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4769A - 음식물 처리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4769A
KR20100064769A KR1020080123365A KR20080123365A KR20100064769A KR 20100064769 A KR20100064769 A KR 20100064769A KR 1020080123365 A KR1020080123365 A KR 1020080123365A KR 20080123365 A KR20080123365 A KR 20080123365A KR 20100064769 A KR20100064769 A KR 20100064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sprocket
power
blade device
food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3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3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4769A/ko
Publication of KR20100064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47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addles or arms 
    • B01F27/90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addles or arms  cooperating with intermeshing elements fixed on the receptacl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00Preliminary treatment of solid materials or objects to facilitate drying, e.g. mixing or backmixing the materials to be dried with predominantly dry solids
    • F26B1/005Preliminary treatment of solid materials or objects to facilitate drying, e.g. mixing or backmixing the materials to be dried with predominantly dry solids by means of disintegrating, e.g. crushing, shredding, milling the materials to be dr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5Mixing waste with other ingredi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2Heat utilisation in combustion or incineration of was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및 교반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어 적층되는 건조부 하우징; 상기 건조부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적층된 음식물 쓰레기의 상측 및 하측을 동시에 교반 및 분쇄하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교차되는 복수의 블레이드장치; 및 상기 건조부 하우징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장치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장치;를 포함한다.
음식물 처리기, 건조로, 블레이드장치, 회전날개, 돌출부, 스프로킷, 체인

Description

음식물 처리기{Food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및 교반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 또는 음식점 등에서는 매일 일정량의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며,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는 그대로 가축사료로 이용하거나 섞여 있는 물기를 단순한 거름망을 통하여 걸러낸 후 폐기시키고 있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방법은 쓰레기 수량을 증대시키고, 쓰레기를 자주 버리지 않을 경우 악취를 발생시켜 주변의 공기를 오염시킨다.
근래에 일반 가정과 음식점에서 음식쓰레기를 줄이려는 노력이 활성화되고 있으나, 점차 증가하는 쓰레기의 양을 조절하기란 여러 가지로 어려움이 따르고 있으며 이를 매립할 경우 매립장소가 한정됨은 물론 악취와 침출수로 인한 환경 피해는 매우 심각한 실정에 이르렀다.
그래서 최근에는 쓰레기 종량제를 실시하고 있으며, 음식물을 발효 또는 건 조방식 등을 유도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기를 단체급식소 또는 아파트 단지별로 신축시 의무적으로 설치를 할 수 있도록 규정화하고 있고, 각 가정에서도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를 구비하는 추세이다.
수분이 많이 함유된 음식물 쓰레기는 그대로 방치하면 썩기 쉽고 악취를 발산하여 주변의 위생환경을 해치는데, 이의 처리를 위해 많은 업체에서 기술개발을 시도하여 왔으며 가정과 음식점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으로 열풍순환건조방식, 교반기능을 추가한 열풍순환건조방식, 교반기능과 분쇄 기능을 추가한 열풍순환건조 방식, 교반기능과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해하는 방식, 냉장보관방식 등의 여러가지 방식의 기술을 활용하여 음식물 처리기 제품을 출시하여 왔다.
