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6037A -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 및 평가시스템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 및 평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6037A
KR20210116037A KR1020200032669A KR20200032669A KR20210116037A KR 20210116037 A KR20210116037 A KR 20210116037A KR 1020200032669 A KR1020200032669 A KR 1020200032669A KR 20200032669 A KR20200032669 A KR 20200032669A KR 20210116037 A KR20210116037 A KR 20210116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olding
sliding
flexible material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2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8743B1 (ko
Inventor
이기용
문현봉
유호문
Original Assignee
(주)플렉시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플렉시고 filed Critical (주)플렉시고
Priority to KR1020200032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743B1/ko
Priority to PCT/KR2020/013945 priority patent/WO2021187705A1/ko
Priority to JP2022554215A priority patent/JP7492020B2/ja
Priority to CN202080098484.1A priority patent/CN115298532A/zh
Publication of KR20210116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6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743B1/ko
Priority to US17/894,008 priority patent/US2022040425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2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 G01N3/34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generated by mechanical means, e.g. hammer blo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2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bending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01Type of application of the stress
    • G01N2203/0005Repeated or cycl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23Ben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3Generation of the force
    • G01N2203/0032Generation of the force using mechan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3Generation of the force
    • G01N2203/0032Generation of the force using mechanical means
    • G01N2203/0037Generation of the force using mechanical means involving a rotating movement, e.g. gearing, cam, eccentric, or centrifuge eff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시블한 플렉시블 소재의 폴딩 시험을 실시할 때, 하나의 폴딩유닛에서 언폴딩 상태를 기준으로 플렉시블 소재의 인폴딩 동작과 아웃폴딩 동작을 구현하고, 폴딩 상태에서 플렉시블 소재에 형성되는 벤딩부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슬라이딩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 및 평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는 폴딩공간이 관통 형성된 베이스유닛과, 평가할 플렉시블 소재의 일측을 고정하되 베이스유닛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유닛과, 플렉시블 소재의 타측을 고정하되 슬라이딩유닛에서 이격 배치되고 슬라이딩유닛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언폴딩 상태의 플렉시블 소재를 인폴딩시키거나 아웃폴딩시키는 폴딩유닛을 포함하며, 슬라이딩유닛은 플렉시블 소재가 인폴딩되거나 아웃폴딩된 상태에서 베이스유닛에서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플렉시블 소재에 형성된 벤딩부의 위치를 변경시킨다.

Description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 및 평가시스템{SLIDING DEVICE FOR DURABILITY EVALUATION OF FLEXIBLE MATERIAL AND EVALUATION SYSTEM}
본 발명은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 및 평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렉시블한 플렉시블 소재의 폴딩 시험을 실시할 때, 하나의 폴딩유닛에서 언폴딩 상태를 기준으로 플렉시블 소재의 인폴딩 동작과 아웃폴딩 동작을 구현하고, 폴딩 상태에서 플렉시블 소재에 형성되는 벤딩부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슬라이딩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 및 평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이나 컴퓨터모니터 또는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 등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사용되는 기존의 표시 패널은, 유연성이 없는 유리기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평평한 구조를 가져 단조롭고 그 응용에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또한 과학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최근에는 유연성이 없는 유리기판 대신에, 플라스틱 등과 같이 유연성 있는 플렉시블 소재를 사용하여, 구부릴 수 있는, 이른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장치가 개발 및 생산 되고 있다. 가령, 접거나 두루마리처럼 감을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 기술도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미국공개특허공보 US2014/0247544호(Roll-type flexible device for displaying)에는, 회전 가능한 X자 형태를 갖는 복수의 로드를 연결한 로드어셈블리를 이용해 하우징 내부의 롤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를 감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다양한 형태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소자에는, TFT LCD나 유기EL 또는 전기영동 등이 있으며, 이에 적용되는 소재(이하,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은 제품의 수명과 직결되므로, 제품 설계에 앞서 선택된 소재의 내구성 시험은 필수적으로 행해진다.
상기한 내구성 시험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그 중에는 폴딩시험도 포함된다. 폴딩시험은 플렉시블 소재를 구부리고 펼치는 동작을 반복하는 시험으로서, 가령 플렉시블 소재 시편의 일부는 고정판에 고정시키고 나머지 일부는 회동판에 고정시킨 상태로 회동판을 기계적으로 회동 운동시키는 장치가 사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폴딩장치로는 정확한 폴딩시험을 할 수 없었다. 그 이유는, 회동판의 회동 운동을 실시할 때, 플렉시블 소재에 인장력이 작용하는 것을 차단할 수 없기 때문이다. 플렉시블 소재의 순수 굽힘 동작만 구현할 수 없다는 것은 시험의 신뢰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49789호 (필름굽힘 시험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87143호 (태양전지 모듈의 접힘 운동에 대한 내구성 시험 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렉시블한 플렉시블 소재의 폴딩 시험을 실시할 때, 하나의 폴딩유닛에서 언폴딩 상태를 기준으로 플렉시블 소재의 인폴딩 동작과 아웃폴딩 동작을 구현하고, 폴딩 상태에서 플렉시블 소재에 형성되는 벤딩부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슬라이딩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 및 평가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는 폴딩공간이 관통 형성된 베이스유닛; 평가할 플렉시블 소재의 일측을 고정하되, 상기 베이스유닛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유닛; 및 상기 플렉시블 소재의 타측을 고정하되, 상기 슬라이딩유닛에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유닛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언폴딩 상태의 상기 플렉시블 소재를 인폴딩시키거나 아웃폴딩시키는 폴딩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유닛은, 상기 플렉시블 소재가 인폴딩되거나 아웃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유닛에서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플렉시블 소재에 형성된 벤딩부의 위치를 변경시킨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유닛은, 상기 베이스유닛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슬라이딩레일; 상기 슬라이딩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고, 상기 플렉시블 소재의 일측이 고정되는 파지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유닛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슬라이딩모터; 및 상기 슬라이딩모터의 회전력으로 상기 슬라이더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변환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유닛은, 상기 슬라이더에서 상기 슬라이딩변환부를 향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변환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브라켓;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폴딩유닛은, 언폴딩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유닛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슬라이딩유닛에서 이격 배치되고, 상기 플렉시블 소재의 타측이 고정되는 무빙유닛; 상기 슬라이딩유닛과 상기 무빙유닛 사이의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무빙유닛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무빙유닛의 회전경로가 형성되는 모션가이드유닛; 및 상기 모션가이드유닛과 상기 무빙유닛을 연결하는 모션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무빙유닛은, 상기 슬라이딩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모션가이드유닛을 따라 회동함에 따라 언폴딩 상태의 상기 플렉시블 소재를 인폴딩시키거나 아웃폴딩시킨다.
