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815B1 - 음식물 처리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815B1
KR102179815B1 KR1020140019592A KR20140019592A KR102179815B1 KR 102179815 B1 KR102179815 B1 KR 102179815B1 KR 1020140019592 A KR1020140019592 A KR 1020140019592A KR 20140019592 A KR20140019592 A KR 20140019592A KR 102179815 B1 KR102179815 B1 KR 102179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neret
food
dehydration
unit
dewa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9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8380A (ko
Inventor
김성민
이선기
김종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9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815B1/ko
Priority to CN201520114983.1U priority patent/CN204564294U/zh
Priority to US14/624,658 priority patent/US9662659B2/en
Priority to DE202015001343.0U priority patent/DE202015001343U1/de
Publication of KR20150098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8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02C23/10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with separator arranged in discharge path of crushing or disintegrating 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entrifugal treatment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음식물을 분쇄하기 위한 분쇄부; 상기 분쇄부로부터 분쇄된 음식물을 제공받도록 배치되는 탈수부; 및 상기 탈수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탈수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 처리기{Food Waste Disposals}
본 발명은 음식물을 분쇄한 후, 분쇄된 음식물을 탈수 및 건조하여 배출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음식물을 탈수 및 건조하기 위한 탈수통이 상하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고, 상기 탈수통이 하방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진 상태에서 (즉, 상기 탈수통이 틸팅된 상태에서) 음식물을 배출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식당에서 소비되고 남은 음식물쓰레기는 수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므로, 즉시 처리하지 못할 경우 싱크대의 개수구 및 이와 연결된 배수구가 막힐 수 있고, 특히 이러한 음식물쓰레기가 배수구를 통하여 하수구로 유입될 경우 수질 오염이 야기될 수 있다.
또한, 음식물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하지 않을 경우, 음식물쓰레기의 무게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부패할 경우 악취와 함께 다량의 침출수가 발생하여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음식물쓰레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하고 건조시키는 음식물 처리기가 여러가지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10-0044395호는 음식물을 하나의 모터로 분쇄하고 탈수하여 배출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공보 2010-0044395호에 개시된 음식물 처리기는 탈수와 건조를 위한 공간이 각각 분리되어 있으므로, 구조적으로 복잡해지고 공간적으로 제약을 받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10-0044396호는 하부드럼이 캠(CAM)에 의해 상하운동하고 상부드럼은 하부드럼과의 마찰에 의해 구동되는 음식물처리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공보 제2010-0044396호에 개시된 음식물 처리기는 드럼 내부에서 음식물의 건조가 불가능하고(즉, 별도의 건조공간이 필요하고), 점성이 있는 음식물의 경우 드럼의 내벽에 부착되기 때문에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2010-0044395호, 공개특허공보 제2010-004439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식물을 하나의 탈수부 내에서 탈수 및 건조시킬 수 있는 음식물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탈수부가 상하방향(즉, 수직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고, 상기 탈수부가 상하방향으로 소정각도 틸팅된 상태에서 상기 탈수부에 구비된 탈수통을 회전하면서 음식물을 배출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탈수부 내에 상기 탈수통과 함께 또는 상기 탈수통과 별도로 회전될 수 있는 교반기를 구비하여, 탈수 및 건조된 음식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음식물을 분쇄하기 위한 분쇄부; 상기 분쇄부로부터 분쇄된 음식물을 제공받도록 배치되는 탈수부; 및 상기 탈수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탈수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음식물 처리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결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탈수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수부는,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1탈수통; 상기 제1탈수통 내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되고, 외주면에 복수개의 탈수구멍이 형성되며, 분쇄된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제2탈수통; 상기 제2탈수통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제1탈수통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2탈수통의 바닥면에 연결된 제2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프레임에는 상기 분쇄부와 상기 탈수부를 연통하는 연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제1탈수통의 상측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중간 프레임 및 상기 중간 프레임의 양 단부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하는 두 개의 측면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간 프레임에 상기 연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프레임의 양 단부는 상기 제1탈수통의 대향하는 외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측면 프레임의 양 단부와 상기 제1탈수통의 외측면 사이에 상기 회전축이 구비되어, 상기 제1탈수통이 상기 회전축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탈수통의 일측에는 상기 제2탈수통을 수용하는 제1개구부가 형성되고, 제2탈수통의 일측에는 분쇄된 음식물을 수용하는 제2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개구부의 둘레를 형성하는 에지부는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개구부의 에지부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돌출부들 및 상기 돌출부들 사이에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오목부들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분쇄된 음식물이 탈수될 때, 상기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가 상측을 향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탈수통 내의 제2탈수통이 회전하여 분쇄된 음식물로부터 수분이 제거되고,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이 배출될 때, 상기 제1탈수통이 하방으로 소정각도 회전되고 상기 제1탈수통 내의 제2탈수통이 회전하면서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수부 내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열풍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수부 내에는 음식물을 교반하기 위해 회전가능하게 제공되는 교반기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탈수부는,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1탈수통; 및 상기 제1탈수통 내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되고, 외주면에 복수개의 탈수구멍이 형성되며, 분쇄된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제2탈수통을 포함하고, 상기 교반기는 상기 제2탈수통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기는 상기 제2탈수통의 바닥면 중앙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바닥 리브 및 상기 바닥 리브의 양단부로부터 상기 제2탈수통의 내주면을 따라서 