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4573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4573B1
KR101104573B1 KR1020100044395A KR20100044395A KR101104573B1 KR 101104573 B1 KR101104573 B1 KR 101104573B1 KR 1020100044395 A KR1020100044395 A KR 1020100044395A KR 20100044395 A KR20100044395 A KR 20100044395A KR 101104573 B1 KR101104573 B1 KR 101104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drum
housing
cam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4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4926A (ko
Inventor
김동회
박노형
김변삼
Original Assignee
박노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노형 filed Critical 박노형
Priority to KR1020100044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573B1/ko
Priority to US13/381,975 priority patent/US8584977B2/en
Priority to JP2012517375A priority patent/JP5502196B2/ja
Priority to PCT/KR2010/003961 priority patent/WO2011002167A2/ko
Priority to CN201080029986.5A priority patent/CN102470377B/zh
Publication of KR20110124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4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3/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in which solid particles or bodies become separated by centrifugal force and simultaneous sifting or filtering
    • B04B3/02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in which solid particles or bodies become separated by centrifugal force and simultaneous sifting or filtering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means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moving to and fro, i.e. push-type centrifuges

Landscapes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회전하는 드럼의 내부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탈수되어 하우징의 내부로 토출되고, 드럼의 회전에 의하여 하우징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가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된다. 즉, 하나의 부품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탈수→토출→배출되므로, 원가가 감소한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조의 캠과 회전축, 그리고 관성에 의하여 드럼의 하부드럼이 승강하면서 상부드럼에 밀폐/이격되므로, 더욱 원가가 감소한다. 그리고, 하나의 구동모터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파쇄, 탈수, 토출 및 배출이 이루어지므로, 더 더욱 원가가 절감된다. 그리고, 원심력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탈수 및 토출되므로, 음식물 쓰레기를 완전하게 탈수 및 토출된다. 따라서, 대단히 위생적이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법에 의하여, 침출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수분이 없는 상태로 배출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하는 수단, 음식물 쓰레기를 드럼의 외부로 토출하는 수단, 그리고 토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외부로 배출하는 수단이 각각 별도로 마련되므로, 원가가 상승한다.
그리고, 상호 접촉되어 밀폐된 드럼의 상부드럼과 하부드럼의 내부에 투입되어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토출할 때, 구조가 복잡한 별도의 승강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상부드럼을 승강시키거나 상기 하부드럼을 승강시킨다. 따라서, 더욱 원가가 상승한다.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의 파쇄, 탈수, 토출 및 배출이 각각의 구동모터에 의하여 수행되므로, 더 더욱 원가가 상승한다.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의 탈수가 불완전하고,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가 완전히 토출 및 배출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비위생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를 완전 탈수→완전 토출→완전 배출할 수 있는 위생적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회전축을 가지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하부측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며, 상면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부가 형성되고 하면측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된 하우징; 적어도 하나는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호 접촉 또는 분리되면서 상호 밀폐 또는 개방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부와 연통되며, 상기 투입부를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면 상호 밀폐되어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하고, 상호 개방되어 회전하면서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토출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토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배출부를 통하여 배출시키는 상부드럼과 하부드럼을 가지는 드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회전하는 드럼의 내부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탈수되어 하우징의 내부로 토출되고, 드럼의 회전에 의하여 하우징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가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된다. 즉, 하나의 부품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탈수→토출→배출되므로, 원가가 감소한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조의 캠과 회전축, 그리고 관성에 의하여 드럼의 하부드럼이 승강하면서 상부드럼에 밀폐/이격되므로, 더욱 원가가 감소한다.
그리고, 하나의 구동모터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파쇄, 탈수, 토출 및 배출이 이루어지므로, 더 더욱 원가가 절감된다.
그리고, 원심력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탈수 및 토출되므로, 음식물 쓰레기가 완전하게 탈수 및 토출된다. 따라서, 대단히 위생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터를 제외한 "A-A"선 절개 단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캠에 모터의 회전축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캠의 확대 사사도.
도 4b는 도 4a의 "B-B"선 단면도.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 및 하부드럼의 동작을 보인 일부 단면 요부 정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캠 및 하부드럼이 하강한 상태를 보인 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터를 제외한 "A-A"선 절개 단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상호 결합된 상부하우징(111)과 하부하우징(115)을 가지는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이하, 하우징(110)을 포함한 다른 구성요소들의 면 및 방향을 지칭함에 있어서, 하우징(110)의 상면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상면 및 상측", 하우징(110)의 하면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하면 및 하측"이라 한다.