이 중에서, 종래의 일반적인 교반 및 분쇄기능을 갖춘 건조처리방식의 음식물 처리기는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처리되는 건조부를 포함하며, 건조부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및 교반시키는 블레이드가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의 음식물 처리기는 블레이드가 음식물 쓰레기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면서 교반하도록 회전작동됨으로써 건조부 내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쏠림 현상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음식물 쓰레기의 교반효율이 저감되고 처리완료된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음식물 처리기는 음식물 쓰레기가 점성으로 인해 건조부의 하측으로 진행되지 않고 내측면에 고착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이 어려우며, 블레이드가 건조부 내에서 하측에 구비되어 상측에 적층 및 고착된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교반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음식물 처리기는 블레이드가 단일 회전축으로 구성되어 블레이드 자체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음식물을 분쇄하기 때문에 음식물을 잘게 절단분쇄하는 데에 한계가 있으며, 전분질 등의 경한 물질이 투입되면 잘게 분쇄되지 못하고 덩어리로 뭉쳐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블레이드나 모터 등에 과다한 부하가 가하지게 되고, 이로 인해 구동모터의 내구성이 저하되고 모터 소음 및 음식물과 블레이드 사이의 마찰 소음이 발생하여 소비자의 사용만족도가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상측 및 하측으로 회전날개가 형성된 복수의 블레이드장치가 구비되는 음식물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어 적층되는 건조부 하우징; 상기 건조부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적층된 음식물 쓰레기의 상측 및 하측을 동시에 교반 및 분쇄하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교차되는 복수의 블레이드장치; 및 상기 건조부 하우징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장치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 장치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교차되는 제1블레이드장치 및 제2블레이드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동력장치는 상기 제1블레이드장치에 연결되며, 상기 동력장치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동력장치와 상기 제2블레이드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동력장치의 동력을 상기 제2블레이드장치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블레이드장치 및 제2블레이드장치는, 상기 동력장치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블레이드 스프로킷; 일단이 상기 블레이드 스프로킷과 결합되고 상 기 건조부 하우징의 하측면을 관통하며 상기 블레이드 스프로킷과 동시에 회전되는 회전축; 및 상기 건조부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 및 분쇄시키는 블레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블레이드장치의 블레이드 스프로킷은 상기 동력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제2블레이드장치의 블레이드 스프로킷은 상기 동력전달장치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레이드부재는,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결합축; 상기 결합축의 상측에서 회전반경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회전날개; 및 상기 결합축의 하측에서 회전반경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회전날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회전날개는 상면이 기울기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적층되지 않고 미끄러질 수 있다.
상기 하부회전날개는 끝단이 상기 건조부 하우징의 내측면에 인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블레이드장치 및 제2블레이드장치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 시 하나의 블레이드장치의 하나의 하부회전날개가 다른 블레이드장치의 두 개의 하부되전날개의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회전날개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상부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회전날개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하부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블레이드장치 및 제2블레이드장치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하나의 블레이드장치의 상기 상부돌출부와 다른 블레이드장치의 상기 하부돌출부가 교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돌출부 및 하부돌출부는 상기 결합축으로부터의 거리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장치는, 상기 블레이드장치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는 구동스프로킷; 및 상기 구동스프로킷과 상기 제1블레이드장치의 블레이드 스프로킷을 연결하여 상기 구동스프로킷의 회전력을 상기 블레이드 스프로킷에 전달하는 제1체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려 상기 구동기어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스프로킷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종동스프로킷; 및 상기 종동스프로킷과 상기 제2블레이드장치의 블레이드 스프로킷을 연결하여 상기 종동스프로킷의 회전력을 상기 블레이드 스프로킷에 전달하는 제2체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는 상부회전날개 및 하부회전날개의 회전구동으로 인해 건조부 하우징 내에서 상측 및 하측에 적층된 음식물 쓰레기가 고착되지 않고 골고루 분쇄 및 교반되고, 복수의 블레이드장치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부 하우징의 바닥면 중심측으로 모아주어 처리완료된 음식물 쓰레기가 효과적으로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효과로 인해 블레이드장치 및 동력장치에 가해지는 부하 가 저감되어 동력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모터 소음 및 마찰 소음의 발생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는 상부회전날개 및 하부회전날개에 상부돌출부 및 하부돌출부가 형성되어 상부돌출부 및 하부돌출부의 교차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어 분쇄 및 교반에 의해 건조처리되는 건조부(100), 건조부(100)의 상측에 구비되어 건조부(100) 내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되면서 생성되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부(200), 건조부(100)의 외측에 구비되어 건조부(100) 내의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및 교반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300), 건조부(100)의 하측에 구비되어 건조부(100) 내의 처리완료된 음식물 쓰레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400), 및 건조부(100)와 구동부(300)를 지지하는 지지부(500)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부 및 배기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건조부(100)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어 적층되는 건조부 하우징(110), 건조부 하우징(110)의 하측면에 결합되어 내부에 적층된 음식물 쓰레기의 상측 및 하측을 동시에 교반 및 분쇄하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교차되는 제1블레이드장치(120)와 제2블레이드장치(130), 건조부 하우징(110)의 외부 하측에 구비되어 건조부 하우징(110)을 가열시키는 열선(140), 및 열선(140)을 건조부 하우징(110)의 하측에 고정시키는 열선고정부(150)를 포함한다.