여기서, 상기 모션가이드유닛에는, 상기 무빙유닛의 회전경로에 대응하여 원 형상의 가이드홈부;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모션유닛은, 상기 지점에서 상기 모션가이드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모션블럭; 상기 모션블럭에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블럭; 및 상기 슬라이딩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무빙유닛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홈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홈부와 끼움 결합되는 가이드돌부가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무빙유닛은, 상기 가이드블럭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홈부에는, 상기 인폴딩 완료 위치를 나타내는 인폴딩스토퍼; 및 상기 아웃폴딩 완료 위치를 나타내는 아웃폴딩스토퍼;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홈부는, 상기 무빙유닛의 이동경로 중 인폴딩 동작에 따른 상기 가이드돌부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호 형상의 제1인폴딩홈; 상기 제1인폴딩홈의 외측으로 평행하게 구비되고, 상기 무빙유닛의 이동경로 중 인폴딩 동작에 따른 상기 가이드돌부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호 형상의 제2인폴딩홈; 상기 제1인폴딩홈과 연통되고, 상기 무빙유닛의 이동경로 중 아웃폴딩 동작에 따른 상기 가이드돌부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호 형상의 제1아웃폴딩홈; 및 상기 제2인폴딩홈과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제1아웃폴딩홈의 외측으로 평행하게 구비되고, 상기 무빙유닛의 이동경로 중 아웃폴딩 동작에 따른 상기 가이드돌부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호 형상의 제2아웃폴딩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돌부는, 상기 제1인폴딩홈과 상기 제1아웃폴딩홈에서 이동되는 제1돌부; 및 상기 제2인폴딩홈과 상기 제2아웃폴딩홈에서 이동되는 제2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돌부와 상기 제2돌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지점을 통과하는 가상의 직선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며, 상기 제1돌부와 상기 제2돌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지점을 통과하는 가상의 직선 중 다른 하나에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폴딩유닛은, 상기 모션가이드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모션유닛을 회전시키는 모션구동유닛; 및 상기 지점에서 상기 모션가이드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무빙유닛의 회전 여부를 선택하는 회전제한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유닛은,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량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파지부재가 상기 폴딩유닛에 가까워진 상태와 상기 파지부재가 상기 폴딩유닛에서 멀어진 상태를 감지하는 이동제한센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는 상기 플렉시블 소재가 인폴딩되거나 아웃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유닛이 상기 베이스유닛에서 슬라이드 이동될 때, 상기 플렉시블 소재를 지지하는 슬라이딩지지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폴딩 상태에서 상기 플렉시블 소재에 형성된 인폴딩벤딩부의 반지름을 R0 라 하고, 상기 아웃폴딩 상태에서 상기 플렉시블 소재에 형성되는 아웃폴딩벤딩부의 반지름을 R1 이라 하면, R1은 R0보다 큰 반지름을 나타내고, 인폴딩 동작을 기준으로 상기 슬라이딩유닛과 상기 무빙유닛 사이의 이격거리는 πR1 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 상기 베이스유닛이 결합되는 작업판유닛; 및 상기 작업판유닛에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유닛에 구비되는 슬라이딩모터와 상기 폴딩유닛에 구비되는 모션구동유닛이 지지되는 지지판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작업판유닛에는, 상기 폴딩공간에 대응하여 연통공간;이 관통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 및 평가시스템에 따르면, 플렉시블한 플렉시블 소재의 폴딩 시험을 실시할 때, 하나의 폴딩유닛에서 언폴딩 상태를 기준으로 플렉시블 소재의 인폴딩 동작과 아웃폴딩 동작을 구현하고, 폴딩 상태에서 플렉시블 소재에 형성되는 벤딩부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슬라이딩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필름형으로 플렉시블한 플렉시블 소재의 폴딩 시험을 실시할 때, 하나의 폴딩유닛에서 플렉시블 소재를 기준으로 플렉시블 소재의 양면으로 각각 180도씩 반복적으로 폴딩시킴으로써, 플렉시블 소재를 양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폴딩시킬 수 있고, 폴딩 상태에서 슬라이딩유닛이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플렉시블 소재에 형성된 벤딩부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유닛에서 슬라이딩유닛과 폴딩유닛의 결합 관계를 통해 플렉시블 소재의 초기 세팅을 명확하게 하고, 슬라이딩유닛의 슬라이딩 동작과 폴딩유닛의 폴딩 동작을 명확하게 하며, 폴딩 상태에서 슬라이딩유닛의 슬라이드 이동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딩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베이스유닛에서 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폴딩유닛의 아웃폴딩 동작에 대응하여 슬라이딩유닛에 폴딩유닛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딩유닛에서 슬라이딩모터와 슬라이딩변환부의 부가 구성을 통해 슬라이딩모터의 회전력으로 슬라이더의 직선 운동을 안정화시켜 플렉시블 소재의 직선 왕복 이동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딩유닛에서 연결브라켓의 부가 구성을 통해 연결브라켓과 슬라이딩변환부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슬라이딩변환부로부터 연결브라켓 및 슬라이더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여 플렉시블 소재의 규격에 따라 슬라이딩장치의 교체 및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딩유닛에서 슬라이딩변환부의 세부 구성을 통해 슬라이딩모터에 의한 회전 운동을 슬라이더의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여 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폴딩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플렉시블 소재의 폴딩 동작을 명확하게 하고, 인폴딩에 따른 인폴딩벤딩부의 반지름과 아웃폴딩에 따른 아웃폴딩벤딩부의 반지름을 서로 다르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폴딩유닛에서 모션가이드유닛과 모션유닛의 결합 관계를 통해 무빙유닛의 회전 과정에서 무빙유닛의 불필요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션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무빙유닛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플렉시블 소재의 폴딩 시험을 실시할 때, 인폴딩 동작과 아웃폴딩 동작을 구현할 때, 플렉시블 소재에 인장력을 포함한 잡력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테스트의 신뢰성이 높고 그만큼 정확한 내구성 평가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토퍼의 구성을 통해 플렉시블 소재의 폴딩 시험을 실시할 때, 인폴딩 동작과 아웃폴딩 동작을 구현할 때, 가이드홈부에서 가이드돌부를 정지시키고, 플렉시블 소재의 폴딩 완료 상태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홈부의 세부 구성을 통해 무빙유닛의 회전경로를 명확하게 하고, 폴딩 완료 위치에서 슬라이딩유닛의 파지부재와 무빙유닛의 평행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돌부의 세부 구성을 통해 무빙유닛이 회전될 때, 모션유닛의 동작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션구동유닛의 구성을 통해 폴딩 실험을 자동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제한유닛의 구성을 통해 무빙유닛의 회전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딩유닛에서 이동제한센서부의 부가 구성을 통해 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량을 제한하고, 인폴딩 동작과 아웃폴딩 동작에 대응하여 언폴딩 상태에서 슬라이더의 초기 위치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딩지지유닛의 부가 구성을 통해 플렉시블 소재가 폴딩된 상태에서 슬라이더가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플렉시블 소재에 형성된 벤딩부의 반지름을 유지시키고, 벤딩부의 위치 추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치한정 사항을 통해 하나의 폴딩유닛에서 인폴딩 동작과 아웃폴딩 동작이 상호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플렉시블 소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판유닛의 부가 구성을 통해 슬라이딩장치의 베이스유닛을 정위치시키고, 슬라이딩장치의 동작에 대응하여 베이스유닛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판유닛의 부가 구성을 통해 슬라이딩장치의 슬라이딩모터와 폴딩유닛의 모션구동유닛과 슬라이딩변환부 그리고 이동제한센서부를 정위치에 고정시키고, 동력 전달 체계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통공간을 통해 아웃폴딩 동작에 대응하여 무빙유닛이 작업판유닛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시스템에서 시스템본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시스템에서 슬라이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에서 슬라이딩유닛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부분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에서 폴딩유닛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부분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의 인폴딩 동작과 아웃폴딩 동작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에서 언폴딩 상태를 도시한 요부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에서 인폴딩 완료 상태를 도시한 요부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에서 인폴딩 완료 시 파지부재와 무빙유닛의 초기 배치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에서 아웃폴딩 완료 상태를 도시한 요부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에서 아웃폴딩 완료 시 파지부재와 무빙유닛의 초기 배치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 및 평가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시스템은 슬라이딩장치(100)와, 시스템본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장치(100)는 언폴딩 상태에서 플렉시블 소재(F)의 폴딩 동작을 구현함은 물론 폴딩된 상태에서 플렉시블 소재(F)의 일측에 대한 슬라이딩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슬라이딩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10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플렉시블 소재(F)는 각종 시트, 각종 필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하고, 폴딩 동작이 완료됨에 따라 벤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플렉시블 소재(F)가 접히는 경우, 플렉시블 소재(F)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소재(F)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100)는 베이스유닛(B)과, 슬라이딩유닛(10)과, 폴딩유닛을 포함하고, 슬라이딩지지유닛(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유닛(B)은 슬라이딩장치(100)의 바닥을 형성한다. 베이스유닛(B)에는 폴딩유닛의 폴딩 동작에 대응하여 폴딩공간(B1)이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딩공간(B1)의 폭에 대응하여 베이스유닛(B)의 폭 방향 양단부에는 폴딩브라켓(B2)이 구비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폴딩공간(B1)의 폭에 대응하여 베이스유닛(B)의 폭 방향 양단부에는 각각 폴딩브라켓(B2)에서 이격되어 슬라이딩레일(11)이 구비되는 것이 유리하다. 베이스유닛(B)의 폭 방향은 베이스유닛(B)의 길이 방향 또는 슬라이딩유닛(10)의 슬라이딩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이고, 회전축(41)의 축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을 나타낸다.
