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3841A - 음식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3841A
KR20210123841A KR1020200041547A KR20200041547A KR20210123841A KR 20210123841 A KR20210123841 A KR 20210123841A KR 1020200041547 A KR1020200041547 A KR 1020200041547A KR 20200041547 A KR20200041547 A KR 20200041547A KR 20210123841 A KR20210123841 A KR 20210123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chamber
food
inle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1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반행진
구경진
유효상
이아영
김소라
김세창
이수진
고상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1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3841A/ko
Priority to PCT/KR2021/004196 priority patent/WO2021206384A1/ko
Publication of KR20210123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8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00Baths, closets, sinks, and spittoons
    • Y10S4/19Liquid-solid sepa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제1유입부 및 제1배출부가 구비된 제1챔버, 상기 제1챔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음식물이 저장되는 제1드럼, 상기 제1드럼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드럼 내부를 상기 제1챔버에 연통시키는 제1연통홀, 및 상기 제1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음식물을 분쇄하는 블레이드가 구비된 분쇄부; 제2유입부 및 제2배출부가 구비된 제2챔버, 상기 제2챔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음식물이 저장되는 제2드럼, 및 상기 제2드럼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드럼 내부를 상기 제2챔버에 연통시키는 제2연통홀이 구비된 탈수부; 상기 제1배출부와 상기 제2유입부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챔버에서 배출되는 물과 음식물을 상기 제2드럼으로 안내하는 연결관; 제3유입부를 통해 상기 연결관에 연통하는 제3챔버, 상기 제3챔버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제3배출구, 및 상기 제3챔버에 구비되어 음식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바디가 구비된 저장부; 및 상기 제2드럼 내부에서 상기 제2유입부를 향해 이동하는 기류(current)를 형성시켜 상기 제2드럼 내부의 음식물을 상기 제3유입부로 이동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처리장치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음식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처리장치는 싱크대(sink)의 배수구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을 분쇄하고, 분쇄된 음식물에서 물을 제거하며, 탈수된 음식물을 하수구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종래 음식물 처리장치는 싱크대의 배수구에 연결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싱크대 배수구로 유입되는 음식물이 저장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관통홀, 상기 드럼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음식물을 분쇄하는 분쇄부, 상기 하우징 내부의 물을 하수구로 안내하는 배수관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등록번호 20-0241647).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음식물 처리장치는 분쇄부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하고, 드럼을 회전시켜 분쇄된 음식물에서 물을 제거 가능하지만, 사용자가 분쇄공간에 있는 음식물(드럼 내부의 음식물)을 직접 제거해야 하는 단점, 및 드럼의 관통홀에 음식물이 껴 악취가 유발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출원은 음식물의 분쇄, 탈수, 및 배출이 가능한 음식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음식물의 분쇄공간, 탈수공간, 및 저장공간이 분리된 음식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드럼의 내부에 음식물이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음식물의 부패에 따른 악취 발생을 최소화 가능한 음식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은 제1유입부 및 제1배출부가 구비된 제1챔버, 상기 제1챔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음식물이 저장되는 제1드럼, 상기 제1드럼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드럼 내부를 상기 제1챔버에 연통시키는 제1연통홀, 및 상기 제1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음식물을 분쇄하는 블레이드가 구비된 분쇄부; 제2유입부 및 제2배출부가 구비된 제2챔버, 상기 제2챔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음식물이 저장되는 제2드럼, 및 상기 제2드럼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드럼 내부를 상기 제2챔버에 연통시키는 제2연통홀이 구비된 탈수부; 상기 제1배출부와 상기 제2유입부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챔버에서 배출되는 물과 음식물을 상기 제2드럼으로 안내하는 연결관; 제3유입부를 통해 상기 연결관에 연통하는 제3챔버, 상기 제3챔버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제3배출구, 및 상기 제3챔버에 구비되어 음식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바디가 구비된 저장부; 및 상기 제2드럼 내부에서 상기 제2유입부를 향해 이동하는 기류(current)를 형성시켜 상기 제2드럼 내부의 음식물을 상기 제3유입부로 이동시키는 