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6263A -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6263A
KR20210116263A KR1020210029156A KR20210029156A KR20210116263A KR 20210116263 A KR20210116263 A KR 20210116263A KR 1020210029156 A KR1020210029156 A KR 1020210029156A KR 20210029156 A KR20210029156 A KR 20210029156A KR 20210116263 A KR20210116263 A KR 20210116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rolling
folding
airbag cushion
airba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0804B1 (ko
Inventor
시모노 히로요시
코바야시 유또
사꾸라이 쯔또무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210116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6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팽창 완료 후에 상정된 에어백 쿠션의 전개 형상을 양호하게 실현할 수 있는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에어백 장치의 제공을 과제로 하고 있다.
차실 내부의 서로 이웃하는 좌석 사이에서 팽창 전개하는 에어백 쿠션은 전개 시에 상하 방향으로 이간하여 대향하는 상면 패널 및 하면 패널과, 상면 패널 및 하면 패널의 원주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측면 패널과, 상면 패널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와, 돌출부의 일측에서 측면 패널 내면을 따라 설치된 통 형상의 인플레이터를 구비하고 있고, 상면 패널과 인플레이터의 설치부가 설치된 측면 패널을 앞뒤로 겹치고, 돌출부를 롤링 형상으로 롤링한 제1 롤링부와, 일방의 측부를 인플레이터의 설치부를 덮도록 되접은 되접부와, 타방 측부를 롤링 형상으로 롤링한 제2 롤링부가 제2 롤링부를 중앙으로 하여 상면 패널 상에서 나열하여 접은 형태로 수납되어 있다.

Description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에어백 장치{AIRBA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AIRBAG DEVICE}
본 발명은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부분의 차량에는 에어백 장치가 장비되어 있다. 에어백 장치는 차량 충돌 등의 긴급 시에 작동하고, 가스압으로 팽창 전개하는 에어백 쿠션에 의해 승차인을 받아내어 보호한다. 에어백 장치에는 설치 장소 및 용도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가 있고, 그 중 하나로 차량 내부의 서로 이웃하는 좌석 간(예를 들어,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서 팽창 전개하는 에어백 쿠션을 구비하고, 각각의 좌석에 착석하는 승차인을 측방에서 구속하여, 측면 충돌 시에 있어서의 승차인의 가로 이동을 억제하는 에어백 장치, 이른바 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있다(특허문헌1 참조).
특허문헌1 : 일본특허 특개 2010-115947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1에 기재한 에어백 장치는 팽창 전개 시에 서로 이웃하는 좌석 간의 공간을 점하는 커다란 사이즈의 에어백 쿠션을 구비하고 있고, 이 에어백 쿠션에 팽창용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의 가스 발생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발생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이한 방향으로 팽창 전개하는 여러 개의 부분을 가지는 에어백 쿠션이 제안되어 있다. 이 에어백 쿠션은 예를 들어, 좌석에 착석하는 승차인의 동체부 및 어깨부에 대응하는 높이 위치에서 가로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팽창 전개하는 메인 전개부와, 메인 전개부의 상면 중앙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팽창 전개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에어백 쿠션을 구비하는 에어백 장치는, 메인 전개부의 양측에서 승차인의 동체부 및 어깨부를 지지하고, 나아가 이동하는 승차인의 머리부를 돌출부에서 지지할 수 있으며, 작은 사이즈의 에어백 쿠션에 의해 원하는 보호 기능을 완수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는, 수납 형태로부터 에어백 쿠션이 팽창 전개할 때에 여러 개의 부분들이 서로 얽히고 각각의 전개를 방해한 결과, 팽창 완료 후에 상정된 에어백 쿠션의 전개 형상을 얻을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팽창 완료 후에 상정된 에어백 쿠션 전개 형상을 양호하게 실현할 수 있는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 관한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은 차량 내부의 서로 이웃하는 좌석 간에서 팽창 전개하고, 각각의 좌석에 착석하는 승차인을 측방으로부터 구속하는 에어백 쿠션을 구비하는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에어백 쿠션은 팽창 전개 시에 상하 방향으로 이간하여 대향하는 상면 패널 및 하면 패널과, 상기 상면 패널 및 하면 패널의 원주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측면 패널과, 상기 상면 패널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일측부에서 상기 측면 패널의 내면을 따라서 설치된 통 형상의 인플레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에어백 쿠션을 수납 형태로 접는 순서는 상기 상면 패널과 상기 인플레이터의 설치부가 설치된 상기 측면 패널이 앞뒤로 겹쳐지도록 접는 제1 공정과, 상기 돌출부를 단부로부터 롤링 형상으로 롤링하고 상기 상면 패널과 겹쳐지는 제1 롤링부를 형성하는 제2 공정과, 상기 설치부를 포함하는 일방의 측부를, 상기 설치부를 덮도록 되접고, 단부를 상기 제1 롤링부에 근접 배치한 되접부를 형성하는 제3 공정과, 상기 설치부를 포함하지 않는 타방의 측부를 롤링 형상으로 롤링하여 제2 롤링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롤링부와 상기 되접부 사이에 배치하는 제4 공정을 포함한다.
