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2213A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2213A
KR20240052213A KR1020220131956A KR20220131956A KR20240052213A KR 20240052213 A KR20240052213 A KR 20240052213A KR 1020220131956 A KR1020220131956 A KR 1020220131956A KR 20220131956 A KR20220131956 A KR 20220131956A KR 20240052213 A KR20240052213 A KR 20240052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gonal
food waste
waste disposal
disposal device
shaft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1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강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온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온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온시스
Priority to KR1020220131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2213A/ko
Publication of KR20240052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221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3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 B09B3/35Shredding, crush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08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 B02C18/1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with drive arranged below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26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70Kitchen refuse; Food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Crush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분쇄 부재와 모터블록 간의 연결구조에서 착탈이 용이하면서도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어서 기어가 쉽게 마모되고 파손되지 않는 연결 구조를 갖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개시된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건조통의 바닥 하면에는 분쇄부재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분쇄부재의 회전축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 샤프트기어 및 모터블록과 연결되는 동력전달축의 상단에서 동력전달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하부 샤프트기어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 샤프트기어와 하부 샤프트기어는 상하로 착탈 가능하며, 결합한 상태에서는 함께 회전하여서 상기 모터블록의 회전구동력이 분쇄부재에 전달된다. 분쇄부재와 모터블록 간의 연결구조에서 착탈이 용이하면서도,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어서 기어가 쉽게 마모되고 파손되지 않는 연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쇄 부재와 모터블록 간의 연결구조에서 착탈이 용이하면서도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어서 기어가 쉽게 마모되고 파손되지 않는 연결 구조를 갖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이 발달하고, 생활이 윤택해짐에 따라 식단이 다양하고 풍성해짐에 따라 식사 후에 남아서 버려지는 음식물 쓰레기가 다량으로 발생하여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는 많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야채류와 같은 부드러운 것과 뼈와 같이 딱딱한 것이 있으므로 어떠한 종류의 음식물 쓰레기라도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장치가 요구되었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음식물류 폐기물을 기계적, 열적, 생물학적 처리 공정 등을 거쳐 감량하는 장치를 말하며, 음식물 쓰레기 감량기기라고도 한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열에너지에 의해 건조하는 건조방식, 음식물 쓰레기를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질로 발효하는 발효방식, 음식물 쓰레기를 미생물에 의해 발효, 소멸하는 소멸방식 등이 있다. 건조방식은 전기 가열, 증기 또는 온수 가열, 열풍 가열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건조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통상 케이싱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를 위한 건조통이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건조통 상부 케이싱에는 건조통 상부 개구의 개폐를 위한 덮개가 설치된다.
건조통 하부 내측에는 건조통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분쇄하기 위한 분쇄부재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분쇄부재의 회전 중심에는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동력전달축이 결합된다.
또한, 건조통 외측에는 건조통을 가열하여 건조통 내부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증발시키기 위한 가열부재가 설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때는 덮개를 개방하고 건조통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한 상태에서 다시 건조통 개구를 막은 상태에서 상기 가열부재와 모터를 구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건조통 내부 음식물 쓰레기는 분쇄부재의 회전 동작에 의해 잘게 분쇄되고,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되어 있던 수분은 가열부재의 열기에 의해 증발하게 되므로, 소정시간이 경과한 상태에서 건조통 내부 음식물 쓰레기는 잘게 분쇄된 상태에서 수분이 제거되어 건조된다. 덮개에는 수분의 증발과정에서 건조통 내부에서 발생한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증기 배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처리 과정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건조통을 케이싱 외부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건조통이 착탈식으로 마련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개발되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는 케이싱(20)과 덮개(30)를 구비한다. 덮개(30)는 힌지(32)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덮개를 열어서 건조통을 착탈할 수 있다.
건조통이 착탈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분쇄 및 건조 처리효율 저하를 막기 위해서는 건조통을 케이싱(20)에 끼우는 과정에서 분쇄부재의 중심과 동력전달축이 용이하게 일치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가열부재가 건조통 외면에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75322호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0033313호인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에서는 분쇄 부재와 구동 모터가 커플링(Coupling)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커플링은 분쇄 부재에 결합되어 있는 상부 커플링과 구동 모터의 축에 결합되어 있는 하부 커플링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구동모터의 회전 구동력은 하부 커플링 및 상부 커플링의 연결에 의해 분쇄 부재에 전달되어 분쇄 부재를 회전시키게 된다.
