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2709A - 편향면의 개수가 서로 다른 다면경들을 이용한 광주사 장치 - Google Patents

편향면의 개수가 서로 다른 다면경들을 이용한 광주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2709A
KR20210112709A KR1020200028072A KR20200028072A KR20210112709A KR 20210112709 A KR20210112709 A KR 20210112709A KR 1020200028072 A KR1020200028072 A KR 1020200028072A KR 20200028072 A KR20200028072 A KR 20200028072A KR 20210112709 A KR20210112709 A KR 20210112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eam
light source
image forming
deflection
scan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헌희
천진권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200028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2709A/ko
Priority to PCT/US2021/020219 priority patent/WO2021178283A1/en
Priority to US17/908,048 priority patent/US20230109884A1/en
Publication of KR20210112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7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2Scanning systems using multifaceted mirr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mean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or exposure
    • G03G15/043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mean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or exposure by introducing an optical element in the optical path, e.g. a fil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5Projectors using an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 but not peculiar thereto
    • G03B21/008Projectors using an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 but not peculiar thereto using micromirr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 B41J2/471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using dot sequential main scanning by means of a light deflector, e.g. a rotating polygonal mirror
    • B41J2/473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using dot sequential main scanning by means of a light deflector, e.g. a rotating polygonal mirror using multiple light beams, wavelengths or colou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2Scanning systems using multifaceted mirrors
    • G02B26/121Mechanical drive devices for polygonal mirrors
    • G02B26/122Control of the scanning speed of the polygonal mirr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06Lamp housing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02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 H04N9/311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for displaying the colours sequentially, e.g. by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ight sources
    • H04N9/3117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for displaying the colours sequentially, e.g. by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ight sources by using a sequential colour filter producing two or more colours simultaneously, e.g. by creating scrolling colour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 H04N9/3167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for polarizing the light bea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피노광체에 광빔을 편향 주사하는 광주사 장치는 복수의 광원부들 및 편향면의 개수가 서로 다른 복수의 다면경들을 포함한다. 화상 형성 작업을 하는 동안, 복수의 다면경들은 서로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하며, 복수의 광원부들은 화상 형성 작업의 화상정보에 따라 변조된 광빔이 회전하는 다면경들의 일부 편향면에 입사되도록 변조된 광빔을 단속적으로 방출한다.

