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3857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3857A
KR20210113857A KR1020200029128A KR20200029128A KR20210113857A KR 20210113857 A KR20210113857 A KR 20210113857A KR 1020200029128 A KR1020200029128 A KR 1020200029128A KR 20200029128 A KR20200029128 A KR 20200029128A KR 20210113857 A KR20210113857 A KR 20210113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opening
closing
unit
exhaust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수
김태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9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3857A/ko
Priority to PCT/KR2021/002190 priority patent/WO2021182768A2/ko
Priority to EP21767164.3A priority patent/EP4119711A4/en
Priority to US17/910,702 priority patent/US20230137038A1/en
Priority to CN202180019631.6A priority patent/CN115279965A/zh
Publication of KR20210113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38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06F29/005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the other separate apparatus being a drying appli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06F31/005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consisting of one or more rotating drums through which the laundry passes in a continuous flow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1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 D06F37/263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assembled from at least two elements connected to each other; Connecting or seal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01Arrangements for transporting, moving, or setting washing machines; Protective arrangements for use during transpor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4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blowers or f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Abstract

본 개시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캐비닛; 전방면과 후방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제1드럼; 상기 제1캐비닛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2캐비닛;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위치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위치하여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2드럼; 상기 제1드럼의 공기를 흡입하는 제1흡기덕트; 상기 터브의 공기를 흡입하는 제2흡기덕트; 상기 제1흡기덕트와 상기 제2흡기덕트와 연결되어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연결덕트; 상기 열교환부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제1드럼으로 토출하는 제1배기덕트; 및 상기 열교환부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터브로 토출하는 제2배기덕트; 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개시(Public Disclosure)는 의류처리장치의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기능과 건조기능을 동시에 구현하는 세탁기와 건조기능을 수행하는 건조기가 적층된 형태인 일체형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관련된 각종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장치, 젖은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장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 또는 주름을 제거하기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종래의 세탁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Tub)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저장되는 드럼(Drum)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특히 세탁장치들은 드럼의 자세에 따라 탑로딩 방식과 프론트 로딩 방식으로 분류된다. 프론트로딩 방식의 경우 탑로딩 빙식과는 다르게 눕혀신 드럼을 구비하며, 이에 따라 세탁물은 세탁장치의 전방부를 통해 드럼 내부로 투입된다. 이와 같은 프론트 로딩방식의 세탁장치는 탑 로딩방식에 비해 적은 크기를 가지면서도 더 큰 세탁용량을 갖고, 높은 세탁성능을 가지며 세탁물의 엉킴을 유발하지 않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세탁장치 외에도 프론트 로딩방식의 건조장치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정이나 세탁소에서는 세탁장치와 건조장치가 대부분 함께 사용되고, 특히 세탁소에서는 다수개의 세탁장치와 건조장치가 함께 사용되며, 세탁장치 또는 건조장치가 쌍으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설치 면적을 줄이기 위해 세탁장치의 상측에 건조장치를 적층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아예 하나의 캐비닛에 상부에는 건조장치, 하부에는 세탁장치가 구비된 일체형세탁기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단순히 적층된 형태의 의류처리장치나 일체형세탁기의 경우에도 건조장치의 의류투입구까지의 높이가 너무 높은 문제점이 있다. 즉, 키가 작은 사용자의 경우, 건조장치에서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인출하기가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세탁장치와 건조장치에서 같은 건조기능을 수행함에도 불구하고, 건조용량이 다르므로 건조기능을 각각 구비하기 위해 부품을 별개로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중국 공개특허공보 제104928883A호에는 세탁장치와 건조장치에서 각각 건조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적층된 형태의 일체형 세탁기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세탁장치와 건조장치의 서로 다른 건조용량으로 인해 2개의 응축기를 사용하고 있다. 결국 별개의 부품을 사용하여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개시는 건조장치와 세탁장치의 건조기능에 필요한 열교환부가 포함된 연결덕트(혹은 건조모듈)을 공유하도록 하여 건조장치와 세탁장치에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본 개시는 공용화된 연결덕트를 사용하여 생산비를 절감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본 개시는 공용화된 연결덕트를 사용하여 독립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건조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본 개시는 공용화된 연결덕트를 사용하여 전체적인 높이를 낮추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건조장치의 투입구에 용이하게 접근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부의 건조장치와 하부의 세탁장치에서의 독립적 또는 선택적 건조기능을 위해 하나의 공통된 건조모듈을 사용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캐비닛; 전방면과 후방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제1드럼; 상기 제1캐비닛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2캐비닛;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위치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위치하여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2드럼; 상기 제1드럼의 공기를 흡입하는 제1흡기덕트; 상기 터브의 공기를 흡입하는 제2흡기덕트; 상기 제1흡기덕트와 상기 제2흡기덕트와 연결되어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연결덕트; 상기 열교환부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제1드럼으로 배출하는 제1배기덕트; 및 상기 열교환부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터브로 배출하는 제2배기덕트; 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1캐비닛과 상기 제2캐비닛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흡기덕트를 개폐하는 제1개폐부; 상기 제2흡기덕트를 개폐하는 제2개폐부; 상기 제1배기덕트와 상기 제2배기덕트를 분기하는 제3개폐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개폐부, 상기 제2개폐부 및 상기 제3개폐부를 독립적으로 개폐시켜, 상기 제1흡기덕트, 상기 연결덕트 및 상기 제1배기덕트가 제1순환유로를 형성하거나, 상기 제1드럼의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상기 제2흡기덕트, 상기 연결덕트 및 상기 제2배기덕트가 제2순환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터브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개폐부는 상기 제1흡기덕트와 상기 연결덕트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개폐부는 상기 제2흡기덕트와 상기 연결덕트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연결덕트 내부에는 상기 제1흡기덕트 및 상기 제2흡기덕트에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되기전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제1여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여과부는 상기 제1캐비닛의 하부 또는 상기 제2캐비닛의 상부 전면에 구비된 필터삽입홀을 통해 상기 연결덕트에서 착탈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개폐부는 상기 제1흡기덕트와 상기 제1여과부의 상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개폐부는 상기 제2흡기덕트와 상기 제1여과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또한, 상기 제1개폐부는 상기 제1흡기덕트를 개폐하는 제1차단부; 상기 제1차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차단부를 회전시켜 상기 제1흡기덕트를 개폐하는 제1개폐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개폐부는
상기 제2흡기덕트를 개폐하는 제2차단부; 상기 제2차단부를 회전시켜 상기 제2흡기덕트를 개폐하는 제2개폐구동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부는 상기 제1캐비닛의 전면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이 전후방향보다 길고, 전후방향으로는 곡면으로 형성된 제1메인바디; 상기 제1메인바디의 좌우방향으로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원형 형상의 제1서브바디;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개폐구동부는 상기 제1메인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서브바디와 상기 제1개폐구동부의 회전축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메인바디의 단면의 두께는 가운데로 갈수록 단면의 두께가 두꺼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차단부는 상기 제1메인바디의 곡면 중 볼록한 곡면위로 돌출된 복수 개의 제1보강리브;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보강리브의 크기는 상기 볼록한 곡면의 방향에 위치한 상기 제1서브바디의 부분과 크기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차단부는 상기 제1캐비닛의 전면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이 전후방향보다 길고, 전후방향으로 곡면으로 이루어진 제2메인바디; 상기 제2메인바디의 좌우방향으로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원형 형상의 제2서브바디; 를 포함하고, 상기 제2메인바디의 단면의 두께는 가운데로 갈수록 단면의 두께가 두꺼워질 수 있다.
상기 제2개폐구동부는 상기 제2메인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2서브바디와 상기 제2개폐구동부의 회전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차단부는 상기 제1메인바디의 곡면 중 볼록한 곡면위로 돌출된 복수 개의 제2보강리브;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2보강리브의 크기는 상기 볼록한 곡면의 방향에 위치한 상기 제2서브바디의 부분과 크기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차단부의 좌우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제2차단부의 좌우방향으로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배기덕트는 상기 제2배기덕트와 연결되기 위한 연통홀;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덕트는 상기 제1배기덕트와 연결되며, 상기 제1배기덕트는 상기 연통홀을 통해 상기 제2배기덕트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개폐부는 상기 제1배기덕트 및 상기 제2배기덕트를 개폐하는 제3차단부; 및 상기 제1배기덕트 및 상기 제2배기덕트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제3차단부를 회전시키는 제3개폐구동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배기덕트는 상기 제3차단부가 내부로 회전하여 상기 제1배기덕트를 폐쇄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제3차단부의 회전을 멈추게 하는 가이드;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배기덕트는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제1배기덕트 또는 상기 제2배기덕트로 배출하는 송풍팬;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통홀은 상기 송풍팬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3개폐부는 상기 제1배기덕트 또는 상기 제2배기덕트를 개폐하는 제3차단부; 및 상기 제3차단부가 상기 제2배기덕트를 폐쇄하는 제1위치, 상기 제3차단부가 상기 제1배기덕트를 폐쇄하는 제2위치, 상기 제3차단부가 소정각도로 개방되어 상기 제1배기덕트 및 상기 제2배기덕트가 개방되는 제3위치에 위치하도록 제3차단부를 회전시키는 제3개폐구동부; 를 포함하여, 상기 제1순환유로 또는 상기 제2순환유로를 선택적으로 형성하거나, 상기 제1순환유로 및 상기 제2순환유로를 모두 형성할 수 있다.