베이스유닛(B)은 시스템본체(200)의 작업판유닛(300)에 결합된다. 베이스유닛(B)은 장치걸림유닛(미도시)을 매개로 작업판유닛(300)에서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슬라이딩장치(100)의 일부 또는 전체에 대한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슬라이딩유닛(10)은 평가할 플렉시블 소재(F)의 일측을 고정한다. 슬라이딩유닛(10)은 베이스유닛(B)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한다. 슬라이딩유닛(10)은 플렉시블 소재(F)가 인폴딩되거나 아웃폴딩된 상태에서 베이스유닛(B)에서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플렉시블 소재(F)에 형성된 벤딩부(F1, F2)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슬라이딩유닛(10)은 슬라이딩레일(11)과, 슬라이더(12)와, 파지부재(16)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레일(11)은 베이스유닛(B)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슬라이딩레일(11)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베이스유닛(B)의 폭 방향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므로, 폴딩공간(B1)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슬라이더(12)는 슬라이딩레일(1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슬라이더(12)는 한 쌍의 슬라이딩레일(11)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구비된다. 또한, 슬라이더(12)는 하나의 슬라이딩레일(11)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슬라이더(12)에는 슬라이딩브라켓(121)이 적층 결합된다. 한 쌍의 슬라이딩브라켓(121)에는 베이스유닛(B)의 폭 방향에 대응하여 파지부재(16)의 양단부가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슬라이딩레일(11)과 슬라이더(12)의 결합 구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통해 슬라이딩레일(11)에서 슬라이더(12)가 안정되게 슬라이드 이동되고, 슬라이더(12)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파지부재(16)는 슬라이더(12)에 결합된다. 파지부재(16)의 양단부는 각각 한 쌍의 슬라이더(12)에서 슬라이딩브라켓(121)에 각각 결합된다. 파지부재(16)에는 플렉시블 소재(F)의 일측이 적층 고정된다.
슬라이딩유닛(10)은 슬라이딩모터(14)와, 슬라이딩변환부(15)를 더 포함한다.
슬라이딩모터(14)는 슬라이더(12)의 슬라이드 이동을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슬라이딩모터(14)는 지지판유닛(400)에 결합되는 것이 유리하다. 슬라이딩모터(14)는 슬라이딩변환부(15)와 결합된다. 슬라이딩모터(14)에는 슬라이딩변환부(15)에 연결되는 슬라이딩축(141)이 구비된다.
슬라이딩변환부(15)는 슬라이딩모터(14)의 회전력으로 슬라이더(12)를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슬라이딩변환부(15)는 구동롤러(151)와, 아이들롤러(152)와, 전달벨트(153)와, 슬라이딩가이드(154)와, 변환이동부재(155)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롤러(151)는 슬라이딩모터(14)의 슬라이딩축(141)이 결합되어 슬라이딩모터(14)에 의해 회전된다. 구동롤러(151)는 지지판유닛(4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아이들롤러(152)는 베이스유닛(B)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동롤러(151)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다. 아이들롤러(152)는 지지판유닛(4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아이들롤러(152)는 베이스유닛(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판유닛(400)에 결합되므로, 전달벨트(153)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전달벨트(153)는 구동롤러(151)와 아이들롤러(152)를 무한궤도 방식으로 연결한다.
여기서, 구동롤러(151)와 아이들롤러(152)는 타이밍풀리로 구성되고, 전달벨트(153)는 타이밍벨트로 구성되어 슬라이딩모터(14)의 회전력을 안정되게 전달하고, 전달벨트(153)가 미끌림없이 무한궤도 방식으로 안정되게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딩가이드(154)는 전달벨트(153)에서 이격되어 베이스유닛(B)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슬라이딩가이드(154)는 변환이동부재(155)의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슬라이딩가이드(154)는 지지판유닛(400) 또는 작업판유닛(300)에 결합될 수 있다.
변환이동부재(155)는 전달벨트(153)에 고정된 상태에서 슬라이딩가이드(154)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변환이동부재(155)는 슬라이더(12) 또는 슬라이딩브라켓(121)에 결합되어 변환이동부재(155)가 슬라이딩가이드(154)에서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슬라이더(12)는 슬라이딩레일(11)에서 슬라이드 이동된다. 변환이동부재(155)에는 전달벨트(153)와의 결합을 위한 벨트브라켓(156)과, 슬라이더(12)와의 탈부착 가능한 결합을 위한 탈착돌부(157)가 구비된다.
슬라이딩유닛(10)은 연결브라켓(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브라켓(13)은 슬라이더(12) 또는 슬라이딩브라켓(121)에서 슬라이딩변환부(15)를 향해 구비된다. 연결브라켓(13)은 슬라이딩변환부(15)의 탈착돌부(157)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연결브라켓(13)에는 탈착돌부(157)가 끼움 결합되는 탈착홈부(131)가 함몰 형성되므로, 탈착홈부(131)와 탈착돌부(157)의 끼움 결합에 따라 연결브라켓(13)과 슬라이딩변환부(15)의 변환이동부재(155)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슬라이딩유닛(10)은 이동제한센서부(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제한센서부(17)는 파지부재(16)가 폴딩유닛에 가까워진 상태와 파지부재(16)가 폴딩유닛에서 멀어진 상태를 감지한다. 이동제한센서부(17)는 슬라이더(12)의 슬라이드 이동량을 제한할 수 있다. 이동제한센서부(17)는 제1제한부(171)와, 제2제한부(172)와, 연동돌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
연동돌부(173)는 슬라이딩변환부(15) 또는 슬라이더(12)에 구비된다. 연동돌부(173)는 폴딩유닛과 마주보는 파지부재(16)의 단부 위치를 대변할 수 있다. 연동돌부(173)는 슬라이딩변환부(15)의 변환이동부재(155) 또는 전달벨트(153) 또는 슬라이더(12) 또는 슬라이딩브라켓(121)에 구비될 수 있다.
제1제한부(171)는 파지부재(16)가 폴딩유닛으로부터 멀어진 상태에 대응하여 슬라이딩변환부(15)에서 이격 배치된다. 제1제한부(171)는 지지판유닛(400)에 결합된다. 제1제한부(171)는 연동돌부(173)를 감지한다. 제1제한부(171)가 연동돌부(173)를 감지하면, 폴딩유닛 쪽으로부터 이동하는 파지부재(16)의 슬라이드 이동을 정지시키고, 슬라이더(12)가 폴딩유닛 쪽으로 가까워지는 슬라이드 이동이 구현되도록 한다.
제2제한부(172)는 파지부재(16)가 폴딩유닛에 가까워진 상태에 대응하여 슬라이딩변환부(15)에서 이격 배치된다. 제2제한부(172)는 지지판유닛(400)에 결합된다. 제2제한부(172)는 연동돌부(173)를 감지한다. 제2제한부(172)가 연동돌부(173)를 감지하면, 폴딩유닛 쪽으로 이동하는 파지부재(16)의 슬라이드 이동을 정지시키고, 슬라이더(12)가 폴딩유닛 쪽으로부터 멀어지는 슬라이드 이동이 구현되도록 한다.
폴딩유닛은 평가할 플렉시블 소재(F)의 타측을 고정한다. 폴딩유닛은 슬라이딩유닛(10)에서 이격 배치된다. 폴딩유닛은 슬라이딩유닛(10)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언폴딩 상태의 플렉시블 소재(F)를 인폴딩시키거나 아웃폴딩시킬 수 있다.
폴딩유닛은 무빙유닛(20)과, 모션가이드유닛(30)과, 모션유닛(40)을 포함할 수 있다.
무빙유닛(20)은 언폴딩 상태에서 슬라이딩유닛(10)의 파지부재(16)와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슬라이딩유닛(10)에서 이격 배치된다. 무빙유닛(20)은 플렉시블 소재(F)의 타측을 고정한다. 무빙유닛(20)은 슬라이딩유닛(10)을 기준으로 모션가이드유닛(30)을 따라 회동함에 따라 언폴딩 상태의 플렉시블 소재(F)를 인폴딩시키거나 아웃폴딩시킬 수 있다.
