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0658B1 -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음식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음식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0658B1
KR102550658B1 KR1020190093138A KR20190093138A KR102550658B1 KR 102550658 B1 KR102550658 B1 KR 102550658B1 KR 1020190093138 A KR1020190093138 A KR 1020190093138A KR 20190093138 A KR20190093138 A KR 20190093138A KR 102550658 B1 KR102550658 B1 KR 102550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drum
chamber
shaft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4984A (ko
Inventor
정택수
구경진
김소라
반행진
오초희
진태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3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658B1/ko
Publication of KR20210014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4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1/00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 F16D11/02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disengaged by a contact of a part mounted on the clutch with a stationarily-mounted member
    • F16D11/04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disengaged by a contact of a part mounted on the clutch with a stationarily-mounted member with clutching members movable only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1/00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 F16D2011/002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using an external and axially slidable sleeve for coupling the teeth of both coupling components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면에 제1유입구가 구비되고, 원주면 또는 바닥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출구가 구비된 제1챔버; 상기 제1챔버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고, 상부면에 제2유입구가 구비된 제2챔버;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2유입구를 연결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연결챔버; 상기 연결챔버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액체와 음식물을 상기 제1유입구로 공급하는 챔버 투입구; 상기 제1챔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원통형상의 드럼바디; 상기 드럼바디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유입구로 유입된 액체와 음식물을 상기 드럼바디 내부로 안내하는 드럼 유입구; 상기 드럼바디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드럼바디 내부의 음식물을 분쇄하는 분쇄부; 상기 드럼바디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드럼바디의 바닥면에서 상기 드럼 유입구를 향해 상승하는 기류를 형성하여 상기 드럼바디 내부의 음식물을 상기 연결챔버로 배출시키는 기류형성부;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단은 상기 드럼바디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제1챔버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1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 및 상기 드럼 바디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분쇄부 및 상기 기류형성부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제2회전축; 상기 제2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제1지점과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지점에 위치하면 상기 모터가 제공하는 동력을 상기 제1회전축에 전달하지 않고, 상기 제2지점에 위치하면 상기 모터가 제공하는 동력을 상기 제1회전축에 전달하는 클러치;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음식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Food Waste Treatment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음식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처리장치는 싱크대(sink)의 배수구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을 분쇄하고, 분쇄된 음식물에서 물을 제거하며, 탈수된 음식물을 하수구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종래 음식물 처리장치는 싱크대의 배수구에 연결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싱크대 배수구로 유입되는 음식물이 저장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관통홀, 상기 드럼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음식물을 분쇄하는 분쇄부, 상기 하우징 내부의 물을 하수구로 안내하는 배수관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등록번호 20-0241647).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음식물 처리장치는 분쇄부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하고, 드럼을 회전시켜 분쇄된 음식물에서 물을 제거 가능하지만, 사용자가 드럼 내부의 음식물을 직접 제거해야 하는 단점, 및 드럼의 관통홀에 음식물이 껴 악취가 유발되는 단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종래 음식물 처리장치 중에는 드럼 내부의 음식물을 드럼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장치가 구비된 것이 있다(공개특허번호 10-2018-0012935).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음식물 처리장치는 드럼 내부의 음식물을 드럼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구조가 복잡한 단점(음식물을 배출하는 과정이 복잡한 단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드럼의 관통홀에 음식물이 잔류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음식물의 분쇄, 탈수, 및 배출이 가능한 음식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의 내부에 음식물이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음식물의 부패에 따른 악취 발생을 최소화 가능한 음식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 내부의 음식물을 드럼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 가능한 음식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모터로 분쇄부, 기류형성부, 및 드럼의 회전을 제어 가능한 음식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음식물이 저장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음식물을 분쇄하는 분쇄부; 상기 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바닥면에서 상기 드럼의 상부에 구비된 유입구를 향해 이동하는 기류를 형성하는 기류형성부; 상기 드럼의 바닥면에 연결된 제1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 및 상기 드럼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분쇄부 및 상기 기류형성부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제2회전축; 상기 제2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제1지점과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지점에 위치하면 상기 모터가 제공하는 동력을 상기 제1회전축에 전달하지 않고, 상기 제2지점에 위치하면 상기 모터가 제공하는 동력을 상기 제1회전축에 전달하는 클러치;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클러치를 통해 본 발명은 하나의 모터로 분쇄부, 기류형성부, 및 드럼의 회전을 제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부면에 제1유입구가 구비되고, 원주면 또는 바닥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출구가 구비된 제1챔버; 상기 제1챔버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고, 상부면에 제2유입구가 구비된 제2챔버;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2유입구를 연결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연결챔버; 상기 연결챔버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액체와 음식물을 상기 제1유입구로 공급하는 챔버 투입구; 상기 제1챔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원통형상의 드럼바디; 상기 드럼바디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유입구로 유입된 액체와 음식물을 상기 드럼바디 내부로 안내하는 드럼 유입구; 상기 드럼바디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드럼바디 내부의 음식물을 분쇄하는 분쇄부; 상기 드럼바디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드럼바디의 바닥면에서 상기 드럼 유입구를 향해 상승하는 기류를 형성하여 상기 드럼바디 내부의 음식물을 상기 연결챔버로 배출시키는 기류형성부;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단은 상기 드럼바디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제1챔버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1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 및 상기 드럼 바디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분쇄부 및 상기 기류형성부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제2회전축; 상기 제2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제1지점과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지점에 위치하면 상기 모터가 제공하는 동력을 상기 제1회전축에 전달하지 않고, 상기 제2지점에 위치하면 상기 모터가 제공하는 동력을 상기 제1회전축에 전달하는 클러치;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회전축의 원주면에 구비된 제1축 기어; 상기 제1챔버의 외부에 고정된 스토퍼 바디; 상기 스토퍼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회전축이 관통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스토퍼 관통홀; 상기 스토퍼 바디 구비된 제1체결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제2회전축이 고정되는 연결바디; 상기 연결바디에 구비된 제2체결부; 상기 클러치를 관통하는 클러치 관통홀을 형성하며, 상기 제1축 기어에 결합하는 클러치 기어; 상기 클러치가 상기 제1지점에 위치한 때 상기 제1체결부에 결합하도록, 상기 클러치에 구비된 클러치 제1체결부; 및 상기 클러치가 상기 제2지점에 위치한 때 상기 제2체결부에 결합하도록, 상기 클러치에 구비된 클러치 제2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음식물의 분쇄, 탈수, 및 배출이 가능한 음식물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클러치와 상기 연결바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클러치를 상기 스토퍼 바디 방향으로 가압하는 복원력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원력 제공부를 통해, 본 발명은 상기 클러치의 위치 제어에 필요한 전력을 최소화 가능하다.