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4528B1 - 폐 콩나물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폐 콩나물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4528B1
KR102454528B1 KR1020200054169A KR20200054169A KR102454528B1 KR 102454528 B1 KR102454528 B1 KR 102454528B1 KR 1020200054169 A KR1020200054169 A KR 1020200054169A KR 20200054169 A KR20200054169 A KR 20200054169A KR 102454528 B1 KR102454528 B1 KR 102454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n sprouts
discharge
waste
stirring
waste b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6231A (ko
Inventor
임규순
Original Assignee
임규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규순 filed Critical 임규순
Priority to KR1020200054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4528B1/ko
Publication of KR20210136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two or more inter-engaging rotatable cutte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21Screw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27Fee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2018/147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of the plural stage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 콩나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폐 콩나물이 유입되는 호퍼를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하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교반 스크류가 내부에 설치되어 폐 콩나물을 토출 수단의 입구로 유입하는 교반수단을 호퍼의 하부에 설치하며, 토출 수단의 입구로 유입되는 폐 콩나물을 분쇄하는 분쇄수단을 상기 교반 스크류의 직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분쇄수단의 하측에 설치되어 분쇄된 콩나물을 압축 및 건조시켜 입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토출수단을 교반수단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본체에 설치 구성하는 데, 상기 교반 스크류를 구성하고 있는 스크류 축과 교반날개에는 회전 분쇄부가 통과하는 통과홈을 형성하므로서, 상기 교반 스크류를 통과한 폐 콩나물은 통과홈을 통과하는 분쇄날을 이용하여 바로 분쇄하여 토출 하우징의 입구로 공급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교반 스크류를 통과한 폐 콩나물이 교반 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교반 하우징의 내부에 남아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토출 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토출 하우징의 중간에는 다수의 배출홀을 타공하며, 그 토출 하우징의 출구단에는 건조부를 형성하여 물기가 제거된 폐 콩나물을 바로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폐 콩나물의 건조 과정에서 전력 소모를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토출 하우징의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폐 콩나물이 가루 또는 가루 떡 모양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폐 콩나물의 운반 및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폐 콩나물 처리 장치 { Bean sprouts processing device }
본 발명은 폐 콩나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 콩나물이 유입되는 호퍼를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하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교반 스크류가 내부에 설치되어 폐 콩나물을 토출 수단의 입구로 유입하는 교반수단을 호퍼의 하부에 설치하며, 토출 수단의 입구로 유입되는 폐 콩나물을 분쇄하는 분쇄수단을 상기 교반 스크류의 직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분쇄수단의 하측에 설치되어 분쇄된 콩나물을 압축 및 건조시켜 입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토출수단을 교반수단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본체에 설치 구성하는 데, 상기 교반 스크류를 구성하고 있는 스크류 축과 교반날개에는 회전 분쇄부가 통과하는 통과홈을 형성하므로서, 상기 교반 스크류를 통과한 폐 콩나물은 통과홈을 통과하는 분쇄날을 이용하여 바로 분쇄하여 토출 하우징의 입구로 공급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교반 스크류를 통과한 폐 콩나물이 교반 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교반 하우징의 내부에 남아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토출 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토출 하우징의 중간에는 다수의 배출홀을 타공하며, 그 토출 하우징의 출구단에는 건조부를 형성하여 물기가 제거된 폐 콩나물을 바로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폐 콩나물의 건조 과정에서 전력 소모를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토출 하우징의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폐 콩나물이 가루 또는 가루 떡 모양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폐 콩나물의 운반 및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폐 콩나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콩나물이란 콩을 물이 잘 빠지는 그릇 등에 담아 그늘에 두고 물을 주어 자라게 한 것이다.
상기 콩나물은 신선한 채소가 없는 겨울철이나 채소을 경작하기 어려운 지역에서는 신선채소 대신 콩나물을 먹을 수 있어 온몸이 무겁고 저리거나 근육의 벼가 아플 때 치료되고, 재반 연증소견을 억제하며, 수분대사를 촉진하고, 위의 율열을 제거하는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단백질, 탄수화물, 식물성스테롤, 올리고당, 섬유소, 아스파트산 등 여러가지 영양소와 콩에 없는 비타민 C 및 칼슘등이 풍부하여 빈혈회복, 간 그능 회복에 효과를 있다.
