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969B1 - 식품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식품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969B1
KR102190969B1 KR1020200068982A KR20200068982A KR102190969B1 KR 102190969 B1 KR102190969 B1 KR 102190969B1 KR 1020200068982 A KR1020200068982 A KR 1020200068982A KR 20200068982 A KR20200068982 A KR 20200068982A KR 102190969 B1 KR102190969 B1 KR 102190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container
cover
sub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8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일영
Original Assignee
정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일영 filed Critical 정일영
Priority to KR1020200068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9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5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9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the element, e.g. a valve, opening an aperture of the auxiliary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샐러드나 도시락 등 즉석식품을 포장하는 용기에 있어서, 구조가 단순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소스를 음식물에 용이하게 혼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높임과 아울러 소스가 손에 묻거나 주변으로 튈 염려가 없으므로 위생적인 식품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품 포장용기 {FOOD CONTAINER FOR EASY TO MIX MIXTURE SUCH AS SAUCE}
본 발명은 식품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즉석식품을 포장하는 용기에 있어서 샐러드와 같은 메인음식물에 소스와 같은 서브음식물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혼합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위생적인 식품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과 업무가 바빠지고 1인 가구와 맞벌이 가정의 증가로 인해 현대인의 생활 소비패턴이 변하면서 대형마트나 편의점 등의 매장이나 각종 음식점에서 다양한 종류의 즉석 포장식품이 판매되고 있다.
즉석 포장식품은 반제품이나 완제품 상태로 된 식품을 소정 형태의 용기에 담아 포장한 것으로, 포장만 개봉하여 빠르고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데다가 그 종류도 다양하여 수요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포장식품 중 샐러드나 치킨, 튀김 등과 같이 소스나 드레싱, 양념(이하 소스라 통칭함)을 곁들여 먹는 식품의 경우 소스를 담은 별도의 소스 용기를 포장용기 내부에 음식물과 함께 수납하거나 또는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포장용기 상부에 임시로 고정하여 포장하게 된다.
이때, 소스 용기의 상부 개방 부위는 합성수지필름을 열접착하여 실링 포장하거나 캡(뚜껑)을 씌워 밀폐 포장함으로써 내용물이 외부로 새어 나오지 않도록 한다.
그런데 종래의 포장용기는 소스를 샐러드와 같은 음식물에 부어 먹기 위해서는, 먼저 포장용기를 개봉하여 소스 용기를 꺼낸 후 소스 용기를 개봉하거나, 또는 소스 용기를 가고정하는 접착테이프를 떼어 내어 포장용기로부터 소스 용기를 분리한 후 각각의 상부를 개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전자와 같이 소스 용기를 음식물과 함께 포장용기 내부에 넣어 포장한 경우에는 소스 용기 표면에 음식물에 의한 물기나 기름기가 부착되므로 소스 용기를 꺼내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에 옮겨 묻어 비위생적이고 불쾌감을 줄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소스 용기를 개봉하는 과정에서 용기 상부에 밀착 결합된 실링 필름을 뜯어내거나 꽉 닫힌 캡을 열 때 소스가 손에 묻거나 주변으로 튀면서 옷이나 테이블 등 주변을 오염시키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 특허공개 제2017-85805호의 음식물 포장용기와 같이 비액상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부 상부에 액상 음식물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결합함과 아울러 이들 사이에 차단막을 형성하고, 수용부의 상단에 하부를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면서 단부가 뾰족한 돌출부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수용부 상단에 압력을 가하여 돌출부에 의해 차단막을 찢어서 액상 음식물을 비액상 음식물에 투입한 후 전자레인지에 데워먹을 수 있도록 하는 선행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구조가 다소 복잡하고 실수로 돌출부가 눌릴 경우 차단막이 찢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수용부의 외측에 별도로 보호 커버부를 구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공개 제2017-85805호 "음식물 포장용기" (2017.07.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샐러드와 같은 음식물을 포장하는 종래의 포장용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간단한 조작만으로 소스와 같은 혼합물을 음식물에 즉시 혼합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위생성을 향상하도록 하는 식품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기는, 식품 포장용기에 있어서, 메인음식물이 담기도록 수납공간을 가진 용기 본체; 용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 커버 상부에 결합되고 서브음식물이 담기도록 수용공간을 가진 컵용기; 및 커버와 컵용기 사이에 구비되고 컵용기의 회전에 의해 수납공간과 수용공간이 연통되면서 용기 본체로 서브음식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서브음식물 공급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브음식물 공급수단은, 컵용기의 하단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커버의 중심부에 형성된 안착홈부; 상기 안착홈부가 부분적으로 개방되도록 절개 형성되는 제1절개홀; 및 상기 컵용기의 하부면이 부분적으로 개방되도록 절개 형성되는 제2절개홀;을 포함하며, 상기 컵용기를 회전 시 제1절개홀와 제2절개홀을 일정 면적 이상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서브음식물 공급수단은, 컵용기의 하단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커버의 중심부에 형성되되 둘레어서 중앙을 향할수록 돌출 형성되는 안착돌부; 컵용기의 하부면에 형성되되 둘레에서 중앙을 향할수록 돌출 형성되는 저면돌출부; 상기 커버의 안착돌부가 부분적으로 개방되도록 절개 형성되는 제1절개홀; 및 상기 컵용기의 하부면이 부분적으로 개방되도록 절개 형성되는 제2절개홀;을 포함한다.