그런데, 하부 커플링과 상부 커플링 간에는 기어의 이(teeth)로 연결되는데 기어가 쉽게 마모되며, 기어 간의 연결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착탈이 용이하면서도, 서로 연결되었을 때 견고함이 요구되어서 기어가 마모되지 않는 하부 커플링과 상부 커플링 간의 연결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7532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003331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 처리효율을 저하시키지 않고서도 처리가 완료된 음식물 쓰레기를 외부로 간편하게 배출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분쇄 부재와 구동 모터 간의 연결구조에서 착탈이 용이하면서도,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어서 기어가 쉽게 마모되고 파손되지 않는 연결 구조를 갖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해결을 위한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상부에 삽입구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삽입구에 착탈되며,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건조통; 상기 건조통 내부 바닥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부재; 상기 분쇄부재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분쇄부재의 하부에 위치하는 모터블록; 상기 건조통의 바닥 하면에는 분쇄부재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분쇄부재의 회전축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 샤프트기어; 및 상기 모터블록과 연결되는 동력전달축의 상단에서 동력전달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하부 샤프트기어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 샤프트기어와 하부 샤프트기어는 상하로 착탈 가능하며, 결합한 상태에서는 함께 회전하여서 상기 모터블록의 회전구동력이 분쇄부재에 전달되며, 상부 샤프트기어는 상부에는 상기 분쇄부재의 회전축에 축결합하는 회전축 결합부 및 하부에는 다각오목홈을 구비하며, 상기 다각오목홈은 표면에는 내측으로는 표면 다각형상부, 상기 표면 다각형상부와 꼭짓점이 서로 대응되게 오목홈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 다각형상부, 상기 표면 다각형상부 및 내부 다각형상부의 꼭짓점이 서로 모서리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다각내측벽, 상기 표면 다각형상부의 꼭짓점과 꼭짓점 부분에서 인접하는 선분들의 중간부와 상기 다각내측벽의 모서리 중간부를 연결하는 부분까지 제거되어 형성된 슬라이딩홈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샤프트기어는 하부에는 동력전달축에 축결합하도록 동력전달축 결합부를 구비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 상부로 연장되는 다각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다각돌출부는 다각기둥의 형상으로 상부로 연장되면서 형성되는 상단의 하부 다각형상부와 측면의 다각외측벽, 상기 하부 다각형상부와 상부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상기 하부 다각형상부의 꼭짓점이 서로 대응되며 상기 하부 다각형상부보다 크기가 작은 상부 다각형상부, 및 상기 상부 다각형상부와 상기 하부 다각형상부의 꼭짓점이 서로 모서리로 연결되어 그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의 가이드 빗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각은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칠각형, 팔각형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각오목홈의 표면 다각형상부는 다수의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면서 웨이브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각돌출부의 상부 다각형성부는 다수의 가이드빗변이 파여진 홈의 형상을 가지므로 웨이브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각오목홈은 상기 내부 다각형상부의 중앙에서 돌출 연장되는 끼움돌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다각돌출부의 상부 육각형상부의 중앙부위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끼움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분쇄부재가 일체로 결합된 건조통을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처리가 완료된 음식물 쓰레기를 외부로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분쇄부재와 모터블록 간의 연결구조에서 착탈이 용이하면서도,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어서 기어가 쉽게 마모되고 파손되지 않는 연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쇄 부재와 모터블록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쇄 부재와 모터블록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다른 방향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샤프트기어 및 하부 샤프트 기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샤프트기어의 평면도, 정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 샤프트기어의 평면도, 정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샤프트기어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 샤프트기어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및 건조처리하는 것으로서, 종래기술과 같이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싱을 통해 외형을 이룬다. 케이싱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용하는 건조통을 위한 삽입구를 구비하여, 건조통이 상하방향으로 삽입구 내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장착된다
