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1729A - 쌀의 가공 방법 - Google Patents

쌀의 가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1729A
KR20210121729A KR1020200038936A KR20200038936A KR20210121729A KR 20210121729 A KR20210121729 A KR 20210121729A KR 1020200038936 A KR1020200038936 A KR 1020200038936A KR 20200038936 A KR20200038936 A KR 20200038936A KR 20210121729 A KR20210121729 A KR 20210121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rice
mushroom
powdered
sau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진영
Original Assignee
방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진영 filed Critical 방진영
Priority to KR1020200038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1729A/ko
Publication of KR20210121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17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쌀의 가공 방법이 제공된다. 쌀과 분말 형태의 첨가물을 혼합하여 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열처리한 쌀과 첨가물의 혼합물을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쌀의 가공 방법{METHOD OF PROCESSING FOR RICE}
본 발명은 쌀의 가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분말 형태의 첨가물을 이용하여 맛, 향, 색상과 기능성이 차별화된 쌀을 저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쌀의 가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쌀은 오랜 기간 우리의 주식으로 이용되고 있는 소중한 곡식이다.
하지만 비만이 증가하면서 탄수화물을 기피하는 현상에 따라 그 소비가 현저히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쌀의 소비를 증대시키려면 쌀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유도하고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시킬 수 있는 대안이 필요하다.
현재 다양한 종류의 칼라쌀과 기능성 쌀 등이 출시되고 있지만 매우 높은 가격에 판매되고 있어 누구나 부담없이 소비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쌀에 비해 맛, 향, 색상과 기능성이 차별화된 쌀을 대중화가 가능하도록 저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쌀의 가공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쌀과 분말 형태의 첨가물을 혼합하여 열처리한 다음, 상기 열처리한 쌀과 첨가물의 혼합물을 포장하여 쌀을 생산함으로써, 일반적인 쌀에 비해 맛, 향, 색상과 기능성이 차별화된 쌀을 저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쌀의 가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위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언급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쌀의 가공 방법은, 쌀과 분말 형태의 첨가물을 혼합하여 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열처리한 쌀과 첨가물의 혼합물을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쌀과 분말 형태의 첨가물을 혼합하여 열처리한 다음, 상기 열처리한 쌀과 첨가물의 혼합물을 포장하여 쌀을 생산함으로써, 일반적인 쌀에 비해 맛, 향, 색상과 기능성이 차별화된 쌀을 저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쌀의 가공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를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쌀의 가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쌀의 가공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이 도시된다
먼저, 쌀과 분말 형태의 첨가물을 혼합하여 열처리하는 단계(S100)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쌀은, 백미, 현미, 찹쌀, 보리쌀, 좁쌀, 기장쌀, 귀리쌀, 밀쌀, 메밀쌀, 수수쌀, 호밀쌀, 율무쌀, 인조쌀 등 모든 종류의 쌀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쌀과 혼합하는 분말 형태의 첨가물은, 다양한 종류의 식용 재료(장류, 육수류, 향신료류, 양념류, 유제품류, 축산물류, 수산물류, 소스류, 드레싱류, 기름류, 버섯류, 과일류, 채소류, 나물류, 허브류, 식용꽃류, 차(茶)류, 곡류 등)와 한약재로 이용되는 약재류를 분말화한 가루 형태의 첨가물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분말 형태의 첨가물은, 한 종류씩 또는 여러 종류를 혼합하여 쌀과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쌀과 분말 형태의 첨가물을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혼합기나 교반기 등을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혼합이 이루어질 때까지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쌀과 분말 형태의 첨가물을 혼합하는 과정에서, 쌀이 손상되지 않도록 유의하면서 서서히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쌀과 분말 형태의 첨가물을 혼합한 후에, 쌀과 혼합한 첨가물의 맛과 향과 색상과 유용 성분 등이 쌀에 충분히 흡수되도록 열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혼합한 쌀과 첨가물의 혼합물을 온도 조절이 가능한 발효기나 건조기, 찜기, 보온고 등을 이용하여 열처리할 수 있다.
상기 혼합한 쌀과 첨가물의 혼합물을 일정한 온도에서 한 번에 열처리하거나 온도의 높낮이를 조절하면서 수차례에 걸쳐 열처리할 수 있다.
상기 혼합한 쌀과 첨가물의 혼합물을 훈연 방식으로 열처리할 수도 있다.
상기 쌀과 분말 형태의 첨가물을 온도 조절이 가능한 회전 드럼 형태의 기계를 이용하여 혼합과 열처리를 병행할 수도 있다.