상기 제2탈수통의 개구부를 향하여 연장하는 측면 리브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리브는 소정 각도로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기는 상기 제2탈수통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을 제공받기 위한 개구부와, 음식물로부터 나온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를 구비하는 음식물 탈수부; 및 상기 탈수부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개구부와 연통하는 연통공, 상기 탈수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1모터를 구비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탈수부는 상기 제1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음식물 처리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탈수부는,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1탈수통; 상기 제1탈수통 내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되고, 외주면에 복수개의 탈수구멍이 형성되며, 분쇄된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제2탈수통; 상기 제2탈수통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제1탈수통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2탈수통의 바닥면에 연결된 제2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수부 내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열풍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수부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기 전 상태에서, 상기 탈수부 내에 수용된 음식물의 제2탈수통의 회전에 의한 탈수 및 열풍에 의한 건조가 수행되고, 상기 탈수부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탈수부 내에 수용된 음식물의 배출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는 음식물 분쇄부에서 분쇄된 음식물을 하나의 탈수부 내에서 탈수 및 건조시킬 수 있으므로, 공간적 제약을 많이 받지 않으면서 구조적으로 간단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탈수부가 상하방향(즉, 수직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고, 상기 탈수부가 상하방향으로 소정각도 틸팅된 상태에서 상기 탈수부에 구비된 탈수통을 회전하면서 음식물을 배출할 수 있으므로, 탈수된 음식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탈수부 내에 상기 탈수통과 함께 또는 상기 탈수통과 별도로 회전될 수 있는 교반기를 구비하여, 탈수 및 건조된 음식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다른 음식물 처리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음식물 분쇄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탈수부가 상하방향으로 틸팅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b)는 탈수부가 상하방향으로 틸팅된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제2탈수통 및 상기 제2탈수통 내에 구비된 교반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교반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에서 제1탈수통 내에 배치되는 제2탈수통이 보이도록 제1탈수통의 일부가 절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러한 음식물 처리기는 가정이나 식당에서 사용되는 싱크대의 하부에 빌트인 형태로 삽입 설치되거나, 상기 싱크대와는 별도로 구비되는 별도의 케이싱(미도시) 내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는 음식물을 분쇄하기 위한 분쇄부(100), 상기 음식물 분쇄부(100)로부터 분쇄된 음식물을 제공받도록 배치되고, 상기 분쇄된 음식물로부터 나온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411)를 구비하는 음식물 탈수부(400), 및 상기 분쇄부(100)와 탈수부(400) 사이에 배치되고, 제1모터(340) 및 회전축(330)을 구비하는 연결프레임(30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330)은 탈수부(40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탈수부(400)는 상기 제1모터(340)에 의해 상기 회전축(330)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틸팅(tilting)될 수 있다. 즉, 연결프레임(300) 자체는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연결프레임(300)에 구비된 제1모터(340) 그리고 연결프레임(300)과 탈수부(400) 사이에 구비된 회전축(330)에 의해 상기 탈수부(400)가 상기 회전축(330)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틸팅(tilting)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모터(340)는 외부 전원(미도시)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거나, 상기 제1모터(340)에 내장된 배터리(미도시)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물론, 음식물 분쇄부(100)를 구비하지 않은 상태에서, 음식물 탈수부(400) 및 상기 음식물 탈수부가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기 연결프레임(300)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음식물을 분쇄하지 않고 바로 탈수 또는 건조를 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탈수부(400)는 상기 회전축(33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1탈수통(410), 상기 제1탈수통(410) 내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된 제2탈수통(420), 및 상기 제2탈수통(420)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2모터(4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탈수통(420)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탈수구멍(4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모터(430)는 상기 제1탈수통(410)의 바닥면(413)을 관통하여 상기 제2탈수통(420)의 바닥면(423)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모터(430)의 회전축(미도시)이 상기 제1탈수통(410)의 바닥면(413)을 관통하여 상기 제2탈수통(420)의 바닥면(423)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탈수통(410)의 바닥면(413)에서 상기 제2모터(430)의 회전축이 관통된 부분은 실링부재(미도시) 등에 의해 실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모터(430)의 구동에 따른 제1탈수통(410)의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하여, 상기 실링부재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서, 상기 제2모터(430)에 의해 상기 제2탈수통(420)이 회전되면, 상기 제2탈수통(420)에 수용되어 있는 분쇄된 음식물에 포함된 수분은 제2탈수통(420)의 탈수구멍(421)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탈수구멍(421)을 통과한 수분은 상기 제1탈수통(410)의 내벽 또는 제2탈수통(420)의 외주면과 제1탈수통(410)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을 따라서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탈수통(410)의 하측에 구비된 배수구(4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모터(420)는 외부 전원(미도시)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거나, 상기 제2모터(420)에 내장된 배터리(미도시)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연결 프레임(300)은 상기 탈수부(4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 프레임(300)은 상기 탈수부(400)와 상기 분쇄부(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프레임(300)은 상기 제1탈수통(410)의 상측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중간프레임(310) 및 상기 중간프레임(310)의 양 단부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하는 두 개의 측면프레임(32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프레임(300)을 구성하는 상기 중간프레임(310) 및 상기 측면프레임(32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프레임(320)은 상기 중간프레임(310)의 양 단부로부터 상기 제1탈수통(410)의 외주면을 따라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프레임(310)에는 상기 분쇄부(100)와 상기 탈수부(400)를 연통시키기 위한 연통공(31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쇄부(100)에서 분쇄된 음식물은 상기 연통공(311)을 통해 상기 탈수부(400)(즉, 제2탈수통(420)) 내로 들어갈 수 있다. 즉, 분쇄부(100)에서 분쇄된 음식물은 탈수 및/또는 건조를 위해 제2탈수통(420) 내에 수용된다.
