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9960A - 프레임,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 및 안전벨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프레임,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 및 안전벨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9960A
KR20210119960A KR1020217021497A KR20217021497A KR20210119960A KR 20210119960 A KR20210119960 A KR 20210119960A KR 1020217021497 A KR1020217021497 A KR 1020217021497A KR 20217021497 A KR20217021497 A KR 20217021497A KR 20210119960 A KR20210119960 A KR 20210119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hole
side plate
winding shaf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1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너스 칼 악셀 라손
유에 유
지유안 슈
사가르 바사라울루 벤카테쉬
샤피 울라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210119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99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5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 B60R22/1954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characterised by fluid actuators, e.g. pyrotechnic gas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8Belt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022/3402Retractor casing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를 위한 프레임(10)은, 백플레이트(11), 제1 측판(12)과 제2 측판(13)을 포함하며, 백플레이트(11)는 제1 측판(12)과 제2 측판(13)을 연결하고, 제1 측판(12)과 제2 측판(13)은 평행하며, 제1 측판(12), 백플레이트(11)와 제2 측판(13)은 전체적으로 U자형을 형성하여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와인딩 샤프트(20)를 둘러싸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여기서, 제1 측판(12)은 제1 관통공(121)을 구비하고, 제2 측판(12)은 제2 관통공을 구비하며, 와인딩 샤프트(20)가 제1 관통공(121)과 제2 관통공을 관통하여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여기서, 제1 측판(121)은 제1 관통공(121)의 백플레이트(11)에서 먼 측에 설치되는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122)를 포함하며, 또한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122)는 와인딩 샤프트(20)의 회전 축선에 대해 안전벨트의 인출방향 측에 위치하며, 여기서,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122) 부위에서, 제1 관통공(121)의 내경을 증가시킴으로써, 제1 관통공(121)의 내측 가장자리가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122)와 와인딩 샤프트(20) 사이에서 반경방향을 따라 간격을 구비하도록 한다. 상기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를 위한 프레임은 안전벨트가 와인딩 샤프트와 프레임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 및 안전벨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Description

프레임,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 및 안전벨트 어셈블리
본 발명은 차량 승객을 구속하기 위한 안전벨트 구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를 위한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차량 주행 과정에서, 안전벨트와 인체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있다. 프리텐션형 안전벨트는 충돌 시 안전벨트를 조여줌으로써 상기 간격을 제거하여 보다 효과적인 보호를 제공하며, 프리텐션형 안전벨트는 회전 텐셔너를 통해 이러한 기능을 구현한다. 회전 텐셔너는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와인딩 샤프트에 연결되며, 트랜스미션 장치를 통해 와인딩 샤프트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는 구동휠 및 구동휠을 회전시키기 위한 질량체를 포함하며, 구동휠의 외주면에 질량체를 수납하는 리세스가 형성되고, 구동휠은 안전벨트의 와인딩 샤프트와 연결된다. 차량에 급제동 또는 충돌이 발생한 경우, 프리텐션형 안전벨트의 회전 텐셔너가 해제되고, 질량체가 가속되어 구동휠 외주면 상의 리세스로 구동되어 구동휠에 회전이 발생한다. 구동휠과 연결된 와인딩 샤프트는 이로 인해 안전벨트가 조여지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안전벨트의 프리텐션을 구현한다. 이러한 프리텐션형 안전벨트는 구동장치 역할을 하는 가스발생기를 구비한다. 가스발생기와 질량체는 튜브 내에 설치되며, 상기 가스발생기를 통해, 단시간 내에 튜브 내에 매우 높은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안전벨트 와인딩 샤프트는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통상적으로, 프레임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안전벨트 와인딩 샤프트는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프레임에 장착된다. 