Description

편향면의 개수가 서로 다른 다면경들을 이용한 광주사 장치{LIGHT SCANNING UNIT USING POLYGONAL MIRRORS WITH DIFFERENT NUMBERS OF DEFLECTION FACETS}
전자 사진 현상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 채용되는 광주사 장치가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빔을 피노광체인 감광체의 주주사방향으로 편향 주사시키고, 감광체가 회전함에 따라, 감광체에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광주사 장치는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빔을 감광체로 편향 주사시키기 위하여 다면경 조립체인 광 편향기를 가진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광주사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광주사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광주사 장치의 주주사 평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광주사 장치의 일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편향면의 개수가 서로 다른 다면경들이 서로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할 때 각 다면경의 전체 편향면을 사용하여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이 틀어진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편향면의 개수가 서로 다른 다면경들이 서로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할 때 각 다면경의 일부 편향면을 사용하여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편향면의 개수가 서로 다른 다면경들이 서로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할 때 각 다면경의 일부 편향면을 사용하여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감광체의 회전에 의해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이 틀어진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진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전자 사진 현상 방식에 의하여 칼라화상을 인쇄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프린터, 복사기, 복합기, 팩스기 등과 같이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통칭한다. 화상 형성 작업(image forming job)이란 화상과 관련된 다양한 작업들, 예를 들어, 인쇄, 카피 또는 팩스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해서 필요한 일련의 프로세스들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현상기(10)는 그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14)와, 현상제를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가시적인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키는 현상 롤러(13)를 포함할 수 있다. 감광드럼은 감광체(14)의 일 예로서, 유기감광체(Organic Photo Conductor, OPC)일 수 있다. 대전 롤러(15)는 감광체(14)가 균일한 표면전위를 갖도록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현상제 카트리지(미도시)에 수용된 현상제는 현상기(10)로 공급될 수 있다. 현상제 카트리지(미도시)에 수용되는 현상제는 토너일 수 있다.
광주사 장치(50)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감광체(14)에 주사하여 감광체(14)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대표적인 예로서는 LSU(Laser Scanning Unit) 등이 있다.
전사기는 감광체(14)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인쇄매체(P)에 전사시키며, 중간전사방식 전사기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전사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전사체(60), 중간전사 롤러(61)와, 전사 롤러(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중간전사벨트는 복수의 현상기(10) 각각의 감광체(14) 상에 현상된 토너화상이 전사되는 중간전사체(60)의 일 예로서, 토너화상을 일시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복수의 중간전사 롤러(61)에는 감광체(14) 상에 현상된 토너 화상을 중간전사체(60)로 중간전사시키기 위한 중간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될 수 있다. 전사 롤러(70)는 중간전사체(60)와 대면되게 위치될 수 있다.
인쇄매체(P)는 급지경로(R)를 따라 이송되어 전사 롤러(70)와 중간전사체(60) 사이로 이송될 수 있다. 전사 롤러(70)에 인가되는 전사 바이어스 전압에 의하여 중간전사체(60) 위에 중간전사된 토너화상은 전사 롤러(70)와 중간전사체(60) 사이로 이송된 인쇄매체(P)로 전사될 수 있다. 인쇄매체(P)가 정착기(80)를 통과하면, 토너화상은 열 및/또는 압력에 의하여 인쇄매체(P)에 고착된다. 정착이 완료된 인쇄매체(P)는 배출 롤러(미도시)에 의하여 배출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광주사 장치(50)는 각 컬러의 화상정보에 대응하여 변조된 광을 각 컬러에 대응되는 감광체(14)에 각각 주사하여 감광체(14)에 각 컬러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을 형성시킬 수 있다.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미도시)로부터 복수의 현상기(10)로 각각 공급된 현상제에 의하여 복수의 현상기(10)의 각 감광체(14)의 정전잠상이 가시적인 토너화상으로 현상될 수 있다. 현상된 토너화상들은 중간전사체(60)로 중간전사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5가지 컬러의 토너를 이용하여 컬러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 형성 장치(100)는 각 컬러에 대응되는 5개의 현상기(10)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개의 감광체(14)에는 각각 시안(C), 마젠타(M), 엘로우(Y), 블랙(K) 4개의 기본 컬러들과 화이트나 골드와 같은 추가 컬러(A)의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각 감광체(14)는 공급된 각 컬러의 토너에 의해 시안(C), 마젠타(M), 엘로우(Y), 블랙(K), 추가 컬러(A)의 토너화상을 형성시킬 수 있다. 시안(C), 마젠타(M), 엘로우(Y), 블랙(K), 추가 컬러(A)의 토너화상은 중간전사벨트(60)로 중첩 전사된 후에 전사 롤러(70)에 의해 다시 인쇄매체(P)로 전사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5가지 컬러의 토너를 이용하여 컬러 화상을 출력하기 위해 5개의 현상기(10)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100)를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상 형성 장치(100)는 6가지 이상의 컬러의 토너를 이용하기 위해, 6개 이상의 현상기(10)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5가지 컬러에 기초한 컬러 화상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5개의 광빔이 주사되는 광주사 장치(50)가 요구된다. 5개의 광빔을 피노광체인 각 감광체(14)로 주사하기 위하여, 광주사 장치(50)는 복수의 다면경들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다면경들이 편향면(또는 반사면)의 개수가 서로 다른 경우,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을 위하여, 다면경들의 회전 속도를 서로 다르게 제어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다면경들의 회전 속도를 서로 다르게 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회전 제어 신호를 사용하게 되면, 부품 특성이나 노이즈로 인하여, 클럭 신호가 변동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향면의 개수가 서로 다른 복수의 다면경들을 구비한 광주사 장치(50)의 구조 및 동작을 먼저 살펴보고, 하나의 회전 제어 신호를 사용하여 복수의 다면경들을 함께 회전시키면서도, 주사선들 간의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이 이루어지도록 광주사 장치(50)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광주사 장치(50)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광주사 장치(50)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 각각은 광주사 장치(50)의 부주사 평면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광주사 장치(50)는 편향면의 개수가 서로 다른 다면경들(51-1, 51-2) 각각을 구비하는 광 편향기들(53-1, 53-2)을 채용할 수 있다.