하우징(110)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하우징(111)의 상면 중앙부측에는 하측으로 함몰된 함몰부(112)가 형성되고, 상부하우징(111)의 하면은 개방된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하면을 형성하는 하부하우징(115)의 하면에는 회전축(122)을 가지는 구동모터(120)의 상면이 결합되고, 하부하우징(115)의 상면은 개방된다. 그리하여, 상부하우징(111)의 하단면(下端面)과 하부하우징(115)의 상단면(上端面)이 상호 결합되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한다.
회전축(122)의 상단부측은 하부하우징(115)의 하면을 관통하여 상부하우징(111)의 함몰부(112)에 위치된다.
함몰부(112)에는 싱크대(미도시) 등에 상부측이 결합 고정되는 투입관(131)의 하부측이 삽입 결합되고, 투입관(131)의 하단부측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하는 칼날(135a) 등을 가지는 파쇄유닛(135)이 결합된다. 파쇄유닛(135)은 회전축(122)의 상단부측에 결합되어 회전축(122)에 의하여 회전한다.
음식물 쓰레기는 투입관(131)의 상부측으로 투입되어 파쇄유닛(135)에 의하여 파쇄된 후, 상부하우징(111)의 상면에 형성된 투입부(112a)를 통하여 후술할 드럼(140)의 내부로 투입된다. 투입부(112a)의 형성 위치 및 드럼(14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파쇄유닛(135)에는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부하우징(111)의 투입부(112a)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투입공(135b)이 형성된다.
함몰부(112)를 형성하는 상부하우징(111)의 상면 중앙부측에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회전축(122)이 관통하는 지지관(113a)이 형성되고, 지지관(113a) 외측에는 지지관(113a)을 감싸는 형태로 링형상의 결합테(113b)가 형성된다. 결합테(113b)는 함몰부(112)를 형성하는 상부하우징(111)의 상면 부위에 형성되는데, 지지관(113a)과 결합테(113b) 사이의 함몰부(112)에 상부하우징(111)의 투입부(112a)가 형성된다.
결합테(113b)의 외주면에는 드럼(140)의 상부드럼(141)의 내주면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부드럼(141)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상부드럼(141)의 내주면과 결합테(113b)의 외주면 사이에는 베어링(161)이 개재된다.
지지관(113a)의 상부측에는 회전축(122)의 원활한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163)이 설치되고, 지지관(113a)의 하부측에는 회전축(122) 및 하부드럼(145)의 원활한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165)이 설치된다.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상부드럼(141)과 하부드럼(145)을 가지며 투입부(112a)와 연통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드럼(140)이 설치된다.
상부드럼(141)과 하부드럼(145) 중, 적어도 하나는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호 접촉 또는 분리되면서 상호 밀폐 또는 개방되며, 회전축(12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하여, 투입부(112a)를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면 상호 밀폐되어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한 다음, 상호 개방되어 회전하면서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원심력에 의하여 하우징(110)의 내부로 토출함과 동시에 하우징(110)의 내부로 토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후술할 배출부(116)로 배출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하부드럼(145)이 승강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부드럼(141)은 내주면이 상부하우징(111)의 결합테(113b)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부드럼(141)의 내주면에 결합테(113b)가 결합되므로, 결합테(113b)의 내측에 형성된 투입부(112a)도 상부드럼(141)의 내주면 내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투입부(112a)는 상부드럼(141)의 내부와 연통된다.
하부드럼(145)은, 회전축(122)에 설치되어 회전축(122)을 따라 승강하고 회전축(122)에 의하여 회전하는, 후술할 캠(Cam)(150)에 결합되어 캠(150)과 동일하게 운동한다.
캠(150)이 상승하면 하부드럼(145)이 상승하고, 하부드럼(145)의 상승에 의하여 하부드럼(145)의 상단면(上端面)이 상부드럼(141)의 하단면(下端面)과 접촉한다. 그리고, 캠(150)이 하강하면 하부드럼(145)이 하강하고, 하부드럼(145)의 하강에 의하여 하부드럼(145)의 상단면(上端面)이 상부드럼(141)의 하단면(下端面)으로부터 이격된다.
