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3654A - 건조 겸용 세탁기 - Google Patents

건조 겸용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3654A
KR20230063654A KR1020210148929A KR20210148929A KR20230063654A KR 20230063654 A KR20230063654 A KR 20230063654A KR 1020210148929 A KR1020210148929 A KR 1020210148929A KR 20210148929 A KR20210148929 A KR 20210148929A KR 20230063654 A KR20230063654 A KR 20230063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tub
drum
cabinet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8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슬기
임승일
김영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8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3654A/ko
Publication of KR20230063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36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겸용 세탁기는, 전면패널을 포함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에 물을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과, 상기 터브 내로 공급될 세제를 저장하고,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캐비닛으로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세제공급장치와, 상기 드럼으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열풍 공급 장치와, 후방에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마련되고, 측방에 상기 열풍 공급 장치로 공급되는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마련되는 필터 케이스 및 상기 필터 케이스의 내부를 흐르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도록 구성되는 필터로서, 상기 세제공급장치가 상기 캐비닛으로 인입 또는 인출됨에 따라 상기 필터가 상기 캐비닛으로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필터 케이스에 결합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조 겸용 세탁기 {WASHER DRYER}
본 개시는 건조 겸용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물의 건조를 위해 공기 중의 먼지 또는 린트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물과 세탁수가 담긴 원통 형상의 회전조를 회전시켜서 세탁물을 세탁하는 장치이다.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캐비닛 내측에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드럼과, 드럼과 캐비닛 사이에 마련되어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와, 터브 또는 드럼 내부로 급수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세제가 급수되는 물에 고르게 섞여서 함께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드럼세탁기의 상부에 설치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한다.
세제공급장치는 캐비닛 내 상부 전방 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그 전면이 개방되는 상자 형태의 케이스와, 케이스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케이스 내부로 진입하도록 장착되는 서랍형태의 세제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사용자는 세제함을 케이스로부터 당기거나 밀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세탁기는 의류 건조 기능을 겸하는 세탁기가 있다. 기존의 건조 겸용 세탁기는 히터를 사용하여 드럼 내의 의류를 건조시켰는데, 최근 에너지 효율이 높은 건조 겸용 세탁기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의류 건조를 위한 에너지 효율이 개선된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측면은, 히트 펌프 장치에 린트가 유입되지 않도록 필터를 포함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측면은, 필터를 쉽게 세탁기 내부로부터 분리시켜 세척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겸용 세탁기는, 전면패널을 포함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에 물을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과, 상기 터브 내로 공급될 세제를 저장하고,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캐비닛으로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세제공급장치와, 상기 드럼으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열풍 공급 장치와, 후방에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마련되고, 측방에 상기 열풍 공급 장치로 공급되는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마련되는 필터 케이스 및 상기 필터 케이스의 내부를 흐르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도록 구성되는 필터로서, 상기 세제공급장치가 상기 캐비닛으로 인입 또는 인출됨에 따라 상기 필터가 상기 캐비닛으로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필터 케이스에 결합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풍 공급 장치는, 상기 드럼을 통과하는 순환 기류를 형성하는 팬 및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제습하고 상기 드럼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터브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상기 유입구에 인접한 제1필터 및 상기 유출구에 인접한 제2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로부터 상기 유입구에 연결되는 후방 덕트와, 상기 열교환기를 수용하며 상기 유출구에 연결되는 상부 덕트 및 상기 상부 덕트로부터 상기 터브에 연결되는 전방 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는 내부에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 및 응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겸용 세탁기는, 전면에 투입구가 마련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에 물을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으로 흐르는 공기의 기류를 형성하는 팬과,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제습하고, 상기 드럼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기와, 후방에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마련되고, 측방에 상기 열풍 공급 장치로 공급되는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마련되는 필터 케이스 및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인출되거나 상기 필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필터 케이스의 내부를 흐르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터브 보다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브의 위에 마련되어 상기 열교환기를 수용하고 상기 터브 내부와 연통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상부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로부터 상기 유입구에 연결되는 후방 덕트 및 상기 상부 덕트로부터 상기 터브에 연결되는 전방 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상기 유입구에 인접한 제1필터 및 상기 유출구에 인접한 제2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는 내부에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 및 응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의류 건조시 히트 펌프 장치를 사용하여 건조 에너지 효율이 높은 건조 겸용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린트필터를 구비하여 히트 펌프 장치에 린트가 유입되는 것을 감소시킴으로서 건조 에너지 효율이 높아진 히트 펌프 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린트필터를 세탁기 내부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어 사용성이 증가된 건조 겸용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에서 세제공급장치가 전면패널을 통해 인출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에서 캐비닛이 생략된 사시도이다.