본 발명은 분쇄 부재와 모터블록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싱을 포함한 다른 구성요소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요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쇄 부재와 모터블록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쇄 부재와 모터블록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다른 방향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건조통(100)은 상부로 개방된 원통형으로서, 건조통(100)의 상단 둘레에는 플랜지(101)가 형성된다. 건조통(100)의 일측으로는 건조통(100)의 손잡이(10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건조통(100)이 케이싱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처리가 완료된 상태에서 건조통(100)을 케이싱으로부터 분리하여 건조통(100) 내부 음식물 쓰레기를 외부로 간단히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처리가 완료된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 동작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건조통(100)은 음식물 쓰레기를 비운 상태에서 쉽게 청소가 가능하기 때문에 건조통(100)을 보다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건조통(100) 내부 바닥 중심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시킬 수 있도록 분쇄부재(2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분쇄부재(200)는 건조통(100) 바닥 중심에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회전축(201), 회전축(201) 둘레에 결합된 몸체(202), 몸체(202) 둘레에 방사형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회전날(203)를 포함한다. 또한, 건조통(100)의 일측 내측면에는 분쇄부재(200)의 회전날(203)와 협력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효율을 높이기 위한 고정날(300)이 설치된다. 회전날(203)는 높낮이가 다른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고정날(300)은 일체로 형성된 지지대(301)가 건조통(100)의 내측면에 체결부재(302)를 통해 건조통(100)에 고정된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가열시키기 위해 건조통(100) 하부의 하우징에는 가열부재(400)가 설치된다.(도2, 도3, 도 4 참조) 이러한 가열부재(400)는 케이싱에 삽입된 건조통(100)을 직접 가열할 수 있도록 건조통(100) 바닥을 접촉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게 고정대(401)에 고정된다.
상기 분쇄부재(200)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건조통(100)의 하부 중앙에는 모터블록(500)이 고정되고, 모터블록(500)의 동력전달축(501)을 통해 분쇄부재(200)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가열부재(400)의 중앙에는 관통공이 구비되어서, 동력전달은 이러한 관통공을 통해 분쇄부재(20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모터(503)와 분쇄부재(200)와 연결되는 동력전달축(501) 사이에 구동모터(501)의 회전 속도를 감속기어로 원하는 속도로 감속시키는 감속기(505)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와 달리 구동모터(503)와 분쇄부재(200)는 바로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건조통(100)의 착탈 구조로 인해 건조통(100)에서 처리가 완료된 음식물 쓰레기를 외부로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이하, 건조통(100)의 착탈을 위한 모터블록(500)과 건조통(100)의 연결구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건조통(100)의 바닥 하면에는 분쇄부재(200)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부 샤프트기어(600)가 분쇄부재(200)의 회전축(201)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모터블록(500)과 연결되는 동력전달축(501)의 상단에는 동력전달축(501)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하부 샤프트기어(700)가 고정된다. 상기 상부 샤프트기어(600)와 하부 샤프트기어(700)는 상하로 쉽게 착탈 가능하며, 결합한 상태에서는 치합되어서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블록(500)의 동력전달축(501)과 분쇄부재(200)의 회전축(201)은 상부 및 하부 샤프트기어(600, 700)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모터블록(500)의 회전구동력이 분쇄부재(200)에 전달될 수 있도록 상호 연결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샤프트기어 및 하부 샤프트 기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샤프트기어의 평면도, 정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 샤프트기어의 평면도, 정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샤프트기어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 