그러나, 안전벨트가 권취되거나 또는 풀리는 과정에서 특히 안전벨트가 경사지게 인출되거나 권취될 경우, 안전벨트 가장자리가 안전벨트 와인딩 샤프트와 프레임의 관통공 가장자리 사이에 낄 수 있으며, 이는 안전벨트가 순조롭게 권취되거나 인출될 수 없게 할 뿐만 아니라, 안전벨트가 승객을 보호하는 역할을 구현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안전벨트가 와인딩 샤프트와 프레임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는 프레임,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 및 안전벨트 어셈블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안전벨트가 와인딩 샤프트와 프레임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는 프레임,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 및 안전벨트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안전벨트와 프레임 사이의 마찰 손상과 스크래치 손상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는 프레임,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 및 안전벨트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를 위한 프레임을 제공하며,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는 와인딩 샤프트를 포함하여, 안전벨트가 와인딩 샤프트에 권취될 수 있으며, 프레임은 백플레이트, 제1 측판과 제2 측판을 포함하며, 백플레이트는 제1 측판과 제2 측판을 연결하고, 제1 측판과 제2 측판은 평행하며, 제1 측판, 백플레이트와 제2 측판은 전체적으로 U자형을 형성하여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와인딩 샤프트를 둘러싸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여기서, 제1 측판은 제1 관통공을 구비하고, 제2 측판은 제2 관통공을 구비하며,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의 와인딩 샤프트가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을 관통하여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여기서, 제1 측판의 제1 관통공은 백플레이트에서 먼 측에 설치되는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또한 와인딩 샤프트가 프레임에 장착될 때,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는 와인딩 샤프트의 회전 축선에 대해 안전벨트의 인출방향 측에 위치하며, 여기서,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 부위에서, 제1 관통공의 내경을 증가시킴으로써, 와인딩 샤프트가 프레임에 설치될 때, 제1 관통공의 내측 가장자리가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와 상기 와인딩 샤프트 사이에서 반경방향을 따라 간격을 구비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는 제1 관통공에 호형 윤곽을 형성함으로써 제1 관통공의 내경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 부위에서, 제1 관통공의 내측 가장자리에 수납공간 측을 향해 챔퍼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측판의 제1 관통공은 제1 관통공의 백플레이트에 인접한 측에 설치되는 제2 안전벨트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또한 여기서, 제2 안전벨트 가이드부 부위에서, 제1 관통공의 내경을 증가시킴으로써, 와인딩 샤프트가 프레임 내에 장착될 때, 제1 관통공의 내측 가장자리가 제2 안전벨트 가이드부와 와인딩 샤프트 사이에서 반경방향을 따라 간격을 구비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안전벨트의 권취 방향측에서 또한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와 제2 안전벨트 가이드부 사이에서, 제1 관통공의 내측 가장자리는 수납공간 측을 향해 챔퍼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측면은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를 제공하며, 이는 안전벨트가 권취될 수 있는 와인딩 샤프트; 및 와인딩 샤프트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프레임은 백플레이트, 제1 측판과 제2 측판을 포함하며, 백플레이트는 제1 측판과 제2 측판을 연결하고, 제1 측판과 제2 측판은 평행하며, 제1 측판, 백플레이트와 제2 측판은 전체적으로 U자형을 형성하여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와인딩 샤프트를 둘러싸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여기서, 제1 측판은 제1 관통공을 구비하고, 제2 측판은 제2 관통공을 구비하며,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의 와인딩 샤프트가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을 관통하여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여기서, 제1 측판은 제1 관통공의 백플레이트에서 먼 측에 설치되어, 와인딩 샤프트가 프레임 내에 장착될 때, 와인딩 샤프트의 회전 축선에 대해 안전벨트의 인출 방향측에 위치하는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 부위에서, 제1 관통공의 내경을 증가시킴으로써, 와인딩 샤프트가 프레임에 설치될 때, 제1 관통공의 내측 가장자리가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와 