또한,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1 공정 전에 상기 하면 패널을 상기 측면 패널 사이로부터 인출하는 인출 공정을 한층 더 포함한다.
또한,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1 공정과 상기 제2 공정 사이 또는 상기 제2 공정과 상기 제3 공정 사이에, 상기 제1 공정에서 발생하는 상기 하면 패널 및 측면 패널의 돌출 부분을 상기 상면 패널 및 측면 패널이 겹쳐지는 부분 사이에 접어넣는 공정을 한층 더 포함한다.
나아가 본 개시에 관한 에어백 장치는 차실 내부의 서로 이웃하는 좌석 사이에서 팽창 전개하고, 각각의 좌석에 착석하는 승차인을 측방으로부터 구속하는 에어백 쿠션을 구비하는 에어백 장치로서, 상기 에어백 쿠션은 팽창 전개 시에 상하 방향으로 이간하여 대향하는 상면 패널 및 하면 패널과, 상기 상면 패널 및 하면 패널의 원주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측면 패널과, 상기 상면 패널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일측면에서 상기 측면 패널의 내면을 따라서 설치된 통 형상의 인플레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상면 패널과 상기 인플레이터의 설치부가 설치된 상기 측면 패널을 앞뒤로 겹치고, 상기 돌출부를 롤링 형상으로 롤링한 제1 롤링부와, 상기 설치부를 포함하는 일방의 측부를, 상기 설치부를 덮도록 되접은 되접부와, 타방의 측부를 롤링 형상으로 롤링한 제2 롤링부가 상기 제2 롤링부를 중앙으로서 상기 상면 패널 상에서 나열하여 접는 형태로 수납되어 있다.
본 개시에 의하면 접힌 에어백 쿠션이 팽창 전개할 때의 각 부의 얽힘을 방지하고, 팽창 완료 후에 상정된 전개 형상을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으며, 충돌 시에 있어서의 승차인의 보호를 양호하게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백 장치가 설치된 차실 내부를 대략 개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의한 에어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에어백 쿠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차실 내에서의 에어백 쿠션의 전개 형태를 나타내는, 전방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5는 에어백 쿠션의 접는 순서의 설명도이다.
도 6은 에어백 쿠션의 접는 순서의 설명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하고 있는 '상하 방향'이란, 차실의 천정 중심과 바닥 중심을 연결하는 선상에서의 방향을 나타내고, 천정을 향하는 방향이 '상측 방향', 바닥을 향하는 방향이 '하측 방향'이다. 또한 '전후 방향'이란, 차량이 진행하는 방향이며 전진 방향이 '전(앞) 방향', 후진 방향이 '후(뒤) 방향'이다. 나아가 '차량 폭 방향'이란, 상술한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며 차실 내에서 통상 좌석이 나란히 배치되는 방향이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백 장치가 설치된 차실 내부를 대략 개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도에는 차실(1)의 바닥면(10) 상에 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운전석(2) 및 조수석(3)과, 운전석(2)에 장치된 시트 벨트(23)가 나타나 있다. 운전석(2)은 좌석부(21)와, 상기 좌석부(21)의 후방 측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세우는 등받이(22)를 구비하고 있고, 승차인(20)(도 4 참조)은 좌석부(21) 상에 시트 벨트(23)를 장착하여 착석한다.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백 장치(4)는 운전석(2)의 등받이(22)의 조수석(3) 측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의한 에어백 장치(4)의 단면도이다. 본 도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은 상술한 '전후 방향'에 대응한다.
