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2871A - 송풍기 - Google Patents

송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2871A
KR20210122871A KR1020217030538A KR20217030538A KR20210122871A KR 20210122871 A KR20210122871 A KR 20210122871A KR 1020217030538 A KR1020217030538 A KR 1020217030538A KR 20217030538 A KR20217030538 A KR 20217030538A KR 20210122871 A KR20210122871 A KR 20210122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slit
support
cover
support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0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7586B1 (ko
Inventor
카즈히토 후쿠마스
히로카즈 후지이
히데키 야마모토
카나코 츠츠미
Original Assignee
아이리스 오야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리스 오야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리스 오야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22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2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541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545Ducts
    • F04D29/547Ducts having a special shape in order to influence flui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9/00Axial-flow pumps
    • F04D19/002Axial flow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25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for axial flow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2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 F04D29/64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 F04D29/64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46Mounting or removal of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송풍기(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210)이 형성된 하우징(20)을 갖는 송풍부(2)와, 슬릿(210)에 삽입되어 송풍부(2)를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추착하는 지지다리(33)를 갖는 지지부(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송풍부(2)의 송풍방향(F)이 수평방향이 되는 수평상 자세로 슬릿(210)의 하단(210a)과 지지다리(33)의 사이에 간극(D1)이 형성되도록 하여, 송풍부(2)의 송풍방향(F)이 수평방향보다도 하측을 향하도록 송풍부(2)를 회동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Description

송풍기{BLOWER}
본 실시의 형태는, 서큘레이터 등의 송풍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하로 목움직임이 가능한 송풍기로서, 송풍부의 케이싱을 2개의 지지다리로 지지하는 구조의 서큘레이터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서큘레이터는, 대좌(臺座)에 송풍부의 폭보다 넓은 간격을 벌리고 2개의 지지다리를 세우고, 2개의 지지다리의 사이에 송풍부를 추지(樞支)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그 때문에, 대좌부의 폭은 필연적으로 송풍부보다 커져,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어렵다.
이에, 송풍부의 케이싱에 슬릿을 마련하고, 대좌부에 마련한 지지다리를 슬릿에 삽통(揷通)시킴으로써, 이 지지다리에 의해 송풍부를 케이싱 내부에서 지지하도록 한 서큘레이터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이러한 구조로 하면, 서큘레이터를 컴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다.
일본특허 제5568171호 공보 일본특허 제6363811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서큘레이터는, 컴팩트하게 설계할 수는 있으나, 상하로 목움직임이 가능한 가동역이, 수평방향으로부터 상경사방향까지의 각도범위로 한정되어 있었다. 그 때문에, 선반 위나 창틀 등에 서큘레이터를 설치한 경우에, 수평방향보다 하향으로 송풍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구조에서는, 장치의 컴팩트화를 도모하면서, 수평방향보다도 하향(부각)으로의 목움직임이 불가능했다.
본 실시의 형태는, 장치의 컴팩트화를 도모하면서, 수평방향보다 하향으로 송풍할 수 있는 송풍기를 제공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일태양에 따르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이 형성된 하우징을 갖는 송풍부와, 상기 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송풍부를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추착(樞着)하는 지지다리를 갖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송풍부의 송풍방향이 수평방향이 되는 수평상 자세로 상기 슬릿의 하단과 상기 지지다리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송풍부의 송풍방향이 수평방향보다도 하측을 향하도록 상기 송풍부를 회동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한 송풍기가 제공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르면, 장치의 컴팩트화를 도모하면서, 수평방향보다도 하향으로 송풍할 수 있는 송풍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송풍기의 수평상 자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송풍기의 수평상 자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송풍기의 수평상 자세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송풍기의 수평상 자세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송풍기의 수평상 자세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송풍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송풍기가 구비하는 지지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지지부가 구비하는 지지다리부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지지부가 구비하는 본체부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송풍기의 최대상향자세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송풍기의 최대하향자세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12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송풍기가 구비하는 지지다리의 슬릿으로의 삽입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송풍기의 수평상 자세를 일부 파단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송풍기의 수평상 자세를 일부 파단하여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송풍기의 최대하향자세를 일부 파단하여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송풍기의 최대상향자세를 일부 파단하여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17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송풍기의 최대하향자세를 송풍방향을 따라 본 도면이다.
도 18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송풍기가 구비하는 각도조정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송풍기가 구비하는 리어커버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20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송풍기가 구비하는 지지다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송풍기가 구비하는 지지다리의 슬릿으로의 삽입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송풍기가 구비하는 모터커버의 축부를 지지다리의 삽통구멍에 삽입시키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송풍기가 구비하는 모터커버의 축부를 지지다리의 삽통구멍에 삽입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송풍기가 구비하는 추결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송풍기가 구비하는 좌우 목움직임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송풍기를 이면측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송풍기가 구비하는 전기케이블의 배선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송풍기가 구비하는 전기케이블의 배선상태를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송풍기의 사용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송풍기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송풍기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두께와 평면치수와의 관계, 각 층의 두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한 것으로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두께나 치수는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하는 것이다. 또한, 도면 상호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개요]
지지다리(33)에 의해 송풍부(2)를 커버(하우징)(20)의 내부에서 지지하는 서큘레이터의 구조로, 수평방향보다 하향으로 목움직임이 가능하다.
[외관]
도 1~도 5는,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송풍기(1)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며, 도 1은 사시도, 도 2는 정면도, 도 3은 우측면도, 도 4는 상면도, 도 5는 배면도이다. 이 송풍기(1)는, 구면그릴구조에 의해 풍속강화를 도모함과 함께, 구체형상인 진화형 디자인으로 인해 컴팩트하게 보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송풍기(1)는, 도 1~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측에 송풍구(2a)가 형성된 그릴(23)을 갖는 송풍부(2)와, 송풍부(2)를 지지하는 지지부(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릴(23)은, 복수의 핀(24)이 소용돌이형상으로 마련되고, 복수의 핀(24)의 소용돌이의 중심부(O)에 가까운 내단부(24b)가, 송풍구(2a)에 연속하는 외단부(24c)보다 송풍방향(F)으로 돌출되어 있다. 환언하면, 그릴(23) 내의 복수의 핀(24)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24a)의 외단부(24c)에 대하여 내단부(24b)가 송풍방향(F)으로 돌출되어 있다. 한편, 복수의 핀(24)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24a)이란, 그릴(23)로부터 소용돌이의 중심부(O)에 있는 캡(25)을 제외한 부분이다. 내단부(24b)란, 소용돌이의 중심부(O)에 가까운 내단측이며, 내단 근처를 포함한다. 외단부(24c)란, 송풍구(2a)에 연속하는 외단측의 부분이다. 이로 인해, 바람이 중앙에 모여(수속하여), 송풍방향의 중앙에 있어서의 풍속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송풍구(2a)로부터 분출되는 바람(스파이럴기류)의 도달거리를 신장할 수 있다. 그 결과, 실내의 공기를 확실히 교반할 수 있고, 실내의 온도를 균일화시켜 에너지절약에 공헌할 수 있다. 한편, 송풍부(2)의 송풍구(2a)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송풍기(1)에서는, 송풍부(2)가 지지부(3)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송풍기(1)는, 송풍부(2)와, 송풍부(2)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3)를 구비하고 있다.