본 개시는 건조장치와 세탁장치의 건조기능에 필요한 연결덕트를 공유하도록 하여 건조장치와 세탁장치에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는 공용화된 연결덕트를 사용하여 생산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는 공용화된 연결덕트를 사용하여 독립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건조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는 공용화된 연결덕트를 사용하여 전체적인 높이를 낮추어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의류처리장치의 일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열교환부가 포함된 공용화된 연결덕트를 포함하는 순환덕트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제1배기덕트와 제2배기덕트가 연결된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b)는 제1흡기덕트와 제2흡기덕트가 연결덕트에 구비되는 필터부에 연결된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a)는 제1흡기덕트와 연결덕트 사이, 제2흡기덕트와 연결덕트 사이에 구비된 제1개폐구동부와 제2개폐구동부의 일례를 나타낸 거이다. 도 5(b)는 제1배기덕트와 제2배기덕트사이에 구비된 제3차단부를 개폐하는 제3개폐구동부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 와 도 6(b)는 제1드럼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경우 제1개폐부를 통해 제1흡기덕트를 개방하고, 제2개폐부를 통해 제2흡기덕트를 폐쇄하고, 제3개폐부로 제2배기덕트를 폐쇄하는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c) 와 도 6(d)는 터브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경우 제1개폐부를 통해 제1흡기덕트를 폐쇄하고, 제2개폐부를 통해 제2흡기덕트를 개방하고, 제3개폐부로 제1배기덕트를 폐쇄하는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1에 도시된 것과 달리, 제1캐비닛(110)과 제2캐비닛(210)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캐비닛(110)의 제1하부패널(106)과 제2캐비닛의 제2상부패널(208)이 마주보도록 적층되는 것이 아니라, 제1하부패널(106)과 제2상부패널(208)이 없이 제1캐비닛(110)과 제2캐비닛(210)이 일체로 형성된 후 제1드럼(130)과 터브(220) 사이에 구분베이스(partition base, 미도시)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분베이스(미도시)는 제1드럼(130)의 하부에 위치하여 각종 부품들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제1하부패널(106)임과 동시에 각종 부품들이 결합하고 지지되는 베이스(180, 도4)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도 1은 제1도어(113)과 제2도어(213)사이에 컨트롤패널(910)이 배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컨트롤패널(910)은 제1캐비닛(110) 또는 제2캐비닛(210)의 전방패널(104, 204)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패널(910)의 일부에는 필터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미관을 위해 상기 컨트롤패널(910)이 회전되어 그 뒷면이 나타나는 경우 필터가 삽입가능한 관통홀(미도시)을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전방패널(104) 또는 제2전방패널(204)에 필터도어(314)가 있고, 필터도어(314)를 개방하면 필터(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는 필터삽입홀(313, 도2 참고)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일체형으로 구성된 의류처리장치(100)의 일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우선 상부에는 제1의류처리장치(1000)이 위치하고 하부에는 제2의류처리장치(2000)가 위치할 수 있다. 제1의류처리장치(1000)는 건조장치이고, 제2의류처리장치(2000)는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건조장치일 수 있다. 이는 무게를 고려한 것일 뿐, 이와 달리 상부와 하부가 뒤바뀌어도 무방하다. 제2의류처리장치(2000)에 건조기능을 갖는 것은 건조할 세탁물의 양이 적거나 완전히 건조될 필요가 없는 등의 경우 건조할 세탁물을 제2의류처리장치(2000)에서 인출해서 제1의류처리장치(1000)로 번거롭게 이동시키지 않고 바로 건조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는 건조를 위한 열교환장치를 각각 따로 구비하였으나, 본 개시의 특징은 이것을 하나로 통합하여, 열교환장치를 서로 공유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한편, 제2흡기덕트(412) 및 제2배기덕트(492) 와 연결덕트(450)의 관계를 강조하기 위해 세제저장부(270) 및 제1급수관(271) 앞에 나타냈을 뿐, 세제저장부(270) 및 제1급수관(271)이 제2흡기덕트(412)와 제2배기덕트(492)에 의해 단절된 것은 아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캐비닛 (110); 전방면과 후방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제1드럼(130); 상기 제1캐비닛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2캐비닛(210); 상기 제2캐비닛(210) 내부에 위치하는 터브(220); 상기 터브 내부에 위치하여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2드럼(230); 상기 제1드럼(130)의 공기를 흡입하는 제1흡기덕트 (411); 상기 터브(220)의 공기를 흡입하는 제2흡기덕트(412); 상기 제1흡기덕트(411)와 상기 제2흡기덕트(412)와 연결되어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500)를 포함하는 연결덕트(450); 상기 열교환부(500)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제1드럼(130)으로 토출하는 제1배기덕트(491); 및 상기 열교환부(500)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터브(220)로 토출하는 제2배기덕트(492); 를 포함한다.
우선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하부에 위치한 제2의류처리장치(20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제2의류처리장치(20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2캐비닛(210), 상기 제2캐비닛(2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세탁수가 저장되고 건조기능을 수행하는 터브(220), 상기 터브(2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제2드럼(230)외에 상기 제2드럼(230)에 토크를 인가하여 제2드럼(230)을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캐비닛(210)에는 세탁물의 출입을 위한 제2투입구(211)가 구비되고, 상기 제2투입구(211)는 제2캐비닛(2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제2도어(213)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터브(220)는 상기 제2투입구(211)에 연통하는 터브투입구(221)를 포함하고, 터브지지부(219)에 의해 제2캐비닛(210)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터브지지부(219)는 터브(220)의 진동을 흡수 가능한 스프링이나 댐퍼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투입구(221)와 제2투입구(211) 사이에는 가스켓(212)이 구비되는데, 상기 가스켓(212)은 터브(220) 내부의 세탁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터브(220)의 진동이 제2캐비닛(21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다.
상기 터브(220)는 급수부(250)를 통해 물을 공급받는데, 상기 급수부는 급수원(미도시)과 터브(220)를 연결하는 제1급수관(251), 제1급수관(251)를 개폐하는 급수밸브(253)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브(220)는 제2드럼(230) 내부의 세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해 열교환부(500)를 포함하는 순환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1급수관(251) 및 급수밸브(253)가 제2캐비닛(210)과 연결되고, 이후 제2급수관을 통해 제1의류처리장치(100)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례일 뿐, 이와 달리 바로 제1급수관(251)과 제2급수관(257)이 분기된 후, 제2급수관(257)이 제1캐비닛(110)을 통해 연결(도4 참조 )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터브(220)의 상부에는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저장부(270)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세제저장부(270)는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저장바디(271) 및 상기 세제저장바디(271)를 터브와 연통시키는 터브공급관(27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급수관(251)는 급수원(미도시)과 상기 세제저장바디(271)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급수관(251)을 통해 물이 급수될 때 세제저장바디(271)에 저장된 세제는 터브(220)에 공급될 것이다.
또한, 급수부(250)는 상기 급수밸브(253)를 지난 물이 제1전환밸브(255)에 의해 제1급수관(251)을 따라 세제저장부(270)에 물이 공급되게 할 수 있고, 제2급수관(257)을 따라 제1의류처리장치(1000)의 하부에 위치한 응축수 저장부(670)에 물이 공급되게 할 수 있다. 이는 제2의류처리장치(2000)을 위해 공급되는 물을 직접 응축수 저장부(670)에 저장하여, 필터부(300)에 분사함으로써 필터부(300)를 청소하기 위함이다.
이와 달리 외부 급수원에 Y자 형태의 분기파이프(미도시)를 이용하여 급수부터 바로 제1의류처리장치(1000)와 제2의류처리장치(2000)에 공급되는 물을 분기해서 각각 연결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분기파이프(미도시)는 제1급수관(251)과 제3급수관(256, 도3참조)에 연결되어, 외부 급수원의 물을 제1급수관(251)을 통해 터브(220) 내부로 공급하거나, 제3급수관(256)을 통해 바로 후술한 분사부(650)와 연결하여 공급할 수 있다. 제3급수관(256)은 제2급수관(257)과 달리 응축수 저장부(670)를 거치지 않고 바로 후술할 분사부(650)의 제2전환밸브(655)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터브(220) 내부에 저장된 물은 배수부(260)를 통해 제2캐비닛(2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배수부(260)는 터브(220) 내부의 물을 제2캐비닛(210)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3배수관(263), 제3배수관(263)에 연결되는 배수펌프(265)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터브(220) 내부의 물이 배수펌프(265)와 연결되는 제1배수관(261) 및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1000)의 응축수 저장부(670) 배수된 물을 배수펌프(265)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2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220) 내부에 구비된 제2드럼(230)은 터브투입구(221)에 연통하는 제2드럼 투입구(231)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투입구(211), 터브투입구(221) 및 제2드럼 투입구(231)를 통해 의류 (또는 세탁물이라 칭함)을 제2드럼(230)에 투입하거나 제2드럼(230)에서 인출 가능하다.
상기 제2드럼(230)의 외주면에는 제2드럼(230)의 내부를 터브(220)와 연통시키는 다수의 제2드럼 관통홀(23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터브(220) 내부에 저장된 물은 제2드럼 관통홀(233)을 통해 제2드럼(230)에 저장된 세탁물에 공급될 수 있고, 세탁물에 함유된 물은 제2드럼 관통홀(233)을 통해 터브(220)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2드럼(230)은 터브(220)의 외부에 구비된 제2구동부(240)에 의해 회전하는데, 상기 제2구동부(240)는 제2모터(246) 즉, 터브(220)의 배면에 고정된 스테이터(242), 상기 스테이터(242)와 전자기적 작용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241), 상기 로터(241)와 제2드럼(230)의 배면을 연결하는 회전축(24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드럼(230)은 제1드럼(130)과 달리 드럼의 배면에 제2모터(246)의 회전축(243)이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242)는 전원(power supply)로부터 전력(electric power)를 공급받아 회전자계(rotating field)를 형성하며, 상기 로터(241)는 스테이터(242)가 제공하는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로터(241)의 회전은 회전축(243)을 통해 제2드럼(230)에 전달되므로 스테이터(242)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제2드럼(230)의 회전에 필요한 토크(torque)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축(243)은 터브(220)의 배면을 관통하여 제2드럼(230)과 로터(241)를 연결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터브(220)의 배면에는 회전축(24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22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제2의류처리장치(2000)가 건조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터브(220)가 물을 저장할 뿐 만 아니라, 공기를 순환시켜 제습가열하기 위한 순환덕트를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터브(220)에는 상기 터브(220)와 연결되어 상기 터브(220)의 공기를 흡입하는 제2흡기덕트(412), 열교환된 공기를 다시 상기 터브(220)로 배출하는 제2배기덕트(492), 상기 제2흡기덕트(412)와 상기 제2배기덕트(492)를 연결하고 열교환부(500)가 위치하는 연결덕트(450)를 포함하는 순환유로를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제2흡기덕트(412)과 터브(220)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터브(220)에는 제2공기배출구(278)을 포함할 수 있고, 제2배기덕트(492)와 터브(220)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터브(200)에는 제2공기유입구(298)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브(200)로 유입된 공기는 제2드럼 관통홀(233)을 통해 제2드럼 내부로 유입, 유출되어 세탁물을 건조 시킬 수 있다.
