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8276B1 - 음식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8276B1
KR101758276B1 KR1020140090067A KR20140090067A KR101758276B1 KR 101758276 B1 KR101758276 B1 KR 101758276B1 KR 1020140090067 A KR1020140090067 A KR 1020140090067A KR 20140090067 A KR20140090067 A KR 20140090067A KR 101758276 B1 KR101758276 B1 KR 101758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ter
unit
hous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0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9449A (ko
Inventor
이선기
박대윤
김종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0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8276B1/ko
Priority to CN201520464949.7U priority patent/CN204866819U/zh
Priority to DE202015004954.0U priority patent/DE202015004954U1/de
Priority to US14/800,857 priority patent/US10159986B2/en
Publication of KR20160009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1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an adsorption ste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two or more inter-engaging rotatable cutte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02C18/182Disc-shaped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16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02C23/10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with separator arranged in discharge path of crushing or disintegrating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18Adding fluid, other than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fluid energy
    • B02C23/20Adding fluid, other than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fluid energy after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6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음식물이 탈수 및 건조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음식물에 포함된 물이 배출되는 배수관 및 음식물을 건조한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덕트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으로 건조공기를 공급하여 음식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부 및 배수관 및 배기덕트가 연결되며, 배기덕트에서 배기되는 공기가 배수관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배기 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처리장치{Food waste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음식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의 분쇄시 발생하는 폐수 및 건조시 발생하는 건조공기가 배수관 및 배기관을 통하여 배수 및 배기될 때 배기되는 건조공기가 배수관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배출 유닛을 포함한 음식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방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식 중 싱크대(sink)의 배수구에 음식물 분쇄장치를 구비시켜 배수구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을 분쇄한 뒤 하수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방식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음식물 분쇄장치는 음식물을 싱크대 배수구에 물과 함께 음식물 분쇄장치로 투입시켜 음식물 분쇄장치에 구비되는 분쇄날을 이용해 잘게 분쇄시킨 후 별도 배출하거나 하수구로 오수와 함께 배출시키는 방식이다.
추가적으로, 종래 기술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는 분쇄된 음식물의 중량을 줄이기 위하여 처리된 음식물에 포함된 수분을 건조하는 건조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건조 기능을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장치의 경우 음식물을 건조한 공기를 별도의 처리과정을 거처 실내로 배출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건조기능을 포함한 음식물 처리장치의 경우 음식물을 건조한 공기를 실내에 배출하는 경우 음식물의 건조시 발생되는 악취가 공기와 같이 유출되어 실내공기를 오염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불쾌함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음식물 처리장치에 별도의 배기 배관을 구비하여 음식물의 건조시 발생되는 건조공기를 별도 처리하고 있으나, 별도의 배기 배관을 구성할 경우 추가적인 설치 비용, 설치 시간 등이 소요되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음식물 분쇄장치들은 지면에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분쇄된 음식물을 음식물 처리장치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조가 복잡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음식물 분쇄장치는 단순 투입되는 음식물을 분쇄하여 별도 장치를 통하여 음식물 분쇄장치의 외부로 배출하거나, 하수구를 통하여 분쇄된 음식물을 배출하는 구조만 포함하고 있어 분쇄된 음식물에 다량의 수분이 포함되어 있어 분쇄된 음식물의 처리에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음식물의 분쇄/탈수/건조가 가능한 음식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쇄된 음식물에 포함된 다량의 수분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수단 및 건조방법을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물의 투입방향에 대하여 교차되는 회전축을 갖는 음식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물의 건조시 음식물을 건조하고 배출되는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불쾌함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는 음식물이 탈수 및 건조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음식물에 포함된 물이 배출되는 배수관 및 상기 음식물을 건조한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덕트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으로 건조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음식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부; 및 상기 배수관 및 상기 배기덕트가 연결되며, 상기 배기덕트에서 배기되는 공기가 상기 배수관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배기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부는 상기 공기 및 상기 물이 통과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배기바디; 상기 배기바디의 내부공간을 제 1, 2공간으로 구획하며 하부에 상기 물이 이동되기 위한 간극이 형성되는 격벽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공간에는 상기 간극보다 높은 위치로 상기 배수관이 연결되는 물유입구가 형성되며, 제 2공간에는 상기 물유입구와 상기 간극의 사이의 높이로 유입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공간의 상부에는 상기 배기덕트가 연결되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덕트에는 상기 배기덕트를 통해 이동되는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구의 상부에 상기 제 2공간으로 물이 이동될 때 상기 물에 의해 차폐되도록 상기 배기덕트가 연결되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덕트에는 상기 배기덕트를 통해 이동되는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덕트에 상기 배기덕트에 의해 배기되는 상기 공기의 유로를 별도 급수되는 물에 의해 차폐하는 차폐챔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폐챔버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함체형상의 챔버, 상기 챔버로 물을 급수하는 급수관, 상기 챔버의 물을 상기 배수관으로 안내하는 제 2배수관, 상기 제 2배수관에 구비되어 상기 제 2배수관을 제어하는 배수밸브를 구비하여, 상기 배기덕트 및 상기 제 2배수관은 상기 챔버의 상측에 연결되며, 상기 챔버에 급수가 진행됨에 따라 급수되는 상기 물에 의해 상기 배기덕트 및 상기 제 2배수관이 차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챔버의 상부에는 상기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싱크대의 배수구 하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위치하여 음식물을 분쇄하여 상기 하우징으로 이송하는 분쇄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쇄부는 음식물이 공급되는 투입면 및 상기 하우징으로 음식물을 배출하는 배출면이 구비된 지지바디; 상기 지지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투입면으로 공급되는 음식물을 분쇄하여 상기 배출면으로 이동시키는 한쌍의 회전커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은 지면(the ground)에 나란하게 구비되는 원통 형상의 하우징 바디; 상기 분쇄부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을 상기 하우징 바디로 안내하는 유입구; 탈수 및 건조된 음식물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음식물에 포함된 물을 탈수하는 탈수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탈수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축구와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음식물의 투입 및 배출되는 저장바디; 상기 저장바디를 상기 하우징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키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바디 내측에 상기 저장바디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저장바디의 연통홀을 개폐함과 동시에 상기 음식물을 교반하는 교반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반부를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바디는 상기 교반부가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만 상기 교반부와 함께 회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반부는 상기 저장바디 내부에 위치하여 회전되는 로터; 상기 로터의 외주면에서 상기 저장바디의 내측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로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통홀을 개폐하고,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음식물을 교반하는 도어 블레이드; 상기 도어 블레이드에 대하여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저장바디의 내측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로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저장바디 내부에 저장된 음식물을 교반시키는 복수의 교반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하우징 도어; 인출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로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의 분쇄, 탈수, 건조가 가능한 음식물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분쇄된 음식물에 포함된 다량의 수분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수단 및 건조방법을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의 건조시 음식물을 건조하고 배출되는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불쾌함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의 축지지부를 나타낸 단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의 분쇄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의 세척수분사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의 탈수부 작동과정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에서 탈수부 및 교반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의 락(lock)을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의 탈수부 및 가이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의 탈수부 및 가이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의 위치감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에서 배출 유닛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17 내지 18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에서 배출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19 내지 20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에서 배출 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에 정의된 각각의 명칭들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 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간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 음식물 처리장치(100a)는 싱크대(Sink, S)의 배수구(D)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싱크대(S)에 설치되지 않고, 싱크대(S)와 분리되어 독립적인 구성으로 사용자가 투입하는 음식물의 분쇄, 탈수 및 건조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싱크대(S)에 착탈 가능한 음식물 처리장치(100a)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처리장치(100a)는 연결부(11)를 통해 배수구(D)에 착탈 가능한 캐비닛(1),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배수구(D)에서 공급되는 음식물을 분쇄하는 분쇄부(2), 분쇄부(2)에서 분쇄된 음식물이 유입되는 하우징(3), 하우징(3)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음식물이 저장되는 공간 및 음식물의 처리(세척/분쇄/탈수/건조)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탈수부(4)를 포함한다.
여기서, 캐비닛(1) 내부에는 하우징(3)의 하부에 위치하여 하우징(3)의 외부로 배출되는 음식물이 저장되는 드로워(6)가 구비될 수 있다. 드로워(6)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워(6)는 분쇄된 음식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하우징(3)의 하부에 위치하는 드로워 바디(61), 사용자가 드로워 바디(61)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는 핸들(63)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드로워 바디(61)는 캐비닛(1)에 구비된 인출구(13)를 통해 캐비닛(1)에서 인출되거나 캐비닛(1)으로 인입될 수 있다.
한편, 분쇄부(2)는 연결부(11)에서 공급되는 음식물을 하우징(3)으로 안내하는 지지바디(21), 지지바디(21) 내부에 구비되어 음식물을 분쇄하는 제 1, 2회전커터(22, 23)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디(21)는 마주보는 양면이 개방된 파이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지지바디(21)는 연결부(11)에 연통하여 음식물을 제 1, 2회전커터(22, 23)로 공급하는 투입면(211), 제 1, 2회전커터(22, 23)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을 하우징(3)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면(1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캐비닛(1)에 구비된 연결부(11) 및 지지바디(21)에 구비된 투입면(211)의 형태는 싱크대의 배수구(D)가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 1, 2회전커터(22, 23)는 투입면(211)과 배출면(213) 사이에 위치하고, 제 1회전커터(22)와 제 2회전커터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회전커터(22)는 지지바디(2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제 1축(221), 제 1축(221)에 구비되어 지지바디(21) 내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제 1커터(225), 제 1축(221)에 고정되되 지지바디(21)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 1기어(223)로 구비될 수 있다.
제 2회전커터(23)는 지지바디(2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제 2축(232), 제 2축에 구비되어 지지바디(21) 내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제 2커터(235), 제 2축(231)에 고정되어 제 1기어(223)에 연결되는 제 2기어(233)로 구비될 수 있다.
제 1커터(225)는 제 1축(2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거리 이격된 형태로 구비되고, 제 2커터(235)는 하나의 제 1커터(225)와 다른 하나의 제 1커터(225)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제 1, 2회전커터(22, 23)는 탈수부(4)를 회전시키는 구동부(8)와 분리된 별도의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회전할 수도 있고, 구동부(8)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제 1, 2회전커터(22, 23)가 구동부(8)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될 경우, 분쇄부(2)와 구동부(8) 사이에는 동력전달부가 구비되어야 한다. 동력전달부는 제 1기어(223)에 연결된 구동축(24), 구동축에 구비되는 종동풀리(26), 구동부(8)에 의해 회전하는 주동풀리(25), 주동풀리와 종동풀리를 연결하는 벨트(27)로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8)가 주동풀리(25)를 회전시키면 제 1기어(223)는 벨트(27)와 종동풀리(26)에 의해 회전하고, 제 1기어(223)가 회전하면 제 2기어(233)는 제 1기어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투입면(211)으로 공급되는 음식물은 제 1커터(225)와 제 2커터(235) 사이를 통과하면서 분쇄된 뒤 배출면(213)으로 이동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 음식물 처리장치(100a)는 탈수부(4)를 통해 음식물의 탈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후술할 건조부(73)를 통해 음식물의 건조도 가능한데, 분쇄부(2)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의 크기를 일정한 크기 이하로 유지하면 음식물의 탈수 및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다.