상기 서브음식물 공급수단은, 상기 안착돌부의 높이가 저면돌출부와 동일하거나 더 높게 형성된다.
상기 서브음식물 공급수단은, 컵용기의 하단부가 걸리도록 안착홈부 또는 안착돌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메인음식물은 샐러드, 시리얼, 스낵칩, 튀김, 치킨, 파스타면, 물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음식물은 소스, 드레싱, 양념, 요거트, 커피 원액, 차분말, 차원액(엑기스), 시럽을 포함한다.
아울러, 용기 본체는 원형이나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진 케이스 또는 보틀이거나 또는 텀블러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품 포장용기에 따르면, 용기 본체를 개폐하는 커버와, 커버 상부에 결합되는 컵용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컵용기를 용기 본체로부터 분리 및 상부를 개방할 필요 없이 커버에 그대로 결합된 상태에서 간단한 회전 조작만으로 음식물이 담긴 용기 본체에 컵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용이하게 공급하여 간편하게 혼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컵용기를 개봉하는 과정에서 내용물이 손에 묻거나 주변으로 튀어서 옷이나 테이블 등을 오염시킬 염려가 없으므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기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서브음식물 공급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서브음식물 공급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기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서브음식물 공급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식품 포장용기(C)는 메인음식물이 담기는 용기 본체(10); 용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20); 커버 상부에 결합되고 서브음식물이 담기는 컵용기(30); 및 커버와 컵용기 사이에 구비되어 용기 본체로 서브음식물을 공급하는 서브음식물 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용기 본체(10)는 상부가 개방된 소정 형태의 케이스나 보틀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샐러드와 같은 메인음식물(MF)이 담기도록 수납공간(11)이 형성되며, 외측면 둘레를 따라 제1체결부(12)가 형성된다. 상기 제1체결부(12)는 돌기 또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용기 본체(10)는 공지에서와 같이 평단면이 원형이나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가공성이 우수하고 가벼우며 전자레인지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10)는 텀블러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커버(10)는 용기 본체의 상부 개방 부위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체결부에 대응하도록 외측면 둘레를 따라 제2체결부(22)가 형성되며, 상기 제2체결부(22)는 홈 또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용기 본체의 제1체결부(12)에 커버의 제2체결부(22)가 끼움방식으로 상호 결합되어 폐쇄 상태를 이루면서 수납공간(11)의 메인음식물이 외부로 쉽게 새어 나오거나 쏟아지지 않게 된다.
상기 제1체결부(12) 및 제2체결부(22)는 돌기 또는 홈 형상 외에도 용기 본체(10)와 커버(20)를 결합 및 분리하는 수단이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용기 본체(10)가 텀블러 형태일 경우 제1,2체결부는 힌지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컵용기(30)는 커버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소스와 같은 서브음식물(SF)이 담기도록 수용공간(31)이 형성된다.
상기 컵용기(30)는 소정 형태로 이루어지되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이거나 적어도 하단부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컵용기(30)의 상부는 공지에서와 같이 캡(31)이 밀착 결합되거나 합성수지필름이 열접착되어 상부 개방 부위를 개폐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개폐수단이 구비되지 않고 컵용기 하부면을 제외한 전면이 밀폐되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요소로서 서브음식물 공급수단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서브음식물 공급수단은 커버(20)와 컵용기(30) 사이에 구비되어 컵용기 내의 서브음식물을 용기 본체(10)로 용이하게 공급 및 혼합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서, 안착홈부(41)와, 제1절개홀(42) 및 제2절개홀(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착홈부(41)는 컵용기의 하단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커버(20)의 중심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소정 깊이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컵용기(30)의 하단부 외측면이 안착된 상태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안착홈부(41)는 외측 둘레를 따라 걸림부(4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걸림부는 안착홈부에 삽입되는 컵용기(30)의 하단부가 걸리도록 커버(20) 중심부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즉, 커버(20)와 컵용기(30)를 이루는 플라스틱 소재의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컵용기가 안착홈부(41)에 강제 삽입 가능함과 아울러 걸림부(44)가 컵용기의 하단부를 가압함으로써 컵용기가 안착홈부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 가능하게 된다.