이 송풍부(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210)이 형성된 커버(하우징)(20)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부(3)는, 슬릿(210)에 삽입되어 송풍부(2)를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추착하는 지지다리(33)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지지다리(33)에 의해 송풍부(2)를 커버(하우징)(20)의 내부에서 지지할 수 있고, 송풍기(1)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 때, 송풍부(2)의 송풍방향(F)이 수평방향이 되는 수평상 자세(도 1~도 5에 나타낸 자세)로, 슬릿(210)의 하단(210a)과 지지다리(33)의 사이에 간극(D1)(도 14 참조)이 형성되도록 하고, 송풍부(2)의 송풍방향(F)이 수평방향보다도 하측을 향하도록 송풍부(2)를 회동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수평방향보다도 하향으로 송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송풍기(1)의 컴팩트화를 도모함으로써, 선반 위나 창틀 등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수평방향보다도 하향으로 송풍할 수 있게 하면, 송풍기(1)를 선반 위나 창틀 등에 배치한 상태로, 선반이나 창틀 등보다도 하측으로 바람을 보낼 수 있다. 즉,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송풍기(1)로 하면, 바닥면에 배치하여 바닥면보다도 상측으로 송풍시키는 태양에서의 사용뿐만 아니라, 선반 위나 창틀 등에 설치한 상태로, 선반 위나 창틀 등보다도 하측으로 송풍시키는 태양에서의 사용이 가능해지므로, 설치장소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송풍부(2)가 회동가능범위의 하한까지 회동한 최대하향자세로, 송풍부(2)의 송풍구(2a)가 지지부(3)에 의해 막히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송풍부(2)를 회동가능범위의 하한까지 회동시킨 상태로, 송풍구(2a)로부터 분출되는 바람이 지지부(3)에 닿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송풍부(2)가 회동가능범위의 전역에 있어서, 풍량이 약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커버(하우징)(20)는, 송풍부(2)의 회동축심(C)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 면(20a)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지지부(3)는, 원호형상 면(20a)에 소정치수의 간극(D2)(도 15 참조)을 갖고 대면하는 오목형상 만곡면(322a)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송풍부(2)를 회동시킬 때에, 커버(하우징)(20)의 원호형상 면(20a)과 지지부(3)의 오목형상 만곡면(322a)의 간극(D2)이 확대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송풍부(2)를 회동시킬 때에, 송풍부(2)가 지지부(3)에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송풍부(2)를 회동시킬 때에, 송풍부(2)와 지지부(3)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이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도 있다. 그 결과, 송풍부(2)의 회동시에, 송풍부(2)와 지지부(3)의 사이의 간극에 물건 등이 끼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커버(하우징)(20)에 있어서의 슬릿(210)의 폭을 획성(畵成)하는 내면(211c)에, 슬릿(210)의 폭방향으로 돌출되는 리브(21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커버(하우징)(20)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슬릿(210)에 리브(212)를 형성함으로써, 슬릿(210)에 손이나 손가락 등이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송풍부(2)와 지지다리(33)의 추착상태의 해제를 억제하는 추결기구(50)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송풍부(2)를 수동으로 회동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커버(하우징)(20)에 비틀림방향의 힘이 가해졌다 하더라도, 지지다리(33)가 송풍부(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커버(하우징)(20)는, 송풍부(2)의 전후중간위치에서 분할가능한 프론트커버(21)와 리어커버(22)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프론트커버(21) 및 리어커버(22)의 제조가 용이해지는데다가, 커버(하우징)(20)의 내부로의 부품의 배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즉, 송풍부(2)의 장착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슬릿(210)이, 리어커버(22)의 하면으로부터 배면 내지 상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1개의 부재인 리어커버(22)에 슬릿(210)이 형성되므로, 장착오차 등에 의한 슬릿의 위치어긋남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송풍부(2)를 보다 스무스하게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다리(33)가, 지지부(3)의 후단 근처에 마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송풍부(2)의 전후중간위치에서 분할되는 리어커버(22)에 슬릿(210)을 형성했다고 하더라도, 송풍부(2)의 송풍방향(F)이 수평방향보다도 하측을 향하도록 송풍부(2)를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각 부의 상세]
이하, 도 6~도 9를 이용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송풍기(1)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6은, 송풍기의 분해사시도, 도 7은, 송풍기가 구비하는 지지부의 분해사시도, 도 8은, 지지부가 구비하는 지지다리부분의 분해사시도, 도 9는, 지지부가 구비하는 본체부분의 분해사시도이다.
(송풍부)
송풍부(2)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210)이 형성된 커버(하우징)(20)를 구비하고 있으며, 커버(하우징)(20)는, 송풍부(2)의 전후중간위치에서 분할가능한 프론트커버(21)와 리어커버(22)를 갖고 있다.
또한, 송풍부(2)는, 그릴(23)을 갖고 있다. 나아가, 송풍부(2)는, 공기류를 발생시키는 송풍용의 팬(27)과, 팬(27)을 구동하는 모터(28)와, 모터(28)를 유지한 상태로 리어커버(22)에 부착되는 모터커버(29)를 갖고 있다.
프론트커버(21)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각의 전측 절반의 전방부분을 절단한 것과 같은 형상의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방에 개구되는 원형의 개구부(21a)를 갖고 있다. 이 프론트커버(21)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원형의 개구부(21a)에 구면의 그릴(23)이 후방으로부터 끼워져 있다.
