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4762B1 - 첨가물 주입기를 갖는 용기 커버 - Google Patents

첨가물 주입기를 갖는 용기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4762B1
KR101694762B1 KR1020160051354A KR20160051354A KR101694762B1 KR 101694762 B1 KR101694762 B1 KR 101694762B1 KR 1020160051354 A KR1020160051354 A KR 1020160051354A KR 20160051354 A KR20160051354 A KR 20160051354A KR 101694762 B1 KR101694762 B1 KR 101694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itive
additive injector
injector
cover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연
Original Assignee
강동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동연 filed Critical 강동연
Priority to KR1020160051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47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5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9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the element, e.g. a valve, opening an aperture of the auxiliary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시럽이나 설탕 등의 첨가물을 용기에 추가할 수 있도록 첨가물 주입기를 갖는 용기 커버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수용홈이 함몰 형성되고 수용홈의 일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용기의 상단을 개폐하는 커버와, 수용홈에 축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하단부 일측에 통공이 관통 형성되며 내부에 첨가물이 저장되는 첨가물 주입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첨가물 주입기를 갖는 용기 커버{Vessel cover having additive supplier}
본 발명은 용기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시럽이나 설탕 등의 첨가물을 용기에 추가할 수 있도록 첨가물 주입기를 갖는 용기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 등의 음료를 마시는 경우, 음료를 파는 매장의 테이블에서 마시거나 또는 테이크 아웃(take out)을 하여 마시게 되는데, 후자의 경우 종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일회용 컵을 사용하고 있다.
이 경우, 컵 내부의 음료가 외부로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회용 컵의 상부에 커버가 씌워지게 된다. 이때, 컵과 커버 간의 밀착을 위하여, 커버의 하부에 걸림부를 형성하고, 컵의 상단 테두리에는 상기 걸림부에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돌기를 형성한 형태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커버를 닫은 후에 시럽이나 프림, 크림이나 설탕 등의 첨가물을 취향에 따라 추가하기 위해서는 다시 커버를 벗겨야 하는데, 컵에 억지끼움된 커버를 벗기기 위해서는 상당히 강한 힘을 가할 수밖에 없으며, 커버 탈착 과정에서 내부의 음료가 외부로 넘쳐 손에 화상을 입거나 신체나 옷에 음료가 튀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아울러, 매장에서 첨가물을 추가하는 것을 잊고 나오거나, 별도로 제공된 첨가물을 분실한 경우에는, 자신의 기호에 맞는 첨가물 추가를 위해 다시 매장을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첨가물이 담긴 첨가물 주입기가 커버와 함께 제공되는 첨가물 주입기를 갖는 용기 커버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버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첨가물의 첨가가 용이한 첨가물 주입기를 갖는 용기 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신의 기호에 따라 첨가물이나 첨가물의 첨가량을 선택할 수 있는 첨가물 주입기를 갖는 용기 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에 수용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일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용기의 상단을 개폐하는 커버; 및 상기 수용홈에 축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하단부 일측에 통공이 관통 형성되며, 내부에 첨가물이 저장되는 첨가물 주입기를 포함하는 첨가물 주입기를 갖는 용기 커버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첨가물 주입기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배출구와 상기 통공이 연통하고, 상기 용기 내부로 상기 첨가물이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첨가물 주입기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와, 상기 가이드 돌기와 대응되도록 상기 수용홈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첨가물 주입기의 상단 일측에서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는 스토퍼부와, 상기 스토퍼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1 걸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스토퍼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수용홈의 상단부에 단차 형성되는 단턱과, 상기 제1 걸림부와 대응 결합하도록 상기 단턱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 걸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단턱은 상기 수용홈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각도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단턱에 