제1 광 편향기(53-1)는 복수의 편향면들을 가지는 제1 다면경(51-1)과 제1 다면경(51-1)을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모터부(5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광 편향기(53-2)는 복수의 편향면들을 가지는 제2 다면경(51-2)과 제2 다면경(51-2)을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모터부(55-2)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다면경(51-1)은 6개의 편향면들을 가지고, 제2 다면경(51-2)은 4개의 편향면들을 가지는 경우를 상정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주사 장치(50)는 광 편향기들(53-1, 53-2)에 의해 편향된 광빔들(L1, L2, L3, L4, L5) 각각을 피노광체인 감광체들(14C, 14M, 14Y, 14K, 14A) 각각에 주사하여 결상시키는 결상 렌즈들(52-1, 52-2)과 광빔의 광 경로를 변경시키는 반사 부재들(54-1, 5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상 렌즈들(52-1, 52-2)과 반사 부재들(54-1, 54-2)은 필요에 따라 더 배치될 수 있으며, 도 2나 도 3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주사 장치(50)는 각 컬러의 화상정보에 대응하여 변조된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광원들(미도시)로부터 각각 방출된 제1 내지 제5 광빔들(L1, L2, L3, L4, L5)을 광 편향기들(53-1, 53-2)을 이용하여 주주사 방향으로 편향 주사시킬 수 있다. 제1 내지 제5 광빔들(L1, L2, L3, L4, L5)은 기준 평면(RP)에 대하여 부주사 방향으로 각각 경사지게 광 편향기들(53-1, 53-2)의 편향면에 입사될 수 있다. 기준 평면(RP)은 예를 들어, 광 편향기들(53-1, 53-2)의 회전축에 직교하고, 제1 내지 제5 광빔들(L1, L2, L3, L4, L5)이 입사되는 편향면의 입사점을 포함하는 평면일 수 있다. 광주사 장치(50)는 광 편향기들(53-1, 53-2)에 의해 편향된 제1 내지 제5 광빔들(L1, L2, L3, L4, L5)이 결상 렌즈들(52-1, 52-2)을 통과 후 반사 부재들(54-1, 54-2)에 의해 변경되는 광 경로를 따라 감광체들(14C, 14M, 14Y, 14K, 14A) 각각에 주사되도록 하여, 감광체들(14C, 14M, 14Y, 14K, 14A) 각각에 컬러에 대응되는 정전 잠상을 형성시킬 수 있다.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들(미도시)로부터 공급된 현상제에 의하여 감광체들(14C, 14M, 14Y, 14K, 14A) 각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이 가시적인 토너화상으로 현상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일 예의 광주사 장치(50)는 하나의 광주사 장치(50) 하우징 내에 편향면의 개수가 서로 다른 다면경을 각각 채용한 2개의 광 편향기들(53-1, 53-2)이 설치되어 있다. 도 2와 달리, 도 3에 도시된 다른 예의 광주사 장치(50)는 제1 광주사 장치(50-1)와 제2 광주사 장치(50-2)로 서로 분리된 형태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광주사 장치(50-1)는 제1 광원부(미도시)로부터 각각 방출된 제1 내지 제4 광빔들(L1, L2, L3, L4)을 6개의 편향면을 가지는 제1 다면경(51-1)을 채용한 제1 광 편향기(53-1)를 이용하여 주주사 방향으로 편향 주사시킬 수 있는 텐덤(tandem)형 장치일 수 있다. 제1 광주사 장치(50-1)는 제1 광 편향기(53-1)에 의해 편향된 제1 내지 제4 광빔들(L1, L2, L3, L4)이 결상 렌즈(52-1)를 통과 후 반사 부재들(54-1)에 의해 변경되는 광 경로를 따라 감광체들(14C, 14M, 14Y, 14K) 각각에 주사되도록 하여, 감광체들(14C, 14M, 14Y, 14K) 각각에 컬러에 대응되는 정전 잠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광주사 장치(50-2)는 제2 광원부(미도시)로부터 방출된 제5 광빔(L5)을 4개의 편향면을 가지는 제2 다면경(51-2)을 채용한 제2 광 편향기(53-2)를 이용하여 주주사 방향으로 편향 주사시킬 수 있다. 제2 광주사 장치(50-2)는 제2 광 편향기(53-2)에 의해 편향된 제5 광빔(L5)이 결상 렌즈(52-2)를 통과 후 반사 부재들(54-2)에 의해 변경되는 광 경로를 따라 감광체(14A)에 주사되도록 하여, 감광체(14A)에 컬러에 대응되는 정전 잠상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주사 장치(50-1)는 시안, 마젠타, 엘로우, 및 블랙 컬러에 각각 대응되는 피노광체인 감광체들(14C, 14M, 14Y, 14K)에 변조된 광빔을 편향 주사하고, 제2 광주사 장치(50-2)는 추가 컬러에 대응되는 피노광체인 감광체(14A)에 변조된 광빔을 편향 주사할 수 있다.
도 4는 광주사 장치(50)의 주주사 평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광주사 장치(50)의 일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반사 부재들(54-1, 54-2)에 의해 변경되는 광 경로는 표시하지 않았으며, 광빔들(L1, L2, L3, L4)이 다면경(51-1)에 부주사 방향으로 경사 입사됨에 따라 겹쳐지는 부품들은 하나씩만 도시하였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일 예의 광주사 장치(50)는 복수의 광빔들(L1, L2, L3, L4, L5)을 주주사 방향으로 주사하는 장치로서, 제1 내지 제5 광빔들(L1, L2, L3, L4, L5)을 방출하는 광원들(56C, 56M, 56Y, 56K, 56A), 콜리메이팅 렌즈들(57C, 57M, 57Y, 57K, 57A), 조리개들(58C, 58M, 58Y, 58K, 58A), 실린드리컬 렌즈들(59-1A, 59-1B, 59-2), 다면경들(51-1, 51-2), 제1 내지 제5 광빔들(L1, L2, L3, L4, L5)을 각각 피노광체인 감광체들(14C, 14M, 14Y, 14K, 14A)에 결상시키는 결상 렌즈들(52-1A, 52-1B, 52-2), 및 반사 부재들(54-1, 54-2)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들(56C, 56M, 56Y, 56K, 56A) 각각은 제1 내지 제5 광빔들(L1, L2, L3, L4, L5) 각각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들(56C, 56M, 56Y, 56K, 56A) 각각은 레이저빔을 방출하는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일 수 있다.
대표적으로, 제1 광원(56C)에서 방출된 제1 광빔(L1)이 제1 감광체(14C)의 피주사면에 주사될 때까지 제1 광빔(L1)이 통과하는 광 경로 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 광원(56C)과 제1 다면경(51-1) 사이의 광 경로 상에는 제1 콜리메이팅 렌즈(57C)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콜리메이팅 렌즈(57C)는 제1 광원(56C)으로부터방출된 제1 광빔(L1)을 평행 광으로 만들어 주는 집광 렌즈이다. 제1 콜리메이팅 렌즈(57C)와 제1 다면경(51-1) 사이의 광 경로 상에는 제1 실린드리컬 렌즈(59-1A)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실린드리컬 렌즈(59-1A)는 부주사 방향으로만 소정의 파워를 가지는 광학소자로서, 제1 콜리메이팅 렌즈(57C)를 통과한 광을 제1 다면경(51-1)의 편향면에 부주사방향으로 집속시킬 수 있다. 제1 콜리메이팅 렌즈(57C)와 제1 실린드리컬 렌즈(59-1A) 사이에는 빔의 직경을 조절하기 위한 제1 조리개(58C)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1 콜리메이팅 렌즈(57C), 제1 조리개(58C) 및 제1 실린드리컬 렌즈(59-1A)는 광주사 장치(50)의 입사 광학계를 이룬다. 제1 실린드리컬 렌즈(59-1A)는 제1 광빔(L1)과 제2 광빔에 대해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1 다면경(51-1)은 제2 다면경(51-2)이 가지는 편향면들의 개수와는 다른 개수의 편향면들을 가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다면경(51-1)은 6개의 편향면들을 가지고, 제2 다면경(51-2)는 4개의 편향면들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결상 렌즈(52-1A)는 결상 광학계의 일 예로서, 제1 다면경(51-1)에 의해 편향 주사되는 제1 광빔(L1)이 제1 감광체(14C)의 피주사면에 결상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광빔(L1)과 제2 광빔(L2)가 통과하는 광 경로 상에 하나의 제1 결상 렌즈(52-1A)로 결상 광학계를 구성한 예를 도시하나, 2개 이상의 결상 렌즈들로 결상 광학계가 구성될 수도 있다. 반사 부재(54-1)는 주사되는 제1 광빔(L1)의 광 경로를 적절하게 바꾸어주는 광 경로 변환 수단의 일 예이다.
이와 비슷한 방식으로, 제2 내지 제5 광원들(56M, 56Y, 56K, 56A) 각각은 제2 내지 제5 광빔들(L2, L3, L4, L5) 각각을 감광체(14M, 14Y, 14K, 14A)의 피주사면에 주사시킬 수 있다.
제1 광원(56C) 및 제2 광원(56M)은 짝을 이루어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광원(56Y) 및 제4 광원(56K)는 짝을 이루어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광원(56C)과 제2 광원(56M), 제3 광원(56Y)과 제4 광원(56K)은 제1 다면경(51-1)을 기준으로 하여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광원들(56C, 56M, 56Y, 56K)은 제1 광원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5 광원(56A)은 제2 다면경(51-2)의 편향면에 제5 광빔(L5)을 입사시킬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광원부를 형성할 수 있다. 광원의 개수와 배치 형태 등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광원들(56C, 56M, 56Y, 56K, 56A)은 하나의 회로 보드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광빔(L1) 및 제2 광빔(L2)은 제1 다면경(51-1)의 편향면의 동일한 입사점에 입사되고, 제3 광빔(L3) 및 제4 광빔(L4)은 제1 다면경(51-1)의 편향면의 동일한 입사점에 입사되며, 제5 광빔(L5)은 제2 다면경(51-2)의 편향면의 입사점에 입사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광빔들(L1, L2, L3, L4, L5)이 각각 입사되는 입사점들은 하나의 평면에 모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다면경(51-1)의 양측에 마주보게 배치된 제1 결상 렌즈들(52-1A, 52-1B) 중 제1 결상 렌즈(52-1A)는 제1 광빔(L1)과 제2 광빔(L2)을 각각 제1 감광체(14C) 및 제2 감광체(14M)의 외주면에 결상시킬 수 있고, 제1 결상 렌즈(52-1B)는 제3 광빔(L3)과 제4 광빔(L4)을 각각 제3 감광체(14Y) 및 제4 감광체(14K)의 외주면에 결상시킬 수 있다. 제2 결상 렌즈(52-2)는 제5 광빔(L5)을 제5 감광체(14A)의 외주면에 결상시킬 수 있다.