그릴(23)은, 예를 들어, 내충격성이 높은 합성수지재료로 형성된 전면패널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그릴(23)은, 소용돌이형상의 핀(24)을 복수 갖고 있으며, 복수의 핀(24)이 소용돌이의 중심부(O)를 향함에 따라 점차 돌출되도록 볼록만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그릴(23)의 후방으로부터 바람을 보내고, 그릴(23)의 전후방향으로 공기류(바람)가 통과하면, 소용돌이치면서 직진하는 스파이럴기류가 발생하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그릴(23)은, 전면이 구면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프론트커버(21)와 그릴(23)에서, 송풍부(2)의 전측의 반구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리어커버(22)는, 복수의 살(22a)에 의해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리어커버(22)의 거의 전체면에 걸쳐서, 외기를 취입하기 위한 다수의 통기구(22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리어커버(22)도,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그릴(23)이 끼워진 프론트커버(21)와 리어커버(22)를 감착시킴으로써, 구체형상을 이루도록 하고 있다. 즉, 그릴(23)이 끼워진 프론트커버(21)와 리어커버(22)를 감착시킴으로써, 구상의 송풍부(2)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송풍부(2)의 외관을 구체형상으로 하면, 세련된 겉보기로 할 수 있는데다가, 각이 없어짐으로써, 보다 컴팩트한 겉보기로 할 수 있다. 또한, 겉보기의 예쁘장함이나 세련된 느낌을 업시킬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핀(24)의 간극으로부터 손가락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그릴(23)의 보강도 겸하여, 각 핀(24)과 교차하는 원형의 링에 의해 복수의 핀(24)을 지지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그릴(23)의 외주연부에는, 원통형상의 풍동부(26)가 후방으로 연재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 풍동부(26)는, 팬(27)의 레이디얼 외방에 마련된 원통형상의 부재이며, 풍동부(26)의 내경이, 송풍구(2a)의 내경과 대략 동일해지도록 하고 있다. 즉,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그릴(23)의 풍동부(26)가 연설된 부위보다도 내측이 송풍부(2)의 송풍구(2a)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송풍부(2)의 내부에 원통형상의 풍동부(26)를 마련함으로써, 서큘레이터 특유의 작용인 바람의 지향성 및 직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모터(28)는, 팬(27)을 구동하는 것이며, 모터본체(28a)와, 모터본체(28a)로부터 돌출되는 출력축(28b)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출력축(28b)의 선단에 팬(27)이 부착되어 있고, 모터(28)를 구동시킬 때에 팬(27)이 출력축(28b)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모터(28)는 모터커버(29)에 유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출력축(28b)을 모터커버(29)의 삽통구멍(291)에 삽통시킨 상태로, 모터본체(28a)가 모터커버(29)에 유지되어 있다. 이 모터커버(29)는, 모터(28)를 유지한 상태로, 리어커버(22)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커버(29)를 개재하여 모터(28) 및 팬(27)을 리어커버(22)에 부착한 상태로, 리어커버(22)를 그릴(23)이 끼워진 프론트커버(21)에 감착시킴으로써, 내부에 송풍기구가 내장된 송풍부(2)를 형성하고 있다.
송풍부(2)의 구성을,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모터(28)를 구동시켜 팬(27)을 회전시키면, 리어커버(22)의 통기구(22b)로부터 취입된 외기가, 송풍구(2a)로부터 분출되어, 송풍부(2)의 전방에 바람이 보내지게 된다. 한편,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는 공기류(바람)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릴(23)을 통과할 때에 소용돌이치면서 직진하므로, 송풍구(2a)로부터 분출되는 바람은, 스파이럴기류를 발생시키면서, 전방을 향하게 된다.
나아가,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리어커버(22)의 모터후방개소에 바람구멍(22c)을 갖고 있고, 모터커버(29)에 바람구멍(292)을 형성하고 있다.
그 때문에, 모터(28)가 팬(27)을 구동시키고 있을 때에, 모터후방개소의 바람구멍(22c)으로부터도 외기가 취입되므로, 풍량을 보다 많이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모터(28)가 팬(27)을 구동시키고 있을 때는, 바람구멍(292)을 통과하는 공기류도 발생하므로, 모터(28)가 스스로 발생시키는 공기류에 의해, 모터(28)에 냉각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어, 모터(28)의 발열대책으로도 된다.
(지지부)
지지부(3)는, 바닥면 등의 설치면에 재치되는 것이며, 이 지지부(3)에는 전원코드(80)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3)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방에 송풍부(2)가 배치되는 본체부분과, 본체부분에 고정되어, 송풍부(2)를 커버(하우징)(20)의 내부에서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다리(33)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부(3)의 본체부분은, 평면에서 봤을 때의 크기가, 송풍부(2)의 평면에서 봤을 때의 크기와 거의 동일한 크기 또는 그 이하의 크기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송풍기(1)의 평면에서 봤을 때의 크기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풍부(2)의 평면에서 봤을 때의 크기와 거의 동등하게 할 수 있고, 송풍기(1)의 전체가 지나치게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3)의 본체부분의 평면에서 봤을 때의 크기를, 송풍부(2)의 평면에서 봤을 때의 크기와 거의 동일한 크기로 하면, 송풍기(1)의 전도를 억제하면서, 송풍기(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즉, 송풍기(1)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송풍기(1)를 보다 안정적으로 재치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다리(33)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333)가 형성되어 있고, 이 수용부(333)에, 압압핀(41)이 코일스프링(42)에 삽입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압압핀(41) 및 코일스프링(42)을 수용한 수용부(333)를 낙하억제커버(34)에 의해 덮음으로써, 압압핀(41) 및 코일스프링(42)의 수용부(333)로부터의 낙하를 억제하고 있다.
한편, 지지부(3)의 본체부분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봤을 때 원형상으로 형성된 대좌하부(31)와, 대좌하부(31)에 감착가능한 대좌상부(32)를 갖고 있다. 대좌하부(31)도 대좌상부(32)도, 외면을 형성하는 커버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3)의 본체부분은, 내부가 공동으로 되어 있고, 이 공동에 회로기판(35)이나 좌우 목움직임기구(60) 등이 수용되어 있다.
또한, 대좌상부(32)의 커버에 있어서의 중심보다도 후방에는, 다리 1개 형상의 지주부(321)가 수직으로 입설되어 있고, 대좌상부(32)의 커버에 있어서의 지주부(321)보다도 전방에는, 조작패널(323)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주부(321)의 상면(322)의 상방에는, 송풍부(2)가 상면(322)과의 사이의 간극(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소정치수의 간극(D2))이 형성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지주부(321)의 높이나 지주부(321)의 중심(평면에서 봤을 때의 대좌상부의 중심)으로부터의 어긋남량을 설정할 때에는, 송풍부(2)와 조작패널(323)의 사이에, 사용자 등에 의한 조작패널(323)의 조작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패널(323)에는, 예를 들어, 전원의 절/입을 전환하는 전원버튼, 송풍부(2)의 풍량조절을 행하는 풍량버튼, 좌우 목움직임의 온/오프를 전환하는 목움직임버튼 등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지주부(321)의 상면(322)의 폭방향 양측에는, 상방으로 개구되는 개구부(322b)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322b)에 지지다리(33)의 선단(하단)을 삽입함으로써, 지지다리(33)가 지지부(3)의 본체부분에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개구부(322b)는, 지주부(321)의 상면(322)의 후단측에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지지다리(33)는, 지지부(3)의 후단 근처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송풍기(1)가 전원의 절/입의 전환 등을 행하는 리모콘(70)을 갖고 있으며, 지주부(321)의 후측의 하단부에, 리모콘(70)을 재치하는 리모콘재치부(324)가 형성되어 있다(도 5 등 참조). 한편, 회로기판(35)에는 리모콘(70)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수신부(35a)가 실장되어 있고, 이 리모콘수신부(35a)가 지주부(321)의 전측의 하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노출되어 있다.