의해 상기 첨가물 주입기의 회전 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첨가물 주입기의 상단에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첨가물 주입기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절개홈이 형성되는 주입기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첨가물 주입기를 갖는 용기 커버에 의하면, 커버에 첨가물 주입기가 구비되므로, 필요한 때 즉시 첨가물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첨가물 주입기를 갖는 용기 커버에 의하면, 음료가 담긴 용기로부터 커버를 분리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첨가물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첨가물 주입기를 갖는 용기 커버에 의하면, 기호에 따라 첨가물의 종류가 다른 첨가물 주입기를 커버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첨가물 주입기를 갖는 용기 커버에 의하면, 기호에 따라 추가되는 첨가물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첨가물 주입기를 갖는 용기 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첨가물 주입기를 갖는 용기 커버의 결합 단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첨가물 주입기를 갖는 용기 커버의 사용 상태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첨가물 주입기를 갖는 용기 커버의 결합 단면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첨가물 주입기를 갖는 용기 커버의 사용 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첨가물 주입기를 갖는 용기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첨가물 주입기를 갖는 용기 커버(이하, '용기 커버')(100)는 커버(200)와, 커버(200)의 일측에 삽입 결합되는 첨가물 주입기(300)를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첨가물 주입기(300)의 상단에 결합되는 주입기 커버(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용기(10)는 내부에 음식물이나 커피 등의 음료가 담기는 것으로, 예컨대 일회용 컵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종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200)는 용기(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용기(10)를 개폐하게 되며,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서, 커버(200)는 외관상 상측이 볼록한 돔(dome) 형태의 몸체(210)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몸체(210)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용기(10)의 상단 테두리와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결합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200)의 상측 중앙에는 수용홈(230)이 하향 함몰 형성되는데, 이 수용홈(230)에는 후술하는 첨가물 주입기(300)가 삽입되며, 이때 수용홈(230)의 내측면과 첨가물 주입기(300)의 외측면이 밀착된다. 따라서, 수용홈(230)은 첨가물 주입기(30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수용홈(230)은 횡방향 단면상 원형 단면을 가지며, 수용홈(230)의 내주면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점 더 폭이 좁아지게끔 테이퍼진다. 또한, 수용홈(230)의 바닥면은 오목하게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복수 개의 커버(200)를 상하 방향으로 용이하게 적층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관과 유통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수용홈(230) 상단의 테두리 일측에는 수용홈(230)의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각도 범위로 단턱(240)이 낮게 단차 형성되며, 수용홈(230)의 하단부 일측에는 배출구(250)가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단턱(240)은 후술하는 첨가물 주입기(300)의 스토퍼부(340)를 지지하는 역할과 함께 첨가물 주입기(30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며, 첨가물 주입기(300) 회전시 배출구(250)를 통해 첨가물 주입기(300)에 담긴 첨가물이 용기(10)로 낙하하게 된다. 또한, 빨대를 꽂아서 음료를 흡입할 수 있도록, 수용홈(230)의 일측에 이격하여 빨대 구멍(260)이 관통 형성된다.
첨가물 주입기(300)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가 첨가물 주입기(300)를 커버(200)의 수용홈(230)에 직접 장착하거나, 첨가물 주입기(300)가 커버(200)의 수용홈(230)에 장착된 상태로 커버(200)와 함께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내용물이 서로 다른 첨가물 주입기(300)를 교체 장착할 수도 있다.
첨가물 주입기(300)는 첨가물을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부(310)가 형성되며, 횡방향 단면상 원형의 단면을 갖는 컵 형태로 이루어진다. 첨가물 주입기(300)의 전체적인 외관은 수용홈(23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점 더 폭이 좁아지고, 하단부는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첨가물 주입기(300)의 하단부 일측에는 통공(320)이 관통 형성되며, 첨가물 주입기(300)의 수용홈(230) 장착시에는 첨가물 주입기(300)의 통공(320)과 수용홈(230)의 배출구(250)가 서로 연통하지 않도록 수용홈(230)에 첨가물 주입기(300)가 삽입된다. 이때, 첨가물 주입기(300)의 외주면과 수용홈(230)의 내측면이 서로 밀착하게 되므로, 첨가물 주입기(300)의 통공(320)은 수용홈(230)의 내측면에 의해 막혀서 첨가물의 유출이 방지된다.