상부드럼(141)과 하부드럼(145)의 내부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할 때에는 상부드럼(141)과 하부드럼(145)이 접촉하여 상호 밀폐되고, 상부드럼(141)과 하부드럼(145)의 내부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하우징(110)의 내부로 토출할 때에는 상부드럼(141)과 하부드럼(145)이 이격되어 상호 개방된다.
하부드럼(145)은 캠(150)에 의하여 회전하고, 상부드럼(141)은 하부드럼(145)과의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한다. 따라서, 상부드럼(141)과 하부드럼(145)은 회전하면서 원심력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한 후, 토출시킨다. 그리고, 하부드럼(145)의 회전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부드럼(141)과 하부드럼(145)의 회전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에서 탈수된 물은 상부드럼(141)에 형성된 토출공(미도시) 및 하부드럼(145)에 형성된 토출공(145c)을 통하여 드럼(140)의 외부로 토출되고,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는 상부드럼(141)과 하부드럼(145) 사이를 통하여 하우징(110)의 내부로 토출된다.
상부드럼(141)과 하부드럼(145) 사이를 통하여 하우징(110)의 내부로 토출된 음식물 쓰레기는 하부하우징(115)에 형성된 배출부(116)를 통하여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배출부(116)에는 배출부(116)를 개폐하는 개폐판(117)이 설치된다.
개폐판(117)은 회전형 또는 미닫이형 또는 여닫이형 등 다양한 형태로 설치되어, 드럼(140)에서 토출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될 때 배출부(116)를 개방한다.
그리고, 하부드럼(145)의 하면에는 블레이드(146)가 설치된다. 블레이드(146)는 하부드럼(145)과 함께 회전하면서, 하우징(110)의 내부로 토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쓸어서 배출부(116)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하부드럼(145)의 하면에는 하부드럼(145)이 하강하였을 때, 하우징(110)과 접촉하는 차단테(147)가 형성된다. 차단테(147)는 드럼(140)에서 하우징(110)의 내부로 토출된 음식물 쓰레기가 블레이드(146)의 회전경로 상에 존재하도록 음식물 쓰레기를 차단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흩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하부하우징(115)과 하부드럼(145) 사이의 회전축(122)의 외주면에는 캠(150)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캠(150)은 회전축(122)이 회전하면 회전축(122)과의 작용 및 관성에 의하여 상승하고, 회전축(122)이 정지하면 관성에 의한 자신의 회전속도와 회전축(122)의 회전속도와의 차이 및 회전축(122)과의 작용에 의하여 하강한다. 캠(150)은 회전축(122)에 의하여 회전한다.
캠(150)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캠에 모터의 회전축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캠의 확대 사사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22)의 하부측 외주면에는 지지돌기(124)가 형성되는데, 지지돌기(124)는 회전축(122)의 외주면 동일 높이에 회전축(122)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2개 이상 마련된다.
캠(150)은 중앙부에 관통공(152)이 형성된 결합편(151)과 관통공(152)의 내주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회전축(122)이 관통하는 관 형상의 몸체(155) 및 몸체(155)의 하부측 내주면에 형성되어 몸체(155)의 강성(剛性)을 보강하는 복수의 보강돌기(158)를 가진다.
결합편(151)은 하부드럼(145)의 하면에 결합된다. 결합편(151)과 하부드럼(145)의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하부드럼(145)의 하면에는 링형상의 내측지지테(145a)와 외측지지테(145b)가 각각 형성된다. 내측지지테(145a)와 외측지지테(145b)는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대향하며, 외측지지테(145b)가 내측지지테(145a)를 감싼다. 그리고, 결합편(151)은 내측지지테(145a)와 외측지지테(145b) 사이에 삽입 안치된 후, 체결나사 등에 의하여 하부드럼(145)에 결합된다. 따라서, 하부드럼(145)은 캠(150)과 동일하게 승강함과 동시에 캠(150)과 동일하게 회전한다.