건조부 하우징(110)은 원통형의 용기로 형성되며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도록 일측이 개구되고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중 생성되는 배기가스의 배출을 위해 배기부(200)가 결합되며, 내측에 제1블레이드장치(120)와 제2블레이드장치(130)가 결합된다. 건조부 하우징(110)의 내측면은 두개의 제1블레이드장치(120)와 제2블레이드장치(130)가 회전 시 형성되는 회전반경의 외곽선을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건조부 하우징(110)의 내측에는 제1블레이드장치(120)와 제2블레이드장치(130)가 회전 시 음식물 쓰레기의 교반에 있어서 사각지대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건조부 하우징(110)의 하측면에는 제1블레이드장치(120)와 제2블레이드장치(130)가 관통결합되도록 결합구(미도시)가 형성되며, 두개의 결합구(미도시)의 가운데에는 건조처리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부(400)가 결합되는 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된다.
제1블레이드장치(120)와 제2블레이드장치(130)는 구동부(30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블레이드 스프로킷(121,131), 일단이 블레이드 스프로킷(121,131)과 결합되고 건조부 하우징(110)의 하측면을 관통하며 블레이드 스프로킷(121,131)과 동시에 회전되는 회전축(122,132), 및 건조부 하우징(110)의 내측에서 회전축(122,132)에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 및 분쇄시키는 블레이드부재(123,133)를 포함한다.
블레이드 스프로킷(121,131)은 건조부 하우징(110)의 하측에 구비되고, 건조 부 하우징(110)의 하측면을 관통하는 회전축(122,132)과 결합된다. 블레이드 스프로킷(121,131)은 구동부(300)와 연결되어 구동부(30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구동된다.
회전축(122,132)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건조부 하우징(110)의 외측에서 블레이드 스프로킷(121,131)과 결합되고, 타단이 건조부 하우징(110)의 내측에서 블레이드부재(123,133)과 결합된다. 회전축(122,132)은 구동부(30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블레이드 스프로킷(121,131)에 의해 회전되면서 블레이드부재(123,133)를 회전시킨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건조부의 블레이드부재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3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블레이드부재(123,133)는 회전축(122,132)에 결합되는 결합축(123a,133a), 결합축(123a,133a)의 상측에서 회전반경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회전날개(123b,133b), 상기 결합축의 하측에서 회전반경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회전날개(123c,133c), 상부회전날개(123b,133b)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상부돌출부(123d,133d), 및 하부회전날개(123c,133c)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하부돌출부(123e,133e)를 포함한다.
결합축(123a,133a)은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원통형의 회전축(122,132)이 결합될 수 있다.
상부회전날개(123b,133b)는 2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 더 구비될 수 있다. 상부회전날개(123b,133b)는 결합축(123a,133a)의 상측에서 회전반경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회전구동되면서 건조부 하우징(110) 내에 적층된 음식물 쓰레기의 상측을 교반시킨다. 상부회전날개(123b,133b)는 상면이 기울기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적층되지 않고 하측으로 미끄러지게 된다.