이후, 첨가물 주입기(300) 사용시에는 사용자가 커버(200)의 수용홈(230)에 삽입된 첨가물 주입기(300)를 축회전시켜서 첨가물 주입기(300)의 통공(320)과 수용홈(230)의 배출구(250)가 서로 연통하게끔 하며, 이때 첨가물 주입기(300) 내부에 담긴 첨가물이 통공(320)과 배출구(250)를 통해 첨가물 주입기(300) 외부로 흘러나와서 용기(10) 내부로 낙하하게 된다.
일 예로서, 사용자는 커버(200)의 수용홈(230)에 배출구(250)와 통공(320)이 서로 연통하지 않도록 첨가물 주입기(300)를 장착하고, 첨가물 주입기(300) 내부에 원하는 종류의 첨가물을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첨가물 주입기(300)를 일 방향으로 축회전시킴으로써 배출구(250)와 통공(320)을 연통시켜, 첨가물 주입기(300)에 담긴 첨가물을 용기(10)로 공급할 수 있으며, 필요한 양만큼 공급한 후에는 다시 첨가물 주입기(30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더 이상 첨가물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통공(320)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커버(200)와 첨가물 주입기(300)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는 첨가물의 낙하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첨가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첨가물 주입기를 갖는 용기 커버의 결합 단면도이며, 여기서 도 4는 도 3의 직각 방향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첨가물 주입기(300)의 외주면 일측에는 둘레를 따라 가이드 돌기(330)가 돌출 형성되며, 이와 대응되도록 수용홈(230)의 내측면에 가이드 홈(231)이 형성된다. 첨가물 주입기(300)를 커버(200)의 수용홈(230)에 삽입하면 첨가물 주입기(300) 외주면의 가이드 돌기(330)가 수용홈(230) 내측의 가이드 홈(231)에 끼움 결합되며, 첨가물 주입기(300)의 유동이나 예기치 못한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가이드 홈(231)과 가이드 돌기(330)는 첨가물 주입기(300)의 축회전시 회전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도 한다. 즉, 첨가물 주입기(300)는 커버(200)의 수용홈(230)에 축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첨가물 주입기(300)의 축회전시 수용홈(230) 내측의 가이드 홈(231)을 따라 첨가물 주입기(300)의 가이드 돌기(330)가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첨가물 주입기(300)의 상단 일측에서 외측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스토퍼부(340)가 돌출 형성된다. 이 스토퍼부(340)는 수용홈(230) 상단의 단턱(240)에 안착되며, 첨가물 주입기(300)의 축회전시 단턱(24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단턱(240)은 수용홈(230)의 상단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각도 범위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는 스토퍼부(340)가 단턱(240)의 일측에 걸릴 때까지 첨가물 주입기(300)를 축회전시킴으로써 통공(320)과 배출구(250)를 연통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첨가물 주입기(300)의 상단에는 첨가물 주입기(300)를 회전시킬 때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350)가 돌출 형성된다. 이 손잡이(350)는 첨가물 주입기(300)의 내부를 직경 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되며 양단이 첨가물 주입기(300)의 내주면에 각각 일체로 결합되는 지지부(351)와, 지지부(351)의 상단에서 소정의 폭으로 상향 돌출 형성되는 파지부(352)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첨가물 주입기(300)의 상단에 돌출 형성된 파지부(352)를 잡고 돌림으로써, 첨가물 주입기(300)를 수용홈(230) 내에서 회전시켜 통공(320)과 배출구(250)를 연통시킬 수 있다.
