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2970A - 누름 뚜껑구조 용기 - Google Patents

누름 뚜껑구조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2970A
KR20210112970A KR1020200028711A KR20200028711A KR20210112970A KR 20210112970 A KR20210112970 A KR 20210112970A KR 1020200028711 A KR1020200028711 A KR 1020200028711A KR 20200028711 A KR20200028711 A KR 20200028711A KR 20210112970 A KR20210112970 A KR 20210112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container body
sealing flange
containe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9388B1 (ko
Inventor
정성현
Original Assignee
정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현 filed Critical 정성현
Priority to KR1020200028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9388B1/ko
Publication of KR20210112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0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maintained on the container by mechanical means, e.g. crimping, clamping, riveting
    • B65D77/2016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maintained on the container by mechanical means, e.g. crimping, clamping, riveting the cover being maintained by projections or recesses o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in hot water, e.g. boil pou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bags
    • B65D25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25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 B65D2577/2075Lines of weakness or apertures
    • B65D2577/2091Lines of weakness or apertures in 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상부측에 개구(113)가 형성된 용기본체(110)와 용기본체(110)의 실링 플랜지(114)에 부착되는 용기뚜껑(120)을 포함하고,
용기뚜껑(120)의 일측을 다른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강성을 약하게 가공(200)하여,
사용자가 용기본체(110)의 상부측에 부착된 용기뚜껑(120)의 일부를 열었다가 닫을 시에,
용기뚜껑(120)을 용기본체(110)의 수용부(112) 방향으로 눌러주면 상대적으로 강성이 약한 가공(200) 부분이 변형되어 용기뚜껑(120)에 구조물이 형성되고,
이 구조물은 외력을 분산시키고 용기본체(110)의 내벽(111)과 마찰력을 갖는 구조로 되어있어,
구조물이 용기본체(110)의 수용부(112) 방향으로 들어가서 내벽(111)과 만나게 되면 구조물에 압축력이 가해지는데,
이때 압축력과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압축응력 및 탄성력이 힘의 평형상태가 되면 구조물이 해당 위치에 고정되고,
구조물은 용기본체(110) 내부의 열기나 외부의 외력으로 인해 쉽게 형태가 변하거나 움직이지 않아 용기뚜껑(120)이 용기본체(110)에 밀착된 상태로 수용된 내용물을 잘 조리하고 보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뚜껑구조 용기(100).

Description

누름 뚜껑구조 용기{the push cap structure for vessel}
본 발명은 용기뚜껑을 용기본체로부터 개봉하고 다시 닫아도 용기뚜껑이 들뜨지 않고 잘 닫혀 내용물을 뜨거운 물로 조리할 경우에도 용기본체 안의 열기가 밖으로 유출되지 않아 내부 식품이 고온에서 빠른 시간 안에 잘 익혀져 더욱 좋은 맛을 낼 수 있고 밀봉 개봉 후에도 보관 가능한 식품의 경우 취식 후 남은 내용물을 용기뚜껑을 닫아 다시 보관할 수 있는 누름 뚜껑구조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라면 등과 같은 용기면은 용기 내부에 면과 함께 분말 또는 액상 스프가 내장되며, 그 상부측에는 용기뚜껑이 밀봉되어 구성된다. 최근에는 상기 용기 내부에 면 이외에도 누룽지나 국밥, 떡볶이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즉석식품이 내장되어 유통되고 있다.
상기 용기면을 비롯한 용기에 담겨 판매되는 각종 즉석식품은 뜨거운 물을 부으면 일정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리가 완료되므로, 뜨거운 물만 있으면 간편하게 취식할 수 있는 인스턴트 식품으로서, 다양한 장소에서 널리 애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 용기면에 담겨 있는 면 등의 음식물을 조리하여 취식하기 위해서는 용기뚜껑을 개봉 표시선까지 개봉한 후 내용물 중의 분말 스프를 넣고 뜨거운 물을 용기 내부에 형성되는 표시선까지 부은 후 일정시간 동안 내용물을 익히게 된다.