[상하 목움직임구조]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송풍부(2)는, 상하방향으로의 목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지지부(3)에 지지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송풍부(2)의 상하 목움직임구조에 대하여, 도 10~도 1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한편, 도 10은, 송풍기의 최대상향자세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11은, 송풍기의 최대하향자세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12는, 송풍기가 구비하는 지지다리의 슬릿으로의 삽입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3은, 송풍기의 수평상 자세를 일부 파단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송풍기의 수평상 자세를 일부 파단하여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또한, 도 15는, 송풍기의 최대하향자세를 일부 파단하여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16은, 송풍기의 최대상향자세를 일부 파단하여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17은, 송풍기의 최대하향자세를 송풍방향을 따라 본 도면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송풍기(1)에서는, 도 10에 나타낸 최대상향자세로부터 도 11에 나타낸 최대하향자세까지의 범위에서 송풍부(2)를 상하로 목움직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송풍기(1)에서는, 송풍방향(F)이 수평방향보다도 상향이 될 뿐만 아니라 하향이 되도록, 송풍부(2)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송풍방향(F)과 수평면이 이루는 각도θ가 -25°~+90°가 되는 범위에서 송풍부(2)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지지다리(33)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어커버(22)에 형성된 상하방향으로 연재하는 슬릿(210)에 삽입된 상태로, 리어커버(22)에 고정된 모터커버(29)에 추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모터커버(29)의 폭방향의 양측에, 원통형상의 축부(293)가 폭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고, 지지다리(33)의 커버(하우징)(20) 내에 위치하는 선단에는, 축부(293)가 삽통되는 삽통구멍(33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커버(29)의 폭방향의 양측에 형성된 축부(293)의 각각에, 지지다리(33)의 삽통구멍(332)을 삽통시킴으로써, 모터커버(29)가 한쌍의 지지다리(33)에 의해 협지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슬릿(210)에 삽입된 지지다리(33)는, 하단(하우징의 외측에 위치하는 선단)을, 지주부(321)의 상면(322)에 형성된 개구부(322b)에 삽입함으로써, 지지부(3)의 본체부분에 유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지다리(33)의 하단을 지지부(3)의 본체부분에 유지한 상태로, 한쌍의 지지다리(33)에 의해 모터커버(29)를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모터커버(29)가 지지부(3)(본체부분 및 지지다리(33))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때, 모터커버(29)가 고정된 리어커버(22), 모터커버(29)를 개재하여 리어커버(22)에 고정된 모터(28) 및 팬(27), 리어커버(22)에 감착된 프론트커버(21), 프론트커버(21)에 끼워진 그릴(23) 및 풍동부(26)가, 모터커버(29)의 회동에 수반하여 회동하게 된다.
즉,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한쌍의 지지다리(33)에 추착된 모터커버(29)를 지지부(3)(본체부분 및 지지다리(33))에 대하여 회동시킴으로써, 송풍부(2)의 전체가 지지부(3)(본체부분 및 지지다리(33))에 대하여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송풍부(2)는, 지지다리(33)가 슬릿(210)의 하단(210a)측에 위치하는 상태로부터 슬릿(210)의 상단(210b)에 위치하는 상태까지, 지지부(3)(본체부분 및 지지다리(33))에 대하여 회동하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송풍부(2)의 송풍방향(F)이 수평방향보다도 하측을 향하도록 송풍부(2)를 회동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풍부(2)의 송풍방향(F)이 수평방향이 되는 수평상 자세로 슬릿(210)의 하단(210a)과 지지다리(33)의 사이에 간극(D1)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다리(33)를 지지부(3)의 후단 근처에 마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지지다리(33)는, 지지부(3)에 유지된 상태로, 개구부(322b)로부터 상방으로 입설되는 연직부(336)와, 연직부(336)의 상단에 연설되어 전방 또한 상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부(337)와, 경사부(337)의 선단에 연설되어, 축부(293)에 추착되는 추착부(338)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추착부(338)에는, 상술한 삽통구멍(33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다리(33)를 지지부(3)의 후단 근처에 유지시킨 상태로, 연직부(336)의 도중에 슬릿(210)이 존재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커버(하우징)(20)는, 수평상 자세에 있어서 송풍부(2)의 전후중간위치에서, 프론트커버(21)와 리어커버(22)로 분할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슬릿(210)은, 수평상 자세에 있어서의 리어커버(22)의 하단가장자리의 근방까지 형성되어 있다. 즉, 슬릿(210)의 하단(210a)이, 수평상 자세에 있어서, 지지부(3)의 전후방향의 중앙부 근처에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송풍기(1)를 수평상 자세로 한 상태로, 슬릿(210)의 하단(210a)을 획성하는 하단면(211a)과 지지다리(33)의 전면과의 사이에 간극(D1)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수평상 자세에 있어서, 하단면(211a)과 지지다리(33)의 전면과의 사이에 간극(D1)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지지다리(33)의 전면이 하단면(211a)과 접촉하는 위치까지, 송풍부(2)를 더욱 하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도 15 참조). 즉, 송풍부(2)의 송풍방향(F)이 수평방향보다도 하측을 향하도록 송풍부(2)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나아가,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슬릿(210)은, 수평상 자세에 있어서의 리어커버(22)의 상단가장자리의 근방까지 형성되어 있다. 즉, 슬릿(210)은, 리어커버(22)의 하면으로부터 배면을 통과하여 상면에 이를 때까지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슬릿(210)은, 리어커버(22)의 하면으로부터 배면 내지 상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송풍부(2)는, 지지다리(33)의 후면이, 슬릿(210)의 상단(210b)을 획성하는 상단면(211b)과 접촉하는 위치까지, 상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16 참조).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지지다리(33)가 슬릿(210)의 상단(210b)측에 위치하는 상태로부터 하단(210a)측에 위치하는 상태가 될 때까지의 범위에서, 송풍부(2)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지지다리(33)의 전면이 슬릿(210)의 하단면(211a)과 접촉하는 위치까지 송풍부(2)를 회동시킨 상태(도 15에 나타낸 상태)가, 송풍기(1)의 최대하향자세(송풍부(2)가 회동가능범위의 하한까지 회동한 상태)로 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송풍방향(F)과 수평면이 이루는 각도θ가 -25°가 되는 상태가 최대하향자세로 되어 있다.
또한, 지지다리(33)의 후면이 슬릿(210)의 상단면(211b)과 접촉하는 위치까지 송풍부(2)를 회동시킨 상태(도 16에 나타낸 상태)가, 송풍기(1)의 최대상향자세(송풍부(2)가 회동가능범위의 상한까지 회동한 상태)로 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송풍방향(F)과 수평면이 이루는 각도θ가 +90°가 되는 상태가 최대상향자세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지지다리(33)의 경사부(337)의 선단에 추착부(338)가 형성되어 있고, 이 추착부(338)가, 송풍부(2)의 회동축심(C)으로 되어 있다(도 14~도 16 참조).
나아가,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측면에서 봤을 때(회동축 방향을 따라 본 상태), 송풍부(2)의 회동축심(C)이 구상의 송풍부(2)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송풍부(2)의 회동축심(C)을 송풍부(2)의 중심에 일치시키도록 하면, 커버(하우징)(20)의 외면이, 송풍부(2)의 회동축심(C)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 면(20a)이 된다. 즉,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커버(하우징)(20)가, 송풍부(2)의 회동축심(C)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 면(20a)을 갖도록 하고 있다.
