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0366A - 코일 텔레스코프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코일 텔레스코프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0366A
KR20210120366A KR1020200036982A KR20200036982A KR20210120366A KR 20210120366 A KR20210120366 A KR 20210120366A KR 1020200036982 A KR1020200036982 A KR 1020200036982A KR 20200036982 A KR20200036982 A KR 20200036982A KR 20210120366 A KR20210120366 A KR 20210120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frame
straightening
cylindrical coi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4193B1 (ko
Inventor
오원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기성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기성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기성이엔지
Priority to KR1020200036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193B1/ko
Publication of KR20210120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6Special arrangements with regard to simultaneous or subsequent treatment of the material
    • B21C47/262Treatment of a wire, while in the form of overlapping non-concentric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8Drums or other coil-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aightening Metal Sheet-Like Bodies (AREA)

Abstract

코일을 권취 시 코일의 내권부에서 형성되는 텔레스코프를 교정하는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텔레스코프 교정장치는 원통형 코일의 중심축방향 일측에 위치되며, 원통형 코일의 중심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원통형 코일의 중심축방향 양단면 중 일측면을 가압하는 제1 교정면을 갖는 제1 유닛과, 원통형 코일의 중심축방향 타측에 위치되며, 원통형 코일의 중심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원통형 코일의 타측면을 가압하는 제2 교정면을 갖는 제2 유닛과, 제1 유닛과 제2 유닛을 상호 근접되게 상대이동시켜 원통형 코일의 양측면에 형성된 텔레스코프가 제1 교정면과 제2 교정면에 의해 가압되어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가압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코일 텔레스코프 교정장치{Apparatus for correcting telescope of coil}
본 발명은 코일 텔레스코프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일을 권취 시 코일의 내권부에서 형성되는 텔레스코프를 교정하는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장에서 압연공정 과정으로 생산된 소재를 권취기에서 감아내어 코일을 생산한다. 권취 과정을 마친 코일은 두루마기 화장지처럼 중앙부가 원형으로 뚫린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게 되는데, 이와 같이 권취하는 과정에서 인입되는 스트립이 정확히 안내되지 못하거나, 처음에는 정확하게 안내되었다가 나중에 스트립 안내의 중심이 약간 달라질 경우, 감겨진 스트립의 양끝 단면이 조금 튀어나오거나 약간 들어감으로써 단면이 고르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을 '텔레스코프(Telescope)' 라고 부른다.
코일에 텔레스코프가 형성되어 있을 경우, 코일의 포장 또는 운송 과정에서 텔레스코프 부분의 찍힘 또는 찌그러짐에 의해 코일의 상품성이 저하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5-0016913호에 개시된 압연코일의 텔레스코프 교정장치는 리프터의 상단에 압연코일을 착설하며, 압연코일의 상부에 일정무게가 장착되어 압연코일에 발생된 텔레스코프를 교정하는 장치를 제공하여 무게를 이용하여 코일에 형성된 텔레스코프를 교정한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6-0000334호에 개시된 열연코일의 텔레스코프(Telescope) 교정방법 및 교정장치는 지지프레임에 장착되어 하부로 회전축을 위치시킨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후단부가 연결되어 정, 역 회전 가능하고, 작동로드가 하부로 향하도록 위치되며, 유압구동장차에 의해서 상기 작동로드를 상, 하 승강시키도록 유압실린더 및 유압실린더의 작동로드에 연결되고, 원형의 보강판을 갖추며, 보강판으로부터 가이드부재가 상부로 연장되어 작동로드를 직선운동으로 안내하는 한편, 상기 보강판의 하부면에는 텔레스코프 부분에 접촉하는 누름판을 갖춘 텔레스코프 압입부를 제공하여 유압실린더의 압력을 이용하여 코일에 형성된 텔레스코프를 교정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코일의 텔레스코프 교정작업을 위해 코일을 교정장치로 이송해야 한다. 