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085B1 - 음식물 쓰레기의 회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의 회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085B1
KR101512085B1 KR1020130034837A KR20130034837A KR101512085B1 KR 101512085 B1 KR101512085 B1 KR 101512085B1 KR 1020130034837 A KR1020130034837 A KR 1020130034837A KR 20130034837 A KR20130034837 A KR 20130034837A KR 101512085 B1 KR101512085 B1 KR 101512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cutting
unit
cutting blad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4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9959A (ko
Inventor
박노형
김동회
김변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핀즈이노베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핀즈이노베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핀즈이노베이션
Priority to KR1020130034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085B1/ko
Publication of KR20140119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9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14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vertical rotor shaft, e.g. combined with sif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2Shape or inner surface of mill-housings
    • B02C13/284Built-in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음식물 쓰레기의 회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 및 파쇄하는 절단/파쇄유닛의 절단날이 회전판에 대하여 비틀어져 형성된다. 이로 인해, 회전판의 회전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용이하게 절단 및 파쇄됨과 절단 및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신속하게 절단/파쇄유닛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가 적절한 크기로 절단 및 파쇄되어 신속하게 배출된 후, 탈수되므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완전하게 회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의 회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RECOVERY EFFICIENCY OF FOOD WASTE}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의 회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는 환경을 오염시키는 요인 중 하나로써 매년 배출량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를 친환경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대한 연구개발이 한창 진행중이다.
다양한 형태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중,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오수와 함께 배출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하수의 수질을 악화시키므로, 하수도법 제33조 및 동법 시행령 제23조에 의하여 제조, 수입, 판매 또는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하수도법 제33조 및 동법 시행령 제23조의 예외 조항으로, 환경부 고시 2012-203호(2012. 10. 22)에 의하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여 처리하였을 때, 음식물 찌꺼기가 고형물(固形物)의 무게 기준으로 80% 이상 회수되거나, 20% 미만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제조, 수입, 판매 또는 사용을 허용하고 있다.
본 출원인인 "박노형"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06332호에 개시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하는 깔때기(110)의 상측 부위에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 헤드(300)의 하측 부위가 삽입 결합되고, 깔때기(110)의 내부에 위치되는 투입 헤드(300)에 하측 부위 외주면에는 복수의 배출공(310)이 형성된다.
그리고, 배출공(310)이 형성된 투입 헤드(300)의 내주면에는 보강 스트립(312)이 결합되고, 보강 스트립(312)의 내측에는 커터(140)가 결합된 분쇄판(13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하여, 투입 헤드(300)의 상부를 통하여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분쇄판(130)이 회전되면, 커터(140)에 의하여 절단 및 파쇄됨과 동시에 보강 스트립(312)에 의하여 절단 및 파쇄된 후, 깔때기(110)의 내부로 유입되어 탈수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커터(140)와 보강 스트립(312)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미쇄하게 절단 및 파쇄된다. 이로 인해, 음식물 쓰레기가 깔때기(110)에 유입되어 탈수될 때, 음식물 쓰레기가 탈수된 물과 함께 관통공(110a)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로 인해, 환경부 고시 2012-203호의 규정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출원인인 "박노형"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또 다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04573호에 개시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도 환경부 고시 2012-203호의 규정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를 적정 크기로 신속하게 절단 및 파쇄하고, 절단 및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신속하게 탈수유닛으로 유입되게 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를 80% 이상 회수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상면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부가 형성되고, 측면 일측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되며, 하면에는 음식물 쓰레기에서 탈수된 물이 배수되는 배수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투입부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링형상의 지지테, 상기 지지테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호 간격을 가지는 복수의 절단날, 상기 절단날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판, 상기 회전판과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판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파쇄해머를 가지며 상기 투입부를 통하여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 및 파쇄하는 절단/파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판의 원주방향을 향하는 상기 절단날의 일측면과 상기 회전판의 외주면 사이의 간극과 상기 절단날의 타측면과 상기 회전판의 외주면 사이의 간극은 상호 상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 및 파쇄하는 절단/파쇄유닛의 절단날이 회전판에 대하여 비틀어져 형성된다. 이로 인해, 회전판의 회전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용이하게 절단 및 파쇄됨과 동시에 절단 및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신속하게 절단/파쇄유닛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가 적절한 크기로 절단 및 파쇄되어 신속하게 배출된 후, 탈수되므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완전하게 회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절단/파쇄유닛의 일부 분해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절단/파쇄유닛의 일부 분해 확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상호 결합된 하부하우징(110a)과 상부하우징(110b)을 가지는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하우징(110)을 포함한 다른 구성요소들의 면 및 방향을 지칭함에 있어서, 하우징(110)의 상면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상면 및 상측", 하우징(110)의 하면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하면 및 하측"이라 한다.
