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2019Y1 - 음식물 분쇄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분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2019Y1
KR200382019Y1 KR20-2005-0002855U KR20050002855U KR200382019Y1 KR 200382019 Y1 KR200382019 Y1 KR 200382019Y1 KR 20050002855 U KR20050002855 U KR 20050002855U KR 200382019 Y1 KR200382019 Y1 KR 2003820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food
grinding blade
shaft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28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영
Original Assignee
김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영 filed Critical 김태영
Priority to KR20-2005-00028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20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20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20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65G33/14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comprising a screw or screws enclosed in a tubular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Abstract

본 고안은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발생한 음식물을 분쇄하는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음식물 분쇄기에서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샤프트에 분쇄날을 다단으로 끼워 적층시켜 장착하는 한편 분쇄칼날을 나선형으로 배치함으로서 파손 및 마모된 분쇄날과 분쇄칼날의 교체작업이 간편하고 수리비용이 대폭 절감될 뿐만 아니라 모터에 작용하는 부하를 현저하게 줄이는 음식물 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주된 특징은 상부는 개방되고 밀폐된 하부는 아래로 모아지게 원추형태로 형성되며 바닥면 한쪽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프레임위에 설치된 하부본체와; 하부본체의 상측부에서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게 설치되며 분쇄칼날이 장착된 분쇄날이 다단으로 적층되게 끼워져 설치된 샤프트와; 분쇄날의 하부 외주연을 감싸게 반원통형태로 설치되며 일측 상단에 분쇄칼날이 부착되고 다수의 분쇄공이 형성된 분쇄망과; 하부본체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며 분쇄된 음식물을 배출구쪽으로 이송하는 스크류와; 하부본체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고 한쪽 상부는 스크류컨베이어가 부착된 투입관이 형성되고 다른 한쪽 상부는 흡입관이 형성된 상부본체;로 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 분쇄기{A pulverizer foodstuffs}
본 고안은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발생한 음식물을 가축의 사료나 또는 퇴비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분쇄하는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분쇄기에서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샤프트에 분쇄날을 다단으로 끼워 적층시켜 장착하는 한편 분쇄칼날을 나선형으로 배치하여 설치함으로서 파손 및 마모된 분쇄날과 분쇄칼날의 교체작업이 간편하고 수리비용이 대폭 절감될 뿐만 아니라 모터에 작용하는 부하를 현저하게 줄이는 음식물 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그 양이 상당히 많고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쉽게 부패될 뿐만 아니라 대부분 유기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대로 땅에 매립하면 침출수가 발생되어 토양이나 지하수를 오염시켜 심각한 환경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발생되는 음식물은 자원의 낭비를 초래함은 물론 폐기처리에 따른 환경오염 즉,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침출수에 의한 토양오염과 수질오염을 초래하고, 음식물의 부패에 따른 악취와 병해충으로 인하여 각종 피부질환 및 전염성 질병을 유발시키는 등 환경오염의 주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환경오염을 줄이고자 음식물 쓰레기를 일반 쓰레기와 분리 수거하고,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가축용 사료나 또는 농작물에 시비되는 퇴비로 재활용하고 있다.