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스토퍼 바디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클러치를 향하는 면에 형성된 홈 또는 돌기로 구비되고,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연결바디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클러치를 향하는 면에 형성된 홈 또는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스토퍼 바디와 상기 연결바디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바디; 상기 지지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바디 관통홀; 상기 클러치를 상기 바디 관통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클러치 베어링; 상기 클러치가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도록 상기 지지바디의 위치를 조절하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회전축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회전축이 관통하는 축관통홀; 상기 제1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축관통홀 내부에 위치하는 제1축 기어; 상기 제2회전축의 원주면에 상기 제2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제2축 기어; 상기 제1챔버의 외부에 고정된 스토퍼 바디; 상기 스토퍼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스토퍼 관통홀; 상기 스토퍼 관통홀에 구비된 스토퍼 기어; 상기 축관통홀과 상기 스토퍼 관통홀을 따라 이동 가능한 작동바디; 상기 작동바디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축 기어와 상기 스토퍼 기어를 연결 가능한 작동바디 제1기어; 상기 작동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회전축이 관통하는 작동바디 관통홀; 상기 작동바디 관통홀에 구비된 작동바디 제2기어; 상기 스토퍼 바디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회전축이 고정되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연결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클러치는 상기 작동바디와 상기 연결바디 사이를 왕복하도록 구비된 클러치 바디; 상기 클러치 바디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바디 제2기어에 결합 가능한 클러치 제1기어; 및 상기 클러치 바디를 관통하는 클러치 관통홀; 상기 클러치 관통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클러치 바디를 상기 제2축 기어에 연결하는 클러치 제2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러치가 상기 제1지점에 위치하면, 상기 클러치 제1기어는 상기 작동바디 제2기어에서 분리되고, 상기 작동바디 제1기어는 상기 제1축 기어와 상기 스토퍼 기어를 연결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클러치가 상기 제2지점에 위치하면, 상기 클러치 제1기어는 상기 작동바디 제2기어에 결합하고, 상기 작동바디 제1기어는 상기 제1축 기어에만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축관통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바디를 상기 스토퍼 바디가 위치된 방향으로 가압하는 복원력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에서 상기 제1유입구를 향해 연장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되, 상단이 상기 드럼 유입구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하는 차단벽; 및 상기 차단벽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차단벽 내부의 액체를 상기 제1챔버로 배출하는 차단벽 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벽을 통해 본 발명은 제1챔버 내부의 액체가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제1유입구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드럼바디의 원주면과 상기 드럼바디의 바닥면에는 상기 드럼바디 내부를 상기 제1챔버에 연통시키는 관통홀이 구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드럼의 내부에 음식물이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드럼 내부의 음식물을 드럼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드럼 유입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드럼바디 내부의 액체를 상기 제1챔버로 배출하는 연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드럼바디의 내측 원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바디의 바닥면에서 상기 드럼 유입구를 향할수록 상기 드럼바디의 회전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드럼 경사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 경사면은 드럼의 내부에 음식물이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드럼 내부의 음식물을 드럼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 가능하게 하는 수단이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연결챔버를 구분하는 격벽; 상기 격벽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유입구를 형성하는 격벽 관통홀; 상기 격벽 관통홀에서 상기 드럼바디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원통형상의 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의 내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의 자유단에서 상기 격벽 관통홀을 향할수록 상기 제1유입구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가이드 경사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경사면의 경사각도는 상기 드럼 경사면의 경사각도와 동일하거나, 상기 드럼 경사면의 경사각도보다 더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음식물의 분쇄, 탈수, 및 배출이 가능한 음식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의 내부에 음식물이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음식물의 부패에 따른 악취 발생을 최소화 가능한 음식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 내부의 음식물을 드럼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 가능한 음식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모터로 분쇄부, 기류형성부, 및 드럼의 회전을 제어 가능한 음식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 음식물 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구비된 하우징, 및 드럼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구비된 구동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구비된 분쇄부 및 기류형성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구비된 구동부의 다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음식물 처리장치(100)는 음식물의 분쇄 및 탈수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1), 상기 하우징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부(2)를 포함한다.
본 발명 음식물 처리장치는 싱크대에 구비되어 싱크 배수관에서 공급되는 음식물을 처리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싱크 배수관에 연결되지 않는 독립적인 장치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투입하는 음식물을 처리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는 음식물 처리장치(100)가 싱크대(S)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상기 하우징(1)은 싱크 배수관(S1)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에는 서로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된 제1챔버(11) 및 제2챔버(14)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챔버(11)에는 음식물과 액체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4)이 구비되고, 상기 제2챔버(14)에는 상기 저장부(2)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의 원주면에는 상기 제2챔버(14)에 연통하도록 구비된 하우징 관통홀(14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는 상기 하우징 관통홀(141)을 통해 상기 제2챔버(14)에 삽입되거나, 상기 제2챔버(14)에서 분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11)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챔버(14)는 상기 저장부(2)를 수용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제2챔버(14)가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하우징(1)에는 상기 제1챔버(11)의 상부면 및 상기 제2챔버(14)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격벽(17)이 구비된다. 상기 격벽(17)에는 상기 제1챔버(11)에 연통하는 제1유입구(171), 및 상기 제2챔버(14)에 연통하는 제2유입구(17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구(171)는 상기 격벽(17)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격벽 관통홀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격벽(17)에는 상기 격벽 관통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드럼(4)을 향해 연장되는 원통형상의 가이드(17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격벽 관통홀의 지름은 상기 가이드(172)의 자유단이 형성하는 지름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172)의 자유단에서 상기 격벽 관통홀을 향할수록 상기 격벽 관통홀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가이드 경사면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1챔버(11)의 원주면과 바닥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챔버 내부에 저장된 물질(액체, 음식물 등)을 상기 제1챔버(11)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1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11)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1챔버(11) 내부의 액체를 상기 배출구(111)로 안내하는 챔버 경사면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배출구(111)가 상기 제1챔버(11)의 바닥면에 형성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배출구(111)에는 배출관(113)이 연결되는데, 상기 배출관(113)은 상기 배출구(111)와 하수구(미도시)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에는 상기 제1유입구(171)에서 배출되는 물질을 상기 제2유입구(173)로 안내하는 연결챔버(15)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챔버(15)는 상술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한 다양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는 상기 연결챔버(15)가 상기 격벽(17)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유입구(171)와 제2유입구(173)를 연결하는 유로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연결챔버(15)는 챔버 투입구(151)를 통해 상기 싱크 배수관(S1)에 연결된다. 상기 챔버 투입구(151)는 상기 연결챔버(15)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싱크 배수관(S1)에서 공급되는 액체와 음식물을 상기 제1유입구(171)로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음실물 처리장치(100)의 작동 시 발생하는 진동이 상기 싱크대(S)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싱크 배수관(S1)과 상기 챔버 투입구(151)는 연결관(153)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153)은 탄성체로 구비될 수도 있고,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주름관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드럼(4)은 상기 제1챔버(1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원통형상의 드럼바디(41)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드럼바디(41)의 상부면에는 드럼 유입구(43)가 구비된다.
상기 드럼바디가 상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드럼바디(41)의 개방된 상부면이 상기 드럼 유입구(43)를 형성하게 될 것이다. 이와 달리, 상기 드럼바디가 상부면이 폐쇄된 형태의 원통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드럼 유입구(43)는 상기 드럼바디(41)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구멍이 될 것이다. 어느 경우에나, 상기 제1유입구(171)로 공급되는 액체와 음식물은 상기 드럼 유입구(43)를 통해 상기 드럼바디(41)로 이동할 것이다.
