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290Y1 - 공기조화기의 음이온발생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음이온발생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290Y1
KR0124290Y1 KR2019950007278U KR19950007278U KR0124290Y1 KR 0124290 Y1 KR0124290 Y1 KR 0124290Y1 KR 2019950007278 U KR2019950007278 U KR 2019950007278U KR 19950007278 U KR19950007278 U KR 19950007278U KR 0124290 Y1 KR0124290 Y1 KR 01242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pin
discharge
air
fixing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72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5154U (ko
Inventor
구병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500072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4290Y1/ko
Publication of KR9600351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51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2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2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의 음이온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흡입부와 토출부가 형성된 캐비닛과, 조화공기를 생성시키는 실내측열교환기와,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팬과, 조화공기를 안내하는 토출덕트와, 음이온을 생성시키는 대전핀으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음이온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출덕트의 일측에 사출성형된 리브에 상부가 개방되어서 형성된 고정홈과, 상기 고정홈이 형성된 상기 리브의 후방에 형성되며 고정보스가 상부로 돌출된 지지부와, 상기 고정홈에 삽입설치되도록 상기 고정홈과 대체로 동일한 형상으로 사출성형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내측에 상기 고정부와 일체로 사출성형되며 상기 대전핀에서 생성되는 음이온이 최적량으로 토출되도록 상기 대전핀을 수용하며 조화된 공기가 유입되는 개구부와 음이온이 토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홀더와, 상기 홀더에 설치된 상기 대전핀에서 생성되는 음이온 구조물에 흡수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음이온의 토출을 안내하는 안내판이 설치되며 상기 홀더와 상기 고정부와 일체로 사출성형된 설치부와, 상기 설치부와 일체로 사출성형된 상기 고정부와 일체로 사출성형되며 상기 대전핀의 단부설치각도가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보스에 삽입되는 고정보스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음이온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음이온 발생량을 최적상태로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그 조립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음이온 발생장치
본 고안은 조화된 공기를 생성시켜 토출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음이온발생장치가 설치된 공기조화기의 음이온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음이온의 토출량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음이온발생장치를 정위치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의 음이온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에 실내를 냉방 혹은 난방시켜서 실내를 쾌적하게 하는 장치로써, 실내측과 실외측이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된 분리형 공기조화기로 대별된다.
제1도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로써, (10)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외관을 형성시키는 캐비닛이다.
또, 사이 캐비닛(10)의 전면 상부에는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10)의 전면과 하면의 사이에는 조화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토출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부(11)로 흡입된 실내공기를 냉풍 혹은 온풍으로 변환시켜 조화공기를 생성시키는 실내측열교환기(13)와, 상기 실내측열교환기(13)에서 생성된 조화공기가 상기 토출부(12)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도록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팬(14)이 배설되어 있다.
또, 상기 송풍팬(14)과 상기 토출부(12)사이의 상기 캐비닛(10)의 내면에는, 상기 송풍팬(14)의 송풍력에 의해 토출되는 조화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토출되도록 토출덕트(15)가 대체로 45°로 상향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토출덕트(15)에는 상기 송풍팬(14)의 송풍력에 의해 토출되는 조화공기에 음이온이 함유되도록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발생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음이온발생장치가 설치된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음이온발생장치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토출덕트(15)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고정공(6)이 천공된 리브(5)와, 상기 리브(5)에 형성된 상기 고정공(6)에 삽입설치되며 외부와 연통되는 연통홀(4)이 길게 형성된 홀더(1)와, 상기 홀더(1)의 연통홀(4)을 통해서 음이온이 토출되도록 음이온을 생성시키며 상기 홀더(1)의 내부에 설치된 대전핀(20)과, 상기 대전핀(20)에서 음이온이 생성되도록 고전압을 인가시키며 상기 대전핀(20)과 접속된 리드선(3)과, 상기 대전핀(20)에서 생성되는 음이온이 구조물에 흡수되는 것을 방치하여 보다 많은 량의 음이온이 조화공간으로 토출되도록 OV의 전압을 인가받으며 상기 토출덕트(15)의 상면에 고착된 안내판(8)과, 상기 안내판(8)의 면적을 확장시키도록 상기 안내판(8)의 상부에 도포된 알루미늄판(7)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음이온발생장치는, 상기 대전핀(20)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대전핀(20)에서는 강한 음전하가 축적되고, 이 강한 음전하에 의하여 중성상태로 상기 대전핀(20)의 주위에 존재하는 공기에서 전자가 상기 대전핀(20)측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대전핀(20)에서 방출된 음전하가 공기분자에 결합되어 음이온이 생성되게 된다.