도 6는 도 5에 도시된 세탁기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에서 세제공급장치 및 필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세탁기에서 세제공급장치 및 필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은 도 8에 도시된 세탁기에서 세제공급장치 및 필터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를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에서는 의류 건조 기능이 있는 건조 겸용 세탁기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세탁 겸용 의류 건조기 또는 의류 관리기 등 다양한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에서 세제공급장치가 전면패널을 통해 인출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각종 구성품을 수용하는 캐비닛(10)과, 세탁수와 세제가 혼합된 혼합수를 저수하도록 캐비닛(10)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20)와, 터브(20)의 내부에 마련되어 세탁물을 수용하고 회전하는 드럼(30)과, 드럼(30)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60)를 포함한다. 구동장치(60)는 터브의 후방에서 드럼(30)을 정역 회전시켜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하도록 마련된다.
캐비닛(10)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10)은 전방이 개방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10)은 후면판(12d)과, 후면판(12d)의 전방으로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되는 양 측면판(12b, 12c)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캐비닛은 후면판(12d)과 양측면판(12b, 12c)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개시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캐비닛(10)은 개방된 전방에 마련되는 전면패널(11)과, 바닥에 마련되는 베이스(19), 그리고 상면에 마련되는 탑 커버(12e)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패널(11)은 제1전면패널(11a)과 제1전면패널(11a)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전면패널(1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전면패널(11a)은 드럼(30)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제1전면패널(11a)은 제2전면패널(11b)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전면패널(11a)에는 드럼(3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개구(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전면패널(11a)의 개구(13)는 캐비닛(10)의 전방으로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꺼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1전면패널(11a)의 개구(13)는 도어(4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40)는 도어 프레임(41)과 도어 글라스(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글라스(42)는 캐비닛(10)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투명한 강화유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전면패널(11b)은 캐비닛(1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2전면패널(11b)은 제1전면패널(11a)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전면패널(11b)의 상단은 탑커버(12e)와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2전면패널(11b)은 사용자로부터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6a)와 세탁기(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를 포함하는 컨트롤 패널(16)이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19)는 캐비닛(10)의 하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브(20)의 위에는 급수장치(14)가 마련될 수 있다. 급수장치(14)는 급수를 제어하는 급수 밸브(14b)와 급수관(14a)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브(20)의 위에는 급수과정에서 터브(20) 내부로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공급장치(90)가 설치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90)는 제2전면패널(11b)에 설치될 수도 있다. 세제공급장치(90)는 캐비닛(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급수장치(14)를 통해 세탁기(1) 내부로 유입되는 물은 세제공급장치(90)로 흐를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90)는 공급관(17)을 통해 터브(20)와 연결될 수 있다. 급수관(14a)을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는 세제공급장치(90)를 경유하여 세제와 혼합되며, 세탁수와 세제가 혼합된 혼합수는 터브(2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급수장치(14)를 통해 세탁기(1) 내부로 공급되는 물은 세제공급장치(90)로 흐를 수 있다. 급수관(14a)을 지나는 물은 세제함(95) 내부로 흐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급수관(14a)은 세제함(95)의 위에 배치되어 아래 측에 배치된 세제함(95)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세제함(95) 내부에는 세제가 수용될 수 있는데, 급수관(14a)에서 세제함(95) 내부로 공급된 물은 세제와 혼합될 수 있다. 세제와 혼합된 세제함(95) 내부의 물은 터브(20)로 흐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관(17)은 세제함(95)의 아래에서 세제함(95) 및 터브(20)와 연결되어 세제와 혼합된 세제함(95) 내의 물을 터브(20)로 공급할 수 있다.
드럼(30)의 후방에는 구동장치(60)가 구비될 수 있다. 구동장치(60)는 드럼(3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모터(61)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회전축(67)에 전달하여 드럼(30)을 회전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모터(61)는 고정된 스테이터(63)와, 스테이터(63)와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회전하는 로터(65)로 구성되어 전기력을 기계력 회전력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다만, 모터(61)의 구성요소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터브(20)는 세탁수와 세제가 혼합된 혼합수를 저수하며,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터브(20)는 캐비닛(1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전면패널(11)의 개구(13)와 터브(20)는 다이어프램(5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50)은 전면패널(11)과 터브(20) 사이의 공간을 씰링할 수 있다.
다이어프램(50)의 일측에는 순환호스와 연결되어 순환되는 혼합수를 드럼(30)의 내부로 분사하는 분사노즐(70)이 마련될 수 있다. 분사노즐(70)은 드럼(30) 내부에 수용되는 세탁물 전체에 고르게 혼합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순환호스는 터브(20)의 하부에서 저수된 혼합수를 펌핑하기 위한 순환펌프(71)에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분사노즐(70)과 순환펌프(71)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일 뿐이며, 생략 가능할 수 있다.
