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036B1 - 서큘레이터 - Google Patents

서큘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5036B1
KR102495036B1 KR1020227008171A KR20227008171A KR102495036B1 KR 102495036 B1 KR102495036 B1 KR 102495036B1 KR 1020227008171 A KR1020227008171 A KR 1020227008171A KR 20227008171 A KR20227008171 A KR 20227008171A KR 102495036 B1 KR102495036 B1 KR 102495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circulator
air
wind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8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8512A (ko
Inventor
히데키 야마모토
카즈히토 후쿠마스
히로시 이시카와
Original Assignee
아이리스 오야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리스 오야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리스 오야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38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8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10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direction of output air
    • F04D25/105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direction of output air by changing rotor axis direction, e.g. oscillat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04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by varying driving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2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541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542Bladed diffusers
    • F04D29/544Blade sha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541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545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703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specially for fan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25/0693Details or arrangements of the wi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8Personalised air distrib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46Air flow forming a vorte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Ventilation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Air Blowers (AREA)

Abstract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서큘레이터(1)는, 정면측에 송풍구(11)를 가지며, 송풍구(11)에 그릴(12)이 마련된 송풍부(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릴(12)은, 복수의 도풍안내판(13)이 소용돌이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도풍안내판(13)의 각각은, 그 내단부와 외단부의 사이에서 상기 그릴(12)이 3차원 형상을 형성하도록, 송풍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다. 그릴(12)은, 도풍안내판(13)과 교차하는 원형 링(13R)을 추가로 갖고 있다.

Description

서큘레이터{BLOWER}
본 실시의 형태는, 서큘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소용돌이상의 핀(송풍안내판)이 마련된 그릴을 갖는 서큘레이터가 제안되어 있다. 서큘레이터에 의해 실내의 공기를 교반하고, 실내의 온도를 균일화함으로써, 예를 들어 하계의 에어컨 등의 냉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에너지절약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일본특허공개 2010-54084호 공보
종래의 서큘레이터는, 송풍구에 마련한 그릴이 평면적인 구조이므로, 송풍방향의 중앙으로 바람이 집중되지 않아, 충분한 풍속이 얻어지지 않는다는 결점이 있었다. 송풍방향의 중앙의 풍속이 불충분하면, 바람의 도달거리가 길어지지 않아, 실내의 공기를 확실하게 교반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본 실시의 형태는, 실내의 공기를 확실하게 교반할 수 있는 서큘레이터를 제공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제1 태양에 따르면, 정면측에 송풍구를 가지며, 이 송풍구에 그릴이 마련된 송풍부를 구비하고, 상기 그릴은, 복수의 도풍안내판이 소용돌이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도풍안내판의 각각은, 그 내단부(內端部)와 외단부(外端部)의 사이에서 상기 그릴이 3차원 형상을 형성하도록, 송풍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고, 상기 그릴은, 상기 도풍안내판과 교차하는 원형 링을 추가로 갖고 있는, 서큘레이터가 제공된다.
본 실시의 형태의 제2 태양에 따르면, 정면측에 송풍구를 가지며, 이 송풍구에 그릴이 마련된 송풍부를 구비하고, 상기 그릴은, 복수의 도풍안내판이 소용돌이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도풍안내판의 각각은, 그 내단부와 외단부의 사이에서 상기 그릴이 3차원 형상을 형성하도록, 송풍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도풍안내판의 전후방향의 각 폭은, 상기 외단부로부터 상기 내단부로 증가하고 있는, 서큘레이터가 제공된다.
본 실시의 형태의 제3 태양에 따르면, 정면측에 송풍구를 가지며, 이 송풍구에 그릴이 마련된 송풍부를 구비하고, 상기 그릴은, 복수의 도풍안내판이 소용돌이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도풍안내판의 각각은, 그 내단부와 외단부의 사이에서 상기 그릴이 3차원 형상을 형성하도록, 송풍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고, 상기 송풍부는, 해당 송풍부의 외면을 형성하는 커버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고, 상기 커버와 상기 그릴이 연속면을 형성하고 있는, 서큘레이터가 제공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르면, 송풍방향의 중앙으로 바람을 모을 수 있어, 실내의 공기를 확실하게 교반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서큘레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서큘레이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서큘레이터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서큘레이터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서큘레이터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서큘레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비교예에 따른 서큘레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서큘레이터의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a)실시예 1에 따른 서큘레이터가 구비하는 그릴부분의 우측면도이고, (b)실시예 2에 따른 서큘레이터가 구비하는 그릴부분의 우측면도이다.
도 10은 (a)비교예에 따른 서큘레이터의 요부의 단면도이고, (b)실시예 1에 따른 서큘레이터의 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비교예, 실시예 1, 2의 풍속의 시험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비교예, 실시예 1, 2의 바람의 도달거리의 시험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서큘레이터가 구비하는 풍로형성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서큘레이터가 구비하는 풍로형성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서큘레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서큘레이터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서큘레이터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서큘레이터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서큘레이터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서큘레이터가 구비하는 조작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서큘레이터가 구비하는 좌우회전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서큘레이터가 구비하는 대좌부의 분해도이다.
도 23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서큘레이터가 구비하는 대좌부의 이음매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서큘레이터의 리듬풍의 풍량조절패턴의 일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5는 도 24에 나타나는 리듬풍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a)모터에 부하하는 전압을 고정값으로 하는 경우이고, (b)모터에 부하하는 전압을 서서히 변화시키는 경우이다.