또, 상기 대전핀(20)에서 생성된 음이온은 상기 송풍팬(14)의 송풍력에 의해 상기 토출덕트(15)를 통하여 조화공간으로 토출되며, 상기 안내판(8)과 상기 알루미늄판(7)은 상기 대전핀(20)에서 생성된 음이온이 구조물로 흡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조화공간으로 토출되는 음이온의 량은 상기 대전핀(20)의 길이, 상기 대전핀(20)의 단부설치각도, 상기 안내판(8)의 설치위치 등과 같은 인자에 의하여 결정된다.
이들 인자중에 상기 대전핀(20)의 길이는 제조시에 결정되며, 상기 안내판(8)의 설치위치는 상기 대전핀(20)의 길이와 설치각도가 일정한 상태에서 최대의 음이온이 토출되는 위치에서 결정된다.
여기서, 상기 대전핀(20)의 단부설치각도에 따른 음이온의 토출량의 변화를 실험으로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데이터를 얻을 수 있었다.
즉, 상기 송풍팬(14)을 회전시키는 모터의 회전수(rpm)를 1035로 하고, 상기 토출덕트(14)의 설치각도를 45°로 상향하며, 상기 토출부(12)로부터 10cm전방에서, 상기 대전핀(20)의 단부설치각도가 수평(0°)으로 설치된 경우(제6도나), 15°하향설치된 경우(제6도다), 25°하향설치된 경우(제6도라), 45°하향설치된 경우(제6도마)를 측정한 결과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결과를 얻어 음이온의 토출량은 상기 대전핀(20)의 단부설치각도가 0°-25°에서 가장 양호하게 토출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대전핀(20)의 단부설치각도가 수평(0°)일 경우에는 제6도(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출되는 음이온의 량이 50-60만개이고, 상기 대전핀(20)의 단부설치각도가 15°하향설치될 경우에는 제6도(다)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출되는 음이온의 량은 100만개이며, 상기 대전핀(20)의 단부설치각도가 25°하향설치될 경우에는 제6도(라)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출되는 음이온의 량은 50-75만개이고, 상기 대전핀(20)의 단부설치각도가 45°하향설치될 경우에는 제6도(마)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출되는 음이온의 량은 50만개로써, 상기 대전핀(20)의 단부설치각도가 0°-25°사이에서 음이온의 량이 양호하게 토출되고, 특히 대전핀(20)의 설치각도가 15°일 경우 음이온의 토출량이 가장 많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음이온발생장치는, 상기 대전핀(20)이 설치된 상기 홀더(1)가 상기 리브(5)에 천공된 상기 고정공(6)에 삽입되어서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므로써, 조립공정에서 상기 대전핀(20)의 단부설치각도가 변경되게 되어 최적한 위치에 상기 대전핀(20)의 단부설치각도를 위치시키는 것이 어려웠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대전핀의 단부설치각도가 조립시에 변경됨이 없도록하여 음이온발생량을 최대로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조립이 용이하도록 한 공기조화기의 음이온발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음이온발생장치는, 흡입부와 토출부가 형성되어 실내기의 외관을 형성시키는 캐비닛과, 상기 흡입부로 흡입된 실내공기를 냉풍 혹은 온풍으로 변환시켜 조화공기를 생성시키는 실내측열교환기와, 상기 실내측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조화공기가 상기 토출부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도록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의 송풍력에 의해 조화공기가 원활하게 상기 토출부를 통해 조화공간으로 토출되도록 조화공기를 안내하는 토출덕트와, 상기 토출덕트에 가이드되는 조화공기에 음이온이 함유되도록 음이온을 생성시키는 대전핀으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음이온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출덕트의 