드럼(30)은 터브(20)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세탁물을 상승 및 낙하시킴으로써 세탁을 수행할 수 있다. 드럼(30)의 내부에는 복수의 리프터(31)가 마련될 수 있다.
터브(20)의 하부에는 터브(20) 내부의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관(미도시), 배수밸브(미도시) 등을 포함하는 배수장치(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터브(20)는 상부의 스프링(미도시) 및 하부의 댐퍼(80)들에 의해 캐비닛(10)으로부터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스프링과 댐퍼(80)들은 드럼(30)의 회전 시 발생하는 진동이 터브(20) 및 캐비닛(10)으로 전달될 때, 터브(20) 및 캐비닛(10) 사이에서 진동에너지를 흡수하여 터브(20) 및 캐비닛(10)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는 의류의 건조가 가능한 건조 겸용 세탁기(1)일 수 있다. 세탁기(1)는 필터장치(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장치(100)는 드럼(30)으로 유입 또는 유출되는 공기 중의 린트를 필터링할 수 있다. 필터장치(100)는 후술하는 열교환기(141)와 연통될 수 있다. 필터장치(100)는 캐비닛(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장치(100)는 세제공급장치(90)의 후방에서 세제공급장치(90)와 결합될 수 있다. 필터장치(100)는 세제공급장치(90)가 캐비닛(10) 외부로 인출 또는 캐비닛(10)의 내부로 인입될 때, 세제공급장치(90)와 함께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세제공급장치(90)를 캐비닛(10)의 외부로 인출 또는 캐비닛(10)의 내부로 인입하는 하나의 동작으로 세제공급장치(90)와 필터장치(100)를 모두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증가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90)와 필터장치(100)는 캐비닛(10) 내에서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90)와 필터장치(100)는 드럼(30)의 위에 마련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90)와 필터장치(100)는 제2전면패널(11b)을 통해 캐비닛(1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제공급장치(90)와 필터장치(100)는 제2전면패널(11b)에 형성되는 패널 개구(15)를 관통할 수 있다. 세제함(95)과 필터 케이스(110)는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세제함(95)과 필터 케이스(11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세제공급장치(90)의 전면커버(91) 내측에 함몰되는 파지부(미도시)를 파지하여 세제공급장치(90)와 필터장치(100)를 캐비닛(10)으로부터 인출시킬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90) 및 필터장치(100)는 전방으로 인출된 뒤 캐비닛(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 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필터 케이스(110) 내에 장착되는 린트필터(12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린트필터(120)를 분리시켜 세척한 뒤 린트필터(120)를 깨끗한 상태로 만들어 다시 필터 케이스(110)에 장착시킬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90) 및 필터장치(100)가 캐비닛(10) 내에서 전후방향을 따라 배열되므로, 린트필터(120) 사이즈를 크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린트필터(120)의 좌우방향(예: -Y~Y방향) 길이와, 전후방향 길이(예: -X~X방향)를 모두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린트필터(120)의 교체 주기가 길어질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세탁기(1)는 열풍 공급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열풍 공급 장치는 캐비닛 (10)내에 배치될 수 있다. 열풍 공급 장치는 터브(20) 및/또는 드럼(30)으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 열풍 공급 장치는 팬(151) 및 열교환기(14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의류 건조가 가능한 세탁기에서 캐비닛 내부의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히트 펌프 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히트 펌프 장치(140)는 압축기(144)와, 열교환기(141)와, 팽창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히트 펌프 장치(140)는 드럼(30)의 위에 위치될 수 있다. 히트 펌프 장치(140)는 상부 덕트(18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144)는 응축기(143), 증발기(142), 팽창기를 흐르는 냉매를 압축할 수 있다. 열교환기(141)는 응축기(143)와 증발기(142)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141)는 필터장치(100)의 하류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144)는 캐비닛(1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기(144)는 상부프레임(181)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압축기(144)는 베이스(19) 위에 배치될 수도 있다.
세탁기는 팬(15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팬(151)은 드럼 내부(30a) 및 열교환기(141)를 지나는 순환유로(190) 상의 공기를 송풍시킬 수 있다. 팬(151)은 순환유로(190) 상의 공기가 흐르도록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팬(151)은 원심팬이 될 수 있다. 다만 팬(151)의 종류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세탁기는 덕트 어셈블리(180)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 어셈블리(180)는 상부 덕트(181)와, 전방덕트(182) 및 후방덕트(1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덕트(181)는 드럼(30) 및 터브(20)의 상측에 위치되어 드럼(30)에서 배출된 공기가 제습 및 가열된 뒤 다시 드럼(30)으로 유입되도록 공기를 가이드 할 수 있다. 상부 덕트(181) 내에는 열교환기(141)를 포함하는 히트 펌프 장치(140)가 수용될 수 있다. 상부 덕트(181)는 상부프레임(181)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부 덕트(181) 내에는 제1순환유로(191)가 마련될 수 있다.
