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075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6075B1
KR101456075B1 KR1020130034839A KR20130034839A KR101456075B1 KR 101456075 B1 KR101456075 B1 KR 101456075B1 KR 1020130034839 A KR1020130034839 A KR 1020130034839A KR 20130034839 A KR20130034839 A KR 20130034839A KR 101456075 B1 KR101456075 B1 KR 101456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housing
cover
inner cover
food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4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9385A (ko
Inventor
박노형
김동회
김변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핀즈이노베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핀즈이노베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핀즈이노베이션
Priority to KR1020130034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075B1/ko
Publication of KR20140119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9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3/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in which solid particles or bodies become separated by centrifugal force and simultaneous sifting or filte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내측커버의 공간, 제1개방부 및 제2개방부가 음식물 쓰레기가 통과하는 통로의 기능을 하고, 내측커버의 제1개방부 및 제2개방부는 회전하는 개폐부재에 의하여 연통 또는 차단된다. 그러므로,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된 하우징을 내측커버의 측면측 또는 상면측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 구조가 자유로운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하우징과 내측커버 사이 및 내측커버와 개폐부재 사이가 완전하게 실링되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악취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대단히 위생적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는 환경을 오염시키는 요인 중 하나로써 매년 배출량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를 친환경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대한 연구개발이 한창 진행중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8058호에 개시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상측 부위에 음식물 처리부(105)가 설치되고, 하측 부위에 처리 음식물 보관함(109)이 설치되며, 중간 부위에 몸체(11)가 설치된다. 음식물 처리부(105)와 몸체(11)와 처리 음식물 보관함(109)은 상하로 배치되며, 몸체(11)를 기준으로 대략 수직을 이룬다.
그리고, 몸체(11)에는 음식물 처리부(105) 및 처리 음식물 보관함(109)과 각각 연통된 배출구멍(13)이 상하로 형성되고, 배출구멍(13)에는 관통공(25)이 형성된 볼부재(15)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하여, 볼부재(15)를 회전시킴에 따라 관통공(25)과 배출구멍(13)의 연통 정도가 조절되고, 관통공(25)과 배출구멍(13)의 연통 정도를 조절하여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 정도를 조절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볼부재(15)에 형성된 관통공(25)을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된다. 그러므로, 관통공(25)의 길이방향이 배출구멍(13)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면서 상하측을 향해야만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될 수 있다.
즉,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음식물 처리부(105)는 볼부재(15)의 직상방에 위치하여야만 하고, 처리 음식물 보관함(109)은 볼부재(15)의 직하방에 위치하여야만 하므로, 설치 구조가 제한적인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 구조가 자유로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상면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관이 형성되고, 측면 일측에는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되며, 하면측에는 음식물 쓰레기에서 탈수된 물이 배수되는 배수공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투입관으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전달받아 탈수함과 동시에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토출하여 상기 배출공측으로 유입하는 탈수유닛; 상기 배출공과 인접하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접촉 설치되며, 상기 배출공과 대향하는 일측면에는 상기 배출공과 연통된 제1개방부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제2개방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제1개방부와 상기 제2개방부를 연통시키는 공간이 형성된 내측커버; 상기 내측커버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면이 상기 내측커버의 내면과 접촉하며,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개방부와 상기 제2개방부를 연통 또는 차단시키는 개폐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내측커버의 공간, 제1개방부 및 제2개방부가 음식물 쓰레기가 통과하는 통로의 기능을 하고, 내측커버의 제1개방부 및 제2개방부는 회전하는 개폐부재에 의하여 연통 또는 차단된다. 그러므로,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된 하우징을 내측커버의 측면측 또는 상면측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 구조가 자유로운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하우징과 내측커버 사이 및 내측커버와 개폐부재 사이가 완전하게 실링되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악취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대단히 위생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A-A"선 개략 단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감지수단의 정면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상호 결합된 하부하우징(110a)과 상부하우징(110b)을 가지는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하우징(110)을 포함한 다른 구성요소들의 면 및 방향을 지칭함에 있어서, 하우징(110)의 상면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상면 및 상측", 하우징(110)의 하면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하면 및 하측"이라 한다.
하부하우징(110a)은 상면이 개방되어 하우징(110)의 하부측을 형성하고, 상부하우징(110b)은 하면이 개방되어 하우징(110)의 상부측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하여, 하부하우징(110a)의 개방된 상단면(上端面)과 상부하우징(110b)의 개방된 하단면(下端面)이 상호 결합된다.