하부회전날개(123c,133c)는 4개로 구성될 수 있고, 결합축(123a,133a)의 하측에서 회전반경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회전구동되면서 건조부 하우징(110) 내에 적층된 음식물 쓰레기의 히측을 교반시킨다. 하부회전날개(123c,133c)는 끝단이 건조부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인접되도록 형성되어, 건조부 하우징(110) 내에서 하부회전날개(123c,133c)의 회전 시 음식물 쓰레기가 일측으로 쏠려 교반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두 개의 블레이드부재(123,133)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 시 제1블레이드부재(123)의 하나의 하부회전날개(123c)가 제2블레이드부재(133)의 두 개의 하부회전날개(133c)의 사이에 위치되며, 이러한 두 블레이드부재(123,133)의 교차회전에 의해 분쇄 및 교반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여기서, 블레이드부재(123,133)의 회전 방향을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반복시키면 건조처리된 음식물 쓰레기가 두 블레이드부재(123,133)의 가운데로 이동되면서 건조부 하우징의 배출구 쪽으로 몰리게 되어, 후에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작업이 쉽게 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블레이드부재의 정면도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에 포함된 한 쌍의 블레이드부재 중 하나만 도시한 것으로, 나머지 하나의 블레이드부재도 그 형상이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부회전날개(123c)는 마주보는 두 쌍 중 한 쌍이 결합축(123a)의 하단보다 상측에서 연장형성되고, 나머지 한 쌍이 결합 축(123a)의 하단보다 하측에서 연장형성됨으로써, 하부회전날개(123c)의 높낮이가 일정하지 않고 다르게 형성되어 분쇄 및 교반효율이 향상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블레이드부재의 평면도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에 포함된 한 쌍의 블레이드부재 중 하나만 도시한 것으로, 나머지 하나의 블레이드부재도 그 형상이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는 블레이드부재를 상측에서 본 형태로서, 상부돌출부 및 하부돌출부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해칭처리하였다.
도 5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부돌출부(123d) 및 하부돌출부(123e)는 결합축(123a)으로부터의 거리가 다르게 형성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3개의 A, B, C, D동심원을 기준으로 보면, 상부돌출부(123d)는 A동심원과 B동심원 사이, B동심원과 C동심원 사이에 형성되고, 하부돌출부(123e)는 A동심원과 B동심원 사이, B동심원과 C동심원 사이, C동심원과 D동심원 사이에 각각 별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부돌출부(123d) 및 하부돌출부(123e)가 단계적으로 돌출형성됨으로써, 두 개의 블레이드부재가 회전 시 하나의 블레이드부재의 상부돌출부(123d)와 다른 블레이드부재의 하부돌출부(123e)가 교차되는 위치가 변화되면서 분쇄효율이 향상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부(200)는 가운데가 개구된 원형의 프레임 형상인 상부커버(210) 및 하부커버(220)로 구성된다. 여기서, 프레임 형상은 원형 뿐만 아니라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부커버(210)는 하부커버(220)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결합부(211)가 형성되며, 하부커버(220)는 건조부 하우징(110) 내의 배기가스가 흡입되는 흡입구(221) 및 흡입된 배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222)가 형성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처리기의 구동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처리기의 배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구동부(300)는 건조부 하우징(100)의 외측에 구비되고 제1블레이드장치에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장치(310), 및 동력장치(310)의 일측에 구비되고 동력장치(310)와 제2블레이드장치에 연결되어 동력장치(310)의 동력을 제2블레이드장치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320)를 포함한다.
동력장치(310)는 블레이드장치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311), 구동모터(311)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구동축(미도시), 구동축(미도시)에 연결되어 구동모터(311)의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구동기어(313), 구동기어(313)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는 구동스프로킷(314), 및 구동스프로킷(314)과 제1블레이드장치의 블레이드 스프로킷(121)을 연결하여 구동스프로킷(314)의 회전력을 블레이드 스프로킷에 전달하는 제1체인(315)을 포함한다.
동력전달장치(320)는 구동기어(313)에 맞물려 구동기어(313)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종동기어(323), 종동기어(323)에 결합되어 구동스프로킷(314)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종동스프로킷(324), 종동스프로킷(324)과 제2블레이드장치의 블레이드 스프로킷(131)을 연결하여 종동스프로킷(324)의 회전력을 블레이드 스프로킷에 전달하는 제2체인(325), 지지부(500)에 고정되어 종동기어(323)와 종동스프로킷(324)을 지지하는 고정부재(321), 및 일단이 고정부재(321)에 결합되고 타단이 종동기어(323) 및 종동스프로킷(324)과 결합되어 종동기어(323)와 종동스프로 킷(324)을 지지하는 고정축(322)을 포함한다.
