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593Y1 - 밑면을 분리하여 개구할 수 있도록 된 식품 용기 - Google Patents

밑면을 분리하여 개구할 수 있도록 된 식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593Y1
KR200416593Y1 KR2020060006221U KR20060006221U KR200416593Y1 KR 200416593 Y1 KR200416593 Y1 KR 200416593Y1 KR 2020060006221 U KR2020060006221 U KR 2020060006221U KR 20060006221 U KR20060006221 U KR 20060006221U KR 200416593 Y1 KR200416593 Y1 KR 2004165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edge
food
shee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2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석웅
Original Assignee
권석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석웅 filed Critical 권석웅
Priority to KR20200600062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5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5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5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curved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푸딩이나 젤리 등 반고상으로 이루어진 식품을 담아 판매할 수 있도록 된 식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용기의 밑면을 제거하여 거꾸로 먹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통상 이러한 식품을 담기 위하여 제공되는 식품 용기는 상부에 개구부를 갖는 플라스틱 컵의 형태로 이루어져 내용물의 수용 후 개구된 상부를 플라스틱 시트로 접착시켜 차단토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트의 차단은 내용물의 특성 상 유통 과정에서 액이 흘러 유출되지 않도록 긴밀하고도 밀착되게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식품을 취하기 위하여 접착된 시트를 벗겨내기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용기의 밑면 하측으로 소정 폭의 테두리벽을 연장 형성하고, 테두리벽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절개편을 이용하여 뜯어 냄과 동시에 밑면이 분리되어 누구라도 쉽게 용기를 개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식품 용기, 밑면, 절개편, 테두리벽

Description

밑면을 분리하여 개구할 수 있도록 된 식품 용기{Canister with opening bottom sarface}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참고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참고 사용 상태도.
도 5는 종래 식품 용기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밑면 2: 측벽
3: 테두리단 4: 시트
5: 테두리벽 6: 절개편
본 고안은 푸딩이나 젤리 등 반고상으로 이루어진 식품을 소정 용량으로 담아 판매할 수 있도록 된 식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의 밑면을 제거하여 거꾸로 먹을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통상 푸딩 등 반고상으로 이루어진 식품은 제조 시 액상 상태의 것을 소정의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에 담은 후 담겨진 내용물이 반고상으로 굳어진 상태로 판매토록 함으로서 이러한 상태의 내용물을 용기에 담겨진 상태로 숟가락으로 떠 먹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식품을 담기 위하여 제공되는 식품 용기는 액상의 내용물을 담기 용이하도록 상부가 넓은 개구부를 갖는 플라스틱 컵의 형태로 이루어져 내용물의 수용 후 개구된 상부를 플라스틱 시트로 접착시켜 차단토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트의 차단은 내용물의 특성 상 유통 과정에서 액이 흘러 유출되지 않도록 긴밀하고도 밀착되게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식품을 취하기 위하여 접착된 시트를 벗겨내기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다.
따라서 이러한 식품의 경우 어린이들의 거의 대부분은 시트를 벗겨낼 수 없기 때문에 어린이들 스스로가 이러한 식품을 취하기가 어렵고, 또한 어린들의 경우 시트를 벗겨낼 때 힘의 균형이 맞지 않아 시트의 일 부분이 찢겨지게 됨으로서 이러한 식품을 취할 때 신경질적이거나 짜증이 나는 경우가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용기의 밑면 하측으로 소정 폭의 테두리벽을 연장 형성하고, 테두리벽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절개편을 이용하여 뜯어 냄과 동시에 밑면이 분리되어 누구라도 쉽게 용기를 개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용기의 밑면을 제거하여 거꾸로 편리하게 먹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식품 용기는 밑면(1)과 측벽(2)에 의하여 소정의 수용공간을 갖는 컵의 형태로 이루어져 내용물의 수용 후 개구된 입구의 외측으로 연장된 테두리단(3)에 커버시트(4)를 접착시켜 차단토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측벽(2)의 하측으로 소정 폭의 테두리벽(5)이 밑면(1)의 테두리면에 결합된 상태로 연장 형성되어 테두리벽(5)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절개편(6)을 이용하여 테두리벽(5)을 뜯어 제거하면 밑면(1)이 측벽(2)으로부터 분리되어 개구토록 된 것이다.
이때 상기 테두리벽(5)의 상측단은 측벽(2)의 하측단과 얇은 살로 결합되어 절개편(6)을 손가락으로 잡아 당기는 힘에 의하여 결합된 부분이 쉽게 파열되어 분리되는 것이고, 테두리벽(5)의 상측단 내측으로 밑면(1)의 테두리면이 얇은 살로 결합되어 테두리벽(5)의 제거와 동시에 밑면(1)이 분리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개편(6)은 테두리벽(5)의 소정 위치에 손가락으로 잡아 당길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시키는 것으로, 절개편(6)의 형성 방식은 다양한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절개편(6)은 손가락으로 잡아 당김으로서 테두리벽(5)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테두리벽(5)의 용이한 분리를 위하여 절개편(6)의 외면에는 손가락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돌기체(6a)를 형성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밑면(1)에는 밑면(1)을 들어 올려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7)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손잡이(7)는 밑면(1)의 직상방을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밑면(1)과 결합되어진 손잡이(7)의 하단부 외측으로 밑면(1)의 살보다 얇은 살로 이루어지는 요입홈테(8)를 형성시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7)를 어느 일측으로 밀면 손잡이(7)가 밑면(1)과 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손잡이(7)와 분리된 부분으로 통공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용기에 접착된 커버시트(4)를 벗겨낸 후 내용물을 접시 등에 담을 때 손잡이(7)를 이용하여 밑면(1)에 통공이 형성토록 함으로서 통공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내용물이 형태가 흐트러지 않은 상태로 용기 외측으로 용이하게 빠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식품 용기에 담겨진 내용물을 취할 경우, 용기를 거꾸로 들고 테두리벽(5)에 형성된 절개편(6)을 손가락으로 잡은 상태에서 밑면(1)의 테두리면을 따라 테두리벽(5)을 잡아 당기면 잡아 당기는 힘에 의하여 테두리벽(5)과 측벽(2) 사이에 결합되어 있던 얇은 살이 파열되면서 테두리벽(5)이 뜯어지게 되는 것이고, 이후 테두리벽(5)을 끝까지 뜯어내어 제거하면 이에 결합되어 있던 밑면(1)이 분리되고, 분리된 밑면(1)은 손잡이(1a)를 들어 올려 제거하면 용기가 개구됨으로서 내용물을 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식품 용기는 용기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테두리벽을 누 구라도 쉽게 뜯어 내어 밑면을 분리시켜 개구토록 함으로서 내용물을 종래보다 더욱 용이하게 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밑면(1)과 측벽(2)에 의하여 소정의 수용공간을 갖는 컵의 형태로 이루어져 내용물의 수용 후 개구된 입구를 측벽(2)의 상측단 외측으로 연장된 테두리단(3)에 시트(4)를 접착시켜 차단토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측벽(2)의 하측으로 소정 폭의 테두리벽(5)이 밑면(1)의 테두리면에 결합된 상태로 연장 형성되어 테두리벽(5)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절개편(6)을 이용하여 테두리벽(5)을 뜯어 제거함으로서 밑면을 분리하여 개구할 수 있도록 된 식품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밑면에는 밑면을 들어 올려 제거토록 하기 위한 손잡이가 형성되어 밑면을 분리하여 개구할 수 있도록 된 식품 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밑면의 직상방을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밑면과 결합되어진 손잡이의 하단부 외측으로 밑면의 살보다 얇은 살로 이루어지는 요입홈테가 형성된 것이 특징인 밑면을 분리하여 개구할 수 있도록 된 식품용기.
KR2020060006221U 2006-03-08 2006-03-08 밑면을 분리하여 개구할 수 있도록 된 식품 용기 KR2004165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221U KR200416593Y1 (ko) 2006-03-08 2006-03-08 밑면을 분리하여 개구할 수 있도록 된 식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221U KR200416593Y1 (ko) 2006-03-08 2006-03-08 밑면을 분리하여 개구할 수 있도록 된 식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593Y1 true KR200416593Y1 (ko) 2006-05-22