또한, 상기 측면프레임(320)의 양 단부(즉, 두 개의 측면프레임의 각각의 단부들)는 상기 제1탈수통(410)의 대향하는 외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측면프레임(320)의 양 단부와 상기 제1탈수통(410)의 외측면 사이에 상기 회전축(33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프레임(320)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제1모터(34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두 개의 측면프레임(32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상기 제1모터(340)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두 개의 측면프레임(320)의 각각의 단부에 제1모터(340)가 각각 하나씩 배치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제1모터(340)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제1탈수통(410)이 상기 회전축(330)을 기준으로 틸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모터(340)가 상기 회전축(330)을 회전시키면, 상기 제1탈수통(410) 및 상기 제1탈수통(410) 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탈수통(420)은 상기 회전축(330)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즉, 수직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두 개의 측면프레임(320) 중 하나의 단부에 상기 제1모터(340)가 구비될 경우, 두 개의 측면프레임(320) 중 다른 하나의 단부는 상기 제1모터(34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축(330)을 매개로 상기 제1탈수통(41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는 탈수부(400) 내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열풍공급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풍 공급부(500)는 외부 공기를 끌어당겨서 상기 탈수부 내로 공급하기 위한 팬(510), 상기 팬(510)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3모터(520), 및 상기 팬(510)에 의해 탈수부(400) 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5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530)는 내부에 가열 코일(531)이 구비되는 형태의 히터인 것이 바람직하나, 외부 공기를 가열할 수 있는 히터이기만 하면 상기 히터는 다른 공지된 어떠한 히터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팬(510)에 의해 끌어당겨진 공기는 상기 히터(530)를 통과하면서 가열되고, 가열된 공기는 열풍공급관(540)을 통하여 상기 탈수부(400) 내로 공급될 수 있다. 즉, 탈수부(400)에서 음식물의 탈수가 완료된 후, 상기 열풍 공급부(500)의 가동에 의해 음식물이 건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탈수 또는 건조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만을 작동시키거나, 탈수 및 건조 기능을 순차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풍공급관(540)의 일단은 상기 히터(530)에 연결되고, 상기 열풍공급관(540)의 타단은 이하 설명될 연결관(200)의 일측에 형성된 열풍공급공(2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풍공급부(500)는 외부 전원(미도시)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거나, 상기 열풍공급부(500)에 내장된 배터리(미도시)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즉, 상기 열풍공급부(500)에 포함되는 팬(510), 제3모터(520) 및 히터(53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거나, 팬(510), 제3모터(520) 및 히터(530)에 각각 내장될 수 있는 배터리(미도시)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2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분쇄부(100)는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태의 분쇄프레임(110), 상기 분쇄 프레임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디스크(130) 및 상기 분쇄프레임(110)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디스크(130)에 연결된 제4모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4모터(140)는 샤프트(141)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크(130)는 분쇄프레임(110)의 하부를 관통하는 상기 샤프트(141)를 통해서 상기 제4모터(14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분쇄프레임(100)의 상측에는 음식물의 유입구를 구획하는 유입구 플랜지(5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모터(140)는 외부의 전원(미도시)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거나, 상기 제4모터(140)에 내장될 수 있는 배터리(미도시)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분쇄프레임(110)에는 외주면을 따라 크기가 다른 복수개의 커터공(120)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커터공(120)의 에지부에는 커터날(12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4모터(140)에 의해 상기 디스크(130)가 회전되면, 상기 분쇄 프레임(110) 내에 수용된 음식물은 원심력에 의해 상기 커터날(121)에 의해 분쇄된다. 