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4350A -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 - Google Patents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4350A
KR20230064350A KR1020210149841A KR20210149841A KR20230064350A KR 20230064350 A KR20230064350 A KR 20230064350A KR 1020210149841 A KR1020210149841 A KR 1020210149841A KR 20210149841 A KR20210149841 A KR 20210149841A KR 20230064350 A KR20230064350 A KR 20230064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waste
stirring
disposed
cas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9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미
고해훈
Original Assignee
이춘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미 filed Critical 이춘미
Priority to KR1020210149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4350A/ko
Publication of KR20230064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43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addles, blades o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805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valves, gates, orifices or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02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with agitation means; with heat exchange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되고, 내부에 유기성 폐기물과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교반탱크;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교반탱크의 외측에 배치된 동력수단;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외부에서 상기 교반탱크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교반탱크의 내부에 배치되고, 미생물에 의해 분해된 유기성 폐기물이 배출되도록 다수의 타공홀이 형성된 타공 플레이트; 상기 교반탱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타공 플레이트에서 배출되는 유기성 폐기물이 유입되는 배수판;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배수판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교반탱크의 수납공간에 배치되고, 동력수단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회전샤프트; 상기 회전샤프트에 결합되고, 상기 유기성 폐기물 및 미생물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샤프트;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교반탱크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배수판에서 배출되는 유기성 폐기물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Organic waste disposal device}
본 발명은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반유닛이 유기성 폐기물에 의해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구동하고, 유기성 폐기물이 아닌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으며, 냄새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미생물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방법으로는, 건조기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을 강제 건조시켜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감량시키도록 하는 건조 방식과,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한 교반조 내에 미생물을 투입하고 적정 온도와 습도 및 공기(산소) 등을 공급하여 발효시켜 물과 탄산가스로 배출시키는 액상 소멸 방식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장치에는 음식물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가 교반조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교반기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교반봉을 매개로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하면서 음식물을 교반하는 교반날개를 포함한다.
음식물 쓰레기의 교반 시,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수분과 혼합된 음식물에 의하여 발생하는 큰 저항력에 의해 원활한 교반이 이루어지지 않고, 회전축과 교반날개가 접합된 부위가 피로 하중의 누적에 의해 파손되거나, 모터의 부하가 증대되어 모터의 오동작을 유발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른 저항력을 고려하여 교반날개의 각도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한편, 종래의 교반기는 회전축에 교반봉을 조립하기 위한 구성으로, 회전축에 형성된 관통홀에 교반봉을 관통시켜 삽입하고, 교반봉의 외측면에는 교반봉이 회전축에 삽입되는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부재를 용접에 의해 결합시키고, 관통홀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교반봉의 외주면에 나선부를 형성하고, 상기 나선부에 너트를 나사 결합시켜 체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회전축과 교반봉 간의 조립구조에 의하면, 교반봉에 스토퍼부재를 용접하는 공정이 수반되므로 조립구조가 복잡하고, 너트를 교반봉의 나선부에 나사 결합하는 과정에서 교반봉이 정 위치에 지지되지 않아 임의의 위치로 회전되어 교반날개의 각도 조정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며, 회전축과 교반봉 간의 체결이 견고하지 못해 사용도중 교반봉이 임의로 회전되어 너트가 풀려 교반봉이 회전축에서 분리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교반기와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9746호에는 발효실의 내부에 설치되는 교반부재의 교반날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발효실의 내면에 긁혀 그 내부가 손상되거나 끼인 상태로 회동하면서 교반날개가 부러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다른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4-0006259호에는 교반봉에 부착되는 임펠라(교반날개)를 일정 각도로 절곡 형성하거나, 임펠라의 몸체에 날개가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교반 시 음식물 쓰레기의 저항에 의한 날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교반기가 개시되어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46612호에는 교반날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거나,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 전체에 걸쳐 효율적인 교반을 가능하게 하고, 교반날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 가능한 교반익 구조의 교반기를 지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에는, 교반 대상물의 종류에 따른 저항력을 고려하기 위한 구성이 미비한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141993호가 제안된바 있다.