몸체(155)는 회전축(122)에 지지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지지돌기(124)가 관통하는 안내로(156)가 형성된다. 안내로(156)는 몸체(155)의 하부측 외주면에 몸체(155)의 원주방향을 따라 몸체(155)를 기준으로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로(156a)와 수평로(156a)의 우단부와 하단부가 연통되며 수평로(156a)와 둔각을 이루는 경사로(156b)를 가진다. 안내로(156)의 수는 지지돌기(124)의 수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캠(150)의 동작을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 및 하부드럼의 동작을 보인 일부 단면 요부 정면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22)은 정지하고 하부드럼(145)의 자중에 의하여 하부드럼(145)이 하강하여 상부드럼(141)과 이격된 상태를 최초의 상태라 가정한다. 최초의 상태는 캠(150)이 하강하여 안내로(156)의 경사로(156b)의 상단부가 지지돌기(124)에 걸린 상태로, 상부드럼(141)과 하부드럼(145)은 상호 이격되어 개방된 상태이다.
도 5a에 도시된 최초의 상태에서, 모터(120)(도 3 참조)를 구동시켜 회전축(122)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회전축(122)은 회전하고 캠(150) 및 드럼(140)은 정지하고 있으므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돌기(124)가 안내로(156)의 경사로(156b)의 중간 부위에 위치된다. 이로인해, 캠(150)은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하여 하부드럼(145)을 상승시킨다.
도 5b에 도시된 상태에서 회전축(122)이 더 회전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돌기(124)는 경사로(156b)를 따라서 수평로(156a)로 이동하여 수평로(156a)의 좌측단부에 걸린다. 이때, 지지돌기(124)가 경사로(156b)와 수평로(156a)의 경계부위에 위치될 때 까지 캠(150)은 상승하고, 이로인해 하부드럼(145)이 상승하여 상부드럼(141)에 접촉된다.
이후, 수평로(156a)의 좌단부에 지지돌기(124)가 걸린 상태에서 회전축(122)이 회전하면, 지지돌기(124)에 의하여 캠(150)이 회전하고, 캠(150)에 의하여 하부드럼(145)이 회전하며, 하부드럼(145)과의 마찰력에 의하여 상부드럼(141)이 회전한다.
이후, 모터(120)를 정지시켜 회전축(122)의 회전속도를 서서히 감소시키거나 회전축(122)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는 형태로 변화시키면, 드럼(140) 및 캠(150)은 관성에 의하여 회전축(122) 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한다. 그러면, 캠(150)의 회전속도와 회전축(122)의 회전속도와의 차이에 의하여,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돌기(124)가 캠(150)의 수평로(156a)의 우측단부를 지나 경사로(156b)에 위치되므로, 캠(150)이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한다.
시간이 더 경과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로(156b)의 상단부측에 지지돌기(124)가 위치되므로, 캠(150)이 완전히 하강하여 하부드럼(145)을 완전히 하강시킨다.
캠(150)과 회전축(122)의 지지돌기(124)와의 작용 및 관성에 의하여 드럼(140)이 승강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 토출 및 배출시키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작용을 도 2,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투입관(131)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한 후, 모터(120)를 구동시켜 회전축(122)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전술한 캠(150)과 회전축(122)의 작용 및 관성에 의하여 캠(150)이 상승하면서, 하부드럼(145)을 상승시킨다. 캠(150)에 의하여 하부드럼(145)이 완전히 상승하면, 하부드럼(145)이 상부드럼(141)에 접촉되어 밀폐된, 도 2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캠(150) 및 하부드럼(145)은 완전히 상승한 다음 회전축(122)에 의하여 회전하고, 안내로(156) 및 지지돌기(124)에 의하여 캠(150) 및 하부드럼(145)이 회전하기 전에 파쇄유닛(135)은 회전축(122)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한다. 캠(150)과 하부드럼(145)의 회전시기와 파쇄유닛(135)의 회전시기는 미세한 시간차를 갖는다.
파쇄유닛(135)에 의하여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투입공(135b)과 투입부(112b)를 통하여, 드럼(140)의 내부로 투입된다. 드럼(140)의 내부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드럼(140)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먼저 탈수되고, 탈수된 물은 상부드럼(141)의 상기 토출공 및 하부드럼(145)의 토출공(145c)을 통하여 토출된다.
음식물 쓰레기가 완전히 탈수된 후, 모터(120)를 정지시켜 회전축(122)의 회전속도를 서서히 감소시키거나, 회전축(122)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는 형태로 변화시키면, 드럼(140)과 캠(150)의 회전속도는 관성에 의하여 회전축(122) 보다 빠른 회전속도로 회전한다.