배출부;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2드럼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며 원주면과 바닥면에 상기 제2연통홀이 형성된 드럼 바디; 및 상기 드럼 바디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2드럼 투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 바디의 직경은 상기 드럼 바디의 바닥면에서 상기 제2드럼 투입구를 향할수록 작아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음식물 처리장치는 상기 제2유입부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의 상단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2드럼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을 상기 연결관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의 지름은 상기 제2유입부에서 상기 제1배출부를 향할수록 작아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3유입부는 상기 연결관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음식물 처리장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배출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1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식물 처리장치는 상기 제2배출부를 하수구와 연결하는 배수관; 및 상기 제3배출부를 상기 하수구 또는 상기 배수관에 연결하는 배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식물 처리장치는 상기 제3챔버 내부 공간을 상기 제3유입부에 연통하는 제1공간과 상기 제3배출부에 연결되는 제2공간으로 구분하는 격벽; 상기 격벽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격벽 관통홀; 및 상기 제2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제3유입부에서 상기 제3배출부로 이동하는 기류를 형성하는 블로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식물 처리장치는 상기 제3챔버를 관통하여 상기 제1공간에 연결된 인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바디는 상기 인출구를 통해 상기 제1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는 상기 인출구를 통해 상기 제1공간에 착탈 가능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음식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공간;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3유입부로 공급되는 음식물을 상기 저장공간으로 안내하는 하우징 유입구; 및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상기 제1공간에 연통시키는 하우징 연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식물 처리장치는 상기 제1드럼의 바닥면과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 시 상기 제1챔버 내부의 음식물을 상기 제1배출부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식물 처리장치는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1드럼의 바닥면에 고정된 제1축; 상기 제1축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축 관통홀; 및 일단은 상기 축 관통홀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제1드럼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블레이드에 연결된 제2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제1축에 고정되어 상기 제1드럼의 바닥면과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음식물 처리장치는 상기 제1유입부와 싱크대의 배수관을 연결하는 싱크 연결관; 상기 제1유입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유입부를 폐쇄하는 커버; 상기 싱크 연결관을 하수구에 연결하는 제2배수관; 및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배수관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2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식물이 저장되는 제1드럼, 제1드럼의 원주면에 구비된 제1연통홀, 및 상기 제1드럼 내부에 구비되어 음식물을 분쇄하는 블레이드가 구비된 분쇄부; 상기 분쇄부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이 저장되는 제2드럼 및 상기 제2드럼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2연통부가 구비된 탈수부; 상기 제2드럼에 저장된 음식물을 제2드럼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 상기 제2드럼에서 배출된 음식물을 저장하는 저장바디 및 상기 제2드럼에서 상기 저장바디로 이동하는 기류를 형성하는 블로워가 구비된 저장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시켜 음식물을 분쇄하는 분쇄단계; 상기 제1드럼을 회전시켜 제1드럼 내부의 음식물을 상기 제2드럼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단계; 상기 제2드럼을 회전시켜 음식물에서 물을 제거하는 탈수단계; 상기 배출부 및 블로워를 통해 상기 제2드럼 내부의 음식물을 상기 저장바디로 이동시키는 배출단계; 상기 블로워를 회전시켜 음식물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본 출원은 음식물의 분쇄, 탈수, 및 배출이 가능한 음식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출원은 음식물의 분쇄공간, 탈수공간, 및 저장공간이 분리된 음식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출원은 드럼의 내부에 음식물이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음식물의 부패에 따른 악취 발생을 최소화 가능한 음식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음식물 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분쇄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탈수부와 저장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음식물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음식물 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음식물 