하우징(110)의 상면 중앙부측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관(111)이 돌출 형성되고, 측면 일측에는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배출공(113)(도 3 및 도 4 참조)이 형성되며, 하면측에는 음식물 쓰레기에서 탈수된 물이 배출되는 배수공(115)이 형성된다.
하우징(110)의 하측에는 회전축(121)을 가지는 구동모터(120)가 설치되고, 투입관(111)의 내부에는 투입관(111)으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 및 파쇄하는 절단/파쇄유닛(130)이 설치될 수 있다.
절단/파쇄유닛(130)은 투입관(111)을 형성하는 하우징(110)의 부위에 고정 설치된 링형상의 지지테(131), 지지테(131)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수직 연장 형성되며 상호 간격을 가지는 복수의 절단날(133), 절단날(133)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축(121)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판(135), 회전판(135)과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회전판(135)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파쇄해머(137)를 가질 수 있다.
투입관(111)으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면, 음식물 쓰레기는 절단/파쇄유닛(130)의 내부에 저장되는 형태가 된다. 그러면, 구동모터(120)가 구동하여 회전축(121)이 회전하고, 회전축(121)에 의하여 회전판(135)이 회전한다. 회전판(135)이 회전하면, 음식물 쓰레기는 회전판(135)에 의하여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절단날(133)에 의하여 절단 및 파쇄되고, 파쇄해머(137)에 의하여 절단 및 파쇄된다.
절단 및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상호 인접하는 절단날(133)과 절단날(133) 사이의 간격을 통하여 절단/파쇄유닛(130) 하측의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된 탈수유닛(140)으로 유입된다.
탈수유닛(140)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탈수유닛(140)은 절단/파쇄유닛(130)에서 절단 및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전달받아 탈수함과 동시에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하우징(110)의 내부로 토출하여 배출공(113)측으로 유입한다.
탈수유닛(140)은 하부드럼(141), 상부드럼(143), 내측블레이드(145) 및 외측블레이드(147)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드럼(141)은 회전축(121)에 설치되어 회전축(121)을 따라 승강하고 회전축(121)에 의하여 회전하는 캠(Cam)(미도시)에 결합되어, 상기 캠과 동일하게 운동한다.
탈수유닛(140) 및 상기 캠의 구성은 본 출원인인 "박노형"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04573호에 개시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다.
상기 캠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부드럼(143)은 하단면(下端面)이 하부드럼(141)의 상단면(上端面)과 접촉하며, 하부드럼(141)과의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부드럼(143)의 상부측은 개방되어 투입관(111)과 연통되며, 투입관(111)은 상부드럼(143)의 상측 부위 내부에 위치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캠이 상승하면 하부드럼(141)이 상승하고, 하부드럼(141)의 상승에 의하여 하부드럼(141)의 상단면(上端面)이 상부드럼(143)의 하단면(下端面)과 접촉한다. 그리고, 상기 캠이 하강하면 하부드럼(141)이 하강하고, 하부드럼(141)의 하강에 의하여 하부드럼(141)의 상단면이 상부드럼(143)의 하단면으로부터 이격된다.
하부드럼(141)과 상부드럼(143)의 내부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할 때에는 하부드럼(141)과 상부드럼(143)이 접촉하여 상호 밀폐되고, 하부드럼(141)과 상부드럼(143)의 내부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하우징(110)의 내부로 토출할 때에는 하부드럼(141)과 상부드럼(143)이 이격되어 상호 개방된다.
하부드럼(141)과 상부드럼(143)의 내부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원심력에 의하여 탈수되고, 탈수된 물은 하부드럼(141) 및 상부드럼(143)에 각각 형성된 탈수공을 통하여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되어 배수공(115)을 통하여 배수된다. 그리고,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는 하부드럼(141)이 하강하면 원심력에 의하여 하부드럼(141)과 상부드럼(143) 사이의 개방된 공간을 통하여 하우징(110)의 내부로 토출된다.
하부드럼(141)은 회전축(121)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승강하고, 회전하는 회전축(121)의 회전속도가 변하면 하강한다.
내측블레이드(145)는 회전축(121)에 지지되어 하부드럼(141)의 내부에 위치되며, 회전축(121)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회전 및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하여, 내측블레이드(145)는 하부드럼(141) 및 상부드럼(143)의 내면에 부착된 음식물 쓰레기를 긁어서 청소한다.