와인딩 샤프트 사이에서 반경방향을 따라 간격을 구비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는 가스발생기와 다수의 질량체가 설치되는 튜브; 및 튜브를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한 하우징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튜브를 프레임의 제1 측판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는, 프레임의 제1 측판과 제2 측판 중 백플레이트에서 먼 측에 설치되어, 프레임의 제1 측판과 제2 측판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판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연결판의 연장방향은 백플레이트와 평행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는 제1 관통공의 내경이 증가하도록 제1 관통공에 호형 윤곽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 부위에서, 제1 관통공의 내측 가장자리에 수납공간 측을 향해 챔퍼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측판은 제1 관통공의 백플레이트에 인접한 측에 설치되는 제2 안전벨트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또한 여기서, 제2 안전벨트 가이드부에서, 제1 관통공의 내경을 증가시킴으로써, 와인딩 샤프트가 프레임 내에 장착될 때, 제1 관통공의 내측 가장자리가 제2 안전벨트 가이드부와 와인딩 샤프트 사이에서 반경방향을 따라 간격을 구비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안전벨트의 권취 방향측에서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와 제2 안전벨트 가이드부 사이에, 제1 관통공의 내측 가장자리에 수납공간 측을 향해 챔퍼가 구비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측면은 안전벨트; 및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를 포함하는 안전벨트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는 안전벨트가 권취될 수 있는 와인딩 샤프트; 및 와인딩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프레임은 백플레이트, 제1 측판과 제2 측판을 포함하며, 백플레이트는 제1 측판과 제2 측판을 연결하고, 제1 측판과 제2 측판은 평행하며, 제1 측판, 백플레이트와 제2 측판은 전체적으로 U자형을 형성하여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와인딩 샤프트를 둘러싸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여기서, 제1 측판은 제1 관통공을 구비하고, 제2 측판은 제2 관통공을 구비하며,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의 와인딩 샤프트가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을 관통하여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여기서, 제1 측판은 제1 관통공의 백플레이트에서 먼 측에 설치되는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또한 와인딩 샤프트가 프레임에 장착될 때,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는 와인딩 샤프트의 회전 축선에 대해 안전벨트의 인출방향 측에 위치하며, 여기서,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 부위에서, 제1 관통공의 내경을 증가시킴으로써, 와인딩 샤프트가 프레임에 설치될 때, 제1 관통공의 내측 가장자리가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와 와인딩 샤프트 사이에서 반경방향을 따라 간격을 구비하도록 하며; 여기서, 안전벨트는 일 단부에서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의 와인딩 샤프트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는 제1 관통공에 호형 윤곽을 형성함으로써, 제1 관통공의 내경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 부위에서, 제1 관통공의 내측 가장자리에 수납공간 측을 향해 챔퍼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측판은 제1 관통공의 백플레이트에 인접한 측에 설치되는 제2 안전벨트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또한 여기서, 제2 안전벨트 가이드부에서, 제1 관통공의 내경을 증가시킴으로써, 와인딩 샤프트가 프레임 내에 장착될 때, 제1 관통공의 내측 가장자리가 제2 안전벨트 가이드부와 와인딩 샤프트 사이에서 반경방향을 따라 간격을 구비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안전벨트의 권취 방향측에서 또한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와 제2 안전벨트 가이드부 사이에서, 제1 관통공의 내측 가장자리에 수납공간 측을 향해 챔퍼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는 가스발생기와 다수의 질량체가 설치되는 튜브; 및 튜브를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한 하우징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튜브를 프레임의 제1 측판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의 부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측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의 측시 단면도이다.
도 5는 안전벨트가 리트랙팅된 상태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6은 안전벨트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의 설명도이다.
