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3117A - 자력 지지 기반의 도어커튼 기구 - Google Patents

자력 지지 기반의 도어커튼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3117A
KR20210123117A KR1020200040447A KR20200040447A KR20210123117A KR 20210123117 A KR20210123117 A KR 20210123117A KR 1020200040447 A KR1020200040447 A KR 1020200040447A KR 20200040447 A KR20200040447 A KR 20200040447A KR 20210123117 A KR20210123117 A KR 20210123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r
sunshade
hook
door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7871B1 (ko
Inventor
이성주
Original Assignee
아시모리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시모리코리아(주) filed Critical 아시모리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200040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871B1/ko
Priority to JP2021062960A priority patent/JP2021160717A/ja
Publication of KR20210123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8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openable windows, e.g. side wind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60J3/005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for sid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1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magne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프레임(10)에 자력으로 지지되는 도어커튼 기구에 있어서: 선쉐이드(21)의 상단에 지지바(23)를 결합하여 구성되고, 지지바(23) 상에 걸림홈(32)을 구비하는 커튼수단(20); 및 상기 도어프레임(10)에 L자형 단면으로 형성된 후크(41)를 결합하여 구성되고, 자력의 매개로 지지바(23)와 후크(41)의 결합을 유지하는 걸림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는 후크의 단부에 걸림턱을 배제하여 선쉐이드의 상승행정단을 최대로 유지하고, 선쉐이드의 슬라이딩을 허용하여 차광 위치의 변동을 유발하여 편의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력 지지 기반의 도어커튼 기구 {Door curtain device based on magnetic support}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커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 도어의 창문으로 유입되는 햇빛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자력 지지 기반의 도어커튼 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에 장착된 각종 윈도우에 대한 차양은 커튼, 블라인드, 시트 등의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어느 방식이나 차광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지만 이외에 설치/사용의 편의성과 외관의 미감도 요구된다. 자동차 도어에 권취식으로 장착되는 선쉐이드는 편의와 미감 측면에서 유리하다. 구성의 간편성과 연비를 고려할 때 전동 권취식보다는 수동 권취식이 실용적이다. 반면 권취식은 도어 인너패널에 결합되는 구조적 제약에 기인하여 도어 윈도우를 완전하게 커버하지 못하여 부분적으로 차광성 약화에 노출된다.
차량의 선쉐이드와 관련되는 선행기술문헌으로 하기의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4-042772호(선행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568300호(선행문헌 2) 등을 참조할 수 있다.
선행문헌1은 차량의 윈도우 개구를 개폐하는 유리의 상단을 웨더스트립으로 실링하고, 인출 가능한 선쉐이드를 웨더스트립에 결합된 취부부재의 후크부에 걸어서 고정한다. 이에, 취부부재로 인하여 웨더스트립의 간격이 발생하지 않아 소음과 물의 실내 침투를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선행문헌2는 롤 케이스의 양 측면에 고정블록을 개재하여 고정축이 형성되고, 유연성을 가지는 결합부재가 고정블록을 인너 패널에 결합되고, 차양막의 상단에 복수의 클립을 갖춘 지지 샤프트가 결합된다. 이에, 롤 블라인드를 간단하고 손쉽게 설치하며 안정적으로 차양막을 인출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에서 제시하는 클립은 단부에 걸림턱을 형성한 구조이므로 필연적으로 선쉐이드의 상단이 윈도우 상측을 커버하지 못하여 틈새로 햇빛이 유입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4-042772호 "선쉐이드의 상부 취부부재" (공개일자 : 2004.02.1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568300호 "차량 차양용 롤 블라인드의 고정장치" (공개일자 : 2015.11.12.)