제1 반사 부재(54-1) 및 제2 반사 부재(54-2)는 제1 내지 제5 광빔들(L1, L2, L3, L4, L5)의 광 경로를 변경시키는 부재로서, 반사 미러 또는 전반사프리즘이 채용될 수 있다. 제1 반사 부재(54-1) 및 제2 반사 부재(54-2)는 경사각도를 조절하거나, 편향면의 형상을 조절함으로써 제1 내지 제5 광빔들(L1, L2, L3, L4, L5)의 광 경로 변경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반사 부재(54-1)와 제2 반사 부재(54-2)는 제1 결상 렌즈들(52-1A, 52-1B) 및 제2 결상 렌즈(52-2)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한 제1 내지 제5 광빔들(L1, L2, L3, L4, L5) 각각의 광 경로를 피노광체인 감광체들(14C, 14M, 14Y, 14K, 14A) 각각으로 향하도록 변경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감광체(14C)로 편향 주사되는 제1 광빔(L1)만 표시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광원(56C)에서 방출된 제1 광빔(L)은 제1 다면경(51-1)의 편향면에 입사된 후 피노광체인 제1 감광체(14C)에 주주사방향으로 편향 주사될 수 있다. 제1 광원(56C)와 제1 다면경(51-1) 사이의 광 경로 상에는, 제1 광빔(L1)을 평행 광이 되도록 하는 제1 콜리메이팅 렌즈(57C)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콜리메이팅 렌즈(57C)와 제1 다면경(51-1) 사이에는 제1 광빔(L1)을 집속시켜 제1 다면경(51-1)의 편향면에 결상시키는 제1 실린더리컬 렌즈(59-1A)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다면경(51-1)의 편향면으로부터 편향된 제1 광빔(L1)은 제1 결상 렌즈(52-1A)를 통과하여 광 경로 상의 제1 반사 부재(54-1)에 의해 반사된 후, 피노광체인 제1 감광체(14C)의 피주사면에 결상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 및 동작을 바탕으로, 복수의 광원부들 및 편향면의 개수가 서로 다른 복수의 다면경들(51-1, 51-2)을 구비한 광주사 장치(50)가 화상 형성 작업을 하는 동안, 복수의 다면경들(51-1, 51-2)을 서로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시키면서,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이 이루어지도록 피노광체에 광빔을 편향 주사하는 방안을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편향면의 개수가 서로 다른 다면경들(51-1, 51-2)이 서로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할 때 다면경들(51-1, 51-2)의 편향면 전체를 사용한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다면경(51-1)은 6개의 편향면들을 가지고, 제2 다면경(51-2)은 4개의 편향면들을 가질 수 있다. 제1 다면경(51-1)과 제2 다면경(51-2)은 하나의 회전 제어 신호에 따라 서로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다면경(51-1)과 제2 다면경(51-2) 각각은 1회전 하는 동안 편향면 전체를 사용하여 각각 6개의 라인과 4개의 라인을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다면경(51-1)과 제2 다면경(51-2)이 하나의 회전 제어 신호에 따라 서로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이 틀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편향면의 개수가 서로 다른 다면경들(51-1, 51-2)이 서로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하면, 각각 1회전하는 동일한 시간동안 제1 다면경(51-1)은 6개의 라인들을 주사하고, 제2 다면경(51-2)은 4개의 라인들을 주사하기 때문이다.
도 6을 보면, 제1 다면경(51-1)이 1회전하는 동안 1 내지 6번의 라인들을 출력하고, 제2 다면경(51-2)이 1회전하는 동안 1 내지 4번의 라인들을 출력하는 경우, 제1 다면경(51-1)이 출력한 2번 라인, 3번 라인, 5번 라인, 및 6번 라인과 제2 다면경(51-2)이 출력한 2번 라인 및 4번 라인에서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틀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제1 다면경(51-1)이 출력한 1번 라인 및 4번 라인과 제2 다면경(51-2)이 출력한 1번 라인 및 3번 라인은 정상적인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이 수행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다면경(51-1)과 제2 다면경(51-2)이 출력한 라인들 중 일부 라인에서 정상적인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이 가능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하, 다면경들(51-1, 51-2)의 일부 편향면을 사용하여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 방식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7은 편향면의 개수가 서로 다른 다면경들(51-1, 51-2)이 서로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할 때 다면경들(51-1, 51-2)의 일부 편향면을 사용하여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다면경(51-1)과 제2 다면경(51-2)이 하나의 회전 제어 신호에 따라 서로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할 때, 제1 다면경(51-1)은 6면의 전체 편향면 중 3면마다 하나의 라인을 주사하고, 제2 다면경(51-2)은 4면의 전체 편향면 중 2면마다 하나의 라인을 주사하게 할 수 있다. 제1 다면경(51-1)은 3면마다 하나의 라인을 주사하기 위하여, 하나의 편향면을 이용하여 하나의 라인을 주사한 후, 2면의 편향면을 건너뛰고 그 다음 편향면을 이용하여 다시 하나의 라인을 주사할 수 있다. 제2 다면경(51-2)은 2면마다 하나의 라인을 주사하기 위하여, 하나의 편향면을 이용하여 하나의 라인을 주사한 후, 1면의 편향면을 건너뛰고 그 다음 편향면을 이용하여 다시 하나의 라인을 주사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다면경(51-1)이 1회전하는 동안 1번 라인과 4번 라인이 출력되고, 2번 라인, 3번 라인, 5번 라인, 및 6번 라인은 출력되지 않고 건너뛰게 된다. 제2 다면경(51-2)이 1회전하는 동안 1번 라인과 3번 라인이 출력되며, 2번 라인 및 4번 라인은 출력되지 않고 건너뛰게 된다. 그 결과, 제1 다면경(51-1)과 제2 다면경(51-2)에 의해 출력된 라인들 간의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이 정상적으로 수행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편향면의 개수가 서로 다른 다면경들(51-1, 51-2)이 서로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할 때 다면경들(51-1, 51-2)의 일부 편향면을 사용하여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다면경(51-1)과 제2 다면경(51-2)이 하나의 회전 제어 신호에 따라 서로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할 때, 제1 다면경(51-1)은 6면의 전체 편향면 중 6면마다 하나의 라인을 주사하고, 제2 다면경(51-2)은 4면의 전체 편향면 중 4면마다 하나의 라인을 주사하게 할 수 있다. 제1 다면경(51-1)은 6면마다 하나의 라인을 주사하기 위하여, 하나의 편향면을 이용하여 하나의 라인을 주사한 후, 5면의 편향면을 건너뛰고 그 다음 편향면을 이용하여 다시 하나의 라인을 주사할 수 있다. 제2 다면경(51-2)은 4면마다 하나의 라인을 주사하기 위하여, 하나의 편향면을 이용하여 하나의 라인을 주사한 후, 3면의 편향면을 건너뛰고 그 다음 편향면을 이용하여 다시 하나의 라인을 주사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다면경(51-1)이 1회전하는 동안 1번 라인이 출력되고, 2번 라인 내지 6번 라인은 출력되지 않고 건너뛰게 된다. 제2 다면경(51-2)이 1회전하는 동안 1번 라인이 출력되고, 2번 라인 내지 4번 라인은 출력되지 않고 건너뛰게 된다. 그 결과, 제1 다면경(51-1)과 제2 다면경(51-2)에 의해 출력된 라인들 간의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이 정상적으로 수행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면, 복수의 광원부들 및 편향면의 개수가 서로 다른 복수의 다면경들(51-1, 51-2)을 구비한 광주사 장치(50)는 화상 형성 작업을 하는 동안, 복수의 다면경들(51-1, 51-2)은 서로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하고, 복수의 광원부들은 화상 형성 작업의 화상정보에 따라 변조된 광빔이 회전하는 다면경들(51-1, 51-2)의 일부 편향면에 입사되도록 변조된 광빔을 단속적으로 방출하여,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도록 피노광체에 광빔을 편향 주사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의 프로세서(미도시)는 화상 형성 작업을 하는 동안, 복수의 다면경들(51-1, 51-2)을 동일한 회전 제어 신호로 회전시키고, 화상 형성 작업의 화상정보에 따라 변조된 광빔이 회전하는 다면경들(51-1, 51-2)의 일부 편향면에 입사되도록 광원부들을 구동 제어 신호로 단속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회전하는 다면경들(51-1, 51-2)은 화상 형성 작업을 하는 동안 변조된 광빔이 입사되는 편향면의 주기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다시 말해, 회전하는 다면경들(51-1, 51-2)은 화상 형성 작업을 하는 동안 변조된 광빔이 입사되지 않도록 건너뛴 편향면의 개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를 위해, 광원부들은 화상 형성 작업을 하는 동안 회전하는 다면경들(51-1, 51-2) 각각에 대해 변조된 광빔이 입사되는 편향면의 주기를 서로 달리하여 변조된 광빔을 방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광원부들은 화상 형성 작업을 하는 동안 회전하는 다면경들(51-1, 51-2)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소정의 개수를 건너뛴 편향면마다 변조된 광빔을 방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원부들이 변조된 광빔을 단속적으로 방출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100)의 프로세서는 구동 제어 신호로 광원부들을 구동시킬 수 있다.
광원부들은 화상 형성 작업을 하는 동안 회전하는 다면경들(51-1, 51-2) 각각에 대해 변조된 광빔을 방출한 후, 회전하는 다면경들(51-1, 51-2) 각각의 전체 편향면 개수를 각각의 전체 편향면 개수의 최대 공약수로 나눈 수의 정수배에 해당하는 편향면 마다 변조된 광빔을 방출하여,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의 예와 같이, 전체 6면의 편향면을 가지는 제1 다면경(51-1)과 전체 4면의 편향면을 가지는 제2 다면경(51-2)이 광주사 장치(50)에서 사용될 때,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을 위해, 제1 다면경(51-1)과 제2 다면경(51-2) 각각에서 사용할 수 있는 편향면의 주기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즉, 6과 4의 최대 공약수인 2로 6면과 4면을 각각 나누어, 3면과 2면 마다 하나의 라인을 주사하거나, 3면과 2면의 정수배인 (6면, 4면), (9면, 6면), (12면, 8면), (15면, 10면) 마다 하나의 라인을 주사함으로써,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편향면의 개수 6면 4면