아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아래의 상세한 기재와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기재된 바람직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항에 의해 한정된다. 예시적인 실시방식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할 것이며, 일부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하였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며, 별도로 표시하지 않는 한 각 도면 중의 동일한 부호 표기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소자를 대표한다. 아래의 예시적인 실시방식에 기재된 방안은 본 발명의 모든 방안을 대표하지 않으며, 반대로 이러한 방안은 단지 첨부된 청구항과 관련된 본 발명의 각 측면의 시스템과 방법의 예시에 불과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의 설명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의 부감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는 안전벨트 어셈블리에 응용될 수 있다. 안전벨트 어셈블리는 상기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와 안전벨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안전벨트는 아래의 본문에 설명된 바와 같이 하나의 단부가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의 와인딩 샤프트에 고정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100)는 프레임(10), 와인딩 샤프트(20), 튜브(30)와 하우징(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벨트(200)는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100)의 와인딩 샤프트(20)에 연결될 수 있다.
프레임(10)은 대체로 U자형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프레임(10)은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은 백플레이트(11), 측판(12,13)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백플레이트(11)는 측판(12,13)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측판(12,13)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일부 실시예에서, 측판(12,13)은 각각 백플레이트(11)와 수직일 수 있다. 백플레이트(11)와 측판(12,13)이 둘러싸며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의 와인딩 샤프트(20)를 설치하기 위한 수납공간을 형성한다.
와인딩 샤프트(20)는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와인딩 샤프트(20)는 대체로 원통형 구조를 지닐 수 있다. 안전벨트(200)(도 5와 도 6 참조, 도 1 미도시)의 일단은 와인딩 샤프트(2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와인딩 샤프트(20)가 회전 시, 안전벨트는 와인딩 샤프트(20)에 권취되거나 또는 와인딩 샤프트(20)로부터 권취 해제될 수 있다. 구동휠(미도시)은 와인딩 샤프트(20)의 하나의 축방향 단부(프레임(10)에 가까운 측판(12)에 설치될 수 있으며, 구동휠은 와인딩 샤프트(20)과 토크 저항 방식으로 연결된다. 구동휠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분포되는 다수의 리세스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리세스는 하기와 같이 구동휠을 회전시키는 다수의 질량체를 수납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튜브(30)는 만곡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튜브(30)는 중공이면서 내부 통로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스발생기와 다수의 질량체(미도시)가 튜브(30)에 설치될 수 있다. 튜브, 가스발생기, 질량체와 구동휠은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의 프리텐셔너를 구성할 수 있으며, 질량체는 예를 들어 매스 볼(mass ball)일 수 있다. 가스발생기는 작동 시 가스를 방출하며, 가스는 질량체가 튜브(30) 중에서 운동하며 튜브(30)로부터 이탈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
차량에 급제동 또는 충돌이 발생한 경우,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는 가스발생기의 작동을 통해 가스를 발생시키며, 다수의 질량체를 가속시켜 구동휠의 다수의 리세스로 밀려들어가게 한다. 구동휠은 다수의 질량체의 구동을 통해 회전이 발생하며, 구동휠과 토크 저항 방식으로 연결되는 안전벨트 와인딩 샤프트(20)를 회전시킴으로써, 안전벨트를 권취시켜 조여준다.