무빙유닛(20)의 양단부는 베이스유닛(B)의 폭 방향에 대응하여 무빙브라켓(21)을 매개로 모션유닛(40)에 고정된다.
무빙유닛(20)은 플렉시블 소재(F)의 인폴딩 동작과 플렉시블 소재(F)의 아웃폴딩 동작에 대응하여 모션유닛(40)을 기준으로 피벗 회전 가능한 한편, 슬라이딩유닛(10)과 무빙유닛(20) 사이의 중간지점을 통과하는 법선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므로, 무빙유닛(20)이 언폴딩 상태의 플렉시블 소재(F)를 인폴딩시키거나 아웃폴딩시킬 때, 플렉시블 소재(F)에 인장력을 포함한 잡력이 가해지지 않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폴딩 상태에서 플렉시블 소재(F)에 형성되는 인폴딩벤딩부(F1)의 반지름을 R0 라 하고, 아웃폴딩 상태에서 플렉시블 소재(F)에 형성되는 아웃폴딩벤딩부(F2)의 반지름을 R1 이라 하면, R1은 R0보다 큰 반지름이고, 인폴딩 동작을 기준으로 슬라이딩유닛(10)과 무빙유닛(20) 사이의 이격거리는 πR1 으로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R1은 R0의 2배 내지 3배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나의 폴딩유닛이 언폴딩 상태의 플렉시블 소재(F)를 인폴딩시키거나 아웃폴딩시킬 때, 인폴딩 동작과 아웃폴딩 동작이 상호 간섭되지 않고, 부드럽게 플렉시블 소재(F)를 구부릴 수 있게 된다.
모션가이드유닛(30)은 슬라이딩유닛(10)과 무빙유닛(20) 사이의 지점을 중심으로 무빙유닛(20)이 회전 가능하도록 무빙유닛(20)의 회전경로를 형성한다. 모션가이드유닛(30)은 폴딩공간(B1)을 기준으로 한 쌍이 상호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되어 한 쌍의 폴딩브라켓(B2)에 각각 결합된다.
모션가이드유닛(30)에는 무빙유닛(20)의 회전경로에 대응하여 원 형상의 가이드홈부가 함몰 형성된다. 원 형상인 가이드홈부의 중심은 슬라이딩유닛(10)과 무빙유닛(20) 사이의 지점으로 선정할 수 있다.
가이드홈부는 이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부는 무빙유닛(20)의 이동경로 중 인폴딩 동작에 따라 모션유닛(40)에 구비되는 가이드돌부(제1돌부(443))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호 형상의 제1인폴딩홈(31)과, 제1인폴딩홈(31)의 외측으로 평행하게 구비되고 무빙유닛(20)의 이동경로 중 인폴딩 동작에 따라 모션유닛(40)에 구비되는 가이드돌부(제2돌부(444))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호 형상의 제2인폴딩홈(32)과, 제1인폴딩홈(31)과 연통되고 무빙유닛(20)의 이동경로 중 아웃폴딩 동작에 따라 모션유닛(40)에 구비되는 가이드돌부(제1돌부(443))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호 형상의 제1아웃폴딩홈(33)과, 제2인폴딩홈(32)과 연통된 상태에서 제1아웃폴딩홈(33)의 외측으로 평행하게 구비되고 무빙유닛(20)의 이동경로 중 아웃폴딩 동작에 따라 모션유닛(40)에 구비되는 가이드돌부(제2돌부(444))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호 형상의 제2아웃폴딩홈(3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제1인폴딩홈(31)과 제1아웃폴딩홈(33)은 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 형상을 나타내고, 제2인폴딩홈(32)과 제2아웃폴딩홈(34)은 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홈부에는 인폴딩 완료 위치를 나타내는 인폴딩스토퍼(301)와, 아웃폴딩 완료 위치를 나타내는 아웃폴딩스토퍼(302)가 구비됨으로써, 플렉시블 소재(F)의 인폴딩 완료 상태 및 플렉시블 소재(F)의 아웃폴딩 완료 상태에서 무빙유닛(20)이 추가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인폴딩스토퍼(301)는 제1인폴딩홈(31)의 자유단부와 제2인폴딩홈(32)의 자유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아웃폴딩스토퍼(302)는 제1아웃폴딩홈(33)의 자유단부와 제2아웃폴딩홈(34)의 자유단부에 각각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측면에서 슬라이딩유닛(10)을 기준으로 하는 인폴딩스토퍼(301)의 위치에 있어서, 제2인폴딩홈(32)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인폴딩스토퍼(301)는 제1인폴딩홈(31)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인폴딩스토퍼(301)보다 아래에 배치됨에 따라 플렉시블 소재(F)의 인폴딩 완료 상태에서 슬라이딩유닛(10)의 파지부재(16)와 무빙유닛(20)이 실질적으로 평행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측면에서 슬라이딩유닛(10)을 기준으로 하는 아웃폴딩스토퍼(302)의 위치에 있어서, 제2아웃폴딩홈(34)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아웃폴딩스토퍼(302)는 제1아웃폴딩홈(33)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아웃폴딩스토퍼(302)보다 아래에 배치됨에 따라 플렉시블 소재(F)의 아웃폴딩 완료 상태에서 슬라이딩유닛(10)의 파지부재(16)와 무빙유닛(20)이 실질적으로 평행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모션유닛(40)은 모션가이드유닛(30)과 무빙유닛(20)을 연결한다. 모션유닛(40)은 회전축(41)과, 모션블럭(42)과, 슬라이딩블럭(43)과, 가이드블럭(4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무빙유닛(20)은 무빙브라켓(21)을 매개로 가이드블럭(44)에 고정되도록 한다.
회전축(41)은 지점에서 모션가이드유닛(3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회전축(41)은 폴딩브라켓(B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회전축(41)은 축베어링을 매개로 모션가이드유닛(30)과 폴딩브라켓(B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모션블럭(42)은 회전축(41)에 고정된다. 모션블럭(42)은 지점을 통과하는 가상의 직선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모션블럭(42)에는 연결가이드(45)의 결합을 위한 가이드안착부(421)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모션블럭(42)에는 슬라이딩블럭(43)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응하여 가이드블럭(44)의 고정바디(442)가 삽탈 가능한 블럭안착부(422)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블럭(43)은 모션블럭(42)에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슬라이딩블럭(43)에는 가이드블럭(44)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벗홀(431)이 관통 형성되어 가이드블럭(44)과 무빙유닛(20)의 결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피벗홀(431)의 내벽에는 가이드블럭(44)의 회전바디(44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블럭지지부시(432)가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블럭(44)은 슬라이딩블럭(4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가이드블럭(4$)에는 무빙유닛(20)의 회전에 대응하여 가이드홈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홈부와 끼움 결합되는 가이드돌부가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블럭(44)은 슬라이딩블럭(4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무빙브라켓(21)을 매개로 무빙유닛(20)이 고정되는 회전바디(441)와, 회전바디(441)에 구비되고 가이드돌부가 돌출 형성되는 고정바디(44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무빙유닛(20)이 회전됨에 따라 모션블럭(42)을 기준으로 슬라이딩블럭(43)은 슬라이드 이동되고, 슬라이딩블럭(43)을 기준으로 가이드블럭(44)이 회전됨에 따라 가이드돌부는 가이드홈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안정되게 이동되고, 플렉시블소재(F)의 인폴딩 완료 상태 및 플렉시블소재(F)의 아웃폴딩 상태에서 슬라이딩유닛(10)의 파지부재(16)와 무빙유닛(20)이 실질적으로 평행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돌부는 이중 구조의 가이드홈부에 대응하여 두 개가 상호 이격되어 고정바디(442)에서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돌부는 제1인폴딩홈(31)과 제1아웃폴딩홈(33)에서 이동되는 제1돌부(443)와, 제1돌부(443)에서 이격되어 제2인폴딩홈(32)과 제2아웃폴딩홈(34)에서 이동되는 제2돌부(444)를 포함한다. 이때, 제1돌부(443)와 제2돌부(444) 중 어느 하나는 지점을 통과하는 가상의 직선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고, 제1돌부(443)와 제2돌부(444) 중 다른 하나는 지점을 통과하는 가상의 직선 중 다른 하나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돌부(443)가 지점을 통과하는 가상의 직선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면, 제2돌부(444)는 인폴딩 방향을 기준으로 제1돌부(443)가 포함된 가상의 직선 전방에 배치되도록 한다.