도 26은 (a)실시예 1에 따른 서큘레이터가 구비하는 그릴부분의 단면도이고, (b)변형예에 따른 서큘레이터가 구비하는 그릴부분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두께와 평면치수와의 관계, 각 층의 두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함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두께나 치수는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한, 도면상호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외관]
도 1~도 5는,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서큘레이터(1)를 나타내는 외관도이고, 도 1은 사시도, 도 2는 정면도, 도 3은 우측면도, 도 4는 상면도, 도 5는 배면도이다. 이 서큘레이터(1)는, 구면(球面)그릴구조에 의해 풍속강화를 도모함과 함께, 구체형상의 진화형 디자인에 따라 콤팩트하게 보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나,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서큘레이터(1)는, 도 1~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면측에 송풍구(11)를 가지며, 송풍구(11)에 그릴(12)이 마련된 송풍부(2)와, 송풍부(2)를 지지하는 대좌부(지지부)(3)를 구비하고, 그릴(12)은, 복수의 핀(도풍안내판)(13)이 소용돌이상으로 마련되며, 복수의 핀(13)의 소용돌이의 중심부(O)에 가까운 내단부(13A)가, 송풍구(11)에 연속하는 외단부(13B)보다 송풍방향(4)으로 돌출되어 있다. 환언하면, 그릴(12) 내의 복수의 핀(13)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13C)의 외단부(13B)에 대해 내단부(13A)가 송풍방향(4)으로 돌출되어 있다. 내단부(13A)란, 소용돌이의 중심부(O)에 가까운 내단측이며, 내단 근처를 포함한다. 외단부(13B)란, 송풍구(11)에 연속하는 외단측의 부분이다. 이에 따라, 바람이 중앙으로 모여(수속하여), 송풍방향의 중앙에 있어서의 풍속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송풍구(11)로부터 불어오는 바람(스파이럴기류)의 도달거리를 신장할 수 있다. 그 결과, 실내의 공기를 확실하게 교반할 수 있고, 실내의 온도를 균일화시켜 에너지절약에 공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핀(13)의 외단부(13B)에 대한 내단부(13A)의 돌출량(L1)이, 외단부(13B)에 있어서의 전후방향의 핀폭치수(W)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돌출량(L1)이란, 외단부(13B)의 전단(前端)으로부터 내단부(13A)의 전단까지의 전후방향의 거리에 상당한다. 또한, 핀폭치수(W)란, 핀(13)의 전후방향의 폭치수이다. 여기서는, 핀폭치수(W)가 일정한 핀(13)을 예시하며, 그 핀(13)의 외단부(13B)가 송풍구(11)에 연속하고 있다. 한편, 「복수의 핀(13)의 외단부(13B)에 대한 내단부(13A)의 돌출량」이라는 기재는, 「그릴(12) 내의 복수의 핀(13)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13C)의(외단부(13B)에 대한 내단부(13A)의) 돌출량」이라고 바꿔 말할 수도 있다. 복수의 핀(13)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13C)이란, 그릴(12)로부터 소용돌이의 중심부(O)에 있는 캡(14)을 제외한 부분이다. 이에 따라, 복수의 핀(13)의 외단부(13B)에 대한 내단부(13A)의 돌출량(L1)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바람을 중앙으로 수집시키는 효과를 확실하게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핀(13)(그릴(12) 내의 복수의 핀(13)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13C))은, 외단부(13B)로부터 소용돌이의 중심부(O)를 향함에 따라 점차 송풍방향(4)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바람을 중앙으로 수집시키는 효과를 효율좋게 발휘할 수 있어, 확실하게 풍속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핀(13)(그릴(12) 내의 복수의 핀(13)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13C))은, 송풍방향(4)으로 볼록이 되도록 만곡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그릴(12)을 만곡상(구면상)으로 함으로써, 한층 더 효율좋게 풍속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송풍부(2)의 송풍구(11)가 원형으로 형성되며, 복수의 핀(13)의 외단부(13B)에 대한 내단부(13A)의 돌출량(L1)이, 송풍구(11)의 직경의 20%보다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그릴(12) 내의 복수의 핀(13)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13C)의 내단부(13A)가, 송풍구(11)의 직경의 20%를 초과하여 송풍방향(4)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바람을 중앙으로 수집시키는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어, 확실하게 풍속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송풍부(2)는, 외면을 형성하는 커버(15)와, 커버의 내측에 마련된 원통상의 풍동부(風洞部)(16)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송풍구(11)로부터 불어오는 바람의 풍속이 안정적이다. 서큘레이터로부터 불어오는 바람은, 소용돌이를 치면서 직진하는 스파이럴기류이며, 선풍기 등에 비해 바람의 지향성 및 직진성이 높다. 풍동부(16)를 마련한다면, 이러한 서큘레이터 특유의 작용인 바람의 지향성 및 직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송풍부(2)의 커버(15)는, 그릴(12)을 갖는 프론트커버(15a)와, 프론트커버(15a)에 감착(嵌着)가능한 리어커버(15b)를 가지며, 프론트커버(15a)와 리어커버(15b)가 감착된 감착상태에서 구체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세련된 구체형상으로, 모나지 않고 콤팩트하게 보인다. 또한, 외관의 귀여움이나 멋진 느낌이 업된다.
또한, 프론트커버(15a)와 리어커버(15b)는, 감착상태에서 구체형상을 이루도록 반구상으로 형성되며, 프론트커버(15a)의 내측에는, 풍동부(16)를 갖는 풍로형성부재(60)가 마련되고, 풍로형성부재(60)의 일부가 프론트커버(15a)의 후방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감착상태에서 구체형상을 이루는 경우여도, 풍로형성부재(60)의 길이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풍로형성부재(60)는, 원통상의 풍동부(16)와, 풍동부(16)의 후단에 연설되어 후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지름이 커지는 확경통부(19)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경통부(19)에 대해서는 뒤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와 같이, 풍로형성부재(60)의 후단이 테이퍼상으로 되어 있으면, 후방으로부터의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확경통부(19)로부터 풍동부(16)에 들어가는 시점에서, 유로면적의 축소에 따라 유속이 증가하여, 풍속의 상승에 기여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복수의 핀(13, 13)의 간극로부터 손가락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그릴(12)의 보강도 겸해, 각 핀(13)과 교차하는 원형의 링(13R)을 마련한 구성을 예시하고 있는데, 이 링(13R)은 없어도 된다.
[각 부의 상세]
이하, 도 1~도 5를 이용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서큘레이터(1)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송풍부(2)의 커버(15)는, 프론트커버(15a)와, 리어커버(15b)를 갖는다. 프론트커버(15a)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재료로 형성된 반구형상의 커버이며, 전방에 개구된 원형의 송풍구(11)에 구면의 그릴(12)이 마련되어 있다. 리어커버(15b)도,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재료로 형성된 반구형상의 커버이다. 리어커버(15b)의 거의 전체면에 걸쳐, 외기를 취입하기 위한 다수의 통기구(2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릴(12)은, 예를 들어, 내충격성이 높은 합성수지재료로 형성된 전면(前面)패널이다. 구체적으로는, 소용돌이상의 핀(13)이 소용돌이의 중심부(O)를 향함에 따라 점차 돌출되도록 볼록만곡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릴(12)의 후방으로부터 바람을 보내, 그릴(12)의 전후방향으로 공기류(바람)가 통과하면, 소용돌이를 치면서 직진하는 스파이럴기류가 발생하게 되어 있다.
대좌부(3)는, 송풍부(2)를 자유롭게 좌우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설치면에 재치된다. 대좌부(3)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형상으로 형성된 대좌하부(31)와, 대좌하부(31)에 감착가능한 대좌상부(32)를 갖는다. 대좌하부(31)도 대좌상부(32)도, 외면을 형성하는 커버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대좌상부(32)의 중심보다 후방에 다리 1개 형상의 지주부(33)를 수직으로 입설(立設)하고, 지주부(33)보다 전방에 조작패널(34)을 배치하고 있다. 여기서는, 지지부(3)로서 대좌부(3)를 예시하고 있는데, 지지부(3)는, 천정 등에 부착가능한 구조로 해도 된다.
[내부구조]
도 6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서큘레이터(1)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풍부(2)는, 공기류를 발생시키는 송풍장치로서, 송풍용의 팬(17)과, 팬(17)을 구동하는 모터(18)를 구비한다. 송풍용의 팬(17)으로는, 대풍량의 공기류를 발생시키기 위해, 축류식의 프로펠러팬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팬(17)용의 모터(18)로는, 일반적인 AC콘덴서모터를 채용하고 있다. 한편, 팬(17)의 직경(R0)은, 약 120mm~약 240mm로 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서큘레이터(1)는, 좌우회전 및 상하회전을 자동으로 행하기 위해, 좌우회전용의 모터(M1)와 상하회전용의 모터(M2)를 이용하고 있다. 이 2개의 회전용의 모터(M1, M2)로는, 제품 내부에 넣기 위해 사이즈적으로 작은 것이 요구되므로, 싱크로너스모터를 채용하고 있다. 여기서는, 좌우회전 및 상하회전을 자동으로 행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좌우회전만을 자동으로 행하도록 해도 된다.
[볼록만곡(구면)그릴구조]
이하,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서큘레이터(1)가 구비하는 구면그릴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구면그릴구조의 특징을 명확히 하기 위해, 비교예(평면그릴구조)와 실시예 1, 2(구면그릴구조)를 대비하면서 설명한다.