상기 드럼바디(41)는 상기 제1챔버(11)의 외부에 고정된 구동부(6)에 의해 회전한다. 상기 드럼바디(41)는 상기 구동부(6)가 연결되는 바닥면(413), 및 상기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의 원주면을 형성하는 원주면(411)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구(171)와 상기 드럼 유입구(43) 사이에는 상기 드럼바디(41) 내부의 액체를 상기 제1챔버(11)로 안내하는 연통부(18)가 더 구비된다. 도 2는 상기 연통부(18)가 상기 제1유입구(171)와 드럼 유입구(43)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드럼 유입구(43)의 지름은 상기 제1유입구(43)의 지름 이하로 설정되어, 상기 제1유입구(43)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드럼 유입구(43)의 지름이 상기 제1유입구(43)의 지름 이하로 설정된 것은 상기 드럼바디(41) 내부의 음식물이 상기 연통부(18)를 통해 제1챔버(11)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 음식물 처리장치(100)는 상기 드럼바디(4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음식물을 분쇄하는 분쇄부(45), 및 상기 드럼바디(4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바디(41) 내부의 음식물을 상기 연결챔버(15)로 배출시키는 기류형성부(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류형성부(47)는 상기 바닥면(413)에서 상기 드럼 유입구(43)를 향하는 기류를 상기 드럼바디(41) 내부에 형성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분쇄부(45) 및 기류형성부(47)는 상기 구동부(6)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구동부(6)가 아닌 별개의 장치를 통해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는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기류형성부(47)의 회전 시 상기 드럼바디(41) 내부에 형성되는 상승 기류에 의해 음식물이 상기 드럼바디 내부에서 상기 연결챔버(15)로 이동할 수 있게 하려면, 상기 드럼바디의 원주면(411)과 바닥면(413)에는 상기 드럼바디(41) 내부를 상기 드럼바디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드럼 관통홀이 구비되지 않아야 한다.
상기 드럼바디의 원주면(411)과 바닥면(413)에 드럼 관통홀이 구비되지 않으면, 상기 제1유입구(171)를 통해 공급되는 액체는 상기 드럼바디(41) 내부에서 일정한 수위를 유지 가능하다. 상기 드럼바디(41)가 액체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 가능한 구조로 구비되면, 상기 분쇄부(45)는 보다 효과적으로 음식물의 분쇄가 가능하다. 음식물의 무게에 의해 상기 분쇄부(45)가 회전하지 못하는 현상의 발생을 최소화 가능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드럼바디의 원주면(411)과 바닥면(413)에 드럼 관통홀이 구비되지 않으면, 음식물이 드럼 관통홀에 껴 드럼바디 내부에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할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은 음식물의 부패에 따른 악취 발생을 최소화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부(2)는 상기 제2챔버(14)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저장바디(2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211)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2유입구(173)에 연통하도록 구비된 바디 유입구(23)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챔버(15)를 통해 상기 제2유입구(173)로 이동한 물질(액체, 음식물 등)은 상기 바디 유입구(23)를 통해 상기 저장바디(21)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저장부(2)는 사용자가 상기 제2챔버(14)에서 상기 저장바디(21)를 분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핸들(211)을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6)는 상기 제1챔버(11)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드럼바디(41)에 연결된 제1회전축(62), 상기 제1회전축(62) 및 상기 드럼 바디의 바닥면(413)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분쇄부(45) 및 기류형성부(47)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축(64), 상기 제2회전축(64)을 회전시키는 모터(61), 및 상기 모터(61)가 제공하는 동력을 상기 제1회전축(62)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축(62) 및 제2회전축(64)은 상기 제1챔버(11)의 바닥면에 직교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챔버(11)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1회전축(6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62, 64)이 제1챔버의 바닥면에 직교한다는 것은, 상기 회전축(62, 64)과 상기 제1챔버(11)의 바닥면이 형성하는 각도가 음식물 처리장치의 제작에 요구되는 공차 범위 내에서 90도라는 것을 의미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전축(62)은 일단은 상기 드럼바디의 바닥면(413)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챔버(11)의 외부에 위치하는 축바디(621), 상기 축바디(62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축관통홀(623)을 포함한다. 상기 축관통홀(623)은 상기 축바디(621)의 길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상기 축바디(621)의 원주면에는 상기 동력전달부(65)에 구비된 클러치(655)가 체결되는 제1축 기어(629)가 구비된다.
상기 축바디(621)에는 상기 드럼바디의 바닥면(413)에 고정되는 드럼 체결부(627)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드럼 체결부(627)는 상기 축바디(621)의 원주면에서 돌출되는 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드럼 체결부(627)가 상기 축바디(621)의 원주면에 고정된 디스크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축바디(621)의 상단은 상기 드럼바디의 바닥면(413)을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드럼바디(41)의 내부공간은 상기 축바디에 구비된 축관통홀(623)을 통해 상기 제1챔버(11)의 외부에 연통할 수 있다.
바(bar) 형상의 제2회전축(64)이 상기 축관통홀(623)에 삽입되면, 상기 제2회전축(64)의 상단은 상기 드럼바디(41)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회전축(64)의 하단은 상기 제1챔버(11)의 외부에 위치한다. 이 경우, 상기 분쇄부(45) 및 기류형성부(47)는 상기 제2회전축(64)의 상단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드럼바디(41) 내부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상기 축관통홀(623) 내부에는 상기 제2회전축(64)을 상기 축바디(6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62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625)은 상기 드럼바디(41) 내부의 물질이 상기 축관통홀(62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부(65)는 기 설정된 제1지점과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도록 구비된 클러치(655)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지점은 상기 모터(61)가 제공하는 동력을 상기 제1회전축(62)에 전달하지 않는 상기 클러치(655)의 위치(도 5의 상측 도면)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점은 상기 모터(61)가 제공하는 동력을 상기 제1회전축(62)에 전달하는 상기 클러치(655)의 위치(도 5의 하측 도면)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655)의 위치 제어를 위해, 상기 동력전달부(65)는 상기 제1챔버(11)의 외부에 고정된 스토퍼(651), 상기 제2회전축(64)을 상기 모터의 회전축(611)에 연결하는 연결부(6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클러치(655)는 상기 제1축 기어(629)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스토퍼(651)와 상기 연결부(653) 사이를 왕복(제1지점과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651)는 하우징(1)의 바닥면에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하우징(1)에 고정된 프레임(8)에 고정될 수도 있는데, 도 5는 상기 스토퍼(651)가 상기 프레임(8)에 고정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프레임(8)은 상기 하우징(1)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제1베이스 프레임(81), 상기 연결부(653)가 지지되는 제2베이스 프레임(82), 상기 모터(61)의 일단을 지지하는 제3베이스 프레임(83), 및 상기 모터(61)의 타단을 지지하도록 구비된 제4베이스 프레임(8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 프레임(81)에는 상기 제1회전축(62)이 관통하는 제1베이스 관통홀이 구비되며, 상기 제1베이스 관통홀에는 상기 제1회전축(62)의 원주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회전축 베어링(81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82)에는 상기 연결부(65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연결부 베어링(823)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 베어링(823)은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82)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2베이스 관통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베이스 프레임(83)에는 제3베이스 관통홀이 구비되는데, 상기 모터 회전축(611)은 상기 제3베이스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부(65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8)에는 본 발명 음식물 처리장치(100)의 높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프레임들이 구비될 수 있는데, 도 4는 5개의 지지프레임이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즉, 상기 프레임(8)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들(81, 82, 83, 84)이 고정되는 제1지지프레임(85), 제2지지프레임(86), 제3지지프레임(87), 제4지지프레임(88), 및 제5지지프레임(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85)과 제3지지프레임(87)은 서로 대칭인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85)과 제3지지프레임(87)이 각 베이스 프레임들(81, 82, 83, 84)의 측면을 고정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2지지프레임(86)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85)과 제3지지프레임(87) 사이에 위치하여 각 베이스 프레임들(81, 82, 83, 84)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4지지프레임(88)과 제5지지프레임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85)과 제3지지프레임(87)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들(81, 82, 83, 84)의 후방 모서리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4지지프레임(88)과 제5지지프레임은 서로 대칭인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의 프레임(8)이 구비될 경우, 상기 스토퍼(651)는 상기 제1베이스 프레임(81)에 고정되는 스토퍼 바디(651a), 상기 스토퍼 바디(651a)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스토퍼 관통홀(651b), 상기 스토퍼 바디(651a)에 구비되어 상기 클러치(655)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체결부(651c)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축(62)과 제2회전축(64)은 상기 스토퍼 관통홀(651b)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스토퍼 바디(651a)를 관통한다. 즉, 상기 제1회전축(62)과 제2회전축(64)은 상기 스토퍼 관통홀(651b)에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스토퍼 바디(651a)에 간섭되지 않는다.