제1절개홀(42)은 커버의 안착홈부에 절개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제1절개홀은 안착홈부(41)가 부분적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되, 반원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제2절개홀과 연통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제2절개홀(43)은 컵용기의 하부면에 절개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2절개홀은 제1절개홀과 마찬가지로 컵용기(30) 하부면이 부분적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되, 제1절개홀에 대응하여 반원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제1절개홀(42)와 제2절개홀(43)은 그 형상이나 크기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며, 용기 본체의 수납공간(11)과 컵용기의 수용공간(31)이 연통되도록 일정 면적 이상 겹쳐지는 정도로 형성되면 충분하다.
아울러, 상기 제1절개홀(42)와 제2절개홀(43)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제1,2절개홀이 폐쇄 상태에서 컵용기의 수용공간(31)에 담긴 서브음식물(SF)이 용기 본체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어느 하나가 더 크거나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때 제1절개홀(42)이 더 작게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3⒝에서와 같이 컵용기(30)를 커버로부터 분리하거나 개봉할 필요 없이 커버(20) 중앙에 그대로 결합한 상태에서 소정 각도 회전하여 제1,2절개홈(42,43)이 연통되도록 하면 컵용기 내부에 담긴 소스나 커피 원액 등의 서브음식물(SF)이 용기 본체(10) 내부에 담긴 샐러드나 물과 같은 메인음식물(MF)로 바로 공급되면서 용이하게 혼합이 이루어진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서브음식물 공급수단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서브음식물 공급수단은 안착돌부(46)와, 저면돌출부(47)와, 제1절개홀(42) 및 제2절개홀(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제1,2절개홀, 걸림부와 같이 제1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안착돌부(46)는 안착홈부와 마찬가지로 커버(20)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이러한 안착돌부는 둘레에 비해 중심부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안착돌부에 부분적으로 제1절개홀(42)이 형성된다.
이때, 안착돌부(46)는 커버(20)에 컵용기(30)를 결합 시 컵용기의 제2절개홀(43)에 끼워지게 된다.
저면돌출부(47)는 컵용기의 하부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저면돌출부는 안착돌부와 마찬가지로 둘레에 비해 중심부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부분적으로 제2절개홀(43)이 형성된다.
이때, 안착돌부(46)와 저면돌출부(47)는 최정상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안착돌부(46)가 저면돌출부(47)보다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4⒜에서와 같이 컵용기(30) 내의 서브음식물(SF)이 미공급 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커버의 안착돌부(46)가 컵용기의 제2절개홀(43)에 삽입된 상태로 컵용기의 저면돌출부(47)보다 위치가 높게 설정되어 서브음식물의 이동을 최소화하게 되며, 도4⒝에서와 같이 서브음식물(SF)을 공급 시에는 컵용기(30)를 살짝 들어 올려 커버의 안착돌부(46)보다 컵용기의 저면돌출부(47)의 위치를 높여준 상태로 회전하게 되면 제1절개홀(42)과 제2절개홀(43)가 연통되면서 용기 본체의 수납공간(11)로 서브음식물(SF)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메인음식물(MF)은 샐러드, 시리얼, 감자칩과 같은 스낵칩, 튀김, 치킨, 파스타면, 물과 같이 비액상 또는 액상 음식물을 포함하며, 서브음식물(SF)은 소스, 드레싱, 양념, 요거트, 커피 원액, 차분말, 차원액(엑기스), 시럽과 같은 액상으로 된 음식물을 포함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스와 같은 서브음식물을 곁들여 먹는 다양한 종류의 메인음식물을 포장하기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컵용기(30) 내의 서브음식물(SF)을 용기 본체(10)의 메인음식물(MF)에 공급 시 특별히 힘을 가할 필요 없이 컵용기(30)를 회전하기만 하면 되므로 어린이들도 쉽게 조작할 수 있으며, 이때 어린이들이 실수나 부주의로 옷이나 손을 더럽힐 염려도 없게 된다.