(비교예)
도 7은, 비교예에 따른 서큘레이터(100)의 사시도이다. 도 1과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에 따른 서큘레이터(100)는, 평면그릴구조를 구비하는 서큘레이터이다. 즉, 외형형상이 대략 북상으로 형성된 송풍부(2)를 구비하고, 전방에 개구된 원형의 송풍구(11)에 평면의 그릴(12)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평면의 그릴(12)도, 소용돌이상의 복수의 핀(13)을 갖고 있는 점은 동일하다. 프론트커버(15a) 중 그릴(12)을 제외한 부분은, 둥근모양을 띤 원뿔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1, 2)
도 8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서큘레이터(1)의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서큘레이터(1)는, 구면그릴구조를 구비하는 서큘레이터이다. 그러므로, 그릴(12)로부터 전방을 향해 불어오는 바람에는, 송풍방향(4)의 중앙으로 수속하는 소용돌이를 치도록 회전력이 부여된다. 그 결과, 바람이 중앙으로 모여, 송풍방향(4)의 중앙에 있어서의 풍속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서큘레이터(1)의 구체예로서, 실시예 1에 따른 서큘레이터(1a)와 실시예 2에 따른 서큘레이터(1b)를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a)는, 실시예 1에 따른 서큘레이터(1a)가 구비하는 그릴(12)부분의 우측면도이고, 도 9(b)는, 실시예 2에 따른 서큘레이터(1b)가 구비하는 그릴(12)부분의 우측면도이다.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른 서큘레이터(1a)에서는, 예를 들어, 팬(17)의 직경(R0)이 약 150mm인 경우에는, 그릴(12)의 곡률반경(R)을 약 105mm로 하고 있다. 한편,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에 따른 서큘레이터(1b)에서는, 예를 들어, 그릴(12)의 곡률반경(R)을 약 92mm로 하고 있다. 그릴(12)의 곡률반경(R)이 다른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 2에 따른 서큘레이터(1a, 1b)의 기본구조는 동일하다. 예를 들어, 실시예 1에 따른 서큘레이터(1a)도 실시예 2에 따른 서큘레이터(1b)도, 외단부(13B)의 전단에 대해 내단부(13A)의 전단이 돌출되어 있는 점이 동일하다.
다음에, 비교예, 실시예 1, 2에 따른 작용의 차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a)는, 비교예에 따른 서큘레이터(100)의 요부의 단면도이고, 도 10(b)는, 실시예 1에 따른 서큘레이터(1a)의 요부의 단면도이다. 도면 중의 화살표는, 송풍구(11)로부터 불어오는 바람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에 따른 서큘레이터(100)에서는, 소용돌이상의 복수의 핀(13)이 동일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송풍방향(4)의 중앙으로 바람이 모이기 어렵다. 한편,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른 서큘레이터(1a)에서는, 소용돌이상의 복수의 핀(13)이 입체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송풍방향(4)의 중앙으로 바람이 모이기 쉽다. 여기서는, 실시예 1에 따른 서큘레이터(1a)에 대하여 설명했으나, 실시예 2에 따른 서큘레이터(1b)에 대해서도, 송풍방향(4)의 중앙으로 바람이 모이기 쉬운 점은 동일하다. 한편, 「송풍방향(4)의 중앙」은, 「송풍구(11)의 중앙의 전방」이나 「팬(17)의 회전축과 평행하며, 또한, 소용돌이의 중심부(O)를 통과하는 직선의 연장선 상」이라고 바꿔 말할 수도 있다.
(풍속의 비교)
도 11은, 비교예, 실시예 1, 2의 풍속의 시험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세로축은 풍속[m/s]을 나타내고, 가로축은 송풍방향(4)의 중앙을 기준위치「0」으로 한 좌우방향의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로축에 나타나는 부호 P-4~P4는, 각각, 도 10(b)에 나타나는 부호 P4~P4의 위치에 대응하고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도 실시예 1, 2도, 좌우방향의 거리가 커짐에 따라 풍속이 작아진다. 단, 비교예의 파형은, 송풍방향(4)의 중앙부근이 거의 평탄해지고 있는데에 반해, 실시예 1, 2의 파형은, 송풍방향(4)의 중앙부근이 산형으로 되어 있다. 즉, 송풍방향(4)의 중앙부근에서는, 실시예 1, 2 쪽이 비교예에 비해 풍속이 높게 되어 있다.
실시예 1, 2에 따르면, 그릴(12)을 구면으로 함으로써 송풍방향(4)의 중앙으로 바람이 모여, 풍속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곡률반경(R) 105)과 실시예 2(곡률반경(R) 92)의 비교로 말하면, 실시예 2의 쪽이 송풍방향(4)의 중앙으로 바람이 와서, 풍속이 약간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그릴(12)의 곡률반경(R)은, 예를 들어, 팬(17)의 직경(R0)이 약 150mm인 경우에는, 약 80mm~약 120mm(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0mm~약 1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팬(17)의 직경(R0)이 약 150mm인 경우를 전제로 하고 있는데, 팬(17)의 직경(R0)은, 예를 들어, 약 120mm~약 240mm의 범위에서 적당히 변경가능하다. 팬(17)의 직경(R0)이 변하면, 그에 따라 그릴(12)의 곡률반경(R)의 바람직한 범위(약 80mm~약 120mm)도 상사적으로 변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바람의 도달거리의 비교)
도 12는, 비교예, 실시예 1, 2의 바람의 도달거리의 시험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람의 도달거리[m]는, 비교예가 약 28m인 데에 반해, 실시예 1이 약 30m, 실시예 2가 약 29m였다. 이와 같이, 실시예 1, 2에 따르면, 그릴(12)을 구면으로 함으로써 송풍방향(4)의 중앙으로 바람이 모여, 바람의 도달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에서도, 스파이럴기류에 의해 멀리까지 닿는 강한 바람을 실현할 수 있는데, 실시예 1, 2에 따르면, 더욱 그 도달거리를 길게 할 수 있어, 서큘레이터 본래의 공기교반효과가 현저해진다.
(팬과 그릴의 상관관계)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릴(12)의 곡률반경을 R, 팬(17)의 직경을 R0, 송풍부(2)의 외경을 R1, 송풍구(11)의 직경(풍동부(16)의 외경)을 R2로 한다. 원통상의 풍동부(16)는, 근소하게 지름이 확대·축소되어도 된다.
먼저, 팬(17)의 직경(R0)이 약 150mm인 경우, 그릴(12)의 곡률반경(R)의 바람직한 범위는 약 80mm~약 120mm(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0mm~약 110mm)이고, 실측값은 약 105mm이다. 팬(17)의 직경(R0)과 그릴(12)의 곡률반경(R)의 관계로 말하면, 그릴(12)의 곡률반경(R)의 바람직한 범위는, R/R0=약 53.3%~약 80.0%(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60.0%~약 73.3%)를 만족하는 범위라고 말할 수 있다.
그릴(12)의 곡률반경(R)이 하한값 미만인 경우, 송풍부(2)에 있어서의 그릴(12)이 찌그러진 형상이 된다. 여기서 말하는 하한값이란, 팬(17)의 직경(R0)의 약 53.3%(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60.0%)이다. 한편, 그릴(12)의 곡률반경(R)이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 풍속상승의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 여기서 말하는 상한값이란, 팬(17)의 직경(R0)의 약 80.0%(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3.3%)이다.
또한, 팬(17)의 직경(R0)이 약 150mm인 경우, 송풍부(2)의 외경(R1)의 바람직한 범위는 약 160mm~약 240mm이다. 송풍부(2)의 외경(R1)과 팬(17)의 직경(R0)의 관계로 말하면, 송풍부(2)의 외경(R1)의 바람직한 범위는, R1/R0=약 107%~약 160%를 만족하는 범위라고 말할 수 있다. 송풍부(2)는 구형이기 때문에, 송풍부(2)의 외경(R1)은 그릴(12)의 곡률반경(R)의 약 2배가 된다.