그리고, 분쇄된 음식물은 상기 커터공(120)을 통해 상기 분쇄프레임(1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쇄부(100)는 상기 탈수부(4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간프레임(310)은 연통공(311)의 에지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하는 연결관(200)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연결관(200) 내의 상부에 상기 분쇄부(1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200)은 원통 형상으로 될 수 있고, 상기 연결관(200)의 일측면에는 상기 열풍공급관(540)이 연결되는 열풍공급공(2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관(200)은 상기 중간프레임(3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관(200)은 연결프레임(3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관(200)의 내주면의 직경은 상기 분쇄프레임(110)의 외주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결관(200)의 내주면과 상기 분쇄프레임(110)의 외주면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터공(120)을 통해 상기 분쇄프레임(110)의 외부로 배출되는 분쇄된 음식물은 중력에 의해 상기 분쇄프레임(110)의 외측과 상기 연결관(200) 사이의 공간을 따라서 하방으로 떨어지고, 연결프레임(300)의 연통공(311)을 통과하여 상기 탈수부(400) 내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분쇄부(100)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음식물 처리기에는 상기 설명된 분쇄부(100)의 실시예 이외에, 공지된 다른 어떤 분쇄부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본질은 틸팅가능한 탈수부에 있는 것으로서, 분쇄부의 구성은 음식물을 분쇄할 수 있는 구성이기만 하면 어떠한 분쇄부의 구성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쇄부 내에 수용되는 음식물의 분쇄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분쇄부 내에는 하나 이상의 회전가능한 커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의 (a)는 탈수부가 상하방향으로 틸팅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b)는 탈수부가 상하방향으로 틸팅된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특히, 도 3의 (a)는 제2탈수통이 보이도록 제1탈수통의 일부가 절개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의 (a) 및 (b)를 참조하면, 탈수부(400)는 음식물을 제공받기 위한 개구부(412, 422)를 구비한다. 즉, 제1탈수통(410)의 일측에는 제2탈수통(420)을 수용하기 위한 제1개구부(412)가 형성되고, 상기 제2탈수통(420)의 일측에는 상기 분쇄된 음식물을 수용하는 제2개구부(4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개구부(412) 및 제2개구부(422)는 동일한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탈수부(400)가 상하방향으로 틸팅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개구부(412) 및 제2개구부(422)는 모두 상측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도 3의 (a) 참조).
도 3의 (a)를 참조하면, 도 3의 (a)에 도시된 탈수부(400)는 틸팅되지 않은 상태로서, 제1탈수통(410) 및 제2탈수통(420)의 제1개구부(412)와 제2개구부(422)는 연결프레임(300)에 형성된 연통공(311)을 향하여 배치된다. 또한, 제2탈수통(420)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2모터(430)는 가장 아래쪽에(즉, 제1탈수통(410)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즉, 제1탈수통, 제2탈수통(420) 및 제2모터(430)는 도 3의 (a)에 도시된 축(A)를 따라서 일렬로 배치된다(이하, 도 3의 (a)에 도시된 상태를 "틸팅 전 상태"라고 한다).
이러한 틸팅 전 상태에서, 분쇄된 음식물이 상기 연통공(311)을 통해 상기 제2탈수통(420) 내로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모터(430)에 의해 제2탈수통(420)이 회전되면, 제2탈수통(420) 내에 수용된 음식물이 함유하고 있는 수분은 원심력에 의해 제2탈수통(420)의 외주면에 형성된 탈수구멍(421)을 통해 제2탈수통(4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2탈수통(420)의 외부로 배출된 수분은 제1탈수통(410)의 내주면을 타고 흘러내려서(즉, 제2탈수통(420)의 외주면과 제1탈수통(410)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 흘러내려서), 배수구(4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탈수된 음식물을 건조시키기 위해, 열풍공급부(500)를 작동시킬 수 있다(도 1을 함께 참조). 물론, 분쇄된 음식물의 탈수 이후에 자동으로 건조가 수행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열풍공급부(500)에 의한 열풍의 공급 역시 상기 틸팅 전 상태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틸팅 전 상태에서, 상기 제2탈수통(420)의 회전에 의해 제2탈수통(420) 내에 수용된 음식물의 탈수가 수행된 후에, 상기 열풍공급부(500)에 의한 열풍의 공급에 의해 상기 제2탈수통(420) 내에 수용된 음식물의 건조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열풍공급부(500)에 의한 상기 음식물의 건조는 상기 제2탈수통(420)이 회전되면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음식물을 탈수할 때 제1탈수통(410)의 회전 RPM은 음식물을 건조할 때의 제1탈수통(410)의 회전 RP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탈수통(410)의 회전 RPM은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를 통해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 내에 음식물을 탈수할 때 제1탈수통(410)의 회전 RPM 및 음식물을 건조할 때의 제1탈수통(410)의 회전 RPM이 각각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도 3의 (b)에 도시된 탈수부(400)는 틸팅된 상태로서, 제1탈수통(410) 및 제2탈수통(420)의 제1개구부(412)와 제2개구부(422)는 연결프레임(300)에 형성된 연통공(311)과 어긋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탈수통(410), 제2탈수통(420) 및 제2모터(430)를 포함하는 탈수부(400)가 회전축(330)을 기준으로 아래쪽으로 틸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축(33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제1탈수통(410), 제2탈수통(420) 및 제2모터(430)를 포함하는 탈수부(400) 역시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연결프레임(300)과 탈수부(400) 사이에 제공된 회전축(330) 및 상기 회전축(330)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연결프레임(300)에 제공된 제1모터(340)에 의해, 탈수부(400)가 회전축(330)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300)은 중간프레임(310) 및 두 개의 측면프레임(320)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측면프레임(320) 사이에 상기 탈수부(400)(즉, 