모션유닛(40)은 연결가이드(45)와, 지지베어링(4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가이드(45)는 모션블럭(42)과 슬라이딩블럭(43)을 연결한다. 연결가이드(45)는 모션블럭(42)의 가이드안착부(421)에 결합되는 모션지지부와, 모션지지부와 마주보도록 슬라이딩블럭(43)에 결합되는 가이드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가이드(45)는 모션지지부와 가이드지지부 사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감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연결가이드(45)는 모션블럭(42)을 기준으로 슬라이딩블럭(43)의 슬라이드 이동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또한, 감쇄부는 모션지지부와 가이드지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마찰을 감쇄시킬 수 있다.
지지베어링(46)은 슬라이딩블럭(43)의 피벗홀(431)에 삽입될 수 있다. 지지베어링(46)은 블럭지지부시(432)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지지베어링(46)은 슬라이딩블럭(43)에서 가이드블럭(44)의 회전바디(44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폴딩유닛은 모션구동유닛(50)과, 회전제한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션구동유닛(50)은 모션가이드유닛(30)을 기준으로 모션유닛(40)을 회전시킨다. 모션구동유닛(50)은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모션유닛(40)의 회전축(41)을 정역 회전시킬 수 있다. 모션구동유닛(50)에는 모션유닛(40)의 회전축(41)과의 연결을 위한 모션구동축(51)이 구비된다.
모션구동유닛(50)에는 모션구동축(51)과 회전축(41)을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왕복탈착부(52)가 포함될 수 있다.
왕복탈착부(52)는 회전축(41)에 결합되는 제1탭부(521)와, 모션구동유닛(50)의 모션구동축(51)에 결합되는 제2탭부(5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탭부(521)에는 둘 이상의 제1탈착부(522)가 상호 이격되어 제2탭부(523)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제2탭부(523)에는 둘 이상의 제2탈착부(524)가 상호 이격되어 제1탭부(521)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그러면, 제1탈착부(522)와 제2탈착부(524)가 교대로 배치되도록 제1탭부(521)와 제2탭부(523)를 연결함에 따라 모션구동축(51)의 회전력을 회전축(41)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41) 또는 모션구동축(51)의 축 방향에 대응하여 베이스유닛(B)을 이동시키게 되면, 제1탭부(521)와 제2탭부(523)를 분리할 수 있다.
왕복탈착부(52)는 제1탭부(521)와 제2탭부(523) 사이에서 제1탭부(521)와 제2탭부(523)가 각각 끼움 결합되는 조인트부(5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인트부(525)에는 제1탈착부(522)에 대응하여 제1탭부(521)와 마주보는 면에 함몰 형성되는 제1조인트탈착부(526)와, 제2탈착부(524)에 대응하여 제2탭부(523)와 마주보는 면에 함몰 형성되는 제2조인트탈착부(527)가 구비된다. 그러면, 제1탈착부(522)가 제1조인트탈착부(526)에 끼움 결합되고, 제2탈착부(524)가 제2조인트탈착부(527)에 끼움 결합됨에 따라 모션구동축(51)의 회전력을 회전축(41)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41) 또는 모션구동축(51)의 축 방향에 대응하여 베이스유닛(B)을 이동시키게 되면, 제1탭부(521)와 조인트부(525)와 제2탭부(523)를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왕복탈착부(52)가 제1탭부(521)와 조인트부(525)와 제2탭부(523)를 포함할 때, 제1탭부(521)에 제1조인트탈착부(526)가 함몰 형성되는 경우, 조인트부(525)에 제1탈착부(522)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제2탭부(523)에 제2조인트탈착부(527)가 함몰 형성되는 경우, 조인트부(525)에 제2탈착부(52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제한유닛(미도시)은 지점에서 모션가이드유닛(30)을 기준으로 무빙유닛(20) 또는 모션유닛(40)의 회전 여부를 선택한다. 회전제한유닛(미도시)은 한 쌍의 폴딩브라켓(B2)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한브라켓과, 제한브라켓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한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레버에는 회전축(41)이 통과하는 축통과홀이 관통 형성된다.
그러면, 제한레버가 초기 상태에서 폴딩브라켓(B2)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위치에서는 축통과홀에서 회전축(41)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제한레버가 회전축(41)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제한레버를 피벗 운동시켜 폴딩브라켓(B2)과 경사지게 배치되는 위치에서는 축통과홀의 내측면이 회전축(41)의 외주면에 형성된 지지면에 접촉 또는 밀착되므로 제한레버가 회전축(41)에 고정되어 회전축(41)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슬라이딩지지유닛(70)은 플렉시블 소재(F)가 인폴딩되거나 아웃폴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유닛(10)이 베이스유닛(B)에서 슬라이드 이동될 때, 플렉시블 소재(F)를 지지한다.
슬라이딩지지유닛(70)은 제1서포터(71)와, 제2서포터(72)와, 제3서포터(7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서포터(71)는 인폴딩 동작을 기준으로 파지부재(16)에서 연장 형성된다. 제1서포터(7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폴딩 동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슬라이딩유닛(10)의 파지부재(16)와 동일 평면에 연장 형성된다. 제1서포터(71)는 인폴딩 동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파지부재(16)가 슬라이드 이동될 때, 파지부재(16)와 함께 이동하면서 플렉시블 소재(F)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플렉시블 소재(F)의 벤딩부(인폴딩벤딩부(F1))가 이동되면서 반지름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플렉시블 소재(F)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서포터(71)는 인폴딩 동작이 완료된 파지부재(16)와 결합되므로, 인폴딩 동작에서 제1서포터(71)가 무빙유닛(2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파지부재(16)와 제1서포터(71)의 결합 관계를 한정하지 않는다.
제2서포터(72)는 아웃폴딩 동작을 기준으로 무빙유닛(20)에 적층된 플렉시블 소재(F)에 적층 지지된다. 제2서포터(7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폴딩 동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무빙유닛(20)의 단부에 적층된 플렉시블 소재(F)에 적층 지지된다. 제2서포터(72)는 아웃폴딩 동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파지부재(16)가 슬라이드 이동될 때, 플렉시블 소재(F)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플렉시블 소재(F)의 벤딩부(아웃폴딩벤딩부(F2))가 이동되면서 플렉시블 소재(F)를 수평으로 지지할 수 있고, 플렉시블 소재(F)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서포터(72)는 아웃폴딩 동작이 완료된 무빙유닛(20)에서 플렉시블 소재(F)에 적층 지지되거나, 언폴딩 상태의 무빙유닛(20)에서 플렉시블 소재(F)에 적층 지지될 수 있다. 제2서포터(72)는 무빙브라켓(21)에 구비된 서포터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3서포터(73)는 아웃폴딩 동작을 기준으로 파지부재(16)에 적층된 플렉시블 소재(F)에 적층 지지된다. 제3서포터(73)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폴딩 동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파지부재(16)가 슬라이드 이동될 때, 플렉시블 소재(F)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플렉시블 소재(F)의 벤딩부(아웃폴딩벤딩부(F2))가 이동되면서 제2서포터(72)와 함께 플렉시블 소재(F)를 지지하여 반지름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플렉시블 소재(F)의 벤딩부(아웃폴딩벤딩부(F2))의 형상 변경을 방지할 수 있다. 제3서포터(73)는 언폴딩 상태의 파지부재(16)에서 플렉시블 소재(F)에 적층 지지되거나, 아웃폴딩 동작이 완료된 파지부재(16)에서 플렉시블 소재(F)에 적층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제3서포터(73)는 파지부재(16)에 적층된 플렉시블 소재(F)에 적층 지지되면서 파지부재(16)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면, 인폴딩 동작에 대응하여 파지부재(16)가 무빙유닛(20)에 인접하여 πR1의 이격거리를 나타내는 언폴딩 상태(제2제한부(172)가 연동돌부(173)를 감지한 상태)에서 인폴딩 동작이 구현되도록 하므로,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폴딩 동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파지부재(16)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제1서포터(71)가 플렉시블 소재(F)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아웃폴딩 동작에 대응하여 파지부재(16)가 무빙유닛(20)에서 멀어진 언폴딩 상태(제1제한부(171)가 연동돌부(173)를 감지한 상태)에서 아웃폴딩 동작이 구현되도록 하므로,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폴딩 동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파지부재(16)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제2서포터(72)와 제3서포터(73)가 연계하여 플렉시블 소재(F)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시스템본체(200)는 슬라이딩장치(100)가 결합된다. 시스템본체(200)에는 점검도어를 통해 점거공간을 개폐함으로써, 점검공간의 개방을 통해 점검공간에 배치된 슬라이딩모터(14)와, 모션구동유닛(50) 등 각종 구성폼을 유지 보수할 수 있고, 점검공간의 폐쇄를 통해 점검공간에 배치된 슬라이딩모터(14)와, 모션구동유닛(50) 등 각종 구성폼을 보호할 수 있다.