Family

ID=41766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221U KR200416593Y1 (ko) 2006-03-08 2006-03-08 밑면을 분리하여 개구할 수 있도록 된 식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5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834U (ko) * 2018-10-17 2020-04-27 씨제이제일제당 (주) 에어벤트 기능을 갖는 포장용 컵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834U (ko) * 2018-10-17 2020-04-27 씨제이제일제당 (주) 에어벤트 기능을 갖는 포장용 컵용기
KR200491808Y1 (ko) 2018-10-17 2020-06-08 씨제이제일제당 (주) 에어벤트 기능을 갖는 포장용 컵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99592B1 (en) Resealable container with collar and lid
US8393490B2 (en) Product container strainer
US8348083B2 (en) Partitioned cereal bowl
KR20010024191A (ko) 저장용기 뚜껑 및 기구물
US5052575A (en) Holder for an aseptic package
KR200416593Y1 (ko) 밑면을 분리하여 개구할 수 있도록 된 식품 용기
US20040211879A1 (en) Dripless ice cube making and bagging tray
WO2007044395A2 (en) Non-contaminating milk or food container seal and seal removal system
CN209750118U (zh) 一种餐盒
US20130220916A1 (en) Device for easily removing products from vessels
KR200360690Y1 (ko) 식품용기용 뚜껑
KR200319892Y1 (ko) 휴대용 음료봉지의 포장 구조
KR200450148Y1 (ko) 착탈식 배출 장치로 공기 배출이 되는 휴대용 음료수 밀폐용기
JP2009051511A (ja) プルトップ缶
KR200464230Y1 (ko) 컵 홀더가 구비된 스틱제품 포장용상자
KR200426120Y1 (ko) 음료용기용 위생마개
JP5507203B2 (ja) カップ型容器
KR200439978Y1 (ko) 부분 개방이 가능한 음료용기용 캡
WO2016173908A1 (en) A package assembly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package assembly
KR101029509B1 (ko) 일회용 저장용기
KR200326387Y1 (ko) 알루미늄캔용 위생뚜껑
KR200423200Y1 (ko) 뚜껑 지붕부를 구비한 용기뚜껑
JP2003300557A (ja) 二重の蓋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製の容器
KR200481323Y1 (ko) 보관 용기
KR200440370Y1 (ko) 향신료 포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