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도어의 창문으로 유입되는 햇빛을 선택적으로 차단함에 있어서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는 후크의 단부에 걸림턱을 배제하여 선쉐이드의 상승행정단을 최대로 유지할 수 있는 자력 지지 기반의 도어커튼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쉐이드의 슬라이딩을 허용하여 차광 위치의 변동을 유발하는 자력 지지 기반의 도어커튼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프레임에 자력으로 지지되는 도어커튼 기구에 있어서: 선쉐이드의 상단에 지지바를 결합하여 구성되고, 지지바 상에 걸림홈을 구비하는 커튼수단; 및 상기 도어프레임에 L자형 단면으로 형성된 후크를 결합하여 구성되고, 자력의 매개로 지지바와 후크의 결합을 유지하는 걸림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커튼수단은 지지바의 상단과 도어프레임의 하단에 3㎜ 이하의 틈새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걸림수단은 일측의 자석과 타측의 자성체를 대향 가능한 위치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지지바는 후크에 맞물린 선쉐이드의 수평이동을 허용하도록 걸림홈과 연통하는 연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로서, 상기 자석은 자성체와 대향하는 면에 미끄럼 저항력을 축소하도록 주름부 또는 롤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는 후크의 단부에 걸림턱을 배제하여 선쉐이드의 상승행정단을 최대로 유지하고, 선쉐이드의 슬라이딩을 허용하여 차광 위치의 변동을 유발하여 편의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변경 전후를 대비하는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요부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구를 사용 상태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어프레임(10)에 자력으로 지지되는 도어커튼 기구에 관하여 제안한다. 차량의 도어프레임(10)에 설치되는 커튼 기구를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어프레임(10)은 글래스(15)를 상하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도어커튼 기구는 글래스(15)에 대한 차광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쉐이드(21)의 상단에 지지바(23)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커튼수단(20)이 지지바(23) 상에 걸림홈(32)을 구비하는 구조를 이룬다. 커튼수단(20)은 차광성을 지닌 유연한 구조의 선쉐이드(21)를 기반으로 한다. 선쉐이드(21)의 상단에 일체로 고정되는 지지바(23)는 하중을 지지하는 경질 구조로 형성된다. 지지바(23)에 형성되는 걸림홈(32)은 후술하는 후크(41)와 결합되는 구조이다. 걸림홈(32)은 2개소에 형성함이 적절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도어프레임(10)의 내부에 권취기(25)를 수용하고 선쉐이드(21)의 하단을 권취기(25)에 연결할 수 있다. 차광시 지지바(23)를 상측으로 당기면 권취기(25)에서 선쉐이드(21)가 인출되고, 반대로 지지바(23)를 놓으면 선쉐이드(21)가 탄성력에 의해 권취기(25)에 감긴다.
한편, 도시에는 생략하나, 권취기(25)는 선쉐이드(21)의 수직운동에 더하여 수평운동을 유발하도록 공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선쉐이드(21)의 수평운동은 글래스(15)의 형태와 크기에 대응하여 차광 영역을 변동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도어프레임(10)에 L자형 단면으로 형성된 후크(41)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걸림수단(40)이 자력의 매개로 지지바(23)와 후크(41)의 결합을 유지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글래스(15)가 도어프레임(10)에 설치된 웨더스트랩(12)에 밀착된 상태에서 후크(41)가 글래스(15)와 다소 이격되도록 도어프레임(10)에 결합된다. 후크(41)는 하단에 돌출부가 없는 L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지지바(23)의 걸림홈(32)에 맞물리면서 선쉐이드(21)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커튼수단(20)은 지지바(23)의 상단과 도어프레임(10)의 하단에 3㎜ 이하의 틈새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은 일반적인 후크(41)로서 L자형 단면을 기반으로 하단에 걸림턱(41a)이 돌출된다. 지지바(23)를 후크(41)에 착탈하는 과정에서 걸림홈(32)이 화살표처럼 걸림턱(41a)을 넘어야 하므로 지지바(23)의 상측으로 공간이 필요하고 이러한 공간에 의해 차광성이 약화된다. 반면, 본 발명을 나타내는 도 1(b)처럼 하단의 걸림턱(41a)이 배제된 L자형 단면의 후크(41)에 의하면 지지바(23)가 화살표와 같이 직선으로만 이동하면 되기에 지지바(23)의 상측에 최소한의 공간(틈새)을 형성하므로 차광성 약화를 방지한다.