하나의 라인 당
편향면의 주기
3 2
6 4
9 6
12 8
15 10
... ...
다른 예로, 전체 8면의 편향면을 가지는 제1 다면경(51-1)과 전체 4면의 편향면을 가지는 제2 다면경(51-2)이 광주사 장치(50)에서 사용될 때,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을 위해, 제1 다면경(51-1)과 제2 다면경(51-2) 각각에서 사용할 수 있는 편향면의 주기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즉, 8과 4의 최대 공약수인 4로 8면과 4면을 각각 나누어, 2면과 1면 마다 하나의 라인을 주사하거나, 2면과 1면의 정수배인 (4면, 2면), (6면, 3면), (8면, 4면), (10면, 5면) 마다 하나의 라인을 주사함으로써,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편향면의 개수 8면 4면


하나의 라인 당
편향면의 주기
2 1
4 2
6 3
8 4
10 5
... ...
또 다른 예로, 전체 8면의 편향면을 가지는 제1 다면경(51-1)과 전체 5면의 편향면을 가지는 제2 다면경(51-2)이 광주사 장치(50)에서 사용될 때,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을 위해, 제1 다면경(51-1)과 제2 다면경(51-2) 각각에서 사용할 수 있는 편향면의 주기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즉, 8과 5의 최대 공약수인 1로 8면과 5면을 각각 나누어, 8면과 5면 마다 하나의 라인을 주사하거나, 8면과 5면의 정수배인 (16면, 10면), (24면, 15면), (32면, 20면), (40면, 25면) 마다 하나의 라인을 주사함으로써,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편향면의 개수 8면 5면