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가축용 사료나 또는 퇴비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음식물에 혼합되어 있는 각종 비닐류, 나무 젓가락, 병마개 등 금속류를 선별하고, 덩어리 형태로 부피가 큰 음식물은 적당한 크기로 분쇄한 다음 살균 처리과정 및 발효과정을 거쳐서 가축용 사료나 퇴비로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적당한 크기로 분쇄하는 음식물 분쇄기는 대부분 본체내에서 스크류를 회전시켜 분쇄하는 구조로서, 본체 내부에 음식물을 투입하면 모터의 구동으로 스크류가 음식물을 회전시키면서 분쇄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음식물 분쇄기는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스크류가 음식물을 회전 이송시키면서 분쇄과정이 수행됨으로서 분쇄효과가 현저하게 저하됨에 따라 분쇄용량이 적고, 전반적으로 처리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따라서 음식물을 별도의 분쇄장치로 1차 분쇄한 다음 스크류식 분쇄기에 투입하여 분쇄 및 탈수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에서 음식물을 1차 분쇄하는 분쇄장치는 다수의 분쇄날이 회전축상에 장착되어 투입된 음식물을 고속 회전하여 분쇄하는 구조로서, 이러한 종래의 음식물 분쇄장치는 분쇄날의 특성상 연질의 야채류나 경질의 뼈종류와 같은 재질은 단일의 분쇄날 구조에서 효과적으로 처리하지 못하므로 분쇄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다수의 분쇄날이 장착된 회전축에 부하가 크게 발생하므로 모터와 기타 동력 전달장치에 손상이 많고, 분쇄날의 파손시 내부의 부품 교체작업이 어려운 실정이며, 분쇄날의 수리에 고비용이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존 음식물 분쇄장치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음식물 분쇄기에서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샤프트에 분쇄날을 다단으로 끼워 적층시켜 장착하는 한편 분쇄칼날을 나선형으로 배치하여 설치함으로서 파손 및 마모된 분쇄날과 분쇄칼날의 교체작업이 간편하고 수리비용이 대폭 절감될 뿐만 아니라 모터에 작용하는 부하를 현저하게 줄임으로서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을 대폭 절감시키는 음식물 분쇄기를 제공하는 것을 본 고안의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상부는 개방되고 밀폐된 하부는 아래로 모아지게 원추형태로 형성되며 바닥면 한쪽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프레임위에 설치된 하부본체와; 하부본체의 상측부에서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게 설치되며 분쇄칼날이 장착된 분쇄날이 다단으로 적층되게 끼워져 설치된 샤프트와; 분쇄날의 하부 외주연을 감싸게 반원통형태로 설치되며 일측 상단에 분쇄칼날이 부착되고 다수의 분쇄공이 형성된 분쇄망과; 하부본체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며 분쇄된 음식물을 배출구쪽으로 이송하는 스크류와; 하부본체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고 한쪽 상부는 스크류컨베이어가 부착된 투입관이 형성되고 다른 한쪽 상부는 흡입관이 형성된 상부본체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음식물 분쇄기에서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샤프트에 분쇄날을 다단으로 끼워 적층시켜 장착하는 한편 분쇄칼날을 나선형으로 배치하는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하고 있는 도 1 내지 도 6 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자세히 나타내고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주된 특징은 프레임(11)위에 설치된 본체(10)(20) 내부에 모터(12)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샤프트(16)와 분쇄망(33)이 수평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16)에 다수의 분쇄날(30)이 장착된 기존의 음식물 분쇄장치에 있어서,
상부는 개방되고 밀폐된 하부는 아래로 점점 좁아져 모아지게 원추형태로 형성되며 바닥면 한쪽에 배출구(17)가 형성되어 프레임(11)위에 설치된 하부본체(10)와; 하부본체(10)의 상측부에서 모터(12)의 구동으로 회전하게 설치되며 외주연에 상호 대칭되게 분쇄칼날(31)이 장착된 분쇄날(30)이 다단으로 적층되게 끼워져 설치된 샤프트(16)와; 샤프트(16)에 장착된 분쇄날(30)의 하부 외주연을 감싸게 반원통형태로 설치되며 샤프트(16)의 회전방향과 접하는 일측 상단에 분쇄칼날(32)이 부착되고 다수의 분쇄공(33a)이 형성된 분쇄망(33)과; 하부본체(10)의 내부 바닥면에 수평상으로 설치되어 감속모터(40)의 구동으로 회전하며 분쇄된 음식물을 배출구(17)쪽으로 이송하는 스크류(41)와; 하부본체(1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고 한쪽 상부는 음식물을 투입하는 스크류컨베이어(2a)가 부착된 투입관(21)이 형성되고 다른 한쪽 상부는 가스와 악취가 흡입 배출되는 흡입관(22)이 형성된 상부본체(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수거된 음식물은 도면에서 도 1과 같이, 음식물 수거차량을 통하여 운반된 음식물은 대용량의 저장호퍼(1)와, 선별기(2)와, 분쇄기(3)와, 저장탱크(4)와, 탈수기(5)와, 살균탱크(6)등을 거쳐서 가축용 사료나 또는 퇴비용으로 사용된다.
상기에서 수거된 음식물은 먼저 저장호퍼(1)에 투입된 다음 스크류컨베이어(1a)를 통하여 선별기(2)로 일정량씩 공급되고, 선별기(2)에서 각종 비닐류, 나무 젓가락, 병마개 등 금속류가 선별되며, 선별기(2)를 거친 음식물은 다시 스크류컨베이어(2a)를 통해 분쇄기(3)로 공급되어 분쇄과정을 거친 후 스크류컨베이어(3a)를 통하여 저장탱크(4)로 공급된다.