상기 특허는 교반봉의 외측면에 다각 형상의 제1 기둥부를 구비하고, 회전축의 일 측 에 회전축을 관통한 교반봉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제1 기둥부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회전 방지턱이 형성된 제1 고정홈을 형성함으로써, 교반 대상물의 종류에 따른 저항력을 고려하여 교반날개의 각도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어 회전축의 회전 시 교반봉과 교반날개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원활한 교반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렇지만, 상기와 같이, 교반기를 포함하여 음식물 폐기물을 처리하더라도 배출되는 폐기물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억제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9746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4-0006259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014661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41993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음식물 폐기물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미생물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 등의 유기성 폐기물을 소멸하여 배출되는 폐기물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최소화할 수 있는 미생물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되고, 내부에 유기성 폐기물과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교반탱크;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교반탱크의 외측에 배치된 동력수단;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외부에서 상기 교반탱크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교반탱크의 내부에 배치되고, 미생물에 의해 분해된 유기성 폐기물이 배출되도록 다수의 타공홀이 형성된 타공 플레이트; 상기 교반탱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타공 플레이트에서 배출되는 유기성 폐기물이 유입되는 배수판;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배수판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교반탱크의 수납공간에 배치되고, 동력수단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회전샤프트; 상기 회전샤프트에 결합되고, 상기 유기성 폐기물 및 미생물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샤프트;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교반탱크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배수판에서 배출되는 유기성 폐기물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교반유닛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더라도 과부하가 걸리지 않는 방향으로 자동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미생물을 통한 유기성 폐기물의 분해 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지면서 교반유닛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교반탱크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을 탈수장치를 이용하여 탈수하여 배출하기 때문에 배출된 폐기물에서 냄새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의 교반탱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의 탈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의 탈수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의 탈수장치에서 분해된 유기성 폐기물을 압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의 교반탱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의 감량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의 교반탱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10)는, 케이스(11), 교반탱크(20), 타공 플레이트(30), 배수판(40), 교반유닛(50) 및 탈수장치(200)를 포함한다.
케이스(11)는 다수의 플레이트와 제작되는 일반적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11)는 상부에 유기성 폐기물이 공급되는 탱크덮개(27)가 배치된다. 탱크덮개(27)는 케이스(1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수납부(21)의 상부를 덮되, 케이스(11)의 상부에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탱크덮개(27)를 개방하여 교반탱크(20)의 수납부(21)에 처리하고자 하는 유기성 폐기물이나 미생물을 교반탱크(20)의 수납부(21)에 투입할 수 있다.
교반탱크(20)는, 케이스(11) 내측에 고정 결합되며, 유기성 폐기물 및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하기 위해 미생물이 수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납부(21)가 형성된다. 이때, 수납부(21)에 유기성 폐기물이 일정 이상 수용되는 경우,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배출홀(23)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의 내부에는 외부에서 물이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 밸브(2) 및 제2 솔레노이드 밸브(3)가 배치될 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1)의 상단에 제1 솔레노이드 밸브(2)와 연결되어 교반탱크(20)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1 분사홀(2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분사홀(25)을 통해 교반탱크(20)의 내부로 공급되는 물은 교반탱크(20)의 수납부(21)를 자동으로 세척하기 위해 공급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1 분사홀(25)에는 물을 분사하기 위한 노즐(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타공 플레이트(30)는, 교반탱크(20)의 내부에 배치되고, 다수의 타공홀(31)이 형성될 수 있다.
타공 플레이트(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교반탱크(20)의 수납부(21)의 하단에 걸쳐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타공 플레이트(30)는, 교반탱크(20)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타공 플레이트(30)에 형성된 다수의 타공홀(31)은 약 1.2mm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배수판(40)은 교반탱크(20)의 하측 외부에 배치되고, 타공 플레이트(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교반탱크(20)의 수납부(21)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된 유기성 폐기물이 타공 플레이트(30)를 통해 배수판(40)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배수판(41)에는 내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2 분사홀(4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분사홀(41)은 제2 솔레노이드 밸브(3)와 연결될 수 있고, 또한, 제2 분사홀(41)에 물의 공급을 위한 노즐이 설치될 수 있다.
교반유닛(50)은, 교반탱크(20)의 수납부(21)에 수납된 유기성 폐기물과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하기 위해 투입되는 미생물을 고르게 교반하기 위해 구비된다.