이때, 지지부(351)에 의해 구획된 첨가물 주입기(300) 내부의 양측 공간부가 서로 연통하도록, 지지부(351)의 하단은 첨가물 주입기(30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첨가물 주입기(300) 내에 담긴 첨가물이 밖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물 주입기(300)의 상단에 주입기 커버(4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주입기 커버(400)는 첨가물 주입기(30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주입기 커버(400)는 첨가물 주입기(300)의 상단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레이트부(410)와, 플레이트부(410)의 중앙에서 소정의 폭으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오목부(420)와, 오목부(420)를 직경 방향으로 가로질러 형성되는 절개홈(421)을 포함한다.
플레이트부(410)의 저면에는 테두리를 따라 걸림턱(411)이 형성되며, 첨가물 주입기(300)의 상단에는 가이드 돌기(330)의 상측에 걸림 돌기(360)가 첨가물 주입기(30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다. 첨가물 주입기(300)와 주입기 커버(400)의 결합시 첨가물 주입기(300)의 걸림 돌기(360)가 주입기 커버(400)의 걸림턱(411)에 끼움 결합되어, 예기치 못한 외력에 의해 주입기 커버(400)가 첨가물 주입기(3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첨가물 주입기(300)의 파지부(352)는 주입기 커버(400)의 절개홈(421)을 통해 주입기 커버(400)의 상부로 돌출된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첨가물 주입기를 갖는 용기 커버의 사용 상태도로서, 도 5는 첨가물 주입기의 회전 전 모습을 도시하고 있고, 도 6은 첨가물 주입기의 회전에 의해 통공과 배출구가 연통하게 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5와 도 6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커버(200)의 수용홈(230)에 첨가물 주입기(300) 장착시 첨가물 주입기(300)의 통공(320)과 수용홈(230)의 배출구(250)는 서로 이격하며, 따라서 첨가물 주입기(300)에 저장된 첨가물은 배출구(250)를 통과할 수 없다.
사용자가 파지부(352)를 잡고 첨가물 주입기(300)를 일 방향(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토퍼부(340)가 단턱(240)을 따라 이동하다가 단턱(240)의 일측에 걸리게 된다. 이때, 첨가물 주입기(300)의 통공(320)은 수용홈(230)의 배출구(250)와 연통하며, 첨가물 주입기(300)에 저장된 첨가물이 통공(320)과 배출구(250)를 통해 용기(10) 내부로 낙하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스토퍼부(340)가 단턱(240)의 일측에 걸릴 때까지 첨가물 주입기(300)를 회전시킴으로써 통공(320)과 배출구(250)를 연통시킬 수 있으며, 스토퍼부(340)의 회전 각도를 통해 통공(320)과 배출구(250)의 연통 여부를 인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통공(320)과 배출구(250)의 연통 여부를 더욱 확실히 인지할 수 있도록, 스토퍼부(340)의 저면에 제1 걸림부(341)가 형성되고, 단턱(240)의 일측에는 제1 걸림부(341)와 대응 결합하는 제2 걸림부(23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부(340)의 저면에 요홈 형태의 제1 걸림부(341)가 형성되고, 스토퍼부(340)가 걸려서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는 지점의 단턱(240) 상측에는 돌기 형태의 제2 걸림부(2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첨가물 주입기(300) 회전시 제1 걸림부(341)와 제2 걸림부(232)의 결합이 이루어지며, 사용자는 통공(320)과 배출구(250)의 연통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걸림부(232)가 단턱(240)의 양측 즉, 스토퍼부(340)의 초기 위치와 회전 후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제2 걸림부(232)가 스토퍼부(340)의 초기 위치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처럼 스토퍼부(340)의 초기 위치에 제2 걸림부(232)가 형성되는 경우, 예기치 못한 첨가물 주입기(300)의 회전에 의해 첨가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걸림부(341)와 제2 걸림부(232)가 도시된 실시예와 반대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1 걸림부(341)가 돌기 형태로 형성되고, 제2 걸림부(232)가 요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용기 커버(100) 사용시, 커버(200)에 첨가물 주입기(300)를 장착하고 첨가물 주입기(300) 내에 첨가물을 충진한 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필요한 경우에는 첨가물 주입기(300) 상단에 주입기 커버(400)를 닫아서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미리 첨가물이 충진된 상태의 첨가물 주입기(300)가 제공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통공(320)을 통해 내부의 첨가물이 누설되지 않도록 통공(320)의 외측에 접착 테이프 등 용이하게 박리 가능한 접착부재(미도시)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시에는 접착부재를 분리한 후 첨가물 주입기(300)를 커버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첨가물 주입기를 갖는 용기 커버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첨가물 주입기를 갖는 용기 커버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용기 커버(1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용기 커버(100)와 전체적인 구성이 유사하며, 다만 첨가물 주입기(300) 내부 공간이 지지부(351')에 의해 좌우 하나씩 한 쌍의 공간부(311,312)로 구획된다는 점과, 각각의 공간부(311,312)에 하나씩 한 쌍의 통공(321,322)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첨가물 주입기(300)에 담긴 첨가물의 투입량을 2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부(351')의 하단이 첨가물 주입기(300)의 바닥면까지 연장되어 첨가물 주입기(300) 내부의 공간부(310)를 제1 공간부(311)와 제2 공간부(312)의 한 쌍으로 구획한다. 이때, 제1 공간부(311)와 연통하는 제1 통공(321)과, 제2 공간부(312)와 연통하는 제2 통공(322)이 첨가물 주입기(300)의 바닥면에 서로 이격하여 각각 관통 형성된다.