하우징(40)은 튜브(30)를 프레임(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하우징(40)은 개구를 구비할 수 있으며, 와인딩 샤프트(20)의 단부가 상기 개구로부터 관통할 수 있다. 하우징(40)은 예를 들어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의 구동휠 등을 수납할 수 있다. 하우징(40)은 프레임(10)의 측판(12)에 고정될 수 있다.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판(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100)는 2개의 연결판(50)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판(50)은 측판(12,13)의 백플레이트(11)에서 먼 측에 설치되며, 연결판(50)은 측판(12,13)을 연결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판(50)의 연장방향은 백플레이트(11)와 평행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측판(12)에 관통공(121)이 형성될 수 있고, 측판(13)에도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와인딩 샤프트(20)는 측판(12)의 관통공(121)과 측판(13)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측판(12)은 관통공(121)에 위치하는 안전벨트 가이드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측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의 측시 단면도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벨트 가이드부(122)는 관통공(121)의 백플레이트(11)에서 먼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안전벨트 가이드부(122)는 관통공(121)의 안전벨트 인출방향 측에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와인딩 샤프트(20)가 프레임(10) 내에 설치되었을 때, 안전벨트 가이드부(122)는 와인딩 샤프트(20)의 회전 축선에 대하여 안전벨트의 인축방향 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벨트 가이드부(122)는 안전벨트 가이드부(122)에서 관통공(121)의 내경이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10)은 중심 축선을 한정할 수 있으며, 와인딩 샤프트(20)가 프레임(10) 내에 설치되었을 때, 프레임(10) 중의 중심 축선이 와인딩 샤프트(20)의 회전 축선과 중첩된다. 본문에서, 관통공의 내경은 관통공의 가장자리로부터 프레임(10)의 중심 축선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서, 안전벨트 가이드부(122) 부위에서, 관통공(121)의 내경을 증가시킴으로써, 관통공(121)의 내측 가장자리가 안전벨트 가이드부(122)와 와인딩 샤프트(20) 사이에서 반경방향을 따라 간격을 구비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안전벨트 가이드부(122)는 안전벨트가 와인딩 샤프트(20)에 권취될 때, 관통공(121)의 내측 가장자리가 안전벨트 가이드부(122)와 안전벨트의 사이에서 반경방향을 따라 간격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반경방향이란 프레임(10)의 중심 축선으로부터 관통공(121)의 내측 가장자리까지의 방향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의 설명도로서, 안전벨트가 권취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의 설명도로서, 안전벨트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벨트 가이드부(122)는 관통공(121)에 호형 윤곽을 형성할 수 있다. 안전벨트 가이드부(122)의 호형 윤곽은 관통공(121)의 내경을 점차 증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안전벨트가 관통공(121)에서 프레임(10)과 와인딩 샤프트(20) 사이에 끼이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안전벨트 가이드부(122)는 관통공에 다른 유형의 윤곽, 예를 들어 직선 윤곽, 꺾은선 윤곽 등을 형성할 수도 있다.
종래의 안전벨트 어셈블리는 안전벨트가 권취되는 과정에서, 예를 들어 안전벨트의 프리텐셔닝 과정에서, 안전벨트가 와인딩 샤프트와 프레임의 관통공 사이에 끼일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벨트 가이드부(122)를 통해 안전벨트가 권취되는 과정에서 안전벨트가 프레임에서 멀리 떨어지도록 안내함으로써, 안전벨트가 끼이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측판(12)은 관통공(121) 내에 위치한 안전벨트 가이드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벨트 가이드부(123)는 관통공(121)의 백플레이트(11)에 가까운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안전벨트 가이드(123)는 관통공(121)의 안전벨트 인출방향 측에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와인딩 샤프트(20)가 프레임(10) 내에 설치되었을 때, 안전벨트 가이드부(123)는 와인딩 샤프트(20)의 회전 축선에 대해 안전벨트의 안출방향 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벨트 가이드부(123)는 안전벨트 가이드부(123) 부위에서 관통공(121)의 내경이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안전벨트 가이드부(123) 부위에서, 관통공(121)의 내경을 증가시킴으로써, 관통공(121)의 내측 가장자리가 안전벨트 가이드부(123)와 와인딩 샤프트(20)과의 사이에서 반경방향을 따라 간격을 구비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안전벨트 가이드부(123)는 안전벨트가 와인딩 샤프트(20)에 권취될 때, 관통공(121)의 내측 가장자리가 안전벨트 가이드부(123)와 안전벨트 사이에서 반경방향을 따라 간격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벨트 가이드부(123)는 관통공(121)에 호형 윤곽을 형성할 수 있다. 안전벨트 가이드부(123)의 호형 윤곽은 관통공(121)의 내경을 점차 증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안전벨트가 관통공(121)에서 프레임(10)과 와인딩 샤프트(20) 사이에 끼이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안전벨트 가이드부(123)는 관통공에 다른 유형의 윤곽, 예를 들어 직선 윤곽, 꺾은선 윤곽 등을 형성할 수도 있다.
