉘부(20, 20', 40, 40')는 고정 요홈(10a, 30a) 상에 및/또는 내에 고정되어 고정 요홈(10a, 30a)을 덮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전체 외부 벽부를 덮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 프로파일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창틀 및/또는 여닫이 창틀의 프레임 프로파일, 그리고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코어 프로파일(core profile)을 포함하는 창문(window) 또는 문(door)의 창틀 및/또는 여닫이 창틀의 프레임 프로파일에 관한 것이며, 코어 프로파일의 서로 대향하는 외부 벽부들 중 적어도 하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두 외부 벽부 상에 케이싱 쉘부(casing shell)가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 프로파일의 제조를 위한 방법, 그리고 상기 프레임 프로파일들의 모서리 이음(corner joint)을 위한 방법에도 관한 것이다.
코어 프로파일의 외부 벽부들은, 프레임 프로파일의 추후 이용 시, 예컨대 상기 프레임 프로파일들로 하나의 프레임 또는 총 하나의 창문 또는 문을 형성할 때, 프레임 프로파일이 그 내에 설치되어 있는 건물의 실내로 향하고 외부 환경으로 향하는 벽부들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외부 벽부들은, 프레임 프로파일의 건물 내면 및 건물 외면 상에 위치하며, 그리고 그 밖에도 프레임 프로파일들로 형성된 프레임 또는 이 프레임으로 테를 두르는 창유리의 평면의 표면 법선에 대해 평행한 방향에서 상호 간에 대향하여 위치한다. 외부 벽부들의 이격되는 방향은 프레임 프로파일의 폭 또는 깊이의 방향으로서도 해석된다. 높이의 방향은 폭/깊이에 대해, 그리고 코어 프로파일의 종방향 연장부에 대해 수직이다. 코어 프로파일은 압출 성형되고 통상 중공 챔버들(hollow chamber)을 포함하는 중공 플라스틱 프로파일이며, 그리고 그에 따라 자신의 연장부의 위치에 동일한 횡단면을 보유한다. 코어 프로파일은 재료와 관련하여 예컨대 경질 PVC로 형성될 수 있다.
플라스틱, 예컨대 PVC로 구성되는 문과 창문은 오늘날 건축 방식에서 고정된 구성부재이다. 플라스틱 지지 부재는 낮은 구매 비용 외에도 높은 방음 및 단열, 간단한 청소 및 높은 장기 내구성을 제공한다. 플라스틱 창문은 특별히 프레임 제조에서 이음매가 없으면서 기밀한 연결부들을 달성하는 자동화된 모서리 용접 결합 기술을 특징으로 한다.
금속 창문, 특히 알루미늄 창문은 매우 높은 안정성, 장기 내구성 및 내기후성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는 케이싱 쉘부들을 이용한 플라스틱 프로파일들의 외장 클래딩(cladding)은 시각 효과적인 이유에서 빈번하게 수행되며, 알루미늄으로 구성된 케이싱 쉘부들은 다양한 색상들로 양극 산화 처리(anodization)되거나, 래커로 칠해지거나, 분말로 코팅되거나, 또는 포일로 코팅될 수 있다.
EP 0 517 057 A2호로부터는 프레임 프로파일들의 모서리 용접 이후 우선 창틀 및 여닫이 창틀에 버튼형 홀더들(buttony holder)을 구비하고, 그에 뒤이어 상기 홀더들 상에 알루미늄 케이싱 쉘부들을 클립 고정하는 점이 공지되어 있다. 이를 위해, 알루미늄 케이싱 쉘부들은 마찬가지로 언더컷된 2개 쌍의 고정 리브들(fixing rib)을 포함하며, 이들 고정 리브의 각각의 이격 간격은 나사 클램프 니플들(screw clamp nipple)의 버튼 지름에 상응한다.
이 경우, 홀더들은 창틀 또는 여닫이 창틀의 프레임 프로파일들 상에 매우 정확하게 포지셔닝되어야 하며, 그에 추가로 모서리 영역 내에 특별한 모서리 커넥터들(corner connector)이 필요하다. 이런 구조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알루미늄 케이싱 쉘부들을 요구하는데, 그 이유는 고정 리브들과 나사 클램프 니플들이 클립 고정을 위해 추가 사면(slope)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해당 유형에 따른 프로파일 시스템의 또 다른 단점은, 물이 플라스틱 프로파일들과 알루미늄 케이싱 쉘부들 사이에 도달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종래 기술에서 기재되는 알루미늄 케이싱 쉘부들을 포함한 외장들(facing)은 단지 이미 완전하게 조립된 프레임의 개장(retrofitting)을 위해서만 적합하며, 그리고 복잡하게 수작업으로 재조립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가장 큰 도전은 창틀들의 모서리 이음들이다. 플라스틱, 예컨대 PVC와 알루미늄은 온도 변동 동안 상이하게 거동하며, 그리고 특히 모서리 영역들에서 다양한 재료 팽창으로 인해 간극 형성(gap formation)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런 이유에서, 케이싱 쉘부들로서의 금속 프로파일들을 이용한 플라스틱 프로파일들의 추후 외장 클래딩 시 에지 간(edge-to-edge) 모서리 이음 작업이 수행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케이싱 쉘부들로 구성되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케이싱 쉘부들로 구성되는,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케이싱 쉘부들과 이들 케이싱 쉘부 사이에 위치하고 그에 따라 안쪽에 위치하는 플라스틱 코어 프로파일, 예컨대 플라스틱 중공 챔버 프로파일로 구성되는 노출된 외부 벽부들을 포함하여 반제품으로서 사전 조립되는 로드(rod)형 프레임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케이싱 쉘부들 내에 최대 플라스틱 함량 및 최소 재료 함량을 포함하여 안정되지만 재료 최적화된 프레임 프로파일로서, 표준에 따른 창틀 또는 문틀의 제조를 위해 표준에 따라 제공될 수 있는 상기 프레임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과제는, 코어 프로파일 상에서 케이싱 쉘부들을 통한 두께 형성을 최대한 얇게 유지하며, 그리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케이싱 쉘부들을 통해서도 프레임 프로파일 또는 이 프레임 프로파일로 형성되는 프레임의 정적 하중 지지 능력에 기여하게 하는 것에 있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과제는, 상호 연결된 창문 또는 알루미늄 창문의 장점들과 플라스틱 창문의 장점들을 서로 결합시키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과제는, 창문 또는 문의 용도로 효율적으로, 기계적으로, 그리고 시간을 절약하면서 -특히 모서리 이음 동안- 하나의 작업 공정으로 완성되는 여닫이 창틀 또는 창틀을 제조할 수 있는 재료가 되는, 케이싱 쉘부들을 포함한 프레임 프로파일들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과제는, 최대한 높은 안정성이 있는 조건에서 케이싱 쉘부들을 구비한 플라스틱 프로파일들의 모서리 영역들에서 간극의 방지를 위한 모서리 이음을 보장하는 자동화된 방법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서, 도입부에 언급한 유형의 프레임 프로파일의 경우, 외부 벽부들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2개의 외부 벽부가 코어 프로파일의 종방향으로 뻗어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홈(fixing groove)을 포함하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요홈은 코어 프로파일의 전체 길이에 걸쳐 뻗어 있으며, 케이싱 쉘부는 고정 요홈 상에 및/또는 내에 고정되어 고정 요홈을 덮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전체 외부 벽부를 덮는 것을 통해 해결된다.
특히 각각의 고정 요홈은 횡단면과 관련하여 종방향 연장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적어도 실질적으로 U자 형태로, 요컨대 2개의 요홈 벽부 사이에 하나의 요홈 바닥부(groove bottom)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고정 요홈은, (여전히) 케이싱 쉘부에 의해 덮여 있지 않은 점에 한해, 바깥쪽을 향해 개방되어 있으며, 특히 다시 말해 건물의 실내 쪽을 향해, 또는 외부 주변 환경 쪽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요홈 바닥부는 바람직하게는 프레임 프로파일들로 형성되는 프레임 구조의 유리창의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위치한다.
본원 방법에 따라, 상기 프레임 프로파일은, 본 발명에 따라서, 하나의 방법 단계에서 코어 프로파일이 플라스틱으로 압출 성형되는 것을 통해, 특히 코어 프로파일의 2개의 서로 대향하는 외부 벽부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벽부 내에,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기결정된 길이로 코어 프로파일의 2개의 서로 대향하는 외부 벽부 중 각자의 외부 벽부 내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홈을 포함하는 중공 챔버 프로파일이 압출 성형되는 것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길이는 예컨대 창문 제조 분야에서 6.5미터의 통상적인 제조 길이에 상응할 수 있다. 추가 방법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2개의 케이싱 쉘부는, 예컨대 알루미늄의 압출 성형을 통해, 코어 프로파일로 향해 있는 케이싱 쉘부들의 내부 표면들 상에 고정 부재들(fixing element)을 포함하여 기결정된 길이로, 특히 동일하게 6.5미터의 길이로 제조되며,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케이싱 쉘부는 자체 고정 부재들에 의해 코어 프로파일의 외부 벽부의 고정 요홈 상에/내에 고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프레임 프로파일은 두 외부 벽부 상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홈을 포함하며, 이 고정 요홈 상에/내에 각각 하나의 케이싱 쉘부가 고정된다. 이를 통해, 프레임 프로파일은 내면 및 외면에서 케이싱 쉘부들로 외장된다.
상기 프레임 프로파일들 및 상기 제조 방법의 장점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홈이 코어 프로파일의 전체 프로파일 길이에 걸쳐 뻗어있을 때, 상기 고정 요홈은 곧바로 코어 프로파일의 압출 성형 동안 제조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케이싱 쉘부의 고정은 본 발명에 따라 고정 요홈 상에서 또는 내에서 수행되며, 그럼으로써 고정 수단은 요홈 리세스(groove recess)의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두께 형성에 기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싱 쉘부들을 구비한 코어 프로파일은, 상대적으로 더 얇은 두께를 보유하여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두께가 기결정된 경우 예컨대 표준에 따라서 케이싱 쉘부들을 통해 종래 기술에 비해 더 얇은 두께 부분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르면서 조합된 하나의 프레임 프로파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요홈을 구비한 외부 벽부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U자형 프로파일링부(U-shaped profiling)를 포함하며, 이 U자형 프로파일링부는 요홈 리세스를 에워싸며, 그리고 I자형 벽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정적 하중 지지 능력 또는 상대적으로 더 높은 비틀림 강성을 보유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하나의 케이싱 쉘부에 의해 코어 프로파일의 외부 벽부가 완전하게 덮인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덮여 있지 않은 경우 바깥쪽에서부터 관찰할 때 보일 수도 있는 외부 벽부의 부분들 모두가 케이싱 쉘부에 의해 덮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케이싱 쉘부는 완전하게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프로파일의 바깥쪽을 향해 보이는 가시면(visible surface)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조된 프레임은 완전하게 케이싱 쉘부에 의해 정의되는 시각적 효과를 취할 수 있다. 이 경우, 시각적 효과는 곧바로 케이싱 쉘부의 재료를 통해, 그리고 경우에 따라 케이싱 쉘부의 표면 구조화부를 통해 정해질 수 있다. 그러나 케이싱 쉘부는 자체에, 특히 적어도 바깥쪽으로 향하는 가시면 상에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시각적 효과는 실질적으로 코팅층을 통해 정의될 수 있다.
외부 벽부 내에 고정 요홈을 형성하는 것을 통해, 외부 벽부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평면(plane)으로 분할되며, 요컨대 요홈 바닥부가, 수직 방향으로 뻗어있으면서 요홈 벽부들의 단부들에 이어지고 바깥쪽을 향해 가장 멀리 돌출되는 외부 벽부 영역들의 제1 평면 안쪽에서 코어 프로파일 내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되돌아가는 외부 벽부의 부분이 되는 것을 통해 2개의 평면으로 분할된다. 이 경우, 되돌아가는 요홈 바닥부는 제2 평면에 위치한다. 제1 및 제2 평면은 바람직하게는 상호 간에 평행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각각의 케이싱 쉘부는 코어 프로파일 쪽으로 향하는 자신의 내부 표면을 이용하여, 바깥쪽을 향해 돌출되는 외부 벽부 영역들 상에, 다시 말하면 제1 평면의 외부 벽부 영역들 상에 직접 접촉하는 방식으로 안착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고정 부재들은 케이싱 쉘부들의 내부 표면 상에서 요홈 내로 맞물리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렇게 상부구조 두께(superstructure thickness)는 코어 프로파일 상에서 케이싱 쉘부를 통해 상기 케이싱 쉘부의 벽 두께로 제한될 수 있다.