상기 제2흡기덕트(412)와 상기 제2배기덕트(492)는 상기 터브(220)에 연결된 전용덕트이나, 상기 연결덕트(450)은 후술한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1000)에서도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즉, 후술할 제1흡기덕트(411)과 제2흡기덕트(412)에서 각각 흡입된 공기를 상기 연결덕트(450)의 내부에 구비되는 열교환부(500)에 의해 제습 가열한 후 팬(470)을 지나 제1배기덕트(491)과 제2배기덕트(492)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상부에 위치한 제1의류처리장치(1000)는 제1캐비닛(110), 상기 제1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드럼(130), 상기 제1드럼(130)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제1흡기덕트(411), 제1배기덕트(491) 및 연결덕트(450), 상기 연결덕트(450)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순환덕트(400)로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한 뒤 상기 제1드럼(130)으로 재공급하는 열교환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순환덕트(400)는 결국 제1흡기덕트(411), 제2흡기덕트(412), 연결덕트(450), 제1배기덕트(491) 및 제2배기덕트(49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덕트(400)의 내부, 구체적으로는 상기 연결덕트(450)의 내부에는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부(500)을 포함하고, 상기 순환덕트를 이용해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팬(470)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순환되는 공기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가 상기 열교환부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캐비닛(110)은 제1의류처리장치(1000)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제1전방패널(104), 제1의류처리장치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제1후방패널(105), 및 제1의류처리장치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제1상부패널(108)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전방패널(104)에는 상기 제1드럼(130)에 연통하도록 구비된 제1투입구(111)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투입구(111)는 제1캐비닛(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도어(113)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전방패널(104)에는 별도의 컨트롤패널(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1000)과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2000)을 통합 제어하는 컨트롤 패널(910)이 상기 제1캐비닛(110) 및 상기 제2캐비닛(210)의 전방패널(104, 204)에 제1드럼(130)과 터브(220)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접근 편의성을 고려한 것이다.
상기 컨트롤패널(910)에는 입력부(미도시)와 표시부(미도시)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의류처리장치(100)에 전력공급을 요청하는 전력공급 요청부, 다수의 코스 중 사용자가 원하는 코스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코스 입력부,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의 개시를 요청하는 실행요청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텍스트(text) 및 도형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음성신호 및 음향의 출력이 가능한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드럼(130)이 전방면과 후방면이 각각 개방된 원통형상의 제1드럼바디(131)로 구비될 경우, 상기 제1캐비닛(110) 내부에는 상기 제1드럼(130)의 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지지부(170), 및 상기 제1드럼(130)의 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부(1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170)는 상기 제1캐비닛(110) 내부에 고정된 제1고정바디(171), 상기 제1고정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투입구(111)와 상기 제1드럼바디(131) 내부를 연통시키는 제1드럼 투입구(173), 상기 제1고정바디(171)에 구비되어 상기 제1드럼바디(131)의 전방면(제1개방면)에 삽입되는 제1지지바디(17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바디(171)는 상기 제1드럼 투입구(173) 및 상기 제1지지바디(175)가 구비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바디(175)는 상기 제1고정바디(171)에서 상기 제1드럼바디(131)를 향해 돌출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1지지바디(175)의 지름은 상기 제1드럼 투입구(173)의 지름보다 크고, 상기 제1드럼바디(131)의 전방면 지름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드럼 투입구(173)는 상기 제1지지바디(175)가 형성하는 공간 내부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제1지지부(170)는 상기 제1투입구(111)와 상기 제1드럼 투입구(173)를 연결하는 연결바디(177)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디(177)는 상기 제1드럼 투입구(173)에서 상기 제1투입구(111)를 향해 연장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디(177)에는 상기 순환덕트(400)에 연통하는 제1공기배출구(17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400)는 제1드럼(130)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제1흡기덕트(411), 제1흡기덕트(411)를 지난 공기를 다시 제1드럼(130)으로 배출하는 제1배기덕트(491), 상기 제1흡기덕트(411)와 제1배기덕트(491)를 연결하며, 내부에 열교환부(500)가 포함된 연결덕트(450) 그리고 터브(220)과 연결되는 제2흡기덕트(412) 및 제2배기덕트(492)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공기배출구(178)는 상기 제1드럼바디(131) 내부의 공기가 상기 제1흡기덕트(411)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통로이며, 상기 연결바디(177)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관통홀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부(190)는 상기 제1캐비닛(110) 내부에 고정된 제2고정바디(191), 상기 제2고정바디(191)에 구비되어 상기 제1드럼바디(131)의 후방면(제2개방면)에 삽입되는 제2지지바디(19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190)에는 상기 제2고정바디(19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드럼바디(131) 내부를 상기 제1캐비닛(110) 내부와 연통시키는 제1공기유입구(198)가 구비된다. 이 경우, 순환덕트(400)는 상기 제1공기배출구(178) 및 상기 제1공기유입구(198)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제1드럼바디(131)는 다양한 형태의 제1구동부를 통해 회전할 수 있는데, 도 2는 제1구동부(140)가 제1캐비닛(110) 내부에 고정된 제1모터(141), 상기 제1모터(141)에 의해 회전하는 풀리(145), 상기 풀리(145)의 원주면과 상기 제1드럼바디(131)의 원주면을 연결하는 벨트(143)를 포함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1지지부(170)에는 상기 제1드럼바디(131)의 원주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롤러(132)가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부(190)에는 상기 제1드럼바디(131)의 원주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롤러(1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400)는 상기 제1공기배출구(178)에 연결된 제1흡기덕트(411), 상기 제2공기배출구(278)에 연결된 제2흡기덕트(412), 상기 제1공기유입구(198)에 연결된 제1배기덕트(490), 상기 제2공기유입구(298)에 연결된 제2배기덕트(492), 상기 제1흡기덕트(411), 제2흡기덕트(412), 제1배기덕트(491), 제2배기덕트(491) 를 연결하는 연결덕트(450)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500)는 상기 순환덕트(400)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 가능한 한 다양한 장치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는 상기 열교환부(500)가 히트펌프(heat pump)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열교환부(500)는 상기 연결덕트(450)를 따라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470), 상기 연결덕트(450)로 유입된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제1열교환기(흡열부, 510), 및 상기 연결덕트(45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510)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발열부, 530)를 포함한다.
상기 팬(470)은 상기 순환덕트(400) 내부에 구비된 임펠러(471), 상기 임펠러(471)를 회전시키는 송풍모터(47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471)는 상기 제1흡기덕트(491), 상기 제2흡기덕트(402) 또는 연결덕트(450) 어디에나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는 상기 임펠러(471)가 상기 제1배기덕트(491)에 구비된 경우 (또는 제2열교환기(520)의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팬(470)은 열교환부(500) 앞, 즉 필터부(300)및 제1열교환기(510)의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510)는 상기 연결덕트(450)의 너비 방향(Y축 방향) 또는 상기 연결덕트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금속판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열교환기(520)는 상기 연결덕트의 너비 방향 또는 상기 연결덕트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금속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510)와 상기 제2열교환기(520)는 상기 연결덕트(450) 내부에 상기 제1흡기덕트(411) 또는 상기 제2흡기덕트(412)에서 상기 제1배기덕트(491) 또는 상기 제2배기덕트(492)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냉매의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580)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냉매는 상기 순환덕트(400)의 외부에 위치된 압축기(570)에 의해 상기 냉매관(580)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냉매관(580)에는 상기 제2열교환기(520)를 통과한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는 팽창부(550)가 구비된다.
상기 제2열교환기(520)는 상기 제1흡기덕트(411) 또는 상기 제2흡기덕트(412) 로 유입된 공기의 열을 냉매로 전달함으로써 공기는 냉각시키고, 냉매는 증발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제2열교환기(520)는 상기 압축기(570)를 통과한 냉매가 가진 열을 공기에 전달함으로써, 공기는 가열하고, 냉매는 응축시키는 수단이다. 이 경우, 공기에 포함된 수분은 상기 제1열교환기(510)를 통과할 때 상기 제1열교환기(510)의 표면을 따라 상기 연결덕트(450)의 바닥면에 모이게 될 것이다.
상기 제1열교환기(510)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응축된 물을 수집하기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응축수 저장부(670)가 구비된다. 도 2는 상기 응축수 저장부(670)가 상기 연결덕트(450) 내부에서 제1열교환기(510)와 제2열교환기(52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는 응축수의 이동을 강제하는 기구나 기계장치의 도움없이 중력에 의해 응축수를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설명을 위해 도 3를 참조하면 상기 응축수 저장부(670)는 상기 연결덕트(450)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덕트의 내부와 연통하는 집수바디(67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510)와 제2열교환기(520)가 상기 집수바디(671)에 저장된 물(응축수)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집수바디(671) 내부에는 열교환기 지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지지부는 상기 제1열교환기(510)와 제2열교환기(520)가 접촉하는 지지판(672), 상기 지지판(672)과 상기 집수바디(671)의 바닥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675), 및 상기 지지판(672)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지지판 관통홀(674)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 관통홀(674)은 상기 지지판(672)이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제1열교환기(510)가 지지되는 공간에만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열교환기(510)가 지지되는 공간 및 상기 제2열교환기가 지지되는 공간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열교환기(520)의 하부에도 지지판 관통홀(674)이 구비되면, 상기 지지판(672)을 따라 상기 제2열교환기(520)로 이동한 물을 상기 집수바디(671)로 배출 가능할 것이다. 