샤프트기어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여기서 상부 샤프트기어 및 하부 샤프트기어는 정육각형 형상으로 그 실시예로 하였으나, 정사각형, 정오각형, 정칠각형, 정팔각형 등 다양한 형상의 다각형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부 샤프트기어(600)는 원통형으로서 상부면에는 분쇄부재(200)의 회전축(201)에 축결합하는 회전축 결합부(601) 및 하부면에는 육각오목홈(610)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육각오목홈(610)은 표면에는 원주면 내측으로 웨이브 형상의 표면 육각형상부(611), 상기 표면 육각형상부(611)와 꼭짓점이 서로 대응되게 오목홈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 육각형상부(612), 상기 표면 육각형상부(611) 및 내부 육각형상부(612)의 꼭짓점이 서로 모서리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육각내측벽(613), 상기 표면 육각형상부(611)의 꼭짓점과 꼭짓점 부분에서 인접하는 선분들의 중간부와 상기 육각내측벽(613)의 모서리 중간부를 연결하는 부분까지 제거되어 형성된 여섯 개의 슬라이딩홈(615)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홈(615)이 형성되면서, 표면 육각형상부(611)는 웨이브 형상으로 변형되며, 크기도 내부 육각형상부(612)보다 꼭짓점 인근에서 더 커지게 된다. 이에 더하여, 육각 오목홈(610)은 상기 내부 육각형상부(612)의 중앙에서 돌출 연장되는 끼움돌기(61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샤프트기어(700)는 하부면에는 동력전달축(501)에 축결합하도록 동력전달축 결합부(701)를 구비하는 베이스부(705) 및 상기 베이스부(705)로 연장되는 육각돌출부(71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육각돌출부(710)는 육각기둥의 형상으로 상부로 연장되면서 하부 육각형상부(711)와 측면으로는 육각외측벽(713)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육각형상부(711)의 꼭짓점이 서로 대응되며 하부 육각형상부(711)보다 크기가 작은 상부 육각형상부(712)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 육각형상부(712) 및 상기 하부 육각형상부(711)의 꼭짓점이 서로 모서리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가이드 빗면(715)을 포함하되, 가이드빗변(715)은 파여진 홈의 형상을 가지므로 상부 육각형성부(712)는 웨이브 형상으로 변형된다. 또한, 상기 상부 육각형성부(712)의 중앙부위에는 상기 하부 샤프트기어(600)의 끼움돌기(617)가 삽입될 수 있는 끼움홈(717)이 형성되어 있다.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부 및 하부 샤프트기어(600, 700)의 상호 결합은 가열부재(400)의 관통공(미도시) 내에서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부 및 하부 샤프트기어(600, 700) 사이의 결합 동작은 관통공에 의해 가이드 될 수 있다.
상기 건조통(100) 하단 둘레에는 하부로 돌출된 체결부(150)가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 배치되고, 가열부재(400) 둘레에는 체결부(150)가 끼워져 체결되도록 체결홈(450)이 체결부(15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건조통(10)을 케이싱의 수용부에 삽입할 때, 건조통의 체결부(150)가 가열부재의 체결홈(450)에 끼워지게 된다. 이때, 건조통(10) 하부 중앙의 상부 샤프트기어(600)와 하부 샤프트기어(700)는 자연스럽게 결합한다. 이때, 상부 샤프트기어(600)의 슬라이딩홈(615)에 하부 샤프트기어(700)의 가이드빗변(715) 사이의 모서리가 자연스럽게 슬라이딩되어서 하부 샤프트기어(700)의 육각돌출부(710)는 상부 샤프트기어(600)의 육각오목홈(610)에 결합된다. 그 결합과정이 자연스럽고 견고하여 기어가 쉽게 마모되고 파손되지 않는 연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킨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10: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0: 케이싱
30: 덮개 32: 힌지
100: 건조통 101: 플랜지
102: 손잡이 150: 체결부
200: 분쇄부재 201: 회전축
202: 몸체 203: 회전날
300: 고정날 301: 지지대
302: 체결부재 400: 가열부재
401: 고정대 450: 체결홈
500: 모터블록 501: 동력전달축
503: 구동모터 505: 감속기
600: 상부 샤프트기어 601: 회전축 결합부
610: 육각오목홈 611: 표면 육각형상부
612: 내부 육각형상부 613: 육각내측벽
615: 슬라이딩홈 617: 끼움돌기
700: 하부 샤프트기어 705: 베이스부
701: 동력전달축 결합부 710: 육각돌출부
711: 하부 육각형상부 713: 육각외측벽
715; 가이드 빗면 717: 끼움홈

Claims (5)

  1. 상부에 삽입구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삽입구에 착탈되며,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건조통;
    상기 건조통 내부 바닥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부재;
    상기 분쇄부재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분쇄부재의 하부에 위치하는 모터블록;
    상기 건조통의 바닥 하면에는 분쇄부재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분쇄부재의 회전축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 샤프트기어; 및
    상기 모터블록과 연결되는 동력전달축의 상단에서 동력전달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하부 샤프트기어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 샤프트기어와 하부 샤프트기어는 상하로 착탈 가능하며, 결합한 상태에서는 함께 회전하여서 상기 모터블록의 회전구동력이 분쇄부재에 전달되며,
    상부 샤프트기어는 상부에는 상기 분쇄부재의 회전축에 축결합하는 회전축 결합부 및 하부에는 다각오목홈을 구비하며,