저장탱크(4)에서 소정의 교반과정을 거친 음식물은 스크류컨베이어(4a)를 통해 탈수기(5)로 투입되어 음식물에 포함된 수분이 제거된 다음 스크류컨베이어(5a)를 통하여 살균탱크(6)로 공급되며, 상기 탈수기(5)에서 제거된 수분은 탈수액 살균기를 거쳐 저장조로 모아진 후 발효과정을 통해 퇴비용 액비로 사용되고, 살균탱크(6)로 공급된 음식물은 버너를 이용한 스팀 살균과정을 거친 후 가축용 사료로 사용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분쇄기(3)는 도면에서 도 2 내지 도 6 과 같이, 프레임(11)위에 소정높이로 설치되고 다수의 분쇄날(30)이 끼워져 장착된 샤프트(16)가 상측부 안에 회전가능케 설치되며 바닥면에 분쇄된 음식물을 배출하는 스크류(41)가 설치된 하부본체(10)와, 하부본체(10)위에 결합되고 상부 한쪽에는 음식물을 투입하는 스크류컨베이어(2a)와 투입관(21)이 설치되며 다른 한쪽에는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와 악취를 흡입 배출하는 흡입관(22)이 설치된 상부본체(20)와, 하부본체(10)의 저면부 한쪽에 분쇄된 음식물을 모아 이송하는 배출호퍼(18)와 스크류컨베이어(3a)가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하부본체(10)는 상부가 개방되고, 그 내부에 다수의 분쇄날(30)이 끼워져 장착되는 샤프트(16)가 회전가능케 수평상으로 설치되며, 하부본체(10)의 외측에서 샤프트(16)의 한쪽에는 동력 전달을 위한 풀리(13)가 장착되고, 다른 한쪽에는 샤프트(16)의 회전력을 증폭시키는 회전추(15)가 장착된다.
프레임(11)위의 한쪽에 모터(12)가 부착되어 벨트(14)를 통해 샤프트(16)에 장착된 풀리(13)로 모터(12)의 동력을 전달하여 샤프트(16)를 회전시키며, 하부본체(10)의 하부는 아래로 점점 좁아져 모아지게 원추형태로 형성되고, 바닥면 한쪽에 분쇄된 음식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7)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본체(10)의 내부 바닥면에 감속모터(40)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스크류(41)가 수평상으로 설치된다.
상기에서 하부본체(10)의 바닥면에 설치된 스크류(41)는 프레임(11)위에 부착된 감속모터(40)의 구동으로 회전하게 설치되고, 분쇄된 음식물을 하부본체(10)의 바닥면에서 배출구(17)쪽으로 이송하여 배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한편 하부본체(10)의 바닥면 한쪽에 형성된 배출구(17)의 저면부에는 분쇄과정을 거쳐 배출된 음식물을 모아 저장탱크(4)로 이송 공급하기 위한 배출호퍼(18)와 스크류컨베이어(3a)가 연결 설치된다.
또한 하부본체(1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본체(20)는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와 악취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밀폐되게 결합되고, 한쪽 상부에는 음식물을 투입하는 스크류컨베이어(2a)가 부착된 투입관(21)이 연설되고, 이와 다른 한쪽에는 가스와 악취를 흡입 배출하는 흡입관(22)이 연설되며, 여기서 흡입관(22)을 통해 흡입 배출된 가스와 악취는 활성탄 필터가 구비된 탈취장치로 유입되어 유해가스와 악취가 제거된 후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본 고안에서 샤프트(16)에 장착되어 음식물을 분쇄하는 기능의 분쇄날(30)은 도면에서 도 4 내지 도 6 과 같이, 키(16a)가 장착된 샤프트(16)에 비교적 폭이 좁게 구성된 다수의 분쇄날(30)이 다단으로 적층되게 끼워져 설치되는 것으로서, 분쇄날(30)은 중앙에 키홈(34)과 체결공(35)이 형성되어 샤프트(16)에 끼워져 장착되며, 외주연의 반경이 점점 크게 상호 대칭형태로 돌출 형성된 단부에 각각 분쇄칼날(31)이 부착된다.
한편 상기에서 본 고안의 분쇄날(30)은 샤프트(16)의 수평선상에서 분쇄칼날(31)이 나선형으로 배치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분쇄날(30)의 체결공(35)에 형성되는 키홈(34)의 위치각도를 중앙에서 점차적으로 회전시켜 각각 형성함으로서 샤프트(16)의 키(16a)에 끼워져 결합되는 다수의 분쇄날(30)을 분쇄칼날(31)이 나선형으로 배치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분쇄날(30)과 함께 음식물을 분쇄하는 기능의 분쇄망(33)은 샤프트(16)에 장착된 분쇄날(30)의 하부 외주연을 감싸게 반원통형태로 형성되어 수평상으로 설치되며, 샤프트(16)의 회전방향과 접하는 일측 상단에 분쇄칼날(32)이 부착되고, 외주연에 다수의 분쇄공(33a)이 형성된다.