전방덕트(182)는 드럼(30) 및 터브(20)의 전방에 위치되어 드럼(30)으로 향하는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열교환기(141)를 지난 공기는 전방덕트(182)를 통해 드럼(3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전방덕트(182)는 순환유로(190)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전방덕트(182) 내에는 팬(151)이 수용될 수 있다. 전방덕트(182) 내에는 제2순환유로(192)가 마련될 수 있다.
후방덕트(183)는 드럼(30)과 터브(20)의 후방에 배치되어 드럼 내부(30a)의 공기가 필터로 향하도록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드럼 내부(30a)의 공기는 후방덕트(183)를 통해 필터, 열교환기(141)로 흐를 수 있다. 후방덕트(183)는 순환유로(190)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후방덕트(183)는 필터장치(100)와 연통될 수 있다. 후방덕트(183) 내에는 제3순환유로(193)가 마련될 수 있다.
전방덕트(182)와 후방덕트(183)는 드럼 내부(30a)의 공기가 캐비닛(10) 내부의 순환유로(190)를 순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방덕트(182)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다이어프램(50)을 통해 터브(20) 및 드럼(30) 내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다이어프램(50)도 공기가 캐비닛(10) 내부의 순환유로(190)를 순환하도록 할 수 있다.
세탁기는 순환유로(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순환유로(190)는 제1순환유로(191), 제2순환유로(192) 및 제3순환유로(19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순환유로(191)는 상부 덕트(181)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제2순환유로(192)는 전방덕트(182)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제3순환유로(193)는 후방덕트(18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순환유로(191), 제2순환유로(192) 및 제3순환유로(193)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후방덕트(183) 내에 형성되는 유로는 제1순환유로(191)이고, 상부 덕트(181) 내에 형성되는 유로는 제2순환유로(192)이고, 전방덕트(182) 내에 형성되는 유로는 제3순환유로(193)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세탁기의 건조 행정이 수행될 때, 세탁기 내부의 공기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세탁기의 세탁 및 탈수 행정이 끝난 후 건조 행정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세탁기의 세탁 행정 시작 전에 건조 행정을 추가할 수 있다.
드럼 내부(30a)의 공기는 캐비닛(10) 내부의 폐회로(화살표 방향)를 순환할 수 있다. 팬(151)이 작동하면 드럼 내부공간(30a)의 다습한 공기는 드럼(30) 원주방향 내벽에 형성되는 탈수홀(32) 및/또는 드럼 후벽(30b)에 마련되는 관통홀(33)을 통해 터브(20)측으로 흐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럼 내부(30a)의 공기는 드럼(30)과 터브(20) 사이의 공간(20a)으로 흐를 수 있다. 드럼(30)과 터브(20) 사이 공간(20a)의 공기는 터브 후벽(20b)에 형성되는 연통구(183c)를 통해 순환유로(190)로 흐를 수 있다. 공기는 터브(20)와 드럼(30) 후방에 위치되는 제3순환유로(193)를 지날 수 있다. 제3순환유로(193)의 상단까지 공기가 이동한 뒤 제1순환유로(191)로 흐를 수 있다. 공기는 제1순환유로(191) 상에서 필터 케이스의 내부(110d)와 열교환기(141)를 차례로 지날 수 있다. 드럼 내부(30a)의 의류에 의해 고습도가 된 공기는 열교환기(141)를 지나며 고온 저습의 공기가 될 수 있다. 고온 저습의 공기는 열교환기(141)의 하류 측에 배치되는 팬(151)에 의해 송풍될 수 있다. 팬(151)을 지난 공기는 터브(20)와 드럼(30) 전방 측의 제2순환유로(192)를 지날 수 있다. 제2순환유로(192) 내의 공기는 공기는 제2순환유로(192)의 하단에서 다이어프램(50)에 형성되는 연통구(182c)를 지나고, 다이어프램(50)을 지나 드럼(30)으로 다시 유입될 수 있다. 고온 저습의 공기는 드럼 내부(30a)의 의류와 만나 다시 다습한 공기가 될 수 있고, 상기한 과정을 거쳐 다시 고온 저습한 공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장치(100)가 열교환기(141)의 상류에 배치되어 열교환기(141)로 흐르는 공기 중의 먼지 또는 린트를 필터링 할 수 있으므로, 열교환기(141)에 린트 또는 먼지가 누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열교환기(141)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에서 캐비닛이 생략된 사시도이다. 도 6는 도 5에 도시된 세탁기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터브(20)와, 세제공급장치(90)와, 필터장치(100)와, 덕트 어셈블리(180) 및 상판(160)을 포함할 수 있다. 터브(20)와, 세제공급장치(90)와, 필터장치(100)와, 덕트 어셈블리(180) 및 상판(160)은 캐비닛(10) 내에 마련될 수 있다.