그러나 콩나물은 재배기간이나 유통기간이 짧은 채소 중 하나로서, 통상 재배시 과잉생산이 야기되거나 유통이 원활하게 되지 않는 경우에는 장기 보관이 어렵기 때문에 폐기시켜야만 하는 데, 상기 폐 콩나물은 매립하거나 소각하여 폐기 한다.
상기 폐 콩나물을 매립시 콩나물에서 발생 되는 수분이 그대로 토양 내지 하천으로 유입되어 토양이 오염되거나 또는 수질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폐 콩나물을 소각하기 위해서는 콩나물에 내포된 수분을 동시에 소각해야 하므로서, 폐 콩나물의 소각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많은 양의 연료가 소모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폐 콩나물을 폐기할 수 있는 폐 콩나물 처리 장치를 발명하게 되었다.
상기 종래의 폐 콩나물 처리 장치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내부로 유입된 폐 콩나물을 저을 수 있는 스틱이 구비된 호퍼와, 상기 호퍼의 일측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폐 콩나물을 압축 이송시키는 압축 이송부와, 압축 이송된 폐 콩나물을 절단할 수 있는 분쇄 장치부와, 분쇄 된 폐 콩나물을 2차로 압축시켜 배출할 수 있는 탈수 장치부로 구성된다.
상기 종래의 폐 콩나물 처리 장치의 문제점은 폐 콩나물을 절단 분쇄하는 분쇄 장치부가 압축 이송부로부터 이격되게 설치 되기 때문에 상기 폐 콩나물이 지속적으로 분쇄 장치부로 공급되지 않은 마지막에 위치한 폐 콩나물은 분쇄 장치부가 분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마지막으로 분쇄 장치부로 공급되는 폐 콩나물을 상기 분쇄 장치부가 분쇄 및 절단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폐 콩나물 처리 장치에는 분쇄되어 탈수 장치부로 공급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종래에는 절단 분쇄된 폐 콩나물을 건조 시키는 장치가 전혀 구현되어 있지 않아 별도의 건조 장치를 통해 폐 콩나물을 건조시켜야 하며, 이로 인하여 건조 시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 선행 기술 문헌 ◈
한국공개특허 제 10-2007-0109209 호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폐 콩나물이 유입되는 호퍼를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하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교반 스크류가 내부에 설치되어 폐 콩나물을 토출 수단의 입구로 유입하는 교반수단을 호퍼의 하부에 설치하며, 토출 수단의 입구로 유입되는 폐 콩나물을 분쇄하는 분쇄수단을 상기 교반 스크류의 직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분쇄수단의 하측에 설치되어 분쇄된 콩나물을 압축 및 건조시켜 입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토출수단을 교반수단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본체에 설치 구성하는 데, 상기 교반 스크류를 구성하고 있는 스크류 축과 교반날개에는 회전 분쇄부가 통과하는 통과홈을 형성하므로서, 상기 교반 스크류를 통과한 폐 콩나물은 통과홈을 통과하는 분쇄날을 이용하여 바로 분쇄하여 토출 하우징의 입구로 공급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교반 스크류를 통과한 폐 콩나물이 교반 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교반 하우징의 내부에 남아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토출 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토출 하우징의 중간에는 다수의 배출홀을 타공하며, 그 토출 하우징의 출구단에는 건조부를 형성하여 물기가 제거된 폐 콩나물을 바로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폐 콩나물의 건조 과정에서 전력 소모를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토출 하우징의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폐 콩나물이 가루 또는 가루 떡 모양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폐 콩나물의 운반 및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폐 콩나물 처리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폐 콩나물을 유입하는 호퍼와;
호퍼를 통해 유입되는 폐 콩나물을 토출수단의 입구로 공급할 수 있게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교반 스크류가 내부에 설치된 교반수단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입구로 유입되는 폐 콩나물을 분쇄할 수 있게 교반 스크류의 직하방에 설치되는 분쇄수단과;
분쇄수단의 하측에 설치되어 분쇄된 콩나물을 압축 및 건조시켜 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토출수단;으로 구성하고,
상기 분쇄수단은,
마주보는 일 부분이 겹쳐지도록 한 쌍의 분쇄축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교차되게 등 간격으로 설치되는 회전 분쇄부와;
회전 분쇄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분쇄날;로 구성하되,