또한, 텔레스코프가 형성된 면이 상부를 향하게 코일을 위치시킨 후 누름판 등으로 상부에서 코일을 눌러 교정하므로, 텔레스코프 교정작업 후 코일을 포장하기 위하여 코일의 양단면이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자세를 변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5-001691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6-000033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통형 코일의 중심축방향 양단면이 지면과 수직인 상태에서 코일을 교정장치로 이송하는 등의 위치변화 없이 코일 텔레스코프 교정장치를 코일의 중심축 방향 양측으로 이동시켜, 원통형 코일의 중심축방향 양단면의 내권부에 형성된 텔레스코프를 교정하는 코일 텔레스코프 교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일의 감긴 양에 따라 코일에 형성된 텔레스코프의 높이가 달라질 수 있으며, 텔레스코프의 높이에 따라 교정장치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 코일 텔레스코프 교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일 텔레스코프 교정장치는 원통형 코일의 중심축방향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원통형 코일의 중심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원통형 코일의 중심축방향 양단면 중 일측면을 가압하는 제1 교정면을 갖는 제1 유닛과; 상기 원통형 코일의 중심축방향 타측에 위치되며, 상기 원통형 코일의 중심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원통형 코일의 타측면을 가압하는 제2 교정면을 갖는 제2 유닛과;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을 상호 근접되게 상대이동시켜 상기 원통형 코일의 양측면에 형성된 텔레스코프가 상기 제1 교정면과 상기 제2 교정면에 의해 가압되어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가압유닛;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 유닛은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서 상기 원통형 코일의 일측면을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제1 교정면을 형성하는 제1 교정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유닛은 제2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에서 상기 원통형 코일의 타측면을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제2 교정면을 형성하는 제2 교정판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부에는 각각 상기 원통형 코일의 중심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바퀴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 제2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제2 교정판을 상기 원통형 코일의 중심축방향에 수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제1 교정판을 승강시키는 제1 승강수단과, 상기 제2 교정판을 승강시키는 제2 승강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교정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바퀴가 설치되어 수평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다리부재와, 상기 제1 다리부재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제1 수직연장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교정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바퀴가 설치되어 수평으로 이동 가능한 제2 다리부재와, 상기 제2 다리부재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제2 수직연장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승강수단은 상기 제1 교정판이 상기 제1 수직연장부재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제1 고정링크와, 상기 제1 고정링크가 연결되는 제1 승강프레임과, 상기 제1 승강프레임에서 상기 제1 수직연장부재로 돌출되며, 상기 제1 승강프레임이 상기 제1 수직연장부재의 돌출방향을 따라 승강 되도록 상기 제1 승강프레임을 가이드하는 제1 슬라이딩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승강수단은 상기 제2 교정판이 상기 제2 수직연장부재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제2 고정링크와, 상기 제2 고정링크가 연결되는 제2 승강프레임과, 상기 제2 승강프레임에서 상기 제2 수직연장부재로 돌출되며, 상기 제2 승강프레임이 상기 제2 수직연장부재의 돌출방향을 따라 승강 되도록 상기 제2 승강프레임을 가이드하는 제2 슬라이딩가이드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가압유닛은 코일의 중심축방향으로 설치되며 길이방향 양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제2 교정판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 양단부의 나사산에 체결되며, 상기 제1 교정판과 상기 제2 교정판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교정판과 상기 제2 교정판을 근접되게 이동시키는 적어도 2개의 조절너트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 교정판에는 상기 제1 교정판을 관통하여 형성되되 상기 제1 교정판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형성되며,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교정판의 중심과의 거리가 상기 원통형 코일의 중공부의 반경보다 작은 다수의 제1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교정판에 형성된 상기 제1 삽입공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제2 교정판에는 제2 삽입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는 다수가 각각 상기 제1 삽입공 및 상기 제1 삽입공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제2 삽입공을 통과하여 설치되어있으며,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다수의 샤프트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상기 원통형 코일의 중공부 안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원통형 코일 중공부의 직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샤프트지지판재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코일 텔레스코프 교정장치는 원통형의 코일 중심축방향 양단면을 교정판으로 눌러 코일에 형성된 텔레스코프를 교정한다.