에어백 장치(4)는 수납부(40) 내에 수납된 에어백 쿠션(5)과 인플레이터(6)를 구비한다. 수납부(40)는 등받이(22)의 조수석(3) 측(도 2에 있어서의 좌측)의 측면에 바깥을 향한 개구부를 가지고 설치된 상자체로서, 예를 들어 등받이(22)의 골격 프레임 일부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수납부(40)의 개구부는 등받이(22)의 측면과 일 면을 이루는 커버판(41)에 덮여 있다. 커버판(41)은 수납부(40)보다도 저강도의 수지제 판이고, 커버판(41)의 앞부(도 2에 있어서의 상부)의 내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개열 홈(42)이 형성되어 있다.
에어백 쿠션(5)은 예를 들어 나일론 섬유 등의 고강도 섬유의 짜임에 의해 강화된 직물제 주머니체로서, 후술하는 순서로 접혀 수납부(40) 내측에 수납되어 있다. 인플레이터(6)는 원통 형상으로서 에어백 쿠션(5)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인플레이터(6)의 원주면에는 지름 방향의 외부 방향으로 스터드 볼트(60)가 돌출 설치되고, 상기 스터드 볼트(60)는 에어백 쿠션(5)의 외측으로 연장하고 있다. 인플레이터(6)는 수납부(40)의 바닥판을 통과한 스터드 볼트(60)에 너트(61)를 조여서 고정되어 있고, 에어백 쿠션(5)은 인플레이터(6)의 설치 위치에서 수납부(40)의 바닥판과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인플레이터(6)는 차량 돌출 등의 긴급 시에 작동하고, 에어백 쿠션(5)의 내부에 팽창 전개용 가스를 분사한다. 에어백 쿠션(5)은 인플레이터(6)의 분사 가스의 작용에 의해 폭발적으로 팽창하고, 개열 홈(42)의 위치에서 커버판(41)을 파단하고 수납부(40)를 지지로 하여 외측을 향해 전개한다.
도 3은 에어백 쿠션(5)의 사시도로서, 팽창 전개 시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본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백 쿠션(5)은 팽창 전개 시에 상하 방향으로 이간하여 대향하는 상면 패널(50) 및 하면 패널(51)과, 상면 패널(50) 및 하면 패널(51)의 원주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측면 패널(52)과, 상면 패널(5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53)를 구비하고 있다. 상면 패널(50), 하면 패널(51) 및 측면 패널(52)은 예를 들어 각각의 원주 가장자리를 봉합함으로써 일체적으로 접합되고, 도시와 같이 좌우 방향(차량 폭 방향)으로 긴 직방체 형상으로 전개하는 메인 전개부를 구성한다. 돌출부(53)는 상면 패널(50)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서 상측을 향하여 세워지고 좌우 방향으로 적절한 폭을 가지고 전개한다.
인플레이터(6)는 도 중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축 길이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고, 돌출부(53)의 일측에서 측면 패널(52)의 내면을 따르게 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고정에 이용하는 스터드 볼트(60)는 인플레이터(6)의 상하 방향으로 이간하는 2 개 위치에 설치되고, 각각의 위치에서 측면 패널(52)의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도 4는 차실(1) 내에서의 에어백 쿠션(5)의 전개 형태를 나타내는 전방에서 본 정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에어백 쿠션(5)은 운전석(2)의 등받이(22)의 측부에 수납되어 있고, 차량 충돌 등의 긴급 시에 인플레이터(6)의 분사 가스 작용에 의해 팽창하고, 차량 폭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운전석(2)과 조수석(3) 사이에서 전개한다.