나아가, 송풍부(2)를 지지부(3)에 지지한 상태로, 원호형상 면(20a)과 대면하는 지주부(321)의 상면(322)에, 오목형상 만곡면(322a)을 형성하고 있다. 이 오목형상 만곡면(322a)은, 원호형상 면(20a)과 동심의 구면의 일부로 되어 있다.
이러한, 원호형상 면(20a) 및 오목형상 만곡면(322a)을, 송풍부(2) 및 지지부(3)에 형성함으로써, 오목형상 만곡면(322a)이, 원호형상 면(20a)에 소정치수의 간극(D2)을 갖고 대면하게 된다. 나아가, 송풍부(2)를 회동시킬 때에, 원호형상 면(20a)과 지지부(3)의 오목형상 만곡면(322a)의 간극(D2)이 확대되지 않는 구성이 된다.
이렇게 하면, 송풍부(2)를 회동시킬 때에, 송풍부(2)와 지지부(3)가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송풍부(2)를 회동시켰다고 하더라도, 송풍기(1)의 실루엣(측면에서 봤을 때의 송풍기(1)의 윤곽형상)이 거의 변화하지 않게 된다.
또한, 원호형상 면(20a)과 지지부(3)의 오목형상 만곡면(322a)의 간극(D2)이 확대되지 않도록 하면, 송풍부(2)의 회동시에, 송풍부(2)와 지지부(3)의 사이의 간극에 물건 등이 끼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원호형상 면(20a)은, 적어도, 송풍부(2)를 회동가능범위에서 회동시켰을 때에, 오목형상 만곡면(322)과 대면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송풍부(2)의 외면의 전체를 원호형상 면(20a)으로 할 필요는 없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풍부(2)가 회동가능범위의 하한까지 회동한 최대하향자세로, 송풍부(2)의 송풍구(2a)가 지지부(3)에 의해 막히지 않도록 하고 있다. 즉, 송풍기(1)를 송풍방향(F)을 따라서 본 상태로, 원형의 송풍구(2a)의 하단이, 지주부(321)의 전측상단과 동등한 위치에 있거나, 지주부(321)의 전측상단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송풍기(1)를 최대하향자세로 한 경우에도, 송풍구(2a)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이 지지부(3)에 닿는 것이 억제된다. 즉, 송풍구(2a)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이 지지부(3)에 의해 확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각도조절기구]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송풍기(1)가 각도조절기구(40)를 구비하고 있으며, 송풍부(2)를 회동가능범위에서 회동시켰을 때에, 송풍부(2)가 소정의 각도로 단계적으로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18을 이용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각도조절기구(40)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도 18은, 송풍기가 구비하는 각도조정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각도조절기구(40)는, 모터커버(29)에 부딪혀서, 모터커버(29)의 회동을 규제하는 압압핀(41)과, 압압핀(41)이 삽입되어 압압핀(41)을 모터커버(29)를 향하여 부세하는 코일스프링(42)을 구비하고 있다.
이 압압핀(41) 및 코일스프링(4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다리(33)의 수용부(333) 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모터커버(29)의 폭방향 양측에는, 회동축심(C)을 중심으로 한 원호형상의 계지부(294)가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계지부(294)의 회동축심(C)측에는, 회전방향을 따라 복수의 계지오목부(294a)가 소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복수의 계지오목부(294a)는, 송풍부(2)의 상하 목움직임의 회동가능범위(-25°~+90°)의 범위에 대응하고 있다.
그리고, 지지다리(33)가 모터커버(29)를 유지한 상태로, 수용부(333) 내에 수용된 압압핀(41)의 선단이 계지오목부(294a)에 접촉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 코일스프링(42)은, 자유상태보다도 수축된 상태로 수용부(333) 내에 수용되어 있고, 압압핀(41)은, 이 코일스프링(42)에 의해 계지오목부(294a)측에 부세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송풍부(2)를 갖고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때에는, 압압핀(41)이 계지오목부(294a)를 딸깍하면서 넘어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압압핀(41)이 복수의 계지오목부(294a) 중의 1개와 접촉한 상태로 송풍부(2)의 회동을 멈추면, 계지오목부(294a)가 압압핀(41)에 의해 압압되게 되므로, 적당한 강도로 압압핀(41)을 계지오목부(294a)에 계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각도조절기구(40)는, 압압핀(41)과, 코일스프링(42)과, 압압핀(41) 및 코일스프링(42)을 수용하는 수용부(333)와, 압압핀(41)에 의해 압압되는 복수의 계지오목부(294a)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계지오목부(294a) 중 어느 하나가 압압핀(41)에 의해 계지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각도조절기구(40)를 마련하도록 하면, 송풍부(2)의 각도(송풍방향(F)의 수평방향에 대한 각도)를 수동으로 단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경사부(337)와 추착부(338)의 연결부분에는, 모터커버(29)를 지지부(3)에 대하여 회동시킬 때에, 계지부(294)가 지지다리(33)에 간섭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슬릿(33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334)도, 회동축심(C)을 중심으로 한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릿의 보강구조]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리어커버(22)의 하면으로부터 상면에 이를 때까지 슬릿(210)을 형성함에 따른 강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19~도 21을 이용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슬릿(210)의 보강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도 19는, 송풍기가 구비하는 리어커버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20은, 송풍기가 구비하는 지지다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1은, 송풍기가 구비하는 지지다리의 슬릿으로의 삽입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살(22a)을 연결시킴으로써 형성된 리어커버(22)의 폭방향의 양측에, 한쌍의 슬릿(210)이 상하방향으로 연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각 슬릿(210)은, 리어커버(22)의 하면으로부터 상면에 이를 때까지 형성되어 있다.
이 때, 리어커버(22)의 하면으로부터 상면에 걸쳐서 슬릿(210)을 단순히 형성하는 것만으로는, 리어커버(22)의 강도가 저하되어, 송풍부(2)를 회동시킬 때에 커버(하우징)(20)가 변형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19 및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릿(210)을 획성하는 내면(211) 중, 슬릿(210)의 폭을 획성하는 내면(211c)에, 슬릿(210)의 폭방향으로 돌출되는 리브(212)를 형성하였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슬릿(210)의 폭을 획성하는 내면(211c)의 하단으로부터 상단에 걸친 거의 전체범위에 리브(212)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리브(212)를 마련함으로써, 리어커버(22) 중에서, 특히 강도가 낮아지는 부위인 슬릿(210)의 주연부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송풍부(2)를 회동시킬 때에 커버(하우징)(20)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슬릿(210)을 획성하는 내면(211)은, 하단면(211a), 상단면(211b) 및 내면(211c)을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지지다리(33)의 리브(212)와 대응하는 부위에 오목부(331)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지지다리(33)의 리브(212)와 대응하는 부위에 오목부(331)를 형성함으로써, 두께가 비교적 두꺼운 지지다리(33)를, 리브(212)에 간섭시키는 일 없이 슬릿(210)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지지다리(33)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리어커버(22)의 보강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송풍부(2)를 회동시킬 때에, 오목부(331)의 하부가 리브(212)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331)의 하부내면과 리브(212)가 거의 평행해지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커버(하우징)(20)에 과도한 힘이 가해졌을 때에, 리브(212)가 오목부(331)의 하부에 접촉하므로, 커버(하우징)(20)와 지지다리(33)의 상대이동을 보다 확실히 억제가능하게 된다.