외부 벽부에서 바깥쪽을 향해 가장 멀리 돌출되는 외부 벽부 영역들은 바람직하게는 코어 프로파일의 상부 및 하부 에지 영역들 상에 위치한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그런 다음, 고정 부재들, 바람직하게는 고정 요홈 상에서/내에서 고정을 위해 제공되는 모든 고정 부재는 케이싱 쉘부의 전체 높이와 관련하여 케이싱 쉘부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 내에, 또는 그 둘레에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상부 및 하부 에지 영역들까지 소정의 이격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그럼으로써 케이싱 쉘부들의 내부 표면은 벽 두께로 제한되는 에지 영역들을 형성할 수 있게 되며, 이런 에지 영역들은 돌출되는 외부 벽부 영역들에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프레임 프로파일은, 압출 성형된 플라스틱 코어 프로파일과; 플라스틱 중공 챔버 프로파일들의 가시면들을 외장하는 케이싱 쉘부들;로 조합된 조합 구조이다. 케이싱 쉘부들은, 요구되는 적용을 위해 선택되는 임의의 재료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케이싱 쉘부들은, 플라스틱 창문에 목재 창문의 외관을 부여하기 위해, 목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케이싱 쉘부들은 이런 경우 목재로 밀링 가공된다.
동일하게, 그리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케이싱 쉘부들은 금속으로, 바람직하게는 경금속으로, 특히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으로, 예컨대 압출 성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이로써, 매우 우수한 내후성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프로파일들의 제조된 조합 구조의 경우, 코어 프로파일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중공 챔버 프로파일들은 그 명칭에 상응하게 프로파일 조합 구조의 코어 내에 위치하고, 케이싱 쉘부들은 바깥쪽에서 상기 중공 챔버 프로파일들 상에 고정된다. 주요 장점은, 케이싱 쉘부들이 창문 또는 문의 설치 이후에 코어 프로파일들/플라스틱 중공 챔버 프로파일들 상에 적층되는 것이 아니라, 이미 고정된 구성부재이며, 특히 프레임 프로파일들의 비파괴 방식으로는 분리될 수 없는 구성부재이며, 그런 후에 프레임 프로파일들은 최종 치수로 재단되며, 특히 그런 후에 프레임 프로파일들은 모서리에서 용접된다.
특히 PVC로, 바람직하게는 경질 PVC로 제조되는 플라스틱 코어는 열적 절연을 위해 이용되며, 그리고 소음 감소 및 단열을 위해 이용되는 기능 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플라스틱 코어는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완전하게 안쪽에 위치하며, 다시 말하면 건물 외면뿐만 아니라 건물 내면에서도 보이지 않는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이를 위해, 케이싱 쉘부들은 유리창에 대한 실링들(sealing) 또는 인접한 프로파일에 대한 실링들이 그 내에 수용되어 있는 코어 프로파일의 고정 영역들까지에 다다르거나, 또는 그를 넘어간다. 따라서, 여닫이 창틀 프로파일의 케이싱 쉘부는, 창틀 프로파일에 대한 실링의 영역에서부터 유리창에 대한 실링의 영역까지 모든 코어 프로파일 영역을 덮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내면 및 외면에서 모든 코어 프로파일 영역을 덮는다. 창틀 프로파일의 케이싱 쉘부는 여닫이 창틀 프로파일에 대한 실링의 영역에서부터 건물 벽/벽돌 벽(brick wall)/골조(framework)까지 모든 코어 프로파일 영역을 덮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내면 및 외면에서 모든 코어 프로파일 영역을 덮는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케이싱 쉘부들, 바람직하게는 외면의 케이싱 쉘부들은 유리창 쪽으로 향하는 케이싱 쉘부 프로파일의 에지부들 상에서 실링들과 접촉할 수 있되, 이들 실링은 실링 수용부들, 특히 코어 프로파일/플라스틱 중공 챔버 프로파일 상의 요홈들 내에 부착되어 있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특히 실내 내면에서, 여닫이 창틀을 형성하는 프레임 프로파일의 유리 스트립(glass strip)은 케이싱 쉘부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유리 인서트까지 대체로 변함없는 시각적 효과가 달성되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유리 스트립의 외부 표면은 케이싱 쉘부의 외부 표면과 일직선으로, 특히 이격 간격 없이 서로 일직선으로 배향된다.
추가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프로파일들의 동일한 면, 특히 내면 및/또는 외면 상에 배치되는, 창틀의 코어 프로파일 상의 케이싱 쉘부 및 여닫이 창틀의 코어 프로파일 상의 케이싱 쉘부는 자신들의 가시면들이 서로 일직선을 이루는 방식으로, 특히 동일한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두 케이싱 쉘부의 가시면들은 상호 간에 오프셋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파일들의 두 면 중 일측 면에서는 서로 일직선을 이루는 방식으로, 그리고 타측 면에서는 상호 간에 오프셋된 방식으로 두 케이싱 쉘부를 배치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든 실시 가능성은, 바깥쪽 또는 안쪽에서부터 볼 때, 심지어는 전체적으로 기설정되지 않을 때에도, 케이싱 쉘부들의 시각적 효과를 통한 외관이 우세하게 작용하는 점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프로파일들로 구성되는 창틀 및 여닫이 창틀은, 안쪽에 위치하는 코어 프로파일,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중공 챔버 프로파일로 구성된 코어 내 총 4개의 프로파일 면 상에서 지지 재료로서 형성되며, 그리고 추후의 외면 및 실내 내면으로 향해 있는 가시면들 상에서 케이싱 쉘부들로 외장된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특히 상기 플라스틱이 볼품없는 시각적 효과를 가질 때조차도, 경제적이고 재활용된 플라스틱 재료들 역시도 적용될 수 있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케이싱 쉘부들은 적어도 건물 외면 상에서 친수성 평면을 형성하며, 그리고 바람 및 물과 같은 기후로 인한 영향들을 견딜 수 있다.
프레임 프로파일들의 코어 프로파일의 형태는, 여닫이 창틀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창틀에 대해서도, 직립으로, 또는 수직으로 뻗어있는 외부 벽부들이 일부 영역에서, 요컨대 고정 요홈의 영역에서 안쪽을 향해 설치되고, 이로써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통상적인 구조들에 비해 하중 지지 능력 또는 강성의 취약화가 수반되지 않으며, 특히 심지어는 외부 벽부의 U자형 프로파일링부를 통해, I자형 프로파일링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강성이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서, 고정 요홈의 요홈 바닥부는 코어 프로파일, 특히 이 코어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중공 챔버 프로파일의 웨브(web)이면서 수직 방향으로 뻗어있는 상기 웨브를 통해 형성될 수 있되, 상기 웨브는 바깥쪽을 향해 코어 프로파일을 한정한다. 특히 웨브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바깥쪽을 향해 코어 프로파일의 중공 챔버를 한정한다. 이 경우, 수직 방향은 코어 프로파일의 종방향 연장 방향 또는 압출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그리고 프레임 또는 유리가 위치하는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관찰된다.
요홈 바닥부를 형성하는 상기 웨브는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주로 프로파일의 정적 하중 지지 능력에 기여하는 웨브이다. 이를 위해, 예컨대 상기 웨브는 코어 프로파일의 모든 웨브 중 가장 두꺼운 두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지만, 특히, 이는, 여전히 동일한 최대 두께를 갖는 코어 프로파일의 다른 웨브들이 존재한다는 점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PVC 프로파일, 특히 시각적 효과/구조와 관련하여 다른 경우인 종래의 PVC 프로파일의 가시면을 "후퇴"시키는 것을 통해, 이전에 가장 두꺼웠던 웨브는 요홈 바닥부로서 코어 프로파일 안쪽으로 이동하며, 그리고 여기서는 모서리 용접 시 하중 지지 능력이 있는 용접 이음을 제조하기에 충분한 재료를 제공하는 필요한 두께를 보유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홈의 요홈 바닥부, 또는 이 요홈 바닥부를 형성하는 웨브는, 고정 요홈이 그 내에 제공되어 있는 코어 프로파일의 외부 벽부의 전체 높이의 최소한 50%,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70%인 높이를 보유할 수 있다. 하나의 외부 벽부 상에 하나보다 더 많은 고정 요홈이 제공될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한은 고정 요홈들의 높이들의 합에도 적용될 수 있다.
여닫이 창틀 및 창틀의 내부 코어를 형성하는 코어 프로파일,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중공 챔버 프로파일의 압출 성형 공정 이후, 상기 코어 프로파일, 특히 플라스틱 중공 챔버 프로파일은 케이싱 쉘부들을 통해 형성되어 추후 노출되는 자신의 실질적인 외부 표면들만큼 보충된다. 이런 외피 형성(enveloping)은 코어 프로파일들의 가시면들 중 적어도 하나 상에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코어 프로파일들의 건물 외면 및 건물 내면의 가시면들 상에서 수행된다. 여닫이 창틀 및 창틀을 위한 코어 프로파일들은 바람직하게는 횡단면과 관련하여 상이하게 형성되지만, 그러나 각각 외부 벽부들 내에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하나의 고정 요홈을 포함한다.
코어 프로파일들과 케이싱 쉘부들의 연결은 다양한 유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케이싱 쉘부, 특히 압출 성형 프로파일로서 형성되는 케이싱 쉘부는 금속으로,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으로 구성되어, 코어 프로파일 상에서의 고정을 위해, 코어 프로파일 쪽으로 향하는 자신의 내부 표면 상에 코어 프로파일 쪽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이런 고정 부재에 의해서는 케이싱 쉘부가 고정 요홈 상에, 및/또는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부재는, 각종 고정 가능성에서, 고정 요홈에 의해 형성되어 케이싱 쉘부에 의해 덮이는 리세스 내에 위치한다.
상기 고정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압출 성형 프로파일의 경우, 케이싱 쉘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케이싱 쉘부에서부터 요홈 바닥부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웨브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웨브는 기능성 헤드 피스(head piece)를 포함한다. 고정은 헤드 피스 또는 웨브 또는 이들 두 요소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웨브는 케이싱 쉘부 가시면에 대해, 그리고/또는 요홈 바닥부에 대해 수직으로(90도 미만으로) 뻗어있을 수 있지만, 그러나 다른 경사진 각도 배치로, 특히 90도와 다른 각도로 뻗어있을 수 있다.
고정 부재는 예컨대 접착 저부(adhesive foot)를 통해, 특히 돌출부, 바람직하게는 요홈 바닥부에 대해 평행하면서 접착제의 수용을 위한 접착면을 포함하여 웨브로서 형성된 돌출부를 통해, 특히 T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접착면은 기능성 헤드 피스를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케이싱 쉘부와 코어 프로파일 사이에 재료 결합형 연결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특히 이는 그 밖에도 케이싱 쉘부 역시도 전체 프로파일에 대한 정적 지지에 기여하게 한다. 접착면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고정 요홈 벽부 상에 있는 언더컷부의 안쪽을 맞물어 고정하는 것을 통해, 래칭 기능(latching function) 역시도 담당 수행할 수 있다. 이런 실시예의 경우, 케이싱 쉘부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2개의 접착 저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직 방향에서 서로 이격 방향으로 향하는 상기 접착 저부들의 에지부들은 요홈 바닥부 높이보다 더 작거나 같고 언더컷부의 위치에서 요홈 벽부들 사이의 이격 간격, 특히 최소 이격 간격보다 더 크거나 같은 이격 간격을 보유한다.