또한, 제1 유닛과 제2 유닛의 하부에 복수 개의 바퀴가 설치되에 제1 유닛과 제2 유닛은 각각 이동 가능하여 코일을 이동시키지 않고 코일에 형성된 텔레스코프를 교정할 수 있다.
또한, 코일의 크기에 따라 코일에 형성된 중공부의 높이가 다르며, 중공부의 높이에 맞게 제1, 제2 교정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 텔레스코프 교정장치의 구성을 타나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코일 텔레스코프 교정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코일 텔레스코프 교정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코일 텔레스코프 교정장치가 코일에 설치되기 전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코일 텔레스코프 교정장치가 코일의 텔레스코프를 교정한 것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코일 텔레스코프 교정장치가 코일의 텔레스코프를 교정한 후 해제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코일 텔레스코프 교정장치의 승강수단을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코일 텔레스코프 교정장치가 코일의 크기에 따라 승강수단이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1의 코일 텔레스코프 교정장치가 코일의 크기에 따라 승강수단이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코일 텔레스코프 교정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 텔레스코프 교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 텔레스코프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코일 텔레스코프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 텔레스코프 교정장치(1)는 원통형 코일(C)의 중심축방향 일측에 위치되며, 원통형 코일(C)의 중심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원통형 코일(C)의 중심축방향 양단면 중 일측면을 가압하는 제1 교정면(121)을 갖는 제1 유닛(10)과, 원통형 코일(C)의 중심축방향 타측에 위치되며, 원통형 코일(C)의 중심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원통형 코일(C)의 중심축방향 양단면 중 타측면을 가압하는 제2 교정면(221)을 갖는 제2 유닛(20)과, 제1 유닛(10)과 제2 유닛(20)을 상호 근접되게 상대이동시켜 원통형 코일(C)의 양측면에 형성된 텔레스코프(C')가 제1 교정면(121)과 제2 교정면(221)에 의해 가압되어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가압유닛(30)과, 후술하는 제1, 제2 교정판(12)(22)을 원통형 코일(C)의 중심축방향에 수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40)과, 승강수단(40)을 승강 또는 하강 시키는 동력공급수단(60)을 구비한다.
제1 유닛(10)은 제1 프레임(11)과, 제1 교정면(121)을 형성하는 제1 교정판(12)을 구비한다.
제1 프레임(11)은 제1 교정면(121)에 수직으로 형성된 제1 다리부재(111)와, 제1 다리부재(111)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제1 수직연장부재(112)와, 제1 프레임(11)이 원통형 코일(C)의 중심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바퀴가 구비된다.
제1 다리부재(111)는 바닥면과 평행하며, 제1 다리부재(111)에는 다수의 바퀴가 설치되어 바닥면에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1 다리부재(111)는 제1 메인다리부재(111a)와 제1 서브다리부재(111b)를 구비한다.
제1 메인다리부재(111a)는 제1 수직연장부재(112)를 지지한다. 제1 메인다리부재(111a)는 하나의 제1 직선프레임(111x) 및 제1 직선 프레임(111x)의 양단에서 제1 직선프레임(111x)에 수직으로 돌출되고 바닥면과 평행한 한 쌍의 제1 수평프레임(111y)을 구비한다. 제1 메인다리부재(111a)는 'ㄷ' 형상을 한다. 한 쌍의 제1 수평프레임(111y)의 돌출방향 단부에는 바퀴가 설치되어 이동 가능하다.
제1 서브다리부재(111b)는 제1 수직연장부재(112)에서 돌출된다. 제1 서브다리부재(111b)의 하부에 설치된 바퀴는 제1 서브다리부재(111b)에 설치된 면의 수직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 다리부재(111)는 제1 서브다리부재(111b)에 의해 바닥면에 수평으로 이동할 시 방향전환이 가능하다.