송풍부(2)의 외경(R1)이 팬(17)의 직경(R0)의 약 107% 미만인 경우, 팬(17)과 풍동부(16)의 클리어런스를 확보할 수 없어, 팬(17)과 풍동부(16)의 내면이 접촉될 우려가 있고, 제작도 곤란하다. 한편, 송풍부(2)의 외경(R1)이 팬(17)의 직경(R0)의 약 160%를 초과하는 경우, 송풍부(2)의 사이즈가 과대해지고, 머리만 커서 대좌부(3)와의 밸런스가 무너진다.
또한, 팬(17)의 직경(R0)이 약 150mm인 경우, 송풍구(11)의 직경(R2)의 바람직한 범위는 약 155mm~약 175mm이다. 송풍구(11)의 직경(R2)과 팬(17)의 직경(R0) 의 관계로 말하면, 송풍구(11)의 직경(R2)의 바람직한 범위는, R2/R0=약 103%~약 117%를 만족하는 범위라고 말할 수 있다. 송풍구(11)의 직경(R2)를 작게 하면, 풍동부(16)의 길이를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송풍구(11)의 직경(R2)이 팬(17)의 직경(R0)의 약 103% 미만인 경우, 팬(17)과 풍동부(16)의 클리어런스를 확보할 수 없어, 접촉의 우려가 있고, 제작도 곤란하다. 한편, 송풍구(11)의 직경(R2)이 팬(17)의 직경(R0)의 약 117%를 초과하는 경우, 구형의 송풍부(2) 중에서 풍동부(16)의 길이를 확보할 수 없어, 불어오는 바람의 지향성과 직진성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
송풍구(11)의 직경(R2)과 송풍부(2)의 외경(R1)의 관계로 말하면, 송풍구(11)의 직경(R2)의 바람직한 범위는, R2/R1=약 74%~약 83%를 만족하는 범위라고 말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R2/R1이 비교적 작은 경우는, 송풍부(2)의 정면에서 봤을 때 차지하는 송풍구(11)의 면적이 작게 보이는 효과가 있다.
송풍구(11)의 직경(R2)이 송풍부(2)의 외경(R1)의 약 74% 미만인 경우, 팬(17)과 풍동부(16)의 클리어런스를 확보할 수 없어, 접촉의 우려가 보다 높아진다. 한편, 송풍구(11)의 직경(R2)이 송풍부(2)의 외경(R1)의 약 83%를 초과하는 경우, 구형의 송풍부(2) 중에서 풍동부(16)의 길이를 확보할 수 없어, 불어오는 바람의 지향성과 직진성을 유지하는 것이 보다 곤란해진다.
[구체디자인+내부의 풍동부]
송풍부(2)는, 세련된 구체형상이기 때문에, 모나지 않고 콤팩트하게 보인다. 또한, 외관의 귀여움이나 멋진 느낌이 업된다. 한편, 서큘레이터(1)로부터 불어오는 바람의 풍속을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일정길이의 풍동부(16)가 필요하다. 이에,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서큘레이터(1)에서는, 이하의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도 13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서큘레이터(1)가 구비하는 풍로형성부재(60)의 사시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로형성부재(60)는, 풍로를 형성하는 부재이며, 그릴(12)과 풍동부(16)와 확경통부(19)를 갖는다. 그릴(12)과 풍동부(16)와 확경통부(19)를 합성수지재료로 일체성형함으로써, 풍로형성부재(60)를 형성하고 있다.
풍동부(16)는, 팬(17)의 레이디얼 외방에 마련된 원통상의 부재이며, 풍동부(16)의 내경은, 송풍구(11)의 대경과 대략 동일하다.
확경통부(19)는, 리어커버(15b)와 감합하는 부분이며, 후방으로 감에 따라 점차 지름이 커지는 테이퍼통상의 부재이다. 확경통부(19)의 최후단(19a)에는, 리어커버(15b)와 계합하는 복수의 계지조(係止爪)(19b)가 마련되어 있다.
풍동부(16)로부터 확경통부(19)에 걸쳐, 그 외주면에 복수의 보강리브(19c)를 직각으로 세워, 확경통부(19)의 강도를 확보하고 있다. 보강리브(19c)의 외연은, 외장구면커버부재(15C)의 내측의 면에 당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풍로형성부재(60)의 외측에 외장구면커버부재(15C)를 부착하면, 그릴(12)의 전면(前面)(복수의 핀(13)의 전단면)과 외장구면커버부재(15C)의 외주면이 연속한 구면을 구성하게 된다.
풍동부(16)와 그릴(12)이 일체성형됨으로써, 풍동부(16)와 그릴(12)과의 연결부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부품점수의 감소, 비용절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그릴(12)의 전면(복수의 핀(13)의 전단면)과, 외장구면커버부재(15C)의 외주면이 연속한 구면을 구성함으로써, 송풍부(2)에 있어서의 그릴(12)과 외장구면커버부재(15C) 사이에 단차가 없이, 아름다운 구체형상으로 할 수 있어,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외장구면커버부재(15C)의 내측에 풍동부(16)를 마련함으로써, 불어오는 바람의 지향성과 직진성이 향상되고, 서큘레이터로서의 성능이 안정된다.
(풍로형성부재)
도 14는,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서큘레이터(1)가 구비하는 풍로형성부재(60)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로형성부재(60) 본체의 길이를 L0, 그릴(12)의 돌출량을 L1, 풍동부(16)의 길이를 L2, 확경통부(19)의 길이를 L3, 그릴(12)의 곡률반경을 R, 확경통부(19)의 내주면의 테이퍼각도를 θ로 한다. 풍로형성부재(60) 본체의 길이(L0)는, 그릴(12)의 선단으로부터 확경통부(19)의 후단까지의 길이이며, L0=L1+L2+L3이 된다. 이하에서도, 팬(17)의 직경(R0)이 약 150mm인 경우를 전제로 한다. 팬(17)의 직경(R0)이 변하면, 그에 따라 각 부의 크기도 상사적으로 변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팬(17)의 직경(R0)이 약 150mm인 경우, 풍동부(16)의 길이(L2)의 바람직한 범위는, 약 45mm~약 60mm이고, 실측값은 약 50mm이다. 풍동부(16)의 길이(L2)의 바람직한 범위는 팬(17)의 직경(R0)(약 150mm)의 약 30%~약 40%라고 말할 수도 있다. 풍동부(16)를 길게 하면, 바람의 지향성 및 직진성을 확보할 수 있다.