터브(20)는 전방덕트(182) 및 후방덕트(183)와 연결될 수 있다. 터브(20) 내에는 드럼(30)이 마련될 수 있고, 전방덕트(182) 및 후방덕트(183)의 내부를 지나는 공기는 드럼(30)을 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 내부의 폐회로를 순환하는 공기는 전방덕트(182), 드럼 내부(30a), 후방덕트(183)를 순환할 수 있다.
덕트 어셈블리(180)는 전방덕트(182), 후방덕트(183), 상부 덕트(181)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덕트(182) 및 후방덕트(183)는 상부 덕트(181)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전방덕트(182)는 상부 덕트(181)의 전방 우측(예: -Y방향)에서 상부 덕트(181)와 연통될 수 있고, 후방덕트(183)는 상부 덕트(181)의 후방 좌측(예: Y방향)에서 상부 덕트(181)와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비닛(10) 또는 터브(20)의 전방에서 후방을 바라볼 때, 전방덕트(182)는 좌측에 치우쳐 배치될 수 있고, 후방덕트(183)는 우측에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전방덕트(182)와 후방덕트(183)가 캐비닛(10) 내에서 일측에 치우쳐 배치되므로, 캐비닛(10) 내부의 구성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넓어질 수 있다. 상부 덕트(181)는 제1덕트(181), 전방덕트(182)는 제2덕트(182), 후방덕트(183)는 제3덕트(183)로 지칭될 수 있다.
전방덕트(182)는 제1덕트부(182a)와 제2덕트부(18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덕트부(182a)는 제2덕트부(182b) 보다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제1덕트부(182a)와 제2덕트부(182b)는 결합되어 전방덕트(182)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덕트부(182a)와 제2덕트부(182b)는 결합되어 그 내부에 팬(151)을 수용하고, 제2순환유로(192)를 형성할 수 있다.
후방덕트(183)는 제1덕트부(183a)와, 제2덕트부(183b) 및 제3덕트부(183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덕트부(183a)는 터브(20)의 후방과 연결될 수 있다. 제1덕트부(183a)는 드럼(30) 및 터브(20)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도록 할 수 있다. 제1덕트부(183a)는 연통구(183d)와 연통될 수 있다. 제2덕트부(183b)는 제1덕트부(183a)의 위 및 제3덕트부(183c)의 아래에 마련될 수 있다. 제2덕트부(183b)는 제1덕트부(183a)와 제3덕트부(183c)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덕트부(183a)와 제3덕트부(183c)를 연결시킬 수 있다. 제3덕트부(183c)는 제2덕트부(183b)의 상측에 마련되어 후방덕트(183)와 상부 덕트(181)를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덕트부(183c)는 제1순환유로(191)와 제3순환유로(193)를 연통시킬 수 있다.
세탁기는 팬 어셈블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팬 어셈블리(150)는 팬(151)과 모터(152)를 포함할 수 있다. 팬(151)은 전방덕트(182)에 수용될 수 있다. 모터(152)는 팬(151)과 연결되며 팬(151)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모터(152)는 전방덕트(182)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152)는 전방덕트(182)의 제1덕트부(182a)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덕트(181)는 드럼(30) 및 터브(2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덕트(181)는 캐비닛(10)과 결합되어 캐비닛(1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부 덕트(181)는 히트 펌프 장치(140)와 필터 케이스(110)를 수용할 수 있다. 히트 펌프 장치(140)와 필터 케이스(110)는 상부 덕트(18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부 덕트(181) 내에는 압축기(144)와 열교환기(141)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덕트(181) 내부 공간(181a)에는 압축기(144)와, 응축기(143)와, 증발기(142)가 배치될 수 있다.
상판(160)은 상부 덕트(181)를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판(160)은 상부 덕트(181) 위에서 내부공간(181a) 중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상판(160)은 제1순환유로(191)를 형성하도록 열교환기(141), 필터 케이스(110)를 커버할 수 있다. 상판(160)은 열교환기(141), 필터 케이스(11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 상판(160)은 상부 덕트(181) 내부의 구성요소 설명을 위해 투명처리 되었다.