상면 패널(50), 하면 패널(51) 및 측면 패널(52)에 의해 구성된 메인 전개부는 운전석(2)에 착석하는 승차인(20) 및 조수석(3)에 착석하는 승차인(30)의 동체부 및 어깨부에 대응하는 높은 위치에서 가로 방향으로 펼쳐지고, 운전석(2) 및 조수석(3)의 앞측 위치에 도달하는 양측에서 승차인(20, 30)을 측방으로부터 구속한다. 따라서, 메인 전개부는 측면 충돌 시에 있어서의 승차인(20, 30)의 가로 이동을 방지하고, 승차인(20, 30)을 유효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도 4 중의 승차인(20, 30)은 이점 쇄선에 의해 대략 나타내고 있다.
돌출부(53)는 메인 전개부의 중앙에서 상방으로 세워지고 운전석(2)에 착석하는 승차인(20) 및 조수석(3)에 착석하는 승차인(30)의 머리부에 대응하는 높이 위치에 도달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조수석(3)에 착석하고 있는 승차인(30)이OOP(Out of Position : 비정규 착석 자세)라고 해도, 돌출부(53)는 운전석(2) 측으로 가로 이동하는 승차인(30)이 머리부를 구속할 수 있고, 비정규 착석 자세에 있는 승차인의 보호 정도를 평가하는 시험, 이른바 OOP 시험에 있어서 양호한 성적을 나타내는 에어백 장치(4)를 제공 가능하다.
도 4에 나타내는 에어백 쿠션(5)의 전개 상태는 에어백 쿠션(5)의 각 부의 치수를 운전석(2) 및 조수석(3)과 에어백 장치(4)의 배치 위치의 위치 관계에 따라서 적정하게 설정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는데, 다른 한편, 에어백 쿠션(5)은 상술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고, 접은 상태에서의 수납 형태로부터 팽창 전개할 때에 여러 개의 부분들이 서로 얽히고 각각의 전개를 방해한 결과, 팽창 완료 후에 상정된 전개 형상을 얻을 수 없었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에어백 쿠션(5)의 접는 형태는 팽창 전개 시의 각 부가 서로 얽히는 것을 방지하고, 도 4에 나타내는 전개 상태를 확실하면서 신속하게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은 에어백 쿠션(5)의 접는 순서의 설명도이다. 이하에 에어백 쿠션(5)의 접는 순서를 도 5 및 도 6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이 설명에 있어서는 도 중의 '상, 하' 및 '좌, 우'를 사용한다.
도 5A는 전개 상태에 있는 에어백 쿠션(5)을 나타내고 있고, 인플레이터(6)는 도 5A 중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에어백 쿠션(5)을 접을 때는 먼저 도 5B 중에 화살표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하면 패널(51)을 측면 패널(52) 사이로부터 인출하고(인출 공정), 상면 패널(50)의 하방에 측면 패널(52) 및 하면 패널(51)을 연결시킨다.
이어서 인출된 하면 패널(51)과 측면 패널(52)을 상면 패널(50)의 일측의 긴 변을 접는 선으로 하고, 도 5B 중에 흰 화살표에 의해 나타내는 방향으로 접고,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 패널(50)과 인플레이터(6)의 설치부가 설치된 측면 패널(52)이 앞뒤로 겹치도록 접는다(제1 공정). 제1 공정 전에 실시되는 인출 공정은 제1 공정에 있어서의 상면 패널(50)과 측면 패널(52)의 원하는 겹친 상태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공정이다.
한편, 상면 패널(50)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53)는 도 5B 중에 화살표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양측으로부터 힘을 가하여 양측면을 겹친 판 형상으로 하고, 도 5B 중에 흰 화살표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부로부터 롤링 형상으로 롤링하고,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 패널(50)과 겹쳐지는 제1 롤링부(54)를 형성한다(제2 공정). 또한 제1 롤링부(54)의 감는 방향은 도시한 방향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도와 반대 방향이어도 된다.
상면 패널(50)과 측면 패널(52)을 겹치는 제1 공정과, 돌출부(53)를 롤링 형상으로 롤링하여 제1 롤링부(54)를 형성하는 제2 공정의 실시 순서는 임의이며, 제1 공정 다음에 제2 공정의 순서로 실시해도 되고, 또한 제2 공정 다음에 제1 공정의 순서로 실시해도 된다.