따라서, 음식물의 분쇄과정에서 나선형으로 배치된 분쇄날(30)의 분쇄칼날(31)이 분쇄망(33)의 일측 상단에 부착된 분쇄칼날(32)과 각기 다른 시간차로 교차하면서 음식물을 분쇄함으로서 샤프트(16)와 기타 동력전달장치(풀리, 벨트) 및 모터(12)에 가해지는 부하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며, 분쇄된 음식물은 분쇄공(33a)을 통하여 스크류(41)가 설치된 바닥면으로 흘러 떨어지게 된다.
상기에서 분쇄망(33)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다수의 분쇄공(33a)은 음식물의 분쇄입자에 따라 선택적으로 직경을 달리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분쇄칼날(31)이 부착된 분쇄날(30)이 폭이 좁게 형성되어 샤프트(16)에 다수로 적층되게 끼워져 설치됨으로서 분쇄칼날(31)이나 분쇄날(30)이 파손될 경우 해당하는 위치의 분쇄날(30)을 교체하여 수리하므로 수리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과정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선별기(2)에서 선별과정을 거친 음식물이 스크류컨베이어(2a)를 통하여 상부본체(20)의 투입관(21)으로 공급되면, 별도로 설치된 콘트롤박스의 제어로 전원이 인가되어 모터(12)와 감속모터(40)가 구동하고, 여기서 모터(12)의 구동으로 샤프트(16)와 분쇄날(30)이 회전하는 한편 감속모터(40)의 구동으로 하부본체(10)의 내부 바닥면에서 스크류(41)가 회전하게 된다.
하부본체(10)의 내부 분쇄망(33)위에서 샤프트(16)와 분쇄날(30)이 회전하는 상태에서 덩어리 또는 줄기형태의 음식물이 상부로 투입되면 나선형으로 배치된 분쇄날(30)의 분쇄칼날(31)이 분쇄망(33)의 상단에 부착된 분쇄칼날(32)과 각기 다른 시간차로 교차하면서 음식물을 잘게 분쇄하며, 이러한 분쇄과정으로 분쇄된 음식물은 분쇄망(33)의 분쇄공(33a)을 통하여 하부본체(10)의 바닥면으로 흘러 떨어진다.
상기 하부본체(10)의 바닥면으로 떨어진 음식물은 감속모터(40)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스크류(41)에 의해 배출구(17)쪽으로 이송되어 배출구(17)의 저면부에 설치된 배출호퍼(18)로 떨어져 모아진 다음 스크류컨베이어(3a)를 통하여 교반과정이 진행되는 저장탱크(4)로 공급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모터(12)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샤프트(16)에 분쇄칼날(31)이 나선형으로 배치되게 분쇄날(30)이 설치됨으로서 분쇄칼날(31)(32)이 각기 다른 시간차로 교차하면서 연속적으로 분쇄과정이 진행되므로 샤프트(16) 및 모터(12)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이고, 분쇄용량을 대폭 향상시키는 한편 수리가 간편하고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음식물 분쇄기에서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샤프트에 분쇄날을 다단으로 끼워 적층시켜 장착하는 한편 분쇄칼날을 나선형으로 배치하여 설치함으로서 파손 및 마모된 분쇄날과 분쇄칼날의 교체작업이 간편하고 수리비용이 대폭 절감될 뿐만 아니라 샤프트와 모터에 작용하는 부하를 현저하게 줄임으로서 모터와 동력전달장치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의 처리과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분쇄기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분쇄기의 설치상태 측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분쇄기의 요부 평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분쇄날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저장호퍼 2: 선별기 3: 분쇄기
4: 저장탱크 5: 탈수기 6: 살균탱크
10: 하부본체 11: 프레임 12: 모터
13: 풀리 16: 샤프트 18: 배출호퍼
20: 상부본체 21: 투입관 22: 흡입관
30: 분쇄날 31(32): 분쇄칼날 33: 분쇄망
40: 감속모터 41: 스크류

Claims (4)

  1. 프레임(11)위에 설치된 본체(10)(20) 내부에 모터(12)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샤프트(16)와 분쇄망(33)이 수평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16)에 다수의 분쇄날(30)이 장착된 기존의 음식물 분쇄장치에 있어서,
    상부는 개방되고 밀폐된 하부는 아래로 점점 좁아져 모아지게 원추형태로 형성되며 바닥면 한쪽에 배출구(17)가 형성되어 프레임(11)위에 설치된 하부본체(10)와; 하부본체(10)의 상측부에서 모터(12)의 구동으로 회전하게 설치되며 외주연에 상호 대칭되게 분쇄칼날(31)이 장착된 분쇄날(30)이 다단으로 적층되게 끼워져 설치된 샤프트(16)와; 샤프트(16)에 장착된 분쇄날(30)의 하부 외주연을 감싸게 반원통형태로 설치되며 샤프트(16)의 회전방향과 접하는 일측 상단에 분쇄칼날(32)이 부착되고 다수의 분쇄공(33a)이 형성된 분쇄망(33)과; 하부본체(10)의 내부 바닥면에 수평상으로 설치되어 감속모터(40)의 구동으로 회전하며 분쇄된 음식물을 배출구(17)쪽으로 이송하는 스크류(41)와; 하부본체(1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고 한쪽 상부는 음식물을 투입하는 스크류컨베이어(2a)가 부착된 투입관(21)이 형성되고 다른 한쪽 상부는 가스와 악취가 흡입 배출되는 흡입관(22)이 형성된 상부본체(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분쇄기.