하부하우징(110a)은 상면이 개방되어 하우징(110)의 하부측을 형성하고, 상부하우징(110b)은 하면이 개방되어 하우징(110)의 상부측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하여, 하부하우징(110a)의 개방된 상단면(上端面)과 상부하우징(110b)의 개방된 하단면(下端面)이 상호 결합된다.
하우징(110)의 상면 중앙부측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부(111)가 형성되고, 측면 일측에는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배출부(113)가 형성되며, 하면측에는 음식물 쓰레기에서 탈수된 물이 배수되는 배수부(115)가 형성된다.
하우징(110)의 하측에는 후술할 절단/파쇄유닛(150) 및 탈수유닛(160)을 구동하는 회전축(121)을 가지는 구동모터(120)가 설치된다. 회전축(121)의 상단부측은 하우징(110)을 관통하여 투입부(111)에 위치된다.
하우징(110)은 연결유닛(130)을 매개로 싱크대(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연결유닛(130)은 관 또는 링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부품들로 구성되며, 상측 부위는 상기 싱크대에 결합되고, 하측 부위는 투입부(111)에 삽입 결합된다. 상기 싱크대에 연결유닛(130)을 결합한 상태에서, 연결유닛(130)의 내측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면, 음식물 쓰레기는 투입부(111)로 투입된다.
투입부(111)의 내부에는 투입부(111)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 및 파쇄하는 절단/파쇄유닛(150)이 설치될 수 있다. 절단/파쇄유닛(150)은 투입부(111)를 형성하는 하우징(110)의 부위에 고정 설치된 링형상의 지지테(151), 지지테(151)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수직 연장 형성되며 상호 간격(D4)(도 4 참조)을 가지는 복수의 절단날(153), 절단날(153)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축(121)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판(155), 회전판(155)과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회전판(155)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파쇄해머(157)를 가질 수 있다.
투입부(111)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면, 음식물 쓰레기는 절단/파쇄유닛(150)의 내부에 저장되는 형태가 된다. 그러면, 구동모터(120)가 구동하여 회전축(121)이 회전하고, 회전축(121)에 의하여 회전판(155)이 회전한다. 회전판(155)이 회전하면, 음식물 쓰레기는 회전판(155)에 의하여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절단날(153)에 의하여 절단 및 파쇄되고, 파쇄해머(157)에 의하여 절단 및 파쇄된다.
절단 및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상호 인접하는 절단날(153)과 절단날(153) 사이의 간격 및 회전판(155)에 형성된 복수의 배출공(155a)을 통하여 탈수유닛(160)의 내부로 유입된다.
투입부(111)를 통하여 절단/파쇄유닛(150)으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절단 및 파쇄되지 않은 상태로, 절단날(153)과 회전판(155)의 외주면 사이를 통하여 배출되지 않도록, 절단날(153)과 회전판(155)의 외주면 사이의 간극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한다.
절단/파쇄유닛(150) 하측의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탈수유닛(16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탈수유닛(160)은 절단/파쇄유닛(150)에서 절단 및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전달받아 탈수함과 동시에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하우징(110)의 내부로 토출하여 배출부(113)측으로 유입한다.
탈수유닛(160)은 하부드럼(161), 상부드럼(163), 내측블레이드(165) 및 외측블레이드(167)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드럼(161)은 회전축(121)에 설치되어 회전축(121)을 따라 승강하고 회전축(121)에 의하여 회전하는 캠(Cam)(미도시)에 결합되어, 상기 캠과 동일하게 운동한다.