분쇄부(2)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의 크기를 일정한 크기 이하로 유지하기 위해 지지바디(21)의 배출면(213)에는 제 1, 2회전커터(22, 23)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214), 수용부(214)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음식물을 수용부(214)의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홀(2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커터(225)의 원주면과 제 2커터(235)의 원주면 중 적어도 일부는 수용부(214)가 제공하는 공간 내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각 커터(225, 235)에 의해 분쇄된 뒤 수용부(214)로 유입된 음식물은 배출홀(215)을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분쇄될 때까지 수용부(214) 내부에서 각 커터(225, 235)에 의해 분쇄되는 과정을 격게 될 것이다.
한편, 분쇄가 어렵거나 점성이 높은 음식물의 경우 커터(225, 235)에 의해 분쇄된 뒤 커터(225, 235)에서 분리되지 못하고 커터 표면에 잔류할 수 있다. 이 경우, 음식물의 부패에 따른 악취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지바디(21) 내부로 물을 분사하는 세척수 분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척수 분사부는 지지바디(21)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분사하는 제 1노즐(28)과 제 2노즐(29)로 구비될 수 있다(도 7참고).
제 1노즐(28)은 투입면(211)에 나란한 방향의 분사 폭이 투입면(211)에 수직한 방향의 분사 폭에 비해 더 넓게 구비되고, 제 2노즐(29)은 투입면(211)에 수직한 방향의 분사 폭이 투입면(211)에 나란한 방향의 분사 폭에 비해 더 넓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제 1노즐(28)과 제 2노즐(29)이 분사하는 물의 공급영역을 달리함으로써 지지바디(21) 내부 공간 중 물이 공급되지 않는 영역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제 1노즐(28)과 제 2노즐(29)은 서로 마주보도록 지지바디(21)에 고정되되 제 1, 2회전커터(22, 23)를 향해 물을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르게는, 제 1노즐(28)에서 공급되는 물의 분사각과 제 2노즐(29)에서 공급되는 물의 분사각은 서로 직교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은 분쇄부(2)와 드로워(6)를 연결하는 수단일 뿐만 아니라 탈수부(4)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싱크대의 배수구(D)에서 배출되는 물을 하수유로로 안내하는 수단이다.
하우징(3)은 분쇄부(2)와 드로워(6) 사이에 위치하는 하우징 바디(31)로 구비되는데, 하우징 바디(31)에는 분쇄부의 배출면(213) 또는 배출홀(215)에 연통하는 유입구(33), 드로워(6)에 연통하는 배출구(35)가 구비된다. 즉, 하우징(3)은 마주보는 양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3)은 가스켓(331, 도 1 참고)을 통해 지지바디(21)에 연결됨으로써 지지바디(21)와 하우징(3) 사이의 누수가 방지된다. 한편, 가스켓(331)이 고무와 같이 진동을 흡수 가능한 재질로 구비되면 가스켓(331)은 지지바디(21)와 하우징(3) 사이의 진동을 감쇄시키는 역할도 수행하게 될 것이다.
하우징 바디(31)에 구비된 배출구(35)는 하우징 바디(31)에 구비된 하우징 도어(37)에 의해 개폐되는데, 하우징 도어(37)는 하우징 도어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배출구(35)를 선택적으로 개방한다.
한편, 하우징 바디(31)는 진동감쇄부(39, 도 2참고)에 의해 캐비닛(1) 내부에 지지되는데, 진동감쇄부(39)는 하우징 바디(31)의 외주면에 구비된 구동부(8)의 진동이나 하우징 바디(31)에 연결된 분쇄부(2)의 진동이 캐비닛(1)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다.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한 진동감쇄부(39)는 다양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으며, 도 2는 진동감쇄부(39)가 캐비닛(1)과 하우징 바디(31) 사이에 구비된 댐퍼 및 스프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하우징 바디(31)의 전방부에는 음식물의 건조시 외기가 유입되는 제 1연통부(311)가 형성되며, 하우징 바디(31) 후방 하부에는 하우징 바디(31) 내부의 물을 배수되는 제 2연통부(313)이 형성되고, 하우징 바디(31)의 후방 중간부(즉, 제 2연통부보다 높은 위치)에는 하우징 바디(31) 내부의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덕트(71)가 구비된다. 여기서, 제 2연통부(313)에는 제 2연통부(313)로 배수되는 물의 유로를 형성하는 배수관(36)이 더 연결된다.
한편, 배기덕트(71) 및 배수관(36)은 후술할 배출 유닛(100, 200, 300)에 연결되며, 배기덕트(71)로 이동되는 공기와 배수관(36)으로 이동되는 물은 배출 유닛(100, 200, 300)에 의해 하수유로로 배기 및 배수된다.
한편, 배출 유닛(100, 200, 300)(도 15 내지 도 20 참고)은 음식물 처리장치(100a)의 일측에 음식물 처리장치(100a)의 배수관(36) 및 배기덕트(71)에 연결되어 음식물 처리장치(100a)에서 배수되는 물과, 음식물의 건조시 공급되는 건조공기를 하수유로(미도시)를 통하여 배출시킨다. 여기서, 배출 유닛(100, 200, 300)은 음식물 처리장치(100a)에서 배출되는 물과 배기되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하수유로를 통하여 배출 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출 유닛(100, 200, 300)은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며, 음식물 처리장치(100a)의 설명이 완료된 이후에 배출 유닛(100, 200, 300)의 각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하우징 바디(31)의 내부에 구비되는 탈수부(4)는 분쇄부(2)에서 분쇄된 뒤 하우징(3)으로 공급되는 음식물을 탈수하고 교반하는 수단으로, 하우징 바디(31) 내부에 구비되어 음식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바디(41), 지면(the ground)에 나란하게 구비되어 저장바디(41)를 하우징 바디(3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키는 회전축(47), 저장바디(4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되 저장바디(41)의 회전각도에 따라 유입구(33)나 배출구(35)에 연통하는 연통홀(42)을 포함한다.
저장바디(41)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며, 회전축(47)은 저장바디(41)의 후방면에 고정되어 구비된다.
한편, 저장바디(41)의 원주면, 전방면 및 후방면에는 저장바디(41) 내부를 하우징 바디(31)의 내부와 연통시키는 다수의 관통홀(43)이 구비된다. 따라서, 저장바디(41)가 회전하면 음식물에 포함된 물은 관통홀(43)을 통해 하우징 바디(31)로 배출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47)은 저장바디(41)가 지면에 나란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저장바디(41)의 후방면에 고정되되 하우징의 하우징 바디(31)를 관통하는 축 바디(473), 축 바디(473)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되 축 바디(473)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축 관통홀(471)을 포함한다.
하우징 바디(31)에는 베어링(B1)이 구비되는데, 축 바디(473)는 베어링(B1)에 삽입되어 하우징 바디(31)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한편, 하우징 바디(31)와 축 바디(473) 사이에는 실러(F2)가 구비되므로, 하우징 바디(31)와 축 바디(473)의 공간으로 물이나 음식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구비된 저장바디(4)는 지면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지면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특징이다.
지면에 수직한 축을 통해 회전하는 저장바디(41)의 경우, 탈수된 음식물을 저장바디에서 배출시키기 위해서 사용자가 음식물을 저장바디(41)에서 직접 인출하거나, 저장바디(41)를 음식물 처리장치(100a)에서 분리시켜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러나, 저장바디(41)가 지면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면, 연통홀(42)의 위치제어만으로 탈수된 음식물을 저장바디에서 배출 가능하므로 저장바디가 지면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조에 비해 편리하다(자세한 설명은 후술함).
본 발명 음식물 처리장치(100a)는 저장바디(4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저장바디(41) 내부의 음식물을 교반할 뿐만 아니라 연통홀(42)을 개폐하는 교반부(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구비되는 교반부(5)는 저장바디(41) 내부에 구비되는 베이스(51), 베이스(51)에서 연장되며 축 관통홀(471)에 삽입되는 교반부 회전축(53), 베이스(51)에 고정되어 저장바디(41) 내부에 위치하되 연통홀(42)을 폐쇄 가능한 도어 블레이드(55)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부 회전축(53)은 축 관통홀(471)에 삽입되어 베이스(51)와 구동부(8, 교반부를 회전시키는 수단으로 하우징(3)의 외부에 구비됨)를 연결하는 수단이다.
축 관통홀(471)에는 탈수부(4) 내부의 음식물이나 물이 축 관통홀(471)과 교반부 회전축(53)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러(F1)가 구비된다. 즉, 실러(F1)는 축 관통홀(471)이 형성되는 저장바디(41)의 후방면에 구비되어 축 관통홀(471) 내부로 음식물이나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교반부 회전축(53)은 축 관통홀(471) 내부에 구비된 클러치(B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데, 상기 클러치(B2)는 구동부(8)가 제공하는 시계방향 동력과 반시계방향 동력 중 어느 한 방향의 동력만을 축 바디(473)에 전달하는 원 웨이 클러치(one way clutch)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8)가 제 1방향(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교반부 회전축(53)을 회전시키면 클러치(B2)가 교반부 회전축(53)이 제공하는 회전동력을 축 바디(473)에 전달하므로 저장바디(41)와 교반부(5)는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구동부(8)가 제 2방향(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나머지 하나의 방향, 제 1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교반부 회전축(53)을 회전시키면 클러치(B2)가 교반부 회전축(53)이 제공하는 회전동력을 축 바디(473)에 전달하지 않으므로 저장바디(41)는 회전하지 않고 교반부(5)만 회전하게 될 것이다.
클러치(B2)에 의해 저장바디(41)는 회전하지 않고 교반부(5)만을 회전시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 음식물 처리장치(100a)는 교반부 회전축(53)이 제 2방향으로 회전할 때 저장바디(41)가 교반부(5)와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저장바디(41)가 교반부(5)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락(lock, 4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락(48)은 축 바디(473)에 구비되는 제 1체결부(481), 하우징 바디(31)에 구비되어 제 1체결부(481)에 착탈 가능한 제 2체결부(483)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체결부(481)는 원주면을 따라 돌기가 구비된 기어의 형태로 구비되어 축 바디(473)에 고정될 수 있고, 제 2체결부(483)는 하우징 바디(3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자유단이 제 1체결부(481)의 돌기의 회전을 구속하는 바(bar)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 2체결부(483)는 모터나 솔레노이드 등의 동력공급장치에 의해 회전동력을 제공받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 음식물 처리장치(100a)는 구동부(8)가 제 1방향으로 교반부(5)를 회전시키면 교반부(5) 및 저장바디(41)가 함께 회전하고, 제 2체결부(483)가 제 1체결부(481)에 결합된 상태에서 구동부(8)가 제 2방향으로 교반부(5)를 회전시키면 교반부(5)만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부(5)에는 베이스(51)에 고정되어 저장바디(41)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교반 블레이드(5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저장바디(41) 내부에 저장된 음식물의 교반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교반 블레이드(57)는 교반부 회전축(53)을 중심으로 도어 블레이드(55)와 동일한 각도만큼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 1교반 블레이드(571)와 제 2교반 블레이드(573)로 구비될 수 있다. 즉, 교반 블레이드(57)가 제 1교반 블레이드(571)와 제 2교반 블레이드(573)로 구비될 경우, 도어 블레이드(55), 제 1교반 블레이드(571) 및 제 2교반 블레이드(573)는 교반부 회전축(53)을 중심으로 각각 120도 이격된 상태가 된다.