[추결기구]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송풍기(1)가 추결기구(50)를 구비하고 있으며, 송풍부(2)를 회동시킬 때에, 지지다리(33)가 송풍부(2)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억제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22~도 24를 이용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추결기구(50)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도 22는, 송풍기가 구비하는 모터커버의 축부를 지지다리의 삽통구멍에 삽입시키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3은, 송풍기가 구비하는 모터커버의 축부를 지지다리의 삽통구멍에 삽입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24는, 송풍기가 구비하는 추결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모터커버(29)의 축부(293)의 축방향의 선단부에,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계지편(293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계지편(293a)은, 축부(293)의 축방향의 선단부의 일부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다리(33)의 삽통구멍(332)에는, 내주측으로 돌출되는 원호형상 돌출부(332a)가 일부를 절결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삽통구멍(332)의 내주측 중, 원호형상 돌출부(332a)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위가, 절결부(332b)로 되어 있다. 이 절결부(332b)는, 지지다리(33)를 모터커버(29)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계지편(293a)이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지지다리(33)를 모터커버(29)에 부착했을 때에는, 우선,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지편(293a)이 절결부(332b)와 대면하도록 한 상태로, 삽통구멍(332)을 축부(293)에 삽통시켜 도 23에 나타낸 상태로 한다.
그리고, 도 23에 나타낸 상태로 한 후에, 모터커버(29)를 도 23에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원호형상 돌출부(332a)와 계지편(293a)이 축방향으로 대면하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적어도 송풍부(2)를 회동가능범위에서 회동시키고 있는 상태에서는, 지지다리(33)가 모터커버(29)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 원호형상 돌출부(332a)가 계지편(293a)에 접촉하여, 지지다리(33)의 모터커버(29)로부터의 빠짐이 억제되도록 하고 있다(도 23 참조).
나아가,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모터커버(29)에 형성된 계지부(294)의 축방향의 선단부에,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294b)를 형성하고 있다. 이 플랜지부(294b)는, 원호형상을 한 계지부(294)의 전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송풍부(2)를 회동시킬 때에는, 이 플랜지부(294b)도 지지다리(33)의 슬릿(334) 내에서 이동하도록 하고 있다. 나아가, 지지다리(33)의 슬릿(334) 내에는, 돌기(334a)가 마련되어 있고, 적어도 송풍부(2)를 회동가능범위에서 회동시키고 있는 상태에서는, 돌기(334a)와 플랜지부(294b)가 축방향으로 대면하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적어도 송풍부(2)를 회동가능범위에서 회동시키고 있는 상태에서는, 지지다리(33)가 모터커버(29)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돌기(334a)가 플랜지부(294b)에 접촉하여, 지지다리(33)의 모터커버(29)로부터의 빠짐이 억제되도록 하고 있다(도 23 참조).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추결기구(50)는, 원호형상 돌출부(332a) 및 계지편(293a)과, 돌기(334a) 및 플랜지부(294b)로 구성되어 있다.
[좌우 목움직임구조]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송풍기(1)가 좌우 목움직임기구(60)를 구비하고 있으며, 송풍기(1)의 구성을, 좌우방향으로 목움직임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좌우 목움직임구조에 대하여, 도 25 및 도 2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한편, 도 25는, 송풍기가 구비하는 좌우 목움직임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6은, 송풍기를 이면측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지지부(3)는,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가 공동으로 되어 있고, 그 공동내부에 좌우 목움직임기구(60)가 수납되어 있다. 이 좌우 목움직임기구(60)는, 대좌상부(32)에 고정된 수지제의 고정판(61)과, 인서트 성형으로 고정판(61)에 일체화된 중심축(62)과, 고정판(61)의 상면에 고정된 목움직임용의 모터(6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좌우 목움직임기구(60)는, 중심축(62)의 하단이 삽입되는 수지제의 베어링부재(부시)(64)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베어링부재(64)의 하단내주부에는, 계지클로(64a)가 일체성형되어 있다. 한편, 중심축(62)의 하단외주부에는 절결홈(62a)이 형성되어 있고, 절결홈(62a)에 계지클로(64a)가 압입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3)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가 공동으로 되어 있고, 그 공동내부에 좌우 목움직임기구(60)가 수납되어 있다(도 26 참조). 좌우 목움직임기구(60)는, 고정판(61)과, 고정판(61)의 상면에 고정된 목움직임용의 모터(63)(도 25 참조)와, 목움직임모터(63)의 출력축(63a)에 고정된 편심캠(65)과, 대좌하부(31)에 고정되는 고정축(66)과, 일단부가 편심캠(65)에 추착되고, 타단부가 고정축(66)에 추착된 궁형의 연결링(67)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고정판(61)은, 대좌상부(32)에 고정되고, 중심축(62)은, 베어링부재(64)에 선회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목움직임용의 모터(63)(출력축(63a)에 고정된 편심캠(65)을 포함한다)와 고정축(66)은, 각각 중심축(62)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대좌하부(31)에 개공된 축삽입구멍(69)에는, 하단내주부에 계지클로(64a)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베어링부재(64)가 삽입되어 있다. 이 베어링부재(64)에는 중심축(62)이 삽입되어 있다. 또한, 중심축(62)의 하단외주부에는 절결홈(62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절결홈(62a)에 계지편이 되는 계지클로(64a)가 압입되어 있다. 그리고, 대좌하부(31) 하면의 개구부(31b)가 바텀캡(68)에 의해 덮개로 덮여 있다.
또한, 고정판(61)과 중심축(62)의 상단부를 인서트성형하고, 중심축(62)에 의해 대좌상부(32)와 대좌하부(31)를 연결함과 함께, 중심축(62)의 베어링부재(64)를 대좌하부(31)에 고정하고 있다. 이 때, 베어링부재(64)를 개재하여 중심축(62)을 축삽입구멍(69)에 삽입하고 있으므로, 중심축(62)과 축삽입구멍(69)의 클리어런스가 없어지고, 중심축(62)의 선회에 의한 축삽입구멍(69)의 마모나 그것에 기인하는 이음(異音)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중심축(62)을 중심으로 한 대좌상부(32)(송풍부(2))의 선회도 스무스해진다.