회전 분쇄부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과홈을 교반 스크류의 스크류 축의 외주면과 교반날개에 형성하여 상기 통과홈을 통과하는 분쇄날을 이용하여 교반 스크류를 통과한 폐 콩나물을 바로 분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폐 콩나물이 유입되는 호퍼를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하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교반 스크류가 내부에 설치되어 폐 콩나물을 토출 수단의 입구로 유입하는 교반수단을 호퍼의 하부에 설치하며, 토출 수단의 입구로 유입되는 폐 콩나물을 분쇄하는 분쇄수단을 상기 교반 스크류의 직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분쇄수단의 하측에 설치되어 분쇄된 콩나물을 압축 및 건조시켜 입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토출수단을 교반수단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본체에 설치 구성하는 데, 상기 교반 스크류를 구성하고 있는 스크류 축과 교반날개에는 회전 분쇄부가 통과하는 통과홈을 형성하므로서, 상기 교반 스크류를 통과한 폐 콩나물은 통과홈을 통과하는 분쇄날을 이용하여 바로 분쇄하여 토출 하우징의 입구로 공급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교반 스크류를 통과한 폐 콩나물이 교반 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교반 하우징의 내부에 남아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교반 스크류를 구성하고 있는 스크류 축과 교반 날개에는 분쇄날이 구비된 회전 분쇄부가 통과하는 통과홈을 형성하여, 상기 회전 분쇄부가 통과홈에 의해 교반 스크류에 유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하기 때문에 상기 분쇄 수단으로 공급되는 폐 콩나물은 교반 스크류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분쇄 수단으로 공급됨과 동시에 분쇄날이 절단하므로서, 상기 분쇄 수단이 폐 콩나물의 분쇄를 바로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분쇄되지 않은 폐 콩나물이 교반수단의 내부에 남아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토출 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토출 하우징의 중간에는 다수의 배출홀을 타공하며, 그 토출 하우징의 출구단에는 건조부를 형성하여 물기가 제거된 폐 콩나물을 바로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폐 콩나물의 건조 과정에서 전력 소모를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토출 하우징의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폐 콩나물이 가루 또는 가루 떡 모양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폐 콩나물의 운반 및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폐 콩나물 처리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쇄 수단이 교반수단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교반 수단과 분쇄 수단이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교반 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교반 스크류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분쇄 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회전 분쇄부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본체(10)의 전면에 설치되어 폐 콩나물을 유입하는 호퍼(60)와;
호퍼(60)를 통해 유입되는 폐 콩나물을 토출수단(20)의 입구(40)로 공급할 수 있게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교반 스크류(90,90a)가 내부에 설치된 교반수단(70)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입구(40)로 유입되는 폐 콩나물을 분쇄할 수 있게 교반 스크류(90,90a)의 직하방에 설치되는 분쇄수단(100)과;
분쇄수단(100)의 하측에 설치되어 분쇄된 콩나물을 압축 및 건조시켜 출구(41)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토출수단(20);으로 구성하고,
상기 분쇄수단(100)은,
마주보는 일 부분이 겹쳐지도록 한 쌍의 분쇄축(130)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교차되게 등 간격으로 설치되는 회전 분쇄부(111,111a)와;
회전 분쇄부(111,111a)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분쇄날(112);로 구성하되,
회전 분쇄부(111,111a)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과홈(93)을 교반 스크류(90,90a)의 스크류 축(90)의 외주면과 교반날개(92)에 형성하여 상기 통과홈(93)을 통과하는 분쇄날(112)을 이용하여 교반 스크류(90,90a)를 통과한 폐 콩나물을 바로 분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출 수단(20)은, 입구(40)로부터 출구(41)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토출 하우징(30)을 본체(10)의 상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고,
토출 하우징(30)의 직경과 대응되게 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토출 날개(52)가 구비된 토출 스크류(50)를 상기 토출 하우징(30)의 내부에 회전되게 설치하여 입구(40)에서 출구(41)로 갈수록 폐 콩나물이 압축되면서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토출 하우징(30)의 중간에는 폐 콩나물이 압축되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물기를 외부로 유출할 수 있는 다수의 배출홀(42)을 타공하고,
토출 하우징(30)의 출구(41) 외주면에는 물기가 제거된 폐 콩나물을 건조할 수 있는 건조부(43)를 설치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폐 콩나물을 분쇄하고, 그 분쇄된 폐 콩나물을 압축 및 건조 시켜 동물 사료 등으로 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폐 콩나물 처리 장치인 것이다.