처리장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 음식물 처리장치는 싱크대에 구비되어 싱크 배수관에서 공급되는 음식물을 처리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싱크 배수관에 연결되지 않는 독립적인 장치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투입하는 음식물을 처리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은 음식물 처리장치(100)가 싱크대(S)에 연결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상기 음식물 처리장치(100)는 싱크 배수관(S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도 1의 음식물 처리장치(100)는 싱크 배수관(S1)에서 공급되는 음식물을 분쇄하는 분쇄부(1), 상기 분쇄부(1)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에서 물을 제거하는 탈수부(4), 음식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부(8), 및 상기 탈수부(4) 내부의 음식물을 상기 저장부(8)로 이동시키는 배출부(7)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쇄부(1)는 상기 싱크 배수관(S1)에 연결된 제1챔버(11), 상기 제1챔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음식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된 드럼(제1드럼, 12), 및 상기 제1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1드럼 내부의 음식물을 분쇄하는 블레이드(19)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11)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면에 제1유입부(111)가 구비되고, 원주면이나 바닥면에 제1배출부(1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11)는 상기 제1유입부(111)를 통해 상기 싱크 배수관(S1)에 연결되고, 상기 제1배출부(112)를 통해 상기 탈수부(4)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부(111)는 상기 제1챔버(11)의 상부면을 관통하는 구멍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챔버(11)의 상부면과 상기 싱크 배수관(S1)을 연결하는 파이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배출부(112)는 상기 제1챔버(11)의 원주면이나 바닥면을 관통하는 구멍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챔버(11) 내부에 연통하는 파이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배출부(112)에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배출부(112)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밸브(113, 제1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드럼(12)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제1드럼 바디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드럼 바디의 상부면에는 제1드럼 투입구(121)가 구비되고, 상기 제1드럼 바디의 원주면과 바닥면에는 제1연통홀(12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드럼 투입구(121)는 상기 제1유입부(111)를 통해 상기 제1챔버(11)로 공급되는 음식물을 상기 제1드럼(12) 내부로 유입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제1연통홀(123)은 상기 제1드럼 바디의 원주면과 바닥면을 관통하는 구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드럼 바디 내부로 유입된 물 등의 액체는 상기 제1연통홀(123)을 통해 상기 제1챔버(11)로 배출될 것이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19)의 회전으로 음식물이 분쇄되면(음식물의 크기가 제1연통홀의 지름보다 작아지면), 상기 제1드럼 바디 내부의 음식물은 상기 제1드럼(12)의 회전 시 상기 제1연통홀(123)을 통해 상기 제1챔버(11)로 배출될 수 있을 것이다.
분쇄되지 않은 음식물이 제1드럼(12)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제1드럼의 바닥면에 구비된 제1연통홀(123)의 지름은 상기 제1드럼의 원주면에 구비된 제1연통홀(123)의 지름보다 작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드럼(12)과 상기 블레이드(19)는 제1구동부(D)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D)는 상기 제1챔버(11)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드럼(12)을 회전시키는 제1축(14), 상기 제1축(14) 및 상기 제1드럼(12)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블레이드(19)를 회전시키는 제2축(15), 상기 제2축(15)을 회전시키는 제1모터(13), 및 상기 제1모터(13)가 제공하는 동력을 상기 제1축(14)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6, 17, 18)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축(14) 및 제2축(15)은 상기 제1챔버(11)의 바닥면에 직교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챔버(11)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1축(1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이 구비된다. 상기 축(14, 15)이 제1챔버의 바닥면에 직교한다는 것은, 상기 축(14, 15)과 상기 제1챔버(11)의 바닥면이 형성하는 각도가 음식물 처리장치의 제작에 요구되는 공차 범위 내에서 90도라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축(14)은 일단은 상기 제1드럼(12)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챔버(11)의 외부에 위치하는 축 바디(141), 상기 축 바디(14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축 관통홀(143)을 포함한다. 상기 축 관통홀(143)은 상기 축 바디(141)의 길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상기 축 바디(141)의 원주면에는 상기 동력전달부에 구비된 클러치(17)가 체결되는 축 기어(145)가 구비된다.
상기 축 바디(141)의 상단은 상기 제1드럼(12)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드럼(12)의 내부공간은 상기 축 관통홀(143)을 통해 상기 제1챔버(11)의 외부에 연통할 수 있다.