그러면, 전술한 캠(150)과 회전축(122)의 작용 및 관성에 의하여 캠(150)이 하강하면서 하부드럼(145)을 하강시킨다. 하부드럼(145)이 하강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드럼(145)은 상부드럼(141)과 이격되므로, 하부드럼(145)과 상부드럼(141) 사이의 간격으로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가 회전하는 드럼(140)의 원심력에 의하여 하우징(110)의 내부로 토출된다.
이때, 하부드럼(145)의 하면에 형성된 차단테(147)는 하부하우징(115)에 접촉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블레이드(146)의 회전경로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차단하고, 하부하우징(115)에 형성된 개폐판(117)은 배출부(116)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배출부(116)를 개방한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내부로 토출된 음식물 쓰레기는 하부드럼(145)의 하면에 결합되어 하부드럼(145)과 함께 회전하는 블레이드(146)에 의하여 쓸려서 배출부(116)측으로 이동된 후,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음식물 쓰레기를 드럼(140)의 외부로 토출하여,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회전축(122)의 회전속도를 감속한 후 가속하고, 가속한 후 감속하는 작업을 반복하면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회전하는 상부드럼(141)과 하부드럼(145)의 내부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원심력에 의하여 탈수된 후 토출되며, 하부드럼(145)의 회전에 의하여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즉, 하나의 부품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탈수, 토출 및 배출되므로, 원가가 절감된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조의 캠(150)과 회전축(122)의 구조, 그리고 관성에 의하여 하부드럼(145)이 승강하므로, 더욱 원가가 절감된다.
그리고, 구동모터(120)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파쇄, 탈수, 토출 및 배출이 이루어지므로, 더 더욱 원가가 절감된다.
그리고, 원심력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탈수 및 토출되므로, 음식물 쓰레기가 완전하게 탈수 및 토출된다. 따라서, 대단히 위생적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110 : 하우징 111 : 상부하우징
115 : 하부하우징 122 : 회전축
124 : 지지돌기 140 : 드럼
141 : 상부드럼 145 : 하부드럼
150 : 캠 156 : 안내로
156a : 수평로 156b : 경사로

Claims (9)

  1. 회전축을 가지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하부측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며, 상면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부가 형성되고 하면측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된 하우징;
    적어도 하나는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호 접촉 또는 분리되면서 상호 밀폐 또는 개방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부와 연통되며, 상기 투입부를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면 상호 밀폐되어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하고, 상호 개방되어 회전하면서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토출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토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배출부를 통하여 배출시키는 상부드럼과 하부드럼을 가지는 드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된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는 상기 회전축을 따라 승강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축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이 회전하면 상기 회전축과의 작용 및 관성에 의하여 승강하면서 상기 상부드럼과 상기 하부드럼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승강시킨 후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속도가 변하면 관성에 의한 자신의 회전속도와 상기 회전축의 회전속도와의 차이 및 상기 회전축과의 작용에 의하여 승강하면서 상기 상부드럼과 상기 하부드럼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승강시키는 캠(Cam)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캠에는 상기 캠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캠의 몸체를 기준으로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로와 하단부측이 상기 수평로의 일단부측과 연통되며 상기 수평로와 둔각을 이루는 경사로를 가지는 안내로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안내로를 관통하여 상기 캠의 운동을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드럼은 상기 하우징측에 상부측이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투입부와 연통되며,
    상기 하부드럼은 상기 캠에 하부측이 결합되어 상기 캠과 동일하게 운동하며 상기 캠이 상승하면 상승하여 상부측이 상기 상부드럼의 하부측과 접촉하여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상부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하고, 상기 캠이 하강하면 하강하여 상부측이 상기 상부드럼의 하부측과 이격되어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토출시킴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토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배출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에는 상기 배출부를 개폐하는 개폐판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드럼의 하면에는 상기 하부드럼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토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배출부측으로 이동시키는 블레이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드럼의 하면에는 상기 하부드럼이 하강하면 상기 하우징과 접촉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토출된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경로 상에 존재하도록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차단하는 차단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로와 상기 지지돌기는 각각 한쌍으로 형성되어 상호 대응되고,