구동부(300)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구동모터(311)가 구동되면 구동기어(313) 및 구동스프로킷(314)이 회전되고, 구동기어(313)에 맞물린 종동기어(323)가 구동기어(313)와 반대로 회전되면서 종동스프로킷(324)도 함께 회전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스프로킷(314)과 종동스프로킷(324)은 제1,2체인(315,325)에 의해 제1블레이드장치(120)의 블레이드 스프로킷(121) 및 제2블레이드장치(130)의 블레이드 스프로킷(131)과 연결되어, 구동스프로킷(314)과 종동스프로킷(324)이 서로 반대로 회전됨으로써 제1블레이드장치의 블레이드 스프로킷(121) 및 제2블레이드장치(130)의 블레이드 스프로킷(131)도 서로 반대로 회전구동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처리기의 배출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배출부(400)는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처리가 완료되면 제어부(미도시)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배출부 모터(410), 배출부 모터(410)에 연결되어 회전구동되는 배출부 축(420) 및 배출부 기어(430), 배출부 축(420) 및 배출부 기어(430)에 의해 배출부 모터(410)의 동력을 전달받아 건조부 하우징(110)의 배출구(미도시)를 개폐하는 개폐부재(440)를 포함한다.
배출부(400)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처리가 완료되면 제어부(미도시)의 신호에 따라 배출부 모터(410)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개폐부재(440)도 90°각도로 회전되면서 건조부 하우징(110)의 배출구(미도시)를 개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는 상부회전날개(123b,133b) 및 하부회전날개(123c,133c)의 회전구동으로 인해 건조부 하우징(110) 내에서 상측 및 하측에 적층된 음식물 쓰레기가 고착되지 않고 골고루 분쇄 및 교반되고, 복수의 블레이드장치(120,13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부 하우징(110)의 바닥면 중심측으로 모아주어 처리완료된 음식물 쓰레기가 효과적으로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효과로 인해 블레이드장치(123,130) 및 동력장치(310)에 가해지는 부하가 저감되어 동력장치(310)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모터 소음 및 마찰 소음의 발생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는 상부회전날개(123b,133b) 및 하부회전날개(123c,133c)에 상부돌출부(123d,133d) 및 하부돌출부(123e,133e)가 형성되어 상부돌출부(123d,133d) 및 하부돌출부(123e,133e)의 교차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부 및 배기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건조부의 블레이드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블레이드부재의 정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블레이드부재의 평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처리기의 구동부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처리기의 배면도이며,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처리기의 배출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건조부 110 : 건조부 하우징
120 : 제1블레이드장치 130 : 제2블레이드장치
121,131 : 블레이드 스프로킷 122,132 : 회전축
123,133 : 블레이드부재 123a,133a : 결합축
123b,133b : 상부회전날개 123c,133c : 하부회전날개
123d,133d : 상부돌출부 123e,133e : 하부돌출부
140 : 열선 150 : 열선고정부
200 : 배기부 210 : 상부커버
220 : 하부커버 221 : 흡입구
222 : 배출구 300 : 구동부
310 : 동력장치 311 : 구동모터
313 : 구동기어 314 : 구동스프로킷
315 : 제1체인 320 : 동력전달장치
321 : 고정부재 322 : 고정축
323 : 종동기어 324 : 종동스프로킷
325 : 제2체인 400 : 배출부
410 : 배출부 모터 420 : 배출부 축
430 : 배출부 기어 440 : 개폐부재
500 : 지지부

Claims (10)

  1.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어 적층되는 건조부 하우징;
    상기 건조부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적층된 음식물 쓰레기의 상측 및 하측을 동시에 교반 및 분쇄하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교차되는 복수의 블레이드장치; 및
    상기 건조부 하우징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장치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장치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교차되는 제1블레이드장치 및 제2블레이드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동력장치는 상기 제1블레이드장치에 연결되며,
    상기 동력장치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동력장치와 상기 제2블레이드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동력장치의 동력을 상기 제2블레이드장치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레이드장치 및 제2블레이드장치는,
    상기 동력장치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블레이드 스프로킷;
    일단이 상기 블레이드 스프로킷과 결합되고 상기 건조부 하우징의 하측면을 관통하며 상기 블레이드 스프로킷과 동시에 회전되는 회전축; 및
    상기 건조부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 및 분쇄시키는 블레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블레이드장치의 블레이드 스프로킷은 상기 동력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제2블레이드장치의 블레이드 스프로킷은 상기 동력전달장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재는,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결합축;
    상기 결합축의 상측에서 회전반경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회전날개; 및