또한 제1 공정에서의 접음에 의해,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뒤로 겹치는 상면 패널(50)과 측면 패널(52) 사이로부터 하면 패널(51) 및 남은 측면 패널(52)이 바깥 방향으로 돌출한 상태가 된다. 이 돌출 부분은 도 5C 중에 화살표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 패널(50) 및 측면 패널(52) 사이에 접어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접어넣는 공정은 상술한 제1 공정과, 다음에 설명하는 제3 공정 사이의 적절한 타이밍으로 실시하면 된다.
이상의 접어넣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1 공정 및 제2 공정의 실시에 의해, 에어백 쿠션(5)은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 패널(50), 하면 패널(51) 및 측면 패널(52)이 겹쳐져 형성된 판 형상부의 중앙에 제1 롤링부(54)가 위치하고, 이 제1 롤링부(54)의 일측(우측)에 인플레이터(6)의 설치부가 대략 평행을 이루어 나열되는 형태가 된다.
이어서 제3 공정에서는, 인플레이터(6)의 설치부를 포함하는 우측 반부를 도 6A 중에 흰 화살표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되접고,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6)의 설치부를 상측에서 덮고, 제1 롤링부(54)의 우측에 단부를 근접 배치시킨 되접부(55)를 형성한다.
한편, 제4 공정에서는, 인플레이터(6)의 설치부를 포함하지 않는 좌측 반부를 도 6A 중에 흰 화살표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로부터 롤링 형상으로 롤링하고,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롤링부(54)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2 롤링부(56)를 형성하고, 이 제2 롤링부(56)의 형성 부분을 도 6B 중에 흰 화살표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되접고, 되접은 부분에서 제1 롤링부(54)를 상측에서 덮어서, 제2 롤링부(56)를 제1 롤링부(54)와 되접부(55) 사이에 배치한다. 또한 제2 롤링부(56)의 감는 방향은 도시하는 방향에 한정하지 않으며 도와 반대 방향이어도 된다.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제3 공정에서의 되접부(55)는 인플레이터(6)의 설치부를 포함하는 우측 반부를 되접어 형성된다고 하고 있으나, 되접부(55)는 인플레이터(6)의 설치부를 포함하는 일방 측부(도 우측 부분)를 실질적으로 절반 길이에 한정하지 않는 적절한 길이에 걸쳐 상술한 바와 같이 되접어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4 공정에 있어서의 제2 롤링부(56)는 타방 측부(좌측 부분)를 적절한 길이에 걸쳐 롤링 형상으로 롤링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일방의 측부 및 타방의 측부 범위는 차량 구조, 좌석 위치 관계 등에 의해 결정되는 에어백 쿠션(5)의 형상 및 에어백 쿠션(5) 내에서의 인플레이터(6)의 설치 위치에 따라 상이하다. 예를 들어, 일방의 측부가 상술한 판 형상부의 전체 길이의 4분의 1(또는 4분의 3)이고, 타방의 측부가 남은 4분의 3(또는 4분의 1)인 경우 등, 각각의 측부는 전체 길이의 반절에서 크게 벗어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에어백 쿠션(5)은 이상의 제1 내지 제4 공정을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인출 공정 및 접는 공정을 포함하여 실시하는 순서에 의해 접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부(40) 내측에 수납된다. 도 2 중에는 제1 롤링부(54), 되접부(55) 및 제2 롤링부(56)의 배치가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이 수납된 에어백 쿠션(5)은 팽창 전개할 때에 되접부(55) 및 제2 롤링부(56)가 각각의 측으로 펼쳐짐으로써 상면 패널(50)의 위치가 확정되고, 이 상면 패널(50)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제1 롤링부(54)가 상방으로 연장하도록 전개하여 돌출부(53)가 형성되고, 한편, 하면 패널(51)이 하방으로 이간하도록 전개하여 메인 전개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에어백 쿠션(5)의 팽창 전개는 메인 전개부 및 돌출부(53)가 상호 얽히는 일 없이 이루어지므로, 팽창 완료 후에 상정된 도 4에 나타내는 전개 형상을 확실하게 실현하고, 돌출 시에 있어서의 승차인(20, 30)의 보호를 양호하게 달성할 수 있다.
이번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의미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붙인 참조 부호는 청구항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재한 것이다.