상기 연결부(653)는 상기 연결부 베어링(823)을 통해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8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연결바디(653a)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바디(653a)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2회전축(64)이 고정되는 제1고정부(653c)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바디(653a)의 하부면에는 상기 모터 회전축(611)이 고정되는 제2고정부(653d)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연결바디(653a)에는 상기 클러치(655)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체결부(653b)가 구비된다. 도 4는 상기 제2체결부(653b)가 상기 연결바디(653a)의 상부면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2체결부(653b)는 다수의 돌기로 구비되고, 상기 제2체결부(653b)를 구성하는 다수의 돌기는 상기 제1고정부(653c)를 감싸는 링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655)는 상기 스토퍼 바디(651a)와 연결바디(653a) 사이에 위치하는 클러치 바디(655a), 상기 클러치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클러치 관통홀(655d), 상기 클러치 바디(655a)에 구비되어 상기 클러치 관통홀(655d) 내부에 위치하는 클러치 기어(655e)를 포함한다. 상기 제1회전축(62)은 상기 클러치 관통홀(655d)에 삽입되어 상기 클러치 바디(655a)에 연결된다. 즉, 상기 제1회전축(62)이 상기 클러치 관통홀(655d)에 삽입되면, 상기 클러치 기어(655e)는 상기 제1축 기어(629)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클러치 바디(655a)의 상부면에는 상기 스토퍼의 제1체결부(651c)에 결합하는 클러치 제1체결부(655b)가 구비된다. 상기 클러치 바디(655a)의 하부면에는 상기 연결바디(653a)의 제2체결부(653b)에 결합하는 클러치 제2체결부(655c)가 구비된다.
상기 제1체결부(651c)는 상기 스토퍼 바디(651a)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클러치(655)를 향하는 면에 형성된 홈 또는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클러치 제1체결부(655b)는 링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체결부(651c)에 결합하는 다수의 돌기 또는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653b)는 상기 연결바디(653a)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클러치(655)를 향하는 면에 형성된 홈 또는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클러치 제2체결부(655c)는 링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체결부(653b)에 결합하는 다수의 돌기 또는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의 상측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655)가 제1지점에 위치하면, 상기 클러치 제1체결부(655b)는 상기 제1체결부(651c)에 결합한다. 그러나, 도 5의 하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655)가 제2지점으로 이동하면, 상기 클러치 제2체결부(655c)는 상기 제2체결부(653b)에 결합한다.
상기 클러치(655)는 이송부(67)를 통해 상기 스토퍼(651)와 상기 연결부(653) 사이를 왕복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67)는 상기 스토퍼 바디(651a)와 상기 연결바디(653a)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바디(671), 상기 지지바디를(671) 관통하도록 구비된 바디 관통홀, 상기 클러치 바디(655a)를 상기 바디 관통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클러치 베어링(675), 상기 클러치 바디(655a)가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도록 상기 지지바디(671)의 위치를 조절하는 액추에이터(67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671)는 상기 스토퍼 바디(651a)와 상기 연결바디(653a) 사이에서 왕복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677)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들(81, 82, 83, 84)과 지지프레임들(85, 86, 87, 88)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 케이스(677a), 중심이 비어있는 원기둥을 형성하도록 권선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에 고정된 코일(677b), 일단은 상기 지지바디(67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코일 내부에 위치된 작동 바(677c)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작동 바(677c)는 도체로 구비된다.
상기 코일(677b)은 전류의 공급 시 상기 지지바디(671)에 고정된 상기 작동 바(677c)의 일단이 상기 케이스(677a)를 향해 이동하게 하는 자기장(지지바디를 연결부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자기장, 클러치를 제2지점으로 이동시키는 자기장)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 바디(655a)와 연결바디(653a) 사이에는 상기 클러치 바디(655a)를 상기 스토퍼 바디(651a) 방향으로 가압하는 복원력 제공부(65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일(677b)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을 때, 상기 지지바디(671)에 고정된 상기 작동 바(677c)의 일단이 상기 케이스(677a)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클러치를 제1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하기 위함이다. 상기 클러치 바디(655a)와 연결바디(653a) 사이에 위치하는 압축스프링이 복원력 제공부의 일례가 될 수 있다. 상기 복원력 제공부(656)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장치(100)는, 상기 클러치 바디(655a)를 제2지점으로 이동시킬 때에만 상기 코일(677b)에 전류를 공급하면 되므로, 음식물 처리장치에 요구되는 전력량을 최소화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복원력 제공부(656)는 상기 클러치 바디(655a)를 상기 연결바디(653a)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코일(677b)은 전류의 공급 시 상기 지지바디(671)에 고정된 상기 작동 바(677c)의 일단이 상기 케이스(677a)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하는 자기장(클러치를 제1지점으로 이동시키는 자기장)을 형성하도록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달리, 상기 이송부(67)는 상기 코일(677b)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클러치(655)가 제1지점과 제2지점 사이를 왕복시키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8)에는 상기 지지바디(671)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이송부 가이드(67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이송부 가이드(679)가 상기 제1베이스 프레임(81)과 제2베이스 프레임(82)을 연결하도록 구비된 가이드 바(bar) 및 상기 지지바디(67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바가 삽입되는 가이드 관통홀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구비된 분쇄부(45)는 상기 제2회전축(64)에 고정되는 고정바디(451), 상기 고정바디에서 돌출된 제1블레이드(453) 및 제2블레이드(4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블레이드(453)가 상기 고정바디(451)에 고정된 지점과, 상기 제2블레이드(455)가 상기 고정바디(451)에 고정된 지점은 상기 고정바디(451)의 회전중심(제2회전축)을 통과하는 직선에 대해 대칭이 되도록 설정(선대칭이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블레이드(453)의 자유단과 상기 제2블레이드(455)의 자유단은 상기 고정바디(451)의 회전중심에 대해 대칭이 되도록 설정(점대칭이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기류형성부(47)는 상기 제2회전축(64)에 고정된 허브(471), 및 상기 허브(471)에서 상기 드럼바디의 원주면(411)을 해 돌출된 다수의 임펠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 임펠러가 상기 허브(471)에서 상기 제2회전축(64)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돌출된 제1임펠러(473), 제2임펠러(475), 제3임펠러(477), 및 제4임펠러(479)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임펠러들은 상기 드럼바디의 바닥면(413)에서 드럼 유입구(43)를 향해 상승하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류형성부(47)의 회전만으로 상기 드럼바디(41) 내부의 음식물을 저장부(2)로 이동시킬 수 있어, 종래 음식물 처리장치들보다 쉽게 음식물을 드럼바디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쇄부(45)가 음식물을 보다 용이하게 분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 블레이드(453, 455)는 하나의 임펠러와 다른 하나의 임펠러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노출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류형성부(47)는 상기 허브(471)를 통해 상기 제2회전축(64)에 고정되고, 상기 분쇄부(45)는 상기 기류형성부(47)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음식물 처리장치(100)의 작동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S)에 저장된 액체와 음식물은 싱크 배수관(S1), 연결관(153), 및 챔버 투입구(151)를 통해 상기 연결챔버(15)로 유입된다. 상기 연결챔버(15)로 유입된 액체와 음식물은 제1유입구(171) 및 드럼 유입구(43)를 통해 드럼바디(41) 내부로 공급된다.