교반유닛(50)은, 교반탱크(20)의 외측에 배치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할 수 있는 동력수단(1)에 의해 구동되고, 교반탱크(20)의 전면 및 후면에 회전할 수 있게 회전샤프트(51)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샤프트(51)에는 다수의 교반샤프트(52)가 배치될 수 있으며, 다수의 교반샤프트(52)는 회전샤프트(51)의 외주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교반샤프트(52)는 회전샤프트(51)에 고정되며, 회전샤프트(51)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된다. 그리고 다수의 교반샤프트(52) 각각의 끝단에 교반샤프트(52)의 단부에서 회전할 수 있는 회전용 바디가 결합될 수 있다.
회전용 바디는, 교반샤프트(52)의 끝단에 교반샤프트(52)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교반샤프트(52)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용 바디에는, 교반 탱크 내의 유기성 폐기물과 미생물을 교반하기 위해 회전용 교반주걱이 형성될 수 있다.
탈수장치(200)는, 교반탱크(20)의 하부에 배치된 배수판(40)에서 배출되는 분해가 완료된 유기성 폐기물이 공급되고, 분해된 유기성 폐기물에서 수분을 제거하여 배출한다. 따라서 탈수장치(200)를 통해 배출되는 유기성 폐기물은 수분이 최소화된 상태로 배출될 수 있으며, 배출된 유기성 폐기물에서 제거된 폐수는 별도의 배출부(250)를 통해 배출부(25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탈수장치(200)는, 스크류(260)를 이용하여 유기성 폐기물에 포함된 수분을 짜는 방식으로 제거하며, 제거된 수분은 배출부(25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탈수장치(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장치(200)의 배출부재(214)가 다른 위치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의 스크류(260)가 동작함에 따라 유기성 폐기물에서 제거된 수분은 배출부재(214)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배치된 배출부(2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탈수장치(200)에 대해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의 탈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의 탈수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의 탈수장치에서 분해된 유기성 폐기물을 압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탈수장치(200)는, 하우징(210), 공급부(220), 제1 내부하우징(230), 제2 내부하우징(240), 배출부(250), 스크류(260), 고정부(270), 결합부(280) 및 건조부(290)를 포함한다.
하우징(210)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일단에 탈수된 유기성 폐기물이 배출되는 배출부재(214)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210)의 상부에 탈수장치(200)로 유기성 폐기물이 공급되는 공급부(220)가 배치되고, 하우징(210)의 하부에 탈수장치(200)에서 물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부(25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210)의 상부에 공급부(220)에서 유기성 폐기물이 하우징(210)의 내부로 공급되기 위해 상부에 외부 공급구(210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부 공급부(220)의 상부에 공급부(22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우징(210)의 하부에 배출부(250)와 결합되는 위치에 배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210)의 타 측에 고정부(270)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210)에 형성된 중공의 타 측단은 고정부(270)에 의해 일부가 폐쇄될 수 있다.
하우징(210)의 일 측에 배출부재(214)가 배치되는데, 이때, 하우징(210)과 배출부재(214) 사이에 연결부재(212) 및 압착부(216)가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재(212)는 원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유기성 폐기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압착부(216)는 연결부재(212)와 배출부재(214) 사이에 배치되고, 연결부재(212)에 형성된 홀을 통과한 유기성 폐기물이 배출되기 위해 형성된 확장부(216a)가 형성될 수 있다. 확장부(216a)는 압착부(216)에 형성된 십자 형상의 홀 주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압착부(216)는 다른 구성들과 달리, 가요성(flexible)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일례로, 압착부(216)는, 폴리우레탄 소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후술할 스크류(260)의 동작에 의해 배출부재(214) 측으로 이동하는 유기성 폐기물이 압착부(216)의 확장부(216a)와 접촉되고, 압착부(216)에 형성된 십자 형상의 홀 주변에 배치된 확장부(216a)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되면서 압착부(216)에 형성된 십자 형상의 홀 크기가 커질 수 있다. 이렇게 유기성 폐기물에 의해 십자 형상의 홀 크기가 커짐에 따라 유기성 폐기물이 확장부(216a)에 의해 가압되어 내부 수분이 제거될 수 있다. 이렇게 가압되어 제거된 수분은 하우징(210)의 내면을 따라 배출부(250) 측으로 흘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 내부하우징(230)은, 하우징(210)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스크류(260)가 배치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내부하우징(2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으로 갈수록 중공의 너비가 줄어드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류(260)의 동작으로 일 측 방향으로 유기성 폐기물이 이동됨에 따라 제1 내부하우징(230)의 내측면과 접촉되면서 이동할수록 제1 내부하우징(230)의 내측면에 가압되어 유기성 폐기물에서 수분이 제거될 수 있다.
