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5972Y1 - 일회용 용기의 뚜껑 - Google Patents

일회용 용기의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5972Y1
KR200305972Y1 KR20-2002-0033954U KR20020033954U KR200305972Y1 KR 200305972 Y1 KR200305972 Y1 KR 200305972Y1 KR 20020033954 U KR20020033954 U KR 20020033954U KR 200305972 Y1 KR200305972 Y1 KR 2003059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opening
disposable container
smal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39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철
Original Assignee
김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철 filed Critical 김현철
Priority to KR20-2002-00339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59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59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59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in hot water, e.g. boil pou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65D77/2028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 B65D77/2032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 B65D77/2044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whereby a layer of the container or cover fails, e.g. cohesive failure
    • B65D77/2048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whereby a layer of the container or cover fails, e.g. cohesive failure whereby part of the container or cover has been weakened, e.g. perforated or precut
    • B65D77/2056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whereby a layer of the container or cover fails, e.g. cohesive failure whereby part of the container or cover has been weakened, e.g. perforated or precut the cover being weakened
    • B65D77/206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whereby a layer of the container or cover fails, e.g. cohesive failure whereby part of the container or cover has been weakened, e.g. perforated or precut the cover being weakened so as to uncover one or more preformed openings made through some layers of the 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회용 용기의 뚜껑에 관한 것으로, 특히 뜨거운 물을 부어서 일정 시간 경과후 취식하는 식품에 적당한 것으로, 개봉후의 기밀을 안정되게 이루도록해서 증숙의 효과를 증대하기 위한 일회용 용기의 뚜껑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내부에 인스턴트식품을 내장하고 상부가 개구된 용기의 상부에 부착된 일측으로 개봉을 위한 돌출부를 가지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일회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평면상에 일측으로 절개된 소 돌출부 형상을 가지고 원형으로 절취선을 가지며, 상기 소 돌출부 반대쪽에는 무 절취된 불연속 구간을 형성한 개봉부와;
상기 뚜껑 개봉부의 절취선 저면에는 접착층을 갖는 링형의 대지가 부착되어 있는 일회용 용기의 뚜껑으로 달성된다.
상기의 뚜껑의 개봉부 저면에는 고정 스템프로 일측단이 고정된 실의 끝단이 소스, 스프 등의 소 포장지와 연결 고정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소 포장지와 연결된 실은 소 포장지의 개봉을 위한 절개선과 평행하게 고정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일회용 용기의 뚜껑{Cap of throwaway container}
본 고안은 일회용 용기의 뚜껑에 관한 것으로, 특히 뜨거운 물을 부어서 일정 시간 경과후 취식하는 식품에 적당한 것으로, 개봉 후의 기밀을 안정되게 이루도록 해서 증숙의 효과를 증대하기 위한 일회용 용기의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인스턴트 식품인 컵라면을 예를 들어 개봉후 다시 밀봉하여 뜨거운 물에 의한 증숙을 이루는 것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부에 인스턴트 식품을 내장하고 상부가 개구된 용기의 상부에 부착된 일 측으로 개봉을 위한 돌출부를 가지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일회용 용기의 돌출부를 잡고 뜯어 낸다. 이때 스프가 들어 있는 소 포장지를 꺼내고 뜨거운 물을 부어 넣기 위해서는 적어도 반 이상의 면적을 뜯어내야 한다.
그리고 휘져어서 스프 소 포장지를 손으로 꺼내는 과정에서 손가락이 라면에닿는 등으로 비위생적인 문제가 있다.
또한 뜨거운 물을 붇고 나서 다시 뚜껑을 덮어두는 과정에서 이 뚜껑 위에 책이나 또는 손으로 잡고 눌러주는 등으로 기밀을 유지하려는 노력을 해야 하는 것으로 매우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뚜껑에 별도의 보조 개폐 뚜껑을 부설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위생적으로 라면을 취식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내부에 인스턴트 식품을 내장하고 상부가 개구된 용기의 상부에 부착된 일측으로 개봉을 위한 돌출부를 가지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일회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평면상에 일측으로 절개된 소 돌출부 형상을 가지고 원형으로 절취선을 가지며, 상기 소 돌출부 반대쪽에는 무 절취된 불연속 구간을 형성한 개봉부와;
상기 뚜껑 개봉부의 절취선 저면에는 접착층을 갖는 링형의 대지가 부착되어 있는 일회용 용기의 뚜껑으로 달성된다.
상기의 뚜껑의 개봉부 저면에는 고정 스템프로 일측단이 고정된 실의 끝단이 소스, 스프 등의 소 포장지와 연결 고정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소 포장지와 연결된 실은 소 포장지의 개봉을 위한 절개선과 평행하게 고정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도 1a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뚜껑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봉상태 사시도이고,
도 3은 조리 완료후 취식을 위한 뚜껑 분리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의 첨부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내부에 인스턴트 식품을 내장하고 상부가 개구된 용기(10)의 상부에 부착된 일측으로 개봉을 위한 돌출부(21)를 가지는 뚜껑(20)으로 이루어진 일회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의 평면상에 일측으로 절개된 소 돌출부(31)를 가지고 일정 크기의 원형으로 절취선(32)을 가지며, 상기 소 돌출부(31) 반대쪽에는 불연속 구간(33)을 형성한 개봉부(30)와;
상기 뚜껑 개봉부(30)의 절취선(32) 저면에는 접착층(41)을 갖는 링형의 대지(40)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원형의 절취선과 링형의 대지에서 그 형상은 상호 대동하되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타원형도 포함할 것이다.
이때 절개된 소 돌출부(31)의 저면에 해당하는 대지(40)면에는 접착층이 없도록 구성된다.
도 1b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뚜껑(20)의 개봉부(30) 저면에는 고정 템프(51)로 일측단이 고정된 실(52)의 끝단이 소스, 스프 등의 소 포장지(50)와 연결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소 포장지(50)와 연결된 실(52)은 소 포장지(50)의 개봉을 위한 절개선(53)과 평행하게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을 사용하는 순서에 따라 설명한다. 먼저 뚜껑(20)의 절개되어 독립된 소 돌출부(31)를 손으로 잡고서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절취선(32)을 따라 개봉부(30)가 개구된다. 이때 개봉부(30)는 대지(40)의 접착층(41)에 접착되었다가 떼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드러난 고정스템프(51)를 개봉부(30)의 저면으로부터 떼어 내면 자연스럽게 소 포장지(50)가 실(52)을 따라 위생적으로 쉽게 인출되어지고, 이 실(52)의 끝단이 소 포장지(50)의, 절개선(53)을 따라 평행하게 고정되어 있어서 소 포장지를 쉽게 절취할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고정 스템프(51)를 떼어내어 소 포장지(50) 내의 내용물을 용기(10) 내에 넣은 후, 적량의 뜨거운 물을 붓고 난 후, 다시 개봉부(30)를 닫으면 대지(40)의 접착층(41)에 다시 부착되어서 기밀성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증숙의 효과가 양호한 가운데 적절한 조리를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후 뚜껑(20)의 돌출부(21)를 잡고 다시 전체적으로 떼어 내어서 용기(10)내의 음식물을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은 개봉후의 기밀을 안정되게 이루도록해서 증숙의 효과를 증대하기 위한 일회용 용기의 뚜껑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내부에 인스턴트 식품을 내장하고 상부가 개구된 용기(10)의 상부에 부착된 일측으로 개봉을 위한 돌출부(21)를 가지는 뚜껑(20)으로 이루어진 일회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의 평면상에 일측으로 절개된 소 돌출부(31)를 가지고 원형으로 절취선(32)을 가지며, 상기 소 돌출부(31) 반대쪽에는 불연속구간(33)을 형성한 개봉부(30)와;
    상기 뚜껑 개봉부(30)의 절취선(32) 저면에는 접착층(41)을 갖는 링형의 대지(40)를 부착하되 절개된 소 돌출부의 저면의 대지(40)에는 접착층이 없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일회용 용기의 뚜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뚜껑(20)의 개봉부(30) 저면에는 고정스템프(51)로 일측단이 고정된 실(52)의 끝단이 소스, 스프 등의 소 포장지(50)와 연결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 일회용 용기의 뚜껑.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 포장지(50)와 연결된 실(52)은 소 포장지(40)의 개봉을 위한 절개선(43)과 평행하게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 일회용 용기의 뚜껑.
KR20-2002-0033954U 2002-11-13 2002-11-13 일회용 용기의 뚜껑 KR2003059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954U KR200305972Y1 (ko) 2002-11-13 2002-11-13 일회용 용기의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954U KR200305972Y1 (ko) 2002-11-13 2002-11-13 일회용 용기의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5972Y1 true KR200305972Y1 (ko) 2003-03-04