풍동부(16)의 길이(L2)가, 팬(17)의 직경(R0)의 약 30%(약 45mm) 미만인 경우, 풍동부(16)가 과소해져, 바람의 지향성 및 직진성을 확보할 수 없다. 한편, 풍동부(16)의 길이(L2)가, 팬(17)의 직경(R0)의 약 40%(약 60mm)를 초과하는 경우, 그릴(12)의 돌출량(L1)이나 확경통부(19)의 길이(L3)가 작아져, 풍속상승의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풍로형성부재(60) 본체의 길이(L0)는, 그릴(12)의 곡률반경(R)(약 105mm)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풍로형성부재(60)의 후단부(확경통부(19))가 반구상의 프론트커버(15a)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고, 풍로형성부재(60)의 후단부가 리어커버(15b)에 장입되어 있다. 풍로형성부재(60) 본체의 길이(L0)가 길수록, 풍동부(16)의 길이(L2)를 확보하기 쉬운데, 그릴(12)을 구면상으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풍동부(16)를 전방으로 연장하여 길이(L2)를 크게 할 수 없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풍로형성부재(60) 본체의 길이(L0)를 그릴(12)의 곡률반경(R)보다 크게 설정하여, 풍동부(16)의 후방의 확경통부(19)의 일부를 리어커버(15b)에 장입함으로써, 풍동부(16)의 길이(L2)를 확보하고 있다. 또한, 확경통부(19)의 길이(L3)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확경통부(19)는, 테이퍼각도θ가 15도~30도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풍로형성부재(60)의 후단의 확경통부(19)를 각도 15도~30도의 테이퍼상으로 함에 따라, 후방으로부터의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확경통부(19)로부터 풍동부(16)에 들어가는 시점에서, 유로면적의 축소에 따라 유속이 증가하여, 풍속을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확경통부(19)의 테이퍼각도θ가 15도 미만인 경우, 확경통부(19)로부터 풍동부(16)에 들어가는 시점에서, 유로면적의 축소에 의한 유속상승의 효과를 얻기 어려워진다. 한편, 테이퍼각도θ가 30도를 초과하는 경우, 확경통부(19)에 있어서의 통풍저항이 커지기 때문에, 후방으로부터의 공기의 흐름이 원활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팬과 풍로형성부재의 관계)
도 15에 있어서, 서큘레이터(1) 내를 흐르는 공기(61)의 유로를 나타내고 있다. 서큘레이터(1) 내를 흐르는 공기(61)는, 확경통부(19)로부터 풍동부(16)에 들어가는 시점에서, 유로면적의 축소에 따라 유속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 송풍구(11)로부터 불어오는 바람의 풍속의 상승에 기여하고 있다. 한편,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로형성부재(60)가 팬(17)의 외측을 포위하고, 팬(17)의 후단위치로부터 풍로형성부재(60)가 뒤로 연장되어 있다.
[전기케이블의 배선]
도 16 및 도 17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서큘레이터(1)의 내부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6은, 송풍부(2)의 중심으로부터 좌측에서 절단한 경우의 단면도이고, 도 17은, 커버(15)와 풍로형성부재(60)를 분리하여 좌경사 후방으로부터 내려다본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좌부(3)로부터 세워 올린 지주(70)로 모터커버(71)를 양 옆으로부터 끼우고, 이 끼운 위치를 상하회전의 축(72)으로 하여, 송풍부(2)가 대좌부(3)에 대해 상하회전을 행한다. 이에, 모터커버(71)에 수용되는 팬(17)용의 모터(18)(도 6 참조)나 상하회전용의 모터(M2)(도 6 참조)에 접속되는 전기케이블(73)을 상하회전의 축(72) 상으로부터 인출해도 된다. 상하회전의 축(72) 상으로부터 인출된 전기케이블(73)은, 대좌부(3)의 상면(35)에 형성된 개구(36)로부터 대좌부(3)의 내부에 취입된다. 전기케이블(73)이 지주(70)의 적당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상하회전의 회전중심으로 전기케이블(73)을 통과하는 구성에 따르면, 상하회전시에 전기케이블(73)에 비틀림 힘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전기케이블(73)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상하회전기구]
도 18 및 도 19는,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서큘레이터(1)의 내부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8은, 송풍부(2)의 중심으로부터 우측에서 절단한 경우의 단면도이고, 도 19는, 커버(15)와 풍로형성부재(60)를 분리하여 우경사 후방으로부터 내려다본 경우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회전용의 모터(M2)의 출력축(94)이 상하회전의 링크기구(90)를 개재하여 지주(70)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링크기구(90)는, 상하회전용의 모터(M2)의 출력축(94)에 고정된 요동아암부재(91)와, 지주(70)에 고정된 고정부재(93)와, 일단부가 요동아암부재(91)에 추착(樞着)되고, 타단부가 고정부재(93)에 추착된 궁형의 링크부재(92)를 구비한다. 요동아암부재(91)와 링크부재(92) 사이에 고무와셔(95)가 끼워지고, 링크부재(92)와 고정부재(93) 사이에 고무와셔(96)가 끼워져도 된다. 이에 따라, 고무와셔(95, 96)로 진동이 흡수되기 때문에, 싱크로너스모터(상하회전용의 모터(M2))의 백래쉬 및 부재(91, 92, 93) 간의 클리어런스에 의한 링크기구(90)의 이음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2개소의 고무와셔(95, 96)의 일방을 생략해도 된다.
[조작패널]
도 20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서큘레이터(1)가 구비하는 조작패널(34)의 평면도이다. 조작패널(34)에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원버튼(34a), 전원끄기타이머버튼(34b), 풍량버튼(34c), 리듬버튼(34d), 회전버튼(34e) 등이 포함된다. 전원버튼(34a)은, 전원의 끔/켬을 설정하기 위한 버튼이다. 전원끄기타이머버튼(34b)은, 전원끄기타이머를 설정하기 위한 버튼이다. 풍량버튼(34c)은, 송풍부(2)의 풍량조절을 행하기 위한 버튼으로서, 압하될 때마다, 풍량의 강약설정을 미풍·약·중·강·터보 순으로 5단계로 전환한다. 리듬버튼(34d)은, 후술하는 리듬풍을 설정하기 위한 버튼이다. 회전버튼(34e)은, 상하회전 및 좌우회전의 온/오프를 설정하기 위한 버튼이다.
[리어커버]
다음에, 도 5를 참조하면서, 리어커버(15b)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리어커버(15b)의 거의 전체면에 걸쳐, 외기를 취입하기 위한 다수의 통기구(21)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리어커버(15b)의 모터후방개소에 풍공(風孔)(21a)을 추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모터(18)가 팬(17)을 구동하고 있을 때에, 모터후방개소의 풍공(21a)으로부터도 외기가 취입되므로, 풍량을 보다 많이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모터(18)가 스스로 발생시키는 공기류에 의해 냉각효과를 일으켜, 발열대책이 되기도 한다.
[좌우회전기구]
도 21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서큘레이터(1)가 구비하는 좌우회전기구(43)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좌부(3)는, 내부가 공동(空洞)으로 되어 있으며, 그 공동 내부에 좌우회전기구(43)가 수납되어 있다. 좌우회전기구(43)는, 대좌상부(32)에 고정된 수지제의 고정판(41)과, 인서트성형으로 고정판(41)에 일체화된 중심축(42)과, 고정판(41)의 상면에 고정된 회전용의 모터(M1)를 구비한다. 중심축(42)의 하단이 삽입되는 수지제의 베어링부재(부쉬)(44)를 구비하고, 이 베어링부재(44)의 하단내주부에는, 계지조(44a)가 일체성형되어 있다. 중심축(42)의 하단외주부에는 절결홈(42a)이 형성되며, 절결홈(42a)에 계지조(44a)가 압입되어 있다.
도 22는,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서큘레이터(1)가 구비하는 대좌부(3)의 분해도이다. 이하, 도 22를 이용하여, 좌우회전기구(43)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대좌부(3)는, 내부가 공동으로 되어 있으며, 그 공동 내부에 좌우회전기구(43)가 수납되어 있다. 좌우회전기구(43)는, 고정판(41)과, 고정판(41)의 상면에 고정된 회전용의 모터(M1)(도 21 참조)와, 회전모터(M1)의 출력축(43E)에 고정된 편심캠(43A)과, 대좌하부(31)에 고정되는 고정축(43D)과, 일단부가 편심캠(43A)에 추착되고, 타단부가 고정축(43D)에 추착된 궁형의 연결링크(43B)를 구비한다.