이때, 용기뚜껑을 용기에 덮은 후에는 원활한 조리를 위해 용기 내부를 밀폐시켜야만 하므로, 분리된 용기뚜껑을 덮은 후 나무 젓가락을 용기뚜껑의 가장자리 부분에 끼우거나, 또는 용기뚜껑의 상부에 책 등의 중량물을 올려 놓는 방법을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용기뚜껑을 용기 상단에 밀착시키는 방법은 매우 번거로우면서 열상의 위험도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즉석식품 용기는 뚜껑이 다시 닫히지 않아 용기 안의 내용물을 보관하기 어려운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용기뚜껑을 용기본체로부터 개봉하고 다시 닫아도 용기뚜껑이 들뜨지 않고 잘 닫혀 내용물을 뜨거운 물로 조리할 경우에도 용기본체 안의 열기가 밖으로 유출되지 않아 내부 식품이 고온에서 빠른 시간 안에 잘 익혀져 더욱 좋은 맛을 낼 수 있고 밀봉 개봉 후에도 보관 가능한 식품의 경우 취식 후 남은 내용물을 용기뚜껑을 닫아 다시 보관할 수 있는 누름 뚜껑구조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부측에 개구(113)가 형성된 용기본체(110)와 용기본체(110)의 실링 플랜지(114)에 부착되는 용기뚜껑(120)을 포함하고,
용기뚜껑(120)의 일측을 다른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강성을 약하게 가공(200)하여,
사용자가 용기본체(110)의 상부측에 부착된 용기뚜껑(120)의 일부를 열었다가 닫을 시에,
용기뚜껑(120)을 용기본체(110)의 수용부(112) 방향으로 눌러주면 상대적으로 강성이 약한 가공(200) 부분이 변형되어 용기뚜껑(120)에 구조물이 형성되고,
이 구조물은 외력을 분산시키고 용기본체(110)의 내벽(111)과 마찰력을 갖는 구조로 되어있어,
구조물이 용기본체(110)의 수용부(112) 방향으로 들어가서 내벽(111)과 만나게 되면 구조물에 압축력이 가해지는데,
이때 압축력과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압축응력 및 탄성력이 힘의 평형상태가 되면 구조물이 해당 위치에 고정되고,
구조물은 용기본체(110) 내부의 열기나 외부의 외력으로 인해 쉽게 형태가 변하거나 움직이지 않아 용기뚜껑(120)이 용기본체(110)에 밀착된 상태로 수용된 내용물을 잘 조리하고 보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뚜껑구조 용기(1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뚜껑을 용기본체로부터 개봉하고 다시 닫아도 용기뚜껑이 들뜨지 않고 잘 닫혀 내용물을 뜨거운 물로 조리할 경우에도 용기본체 안의 열기가 밖으로 유출되지 않아 내부 식품이 고온에서 빠른 시간 안에 잘 익혀져 더욱 좋은 맛을 낼 수 있고 밀봉 개봉 후에도 보관 가능한 식품의 경우 취식 후 남은 내용물을 용기뚜껑을 닫아 다시 보관할 수 있는 누름 뚜껑구조 용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뚜껑구조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뚜껑구조 용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뚜껑구조 용기의 용기뚜껑이 용기본체 수용부로 들어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뚜껑구조 용기의 용기뚜껑이 용기본체 수용부로 들어간 상태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4 및 5 및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뚜껑구조 용기의 작용 원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뚜껑구조 용기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파지부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뚜껑구조 용기에 부가된 볼록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뚜껑구조 용기에 형성되는 가공의 다양한 가공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뚜껑구조 용기에 포함된 용기뚜껑의 용기뚜껑 구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뚜껑구조 용기에 형성되는 가공의 다양한 선 가공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뚜껑구조 용기에 형성되는 가공의 다양한 면적 가공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뚜껑구조 용기에 형성되는 가공의 가공범위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변형된 가공범위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뚜껑구조 용기에 형성되는 가공의 다양한 가공모양 