    상기 다각오목홈은 표면에는 내측으로는 표면 다각형상부, 상기 표면 다각형상부와 꼭짓점이 서로 대응되게 오목홈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 다각형상부, 상기 표면 다각형상부 및 내부 다각형상부의 꼭짓점이 서로 모서리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다각내측벽, 상기 표면 다각형상부의 꼭짓점과 꼭짓점 부분에서 인접하는 선분들의 중간부와 상기 다각내측벽의 모서리 중간부를 연결하는 부분까지 제거되어 형성된 슬라이딩홈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샤프트기어는 하부에는 동력전달축에 축결합하도록 동력전달축 결합부를 구비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 상부로 연장되는 다각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다각돌출부는 다각기둥의 형상으로 상부로 연장되면서 형성되는 상단의 하부 다각형상부와 측면의 다각외측벽, 상기 하부 다각형상부와 상부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상기 하부 다각형상부의 꼭짓점이 서로 대응되며 상기 하부 다각형상부보다 크기가 작은 상부 다각형상부, 및 상기 상부 다각형상부와 상기 하부 다각형상부의 꼭짓점이 서로 모서리로 연결되어 그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의 가이드 빗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은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칠각형, 팔각형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오목홈의 표면 다각형상부는 다수의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면서 웨이브 형상으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돌출부의 상부 다각형성부는 다수의 가이드빗변이 파여진 홈의 형상을 가지므로 웨이브 형상으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오목홈은 상기 내부 다각형상부의 중앙에서 돌출 연장되는 끼움돌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다각돌출부의 상부 육각형상부의 중앙부위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끼움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220131956A 2022-10-14 2022-10-14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2400522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956A KR20240052213A (ko) 2022-10-14 2022-10-14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956A KR20240052213A (ko) 2022-10-14 2022-10-14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2213A true KR20240052213A (ko) 2024-04-23

Family

ID=90881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1956A KR20240052213A (ko) 2022-10-14 2022-10-14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221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322B1 (ko) 2011-07-05 2014-03-18 (주)에이티플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220033313A (ko) 2020-09-09 2022-03-16 주식회사 스마트카라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322B1 (ko) 2011-07-05 2014-03-18 (주)에이티플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220033313A (ko) 2020-09-09 2022-03-16 주식회사 스마트카라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7339B2 (en) Transfer unit having transfer rotor and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108738B1 (ko) 분쇄 스크류, 분쇄통 및 이를 구비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JP4906838B2 (ja) 生ごみ処理機の乾燥炉
JP2010094663A (ja) 飲食物処理機の粉砕機
KR101701463B1 (ko) 음식물찌꺼기 살균건조처리장치
KR10137532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65155B1 (ko) 씽크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24005221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4478005B2 (ja) なまごみ処理機械
JP2009011944A (ja) 生ごみ処理機
KR20050116550A (ko)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KR19990020542U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230064350A (ko)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
KR100624006B1 (ko) 폐 음식물의 처리장치
JP2011016078A (ja) 生ゴミ処理機
KR200378842Y1 (ko) 잔반 처리장치
KR101176304B1 (ko) 분쇄 스크류, 분쇄통 및 이를 구비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KR0183534B1 (ko) 주방음식물 찌꺼기 탈수장치
KR200388843Y1 (ko) 음식물 파쇄기
KR20180044020A (ko) 폐기물 처리기
KR100866516B1 (ko) 대용량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381125Y1 (ko) 폐 음식물의 처리장치
KR200253243Y1 (ko) 음식찌꺼기 처리장치
KR20100064769A (ko) 음식물 처리기
KR200412768Y1 (ko) 통이 굽고 칼 축이 경사진 파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