또한, 고정판(41)은, 대좌상부(32)에 고정되며, 중심축(42)은, 베어링부재(44)에 선회가능하게 삽입된다. 회전용의 모터(M1)(출력축(43E)에 고정된 편심캠(43A)을 포함한다)와 고정축(43D)은, 각각 중심축(42)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대좌하부(31)에 개공(開孔)된 축삽입구멍(47)에는, 하단내주부에 계지조(44a)가 형성된 원통상의 베어링부재(44)가 삽입된다. 이 베어링부재(44)에는 중심축(42)이 삽입된다. 중심축(42)의 하단외주부에는 절결홈(42a)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절결홈(42a)에 계지편이 되는 계지조(44a)가 압입된다. 베어링부재(44)의 하부에 코드폴더(45)를 부착하고, 대좌하부(31) 하면의 개구부(31b)에 보텀캡(46)으로 덮개를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고정판(41)과 중심축(42)의 상단부를 인서트성형하고, 중심축(42)에 의해 대좌상부(32)와 대좌하부(31)를 연결함과 함께, 중심축(42)의 베어링부재(44)를 대좌하부(31)에 고정하고 있다. 베어링부재(44)를 개재하여 중심축(42)을 축삽입구멍(47)에 삽입하고 있으므로, 중심축(42)과 축삽입구멍(47)과의 클리어런스가 없어지고, 중심축(42)의 선회에 따른 축삽입구멍(47)의 마모나 그것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중심축(42)을 중심으로 한 대좌상부(32)(송풍부(2))의 선회도 원활해진다.
사용자가 조작패널(34)의 회전버튼(34e)을 압하하여 좌우회전을 온하면, 회전용의 모터(M1)의 출력축(43E)에 고정된 편심캠(43A)이 편심회전하고, 편심캠(43A)에 추착된 연결링크(43B)의 일단부가 원운동을 한다. 연결링크(43B)의 타단부는 대좌하부(31)에 고정된 고정축(43D)에 추착되어 있으므로, 이 원운동에 의해 대좌상부(32)와 그 위에 부착된 송풍부(2)가 중심축(42)을 중심으로 원운동의 반경거리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선회(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서큘레이터(1)는, 대좌하부(31)와, 대좌하부(31)의 위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대좌상부(32)가 중심축(42)을 통과하여 연결되고, 대좌상부(32)의 위에 송풍부(2)가 마련된 서큘레이터(1)로서, 대좌하부(31)에 베어링부재(44)를 삽입하고, 이 베어링부재(44)에 중심축(42)을 선회가능하게 삽입함과 함께, 대좌상부(32)에 마련된 고정판(41)과 중심축(42)의 상단부를 인서트성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부품점수의 감소, 비용절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대좌상부(32)에 마련된 고정판(41)을 수지로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고정판(41)의 에지(모서리)에 배선이 찰접(擦接)했을 때에, 배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중심축(42)의 베어링부재(44)의 하단내주부에 계지조(44a)가 수지로 일체성형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계지조(44a)가 E링의 대체로서 기능하므로, E링을 이용할 필요가 없어져, 부품점수의 감소, 비용절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좌부의 이음매]
도 23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서큘레이터(1)가 구비하는 대좌부(3)의 이음매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좌하부(31)의 주연의 내측에 환상내벽(31a)이 입설되고, 대좌상부(32)의 주연을 대좌하부(31)의 환상내벽(31a)에 씌우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좌상부(32)와 대좌하부(31)의 간극이 환상내벽(31a)에 의해 가려져서 눈에 띄지 않는다. 또한, 상하의 클리어런스에 여유가 생기기 때문에, 좌우회전시에 대좌상부(32)와 대좌하부(31)와의 찰접을 방지할 수 있고, 찰접에 기인하는 이음이 발생하기 어렵다. 나아가, 대좌상부(32)와 대좌하부(31)의 간극을 통해 먼지 등이 대좌부(3)의 내부에 침입하기 어렵다.
[리듬풍의 제어]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서큘레이터(1)는, 전원의 ON/OFF, 전원끄기타이머의 동작, 모터(18)의 회전수, 회전의 작동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5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되는 제어기판이다(도 6 참조). 사용자가 조작패널(34)의 리듬버튼(34d)을 압하하여 리듬모드를 온하면, 제어부(50)가 모터(18)의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리듬풍을 실현하도록 되어 있다.
도 24는,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서큘레이터(1)로부터 불어오는 리듬풍의 풍량조절패턴의 일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풍량의 강약설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듬모드에서는, 단순한 반복이 되지 않도록 약한 바람과 강한 바람을 전환하여, 동요(ゆらぎ)의 효과를 일으켜, 자연풍에 근접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리듬모드에서는, 하기와 같은 20개의 풍량제어(1)~(20)를 반복한다. 즉, 풍량제어(1)~(20)까지 순서대로 실시한다면, 풍량제어(1)로 되돌아가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풍량제어(1)는, 풍량F2의 동작기간을 15초로 설정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풍량F1은, 풍량「미풍」에 상당하고, 풍량F2는, 풍량「약」에 상당하고, 풍량F3은, 풍량「중」에 상당해도 된다.
(1)풍량F2를 15초→(2)풍량F1을 15초→(3)풍량F2를 15초→(4)풍량F1을 15초→(5)풍량F3을 30초→(6)풍량F1을 30초→(7)풍량F2를 15초→(8)풍량F1을 15초→(9)풍량F3을 30초→(10)풍량F1을 30초→(11)풍량F2를 15초→(12)풍량F1을 15초→(13)풍량F2를 15초→(14)풍량F1을 15초→(15)풍량F3을 30초→(16)풍량F1을 30초→(17)풍량F2를 15초→(18)풍량F1을 15초→(19)풍량F2를 15초→(20)풍량F1을 15초→···
한편, 여기서는, 20개의 풍량제어(1)~(20)를 반복의 1단위로 하고 있는데, 이러한 1단위를 구성하는 풍량제어의 수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리듬풍에 이용하는 풍량으로서 3개의 풍량 F1, F2, F3을 예시하고 있는데, 리듬풍에 이용하는 풍량의 수나 풍량의 강약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풍량제어의 1단위를 15초 혹은 30초로서 예시하고 있는데, 이 단위초수를 증감하는 것은 자유이다.
도 25는, 도 24에 나타나는 리듬풍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모터(18)에 인가하는 전압을 나타내고 있다. 도 2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위시간(t1~t2, t2~t3, t3~t4, …)의 사이는 모터(18)에 인가하는 전압을 고정값(V2, V2, V3, …)으로 해도 된다. 혹은, 도 2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18)에 부하(負荷)하는 전압을 서서히 변화시키고, 풍량의 전환시의 모터(18)의 회전수를 완만하게 변화시켜도 된다. 모터(18)에 부하하는 전압을 서서히 변화시킨다면, 팬(17)에 가해지는 토크가 점차 증대하게 되어, 팬(17)의 공기저항에 의한 모터(18)의 부하가 경감된다. 또한, 모터(18)의 회전수, 즉, 팬(17)의 회전수를 서서히 변화시킨다면, 풍량의 전환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보다 자연풍에 근접하게 할 수 있고, 게다가 풍량이 전환될 때의 팬(17)의 소리를 경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50)가, 복수종류의 풍량강약과 단위초수를 (불규칙하게)조합한 복수개의 풍량제어를 구비한 리듬풍량 조절패턴을 반복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리듬모드에서는, 단순한 반복이 되지 않도록 약한 바람과 강한 바람을 전환하여, 동요의 효과를 일으켜, 자연풍에 근접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리듬풍을 제어하는 경우, 팬(17)을 구동하는 모터(18)의 전압값을 서서히 증가·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풍량의 전환을 완만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보다 자연풍에 근접하게 할 수 있고, 게다가 풍량이 전환될 때의 팬(17)의 소리를 경감할 수 있다.