종래의 안전벨트 어셈블리는 안전벨트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특히 안전벨트가 경사지게 인출될 때, 안전벨트가 와인딩 샤프트와 프레임의 관통공 사이에 끼일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벨트 가이드부(123)를 통해 안전벨트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안전벨트가 프레임에서 멀리 떨어지도록 안내함으로써, 안전벨트가 끼이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안전벨트 가이드부(122) 부위에서, 관통공(121)의 내측 가장자리에 프레임(10)의 수납공간 측을 향해 챔퍼가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안전벨트 가이드부(123) 부위에서, 관통공(121)의 내측 가장자리에 프레임(10)의 수납공간을 측을 향해 챔퍼가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안전벨트 가이드부(122)로부터 안전벨트 가이드부(123)의 사이에, 관통공(121)의 내측 가장자리는 수납공간 측을 향해 챔퍼가 형성될 수 있으며, 챔퍼는 프레임(10)의 안전벨트에 대한 마찰 손상과 스크래치 손상을 방지하거나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비록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의 구조와 방법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반대로, 본 발명은 각종 수정과 등가의 구성을 포함한다. 또한, 비록 공개된 발명의 각종 소자와 방법 단계가 각종 예시적인 결합체와 구조에 도시되었으나, 더 많거나 더 적은 소자 또는 방법을 포함하는 다른 조합 역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Claims (20)

  1.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를 위한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는 와인딩 샤프트를 포함하여, 안전벨트가 상기 와인딩 샤프트에 권취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은
    백플레이트, 제1 측판과 제2 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백플레이트는 상기 제1 측판과 상기 제2 측판을 연결하고, 상기 제1 측판과 상기 제2 측판은 평행하며, 상기 제1 측판, 상기 백플레이트와 상기 제2 측판은 전체적으로 U자형을 형성하여 상기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상기 와인딩 샤프트를 둘러싸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측판은 제1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측판은 제2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의 상기 와인딩 샤프트가 상기 제1 관통공과 상기 제2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여기서, 상기 제1 측판은 상기 제1 관통공의 상기 백플레이트에서 먼 측에 설치되는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와인딩 샤프트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될 때, 상기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는 상기 와인딩 샤프트의 회전 축선에 대해 상기 안전벨트의 인출방향 측에 위치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 부위에서, 상기 제1 관통공의 내경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와인딩 샤프트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될 때, 상기 제1 관통공의 내측 가장자리가 상기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와 상기 와인딩 샤프트 사이에서 반경방향을 따라 간격을 구비하도록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를 위한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는 제1 관통공에 호형 윤곽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 관통공의 내경을 증가시키는, 프레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 부위에서, 상기 제1 관통공의 내측 가장자리에 상기 수납공간 측을 향해 챔퍼가 구비되는, 프레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판은 상기 제1 관통공의 상기 백플레이트에 인접한 측에 설치되는 제2 안전벨트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또한
    여기서, 상기 제2 안전벨트 가이드부 부위에서, 상기 제1 관통공의 내경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와인딩 샤프트가 상기 프레임 내에 장착될 때, 상기 제1 관통공의 내측 가장자리가 상기 제2 안전벨트 가이드부와 상기 와인딩 샤프트 사이에서 반경방향을 따라 간격을 구비하도록 하는, 프레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의 권취 방향측에서 또한 상기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와 상기 제2 안전벨트 가이드부 사이에서, 상기 제1 관통공의 내측 가장자리에 상기 수납공간 측을 향해 챔퍼가 구비되는, 프레임.
