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0573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0573A
KR20210110573A KR1020217016858A KR20217016858A KR20210110573A KR 20210110573 A KR20210110573 A KR 20210110573A KR 1020217016858 A KR1020217016858 A KR 1020217016858A KR 20217016858 A KR20217016858 A KR 20217016858A KR 20210110573 A KR20210110573 A KR 20210110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display
slit
audio output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6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츠야 사카타
히로아키 마에시바
다이스케 야마오카
준지 하기오
히로시 마스다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10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05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integrated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2Disposition of sound repro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5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ss reflex type
    • H04R1/2819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ss reflex type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45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4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 H04R1/40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04R31/006Interconnection of transducer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Abstract

음상 정위 효과를 높여 화상이나 영상과 음성과의 일체감이 발생하는 양호한 시청 상태를 확보한다. 표시면에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의 배면측에 배치된 리어 커버와, 디스플레이와 리어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하로 이격하여 위치된 상측 스피커 및 하측 스피커를 구비하고, 상측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의 통과 구멍으로서 기능하는 상측 슬릿이 디스플레이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하측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의 통과 구멍으로서 기능하는 하측 슬릿이 디스플레이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하측 슬릿에 있어서의 상하의 폭이 상측 슬릿에 있어서의 상하의 폭보다 크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본 기술은, 표시면에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를 갖고 스피커로부터 음성의 출력이 행해지는 표시 장치에 대한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수상기나 퍼스널 컴퓨터 등의 표시 장치에는,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면을 갖는 디스플레이가 마련되고, 디스플레이의 배면측에 스피커 등이 배치되고, 스피커 등이 리어 커버에 의해 배면측으로부터 덮인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의 하단부에 있어서의 배면측에 스피커가 배치되고, 스피커가 리어 커버에 의해 배면측으로부터 덮여 있다. 디스플레이의 하측에는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의 통과 구멍으로서 기능하는 슬릿이 위치되어,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이 디스플레이의 하측을 통해 슬릿으로부터 전방을 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19723호 공보
그런데, 표시 장치의 시청 시에,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상이나 영상을 시인한 상태로 음성을 청취하기 때문에, 음성이 마치 시인 중인 디스플레이로부터 출력되고 있는 것처럼 인식되는 것이 화상이나 영상과 음성과의 일체감이 발생하여, 바람직한 시청 상태로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주위로부터 음성이 들리는 것 같은 인식에서의 시청 상태는, 화상이나 영상과 음성과의 일체감이 부족하고, 사용자가 화상이나 영상과의 관계에 있어서 소리가 들리는 방식에 위화감이 발생하여 양호한 음상 정위를 얻을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 표시 장치는, 음상 정위 효과를 높여 화상이나 영상과 음성과의 일체감이 발생하는 양호한 시청 상태를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에, 본 기술에 관한 표시 장치는, 표시면에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측에 배치된 리어 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리어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하로 이격하여 위치된 상측 스피커 및 하측 스피커를 구비하고, 상기 상측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의 통과 구멍으로서 기능하는 상측 슬릿이 상기 디스플레이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하측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의 통과 구멍으로서 기능하는 하측 슬릿이 상기 디스플레이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하측 슬릿에 있어서의 상하의 폭이 상기 상측 슬릿에 있어서의 상하의 폭보다 크게 된 것이다.
이에 의해, 상측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이 디스플레이보다 상측에 위치된 상측 슬릿을 통과함과 함께 하측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이 디스플레이보다 하측에 위치되어 상하의 폭이 상측 슬릿에 있어서의 상하의 폭보다 크게 된 하측 슬릿을 통과한다.
제2에, 상기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상측 슬릿 또는 상기 하측 슬릿의 적어도 한쪽이 상하로 이격하여 복수 형성되고, 상기 하측 슬릿의 수가 상기 상측 슬릿의 수보다 많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상측 슬릿과 하측 슬릿의 상하의 폭을 바꾸는 일 없이 하측 슬릿의 개구 면적을 상측 슬릿의 개구 면적보다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3에, 상기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외주측으로부터 덮는 외측 프레임이 마련되고, 상기 외측 프레임에 상기 상측 슬릿과 상기 하측 슬릿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외측 프레임에 의해 디스플레이가 외주측으로부터 덮임과 함께 외측 프레임에 형성된 공간인 상측 슬릿과 하측 슬릿으로부터 음성의 출력이 행해진다.