탈수유닛(160) 및 상기 캠의 구성은 본 출원인인 "박노형"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04573호에 개시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다.
상기 캠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부드럼(163)은 하단면(下端面)이 하부드럼(161)의 상단면(上端面)과 접촉하며, 하부드럼(161)과의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부드럼(163)의 상부측은 개방되어 투입부(111)와 연통되며, 투입부(111)는 상부드럼(163)의 상측 부위 내부에 위치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캠이 상승하면 하부드럼(161)이 상승하고, 하부드럼(161)의 상승에 의하여 하부드럼(161)의 상단면(上端面)이 상부드럼(163)의 하단면(下端面)과 접촉한다. 그리고, 상기 캠이 하강하면 하부드럼(161)이 하강하고, 하부드럼(161)의 하강에 의하여 하부드럼(161)의 상단면이 상부드럼(163)의 하단면으로부터 이격된다.
하부드럼(161)과 상부드럼(163)의 내부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할 때에는 하부드럼(161)과 상부드럼(163)이 접촉하여 상호 밀폐되고, 하부드럼(161)과 상부드럼(163)의 내부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하우징(110)의 내부로 토출할 때에는 하부드럼(161)과 상부드럼(163)이 이격되어 상호 개방된다.
하부드럼(161)과 상부드럼(163)의 내부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원심력에 의하여 탈수되고, 탈수된 물은 하부드럼(161) 및 상부드럼(163)에 각각 형성된 제1탈수공(161a) 및 제2탈수공(163a)을 통하여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되어 배수부(115)를 통하여 배수된다. 그리고,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는 하부드럼(161)이 하강하면 원심력에 의하여 하부드럼(161)과 상부드럼(163) 사이의 개방된 공간을 통하여 하우징(110)의 내부로 토출된다.
하부드럼(161)은 회전축(121)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승강하고, 회전하는 회전축(121)의 회전속도가 변하면 하강한다.
내측블레이드(165)는 회전축(121)에 지지되어 하부드럼(161)의 내부에 위치되며, 회전축(121)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회전 및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하여, 내측블레이드(165)는 하부드럼(161) 및 상부드럼(163)의 내면에 부착된 음식물 쓰레기를 긁어서 청소한다.
외측블레이드(167)는 하부드럼(161)의 외면에 설치되어 하부드럼(161)과 함께 운동하며, 하우징(110)의 내부로 토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긁어서 배출부(113)로 유입시킨다. 배출부(113)에는 배출부(113)를 개폐하는 개폐수단(미도시)이 설치되며, 하부드럼(161)이 하강하여 외측블레이드(167)가 하우징(110)의 내부로 토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긁어서 배출부(113)로 유입시킬 때, 배출부(113)는 상기 개폐수단에 의하여 개방된다.
음식물 쓰레기가 소정 이하의 크기로 절단 및 파쇄되면 음식물 쓰레기의 회수율이 저하되고, 소정 이상의 크기로 절단 및 파쇄되면 탈수율이 저하되므로, 하수도법 제33조 및 동법 시행령 제23조의 예외 조항인 환경부 고시 2012-203호(2012. 10. 22)의 규정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음식물 쓰레기를 적정한 크기로 절단 및 파쇄한 후, 탈수하여야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적정한 크기로 신속하게 절단 및 파쇄한 후, 신속하게 탈수유닛(150)으로 유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유닛(150)의 지지테(151)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수직 연장 형성된 절단날(153)은 비틀어져 형성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지지테(151)의 외측에서 절단날(153)을 보았을 때, 회전판(155)의 원주방향을 향하는 절단날(153)의 좌측면과 회전판(155)의 외주면 사이의 간극(C1)과 회전판(155)의 원주방향을 향하는 절단날(153)의 우측면과 회전판(155)의 외주면 사이의 간극(C2)은 상호 상이하게 형성된다. 즉, 절단날(153)은 비틀어져서 형성된다.