바(bar) 형상의 제2축(15)이 상기 축 관통홀(143)에 삽입되면, 상기 제2축(15)의 상단은 상기 제1드럼(12)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축(15)의 하단은 상기 제1챔버(11)의 외부에 위치한다. 이 경우, 상기 블레이드(19)는 상기 제2축(15)의 상단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1드럼(12) 내부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상기 블레이드(19)는 제1드럼(12) 내부의 음식물을 분쇄 가능한 한 어떠한 구조로도 구비될 수 있다. 음식물의 분쇄 시간을 단축(음식물의 효과적 분쇄)을 위해, 상기 블레이드(19)는 상기 제2축(15)에 고정된 제1블레이드(191), 및 상기 제2축(15)에 고정되어 상기 제1블레이드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블레이드(19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축 관통홀(143) 내부에는 상기 제2축(15)을 상기 축 바디(14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15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151)은 상기 제1드럼(12) 내부의 물질이 상기 축 관통홀(143)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모터(13)는 프레임(F)을 통해 상기 제1챔버(1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모터(13)의 회전축(131, 제1모터 회전축)에는 고정바디(133)가 연결되며, 상기 제2축(15)의 일단은 상기 고정바디(133)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1모터 회전축(131)에 의해 상기 고정바디(133)가 회전하면, 상기 제2축(15)도 회전하게 될 것이다. 상기 고정바디(133)의 원주면에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클러치(17)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모터 기어(135)가 구비된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기 설정된 제1지점과 제2지점 사이를 왕복 가능한 클러치(17), 상기 클러치(17)가 제1지점과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작동부(18), 상기 클러치(17)의 위치를 고정하는 스토퍼(16)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점은 상기 클러치(17)가 상기 제1모터(13)의 회전력을 상기 제1축(14)에 전달하지 않는 지점(도 1의 클러치 위치)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2지점은 상기 클러치(17)가 상기 제1모터(13)의 회전력을 상기 제1축(14)에 전달하는 지점(도 2의 클러치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지점은 상기 클러치(17)가 상기 축 기어(145)와 모터 기어(135)를 연결하지 않는 지점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2지점은 상기 클러치(17)가 상기 축 기어(145)와 모터 기어(135)를 연결하는 지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6)는 상기 제1지점에 위치된 클러치(17)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다. 상기 스토퍼(16)는 상기 프레임(F)에 고정되어 상기 제1챔버(11)의 외부에 위치하는 스토퍼 바디(161), 상기 스토퍼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된 스토퍼 관통홀, 상기 스토퍼 관통홀에 구비되어 상기 축 바디(14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165), 및 상기 스토퍼 바디(161) 중 상기 클러치(17)를 향하는 면에 구비된 제1체결부(167)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17)는 상기 스토퍼 바디(161)와 상기 고정바디(133) 사이에 위치하는 클러치 바디(171), 상기 클러치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클러치 관통홀(137), 상기 클러치 관통홀(137)을 형성하는 원주면에 형성된 연결기어(17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 바디(171)의 원주면에는 디스크가 구비되고, 상기 디스크에는 상기 스토퍼의 제1체결부(167)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체결부(17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167)는 상기 스토퍼 바디(161)에서 돌출된 다수의 돌기로 구비되고, 상기 제2체결부(177)는 상기 디스크의 상부면에 형성된 다수의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17)가 제1지점에 위치하면, 상기 연결기어(175)는 상기 축 기어(145)를 상기 모터 기어(135)에서 분리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모터 회전축(131)이 회전하면, 상기 블레이드(19)는 제2축(15)에 의해 회전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제1축(14)은 상기 클러치(17)에 의해 상기 스토퍼(16)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것이므로, 상기 제1축(14) 및 상기 제1드럼(12)은 회전하지 않을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1드럼 내부의 음식물은 상기 블레이드(19)에 의해 분쇄될 것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17)가 제2지점에 위치하면, 상기 연결기어(175)는 상기 축 기어(145)와 상기 모터 기어(135)를 연결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모터 회전축(131)이 회전하면, 상기 블레이드(19) 및 상기 제1드럼(12)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것이다.
상기 블레이드(19) 및 상기 제1드럼(12)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 물과 분쇄된 음식물은 상기 제1연통홀(123)을 통해 상기 제1챔버(11)로 이동한 뒤 상기 제1배출부(112)를 통해 상기 제1챔버(11)에서 배출될 것이다.