제1 수직연장부재(112)는 제1 다리부재(111)에서 수직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된다. 제1 수직연장부재(112)는 제1 직선프레임(111x)에서 수직 상방향으로 돌출되며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수직프레임(112a)과, 한 쌍의 제1 수직프레임(112a)을 연결하는 다수의 제1 보강프레임(112b)을 구비한다.
제1 수직프레임(112a)은 일측이 개방된 사각관 형상이며 한 쌍의 제1 수직프레임(112a)은 각각 개방된 측이 서로 마주본다.
제1 보강프레임(112b)은 제1 수직프레임(112a)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치되며, 한 쌍의 제1 수직프레임(112a)을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제1 교정판(12)은 제1 수직연장부재(112)에서 원통형 코일(C)을 향하여 돌출되어 설치된다. 제1 교정판(12)에는 다수의 제1 삽입공(122)이 형성된다. 제1 삽입공(122)은 제1 교정판(12)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형성되며,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제1 삽입공(122)과 제1 교정판(12)의 중심과의 거리는 원통형 코일(C)의 중공부의 반경보다 작다. 따라서 후술하는 샤프트(31)가 다수의 제1 삽입공(122)중 일부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었을 때, 다수의 샤프트(31)가 코일(C)의 중공부를 통과될 수 있다.
제1 교정면(121)은 제1 교정판(12)에 형성되며, 제1 교정판(12)이 원통형 코일(C)에 접촉될 시 제1 교정판(12) 중 원통형 코일(C)과 접촉한다. 제1 교정면(121)은 원통형 코일(C)의 중심축방향 양단면 중 일측면을 가압한다.
제2 유닛(20)은 제2 프레임(21)과, 제2 교정면(221)을 형성하는 제2 교정판(22)을 구비한다.
제2 프레임(21)은 제2 교정면(221)에 수직으로 형성된 제2 다리부재(211)와, 제2 다리부재(211)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제2 수직연장부재(212)와, 제2 프레임(21)이 원통형 코일(C)의 중심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바퀴가 구비된다.
제2 다리부재(211)는 바닥면과 평행하며, 제2 다리부재(211)에는 다수의 바퀴가 설치되어 바닥면에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2 다리부재(211)는 제2 메인다리부재(211a)와 제2 서브다리부재(211b)를 구비한다.
제2 메인다리부재(211a)는 제2 수직연장부재(212)를 지지한다. 제2 메인다리부재(211a)는 하나의 제2 직선프레임(211x) 및 제2 직선 프레임(211x)의 양단에서 제2 직선프레임(211x)에 수직으로 돌출되며 바닥면과 평행한 한 쌍의 제2 수평프레임(211y)을 구비한다. 제2 메인다리부재(211a)는 'ㄷ' 형상을 한다. 한 쌍의 제2 수평프레임(211y)의 돌출방향 단부에는 바퀴가 설치되어 이동 가능하다. 제2 수평프레임(211y) 사이의 간격은 한 쌍의 제1 수평프레임(111y) 사이의 간격보다 넓어 제1 유닛(10)과 제2 유닛(20)을 상호 근접되게 이동 시 제2 메인다리부재(211a)는 제1 메인다리부재(111a)와 간섭되지 않는다.
제2 서브다리부재(211b)는 제2 수직연장부재(212)에서 돌출된다. 제2 서브다리부재(211b)의 하부에 설치된 바퀴는 제2 서브다리부재(211b)에 설치된 면의 수직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 다리부재(211)는 제2 서브다리부재(211b)에 의해 바닥면에 수평으로 이동할 시 방향전환이 가능하다.
제2 수직연장부재(212)는 제2 다리부재(211)에서 수직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된다. 제2 수직연장부재(212)는 제2 직선프레임(211x)에서 수직 상방향으로 돌출되며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수직프레임(212a)과, 한 쌍의 제2 수직프레임(212a)을 연결하는 다수의 제2 보강프레임(212b)을 구비한다.