이는 제1열교환기(510)에서와 마찬가지로, 제2열교환기(520)가 물에 접촉할 때 발생하는 열전달 효율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드럼바디(131)에서 배출되는 이물질(린트 등)이 상기 제1열교환기(510) 및 제2열교환기(520)에 적층되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해,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1000)에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3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필터부(300)는 상기 연결덕트(450)에 구비된 제1여과부(350), 및 상기 제1흡기덕트(410)에 구비된 제2여과부(370)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필터부(300)는 건조기능을 수행하는 터브(220)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을 거르기 위하 제3여과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여과부(370)는 상기 제1드럼바디(131)에서 상기 제1흡기덕트(411)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수단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여과부(350)는 상기 제2여과부(370) 및 상기 제1열교환기(510) 사이 그리고 상기 제3여과부(미도시) 및 상기 제1열교환기(51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2여과부(370)를 통과한 공기를 여과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여과부(350)는 상기 연결덕트(45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캐비닛의 제1전방패널(104)에는 상기 제1여과부(350)가 인출되는 필터삽입홀(313, 도 2참고) 및 상기 필터삽입홀(313)을 개폐하는 필터도어(314)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덕트(450)에는 상기 제1여과부(350)가 삽입되는 덕트관통홀(315, 도 4(b) 참고)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제1여과부(350)를 의류처리장치에서 분리한 뒤 제1여과부(350)에 잔류하는 이물질의 제거 및 제1여과부의 세척이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여과부(350)는 상기 덕트관통홀(315)에 삽입되어 상기 제2여과부(370)와 상기 제1열교환기(510) 사이에 위치하는 제1프레임(353), 및 상기 제1프레임(353)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510) 및 집수바디(671)로 이동하는 유체(공기 및 물)를 여과하는 필터(351, 35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353)은 상기 연결덕트(450)의 단면(Y-Z 평면, 및 X-Z 평면)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는 상기 제1프레임(353)이 육면체에 유사한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1프레임(353)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2여과부(370)를 통과한 공기를 제1프레임(353) 내부로 유입시키는 제1필터유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1프레임(353)의 전방면에는 상기 필터삽입홀(313)을 향해 돌출된 핸들(31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515, 517)는 상기 제1프레임(353)의 후방면에 구비된 제1필터(351) 및 상기 제1프레임(353)의 바닥면에 구비된 제2필터(35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의 후방면은 상기 제1프레임(35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중 상기 제1열교환기(510)를 마주보는 면을 의미하고, 상기 제1프레임의 바닥면은 상기 연결덕트(450)의 바닥면을 향하는 면으로 상기 필터 유입구를 마주보는 면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354)의 하부면에는 상기 제3여과부(미도시)를 통과한 공기를 제1프레임(353) 내부로 유입시키는 제2필터유입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여과부(370)는 상기 제1공기배출구(178)를 통해 상기 제1흡기덕트(411)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프레임(371), 상기 제2프레임에 구비되어 공기를 여과하는 제3필터(37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351) 및 제2필터(352)에 구비된 필터홀의 직경은 상기 제3필터(373)에 구비된 필터홀의 직경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우선은 제3필터에서 크기가 비교적 큰 이물질이 필터링된 후 다시 이보다 작은 크기의 이물질이 제1필터(351) 및 제2필터(352)를 통해 필터링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100)에는 상기 집수바디(671)에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상기 제1여과부(350)를 세척하는 분사부(650), 및 상기 집수바디(671) 내부의 물을 상기 집수바디(671)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2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부(650)는 상기 집수바디(671)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제1여과부(350)에 분사함으로써 상기 제1필터(351), 제2필터(352), 및 제1열교환기(5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세척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사부(650)는 상기 연결덕트(450)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여과부(350)로 물을 공급하는 분사부(650), 상기 집수바디(671)에 저장된 물을 상기 분사부(650)로 이동시키는 급수펌프(716)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펌프(716)는 급수펌프 연결관(717)을 통해 상기 집수바디(671)에 연결되고, 저장부 급수관(715)을 통해 상기 분사부(65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분사부(650)는 상기 연결덕트(450)에 고정되어 상기 제1필터(351) 및 제2필터(352)에 물을 분사하는 노즐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필터(351), 제2필터(352) 및 상기 제1열교환기(510)의 전방면 각각에 물을 분사하는 노즐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분사부(650)를 통해 세척하는 이유는 이물질이 제1필터(351), 제2필터(352) 및 제1열교환기(510)에 부착되어 필터의 여과성능 및 열교환부의 열교환 성능이 저하되고, 위생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3은 상기 분사부(650)가 상기 연결덕트(450)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분사관(653)이 연결되는 연결덕트 관통홀(652), 상기 연결덕트 관통홀(652)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1필터(351)로 안내하는 제1가이드(6581), 상기 제1가이드(6581)를 통해 공급되는 물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열교환기(510)의 전방면으로 안내하는 제2가이드(6582)를 포함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2가이드(6582)는 물이 상기 제1필터(351)를 거쳐 상기 제1열교환기(510)의 전방면에 공급되게 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필터(351)는 상기 제1여과부(350)가 상기 연결덕트(450)에 고정된 때 상기 제1가이드(6581)와 상기 제2가이드(6582)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가이드(6582)는 상기 연결덕트(450)의 상부면에서 상기 제1필터(351)를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6581)에는 가이드 관통홀(659) 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관통홀(659) 은 상기 제1가이드(658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홀로, 상기 연결덕트 관통홀(652)로 유입된 물은 상기 가이드 관통홀(659)을 통해 상기 제1열교환기(510)의 전방영역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의 전방영역은 상기 제1열교환기(510)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필터(351)를 향하는 방향에 위치된 영역을 의미한다.
상술한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열교환부(500)의 작동 중 상기 집수바디(671)에 저장되는 물을 통해 제1여과부(350) 및 제1열교환기(510)를 세척 가능한 효과가 있지만, 상기 집수바디(671)에 저장된 물의 양이 적으면 상기 제1여과부(350) 및 제1열교환기(510)의 세척이 실행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드럼바디(131)에 투입된 의류의 양이 적은 경우 상기 열교환부(500)의 작동 중 상기 집수바디(671)에 수집되는 물의 양이 적을 것이고, 상기 집수바디에 저장된 물의 양이 적은 경우 상기 제1여과부(350) 및 제1열교환기(510)의 세척에 충분한 양의 물을 상기 분사부(650)에 공급하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상술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제2의류처리장치(2000)에 필요한 외부 급수원을 이용해 물을 응축수 저장부(670)의 집수바디(671)에 공급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급수부(250)는 외부 급수원에 연결되는 제1급수관(251)과 상기 제1급수관(251)의 개폐를 위한 급수밸브(253)를 포함한다. 제1급수관(251)과 급수밸브(253)는 제1의류처리장치(1000)의 세탁기능을 위해 필요한 것이나, 필터부(300)의 제1여과부(350)의 세척, 제1열교환기의 세척을 위해 충분한 물의 양을 보장하기 위해 활용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급수밸브(253)를 지난 물은 제1전환밸브(255)를 통해 제1의류처리장치(1000)로 공급되거나 제2의류처리장치(2000)로 공급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전환밸브(255)는 물의 공급방향을 터브(220)나 응축수 저장부(670) 중 하나를 선택해서 전환할 수 있는 밸브이다. 제어부(미도시)는 제1전환밸브(255)를 통해 제2의류처리장치(2000)나 제1의류처리장치(1000)중 하나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제1의류처리장치(1000)에는 물이 공급되는 중, 제2의류처리장치(2000)에 물이 필요한 경우에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전환밸브(255)를 통해 응축수 저장부(670)의 집수바디(671)에 공급되는 경우의 유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상기 제1전환밸브(255)와 집수바디(671)사이에는 제2급수관(257)이 있어, 상기 제1전환밸브(255)와 상기 집수바디(671)를 연결한다. 제1전환밸브(255)를 지난 물은 제2급수관(257)을 지나 집수바디(671)에 공급된다.
이렇게 공급된 물은 상기 분사부(650)를 이용하여 제1열교환기(510)나 필터부(300)의 제1여과부(350), 구체적으로는 제1필터(351) 및 제2필터(352)를 세척하는데 사용한다.
상기 분사부(650)의 유로를 살펴보면, 집수바디(671)에서 저장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716)가 있고, 집수바디(671)와 급수펌프(716) 사이에는 급수펌프 연결관(717)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분사부(650)와 급수펌프(716)는 저장부 급수관(71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분사부(650)는 연결덕트의 상부바디를 형성하는 연결덕트 상부플레이트(451)의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분사부(650)는 제1열교환기(510) 또는 제1여과부(350)를 세척하기 위해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651) 상기 분사노즐(651)과 상기 저장부 급수관(715)을 연결하는 분사관(653)을 구비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의 컴팩트한 구조로 인해 응축수 저장부(670)의 집수바디(671)의 크기가 크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급수펌프(716)의 용량이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제한 조건을 극복하고, 제1열교환기 또는 제1여과부(350)에 물을 골고루 분사하기 위해서 분사노즐(651)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동일한 개수의 분사관(653)을 포함할 수 있다. 충분한 수압을 유지하면서 물을 분사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분사관(653)을 통해 물을 동시에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개의 분사관(653)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제1열교환부(510)나 필터부(300)의 특정영역에 오염도가 높다고 판단되면 그 오염도가 높은 영역만을 분사하여 세척할 수 있다.
만약 제1열교환부(510)나 제1여과부(350)에 있어서, 제1분사노즐(6511)이 물을 분사해서 세척하는 영역이 오염도가 높다고 판단되면 제어부는 제1분사노즐(6511)을 이용해야 해당부분만 세척을 진행할 수도 있다.
만약, 복수 개의 분사노즐(651)이 있는 경우, 각 분사노즐을 선택해서 대응하는 분사관(653)을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분사의 순서를 순차적으로도 할 수 있다.
도3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3개의 분사노즐이 있는 경우, 제1분사노즐(6511)에 우선 물을 공급해서 분사하고, 기설정된 시간이 지나는 경우, 제2분사노즐(6512)에 물을 공급해서 분사하고, 다시 또 기설정된 시간이 지나는 경우, 제3분사노즐(6513)에 물을 분사하는 방식이다.
상술한 순차적인 분사방식을 위해서는 저장부 급수관(715)과 복수 개의 분사관(653)을 바로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제2전환밸브(655)를 통해 연결할 수 있다.
즉 제2전환밸브(655)는 제어부에 의해 기설정된 시간동안 각 분사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물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실례로 이러한 제2전환밸브에 사용되는 것으로는 3방향 솔레노이드 밸브(3 way solenoid valve) 등이 있다.
따라서, 집수바디(671)에 물이 부족한 경우, 제어부는 제1전환밸브(255) 및 제2급수관을 제어하여 응축수 저장부(670)에 물을 공급받고, 필요시 집수바디(671)에 저장된 물을 급수펌프(716), 저장부 급수관(715), 제2전환밸브(655), 분사관(653), 분사노즐(651)을 통해 제1여과부(350)나 제1열교환기(510)를 세척할 수 있다.
한편, 이와 달리 분기파이프(미도시)를 통해 집수바디(671)를 거치지 않고 바로 분사부(650)에 물을 공급할 수 도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3을 이용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집수바디(671)의 수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수위 감지부(693)를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위 감지부(693)가 구비되면,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집수바디(671)에 저장된 물을 배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집수바디(671)의 물이 상기 연결덕트(45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부(650)를 통해 상기 필터부 및/또는 상기 제1열교환기를 세척할 때, 배수가 막히거나 수압이 세서 급수가 배수보다 많은 경우 상기 응축수 저장부(670)의 집수바디(671)에 수위가 내려가지 않고 올라가 역류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역류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위 감지부(693)는 상기 집수바디(671) 내부의 수위를 감지 가능한 한 어떠한 장치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3은 길이가 서로 다른 다수의 전극으로 구비된(수위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전극들로 구비된) 센서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와 달리 집수바디(671)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플로터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수위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수위 감지부(693)를 통해 측정된 수위가 기 설정된 기준수위 미만이면,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제어부는 상기 급수밸브(253)를 개방하고, 상기 제1전환밸브(255)를 전환하여 제2급수관(257) 및 저장부 급수관(715)을 통해 상기 집수바디(671)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렇게 공급된 물은 급수펌프(716)를 이용하여 분사부(650)에 공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집수바디(671)의 물 부족으로 제1여과부(350)나 제1열교환기(510)가 세척되지 않는 문제를 최소화 가능할 것이다. 즉, 세척에 필요한 물을 보충하여 항상 세척성능을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는 기준수위를 만족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상술한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수위 감지부(693)만으로 상기 집수바디(671)에 저장된 물을 배수부(260)통해 배수하거나, 상기 제1급수관(251)을 개폐하는 급수밸브(253)의 작동시점 및 작동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응축수 저장부(670)로 물이 공급되는 시점 및 응축수 저장부(670)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제어 가능하다.