이때, 절단날(153)의 우측면과 회전판(155)의 외주면 사이의 간극(C2)이 절단날(153)의 좌측면과 회전판(155)의 외주면 사이의 간극(C1)보다 좁다고 가정할 때, 절단날(153)의 우측면이 회전판(155)의 회전방향과 대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회전판(155)의 회전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용이하게 절단 및 파쇄될 수 있으므로, 음식물 쓰레기는 적절한 크기로 신속하게 절단 및 파쇄된다.
그리고, 절단날(153)의 좌측면과 회전판(155)의 외주면 사이의 간극과 절단날(153)의 우측면과 회전판(155)의 외주면 사이의 간극이 동일한 가상의 절단날(153')(도 4의 점선 참조)을 형성하였다고 가정할 때, 상호 인접하는 가상의 절단날(153') 사이의 간격(d4) 보다 비틀어진 상태로 형성된 상호 인접하는 절단날(153) 사이의 간격(D4)이 더 넓으므로 절단 및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절단날(153)과 절단날(153) 사이의 간격(D4)을 통하여 신속하게 배출된다.
절단 및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신속하게 배출되므로, 음식물 쓰레기가 소정 이하의 크기로 절단 및 파쇄되는 것이 방지된다.
절단날(153)은 가상의 절단날(153')에 대하여 30°∼50°비틀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파쇄해머(157)는 일측이 회전판(15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회전블럭(157a)과 회전블럭(157a)의 타측에 돌출 형성된 돌출블럭(157b)을 가진다.
파쇄해머(157)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적절한 크기로 절단 및 파쇄될 수 있도록, 회전블럭(157a)의 일측을 향하는 돌출블럭(157b)의 면은 회전판(155)을 기준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회전블럭(157a)의 타측을 향하는 돌출블럭(157b)의 면은 회전판(155)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면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블럭(157b)의 모서리부는 라운딩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싱크대의 배수구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하수도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음식물 쓰레기 받이통(미도시)에 형성된 배수공의 직경은 대략 2㎜ 전후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하부드럼(141) 및 상부드럼(143)에 각각 형성된 제1탈수공(161a)의 직경(D6) 및 제2탈수공(163a)의 직경(D7)은, 상기 음식물 쓰레기 받이통의 상기 배수공과 비슷한, 대략 1∼3㎜ 각각 형성된다.
제1및 제2탈수공(161a, 163)의 직경(D6, D7)을 각각 1∼3㎜로 형성한 이유는, 제1및 제2탈수공(161a, 163)의 직경(D6, D7)의 직경이 너무 작으면 음식물 쓰레기에 의하여 제1및 제2탈수공(161a, 163)이 막히게 되고, 제1및 제2탈수공(161a, 163)의 직경(D6, D7)의 직경이 너무 크면 탈수되지 않은 음식물 쓰레기가 제1및 제2탈수공(161a, 163)을 통하여 탈수유닛(15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복수의 절단날(153)에 의하여 형성되는 가상의 원의 내경을 D1, 회전판(155)의 외경을 D2, 절단날(153)의 일측면과 타측면 사이의 폭을 D3, 상호 인접하는 절단날(153) 사이의 간격을 D4, 회전판(155)에 형성된 배출공(155a)의 직경을 D5, 제1탈수공(161a)의 직경을 D6 및 제2탈수공(163a)의 직경을 D7 이라 할 때, D1 : D2 : D3 : D4 : D5 : D6 : D7 = 100.5∼103 : 100 : 3.5∼5.0 : 6.0∼8.5 : 4.5∼7.5 : 1.1∼3.0 : 1.1∼3.0 로 형성하면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완전하게 탈수하여 모두를 회수할 수 있다.
하우징(110)에는 절단/파쇄유닛(150) 및 탈수유닛(160)의 상부드럼(163)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1세척수 분사부(117) 및 제2세척수 분사부(119)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절단/파쇄유닛(150) 및 탈수유닛(160)은 회전하므로, 제1및 제2세척수 분사부(117, 119)로 세척수를 분사하면 절단/파쇄유닛(150) 및 탈수유닛(160)을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의 미설명 부호 140은 상기 싱크대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연결유닛(130)의 상단부를 개폐하는 마개이다. 마개(14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의 기능도 한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도면은 자세한 윤곽 라인을 생략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속하는 부분을 쉽게 알 수 있도록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기준이 될 수 없으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포함된 기술사항을 이해하기 위한 참조적인 사항에 불과하다.