제4에, 상기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상측 스피커와 상기 하측 스피커가 각각 좌우로 이격하여 2개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상하 좌우에 위치하는 상측 스피커와 하측 스피커로부터 각각 음성이 출력된다.
제5에, 상기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상측 스피커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단부에 있어서의 배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측 스피커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단부에 있어서의 배면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상측 스피커의 상측 슬릿에 대한 위치가 가까워짐과 함께 하측 스피커의 하측 슬릿에 대한 위치가 가까워진다.
제6에, 상기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상측 스피커의 일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상측 스피커의 전체가 디스플레이보다 상측에 위치되지 않는다.
제7에, 상기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상측 스피커는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와 상기 음성 출력부로부터의 음성의 출력 방향에 있어서 상기 음성 출력부에 대향하여 상기 상측 슬릿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금속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상측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의 적어도 일부가 금속판을 향하기 때문에, 상측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이 흡수되기 어렵다.
제8에, 상기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상측 스피커의 금속판이 상방 경사 전방으로 경사지는 상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상측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의 일부가 금속판에 의해 상측 슬릿을 향해 유도된다.
제9에, 상기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하측 스피커의 일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하측 스피커의 전체가 디스플레이보다 하측에 위치되지 않는다.
제10에, 상기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하측 스피커는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와 상기 음성 출력부로부터의 음성의 출력 방향에 있어서 상기 음성 출력부에 대향하여 상기 하측 슬릿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금속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하측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의 적어도 일부가 금속판을 향하기 때문에, 하측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이 흡수되기 어렵다.
제11에, 상기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하측 스피커의 금속판이 하방 경사 전방으로 경사지는 상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하측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의 일부가 금속판에 의해 하측 슬릿을 향해 유도된다.
제12에, 상기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상측 스피커 및 상기 하측 스피커보다 음성의 출력 대역이 낮은 저음역 스피커가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리어 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저음역 스피커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상측 스피커와 상기 하측 스피커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저음역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이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측 스피커와 하측 스피커 사이로부터 출력되기 때문에, 저음역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음성이 디스플레이의 배면측을 돌아 들어가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측으로 전달된다.
제13에, 상기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상측 스피커와 상기 하측 스피커가 각각 좌우로 이격하여 2개씩 배치되고, 상기 저음역 스피커가 상하로 이격하여 2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2개의 저음역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이 디스플레이의 배면측을 상방과 하방으로부터 각각 돌아 들어가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측으로 전달되기 쉬워진다.
제14에, 상기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상측 스피커와 상기 하측 스피커가 각각 좌우로 이격하여 2개씩 배치되고, 상기 저음역 스피커가 2개 배치되고, 상기 2개의 저음역 스피커가 각각 상기 상측 스피커와 상기 하측 스피커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좌우의 한쪽의 상측 스피커와 저음역 스피커와 하측 스피커로부터 우측 채널의 음성이 출력되고, 다른 쪽의 상측 스피커와 저음역 스피커와 하측 스피커로부터 좌측 채널의 음성이 출력되어, 스테레오 모드의 음성 출력이 행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도 2 내지 도 15와 함께 본 기술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것이고, 본 도면은, 표시 장치의 정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표시 장치의 배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리어 커버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표시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4는 표시 장치의 상단측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표시 장치의 하단측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스피커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제2 스피커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외측 프레임의 상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외측 프레임의 상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외측 프레임의 상부와 상측 스피커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외측 프레임의 하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외측 프레임의 하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외측 프레임의 하부와 하측 스피커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저음역 스피커의 다른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5는 저음역 스피커의 또 다른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이하에, 본 기술 표시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첨부 도면을 따라 설명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본 기술 표시 장치를, 디스플레이에 화상을 표시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에 적용한 것이다.
또한, 본 기술의 적용 범위는 텔레비전 수상기에 한정되는 일은 없고, 퍼스널 컴퓨터 등에 사용되는 모니터 등의 각종 표시 장치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표시 장치(텔레비전 수상기)의 표시면이 향하는 방향을 전방측(정면측)으로 하여 전후 상하 좌우의 방향을 나타낸다.