[변형예]
도 26(a)는, 실시예 1에 따른 서큘레이터(1a)가 구비하는 풍로형성부재(60)의 단면도이고, 도 26(b)는, 변형예에 따른 서큘레이터가 구비하는 풍로형성부재(60c)의 단면도이다. 도 2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는, 핀(13)의 전후방향의 핀폭치수(W)는 어느 부분에 있어서도 대략 일정하다. 한편, 도 2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예에서는, 핀(13)의 전후방향의 핀폭치수(W)가 상이하여, 핀(13)의 외단부(13B)로부터 내단부(13A)를 향함에 따라 핀폭치수(W)가 점차 증대하고, 전부의 핀(13)의 후단위치를 송풍구(11)의 위치에 맞추고 있다. 즉, 그릴(12)을 이측으로부터 본 경우에 전부의 핀(13)의 높이위치가 평탄해지고 있다. 이러한 변형예에서도, 비교예에 비해 송풍방향(4)의 중앙으로 바람이 모이기 쉽다는 점은 실시예 1, 2와 마찬가지로 기대할 수 있다.
그 밖에, 그릴(12)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즉, 그릴(12)은, 복수의 핀(13)이 소용돌이상으로 마련되며, 복수의 핀(13)의 소용돌이의 중심부(O)에 가까운 내단부(13A)가, 송풍구(11)에 연속하는 외단부(13B)보다 송풍방향(4)으로 돌출되어 있으면 된다. 이 조건을 만족하는 그릴(12)을 채용하는 이상, 본 실시의 형태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그릴(12)을 측면에서부터 본 경우의 형상으로는, 만곡상 이외에, 2개 산이 있는 형상, 사다리형상, 중앙부만 패인 형상, 계단상, 이슬람사원의 모스크와 닮은 형상, 후지산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의 형태]
상기와 같이, 몇가지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기재하였으나,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대체실시의 형태, 실시예 및 운용기술이 명백해질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는, 여기서는 기재하고 있지 않은 다양한 실시의 형태 등을 포함한다.
1, 1a, 1b 서큘레이터
2 송풍부
3 대좌부(지지부)
4 송풍방향
11 송풍구
12 그릴
13 핀(도풍안내판)
13A 내단부
13B 외단부
13C 복수의 핀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
15 커버
15a 프론트커버
15b 리어커버
16 풍동부
19 확경통부
L1 돌출량
W 핀폭치수
O 소용돌이의 중심부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정면측에 송풍구를 가지며, 이 송풍구에 그릴이 마련된 송풍부를 구비하고,
    상기 그릴은, 복수의 도풍안내판이 소용돌이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도풍안내판의 각각은, 그 내단부와 외단부의 사이에서 상기 그릴이 3차원 형상을 형성하도록, 송풍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도풍안내판의 전후방향의 각 폭은, 상기 외단부로부터 상기 내단부로 증가하고 있는,
    서큘레이터.
  4. 정면측에 송풍구를 가지며, 이 송풍구에 그릴이 마련된 송풍부를 구비하고,
    상기 그릴은, 복수의 도풍안내판이 소용돌이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도풍안내판의 각각은, 그 내단부와 외단부의 사이에서 상기 그릴이 3차원 형상을 형성하도록, 송풍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고,
    상기 송풍부는, 해당 송풍부의 외면을 형성하는 커버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고,
    상기 커버와 상기 그릴이 연속한 구면(球面)을 형성하고 있는,
    서큘레이터.
KR1020227008171A 2017-09-29 2018-09-26 서큘레이터 KR1024950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91401 2017-09-29
JPJP-P-2017-191401 2017-09-29
JPJP-P-2018-026445 2018-02-16
JP2018026445A JP6363811B1 (ja) 2017-09-29 2018-02-16 サーキュレータ
PCT/JP2018/035578 WO2019065685A1 (ja) 2017-09-29 2018-09-26 送風機
KR1020217023404A KR102378135B1 (ko) 2017-09-29 2018-09-26 서큘레이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3404A Division KR102378135B1 (ko) 2017-09-29 2018-09-26 서큘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512A KR20220038512A (ko) 2022-03-28
KR102495036B1 true KR102495036B1 (ko) 2023-02-06

Family

ID=62976638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6362A KR102285658B1 (ko) 2017-09-29 2018-09-26 서큘레이터
KR1020207007294A KR102195764B1 (ko) 2017-09-29 2018-09-26 서큘레이터
KR1020227008171A KR102495036B1 (ko) 2017-09-29 2018-09-26 서큘레이터
KR1020217023404A KR102378135B1 (ko) 2017-09-29 2018-09-26 서큘레이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6362A KR102285658B1 (ko) 2017-09-29 2018-09-26 서큘레이터
KR1020207007294A KR102195764B1 (ko) 2017-09-29 2018-09-26 서큘레이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3404A KR102378135B1 (ko) 2017-09-29 2018-09-26 서큘레이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4) US10859287B2 (ko)
EP (2) EP4039982B1 (ko)
JP (8) JP6363811B1 (ko)
KR (4) KR102285658B1 (ko)
CN (2) CN113250984B (ko)
CA (1) CA3075731C (ko)
ES (1) ES2918125T3 (ko)
MX (1) MX2020003184A (ko)
TW (2) TWI787519B (ko)
WO (1) WO20190656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412B1 (ko) 2018-03-07 2020-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6960679B2 (ja) * 2018-04-23 2021-11-05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加湿器
TWD202149S (zh) * 2018-10-03 2020-01-11 日商愛麗思歐雅瑪股份有限公司 循環器
JP1640923S (ko) * 2018-10-03 2019-09-09
TWD202151S (zh) * 2018-10-04 2020-01-11 日商愛麗思歐雅瑪股份有限公司 循環器
JP6692100B2 (ja) * 2018-10-10 2020-05-13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送風機
CN111622992A (zh) * 2019-02-28 2020-09-04 施耐德电气It公司 风扇罩
JP1654102S (ko) * 2019-04-19 2020-03-02
JP1654101S (ko) * 2019-04-19 2020-03-02
JP7328850B2 (ja) * 2019-09-26 2023-08-17 シャープ株式会社 送風装置及び送風方法
KR102317240B1 (ko) * 2020-04-20 2021-10-26 주식회사 유니크테크노 서큘레이터 및 그 모션 제어 구현방법
JP6858433B2 (ja) * 2020-11-16 2021-04-14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送風機
CN112503030B (zh) * 2020-12-03 2023-04-25 泛仕达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降噪导流栅
CN112628179A (zh) * 2020-12-31 2021-04-0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送风装置
US20220282736A1 (en) * 2021-03-08 2022-09-08 Macroair Technologies, Inc. System and kit for attachment to a support structure of a control panel for a high-volume low speed fan
CN113775569B (zh) * 2021-09-26 2024-04-12 浙江银轮机械股份有限公司 风机机壳及风机
CN114087214A (zh) * 2021-11-03 2022-02-25 广州高标消防设备有限公司 一种轴流式消防排烟风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7324A (en) 1989-01-09 1990-05-22 Vornado Air Circulation Systems, Inc. Ducted fan
JP3174033B2 (ja) 1998-12-28 2001-06-11 株式会社エフアイテイ 回転円板式の物品供給装置
JP2001165088A (ja) 1999-12-13 2001-06-19 Sanki Printing Kk 扇風機
US7530783B1 (en) 2005-10-28 2009-05-12 Vornado Air Circulation Systems, Inc. Grill mounting and retaining assembly
US20110223016A1 (en) 2008-09-08 2011-09-15 Vornado Air, Llc Air circulator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00994A (en) * 1936-02-06 1937-11-30 Casco Products Corp Fan guard