상기 쌀과 첨가물의 유용 성분이 파괴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30℃ 이상 80℃ 이하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체 실험에서, 상기 쌀과 분말 형태의 첨가물이 모두 건조된 재료이지만 열처리 과정을 거치면서 첨가물의 맛과 향과 색상이 쌀에 충분히 흡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 단순하게 쌀과 분말 형태의 첨가물만 혼합하여 열처리하면 가공이 완료되므로, 일반적인 쌀에 비해 맛, 향, 색상과 기능성이 차별화된 쌀을 저비용으로 생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마지막으로, 상기 열처리한 쌀과 첨가물의 혼합물을 포장하는 단계(S200)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한 쌀과 첨가물의 혼합물을 후속 과정을 거치지 않고 그대로 포장하여 상품화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한 쌀과 첨가물의 혼합물을 그대로 포장하여 상품화함으로써, 가공 과정에서 후속 과정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소비 과정에서 물로 세척하지 않고 그대로 밥을 지어 쌀과 첨가물의 모든 유용 성분을 섭취할 수 있는 이점(利點)도 있다.
단, 상기 쌀과 혼합하는 분말 형태의 첨가물 중에서 그대로 섭취하기에 불편한 첨가물의 경우에는, 상기 열처리한 쌀과 첨가물의 혼합물을 체가름하여 분말 형태의 첨가물을 제거하고 쌀만 포장하여 상품화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쌀과 분말 형태의 첨가물을 혼합하여 열처리한 다음, 상기 열처리한 쌀과 첨가물의 혼합물을 포장하여 쌀을 생산함으로써, 일반적인 쌀에 비해 맛, 향, 색상과 기능성이 차별화된 쌀을 저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3)

  1. 쌀과 분말 형태의 첨가물을 혼합하여 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열처리한 쌀과 첨가물의 혼합물을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쌀의 가공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쌀과 분말 형태의 첨가물을 혼합하여 열처리하는 단계에서, 상기 분말 형태의 첨가물은, 분말화한 장류(간장, 고추장, 된장, 막장, 청국장, 미소 된장, 두반장 등)와 분말화한 육수류(다시마육수, 채소육수, 소고기육수, 닭고기육수, 가쓰오육수 등)와 분말화한 향신료류(겨자, 계피, 레몬, 몰약, 바닐라, 봉출, 사프란, 숨마끄, 생강, 아니스, 아위, 올스파이슨, 울금, 월계수, 육두구, 정향, 초과, 초피, 카다멈, 카피르라임, 캐러웨이, 커리, 쿠민, 큐베브, 타마린드, 팔각, 필발, 호로파, 산초, 회향, 후추 등)와 분말화한 양념류(소금, 설탕, 꿀, 청, 시즈닝, 치킨스톡 등)와 분말화한 유제품류(분유, 연유, 버터, 치즈 등)와 분말화한 축산물류(달걀, 육류 등)와 분말화한 수산물류(김, 미역, 다시마, 어류, 연체류, 갑각류, 조개류 등)와 분말화한 소스류(우스터 소스, 포크커틀릿 소스, 멸치 소스, 칠리 소스, 타바스코 소스 등 식탁용 소스와 조리용 소스로 기본 소스인 벨루테 소스, 아몬드 소스, 슈프림 소스, 베샤멜 소스, 토마토 소스, 에스파뇰 소스 및 와인과 향신료를 첨가한 응용 소스, 그레이비 소스, 마요네즈 소스, 크림 소스, 안초비 소스 등)와 분말화한 드레싱류(유화형 드레싱, 분리액상 드레싱, 마요네즈 드레싱, 샐러드 드레싱, 프렌치 드레싱 등)와 분말화한 기름류(참기름, 들기름, 올리브유, 카놀라유, 현미유, 호박씨유, 해바라기씨유, 포도씨유, 콩기름, 옥수수유, 땅콩기름, 고추기름, 코코넛 오일, 아보카도 오일 등)와 분말화한 버섯류(송이버섯,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팽이버섯, 능이버섯, 양송이버섯, 싸리버섯, 노루궁뎅이버섯, 동충하초버섯, 목이버섯, 영지버섯, 상황버섯, 갓버섯, 외꽃버섯, 밤버섯, 잣버섯, 뽕나무버섯, 개암버섯, 애기버섯, 부채버섯, 주름버섯, 덕다리버섯, 노랑망태버섯, 곰보버섯 등)와 분말화한 과일류(사과, 배, 비파, 모과와 같은 인과류(仁果類)와 유자, 자몽, 오렌지, 감, 감귤과 같은 준인과류(準仁果類), 자두, 복숭아, 체리, 살구, 대추야자와 같은 