외측블레이드(147)는 하부드럼(141)의 외면에 설치되어 하부드럼(141)과 함께 운동하며, 하우징(110)의 내부로 토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긁어서 배출공(113)으로 유입시킨다. 하부드럼(141)이 하강하여 외측블레이드(147)가 하우징(110)의 내부로 토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긁어서 배출공(113)으로 유입시킬 때, 배출공(113)은 개폐부재(165)(도 3 및 도 4 참조)에 개방된다. 개폐부재(165)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싱크대(미도시)에는 관 또는 링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부품들로 구성된 연결유닛(151)의 상부측이 지지되고, 투입관(111)은 연결유닛(151)의 하측 부위에 삽입 결합된다. 그리하여, 연결유닛(151)의 내측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면, 음식물 쓰레기는 투입관(111)을 통하여 절단/파쇄유닛(130)으로 투입된다.
도 1 및 도 2의 미설명 부호 155는 상기 싱크대의 상측으로 노출된 연결홀더를 개폐하는 마개이며, 마개(155)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의 기능도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의 미설명 부호 117a 및 117b는 절단/파쇄유닛(130) 및 탈수유닛(140)의 상부드럼(143)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 분사부이다. 절단/파쇄유닛(130) 및 탈수유닛(140)은 회전하므로, 세척수 분사부(117a, 117b)로 세척수를 분사하면 절단/파쇄유닛(130) 및 탈수유닛(140)이 깨끗하게 청소된다.
배출공(113)의 개폐구조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A-A"선 개략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공(113)과 인접하는 하우징(110)의 외면에는 내측커버(161)가 설치되고, 내측커버(161)의 내부에는 개폐부재(165)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내측커버(16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배출공(113)과 대향하는 일측면에는 배출공과 연통된 제1개방부(161a)가 형성되며, 하면에는 제2개방부(161b)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개방부(161a)와 제2개방부(161b)는 내측커버(161)의 내부 공간을 매개로 상호 연통된다. 제1개방부(161a)가 형성된 내측커버(161)의 단면(端面)은 배출공(113)과 인접하는 하우징(110)의 외면과 접촉하여 실링되며, 배출공(113)과 제1개방부(161a)는 상호 연통된다.
개폐부재(165)는 회전하면서 제1개방부(161a)와 제2개방부(161b)를 연통 또는 차단시킨다. 제1개방부(161a)와 제2개방부(161b)가 연통되면, 탈수유닛(140)(도 2 참조)에서 토출되어 배출공(113)으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제1개방부(161a) → 내측커버(161)의 내부 공간 → 제2개방부(161b)를 통하여 후술할 저장통(175)으로 배출된다.
내측커버(161)와 하우징(110)의 접촉 부위를 통하여 이물질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측커버(161)와 하우징(110) 사이에는 실링부재(163)가 개재될 수 있고, 하우징(110)의 외면에는 실링부재(163)가 삽입 안치되는 안치홈(119)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측커버(161)와 개폐부재(165)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악취가 외부노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측커버(161)의 내면에 개폐부재(165)의 외면이 밀착되어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개폐부재(165)가 회전하므로, 개폐부재(165)가 회전하는 동안에도 개폐부재(165)의 외면이 내측커버(161)의 내면과 밀착하여 접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내측커버(161)는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개폐부재(165)는 반타원형으로 형성되며, 개폐부재(165)가 회전하는 동안에는 개폐부재(165)의 볼록한 외면이 내측커버(161)의 내면과 접촉한다. 개폐부재(165)의 볼록한 외면 타측의 외면은 오목한 면 또는 편평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재(165)가 제1개방부(161a)와 제2개방부(161b)를 차단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개폐부재(165)의 오목한 외면 또는 편평한 외면이 배출공(113)을 통하여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노출된다. 그러면, 탈수유닛(140)에서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가 하우징(110)의 내부로 토출될 때, 음식물 쓰레기가 개폐부재(165)의 오목한 외면 또는 편평한 외면에 붙어서 고착될 수 있으나, 개폐부재(165)의 오목한 외면 또는 편평한 외면은 항상 하우징(110)의 내측을 향하므로, 악취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내측커버(161)와 개폐부재(165) 사이의 견고한 실링을 위하여 내측커버(161)를 테프론으로 형성하고, 개폐부재(165)의 외면을 금속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부재(165)는 장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은 당연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제1개방부(161a)와 제2개방부(161b)가 개폐부재(165)에 의하여 차단되었을 때, 개폐부재(165)의 편평한 외면 또는 오목한 외면이 저장통(175)측을 향하고, 볼록한 외면이 배출공(113)을 통하여 하우징(110)의 내부로 노출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에는, 개폐부재(165)의 볼록한 외면에 붙어있는 음식물 쓰레기가 내측커버(161)에 의하여 긁혀서 제거된다.