  2. 제1항에 있어서,
    분쇄날(30)은 비교적 폭이 좁게 형성되고, 중앙에 키홈(34)과 체결공(35)이 형성되어 샤프트(16)에 끼워져 장착되며, 외주연의 반경이 점점 크게 상호 대칭형태로 돌출 형성된 단부에 각각 분쇄칼날(31)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분쇄기.
  3. 제1항에 있어서,
    분쇄날(30)에 장착된 분쇄칼날(31)이 나선형으로 배치되게 샤프트(16)에 다수의 분쇄날(30)이 다단으로 적층되게 끼워져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분쇄기.
  4. 제1항에 있어서,
    하부본체(10)의 바닥면 한쪽에 형성된 배출구(17)에 분쇄된 음식물이 배출되어 모아지는 배출호퍼(18)와 스크류컨베이어(3a)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분쇄기.
KR20-2005-0002855U 2005-01-31 2005-01-31 음식물 분쇄기 KR2003820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855U KR200382019Y1 (ko) 2005-01-31 2005-01-31 음식물 분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855U KR200382019Y1 (ko) 2005-01-31 2005-01-31 음식물 분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2019Y1 true KR200382019Y1 (ko) 2005-04-15

Family

ID=43683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2855U KR200382019Y1 (ko) 2005-01-31 2005-01-31 음식물 분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201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181B1 (ko) 2009-07-10 2009-12-22 (주)정일기계 분쇄기
KR101494101B1 (ko) 2013-10-22 2015-02-25 (주)동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181B1 (ko) 2009-07-10 2009-12-22 (주)정일기계 분쇄기
KR101494101B1 (ko) 2013-10-22 2015-02-25 (주)동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8710B1 (ko) 음식물 쓰레기 선별 및 파쇄장치
KR100331458B1 (ko) 음식물 쓰레기의 자동처리 및 사료제조장치
KR101003630B1 (ko) 야채 쓰레기 처리장치
KR100849626B1 (ko) 음식물 선별 분쇄장치
KR20140006897A (ko) 퇴비화 기계장치
KR101734153B1 (ko) 디스크 건조기를 이용하는 음식물류폐기물 처리 시스템
KR20150129281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201848292U (zh) 一种立式干湿料综合粉碎机
KR200382019Y1 (ko) 음식물 분쇄기
KR20110004867U (ko) 야채 쓰레기 처리장치
KR2007008213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729956B1 (ko) 음식쓰레기 일괄 처리장치
JP2006082042A (ja) 有機廃棄物乾燥システム
KR100973074B1 (ko) 음식물류 폐기물 순간분쇄기
KR200414796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08066439U (zh) 一种新型方便回收再利用的垃圾处理装置
KR101910463B1 (ko)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비닐류를 제거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분쇄방법
KR101254781B1 (ko)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장치
KR101702855B1 (ko) 일체형 파쇄 선별기 겸용 미세 분쇄기
KR20020035682A (ko) 음식물쓰레기 사료화 시스템
KR19990084655A (ko) 음식물 찌꺼기를 이용한 사료 제조장치
KR100947809B1 (ko) 음식물 쓰레기 대량 자동 처리장치
KR20110000340U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배출장치
CN210885847U (zh) 一种厨余垃圾处理设备
CN111286347B (zh) 一种流化床热解农村生活垃圾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9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