또한, 고정 부재는, 특히 고정 요홈 벽부 상에서 언더컷부와 걸림 고정(latching)하는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기 위한 래칭 웨브로서도 형성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웨브는 기능성 헤드 피스로서 언더컷부 내에 맞물려 고정될 수 있는 래칭 후크(latching hook)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래칭 웨브는, 고정 요홈 벽부 자체 상에서 래칭 웨브, 특히 이 래칭 웨브의 헤드 피스의 재료 변위를 통해 생성되는 함몰부(depression)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는 래칭 웨브의 상대적으로 더 경질인 재료와 코어 프로파일의 상대적으로 더 연질인 재료 간의 노치 효과(notch effect)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는 포지셔닝 웨브(positioning web)로서, 특히 코어 프로파일로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가늘어지는 포지셔닝 웨브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런 포지셔닝 웨브에 의해서는 고정 요홈 벽부와의 접촉을 통해 케이싱 웨브는 코어 프로파일을 향해 배향될 수 있다. 상기 포지셔닝하는 고정 부재는 고정을 단독으로 수행하지 않지만, 특히 고정 부재들의 전술한 실시예들 중 하나와 조합되어 상기 고정에 기여한다. 상기 포지셔닝 웨브는 추가의 기능성 헤드 피스를 포함하지 않고 형성될 수 있는데, 특히 그 이유는 상기 포지셔닝 웨브의 기능이 웨브가 점점 가늘어지는 것(tapering)을 통해 달성되기 때문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는 연결 부재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고정 요홈 바닥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웨브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웨브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연결 상대 부재(connection partner) 상에 접촉하면서 안착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연결 상대 부재 내에 매립(embedment)될 수 있는 단부 측 헤드 피스를 포함하며, 특히 쐐기형이거나 적어도 웨브에 비해 비대(thickening)해진 헤드 피스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 상대 부재는 고정 요홈 벽부 상에 고정되며, 바람직하게는 그 상에 압출 성형된다. 상기 연결 상대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코어 프로파일(예: 경질 PVC) 및/또는 케이싱 쉘부들의 재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연질인 재료, 바람직하게는 연질 PVC로 형성될 수 있다. 연질 PVC는, 경질 PVC에 비해 더 낮은 경도를 야기하는 추가 연화제 성분들을 함유한 PVC 플라스틱이다. 상기 연결 상대 부재는 두 고정 요홈 벽부 중 적어도 하나 상에, 요홈의 내부 쪽으로 향하는 방식으로, 특히 요홈 바닥부에 접촉하는 방식으로, 또는 요홈 바닥부까지 소정의 이격 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특히 이는 언더컷부를 형성할 수 있다.
연결 부재와 연결 상대 부재 간의 연결 시, 연결 부재는, 특히 자신의 웨브 및/또는 헤드 피스로, 연결 상대 부재 내에서 연결 부재에 의해 발생하는 재료 변위를 통해, 연결 상대 부재와 접촉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연결 상대 부재 내에 매립된다.
상기 변위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연결 상대 부재 안쪽으로 연결 부재의 이동을 통해 발생한다. 이는, 특히 연결 부재가 바람직하게는 케이싱 쉘부의 재료로, 특히 금속,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고, 연결 상대 부재의 재료는 상대적으로 더 연질이기 때문에, 예컨대 연질 PVC이기 때문에 가능하다. 특히 이렇게 마련되는 연결 상대 부재의 연결은 변위를 통해 일부 영역에서, 특히 적어도 기존 접촉/매립의 위치에서 연결 부재의 형태에 매칭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모든 고정 부재 중 가장 두꺼운 두께를 보유하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두 고정 요홈 벽부 중 하나 상에 안착될 수 있는 기준 웨브(reference web)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요홈 바닥부 쪽으로 향하는 진입 사면부(approach slope) 또는 진입 만곡부(approach curve)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이는 기능성 헤드 피스를 형성한다. 기준 웨브의 상기 고정 부재는 다른 고정 부재, 예컨대 전술한 연결 부재까지 소정의 이격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기준 웨브는, 바람직하게는 코어 프로파일과 케이싱 쉘부의 걸림 고정식 연결을 야기하지 않는 고정 부재이다. 바람직하게는, 기준 웨브와 고정 요홈 벽부 간의 연결은 마찰 결합 방식으로만, 및/또는 강제 끼워 맞춤 방식으로만 수행된다. 특히 이로써 케이싱 쉘부는 단지 조임 고정 방식(clamping)으로만, 바람직하게는 고정 요홈 벽부와 기준 웨브 사이에서 고정 요홈 벽부에 대해 법선으로, 다시 말해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을 통해서만 고정된다. 상기 힘은 실질적으로 케이싱 쉘부가 고정 요홈 내에/상에 완전하게 위치할 때 비로소 발생한다.
기준 웨브는 바람직하게는 코어 프로파일 상에 케이싱 쉘부를 안착시킬 때 포지셔닝 기준(positioning reference)으로서 이용된다. 기준 웨브를 통해, 케이싱 쉘부는, 거의 고정하는 방식으로 작용하지 않으면서, 코어 프로파일에 대해 평행하게, 그리고 정확한 높이에 포지셔닝된다. 이를 위해, 케이싱 쉘부는 기준 웨브에 의해 앞서 고정 요홈 벽부 상으로 압착되며, 그럼으로써 기준 웨브와 고정 요홈 벽부 사이에는 경동 베어링(tilting bearing)이 형성되게 되며, 그런 다음 이런 경동 베어링을 통해 케이싱 쉘부는 대향하는 고정 요홈 벽부 상에 안착된다. 바람직하게는 단지 상기 위치에서만 대향하는 고정 요홈 벽부 상에 그곳의 고정 부재에 의해 걸림 고정식 고정, 또는 고정 요홈 벽부 상에서 언더컷부/노치 또는 매립에 의해 작용하는 고정이 수행된다.
진입 만곡부로서 형성되거나, 또는 진입 사면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기준 웨브의 헤드 피스는 고정 요홈 벽부에 대해 평행하게 뻗어있는 기준 웨브의 웨브 영역의 연장부를 형성하되, 상기 웨브 영역은 자유 단부로 향하는 자신의 연장부에서 요홈 내부 쪽으로, 또는 고정 요홈 바닥부의 중심축 쪽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평행한 웨브 영역과 만곡된 헤드 피스 간의 전이부 상에 단차부 없이 만곡된다. 이로써, 기준 웨브는 고정 요홈 벽부 쪽으로 향하는 면 상에서 오직 고정 요홈 벽부에 대해 볼록하게만 형성되며, 특히 다시 말해 래칭 웨브들의 경우처럼 오목하거나 언더컷된 영역들을 포함하지 않고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기준 웨브와 상호 작용하는 고정 요홈 벽부는 언더컷부들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요홈 바닥부까지 소정의 이격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특히 이런 경우 요홈 바닥부로 이어지는 전이부에서 라운딩되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기준 웨브의 헤드 피스 상에서의 반경, 및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고정 요홈 벽부의 상부 단부 상에서의 반경보다 더 작은 반경으로 라운딩되거나, 또는 프로파일의 가시면 쪽으로 향하는 면취부(chamfer)와 함께 종결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기준 웨브의 이용 시, 이런 고정 요홈의 형성은 대향하는 면 상에서도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싱 쉘부는 기준 웨브를 매개로 균일하면서도 원활한 이동에 의해 고정 요홈 벽부 상에 안착될 수 있으며, 이는 조립 시 힘을 들이지 않고도 높은 정밀도를 제공한다.
기준 웨브는 바람직하게는 고정 요홈 벽부 쪽으로 향하는 면에서뿐만 아니라 고정 요홈 벽부의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면에서도 만곡된 연장부를 포함하되, 특히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면에서의 곡률 반경은 그 방향으로 향하는 면에서보다 더 작다. 바람직하게는, 기준 웨브는 고정 요홈 벽부에 대해 평행한 자신의 연장부 영역에 (케이싱 쉘부의 종방향 연장 방향에 대해 수직인 횡단면에서 관찰할 때) 일정한 두께를 보유한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두께는 만곡된 영역의 시작 부분에서부터 자유 단부 쪽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한다. 그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두께 감소부는 완전히 헤드 피스 내에만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특히 전술한 고정 부재들 중 복수의 동일한 유형의 고정 부재 및/또는 상이한 유형의 고정 부재를 각각 사용할 수 있다. 그 대안으로, 연결 가능성들 역시도 압입, 클립 고정 또는 접착을 통해 단독으로 가능하거나, 또는 상호 간에 조합되어서도 가능하다.
특히 걸림 고정식 고정 및/또는 포지셔닝 또는 접착을 위해 고정 요홈 상에 제공되는 고정 부재들은 바람직하게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고정 부재들의 한 쌍으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고정 부재들의 이격 간격은 고정 요홈의 높이보다 더 작거나 같거나, 또는 고정 요홈의 요홈 벽부들의 이격 간격보다 더 작거나 같다. 특히 비접착식 고정을 달성하는 상기 한 쌍의 고정 부재들 사이에는, 추가 고정 부재들,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접착 저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특히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고정 부재들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쌍, 예컨대 접착 저부들의 하나의 쌍이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고정은 각각 기계식 연결, 예컨대 걸림 고정, 접촉, 매립 또는 적어도 포지셔닝 및 추가 접착 연결을 통해 실현된다.
코어 프로파일은, 걸림 고정을 통한 고정의 실시예의 경우, 고정 요홈의 요홈 벽부들 상에 언더컷부들을 포함하며, 이들 언더컷부 내로는 케이싱 쉘부의 대응하는 래칭 수단들이 맞물려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대향하는 요홈 벽부들 상의 언더컷부들은 상호 간에 향해 있다. 상기 언더컷부들은 예컨대 각각의 요홈 벽부의 재료 내에 직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요홈 바닥부의 이격 방향으로 향하는 요홈 벽부의 단부 상에 형성될 수 있되, 이곳에서 상기 요홈 벽부는 후퇴되지 않은 외부 벽부로 전이된다. 또한, 언더컷부는 요홈 벽부와 분리된 별도의 부재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되, 상기 별도의 부재는 언더컷부를 사용하는 고정 부재, 예컨대 래칭 부재 또는 접촉/매립 연결 부재와 상호 작용한다. 상기 연결 상대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고정 요홈 벽부 상에, 특히 안쪽에서 요홈 안쪽으로 향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언더컷부를 형성하는 요홈 바닥부까지 소정의 이격 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상대 부재는 요홈 벽부 상으로 압출 성형될 수 있으며, 특히 코어 프로파일의 압출 성형 동안, 특히 공압출(Co-Extrusion)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언더컷부를 형성하는 연결 상대 부재는, 정확히, 접촉 및/또는 매립을 통해 고정 부재로서의 추가 연결 부재와 상호 작용하는 전술한 연결 상대 부재처럼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연결 상대 부재는, 똑같은 정도로, 코어 프로파일의 재료보다 더 낮은 경도를 보유하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연결 상대 부재는 연질 PVC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코어 프로파일의 언더컷부들은 코어 프로파일의 전체 길이 상에 뻗어있으며, 그리고 이렇게 압출 성형 동안 곧바로 제조될 수 있으며, 특히 이는 언더컷부가 코어 프로파일의 재료 또는 또 다른 재료 내에서 실현되는지 그 여부와 무관하게 수행된다.
그에 상응하게, 케이싱 쉘부의 래칭 수단으로서 형성되는 고정 수단들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똑같은 정도로 케이싱 쉘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 뻗어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런 경우 압출 성형 동안에도 마련될 수 있는 래칭 스트립, 래칭 웨브 등으로서 형성된다. 상기 래칭 스트립들/래칭 웨브들은 언더컷부들과 상호 작용하는 래칭 노즈부들(latching nose)/래칭 후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접착 저부들의 접착면들은 자신들의 접착 기능 외에 래칭 기능 역시도 실행할 수 있으며, 그리고 특히 고정 요홈 벽부 쪽으로 향해 있는 접착면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부를 이용하여, 특히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라 형성된 고정 요홈 벽부 상의 언더컷부의 안쪽을 맞물어 고정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유형의 접착 저부에 의해, 접착형 및 걸림 고정형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여기서 걸림 고정식 고정은 적어도 일시적인 고정 및/또는 포지셔닝을 목표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접착형 연결부는, 단독으로, 또는 걸림 고정과 함께 적용되는지 그 여부와 무관하게, 코어 프로파일 및 케이싱 쉘부의 내전단성/스러스트 스프링 강성 조합 구조를 달성한다.
하기에서 설명되는 모든 단계는 프레임 제조 분야를 위한 코어 프로파일의 대량 생산 전에 코어 프로파일로서의 플라스틱 중공 챔버 프로파일의 로드 상에서, 특히 긴 로드 상에서 제조의 수행을 기재한다.