상기 분사부(650)를 통해 분사된 물, 상기 열교환부(500)를 통해 응축된 물, 상기 급수부(250)를 통해 응축수 저장부(670)에 저장된 물은 모두 집수바디(671)에 저장된다. 따라서, 제1의류처리장치(100)의 건조기능을 수행하는 중 상기 집수바디(671)의 저장용량에 따라, 응축된 응축수 만으로도 만수위를 넘어갈 수 있다. 이 경우 저장된 물의 역류방지를 위해 물을 배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분사부(650)를 통해 상기 제1여과부 및/또는 상기 제1열교환기를 세척하는 경우, 응축수 저장부(670)의 물을 사용하게 되므로 수위가 내려가야 한다. 그러나, 배수가 막히거나 수압이 세서 급수가 배수보다 많은 경우 상기 응축수 저장부(670)의 집수바디(671)에 수위가 내려가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수위 감지부(693)를 통해 이를 판단하여 물을 배수할 수 있다.
도 3를 이용하여 배수부(260)를 설명하면, 상기 배수부(260)는 집수바디(671)의 바닥면에 구비된 배수홀(672), 집수바디의 물을 배수하기 위해 제어부에 의해 개폐되는 배수밸브(681), 배수밸브(681)와 배수홀(672)을 연결하는 배수밸브 연결관(682), 터브(220)의 물을 배수펌프(265)로 내보내는 제1배수관(261) 배수펌프에 의해 배출되는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제2배수관(262) 및 배수밸브(681)와 배수펌프(265)를 연결하는 제3배수관(26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수펌프(265)는 단순히 물을 이송하는데 사용하는 펌프만을 지칭하는게 아니라, 상기 배수펌프(265)는 제1배수관(261) 또는 제3배수관(263)과 연통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배수펌프 하우징(미도시),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배수펌프 임펠러(미도시), 상기 배수펌프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배수펌프 모터(미도시), 상기 배수펌프 하우징의 원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배수관(262)이 연결되는 배수펌프 배출구(미도시)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집수바디(671)의 수위가 높지 않다고 하더라도, 열교환기 및 필터부의 세척과정이 끝나거나 건조행정이 끝나면, 응축수 저장부(670)의 집수바디(671)에 남아 있는 물을 배출할 필요가 있다. 이는 의류처리장치(100)내의 위생 및 냄새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에도 집수바디(671)의 바닥면에 위치한 배수홀(672)을 이용하여 남아 있는 물을 모두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의류처리장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의류처리장치를 제어할 수 있으면 어디에 위치에 있어도 무방하다. 일반적으로는 컨트롤패널(910)의 후방에 보이지 않게 설치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어부는 제1드럼(130) 및 제2드럼(230)의 회전을 제어하고, 건조도 감지부(691)를 통해 건조도를 판단하고, 급수부(250)의 급수밸브(253), 제1전환밸브(255), 제2전환밸브(655), 급수펌프(716)를 이용해 제1열교환기(510) 및/또는 필터부(300)의 세척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집수바디(671)의 수위 감지부(693)를 통해 수위를 측정하여, 만수위시 배수밸브(681)를 열어 배수 후 배수펌프(265)를 제어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필요에 따라, 후술할 제1개폐부(710), 제2개폐부(720), 제3개폐부(730)의 개폐를 제어하여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1000)의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2000)의 건조행정을 위해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양쪽 모두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도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함으로써 열교환부(500)의 작동 중단 시점을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건조도 감지부(691, 69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건조도 감지부(691, 692)는 의류에 접촉하도록 구비되어 의류에 함유된 수분의 양을 측정하는 전극센서(691), 및 상기 제1드럼(130)에서 상기 순환덕트(400)로 유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69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극센서(691)는 상기 제1고정바디(171)에 고정되어 상기 제1드럼바디(131) 내부의 의류에 접촉 가능한 2개의 전극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건조도가 높아질수록 의류에 함유된 수분의 양은 줄어들 것이므로(의류의 전기적 저항은 증가), 상기 두 전극이 의류에 의해 연결되었을 때 측정되는 전기적 저항을 관찰함으로써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 가능하다.
한편, 의류의 건조도가 높아질수록 순환덕트(400)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의 양은 줄어들 것이기 때문에,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습도센서(692)를 통해 상기 제1흡기덕트(411) 또는 상기 제2흡기덕트(412)로 유입된 공기의 습도를 관찰함으로써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의류의 건조도를 각각 판단하기 위해서 도3과 달리 각 흡기덕트마다 별도로 습도센서를 구비할 수 도 있다.
제1드럼(130)의 회전을 시작하여 건조행정이 시작된 후 건조도 감지부(691)를 통해 측정된 건조도가 기 설정된 기준건조도(Reference Dryness)이상인 경우, 제어부는 수위 감지부(693)를 통해 현재 응축수 저장부(670)에 저장된 물의 양을 파악하고 모자라는 경우 상기 급수부(250)를 제어하여 응축수 저장부(67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모자라지 않는 경우에는 분사부는 물을 바로 분사할 수 있으나, 집수바디에 저장된 물의 양이 세척을 위한 양보다 작으므로 분사 도중 물을 보충해야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수위 감지부(693)를 통해 현재 응축수 저장부(670)에 저장된 물의 양을 파악하고 모자라는 경우 상기 급수부(250)를 제어하여 응축수 저장부(67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상기 제1드럼바디(131) 내부에 저장된 의류의 양을 판단하는 포량감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포량감지부는 상기 제1드럼바디(131)를 일정한 회전수로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부의 제1모터(141)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제어부에 전송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모터(141)에 일정한 크기의 전류를 일정한 시간동안 공급할 때 제1드럼바디(131)의 회전수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포량감지부가 구비되는 경우, 제어부는 포량감지를 통해 제1드럼에 수용된 의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응축수 발생량을 예측할 수 있다. 만약 응축수 발생량이 제1여과부(350)나 제1열교환기(510)의 세척에 필요한 양보다 적을 것으로 판단되면, 제1여과부(350)나 제1열교환기(510)를 세척하기 전 모자라는 물을 외부급수원을 통해 보충할 수 있다.
제1여과부(350)나 제1열교환기(510)의 세척에 필요한 양보다 많다고 판단되면, 다시 말해, 상기 수위 감지부(693)를 통해 집수바디(671)의 저장된 물의 양이 기 설정된 기준수위를 넘어가면 제어부는 배수밸브(681)를 개방하여 물을 배수할 수 있다.
도 3은 열교환부가 포함된 공용화된 연결덕트를 포함하는 순환덕트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전술한대로 상기 순환덕트(400)는 상기 제1공기배출구(178)에 연결된 제1흡기덕트(411), 상기 제2공기배출구(278)에 연결된 제2흡기덕트(412), 상기 제1공기유입구(198)에 연결된 제1제1배기덕트(491), 상기 제2공기유입구(298)에 연결된 제2배기덕트(492), 상기 제1흡기덕트(411), 제2흡기덕트(412), 제1배기덕트(491), 제2배기덕트(491) 를 연결하는 연결덕트(450)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덕트(450)의 내부에는 열교환부가(500)가 위치하며, 상기 터브(220) 또는 상기 제1드럼(130)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팬(47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브(200) 또는 사익 제1드럼(130)의 공기에서 이물질을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부(300)가 위치할 수 있다.
제1의류처리장치(1000) 및 제2의류처리장치(2000)의 건조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순환유로의 형성을 위해 상기 순환덕트(400)를 개폐하여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순환덕트(400)는 상기 제1흡기덕트(411)를 개폐하는 제1개폐부(710); 상기 제2흡기덕트(412)를 개폐하는 제2개폐부(720); 상기 제1배기덕트(491)와 상기 제2배기덕트(492)의 연결부위에 위치하여, 상기 제1배기덕트(491)와 상기 제2배기덕트(492)를 선택적으로 분기하는 제3개폐부(730);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개폐부(710), 상기 제2개폐부(720) 및 상기 제3개폐부(730)를 독립적으로 구동시켜, 상기 제1흡기덕트(411), 상기 연결덕트(450) 및 상기 제1배기덕트(451)가 제1순환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제1드럼의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상기 제2흡기덕트(412), 상기 연결덕트(450) 및 상기 제2배기덕트(492)가 제2순환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터브(220)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순환유로 및 상기 제2순환유로를 동시에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덕트(450)의 내부에는 제1열교환기(510)의 전방에 필터부(30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팬(470)이 제2연교환기(520)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220) 및 상기 제1드럼(130)의 공기를 강제순환시킬 수 있다. 팬(470)의 위치는 연결덕트(450)와 연결되는 제1배기덕트(490)의 말단부분에 위치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다른 곳에 설치되어도 상기 터브(220) 및 상기 제2드럼(230)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만 있으면 어디에 위치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팬(470)은 상기 순환덕트(400) 내부에 구비된 임펠러(471), 상기 임펠러(471)를 회전시키는 송풍모터(47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471)는 상기 배기덕트(490), 연결덕트(450), 및 배기덕트(490) 중 어디에나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는 상기 임펠러(471)가 상기 배기덕트(490)에 구비된 경우(제2열교환기(520)의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흡기덕트(410)는 연결바디(177)에 형성된 제1공기유입구(198)를 통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상기 제2흡기덕트(410)는 제2공기유입구(298)를 통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연결덕트(450)의 전면은 덕트관통홀(315)이 필터삽입홀(313)과 연통되어 제1여과부(350)를 삽입 또는 분리할 수 있다. 연결덕트(450)는 분사노즐(651)이 삽입되는 연결덕트관통홀(315)이 구비되어 물을 분사하여 제1여과부(350) 또는 제1열교환기(510)를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연결덕트(450)는 제1흡기덕트(410)와 연통되는 제1연결홀(456), 제2흡기덕트(410)와 연통되는 제2연결홀(457) 및 제1배기덕트(490)와 연통되는 제3연결홀(45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배기덕트(490)는 제2배기덕트(490)와 연결되는 연통홀(493)이 구비되어 상기 연통홀(493)을 통해 제2배기덕트(490)와 연결된다.