일측에 사출성형된 리브에 상부가 개방되어서 형성된 고정홈과, 상기 고정홈이 형성된 상기 리브의 후방에 형성되며 고정보스가 상부로 돌출된 지지부와, 상기 고정홈에 삽입설치되도록 상기 고정홈과 대체로 동일한 형상으로 사출성형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내측에 상기 고정부와 일체로 사출성형되며 상기 대전핀에서 생성되는 음이온이 최적량으로 토출되도록 상기 대전핀을 수용하며 조화된 공기가 유입되는 개구부와 음이온이 토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홀더와, 상기 홀더에 설치된 상기 대전핀에서 생성되는 음이온이 구조물에 흡수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음이온의 토출을 안내하는 안내판이 설치되며 상기 홀더와 상기 고정부와 일체로 사출성형된 설치부와, 상기 설치부와 일체로 사출성형된 상기 고정부와 일체로 사출성형되며 상기 대전핀의 단부설치가가도가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보스에 삽입되는 고정보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음이온발생장치에 의하면, 고정부와 홀더 그리고 설치부 및 고정보스가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대전핀의 단부설치각도를 조립전에 셋팅시킨 후 리브의 고정홈에 조립하게 되면 대전핀의 단부설치각도가 변경되지 않아 음이온발생량을 최적상태로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그 조립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제2도는 종래예에 적용되는 공기조화기의 음이온발생장치의 주요부품을 분해하여서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III-III'부분을 절결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공기조화기의 음이온발생장치의 주요부품을 분해하여서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V-V'부분을 절결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
제6도(a)는 대전핀의 단부가 상향일 경우 음이온의 토출량을 도시한 그래프.
제6도(b)는 대전핀의 단부설치각도가 수평(0°)일 경우 음이온의 토출량을 도시한 그래프.
제6도(c)는 대전핀의 단부설치각도가 15°하향설치될 경우 토출되는 음이온의 량을 도시한 그래프.
제6도(d)는 대전핀의 단부설치각도가 25°하향설치될 경우 토출되는 음이온의 량을 도시한 그래프.
제6도(e)는 대전핀의 단부설치각도가 45°하향설치될 경우 토출되는 음이온의 량을 도시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송풍팬 14:토출덕트
16:리브 20:대전핀
30:홀더 31,31':개구부
32:설치부 33:고정부
34:고압리드선 35:고정부재
36:고정보스 37:고정보스
38:고정부 39:지지부
41:안내판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음이온발생장치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4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공기조화기의 음이온발생장치의 주요부품을 분해하여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제5도는 제4도의 V-V'부분을 절결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로써, 제1도와 동일기능을 갖는 부분은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4도 및 제5도에 있어서, 토출덕트(15)의 일측에는 리브(16)가 형성되고, 이 리브(16)에는 후술하는 고정부가 삽입되도록 관통된 고정홈(38)이 형성되고, 이 고정홈(38)이 형성된 리브(16)에는 고정보스(37)가 돌출된 지지부(39)가 형성되어 있다.
또, (33)은 고정부로써, 상기 고정홈(38)에 삽입설치되도록 상기 고정홈(38)과 대체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사출성형된다.