폐 콩나물 처리 장치는 도 1과 같이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부 전면에 설치되는 호퍼(60)와, 상기 호퍼(60)로부터 유입되는 폐 콩나물을 교반 및 분쇄할 수 있는 분쇄 수단(100)이 내부에 설치된 교반수단(70)과, 상기 분쇄 수단(100)에 의해 분쇄된 폐 콩나물을 압축 및 건조시켜 외부로 유출할 수 있는 토출 수단(20)으로 구성한다.
상기 토출 수단(20)은 도 1과 같이 본체(10)의 상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토출 하우징(30)과, 상기 토출 하우징(30)의 내부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토출 스크류(50)로 구성한다.
상기 토출 하우징(30)의 후단 상부면에는 분쇄 수단(100)에 의해 분쇄된 폐 콩나물이 유입되는 입구(40)를 형성하고, 상기 토출 하우징(30)의 전단에는 압축 및 건조된 폐 콩나물을 외부로 유출할 수 있는 출구(41)를 형성한다.
상기 토출 하우징(30)은 출구(41)로부터 입구(40)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한다.
즉, 토출 하우징(30)은 입구(40)가 상부면에 형성된 이송관(31)을 형성하고, 상기 이송관(31)의 직경에 비해 직경이 작은 압축관(32)을 이송관(31)의 전단에 형성하며, 상기 압축관(32)의 직경에 비해 직경이 작으면서 외주면에 건조부(43)가 설치된 건조관(33)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토출 하우징(30)의 압축관(32) 하부에는 다수의 배출홀(42)를 타공하여 토출 스크류(50)를 압축되면서 폐 콩나물에서 발생 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한다.
이때, 배출홀(42)의 직하방에 위치하도록 별도의 용기를 본체(10)의 상부면에 형성하여 배출홀(42)을 통해 배출되는 수분을 모아서 외부로 버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토출 하우징(30)의 내부에 설치되는 토출 스크류(50)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1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입구(40)를 통해 유입된 분쇄된 폐 콩나물을 출구(41)로 배출하도록 한다.
상기 토출 스크류(50)는 도 1과 같이 토출 하우징(30)의 내부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토출축(51)과 상기 토출축(5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토출 날개(52)로 구성되는 데, 상기 토출 날개(52)는 토출 하우징(30)의 직경에 대응되게 입구(40)에서부터 출구(41)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한다.
상기 토출 수단(20)을 구성하고 있는 토출 하우징(30)의 상부면에는 교반 수단(70)을 설치한다.
상기 교반 수단(70)은 입구(40)를 감싸도록 토출 하우징(30)의 상부면에 교반 하우징(80)을 본체(10)에 구비된 설치부(11)의 전면에 설치하고, 상기 교반 하우징(80)의 내부에 한 쌍의 교반 스크류(90,90a)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한다.