제2 수직프레임(212a)은 일측이 개방된 사각관 형상이며 한 쌍의 제1 수직프레임(212a)은 각각 개방된 측이 서로 마주본다.
제2 보강프레임(212b)은 제2 수직프레임(212a)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며, 한 쌍의 제2 수직프레임(212a)을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제2 교정판(22)은 제2 수직연장부재(212)에서 원통형 코일(C)을 향하여 돌출되어 설치된다. 제2 교정판(22)에는 제1 교정판(12)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삽입공(222)이 형성된다.
제2 교정면(221)은 제2 교정판(22)에 형성되며, 제2 교정판(22)이 원통형 코일(C)에 접촉될 시 제2 교정판(22) 중 원통형 코일(C)과 접촉한다. 제2 교정면(221)은 원통형 코일(C)의 중심축방향 타측면을 가압한다.
가압유닛(30)은 제1 유닛(10)과 제2 유닛(20)을 상호 근접되게 상대이동시켜 원통형 코일(C)의 양측면에 형성된 텔레스코프(C')가 제1 교정면(121)과 제2 교정면(221)에 의해 가압 되어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
가압유닛(30)은 제1 교정판(12)와 제2 교정판(22)을 관통하는 샤프트(31)와, 샤프트(31)의 양단에 체결되는 조절너트(32)와, 복수 개의 샤프트(31)의 처짐을 방지하는 샤프트지지판재(33)를 구비한다.
샤프트(31)는 코일의 중심축방향으로 설치되며, 샤프트(31)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조절너트(32)는 샤프트의 양단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된다. 조절너트(32)는 제1 교정판(12)과 제2 교정판(22)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다. 조절너트(32)는 제1 교정판(12)과 제2 교정판(22)을 근접되게 이동시킨다.
복수 개의 샤프트(31)는 샤프트지지판재(33)를 동일한 간격으로 관통한다. 샤프트지지판재(33)는 복수 개의 샤프트(31)를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며, 샤프트(31)의 처짐을 방지한다.
샤프트(31)는 일측이 제1 교정판(12)에 조절너트(32)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이 제2 교정판(22)에 형성된 제2 삽입공(222)에 인입된다. 제2 교정판(22)에 근접한 조절너트(3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절너트(32)는 샤프트(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교정판(12)을 향하여 이동한다. 조절너트(32)가 제1 교정판(12)을 향하여 이동할 때, 조절너트(32)가 제2 교정판(22)을 샤프트(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교정판(12)을 향하여 이동시킨다.
도 4 내지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샤프트(31)는 일측이 제1 교정판(12)에 설치되어 조절너트(32)에 의해 고정된다. 샤프트(31)는 원통형 코일(C)의 중공부를 통과하여 제2 삽입공(222)에 인입된다. 제2 교정판(22)에 근접한 조절너트(3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교정판(12)과 제2 교정판(22)은 상호 근접하게 상대이동된다. 제1 교정판(12)과 제2 교정판(22) 사이에 위치하는 원통형 코일(C)에 근접하게 되며, 제2 교정판(22)이 텔레스코프(C')와 접촉시 조절너트(32)가 죄이는 힘에 의해 원통형 코일(C)에 형성된 텔레스코프(C')가 교정된다. 이때, 제1 교정판(12)과 제2 교정판(22)은 원통형 코일(C)에 형성된 텔레스코프(C')를 덮을 수 있는 넓이로 형성된다.
승강수단(40)은 제1 프레임(11)에 설치되어 제1 교정판(12)을 승강하는 제1 승강수단(41)과 제2 프레임(21)에 설치되어 제2 교정판(22)을 승강하는 제2 승강수단(51)을 포함한다. 코일(C)의 크기에 따라 코일(C)의 내권부에 형성된 텔레스코프(C')의 높이가 달라진다. 승강수단(40)은 제1, 제2 교정판(12)(22)의 높이를 조절하여 제1, 제2 교정판(12)(22)이 텔레스코프(C')와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한다.