제조는 플라스틱으로 코어 프로파일의 압출 성형, 특히 코어 프로파일의 2개의 대향하는 외부 벽부 중 적어도 하나 내에,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코어 프로파일의 2개의 대향하는 외부 벽부의 각자 내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홈을 포함하는 중공 챔버 프로파일의 압출 성형을 통해 수행되되, 이를 통해 외부 벽부는 고정 요홈의 영역에서 안쪽을 향해 코어 프로파일 내에 설치되며, 그리고 특히 상기 고정 요홈의 요홈 바닥부는, 예컨대 6.5미터의 기결정된 길이에서, 코어 프로파일(10, 30)의 외부 벽부의 전체 높이의 최소한 5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70%인 높이를 보유한다. 또한, 제조는,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2개의 케이싱 쉘부를 제조하는 것을 통해,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특히 6.5미터의 기결정된 길이로, 코어 프로파일 쪽으로 향하는 케이싱 쉘부의 내부 표면들 상에서 고정 부재들과 함께 알루미늄을 압출 성형하는 것을 통해, 그리고 코어 프로파일의 외부 벽부의 고정 요홈 상에/내에 적어도 하나의 케이싱 쉘부의 고정 부재들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쉘부를 고정하는 것을 통해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케이싱 쉘부들은 바람직하게는 래칭 노즈부들을 포함하는 고정 부재들에 의해 프레임 프로파일(여닫이 창틀 및/또는 창틀 프로파일) 상의 언더컷부들 상에 우선 포지셔닝되며, 그리고 예컨대 형상 결합이 형성되도록 고정된다. 래칭 연결은 2가지 기능을 충족한다. 한편으로, 케이싱 쉘부는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이격된 2개의 래칭 점/래칭 라인을 통해 분명하게 높이에서 포지셔닝되며,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플라스틱 중공 챔버 프로파일의 고정 요홈의 요홈 바닥부까지 깊이에서 정확한 이격 간격이 보장된다. 그에 따라, 필요한 압착 압력은 접착제를 포함하여 변함없이 사용되는 접착 저부들을 통해 동시에 생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접착 저부들은, 케이싱 쉘부 내부 표면에 비해, 고정 요홈의 깊이보다 더 작은 높이를 보유하며, 그럼으로써 접착제를 위한 공간은 접착 저부와 요홈 바닥부 사이에 잔존하게 된다.
그와 동시에, 케이싱 쉘부들의 내부 표면 상에 위치하는 접착 저부들은, 걸림 고정된 위치에서, 재료 결합이 형성되도록, 압출 성형 공정 이후 또는 그 동안 고정 요홈의 요홈 바닥부 상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접착 경로 내에 도포된 접착제 상으로 압착된다. 접착 유형, 예컨대 핫멜트, 2K 접착 화합물 등은 각각의 재료 및 비용에 따라 선택된다. 예컨대 플라스틱 중공 챔버 프로파일의 형태인 코어 프로파일은 상기 방식으로 건물 내면에서뿐만 아니라 건물 외면에서도 케이싱 쉘부들과 견고하게 연결된다. 전술한 것처럼, 접착 저부들 자체는 걸림 고정형 고정 부재들 역시도 형성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접착 저부들에 대해 별도의 래칭 부재들이 생략될 수도 있다.
그 대안으로, 케이싱 쉘부들은 코어 프로파일/플라스틱 중공 챔버 프로파일 쪽으로 향하는 내부 표면 상에 래칭 저부들(latching foot) 대신 이른바 포지셔닝 웨브들을 포함하며, 이들 포지셔닝 웨브는 쉘부들의 종방향으로 쉘부들의 전체 길이에 걸쳐 뻗어있으며, 그리고 접착 동안 포지셔닝만을 위해 이용된다. 포지셔닝 시, 포지셔닝 웨브들은 요홈 벽부들을 통해 안내될 수 있다. 이런 점에는, 접착 공정 동안 케이싱 쉘부의 걸림 고정을 위해 힘이 요구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이런 경우, 접착제는 재료 결합형 연결부를 형성한다.
이미 구조에 대해 언급한 것처럼, 플라스틱으로, 특히 경질 PVC로,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2개의 고정 요홈을 포함하는 코어 프로파일을 압출 성형하는 동안, 고정 요홈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홈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2개의 고정 요홈 내에서, 두 고정 요홈 벽부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홈 벽부 상에 요홈 내부 쪽으로 향하는 방식으로, 코어 프로파일의 재료보다 더 연질인 재료로 구성되는 연결 상대 부재가 압출 성형되며, 특히 연질 PVC로 구성되는 연결 상대 부재가 압출 성형되며, 그리고 케이싱 쉘부의 고정 시, 이 케이싱 쉘부의 고정 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가, 특히 연결 상대 부재 내에서 고정 부재에 의해 야기되는 재료 변위를 통해 연결 상대 부재 상에 접촉하는 방식으로 안착되고, 그리고/또는 연결 상대 부재 내에 매립된다.
케이싱 쉘부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건물 외면의 케이싱 쉘부들은 바람직하게는 종방향으로 뻗어있는 에지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에지부 상에, 특히 프레임의 추후 장착 위치에서 상부 에지부 상에 만곡된 칼라부(collar)를 포함하며, 특히 그에 따라 상기 케이싱 쉘부들은 에지부 상에서 L자 형태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칼라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칼라부의 단부면은 코어 프로파일 내에 삽입되는 실링 상에 접촉하는 방식으로 안착된다. 이렇게, 케이싱 쉘부들은 자신들의 상부 단부 상에서 창틀 및/또는 여닫이 창틀을 둘러쌀 수 있고 케이싱 쉘부와 코어 프로파일 사이로 스며드는 습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둘러싸는 점은, 특히 여닫이 창틀 프로파일에서 유리창 쪽으로 향하거나, 또는 창틀 프로파일의 경우에서는 여닫이 창틀 프로파일 쪽으로 향하는 칼라부 단부면이 외면에서 실링과 접촉하고, 상기 실링에 의해서는, 여닫이 창틀이 유리창의 테를 두르거나, 또는 창틀이 여닫이 창틀에 대해 밀폐된다. 실링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외면에서 칼라부 단부면의 높이에 평면 표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칼라부와 실링은 전이부 상에서 높이와 관련하여 일직선으로 정렬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여닫이 창틀과 창틀 사이의 모든 정지 영역(stop region)에는 실링들이 구비된다. 이 경우, 알루미늄 케이싱 쉘부와 플라스틱 프로파일 사이의 영역 내로 물의 스며듬을 신뢰성 있게 방지하는 표준 실링들이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건물 내면에서, 바람직하게는 케이싱 쉘부와 동일한 재료,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으로 구성되어 클립 고정된 유리 스트립은 유리 인서트의 테 형성부 및 버팀벽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가공 가능한 반제품은 최초 24시간 동안 경화된다.
또한, 특히 2개의 프레임 프로파일 사이의 모서리 이음의 바람직한 제조를 위해, 케이싱 쉘부는, 완전하게 바깥쪽에서, 고정 요홈의 요홈 바닥부가 그 내에 위치하는 평면 앞쪽에서 코어 프로파일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케이싱 쉘부는 자신의 어떠한 영역으로도, 특히 만곡된 칼라부로도 요홈 바닥부의 상기 평면을 관통하지 않는다.
요홈 바닥부가 그 내에 위치하는 평면은, 항상 적어도, 요홈 바닥부의 바닥부 두께 안쪽에서 연장되면서 요홈 바닥부의 배향에 대해 평행한, 특히 요홈 바닥부의 표면에 대해 평행한 평면으로서 해석된다. 따라서, 바깥쪽에서부터 관찰할 때, 요홈 바닥부 평면 앞쪽, 내에, 그리고 그 뒤쪽에 요홈 바닥부의 재료가 위치할 수 있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요홈 바닥부가 그 내에 위치하는 평면은, 바깥쪽으로 향하는 요홈 바닥부의 표면이 그 내에 위치하는 평면을 의미하며, 특히 대개 관찰자가 바깥쪽에서 볼 수 있는 요홈 바닥부 표면을 의미한다. 바깥쪽에서부터 관찰할 때, 상기 정의의 경우, 요홈 바닥부 평면 뒤쪽 및 그 내에 여전히 요홈 바닥부의 재료가 위치할 수 있다. 그와 반대로, 바깥쪽에서 요홈 바닥부 평면 앞쪽에는, 상기 정의의 경우, 요홈 바닥부의 재료는 위치하지 않는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케이싱 쉘부는 단일 벽으로 형성되며, 특히 각각의 케이싱 쉘부는 중공 챔버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프로파일은 바람직하게는, 실내 내면과 외면 사이의 폭 방향에서 프로파일의 횡단면을 고려할 때, 자신의 전체 폭과 관련하여 표준 치수에 상응한다. 따라서, 코어를 형성하는 순수 코어 프로파일, 특히 플라스틱 중공 챔버 프로파일은 표준 치수에 비해 폭과 관련하여 감소된다.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되는 케이싱 쉘부들은 안쪽으로 향할 뿐만 아니라 바깥쪽으로 향해서도 새로운 가시면들을 형성한다. 케이싱 쉘부의 재료에서 완전한 창문 또는 문의 시각적 효과는 외장 클래딩 및 불필요한 재료 두께 또는 이중 층을 야기하지 않으면서 형성된다. 그리고 안정되고 재료 최적화된 여닫이 창틀 시스템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하기에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창틀 내에, 그리고 여닫이 창틀 내에 강 보강재(steel reinforcement)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프로파일들로 구성된 창틀 및 여닫이 창틀의 조합 구조를 창문이 폐쇄된 위치에서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2는 강 보강재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 창틀 프로파일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3은 강 보강재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창틀 프로파일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4는 강 보강재를 포함하지 않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프로파일들로 구성된 창틀 및 여닫이 창틀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4a ~ 4h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프로파일들로 구성되는 창틀, 여닫이 창틀, 수직편 프로파일(upright piece profile) 및 문설주 프로파일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각각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5는 연귀 절단(miter cut)을 이용하여 밀링 재가공된 케이싱 쉘부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창틀 프로파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는 밀링 가공 영역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 창틀 프로파일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5b는 밀링 가공 영역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창틀 프로파일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6은 2개의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프로파일로 구성된 모서리 이음을 건물 외면에서부터 관찰하고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1에는, 창틀 내에, 그리고 여닫이 창틀 내에 강 보강재를 포함한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프로파일들로 구성되는 창틀 및 여닫이 창틀의 조합 구조가 창문이 폐쇄된 위치에서 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로써, 특히 각각 중공 챔버 플라스틱 프로파일들로 구성되는 코어 프로파일로서의 여닫이 창틀 프로파일(30) 및 코어 프로파일로서의 창틀 프로파일(10)을 포함하는 여닫이 창틀 시스템(100)이 형성된다. 두 프로파일(10, 30)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강 보강재(80, 70)를 포함한다. 여닫이 창틀은 창틀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그리고 여닫이 창틀 프로파일(30)의 유리 은촉홈(61)(glass rabbet) 내에 유리 인서트(60)의 수용을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여닫이 창틀 프로파일(30)과 창틀 프로파일(10) 사이에 2개의 실링 스트립(14, 34)이 배치되고, 여닫이 창틀 프로파일(30) 상에는 하나의 실링 스트립(36)이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압출 성형된다.
창틀 프로파일(10)의 (건물 외면과 실내 내면 사이에서 관찰되는) 전체 깊이와 관련한 횡단면 폭은 바람직하게는 82㎜이지만, 그러나 또 다른 전체 폭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이는 제조업체의 기존 표준 프레임 프로그램 내에 통합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프로파일들로 구성되는 여닫이 창틀 시스템(100)의 모든 한정하는 치수는 기존 여닫이 창틀 시스템들을 묘사한 것이다. 여닫이 창틀 프로파일(30) 및 창틀 프로파일(10)의 외부 가시면들은 케이싱 쉘부들(20, 40, 20', 40')을 통해 형성되며, 그리고 조합된 프로파일 구조의 구성부재는 각각의 여닫이 창틀 코어 프로파일 및 케이싱 쉘부 프로파일, 또는 창틀 코어 프로파일 및 케이싱 쉘부 프로파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이중 층을 특징으로 하는 면판들(faceplate)을 포함한 외장 클래딩이 아니다.