상기 제1챔버(11) 내부의 음식물이 상기 제1배출부(112)로 이동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1축(14)에는 이송부(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2)는 상기 제1축(14)에 고정되어 상기 제1드럼(12)의 바닥면과 상기 제1챔버(11)의 바닥면 사이에 위치하는 보드(board)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클러치(17)는 상기 작동부(18)를 통해 제1지점과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18)는 상기 프레임(F)에 고정된 피스톤(189), 상기 피스톤(189)에 의해 이동하는 작동바디(181), 상기 작동바디(18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작동바디 관통홀, 상기 작동바디 관통홀에 구비되어 상기 클러치 바디(171)를 상기 작동바디(18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베어링(185)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수부(4)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제2챔버(41), 상기 제2챔버의 상부면에 구비된 제2유입부(411), 상기 제2챔버의 원주면 또는 바닥면에 구비된 제2배출부(413), 상기 제2챔버(4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제2드럼(4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유입부(411)는 상기 제2챔버(41)의 상부면을 관통하는 구멍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배출부(112)에 연결된 파이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상기 음식물 처리장치(100)에는 상기 제1배출부(112)와 상기 제2유입부(411)를 연결하는 연결관(6)을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출부(112)를 통해 상기 제1챔버(11)에서 배출되는 물과 음식물은 상기 연결관(6)을 통해 상기 제2챔버(41)로 이동할 것이다.
상기 제2배출부(413)는 상기 제2챔버(41)의 원주면이나 바닥면을 관통하는 구멍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2챔버(41)의 원주면이나 바닥면에서 연장되는 파이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배출부(413)에는 배수관(415)가 고정될 수 있는데, 상기 배수관(415)은 상기 제2챔버(41)에서 배출되는 물을 하수구로 안내하는 수단이다.
상기 제2드럼(43)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제2드럼 바디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드럼 바디의 상부면에는 제2드럼 투입구(431)가 구비는데, 상기 제2드럼 투입구(431)는 상기 제2유입구(41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2유입구(411)로 공급되는 음식물과 물은 상기 제2드럼(43) 내부로 공급될 것이다.
상기 제2드럼 바디의 원주면 및 바닥면에는 제2연통홀(433)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2드럼(43) 내부로 공급된 물은 상기 제2연통홀(433)을 통해 상기 제2챔버(41)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연통홀(433)의 직경은 상기 제1연통홀(123)의 직경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드럼(43)은 음식물에서 물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이기 때문에 상기 제2연통홀(433)의 직경은 작게 설정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드럼(12)은 음식물을 분쇄 및 분쇄된 음식물의 배출을 목적으로 하는 수단이기 때문에 제1연통홀(123)의 직경은 제2연통홀보다 크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드럼(43)의 직경은 상기 제2드럼(43)의 바닥면에서 상기 제2드럼 투입구(431)를 향할수록 작아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드럼 투입구(431)의 직경은 상기 제2유입부(411)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상기 제2유입부(411)의 직경보다는 크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드럼 바디의 직경이 바닥면에서 제2드럼 투입구(431)를 향할수록 작아지면, 상기 제2드럼 바디의 원주면에는 상기 제2유입부(411)를 향하는 경사면(A)이 형성될 것이다. 상기 제2드럼 바디의 원주면에 형성된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제2드럼(43)에 저장된 음식물이 상기 저장부(8)로 배출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2드럼(43)은 제2구동부(45)에 의해 회전하는데, 상기 제2구동부(45)는 제2챔버(41)의 외부에 고정된 제2모터(451)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모터의 회전축(453)은 상기 제2챔버(41)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2드럼(43)의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음식물 처리장치(100)에는 상기 제2챔버(41)의 바닥면에서 상기 제2유입부(411)를 향해 이동하는 기류(current)를 형성시켜 상기 제2드럼(43) 내부의 음식물을 상기 제2챔버(41)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7)는 상기 제2드럼(43)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2연통홀(433)로 공기를 분사하는 노즐, 상기 노즐로 압축된 공기(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즐은 상기 제2챔버(41)를 관통하여 일단은 상기 제2드럼의 바닥면과 상기 제2챔버의 바닥면 사이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공기공급부에 연결된 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7)가 상기 제2드럼(43)으로 공기를 분사하면, 상기 제2드럼(43) 내부의 음식물은 공기와 함께 상기 제2드럼(43)의 바닥면에서 상기 제2유입부(411)로 이동한다. 