제1탈수통(410))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측면프레임(320)과 상기 제1탈수통(410)의 외측면이 회전축(33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330)은 제1모터(34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모터(340)의 구동에 의해, 상기 탈수부(400) 전체가 시계방향(또는 상하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탈수부(400)는 상기 틸팅 전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330)을 기준으로 90도 이상 아래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때, 제1탈수통(410) 및 제2탈수통(420)의 제1개구부(412)와 제2개구부(422)는 도 3의 (b)에 도시된 축(B)을 따라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축(B)는 도 3의 (a)에 도시된 축(A)에 비해 90도 내지 130도로 시계방향 또는 하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으며, 100도로 기울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상태에서, 제1개구부(412) 및 제2개구부(422)가 상기 제2모터(430)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거나, 상기 제2모터(430)가 제1개구부(412) 및 제2개구부(422)보다 상측에 위치될 것이다(이하, 도 3의 (b)에 도시된 상태를 "틸팅된 상태"라고 한다).
이러한 틸팅된 상태에서, 제2탈수통(420)에 수용되어 있는 분쇄된 음식물은 제2개구부(42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탈수통(420) 내에서 탈수 및/또는 건조가 완료된 음식물은 상기 제2개구부(4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틸팅된 상태에서, 제2탈수통(420)이 회전하면서 음식물이 상기 제2개구부(4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탈수통(420) 내에는 음식물을 교반하여 배출하도록 회전할 수 있는 교반기(44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기(440)는 상기 제2탈수통(420)과 동일한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틸팅된 상태에서, 상기 제2탈수통(420)과 교반기(440)의 회전으로 인해, 탈수 및/또는 건조된 음식물의 제2탈수통(420)으로부터의 배출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즉, 틸팅된 상태에서, 상기 제2탈수통(420) 내의 상기 교반기(440)가 회전하여 상기 제2탈수통(420) 내의 음식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기(440)는 회전하지 않는 상태로 상기 제2탈수통(420)만 회전하여 제2탈수통(420) 내의 음식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교반기(440)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 다른 도면들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1탈수통(410)에 형성된 제1개구부(412)의 둘레를 형성하는 에지부는 만곡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탈수통(410)에서 제1개구부(412)의 둘레를 구획하는 에지부는 만곡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개구부(412)의 에지부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돌출부들(414) 및 상기 돌출부들(414) 사이에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오목부들(415)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개구부(412)의 에지부에는 돌출부(414) 및 오목부(415)가 번갈아서 형성될 수 있으며, 두 개의 돌출부(414)가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들(414) 사이에서 두 개의 오목부(415)가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두 개의 돌출부(414)는 상기 두 개의 측면프레임(320)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415)는 상기 돌출부(414)로부터 90도 오프셋된 위치에(즉, 상기 탈수부(400)가 틸팅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부들(414) 및 오목부들(415)은 연속적으로 부드러운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414)에서 이웃하는 오목부(415)는 연속적인 곡선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개구부(412)의 형태는 상기 탈수부(400)가 틸팅될 때, 상기 탈수부(400)의 상측이 상기 연결프레임(300)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제2개구부의 에지부의 만곡된 형태에 의해서, 상기 탈수부(400)가 기울어질 때, 제1탈수통(410)의 상측과 상기 연결프레임(300)의 중간프레임(310)이 사이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제2탈수통(420) 내에서 탈수 및/또는 건조가 완료된 음식물이 상기 제2개구부(4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 상기 탈수부(400)는 틸팅 전 상태로 되돌아 갈 수 있다. 즉, 상기 탈수부(400)가 틸팅된 상태에서 상기 제2탈수통(420)으로부터 음식물이 배출되면, 상기 탈수부(400)는 제1모터(340)의 구동에 의해 틸팅 전 상태로 되돌아가서 분쇄부(100)로부터 분쇄되어 나오는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준비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설정 또는 사용자의 작동요청에 따라서, 상술한 틸팅 전 상태인 탈수부(400) 내에서 음식물의 탈수 및/또는 건조와, 틸팅된 상태인 탈수부(400)로부터 음식물의 외부로의 배출이 다시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작동은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도 4의 (a) 및 (b)는 제2탈수통 및 상기 제2탈수통 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교반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의 (a) 및 (b)는 탈수부(400)가 회전축(330)을 기준으로 틸팅된 상태에서 상기 탈수부(400)에 포함된 제2탈수통(420)과 교반기(440)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4의 (a)는 음식물이 제2탈수통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4의 (b)는 제2탈수통 내의 교반기의 회전에 의해 음식물이 제2탈수통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나타낸다.