또, 상기 고정부(33)의 내측에는 대전핀(20)에서 생성되는 음이온이 최적량으로 토출되도록 상기 대전핀(20)을 수용하며 조화된 공기가 유입되는 개구부(31)와 음이온이 토출되는 개구부(31')가 형성되어 고정부(33)와 일체로 홀더(30)가 사출성형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31')는 음이온이 보다 원활하게 토출되도록 3시에서 6시 방향으로 상기 홀더(30)의 외경의 1/4정도로 개구되어 있다.
또, 상기 홀더(30)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대전핀(20)의 단부설치각도는 0°-25°사이에서 하향설치되며, 특히 상기 대전핀(20)의 단부설치각도는 15°에서 하향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홀더(30)와 상기 고정부(33)에는, 상기 홀더(30)에 설치된 상기 대전핀(20)에서 생성되는 음이온이 구조물에 흡수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음이온의 토출을 안내하는 안내판(41)이 설치되는 설치부(32)가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있다.
또, 상기 고정부(33) 후방에는 상기 대전핀(20)의 단부설치각도가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보스(37)에 삽입되어 고정부재(35)에 의해 상기 리브(16)에 견고하게 설치되는 고정보스(37)가 상기 고정부(33)와 일체로 사출성형된다.
또, 그림에서 미설명부호(34)는 상기 대전핀(20)으로 고전압이 인가되도록하는 고압리드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음이온발생장치는 구성방법은 상기 홀더(30)와 상기 고정부(33) 그리고 상기 설치부(32)는 일체로 사출성형된다.
단지, 상기 홀더(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로 분리되어 사출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부(33)의 우측부위는 약간 상측으로 치우쳐 분리된다. 또 상기 설치부(32)에 상기 안내판(41)이 융착되어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음이온발생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공기조화기가 작동되면 조화공기가 상기 송풍팬(14)의 송풍력에 의하여 상기 토출덕트(15)와 상기 토출구(12)를 통해서 조화공간으로 토출되어 조화공간을 조화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대전핀(20)으로 고전압이 인가되어서 상기 대전핀(20)에는 음전하가 집적되고, 단부에는 보다 높은 고전압상태로 되어 상기 대전핀(20)에서 음이온이 생성된다.
또, 상기 대전핀(20)에서 생상된 음이온은 조화공기가 함께 조화공간으로 토출된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음이온발생장치는, 제조시에 상기 대전핀(20)의 단부설치각도가 변경됨이 없게 되어 최적량의 음이온을 토출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조립공정이 용이해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부(33)와 상기 홀더(30) 그리고 상기 설치부(32) 및 상기 고정보스(36)가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상기 대전핀(20)의 단부설치각도를 조립전에 셋팅시킨 후 상기 리브(16)의 고정홈(38)에 조립하게 되면 상기 대전핀(20)의 단부설치각도가 변경되지 않아 음이온발생량을 최적상태로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그 조립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음이온발생장치에 의하면, 고정부와 홀더 그리고 설치부 및 고정보스가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대전핀의 단부설치각도를 조립전에 셋팅시킨 후 리브의 고정홈에 조립하게 되면 대전핀의 단부설치각도가 변경되지 않아 음이온발생량을 최적상태로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그 조립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는 매우 실용적인효과가 있다.