내측커버(161)의 견고한 지지를 위하여 하우징(110)의 외면에는 중간커버(171)가 결합될 수 있다. 중간커버(171)의 내면은 내측커버(161)의 외면을 감싸면서 내측커버(161)의 외면과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10)의 외면에는 중간커버(171)의 외면을 감싸서 보호하는 외측커버(173)가 결합될 수 있고, 외측커버(173)의 하면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받아서 저장하는 저장통(175)이 설치될 수 있다.
내측커버(161)의 제2개방부(161b)를 통하여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저장통(175)에 저장될 수 있도록, 중간커버(171)의 하면에는 제2개방부(161b)와 연통되는 제1연통부(171a)가 형성되고, 외측커버(173)의 하면에는 제1연통부(171a)와 연통되는 제2연통부(173a)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연통부(173a)의 직하방에 저장통(175)이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내측커버(161)의 공간, 제1개방부(161a) 및 제2개방부(161a)가 음식물 쓰레기가 통과하는 통로의 기능을 하고, 내측커버(161)의 제1개방부(161a) 및 제2개방부(161b)는 회전하는 개폐부재(165)에 의하여 연통 또는 차단된다. 그러므로,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배출공(113)이 형성된 하우징(110)을 내측커버(161)의 측면측 또는 상면측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 구조가 자유롭다.
그리고, 하우징(110)과 내측커버(161) 사이 및 내측커버(161)와 개폐부재(165)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악취가 누설되지 못하므로, 대단히 위생적이다.
도 3 및 도 4의 미설명 부호 167은 개폐부재(165)를 회전시키는 모터이다.
저장통(175)에 저장된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감지할 수 있어야 음식물 쓰레기가 저장통(175)을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저장통(175)의 내측에 센서를 설치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비접촉식으로 감지하는 경우, 상기 센서에 음식물 쓰레기가 묻어서 상기 센서가 정확하게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는 저장통(175)에 저장된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물리적으로 감지하는 감지수단(180)이 설치되는데, 이를 도 3,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감지수단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수단(180)은 누름바(181), 힌지바(183), 탄성부재(185), 마그네트(187) 및 리드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누름바(181)는 모터(167)측과 연결된 개폐부재(165)의 지지축(165a)에 설치되어 개폐부재(165)와 함께 회전한다.
힌지바(183)는 상측 부위는 중간커버(171)와 외측커버(173) 사이에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하측 부위는 외측커버(173)에 형성된 관통공(173b)을 관통하여 저장통(175)의 내부에 위치된다. 그리하여, 힌지바(183)는 개폐부재(165)가 제1개방부(161a)와 제2개방부(161b)를 연통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누름바(181)에 의하여 회전한다.
탄성부재(185)는 힌지바(183)를 탄성 지지하여 힌지바(183)를 최초의 상태로 복귀시킨다. 즉, 힌지바(183)는 제1개방부(161a)와 제2개방부(161b)를 연통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개폐부재(165)에 의하여 회전한 다음, 개폐부재(165)가 제1개방부(161a)와 제2개방부(161b)를 차단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탄성부재(185)에 의하여 누름바(181)측으로 회전하여 최초의 상태로 복귀된다.
마그네트(187)는 힌지바(183)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리스스위치는 외측커버(173)에 설치되어 마그네트(187)를 감지한다.
감지수단(18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개폐부재(165)가 제1개방부(161a)와 제2개방부(161b)를 연통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누름바(181)도 함께 회전한다. 그러면, 누름바(181)에 의하여 힌지바(183)도, 도 6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한다.
그 후,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이 완료되면, 개폐부재(165)가 제1개방부(161a)와 제2개방부(161b)를 차단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힌지바(183)는 탄성부재(185)에 의하여 최초의 상태로 복귀된다. 그런데,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에 의하여 저장통(175)에 소정 이상으로 음식물 쓰레기가 저장되면, 힌지바(183)의 하단부가 음식물 쓰레기에 걸리므로, 힌지바(183)가 최초의 상태로 복귀되지 못한다. 그러면, 힌지바(183)의 상단부에 설치된 마그네트(187)를 상기 리드스위치가 감지하지 못하므로, 제어부(미도시)는 저장통(175)에 음식물 쓰레기가 소정 이상 저장되었다고 간주하여 신호음 등을 발생한다.
즉, 개폐부재(165)가 제1개방부(161a)와 제2개방부(161b)를 차단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리드스위치가 힌지바(183)에 설치된 마그네트(187)를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저장통(175)에 소정 이상의 음식물 쓰레기가 저장되었다고 간주하여 신호음 등을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도면은 자세한 윤곽 라인을 생략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속하는 부분을 쉽게 알 수 있도록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기준이 될 수 없으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포함된 기술사항을 이해하기 위한 참조적인 사항에 불과하다.