도 8 내지 도 10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승강수단(41)은 제1 수직연장부재(112)에 설치되는 제1 승강프레임(141)과, 제1 교정판(12)을 제1 승강프레임(141)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제1 링크(142)와, 제1 승강프레임(141)이 제1 수직연장부재(112a)의 돌출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제1 슬라이딩가이드(143)와, 제1 교정판(12)의 하부에서 제1 교정판(12)을 제1 승강프레임(141)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제1 고정축(144)을 구비한다.
제1 승강프레임(141)은 제1 수직연장부재(112)에 설치되며, 제1 수직연장부재(112)의 돌출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다.
제1 링크(142)는 제1 교정판(12)과 제1 승강프레임(141)이 이격되도록 한다. 또한, 제1 링크(142)는 제1 교정판(12)과 볼트(70)로 힌지결합되어 제1 교정판(12)이 제1 승강프레임(14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제1 슬라이딩가이드(143)는 제1 승강프레임(141)에서 제1 수직프레임(112a)를 향하여 돌출되며, 제1 수직프레임(112a)의 개방된 일측을 통하여 제1 수직프레임(112a)에 인입되어 설치된다. 제1 슬라이딩가이드(143)는 제1 승강프레임(141)이 제1 수직연장부재(112)를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 한다. 제1 슬라이딩가이드(143)는 돌출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 승강프레임(141)의 승강 시 제1 승강프레임(141)의 진동과 마찰을 줄일 수 있다.
제1 고정축(144)은 제1 승강프레임(141)에 설치되어 제1 교정판(12)까지 돌출된다. 제1 고정축(144)은 제1 교정판(12)의 하부를 지지하여 제1 교정판(12)의 회전 또는 기울어짐을 방지한다.
제2 승강수단(51)은 제2 수직연장부재(212)에 설치되는 제2 승강프레임(151)과, 제2 교정판(22)을 제2 승강프레임(151)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제2 링크(152)와, 제2 승강프레임(151)이 제2 수직연장부재(212)의 돌출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제2 슬라이딩가이드(153)와, 제2 교정판(22)의 하부에서 제2 교정판(22)을 제2 승강프레임(151)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제2 고정축(154)을 구비한다.
제2 승강프레임(151)은 제2 수직연장부재(212)에 설치되며, 제2 수직연장부재(212)의 돌출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다.
제2 링크(152)는 제2 교정판(22)과 제2 승강프레임(151)이 이격되도록 한다. 또한, 제2 링크(152)는 제2 교정판(22)과 볼트(70)로 힌지결합되어 제2 교정판(22)이 제2 승강프레임(15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제2 교정판(22)에 가압유닛(30)을 설치하기 위하여 제2 교정판(22)을 관통한 샤프트(31)를 제2 교정판(22)의 뒤어서 조절너트(32)를 체결하며, 조절너트(32)를 죄기 위한 작업 공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제2 링크(152)는 제2 교정판(22)과 제2 승강프레임(151) 사이를 충분히 이격시켜 작업공간을 확보한다. 이 때, 제2 링크(152)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제2 링크(152)의 제2 교정판(22) 측 단부에 걸리는 하중을 고려하여 제2 링크(152)의 크기와 형상이 결정된다.
제2 슬라이딩가이드(153)는 제2 승강프레임(151)에서 제2 수직프레임(212a)를 향하여 돌출되며, 제2 수직프레임(212a)의 개방된 일측을 통하여 제2 수직프레임(212a)에 인입되어 설치된다. 제2 슬라이딩가이드(153)는 제2 승강프레임(151)이 제2 수직연장부재(212)를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 한다. 제2 슬라이딩가이드(153)는 돌출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 승강프레임(151)의 승강 시 제2 승강프레임(151)의 진동과 마찰을 줄일 수 있다.