1 : 차실
2 : 운전석
3 : 조수석
4 : 에어백 장치
5 : 에어백 쿠션
6 : 인플레이터
20 : 승차인
30 : 승차인
50 : 상면 패널
51 : 하면 패널
52 : 측면 패널
53 : 돌출부
54 : 제1 롤링부
55 : 되접부
56 : 제2 롤링부

Claims (4)

  1. 차실(1) 내부의 서로 이웃하는 좌석(2, 3) 사이에서 팽창 전개하고, 각각의 좌석에 착석하는 승차인(20, 30)을 측방으로부터 구속하는 에어백 쿠션(5)을 구비하는 에어백 장치(4)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에어백 쿠션(5)은,
    팽창 전개 시에 상하 방향으로 이간하여 대향하는 상면 패널(50) 및 하면 패널(51)과,
    상기 상면 패널(50) 및 하면 패널(51)의 원주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측면 패널(52)과,
    상기 상면 패널(5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53)와,
    상기 돌출부(53)의 일측에서 상기 측면 패널(52)의 내면을 따라 설치된 통 형상의 인플레이터(6)를 구비하고,
    상기 에어백 쿠션(5)을 수납 형태로 접는 순서는,
    상기 상면 패널(50)과 상기 인플레이터(6)의 설치부가 설치된 상기 측면 패널(52)이 앞뒤로 겹쳐지도록 접히는 제1 공정과,
    상기 돌출부(53)를 단부로부터 롤링 형상으로 롤링하고, 상기 상면 패널(50)과 겹쳐지는 제1 롤링부(54)를 형성하는 제2 공정과,
    상기 설치부를 포함하는 일방의 측부를 상기 설치부를 덮도록 되접고, 단부를 상기 제1 롤링부(54)에 근접 배치한 되접부(55)를 형성하는 제3 공정과,
    상기 설치부를 포함하지 않는 타방의 측부를 롤링 형상으로 롤링하여 제2 롤링부(56)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롤링부(54)와 상기 되접부(55) 사이에 배치하는 제4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정 전에, 상기 하면 패널(51)을 상기 측면 패널(52) 사이로부터 인출하는 인출 공정을 한층 더 포함하는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정과 상기 제2 공정 사이, 또는 상기 제2 공정과 상기 제3 공정 사이에, 상기 제1 공정에서 발생하는 상기 하면 패널(51) 및 측면 패널(52)의 돌출 부분을 상기 상면 패널(50) 및 측면 패널(52)의 겹치는 부분 사이에 접어넣는 접는 공정을 한층 더 포함하는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4. 차실(1) 내부의 서로 이웃하는 좌석(2, 3) 사이에서 팽창 전개하고, 각각의 좌석에 착석하는 승차인(20, 30)을 측방으로부터 구속하는 에어백 쿠션(5)을 구비하는 에어백 장치(4)로서,
    상기 에어백 쿠션(5)은,
    팽창 전개 시에 상하 방향으로 이간하여 대향하는 상면 패널(50) 및 하면 패널(51)과,
    상기 상면 패널(50) 및 하면 패널(51)의 원주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측면 패널(52)과,
    상기 상면 패널(5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53)와,
    상기 돌출부(53)의 일측에서 상기 측면 패널(52)의 내면을 따라 설치된 통 형상의 인플레이터(6)를 구비하고,
    상기 상면 패널(50)과 상기 인플레이터(6)의 설치부가 설치된 상기 측면 패널(52)을 앞뒤로 겹치고, 상기 돌출부(53)를 롤링 형상으로 롤링한 제1 롤링부(54)와, 상기 설치부를 포함하는 일방의 측부를 상기 설치부를 덮도록 되접은 되접부(55)와, 타방의 측부를 롤링 형상으로 롤링한 제2 롤링부(56)가 상기 제2 롤링부(56)를 중앙으로 하여 상기 상면 패널(50) 상에서 나열하여 접힌 형태로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KR1020210029156A 2020-03-13 2021-03-05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에어백 장치 KR1024608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44356 2020-03-13
JPJP-P-2020-044356 2020-03-13
JPJP-P-2021-001080 2021-01-06
JP2021001080A JP2021147033A (ja) 2020-03-13 2021-01-06 エアバッグ装置の製造方法及びエアバッ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263A true KR20210116263A (ko) 2021-09-27
KR102460804B1 KR102460804B1 (ko) 2022-10-31

Family

ID=77850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156A KR102460804B1 (ko) 2020-03-13 2021-03-05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21147033A (ko)
KR (1) KR1024608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0135A (ko) * 2021-10-07 2023-04-14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2943A1 (ja) * 2022-08-24 2024-02-29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の製造方法及びエアバッグ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9490A (en) * 1997-06-13 1999-05-04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Method of folding an air bag