시스템본체(200)에는 슬라이딩장치(100)이 배치되는 작업공간(201)이 구비되고, 작업공간(201)은 작업도어(21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시스템본체(200)에서 작업공간(201)의 상부에는 슬라이딩장치(10)를 감시하는 촬영유닛(220)이 구비될 수 있다. 촬영유닛(200)은 지지판유닛(400) 또는 작업도어(210)에 구비되어 슬라이딩장치(10)를 촬영할 수 있다.
시스템본체(200)는 작업판유닛(300)과, 지지판유닛(400)을 포함하고, 제어유닛(미도시)과 디스플레이(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작업판유닛(300)은 베이스유닛(B)이 결합된다. 작업판유닛(300)에는 폴딩공간(B1)에 대응하여 연통공간(310)이 관통 형성되므로, 폴딩유닛의 무빙유닛(20)이 폴딩 동작을 구현할 때, 무빙유닛(20)이 작업판유닛(30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판유닛(400)은 판 형상으로 작업판유닛(300)에 구비된다. 지지판유닛(400)은 작업판유닛(300)의 상면에서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유닛(400)에는 점검공간을 향해 폴딩유닛에 구비되는 모션구동유닛(50)과 슬라이딩유닛(10)에 구비되는 슬라이딩모터(14)가 지지된다. 지지판유닛(400)에는 베이스유닛(B)을 향해 슬라이딩유닛(10)에 구비되는 슬라이딩변환부(15)가 지지된다.
제어유닛(미도시)은 슬라이딩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유닛(미도시)은 이동제한센서부(17)의 감지 동작에 따라 언폴딩 상태를 특정하고, 모션구동유닛(50)의 동작을 제어하여 인폴딩 동작과 아웃폴딩 동작을 제어하며, 이동제한센서부(17)와 연계된 슬라이딩모터(14)의 동작을 제어하여 파지부재(16)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유닛(미도시)은 촬영유닛(2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미도시)는 슬라이딩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제어유닛(미도시)의 제어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소재(F)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100) 및 평가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인폴딩 동작>
플렉시블 소재(F)의 규격에 대응하여 슬라이딩장치(100)를 작업판유닛(300)에 정위치 고정시킨다. 이때, 슬라이딩유닛(10)의 파지부재(16)는 무빙유닛(20)으로부터 πR1의 이격거리를 나타내면서 무빙유닛(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고, 제2제한부(172)는 연동돌부(173)를 감지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플렉시블 소재(F)의 양단부를 각각 파지부재(16)와 무빙유닛(20)에 고정시키고, 모션구동유닛(50)을 동작시키면, 제1돌부(443)와 제2돌부(444)는 각각 제1인폴딩홈(31)과 제2인폴딩홈(32)을 따라 이동하다가 인폴딩스토퍼(301)에 지지되면서 정지함에 따라 인폴딩 동작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슬라이딩유닛(10)은 제1제한부(171)가 연동돌부(173)를 감지하도록 파지부재(16)를 회전축(41)에서 멀어지도록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제한부(171)가 연동돌부(173)를 감지한 상태에서 제2제한부(172)가 연동돌부(173)를 감지하도록 파지부재(16)를 회전축(41)에 접근하도록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언폴딩 동작>
플렉시블 소재(F)의 규격에 대응하여 슬라이딩장치(100)를 작업판유닛(300)에 정위치 고정시킨다. 이때, 슬라이딩유닛(10)의 파지부재(16)는 무빙유닛(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고, 제1제한부(171)는 연동돌부(173)를 감지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플렉시블 소재(F)의 양단부를 각각 파지부재(16)와 무빙유닛(20)에 고정시키고, 모션구동유닛(50)을 동작시키면, 제1돌부(443)와 제2돌부(444)는 각각 제1아웃폴딩홈(33)과 제2아웃폴딩홈(34)을 따라 이동하다가 아웃폴딩스토퍼(302)에 지지되면서 정지함에 따라 아웃폴딩 동작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슬라이딩유닛(10)은 제2제한부(172)가 연동돌부(173)를 감지하도록 파지부재(16)를 회전축(41)에 접근하도록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제한부(172)가 연동돌부(173)를 감지한 상태에서 제1제한부(171)가 연동돌부(173)를 감지하도록 파지부재(16)를 회전축(41)에서 멀어지도록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플렉시블 소재(F)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100) 및 평가시스템에 따르면, 플렉시블한 플렉시블 소재(F)의 폴딩 시험을 실시할 때, 하나의 폴딩유닛에서 언폴딩 상태를 기준으로 플렉시블 소재(F)의 인폴딩 동작과 아웃폴딩 동작을 구현하고, 폴딩 상태에서 플렉시블 소재(F)에 형성되는 벤딩부(F1, F2)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슬라이딩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필름형으로 플렉시블한 플렉시블 소재(F)의 폴딩 시험을 실시할 때, 하나의 폴딩유닛에서 플렉시블 소재(F)를 기준으로 플렉시블 소재(F)의 양면으로 각각 180도씩 반복적으로 폴딩시킴으로써, 플렉시블 소재(F)를 양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폴딩시킬 수 있고, 폴딩 상태에서 슬라이딩유닛(10)이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플렉시블 소재(F)에 형성된 벤딩부(F1, F2)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유닛(B)에서 슬라이딩유닛(10)과 폴딩유닛의 결합 관계를 통해 플렉시블 소재(F)의 초기 세팅을 명확하게 하고, 슬라이딩유닛(10)의 슬라이딩 동작과 폴딩유닛의 폴딩 동작을 명확하게 하며, 폴딩 상태에서 슬라이딩유닛(10)의 슬라이드 이동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유닛(10)의 세부 구성을 통해 베이스유닛(B)에서 슬라이더(12)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폴딩유닛의 아웃폴딩 동작에 대응하여 슬라이딩유닛(10)에 폴딩유닛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유닛(10)에서 슬라이딩모터(14)와 슬라이딩변환부(15)의 부가 구성을 통해 슬라이딩모터(14)의 회전력으로 슬라이더(12)의 직선 운동을 안정화시켜 플렉시블 소재(F)의 직선 왕복 이동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유닛(10)에서 연결브라켓(13)의 부가 구성을 통해 연결브라켓(13)과 슬라이딩변환부(15)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슬라이딩변환부(15)로부터 연결브라켓(13) 및 슬라이더(12)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여 플렉시블 소재(F)의 규격에 따라 슬라이딩장치(100)의 교체 및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유닛(10)에서 슬라이딩변환부(15)의 세부 구성을 통해 슬라이딩모터(14)에 의한 회전 운동을 슬라이더(12)의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여 슬라이더(12)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폴딩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플렉시블 소재(F)의 폴딩 동작을 명확하게 하고, 인폴딩에 따른 인폴딩벤딩부(F1)의 반지름(R0)과 아웃폴딩에 따른 아웃폴딩벤딩부(F2)의 반지름(R1)을 서로 다르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폴딩유닛에서 모션가이드유닛(30)과 모션유닛(40)의 결합 관계를 통해 무빙유닛(20)의 회전 과정에서 무빙유닛(20)의 불필요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모션유닛(40)의 세부 구성을 통해 무빙유닛(2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플렉시블 소재(F)의 폴딩 시험을 실시할 때, 인폴딩 동작과 아웃폴딩 동작을 구현할 때, 플렉시블 소재(F)에 인장력을 포함한 잡력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테스트의 신뢰성이 높고 그만큼 정확한 내구성 평가를 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301, 302)의 구성을 통해 플렉시블 소재(F)의 폴딩 시험을 실시할 때, 인폴딩 동작과 아웃폴딩 동작을 구현할 때, 가이드홈부에서 가이드돌부를 정지시키고, 플렉시블 소재(F)의 폴딩 완료 상태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부의 세부 구성을 통해 무빙유닛(20)의 회전경로를 명확하게 하고, 폴딩 완료 위치에서 슬라이딩유닛(10)의 파지부재(16)와 무빙유닛(20)의 평행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돌부의 세부 구성을 통해 무빙유닛(20)이 회전될 때, 모션유닛(40)의 동작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모션구동유닛(50)의 구성을 통해 폴딩 실험을 자동화할 수 있다.