상기 교반 스크류(90,90a)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1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서로 반대 방향인 교반 하우징(80)의 중앙을 향하도록 회전되면서 호퍼(60)를 통해 유입된 폐 콩나물을 토출 하우징(30)의 입구(40)로 공급한다.
상기 교반 하우징(80)의 내부에 회전 되게 설치되는 교반 스크류(90,90a)는 도 4와 같이 교반 하우징(80)을 관통하여 후단이 설치부(11)의 내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스크류축(91)을 형성하고, 상기 스크류(91)의 외주면에는 교반 날개(92)를 형성한다.
이때, 스크류 축(91)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게 2개의 스크류 축(91) 중 어느 하나의 스크류 축(91)에는 모터(12)에 설치된 구동 기어(13)와 연결되는 연결 기어(94)를 형성하고, 각각의 스크류 축(91)에는 회전 기어(95)를 서로 맞물리게 설치 구성하여 모터(12)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교반 스크류(90,90a)가 도 3과 같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교반 하우징(80)의 내부에 설치된 분쇄 수단(100)으로 폐 콩나물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분쇄 수단(100)은 교반 하우징(80)의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분쇄축(110)과, 분쇄날(112)이 외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분쇄축(110)의 외주면에 교차 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회전 분쇄부(111,111a)로 구성한다.
상기 분쇄 수단(100)은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1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교반 스크류(90,90a)를 통과한 폐 콩나물을 분쇄한다.
따라서, 모터(12)의 구동 기어(13)와 연결되는 연결 기어(94a)를 도 5와 같이 한 쌍의 분쇄축(110) 중 어느 하나의 분쇄축(110)에 설치하고, 분쇄축(110)의 외주면에는 회전기어(95a)를 맞물리게 설치하여 도 3과 같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분쇄 수단(100)은 한 쌍의 교반 스크류(90,90a)의 직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데,
상기 교반 스크류(90,90a)를 구성하고 있는 스크류 축(91) 및 교반 날개(92)에는 분쇄날(112)이 구비된 회전 분쇄부(111,111a)가 통과하는 통과홈(93)을 형성하여 상기 회전 분쇄부(111,111a)가 교반 스크류(90,90a)를 통과하면서 토출 하우징(30)의 입구(40)로 공급되는 폐 콩나물을 분쇄하도록 한다.
즉, 교반 수단(70)을 구성하고 있는 교반 스크류(90,90a)의 직하방에 분쇄 수단(100)을 구성하고 있는 회전 분쇄부(111,111a)를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교반 스크류(90,90a)에 구비된 스크류 축(91)과, 교반 날개(92)에는 회전 분쇄부(111,111a)가 통과되는 통과홈(93)을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교반 스크류(90,90a)를 통과한 폐 콩나물을 분쇄 수단(100)에 바로 분쇄하여 토출 하우징(30)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호퍼(60)를 통해 폐 콩나물을 교반 수단(70)을 구성하고 있는 교반 하우징(80)의 내부로 유입한다.
상기 교반 하우징(80) 내부로 폐 콩나물이 유입됨과 동시에 모터(12)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교반 스크류(90,90a)가 상기 교반 하우징(80)의 중앙으로 회전되면서 폐 콩나물은 모터(1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분쇄 수단(100)을 구성하고 있는 회전 분쇄부(111,111a)로 공급과 동시에 분쇄날(112)이 폐 콩나물을 절단 및 분쇄시켜 토출 하우징(30)의 입구(40)를 통해 토출 하우징(30)의 내부로 공급한다.