그리고, 사용자가 조작패널(323)의 목움직임버튼을 압하하여 좌우 목움직임을 온하면, 목움직임용의 모터(63)의 출력축(63a)에 고정된 편심캠(65)이 편심회전하고, 편심캠(65)에 추착된 연결링(67)의 일단부가 원운동을 한다. 이 때, 연결링(67)의 타단부는 대좌하부(31)에 고정된 고정축(66)에 추착되어 있으므로, 이 원운동에 의해 대좌상부(32)와 그 위에 부착된 송풍부(2)가 중심축(62)을 중심으로 원운동의 반경거리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선회(목움직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송풍기(1)는, 대좌하부(31)와, 대좌하부(31)의 위에 목움직임가능하게 마련되는 대좌상부(32)가 중심축(62)을 통과하여 연결되고, 대좌상부(32)의 위에 송풍부(2)가 마련된 송풍기(1)로서, 대좌하부(31)에 베어링부재(64)를 삽입하고, 이 베어링부재(64)에 중심축(62)을 선회가능하게 삽입함과 함께, 대좌상부(32)에 마련된 고정판(61)과 중심축(62)의 상단부를 인서트성형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연결부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부품점수의 감소,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대좌상부(32)에 마련된 고정판(61)을 수지로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고정판(61)의 엣지(각)에 배선이 슬라이드접촉했을 때에, 배선이 흠집나는 것을 방지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중심축(62)의 베어링부재(64)의 하단내주부에 계지클로(64a)가 수지로 일체성형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계지클로(64a)가 E링의 대체로서 기능하므로, E링을 이용할 필요가 없어지고, 부품점수의 감소,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대좌상부(32)(송풍부(2))는, 대좌상부(32)에 부착된 볼(롤러)(B)이 레일(주행로)(R) 상을 슬라이드이동함으로써, 좌우방향으로 선회(목움직임)하고 있다(도 9 참조).
[전기케이블의 배선구조]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전기케이블(91)의 배선을 상하 목움직임의 축부(293)로부터 인출하도록 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27 및 도 28을 이용하여, 전기케이블의 배선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도 27은, 송풍기가 구비하는 전기케이블의 배선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8은, 송풍기가 구비하는 전기케이블의 배선상태를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27 및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3)로부터 세워진 한쌍의 지지다리(33)로 모터커버(29)를 양편에서 끼우고, 이 끼운 위치를 상하 목움직임의 회동축심(C)으로 하여, 송풍부(2)가 지지부(3)에 대하여 상하 목움직임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나아가, 모터커버(29)에 형성한 원통형상의 축부(293)를 상하 목움직임의 회동축심(C)으로 하고 있다.
이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모터커버(29)에 수용되는 팬(27)의 구동용의 모터(28)에 접속되는 전기케이블(91)을 상하 목움직임의 축(축부(293))으로부터 인출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하 목움직임의 축(축부(293))으로부터 인출된 전기케이블(91)은, 낙하억제커버(34)의 삽통구멍(34a)을 통과하여 외측에 인출되고, 지지다리(33)에 형성된 오목부(335) 내에 수용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지지다리(33)를 지지부(3)의 본체부분에 유지한 상태로, 오목부(335)가 지지부(3)의 본체부분 내의 공동에 연통되어 있고, 전기케이블(91)은, 오목부(335) 내에 배치시키면서, 이 연통부분으로부터 본체부분 내의 공동에 인출되도록 하고 있다.
나아가,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판(61)의 상부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후크형상의 리브(61a)가 형성되어 있고, 연통부분으로부터 본체부분 내의 공동으로 인출된 전기케이블(91)이, 이 후크형상의 리브(61a)에 걸리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전기케이블(91)은, 후크형상의 리브(61a)에 걸린 상태로, 고정판(61)의 하부에 인출되어 있고, 고정판(61)의 하부에 인출된 전기케이블(91)의 선단이, 회로기판(35)에 실장된 커넥터(9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때,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판(61)의 하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리브(61b)가 형성되어 있고, 이 리브(61b)에 의해, 전기케이블(91)이 휘어진 부위가, 좌우 목움직임기구(60)의 링크기구에 접촉하여 단선되는 것을 억제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전기케이블(91)의 배선을 상술한 구성으로 하면, 상하 목움직임시에 전기케이블(91)에 비틀리는 힘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전기케이블(91)의 단선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사용형태의 일례]
다음에, 상술한 송풍기(1)의 사용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도 29는, 송풍기(1)의 사용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송풍기(1)는,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가정용의 화장실(100)에 형성된 선반(101) 상에 재치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반(101) 상에 송풍기(1)를 재치하는 경우, 송풍방향(F)이 수평보다도 아래를 향하도록 송풍부(2)를 회동시킨 상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송풍기(1)로부터의 바람방향을, 선반(101)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변기(102)측을 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송풍기(1)를, 예를 들어, 탈의소의 선반에 배치하여, 수평보다도 하측으로 송풍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변형예]
또한, 송풍기는, 상술한 송풍기(1)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도 30에 나타낸 송풍기(1A)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30은, 송풍기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송풍기(1A)에서는,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동으로 조작하는 스위치(322A)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0에 나타낸 송풍기(1A)에서는, 스위치(322A)를 수동으로 돌림으로써, 전원의 절/입의 전환 및 송풍부(2)의 풍량의 조절이 행해지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송풍기(1A)를,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 나타낸 송풍기(1)와 마찬가지로, 송풍부(2)의 송풍방향(F)이 수평방향보다도 하측을 향하도록 송풍부(2)를 회동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송풍기를, 예를 들어, 도 31에 나타낸 송풍기(1B)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31은, 송풍기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송풍기(1B)는,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그릴구조를 구비하는 서큘레이터이다. 즉, 외형형상이 대략 북형상으로 형성된 송풍부(2)를 구비하고, 전방에 개구된 원형의 송풍구(2a)에 평면의 그릴(23)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평면의 그릴(23)도, 소용돌이형상의 복수의 핀(24)을 갖고 있는 점에서 동일하다.
그리고, 이러한 송풍기(1B)를,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 나타낸 송풍기(1)와 마찬가지로, 송풍부(2)의 송풍방향(F)이 수평방향보다도 하측을 향하도록 송풍부(2)를 회동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기타 실시의 형태]
상기와 같이, 몇 가지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기재하였으나, 개시된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대체실시의 형태, 실시예 및 운용기술이 명백해질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는, 여기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은 다양한 실시의 형태 등을 포함한다.
본 출원은, 2018년 10월 10일에 출원된 일본국특허출원 제2018-192033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있으며, 이 출원의 전체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편입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르면, 장치의 컴팩트화를 도모하면서, 수평방향보다도 하향으로 송풍할 수 있는 송풍기를 제공할 수 있다.