KR20100115947A (ko) 2009-04-21 2010-10-29 우리산업 주식회사 전류센서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29423A (ko) * 2010-07-15 2013-03-22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자동차 내에 설치하기 위한 측면 에어백, 그러한 측면 에어백을 갖는 차량 좌석 및 자동차
KR20170131130A (ko) * 2016-05-20 2017-11-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센터 에어백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9511414A (ja) * 2016-04-15 2019-04-25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自動車の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9882U (ko) * 1987-08-14 1989-02-22
JPH0239848A (ja) * 1988-07-29 1990-02-08 Sumitomo Chem Co Ltd 調湿袋
JPH02299514A (ja) * 1989-05-12 1990-12-11 Kanegafuchi Chem Ind Co Ltd 農産物の鮮度保持容器
JPH0549672U (ja) * 1991-12-05 1993-06-29 ニチモウ株式会社 トレーおよび包装構造
JPH0789504A (ja) * 1993-07-27 1995-04-04 Kazuo Miyata 区分連続包装果菜の箱詰め方法とそれに使用される区分連続包装果菜
JP2013043667A (ja) * 2011-08-23 2013-03-04 Pureeru:Kk 青果物の保存容器および青果物の保存方法
JP5566515B2 (ja) * 2012-09-07 2014-08-06 世珍 李 ブドウ梱包ボックス
JP2014144793A (ja) * 2013-01-29 2014-08-14 Kawakami Sangyo Co Ltd 収納箱
JP2017132489A (ja) * 2016-01-26 2017-08-03 アイワ工業株式会社 包装体および包装体用原反
JP7184581B2 (ja) * 2018-09-26 2022-12-06 花王株式会社 梱包体、その製造方法及び梱包体を用いた商品の配送方法
JP2020070079A (ja) * 2018-10-31 2020-05-07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青果物梱包体および梱包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9490A (en) * 1997-06-13 1999-05-04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Method of folding an air bag
KR20100115947A (ko) 2009-04-21 2010-10-29 우리산업 주식회사 전류센서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29423A (ko) * 2010-07-15 2013-03-22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자동차 내에 설치하기 위한 측면 에어백, 그러한 측면 에어백을 갖는 차량 좌석 및 자동차
JP2019511414A (ja) * 2016-04-15 2019-04-25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自動車の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20170131130A (ko) * 2016-05-20 2017-11-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센터 에어백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0135A (ko) * 2021-10-07 2023-04-14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0804B1 (ko) 2022-10-31
JP2021147033A (ja) 202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01163B (zh) 侧面安全气囊装置
US11225219B2 (en) Airbag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airbag device, and method for deploying airbag device
US11833990B2 (en) Side airbag device, vehicle seat provided with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ide airbag device
US10682973B2 (en) Vehicle knee airbag device and knee airbag folding method
KR102363546B1 (ko) 에어백 장치
KR102460804B1 (ko)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에어백 장치
KR20220100036A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JP7406367B2 (ja) エアバッグ装置、エアバッグ装置の製造方法、及びエアバッグ装置の展開方法
JP5455789B2 (ja) エアバッグ
US10112568B2 (en) Low mass passenger airbag
CN113386700B (zh) 安全气囊装置的制造方法及安全气囊装置
JP2019131165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102473425B1 (ko) 에어백 장치
JP7372862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7205500B2 (ja) 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102614251B1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및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WO2024042943A1 (ja) エアバッグ装置の製造方法及びエアバッグ装置
WO2024018877A1 (ja) エアバッグ装置、及びエアバッグ装置の製造方法
JP7034315B2 (ja) 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