본 발명에 구비된 드럼바디(41)는 원주면(411)과 바닥면(413)에 관통홀이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상기 드럼바디(41)로 공급되는 액체는 상기 제1챔버(11)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드럼바디(41) 내부에 저장될 것이다.
상기 드럼바디(41)에 액체와 음식물이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2회전축(64)만 회전하면, 상기 제2회전축(64)에 고정된 분쇄부(45) 및 기류형성부(47)는 상기 드럼바디 내부에 회전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제1회전축(62)은 회전시키지 않고, 상기 제2회전축(64)만을 회전시키려면, 상기 이송부(67)는 상기 클러치(655)를 제1지점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도 5의 상측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바디(671)가 상기 스토퍼(651)를 향해 이동하면, 상기 클러치 제1체결부(655b)는 제1체결부(651c)에 결합한다. 상기 클러치(655)와 제1회전축(62)은 클러치 기어(655e) 및 제1축 기어(629)를 통해 서로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클러치(655)가 스토퍼(651)에 고정되면 상기 제1회전축(62)도 상기 스토퍼(651)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클러치(655)가 제1지점으로 이동하면, 모터 회전축(611)의 회전운동은 상기 연결부(653)에 고정된 제2회전축(64)에만 전달된다.
상기 드럼바디(41)에 액체가 저장된 상태이기 때문에, 본 발명 음식물 처리장치는 상기 제2회전축(64)의 회전 시 상기 기류형성부(47)에 의해 상기 드럼바디 내부에 수류가 형성된다. 상기 드럼바디 내부에 형성된 수류는 음식물에 의해 분쇄부(45)가 회전하지 못하는 현상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바디 내부에 형성된 수류는 음식물과 분쇄부(45)의 접촉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드럼바디 내부에 수류가 형성되지 않는 종래 음식물 처리장치들에 비해 보다 효과적으로 음식물의 분쇄가 가능하다.
상기 분쇄부(45)와 기류형성부(47)를 통해 음식물의 분쇄과정이 완료되면, 본 발명 음식물 처리장치(100)는 드럼바디에 저장된 액체 및 음식물에 포함된 액체를 상기 제1챔버(11)로 배출하는 액체 배출과정을 진행한다. 상기 액체 배출과정은 상기 제1회전축(62)과 제2회전축(64)을 동시에 회전시킴으로써 진행된다.
상기 제1회전축(62)과 제2회전축(64)이 동시에 회전하려면, 상기 클러치(655)는 제2지점으로 이동해야 한다. 도 5의 하측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655)가 상기 연결부(635)를 행해 이동하면, 상기 클러치 제2체결부(655c)는 제2체결부(653b)에 결합한다. 상기 클러치(655)와 제1회전축(62)은 클러치 기어(655e) 및 제1축 기어(629)를 통해 서로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클러치(655)가 연결부(653)에 고정되면 상기 제1회전축(62)은 상기 연결부(653)와 함께 회전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클러치(655)가 제2지점으로 이동하면, 모터 회전축(611)의 회전운동은 상기 제1회전축(62) 및 제2회전축(64)에 각각 전달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전축(62)과 제2회전축(64)이 동시에 회전하면, 상기 드럼바디(41) 내부에 저장된 액체(W)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드럼바디의 원주면(411)을 따라 드럼 유입구(43)를 향해 이동한다. 상기 제1유입구(171)와 상기 드럼 유입구(43) 사이에는 연통부(18)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 유입구(43)까지 상승한 액체(W)는 상기 연통부(18)를 통해 상기 제1챔버(11)로 배출되고, 상기 제1챔버(11) 내부의 액체는 상기 배출구(11) 및 배출관(113)을 통해 제1챔버(11)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드럼바디(41) 내부에 저장된 음식물은 드럼바디의 회전으로 발생한 원심력에 의해 상기 드럼바디의 원주면(411) 및 바닥면(413)에 밀착된 상태가 될 것이다.
상기 드럼바디의 내측 원주면(411)은 상기 드럼바디의 바닥면(413)에서 상기 드럼 유입구(43)를 향할수록 상기 드럼바디의 회전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A1)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바디(41) 내부의 액체가 상기 연통부(18)를 통해 상기 제1챔버(11)로 배출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드럼바디의 원주면(411)에는 드럼 경사면(41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경사면(415)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상기 드럼 유입구(43)의 지름을 상기 드럼바디의 바닥면(413) 지름보다 더 크게 설정하는 것이 일례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럼바디(41)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이 상기 연결챔버(15)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172)의 내주면에는 가이드 경사면(B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경사면은 상기 가이드(172)의 내주면이 상기 가이드(172)의 자유단에서 상기 연결챔버(15)를 향할수록 상기 제1유입구(171)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짐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경사면의 경사각도(B1)는 상기 드럼 경사면의 경사각도(A1)와 동일하거나, 상기 드럼 경사면의 경사각도(A1)보다 더 크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경사면의 경사각도(B1)가 상기 드럼 경사면의 경사각도(A1)보다 작게 설정되면, 상기 드럼바디(41)에서 배출된 음식물이 상기 가이드(172)에 충돌한 뒤 다시 드럼바디(41)로 유입될 가능성이 증가할 것이기 때문이다.
상기 드럼바디(41) 내부의 액체가 상기 연통부(18)를 통해 상기 제1챔버(11)로 배출되고 나면(음식물의 탈수가 완료되면), 본 발명 음식물 처리장치(100)는 상기 드럼바디(41)에 저장된 음식물을 상기 저장부(2)로 이동시키는 음식물 배출과정을 진행한다.