음식물의 교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 1교반 블레이드(571)와 제 2교반 블레이드(573)에는 다수의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교반부(5)에 구비되는 도어 블레이드(55)에는 도어 블레이드(55)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저장바디(41) 내부를 하우징 바디(31) 내부와 연통시키는 다수의 도어 관통홀(55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어 블레이드(55)에 도어 관통홀(551)이 구비되지 않으면, 저장바디(41)의 회전 시 음식물에서 분리된 물이 도어 블레이드(55)가 위치된 방향을 통해서는 배출되지 못하고, 이로 인해 저장바디(41)가 편심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는데 도어 관통홀(551)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도어 관통홀(551)은 후술할 건조부(73)가 공급하는 공기가 저장바디(41)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건조효율을 높이는 수단이기도 하다.
한편, 도어 블레이드(55)에 의한 음식물의 교반이 용이하도록 도어 블레이드(55)에는 스크래퍼(55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2에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래퍼(553)는 저장바디(41)의 표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도어 블레이드(55)의 표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저장바디(41)의 회전축에 나란한 도어 블레이드(55)의 길이방향을 따라 도어 블레이드(55)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스크래퍼(553)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스크래퍼(553)가 구비된 도어 블레이드(55)가 회전하면, 저장바디(41) 내부에 저장된 음식물은 스크래퍼(553)에 의해 용이하게 교반되지만 도어 블레이드(55)가 연통홀(42)을 통과할 때 저장바디(41) 내부의 음식물을 저장바디(4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탈수부(4)에는 연통홀(42)을 통해 저장바디(41) 내부의 음식물이 저장바디(41)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더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가이더는 연통홀(42)에서 저장바디(41)의 회전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 1가이더(45), 연통홀(42)에서 저장바디(41)의 회전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 2가이더(46)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교반부(5)만 회전하는 제 2방향을 시계방향으로 설정한다면, 도어 블레이드(55)가 회전할 때 제 1가이더(45)는 음식물을 저장바디(41) 방향으로 안내하고, 제 2가이더(46)는 스크래퍼(553)에 잔류하는 음식물이 스크래퍼(553)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음식물 처리장치(100a)는 탈수부에 구비된 연통홀(42)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 1위치감지부 및 도어 블레이드(55)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 2위치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위치감지부는 탈수부의 회전축(47)에 고정되되 저장바디(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통홀(42)에 나란한 제 1자성체(92), 하우징 바디(31)에 구비되어 제 1자성체(92)의 자기력을 감지하되 유입구(33)에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 1센서(94), 하우징 바디(31)에 구비되어 제 1자성체(92)의 자기력을 감지하되 배출구(35)에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 2센서(96)로 구비될 수 있다.
제 1자성체(92)는 축 바디(473)에 고정된 제 1체결부(481)에 구비될 수 있고, 제 1센서(94)와 제 2센서(96)는 하우징 바디(31)의 외부에 고정된 센서 제 1지지부(91)에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 바디(31)에 구비된 유입구(33)와 배출구(35)가 하우징 바디(31)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구비될 경우(축 바디(473)를 기준으로 서로 180도 이격된 경우), 제 1센서(94)와 제 2센서(96)도 서로 180도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어야 한다.
한편, 제 2위치감지부는 교반부 회전축(53)에 고정된 제 2자성체(95), 하우징 바디(31)의 외부에 구비되어 제 2자성체(95)의 자기력을 감지함으로써 도어 블레이드(55)가 연통홀(42)을 폐쇄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3센서(97)로 구비될 수 있다.
제 2자성체(95)는 교반부 회전축(53)을 중심으로 도어 블레이드(55)와 소정각도 이격되어 구비될 수도 있고, 교반부 회전축(53)의 길이방향을 따라 도어 블레이드(55)와 나란한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자성체(95)는 교반부 회전축(53)을 중심으로 도어 블레이드(55)와 90도 이격되어 구비되고, 제 3센서(97)는 하우징 바디(31)의 외부에 고정된 센서 제 2지지부(93)에 고정되되 제 1센서(94)로부터 90도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 음식물 처리장치(100a)는 하우징(3)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탈수부(4)에 저장된 음식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부(7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부(73)는 하우징 바디(31)로 공기를 안내하는 공급덕트(731), 공급덕트(731)로 공기를 공급하는 팬(733), 공급덕트(731)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735), 하우징 바디(31) 내부를 캐비닛(1)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배기덕트(71)로 구비될 수 있다.
공급덕트(731)는 하우징 바디(31)에 구비된 제 1연통부(311)에 연결되며, 배기덕트(71)는 하우징 바디(31)에 후방 중간부에 연통되며, 캐비닛(1)의 외부에 위치된 하수구(미도시)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팬(733)이 작동하면 캐비닛(1) 내부의 공기는 공급덕트(731)를 통해 하우징 바디(31)로 이동하고, 이 과정에서 공기는 히터(735)에 의해 가열된다.
하우징 바디(31)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저장바디(41)의 원주면 및 전방면 등에 구비된 관통홀(43)을 통해 저장바디(41) 내부로 공급되며, 음식물과 열교환을 마친 공기는 배기덕트(71)를 통해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의 작동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각의 요소들은 상술한 설명과 도면을 참조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 14를 참고하여 본 발명 음식물 처리장치(100a)의 작동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제어부(미도시)는 음식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탈수부(4)와 하우징(3)을 연통시키는 탈수부 개방단계(S110)를 수행한다. 탈수부 개방단계(S110)가 완료됨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음식물이 투입되면 투입되는 음식물을 1차 분쇄하여 탈수부(4)로 안내하는 1차 분쇄단계(S115)가 진행된다. 1차 분쇄되어 탈수부(4)로 유입된 음식물은 음식물에 포함된 고점도 찌꺼기 또는 비세분말 등을 제거하기 위한 음식물 세척단계(S120)를 수행한다. 음식물 세척단계(S120)에서 음식물의 세척이 완료되면 탈수부(4) 내의 음식물을 분쇄하는 2차 분쇄단계(S130)를 수행한다. 2차 분쇄단계(S130)가 완료되면 탈수부(4)의 연통홀(42)을 폐쇄하는 폐쇄단계(S140)를 진행한다. 폐쇄단계(S140) 이후에는 분쇄된 음식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음식물 탈수단계(S150)가 진행된다. 음식물의 건조단계(S160)가 완료되면 음식물을 배출하는 배출단계(S170)를 진행한다. 건조된 음식물이 배출되면 음식물의 세척, 분쇄, 건조가 진행된 하우징 및 탈수부의 세척을 진행하는 잔류 음식물 세척단계(S190)가 진행된다.
한편, 상술한 과정들에서 음식물에 포함된 고점도 및 미세분말 등의 이물질을 음식물에서 분리하기 위한 음식물 세척단계(S120) 및 모든 단계가 진행된 이후에 음식물을 세척/분쇄/탈수/건조한 음식물 처리기(100a)의 내부에 잔류하는 음식물 찌꺼기를 세척하기 위한 잔류 음식물 세척단계(S190)의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진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시 탈수부 개방단계(S110)는 탈수부(4)를 회전시켜 연통홀(42)을 하우징(3)의 유입구(33)에 연통시키고, 교반부(5)만을 회전시켜 도어 블레이드(55)가 연통홀(42)을 개방시킨다. 여기서, 연통홀(42)이 유입구(33)에 연통하는 위치에 도달되었는지의 판단은 제 1센서(94)가 제 1자성체(92)의 자기력을 감지하는지 여부를 통해 판단된다.
즉, 제 1자성체(92)는 연통홀(42)에 나란하도록 탈수부의 회전축(47)에 고정되어 구비되고, 제 1센서(94)는 유입구(33)에 나란하도록 하우징(3)에 구비되므로, 제 1센서(94)가 제 1자성체(92)의 자기력을 감지하면 제어부(미도시, 구동부의 작동, 회전방향 변경, 건조부 및 탈수부의 작동, 세척수 분사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수단)는 연통홀(42)이 유입구(33)의 하부에 위치하였음을 알 수 있다.
연통홀(42)이 유입구(33)의 하부에 위치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는 구동부(8)의 작동을 중단시켜 탈수부(4) 및 교반부(5)의 회전을 중단시킨다.
다르게는, 제어부는 구동부(8)의 회전방향을 변경하여 교반부(5)가 제 2방향(탈수부는 정지하고 교반부만 회전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도어 블레이드(55)가 연통홀(42)을 개방할 수도 있다.
즉, 제 2자성체(95)와 제 3센서(97)는 도어 블레이드(55)가 연통홀(42)을 폐쇄한 경우 서로 마주보도록 교반부 회전축(53) 및 하우징(3)에 각각 구비되므로, 제 3센서(97)가 제 2자성체(95)의 자기력을 감지하면 제어부는 도어 블레이드(55)가 연통홀(42)을 폐쇄한 상태로 판단하고, 제 3센서(97)가 제 2자성체(95)의 자기력을 감지하지 못하면 도어 블레이드(55)가 연통홀(42)을 개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 3센서(97)가 제 2자성체(95)를 감지하지 못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뒤 제 3센서(97)가 제 2자성체(95)를 감지하고 있으면 제 3센서(97)가 제 2자성체(95)를 감지 못 할 때까지 교반부(5)만을 회전시켜 탈수부(4)의 연통홀(42)을 개방한다. 이 경우, 하우징(3), 탈수부(4) 및 교반부(5)의 위치관계는 도 8의 (a)와 같다.