상기 음식물 처리장치(100)는 상기 제2드럼(43)의 원주면이 경사지게 구비되므로, 상기 제2드럼(43) 내부의 음식물을 보다 쉽게 상기 제2유입부(411)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드럼(43) 내부의 음식물이 상기 제2챔버(41)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제2챔버(41)의 상부면에는 가이드(41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412)는 상기 제2유입부(411)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드럼(43)의 상단은 상기 가이드(412) 내부에 수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제2드럼 투입구는 가이드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6)은 상기 제1배출부(112)와 상기 제2유입부(411)를 연결하는 파이프로 구비되고, 상기 저장부(8)는 상기 연결관(6)에 연통하는 제3챔버(8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챔버(81)는 제3유입구(811)를 통해 상기 연결관(6)에 연결되고, 상기 제3챔버(81) 내부의 공기는 제3배출부(813)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배출부(813)에는 배기관(815)이 구비되는데, 상기 배기관(815)은 상기 제3배출부(813)와 상기 배수관(415)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챔버(81) 내부에는 상기 제3유입부(811)에 연통하는 제1공간(A1)과 상기 제3배출부(813)에 연통하는 제2공간(A2)으로 구분하는 격벽(83), 상기 격벽(83)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격벽 관통홀(831), 및 상기 제2공간(A2)에 구비되어 상기 제3유입부(811)에서 상기 제3배출부(813)로 이동하는 기류를 형성하는 블로워(8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7)가 작동할 때 상기 블로워(87)가 함께 작동하면, 상기 제2드럼(43) 내부의 내부의 음식물을 상기 제3챔버(81)로 보다 쉽고,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상기 저장부(8)에는 상기 제3챔버(8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바디(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85)는 인출구(817)를 통해 상기 제1공간(A1)에서 인출 가능한 하우징(851),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852), 상기 하우징(851)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3유입부(811)로 공급되는 음식물을 상기 저장공간(852)으로 안내하는 하우징 유입구(854), 및 상기 하우징(851)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852) 내부를 상기 제1공간(A1)에 연통시키는 하우징 연통홀(854)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851)에는 핸들(853)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핸들(853)은 상기 인출구(817)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수 있다.
상기 연결관(6)으로 유입된 음식물이 상기 제3유입부(811)로 이동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연결관(6)의 지름은 상기 제2유입부(411)에서 상기 제1배출부(112)를 향할수록 작아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유입부(811)는 상기 연결관(6)의 원주면에 직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유입부(811)는 상기 연결관(6)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진 형태로 구비(B)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고하여,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음식물 처리장치(100)의 작동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1밸브(113)가 제1배출부(112)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싱크 배수관(S1)으로 물과 음식물이 공급되면, 물과 음식물은 상기 제1유입부(111) 및 제1드럼 투입구(121)를 통해 상기 제1드럼(12) 내부로 이동한다. 상기 제1드럼(12) 내부의 물은 제1연통홀(123), 제1챔버(11), 제1배출부(112), 연결관(6), 제2챔버(41), 제2배출부(413), 및 배수관(415)을 통해 하수구로 이동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드럼(12) 내부에는 분쇄대상인 음식물만 남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구동부(D1)는 상기 블레이드(91)만을 회전시켜 상기 제1드럼 내부의 음식물을 분쇄한다(분쇄단계). 상기 분쇄단계는 음식물의 크기가 상기 제1연통홀(123)의 지름보다 작아질때까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작동부(18)가 상기 클러치(17)를 상기 스토퍼(16)에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1모터 회전축(131)이 회전하면, 상기 블레이드(19)만을 회전하게 될 것이다.