상기 음식물 배출과정은 상기 제2회전축(64)만을 회전(분쇄부와 기류형성부만을 회전)시킴으로써 진행된다. 상기 제2회전축(64)만을 회전시키려면, 상기 클러치(655)는 제1지점에 위치된 상태여야 하는데, 제1지점으로 클러치를 이동시키는 과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기류형성부(47)에는 다수의 임펠러(473, 475, 477, 479)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음식물 배출과정 중 상기 드럼바디(41) 내부에는 상기 드럼바디의 바닥면(413)에서 상기 드럼 유입구(43)를 향해 상승하는 공기의 흐름이 발생한다.
상기 드럼바디(41)의 원주면과 바닥면에는 관통홀이 없기 때문에, 상기 기류형성부(47)의 회전 시 드럼바디 내부에 저장된 음식물들은 상승기류에 의해 상기 드럼 유입구(43) 및 상기 제1유입구(171)를 거쳐 상기 연결챔버(15)로 이동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드럼 바디 내부에 음식물이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하다.
상기 음식물 배출과정의 진행 시 드럼바디(41) 내부에 발생하는 기류는 드럼바디의 원주면(411)을 따라 회전하는 회오리 형태의 기류이기 때문에, 상기 연결챔버(15)로 배출된 음식물 역시 상기 연결챔버(15)를 따라 회전하게 된다.
상기 연결챔버(15)는 제2유입구(173)를 통해 상기 저장부(2)에 연결되므로, 상기 연결챔버(15)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음식물은 상기 제2유입구(173)를 통해 상기 저장부(2)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이로써 음식물 배출과정은 종료된다.
한편,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음식물 처리장치(100)는 액체 배출과정에서 상기 드럼바디(41)가 높은 회전수로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제1챔버(11) 내부에 저장된 액체는 상기 드럼바디(41)의 회전 시 상기 제1챔버(11) 내주면을 따라 제1챔버 내부에서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
상기 제1챔버(11) 내부의 액체가 상기 제1챔버(11) 내주면을 따라 상승하면, 상기 제1챔버(11) 내부의 액체가 상기 제1유입구(171)를 통해 제1챔버(11)의 외부로 배출되어 제2챔버(14)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 음식물 처리장치(100)에는 상기 제1챔버(11) 내부의 액체가 상기 제1유입구(171) 방향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벽(12)은 상기 제1챔버(11)의 바닥면에서 상기 제1유입구(171)를 향해 연장되되, 상기 드럼바디(41)를 감싸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유입구(43)와 상기 제1유입구(171) 사이에 형성된 연통부(18)가 상기 차단벽(12)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차단벽(12)의 상단(자유단)은 상기 드럼 유입구(43)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벽(12)에는 상기 차단벽 내부 공간을 상기 차단벽 외부 공간에 연통시키는 차단벽 관통홀(121)이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차단벽(12) 내부로 유입된 액체를 상기 제1챔버(11)로 배출하기 위함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구비된 구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9)는 상기 제1챔버(11)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드럼바디(41)에 연결된 제1회전축(92), 상기 제1회전축(92) 및 상기 드럼 바디의 바닥면(413)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분쇄부(45) 및 기류형성부(47)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축(94), 상기 제2회전축(94)을 회전시키는 모터(91), 및 상기 모터(91)가 제공하는 동력을 상기 제1회전축(92)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95)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회전축(92)은 일단은 상기 드럼바디의 바닥면(413)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챔버(11)의 외부에 위치하는 축바디(921), 상기 축바디(92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축관통홀(923)을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바디(921)의 원주면에는 상기 드럼바디의 바닥면(413)에 고정되는 드럼 체결부(927)가 구비되고, 상기 축관통홀(923)의 내부에 구비된 제1축 기어(929)가 구비된다. 상기 제1축 기어(929)는 상기 축바디(921)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상기 제2회전축(94)은 상기 축관통홀(923)에 삽입되는 제2축 바디(941), 상기 제2축 바디(941)의 원주면에 상기 제2축 바디(941)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되 상기 제2축 바디의 하부 영역에 구비된 제2축 기어(942)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후술할 작동부(954) 및 클러치(955)는 상기 제2축 기어(942)에 결합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럼바디(41)의 내부공간은 상기 축관통홀(923)을 통해 상기 제1챔버(11)의 외부에 연통한다. 따라서, 상기 제2축 바디(941)가 상기 축관통홀(923)에 삽입되면, 상기 제2축 바디(941)의 상단은 상기 드럼바디(41)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축 바디(941)의 하단은 상기 제1챔버(11)의 외부에 위치한다. 상기 분쇄부(45) 및 기류형성부(47)는 상기 제2축 바디(941)의 상단에 고정된다. 상기 축관통홀(923) 내부에는 상기 제2회전축(94)을 상기 축바디(9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92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95)는 제1지점과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도록 구비된 클러치(955)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점은 상기 모터(91)가 제공하는 동력을 상기 제1회전축(92)에 전달하지 않는 상기 클러치(955)의 위치(도 8의 상측 도면)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점은 상기 모터(91)가 제공하는 동력을 상기 제1회전축(92)에 전달하는 상기 클러치(955)의 위치(도 8의 하측 도면)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955)의 위치 제어를 위해, 상기 동력전달부(95)는 상기 제1베이스 프레임(81)에 고정되어 상기 제1챔버(11)의 외부에 위치하는 스토퍼(951), 상기 제2회전축(94)을 상기 모터의 회전축(911)에 연결하는 연결부(953), 상기 클러치(955)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회전축(92)을 상기 스토퍼(951)와 상기 제2회전축(94) 중 어느 하나에 연결하는 작동부(9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러치(955)가 제1지점에 위치한 때, 상기 작동부(954)는 상기 제1회전축(92)을 상기 스토퍼(951)에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클러치(955)가 제2지점에 위치하면, 상기 작동부(954)는 상기 제1회전축(92)을 상기 제2회전축(94)에 연결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스토퍼(951)는 상기 제1베이스 프레임(81)에 고정되어 상기 제1챔버(11)의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회전축(92)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스토퍼 바디(951a)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951)에는 상기 스토퍼 바디(951a)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스토퍼 관통홀(951b)이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 관통홀(951b)에는 스토퍼 기어(951c)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 기어(951c)는 상기 스토퍼 바디(951a)에서 상기 스토퍼 관통홀(951b)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기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작동부(954)는 상기 제1회전축에 구비된 제1축 기어(929)와 상기 스토퍼에 구비된 스토퍼 기어(951c)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수단이다.
상기 작동부(954)는 상기 제1회전축의 축관통홀(923)과 상기 스토퍼 관통홀(951c) 사이를 왕복 가능한 작동바디(954a), 상기 작동바디(954a)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축 기어(929)와 상기 스토퍼 기어(951c)를 연결하는 작동바디 제1기어(954c), 상기 작동바디(954a)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회전축(94)이 관통하는 작동바디 관통홀(954b), 및 상기 작동바디 관통홀(954b)에 구비된 작동바디 제2기어(954d)를 포함한다.