<표시 장치의 구성>
표시 장치(텔레비전 수상기)(1)는, 예를 들어 가로로 길고 전후 방향의 두께가 얇은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도 1 및 도 2 참조), 예를 들어 스탠드(2)에 의해 바닥면 등의 설치면에 설치되거나 도시하지 않은 브래킷 등에 의해 벽면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표시 장치(1)는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3)와 디스플레이(3)의 후방에 배치된 백 섀시(4)와 디스플레이(3) 및 백 섀시(4)의 외주측에 배치된 베젤이라고 칭해지는 외측 프레임(5)과 백 섀시(4) 등을 후방으로부터 덮는 리어 커버(6)를 갖고 있다(도 1 내지 도 5 참조).
디스플레이(3)는 전후 방향을 향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디스플레이(3)로서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가 사용되어 있다. 디스플레이(3)는 기판이나 편광 필름 등의 광학 시트를 갖고 있다. 디스플레이(3)의 전방면은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면(3a)으로 되어 있다(도 1 참조).
백 섀시(4)는, 예를 들어 금속 재료나 수지 재료 등에 의해 형성되어, 디스플레이(3)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도 3 내지 도 5 참조).
디스플레이(3)와 백 섀시(4) 사이에는 홀더(7)와 브래킷(8)이 배치되어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홀더(7)는 직사각형의 프레임 형상부(7a)와 프레임 형상부(7a)의 전단부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플랜지 형상의 누름부(7b)를 갖고 있다. 브래킷(8)은 직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부(8a)와 베이스부(8a)의 전단 근방의 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플랜지 형상의 보유 지지부(8b)와 베이스부(8a)의 후단부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플랜지 형상의 설치부(8c)를 갖고 있다.
홀더(7)의 프레임 형상부(7a)와 브래킷(8)의 보유 지지부(8b)는 전후에서 결합되어 있다. 누름부(7b)의 전방면에는 디스플레이(3)의 외주부가 접합되어 있다.
디스플레이(3)와 백 섀시(4) 사이에는 확산판(9)이 배치되어 있다. 확산판(9)은 외주부가 홀더(7)의 누름부(7b)와 브래킷(8)의 보유 지지부(8b)에 의해 전후로부터 끼움 지지된 상태로 보유 지지되어 있다.
브래킷(8)에는 소자 탑재 기판(10)이 설치되고, 소자 탑재 기판(10)의 전방면에는 백라이트로서 기능하는 발광 다이오드 등의 복수의 발광 소자(11, 11, …)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탑재되어 있다. 발광 소자(11, 11, …)로부터 출사된 광은 확산판(9)에 의해 확산되고 디스플레이(3)에 배면측으로부터 백라이트광으로서 입사된다.
백 섀시(4)는 대략 전후 방향을 향하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형상이 브래킷(8)의 외형상보다 작게 되어 있다. 백 섀시(4)는 외주부가 브래킷(8)에 있어서의 설치부(8c)의 후방면에 설치되어 있다.
백 섀시(4)의 후방면에는 각종 제어 기판(12, 12, …)이 설치되어 있다(도 3 참조). 제어 기판(12)으로서는, 예를 들어 표시 장치(1)의 전체의 전원 제어를 행하는 전원 기판, 발광 소자(11)의 점소등 제어를 행하는 백라이트용 기판, 화상이나 음성 등의 제어를 행하는 신호 처리 기판, 디스플레이(3)의 표시 제어를 행하는 제어 기판 등이 마련되어 있다.
백 섀시(4)의 후방면에 있어서의 상단부에는 상측 스피커(13, 13)가 좌우로 이격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측 스피커(13)의 수는 임의이고, 하나여도 되고, 3개 이상이어도 된다. 상측 스피커(13)는, 예를 들어 다이내믹형의 스피커이고, 케이스체(14)와 음성 출력부(15, 15, 15)와 금속판(16)을 갖고 있다.
상측 스피커(13, 13)는 표시 장치(1)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어 좌우 대칭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체(14)는 가로로 긴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후 방향이 두께 방향으로 되고, 두께가 상하 좌우의 폭보다 작게 되어 있다(도 4 및 도 6 참조). 케이스체(14)의 상단부에는 전방 및 상방으로 개구되는 얕은 오목부(14a)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체(14)는 내부 공간이 배치 공간으로서 형성되고, 전방면부(17)에 전후로 관통된, 예를 들어 3개의 배치 구멍(17a, 17a, 17a)이 좌우로 이격하여 형성되어 있다. 배치 구멍(17a, 17a, 17a)은 오목부(14a)가 형성된 부분에 위치되어 있다.