골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뚜껑구조 용기에 형성되는 가공의 가공모양 중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뚜껑구조 용기에 형성되는 가공의 가공모양 중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뚜껑구조 용기에 형성되는 가공의 가공모양 중 제3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뚜껑구조 용기에 형성되는 가공의 다양한 가공테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뚜껑구조 용기에 포함된 용기뚜껑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뚜껑구조 용기에 형성되는 가공의 다양한 가공모양 골격 중 ㅣ형태가 적용된 경우 용기뚜껑이 용기본체 수용부로 들어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뚜껑구조 용기에 형성되는 가공의 개수가 2개인 경우 용기뚜껑이 용기본체 수용부로 들어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뚜껑구조 용기에 형성되는 가공의 가공모양 중 실링 플랜지모양이 적용된 경우 용기뚜껑이 용기본체 수용부로 들어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적용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누름 뚜껑구조 용기(100)는 용기본체(110) 및 용기뚜껑(120)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본체(110)는 일정한 깊이로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도록 구비된다.
이때, 용기본체(110)의 저면은 책상 또는 지면 상에 세울 수 있도록 평편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용기본체(110)는 식품이 수용되는 수용부(112) 및 수용부(112)의 상부측으로 개방되는 개구(11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식품은 생 라면이나 기타 위생보관이 가능하도록 건조 또는 멸균 처리된 다양한 식품이 적용될 수 있다.
용기본체(110)의 수용부(112) 내벽(111)에는 사용자가 뜨거운 물을 적정량까지 부을 수 있도록 알려주는 표시선(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용기본체(110)의 상부측 테두리에는 실링 플랜지(11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실링 플랜지(114)에는 용기뚜껑(120)이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다.
아울러, 용기뚜껑(120)이 실링 플랜지(114)로부터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파지부(140)가 용기뚜껑(120)의 테두리에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파지부(140)는 대략 삼각모양 또는 반원모양 등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파지부(140)는 용기본체(110)로부터 약 10㎜ 내지 15㎜ 폭만큼 연장 형성될 수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파지부(140)는 14㎜ 폭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용기뚜껑(120)의 상부면 일부분에는 복수 개의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배출구는 용기뚜껑(120)의 테두리에 근접하여 형성되되, 용기뚜껑(120)의 파지부(140) 반대편에 상호 마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배출구는 수용부(112) 내의 뜨거운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배출구는 수용부(112) 내에 면이 뜨거운 물에 의해 다 조리되어 물을 외부로 배출시켜야 할 때 개방되어야 하므로, 작은 힘에도 찢어질 수 있도록 절취선으로 형성된 후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젓가락 등을 이용하여 배출구를 형성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용기본체(110)는 스티로폼, 플라스틱, 종이 또는 녹말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상기 용기본체(110)의 크기 및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용기뚜껑(120)은 개구(113)를 덮도록 실링 플랜지(114)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용기뚜껑(120)은 실링 플랜지(114)에 열융착 등의 방법으로 부착됨으로써 상기 용기본체(110)를 밀봉시킨다.