  6.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에 있어서,
    안전벨트가 권취될 수 있는 와인딩 샤프트; 및
    상기 와인딩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백플레이트, 제1 측판과 제2 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백플레이트는 상기 제1 측판과 상기 제2 측판을 연결하고, 상기 제1 측판과 상기 제2 측판은 평행하며, 상기 제1 측판, 상기 백플레이트와 상기 제2 측판은 전체적으로 U자형을 형성하여 상기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상기 와인딩 샤프트를 둘러싸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측판은 제1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측판은 제2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의 상기 와인딩 샤프트가 상기 제1 관통공과 상기 제2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여기서, 상기 제1 측판은 상기 제1 관통공의 상기 백플레이트에서 먼 측에 설치되는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와인딩 샤프트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될 때, 상기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는 상기 와인딩 샤프트의 회전 축선에 대해 상기 안전벨트의 인출방향 측에 위치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 부위에서, 상기 제1 관통공의 내경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와인딩 샤프트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될 때, 상기 제1 관통공의 내측 가장자리가 상기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와 상기 와인딩 샤프트 사이에서 반경방향을 따라 간격을 구비하도록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는
    가스발생기와 다수의 질량체가 설치되는 튜브; 및
    상기 튜브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한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튜브를 상기 프레임의 제1 측판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인,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1 측판과 제2 측판 중 백플레이트에서 먼 측에 설치되어, 프레임의 상기 제1 측판과 상기 제2 측판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판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연결판의 연장방향은 상기 백플레이트와 평행한,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는 제1 관통공에 호형 윤곽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 관통공의 내경을 증가시키는,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 부위에서, 상기 제1 관통공의 내측 가장자리에 상기 수납공간 측을 향해 챔퍼가 구비되는,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판은 상기 제1 관통공의 상기 백플레이트에 인접한 측에 설치되는 제2 안전벨트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또한
    여기서, 상기 제2 안전벨트 가이드부 부위에서, 상기 제1 관통공의 내경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와인딩 샤프트가 상기 프레임 내에 장착될 때, 상기 제1 관통공의 내측 가장자리가 상기 제2 안전벨트 가이드부와 상기 와인딩 샤프트 사이에서 반경방향을 따라 간격을 구비하도록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의 권취 방향측에서 또한 상기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와 상기 제2 안전벨트 가이드부 사이에서, 상기 제1 관통공의 내측 가장자리에 상기 수납공간 측을 향해 챔퍼가 구비되는,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
  14. 안전벨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안전벨트; 및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를 포함하며, 이는
    상기 안전벨트가 권취될 수 있는 와인딩 샤프트; 및
    상기 와인딩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백플레이트, 제1 측판과 제2 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백플레이트는 상기 제1 측판과 상기 제2 측판을 연결하고, 상기 제1 측판과 상기 제2 측판은 평행하며, 상기 제1 측판, 상기 백플레이트와 상기 제2 측판은 전체적으로 U자형을 형성하여 상기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상기 와인딩 샤프트를 둘러싸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측판은 제1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측판은 제2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의 상기 와인딩 샤프트가 상기 제1 관통공과 상기 제2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여기서, 상기 제1 측판은 상기 제1 관통공의 상기 백플레이트에서 먼 측에 설치되는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와인딩 샤프트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될 때, 상기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는 상기 와인딩 샤프트의 회전 축선에 대해 상기 안전벨트의 인출방향 측에 위치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 부위에서, 상기 제1 관통공의 내경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와인딩 샤프트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될 때, 상기 제1 관통공의 내측 가장자리가 상기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와 상기 와인딩 샤프트 사이에서 반경방향을 따라 간격을 구비하도록 하며;
    여기서, 상기 안전벨트는 일 단부에서 상기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의 와인딩 샤프트에 고정되는, 안전벨트 어셈블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는 제1 관통공에 호형 윤곽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 관통공의 내경을 증가시키는, 안전벨트 어셈블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 부위에서, 상기 제1 관통공의 내측 가장자리에 상기 수납공간 측을 향해 챔퍼가 구비되는, 안전벨트 어셈블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판은 상기 제1 관통공의 상기 백플레이트에 인접한 측에 설치되는 제2 안전벨트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또한
    여기서, 상기 제2 안전벨트 가이드부 부위에서, 상기 제1 관통공의 내경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와인딩 샤프트가 상기 프레임 내에 장착될 때, 상기 제1 관통공의 내측 가장자리가 상기 제2 안전벨트 가이드부와 상기 와인딩 샤프트 사이에서 반경방향을 따라 간격을 구비하도록 하는, 안전벨트 어셈블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의 권취 방향측에서 또한 상기 제1 안전벨트 가이드부와 상기 제2 안전벨트 가이드부 사이에서, 상기 제1 관통공의 내측 가장자리에 상기 수납공간 측을 향해 챔퍼가 구비되는, 안전벨트 어셈블리.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는
    가스발생기와 다수의 질량체가 설치되는 튜브; 및
    상기 튜브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한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안전벨트 어셈블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튜브를 상기 프레임의 제1 측판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인, 안전벨트 어셈블리.