하나의 라인 당
편향면의 주기
8 5
16 10
24 15
32 20
40 25
... ...
또 다른 예로, 전체 8면의 편향면을 가지는 제1 다면경(51-1)과 전체 6면의 편향면을 가지는 제2 다면경(51-2)이 광주사 장치(50)에서 사용될 때,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을 위해, 제1 다면경(51-1)과 제2 다면경(51-2) 각각에서 사용할 수 있는 편향면의 주기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즉, 8과 6의 최대 공약수인 2로 8면과 6면을 각각 나누어, 4면과 3면 마다 하나의 라인을 주사하거나, 4면과 3면의 정수배인 (8면, 6면), (12면, 9면), (16면, 12면), (20면, 15면) 마다 하나의 라인을 주사함으로써,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편향면의 개수 8면 6면

하나의 라인 당
편향면의 주기
4 3
8 6
12 9
16 12
20 15
... ...
또 다른 예로, 전체 6면의 편향면을 가지는 제1 다면경(51-1)과 전체 5면의 편향면을 가지는 제2 다면경(51-2)이 광주사 장치(50)에서 사용될 때,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을 위해, 제1 다면경(51-1)과 제2 다면경(51-2) 각각에서 사용할 수 있는 편향면의 주기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즉, 6과 5의 최대 공약수인 1로 6면과 5면을 각각 나누어, 6면과 5면 마다 하나의 라인을 주사하거나, 6면과 5면의 정수배인 (12면, 10면), (18면, 15면), (24면, 20면), (30면, 25면) 마다 하나의 라인을 주사함으로써,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편향면의 개수 6면 5면


하나의 라인 당
편향면의 주기
6 5
12 10
18 15
24 20
30 25
... ...
또 다른 예로, 전체 5면의 편향면을 가지는 제1 다면경(51-1)과 전체 4면의 편향면을 가지는 제2 다면경(51-2)이 광주사 장치(50)에서 사용될 때,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을 위해, 제1 다면경(51-1)과 제2 다면경(51-2) 각각에서 사용할 수 있는 편향면의 주기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즉, 5와 4의 최대 공약수인 1로 5면과 4면을 각각 나누어, 5면과 4면 마다 하나의 라인을 주사하거나, 5면과 4면의 정수배인 (10면, 8면), (15면, 12면), (20면, 16면), (25면, 20면) 마다 하나의 라인을 주사함으로써,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편향면의 개수 5면 4면


하나의 라인 당
편향면의 주기
5 4
10 8
15 12
20 16
25 20
... ...
한편, 편향면의 개수가 서로 다른 3종류의 다면경들이 광주사 장치(50)에서 사용될 때에도 유사한 방식으로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 4면, 5면, 6면의 편향면을 가지는 다면경들이 광주사 장치(50)에서 사용될 때,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을 위해, 다면경들 각각에서 사용할 수 있는 편향면의 주기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즉, 4, 5, 6의 최대 공약수인 1로 4면, 5면, 6면을 각각 나누어, 4면, 5면, 6면 마다 하나의 라인을 주사하거나, 4면, 5면, 6면의 정수배인 (8면, 10면, 12면), (12면, 15면, 18면), (16면, 20면, 24면), (20면, 25면, 30면) 마다 하나의 라인을 주사함으로써,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편향면의 개수 4면 5면 6면


하나의 라인 당
편향면의 주기
4 5 6
8 10 12
12 15 18
16 20 24
20 25 30
... ... ...
다른 예를 들어, 각각 4면, 5면, 8면의 편향면을 가지는 다면경들이 광주사 장치(50)에서 사용될 때,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을 위해, 다면경들 각각에서 사용할 수 있는 편향면의 주기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즉, 4, 5, 8의 최대 공약수인 1로 4면, 5면, 8면을 각각 나누어, 4면, 5면, 8면 마다 하나의 라인을 주사하거나, 4면, 5면, 8면의 정수배인 (8면, 10면, 16면), (12면, 15면, 24면), (16면, 20면, 32면), (20면, 25면, 40면) 마다 하나의 라인을 주사함으로써,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편향면의 개수 4면 5면 8면