이후, 투입되는 음식물을 1차 분쇄하는 분쇄단계(S115)를 진행한다. 분쇄단계(S115)는 제어부가 구동부(8) 또는 별도의 구동부(미도시)를 통해 제 1회전커터(22)와 제 2회전커터(23)를 회전시키는 단계이다. 분쇄단계(S115)는 제 1회전커터(22)와 제 2회전커터(23)가 회전하는 동안 세척수 분사부(28, 29)를 통해 물을 분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제 1, 2회전커터(22, 23)에 음식물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 제어부는 1차 분쇄단계(S115)가 완료되면, 탈수부(4)에 수납된 음식물을 세척하기 위한 음식물 세척단계(S120)를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음식물 세척단계(S120)는 탈수부에 수납된 음식물의 내용물 중에 분쇄단계(S130)의 진행을 저해할 수 있는 고점도의 음식물 찌꺼기 또는 미세분말의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음식물 세척단계(S120)는 음식물에 포함된 고점도 물질과, 미세분말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 급수과정과, 급수된 세척수에 의해 음식물에 포함된 고점도 물질 및 미세분말을 제거하는 음식물 헹굼과정 및 음식물을 세척한 세척수를 배수하는 세척수 배수과정을 포함한다.
먼저, 하우징 바디(31)에 세척수를 급수하기 위해서는 하우징 바디(31)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우징 도어(37)를 폐쇄한다. 여기서, 하우징 도어(37)가 폐쇄된 상태일 경우 하우징 도어(37)를 페쇄하는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이후, 하우징 바디(31)에 음식물의 헹굼을 위한 세척수를 공급한다. 세척수의 급수는 분쇄부(2)에 구비되는 세척수 분사부의 제 1노즐(28) 및 제 2노즐(29)을 통하여 이루어 질수 있으며, 별도 구비되는 급수구(미도시)에 의해 하우징 바디(31)의 내부에서 직접적으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
한편, 세척수의 급수가 완료되면 탈수부(4) 내에 저장된 음식물의 헹굼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음식물의 헹굼과정은 교반부(5)를 회전하는 과정과 교반부(5)와 탈수부(4)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과정이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음식물의 헹굼과정에 있어서 탈수부(4)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교반부(5)만을 회전시키는 경우를 설명한다.
탈수부(4)는 상술한 탈수부 개방단계(S110)에서와 같이 탈수부(4)의 연통홀(42)과 하우징 바디(31)의 유입구(33)가 연통되는 상태를 유지하며, 교반부(5)를 소정시간 소정 회전속도로 회전시켜 탈수부 내에 저장된 음식물과 세척수를 혼합한다. 이에 탈수부에 수납된 음식물은 하우징 바디에 저장된 세척와 혼합되면서 음식물에 포함된 고점도 찌꺼기와 미세분발 등이 희석 또는 분리된다.
이하, 음식물의 헹굼과정에 있어서 교반부(5)와 탈수부(4)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경우를 설명한다.
교반부(5)와 탈수부(4)를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탈수부(4)에 형성된 연통홀(42)을 페쇄하는 과정을 먼저 필요하다. 즉, 탈수부(5)의 연통홀(42)을 폐쇄하지 않은 상태에서 교반부(5)와 탈수부(4)를 회전시킬 경우 탈수부(4)로 투입된 음식물이 탈수부(4)와 하우징 바디(31) 사이로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탈수부(4)와 교반부(5)를 동시 회전시키기 이전에 교반부(5)의 도어 블레이드(55)를 이용하여 탈수부(4)의 연통홀(41)을 폐쇄한다.
여기서, 탈수부(4)의 연통홀(42)의 폐쇄는 제 3센서(97)가 제 2자성체(95)의 자기력을 감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수행한다. 제 3센서(97)가 제 2자성체(95)의 자기력을 감지하지 못하는 상태라면 탈수부(4)의 연통홀(42)은 개방된 상태이므로, 제어부는 제 3센서(97)가 제 2자성체(95)의 자기력을 감지할 때까지 구동부(8)를 제 2방향으로 회전(교반부(5)만을 회전)시키게 된다. 탈수부(4)의 연통홀(42)이 폐쇄된 상태의 하우징(3), 탈수부(4) 및 교반부(5)의 위치관계는 도 8의 (b)와 같다.
이후, 탈수부(4) 및 교반부(5)는 교반부의 도어 블레이드(55)가 탈수부의 연통부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며, 교반부(5) 및 탈수부(4)를 소정시간 소정 회전속도로 회전시켜 탈수부(4) 내에 저장된 음식물과 세척수를 혼합한다. 이에 탈수부(4)에 수납된 음식물은 하우징 바디(31)에 저장된 세척수와 혼합되면서 음식물에 포함된 고점도 찌꺼기와 미세분발 등이 희석 또는 분리된다.
한편, 탈수부(4) 또는/ 및 교반부이 회전에 따라 음식물과 고점도 물질 및 미세분말 등의 이물질이 분리되면 고점도 물질 및 미세분말 등의 이물질이 혼합된 세척수를 배수한다. 여기서, 세척수의 배수는 하우징 바디(31)에 구비되는 배기덕트(71)를 개방함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후, 탈수부(4)의 음식물 세척단계(S120)가 완료되며, 제어부는 탈수부(4)에 저장된 음식물을 2차 분쇄하는 2차 분쇄단계(S130)를 진행한다. 여기서, 2차 분쇄단계(S130)는 탈수부(4)는 정지된 상태에서 교반부(5) 만을 회전시켜 탈수부(4) 내에 저장된 음식물을 혼합 및 분쇄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교반부(5)의 회전에 따라 탈수부(4)에 저장된 음식물들이 교반부(5)의 도어 블레이드(55) 및 교반 블레이드(57)에 의해 탈수부(4)의 내측에서 교반됨과 동시에 탈수부(4) 내측면과의 마찰에 의해 분쇄된다. 하지만 음식물의 양/종류에 따라 분쇄부(2)에 의한 1차분쇄단계(S110)만이 진행될 수 도 있으며 2차 분쇄단계(S130)는 생략될 수 있다.
이후, 음식물 세척단계(S120) 또는 2차 분쇄단계(S130)가 완료되면 음식물의 탈수를 위하여 탈수부(4)를 폐쇄하는 탈수부 폐쇄단계(S140)를 진행한다. 본 발명의 음식물 처리기(100a)의 경우 교반부(5)와 탈수부(4)를 동시에 회전시켜 음식물의 탈수를 진행한다.
따라서 탈수부(4)의 연통홀(42)을 폐쇄하지 않은 상태에서 교반부(5)와 탈수부(4)를 회전시킬 경우 탈수부(4)로 투입된 음식물이 탈수부(4)와 하우징 바디(31) 사이로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탈수부(4)와 교반부(5)를 동시 회전시키기 이전에 교반부(5)의 도어 블레이드(55)를 이용하여 탈수부(4)의 연통홀(42)을 폐쇄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한편, 제어부는 분쇄부(2)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고, 분쇄부의 작동이 중지 되지 않았을 경우 분쇄부의 작동 중지를 대기한다. 여기서 분쇄부(2)의 작동 중지가 확인될 경우 제 3센서(97)의 감지를 시작한다.
여기서, 탈수부(4)의 연통홀(42)의 폐쇄는 제 3센서(97)가 제 2자성체(95)의 자기력을 감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수행한다. 제 3센서(97)가 제 2자성체(95)의 자기력을 감지하지 못하는 상태라면 탈수부(4)의 연통홀(42)은 개방된 상태이므로, 제어부는 제 3센서(97)가 제 2자성체(95)의 자기력을 감지할 때까지 구동부(8)를 제 2방향으로 회전(교반부(5)만을 회전)시키게 된다. 탈수부(4)의 연통홀(42)이 폐쇄된 상태의 하우징(3), 탈수부(4) 및 교반부(5)의 위치관계는 도 8의 (b)와 같다.
이후, 제어부는 탈수부 폐쇄단계(S140)가 완료되면 탈수부(3)에 저장된 음식물을 탈수하는 탈수단계(S150)를 진행한다.
탈수단계(S150)는 기 설정된 제 1RPM으로 탈수부(4) 및 교반부(5)를 동시에 회전(교반부 회전축(53)을 제 1방향으로 회전)시켜 음식물에 포함된 물을 탈수부(4)의 저장바디(41)에서 하우징 바디(31)로 배출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탈수부(4)의 저장바디(41)는 내부에 저장된 음식물의 위치에 따라 동적균형(dynamic equribrium, dynamic balance)을 유지하지 못하고 회전될 수 있다. 동적균형은 '회전체가 회전할 때 원심력 또는 원심력이 만드는 모멘트가 회전축에 대해서 전부 0이 되는 상태'를 의미하는데 강체(rigid body)의 경우 회전축을 중심으로 질량분포가 일정하면 동적균형이 유지된다.
음식물 처리장치(100a)에서 동적균형은 음식물이 저장된 상태에서 저장바디(41)가 회전할 때 저장바디(41)의 회전축(47)을 중심으로 음식물의 질량분포가 허용범위 내에 있는 경우(저장바디(41)가 허용범위 내에서 진동하면서 회전하는 경우)로 이해될 수 있다.
반면, 음식물 처리장치(100a)에 있어서 동적균형이 깨진 상태(언밸런스, Unbalance)는 저장바디(41)의 회전 시 회전축을 중심으로 질량분포가 일정하지 않은 상태(허용범위를 벗어난 상태)로 이는 음식물이 저장바디(41) 내부에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은 경우 발생된다.
이때 언밸런스 상태의 저장바디(41)가 회전하면 탈수효율의 저하뿐만 아니라 저장바디(41) 및 하우징 바디(31)에 진동과 소음을 유발시키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탈수단계(S150)의 개시 전 언밸런스를 해소할 필요가 있다.
언밸런스 해소는 탈수부(4)의 저장바디(41)의 언밸런스를 감지하고, 감지된 언밸런스가 기준 UB(기준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언밸런스의 감지는 연통홀(42)이 폐쇄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교반부(5)와 저장바디(41)를 제 1RPM보다 낮은 제 2RPM으로 회전시킨 뒤 저장바디(41)의 RPM 변동폭을 감지한다. 그리고, 저장바디(41)의 언밸런스 상태 판단은 측정된 RPM 변동폭을 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저장바디(41)가 언밸런스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저장바디(41)와 교반부(5)의 RPM 변동폭은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는데, 구동부(8)의 로터(rotor)에 구비된 자성체의 자기력을 감지하는 홀센서(hall sonsor)가 일례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구동부(8)를 통해 저장바디(41)와 교반부(5)를 제 2RPM으로 일정시간 동안 회전시킨 뒤 홀센서가 전송하는 신호에 근거하여 저장바디(41)의 최고 RPM에서 최저 RPM을 뺀 값을 RPM 변동폭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측정된 RPM 변동폭이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이면 제어부는 저장바디(41)에 저장된 음식물이 회전축(47)에 대해 편심된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하지만 측정된 RPM 변동폭이 기 설정된 기준값보다 크면 제어부는 음식물이 회전축(47)에 대해 편심된 상태에 있다고 판단한다.