또한, 용기뚜껑(120)의 상부면에는 수용부(112) 내로 뜨거운 물을 붓기 위해 용기뚜껑(120)의 일부만을 개봉하도록 알려 주는 개봉 표시선(15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뚜껑(120)은 상부원단(121) 및 하부원단(122)이 접착층(123)에 의해 일체로 부착 형성되고,
상기 용기뚜껑(120)을 구성하는 상부원단(121)은 각종 인쇄작업이 이루어지는 인쇄층(121a)과,
식품용 하이그로시 종이 등으로 이루어진 종이층(121b)과,
상부 PET필름층(121c)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접착층(123)은 상부원단(121)과 하부원단(122)의 부착을 위해 구비되는 EVA 수지층(123a)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일부 영역은 상부원단(121)이 하프컷팅(211)된 구역의 박리가 용이할 수 있도록 이형 잉크층(123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원단(122)은 해당 용기본체(110) 내부의 식품을 보호하도록 알루미늄박 또는 알루미늄 증착을 통해 형성되는 알루미늄층(122a)과,
하부 PET필름층(122b) 및,
상기 용기뚜껑(120)이 용기본체(110)의 상부측 실링 플랜지(114)에 부착되어 그 내부를 밀봉시키도록 하부원단(122) 하면에 구비되는 열접착 수지층(122c)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측에 개구(113)가 형성된 용기본체(110)와 용기본체(110)의 실링 플랜지(114)에 부착되는 용기뚜껑(120)을 포함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뚜껑(120)의 일측을 다른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강성을 약하게 가공(200)하여,
사용자가 용기본체(110)의 상부측에 부착된 용기뚜껑(120)의 일부를 열었다가 닫을 시에,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뚜껑(120)을 용기본체(110)의 수용부(112) 방향으로 눌러주면,
상대적으로 강성이 약한 가공(200) 부분이 변형되어 용기뚜껑(120)에 구조물이 형성되고,
이 구조물은 외력을 분산시키고 용기본체(110)의 내벽(111)과 마찰력을 갖는 구조로 되어있어,
구조물이 용기본체(110)의 수용부(112) 방향으로 들어가서 내벽(111)과 만나게 되면 구조물에 압축력이 가해지는데,
이때 압축력과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압축응력 및 탄성력이 힘의 평형상태가 되면 구조물이 해당 위치에 고정되고,
구조물은 용기본체(110) 내부의 열기나 외부의 외력으로 인해 쉽게 형태가 변하거나 움직이지 않아 용기뚜껑(120)이 용기본체(110)에 밀착된 상태로 수용된 내용물을 잘 조리하고 보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뚜껑구조 용기(100).
상기 구조물의 형태는 대략 원뿔형태 이거나,
또는 대략 궁륭형태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뚜껑(120)에는 일부만을 개봉하도록 알려주는 개봉 표시선(15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뚜껑(120)에는 파지부(140)가 상기 용기뚜껑(120)의 테두리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110)는 상기 구조물이 상기 수용부(112)로 들어가서 상기 내벽(111)과 만날 수 있도록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조물이 상기 개봉 표시선(150)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반경 내에서 상기 내벽(111)과 만나는 영역을 압축/걸림 영역(160)이라고 하고 이 압축/걸림 영역(160)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력과 압축응력 및 탄성력이 힘의 평형을 이뤄 억지끼워맞춤(170)과같이 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조물이 상향하면서 상기 내벽(111)과 만나서 걸려 걸림(180)과 같이 되면 상기 구조물이 해당 위치에 고정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140)는 개수가 2개인 경우 상기 개봉 표시선(150)에서 대략 90도의 위치에서 서로 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뚜껑(120)을 상기 수용부(112)로 넣어 닫고 다시 열을 때 사용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140) 테두리에서 연장되어 연장 파지부(14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 파지부(141)는 상기 파지부(140) 개수가 2개인 경우 파지부 외측(142)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벽(111)에는 상기 구조물과 압축력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상기 구조물이 상향하여 들릴 때 걸릴 수 있도록 일부 볼록하게 볼록면(1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록면(115)은 동일한 높이에서 상기 내벽(111)을 따라 연장되어 띠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뚜껑(120)에서 상기 가공(200) 위치는 상기 개봉 표시선(150)에서 대략 90도의 위치이거나,
또는 대략 45도의 위치이거나,
또는 자유로운 위치일 수 있다.