하나의 라인 당
편향면의 주기
4 5 8
8 10 16
12 15 24
16 20 32
20 25 40
... ... ...
또 다른 예를 들어, 각각 4면, 6면, 8면의 편향면을 가지는 다면경들이 광주사 장치(50)에서 사용될 때,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을 위해, 다면경들 각각에서 사용할 수 있는 편향면의 주기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즉, 4, 6, 8의 최대 공약수인 2로 4면, 6면, 8면을 각각 나누어, 2면, 3면, 4면 마다 하나의 라인을 주사하거나, 2면, 3면, 4면의 정수배인 (4면, 6면, 8면), (6면, 9면, 12면), (8면, 12면, 16면), (10면, 15면, 20면) 마다 하나의 라인을 주사함으로써,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편향면의 개수 4면 6면 8면


하나의 라인 당
편향면의 주기
2 3 4
4 6 8
6 9 12
8 12 16
10 15 20
... ... ...
또 다른 예를 들어, 각각 5면, 6면, 8면의 편향면을 가지는 다면경들이 광주사 장치(50)에서 사용될 때,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을 위해, 다면경들 각각에서 사용할 수 있는 편향면의 주기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즉, 5, 6, 8의 최대 공약수인 1로 5면, 6면, 8면을 각각 나누어, 5면, 6면, 8면 마다 하나의 라인을 주사하거나, 5면, 6면, 8면의 정수배인 (10면, 12면, 16면), (15면, 18면, 24면), (20면, 24면, 32면), (25면, 30면, 40면) 마다 하나의 라인을 주사함으로써,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편향면의 개수 5면 6면 8면


하나의 라인 당
편향면의 주기
5 6 8
10 12 16
15 18 24
20 24 32
25 30 40
... ... ...
한편, 편향면의 개수가 서로 다른 4종류의 다면경들이 광주사 장치(50)에서 사용될 때에도 유사한 방식으로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 4면, 5면, 6면, 8면의 편향면을 가지는 다면경들이 광주사 장치(50)에서 사용될 때,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을 위해, 다면경들 각각에서 사용할 수 있는 편향면의 주기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즉, 4, 5, 6, 8의 최대 공약수인 1로 4면, 5면, 6면, 8면을 각각 나누어, 4면, 5면, 6면, 8면 마다 하나의 라인을 주사하거나, 4면, 5면, 6면, 8면의 정수배인 (8면, 10면, 12면, 16면), (12면, 15면, 18면, 24면), (16면, 20면, 24면, 32면), (20면, 25면, 30면, 40면) 마다 하나의 라인을 주사함으로써,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편향면의 개수 4면 5면 6면 8면


하나의 라인 당
편향면의 주기
4 5 6 8
8 10 12 16
12 15 18 24
16 20 24 32
20 25 30 40
... ... ... ...
더 나아가, 편향면의 개수가 서로 다른 N종류의 다면경들이 광주사 장치(50)에서 사용될 때에도 유사한 방식으로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감광체(14)의 회전에 의해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이 틀어진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편향면의 개수가 서로 다른 다면경들(51-1, 51-2)이 서로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할 때 다면경들(51-1, 51-2)의 일부 편향면을 사용하여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이 수행되더라도, 감광체(14)의 회전에 따른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틀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 제1 다면경(51-1)과 제2 다면경(51-2)의 회전 속도가 같으면, 제1 다면경(51-1)과 제2 다면경(51-2)에 의해 출력되는 하나의 라인에 대한 스캔 속도가 서로 달라질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다면경(51-1)에 의해 출력되는 라인의 스큐(skew) 정도와 제2 다면경(51-2)에 의해 출력되는 라인의 스큐 정도가 달라지므로, 제1 다면경(51-1)과 제2 다면경(51-2)에 의해 출력된 라인들 간의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틀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감광체(14)의 회전에 따른 라인의 스큐에 대응하여 반대방향으로 스큐를 보상함으로써,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방향으로의 스큐 보상은 광주사 장치(50)의 내부에서 또는 광주사 장치(50)를 화상 형성 장치(100)에 조립할 때 보상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광주사 장치(50) 또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는 read-only memory (ROM), random-access memory (RAM), flash memory, CD-ROMs, CD-Rs, CD+Rs, CD-RWs, CD+RWs, DVD-ROMs, DVD-Rs, DVD+Rs, DVD-RWs, DVD+RWs, DVD-RAMs, BD-ROMs, BD-Rs, BD-R LTHs, BD-REs, 마그네틱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자기 데이터 저장 장치, 광학 데이터 저장 장치, 하드 디스크, 솔리드-스테이트 디스크(SSD), 그리고 명령어 또는 소프트웨어,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나 컴퓨터가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나 컴퓨터에 명령어 또는 소프트웨어,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라도 될 수 있다.

Claims (15)