저장바디(41)에 저장된 음식물이 회전축(47)에 대해 편심된 상태가 아니라면, 제어부는 탈수단계(S150)를 바로 진행한다. 그러나, 저장바디(41)에 저장된 음식물이 회전축(47)에 대해 편심된 상태이면 제어부는 하우징 바디(31)로 물을 공급하고, 교반부(5)를 회전시켜 저장바디(41)의 언밸런스를 해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저장바디(41)는 회전시키지 않고 교반부(5) 만을 회전시켜 교반부(5)의 회전 시 음식물이 저장바디(51) 내부에서 재배열시킴으로써 언밸런스의 해소가 가능하다.
한편, 교반부(5)만을 회전시키는 경우 저장바디(41)의 연통홀(42)이 하우징 바디의 유입구(33)에 연통하는 위치에 있도록 탈수부(4)의 위치를 제어한 뒤 진행되어야만 저장바디(41) 내부의 음식물이 하우징 바디(31)로 배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교반부(5)만을 회전시키는 경우 연통홀(42) 위치를 제어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교반부(5)의 회전이 중단되면 도어 블레이드(55)가 연통홀(42)을 폐쇄하도록 도어 블레이드(55)의 위치를 제어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언밸런스 해소를 위한 급수과정은 분쇄부(2)에 구비된 세척수 분사부(28, 29)를 통해 진행될 수도 있고, 하우징 바디(31)와 외부 급수원(미도시)을 연결하는 별도의 공급관(미도시)을 통해 진행될 수도 있다.
급수과정을 통해 하우징 바디(31)로 공급된 물은 저장바디(41)의 관통홀(43)을 통해 저장바디(41)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하우징 바디(31)로 물이 공급되면 음식물은 저장바디(41) 내부에서 재배열되어 언밸런스 상태가 해소될 수 있다.
상술한 언밸런스의 감지과정은 저장바디(41)의 언밸런스 여부를 감지하는 UB 감지과정만을 수행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지만, 본 발명 제어방법에 구비된 감지과정은 상술한 언밸런스의 감지과정과 더불어 저장바디(41)에 저장된 음식물의 양을 판단하는 부하 감지과정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저장바디(41) 내부에 저장된 음식물의 양을 판단하는 것은 음식물의 양에 따라 탈수단계(S150)에 설정된 제 1RPM을 음식물의 양에 비례하도록 증가시켜 탈수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음식물의 양이 판단되면 탈수단계(S150)에 설정된 탈수시간을 음식물의 양에 비례하도록 증가시킴으로써 음식물의 완전한 탈수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음식물의 양이 판단되면 후술할 건조단계(S160)에서 히터(735)의 출력(발열량)을 음식물의 양에 비례하도록 증가시키거나 건조단계(S160)의 진행시간(건조시간)을 음식물의 양에 비례하도록 증가시킴으로써 건조시간 단축 및 음식물의 완전한 건조를 유도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음식물의 양을 판단하는 과정은 언밸런스의 감지를 위해 탈수부(4) 및 교반부(5)를 제 2RPM으로 회전시키고 있는 구동부(8)에 전력공급을 차단한 시점으로부터 탈수부(4) 및 교반부(5)가 회전을 중단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탈수부의 저장바디(41)에 저장된 음식물의 양이 많을수록 제 2RPM으로 회전하고 있던 저장바디(41) 및 교반부(5)가 회전을 중단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가 구동부(8)에 전력공급을 차단한 뒤 제 2RPM으로 회전하는 저장바디(41)가 회전을 중단하는 시점까지 걸린 시간을 음식물의 양에 따라 제 2RPM으로 회전하는 저장바디(41)가 회전을 중단하는 시점까지 걸리는 시간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다면 제어부는 저장바디(41)에 저장된 음식물의 양을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음식물의 언밸런스 감지과정과, 음식물의 양을 감지하는 과정이 모두 진행될 경우, 본 발명에서는 음식물의 언밸런스 감지과정을 진행하고, 음식물의 양을 감지한다. 이후, 음식물의 언밸런스 및 음식물의 양의 감지 결과에 따라 급수과정 및 교반과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과정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탈수부(4)의 저장바디(41)의 언밸런스가 제거된 것으로 판단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교반부의 도어 블레이드(55)에 의해 저장바디(41)의 연통홀(42)이 폐쇄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저장바디(41) 및 교반부(5)를 함께 회전시키는 탈수단계(S150)가 진행된다.
한편, 탈수단계(S150)에 설정된 저장바디의 회전수(제 1RPM) 및 탈수 기준시간은 저장바디(41)에 저장된 음식물의 양에 상관없이 고정된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감지단계에서 측정된 음식물의 양에 비례하여 증가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탈수 기준시간은 제어부가 음식물의 양에 따라 구분된 다수의 탈수시간 데이터(제어부 또는 별도의 저장매체에 저장됨)에서 현재 저장바디(41)에 저장된 음식물의 양에 대응하는 탈수시간 데이터를 탈수 기준시간으로 설정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저장바디(41)와 교반부(5)를 회전시킨 시간(탈수시간)이 탈수 기준시간에 도달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저장바디(41) 내부의 음식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160)를 진행한다.
건조단계(S160)는 음식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과정과 음식물의 건조시간을 판단하는 판단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건조단계(S160)는 건조부(73)를 통해 하우징 바디(31)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과정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열풍을 공급하는 과정와 함께 교반부(5)만으로 회전시키는 과정를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건조단계(S160)에 교반부(5)를 회전시키는 과정이 포함될 경우 , 본 발명 제어방법은 저장바디의 연통홀(42)이 하우징 바디의 유입구(33)에 연통하도록 탈수부(4)의 위치를 제어하는 과정의 진행 후 건조단계(S160)를 진행함이 바람직하다.
즉, 건조단계(S160)의 진행 중 교반부(5)가 회전될 경우 저장바디(41) 내부의 음식물이 하우징 바디(31)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교반부(5)가 회전되는 건조단계(160)를 진행할 경우 연통홀의 위치를 제어하는 과정, 교반부만을 회전시키는 과정, 교반부(5)의 회전이 중단되면 도어 블레이드(55)가 연통홀(42)을 폐쇄하도록 도어 블레이드(55)의 위치를 제어하는 과정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건조단계(S160)는 열풍이 하우징 바디(31)에 공급되는 시간(건조 기준시간) 동안 계속 진행될 수도 있고, 건조 기준시간 내에서 다수 회 반복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건조단계(S160)에 설정된 건조 기준시간은 음식물의 양에 상관없이 고정된 값으로 미리 설정될 수도 있고, 상술한 음식물의 양을 감지하는 과정에서 측정된 음식물의 양에 비례하여 증가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건조 기준시간은 제어부가 음식물의 양에 따라 구분된 다수의 건조시간 데이터(제어부 또는 별도의 저장매체에 저장됨)에서 현재 저장바디(41)에 저장된 음식물의 양에 대응하는 건조시간 데이터를 건조 기준시간으로 설정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상술한 건조단계(S160)는 음식물에 열풍이 공급된 시간(건조시간)이 건조 기준시간에 도달하면 종료되고, 건조단계(S160)가 종료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저장바디(41)에 저장된 음식물을 드로워(6)로 배출시키는 음식물 배출단계(S170)를 진행한다.
상기 음식물 배출단계(S170)는 같이 탈수부(4)를 회전시켜 연통홀(42)을 하우징(3)의 배출구(35)에 연통시키는 연통과정, 하우징 도어(37)를 제어하여 배출구(35)를 개방하는 배출구 개방과정, 교반부(5)만을 회전시켜 저장바디(41) 내부의 음식물을 저장바디(4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과정으로 구비될 수 있다.
탈수부(4)를 회전시켜 연통홀(42)을 하우징(3)의 배출구(35)에 연통시키는 연통과정은 구동부(8)가 교반부 회전축(53)을 제 1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교반부(5)와 탈수부(4)가 함께 회전되도록 하고, 탈수부의 연통홀(42)이 하우징의 배출구(35)에 일치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탈수부 및 교반부의 회전을 중단한다. 여기서, 연통홀(42)이 배출구(35)에 연통하는 위치에 도달되었는지의 판단은 제 2센서(96)가 제 1자성체(92)의 자기력을 감지하는지 여부를 통해 진행된다. 즉, 제 1자성체(92)는 연통홀(42)에 나란하도록 탈수부의 회전축(47)에 고정되어 구비되고, 제 2센서(96)는 배출구(35)에 나란하도록 하우징(3)에 구비되므로, 제 2센서(96)가 제 1자성체(92)의 자기력을 감지하면 제어부는 연통홀(42)이 배출구(35)의 상부에 위치하였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연통홀(42)이 배출구(35)의 상부에 위치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는 구동부(8)의 작동을 중단시켜 탈수부(4) 및 교반부(5)의 회전을 중단시킨다.
한편, 탈수부(4)를 회전시켜 연통홀(42)을 하우징(3)의 배출구(35)에 연통시키는 연통과정이 완료되면 하우징 도어(37)가 하우징의 배출구(35)를 개방하는 배출구 개방과정이 진행된다.
하우징 도어(37)가 하우징의 배출구(35)를 개방하는 배출구 개방과정이 완료되면, 제어부는 구동부(8)의 회전방향을 제 2방향으로 변경하여 일정시간 동안 교반부(5)만을 회전시키는 배출과정을 진행한다.
배출과정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진행되면 저장바디(41) 내부의 음식물은 교반부(5)에 의해 연통홀(42) 및 배출구(35)를 통해 드로워(6)로 배출되며, 이 때 하우징(3), 탈수부(4) 및 교반부(5)의 위치관계는 도 8 (c)와 같다. 배출과정의 완료와 함께 본 발명 제어방법은 종료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 제어방법은 배출과정의 완료 후 연통홀(42)을 도어 블레이드(55)로 폐쇄하거나, 하우징 도어(37)로 배출구(35)를 폐쇄하는 과정이 추가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구비된 제 2위치감지부가 제 2자성체(95)와 제 3센서(97)만으로 구비될 경우, 연통홀을 폐쇄하는 단계는 제 1센서(94)가 제 1자성체(92)의 자기력을 감지할 때까지(연통홀(42)이 유입구(33)에 연통하는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탈수부(4) 및 교반부(5)를 함께 회전시키는 단계, 제 3센서(97)가 제 2자성체(95)의 자기력을 감지할 때까지 교반부(5)만을 회전시키는 과정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구비된 제 2위치감지부가 하우징 바디(31)에 고정되되 제 3센서(97)와 180도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제 4센서(99, 도 13 참고)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된다면, 연통홀을 폐쇄하는 단계는 제 4센서(99)가 제 2자성체(95)의 자기력을 감지할 때까지 교반부만을 회전시키는 과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 2자성체(95)와 제 3센서(97)는 도어 블레이드(55)가 연통홀(42)을 폐쇄하였는지 여부를 판단 가능한 위치에 구비되므로, 제 4센서(99)가 제 3센서(97)와 180도 이격된 위치에 있으면 제 4센서(99)가 제 2자성체(95)의 자기력을 감지한 때 도어(44)는 배출구(35)의 상부에 위치될 것이다.