예컨대, 손잡이(350)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통공(321,322)이 손잡이(350)와 직각 방향으로 첨가물 주입기(300)의 바닥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첨가물 주입기(300)의 초기 장착시 배출구(250)와 제1,제2 통공(321,322)은 서로 이격하며, 첨가물 주입기(300) 내의 첨가물은 배출되지 않는다. 이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첨가물 주입기(300)를 일 방향(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예컨대, 90° 회전)시켜 제1 통공(321)을 배출구(250)와 연통시키면, 제1 공간부(311)에 담긴 첨가물이 제1 통공(321)과 배출구(250)를 통해 배출된다. 이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첨가물 주입기(300)를 예컨대 180°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제2 공간부(312)에 담겨 있던 첨가물이 제2 통공(322)과 배출구(250)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제2 걸림부(232)는 초기 위치, 초기 위치로부터 첨가물 주입기(300)의 회전 방향으로 90°이격한 지점, 그리고 초기 위치로부터 첨가물 주입기(300)의 회전 방향으로 270°이격한 지점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첨가물 주입기(30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제1 공간부(311)의 첨가물만 첨가할 수도 있고, 제1,제2 공간부(311,312)의 첨가물을 모두 첨가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100' : 용기 커버 200 : 커버
230 : 수용홈 231 : 가이드 홈
232 : 제2 걸림부 240 : 단턱
250 : 배출구 300 : 첨가물 주입기
310 : 공간부 311 : 제1 공간부
312 : 제2 공간부 320 : 통공
321 : 제1 통공 322 : 제2 통공
330 : 가이드 돌기 340 : 스토퍼부
341 : 제1 걸림부 350 : 손잡이
351,351' : 지지부 352 : 파지부
360 : 걸림 돌기 400 : 주입기 커버
410 : 플레이트부 411 : 걸림턱
420 ; 오목부 421 : 절개홈

Claims (8)

  1. 일측에 수용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일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용기의 상단을 개폐하는 커버;
    상기 수용홈에 축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하단부 일측에 통공이 관통 형성되며, 내부에 첨가물이 저장되는 첨가물 주입기;
    상기 첨가물 주입기의 상단에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 및
    상기 첨가물 주입기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절개홈이 형성되는 주입기 커버를 포함하는 첨가물 주입기를 갖는 용기 커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첨가물 주입기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배출구와 상기 통공이 연통하고, 상기 용기 내부로 상기 첨가물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물 주입기를 갖는 용기 커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첨가물 주입기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와, 상기 가이드 돌기와 대응되도록 상기 수용홈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물 주입기를 갖는 용기 커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첨가물 주입기의 상단 일측에서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는 스토퍼부와, 상기 스토퍼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1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물 주입기를 갖는 용기 커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수용홈의 상단부에 단차 형성되는 단턱과, 상기 제1 걸림부와 대응 결합하도록 상기 단턱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물 주입기를 갖는 용기 커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단턱은 상기 수용홈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각도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단턱에 의해 상기 첨가물 주입기의 회전 각도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물 주입기를 갖는 용기 커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첨가물 주입기의 상단에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물 주입기를 갖는 용기 커버.