  1. 피노광체에 광빔을 편향 주사하는 광주사 장치로서,
    복수의 광원부들; 및
    편향면의 개수가 서로 다른 복수의 다면경들을 포함하고,
    화상 형성 작업을 하는 동안, 상기 복수의 다면경들은 서로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하며, 상기 복수의 광원부들은 상기 화상 형성 작업의 화상정보에 따라 변조된 광빔이 상기 회전하는 다면경들의 일부 편향면에 입사되도록 상기 변조된 광빔을 단속적으로 방출하는, 광주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하는 다면경들은 상기 화상 형성 작업을 하는 동안 상기 변조된 광빔이 입사되는 편향면의 주기가 서로 다른, 광주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하는 다면경들은 상기 화상 형성 작업을 하는 동안 상기 변조된 광빔이 입사되지 않도록 건너뛴 편향면의 개수가 서로 다른, 광주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들은 상기 화상 형성 작업을 하는 동안 상기 회전하는 다면경들 각각에 대해 상기 변조된 광빔이 입사되는 편향면의 주기를 서로 달리하여 상기 변조된 광빔을 방출하는, 광주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들은 상기 화상 형성 작업을 하는 동안 상기 회전하는 다면경들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소정의 개수를 건너뛴 편향면마다 상기 변조된 광빔을 방출하는, 광주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들은 상기 화상 형성 작업을 하는 동안 상기 회전하는 다면경들각각에 대해 상기 변조된 광빔을 방출한 후 상기 회전하는 다면경들 각각의 전체 편향면 개수를 상기 각각의 전체 편향면 개수의 최대 공약수로 나눈 수의 정수배인 편향면마다 상기 변조된 광빔을 방출하는, 광주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부들은 제1 광원부와 제2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다면경들은 제1 다면경과 제2 다면경을 포함할 때,
    상기 광주사 장치는,
    상기 제1 광원부와 상기 제1 다면경을 포함하는 제1 광주사 장치; 및
    상기 제2 광원부와 상기 제2 다면경을 포함하는 제2 광주사 장치를 포함하는, 광주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주사 장치는 시안, 마젠타, 엘로우, 및 블랙 컬러에 각각 대응되는 피노광체에 상기 변조된 광빔을 편향 주사하고, 상기 제2 광주사 장치는 추가 컬러에 대응되는 피노광체에 상기 변조된 광빔을 편향 주사하는, 광주사 장치.
  9. 복수의 감광체;
    복수의 광원부들과 편향면의 개수가 서로 다른 복수의 다면경들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감광체에 광빔을 편향 주사하는 광주사 장치; 및
    화상 형성 작업을 하는 동안, 상기 복수의 다면경들을 동일한 회전 제어 신호로 회전시키고, 상기 화상 형성 작업의 화상정보에 따라 변조된 광빔이 상기 회전하는 다면경들의 일부 편향면에 입사되도록 상기 광원부들을 구동 제어 신호로 단속적으로 구동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하는 다면경들은 상기 화상 형성 작업을 하는 동안 상기 변조된 광빔이 입사되는 편향면의 주기가 서로 다른, 화상 형성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하는 다면경들은 상기 화상 형성 작업을 하는 동안 상기 변조된 광빔이 입사되지 않도록 건너뛴 편향면의 개수가 서로 다른, 화상 형성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화상 형성 작업을 하는 동안 상기 회전하는 다면경들 각각에 대해 상기 변조된 광빔이 입사되는 편향면의 주기를 서로 달리하여 상기 변조된 광빔을 방출하도록 상기 광원부들을 구동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화상 형성 작업을 하는 동안 상기 회전하는 다면경들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소정의 개수를 건너뛴 편향면마다 상기 변조된 광빔을 방출하도록 상기 광원부들을 구동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화상 형성 작업을 하는 동안 상기 회전하는 다면경들 각각에 대해 상기 변조된 광빔을 방출한 후 상기 회전하는 다면경들 각각의 전체 편향면 개수를 상기 각각의 전체 편향면 개수의 최대 공약수로 나눈 수의 정수배인 편향면마다 상기 변조된 광빔을 방출하도록 상기 광원부들을 구동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부들은 제1 광원부와 제2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다면경들은 제1 다면경과 제2 다면경을 포함할 때,
    상기 광주사 장치는,
    상기 제1 광원부와 상기 제1 다면경을 포함하는 제1 광주사 장치; 및
    상기 제2 광원부와 상기 제2 다면경을 포함하는 제2 광주사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장치.
KR1020200028072A 2020-03-06 2020-03-06 편향면의 개수가 서로 다른 다면경들을 이용한 광주사 장치 KR2021011270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072A KR20210112709A (ko) 2020-03-06 2020-03-06 편향면의 개수가 서로 다른 다면경들을 이용한 광주사 장치
PCT/US2021/020219 WO2021178283A1 (en) 2020-03-06 2021-03-01 Light scanning unit
US17/908,048 US20230109884A1 (en) 2020-03-06 2021-03-01 Light scanning unit using polygonal mirrors with different numbers of deflection face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072A KR20210112709A (ko) 2020-03-06 2020-03-06 편향면의 개수가 서로 다른 다면경들을 이용한 광주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709A true KR20210112709A (ko) 2021-09-15

Family

ID=77612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072A KR20210112709A (ko) 2020-03-06 2020-03-06 편향면의 개수가 서로 다른 다면경들을 이용한 광주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09884A1 (ko)
KR (1) KR20210112709A (ko)
WO (1) WO2021178283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6621A (ja) * 1982-09-09 1984-03-16 Ricoh Co Ltd 光ビ−ム走査装置
JP5361263B2 (ja) * 2007-08-03 2013-12-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
JP6880794B2 (ja) * 2017-02-07 2021-06-0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光走査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09884A1 (en) 2023-04-13
WO2021178283A1 (en) 2021-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95281B2 (ja) レーザー走査光学装置
KR101646821B1 (ko) 레이저 빔 간의 상대 위치를 보정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JP4963399B2 (ja) 画像形成装置
US6856335B2 (en) Optical scanning device for scanning plural surface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optical scanning device
JP2012042733A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8000850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210112709A (ko) 편향면의 개수가 서로 다른 다면경들을 이용한 광주사 장치
JP2005092148A (ja) 光走査装置及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8872874B2 (en) Light scanning unit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5678675B2 (ja) 発光素子の調整固定構造及び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199143A (ja) 光走査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9035982B2 (en)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ame
US2019036953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H0583485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4139118B2 (ja) 光書込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9171693A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156992A (ja) 光走査装置と画像形成装置
US20020015090A1 (en) Scanning optical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8049119A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220091534A1 (en) Image alignment by detecting change in position of beam
JP200328031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8225058A (ja) モニタ装置、光源装置、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180242A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105250B2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784968B2 (en) Light scanning device that improves scanning accuracy of light beam on scan object surfa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