상기 축관통홀(923) 내부에는 상기 작동바디(954a)를 상기 스토퍼 바디(951a)가 위치된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축 기어(929)와 상기 스토퍼 기어(951c)가 상기 작동바디 제1기어(954c)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복원력 제공부(95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원력 제공부(956)는 상기 축관통홀(923) 내부에 고정된 지지부(928)과 상기 작동바디(954a) 사이에 위치하는 압축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953)는 상기 연결부 베어링(823)을 통해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8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연결바디(953a)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바디(953a)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2축 바디(941)의 하단이 고정되는 제1고정부(953b)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바디(953a)의 하부면에는 상기 모터 회전축(911)이 고정되는 제2고정부(953c)가 구비된다. 상기 제1고정부(953b)는 상기 연결바디(953a)에서 상기 스토퍼(951)를 향해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955)는 상기 작동바디(954a)와 상기 연결바디(953a) 사이를 왕복 가능한 클러치 바디(955a), 상기 클러치 바디(955a)의 원주면에 구비된 클러치 제1기어(955b), 상기 클러치 바디(955a)를 관통하는 클러치 관통홀(955d), 상기 클러치 관통홀(955d) 내부에 구비된 클러치 제2기어(955c)를 포함한다.
상기 제1클러치 제1기어(955b)는 상기 클러치 바디(955a)의 위치에 따라 상기 작동바디 제2기어(954d)에 결합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클러치 제1기어(955b)는 상기 스토퍼 기어(951c)에 체결되거나 간섭되지 않는 형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즉, 상기 제1클러치 제1기어(955b)에 의해 형성되는 원의 지름은 상기 스토퍼 기어(951c)에 의해 형성되는 원의 지름보다 작게 설정되어야 한다.
상기 클러치 제2기어(955c)는 상기 제2회전축에 구비된 제2축 기어(943)에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클러치가 상기 제1지점과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할 때, 상기 클러치 바디(955a)는 상기 제2회전축(94)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8의 상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955)가 상기 제1지점에 위치하면, 상기 클러치(955)는 상기 작동바디(954)에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경우, 상기 제1축 바디(921)와 상기 스토퍼(951)는 상기 복원력 제공부(956), 및 상기 작동바디(954)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한편, 도 8의 하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955)가 상기 제2지점에 위치하면, 상기 클러치(955)는 상기 작동바디(954)에 결합한다. 이 경우, 상기 복원력 제공부(956)는 상기 지지부(928)을 향해 가압될 것이다. 상기 작동바디(954)는 상기 지지부(928)를 향해 이동할 것이기 때문에, 상기 제1축 바디(921)는 상기 스토퍼(951)에서는 분리되지만, 상기 클러치(955)에는 연결될 것이다.
상술한 클러치(955)는 이송부(97)를 통해 상기 스토퍼(951)와 상기 연결부(953) 사이를 왕복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97)는 상기 스토퍼 바디(951a)와 상기 연결바디(953a)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바디(971), 상기 지지바디를(971) 관통하도록 구비된 바디 관통홀, 상기 클러치 바디(955a)를 상기 바디 관통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클러치 베어링(975), 상기 클러치 바디(955a)가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도록 상기 지지바디(971)의 위치를 조절하는 액추에이터(97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977)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들(81, 82, 83, 84)과 지지프레임들(85, 86, 87, 88)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 케이스(977a), 중심이 비어있는 원기둥을 형성하도록 권선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에 고정된 코일(977b), 일단은 상기 지지바디(97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코일 내부에 위치된 작동 바(977c)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977)는 상기 코일(977b)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클러치(955)가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8)에는 상기 지지바디(971)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이송부 가이드(97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과 도 8을 참고하여 상술한 구조로 구비된 구동부(9)의 작동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의 상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97)가 상기 클러치(955)를 제1지점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클러치(955)는 상기 작동바디(954)에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경우, 상기 제1축 바디(921)와 상기 스토퍼(951)는 상기 복원력 제공부(956), 및 상기 작동바디(954)에 의해 연결된 상태가 될 것이다.
즉, 상기 클러치(955)가 상기 제1지점에 위치하면, 상기 클러치 제1기어(955b)는 상기 작동바디 제2기어(954d)에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경우, 상기 제1축 기어(929)와 상기 스토퍼 기어(951c)는 상기 작동바디 제1기어(954c)에 의해 연결된 상태가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클러치(955)가 상기 제1지점에서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모터(91)가 회전하면, 두 개의 회전축 중 제2회전축(94)만 회전할 것이다.
한편, 도 8의 하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955)가 상기 제2지점으로 이동하면, 상기 클러치 제1기어(955b)는 상기 작동바디 제2기어(954d)에 결합한다. 이 경우, 상기 작동바디(954)는 상기 스토퍼(951)에서 분리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작동바디 제1기어(954c)는 상기 스토퍼 기어(951c)에서는 분리되고, 상기 제1축 기어(929)에는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모터(91)가 회전하면, 상기 제1회전축(92) 및 제2회전축(94)은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회전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음식물 처리장치 1: 하우징 11: 제1챔버
111: 배출구 12: 차단벽 121: 차단벽 관통홀
14: 제2챔버 141: 하우징 관통홀 15: 연결챔버
151: 챔버 투입구 153: 연결관 17: 격벽
171: 제1유입구 172: 가이드 173: 제2유입구
2: 저장부 21: 저장바디 23: 바디 유입구
4: 드럼 41: 드럼바디 415: 드럼 경사면
43: 드럼 유입구 45: 분쇄부 451: 고정바디
453: 제1블레이드 455: 제2블레이드 47: 기류형성부
471: 허브 473: 제1임펠러 475: 제2임펠러
477: 제3임펠러 479: 제4임펠러 8: 프레임
81: 제1베이스 프레임 82: 제2베이스 프레임 83: 제3베이스 프레임
84: 제4베이스 프레임 6, 9: 구동부 61, 91: 모터
611, 911: 모터 회전축 62, 92: 제1회전축 621, 921: 제1축 바디
623, 923: 축관통홀 625, 925: 베어링 627, 927: 드럼 체결부
928: 지지부 629, 929: 제1축 기어 64, 94: 제2회전축
941: 제2축 바디 943: 제2축 기어 65, 95: 동력전달부
651, 951: 스토퍼 653, 953: 연결부 954: 작동부
655, 955: 클러치 656, 956: 복원력 제공부 67, 97: 이송부
671, 971: 지지바디 675, 975: 연결부 베어링 677, 977: 액추에이터
679, 979: 이송부 가이드

Claims (14)

  1. 상부면에 제1유입구가 구비되고, 원주면 또는 바닥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출구가 구비된 제1챔버;
    상기 제1챔버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고, 상부면에 제2유입구가 구비된 제2챔버;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2유입구를 연결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연결챔버;
    상기 연결챔버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액체와 음식물을 상기 제1유입구로 공급하는 챔버 투입구;
    상기 제1챔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원통형상의 드럼바디;
    상기 드럼바디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유입구로 유입된 액체와 음식물을 상기 드럼바디 내부로 안내하는 드럼 유입구;
    상기 드럼바디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드럼바디 내부의 음식물을 분쇄하는 분쇄부;
    상기 드럼바디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드럼바디의 바닥면에서 상기 드럼 유입구를 향해 상승하는 기류를 형성하여 상기 드럼바디 내부의 음식물을 상기 연결챔버로 배출시키는 기류형성부;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단은 상기 드럼바디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제1챔버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1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 및 상기 드럼 바디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분쇄부 및 상기 기류형성부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제2회전축;
    상기 제2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제1지점과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지점에 위치하면 상기 모터가 제공하는 동력을 상기 제1회전축에 전달하지 않고, 상기 제2지점에 위치하면 상기 모터가 제공하는 동력을 상기 제1회전축에 전달하는 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의 원주면에 구비된 제1축 기어;
    상기 제1챔버의 외부에 고정된 스토퍼 바디;
    상기 스토퍼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회전축이 관통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스토퍼 관통홀;
    상기 스토퍼 바디 구비된 제1체결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제2회전축이 고정되는 연결바디;
    상기 연결바디에 구비된 제2체결부;
    상기 클러치를 관통하는 클러치 관통홀을 형성하며, 상기 제1축 기어에 결합하는 클러치 기어;