배치 구멍(17a, 17a, 17a)에는 각각 음성 출력부(15, 15, 15)의 각 전단부가 배치되고, 음성 출력부(15, 15, 15)는 전단부 이외의 부분이 배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음성 출력부(15, 15, 15)는 진동판이나 코일 보빈 등을 갖는 스피커 유닛이고, 예를 들어 1개의 음성 출력부(15)가 고음의 재생 대역으로 된 트위터로서 마련되고, 다른 2개의 음성 출력부(15, 15)가 중음의 재생 대역으로 된 미드레인지용으로서 마련되고, 상측 스피커(13)는 전체적으로, 예를 들어 고음역으로부터 중저음역의 음성을 출력하는 풀레인지용의 스피커로 되어 있다.
케이스체(14)에는 전방면부(17)로부터 각각 전방으로 돌출된 돌기부(18, 18)와 돌기부(18, 18)를 연결하여 좌우로 연장되는 브릿지부(19)가 마련되어 있다. 돌기부(18, 18)는 전방면부(17)의 상단 근방의 부분에 있어서의 좌우 양단부로부터 각각 돌출되고, 브릿지부(19)는 좌우 양단부가 돌기부(18, 18)의 전단부에 연속되어 있다. 따라서, 브릿지부(19)는 오목부(14a)의 전방측에 있어서 전방면부(17)와 전후에서 이격하여 위치되어 있다.
브릿지부(19)의 전방면에는 쿠션(20)이 첩부되어 있다.
금속판(16)은 오목부(14a)의 상단부를 제외한 부분을 전방으로부터 덮는 상태로 케이스체(14)에 설치되어 있다. 금속판(16)은 상단부가 브릿지부(19)의 후방면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전방면부(17)에 있어서의 오목부(14a)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상단이 하단보다 전방측에 위치된 상태로 상방 경사 전방으로 경사져 있다. 케이스체(14)에 금속판(16)이 설치되는 것에 의해, 음성 출력부(15, 15, 15)의 상단부를 제외한 부분이 금속판(16)에 의해 전방으로부터 덮여 있다.
상측 스피커(13)는 쿠션(20)이 백 섀시(4)의 후방면에 압박된 상태로 백 섀시(4)에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상측 스피커(13)가 쿠션(20)을 개재하여 백 섀시(4)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케이스체(14)가 백 섀시(4)에 대하여 실링 성능과 유지 성능이 유효한 상태로 되어, 상측 스피커(13)에 있어서의 양호한 음향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측 스피커(13)는 금속판(16)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브래킷(8)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백 섀시(4)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측 스피커(13, 13)는 일부가 디스플레이(3)보다 상측에 위치되어 있다.
음성 출력부(15, 15, 15)로부터는 음성이 전방을 향해 출력되고, 전방을 향해 출력된 음성의 일부는 경사진 상태로 배치된 금속판(16)에 의해 상방측으로 반사되어, 상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한다.
백 섀시(4)의 후방면에 있어서의 하단부에는 하측 스피커(21, 21)가 좌우로 이격하여 설치되어 있다(도 3 참조). 또한, 하측 스피커(21)의 수는 임의이고, 1개여도 되고, 3개 이상이어도 된다. 하측 스피커(21)는, 예를 들어 다이내믹형의 스피커이고, 케이스체(22)와 음성 출력부(23, 23, 23)와 금속판(24)을 갖고 있다.
하측 스피커(21, 21)는 표시 장치(1)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어 좌우 대칭인 위치에 배치되고, 각각 상측 스피커(13, 13)의 바로 아래에 위치되어 있다.
케이스체(22)는 가로로 긴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후 방향이 두께 방향으로 되고, 두께가 상하 좌우의 폭보다 작게 되어 있다(도 5 및 도 7 참조). 케이스체(22)의 하단부에는 전방 및 하방에 개구되는 얕은 오목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체(22)는 내부 공간이 배치 공간으로서 형성되고, 전방면부(25)에 전후로 관통된, 예를 들어 3개의 배치 구멍(25a, 25a, 25a)이 좌우로 이격하여 형성되어 있다. 배치 구멍(25a, 25a, 25a)은 오목부(22a)가 형성된 부분에 위치되어 있다.