프로파일 시스템(100)의 형태는, 여닫이 창틀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창틀에 대해서도, 수직으로 뻗어있는, 건물 외면 및 실내 내면의 코어 프로파일 외부 벽부들이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프로파일 내부로 삽입되어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자체 특성들에 의해 지지 기능을 수행하는 지지용 기능 웨브들(11, 11", 31, 31")을 형성하는 가장 두꺼운 벽부들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삽입하는 것을 통해, 고정 요홈(10a, 30a)은 각각의 코어 프로파일(10, 30)의 외부 벽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 요홈의 요홈 바닥부는 기능 웨브들(11, 11", 31, 31")을 통해 형성된다.
기능 웨브들(11, 11", 31, 31")의 삽입 또는 요홈 깊이는 바람직하게는 접착제 도포층을 포함한 접착 저부들이 코어 프로파일들로 향하는 케이싱 쉘부 내부 표면들에서부터 코어 프로파일들 쪽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정도에 해당하는 치수에 부합하게 구성되되, 그에 따라 특히 상기 치수는 케이싱 쉘부(20, 20', 40, 40')에 대한 래칭 및 접착 연결부들의 구성을 위해 필요하다.
케이싱 쉘부들(20, 20', 40, 40')의 구조적인 구성은 비용 인식에서 재료 최소화된 관점에 따라 수행된다. 모든 기능적 요건은 케이싱 쉘부(20, 20', 40, 40')의 지지용이고 단일 벽이면서 평평한 실시형태에서 구현된다. 건물 외면에 배치된 케이싱 쉘부들(20, 40)은 단면에서 관찰할 때 상부에 있는 자신들의 상부 단부 상에서 프로파일 내부 쪽의 방향으로 향하거나, 또는 대향하는 외부 벽부 쪽의 방향으로 향하는 칼라부 쪽으로 만곡되고, 그에 따라 L자형으로 형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케이싱 쉘부들은, 케이싱 쉘부들(20, 40)과 기능 웨브들(11, 31) 사이로 습기의 스며듬을 방지하기 위해, 창틀 및 여닫이 창틀 상의 실링 수용 요홈(19, 30)을 에워쌀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바람직하게는, 칼라부 단부면들은 특히 건물 외면 쪽으로 향하는 실링 단부면 상에서 각각의 실링(14, 36)과 접촉한다.
이렇게, 케이싱 쉘부들(20, 40)은, 바람직하게는 자신들의 표면으로, 정지 실링들(14, 36)(stop sealing)에 대한 동일 평면의 연결부를 형성하되, 상기 정지 실링들은 자체에서, 창문이 폐쇄된 위치에서, 여닫이 창틀까지, 또는 유리 인서트(60)까지 간극을 밀폐한다. 건물 내면에서, 케이싱 쉘부들(20', 40')은 상부 단부 상에서 I자형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유리 스트립 요홈들(16, 38)의 상부 단부들과의 동일 평면에서 종결된다.
도 2에는, 강 보강재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 창틀이 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건물 외면 및 건물 내면에서, 케이싱 쉘부들(40, 40')에서 고정 부재들로서 제공되는 두 래칭 노즈부(41, 42, 41', 42')는 케이싱 쉘부들의 전체 길이에 걸쳐 종방향으로 뻗어있으면서 여닫이 창틀(30)의 언더컷부들(32, 33, 32', 33')의 안쪽에 맞물린다. 상기 언더컷부들은 고정 요홈(30a)의 요홈 벽부들의 단부들 상에 배치된다. 이런 걸림 고정을 통해서는, 특히 낮은 깊이를 갖는 평평한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쉘부들(40, 40')이 포지셔닝되어 형상 결합 방식으로, 그리고/또는 강제 끼워 맞춤 방식으로 고정된다.
여기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그 대안으로, 래칭 웨브들 대신, 직선 웨브들 또는 점점 가늘어지는 웨브들이 제공될 수 있되, 이들 웨브는 고정 요홈 벽부들에 상대적으로 케이싱 쉘부들의 포지셔닝을 실현한다.
건물 외면의 케이싱 쉘부들(40)의 상부 단부는, L자 형태로 프로파일 안쪽으로 만곡된 칼라부를 이용하여, 고정 요홈 벽부를 넘어서/그 위쪽에서 상기 케이싱 쉘부의 상부 단부 상에 실링 수용 요홈(39) 쪽으로 형성된, 여닫이 창틀 프로파일(30)의 기능 웨브/요홈 바닥부(31)를 둘러싼다. 케이싱 쉘부들(40)의 하부 단부는 직선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여닫이 창틀 프로파일(30)로 향하는 전이부와 함께 종결된다. 건물 내면의 케이싱 쉘부들(40')은, 하부 단부 상에서, 프로파일 내부 쪽으로 만곡된 칼라부를 이용하여, 실링 수용 요홈(39') 쪽으로 형성된, 여닫이 창틀 프로파일(30)의 기능 웨브/요홈 바닥부(31)를 둘러싸며, 그리고 상부 단부 상에서는 유리 스트립 요홈(38)의 상부 에지부의 높이의 동일 평면에서 종결된다. 상기 유리 스트립 요홈 내에는 유리 스트립(50)이 클립 고정된다. 각각의 칼라부 단부면들은 여기서도 바람직하게는 칼라부에 의해 일부 영역에서 에워싸이는, 특히 실링 요홈들 내의 실링들과 접촉한다.
뒤에서 케이싱 쉘부들(20, 40) 상에, 그리고 케이싱 쉘부들의 가시면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면 상에, 다시 말해 코어 프로파일 쪽으로 향해 있는, 케이싱 쉘부의 내부 표면 상에, 추가 고정 부재들로서 일체로 형성된 접착 저부들은 래칭 노즈부들(41, 42, 41', 42')(그 대안으로 포지셔닝 웨브들) 사이에 배치된다. 접착 저부들은 고정 요홈 바닥부에 대해 평행하게, 그리고 이 고정 요홈 바닥부에서부터 접착제 두께만큼 이격된 접착제 도포면을 포함한다. 본 실례에서, 접착 저부들은 T자형으로 형성된다.
케이싱 쉘부들(20, 40)이 포지셔닝되어 바람직하게는 맞물려 고정되는 즉시, 동시에 필요한 압착 압력은, 접착 저부들을 통해, 고정 요홈 바닥부를 형성하는 기능 웨브들(31, 31") 상에 도포된 접착제 스트랜드 상에 작용한다. 그에 따라, 재료 결합형 연결부가 형성된다. 프로파일들은 기계식 걸림 고정을 통해 제 위치에서 파지된다. 바람직하게는 늦어도 24시간 이후 접착제(27, 28, 27', 28')의 완전한 경화 후에, 프로파일들 상호 간의 분리되지 않는 재료 결합형 연결부가 형성된다.
도 3에는, 강 보강재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창틀 프로파일이 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건물 외면의 케이싱 쉘부(20)의 구조적인 구성은 도 2에 따른 여닫이 창틀 프로파일(30)을 위한 실시예와 비슷하며, 그리고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래칭 노즈부들(21, 22)과 관련하여서는 플라스틱 중공 프로파일 내 언더컷부들(12, 13)에 대한 연결부, 및 래칭 노즈부들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고 쌍을 이루어 제공되는 접착 저부들(17, 18, 17', 18')과도 비슷하다. 그러나 케이싱 쉘부(20)는 케이싱 쉘부(40)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큰 전체 높이를 보유하며, 그리고 하부 단부 상에서는 프로파일 내부 쪽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만곡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단지 1/2만의 창틀 저부(15)를 형성한다. 건물 내면의 케이싱 쉘부들(20')은 상부 단부로 유리 요홈(16)의 둘러싸는 웨브와 동일 평면으로 종결되며, 그리고 하부 단부에서는 프로파일 내부 쪽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만곡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2만의 창틀 저부(15')를 형성한다.
모든 케이싱 쉘부(20, 20', 40, 40')는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모든 가능한 실시예에서, 단일 벽으로 형성되며, 다시 말하면 상기 케이싱 쉘부들은 횡단면으로 관찰할 때 폐쇄된 중공부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도 4에는, 창틀 프로파일 내에, 그리고 여닫이 창틀 프로파일 내에 강 보강재를 포함하지 않는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 창틀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가 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는, 여닫이 창틀 시스템이 그 자체로 안정되고 불가피하게 강 보강재를 요구하지 않는 점이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중공 챔버 프로파일들의 가장 두꺼운 웨브들인 기능 웨브들/요홈 바닥부들(11, 11", 31, 31")을 포함한 각각의 코어 프로파일(10, 30)은 지지하며, 그리고 케이싱 쉘부들(20, 20', 40, 40')은 프로파일 시스템에 추가의 강 보강재를 생략할 수 있을 정도로 높은 안정성을 부여한다.
도 4a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 창틀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접착 저부들(23, 24)은, 특히 수직 방향에서 상호 간에 이격 방향으로 향하는 자신들의 자유 단부들 상에 래칭 돌출부들(23a, 24a)을 형성하는 것을 통해, 코어 프로파일(10, 30) 쪽으로 향하는 접착면의 기능을 담당 수행할 뿐만 아니라, 고정 요홈 벽부들 상에서 코어 프로파일(10, 30)의 언더컷부들과의 걸림 고정을 위해서도 적합하다. 도 1 ~ 4에 따른 래칭 웨브들(21, 22)은 상기 변형예의 경우 생략될 수 있다. 접착 저부들(23, 24)은 상호 간에 더 멀리 이격된다. 바람직하게는, 래칭 돌출부들(23a, 24a)의 이격 간격(a)은 수직 방향에서 고정 요홈(10a)의 요홈 바닥부의 외부 제한부들 간의 치수에 상응한다.
특히 전체 외부 벽부에 비해 높은 요홈 바닥부 높이를 통해 달성될 수 있는, 접착 저부들(23, 24) 상호 간의 상대적으로 더 큰 이격 간격(a)은 x 축을 중심으로 하는 상대적으로 더 높은 관통 모멘트를 야기하며, 그리고 전단 강도 및 스러스트 스프링 강성을 증가시킨다.
추가의 접착과 조합되어, 접착면들 상에서는 재료 결합형 전단 복합구조(shear composite structure)가 달성되며, 이는 프레임 시스템의 안정성을 추가로 증가시킨다.
케이싱 쉘부들(20, 20', 40, 40')의 이격 및 양면 배치, 그리고 케이싱 쉘부들 상호 간의 고유 무게중심들의 큰 이격 간격(H)을 통해, 최대한 높은 전단 강도/스러스트 스프링 강성을 보유한 내전단성 복합재료를 통한 각각의 쉘부의 고유 표면 관통 모멘트 외에, 각각의 슈타이너 비율(Steiner ratio)을 통한 유의적으로 더 높은 전체 표면 관성 모멘트가 달성된다. 그렇게 하여, 순수 고유 관성 모멘트를 부가할 때와 달리, 분명히 더 높은 굽힘 강성이 달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조합 시스템은 예컨대 풍하중 및 온도 하중에 대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저항성을 제공한다. 재료 결합식 접착의 목표는, 전단 연결부(shear connection)의 최대한 높은 효율성을 달성하는 것에 있다. 접착면들 및 접착 저부들의 크기와 이들 상호 간의 이격 간격은, 둘러싸는 외부 알루미늄 케이싱 쉘부들(20, 20', 40, 40')과 상호 작용하여 높은 관성 모멘트 및 매우 우수한 횡방향 인장 강도를 생성하는 매우 안정된 전단 복합구조를 실현한다.
또 다른 도 4b ~ 4h의 경우 고정 요홈 벽부들은, 다른 기재한 실시예들과 달리, 언더컷부들을 구비하지 않는다.
도 4b 및 도 4bb에는, 케이싱 쉘부들(20, 20', 40, 40')의 연결 부재들(45, 46)과 관련한 또 다른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변형예들의 경우 케이싱 쉘부들(20, 20', 40, 40')은 접착 저부들(23, 24), 기준 웨브(45), 쐐기 웨브(46) 및 센터링 웨브들(47)과 같은 고정 부재들을 포함한다.
기준 웨브(45)는 연결 부재들(45, 46)의 가장 두꺼운 웨브를 형성하고, 삽입 반경 또는 진입 사면부/진입 만곡부로서 약간 라운딩된 단부를 포함하며, 그리고 고정 요홈(10a)의 모서리에서 정지부로서 이용되고, 수직으로 뻗어있는 요홈 바닥부까지 스페이서 부재(spacer element)로서 기능한다.