KR1020217021497A 2018-12-13 2019-11-22 프레임,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 및 안전벨트 어셈블리 KR202101199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22091133.0 2018-12-13
CN201822091133.0U CN209667029U (zh) 2018-12-13 2018-12-13 框架、安全带卷收装置及安全带组件
PCT/CN2019/120305 WO2020119425A1 (zh) 2018-12-13 2019-11-22 框架、安全带卷收装置及安全带组件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960A true KR20210119960A (ko) 2021-10-06

Family

ID=68562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1497A KR20210119960A (ko) 2018-12-13 2019-11-22 프레임,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 및 안전벨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10119960A (ko)
CN (1) CN209667029U (ko)
WO (1) WO20201194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667029U (zh) * 2018-12-13 2019-11-22 奥托立夫开发公司 框架、安全带卷收装置及安全带组件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55683B2 (ja) * 2013-06-06 2015-07-2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ートベルト装置
CN103832389B (zh) * 2014-02-27 2016-03-02 上海和励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卷收器框架及卷收器框架总成、安全装置
JP6539102B2 (ja) * 2015-04-28 2019-07-03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DE102015117595A1 (de) * 2015-10-15 2017-04-20 Inventus Engineering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einflussung der Kraft eines Sicherheitsgurtes
CN205273401U (zh) * 2015-10-28 2016-06-01 惠州比亚迪电池有限公司 安全带卷收器及安全带装置
CN206884978U (zh) * 2017-04-27 2018-01-16 浙江松原汽车安全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安全带卷收装置
CN209667029U (zh) * 2018-12-13 2019-11-22 奥托立夫开发公司 框架、安全带卷收装置及安全带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19425A1 (zh) 2020-06-18
CN209667029U (zh) 2019-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5356B1 (en) Seat belt retractor and seat belt device
US4358136A (en) Energy absorbing device for use with vehicular seat belt
JP6566725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US20100276531A1 (en) Pretensioner, seat belt retractor having the same, and seat belt apparatus provided therewith
KR20020014683A (ko) 웨빙 권취장치
US9278667B2 (en) Pretensioner, seat belt retractor, and seat belt device
JP6775361B2 (ja) プリテンショナ、リトラクタ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EP3342650B1 (en) Pretensioner
JP5581144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US20170327077A1 (en) Webbing take-up device
KR20210119960A (ko) 프레임, 안전벨트 리트랙팅 장치 및 안전벨트 어셈블리
EP0864471A1 (en) Webbing take-up device
JP5512432B2 (ja) プリテンショナ機構
JP2002012127A (ja) シートベルト巻取り装置
JP2000302008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DE102016112425A1 (de) Beschleunigungssensor und Gurtaufroller
JP4757619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JP6542298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KR102567086B1 (ko) 디그레시브 로드리미터
JP2017189996A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CN217415693U (zh) 低噪音高稳定性的安全带卷收器
WO2016171056A1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KR20140021379A (ko)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로킹 장치
JPH10129414A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ー用エネルギー吸収部材及びその取付け構造
US11518340B2 (en) Webbing take-up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