상기 가공(200)의 개수는 1개,
또는 2개,
또는 3개 이상일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뚜껑 구역(130)을 상기 실링 플랜지(114)와 부착되는 실링 플랜지 부(131)와 실링 플랜지 부(131)를 기준으로 실링 플랜지 내측(132)과 실링 플랜지 외측(133)으로 구분하면 가공범위(230)는 실링 플랜지 내측(132)이거나,
또는 실링 플랜지 부(131)이거나,
또는 실링 플랜지 부(131) 내지 실링 플랜지 내측(132)까지 포함하는 부분이거나, 또는 실링 플랜지 부(131)를 제외한 실링 플랜지 내측(132) 및 실링 플랜지 외측(133) 부분이거나,
또는 실링 플랜지 외측(133) 내지 실링 플랜지 부(131) 내지 실링 플랜지 내측(132)까지 포함하는 부분이거나,
또는 자유로운 범위를 갖을 수 있다.
상기 실링 플랜지 내측(132)의 폭은 상기 실링 플랜지 부(131)에서 부터 대략 5㎜ 이내로 폭을 갖을 수 있다.
상기 가공(200)의 방법 중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 가공방법(210)으로는 상부원단(121)을 하프컷팅(211)하여 완칼선(214)이나 미싱선(215)을 만들거나,
또는 전체원단을 풀컷팅(212)하여 완칼선(214)이나 미싱선(215)을 만들거나,
또는 누름선(213)을 만드는 등의 방법이 있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적 가공방법(220)으로는 다층으로 구성된 상기 용기뚜껑(120)의 일부 층을 부착하지 않는 미부착(221) 방법이거나,
또는 다층으로 구성된 상기 용기뚜껑(120)의 일부 층을 제거하거나 압착하여 해당 영역을 얇게 만드는 제거/압착(222) 방법이거나,
또는 접착층(123)이 상기 이형 잉크층(123b)으로 처리된 상기 상부원단(121) 영역의 테두리를 상기 하프컷팅(211) 하여 제공하면 사용자가 상기 상부원단(121)을 박리하여 해당 영역을 얇게 만드는 박리(223) 등의 방법이 있을 수 있고,
명시된 방법들이 서로 합쳐진 가공방법일 수 있다.
상기 가공범위(23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링 플랜지(114)의 형상에 따라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뚜껑(120)을 상기 실링 플랜지(114)에 부착하는 생산공정에서 오차가 발생하여 원하는 위치와 조금 다른 위치에 부착될 수 있는데,
이런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구조물이 상기 수용부(112)로 들어가서 상기 내벽(111)과 만날 수 있도록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에 따라 나눠지는 구역마다 다양한 상기 가공범위(230)를 갖도록 만들 수 있고 이때 상기 가공범위(230)의 모양은 상기 실링 플랜지(114)의 모양이 원형일 경우 타원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원형 모양은 상기 개봉 표시선(150)에서 대략 90도 방향으로 반지름이 긴 타원형 모양일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모양 골격(240)은 상기 개봉 표시선(150)에서 대략 90도의 각도에서 놓고 볼 때 대략 ㅣ형태(241)로 형성되거나,
또는 대략 ㅡ형태(242)로 형성되거나,
또는 대략 ㅜ형태(243)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공모양(250)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모양(251)으로 형성되거나,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는 대략 삼각모양(252)으로 형성되거나,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는 대략 실링 플랜지모양(253)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 가공방법(210)의 각도는 개수가 2개 이상으로 상기 가공(200)될 경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상기 가공(200) 선, 또는 각 가공부위에서 연장되는 가상의 선이 상기 실링 플랜지 내측(132)을 향하여 교차하는 각도를 갖을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링 플랜지모양(253)으로 형성되는 상기 가공범위(230)는 상기 개봉 표시선(150)을 기준으로 양측 45도 내의 범위일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테두리(260)는 대략 직선테두리(261)이거나,