따라서, 배출단계(S170)의 완료 후 배출구(35)에 연통하도록 위치된 연통홀(42)은 제 4센서(99)가 제 2자성체(95)의 자기력을 감지한 때 도어 블레이드(55)에 의해 폐쇄된다.
한편, 배출구(35)를 폐쇄는 싱크대의 배수구(D)를 통해 하우징(3)으로 유입되는 물이 드로워(6)가 아니라 제 2연통부(313)를 통해 배기덕트(71)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배출구(35)를 폐쇄하는 과정은 연통홀(42)을 도어 블레이드(55)로 폐쇄하는 과정과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고 연통홀을 폐쇄하는 과정보다 먼저 진행되어도 무방하다.
이후 제어부는 음식물의 배출이 완료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하우징(3)의 하우징 바디(31), 탈수부(4)의 저장바디(41) 및 교반부(5)의 도어 블레이드(55) 및 교반 블레이드(57)에 잔류하는 잔류음식물을 세척하는 잔류음식물 세척단계(S190)를 수행한다.
잔류 음식물 세척단계(S190)는 하우징 바디(31)에 세척수를 급수하기 위해서는 하우징 바디(31)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우징 도어(37)를 폐쇄한다. 여기서, 하우징 도어(37)가 폐쇄된 상태일 경우 하우징 도어(37)를 폐쇄하는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이후, 하우징 바디(31)에 음식물의 헹굼을 위한 세척수를 공급한다. 세척수의 급수는 분쇄부(2)에 구비되는 세척수 분사부의 제 1노즐(28) 및 제 2노즐(29)을 통하여 이루어 질수 있으며, 별도 구비되는 급수구(미도시)에 의해 하우징 바디(31)의 내부에서 직접적으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
한편, 세척수의 급수가 완료되면 하우징 바디(31)/탈수부(4)/교반부(5)에 잔류하는 잔류 음식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세척과정은 교반부(5)를 회전하는 과정과 교반부(5)와 탈수부(4)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과정이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세척과정에 있어서 탈수부(4)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교반부(5)만을 회전시키는 경우 교반부(5)를 소정시간 소정 회전속도로 회전시켜 교반부(5)의 각 블레이드(55)(57)에 부착된 음식물 찌꺼기 및 탈수부(4) 내벽에 잔류하는 음식물 찌꺼기를 분리한다.
이하, 음식물의 세척과정에 있어서 교반부(5)와 탈수부(4)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경우 교반부(4) 및 탈수부가 소정시간 소정 회전속도로 회전됨에 따라 하우징 바디(31)의 내벽과 탈수부(4)의 내벽에 잔류하는 음식물 찌꺼기가 분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세척과정의 교반부(5) 및 교반부(5)와 탈수부(4)의 회전은 각각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 질수 있으며, 다르게는 소정의 시간을 두고 교차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이후, 하우징 바디(31)/탈수부(4)/교반부(5)의 세척이 완료되면, 제어부는 세척수를 배출하는 세척수 배수과정을 진행한다. 여기서 세척수의 배수과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탈수부(4)의 연통홀(42)이 하우징 바디(31)의 하측을 향하도록 정렬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탈수부(4)의 연통홀(42)이 하우징 바디(31)의 하측을 향하도록 정렬하기 위해서는 우선 탈수부를 회전시키고, 연통홀(42)이 하우징 바디(31)의 하측을 향하는 여부를 제 2센서(96)가 제 1자성체(92)의 자기력을 감지하는지 여부를 통해 판단한다. 이후, 배수밸브(36a)를 개방하여 하우징 바디 내에 저장된 세척수를 배수한다. 이에 하우징 바디(31)/탈수부(4)/교반부(5)에 잔류하는 음식물 찌꺼기를 세척한 세척수는 탈수부(4)의 연통홀(41)을 통하여 하우징 바디(31)의 배수관(36)로 배출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음식물 처리장치(100a)에 있어서 음식물의 세척, 탈수 및 음식물 처리장치(100a)의 세척시에는 물이 배수되며, 음식물의 건조시에는 음식물의 건조를 위한 공기가 배기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통상적으로 배수되는 물과, 배기되는 공기는 하수관을 통하여 배출된다. 하지만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물과 음식물의 건조를 위한 공기가 같이 하수관으로 배출될 하수관으로 배수되는 공기의 일부가 음식물 처리장치(100a)로 역류하여 실내로 유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음식물 또는 하수관의 악취가 실내로 유입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이에 음식물 처리장치에서 발생하는 물과 공기를 원활하게 하수관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배출 유닛이 필요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배출 유닛(100, 200, 200)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배출 유닛(100, 200, 200)의 경우 다양한 실시예가 예시되며 공통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출 유닛(100)에 대하여 도 15 내지도 도 16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5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에서 배출 유닛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출 유닛(100)은 음식물 처리장치(100a)에서 음식물의 분쇄 후 탈수시 발생되는 물 또는 음식물의 세척시 사용되는 세척수(이하 "물"이라 통칭함) 또는 및 음식물의 건조시 공급되는 공기의 배출 경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먼저, 배출 유닛(100)은 내부에 물 및 공기가 체류 및 통과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배출바디(110)가 구비된다. 배출바디(110)의 내부에는 배출바디의 내부 공간을 제 1공간 및 제 2공간(114)으로 연통가능하게 구획하는 격벽(111)을 구비한다. 여기서 격벽(111)의 하부와 배출바디(110)의 내부 공간 하면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 1공간(112)에 체류하는 물이 제 2공간(114)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다.
한편, 제 1공간(112)의 일측에는 음식물 처리장치(100a)에서 배출되는 물이 유입되는 물유입구(120)가 형성되고, 제 2공간(114)의 상부에는 음식물 처리장치(100a)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130)가 형성된다.
여기서, 물유입구(120)의 경우 음식물 처리장치(100a)의 하우징 바디(31)에 연결되는 배수관(36)이 연장되어 연결되며, 공기유입구(130)의 경우 음식물 처리장치(100a)의 하우징 바디(31)에 연결되는 배기덕트(71)가 연장되어 연결된다.
또한, 제 2공간(114)의 타측에는 제 1공간(112)으로 유입되어 격벽(111)의 하부를 통과한 물이 하수유로로 배출됨과 동시에 제 2공간(114)의 상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하수구유로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140)가 형성된다. 배출구(140)에는 하수유로로 연장되는 하수관(101)이 연장되어 설치된다.
한편, 배출바디(110)의 하부와 격벽(111)의 하단에는 소정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는 제 1공간(112)으로 유입된 물이 제 2공간(114)으로 이동되기 위한 공간이며, 제 1공간(112) 및 제 2공간(114)에 체류하는 물에 의해 격벽(111)의 하단은 항상 침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제 2공간(114)의 공기유입구(130)로 유입되는 공기가 제 1공간(112)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 1공간(112)의 물유입구(120)의 높이, 제 2공간(114)의 배출구(140)의 높이 및 격벽(111)의 하단의 높이는 다르게 형성되어야 되한다. 즉, 배출구(140)의 높이는 물유입구(120)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격벽 하단부의 높이는 물유입구(120)의 높이와, 배출구(140)의 높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출 유닛(100)의 작동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5를 참고하여 음식물 처리장치에서 물과 공기가 동시에 배출될 경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처리장치(100a)의 작동에 따라 음식물 처리장치(100a)의 배수관(36)을 통하여 물이 배출될 경우 배출되는 물은 배수관(36)을 통하여 물유입구(120)로 유입되어 배출 유닛(100) 배출바디(110)의 제 1공간(112)으로 공급된다. 제 1공간(112)으로 공급된 물은 제 1공간(112)과 제 2공간(114)을 구획하는 격벽(111)의 하부 공간을 통하여 제 2공간(114)으로 이동되며 제 1, 2공간(112)(114)의 하부에서 수위가 점차 높아지게 된다. 이에 제 1, 2공간(112)(114)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수위가 제 2공간(114)에 형성된 배출구(140)의 높이에 도달하게 되면 제 1공간(112)의 물유입구(120)로 유입되는 물은 제 2공간(114)의 배출구(140)를 통하여 하수유로로 배출된다.
여기서, 음식물 처리장치(100a)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배출 유닛(100)의 배출바디(110) 제 2공간(114)의 상부에 형성된 공기유입구(130)로 유입되어 제 2공간(114)에 체류하게 되며, 제 2공간(114)에 형성된 배출구(140)를 통하여 하수유로로 배출된다.
한편, 도 16을 참고하여 음식물 처리장치에서 공기만 배출되는 경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처리장치(100a)의 건조단계 또는 음식물 처리장치(100a)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배출 유닛(100)의 제 1, 2공간(112)(114)에는 소정량의 물이 적체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제 1, 2공간(112)(114)에 적체되는 물의 양은 제 2공간(114)에 형성된 배출구(140)에 의해 배출구(140) 높이로 유지되며, 배출구(140) 높이로 물의 높이가 유지될 경우 격벽(111)의 하단부는 물에 침수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제 1공간(112)과 제 2공간(114)은 격벽(111)에 의해 격리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경우 제 2공간(114)에 형성된 공기유입구(130)로 공기가 공급될 경우 유입되는 공기는 제 2공간(114)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하여 제 2공간(114)의 배출구(140)로 이동되며, 배출구(140)를 통하여 하수유로로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100a)의 경우 공기가 이동되는 배기덕트(71)에는 배기덕트(71)를 통하여 이동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배기덕트(71)를 통하여 배출 유닛(100)으로 이동되는 공기의 경우 배출 유닛의 배출 상태에 따라서 배기덕트(71)를 역류하여 음식물 처리장치(100a)로 역류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출 유닛(100)을 이용할 경우 배기덕트(71)를 통한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건조부(73)에 구비되는 팬(733) 항시 가동하여 공기의 흐름을 음식물 처리장치(100a)에서 배출 유닛(100)으로 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르게는 도 17 내지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 유닛(200)에 연결되는 배기덕트(71)에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250)를 추가 설치함으로써 배출 유닛(200)의 공기가 음식물 처리장치(100a)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 유닛에 대하여 도 17 내지 도 18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7 내지 18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에서 배출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 유닛(200)은 내부에 물 및 공기가 체류 및 통과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배출바디(210)가 구비된다. 배출바디(210)의 내부에는 배출바디의 내부 공간을 제 1공간 및 제 2공간(214)으로 연통가능하게 구획하는 격벽(211)을 구비한다. 여기서 격벽(211)의 하부와 배출바디(210)의 내부 공간 하면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 1공간(212)에 체류하는 물이 제 2공간(214)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다.
한편, 제 1공간(212)의 일측에는 음식물 처리장치(100a)에서 배출되는 물이 유입되는 물유입구(220)가 형성되고, 제 2공간(214)의 상부에는 음식물 처리장치(100a)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230)가 형성된다.