기준 웨브(45)는 케이싱 쉘부들(20, 40, 40')의 우선적인 포지셔닝을 위한 기준점이며, 그리고 조임 고정 방식으로, 또는 마찰 결합 방식으로 코어 프로파일(10, 30)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기준 웨브는 케이싱 쉘부들(20, 40, 40')의 조정을 위한 기준점 및 정렬점으로서 기능한다. 기준 웨브(45)는 x 축 및 y 축에서 케이싱 쉘부들(20, 40, 40')의 위치를 결정한다.
케이싱 쉘부들의 포지셔닝은 코어 프로파일(10, 30) 상에 평행하게 부착하는 것을 통해 수행된다. 두 고정 부재(45, 46)는 케이싱 쉘부로부터 코어 프로파일(10, 30)의 방향으로 가장 멀리 돌출되며, 그리고 상호 간에 이격 간격(b)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가이드 부재들로서도 이용된다. 이격 간격(b)은 고정 요홈(10a)의 안쪽에서 연결 부재들(45, 46)의 최대한 큰 이격 간격을 정의한다. 고정 부재는 쐐기형 헤드 피스를 포함한 웨브에 상응하며, 상기 헤드 피스는 요홈 벽부 쪽으로 지향되는 쐐기 노즈부(wedge nose)를 포함한다. 고정 부재(46)는 기준 웨브(45)와 동일한 길이를 보유하며, 그리고 제2 웨브로서 요홈 바닥부(10a, 30a)에 대한 케이싱 쉘부들(20, 40)의 평행성을 보장한다.
고정 부재(46)는 기준 웨브(45)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얇은 횡단면을 보유하며, 그리고 자유 단부 상에 돌출된 쐐기 노즈부(46a)를 포함하며, 이런 쐐기 노즈부는 PVC로 구성되는 코어 프로파일(10, 30)의 상기 실시형태의 경우 이를 위해 제공된 언더컷부 내로 맞물려 고정되지 않는다. 압력 조건에서 코어 프로파일(10, 30)과 케이싱 쉘부(20, 40, 40')의 조립 시, 알루미늄으로 구성된 경질 케이싱 쉘부는, 코어 프로파일과 케이싱 쉘부의 쐐기 연결부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상대적으로 더 연질인 PVC 재료를 변형시킨다.
알루미늄은 PVC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경도 및 강도를 보유한다. 요홈 벽부 쪽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알루미늄 소재의 쐐기 노즈부(46a)는 상대적으로 더 연질인 PVC 재료 내로 압입되며, 이는 쐐기 노즈부(46a)가 함몰시켜 걸리는 PVC 내 노치의 형상에서 목표하는 형태 변경을 야기한다.
도 4bb에는, 코어 프로파일(10, 30)이 여기서는 상부의 요홈 벽부 상에 고정 부재(46)에 대한 연결 상대 부재로서 압출 성형된 연질 PVC 재료(46b)를 구비하는 것인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코어 프로파일은, 자신의 탄성 거동을 통해, 상대적으로 더 낮은 압력으로도 케이싱 쉘부(20, 20', 40, 40')와 코어 프로파일 간의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연결 상대 부재로서 쐐기 노즈부(46a)를 위해 이상적으로 적합하다. 연결 부재(46, 46')를 밀착하고, 그리고/또는 압입하고, 그리고/또는 매립하는 것을 통해, 연결 상대 부재(46a) 내의 재료는 연결 부재의 기하학적 형태에 상응하게 변위되며, 그리고 강제 끼워 맞춤형 및/또는 형태 결합형 및/또는 마찰 결합형 연결부로 이어진다. 소재는 자신의 질량 및 자신의 결합을 유지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단지 기능성 헤드 피스만, 즉 쐐기 노즈부(46a)만 연결 상대 부재 내로 맞물려 고정될 수 있고 연결 부재의 웨브 영역은 그에 대해 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웨브는 연결 상대 부재와 적어도 접촉할 수 있거나, 또는 그 내에 매립될 수 있다. 동일하게 헤드 피스의 다른 형성도 제공될 수 있다.
연질 PVC는 PVC 재료의 탄성 거동을 달성하는 프탈레이트를 함유한다. 연질 PVC(46a)는, 바람직하게는 코어 프로파일을 제조하는 소재인 경질 PVC보다 확연하게 더 연질이고 더 탄력적이다. 정지 실링(114)은 마찬가지로 연질 PVC로 구성되며, 그리고 압출 공정 동안 별도로 압출 성형된다. 케이싱 쉘부(20) 상에서는 연질 PVC(46b)는 추가로 케이싱 쉘부(20)의 안쪽에서 스며드는 물에 대해 밀폐한다.
상기 연결 유형의 또 다른 장점은 공차 보상에 있다. 탄성 연질 PVC(46b)는 코어 프로파일(10, 30)과 케이싱 쉘부(20, 20', 40, 40') 사이에 삽입되며, 그리고 인접하는 이음 부재들(joint part)의 공차들을 보상할 수 있다.
케이싱 쉘부들(20, 20', 40, 40')과 코어 프로파일들(10, 30)은 각각 쉘부와 코어 사이의 연결 영역들을 형성하는 두 연결 웨브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그리고 고정 요홈(10a, 30a)의 두 단부 영역 내에 맞물려 고정된다. 요홈의 구조적인 제한을 통해 의도되는 클램핑 효과가 형성된다.
견고한 연결부는 한편으로 쐐기 노즈부(46a)의 음형(negative form)으로서의 코어 프로파일 또는 연결 상대 부재의 PVC 재료 내에서 재료 변위를 통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역갈고리처럼 기능하는 쐐기 노즈부(46a)의 기하구조를 통해 제공된다.
또한, 연결 웨브(46, 46')는 임의로 다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재료 안쪽으로 뻗어 들어가 상기 연결 재료를 공간상 변위시킬 수 있는 확대 형성부들을 포함하는 모든 기하학적 윤곽이 적합하다. 또한, 평평한 표면을 포함한 웨브 역시도 상대적으로 더 연질인 재료에 밀착하는 것을 통해 상기 재료를 변위시킬 수 있고 증가된 클램핑 효과로 마찰 결합 연결을 달성할 수 있다.
도 4b 및 4bb에 따른 두 변형예는, 최초 조립 시 y 방향에서 공차 보상을 수행하면서 케이싱 쉘부들(40, 40', 20, 20')의 분명하면서도 정확한 고정을 보장하는 연결 부재들(45, 46, 47)을 통한 케이싱 쉘부들(40, 40', 20, 20')의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그에 추가로, 접착 저부들(23, 24)과 요홈 바닥부(10a) 사이에 도포되는 무형 물질, 요컨대 접착제(27, 28)가 이용된다. 이런 실질적은 연결은, 케이싱 쉘부(20') 아래쪽의 공동부들 내에서 뻗어있는 2개의 접착제 스트랜드(37)를 통해 재료 결합 방식으로 수행된다. 그에 따라, 소재 자체 내에서, 전단 복합구조를 형성하면서 프로파일 시스템에 형태 고정성(form constancy) 및 안정성을 부여하는 재료 결합형 연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변형예뿐만 아니라 도 4c ~ 4dd에 따른 하기 실시형태들 역시도, 각각 적어도 2개의 이격된 접착 저부(23, 24)를 포함한 적어도 4개의 케이싱 쉘부(20, 20', 40, 40')를 특징으로 하며, 그리고 알루미늄으로 구성된 형태 안정적인 케이싱 쉘부들과의 접착을 통해, 대형 창문 부재들을 설치할 수 있는데 이용되고 정적으로 안정되며 하중 지지 능력이 있는 프로파일 시스템을 나타내는 전단 복합 구조를 제공하는 상기 고정 원리를 기반으로 한다.
도 4c 및 4d에는, 케이싱 쉘부들(40, 20)이 여기서는 좌측 외면 상에서 상호 간에 일직선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인, 동일 평면 장착형 웨더 페이스(flush-mount weather face)를 포함하는 실시형태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4cc 및 도 4dd에는, 웨더 페이스 상에서뿐만 아니라 룸 페이스(room face) 상에서도, 상호 간에 일직선으로 배치되는 양면의 동일 평면 장착형 케이싱 쉘부들(40, 40', 20, 20')을 포함하는 실시형태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4e ~ 4h에는, 내부 및 외부를 위해 알루미늄으로 구성된 대응하는 케이싱 쉘부들(40, 40', 20, 20')을 포함하는 코어 프로파일들의 다양한 변형예들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a 및 4h는 도 4b에 따른 창틀 및 여닫이 창틀 프로파일의 도면이고 본원의 해당 위치에 기재되어 잇다.
도 4f에는, 양면에서 마찬가지로 케이싱 쉘부들(20, 20')로 덮을 수 있는 창틀 프로파일의 실례로서 수직편 프로파일(900)이 도시되어 있다. 외면은 센터링되어 배치된 래칭 웨브들(21a, 22a)에 의해 수직편 프로파일 내에 형상 결합 방식으로 맞물리며, 그리고 그에 추가로 접착 저부들(23, 24) 상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수직편 프로파일과 재료 결합 방식으로 연결된다.
도 4g에는, 양면에서 마찬가지로 케이싱 쉘부들(20, 20')로 덮을 수 있는 문설주 프로파일(800)이 도시되어 있다. 외면은 센터링되어 배치된 래칭 웨브들(21a, 22a)에 의해 수직편 프로파일 내에 형상 결합 방식으로 맞물리며, 그리고 그에 추가로 접착 저부들(23, 24) 상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수직편 프로파일과 재료 결합 방식으로 연결된다.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는 모든 케이싱 쉘부는 외부 면판 및/또는 내부 면판 상에 임의의 방식으로 코팅될 수 있다. 코팅층들은 예컨대 매우 상이한 재료들로 사전 형성된 추가 쉘부들의 형태일 수 있거나, 또는 장식 필름으로서, 또는 래커칠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는, 케이싱 쉘부(20')에 대해 창틀 프로파일(10')의 오려 낸 부분에서 연귀 절단을 이용하여 밀링 재가공된 케이싱 쉘부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창틀 프로파일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플라스틱 중공 챔버 프로파일 및 케이싱 쉘부의 재료 부분들이면서, 바깥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고정 요홈의 요홈 바닥부, 또는 기능 웨브(10' 및 11')보다 더 돌출되어 있는 상기 재료 부분들만이 재료 제거되어 있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바람직하게는 요홈 바닥부 표면은 완전히 손상되지 않은 상태이며, 그럼으로써 고정 요홈 바닥부에 의해 형성된 기능 웨브의 어떤 종류의 정적 취약화(static weakening)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5a에는, 밀링 가공 영역들(1, 1')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 창틀이 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코일 프로파일(30) 및 양측에서 연결된 케이싱 쉘부들(40, 40')로 구성되는 전체 프로파일이 각각의 외면들에서부터 관찰할 때 최대 요홈 바닥부 표면까지,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요홈 바닥부까지 재료 제거되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홈 바닥부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재료 제거되며, 다시 말해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케이싱 쉘부들(40, 40')의 최대 깊이만큼, 종방향으로 뻗어있는 밀링 평면(1a, 1a')까지 밀링 가공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밀링 평면은 요홈 바닥부의 평면 내에 또는 앞쪽에 위치한다.
도 5b에는, 밀링 가공 영역들(2, 2')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창틀이 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도, 정확히 여닫이 창틀의 경우처럼, 코어 프로파일과 양측에서 연결된 케이싱 쉘부들(20, 20')로 구성되는 전체 프로파일이 최대 고정 요홈(10a)의 요홈 바닥부까지,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요홈 바닥부까지 재료 제거되며, 특히 상기 요홈 바닥부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재료 제거되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케이싱 쉘부들(20, 20')의 최대 깊이만큼 밀링 평면(2a, 2a')까지 밀링 가공된다. 이는 특히 도면에서 좌측 케이싱 쉘부와 관련하여 도시되어 있다.
우측 케이싱 쉘부의 경우, 재료 제거는 바깥쪽에서부터 관찰할 때 분명히 요홈 바닥부의 앞쪽에서 종료되며, 요컨대 접착제의 두께만큼 요홈 바닥부의 앞쪽에서 종료되며, 특히 그에 따라 재료 제거에 의해 단지 완전하게 케이싱 쉘부는 (외면에서부터 관찰할 때) 자신의 최대 두께와 함께 재료 제거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케이싱 쉘부의 접착 저부들의 안쪽에 있는 접착제 스트랜드는 그대로 잔존한다.