세제공급장치(90) 및 필터장치(100)는 상부 덕트(181)에서 좌측단 또는 우측단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제공급장치(90) 및 필터장치(100)는 캐비닛(10) 또는 터브(20)의 전방에서 후방을 바라볼 때, 상부 덕트(181)의 우측단(Y방향 일단)에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세제공급장치(90) 및 필터장치(100)는 캐비닛(10) 또는 터브(20)의 전방에서 후방을 바라볼 때, 상부 덕트(181)의 좌측단(-Y방향 일단)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드럼 내부(30a)의 공기는 후방덕트(183)를 통해 좌측단에 치우쳐 배치되는 필터장치(100) 측으로 흐른 뒤 열교환기(141)를 거쳐 팬(151) 및 드럼 내부(30a)로 다시 흐를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90)는 필터장치(10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90)는 필터장치(100)와 결합되어 사용자가 세제공급장치(90)를 인출시 필터장치(100)와 함께 인출될 수 있다 (도 3 참조).
아래에서는 세탁기 내부의 순환유로(190)를 순환하는 공기의 흐름을 설명한다.
팬(151)이 작동하면 드럼(30) 및 터브(20) 내부의 공기는 터브 후벽(20b)에 형성되는 연통구(183d)를 통해 후방덕트(183)의 내부(예를 들어, 제3순환유로(193))로 흐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는 후방덕트(183)의 제1덕트부(183a), 제2덕트부(183b), 제3덕트부(183c)의 내부를 차례로 지나 상부 덕트(181)의 내부로 흐를 수 있다. 상부 덕트(181) 내부(예를 들어, 제1순환유로(191))의 공기는 필터 케이스(110), 증발기(142) 및 응축기(143)를 차례로 지날 수 있다. 응축기(143)를 지난 공기는 전방덕트(181)의 내부(예를 들어, 제2순환유로(192))를 통해 드럼 내부(30a)로 흐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응축기(143)를 지난 공기는 팬(151)을 지나 다시 드럼 내부(30a)로 흐를 수 있다. 이 때, 필터 케이스(110) 내부에는 후술하는 린트필터(120)가 마련되므로, 순환유로(190)를 순환하는 공기 중의 린트는 필터링 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에서 세제공급장치 및 필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세탁기에서 세제공급장치 및 필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은 도 8에 도시된 세탁기에서 세제공급장치 및 필터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세제공급장치(90)와 필터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90)와 필터장치(100)는 전후방향(예: -X~X방향)을 따라 결합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90)는 전면커버(91)와, 락킹부재(92)와, 세제함 브라켓(93)과, 세제함 커버(94) 및 세제함(95)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커버(91)는 세제함(95)의 전방에 배치되어 락킹부재(92), 세제함 브라켓(93), 세제함 커버(94) 및 세제함(95)을 커버할 수 있다. 전면커버(91)는 제1전면커버(91a)와 제2전면커버(9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전면커버(91a)는 제2전면패널(11b)과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전면커버(91a)는 제2전면패널(11b)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제2전면커버(91b)는 제1전면커버(91a)의 후방에서 제1전면커버(91a)와 결합될 수 있다. 제2전면커버(91b)의 하부에는 파지부(91c)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파지부(91c)를 통해 세제공급장치(90)와 필터장치(100)를 캐비닛(10)의 외부로 인출하여, 세제공급장치(90)와 필터장치(100)를 캐비닛(1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제2전면커버(91b)는 세제함 브라켓(93)과의 사이에서 락킹부재(92)를 수용할 수 있다.
락킹부재(92)는 전후방향을 따라 전면커버(91)와 세제함 브라켓(9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락킹부재(92)는 세제공급장치(9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락킹부재(92)는 캐비닛(10) 내에 마련되는 락킹부재(미도시)를 락킹하거나 언락킹할 수 있다.
세제함 브라켓(93)은 전면커버(91)와 결합될 수 있다. 세제함 브라켓(93)은 락킹부재 수용부(93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제함 브라켓(93)은 세제함 커버(94)와 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세제함 브라켓(93)은 전면커버(91)의 후방에서 전면커버(91)와 결합되고, 세제함 커버(94)의 전방에서 세제함 커버(94)와 결합될 수 있다.
세제함 커버(94)는 세제함(95)의 전방에 마련되어 세제함(95)을 커버할 수 있다. 세제함 커버(94)의 상방과 후방은 개구되어 세제함(95)을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세제함 커버(94)는 수용공간(94a)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공간(94a)은 세제함(95)을 수용할 수 있다.
세제함(95)은 세제함 커버(94)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세제함(95)은 상측이 개방된 박스 형상일 수 있다. 세제함(95)은 세제 영역(95a)과 유연제 영역(95b)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제 영역(95a)은 세제가 수용될 수 있고, 유연제 영역(95b)은 유연제가 수용될 수 있다. 세제 영역(95a)과 유연제 영역(95b)은 좌우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90)는 유연제공급장치(90)가 될 수 있다. 세제함(95)의 후면은 필터 케이스(110)의 전면(110b)과 접촉될 수 있다.