여기서, 물유입구(220)의 경우 음식물 처리장치(100a)의 하우징 바디(31)에 연결되는 배수관(36)이 연장되어 연결되며, 공기유입구(230)의 경우 음식물 처리장치(100a)의 하우징 바디(31)에 연결되는 배기덕트(71)가 연장되어 연결된다.
한편, 배기덕트(71)에는 배기덕트(71)를 통하여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제한하기 위한 체크밸브가 구비된다. 여기서, 체크밸브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제 2공간(214)의 타측에는 제 1공간(212)으로 유입되어 격벽(211)의 하부를 통과한 물이 하수유로로 배출됨과 동시에 제 2공간(214)의 상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하수구유로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240)가 형성된다. 배출구(240)에는 하수유로로 연장되는 하수관(101)이 연장되어 설치된다.
한편, 배출바디(210)의 하부와 격벽(211)의 하단에는 소정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는 제 1공간(212)으로 유입된 물이 제 2공간(214)으로 이동되기 위한 공간이며, 제 1공간(212) 및 제 2공간(214)에 체류하는 물에 의해 격벽(211)의 하단은 항상 침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제 2공간(214)의 공기유입구(230)로 유입되는 공기가 제 1공간(212)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 1공간(212)의 물유입구(220)의 높이, 제 2공간(214)의 배출구(240)의 높이 및 격벽(211)의 하단의 높이는 다르게 형성되어야 되한다. 즉, 배출구(240)의 높이는 물유입구(220)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격벽 하단부의 높이는 물유입구(220)의 높이와, 배출구(240)의 높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 유닛(200)의 작동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7을 참고하여 음식물 처리장치에서 물이 배출될 경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처리장치(100a)의 작동에 따라 음식물 처리장치(100a)의 배수관(36)을 통하여 물이 배출될 경우 배출되는 물은 배수관(36)을 통하여 물유입구(220)로 유입되어 배출 유닛(200) 배출바디(210)의 제 1공간(212)으로 공급된다. 제 1공간(212)으로 공급된 물은 제 1공간(212)과 제 2공간(214)을 구획하는 격벽(211)의 하부 공간을 통하여 제 2공간(214)으로 이동되며 제 1, 2공간(212, 214)의 하부에서 수위가 점차 높아지게 된다. 이에 제 1, 2공간(212, 214)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수위가 제 2공간(214)에 형성된 배출구(240)의 높이에 도달하게 되면 제 1공간(212)의 물유입구(220)로 유입되는 물은 제 2공간(214)의 배출구(240)를 통하여 하수유로로 배출된다.
여기서, 음식물 처리장치(100a)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배출 유닛(200)의 배출바디(210) 제 2공간(214)의 상부에 형성된 공기유입구(230)로 유입되어 제 2공간(214)에 체류하게 되며, 제 2공간(214)에 형성된 배출구(240)를 통하여 하수유로로 배출된다.
한편, 도 18을 참고하여 음식물 처리장치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경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처리장치(100a)의 건조단계 또는 음식물 처리장치(100a)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배출 유닛(200)의 제 1, 2공간(212, 214)에는 소정량의 물이 적체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제 1, 2공간(212, 214)에 적체되는 물의 양은 제 2공간(214)에 형성된 배출구(240)에 의해 배출구(240) 높이로 유지되며, 배출구(240) 높이로 물의 높이가 유지될 경우 격벽(211)의 하단부는 물에 침수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제 1공간(212)과 제 2공간(214)은 격벽(211)에 의해 격리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경우 제 2공간(214)에 형성된 공기유입구(230)로 공기가 공급될 경우 유입되는 공기는 제 2공간(214)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하여 제 2공간(214)의 배출구(240)로 이동되며, 배출구(240)를 통하여 하수유로로 배출된다.
이때, 배기덕트(71)를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배기덕트(71)에 구비되는 체크밸브(250)가 개방되어 음식물 처리장치(100a)에서 배출 유닛(200)으로의 경로가 개방된다. 하지만 배출 유닛(200)에서 음식물 처리장치(100a)로의 공기 이동이 발생될 경우 이동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체크밸브(250)가 배기덕트(71)의 경로를 폐쇄하여 공기의 역류를 방지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 유닛에 대하여 도 19 내지 도 20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9 내지 20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에서 배출 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 유닛(300)은 음식물 처리장치(100a)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이동되는 배기덕트(71)에 구비되어 공기의 이동경로를 능동적으로 제어하는 차폐챔버(360)와, 음식물 처리장치(100a)에서 배출되는 물 및 차폐챔버(360)를 통과한 공기가 체류 및 통과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배출바디(310)를 구비한다.
여기서, 차폐챔버(360)는 음식물 처리장치(100a)에서 배기되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배기덕트(71)를 이동하는 공기의 이동경로를 하수유로 또는 배출 유닛(300)으로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차폐챔버(360)의 내부 공간은 내부에 물이 충전되거나 유입되는 공기가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차폐챔버(360)의 상부에는 차폐챔버(36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361)이 연결되는 급수구(365)가 형성되며, 차폐챔버(360)의 하부에는 차폐챔버(360)에 충전된 물이 배출되도록 배출 유닛(300)과 연결되는 제 2배수관(368)이 연결되는 배출구(363)가 형성된다.
여기서, 차폐챔버(360)의 급수구(365)에 연결되는 급수관(361)에는 차폐챔버(360)로 공급되는 물을 제어하기 위한 급수밸브(362)가 구비되며, 차폐챔버(360)의 배출구(363)에 연결되는 제 2배수관(368)에는 차폐챔버(360)의 저장되는 물의 배수를 제어하기 위한 배수밸브(369)가 구비된다.
한편, 차폐챔버(360)의 상부 일측에는 음식물 처리장치(100a)의 배기덕트(71)가 연결되는 배기유입구(366)가 형성되며, 배기유입구(366) 일측에는 배기유입구(366)를 통하여 차폐챔버(36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기토출구(367)가 형성된다. 여기서, 배기유입구(366)와 배기토출구(367)의 경우 차폐챔버(360)의 내부에서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배기토출구(367)에는 배기토출구(367)를 통해 이동되는 공기를 하수유로로 안내하기 위한 별도의 유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차폐챔버(360)의 내측 상면에는 차폐챔버(360)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364a)가 구비된다. 여기서 수위센서(364a)는 차폐챔버(360)에 저장되는 물의 높이를 감지하는데 감지되는 물의 높이는 배기유입구(366) 및 배기토출구(367)의 높이보다 높은 수위를 감지한다. 즉, 수위센서(364a)는 차폐챔버(360)에 물이 저장됨에 따라 저장되는 물이 배기유입구(366) 및 배기토출구(367)를 차폐한 이후에 물을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즉, 수위센서(364a)는 차폐챔버(360)의 내부공간에 물이 채워지면서 배기유입구(366)와 배기토출구(367)를 차폐한 이후에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로 제공한다.
배출 유닛(300)은 내부에 물 및 공기가 체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배출바디(310)와 배출바디(310)의 내부 공간을 제 1공간 및 제 2공간(314)으로 연통가능하게 구획하는 격벽(311)을 구비한다. 여기서 격벽(311)의 하부와 배출바디(310)의 내부 공간 하면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 1공간(312)에 체류하는 물이 제 2공간(314)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다.
한편, 제 1공간(312)의 일측에는 음식물 처리장치(100a)에서 배출되는 물이 유입되는 제 1물유입구(320)가 형성되고, 제 2공간(314)의 상부에는 차폐챔버(360)에서 배출되는 물이 유입되는 제 2물유입구(330)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 2물유입구(330)에는 차폐챔버(360)의 배기토출구(367)에 연결되는 제 2배수관(368)이 연결되며, 제 2배수관(368)에 구비되는 배수밸브(369)에 의해 차폐챔버(360)에 저장되었던 물이 제 2물유입구(330)를 통하여 배출 유닛을 통과하여 하수유로로 배수된다.
또한, 제 2공간(314)의 타측에는 제 1공간(312)으로 유입되어 격벽(311)의 하부를 통과한 물이 하수유로로 배출됨과 동시에 제 2공간(314)의 제 2물유입구(330)에서 유입되는 물이 하수유로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350)가 형성된다. 배출구(350)에는 하수유로로 연장되는 하수관(101)이 연장되어 설치된다.
한편, 배출바디(310)의 하부와 격벽(311)의 하단에는 소정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는 제 1공간(312)으로 유입된 물이 제 2공간(314)으로 이동되기 위한 공간이며, 제 1공간(312) 및 제 2공간(314)에 체류하는 물에 의해 격벽(311)의 하단은 항상 침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제 2공간(314)에 형성된 배출구(350)를 통하여 하수유로의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 1공간(312)의 제 1물유입구(320)의 높이, 제 2공간(314)의 배출구(350)의 높이 및 격벽(311)의 하단의 높이는 다르게 형성되어야 되한다. 즉, 배출구(350)의 높이는 제 1물유입구(320)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격벽 하단부의 높이는 제 1물유입구(320)의 높이와, 배출구(350)의 높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 유닛(300)의 작동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9를 참고하여 음식물 처리장치에서 물이 배출될 경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처리장치(100a)의 작동에 따라 음식물 처리장치(100a)의 배수관(36)을 통하여 물이 배출될 경우 배출되는 물은 배수관(36)을 통하여 제 1물유입구(320)로 유입되어 배출 유닛(300) 배출바디(310)의 제 1공간(312)으로 공급된다. 제 1공간(312)으로 공급된 물은 제 1공간(312)과 제 2공간(314)을 구획하는 격벽(311)의 하부 공간을 통하여 제 2공간(314)으로 이동되며 제 1, 2공간(312, 314)의 하부에서 수위가 점차 높아지게 된다. 이에 제 1, 2공간(312, 314)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수위가 제 2공간(314)에 형성된 배출구(350)의 높이에 도달하게 되면 제 1공간(312)의 제 1물유입구(320)로 유입되는 물은 제 2공간(314)의 배출구(350)를 통하여 하수유로로 배출된다.
여기서, 음식물 처리장치(100a)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차폐챔버(36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된다. 즉, 배출 유닛(300)을 통하여 음식물 처리장치(100a)의 물이 배수되는 동안에는 차폐챔버(360)에 물이 급수되어 차폐챔버(360)의 내부공간에 저장되며 저장되는 물은 배기유입구(366) 및 배기토출구(367)를 차단하여 공기의 이동을 제한한다.