110: 하우징
113: 배출공
161: 내측커버
165: 개폐부재

Claims (6)

  1. 상면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관이 형성되고, 측면 일측에는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되며, 하면측에는 음식물 쓰레기에서 탈수된 물이 배수되는 배수공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투입관으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전달받아 탈수함과 동시에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토출하여 상기 배출공측으로 유입하는 탈수유닛;
    상기 배출공과 인접하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접촉 설치되며, 상기 배출공과 대향하는 일측면에는 상기 배출공과 연통된 제1개방부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제2개방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제1개방부와 상기 제2개방부를 연통시키는 공간이 형성된 내측커버;
    상기 내측커버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면이 상기 내측커버의 내면과 접촉하며,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개방부와 상기 제2개방부를 연통 또는 차단시키는 개폐부재;
    상기 내측커버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설치되며, 하면에는 상기 제2개방부와 연통된 제1연통부가 형성된 중간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커버의 내면과 상기 내측커버의 외면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는 상기 중간커버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외측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외측커버의 하면에는 제1연통부와 연통된 제2연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외측커버의 하면에는 상기 제2연통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받아서 저장하는 저장통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커버의 외측에는 상기 저장통에 저장된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물리적으로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개폐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개폐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누름바;
    상측 부위는 상기 중간커버와 상기 외측커버 사이에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하측 부위는 상기 외측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저장통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제1개방부와 상기 제2개방부를 연통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누름바에 의하여 회전하는 힌지바;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제1개방부와 상기 제2개방부를 차단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힌지바를 상기 누름바측으로 회전시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
    상기 힌지바의 상단부에 설치된 마그네트;
    상기 외측커버측에 설치되어 상기 마그네트를 감지하는 리드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커버는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는 반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장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1개방부와 상기 제2개방부를 연통 또는 차단시키며,
    상기 개폐부재의 볼록한 외면이 상기 내측커버의 내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130034839A 2013-03-29 2013-03-29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56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839A KR101456075B1 (ko) 2013-03-29 2013-03-29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839A KR101456075B1 (ko) 2013-03-29 2013-03-29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9385A KR20140119385A (ko) 2014-10-10
KR101456075B1 true KR101456075B1 (ko) 2014-11-04

Family

ID=51991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4839A KR101456075B1 (ko) 2013-03-29 2013-03-29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60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1194A (ko) * 2015-05-06 2016-11-16 코웨이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찌꺼기 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515B1 (ko) * 2020-12-16 2021-08-31 손명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711Y1 (ko) * 2003-12-31 2004-03-25 신효식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
KR100990193B1 (ko) * 2008-02-22 2010-10-29 김재원 음식물쓰레기 탈수 감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711Y1 (ko) * 2003-12-31 2004-03-25 신효식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
KR100990193B1 (ko) * 2008-02-22 2010-10-29 김재원 음식물쓰레기 탈수 감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1194A (ko) * 2015-05-06 2016-11-16 코웨이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찌꺼기 제거장치
KR102415861B1 (ko) * 2015-05-06 2022-07-04 코웨이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찌꺼기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9385A (ko) 2014-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76791B1 (en) Detergent cas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RU2401397C2 (ru) Парогенератор и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с ним
KR10130899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71586B1 (ko) 중간 저장 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양변기
JPH03245855A (ja) 生ゴミ粉砕処理装置
CN206034120U (zh) 用于洗衣机的脱水控制组件及具有其的洗衣机
KR10145607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US6253584B1 (en) Washing machine having a device for filtering dirt in washing water
CN215305588U (zh) 基站和清洁系统
KR100767291B1 (ko) 씽크대용 폐 음식물 처리장치
CN106975647B (zh) 一种离心式双层垃圾存储一体机
CN204608417U (zh) 具有蒸汽发生器的衣物处理装置
KR101755217B1 (ko) 싱크대용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071361A (ko) 세척장치 및 세척장치가 구비된 협잡물 처리장치
KR102079541B1 (ko)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용 감량기
KR20150017232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643903B1 (ko) 산업용 스프레이 세척장치
CN114587207A (zh) 基站和清洁系统
KR100665988B1 (ko) 자력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
KR101512085B1 (ko) 음식물 쓰레기의 회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336392B1 (ko) 투과세탁기용 세탁외조의 오버플로우 구조
KR102535757B1 (ko) 기판 처리장치용 기판 지지 조립체
JPS607806Y2 (ja) 厨芥処理機
KR200324931Y1 (ko) 오수 이물질 분리장치
KR101440999B1 (ko) 천일염 탈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