상기 순환덕트(400)는 상기 제1연결홀(456) 부근에는 상기 제1흡기덕트(410)를 개폐하는 제1개폐부(710), 상기 제2연결홀(457) 부근에는 상기 제2흡기덕트(410)를 개폐하는 제2개폐부(720), 상기 연통홀(493)을 개폐하는 제3개폐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개폐부(710), 상기 제2개폐부(720) 및 상기 제3개폐부(730)를 통해 제1드럼을 순환하는 제1순환유로 및/또는 터브를 순환하는 제2순환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드럼(130)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경우 상기 제1개폐부(710)를 열고, 상기 제2개폐부(720)를 닫아 제1흡기덕트(410)를 개방하고, 제2흡기덕트(410)를 폐쇄하고, 상기 제3개폐부(730)로 제1배기덕트(490)를 열고 제2배기덕트(490)를 폐쇄할 수 있다. 반대로 터브(220)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경우, 상기 제2개폐부(720)를 열고, 상기 제1개폐부(710)를 닫아 제2흡기덕트(410)를 개방하고, 제1흡기덕트(410)를 폐쇄하고, 상기 제3개폐부(730)로 제2배기덕트(490)를 열고 제1배기덕트(490)를 폐쇄할 수 있다.
만약 양쪽 모두를 순환시키기를 원한다면, 상기 제3개폐부(730)를 소정각도만큼만 벌어지도록 한 후, 상기 제1개폐부(710) 및 상기 제2개폐부(720)를 모두 개방하여 제1순환유로 및 제2순환유로를 모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3개폐부(730)를 이용하여 제1배기덕트(490)와 제2배기덕트(490)를 개폐하는 것과 달리, 제1흡기덕트(410)와 제2흡기덕트(410)는 각각을 개폐할 수 있는 제1개폐부(710) 및 제2개폐부(720)를 각각 가지고 있다. 이는 연결덕트의 전면에 구비된 덕트관통홀(315) 및 의류처리장치(100)의 전면에 구비되는 필터삽입홀(313)을 통해 제1여과부(350)가 삽입되거나 분리되어야 하므로, 상기 제1여과부(350)와의 간섭을 피하고자, 제1흡기덕트(410) 및 제2흡기덕트(410)를 개폐하는 제1개폐부(710)및 제2개폐부(720)는 별도로 구비된다.
반면, 연결덕트(450)의 후방에는 이러한 착탈가능한 구성요소가 없으므로 연결덕트(450)의 말단에 구비된 제3연결홀(458)을 통해 제1배기덕트(490)와 연결되고, 제1배기덕트의 연통홀(493)을 통해 제2배기덕트(490)와 연결되므로, 상기 제3개폐부(730) 하나만으로 제1배기덕트(490)와 제2배기덕트(49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배기덕트(490)와 상기 제2배기덕트(490)는 각각 제1공기유입구(198)및 제2공기유입구(298)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4(a)는 제1배기덕트와 제2배기덕트가 연결된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b)는 제1흡기덕트와 제2흡기덕트가 연결덕트에 구비되는 필터부에 연결된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4(a)와 도4(b)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651)을 포함하는 분사부(650)가 외부급수원과 직접 연결된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외부급수원이 바로 제3전환밸브(657)를 통해 분사관(653) 및 분사노즐(651)에 연결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3개의 분사노즐 (6511, 6512, 6113)에 3개의 분사관(6531, 6533, 6535)이 각각 연결되고 제3전환밸브(657)는 소정의 시간간격에 따라 각 분사관을 제3급수관(256)에 연결하여 각각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가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물의 수압이 다를 수 있으므로, 어떠한 환경에서도 분사압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동일한 효과를 내게 하기 위함이다. 즉, 동시에 3개의 분사관에 연결하여 수압을 분산시키는 것보다 각 분사관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한번에 하나의 분사관만이 연결되게끔 하기 위해 제3전환밸브(657)를 사용하는 것이다.
3개의 분사관(6531, 6533, 6535)은 각기 수압에 따라 흔들리는 것을 막기 위해 고정부(654)에 의해 연결덕트의 상부플레이트(451)에 고정될 수 있다. 제1고정부(654)는 제3전환밸브(657)에서 연결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 위를 지나갈 때 상기 분사관(653)을 고정하고 제2고정부(656)는 분사노즐(651)이 위치한 부분의 분사관(653)을 고정할 수 있다. .
상기 상부플레이트(451)는 상기 연결덕트의 바디를 형성하는 일 부분이다. 상기 연결덕트의 바디는 상부플레이트(451)와 하부플레이트(미도시)로 나뉘며, 하부플레이트는 별도로 구성되기 보다는 상기 연결덕트가 위치한 베이스(180)부분을 사출시 하부 플레이트의 형태가 같이 사출되어 나오게 된다. 여기에 상부플레이트(451)이 결합하여 공기가 지나가는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분사노즐(651)은 연결덕트 관통홀(652)을 통해 상기 연결덕트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 및/또는 상기 제1여과부(350)에 물을 분사하게 된다.
상기 분사노즐(651)은 복수개가 구비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플레이트(451)위에 연결덕트(450)의 좌우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연결덕트(450)의 좌우방향은 곧 공기가 연결덕트(450)내부를 유동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이다. 상기 복수 개의 분사노즐(651)을 통해 물이 순차적으로 분사되면, 각 분사노즐(6511, 6512, 6513)은 분사되는 영역의 있는 제1열교환기(510) 및/또는 제1여과부(350)의 일부를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복수 개의 분사노즐(651)이 순차적으로 모두 분사되면 결과적으로 제1열교환기(510)의 전방영역 및/또는 제1여과부가 세척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동시적으로 분사되어 세척도 가능하다. 그리고, 반복적으로 세척할 수도 있다. 즉, 제3전환밸브(657)는 제어부에 의해 기설정된 시간동안 각 분사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물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제3전환밸브(657)에 사용되는 것으로는 3방향 솔레노이드 밸브(3 way solenoid valve) 등이 있다. 제3전환밸브(677)나 제2전환밸브(655)는 외부 급수원에 바로 연결되는지 여부에 따라 명칭을 달리했을 뿐 급수된 물을 순차적 또는 선택적으로 복수 개의 분사관(653)을 통해 복수 개의 분사노즐(651)에 공급하는 것은 동일하다.
도 4(a)는 제2여과부(370)가 제1흡기덕트(410)에 결합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흡기덕트(410)에 제2여과부(370)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으나, 도 4(a)에 도시한 일 실시예는, 제1흡기덕트(410)는 필터가이드(419)를 포함하고, 필터가이드(419)에 제2여과부(370)가 삽입될 수 있다. 필터가이드(419)의 상부의 곡면은 원형의 연결바디(177)와 결합시 내주면을 따라 매끈한 원형을 형성하기 위해, 동일한 곡률반지름을 가질 수 있다. 제2여과부(370)의 상부도 마찬가지로 동일한 곡면을 형성한다.
제1흡기덕트(410)는 연결바디(177)의 하부에서 공기를 흡입하므로 높이가 제1배기덕트(490)에 보다 낮다. 제1배기덕트(490)는 제2지지부(19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공기유입구(198)를 통해 제1드럼(130)과 연결될 수 있다.
도 4(a)에서는 상기 연결덕트(450), 상기 분사부(650)등은 베이스(180)위에 설치된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연결덕트(450)는 순환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덕트형태를 가져야 하는데 덕트의 하부는 베이스(180)에 의해 형성되고, 덕트의 상부는 상부플레이트(45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베이스가 사출될 때, 이미 덕트의 하부가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상부플레이트(451)가 결합되어 전체적인 덕트형태를 가지게 된다. 상부플레이트(451)가 결합하기 전, 팬(470), 제1열교환기(510), 제2열교환기(520) 및 냉매관(580)등이 설치될 수 있고, 상부플레이트(451)에는 연결덕트관통홀(315)을 통해 분사노즐(651)이 삽입되고 분사관(653)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3전환밸브(미도시)도 고정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2배기덕트(490)는 제1배기덕트(490)의 하부에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유로를 최대한 단순화시키기 위해 열교환부(500) 및 팬(470)을 지나자마자 제1배기덕트에 연결된다. 제1배기덕트는 연통홀(493)을 구비하고, 상기 연통홀(493)에는 제3개폐부(730)가 있어 상기 연통홀(493)을 개폐할 수 있다. 제3개폐부(730)는 제1배기덕트(490) 내부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제3개폐부(730)는 내부에서만 회전하며, 상기 연통홀(493)을 폐쇄할 때의 위치를 제1위치라 하고, 이 때 상기 연통홀(493)과 이루는 각도를 0 도(°)라 정할 수 있다.
도4(b)를 참조하면, 제1흡기덕트(410)는 필터삽입홀(313)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흡기덕트(410)는 필터삽입홀(313)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흡기덕트(410)가 상기 연결덕트(450)와 연결되는 상기 제1흡기덕트(410)의 말단에는 제1개폐부(710)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흡기덕트(410)가 상기 연결덕트(450)와 연결되는 상기 제2흡기덕트(410)의 말단에는 제2개폐부(720)가 위치할 수 있다. 제3개폐부(730)달리 상기 제1흡기덕트(410)와 상기 제2흡기덕트(410)를 개폐하는 부분이 제1개폐부(710)와 제2개폐부(720)로 나뉜 이유는 전방에 위치한 제1여과부(350)가 삽입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1개폐부(710)가 개방되면, 상기 제1흡기덕트(410)는 상기 제1여과부(350)의 상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연결덕트(45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흡기덕트(410)는 상기 필터부(300),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여과부(350)와의 간섭을 피해 상기 제1여과부(350)의 하부 혹은 상기 필터삽입홀(313)의 하부에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b)에서 보듯이 상기 제2흡기덕트(410)는 흡입된 공기를 상기 필터삽입홀의 외부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1여과부(350)측면을 통해 연결덕트(45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개폐부(720)는 개방시 상기 제2흡기덕트(410)는 상기 제1여과부(350)의 하부를 통해 공기를 연결덕트(450)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흡기덕트(410)의 폭은 상기 제2흡기덕트(410)의 폭보다 크다. 상기 제1흡기덕트(410)의 폭은 상기 제2흡기덕트 및 필터삽입홀(313)을 합한 폭과 비슷하다.
필터삽입홀(313)은 필터도어(314)에 의해 개폐되고, 필터도어(314)는 필터도어(314)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317) 및 제1여과부(350)를 삽입하고 필터도어(314)를 폐쇄후 고정시키기 위한 필터고정부(31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개폐부(710)는 상기 제1흡기덕트(410)를 개폐하는 제1차단부(711), 상기 제1차단부(711)와 연결되어 상기 제1차단부(711)를 회전시켜 상기 제1흡기덕트(410)를 개폐하는 제1개폐구동부(713)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개폐부(720)는 상기 제1흡기덕트(410)를 개폐하는 제2차단부(721), 상기 제1차단부(711)를 회전시켜 상기 제2흡기덕트(410)를 개폐하는 제2개폐구동부(7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개폐부(730)도 상기 제1배기덕트(490) 및 상기 제2배기덕트(490)를 개폐하는 제3차단부(731)와 상기 제3차단부(731)를 회전시키는 제3개폐구동부(7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개폐구동부(713), 상기 제2개폐구동부(723) 및 상기 제3개폐구동부(733)는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의 일례로 직류전원을 이용하는 기어드 모터(geared motor)가 사용될 수 있다.