구체적으로, 음식물 처리장치(100a)에서 발생되는 물의 배수가 시작됨에 따라 제어부는 차폐챔버(360)의 급수관(361)에 구비된 급수밸브(362)를 제어하여 차폐챔버(360)에 물을 급수한다. 차폐챔버(360)에 물이 급수됨에 따라 수위센서(364a)에서 물을 감지하게 되며, 수위센서(364a)가 물을 감지하는 위치의 경우 배기유입구(366) 및 배기토출구(367)의 최하부에 물이 접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배기유입구(366) 및 배기토출구(367)가 차단된다. 이에 음식물 처리장치(100a)의 배기덕트(71)의 공기는 차폐챔버(360)에 의해 이동경로가 차단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도 20을 참고하여 음식물 처리장치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경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처리장치(100a)의 건조단계 또는 음식물 처리장치(100a)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배출 유닛(300)의 제 1, 2공간(312, 314)에는 소정량의 물이 적체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제 1, 2공간(312, 314)에 적체되는 물의 양은 제 2공간(314)에 형성된 배출구(350)에 의해 배출구(350) 높이로 유지되며, 배출구(350) 높이로 물의 높이가 유지될 경우 격벽(311)의 하단부는 물에 침수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제 1공간(312)과 제 2공간(314)은 격벽(311)에 의해 격리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경우 제 2공간(314)에 형성된 배출구(350)에 연결된 하수유로의 공기가 역류될 경우 제 1공간(312)과 제 2공간(314)을 구획하는 격벽에 의해 제 2공간(314)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제 1공간(312)으로 역류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제어부는 차폐챔버(360)에 저장된 물을 배출 유닛(300)으로 배출하여 차폐챔버(360)를 통한 공기의 배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차폐챔버(360)의 배기토출구(367)와 배출바디(310)의 제 2물유입구(330)를 연결하는 제 2배수관(368)의 배수밸브(369)를 개방하여 차폐챔버(360)의 물을 배출바디(310)로 일부 배수한다. 이에 차폐챔버(360)의 물이 배수되면서 차폐챔버(360)에 형성된 배기유입구(366)와 배기토출구(367)가 개방되면서 배기유입구(366)로 유입되는 공기가 배기토출구(367)로 이동되어 배기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 캐비닛 2:분쇄부 21: 지지바디
211: 투입면 213: 배출면 22: 제 1블레이드
23: 제 2블레이드 28: 제 1노즐 29: 제 2노즐
3: 하우징 31: 하우징 바디 33: 유입구
35: 배출구 37: 하우징 도어 39: 진동감쇄부
4: 탈수부 41: 저장바디 42: 연통홀
43: 관통홀 45: 제 1가이더 46: 제 2가이더
47: 회전축 473: 축 바디 471: 축 관통홀
48: 락 5: 교반부 51: 베이스
53: 교반부 회전축 55: 도어 블레이드 57: 교반 블레이드
6: 드로워 71: 배기덕트 73: 건조부
731: 공급덕트 733: 팬 735: 히터
8: 구동부

Claims (18)

  1. 음식물이 탈수 및 건조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음식물에 포함된 물이 배출되는 배수관 및 상기 음식물을 건조한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덕트를 구비하며, 유입구 및 배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음식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바디;
    상기 저장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바디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유입구나 상기 배출구에 연통하는 연통홀;
    상기 저장바디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음식물을 교반하고 상기 연통홀을 개폐하며 도어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교반부;
    상기 하우징으로 건조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음식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부; 및
    상기 배수관 및 상기 배기덕트가 연결되며, 상기 배기덕트에서 배기되는 공기가 상기 배수관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배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교반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도어 블레이드가 상기 연통홀을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상기 공기 및 상기 물이 통과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배기바디;
    상기 배기바디의 내부공간을 제 1, 2공간으로 구획하며 하부에 상기 물이 이동되기 위한 간극이 형성되는 격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공간에는 상기 간극보다 높은 위치로 상기 배수관이 연결되는 물유입구가 형성되며, 제 2공간에는 상기 물유입구와 상기 간극의 사이의 높이로 유입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제 2공간의 상부에는 상기 배기덕트가 연결되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에는 상기 배기덕트를 통해 이동되는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상부에 상기 제 2공간으로 물이 이동될 때 상기 물에 의해 차폐되도록 상기 배기덕트가 연결되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에는 상기 배기덕트를 통해 이동되는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에 상기 배기덕트에 의해 배기되는 상기 공기의 유로를 별도 급수되는 물에 의해 차폐하는 차폐챔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챔버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함체형상의 챔버, 상기 챔버로 물을 급수하는 급수관, 상기 챔버의 물을 상기 배수관으로 안내하는 제 2배수관, 상기 제 2배수관에 구비되어 상기 제 2배수관을 제어하는 배수밸브를 구비하여,
    상기 배기덕트 및 상기 제 2배수관은 상기 챔버의 상측에 연결되며, 상기 챔버에 급수가 진행됨에 따라 급수되는 상기 물에 의해 상기 배기덕트 및 상기 제 2배수관이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상부에는 상기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싱크대의 배수구 하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위치하여 음식물을 분쇄하여 상기 하우징으로 이송하는 분쇄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는
    음식물이 공급되는 투입면 및 상기 하우징으로 음식물을 배출하는 배출면이 구비된 지지바디;
    상기 지지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투입면으로 공급되는 음식물을 분쇄하여 상기 배출면으로 이동시키는 한쌍의 회전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지면(the ground)에 나란하게 구비되는 원통 형상의 하우징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분쇄부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을 상기 하우징 바디로 안내하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탈수 및 건조된 음식물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를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바디는 상기 교반부가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만 상기 교반부와 함께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상기 저장바디 내부에 위치하여 회전되는 로터;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블레이드는 상기 로터의 외주면에서 상기 저장바디의 내측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로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통홀을 개폐하고,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음식물을 교반하며,
    상기 도어 블레이드에 대하여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저장바디의 내측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로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저장바디 내부에 저장된 음식물을 교반시키는 복수의 교반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하우징 도어;
    인출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로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KR1020140090067A 2014-07-16 2014-07-16 음식물 처리장치 KR101758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067A KR101758276B1 (ko) 2014-07-16 2014-07-16 음식물 처리장치
CN201520464949.7U CN204866819U (zh) 2014-07-16 2015-07-01 餐厨垃圾处理装置
DE202015004954.0U DE202015004954U1 (de) 2014-07-16 2015-07-09 Lebensmittelabfallbehandlungsvorrichtung und Abgabeeinheit für Lebensmittelabfallbehandlungsvorrichtung
US14/800,857 US10159986B2 (en) 2014-07-16 2015-07-16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nd discharge unit of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067A KR101758276B1 (ko) 2014-07-16 2014-07-16 음식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449A KR20160009449A (ko) 2016-01-26
KR101758276B1 true KR101758276B1 (ko) 2017-07-14

Family

ID=54362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067A KR101758276B1 (ko) 2014-07-16 2014-07-16 음식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59986B2 (ko)
KR (1) KR101758276B1 (ko)
CN (1) CN204866819U (ko)
DE (1) DE202015004954U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0192A1 (ko) * 2022-07-06 2024-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65424B (zh) * 2016-03-30 2016-12-07 东莞市通日环保科技有限公司 动态防堵塞型餐厨垃圾预处理脱水装置
CN106594754A (zh) * 2016-12-30 2017-04-26 周益铭 一种垃圾焚烧进料装置
CN106881177B (zh) * 2017-04-27 2018-10-23 泉州台商投资区万鼎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厨房用高性能剁碎设备
CN109864318B (zh) * 2018-12-25 2021-04-02 杭州汉山环境工程技术有限公司 便于脱水的农村餐厨垃圾处理设备
CN109569825A (zh) * 2019-01-22 2019-04-05 包头市五兴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生活垃圾粉碎处理回收装置
WO2020160137A1 (en) 2019-01-29 2020-08-06 Fb Global Plumbing Group Llc Disposal with above sink installation
US11590544B2 (en) * 2019-08-16 2023-02-28 Wei Wang Waste disposer
CN110562637A (zh) * 2019-10-25 2019-12-13 都江堰市千乙生物科技有限公司 家用厨房餐厨垃圾存放桶
CN110947736B (zh) * 2019-12-17 2021-02-09 山东好朋友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用一次性筷子处理装置
JP6779448B1 (ja) * 2020-04-13 2020-11-04 株式会社アクア 生ゴミ処理システム
CN111811217B (zh) * 2020-04-27 2022-06-24 樊品良 一种物料高压闪脱水器
JP7523064B2 (ja) 2020-10-05 2024-07-26 孝雄 小向 食材残渣処理装置及びシステム
CN112320146A (zh) * 2020-11-05 2021-02-05 湖南武陵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干燥粉碎功能的垃圾箱总成
CN112958600B (zh) * 2021-03-19 2024-05-24 上海农屹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餐厨垃圾减量处理装置
CN117029383B (zh) * 2023-08-09 2024-02-13 唐山冀东发展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烘干煤磨机的多级干燥分级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1446A (ja) * 2000-06-30 2002-01-15 Toshiba Tec Corp 生ごみ処理機
JP3629734B2 (ja) * 1994-06-09 2005-03-16 株式会社デンソー 生ごみ処理装置
JP2007303798A (ja) * 2006-05-15 2007-11-22 Inax Corp 生ごみの処理設備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48447A (en) * 1933-08-26 1939-02-28 William A Dundas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isposing of sewage waste
US2148981A (en) * 1935-04-08 1939-02-28 William A Dundas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isposing of sewage waste and the like
GB1172826A (en) * 1965-11-25 1969-12-03 Leo Marcus Kah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lothes Washing Machines.
US3366339A (en) * 1965-11-26 1968-01-30 Gordon M. Fair Converted sewer system
US4072273A (en) * 1974-01-07 1978-02-07 Southeast Sbic, Inc. Process for dry recovery of materials from solid refuse
JPH10165930A (ja) 1996-12-10 1998-06-23 Denso Corp 排気構造
JPH1119629A (ja) 1997-07-01 1999-01-26 Hitachi Zosen Corp 生ごみ処理装置
JP2006510486A (ja) * 2002-12-03 2006-03-30 ドンギャク チョイ 生ゴミ処理装置
JP5325425B2 (ja) * 2008-01-23 2013-10-23 浩一 新矢 生ゴミ処理装置
US8782824B2 (en) * 2008-04-22 2014-07-22 Douglas M. Shoop Tub drain and overflow assembly
KR20140090067A (ko) 2013-01-07 2014-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기반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된 데이터를 확장하는 방법 및 그 카메라 기반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9734B2 (ja) * 1994-06-09 2005-03-16 株式会社デンソー 生ごみ処理装置
JP2002011446A (ja) * 2000-06-30 2002-01-15 Toshiba Tec Corp 生ごみ処理機
JP2007303798A (ja) * 2006-05-15 2007-11-22 Inax Corp 生ごみの処理設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0192A1 (ko) * 2022-07-06 2024-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17582A1 (en) 2016-01-21
US10159986B2 (en) 2018-12-25
DE202015004954U1 (de) 2015-10-14
CN204866819U (zh) 2015-12-16
KR20160009449A (ko) 201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8276B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101670750B1 (ko) 음식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670751B1 (ko)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음식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678441B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101684972B1 (ko)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음식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080030886A (ko) 냄새제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KR20150098380A (ko) 음식물 처리기
KR20090041801A (ko) 소용량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017210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210123841A (ko) 음식물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