우선, 도 4의 (a)를 참조하면, 탈수 및/또는 건조된 상태의 음식물(600)이 제2탈수통(420) 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제1탈수통(410) 내에 수용된 제2탈수통(420)은 제1모터(340)의 작동에 의해 소정각도로 틸팅되어(즉, 기울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제2탈수통(420)의 바닥면(423)에는 교반기(44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도 4의 (b)를 참조하면, 탈수부(400)가 기울어져 있는 상태(즉, 틸팅된 상태)에서, 제2탈수통(420) 내의 상기 교반기(440)가 회전되면서, 상기 제2탈수통(420) 내에 수용되어 있는 음식물(600)이 상기 제2탈수통(420)의 제2개구부(4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제2탈수통(420) 내의 상기 교반기(440)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 않은 클러치 구조에 의해, 상기 교반기(440)가 회전되지 않고 상기 제2탈수통(420)만 회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탈수통(420)과 상기 교반기(440)가 동시에 회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 상기 제2탈수통(420) 및 상기 교반기(440)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탈수통(420)의 회전속도는 상기 교반기(440)의 회전속도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탈수통(420)과 상기 교반기(44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제2탈수통(420)과 상기 교반기(440)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제2탈수통(420)과 상기 교반기(440)의 회전속도를 상이하게 하여 음식물의 교반 및 배출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입다.
예를 들어, 제2탈수통(420)의 내주면(즉, 내벽)에 음식물이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반기(440)만 회전시키거나, 상기 제2탈수통(420)만 회전시켜서, 상기 제2탈수통(420)의 내주면에 부착된 음식물이 용이하게 상기 내주면으로부터 분리되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제2탈수통(420)과 교반기(440)가 동시에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2탈수통(420)과 상기 교반기(440)가 서로 다른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되 다른 속도로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제2탈수통(420)의 내주면에 부착된 음식물이 용이하게 내주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탈수통(420)과 교반기(440)의 회전은 제2모터(4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도 1 및 3 참조). 또한, 상기 제2탈수통(420)과 교반기(440)의 회전방향 또는 속도를 상이하게 하기 위해서, 제2모터(430)에는 클러치 구조(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 구조에 의해 제2모터(430)의 회전력은 제2탈수통(420) 및 교반기(440)에 동시에 또는 각각 별도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상기 클러치 구조에 의해, 제2모터(430)의 회전력이 제2탈수통(420)에 전달되거나, 교반기(44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제2탈수통(420)의 회전방향 및 속도는 교반기(440)의 회전방향 및 속도와 다르게 될 수 있다. 이러한 클러치 구조는 두 가지 이상의 구성에 모터의 회전력을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수 있는 구성으로서, 이미 공지되어 있는 다수의 클러치 구조 중 하나를 채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클러치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도 5는 교반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5를 함께 참조하면, 교반기(440)는 제2탈수통(420)의 내측에서 상기 제2탈수통(420)의 바닥면(42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교반기(440)는 제2탈수통(420)의 바닥면(42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바닥 리브(441) 및 상기 바닥 리브(441)의 양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두 개의 측면 리브(442)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바닥 리브(441)의 중앙부에는 결합홀(443)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443)을 관통하는 체결부재(미도시)가 제2탈수통(420)의 바닥면(423)을 관통하여 제2모터(43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모터(430)의 회전력이 상기 교반기(즉, 교반기의 바닥 리브)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 리브(441)는 상기 제2탈수통(420)의 바닥면(423) 중앙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측면 리브(442)는 상기 바닥 리브(441)의 양 단부로부터 상기 제2탈수통(420)의 내주면을 따라서 제2탈수통(420)의 제2개구부(422)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면 리브(442)와 상기 제2탈수통(420)의 내주면 사이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측면 리브(442)는 상기 제2탈수통(420)의 내주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측면 리브(442)와 상기 제2탈수통(420)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은 상기 측면 리브(442)와 상기 제2탈수통(420)의 내주면 사이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하다. 한편, 상기 측면 리브(442)와 상기 제2탈수통(420)의 내주면 사이에는 고무와 같은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진 연성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탈수통(420)의 내주면에 부착될 수 있는 음식물을 떼어내기 위하여, 또는, 상기 제2탈수통(420)의 내주면과 상기 측면 리브(442) 사이에 음식물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기 제2탈수통(420)의 내주면을 마주하는 상기 측면 리브(442)의 일 측면에 연성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교반기(440)는 두 개 이상의 바닥 리브 및 두 개 이상의 측면 리브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측면 리브의 각각은 상기 제2탈수통(420)의 원주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교반기(440)가 두 개 이상의 바닥 리브 및 상기 바닥 리브의 각각의 양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두 개 이상의 측면 리브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측면 리브들은 제2탈수통(420)의 내주면에 대해서 동일한 각도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 개의 측면 리브(442)는 소정 각도로 만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두 개의 측면 리브(442)는 상기 바닥 