    상기 캠은 상기 하부드럼에 결합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결합편과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며 상기 안내로가 형성된 관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상기 하부드럼의 하면에는 상기 결합편이 삽입 결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링형상의 내측지지테와 외측지지테가 상호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호 결합된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을 가지고,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면에는 하측으로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를 형성하는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면에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지지관과 상기 지지관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상부드럼의 내주면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형상의 결합테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관과 상기 결합테 사이의 상기 함몰부에 상기 투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가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부위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상기 회전축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하는 파쇄유닛이 설치되어 상기 투입부와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100044395A 2009-07-03 2010-05-12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104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395A KR101104573B1 (ko) 2010-05-12 2010-05-12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US13/381,975 US8584977B2 (en) 2009-07-03 2010-06-18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with centrifugal dehydrator
JP2012517375A JP5502196B2 (ja) 2009-07-03 2010-06-18 生ごみ処理装置
PCT/KR2010/003961 WO2011002167A2 (ko) 2009-07-03 2010-06-18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01080029986.5A CN102470377B (zh) 2009-07-03 2010-06-18 食物垃圾处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395A KR101104573B1 (ko) 2010-05-12 2010-05-12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926A KR20110124926A (ko) 2011-11-18
KR101104573B1 true KR101104573B1 (ko) 2012-01-11

Family

ID=45394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4395A KR101104573B1 (ko) 2009-07-03 2010-05-12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5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085B1 (ko) * 2013-03-29 2015-04-16 주식회사 스핀즈이노베이션 음식물 쓰레기의 회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US20150231639A1 (en) * 2014-02-20 2015-08-20 Lg Electronics Inc. Food waste disposa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5231A (ko) * 1997-05-28 1998-12-05 이일헌 음식물 찌꺼기 처리 분쇄 장치 및 방법
KR100294364B1 (ko) 1998-05-26 2001-10-27 엄완영 씽크대오물(음식물쓰레기)자동처리기
US20040251359A1 (en) 2003-03-31 2004-12-16 Izumi Products Company Raw garbage treatment apparatus and a cutter thereof
US20060169811A1 (en) 2005-02-01 2006-08-03 Young Ki Kim Device for treating food wast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5231A (ko) * 1997-05-28 1998-12-05 이일헌 음식물 찌꺼기 처리 분쇄 장치 및 방법
KR100294364B1 (ko) 1998-05-26 2001-10-27 엄완영 씽크대오물(음식물쓰레기)자동처리기
US20040251359A1 (en) 2003-03-31 2004-12-16 Izumi Products Company Raw garbage treatment apparatus and a cutter thereof
US20060169811A1 (en) 2005-02-01 2006-08-03 Young Ki Kim Device for treating food waste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085B1 (ko) * 2013-03-29 2015-04-16 주식회사 스핀즈이노베이션 음식물 쓰레기의 회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US20150231639A1 (en) * 2014-02-20 2015-08-20 Lg Electronics Inc. Food waste disposal
KR20150098380A (ko) * 2014-02-20 2015-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식물 처리기
US9662659B2 (en) * 2014-02-20 2017-05-30 Lg Electronics Inc. Food waste disposal
KR102179815B1 (ko) * 2014-02-20 2020-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식물 처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926A (ko) 201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02196B2 (ja) 生ごみ処理装置
KR100922285B1 (ko) 야채탈수기
KR102179815B1 (ko) 음식물 처리기
KR10110457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40110760A (ko) 전기식 액체 추출 기계
CN106836401A (zh) 一种电机旋转定位结构及厨余垃圾处理器
CN206015329U (zh) 一种避免二次污染的环保洗衣机
CN111569718A (zh) 一种高效化工污水处理装置及其使用方法
CN111232468B (zh) 智能垃圾分类投放站
KR20150018274A (ko) 음식 쓰레기 처리기
KR10108160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168557B1 (ko) 쌍을 이루는 회전체간의 자동 개폐 장치
CN203556409U (zh) 一种餐厨垃圾破碎机
KR101546296B1 (ko) 롤러게이트를 보유한 호퍼
KR102228521B1 (ko) 펄프량 조절 가능한 주서기
KR20150133308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CN212426426U (zh) 一种便于出料的洗脱机
JP2005130899A (ja) 減圧遠心脱水機における回転装置
KR101512085B1 (ko) 음식물 쓰레기의 회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610534B1 (ko) 포장용 목재 절단기
KR200319914Y1 (ko) 음식 폐기물의 분쇄 처리장치
KR102081432B1 (ko) 탈수가능한 믹서기
KR970004033Y1 (ko) 쥬서기의 절삭용 카터 승강장치
CN215586721U (zh) 垃圾处理机
CN101259446A (zh) 湿式固体物料破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