10 : 용기 본체 11 : 수납공간
12 : 제1체결부 20 : 커버
22 : 제2체결부 30 : 컵용기
31 : 수용공간 32 : 캡
41 : 안착홈부 42 : 제1절개홀
43 : 제2절개홀 44 : 걸림부
46 : 안착돌부 47 : 저면돌출부
C : 식품 포장용기

Claims (7)

  1. 식품 포장용기에 있어서,
    메인음식물(MF)이 담기도록 수납공간(11)을 가진 용기 본체(10);
    용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20);
    커버 상부에 결합되고 서브음식물(SF)이 담기도록 수용공간(31)을 가진 컵용기(30); 및
    커버와 컵용기 사이에 구비되고 컵용기의 회전에 의해 수납공간(11)과 수용공간(31)이 연통되면서 용기 본체로 서브음식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서브음식물 공급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음식물 공급수단은, 컵용기(30)의 하단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커버(20)의 중심부에 형성되되 둘레에서 중앙을 향할수록 돌출 형성되는 안착돌부(46);
    컵용기의 하부면에 형성되되 둘레에서 중앙을 향할수록 돌출 형성되는 저면돌출부(47);
    상기 커버의 안착돌부가 부분적으로 개방되도록 절개 형성되는 제1절개홀(42); 및
    상기 컵용기의 하부면이 부분적으로 개방되도록 절개 형성되는 제2절개홀(43);을 포함하되,
    상기 안착돌부(46)의 높이가 저면돌출부(47)와 동일하거나 더 높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음식물 공급수단은, 컵용기(30)의 하단부가 걸리도록 안착홈부(41) 또는 안착돌부(46)의 외측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44);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음식물(MF)은 샐러드, 시리얼, 스낵칩, 튀김, 치킨, 파스타면, 물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음식물(SF)은 소스, 드레싱, 양념, 요거트, 커피 원액, 차분말, 차원액, 시럽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10)는 원형이나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진 케이스 또는 보틀이거나 텀블러 형상으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
KR1020200068982A 2020-06-08 2020-06-08 식품 포장용기 KR102190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982A KR102190969B1 (ko) 2020-06-08 2020-06-08 식품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982A KR102190969B1 (ko) 2020-06-08 2020-06-08 식품 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0969B1 true KR102190969B1 (ko) 2020-12-14

Family

ID=73779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982A KR102190969B1 (ko) 2020-06-08 2020-06-08 식품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96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673Y1 (ko) * 2002-02-07 2002-06-26 이상문 휴대용 음식물 혼합용기
KR101694762B1 (ko) * 2016-04-27 2017-01-11 강동연 첨가물 주입기를 갖는 용기 커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673Y1 (ko) * 2002-02-07 2002-06-26 이상문 휴대용 음식물 혼합용기
KR101694762B1 (ko) * 2016-04-27 2017-01-11 강동연 첨가물 주입기를 갖는 용기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34380B2 (en) A two-part storage container
US5431276A (en) Multifunctional lid
US20070092608A1 (en) Disposable packaging for a ready-made food product
US9179749B2 (en) Combination beverage container and storage vessel
KR20070089816A (ko) 음료 용기용 양념 디스펜서
NZ233461A (en) Drink carton container with piercer and drinking spout
KR200475771Y1 (ko) 물 주입구를 갖는 겹침 구조의 즉석식품 용기
KR102190969B1 (ko) 식품 포장용기
JPH10211953A (ja) 食品包装容器
KR200281824Y1 (ko) 일회용 포장 용기
EP1052181B1 (en) Can for granular food products with selective dosing system
JPH0526050Y2 (ko)
KR200304850Y1 (ko) 개봉이 용이한 식품포장용 컵 용기
EP3269662B1 (en) A food container
KR200319892Y1 (ko) 휴대용 음료봉지의 포장 구조
JPH0331714Y2 (ko)
KR200206832Y1 (ko) 개봉이 용이한 포장용기의 종이재 뚜껑
EP1566345A1 (en) Lid for a mug or the like
AU2008287618A1 (en) Packaging
EP1566344A1 (en) Lid for a mug or the like
JP2022143891A (ja) 中皿付き食品用包装容器
JP4382391B2 (ja) 縦置き型食品包装容器
AU2002354632B2 (en) Ready-made dish disposable packaging with several compartments
KR200232800Y1 (ko) 일회용 라면 용기
JP2004115093A (ja) 添加物付き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