제2 내부하우징(240)은, 제1 내부하우징(230)과 결합되고, 내부에 스크류(260)의 일부가 배치되도록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내부하우징(240)의 일 측에 제1 내부하우징(230)이 결합된다. 그리고 제2 내부하우지의 상부에 내부 공급구가 형성될 수 있다. 내부 공급구는 외부 공급구(210a)에서 연장되며, 외부 공급구(210a)를 통해 공급된 유기성 폐기물을 스크류(260) 측으로 공급하기 위해 형성된다.
배출부(25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우징(2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유기성 폐기물에서 제거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때, 배출부(250)는 배출부재(214)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도 3에 하우징(210)의 길이 방향이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내부하우징(240)의 하부에 제1 내부하우징(230) 및 제2 내부하우징(240)의 내부의 물이 배출부(250)로 배출되도록 배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260)는 제1 내부하우징(230)의 중공 및 제2 내부하우징(240)의 중공에 걸쳐 배치되고, 스크류(260)의 일단은 제1 내부하우징(230) 중공의 끝단까지 배치되며, 스크류(260)의 타단은 고정부(270)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모터(M)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류(2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에서 일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모터(M)의 구동에 따라 스크류(260)가 구동되며, 스크류(260)의 구동됨에 따라 유기성 폐기물이 타단에서 일단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고정부(270)는 제2 내부하우징(240)의 타단에 결합되고, 스크류(260)의 타단이 관통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부(270)에는 제2 내부하우징(240)을 둘러싸도록 하우징(210)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270)의 타단에 모터(M)가 배치된다.
또한, 고정부(270)의 하부에 결합부(280)가 배치된다. 결합부(280)는 탈수장치(200)를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10)에 결합시키기 위해 배치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장치(200)가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도록 고정부(270)와 결합될 수 있다.
건조부(290)는, 배출부재(214)의 일단에 배치되고, 배출부재(214)를 통해 배출되는 유기성 폐기물을 건조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건조부(290)는 예컨대, 열풍기일 수 있고, 열풍기는 수분이 제거되어 배출부재(214)를 통해 배출되는 유기성 폐기물에 열풍을 공급하여 추가로 유기성 폐기물을 건조할 수 있다. 이때, 건조부(290)는, 열풍기 외에 다른 건조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모터(M)는 스크류(260)를 구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며, 외부에서 공급된 전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터(M)는 상대적으로 저속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스크류(260)가 회전하여 유기성 폐기물에서 수분이 제거될 수 있는 속도로 구동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의 교반탱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10)는, 케이스(11), 교반탱크(20), 타공 플레이트(30), 배수판(40), 교반 유닛, 감량기(100) 및 고형물 분리 장치(200)를 포함한다.
케이스(11)는 다수의 플레이트와 제작되는 일반적인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내부에 교반탱크(20), 감량기(100) 및 고형물 분리 장치(200)가 설치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교반탱크(20)는, 케이스(11)의 내측에 고정 결합되고, 유기성 폐기물 및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하기 위한 미생물이 수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납부(21)가 형성된다. 이때, 수납부(21)는 유기성 폐기물이 일정 이상 수용되는 경우,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탱크 배출홀(2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납부(21)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의 내부에는 외부에서 물이 공급되는 제어하기 위해 제1 솔레노이드 밸브(2) 및 제2 솔레노이드 밸브(3)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교반탱크(20)의 상단에 제1 솔레노이드 밸브(2)와 연결되어 교반탱크(20)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1 분사홀(2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분사홀(25)을 통해 교반탱크(20)의 내부로 공급되는 물은 교반탱크(20)의 수납부(21)를 자동으로 세척하기 위해 공급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1 분사홀(25)에는 물을 분사하기 위한 노즐(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교반탱크(20)에 형성된 수납부(21)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며, 이를 덮기 위해 탱크덮개(27)가 구비될 수 있다. 탱크덮개(27)는 케이스(1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수납부(21)의 상부를 덮되, 케이스(11)의 상부에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탱크덮개(27)를 개방하여 교반탱크(20)의 수납부(21)에 처리하고자 하는 유기성 폐기물이나 미생물을 교반탱크(20)의 수납부(21)에 투입할 수 있다.