  8. 삭제
KR1020160051354A 2016-04-27 2016-04-27 첨가물 주입기를 갖는 용기 커버 KR101694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354A KR101694762B1 (ko) 2016-04-27 2016-04-27 첨가물 주입기를 갖는 용기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354A KR101694762B1 (ko) 2016-04-27 2016-04-27 첨가물 주입기를 갖는 용기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4762B1 true KR101694762B1 (ko) 2017-01-11

Family

ID=57832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354A KR101694762B1 (ko) 2016-04-27 2016-04-27 첨가물 주입기를 갖는 용기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47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061U (ko) * 2017-10-25 2019-05-07 김현 소스 수용부를 구비한 용기 뚜껑
KR102190969B1 (ko) * 2020-06-08 2020-12-14 정일영 식품 포장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7966A (ko) * 2009-12-15 2011-06-22 대상 주식회사 포장 용기
KR200477012Y1 (ko) * 2014-04-21 2015-04-29 오성훈 용기의 마개
KR20160021543A (ko) * 2014-08-18 2016-02-26 김우순 용기 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7966A (ko) * 2009-12-15 2011-06-22 대상 주식회사 포장 용기
KR200477012Y1 (ko) * 2014-04-21 2015-04-29 오성훈 용기의 마개
KR20160021543A (ko) * 2014-08-18 2016-02-26 김우순 용기 캡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061U (ko) * 2017-10-25 2019-05-07 김현 소스 수용부를 구비한 용기 뚜껑
KR200489632Y1 (ko) * 2017-10-25 2019-07-15 김현 소스 수용부를 구비한 용기 뚜껑
KR102190969B1 (ko) * 2020-06-08 2020-12-14 정일영 식품 포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0463B2 (en) Lockable beverage container closure
KR101774175B1 (ko) 단일 마개 구조를 가지는 액체 용기
KR101774176B1 (ko) 이중 마개 구조를 가지는 액체 용기
US20080142519A1 (en) Rotating type cup lid
CA2599768A1 (en) Sip lid for a container
US9169060B2 (en) Beverage container for brewing apparatus
US9302824B2 (en) Beverage container lid
KR101694762B1 (ko) 첨가물 주입기를 갖는 용기 커버
RU2182878C1 (ru) Гибридный контейнер для напитков (варианты)
KR101450181B1 (ko) 캡슐의 장착이 가능한 컵 뚜껑
US20180134451A1 (en) Drinking cup structure
WO2002079040A1 (en) Portable powdered milk container
US11510848B2 (en) Dispenser for a composition in the form of powder in a container, and container of the feeding bottle type provided with such a dispenser
KR20050079371A (ko) 혼합 용기
KR102092360B1 (ko) 액체, 고체 분리형 용기
KR20150055824A (ko) 이중용기
JP3115142U (ja) 飲料用容器
KR200474750Y1 (ko) 컵의 상단에 결합하여 이종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용기
KR101391783B1 (ko) 이중 컵
KR200347140Y1 (ko) 음료용기용 원터치형 캡
CA2806402C (en) Beverage container for brewing apparatus
KR20180083507A (ko) 티백을 고정시키는 텀블러
EP1581439A2 (en) Container for food and beverage
JP2002332098A (ja) 貯蔵用容器
KR20160003984U (ko) 캡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