필터장치(100)는 필터 케이스(110)와 린트필터(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터장치(100)는 필터 케이스 내부(110d)로 공기가 유입 또는 유출되도록 하는 유입구(111)와 유출구(112)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케이스(110)는 린트필터(120)를 수용할 수 있다. 필터 케이스(110)에는 장착 홈(113a, 113b)과 삽입 홀(114)이 형성될 수 있다.
장착 홈(113a, 113b)은 필터 케이스(110)의 상면(110c)과 하면(110a)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장착 홈(113a, 113b)에는 린트필터(120)가 장착될 수 있다. 장착 홈(113a, 113b)은 린트필터(120)가 길이 방향(예: X방향)을 따라 장착되도록 전후방향(예: X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장착 홈(113a, 113b)은 제1장착 홈(113a)과 제2장착 홈(11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장착 홈(113a)에는 제1필터(121)가 장착될 수 있고, 제2장착 홈(113b)에는 제2필터(122)가 장착될 수 있다. 제1장착 홈(113a)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장착 홈(113b)은 전후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1장착 홈(113a)과 제2장착 홈(113b)은 전방으로 갈수록 사이 간격이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삽입 홀(114)은 린트필터(120)가 장착 홈에 장착되었을 때, 린트필터(120)에 마련되는 삽입 돌기(121a, 122a)가 삽입될 수 있다. 삽입 홀(114)은 필터 케이스 상면(110c)의 후방부에 마련될 수 있다. 삽입 홀(114)과 삽입 돌기(121a, 122a)는 린트필터(120)가 필터 케이스(110) 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필터 케이스(110)에는 유입구(111) 및 유출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필터 케이스의 내부(110d)는 제1순환유로(191)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유입구(111)와 유출구(112)는 제1순환유로(191)에 포함될 수 있다.
유입구(111)는 필터 케이스(110)의 후방에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111)는 필터 케이스의 내부(110d)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방덕트(183)를 지나 제1순환유로(191)로 유입된 공기는 유입구(111)를 통해 필터 케이스 내부(110d)로 흐를 수 있다.
유출구(112)는 필터 케이스(110)의 측방에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유출구(112)는 필터 케이스의 내부(110d) 공기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 케이스 내부(110d)의 공기는 유출구(112)를 통해 열교환기(141) 측으로 흐를 수 있다.
도면에서 유출구(112)는 필터 케이스(110)의 우측방(예: -Y방향)에 개구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필터장치(100)가 상부 덕트(181)의 우측단에 마련된다면, 유출구(112)는 필터 케이스(110)의 좌측방(예: Y방향)에 개구될 수도 있다.
필터 케이스(110)가 캐비닛(10) 내 좌우방향에 따른 일측에 배치되므로, 유입구(111) 및 유출구(112)도 좌우방향에 따른 일측에 치우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캐비닛(10) 내부에서 열교환기(141)를 포함하는 히트 펌프 장치(140)가 배치되는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다.
린트필터(120)는 순환유로(190) 상에 배치되어 순환유로(190)를 흐르는 공기 중의 린트 또는 먼지를 필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린트필터(120)는 필터 케이스 내(110d)에 위치되어 제1순환유로(191)를 흐르는 공기 중의 린트 또는 먼지를 필터링할 수 있다. 린트필터(120)는 필터(120)로 지칭될 수 있다.
린트필터(12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린트필터(120)는 제1필터(121)와 제2필터(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필터(121)는 제2필터(122) 보다 큰 메쉬를 가질 수 있다. 제2필터(122)는 제1필터(121) 보다 작은 메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필터(121)와 제2필터(122)는 유사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1필터(121)는 제1장착 홈(113a)에 장착되고, 제2필터(122)는 제2장착 홈(113b)에 장착될 수 있다. 제1필터(121)는 유출구(112)와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필터(122)는 유출구(11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2필터(122)는 유출구(112)에 배치될 수 있다.
드럼(30)에서 배출된 공기는 필터 케이스(110)의 후면에 개구되는 유입구(111)로 유입되어 유출구(112)로 배출되므로, 공기는 제1필터(121)와 제2필터(122)를 순차적으로 지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필터(121)가 제2필터(122) 보다 큰 메쉬를 가지므로, 공기 중의 비교적 큰 먼지 또는 린트는 제1필터(121)에서 필터링 된 후, 비교적 작은 먼지 또는 린트는 제2필터(122)에서 필터링되어 필터 케이스(1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린트 또는 먼지가 필터링된 공기가 열교환기(141)를 향해 흐를 수 있고, 열교환기(141)는 린트 또는 먼지의 영향을 적게 받아 열교환기(141)의 성능이 유지될 수 있다.