도 5(a)는 제1흡기덕트(410)와 연결덕트(450) 사이, 제2흡기덕트(410)와 연결덕트(450) 사이의 제1차단부(711) 및 제1개폐구동부(713), 제2차단부(721) 및 제2개폐구동부(723)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1차단부(711)는 원형의 실린더가 옆으로 누워있는 형태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흡기덕트(410)를 개폐하는 제1차단부(711)는 상기 제1캐비닛의 전면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이 전후방향보다 길고, 전후방향으로는 곡면으로 형성된 제1메인바디(7111) 그리고, 상기 제1메인바디의 좌우방향으로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원형 형상의 제1서브바디(71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메인바디(7111)의 양 끝은 일반적 실린더의 양끝과 마찬가지로 원형형상을 갖는 제1서브바디(7112)로 구성되나, 양단의 제1서브바디(7112)를 연결하는 제1메인바디(7111)는 원기둥 형상이 아니라,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곡률을 갖는 곡면을 포함하는 형태로, 상기 제1메인바디(7111)를 가상의 평면에 정사영한 크기가 제1서브바디의 지름의 크기가 동일하고, 결국 상기 제1흡기덕트(410)의 전후방향 단면의 길이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1차단부(711)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메인바디(7111)가 상기 제1흡기덕트(410)의 내부를 폐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차단부(711)가 전후방향보다 좌우방향의 길이기 긴 것도, 상기 제1흡기덕트(410)의 내부의 단면과 대응되게 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차단부(711)가 회전시 상기 제1메인바디(7111)가 상기 제1흡기덕트(410)를 폐쇄할 수 있고, 상기 제1차단부(711)가 회전시 상기 제1흠기덕트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부(711)는 원형의 실린더와 같으므로 반드시 개방과 폐쇄를 위해 각각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필요가 없다.
상기 제1메인바디(7111)는 적어도 2개의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메인바디(7111)는 일면은 오목하고 타면은 볼록한 형태를 갖는다. 또한, 제1메인바디(7111)의 단면은 가운데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초승달(crescent) 형태일 수도 있다. 이는 극관성모멘트를 줄여 제2개폐구동부(723)에 의한 회전시 힘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제1메인바디(7111)가 적어도 2개의 곡면으로 이루어진 형태를 갖는 것은 유동의 방향이 부드럽게 전환되게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반드시 이와 같은 형태가 아니더라도 유동이 부드럽게 전환될 수만 있으면 무방하다.
상기 제1메인바디(7111)가 옆으로 긴 형태를 갖게 되므로 시간에 따라 피로(fatigue)나 비틀림(torsion)에 의해 휘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메인바디(7111)는 볼록한 면쪽에 제1보강리브(7113)를 포함할 수 있다. 오목한 면에 제1보강리브(7113)를 두게 되면 오히려 오목한 지점에 응력집중(Stress concentration)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1메인바디(7111)의 볼록한 면에서 돌출된 상기 제1보강리브(7113)의 크기는 상기 제1서브바디(7112)의 크기보다 같거나 작아, 상기 제1서브바디(7112)를 상기 제1메인바디(7111)의 길이방향으로 정사영하는 경우 상기 제1보강리브(7113)는 상기 정사영된 상기 제1서브바디(7112)와 같거나 작다.
다시 말해, 상기 제1보강리브(7113)는 상기 제1서브바디(7112)로 형성되는 가상의 실린더 표면 및 공간안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2차단부(721)는 원형의 실린더가 옆으로 누워있는 형태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흡기덕트(410)를 개폐하는 제2차단부(721)는 상기 제1캐비닛의 전면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이 전후방향보다 길고, 전후방향으로는 곡면으로 형성된 제2메인바디(7211) 그리고, 상기 제2메인바디의 좌우방향으로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원형 형상의 제2서브바디(72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메인바디(7211)의 양 끝은 일반적 실린더의 양끝과 마찬가지로 원형형상을 갖는 제2서브바디(7212)로 구성되나, 양단의 제2서브바디(7212)를 연결하는 제2메인바디(7211)는 원기둥 형상이 아니라, 적어도 2개의 곡면을 포함하는 형태로, 상기 제2메인바디(7211)를 가상의 평면에 정사영한 크기가 제2서브바디의 지름의 크기가 동일하고, 결국 상기 제2흡기덕트(410)의 전후방향 단면의 길이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2차단부(721)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2메인바디(7211)가 상기 제2흡기덕트(410)의 내부를 폐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차단부(721)가 전후방향보다 좌우방향의 길이기 긴 것도, 상기 제2흡기덕트(410)의 내부의 단면과 대응되게 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상기 제2차단부(721)가 회전시 상기 제2메인바디(7211)가 상기 제2흡기덕트(410)를 폐쇄할 수 있고, 상기 제2차단부(721)가 회전시 상기 제2흠기덕트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제2차단부(721)는 원형의 실린더와 같으므로 반드시 개방과 폐쇄를 위해 각각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필요가 없다.
상기 제2메인바디(7211)는 적어도 2개의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메인바디(7111)는 일면은 오목하고 타면은 볼록한 형태를 갖는다. 또한, 제2메인바디(7211)의 단면은 가운데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초승달(crescent) 형태일 수도 있다. 이는 극관성모멘트를 줄여 제2개폐구동부(723)에 의한 회전시 힘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제2메인바디(7211)가 적어도 2개의 곡면으로 이루어진 형태를 갖는 것은 유동의 방향이 부드럽게 전환되게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반드시 이와 같은 형태가 아니더라도 유동이 부드럽게 전환될 수만 있으면 무방하다.
상기 제2메인바디(7211)가 옆으로 긴 형태를 갖게 되므로 시간에 따라 피로(fatigue)나 비틀림(torsion)에 의해 휘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메인바디(7211)는 볼록한 면쪽에 제2보강리브(7213)를 포함할 수 있다. 오목한 면에 제2보강리브(7213)를 두게 되면 오히려 오목한 지점에 응력집중(Stress concentration)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2메인바디(7211)의 볼록한 면에서 돌출된 상기 제2보강리브(7213)의 크기는 상기 제1서브바디(7112)의 크기보다 같거나 작아, 상기 제2서브바디(7212)를 상기 제2메인바디(7211)의 길이방향으로 정사영하는 경우 상기 제1보강리브(7113)는 상기 정사영된 상기 제2서브바디(7212)와 같거나 작다.
다시 말해, 상기 제1보강리브(7113)는 상기 제1서브바디(7112)로 형성되는 가상의 실린더 표면 및 공간안에 위치하게 된다.
도 5(b)는 제1배기덕트(490)와 제2배기덕트(490)의 연결부위와 제3차단부(731)를 개폐하는 제3개폐구동부(733)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1배기덕트(490)는 상기 연결덕트(450)와 연결되는 제3연결홀(458)를 지나 팬(470)이 위치하고 팬을 지나 공기의 유동방향이 상부로 향하게 되는 부분에 상기 제2배기덕트(490)와 연통되는 연통홀(49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통홀(493)을 개폐하기 위한 제3차단부(731)를 포함하고, 또한 이를 구동하는 제3개폐구동부가 상기 제1배기덕트(490)의 외부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배기덕트(490)를 상기 제1배기덕트(490)에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연통홀 주변에는 체결부를 가지고 있어, 상기 제2배기덕트(490)가 상기 제1배기덕트(490)와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되고 연결 될 수 있다.
도 6(a) 와 도 6(b)는 제1드럼(130)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경우 제1차단부(711)를 통해 제1흡기덕트(410)를 개방하고, 제2차단부(721)를 통해 제2흡기덕트(410)를 폐쇄하고, 제3차단부(731)로 제2배기덕트를 폐쇄하는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c)와 도 6(d)는 터브(220)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경우 제1개폐부(710)를 통해 제1흡기덕트(410)를 폐쇄하고, 제2개폐부(720)를 통해 제2흡기덕트(410)를 개방하고, 제3차단부(731)로 제1배기덕트(490)를 폐쇄하는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는 제1차단부(711)가 개방되고 제2차단부(721)가 폐쇄되어 제1흡기덕트(410)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1개폐구동부(713)의 회전축에 상기 제1메인바디(7111)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차단부(711)가 연결되어, 상기 제1개폐구동부(713)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메인바디(7111)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차단부(711)가 소정각도 회전하게 되면 제1흡기덕트(410)가 개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개폐구동부(723)의 회전축에 상기 제2메인바디(7211)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2차단부(721)가 연결되어, 상기 제2개폐구동부(723)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메인바디(7211)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2차단부(721)가 소정각도 회전하게 되면 제2흡기덕트(410)가 개방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1차단부(711) 및 상기 제2차단부(721)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므로, 상기 제1차단부(711)만 개방하고, 상기 제2차단부(721)는 폐쇄할 수 있고, 반대로 상기 재1차단부(711)를 폐쇄하고, 상기 제2차단부(721)만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차단부(711)와 상기 제2차단부(721)를 동시에 개방하여 제1의류처리장치(1000)과 제2의류처리장치(2000)의 건조기능을 동시에 이용할 수도 있다.
도 6(b)는 제3차단부(731)가 연통홀(493)을 폐쇄하여 제2배기덕트(490)를 폐쇄하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제3차단부(731)가 상기 제2배기덕트(490)를 폐쇄하는 경우에, 상기 제3차단부(731)가 제1위치에 있다고 칭한다. 상기 제3차단부(731)는 상기 제1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1배기덕트(490)를 통해 제1의류처리장치의 순환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 6(d)는 제3차단부(731)가 연통홀(493)을 개방하여 제2배기덕트(490)를 개방하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3차단부(731)가 상기 제1배기덕트(490)의 내부로 회전되어 상기 제1배기덕트를 폐쇄하는 위치(제2위치)에 도달했을 때, 상기 제3차단부(731)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하는 가이드(49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495)는 제3차단부(731)의 무리한 회전을 막아 상기 제3차단부(731)가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위치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3차단부(731)는 상기 제3개폐구동부에 의해 소정각도 회전을 해야 한다. 상기 제1위치에서의 회전각도를 제1회전각도, 예컨대 0도(°), 라 하고, 상기 제2위치에서의 각도를 제2회전각도(θ2)라 하면, 상기 제3차단부(731)가 상기 제1회전각도와 상기 제2회전각도사이의 소정각도(θ3)를 회전하여 위치하는 제3위치가 있을 수 있다.