핵과류(核果類), 딸기, 포도, 앵두, 구스베리, 블루베리, 빌베리, 레드워틀베리, 라즈베리, 블랙베리와 같은 장과류(漿果類), 은행, 파스타치오, 잣, 아몬드, 개암, 호두, 밤, 너트, 코코넛과 같은 견과류(堅果類) 등)와 분말화한 채소류(상추, 시금치, 마늘, 아스파라거스, 죽순과 같은 경엽채류(莖葉菜類)와 무, 당근, 순무, 우엉, 고구마, 마, 연근, 감자, 생강과 같은 근채류(根菜類), 오이, 호박, 참외, 고추, 토마토, 옥수수, 피망, 파프리카, 가지, 완두콩, 강낭콩과 같은 과채류(果菜類) 및 고수, 바질, 깻잎과 같은 향채소 등)와 분말화한 나물류(냉이, 씀바귀, 달래, 달맞이꽃, 망초, 명아주, 민들레, 비름(비듬나물), 색비름, 비짜루, 방울비짜루, 천문동, 왕고들빼기, 종지나물, 취나물, 옻순, 두릅, 도라지, 죽순, 쇠비름, 쑥, 유채, 합대나물, 가죽나물, 돌나물, 퉁퉁마디, 무청(시래기), 우거지, 콩잎, 고구마 줄기, 토란대, 마늘쫑, 호박잎, 고사리, 콩나물, 숙주나물, 미나리 등)와 분말화한 허브류(라벤더, 레몬밤, 로즈메리, 마조람, 민트,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베르가모트, 보리지, 세이보리, 세이지, 스위트바질, 안젤리카, 오레가노, 캐모마일, 코리안더, 콘플라워, 타라곤, 타임, 포트마리골드, 펜넬, 히솝, 시나몬, 로즈, 재스민, 하이비스커스, 레몬그래스, 로즈힙 등)와 분말화한 식용꽃류(매화, 국화, 아카시아꽃, 동백꽃, 살구꽃, 복숭아꽃, 베고니아, 팬지, 장미, 진달래, 유채꽃, 제라늄, 당아욱, 냉이꽃, 머위꽃, 메리골드, 메밀꽃, 금목서, 은목서, 찔레꽃, 카모마일, 한련화, 히비스커스, 히솝, 연꽃, 물망초, 제비꽃 등)와 분말화한 차류(결명자차, 구기자차, 귤차, 대추차, 들깨차, 매실차, 모과차, 밤차, 보리차, 산사차, 살구차, 연자차, 오디차, 오미자차, 옥수수차, 유자차, 율무차, 은행차, 포도차, 현미차, 호두차, 회향차 등의 열매차류와 감잎차, 국화차, 녹차, 두충차, 비파차, 삼백초차, 솔잎차, 쑥차, 오가차, 으름차, 인동차, 진달래차, 초피차 등의 잎차류 및 당귀차, 도라지차, 둥굴레차, 마차, 맥문동차, 생강차, 인삼차, 칡차 등의 뿌리차류 그리고, 감초차, 계피차, 느릅차, 두릅차 등의 껍질차류와 다시마차, 민들레차, 석곡차, 영지차, 음양곽차, 표고버섯차, 화살차 등 식물 전체를 원료로 한 차류 및 국화차, 벚꽃차 등의 꽃잎차류와 커피, 카카오 등)와 분말화한 곡류(쌀, 보리, 밀, 호밀, 메밀, 옥수수, 수수, 귀리, 조, 피, 율무, 기장, 콩, 팥, 깨, 녹두, 땅콩, 아몬드, 개암, 잣, 커피콩, 카카오콩, 병아리콩, 렌틸콩, 카카오닙스, 아마란스, 퀴노아 및 다양한 종류의 씨드 등)와 상기 곡물을 도정할 때 부산물로 발생하는 겨와 분말화한 약재류(삼백피, 후박, 두충, 오가피, 황백, 목단피, 지골피, 백선피, 진피 등의 나무껍질류와 구등, 석곡, 단향, 쇄양, 등심초, 육종용, 목통, 죽녀, 소목, 침향 등의 등나무류 및 강황, 패모, 현호색, 강활, 향부자, 옥죽, 고량강, 현삼릉, 우절, 대황, 황련, 지모, 모근, 황정, 창출, 반하, 산약, 천궁, 백급, 생강, 천남성, 백출, 석창포, 천마, 백합, 승마, 택사, 아출 등의 뿌리류 그리고, 담죽엽, 비파엽, 애엽, 측백엽, 상엽, 자소엽 등의 뿌리줄기류와 계관화, 금은화, 선복화, 관동화, 밀몽화, 신이, 괴화, 번홍화, 원화, 국화, 하고초, 정향, 정향, 홍화, 포황 등의 잎사귀류와 곽향, 형개, 음양곽, 마황, 박하, 인진호 등의 꽃잎류 및 노회, 유향, 송향, 몰식자, 오배자, 신국, 몰약, 안식향, 아위, 아다 등의 열매류 그리고, 귀판, 웅담, 석결명, 녹용, 해구신, 섬수, 망충, 호골, 아교, 모려, 사향, 영양각, 반모, 서각, 용연향, 백강잠, 별갑, 우황 등의 종자류와 갈근, 고삼, 파극천, 괄루근, 시호, 현삼, 길경, 단삼, 홍아대극, 당귀, 우슬, 황기, 울금, 원지, 인삼, 자근, 목향, 자원, 적작, 백미, 전호, 지유, 백작, 지황, 진교, 산두근, 방풍, 천문동, 서양삼, 백부, 초오두, 속단, 백지, 하수오, 오약, 삼칠, 홍삼, 당삼, 세신, 황금, 맥문동, 광방이, 용담 등의 전초류 및 가자, 백질려, 대복피, 괄루, 복분자, 대추, 괴각, 사군자, 마두령, 구기자, 사상자, 만형자, 귤피, 산사자, 맥아, 목과, 산수유, 오미자, 백두구, 산치자, 오수유, 팔각회향, 석련자, 용안육, 필발, 시제, 우방자, 호초, 여정자, 익지인, 화초, 연교, 자소자, 회향, 오매, 창이자, 충위자, 천련자 등 수지류 및 기타류 그리고, 가채자, 마전자, 피마자, 겨자, 목별자, 빈랑자, 검실, 