타공 플레이트(30)는, 교반탱크(20)의 내부에 배치되고, 다수의 타공홀(31)이 형성될 수 있다.
타공 플레이트(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교반탱크(20)의 수납부(21)의 하단에 걸쳐진 상태와 같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타공 플레이트(30)는 교반탱크(20)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타공 플레이트(30)에 형성된 다수의 타공홀(31)은 약 1.2mm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배수판(40)은 교반탱크(20)의 하측 외부에 배치되고, 타공 플레이트(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교반탱크(20)의 수납부(21)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된 유기성 폐기물이 타공 플레이트(30)를 통해 배수판(40)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배수판(40)에는 내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2 분사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는데, 제2 분사홀은 제2 솔레노이드 밸브(3)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분사홀에는 물의 분사를 위하나 노즐이 설치될 수 있다.
교반유닛(50)은, 교반탱크(20)의 수납부(21)에 수납된 유기성 폐기물과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하기 위해 투입되는 미생물을 고르게 교반하기 위해 구비된다. 교반유닛(50)은 교반탱크(20)의 외측에 배치된 동력수단(1)에 의해 구동되며, 교반탱크(20)의 전면 및 후면에 회전할 수 있게 회전샤프트(51)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동력수단(1)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회전샤프트(51)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샤프트(51)에는 다수의 교반샤프트(52)가 배치될 수 있으며, 다수의 교반샤프트(52)는 회전샤프트(51)의 외주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교반샤프트(52)는 회전샤프트(51)에 의해 고정되고, 회전샤프트(51)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교반샤프트(52) 각각의 끝단에 교반샤프트(52)의 단부에서 회전할 수 있는 회전용 바디가 결합될 수 있다.
회전용 바디는, 교반샤프트(52)의 끝단에 교반샤프트(52)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게 교반샤프트(52)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용 바디에는 교반탱크(20) 내의 유기성 폐기물과 미생물을 교반하기 위해 회전용 교반주걱이 형성될 수 있다.
감량기(100)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탱크(20)의 일 측에 배치되고, 타 측이 교반탱크(20)에 결합된 상태로 배치된다. 감량기(100)는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유기성 폐기물이 감량기(100)에 투입되면, 유기성 폐기물을 감량하기 위해 구성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의 감량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감량기(100)는 도 10을 참조하면, 호퍼(110), 보호커버(120), 제1 회전기(130) 및 제2 회전기(140)를 포함한다.
따라서 감량기(100)는 제1 회전기(130) 및 제2 회전기(140)가 회전하면서, 투입된 유기성 폐기물을 분쇄 및 압착하여 교반탱크(2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보호커버(120)의 내부에 제1 회전기(130) 및 제2 회전기(14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보호커버(120)의 내부에 제1 회전기(130) 및 제2 회전기(14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유기성 폐기물이 공급되기 위한 공급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급홀(122)에 유기성 폐기물이 외부에 공급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케이스(11)의 상단에 호퍼(110)가 설치될 수 있다.
호퍼(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는 넓고 하부로 갈수록 폭이 줄어드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 끝단이 보호커버(120)의 공급홀(122)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호퍼(110)에 유기성 폐기물이 투입되면, 유기성 폐기물은 호퍼(110)의 형상을 따라 하강하여 공급홀(122)을 통해 감량기(100)로 공급될 수 있다.
제1 회전기(130)는, 동력수단(1)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기(130)의 일 측에 동력수단(1)에서 동력이 전달되도록 동력전달부(131)가 배치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131)는 동력수단(1)과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동력전달부(131)는 동력수단(1)과 체인 등으로 연결되기 위한 기어일 수 있다.