상기 분쇄단계의 진행 중 음식물이 상기 싱크대(S)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음식물 처리장치(100)는 상기 싱크 배수관(S1) 또는 상기 제1챔버(1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유입부(111)를 폐쇄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분쇄단계가 완료되면, 음식물 처리장치(100)는 상기 제1드럼(12)과 블레이드(19)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분쇄된 음식물을 제2챔버로 이동시키는 이송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작동부(18)가 상기 클러치(17)를 상기 스토퍼(16)에서 분리시킨 상태(모터 기어와 축 기어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모터 회전축(131)이 회전하면, 상기 제1드럼과 블레이드가 모두 회전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제1드럼(12)이 회전하면 분쇄된 음식물들은 원심력에 의해 제1챔버(11)로 배출되고, 상기 제1챔버(11) 내부의 음식물은 상기 제1배출부(112) 및 상기 연결관(6)을 통해 제2챔버(41)로 이동할 것이다. 상기 제1축(14)에 이송부(2)가 구비되면, 상기 제1챔버(11)의 음식물이 상기 제1배출부(112)로 이동하는 시간을 최소화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제2챔버(41)로 공급되는 음식물은 상기 제2드럼(43)에 저장된다. 상기 제2드럼(43)으로 음식물이 이동하면, 상기 음식물 처리장치(100)는 제2드럼(43)을 회전시켜 음식물에 포함된 물을 제2챔버(41)로 배출하는 탈수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제2드럼(43)에서 배출된 물은 상기 제2배출부(413) 및 배수관(415)을 통해 하수구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상기 탈수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음식물 처리장치는 상기 배출부(7) 및 블로워(87)를 작동시켜 제2드럼(43) 내부의 음식물을 상기 제3챔버(81)로 이동시키는 배출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제2챔버(41)에서 배출된 음식물이 상기 제1챔버(11)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출단계의 진행 중 상기 제1밸브(113)는 상기 제1배출부(112)를 폐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제2드럼(43) 내부의 음식물은 상기 제3챔버(81)에 구비된 저장바디(85)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상기 배출단계의 완료 후 상기 음식물 처리장치(100)는 건조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건조단계는 상기 블로워(87)를 작동시켜 음식물에 포함된 수분을 상기 제3배출부(813)로 배출하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저장바디(85)를 제3챔버(81)에서 분리함으로써 상기 저장바디를 비우거나 청소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음식물 처리장치(1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는 상기 음식물 처리장치(100)의 작동 중에도 싱크대(S)를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가진 것이 특징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100)는 상기 제1유입부(111)와 상기 싱크 배수관(S1)을 연결하는 싱크 연결관(114), 상기 제1유입부(11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유입부(111)를 폐쇄하는 커버(115), 상기 싱크 연결관(114)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관통홀(116), 상기 관통홀(116)을 하수구에 연결하는 제2배수관(117), 및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배수관(117)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2밸브(118)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2배수관(117)은 상기 관통홀(116)과 상기 배수관(415)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술한 음식물 처리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100: 음식물 처리장치 1: 분쇄부 11: 제1챔버
111: 제1유입부 112: 제1배출부 113: 제1밸브
114: 싱크 연결관 115: 커버 116: 관통홀
117: 제2배수관 118: 제2밸브 12: 제1드럼
121: 제1드럼 투입구 123: 제1연통홀 13: 제1모터
131: 제1모터 회전축 133: 고정바디 135: 모터 기어
14: 제1축 141: 축 바디 143: 축 관통홀
145: 축 기어 15: 제2축 16: 스토퍼
161: 스토퍼 바디 167: 제1체결부 17: 클러치
171: 클러치 바디 173: 클러치 관통홀 175: 연결기어
177: 제2체결부 18: 작동부 181: 작동바디
189: 피스톤 19: 블레이드 2: 이송부
4: 탈수부 41: 제2챔버 411: 제2유입부
412: 가이드 413: 제2배출부 415: 배수관
43: 제2드럼 431: 제2드럼 투입구 433: 제2연통홀
45: 제2구동부 6: 연결관 7: 배출부
8: 저장부 81: 제3챔버 811: 제3유입부
813: 제3배출부 815: 배기관 817: 인출구
83: 격벽 831: 격벽 관통홀 85: 저장바디
851: 하우징 852: 저장공간 853: 핸들
854: 하우징 연통홀 87: 블로워

Claims (13)

  1. 제1유입부 및 제1배출부가 구비된 제1챔버, 상기 제1챔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음식물이 저장되는 제1드럼, 상기 제1드럼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드럼 내부를 상기 제1챔버에 연통시키는 제1연통홀, 및 상기 제1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음식물을 분쇄하는 블레이드가 구비된 분쇄부;
    제2유입부 및 제2배출부가 구비된 제2챔버, 상기 제2챔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음식물이 저장되는 제2드럼, 및 상기 제2드럼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드럼 내부를 상기 제2챔버에 연통시키는 제2연통홀이 구비된 탈수부;
    상기 제1배출부와 상기 제2유입부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챔버에서 배출되는 물과 음식물을 상기 제2드럼으로 안내하는 연결관;
    제3유입부를 통해 상기 연결관에 연통하는 제3챔버, 상기 제3챔버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제3배출구, 및 상기 제3챔버에 구비되어 음식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바디가 구비된 저장부; 및