C 회동축심
D1 간극
D2 소정치수의 간극
F 송풍방향
1 송풍기
2 송풍부
2a 송풍구
20 커버(하우징)
20a 원호형상 면
21 프론트커버
22 리어커버
210 슬릿
210a 하단
211c 내면
212 리브
293 축부
293a 계지편(추결기구(50))
294a 계지오목부(회동조절기구(40))
294b 플랜지부(추결기구(50))
3 지지부
322a 오목형상 만곡면
33 지지다리
331 오목부
332a 원호형상 돌출부(추결기구(50))
334a 돌기(추결기구(50))

Claims (7)

  1.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이 형성된 하우징을 갖는 송풍부와,
    상기 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송풍부를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추착하는 지지다리를 갖는 지지부,
    를 구비하고,
    상기 송풍부의 송풍방향이 수평방향이 되는 수평상 자세로 상기 슬릿의 하단과 상기 지지다리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송풍부의 송풍방향이 수평방향보다도 하측을 향하도록 상기 송풍부를 회동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한 송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가 회동가능범위의 하한까지 회동한 최대하향자세로, 상기 송풍부의 송풍구가 상기 지지부에 의해 막히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풍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송풍부의 회동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 면을 갖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원호형상 면에 소정치수의 간극을 갖고 대면하는 오목형상 만곡면을 갖고,
    상기 송풍부를 회동시킬 때에, 상기 하우징의 원호형상 면과 상기 지지부의 오목형상 만곡면의 상기 간극이 확대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풍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슬릿의 폭을 획성하는 내면에, 상기 슬릿의 폭방향으로 돌출되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송풍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와 상기 지지다리의 추착상태의 해제를 억제하는 추결기구가 마련되어 있는 송풍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송풍부의 전후중간위치에서 분할가능한 프론트커버와 리어커버를 갖고,
    상기 슬릿이, 상기 리어커버의 하면으로부터 배면 내지 상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송풍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가, 상기 지지부의 후단 근처에 마련되는 송풍기.
KR1020217030538A 2018-10-10 2019-10-03 송풍기 KR1025475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92033A JP6692100B2 (ja) 2018-10-10 2018-10-10 送風機
JPJP-P-2018-192033 2018-10-10
KR1020217010162A KR102312200B1 (ko) 2018-10-10 2019-10-03 송풍기
PCT/JP2019/039042 WO2020075606A1 (ja) 2018-10-10 2019-10-03 送風機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0162A Division KR102312200B1 (ko) 2018-10-10 2019-10-03 송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2871A true KR20210122871A (ko) 2021-10-12
KR102547586B1 KR102547586B1 (ko) 2023-06-26

Family

ID=701650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0162A KR102312200B1 (ko) 2018-10-10 2019-10-03 송풍기
KR1020217030538A KR102547586B1 (ko) 2018-10-10 2019-10-03 송풍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0162A KR102312200B1 (ko) 2018-10-10 2019-10-03 송풍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401949B2 (ko)
EP (1) EP3848589B1 (ko)
JP (1) JP6692100B2 (ko)
KR (2) KR102312200B1 (ko)
CN (2) CN112955664B (ko)
ES (1) ES2964348T3 (ko)
TW (1) TWI829778B (ko)
WO (1) WO20200756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412B1 (ko) * 2018-03-07 2020-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3811U (ko) 1986-10-16 1988-04-27
JPS6363811B2 (ko) * 1979-06-28 1988-12-08
US4856968A (en) * 1988-02-02 1989-08-15 Armbruster Joseph M Air circulation device
JP2011208910A (ja) * 2010-03-30 2011-10-20 Toyotomi Co Ltd サーキュレータ
JP5568171B2 (ja) 2013-10-01 2014-08-06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サーキュレータ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51278A (en) * 1925-08-25 House electric
US2667301A (en) * 1951-09-15 1954-01-26 Knapp Monarch Co Dual-purpose fan
US4732539A (en) * 1986-02-14 1988-03-22 Holmes Products Corp. Oscillating fan
US5609473A (en) * 1996-03-13 1997-03-11 Litvin; Charles Pivot fan
JP2001252147A (ja) * 2000-03-10 2001-09-18 Johnson Controls Automotive Systems Corp シートバックのヒンジ構造
CN2713181Y (zh) * 2004-05-25 2005-07-27 厦门灿坤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头部可旋转、俯仰的对流扇
US7316540B2 (en) * 2006-01-18 2008-01-08 Kaz, Incorporated Rotatable pivot mount for fans and other appliances
JP4823830B2 (ja) 2006-09-12 2011-11-24 株式会社岡村製作所 部材の枢着構造
CN102108974A (zh) 2011-03-29 2011-06-29 美的集团有限公司 一种转页扇俯仰机构
JP6118982B2 (ja) * 2012-06-26 2017-04-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送風装置
JP5583870B1 (ja) 2014-06-17 2014-09-03 シャープ株式会社 送風装置
JP6272174B2 (ja) * 2014-07-31 2018-01-31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送風機
CN205064330U (zh) * 2015-08-18 2016-03-02 艾美特电器(九江)有限公司 一种风扇摆头机构及风扇
CN205956039U (zh) * 2016-07-07 2017-02-15 合一电器(深圳)有限公司 一种机头内转式俯仰运动的风扇
CN206429441U (zh) * 2017-02-07 2017-08-22 广东世联电器有限公司 一种可大角度调节的电风扇
JP6872789B2 (ja) 2017-05-18 2021-05-19 株式会社Booom 遊技機
JP6363811B1 (ja) * 2017-09-29 2018-07-25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サーキュレータ
CN107842519A (zh) * 2017-11-22 2018-03-27 江门市西点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电风扇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3811B2 (ko) * 1979-06-28 1988-12-08
JPS6363811U (ko) 1986-10-16 1988-04-27
US4856968A (en) * 1988-02-02 1989-08-15 Armbruster Joseph M Air circulation device
JP2011208910A (ja) * 2010-03-30 2011-10-20 Toyotomi Co Ltd サーキュレータ
JP5568171B2 (ja) 2013-10-01 2014-08-06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サーキュレ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955664B (zh) 2023-03-14
TW202028613A (zh) 2020-08-01
EP3848589A4 (en) 2022-08-31
TWI829778B (zh) 2024-01-21
EP3848589B1 (en) 2023-09-13
JP6692100B2 (ja) 2020-05-13
CN116044820A (zh) 2023-05-02
KR102312200B1 (ko) 2021-10-14
KR102547586B1 (ko) 2023-06-26
KR20210046070A (ko) 2021-04-27
WO2020075606A1 (ja) 2020-04-16
JP2020060141A (ja) 2020-04-16
CN112955664A (zh) 2021-06-11
ES2964348T3 (es) 2024-04-05
EP3848589A1 (en) 2021-07-14
US11401949B2 (en) 2022-08-02
US20210348623A1 (en) 2021-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5036B1 (ko) 서큘레이터
EP3199393B1 (en) Air vent for vehicle
KR101814574B1 (ko) 팬 어셈블리
KR102312200B1 (ko) 송풍기
JP6799873B2 (ja) 送風機
JP4683433B2 (ja) ヘアードライヤー
JP6858433B2 (ja) 送風機
KR0124290Y1 (ko) 공기조화기의 음이온발생장치
KR102343746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
JPH09137987A (ja) 通風口のシャッタ装置
KR200201424Y1 (ko) 선풍기
CN116066897A (zh) 空调器
JP2015083833A (ja) 送風装置
JPH07243395A (ja) 扇風機
CN110667342A (zh) 一种风口万向节结构及具有其的车辆
KR19990011389U (ko) 에어벤트 노즐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