동력전달부(131)에 인접하게 제1 회전기(130)의 길이 방향으로 제1 기어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기어부(133)는 제2 회전기(140)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구비되며, 보호커버(12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어부(133)에 인접하게 제1 이송부(135)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이송부(135)는 보호커버(12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고, 공급홀(122)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공급홀(122)에서 공급된 유기성 폐기물을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이송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제1 이송부(135)는 회전에 의해 유기성 폐기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나선형상의 블레이드날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이송부(135)는 음식물 쓰레기 등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나선형상의 블레이드는 유기성 폐기물을 빠르게 이송시키기 위해 블레이드날의 피치 간격이 넓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이송부(135)의 일 측에 제1 분쇄부(137)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분쇄부(137)는, 제1 회전기(130)의 축 외주면에 다수의 분쇄날이 형성되며, 제2 회전기(140)에 형성된 제2 분쇄부(147)에 형성된 다수의 분쇄날과 맞물려 유기성 폐기물을 짓이겨 분쇄할 수 있다. 이때, 보호커버(120)는 제1 분쇄부(137)가 배치된 부분의 내부 체적공간이 줄어들어 유기성 폐기물의 분쇄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분쇄부(137)는 다수의 분쇄날의 직경이 후단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유기성 폐기물이 다수의 분쇄날 사이에서 분쇄될 수 있다.
제1 분쇄부(137)의 일 측에 제1 중간 이송부(139)가 배치되며, 제1 중간 이송부(139)는 제1 분쇄부(137)에서 분쇄된 유기성 폐기물이 배출홀(124)을 통해 배출되도록 유기성 폐기물을 이송시킨다.
제2 회전기(140)는, 제1 회전기(130)에서 전달된 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제2 회전기(140)는 제1 회전기(13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회전기(1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2 회전기(14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회전기(140)의 끝단에 제2 기어부(143)가 배치되고, 제2 기어부(143)는 제1 기어부(133)와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제1 기어부(133)로부터 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기어부(143)는 보호커버(12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어부(143)에 인접하게 제2 이송부(145)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이송부(145)는 보호커버(12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고, 공급홀(122)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공급홀(122)에서 공급된 유기성 폐기물을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이송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제2 이송부(145)는 회전에 의해 유기성 폐기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나선형상의 블레이드날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이송부(145)는 음식물 쓰레기 등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나선형상의 블레이드는 유기성 폐기물을 빠르게 이송시키기 위해 블레이드날의 피치 간격이 넓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이송부(145)의 일 측에 제2 분쇄부(147)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분쇄부(147)는, 제2 회전기(140)의 축 외주면에 다수의 분쇄날이 형성되며, 제1 회전기(130)에 형성된 제1 분쇄부(137)에 형성된 다수의 분쇄날과 맞물려 유기성 폐기물을 짓이겨 분쇄할 수 있다. 이때, 보호커버(120)는 제2 분쇄부(147)가 배치된 부분의 내부 체적공간이 줄어들어 유기성 폐기물의 분쇄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분쇄부(147)는 다수의 분쇄날의 직경이 후단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유기성 폐기물이 다수의 분쇄날 사이에서 분쇄될 수 있다.
제2 분쇄부(147)의 일 측에 제2 중간 이송부(149)가 배치되며, 제2 중간 이송부(149)는 제2 분쇄부(147)에서 분쇄된 유기성 폐기물이 배출홀(124)을 통해 배출되도록 유기성 폐기물을 이송시킨다.