Family

ID=49401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3954U KR200305972Y1 (ko) 2002-11-13 2002-11-13 일회용 용기의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597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264B1 (ko) 2008-10-10 2009-06-10 김구생 물결모양의 절취선이 형성된 종이용기
WO2019190162A1 (ko) * 2018-03-26 2019-10-03 서동현 일회용 소스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264B1 (ko) 2008-10-10 2009-06-10 김구생 물결모양의 절취선이 형성된 종이용기
WO2019190162A1 (ko) * 2018-03-26 2019-10-03 서동현 일회용 소스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29417Y2 (ko)
JP2007246130A (ja) 開封刃を有するオーバーキャップ付き容器
KR200305972Y1 (ko) 일회용 용기의 뚜껑
JP4943020B2 (ja) 開封刃を有するオーバーキャップ付き容器
JP4441088B2 (ja) 包装容器
JP2006044696A (ja) 電子レンジ用パウチ包装箱
KR20170123508A (ko) 편리한 비빔컵라면 용기
KR200281824Y1 (ko) 일회용 포장 용기
KR200194280Y1 (ko) 인스턴트식품 용기
JP4917856B2 (ja) 包装用容器
KR200402421Y1 (ko) 라면 용기 뚜껑
KR20180064249A (ko) 컵라면 용기의 물 배출구조
KR200206832Y1 (ko) 개봉이 용이한 포장용기의 종이재 뚜껑
KR200328180Y1 (ko) 즉석 음식용 용기면 포장 용기
KR102649388B1 (ko) 누름 뚜껑구조 용기
EP1350453B1 (en) Double bottom container
CN215246990U (zh) 一种多功能储物可加热即食的包装杯
KR200319892Y1 (ko) 휴대용 음료봉지의 포장 구조
EP3903648B1 (en) A kit for laying a table and a method for realisation of the kit
JP2009051511A (ja) プルトップ缶
KR20080025268A (ko) 컵라면용기 뚜껑 및 컵라면 용기
KR200416593Y1 (ko) 밑면을 분리하여 개구할 수 있도록 된 식품 용기
KR200433749Y1 (ko) 아이스크림 용기
KR20210087256A (ko) 구김연장뚜껑부를 갖는 컵라면 용기의 종이뚜껑
JP2002037350A (ja) 2室分離式携帯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