만약, 상기 제3위치에 상기 제3차단부(731)가 위치하게 되면, 상기 제1배기덕트(490)및 상기 제2배기덕트(490)를 모두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제어부는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의 건조기능과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의 건조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개시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000: 제1의류처리장치
110: 제1캐비닛 111: 제1투입구 113: 제1도어
130: 제1드럼 131: 제1드럼바디 140: 제1구동부
170: 제1지지부 171: 제1고정바디 177: 연결바디
178: 제1공기배출구 278: 제2공기배출구 180: 베이스
198: 제1공기유입구 298: 제2공기유입구
2000: 제2의류처리장치
210: 제2캐비닛 211: 제2투입구 212: 가스켓
213: 제2도어 219: 터브지지부 220: 터브
230: 제2드럼 251: 제1급수관 253: 급수밸브
255: 제1전환밸브 257: 제2급수관 260: 배수부
261: 제1배수관 262: 제2배수관 263: 제3배수관
265: 배수펌프 681: 배수밸브 682: 배수밸브 연결관
270: 세제저장부 271: 세제저장바디 273: 터브공급관
300: 필터부 313: 필터삽입홀 314: 필터도어
315: 덕트관통홀 317: 핸들 319: 필터고정부
350: 제1여과부 351: 제1필터 352: 제2필터
353: 제1프레임 370: 제2여과부 371: 제2프레임
373: 제3필터 400: 순환덕트 410: 흡기덕트
411: 제1흡기덕트 412: 제2흡기덕트 450: 연결덕트
451: 상부플레이트 456: 제1연결홀 457: 제2연결홀
458: 제3연결홀 470: 팬 471: 임펠러
473: 송풍모터 490: 배기덕트 491: 제1흡기덕트
492: 제2흡기덕트 493: 연통홀 495: 가이드
500: 열교환부 510: 제1열교환기 520: 제2열교환기
650: 분사부 651: 분사노즐 653: 분사관
654: 제1고정부 655: 제2전환밸브 656: 제2고정부
6581: 제1가이드 6582: 제2가이드 659: 가이드 관통홀
652: 연결덕트 관통홀 670: 응축수 저장부 671: 집수바디
672: 지지판 675: 스페이서 676: 배수홀
693: 수위 감지부 710: 제1개폐부 711: 제1차단부
7111: 제1메인바디 7112: 제1서브바디 7113: 제1보강리브
713: 제1개폐구동부 715: 저장부 급수관 716: 급수펌프
717: 급수펌프 연결관 720: 제2개폐부 721: 제2차단부
7211: 제2메인바디 7212: 제2서브바디 7213: 제2보강리브
723: 제2개폐구동부 730: 제3개폐부 731: 제3차단부
733: 제3개폐구동부 910:컨트롤패널

Claims (20)

  1. 외관을 형성하는 제1캐비닛;
    상기 제1캐비닛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원통형상의 제1드럼;
    상기 제1캐비닛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2캐비닛;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위치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위치하여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2드럼;
    상기 제1드럼의 공기를 흡입하는 제1흡기덕트;
    상기 터브의 공기를 흡입하는 제2흡기덕트;
    상기 제1흡기덕트와 상기 제2흡기덕트와 연결되어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연결덕트;
    상기 열교환부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제1드럼으로 배출하는 제1배기덕트; 및
    상기 열교환부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터브로 배출하는 제2배기덕트; 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캐비닛과 상기 제2캐비닛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기덕트를 개폐하는 제1개폐부;
    상기 제2흡기덕트를 개폐하는 제2개폐부; 및
    상기 제1배기덕트와 상기 제2배기덕트를 분기하는 제3개폐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개폐부, 상기 제2개폐부 및 상기 제3개폐부를 독립적으로 개폐시켜, 상기 제1흡기덕트, 상기 연결덕트 및 상기 제1배기덕트가 제1순환유로를 형성하거나, 상기 제1드럼의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상기 제2흡기덕트, 상기 연결덕트 및 상기 제2배기덕트가 제2순환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터브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부는 상기 제1흡기덕트와 상기 연결덕트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개폐부는 상기 제2흡기덕트와 상기 연결덕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덕트 내부에는 상기 제1흡기덕트 및 상기 제2흡기덕트에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되기전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제1여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여과부는 상기 제1캐비닛의 하부 또는 상기 제2캐비닛의 상부 전면에 구비된 필터삽입홀을 통해 상기 연결덕트에서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부는 상기 제1흡기덕트와 상기 제1여과부의 상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개폐부는 상기 제2흡기덕트와 상기 제1여과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부는
    상기 제1흡기덕트를 개폐하는 제1차단부; 및
    상기 제1차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차단부를 회전시켜 상기 제1흡기덕트를 개폐하는 제1개폐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개폐부는
    상기 제2흡기덕트를 개폐하는 제2차단부; 및
    상기 제2차단부를 회전시켜 상기 제2흡기덕트를 개폐하는 제2개폐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부는
    상기 제1캐비닛의 전면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이 전후방향보다 길고, 전후방향으로는 곡면으로 형성된 제1메인바디; 및
    상기 제1메인바디의 좌우방향으로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원형 형상의 제1서브바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구동부는
    상기 제1메인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서브바디와 상기 제1개폐구동부의 회전축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인바디의 단면의 두께는 가운데로 갈수록 단면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부는
    상기 제1메인바디의 곡면 중 볼록한 곡면위로 돌출된 복수 개의 제1보강리브;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보강리브의 크기는 상기 볼록한 곡면의 방향에 위치한 상기 제1서브바디의 부분과 크기가 같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단부는
    상기 제1캐비닛의 전면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이 전후방향보다 길고, 전후방향으로 곡면으로 이루어진 제2메인바디; 및
    상기 제2메인바디의 좌우방향으로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원형 형상의 제2서브바디; 를 포함하고,
    상기 제2메인바디의 단면의 두께는 가운데로 갈수록 단면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폐구동부는
    상기 제2메인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2서브바디와 상기 제2개폐구동부의 회전축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단부는
    상기 제1메인바디의 곡면 중 볼록한 곡면위로 돌출된 복수 개의 제2보강리브;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2보강리브의 크기는 상기 볼록한 곡면의 방향에 위치한 상기 제2서브바디의 부분과 크기가 같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부의 좌우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제2차단부의 좌우방향으로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기덕트는 상기 제2배기덕트와 연결되기 위한 연통홀;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덕트는 상기 제1배기덕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1배기덕트는 상기 연통홀을 통해 상기 제2배기덕트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개폐부는
    상기 제1배기덕트 및 상기 제2배기덕트를 개폐하는 제3차단부; 및
    상기 제1배기덕트 및 상기 제2배기덕트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제3차단부를 회전시키는 제3개폐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기덕트는
    상기 제3차단부가 내부로 회전하여 상기 제1배기덕트를 폐쇄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제3차단부의 회전을 멈추게 하는 가이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기덕트는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제1배기덕트 또는 상기 제2배기덕트로 배출하는 송풍팬;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통홀은 상기 송풍팬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개폐부는
    상기 제1배기덕트 또는 상기 제2배기덕트를 개폐하는 제3차단부; 및
    상기 제3차단부가 상기 제2배기덕트를 폐쇄하는 제1위치, 상기 제3차단부가 상기 제1배기덕트를 폐쇄하는 제2위치, 상기 제3차단부가 소정각도로 개방되어 상기 제1배기덕트 및 상기 제2배기덕트가 개방되는 제3위치에 위치하도록 제3차단부를 회전시키는 제3개폐구동부; 를 포함하여,
    상기 제1순환유로 또는 상기 제2순환유로를 선택적으로 형성하거나, 상기 제1순환유로 및 상기 제2순환유로를 모두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00029128A 2020-03-09 2020-03-09 의류처리장치 KR20210113857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128A KR20210113857A (ko) 2020-03-09 2020-03-09 의류처리장치
PCT/KR2021/002190 WO2021182768A2 (ko) 2020-03-09 2021-02-22 의류처리장치
EP21767164.3A EP4119711A4 (en) 2020-03-09 2021-02-22 DEVICE FOR TREATING CLOTHING
US17/910,702 US20230137038A1 (en) 2020-03-09 2021-02-22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CN202180019631.6A CN115279965A (zh) 2020-03-09 2021-02-22 衣物处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128A KR20210113857A (ko) 2020-03-09 2020-03-09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857A true KR20210113857A (ko) 2021-09-17

Family

ID=77670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128A KR20210113857A (ko) 2020-03-09 2020-03-09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137038A1 (ko)
EP (1) EP4119711A4 (ko)
KR (1) KR20210113857A (ko)
CN (1) CN115279965A (ko)
WO (1) WO2021182768A2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904B1 (ko) * 2004-10-22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장치
KR100662364B1 (ko) * 2004-11-01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및 건조 장치
KR100741798B1 (ko) * 2004-12-30 2007-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일체형 세탁기
KR100652459B1 (ko) * 2005-11-25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체형 세탁 건조기
KR20070073144A (ko) * 2006-01-03 2007-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장치의 필터유닛
DE102014203071B4 (de) * 2013-02-28 2018-11-29 Lg Electronics Inc. Wäschebehandlungsvorrichtung
CN104928883A (zh) 2014-03-20 2015-09-23 海尔集团公司 一种热泵式洗干一体机
CN108950976A (zh) * 2017-05-27 2018-12-07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
CN109554880B (zh) * 2017-09-26 2022-09-23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组合式洗干一体机及控制方法
CN208562910U (zh) * 2018-06-26 2019-03-01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19711A4 (en) 2024-04-10
WO2021182768A3 (ko) 2021-11-04
EP4119711A2 (en) 2023-01-18
CN115279965A (zh) 2022-11-01
WO2021182768A2 (ko) 2021-09-16
US20230137038A1 (en)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8969B1 (ko) 드럼식 세탁 건조기
KR102150442B1 (ko) 의류 처리장치
US20230175194A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70119072A1 (en) Single body washing machine and dryer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5515879A (ja) 衣類処理装置及び衣類処理装置の制御方法
TW200840907A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KR20210113857A (ko) 의류처리장치
CN113322633B (zh) 衣物处理装置
KR102519916B1 (ko) 의류처리장치
TWI660095B (zh) 洗衣乾衣機
JP2007215833A (ja) 洗濯乾燥機
KR20140095740A (ko) 의류처리장치
KR101387544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30114780A (ko) 세탁장치 및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1594369B1 (ko) 의류처리장치
JP5674612B2 (ja) 洗濯乾燥機
KR10199542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017695B1 (ko) 의류처리장치
WO2022038811A1 (ja) 洗濯乾燥機
KR101861668B1 (ko) 의류처리장치
JP2012179268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08301941A (ja) 洗濯乾燥機
JP6670737B2 (ja) 洗濯乾燥機
KR20230063654A (ko) 건조 겸용 세탁기
TW202233936A (zh) 衣物處理裝置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