또는 상기 내벽(111)과 접촉하는 부분의 면적을 조절하거나 상기 구조물의 강성을 조절하기 위해 대략 톱니테두리(262)이거나,
또는 대략 물결테두리(263)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누름 뚜껑구조 용기
110: 용기본체
111: 내벽
112: 수용부
113: 개구
114: 실링 플랜지
115: 볼록면
120: 용기뚜껑
121: 상부원단
121a: 인쇄층
121b: 종이층
121c: 상부 PET 필름층
122: 하부원단
122a: 알루미늄층
122b: 하부 PET 필름층
122c: 열접착 수지층
123: 접착층
123a: EVA 수지층
123b: 이형 잉크층
130: 용기뚜껑 구역
131: 실링 플랜지 부
132: 실링 플랜지 내측
133: 실링 플랜지 외측
140: 파지부
141: 연장 파지부
142: 파지부 외측
150: 개봉 표시선
160: 압축/걸림 영역
170: 억지끼워맞춤
180: 걸림
200: 가공
210: 선 가공방법
211: 하프컷팅
212: 풀컷팅
213: 누름선
214: 완칼선
215: 미싱선
220: 면적 가공방법
221: 미부착
222: 제거/압착
223: 박리
230: 가공범위
240: 가공모양 골격
241: ㅣ형태
242: ㅡ형태
243: ㅜ형태
250: 가공모양
251: 사각모양
252: 삼각모양
253: 실링 플랜지모양
260: 가공테두리
261: 직선테두리
262: 톱니테두리
263: 물결테두리

Claims (7)

  1.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부(112);
    수용되는 공간을 구성하는 내벽(111); 및
    상기 수용부(112)의 상부 측 테두리에 실링 플랜지(114); 를 포함하는 용기본체(110); 및
    상기 실링 플랜지(114)에 부착되는 용기뚜껑(120); 을 포함하되,
    상기 용기뚜껑(120)은 상부원단(121);
    하부원단(122); 및
    상기 상부원단(121) 및 하부원단(122) 사이에 개재되는 이형 잉크층(123b)을 포함하는 접착층(123); 을 포함하여,
    상기 용기뚜껑(120)의 일부를 상기 용기본체(110)로부터 분리하여 열고 다시 닫더라도,
    상기 용기뚜껑(120)에서 상기 이형 잉크층(123b)이 개재된 지점을 상기 용기본체(110)의 상기 수용부(112) 측 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용기뚜껑(120)의 구조가 변형되고,
    이는 상기 용기뚜껑(120)과 상기 용기본체(110)의 상기 내벽(111)과의 최대정지마찰력을 증가 시켜,
    상기 용기뚜껑(120)이 상기 용기본체(110)의 상기 내벽(11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뚜껑구조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뚜껑(120)은 상기 용기뚜껑(120)의 테두리에서 연장된 파지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이형 잉크층(123b)이 상기 파지부(140)와 상기 용기뚜껑(120)의 중심으로부터 같은 각도에 개재되는 누름 뚜껑구조 용기.
  3. 제1항 내지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뚜껑(120)의 영역을 상기 실링 플랜지(114)와 부착되는 실링 플랜지 부(131);
    상기 실링 플랜지 부(131)를 기준으로 내측 영역인 실링 플랜지 내측(132); 및
    외측 영역인 실링 플랜지 외측(133); 으로 구분하고,
    상기 이형 잉크층(123b)이 상기 실링 플랜지 부(131) 내지 상기 실링 플랜지 내측(132)에 개재되는 누름 뚜껑구조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원단(121)이 상기 이형 잉크층(123b)이 개재된 영역에서 박리될 수 있도록 하프컷팅(211)된 누름 뚜껑구조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잉크층(123b)이 상기 실링 플랜지(114)의 형상에 따라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재되는 누름 뚜껑구조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10)의 상기 내벽(111)의 일측이 볼록하게 볼록면(115)으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뚜껑(120)이 걸릴 수 있도록 하는 누름 뚜껑구조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10)의 상기 내벽(111)을 따라 동일한 높이에서 띠 모양이 볼록하게 볼록면(115)으로 형성되는 누름 뚜껑구조 용기.