리브(441)의 양 단부로부터 상기 제2개구부(422)를 향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만곡되면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두 개의 측면 리브(442)의 각각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만곡되거나 서로 다른 방향으로 만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두 개의 측면 리브(442) 중에서 위쪽에 배치된 측면 리브는 시계방향으로 만곡되고, 아래쪽에 배치된 측면 리브는 반시계방향으로 만곡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측면 리브(442) 사이의 위상 차는 180도이기 때문에, 각각의 측면 리브(442)가 위쪽에 배치될 때 두 개의 측면 리브(442)는 모두 시계방향으로 만곡된 형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제2탈수통(420) 내의 음식물은 상기 교반기(440)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일정한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즉, 도 4 및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측면 리브(442)가 시계방향으로 만곡되어 있고, 상기 교반기(44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탈수통(420) 내의 음식물은 제2개구부(422)를 향하는 방향으로 안내되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탈수통(420) 내의 음식물을 제2개구부(422)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해서, 상기 측면 리브(422)의 만곡되는 방향은 상기 교반기(440)의 회전 방향과 일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분쇄부 400: 탈수부
500: 열풍공급부 340: 제1모터
430: 제2모터 520: 제3모터
140: 제4모터 300: 연결프레임

Claims (19)

  1. 음식물을 분쇄하기 위한 분쇄부;
    상기 분쇄부로부터 분쇄된 음식물을 제공받도록 배치되는 탈수부; 및
    상기 탈수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탈수부는,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1탈수통;
    상기 제1탈수통 내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되고, 외주면에 복수개의 탈수구멍이형성되며, 분쇄된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제2탈수통;을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탈수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는,
    상기 제2탈수통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제1탈수통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2탈수통의 바닥면에 연결된 제2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에는 상기 분쇄부와 상기 탈수부를 연통하는 연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제1탈수통의 상측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중간 프레임 및 상기 중간 프레임의 양 단부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하는 두 개의 측면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간 프레임에 상기 연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프레임의 양 단부는 상기 제1탈수통의 대향하는 외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측면 프레임의 양 단부와 상기 제1탈수통의 외측면 사이에 상기 회전축이 구비되어, 상기 제1탈수통이 상기 회전축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탈수통의 일측에는 상기 제2탈수통을 수용하는 제1개구부가 형성되고, 제2탈수통의 일측에는 분쇄된 음식물을 수용하는 제2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개구부의 둘레를 형성하는 에지부는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부의 에지부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돌출부들 및 상기 돌출부들 사이에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오목부들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9. 제7항에 있어서,
    분쇄된 음식물이 탈수될 때, 상기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가 상측을 향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탈수통 내의 제2탈수통이 회전하여 분쇄된 음식물로부터 수분이 제거되고,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이 배출될 때, 상기 제1탈수통이 하방으로 소정각도 회전되고 상기 제1탈수통 내의 제2탈수통이 회전하면서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 내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열풍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 내에는 음식물을 교반하기 위해 회전가능하게 제공되는 교반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는 상기 제2탈수통 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는 상기 제2탈수통의 바닥면 중앙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바닥 리브 및 상기 바닥 리브의 양단부로부터 상기 제2탈수통의 내주면을 따라서 상기 제2탈수통의 개구부를 향하여 연장하는 측면 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리브는 소정 각도로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는 상기 제2탈수통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16. 음식물을 제공받기 위한 개구부와, 음식물로부터 나온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를 구비하는 음식물 탈수부; 및
    상기 탈수부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개구부와 연통하는 연통공, 상기 탈수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1모터를 구비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탈수부는
    상기 제1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1탈수통; 및
    상기 제1탈수통 내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되고, 외주면에 복수개의 탈수구멍이 형성되며, 분쇄된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제2탈수통;을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는,
    상기 제2탈수통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제1탈수통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2탈수통의 바닥면에 연결된 제2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 내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열풍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기 전 상태에서, 상기 탈수부 내에 수용된 음식물의 제2탈수통의 회전에 의한 탈수 및 열풍에 의한 건조가 수행되고,