제2 고정축(154)은 제2 승강프레임(151)에 설치되어 제2 교정판(22)까지 돌출된다. 제2 고정축(154)은 제2 교정판(22)의 하부를 지지하여 제2 교정판(22)의 회전 또는 기울어짐을 방지한다.
동력공급수단(60)은 제1, 제2 직선프레임(111x)(211x) 위에 설치되어 제1, 제2 승강수단(41)(51)을 승강 또는 하강시킨다. 동력공급수단(60)은 제1 직선프레임(111x)에 설치되어 제1 승강수단(41)을 승강/하강시키는 제1 동력공급수단(61)과 제2 직선프레임(211x)에 설치되어 제2 승강수단(51)을 승강/하강 시키는 제2 동력공급수단(6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 텔레스코프 교정장치(1)의 동력공급수단(60)은 유압잭이 구비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스크류잭, 랙 앤 피니언, 모터 등 이 동력공급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일 텔레스코프 교정장치(1)의 제1 유닛(10)과 제2 유닛(20)이 가압유닛(30)을 이용하여 원통형의 코일(C) 중심축방향 양단면을 눌러 코일(C)에 형성된 텔레스코프(C')를 교정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코일 텔레스코프 교정장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코일 텔레스코프 교정장치 10: 제1 유닛
20: 제2 유닛 30: 가압유닛
40: 승강수단 60: 동력공급수단
C: 코일 C':텔레스코프

Claims (6)

  1. 원통형 코일의 중심축방향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원통형 코일의 중심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원통형 코일의 중심축방향 양단면 중 일측면을 가압하는 제1 교정면을 갖는 제1 유닛과;
    상기 원통형 코일의 중심축방향 타측에 위치되며, 상기 원통형 코일의 중심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원통형 코일의 타측면을 가압하는 제2 교정면을 갖는 제2 유닛과;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을 상호 근접되게 상대이동시켜 상기 원통형 코일의 양측면에 형성된 텔레스코프가 상기 제1 교정면과 상기 제2 교정면에 의해 가압되어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가압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텔레스코프 교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은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서 상기 원통형 코일의 일측면을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제1 교정면을 형성하는 제1 교정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유닛은 제2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에서 상기 원통형 코일의 타측면을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제2 교정면을 형성하는 제2 교정판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부에는 각각 상기 원통형 코일의 중심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바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텔레스코프 교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제2 교정판을 상기 원통형 코일의 중심축방향에 수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제1 교정판을 승강시키는 제1 승강수단과, 상기 제2 교정판을 승강시키는 제2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텔레스코프 교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교정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바퀴가 설치되어 수평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다리부재와, 상기 제1 다리부재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제1 수직연장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교정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바퀴가 설치되어 수평으로 이동 가능한 제2 다리부재와, 상기 제2 다리부재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제2 수직연장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승강수단은 상기 제1 교정판이 상기 제1 수직연장부재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제1 고정링크와, 상기 제1 고정링크가 연결되는 제1 승강프레임과, 상기 제1 승강프레임에서 상기 제1 수직연장부재로 돌출되며, 상기 제1 승강프레임이 상기 제1 수직연장부재의 돌출방향을 따라 승강 되도록 상기 제1 승강프레임을 가이드하는 제1 슬라이딩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승강수단은 상기 제2 교정판이 상기 제2 수직연장부재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제2 고정링크와, 상기 제2 고정링크가 연결되는 제2 승강프레임과, 상기 제2 승강프레임에서 상기 제2 수직연장부재로 돌출되며, 상기 제2 승강프레임이 상기 제2 수직연장부재의 돌출방향을 따라 승강 되도록 상기 제2 승강프레임을 가이드하는 제2 슬라이딩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텔레스코프 교정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코일의 중심축방향으로 설치되며 길이방향 양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제2 교정판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 양단부의 나사산에 체결되며, 상기 제1 교정판과 상기 제2 교정판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교정판과 상기 제2 교정판을 근접되게 이동시키는 적어도 2개의 조절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텔레스코프 교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교정판에는 상기 제1 교정판을 관통하여 형성되되 상기 제1 교정판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형성되며,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교정판의 중심과의 거리가 상기 원통형 코일의 중공부의 반경보다 작은 다수의 제1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교정판에 형성된 상기 제1 삽입공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제2 교정판에는 제2 삽입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는 다수가 각각 상기 제1 삽입공 및 상기 제1 삽입공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제2 삽입공을 통과하여 설치되어있으며,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다수의 샤프트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상기 원통형 코일의 중공부 안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원통형 코일 중공부의 직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샤프트지지판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텔레스코프 교정장치.