상기 입구(40)를 통해 토출 하우징(30)의 내부로 유입된 절단 및 분쇄된 폐 콩나물은 모터(12)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토출 스크류(50)의 회전 방향에 이동과 동시에 압축되면서 폐 콩나물에 내포된 수분을 토출 하우징(30)의 내부로 짜내게 하고, 상기 폐 콩나물로 짜내어 발생 된 수분은 상기 토출 하우징(30)에 구비된 배출홀(42)을 통해 외부로 배출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수분이 제거된 폐 콩나물은 토출 스크류(50)의 회전으로 인해 건조부(43)가 구비된 출구(41)로 이동시켜 폐 콩나물을 건조하고, 그 건조된 폐 콩나물은 출구(41)를 통해 가루 또는 가루떡 형태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호퍼(60)를 통해 교반 수단(70)으로 유입되어 분쇄 수단(100)에 의해 폐 콩나물이 절단 및 분쇄되는 것을 도 2와 도 3을 이용하여 자세히 설명을 하게 되면,
먼저, 교반 하우징(80)의 내부에 설치된 교반 스크류(90,90a)의 상단으로 유입된 폐 콩나물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상기 교반 스크류(90,90a)에 의해 분쇄 수단(100)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상기 분쇄 수단(100)으로 유입된 폐 콩나물은 회전 분쇄부(111,111a)에 구비된 분쇄날(112)에 의해 절단 및 분쇄된 상태에서 토출 하우징(30) 내부로 유입되는 데,
이때, 회전 분쇄부(111,111a)는 도 2와 같이 교반 스크류(90,90a)를 구성하고 있는 스크류 축(91) 및 교반 날개(92)에 구비된 통과홈(93)을 통과하는 회전 분쇄부(111,111a)의 분쇄날(112)에 의해 바로 분쇄되는 것이다.
즉, 한 쌍의 교반 스크류(90,90a)는 교반 하우징(80)의 내부로 유입된 폐 콩나물을 가압하여 분쇄 수단(100)으로 공급하는 것이며, 상기 교반 스크류(90,90a)에 구비된 통과홈(93)에 의해 통과되는 분쇄날(112)이 구비된 회전 분쇄부(111,111a)는 회전 되면서 상기 교반 스크류(90,90a)에 의해 가압되면서 통과된 폐 콩나물을 바로 분쇄하는 것이다.
따라서, 호퍼(60)를 통해 유입되는 폐 콩나물이 통과홈(93)을 통과하는 회전 분쇄부(111,111a)에 의해 바로 절단 및 분쇄시커 입구(40)를 통해 토출 하우징(30)의 내부로 유입하므로서, 폐 콩나물의 절단 및 분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단 및 분쇄 되지 않은 폐 콩나물이 교반 하우징(80)의 내부에 남아 있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토출 하우징(30)의 내부로 유입된 절단 및 분쇄 된 폐 콩나물은 상기 토출 하우징(30)의 중앙에 설치된 토출 스크류(50)에 의해 압축 되고, 그 압축된 폐 콩나물은 배출홀(42)에 의해 수분이 최대한으로 제거된 상태로 출구(41)로 공급되며, 상기 출구(41)로 공급된 폐 콩나물은 건조부(43)에 의해 건조된 상태로 유출되기 때문에 폐 콩나물의 건조하는 전력을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루 내지 가루떡 모양으로 유출되어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10: 본체, 11: 설치부,
12: 모터, 13: 구동 기어,
20: 토출 수단, 30: 토출 하우징,
31: 이송관, 32: 압축관,
33: 건조관, 40: 입구,
41: 출구, 42: 배출홀,
43: 건조부, 50: 토출 스크류,
51: 토출축, 52: 토출 날개,
60: 호퍼, 70: 교반 수단,
80: 교반 하우징, 81: 입구,
90,90a: 교반 스크류, 91: 스크류 축,
92: 교반 날개, 93: 통과홈,
94,94a: 연결 기어, 95,95a: 회전 기어,
100: 분쇄 수단, 110: 분쇄축,
111,111a: 회전 분쇄부, 112: 분쇄날,

Claims (2)

  1. 본체(10)의 전면에 설치되어 폐 콩나물을 유입하는 호퍼(60)와;
    호퍼(60)를 통해 유입되는 폐 콩나물을 토출수단(20)의 입구(40)로 공급할 수 있게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교반 스크류(90,90a)가 내부에 설치된 교반수단(70)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입구(40)로 유입되는 폐 콩나물을 분쇄할 수 있게 교반 스크류(90,90a)의 직하방에 설치되는 분쇄수단(100)과;
    분쇄수단(100)의 하측에 설치되어 분쇄된 콩나물을 압축 및 건조시켜 출구(41)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토출수단(20);으로 구성하고,
    상기 분쇄수단(100)은,
    마주보는 일 부분이 겹쳐지도록 한 쌍의 분쇄축(130)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교차되게 등 간격으로 설치되는 회전 분쇄부(111,111a)와;
    회전 분쇄부(111,111a)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분쇄날(112);로 구성하되,
    회전 분쇄부(111,111a)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과홈(93)을 교반 스크류(90,90a)의 스크류 축(90)의 외주면과 교반날개(92)에 형성하여 상기 통과홈(93)을 통과하는 분쇄날(112)을 이용하여 교반 스크류(90,90a)를 통과한 폐 콩나물을 바로 분쇄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토출 수단(20)은,