백과, 산조인, 견우자, 백편두, 송자인, 결명자, 보골지, 아마인, 담두시, 축사, 육두구, 대풍자, 파두, 의이인, 도인, 토사자, 차전자, 동과자, 행인, 천금자, 마자인, 호로파, 호마자 등의 동물류와 노감석, 주사, 용골, 대자석, 활석, 우여량, 망초, 석고, 적석지, 명반 등의 광물류 및 뇌환, 복령, 동충하초, 저령, 해인초 등의 은화식물류 등)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의 가공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쌀과 분말 형태의 첨가물을 혼합하여 열처리하는 단계에서, 상기 쌀과 분말 형태의 첨가물을 혼합한 후에 30℃ 이상 80℃ 이하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의 가공 방법.
KR1020200038936A 2020-03-31 2020-03-31 쌀의 가공 방법 KR202101217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936A KR20210121729A (ko) 2020-03-31 2020-03-31 쌀의 가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936A KR20210121729A (ko) 2020-03-31 2020-03-31 쌀의 가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729A true KR20210121729A (ko) 2021-10-08

Family

ID=78610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936A KR20210121729A (ko) 2020-03-31 2020-03-31 쌀의 가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17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7406B1 (ko) * 2022-04-19 2023-06-26 주식회사 미풍 표고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가래떡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7406B1 (ko) * 2022-04-19 2023-06-26 주식회사 미풍 표고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가래떡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86596A (ko) 현미의 가공 방법
KR20180122903A (ko) 잼 제조 방법
CN103932294A (zh) 一种松露花生酱及其制备方法
KR20200051229A (ko) 커피 생두의 가공 방법
KR20210121729A (ko) 쌀의 가공 방법
KR20210055115A (ko) 쌀의 가공 방법
KR20200072267A (ko) 어탕육수 제조방법 및 어탕육수
KR20210092099A (ko) 쌀의 가공 방법
KR20210135891A (ko) 쌀의 가공 방법
CN103584004A (zh) 一种美味酱豌豆及其制备方法
KR101675571B1 (ko) 친환경 유기농산물을 이용한 토핑과 한약재 소스를 포함하는 비빔밥 제조방법
KR20200144923A (ko) 커피 가공 방법
KR20210025441A (ko) 커피 가공 방법
JP2018014971A (ja) パスタソー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20131564A (ko) 쌀차의 가공 방법
JP2022073038A (ja) カレーソー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99846B1 (ko) 전처리된 들기름을 이용한 소스 제조방법
KR20200120851A (ko) 곡물 가공 방법
KR20220144994A (ko) 고추씨차의 가공 방법
KR20200087042A (ko) 현미의 가공 방법
CN108523047A (zh) 一种脱水胡萝卜的加工方法
CN103584029A (zh) 一种美味酱青椒及其制备方法
CN104026594A (zh) 一种营养兔肉及其制备方法
KR20210033707A (ko) 벼의 가공 방법
RU2455847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нсервов "солянка овощная с соей из квашеной капуст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