KR1020200036982A 2020-03-26 2020-03-26 코일 텔레스코프 교정장치 KR102324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982A KR102324193B1 (ko) 2020-03-26 2020-03-26 코일 텔레스코프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982A KR102324193B1 (ko) 2020-03-26 2020-03-26 코일 텔레스코프 교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366A true KR20210120366A (ko) 2021-10-07
KR102324193B1 KR102324193B1 (ko) 2021-11-10

Family

ID=78114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982A KR102324193B1 (ko) 2020-03-26 2020-03-26 코일 텔레스코프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419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6913A (ko) 1993-12-27 1995-07-20 조말수 압연코일의 텔레스코프 교정장치
KR960000334A (ko) 1994-06-23 1996-01-25 김만제 열연코일의 텔레스코프(Telescope)교정방법 및 교정장치
KR20030028184A (ko) * 2001-09-27 2003-04-08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의 텔레스코프 교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6913A (ko) 1993-12-27 1995-07-20 조말수 압연코일의 텔레스코프 교정장치
KR960000334A (ko) 1994-06-23 1996-01-25 김만제 열연코일의 텔레스코프(Telescope)교정방법 및 교정장치
KR20030028184A (ko) * 2001-09-27 2003-04-08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의 텔레스코프 교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4193B1 (ko) 202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7373B2 (en) Conveyor
JP5602206B2 (ja) 溶接型鋼の歪矯正装置
US5242127A (en) Reel lifting device with support arms mounted for flexible movement
KR102324193B1 (ko) 코일 텔레스코프 교정장치
KR0163409B1 (ko) 박판으로부터 파이프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
KR101879063B1 (ko) 프레스용 테이블 장치
JPH06511219A (ja) 紙ウエブ又は厚紙ウエブを巻き上げるための方法及び巻き上げ機
JPH0675734B2 (ja) H形鋼のフランジ直角度矯正装置
CN110303779B (zh) 一种轮胎打标机
JP2016193646A (ja) 車輪着脱用治具
KR101652822B1 (ko) 초고장력 강판용 교정기
KR101943062B1 (ko) 지게차용 솔리드 타이어 조립장치
KR20230081374A (ko) 타이어 리프트
JP4943811B2 (ja) 板形状矯正装置
KR102043562B1 (ko) 코일교정장치
CN117884484B (zh) 一种高强板三合一伺服送料系统
KR100950390B1 (ko) 코일 리프트의 코일 편 겹침 교정장치
DE102004052066B4 (de) Hubgerüst für ein Flurförderzeug
KR102289508B1 (ko) 사고차량의 프레임 교정장치
JPH06182446A (ja) H形鋼のフランジ直角度矯正装置および矯正設備列
KR102289507B1 (ko) 사고차량의 프레임 교정장치
KR20030021626A (ko) 강판코일의 내, 외부 권취불량부 교정장치
CN216881053U (zh) 一种热轧薄材平整加工线的工作辊打磨后的装配系统
JPH0866725A (ja) H形鋼のフランジ直角度矯正装置
GB2025822A (en) An improved Device for Guiding Pairs of Rolled Members to be Connected by We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