Claims (2)

  1. 흡입부(11)와 토출부(12)가 형성되어 실내기의 외관을 형성시키는 캐비닛(10)과, 상기 흡입부(11)로 흡입된 실내공기를 냉풍 혹은 온풍으로 변환시켜 조화공기를 생성시키는 실내측열교환기(13)와, 실내측열교환기(13)에서 생성된 조화공기가 상기 토출부(12)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도록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팬(14)과, 상기 송풍팬(14)의 송풍력에 의해 조화공기가 원활하게 상기 토출부(12)를 통해 조화공간으로 토출되도록 조화공기를 안내하는 토출덕트(15)와, 상기 토출덕트(15)에 가이드되는 조화공기에 음이온이 함유되도록 음이온을 생성시키는 대전핀(20)으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음이온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출덕트(15)의 일측에 사출성형된 리브(16)에 상부가 개방되어서 형성된 고정홈(38)과, 상기 고정홈(38)이 형성된 상기 리브(16)의 후방에 형성되며 고정보스(37)가 상부로 돌출된 지지부(39)와, 상기 고정홈(38)에 삽입설치되도록 상기 고정홈(38)과 대체로 동일한 형상으로 사출성형된 고정부(33)와, 상기 고정부(33)의 내측에 상기 고정부(33)와 일체로 사출성형되며 상기 대전핀(20)에서 생성되는 음이온이 최적량으로 토출되도록 상기 대전핀(20)을 수용하며 조화된 공기가 유입되는 개구부(31)와 음이온이 토출되는 개구부(31')가 형성된 홀더(30)와, 상기 홀더(30)에 설치된 상기 대전핀(20)에서 생성되는 음이온이 구조물에 흡수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음이온이 토출을 안내하는 안내판(41)이 설치되며 상기 홀더(30)와 상기 고정부(33)와 일체로 사출성형된 설치부(32)와, 상기 설치부(32)와 일체로 사출성형된 상기 고정부(33)와 일체로 사출성형되며 상기 대전핀(20)의 단부설치각도가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보스(37)에 삽입되는 고정보스(3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음이온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30)에 형성된 개구부(31')는, 상기 대전핀(20)에서 생성되는 음이온이 보다 원활하게 토출되도록 3시에서 6시방향으로 상기 홀더(30)의 외경의 1/4정도로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음이온발생장치.
KR2019950007278U 1995-04-12 1995-04-12 공기조화기의 음이온발생장치 KR01242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7278U KR0124290Y1 (ko) 1995-04-12 1995-04-12 공기조화기의 음이온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7278U KR0124290Y1 (ko) 1995-04-12 1995-04-12 공기조화기의 음이온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154U KR960035154U (ko) 1996-11-21
KR0124290Y1 true KR0124290Y1 (ko) 1998-08-17

Family

ID=19411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7278U KR0124290Y1 (ko) 1995-04-12 1995-04-12 공기조화기의 음이온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42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967B1 (ko) * 2007-11-15 2008-01-02 씨에이엔지니어링(주) 공기조화기용 음이온 발생 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17148B (en) * 2001-08-24 2003-01-11 Sanyo Electric Co Wall mounting air conditioner
TW513541B (en) * 2001-11-02 2002-12-11 Sanyo Electric Co Wall-mount air condition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967B1 (ko) * 2007-11-15 2008-01-02 씨에이엔지니어링(주) 공기조화기용 음이온 발생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154U (ko) 1996-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5764B1 (ko) 서큘레이터
KR0124290Y1 (ko) 공기조화기의 음이온발생장치
JPH1137501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210601958U (zh) 落地式空调室内机和空调器
CN100412458C (zh) 空调器室内机遮蔽固定装置的安装结构
JP3894174B2 (ja) 空気調和機の電装品箱および空気調和機
CN100504219C (zh) 空调室内机的显示器的安装构造
CN217986901U (zh) 吹风壳体组件及吹风设备
CN219645344U (zh) 散热组件及功能柜
CN220832217U (zh) 一种内部流道顺畅且内压小的吹风机
CN215723506U (zh) 出风结构和取暖器
CN216407229U (zh) 一种便携风扇
CN218599866U (zh) 空调室内机及空调组
CN218915116U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JPH1038314A (ja) 空気調和機
CN116530786A (zh) 散热组件及功能柜
JPS5844247Y2 (ja) 空気調和機
KR0124277Y1 (ko) 공기조화기용 음이온발생장치
CN111140919A (zh) 空调器
CN118149386A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KR200146148Y1 (ko) 공기 조화기의 덕트 고정 구조
KR0111194Y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S6122227Y2 (ko)
CN114304853A (zh) 一种手柄进风式吹风机
KR20020042932A (ko) 공기조화기의 전면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