모든 가능한 실시예의 경우, 각각의 재료 제거 시 바람직하게는 코어 프로파일의 재료 제거 영역에서, 케이싱 쉘부의 완전한 제거를 위해 필요한 것처럼 최대한 많이 재료가 제거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코어 프로파일에서부터, 재료 제거 영역에서, 오직 바깥쪽으로 지향되는 방식으로 고정 요홈의 요홈 바닥 표면보다 더 돌출되거나, 또는 바깥쪽에서 요홈 바닥 표면의 평면 앞쪽에 위치하는 재료 부분들만이 제거된다.
요홈 바닥부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요홈 바닥부 내로 재료를 제거하는 공구의 맞물림이 방지되는 점에 한해, 자신의 두께 중 1%보다 더 많지 않은 정도만큼 재료 제거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요홈 바닥부는 재료 제거의 모든 실시예에서 재료를 제거하는 공구에 의해 접촉되지 않는다.
케이싱 쉘부들은, 항상 이들 케이싱 쉘부의 밀링 재가공 시 외부 플라스틱 기능 웨브들, 다시 말해 각각의 요홈 바닥부들이 파괴되지 않도록 설계된다.
케이싱 쉘부들,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케이싱 쉘부들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소재의 창틀 또는 문틀의 묘사된 여닫이 창틀 시스템의 제조를 위해, 하기 방법 단계들이 수행된다.
1. 코어 프로파일은, 의도되는 생산 길이, 예컨대 6.5m의 생산 길이로, 바깥쪽으로 개방된 고정 요홈들을 포함한 여닫이 창틀 및/또는 창틀 코어 프로파일로서 압출 성형된다.
2. 각각의 고정 요홈 바닥부에 의해 형성되는 기능면들(11") 상에 접착제(17', 18')가 접착제 스트랜드(접착 경로)의 형태로 프로파일들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고정 요홈 바닥부에 의해 형성되는 정적 지지용 기능 웨브(11") 상에 도포된다.
3. 케이싱 쉘부(20')는, 의도되는 길이 치수, 예컨대 6.5m의 생산 길이로 재단되어, 래칭 노즈부들(21', 22')에 의해 코어 프로파일(10, 30) 상의 언더컷부들(12', 13') 상에 포지셔닝되어 형상 결합 방식으로 고정된다.
접착제는 액상 형태로, 또는 양면 접착테이프로서 해석될 수 있다.
4. 걸림 고정된 위치에서, 접착 저부들(23', 24')은 접착제(17', 18') 상에 재료 결합 방식으로 압착된다.
5. 예컨대 6.5m의 의도되는 생산 길이의 가공 가능한 반제품이 제조된다.
6. 최초 24시간 동안 창고에서 경화가 수행된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 창틀 시스템의 모서리 이음이 건물 외면에서부터 관찰되는 상세도로 도시되어 있다.
100, 100': 여닫이 창틀 시스템
900: 수직편 프로파일
800: 문설주 프로파일
a, b, H: 이격 간격
1, 1', 2, 2': 밀링 가공 영역
1a, 1a', 2a, 2a': 횡단면에서 밀링 평면
10, 10': 창틀용 코어 프로파일
10a: 창틀 코어 프로파일의 외부 벽부 내 고정 요홈
11, 11': 지지용 기능 웨브, 고정 요홈의 요홈 바닥부
12, 13, 12', 13': 고정 요홈 벽부 내 언더컷부
14, 14': 정지 실링
15, 15': 창틀 저부
16: 유리 스트립 요홈
17, 18, 17', 18': 접착제
19: 실링 수용 요홈
20, 20': 케이싱 쉘부
21, 21', 22, 22': 래칭 노즈부
21a, 21'a, 22a: 래칭 웨브, 포지셔닝 웨브
23, 23', 24, 24': 접착 저부
23a, 23'a, 24a, 24'a: 래칭 돌출부
27, 28, 27', 28': 접착제
29: 코팅층
30, 30': 여닫이 창틀용 코어 프로파일
30a: 여닫이 창틀 코어 프로파일의 외부 벽부 내 고정 요홈
31, 31": 지지용 기능 웨브, 고정 요홈의 요홈 바닥부
32, 33, 32', 33': 고정 요홈 벽부 내 언더컷부
34: 정지 실링
35, 36: 유리 실링
37, 38, 37', 38': 접착제
38: 유리 스트립 요홈
39, 39': 실링 수용 요홈
40, 40': 케이싱 쉘부
41, 42, 41', 42': 래칭 노즈부
43, 43', 44, 44': 접착 저부
45, 45': 기준 웨브
46, 46': 연결 부재
46a: 쐐기 노즈부
46b: 연질 PVC(연결 상대 부재/상대편)
47: 센터링 웨브
50, 50': 유리 스트립
60: 유리 인서트
61: 유리 은촉홈
70, 80: 강 보강재
90: 연귀선(miter line)

Claims (12)

  1.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코어 프로파일(10, 30)을 포함하는 창문 또는 문의 창틀 및/또는 여닫이 창틀의 프레임 프로파일로서,
    코어 프로파(10, 30)일의 서로 대향하는 외부 벽부들 중 적어도 하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두 외부 벽부 상에 케이싱 쉘부(20, 20', 40, 40')가 배치되며, 외부 벽부들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2개의 외부 벽부는 코어 프로파일(10, 30)의 종방향으로 뻗어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홈(10a, 30a)을 포함하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요홈은 코어 프로파일(10, 30)의 전체 길이에 걸쳐 뻗어 있으며, 이를 통해 외부 벽부는 고정 요홈(10a, 30a)의 영역에서 안쪽을 향해 코어 프로파일(10, 30) 내에 설치되며, 그리고 상기 고정 요홈의 요홈 바닥부는, 코어 프로파일(10, 30)의 외부 벽부의 전체 높이의 최소한 5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70%인 높이를 보유하며, 케이싱 쉘부(20, 20', 40, 40')는 고정 요홈(10a, 30a) 내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 요홈(10a, 30a)을 덮으며, 바람직하게는 전체 외부 벽부를 덮으며, 그리고 케이싱 쉘부(20, 20', 40, 40')는 코어 프로파일(10, 30) 쪽으로 향해 있는 자신의 내부 표면 상에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코어 프로파일(10, 30) 쪽으로 돌출되는 고정 부재들(21, 24)의 한 쌍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부재들에 의해서는 케이싱 쉘부(20, 20', 40, 40')가 고정 요홈(10a, 30a) 내에 비접착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인, 상기 프레임 프로파일에 있어서, 하나의 고정 부재는, 요홈 바닥부 쪽으로 향하는 진입 사면부 또는 진입 만곡부를 포함한 기준 웨브로서 형성되고, 상기 기준 웨브는 모든 고정 부재(46, 47) 중 가장 두꺼운 두께를 보유하여 상기 두 고정 요홈 벽부 중 하나 상에 안착될 수 있으면서 고정 요홈의 모서리 내에서 정지부로서, 그리고 수직으로 뻗어있는 요홈 바닥부까지의 스페이서 부재로서 이용되며, 비접착식 고정을 달성하는 상기 쌍의 고정 부재들(45, 46) 사이에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쌍의 접착 저부들이 배치되며, 상기 접착 저부들에 의해서는, 접착을 통해 상기 케이싱 쉘부(20, 20', 40, 40')와 상기 코어 프로파일(10, 30)이 내전단선/스러스트 스프링 강성으로 조합되게 하는 추가의 접착 연결부가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프로파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요홈(10, 30)의 요홈 바닥부(11, 11", 31, 31")는 상기 코어 프로파일(10, 30), 특히 상기 코어 프로파일(10, 30)을 형성하는 중공 챔버 프로파일의 수직 방향으로 뻗어있는 웨브를 통해 형성되며, 상기 웨브는 상기 코어 프로파일(10, 30)을 바깥쪽을 향해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프로파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 바닥부(11, 11", 31, 31")를 형성하는 상기 웨브(11, 11", 31, 31")는 주로 상기 프레임 프로파일의 정적 하중 지지 능력에 기여하는 웨브(11, 11", 31, 31")이며, 특히 이는, 상기 웨브가 상기 코어 프로파일(10, 30)의 모든 웨브 중 가장 두꺼운 두께를 보유하는 웨브(11, 11", 31, 31")인 것을 통해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프로파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고정 부재(21, 24, 26, 47)는:
    a. 고정 요홈 벽부 상의 언더컷부(12, 13, 12', 13')와, 또는 상기 고정 요홈 벽부 자체 상에서 래칭 웨브의 재료 변위를 통해 생성되는 함몰부와 특히 걸림 고정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기 위한 래칭 웨브(21)로서 형성되고; 그리고/또는
    b. 특히 바람직하게는 단부 측 헤드 피스, 특히 쐐기형이거나, 또는 적어도 웨브에 비해 비대해진 헤드 피스를 포함하여 고정 요홈 바닥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웨브로서 형성되며, 그리고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는 연결 상대 부재 상에 접촉하는 방식으로 안착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연결 상대 부재 내에 매립될 수 있는 연결 부재(46)이며, 상기 연결 상대 부재는 고정 요홈 벽부 상에 고정되는, 바람직하게는 그 상에 압출 성형되며, 특히 상기 연결 상대 부재는 상기 코어 프로파일 및/또는 케이싱 쉘부의 재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연질인 재료, 바람직하게는 연질 PVC로 형성되는 것인 상기 연결 부재(46)로서 형성되고; 그리고/또는
    c. 상기 고정 요홈 벽부와의 접촉을 통해 상기 케이싱 쉘부(20, 20', 40, 40')가 코어 프로파일(10, 30) 쪽으로 배향될 수 있게 하는 포지셔닝 웨브/래칭 웨브(21, 22)로서, 특히 상기 코어 프로파일(10, 30) 쪽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가늘어지는 포지셔닝 웨브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프로파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쉘부(20, 20', 40, 40')는 종방향으로 뻗어있는 에지부들 중 적어도 하나 상에 만곡된 칼라부를 포함하며, 특히 L자형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칼라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칼라부의 단부면은 코어 프로파일 내에 삽입된 실링(14, 34, 36) 상에 접촉하는 방식으로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프로파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여닫이 창틀을 형성하는 프레임 프로파일의 유리 스트립(50)은 상기 케이싱 쉘부(20, 20', 40, 40')의 재료로 형성되며, 특히 상기 유리 스트립(50)의 외부 표면은 상기 케이싱 쉘부(20, 20', 40, 40')의 외부 표면과 일직선으로,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이격 간격 없이 서로 일직선으로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프로파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들의 동일한 면, 특히 내면 및/또는 외면 상에 배치되는, 창틀의 코어 프로파일 상의 케이싱 쉘부 및 여닫이 창틀의 코어 프로파일 상의 케이싱 쉘부는 자신들의 가시면들이 서로 일직선을 이루는 방식으로, 특히 동일한 평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프로파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케이싱 쉘부(20, 20', 40, 40')는 단일 벽으로 형성되며, 특히 중공 챔버들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프로파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프레임 프로파일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으로서,
    a. 플라스틱으로 코어 프로파일(10, 30)을 압출 성형하는, 특히 코어 프로파일(10, 30)의 2개의 서로 대향하는 외부 벽부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벽부 내에,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코어 프로파일(10, 30)의 2개의 서로 대향하는 외부 벽부의 각자 내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홈(10a, 30a)을 포함하는 중공 챔버 프로파일(10, 30)을 압출 성형하는 압출 성형 단계이며, 이를 통해 외부 벽부는 고정 요홈(10a, 30a)의 영역에서 안쪽을 향해 코어 프로파일(10, 30) 내에 설치되며, 그리고 상기 고정 요홈의 요홈 바닥부는, 예컨대 6.5미터의 기결정된 길이에서, 코어 프로파일(10, 30)의 외부 벽부의 전체 높이의 최소한 5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70%인 높이를 보유하는 것인, 상기 압출 성형 단계;
    b. 특히 6.5미터의 기결정된 길이로, 코어 프로파일(10, 30) 쪽으로 향하는 케이싱 쉘부(20, 20', 40, 40')의 내부 표면들 상에서 고정 부재들(21, 24)과 함께,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을 압출 성형하는 것을 적어도 하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케이싱 쉘부(20, 20', 40, 40')를 제조하는 제조 단계;
    c. 코어 프로파일(10, 30)의 외부 벽부의 고정 요홈(10a, 30a) 내에서 고정 부재들(21, 24)의 하나의 쌍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케이싱 쉘부(20, 20', 40, 40')를 비접착 방식으로 고정하는 비접착식 고정 단계이며, 상기 고정 부재들 중 하나의 고정 부재는 요홈 바닥부 쪽으로 향하는 진입 사면부 또는 진입 만곡부를 포함한 기준 웨브로서 형성되고, 상기 기준 웨브는 모든 고정 부재(46, 47) 중 가장 두꺼운 두께를 보유하며, 그리고 상기 기준 웨브는 두 고정 요홈 벽부 중 하나 상에 안착되어 고정 요홈의 모서리 내에서 정지부로서, 그리고 수직으로 뻗어있는 요홈 바닥부까지의 스페이서 부재로서 이용되는 것인, 상기 비접착식 고정 단계; 및