KR1020200028711A 2020-03-07 2020-03-07 누름 뚜껑구조 용기 KR102649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711A KR102649388B1 (ko) 2020-03-07 2020-03-07 누름 뚜껑구조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711A KR102649388B1 (ko) 2020-03-07 2020-03-07 누름 뚜껑구조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970A true KR20210112970A (ko) 2021-09-15
KR102649388B1 KR102649388B1 (ko) 2024-03-20

Family

ID=77793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711A KR102649388B1 (ko) 2020-03-07 2020-03-07 누름 뚜껑구조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938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0050A (ja) * 1992-09-17 1994-04-12 Dainippon Printing Co Ltd 即席食品容器
KR200210273Y1 (ko) * 2000-08-01 2001-01-15 이동섭 재밀폐 가능한 컵라면 종이뚜껑
KR200226918Y1 (ko) * 2000-12-27 2001-06-15 박기범 자체 뚜껑을 갖는 종이컵
JP2004182292A (ja) * 2002-12-03 2004-07-02 Kagawa Atsuko 蓋体を備えた食品用容器及びかかる容器入り食品
US8540114B2 (en) * 2009-03-18 2013-09-24 Cup Techniques Ltd. Container apparatus with a body, plate, and lid
JP3203598U (ja) * 2016-01-26 2016-04-07 マコトプリンティング株式会社 フィンガーフード用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3598B2 (ja) 1995-06-26 2001-08-27 オークマ株式会社 ホルダ装着面清掃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0050A (ja) * 1992-09-17 1994-04-12 Dainippon Printing Co Ltd 即席食品容器
KR200210273Y1 (ko) * 2000-08-01 2001-01-15 이동섭 재밀폐 가능한 컵라면 종이뚜껑
KR200226918Y1 (ko) * 2000-12-27 2001-06-15 박기범 자체 뚜껑을 갖는 종이컵
JP2004182292A (ja) * 2002-12-03 2004-07-02 Kagawa Atsuko 蓋体を備えた食品用容器及びかかる容器入り食品
US8540114B2 (en) * 2009-03-18 2013-09-24 Cup Techniques Ltd. Container apparatus with a body, plate, and lid
JP3203598U (ja) * 2016-01-26 2016-04-07 マコトプリンティング株式会社 フィンガーフード用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9388B1 (ko) 202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9786B2 (en) Meal kit and cooking tray
US4020969A (en) Lid of a receptacle for instant cooking food
US3955742A (en) Container lid with integral removable eating utensil
US3937389A (en) Disposable food container
EP1831085B1 (en) Utensil shaped container
US20100116698A1 (en) Container cover with integrated compartments
JPH10129742A (ja) 蓋付き容器
US9162809B2 (en) Food package with supplementary food container
KR20210112970A (ko) 누름 뚜껑구조 용기
JP5480109B2 (ja) 蓋材及び包装体
KR101838195B1 (ko) 편리한 비빔컵라면 용기
KR200402421Y1 (ko) 라면 용기 뚜껑
JP2001240149A (ja) 即席めん類用収納容器
JP3204938U (ja) 二重容器
KR200304850Y1 (ko) 개봉이 용이한 식품포장용 컵 용기
JPH08258875A (ja) 即席食品容器
JP3195250U (ja) トレー型容器
EP3543170B1 (en) Pack comprising a tray for packaging food products constituted of a flat sheet of multi-layer material
KR200305972Y1 (ko) 일회용 용기의 뚜껑
KR102190969B1 (ko) 식품 포장용기
EP3269662B1 (en) A food container
GB2289254A (en) Container
JP2001063773A (ja) 即席食品等の容器
JP3134181U (ja) 使い捨てカップセット
JPS621514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