또한, 회전제한유닛(미도시)의 구성을 통해 무빙유닛(20)의 회전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유닛(10)에서 이동제한센서부(17)의 부가 구성을 통해 슬라이더(12)의 슬라이드 이동량을 제한하고, 인폴딩 동작과 아웃폴딩 동작에 대응하여 언폴딩 상태에서 슬라이더(12)의 초기 위치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지지유닛(70)의 부가 구성을 통해 플렉시블 소재(F)가 폴딩된 상태에서 슬라이더(12)가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플렉시블 소재(F)에 형성된 벤딩부의 반지름을 유지시키고, 벤딩부의 위치 추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수치한정 사항을 통해 하나의 폴딩유닛에서 인폴딩 동작과 아웃폴딩 동작이 상호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플렉시블 소재(F)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작업판유닛(300)의 부가 구성을 통해 슬라이딩장치(100)의 베이스유닛(B)을 정위치시키고, 슬라이딩장치(1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베이스유닛(B)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판유닛(400)의 부가 구성을 통해 슬라이딩장치(100)의 슬라이딩모터(14)와 폴딩유닛의 모션구동유닛(50)과 슬라이딩변환부(15) 그리고 이동제한센서부(17)를 정위치에 고정시키고, 동력 전달 체계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연통공간(310)을 통해 아웃폴딩 동작에 대응하여 무빙유닛(20)이 작업판유닛(30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B: 베이스유닛 B1: 폴딩공간 B2: 폴딩브라켓
10: 슬라이딩유닛 11: 슬라이딩레일 12: 슬라이더
121: 슬라이딩브라켓 13: 연결브라켓 131: 탈착홈부
14: 슬라이딩모터 141: 슬라이딩축 15: 슬라이딩변환부
151: 구동롤러 152: 아이들롤러 153: 전달벨트
154: 슬라이딩가이드 155: 변환이동부재 156: 벨트브라켓
157: 탈착돌부 16: 파지부재 17: 이동제한센서부
171: 제1제한부 172: 제2제한부 173: 연동돌부
20: 무빙유닛 21: 무빙브라켓 30: 모션가이드유닛
31: 제1인폴딩홈 32: 제2인폴딩홈 33: 제1아웃폴딩홈
34: 제2아웃폴딩홈 301: 인폴딩스토퍼 302: 아웃폴딩스토퍼
40: 모션유닛 41: 회전축 42: 모션블럭
421: 가이드안착부 422: 블럭안착부 43: 슬라이딩블럭
431: 피벗홀 432: 블럭지지부시 44: 가이드블럭
441: 회전바디 442: 고정바디 443: 제1돌부
444: 제2돌부 45: 연결가이드 46: 지지베어링
50: 모션구동유닛 51: 모션구동축 52: 왕복탈착부
521: 제1탭부 522: 제1탈착부 523: 제2탭부
524: 제2탈착부 525: 조인트부 526: 제1조인트탈착부
527: 제2조인트탈착부 70: 슬라이딩지지유닛 71: 제1서포터
72: 제2서포터 73: 제3서포터
100: 슬라이딩장치 200: 시스템본체 201: 작업공간
210: 작업도어 220: 촬영유닛 300: 작업판유닛
310: 연통공간 400: 지지판유닛
F1: 인폴딩벤딩부 F2: 아웃폴딩벤딩부 R0: 인폴딩반지름
R1: 아웃폴딩반지름 Pin: 인폴딩경로 Pout: 아웃폴딩경로
F: 플렉시블 소재

Claims (15)

  1. 폴딩공간이 관통 형성된 베이스유닛;
    평가할 플렉시블 소재의 일측을 고정하되, 상기 베이스유닛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유닛; 및
    상기 플렉시블 소재의 타측을 고정하되, 상기 슬라이딩유닛에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유닛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언폴딩 상태의 상기 플렉시블 소재를 인폴딩시키거나 아웃폴딩시키는 폴딩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유닛은,
    상기 플렉시블 소재가 인폴딩되거나 아웃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유닛에서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플렉시블 소재에 형성된 벤딩부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유닛은,
    상기 베이스유닛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슬라이딩레일;
    상기 슬라이딩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고, 상기 플렉시블 소재의 일측이 고정되는 파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유닛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슬라이딩모터; 및
    상기 슬라이딩모터의 회전력으로 상기 슬라이더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유닛은,
    상기 슬라이더에서 상기 슬라이딩변환부를 향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변환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유닛은,
    언폴딩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유닛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슬라이딩유닛에서 이격 배치되고, 상기 플렉시블 소재의 타측이 고정되는 무빙유닛;
    상기 슬라이딩유닛과 상기 무빙유닛 사이의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무빙유닛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무빙유닛의 회전경로가 형성되는 모션가이드유닛; 및
    상기 모션가이드유닛과 상기 무빙유닛을 연결하는 모션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무빙유닛은,
    상기 슬라이딩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모션가이드유닛을 따라 회동함에 따라 언폴딩 상태의 상기 플렉시블 소재를 인폴딩시키거나 아웃폴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가이드유닛에는, 상기 무빙유닛의 회전경로에 대응하여 원 형상의 가이드홈부;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모션유닛은,
    상기 지점에서 상기 모션가이드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모션블럭;
    상기 모션블럭에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블럭; 및
    상기 슬라이딩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무빙유닛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홈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홈부와 끼움 결합되는 가이드돌부가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무빙유닛은,
    상기 가이드블럭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부에는,
    상기 인폴딩 완료 위치를 나타내는 인폴딩스토퍼; 및
    상기 아웃폴딩 완료 위치를 나타내는 아웃폴딩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부는,
    상기 무빙유닛의 이동경로 중 인폴딩 동작에 따른 상기 가이드돌부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호 형상의 제1인폴딩홈;
    상기 제1인폴딩홈의 외측으로 평행하게 구비되고, 상기 무빙유닛의 이동경로 중 인폴딩 동작에 따른 상기 가이드돌부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호 형상의 제2인폴딩홈;
    상기 제1인폴딩홈과 연통되고, 상기 무빙유닛의 이동경로 중 아웃폴딩 동작에 따른 상기 가이드돌부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호 형상의 제1아웃폴딩홈; 및
    상기 제2인폴딩홈과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제1아웃폴딩홈의 외측으로 평행하게 구비되고, 상기 무빙유닛의 이동경로 중 아웃폴딩 동작에 따른 상기 가이드돌부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호 형상의 제2아웃폴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부는,
    상기 제1인폴딩홈과 상기 제1아웃폴딩홈에서 이동되는 제1돌부; 및
    상기 제2인폴딩홈과 상기 제2아웃폴딩홈에서 이동되는 제2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돌부와 상기 제2돌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지점을 통과하는 가상의 직선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며,
    상기 제1돌부와 상기 제2돌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지점을 통과하는 가상의 직선 중 다른 하나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
  10.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유닛은,
    상기 모션가이드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모션유닛을 회전시키는 모션구동유닛; 및
    상기 지점에서 상기 모션가이드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무빙유닛의 회전 여부를 선택하는 회전제한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
  11.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유닛은,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량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파지부재가 상기 폴딩유닛에 가까워진 상태와 상기 파지부재가 상기 폴딩유닛에서 멀어진 상태를 감지하는 이동제한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소재가 인폴딩되거나 아웃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유닛이 상기 베이스유닛에서 슬라이드 이동될 때, 상기 플렉시블 소재를 지지하는 슬라이딩지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
  13.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폴딩 상태에서 상기 플렉시블 소재에 형성된 인폴딩벤딩부의 반지름을 R0 라 하고, 상기 아웃폴딩 상태에서 상기 플렉시블 소재에 형성되는 아웃폴딩벤딩부의 반지름을 R1 이라 하면,
    R1은 R0보다 큰 반지름을 나타내고,
    인폴딩 동작을 기준으로 상기 슬라이딩유닛과 상기 무빙유닛 사이의 이격거리는 πR1 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
  14.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슬라이딩장치;
    상기 베이스유닛이 결합되는 작업판유닛; 및
    상기 작업판유닛에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유닛에 구비되는 슬라이딩모터와 상기 폴딩유닛에 구비되는 모션구동유닛이 지지되는 지지판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판유닛에는,
    상기 폴딩공간에 대응하여 연통공간;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시스템.