    입구(40)로부터 출구(41)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토출 하우징(30)을 본체(10)의 상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고,
    토출 하우징(30)의 직경과 대응되게 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토출 날개(52)가 구비된 토출 스크류(50)를 상기 토출 하우징(30)의 내부에 회전되게 설치하여 입구(40)에서 출구(41)로 갈수록 폐 콩나물이 압축되면서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토출 하우징(30)의 중간에는 폐 콩나물이 압축되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물기를 외부로 유출할 수 있는 다수의 배출홀(42)을 타공하고,
    토출 하우징(30)의 출구(41) 외주면에는 물기가 제거된 폐 콩나물을 건조할 수 있는 건조부(43)를 설치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콩나물 처리 장치.
  2. 삭제
KR1020200054169A 2020-05-07 2020-05-07 폐 콩나물 처리 장치 KR102454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169A KR102454528B1 (ko) 2020-05-07 2020-05-07 폐 콩나물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169A KR102454528B1 (ko) 2020-05-07 2020-05-07 폐 콩나물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231A KR20210136231A (ko) 2021-11-17
KR102454528B1 true KR102454528B1 (ko) 2022-10-13

Family

ID=78703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169A KR102454528B1 (ko) 2020-05-07 2020-05-07 폐 콩나물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452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738B1 (ko) * 2006-09-27 2008-04-01 조찬기 고속 교반구조를 갖는 유기성 폐기물 염분 제거장치
KR101535760B1 (ko) * 2014-12-22 2015-07-09 이기동 두채류 부산물 분쇄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1687B1 (ko) * 1998-12-21 2001-10-29 심세보 야채쓰레기압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738B1 (ko) * 2006-09-27 2008-04-01 조찬기 고속 교반구조를 갖는 유기성 폐기물 염분 제거장치
KR101535760B1 (ko) * 2014-12-22 2015-07-09 이기동 두채류 부산물 분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231A (ko) 202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5155B1 (ko) 씽크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454528B1 (ko) 폐 콩나물 처리 장치
KR101564211B1 (ko) 건조스크류와 삼각형 형상의 이송커터가 구비된 건조하우징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433588Y1 (ko) 다용도 분쇄 장치
KR200414796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7008213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216871B1 (ko) 야채쓰레기 처리장치
KR200382019Y1 (ko) 음식물 분쇄기
JP2006326417A (ja) 破砕装置
KR200157041Y1 (ko) 잔반 처리장치
KR20130036084A (ko) 야채 쓰레기 처리장치
KR200396649Y1 (ko) 음식물쓰레기 분쇄 및 탈수 장치
KR960007117Y1 (ko) 잔반 처리기
KR100745458B1 (ko) 음식폐기물 처리기
CN114260064A (zh) 一种网孔球研磨机
KR19990001561A (ko)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KR100348555B1 (ko) 슬러지 및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
KR10021777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및 처리시스템
KR100305867B1 (ko)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KR200284246Y1 (ko) 다목적 분쇄장치
KR101097824B1 (ko) 폐청과류 분쇄기
KR102423431B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20000051936A (ko) 왕겨팽연화기
KR0140133B1 (ko) 음식 쓰레기의 처리장치
KR19990021745U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