즉, 본 실시예에서, 감량기(100)는 음식물 쓰레기 등의 유기성 폐기물을 분쇄하여 분쇄된 유기성 폐기물을 배출하여 교반탱크(20) 내로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량기(100)의 보호커버(120)에 형성된 배출홀(124)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탱크(20)의 내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고형물 분리 장치(200)는, 교반탱크(20)의 하부에 배치된 배수판(40)에서 배출되는 유기성 폐기물을 공급받아, 공급된 유기성 폐기물에서 수분을 분리하고, 수분이 분리된 유기성 폐기물인 고형물을 배출한다. 따라서 고형물 분리 장치(200)를 통해 배출되는 유기성 폐기물은 수분이 최소화된 상태로 배출될 수 있고, 배출된 유기성 폐기물인 고형물에서 분리된 수분은 별도의 배출부(25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렇게 고형 분리 장치에서 배출된 고형물은 별도로 재활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형물 분리 장치(200)는 스크류(260)를 이용하여 유기성 폐기물에 포함된 수분을 짜는 방식으로 제거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
1: 동력수단
2: 제1 솔레노이드 밸브 3: 제2 솔레노이드 밸브
11: 케이스
20: 교반탱크 21: 수납부
23: 배출홀 25: 제1 분사홀
27: 탱크덮개
30 : 타공 플레이트 31 : 타공홀
40 : 배수판 41 : 제2 분사홀
50 : 교반유닛
51 : 회전샤프트 52 : 교반샤프트
100: 감량기 110: 호퍼
120: 보호커버 122: 공급홀
124: 배출홀
130: 제1 회전기 131: 동력전달부
133: 제1 기어부 135: 제1 이송부
137: 제1 분쇄부 139: 제1 중간 이송부
140: 제2 회전기
143: 제2 기어부 145: 제2 이송부
147: 제2 분쇄부 149: 제2 중간 이송부
200: 탈수장치
210: 하우징 210a: 외부 공급구
212: 연결부재 214: 배출부재
216: 압착부 216a: 확장부
220: 공급부
230: 제1 내부하우징 240: 제2 내부하우징
240a: 내부 공급구
250: 배출부 260: 스크류
270: 고정부 280: 결합부
290: 건조부
M: 모터

Claims (1)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되고, 내부에 유기성 폐기물과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교반탱크;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교반탱크의 외측에 배치된 동력수단;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외부에서 상기 교반탱크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교반탱크의 내부에 배치되고, 미생물에 의해 분해된 유기성 폐기물이 배출되도록 다수의 타공홀이 형성된 타공 플레이트;
    상기 교반탱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타공 플레이트에서 배출되는 유기성 폐기물이 유입되는 배수판;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배수판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교반탱크의 수납공간에 배치되고, 동력수단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회전샤프트;
    상기 회전샤프트에 결합되고, 상기 유기성 폐기물 및 미생물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샤프트;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교반탱크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배수판에서 배출되는 유기성 폐기물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장치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
KR1020210149841A 2021-11-03 2021-11-03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 KR202300643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841A KR20230064350A (ko) 2021-11-03 2021-11-03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841A KR20230064350A (ko) 2021-11-03 2021-11-03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350A true KR20230064350A (ko) 2023-05-10

Family

ID=86386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841A KR20230064350A (ko) 2021-11-03 2021-11-03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4350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6612Y1 (ko) 1996-12-23 1999-06-15 전주범 이동가능한 교반익 구조의 교반기를 지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200359746Y1 (ko) 2004-06-04 2004-08-21 비오겐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40006259U (ko) 2013-06-05 2014-12-15 이성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교반기
KR20160141993A (ko) 2015-06-02 2016-12-12 김한수 교반기 및 이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6612Y1 (ko) 1996-12-23 1999-06-15 전주범 이동가능한 교반익 구조의 교반기를 지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200359746Y1 (ko) 2004-06-04 2004-08-21 비오겐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40006259U (ko) 2013-06-05 2014-12-15 이성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교반기
KR20160141993A (ko) 2015-06-02 2016-12-12 김한수 교반기 및 이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7339B2 (en) Transfer unit having transfer rotor and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same
JP4906838B2 (ja) 生ごみ処理機の乾燥炉
KR2010011352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20023386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5102391B2 (ja) バルブ排出装置
KR20200124101A (ko) 미생물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
KR20230064350A (ko)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
KR200414796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051524A (ko) 음식물쓰레기 분쇄 및 건조장치
KR20100041612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이송분쇄로
KR101746184B1 (ko) 음식물분쇄건조처리기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KR20190091989A (ko)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
JPH11244839A (ja) 生ごみ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KR200209783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2054071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
KR19990020542U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171842Y1 (ko) 정수장용 활성탄 투입장치
KR20090037110A (ko) 음식물 처리기
KR10074563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건조실
KR960007117Y1 (ko) 잔반 처리기
KR100286110B1 (ko) 음식물 찌꺼기 감량기
KR2024005221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378842Y1 (ko) 잔반 처리장치
KR102454528B1 (ko) 폐 콩나물 처리 장치
CN216687940U (zh) 餐厨垃圾处理器用发酵单元供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