이때, 지지바(23)의 상단과 도어프레임(10)의 하단에 3㎜ 이하의 틈새라면 차광성 약화를 방지하기 충분하다. 다만 틈새가 0㎜에 근접할수록 지지바(23)를 후크(41)에 끼우기 불편한 점을 고려하는 것이 좋다.
도 1(a)의 경우 지지바(23)에 형성되는 걸림홈(32)의 높이가 높으므로 차량의 주행시 소음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으나, 도 1(b)의 경우 걸림홈(32)의 높이를 후크(41)의 하단 두께에 맞도록 축소하여 소음 유발 가능성을 낮춘다. 도 1의 미설명 부호 D는 도 1(a)에서 도 1(b)로 가는 경우 지지바(23)의 상단 높이가 축소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걸림수단(40)은 일측의 자석(43)과 타측의 자성체(45)를 대향 가능한 위치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걸림수단(40)은 후크(41)에 자석(43)을 부착하고 지지바(23)에 자성체(45)를 부착함을 예시한다. 물론 자석(43)과 자성체(45)는 상호 반대로 결합할 수도 있다. 선쉐이드(21) 및 권취기(25)의 하중은 후크(41)의 하단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자석(43)과 자성체(45) 간의 자력이 크게 요구되지 않아 지지바(23)의 착탈이 용이하다. 자성체(45)는 내구성 측면에서 금속재가 적절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지지바(23)는 후크(41)에 맞물린 선쉐이드(21)의 수평이동을 허용하도록 걸림홈(32)과 연통하는 연장부(34)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에서 우측의 상세도를 참조하면, 걸림홈(32)의 양측으로 연장부(34)가 형성된 상태를 예시한다. 전술한 것처럼 선쉐이드(21)가 수평이동을 허용하는 구조라면 후크(41)가 걸림홈(32)에서 연장부(34)로 진입한다. 선쉐이드(21)의 임의적 이동을 방지하도록 연장부(34)는 걸림홈(32)보다 높이를 다소 축소하거나 연장부(34)에 요철부(36)를 형성한다. 요철부(36)는 돌기와 요홈의 맞물림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로서, 상기 자석(43)은 자성체(45)와 대향하는 면에 미끄럼 저항력을 축소하도록 주름부(46) 또는 롤러부(47)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b)에서 좌측의 상세도는 주름부(46) 및 롤러부(47)의 구성을 평면상으로 예시한다. 사용자의 수동 또는 권취기(25)로 선쉐이드(21)를 수평이동을 유발할 때 지지바(23)의 자성체(45)가 후크(41)의 자석(43)에 선접촉하여 미끄럼 저항력을 축소한다. 주름부(46)는 원형이나 삼각형 단면으로 돌출된 형태이고, 롤러부(47)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구조이다.
물론, 주름부(46) 또는 롤러부(47)는 자석(43)에 형성하는 대신 자성체(45)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도어프레임 12: 웨더스트랩
15: 글래스 20: 커튼수단
21: 선쉐이드 23: 지지바
25: 권취기 32: 걸림홈
34: 연장부 36: 요철부
40: 걸림수단 41: 후크
43: 자석 45: 자성체
46: 주름부 47: 롤러부

Claims (5)

  1. 도어프레임(10)에 자력으로 지지되는 도어커튼 기구에 있어서:
    선쉐이드(21)의 상단에 지지바(23)를 결합하여 구성되고, 지지바(23) 상에 걸림홈(32)을 구비하는 커튼수단(20); 및
    상기 도어프레임(10)에 L자형 단면으로 형성된 후크(41)를 결합하여 구성되고, 자력의 매개로 지지바(23)와 후크(41)의 결합을 유지하는 걸림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지지 기반의 도어커튼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튼수단(20)은 지지바(23)의 상단과 도어프레임(10)의 하단에 3㎜ 이하의 틈새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지지 기반의 도어커튼 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40)은 일측의 자석(43)과 타측의 자성체(45)를 대향 가능한 위치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지지 기반의 도어커튼 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23)는 후크(41)에 맞물린 선쉐이드(21)의 수평이동을 허용하도록 걸림홈(32)과 연통하는 연장부(34)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지지 기반의 도어커튼 기구.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석(43)은 자성체(45)와 대향하는 면에 미끄럼 저항력을 축소하도록 주름부(46) 또는 롤러부(47)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지지 기반의 도어커튼 기구.