다만, 린트필터(120)는 상기한 개수 및 위치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개수, 위치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린트필터(120)는 삽입 돌기(121a, 122a)와 필터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 돌기(121a, 122a)는 필터 케이스의 상면(110c)에 마련되는 삽입 홀(114)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 돌기(121a, 122a)는 삽입 홀(114)에 수용되도록 린트필터(120)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필터(121)는 제1필터(12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삽입 돌기(121a)를 포함할 수 있고, 제2필터(122)는 제2필터(12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삽입 돌기(122a)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 돌기(121a, 122a)는 린트필터(120)의 후단 측에 마련될 수 있다.
필터 핸들(121b, 122b)은 사용자가 필터 케이스(110)로부터 린트필터(120)를 분리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필터 핸들(121b, 122b)은 린트필터(120)의 후단에 마련될 수 있다. 제1필터(121)는 제1필터(121)의 후면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는 필터 핸들(121b)을 포함하고, 제2필터(122)는 제2필터(122)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필터 핸들(122b)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필터 핸들(121b, 122b)을 후방으로 잡아당겨 린트필터(120)를 필터 케이스(1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고, 린트필터(120)를 세척하여 다시 필터 케이스(110)에 장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서비스를 부르지 않고 일반 사용자가 손쉽게 린트필터(120)를 청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건조 겸용 세탁기
10: 캐비닛
11: 전면패널
20: 터브
30: 드럼
50: 다이어프램
90: 세제공급장치
100: 필터장치
110: 필터 케이스
120: 린트필터
140: 히트 펌프 장치
150: 팬 어셈블리
160: 상판
180: 덕트 어셈블리
190: 순환유로

Claims (11)

  1. 전면패널을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에 물을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
    상기 터브 내로 공급될 세제를 저장하고,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캐비닛으로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세제공급장치;
    상기 드럼으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열풍 공급 장치;
    후방에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마련되고, 측방에 상기 열풍 공급 장치로 공급되는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마련되는 필터 케이스; 및
    상기 필터 케이스의 내부를 흐르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도록 구성되는 필터로서, 상기 세제공급장치가 상기 캐비닛으로 인입 또는 인출됨에 따라 상기 필터가 상기 캐비닛으로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필터 케이스에 결합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공급 장치는,
    상기 드럼을 통과하는 순환 기류를 형성하는 팬; 및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제습하고 상기 드럼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터브의 위에 배치되는 건조 겸용 세탁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유입구에 인접한 제1필터 및 상기 유출구에 인접한 제2필터를 포함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로부터 상기 유입구에 연결되는 후방 덕트;
    상기 열교환기를 수용하며 상기 유출구에 연결되는 상부 덕트; 및
    상기 상부 덕트로부터 상기 터브에 연결되는 전방 덕트;를 더 포함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내부에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 및 응축기를 포함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
  7. 전면에 투입구가 마련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에 물을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으로 흐르는 공기의 기류를 형성하는 팬;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제습하고, 상기 드럼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기;
    후방에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마련되고, 측방에 상기 열풍 공급 장치로 공급되는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마련되는 필터 케이스; 및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인출되거나 상기 필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필터 케이스의 내부를 흐르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터브 보다 위에 배치되는 건조 겸용 세탁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위에 마련되어 상기 열교환기를 수용하고 상기 터브 내부와 연통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상부 덕트;를 포함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로부터 상기 유입구에 연결되는 후방 덕트; 및
    상기 상부 덕트로부터 상기 터브에 연결되는 전방 덕트;를 더 포함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유입구에 인접한 제1필터 및 상기 유출구에 인접한 제2필터를 포함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내부에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 및 응축기를 포함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
KR1020210148929A 2021-11-02 2021-11-02 건조 겸용 세탁기 KR202300636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929A KR20230063654A (ko) 2021-11-02 2021-11-02 건조 겸용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929A KR20230063654A (ko) 2021-11-02 2021-11-02 건조 겸용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654A true KR20230063654A (ko) 2023-05-09

Family

ID=86408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8929A KR20230063654A (ko) 2021-11-02 2021-11-02 건조 겸용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365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355841B (zh) 堆叠式衣物处理装置
US9903067B2 (en) Laundry machine
EP3524727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294609B1 (ko) 의류 처리 장치
US11111623B2 (en) Drying device and clothes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50009326A (ko) 의류 건조장치
AU2024201959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20120022364A (ko) 세탁장치
KR20230063654A (ko) 건조 겸용 세탁기
US20230212808A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102017695B1 (ko) 의류처리장치
EP4375412A1 (en) Washing machine with drying function
US20230137038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KR102625459B1 (ko) 의류 처리 장치
US20240125039A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20120022362A (ko) 건조장치
KR20230105101A (ko) 의류처리장치
EP2975173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102667329B1 (ko) 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1861662B1 (ko) 세탁장치
KR20240054117A (ko) 의류처리장치
JP2013220138A (ja) 乾燥機
KR20190062052A (ko) 의류 처리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