FR2523696B1 (fr) * 1982-03-18 1988-03-04 Jeumont Schneider Procede pour le refroidissement d'un moteur entrainant une turbine determinant l'evacuation de fumees chaudes a l'extremite d'un conduit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JPS62133993U (ko) 1986-02-17 1987-08-24
US4856968A (en) * 1988-02-02 1989-08-15 Armbruster Joseph M Air circulation device
USD312124S (en) * 1988-11-23 1990-11-13 Vornado Air Circulation Systems, Inc. Fan
US5296769A (en) * 1992-01-24 1994-03-22 Electrolux Corporation Air guide assembly for an electric motor and methods of making
USD358639S (en) * 1993-09-30 1995-05-23 Duracraft Corporation Stand with electrical control unit for a portable fan
US5944487A (en) * 1996-08-09 1999-08-31 Hunter Fan Company Blade ring attachment system
USD413664S (en) * 1997-08-08 1999-09-07 Vornado Air Circulation Systems, Inc. Fan
TW438953B (en) * 1999-09-20 2001-06-07 Mitsubishi Electric Corp Blower, blower system and the blowing method of blower system
US6364618B1 (en) * 2000-02-03 2002-04-02 Lakewood Engineering & Mfg. Co. Fan body assembly
CN2782996Y (zh) * 2005-03-11 2006-05-24 谢森源 可调式进出气气泵
USD608437S1 (en) * 2007-07-20 2010-01-19 Vornado Air Circulation Systems, Inc. Fan
JP2010054084A (ja) 2008-08-26 2010-03-11 Twinbird Corp サーキュレータ
USD599463S1 (en) * 2008-10-09 2009-09-01 Israel Gary P Air circulator
USD605280S1 (en) * 2009-02-10 2009-12-01 Tiger Focus Trading Ltd. Circulator
USD621025S1 (en) * 2009-07-27 2010-08-03 Camair LLC Set of fan parts
USD621026S1 (en) * 2009-07-27 2010-08-03 Camair LLC Set of fan parts
JP2011122550A (ja) * 2009-12-14 2011-06-23 Toshiba Home Technology Corp 扇風機
CN101761499A (zh) * 2010-03-02 2010-06-30 美的集团有限公司 一种无刷直流风扇及其控制方法
CN102192164A (zh) * 2010-03-08 2011-09-21 艾美特电器(深圳)有限公司 一种音乐电风扇及其控制方法
CN102312843A (zh) * 2010-07-07 2012-01-11 南京工程学院 旋律驱动型电风扇
CN201916224U (zh) * 2011-01-07 2011-08-03 邝竞安 一种电风扇
JP5786440B2 (ja) * 2011-05-11 2015-09-30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扇風機
US10907843B2 (en) * 2011-11-18 2021-02-02 Broan-Nutone Llc Ventilating system and method
JP3174033U (ja) 2011-12-21 2012-03-01 明宙工業股▲ふん▼有限公司 扇風機のフロントカバー
FR2984971B1 (fr) * 2011-12-21 2019-08-23 Seb Sa Roue de ventilation centrifuge, ventilateur correspondant et appareil de cuisson incluant un tel ventilateur
CN102536864B (zh) * 2012-03-20 2015-11-18 开勒环境科技(上海)股份有限公司 一种大型吊式工业风扇
CN202612148U (zh) * 2012-05-29 2012-12-19 合一电器(深圳)有限公司 一种涡流风扇
JP5787841B2 (ja) * 2012-08-07 2015-09-30 三菱電機株式会社 送風機及び制御方法
USD688368S1 (en) * 2012-11-30 2013-08-20 Vornado Air, Llc Air circulator
JP6077897B2 (ja) * 2013-03-19 2017-02-08 シャープ株式会社 送風装置
DE102014111767A1 (de) * 2014-08-18 2016-02-18 Ebm-Papst Mulfingen Gmbh & Co. Kg Axialventilator
CN104265665A (zh) 2014-09-26 2015-01-07 广东又一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球形风扇
USD760370S1 (en) * 2014-10-27 2016-06-28 O2Cool, Llc Fan enclosure with spiral grilles
JP5702020B1 (ja) * 2014-11-04 2015-04-15 株式会社Cmc 扇風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6194275A (ja) * 2015-04-01 2016-11-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送風装置
CN204878014U (zh) * 2015-08-07 2015-12-16 林远波 一种风扇调速电路
CN205064330U (zh) * 2015-08-18 2016-03-02 艾美特电器(九江)有限公司 一种风扇摆头机构及风扇
CN206190559U (zh) 2016-08-28 2017-05-24 王慧欣 一种电风扇
CN106351860A (zh) * 2016-10-28 2017-01-25 桂林大创科技有限公司 一种家用风扇及其控制器
CN106837832B (zh) 2017-01-22 2019-03-22 佛山市顺德区新双岭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的便携式电风扇
CN206429441U (zh) 2017-02-07 2017-08-22 广东世联电器有限公司 一种可大角度调节的电风扇
US11541342B2 (en) * 2018-03-07 2023-01-03 Lg Electronics Inc.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7324A (en) 1989-01-09 1990-05-22 Vornado Air Circulation Systems, Inc. Ducted fan
JP3174033B2 (ja) 1998-12-28 2001-06-11 株式会社エフアイテイ 回転円板式の物品供給装置
JP2001165088A (ja) 1999-12-13 2001-06-19 Sanki Printing Kk 扇風機
US7530783B1 (en) 2005-10-28 2009-05-12 Vornado Air Circulation Systems, Inc. Grill mounting and retaining assembly
US20110223016A1 (en) 2008-09-08 2011-09-15 Vornado Air, Llc Air circu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75731C (en) 2020-10-06
US20200208871A1 (en) 2020-07-02
EP3690250B1 (en) 2022-05-11
JP7153411B2 (ja) 2022-10-14
EP4039982B1 (en) 2024-04-03
KR102195764B1 (ko) 2020-12-28
JP2019065837A (ja) 2019-04-25
US20210041132A1 (en) 2021-02-11
TWI787519B (zh) 2022-12-21
JP7148955B2 (ja) 2022-10-06
US10859287B2 (en) 2020-12-08
CA3075731A1 (en) 2019-04-04
MX2020003184A (es) 2021-10-27
JP2019065839A (ja) 2019-04-25
JP2020046172A (ja) 2020-03-26
JP2019065838A (ja) 2019-04-25
TWI665418B (zh) 2019-07-11
JP6660419B2 (ja) 2020-03-11
JP6775262B2 (ja) 2020-10-28
ES2918125T3 (es) 2022-07-13
KR20200033974A (ko) 2020-03-30
KR20200143526A (ko) 2020-12-23
US11402120B2 (en) 2022-08-02
JP2019065841A (ja) 2019-04-25
TW201920883A (zh) 2019-06-01
CN111094755B (zh) 2021-06-04
JP2019065840A (ja) 2019-04-25
US20220146143A1 (en) 2022-05-12
EP3690250A4 (en) 2021-06-16
CN113250984A (zh) 2021-08-13
JP2022179542A (ja) 2022-12-02
KR20220038512A (ko) 2022-03-28
CN113250984B (zh) 2023-12-19
WO2019065685A1 (ja) 2019-04-04
US20230272941A1 (en) 2023-08-31
KR102378135B1 (ko) 2022-03-24
CN111094755A (zh) 2020-05-01
KR102285658B1 (ko) 2021-08-04
JP6363811B1 (ja) 2018-07-25
TW201937115A (zh) 2019-09-16
EP3690250A1 (en) 2020-08-05
JP6666952B2 (ja) 2020-03-18
EP4039982A1 (en) 2022-08-10
US11686500B2 (en) 2023-06-27
JP2022132300A (ja) 2022-09-08
KR20210095236A (ko) 202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5036B1 (ko) 서큘레이터
JP6692100B2 (ja) 送風機
JP6799873B2 (ja) 送風機
JP6858433B2 (ja) 送風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