KR1020200040447A 2020-04-02 2020-04-02 자력 지지 기반의 도어커튼 기구 KR102337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447A KR102337871B1 (ko) 2020-04-02 2020-04-02 자력 지지 기반의 도어커튼 기구
JP2021062960A JP2021160717A (ja) 2020-04-02 2021-04-01 磁力支持基盤のドアカーテン機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447A KR102337871B1 (ko) 2020-04-02 2020-04-02 자력 지지 기반의 도어커튼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117A true KR20210123117A (ko) 2021-10-13
KR102337871B1 KR102337871B1 (ko) 2021-12-10

Family

ID=78002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447A KR102337871B1 (ko) 2020-04-02 2020-04-02 자력 지지 기반의 도어커튼 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21160717A (ko)
KR (1) KR10233787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5839A (ja) * 2001-07-18 2003-01-29 Neoex Lab Inc 車両用サンバイザ
JP2004042772A (ja) 2002-07-11 2004-02-12 Araco Corp サンシェードの上部取付部材
KR20050027649A (ko) * 2003-09-16 2005-03-2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싸이드 도어 커튼 걸이 구조
KR101516305B1 (ko) * 2013-12-04 2015-05-04 한일이화 주식회사 자동차 햇빛 유입방지 프레임
KR101568300B1 (ko) 2014-07-15 2015-11-12 아시모리코리아(주) 차량 차양용 롤 블라인드의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5839A (ja) * 2001-07-18 2003-01-29 Neoex Lab Inc 車両用サンバイザ
JP2004042772A (ja) 2002-07-11 2004-02-12 Araco Corp サンシェードの上部取付部材
KR20050027649A (ko) * 2003-09-16 2005-03-2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싸이드 도어 커튼 걸이 구조
KR101516305B1 (ko) * 2013-12-04 2015-05-04 한일이화 주식회사 자동차 햇빛 유입방지 프레임
KR101568300B1 (ko) 2014-07-15 2015-11-12 아시모리코리아(주) 차량 차양용 롤 블라인드의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160717A (ja) 2021-10-11
KR102337871B1 (ko) 2021-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17335A1 (en) Roll-up window blind assembly for motor vehicles
KR101871766B1 (ko) 방진 기능이 구비된 롤 타입 방충망
US20070068638A1 (en) Anti-wind buffeting device for an automobile
EP2236731A2 (en) Covering arrangement for architectural openings
KR20150073648A (ko) 롤러 블라인드의 사이드 고정장치
KR102337871B1 (ko) 자력 지지 기반의 도어커튼 기구
JP2001180280A (ja) 可撓式サンシェード装置
KR20100079432A (ko) 방충망이 내장된 창호
CN115366628A (zh) 一种可自动升降的汽车遮阳帘
KR20220037426A (ko) 원터치 래치를 이용한 선쉐이드 지지구조
KR20180054270A (ko) 투과율 가변구조를 갖는 도어커튼 장치
JP2001180278A (ja) 巻取式サンシェード装置
KR101271947B1 (ko) 자동차의 선루프용 롤러블라인드
KR102240561B1 (ko) 차량의 듀얼형 윈도우 커튼
GB2135371A (en) Insulating device
JP5144831B1 (ja) 自動車用カーテン装置
KR100368374B1 (ko) 자동차용 도어커튼
KR101845764B1 (ko) 차량용 도어 커튼의 구조
CN214303621U (zh) 一种嵌入推拉式室内门窗遮阳装置
KR102477901B1 (ko) 창문용 롤 방충망 장치
KR100997248B1 (ko)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
KR20090128584A (ko) 위아래 따로 커튼
JPH0329211Y2 (ko)
KR950006004Y1 (ko) 차량용 차양장치
KR0113678Y1 (ko) 자동차용 햇빛가리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