KR1020200032669A 2020-03-17 2020-03-17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 및 평가시스템 KR102348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669A KR102348743B1 (ko) 2020-03-17 2020-03-17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 및 평가시스템
PCT/KR2020/013945 WO2021187705A1 (ko) 2020-03-17 2020-10-13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 및 평가시스템
JP2022554215A JP7492020B2 (ja) 2020-03-17 2020-10-13 フレキシブル素材の耐久性評価用スライド装置及び評価システム
CN202080098484.1A CN115298532A (zh) 2020-03-17 2020-10-13 可挠式材料耐久性试验用滑动装置及试验系统
US17/894,008 US20220404252A1 (en) 2020-03-17 2022-08-23 Sliding apparatus for durability evaluation of flexible material and evalu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669A KR102348743B1 (ko) 2020-03-17 2020-03-17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 및 평가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037A true KR20210116037A (ko) 2021-09-27
KR102348743B1 KR102348743B1 (ko) 2022-01-07

Family

ID=77771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2669A KR102348743B1 (ko) 2020-03-17 2020-03-17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 및 평가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404252A1 (ko)
JP (1) JP7492020B2 (ko)
KR (1) KR102348743B1 (ko)
CN (1) CN115298532A (ko)
WO (1) WO2021187705A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3376A (ja) * 2009-07-30 2011-02-17 Seiko Epson Corp 試験装置、試験方法
KR20110114256A (ko) * 2010-04-13 2011-10-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플렉서블 소자의 벤딩 테스트 설비
KR101349789B1 (ko) 2012-08-17 2014-01-1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필름굽힘 시험장치
WO2014171247A1 (ja) * 2013-04-15 2014-10-23 旭硝子株式会社 曲げ試験方法、シート物の製造方法、曲げ試験装置、脆性シート、素子付き脆性シート、および電子デバイス
KR20160000926A (ko) * 2014-06-25 2016-01-06 (주)에이치피케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회전벤딩 테스트 장치
KR20160087143A (ko) 2015-01-13 2016-07-21 전자부품연구원 태양전지 모듈의 접힘 운동에 대한 내구성 시험 장치
CN107454229A (zh) * 2017-09-14 2017-12-0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屏辅助装置及可折叠的移动终端
KR101843874B1 (ko) * 2017-01-09 2018-03-30 (주)플렉시고 플렉시블소재 내구성 평가용 폴딩장치
WO2018155723A1 (ja) * 2017-02-27 2018-08-30 ユアサシステム機器株式会社 変形試験器
US20190154555A1 (en) * 2017-08-28 2019-05-23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Bending test device and system for flexible display device
KR20190080230A (ko) * 2017-12-28 2019-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벤딩 테스트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4302B1 (ko) * 2011-05-13 2017-09-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연 기판의 벤딩 테스트 장치
KR101489667B1 (ko) * 2013-11-26 2015-02-04 주식회사 이노테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 시험장치
KR20170096087A (ko) * 2016-02-15 2017-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딩 테스트 장치
KR20180057897A (ko) 2016-11-23 2018-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굴곡성 평가 장치 및 굴곡성 평가 방법
JP2018188335A (ja) 2017-05-08 2018-11-29 Agc株式会社 折り曲げ可能なガラス板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3376A (ja) * 2009-07-30 2011-02-17 Seiko Epson Corp 試験装置、試験方法
KR20110114256A (ko) * 2010-04-13 2011-10-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플렉서블 소자의 벤딩 테스트 설비
KR101349789B1 (ko) 2012-08-17 2014-01-1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필름굽힘 시험장치
WO2014171247A1 (ja) * 2013-04-15 2014-10-23 旭硝子株式会社 曲げ試験方法、シート物の製造方法、曲げ試験装置、脆性シート、素子付き脆性シート、および電子デバイス
KR20160000926A (ko) * 2014-06-25 2016-01-06 (주)에이치피케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회전벤딩 테스트 장치
KR20160087143A (ko) 2015-01-13 2016-07-21 전자부품연구원 태양전지 모듈의 접힘 운동에 대한 내구성 시험 장치
KR101843874B1 (ko) * 2017-01-09 2018-03-30 (주)플렉시고 플렉시블소재 내구성 평가용 폴딩장치
WO2018155723A1 (ja) * 2017-02-27 2018-08-30 ユアサシステム機器株式会社 変形試験器
US20190154555A1 (en) * 2017-08-28 2019-05-23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Bending test device and system for flexible display device
CN107454229A (zh) * 2017-09-14 2017-12-0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屏辅助装置及可折叠的移动终端
KR20190080230A (ko) * 2017-12-28 2019-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벤딩 테스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743B1 (ko) 2022-01-07
CN115298532A (zh) 2022-11-04
JP2023517212A (ja) 2023-04-24
JP7492020B2 (ja) 2024-05-28
US20220404252A1 (en) 2022-12-22
WO2021187705A1 (ko) 2021-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78011B (zh) 可挠式材料耐久性试验用折叠装置
US11960332B2 (en) Electronic device
TWI759254B (zh) 多軸鉸鏈裝置及使用此多軸鉸鏈裝置的電子機器
CN212159397U (zh) 柔性屏测试装置及设备
KR102255147B1 (ko) 플렉시블 소재의 360도 양방향 폴딩 내구성 평가 장치
DK2692486T3 (en) Scott-Russel mechanism arrangement
US20060105555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25888A (ko) 접철식 전자 기기
KR102348743B1 (ko)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슬라이딩장치 및 평가시스템
KR102250197B1 (ko) 화면의 절곡부를 수용하는 폴더블 힌지장치
US7210239B2 (en) Slider device and measuring instrument
JP7351930B2 (ja) フレキシブル素材の360度双方向フォールディング耐久性評価装置
KR20210112047A (ko)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롤링장치 및 평가시스템
KR20050111012A (ko) 폴더식 휴대폰의 힌지부 내구시험장치
US20050225901A1 (en) Slider device and measuring instrument
KR102306401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재의 폴딩 시험 장치
JP2020071082A (ja) 変形試験器
US11740164B2 (en) Bending test apparatus and bending test method using the same
JP5166834B2 (ja) X線検査装置
JP2009010869A (ja) 携帯電子機器
CN115963018A (zh) 片材折弯装置及测试方法
TWM596346U (zh) 翻折機台
WO2023071130A1 (zh) 铰链装置及折叠式电子设备
EP1842981A2 (en) Roller blind with a guide element
KR102306402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재의 인 아웃 양방향 폴딩 시험 장치와 그 장치를 온습도 환경에서 시험하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