배치 구멍(25a, 25a, 25a)에는 각각 음성 출력부(23, 23, 23)의 각 전단부가 배치되고, 음성 출력부(23, 23, 23)는 전단부 이외의 부분이 배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음성 출력부(23, 23, 23)는 진동판이나 코일 보빈 등을 갖는 스피커 유닛이고, 예를 들어 하나의 음성 출력부(23)가 고음의 재생 대역으로 된 트위터로서 마련되고, 다른 2개의 음성 출력부(23, 23)가 중음의 재생 대역으로 된 미드레인지용으로서 마련되고, 하측 스피커(21)는 전체적으로, 예를 들어 고음역으로부터 중저음역의 음성을 출력하는 풀레인지용의 스피커로 되어 있다. 단, 하측 스피커(21)에 있어서의 음성의 출력 대역은, 적어도 저음측이 상측 스피커(13)에 있어서의 음성의 출력 대역보다 낮게 되어 있다.
케이스체(22)에는 전방면부(25)로부터 각각 전방으로 돌출된 돌기부(26, 26)와 돌기부(26, 26)를 연결하여 좌우로 연장되는 브릿지부(27)가 마련되어 있다. 돌기부(26, 26)는 전방면부(25)의 하단 근방의 부분에 있어서의 좌우 양단부로부터 각각 돌출되고, 브릿지부(27)는 좌우 양단부가 돌기부(26, 26)의 전단부에 연속되어 있다. 따라서, 브릿지부(27)는 오목부(22a)의 전방측에 있어서 전방면부(25)와 전후에서 이격하여 위치되어 있다.
브릿지부(27)의 전방면에는 쿠션(28)이 첩부되어 있다.
금속판(24)은 오목부(22a)의 하단부를 제외한 부분을 전방으로부터 덮는 상태로 케이스체(22)에 설치되어 있다. 금속판(24)은 하단부가 브릿지부(27)의 후방면에 고정되고 상단부가 전방면부(25)에 있어서의 오목부(22a)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상단과 하단이 전후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도록 전후 방향을 향하는 수직인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체(22)에 금속판(24)이 설치되는 것에 의해, 음성 출력부(23, 23, 23)의 하단부를 제외한 부분이 금속판(24)에 의해 전방으로부터 덮여 있다.
하측 스피커(21)는 쿠션(28)이 백 섀시(4)의 후방면에 압박된 상태로 백 섀시(4)에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측 스피커(21)가 쿠션(28)을 개재하여 백 섀시(4)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케이스체(22)가 백 섀시(4)에 대하여 실링 성능과 유지 성능이 유효한 상태로 되어, 하측 스피커(21)에 있어서의 양호한 음향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하측 스피커(21)는 금속판(24)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브래킷(8)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백 섀시(4)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하측 스피커(21, 21)는 일부가 디스플레이(3)보다 하측에 위치되어 있다.
음성 출력부(23, 23, 23)로부터는 음성이 전방을 향해 출력되고, 전방을 향해 출력된 음성의 일부는 수직인 상태로 배치된 금속판(24)에 의해 반사되고, 하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한다.
백 섀시(4)의 후방면에 있어서의 상단 근방의 위치와 하단 근방의 위치에는 각각 저음역 스피커(29, 29)가 상하로 이격하여 설치되어 있다(도 3 참조). 또한, 저음역 스피커(29)의 수는 임의이고, 1개여도 되고, 3개 이상이어도 된다. 저음역 스피커(29)는, 예를 들어 다이내믹형의 스피커이다. 저음역 스피커(29, 29)는 표시 장치(1)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측 스피커(13, 13)와 하측 스피커(21, 21) 사이에 위치되고,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측 스피커(13, 13) 사이 및 하측 스피커(21, 21)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저음역 스피커(29)는, 예를 들어 저음의 재생 대역으로 된 우퍼로서 마련되고, 재생 대역이 상측 스피커(13)와 하측 스피커(21)보다 낮게 되어 있다. 저음역 스피커(29)에는, 예를 들어 2개의 음성 출력부(29a, 29a)가 마련되고, 저음역 스피커(29)는, 예를 들어 음성 출력부(29a, 29a)가 좌우로 배열되는 상태로 백 섀시(4)에 설치되어 있다.