    상기 결합축의 하측에서 회전반경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회전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회전날개는 상면이 기울기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적층되지 않고 미끄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회전날개는 끝단이 상기 건조부 하우징의 내측면에 인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레이드장치 및 제2블레이드장치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 시 하나의 블레이드장치의 하나의 하부회전날개가 다른 블레이드장치의 두 개의 하부되전날개의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회전날개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상부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회전날개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하부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블레이드장치 및 제2블레이드장치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하나의 블레이드장치의 상기 상부돌출부와 다른 블레이드장치의 상기 하부돌출부가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돌출부 및 하부돌출부는 상기 결합축으로부터의 거리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장치는,
    상기 블레이드장치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는 구동스프로킷; 및
    상기 구동스프로킷과 상기 제1블레이드장치의 블레이드 스프로킷을 연결하여 상기 구동스프로킷의 회전력을 상기 블레이드 스프로킷에 전달하는 제1체인;을 포함하며,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려 상기 구동기어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스프로킷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종동스프로킷; 및
    상기 종동스프로킷과 상기 제2블레이드장치의 블레이드 스프로킷을 연결하여 상기 종동스프로킷의 회전력을 상기 블레이드 스프로킷에 전달하는 제2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KR1020080123365A 2008-12-05 2008-12-05 음식물 처리기 KR201000647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365A KR20100064769A (ko) 2008-12-05 2008-12-05 음식물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365A KR20100064769A (ko) 2008-12-05 2008-12-05 음식물 처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769A true KR20100064769A (ko) 2010-06-15

Family

ID=42364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3365A KR20100064769A (ko) 2008-12-05 2008-12-05 음식물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476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6325A (ko) 2013-02-26 2014-09-03 (주)코스모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WO2023282443A1 (ko) * 2021-07-05 2023-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식물 처리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6325A (ko) 2013-02-26 2014-09-03 (주)코스모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WO2023282443A1 (ko) * 2021-07-05 2023-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식물 처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21106A1 (en) Transfer unit having transfer rotor and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9458827A (zh) 一种生物质燃料干燥装置
KR101758974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AU2014311178B2 (en) Machine for washing omasum of cattle
KR10102456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교반기
KR20100064769A (ko) 음식물 처리기
KR20160002960U (ko) 동일축상에서 정회전, 역회전이 동시에 실행되는 분쇄날과 uv모듈이 구비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20080003682U (ko)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를 위한 회전날
CN2472624Y (zh) 一种家用食品搅拌机
CN210230996U (zh) 一种用于食品废弃物的处理装置
JP2010069425A (ja) 生ごみ処理機
KR10136108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교반기
KR10101761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및 그 제어 방법
CN210279291U (zh) 一种厨房用厨余垃圾粉碎装置
JP2000051103A (ja) 電動調理器のカッター装置
CN112726752A (zh) 一种提高废水利用率减少用水的厨房粉碎机
JP2009011944A (ja) 生ごみ処理機
KR20050116550A (ko)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KR100650132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용 파쇄구
KR200378842Y1 (ko) 잔반 처리장치
KR102415832B1 (ko) 파쇄수단이 구비된 드럼 믹서
KR10246634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교반장치
CN216605525U (zh) 搅拌叶片及具有其的厨余垃圾处理器
KR200360297Y1 (ko)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KR102400590B1 (ko) 전자클러치가 적용된 파쇄기가 장착되는 음식물 처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