    상기 제2드럼 내부에서 상기 제2유입부를 향해 이동하는 기류(current)를 형성시켜 상기 제2드럼 내부의 음식물을 상기 제3유입부로 이동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드럼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며 원주면과 바닥면에 상기 제2연통홀이 형성된 드럼 바디; 및 상기 드럼 바디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2드럼 투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 바디의 직경은 상기 드럼 바디의 바닥면에서 상기 제2드럼 투입구를 향할수록 작아지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입부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의 상단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2드럼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을 상기 연결관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의 지름은 상기 제2유입부에서 상기 제1배출부를 향할수록 작아지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유입부는 상기 연결관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배출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1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출부를 하수구와 연결하는 배수관; 및
    상기 제3배출부를 상기 하수구 또는 상기 배수관에 연결하는 배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챔버 내부 공간을 상기 제3유입부에 연통하는 제1공간과 상기 제3배출부에 연결되는 제2공간으로 구분하는 격벽;
    상기 격벽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격벽 관통홀; 및
    상기 제2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제3유입부에서 상기 제3배출부로 이동하는 기류를 형성하는 블로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챔버를 관통하여 상기 제1공간에 연결된 인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바디는 상기 인출구를 통해 상기 제1공간에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바디는
    상기 인출구를 통해 상기 제1공간에 착탈 가능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음식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공간;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3유입부로 공급되는 음식물을 상기 저장공간으로 안내하는 하우징 유입구; 및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상기 제1공간에 연통시키는 하우징 연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드럼의 바닥면과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 시 상기 제1챔버 내부의 음식물을 상기 제1배출부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1드럼의 바닥면에 고정된 제1축;
    상기 제1축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축 관통홀; 및
    일단은 상기 축 관통홀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제1드럼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블레이드에 연결된 제2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제1축에 고정되어 상기 제1드럼의 바닥면과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13.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입부와 싱크대의 배수관을 연결하는 싱크 연결관;
    상기 제1유입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유입부를 폐쇄하는 커버;
    상기 싱크 연결관을 하수구에 연결하는 제2배수관; 및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배수관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2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KR1020200041547A 2020-04-06 2020-04-06 음식물 처리장치 KR2021012384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547A KR20210123841A (ko) 2020-04-06 2020-04-06 음식물 처리장치
PCT/KR2021/004196 WO2021206384A1 (ko) 2020-04-06 2021-04-05 음식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547A KR20210123841A (ko) 2020-04-06 2020-04-06 음식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841A true KR20210123841A (ko) 2021-10-14

Family

ID=78151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547A KR20210123841A (ko) 2020-04-06 2020-04-06 음식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384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62761B1 (en) Control method of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KR101758276B1 (ko) 음식물 처리장치
EP2974806B1 (en)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JP6092952B2 (ja) 生ゴミ処理装置及び生ゴミ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4959820B2 (ja) ローターを備えた移送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生ごみ処理装置
KR101632548B1 (ko) 음식물 처리기
KR102179815B1 (ko) 음식물 처리기
KR20100081170A (ko) 2중 스크류 구조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
KR101365155B1 (ko) 씽크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003588U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210123841A (ko) 음식물 처리장치
KR101899425B1 (ko) 음식물 처리기
KR20230064350A (ko)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
JP2011518033A (ja) バルブ排出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飲食物処理システムの乾燥機
KR20100041612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이송분쇄로
KR200390944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8001412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90141849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360915B1 (ko) 해파리 처리장치
KR102550658B1 (ko)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음식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2001280843A (ja) 円錐型混合乾燥機並びに混合乾燥処理方法
JPS60247498A (ja) 汚泥その他の脱水処理装置
KR20110080601A (ko) 듀얼 스크류 음식물 처리기
KR200357633Y1 (ko) 압착력 증대장치를 구비한 문서세단기의 세절된 파지처리장치
KR2024005221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