    상기 탈수부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탈수부 내에 수용된 음식물의 배출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KR1020140019592A 2014-02-20 2014-02-20 음식물 처리기 KR102179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592A KR102179815B1 (ko) 2014-02-20 2014-02-20 음식물 처리기
CN201520114983.1U CN204564294U (zh) 2014-02-20 2015-02-17 食品废物处理装置
US14/624,658 US9662659B2 (en) 2014-02-20 2015-02-18 Food waste disposal
DE202015001343.0U DE202015001343U1 (de) 2014-02-20 2015-02-19 Nahrungsmittelabfallentsor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592A KR102179815B1 (ko) 2014-02-20 2014-02-20 음식물 처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380A KR20150098380A (ko) 2015-08-28
KR102179815B1 true KR102179815B1 (ko) 2020-11-17

Family

ID=53193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9592A KR102179815B1 (ko) 2014-02-20 2014-02-20 음식물 처리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62659B2 (ko)
KR (1) KR102179815B1 (ko)
CN (1) CN204564294U (ko)
DE (1) DE202015001343U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751B1 (ko) * 2014-07-01 2016-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음식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678441B1 (ko) * 2014-07-16 2016-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식물 처리장치
CN105241195B (zh) * 2015-10-29 2018-01-09 安徽济人药业有限公司 一种用于中药药渣脱水回收的装置
CN105421540B (zh) * 2015-11-25 2017-05-31 郑州轻工业学院 一种粉碎骨头等有机物质的垃圾处理器
CN105841450B (zh) * 2016-05-26 2018-07-06 济南绿色中药饮片有限公司 一种制药用药材烘干装置
US10544916B2 (en) 2017-04-21 2020-01-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ular headlamp system with a photochromic lens
KR101964985B1 (ko) * 2017-04-28 2019-04-03 황금맷돌 주식회사 분쇄성능이 강화된 디스포저
WO2020160137A1 (en) 2019-01-29 2020-08-06 Fb Global Plumbing Group Llc Disposal with above sink installation
KR102248280B1 (ko) 2020-11-20 2021-05-04 (주)코멘스글로벌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CN116139754A (zh) * 2023-04-23 2023-05-23 河北岁神本草肉灵芝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搅拌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4836B1 (ko) * 2005-02-15 2006-10-16 주식회사 루펜리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 장치
KR101104573B1 (ko) * 2010-05-12 2012-01-11 박노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39639A (en) * 1956-04-16 1960-06-07 Whirlpool Co Food waste disposer
JPH04235728A (ja) * 1991-01-11 1992-08-24 Satake Kagaku Kikai Kogyo Kk 高粘度液体用攪拌翼
KR19990070399A (ko) * 1998-02-19 1999-09-15 김성환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20026143A (ko) * 2001-11-26 2002-04-06 송무석 싱크대에 설치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JP4022239B1 (ja) * 2006-08-10 2007-12-12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乾燥機およびこの制御方法
KR20090102421A (ko) * 2008-03-26 2009-09-3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044396A (ko) 2008-10-22 2010-04-30 한국전기연구원 폐회로를 이루는 초전도 계자코일 및 이를 이용한 초전도 모터의 운전방법
KR101069274B1 (ko) 2008-10-22 2011-10-04 김철영 진공로
KR101168557B1 (ko) * 2010-05-12 2012-08-03 박노형 쌍을 이루는 회전체간의 자동 개폐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4836B1 (ko) * 2005-02-15 2006-10-16 주식회사 루펜리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 장치
KR101104573B1 (ko) * 2010-05-12 2012-01-11 박노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31639A1 (en) 2015-08-20
DE202015001343U1 (de) 2015-05-08
KR20150098380A (ko) 2015-08-28
US9662659B2 (en) 2017-05-30
CN204564294U (zh) 2015-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9815B1 (ko) 음식물 처리기
US10066377B2 (en)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KR101670750B1 (ko) 음식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758276B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101611553B1 (ko) 주스기용 착즙모듈
KR101670751B1 (ko)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음식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684972B1 (ko)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음식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336733B1 (ko) 탈수겸용 믹서기
CN110893063A (zh) 搅拌机
KR20090041801A (ko) 소용량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5102390B2 (ja) バルブ排出装置
KR101747946B1 (ko) 디스포저용 분쇄장치
KR20150003588U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20006445U (ko) 반죽용 스팀 펀칭기
KR101834653B1 (ko) 음식물 탈수기
KR101570305B1 (ko) 음식물처리기용 교반장치
KR20210125338A (ko) 음식물 처리장치
KR20230027615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를 위한 열풍건조기
CN115717309A (zh) 便携式洗涤设备
KR20210125337A (ko) 음식물 처리장치
KR200381124Y1 (ko) 폐 음식물의 처리장치
JPH10156209A (ja) 加圧蒸煮減圧脱水乾燥破砕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