    d. 비접착식 고정을 달성하는 상기 쌍의 고정 부재들(45, 46)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접착 저부들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쌍을 통해 접착 방식으로 고정하는 접착식 고정 단계이며, 상기 접착 저부들에 의해서는, 접착을 통해 상기 케이싱 쉘부(20, 20', 40, 40')와 상기 코어 프로파일(10, 30)이 내전단선/스러스트 스프링 강성으로 조합되게 하는 것인, 상기 접착식 고정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요홈(10a, 30a) 내로는, 특히 압출 성형 동안, 상기 고정 요홈(10a, 30a)의 종방향으로 뻗어있는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 스트랜드(17, 17', 18, 18')가 삽입되며, 바람직하게는 특히 평행한 2개의 접착제가 삽입되며, 그리고 각각의 케이싱 쉘부(20, 20', 40, 40')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고정 부재들 중 2개(23, 24)에 의해, 접착제(17, 17', 18, 18')를 통해, 상기 코어 프로파일(10, 30)과 재료 결합 방식으로, 특히 내전단성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2개의 고정 요홈(10a, 30a)을 포함하고 플라스틱, 특히 경질 PVC로 구성되는 상기 코어 프로파일(10, 30)을 압출 성형하는 동안, 상기 고정 요홈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홈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2개의 고정 요홈 내에서, 두 고정 요홈 벽부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홈 벽부 상에, 요홈 내부 쪽으로 향하는 방식으로, 상기 코어 프로파일(10, 30)의 재료보다 더 연질인 재료로 구성되는 연결 상대 부재가 압출 성형되며, 특히 연질 PVC로 구성되는 연결 상대 부재가 압출 성형되며, 그리고 케이싱 쉘부를 고정할 때, 상기 케이싱 쉘부의 고정 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는, 특히 연결 상대 부재 내에서 고정 부재에 의해 생성되는 재료 변위를 통해, 상기 연결 상대 부재 상에 접촉하는 방식으로 안착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연결 상대 부재 내에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케이싱 쉘부(20, 20', 40, 40')는 PVC 코어에 대해 평행하게 배향되며, 그리고 자신의 고정 부재들 중 적어도 일부분(21)에 의해서는 상기 고정 요홈(10a, 30a)의 요홈 벽부 상에 고정되며, 특히 걸림 고정되거나 적어도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KR1020217024048A 2019-03-18 2021-03-18 창틀 및/또는 여닫이 창틀의 프레임 프로파일, 그리고 그 제조 방법 KR202101249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106876.2A DE102019106876A1 (de) 2019-03-18 2019-03-18 Rahmenprofil eines Blend- und/oder Flügelrahmens,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zur Eckverbindung
EP20164024.0 2020-03-18
EP20164024.0A EP3712368B1 (de) 2019-03-18 2020-03-18 Rahmenprofil eines blend- und/oder flügelrahmens,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PCT/EP2021/056907 WO2021185945A1 (de) 2019-03-18 2021-03-18 Rahmenprofil eines blend- und/oder flügelrahmens,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4979A true KR20210124979A (ko) 2021-10-15

Family

ID=69846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4048A KR20210124979A (ko) 2019-03-18 2021-03-18 창틀 및/또는 여닫이 창틀의 프레임 프로파일, 그리고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230175310A1 (ko)
EP (1) EP3712368B1 (ko)
JP (1) JP7253630B2 (ko)
KR (1) KR20210124979A (ko)
CN (1) CN113692473B (ko)
BR (1) BR112022018351A2 (ko)
CA (1) CA3175748A1 (ko)
CL (1) CL2022002513A1 (ko)
DE (1) DE102019106876A1 (ko)
ES (1) ES2926099B2 (ko)
NO (1) NO20221072A1 (ko)
PL (1) PL3712368T3 (ko)
PT (1) PT3712368T (ko)
WO (1) WO20211859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47772B2 (en) * 2017-10-24 2021-03-16 Quaker Window Products Co. Thermally enhanced multi-component glass doors and windows
DE102020133393A1 (de) * 2020-12-14 2022-06-15 VEKA Aktiengesellschaft Türblatt, Kunststoffhohlprofil und Verfahren zur nachträglichen Herstellung eines Türblattes
KR102525793B1 (ko) * 2021-10-07 2023-04-25 전성철 세이프 도어용 커버 조립식 프레임 구조
DE102021131887A1 (de) 2021-12-03 2023-06-07 SCHÜCO International KG Gebäudeöffnungs-Schließelement
DE102021132878A1 (de) * 2021-12-14 2023-06-15 VEKA Aktiengesellschaft Rahmenprofilanordnung
DE102022125344A1 (de) * 2022-09-30 2024-04-04 Gest Holding Gmbh Vorsatzschalensystem sowie Einrichtung zum Verschließen einer Wandöffnung eines Gebäudes mit einem solchen Vorsatzschalen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37989A (en) * 1958-10-16 1963-09-25 Bernard Paul Manfred Schwartz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ouble glazing units
CH524049A (de) * 1970-11-13 1972-06-15 Rudolf Haeusermann Ag Zarge
DE2515536A1 (de) * 1975-04-09 1976-10-21 Weru Gmbh & Co Kg Rahmen fuer fenster, tueren u.dgl.
DE3032939A1 (de) * 1980-09-02 1982-04-29 Chemische Werke Salamander Gmbh, 7014 Kornwestheim Rahmenprofil fuer fenster, tueren o.dgl. aus einem kunststoffhauptprofil und einem metallverblendprofi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rahmen aus diesen rahmenprofilen
JPH0330551Y2 (ko) * 1985-06-28 1991-06-27
EP0425753A1 (de) * 1989-11-01 1991-05-08 Brügmann Frisoplast Gmbh Flügelrahmen mit Rahmengliedern aus Hohlprofilabschnitten für Fenster und Türen
DE9106925U1 (ko) 1991-06-06 1991-08-22 Niemann, Hans Dieter, 5014 Kerpen, De
CN1176360A (zh) * 1996-09-09 1998-03-18 谢德河 一种型材及其框架
WO2000075472A1 (en) * 1999-06-04 2000-12-14 Mixall 2000 Srl Frame with structural profiles covered with interchangeable profiles
JP2003184433A (ja) 2001-12-14 2003-07-03 Koji Iijima サッシュ用化粧板の取付け方法およびサッシュ用化粧板の取付け構造
DE202005000579U1 (de) * 2005-01-14 2006-06-01 Schüco International KG. Profil für ein Fenster, eine Tür oder ein Fassadenelement mit elektrischem Kabel und Stecker für das Kabel
DE102006032179B4 (de) * 2006-07-12 2009-11-05 Plustec Gmbh Verbundkonstruktion zum Verschließen einer Gebäudeöffnung, insbesondere Fenster
DE102006059854B4 (de) 2006-12-15 2010-04-01 Technoform Caprano Und Brunnhofer Gmbh & Co. Kg Armiertes Kunststoffprofil für Fenster-, Türen- und Fassadenelemente
CN101435306B (zh) * 2007-11-16 2011-09-14 朱明� 钢塑整体复合节能环保窗及其制造方法
GB2464558A (en) * 2008-10-25 2010-04-28 Bowater Building Products Ltd Window frame with thermal break
ITBZ20110056A1 (it) * 2011-11-18 2013-05-19 Finstral Spa Ag Telai per serramenti in materiale termoplastico saldabile, rivestibili con materiali diversi
DE102013114710A1 (de) * 2013-12-20 2015-06-25 SCHÜCO International KG Kunststofffenster- oder türrahm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unststofffenster- oder türrahmens
JP6155486B2 (ja) * 2014-03-31 2017-07-05 株式会社Lixil 複合建具
EP2933419B1 (en) * 2014-04-14 2019-11-27 Aperture Trading Limited Fenestration products
DE202015103240U1 (de) * 2015-06-19 2015-07-17 Weku Kg Fenster + Türen Abdeckleiste zur Befestigung an einem Fensterrahmen
CN105134012B (zh) * 2015-08-19 2016-11-30 山东省建筑科学研究院 具有三角形腔室的塑料门窗开启扇型材及所用复合材料
KR101896749B1 (ko) * 2015-09-18 2018-10-04 (주)엘지하우시스 복합 소재 창호 제조방법
CN106761290B (zh) * 2017-01-05 2019-01-15 北京兴安幕墙装饰有限公司 高保温性能的隐扇被动式铝包木窗
CN107386918A (zh) * 2017-09-11 2017-11-24 哈尔滨中大型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耐火功能的建筑外门窗窗扇型材
CN209353953U (zh) * 2018-09-26 2019-09-06 深圳市欧亚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铝合金复合门窗防水密封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12368B1 (de) 2022-01-12
CN113692473A (zh) 2021-11-23
US20230175310A1 (en) 2023-06-08
CL2022002513A1 (es) 2023-04-10
DE102019106876A1 (de) 2020-09-24
JP2022531529A (ja) 2022-07-07
BR112022018351A2 (pt) 2022-11-08
ES2926099B2 (es) 2023-07-20
EP3712368A1 (de) 2020-09-23
NO20221072A1 (en) 2022-10-07
PT3712368T (pt) 2022-05-17
ES2926099R1 (es) 2023-03-16
WO2021185945A1 (de) 2021-09-23
PL3712368T3 (pl) 2022-04-25
CA3175748A1 (en) 2021-09-23
CN113692473B (zh) 2023-05-12
JP7253630B2 (ja) 2023-04-06
ES2926099A2 (es) 202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24979A (ko) 창틀 및/또는 여닫이 창틀의 프레임 프로파일, 그리고 그 제조 방법
US20050183351A1 (en) Composite profiles suitable for insulating window units
EP2278108B1 (en) Insulated frame member
CA3021734C (en) Sash for a sliding window or a sliding door and method for providing an untreated metal surface in such a sash
KR0167595B1 (ko) 맞댐 이음 장치
EP2287432A1 (en) Systems of outwardly opening window assemblies
JPH04333791A (ja) 多数のガラスパネルを一体にする装置
JP5737865B2 (ja) 開口部装置と外壁材の間の目地工法
KR101916866B1 (ko) 일체형 유닛타입의 스틸 커튼월
KR101364129B1 (ko) 가이드프레임과 실내측 창문틀프레임의 결합구조
CN106255795B (zh) 用于门、窗或立面元件的复合型材
KR20210012131A (ko) 커튼 월의 프레임과 유리의 연결구조
EP3854980A1 (en) A glazing bead
RU2798758C1 (ru) Рамный профиль коробки и/или створной рамы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EP3721024B1 (en) Curtain wall
JP3232047B2 (ja) 断熱サッシ
CN221031161U (zh) 一种铝蜂窝地板
CN211622018U (zh) 一种幕墙面板之间的防水密封结构
KR102206073B1 (ko) 창호 표면마감 커버용 모서리접합부 마감재
CN209838135U (zh) 一种隐扇外开窗结构
RU2367759C2 (ru) Система профилей
RU2250336C1 (ru) Система профилей для сборки оконных и/или дверных блоков
JPH0347041Y2 (ko)
JP3204647B2 (ja) 和室用戸枠
JPH09291771A (ja) 断熱サッ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