110: 하우징
120: 구동모터
130: 연결유닛
140: 마개
150: 절단/파쇄유닛
160: 탈수유닛

Claims (6)

  1. 상면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부가 형성되고, 측면 일측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되며, 하면에는 음식물 쓰레기에서 탈수된 물이 배수되는 배수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투입부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링형상의 지지테, 상기 지지테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호 간격을 가지는 복수의 절단날, 상기 절단날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판, 상기 회전판과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판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파쇄해머를 가지며 상기 투입부를 통하여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 및 파쇄하는 절단/파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판의 원주방향을 향하는 상기 절단날의 일측면과 상기 회전판의 외주면 사이의 간극과 상기 절단날의 타측면과 상기 회전판의 외주면 사이의 간극이 상호 상이하도록 상기 절단날은 비틀어져 형성되고,
    상기 절단날의 일측면과 타측면 중, 상기 회전판의 외주면과의 간극이 좁은 면이 상기 회전판의 회전방향과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은 상기 절단날의 일측면과 상기 회전판의 외주면 사이의 간극과 상기 절단날의 타측면과 상기 회전판의 외주면 사이의 간극이 동일한 상태에서 30°∼50°비틀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해머는 일측이 상기 회전판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회전블럭, 상기 회전블럭의 타측에 돌출 형성된 돌출블럭을 가지고,
    상기 회전블럭의 일측을 향하는 상기 돌출블럭의 면은 상기 회전판을 기준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블럭의 타측을 향하는 상기 돌출블럭의 면은 상기 회전판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며,
    상기 돌출블럭의 모서리부는 라운딩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절단/파쇄유닛 및 상기 절단/파쇄유닛의 하측에 설치된 탈수유닛의 상부측으로 세척수를 주입하는 제1세척수 분사부 및 제2세척수 분사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파쇄유닛 하측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절단/파쇄유닛에서 절단 및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전달받아 원심력을 이용하여 탈수함과 동시에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원심력을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토출하여 상기 배출부측으로 유입하는 탈수유닛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는 상기 회전판 및 상기 탈수유닛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가지는 구동모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130034837A 2013-03-29 2013-03-29 음식물 쓰레기의 회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512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837A KR101512085B1 (ko) 2013-03-29 2013-03-29 음식물 쓰레기의 회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837A KR101512085B1 (ko) 2013-03-29 2013-03-29 음식물 쓰레기의 회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9959A KR20140119959A (ko) 2014-10-13
KR101512085B1 true KR101512085B1 (ko) 2015-04-16

Family

ID=51992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4837A KR101512085B1 (ko) 2013-03-29 2013-03-29 음식물 쓰레기의 회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08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573B1 (ko) * 2010-05-12 2012-01-11 박노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19883B1 (ko) * 2011-06-13 2013-10-29 서우람 미세 분쇄를 위한 디스포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573B1 (ko) * 2010-05-12 2012-01-11 박노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19883B1 (ko) * 2011-06-13 2013-10-29 서우람 미세 분쇄를 위한 디스포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9959A (ko) 2014-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8372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05142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1565240B1 (ko) 협잡물 처리용 스크류 프레스
JP6650081B2 (ja) 汚水処理装置
KR20110029860A (ko) 멀티 고정 분쇄 칼날이 구비된 디스포저
KR20120134896A (ko) 음식물 분쇄 배수장치
KR101379906B1 (ko) 음식물 쓰레기 파쇄장치
KR2010004006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51728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792024B1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378156B1 (ko) 해머부재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파쇄장치
KR101512085B1 (ko) 음식물 쓰레기의 회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14796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7008213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695414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133772A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079541B1 (ko)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용 감량기
KR10145607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81337Y1 (ko)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KR101555946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분쇄기 및 이를 구비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122737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JPH03110099A (ja) 生ゴミ処理装置
CN207655249U (zh) 一种防堵塞的垃圾用粉碎装置
KR2012005086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200396649Y1 (ko) 음식물쓰레기 분쇄 및 탈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