    상기 클러치가 상기 제1지점에 위치한 때 상기 제1체결부에 결합하도록, 상기 클러치에 구비된 클러치 제1체결부; 및
    상기 클러치가 상기 제2지점에 위치한 때 상기 제2체결부에 결합하도록, 상기 클러치에 구비된 클러치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와 상기 연결바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클러치를 상기 스토퍼 바디 방향으로 가압하는 복원력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스토퍼 바디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클러치를 향하는 면에 형성된 홈 또는 돌기로 구비되고,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연결바디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클러치를 향하는 면에 형성된 홈 또는 돌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바디와 상기 연결바디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바디;
    상기 지지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바디 관통홀;
    상기 클러치를 상기 바디 관통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클러치 베어링;
    상기 클러치가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도록 상기 지지바디의 위치를 조절하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회전축이 관통하는 축관통홀;
    상기 제1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축관통홀 내부에 위치하는 제1축 기어;
    상기 제2회전축의 원주면에 상기 제2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제2축 기어;
    상기 제1챔버의 외부에 고정된 스토퍼 바디;
    상기 스토퍼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스토퍼 관통홀;
    상기 스토퍼 관통홀에 구비된 스토퍼 기어;
    상기 축관통홀과 상기 스토퍼 관통홀을 따라 이동 가능한 작동바디;
    상기 작동바디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축 기어와 상기 스토퍼 기어를 연결 가능한 작동바디 제1기어;
    상기 작동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회전축이 관통하는 작동바디 관통홀;
    상기 작동바디 관통홀에 구비된 작동바디 제2기어;
    상기 스토퍼 바디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회전축이 고정되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연결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는 상기 작동바디와 상기 연결바디 사이를 왕복하도록 구비된 클러치 바디; 상기 클러치 바디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바디 제2기어에 결합 가능한 클러치 제1기어; 및 상기 클러치 바디를 관통하는 클러치 관통홀; 상기 클러치 관통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클러치 바디를 상기 제2축 기어에 연결하는 클러치 제2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가 상기 제1지점에 위치하면, 상기 클러치 제1기어는 상기 작동바디 제2기어에서 분리되고, 상기 작동바디 제1기어는 상기 제1축 기어와 상기 스토퍼 기어를 연결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클러치가 상기 제2지점에 위치하면, 상기 클러치 제1기어는 상기 작동바디 제2기어에 결합하고, 상기 작동바디 제1기어는 상기 제1축 기어에만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축관통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바디를 상기 스토퍼 바디가 위치된 방향으로 가압하는 복원력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에서 상기 제1유입구를 향해 연장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되, 상단이 상기 드럼 유입구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하는 차단벽; 및
    상기 차단벽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차단벽 내부의 액체를 상기 제1챔버로 배출하는 차단벽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바디의 원주면과 상기 드럼바디의 바닥면에는 상기 드럼바디 내부를 상기 제1챔버에 연통시키는 관통홀이 구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드럼 유입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드럼바디 내부의 액체를 상기 제1챔버로 배출하는 연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바디의 내측 원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바디의 바닥면에서 상기 드럼 유입구를 향할수록 상기 드럼바디의 회전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드럼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연결챔버를 구분하는 격벽;
    상기 격벽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유입구를 형성하는 격벽 관통홀;
    상기 격벽 관통홀에서 상기 드럼바디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원통형상의 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의 내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의 자유단에서 상기 격벽 관통홀을 향할수록 상기 제1유입구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가이드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경사면의 경사각도는 상기 드럼 경사면의 경사각도와 동일하거나, 상기 드럼 경사면의 경사각도보다 더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KR1020190093138A 2019-07-31 2019-07-31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음식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550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138A KR102550658B1 (ko) 2019-07-31 2019-07-31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음식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138A KR102550658B1 (ko) 2019-07-31 2019-07-31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음식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984A KR20210014984A (ko) 2021-02-10
KR102550658B1 true KR102550658B1 (ko) 2023-07-03

Family

ID=74561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138A KR102550658B1 (ko) 2019-07-31 2019-07-31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음식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065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1856A (ja) 1998-11-30 2000-06-16 Mitsubishi Electric Corp 厨芥乾燥処理装置
JP2000308873A (ja) 1999-04-26 2000-11-07 Twinbird Corp 生ゴミ処理装置
KR200243674Y1 (ko) 2001-05-17 2001-10-15 (주)이아이글로벌 싱크대용 음식물찌거기 처리장치
JP2002212994A (ja) 2001-01-18 2002-07-31 Kenji Mochizuki 水切りかごの脱水装置
JP2005230639A (ja) 2004-02-18 2005-09-02 Ishikawajima Transport Machinery Co Ltd 生ゴミ処理機
JP2014040765A (ja) 2012-07-24 2014-03-06 Lixil Corp 排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068B1 (ko) * 2014-07-31 2021-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1856A (ja) 1998-11-30 2000-06-16 Mitsubishi Electric Corp 厨芥乾燥処理装置
JP2000308873A (ja) 1999-04-26 2000-11-07 Twinbird Corp 生ゴミ処理装置
JP2002212994A (ja) 2001-01-18 2002-07-31 Kenji Mochizuki 水切りかごの脱水装置
KR200243674Y1 (ko) 2001-05-17 2001-10-15 (주)이아이글로벌 싱크대용 음식물찌거기 처리장치
JP2005230639A (ja) 2004-02-18 2005-09-02 Ishikawajima Transport Machinery Co Ltd 生ゴミ処理機
JP2014040765A (ja) 2012-07-24 2014-03-06 Lixil Corp 排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984A (ko) 202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9815B1 (ko) 음식물 처리기
US5495795A (en) Juice extractors
KR20160009449A (ko) 음식물 처리장치
CN101698972B (zh) 滚筒式洗衣机
US20100213298A1 (en) Transfer unit having transfer rotor and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0402189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US2409497A (en) Juice extractor
KR102550658B1 (ko)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음식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37532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792851B1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처리장치
KR20170038053A (ko) 드럼 세탁기
JPH10141237A (ja) 液体定量供給ポンプ
KR100455796B1 (ko) 개선된빙과류분배기계
US4881287A (en) Apparatus for treating round objects
KR20210009554A (ko)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음식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10009555A (ko)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음식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00124101A (ko) 미생물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
KR100758943B1 (ko) 교반날개가 틸팅되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JP2000107482A (ja) 洗濯機
KR102454767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210123841A (ko) 음식물 처리장치
KR101170496B1 (ko) 미생물 균질기
US1203653A (en) Power-transmitting device.
US2441723A (en) Clothes washing machine
JPH09201523A (ja) 撹拌混合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