저음역 스피커(29)는 도시하지 않은 쿠션이 백 섀시(4)의 후방면에 압박된 상태로 백 섀시(4)에 설치되어 있고, 양호한 음향 특성이 확보되어 있다. 저음역 스피커(29, 29)로부터는 음성이 후방을 향해 출력되고, 후방을 향해 출력된 음성은, 주로, 디스플레이(3)의 상방 또는 하방을 돌아 들어가 전방을 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측 스피커(13)와 하측 스피커(21)는 각각 2개씩 마련되어 있고, 한쪽의 상측 스피커(13)와 한쪽의 하측 스피커(21)로부터 우측 채널의 음성이 출력되고, 다른 쪽의 상측 스피커(13)와 다른 쪽의 하측 스피커(21)로부터 좌측 채널의 음성이 출력되고, 우측의 음성과 좌측의 음성에 의해 스테레오 모드의 음성 출력이 행해진다. 단, 상측 스피커(13, 13)와 하측 스피커(21, 21)로부터 모노럴 모드의 음성 출력이 행해져도 된다.
한편, 저음역 스피커(29, 29)로부터는 모노럴의 동일한 음성이 출력된다. 단, 저음역 스피커(29, 29)에 대해서도 각각 우측 채널의 음성과 좌측 채널의 음성이 출력되고, 스테레오 모드의 음성 출력이 행해져도 된다.
또한, 저음역 스피커(29, 29)로부터는 모노럴의 동일한 음성이 출력되기 때문에, 저음역 스피커(29, 29)는 가능한 한 가깝게 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저음역 스피커(29, 29)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은 각각, 주로, 디스플레이(3)의 상측과 하측을 돌아 들어가 전방을 향하기 때문에, 돌아 들어가기 쉬운 것을 고려하면, 가능한 한 상단측 또는 하단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저음역 스피커(29, 29)를 백 섀시(4)의 상단 근방의 위치와 하단 근방의 위치에 각각 설치하여 배치함으로써, 모노럴의 동일한 음성을 청취하기 쉽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저음역 스피커(29, 29)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이 각각 디스플레이(3)의 상측과 하측으로부터 돌아 들어가기 쉬워져 전방으로의 음성의 양호한 출력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외측 프레임(5)은 상부(30)와 하부(31)와 측부(32, 32)가 프레임 형상으로 결합되어 구성되고, 디스플레이(3)나 백 섀시(4)를 외주측으로부터 덮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도 1 내지 도 5 참조). 상부(30)와 하부(31)는 각각 좌우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부(32, 32)는 상하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30)는 하측에 위치된 제1 부분(33)과 제1 부분(33)의 상측에 위치된 제2 부분(34)이, 예를 들어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료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도 8 및 도 9 참조).
제1 부분(33)은 상하 방향을 향하는 천장판부(35)와 천장판부(35)의 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고 전후 방향을 향하는 전방판부(36)와 천장판부(35)의 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고 전후 방향을 향하는 후방판부(37)와 전방판부(36)로부터 각각 전방으로 돌출된 차양부(38, 38, 38)를 갖고 있다. 차양부(38, 38, 38)는 상하로 이격하여 마련되고, 가장 상측의 차양부(38)가 전방판부(36)의 상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 부분(34)은 상하 방향을 향하는 상면부(39)와 상면부(39)의 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고 전후 방향을 향하는 전방면부(40)와 전방면부(40)로부터 각각 전방으로 돌출된 핀(41, 41, 41)을 갖고 있다. 전방면부(40)의 하단부는 천장판부(35)에 있어서의 후단 근방의 부분에 연속되어 있다. 핀(41, 41, 41)은, 예를 들어 3개가 마련되고, 핀(41, 41, 41) 사이의 간격은 동일하게 되고, 가장 하측에 위치된 핀(41)과 천장판부(35) 사이의 간격도 핀(41, 41, 41)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전방면부(40)에는 전후로 관통된 음성 통과 구멍(40a, 40a, …)이 형성되어 있다. 음성 통과 구멍(40a)은 상측 스피커(13, 13)의 전방측에 있어서 좌우로 배열하여 3개씩 형성되어 있다. 음성 통과 구멍(40a)은 상면부(39)와 천장판부(35)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음성 통과 구멍(40a)의 전방측의 공간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핀(41, 41, 41)과 천장판부(35)에 의해 3개의 부분으로 구획되고, 이 구획된 3개의 부분이 상측 슬릿(42, 42, 42)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부(30)는 전방판부(36)가 디스플레이(3)의 외주부를 전방으로부터 덮고 천장판부(35)가 홀더(7)와 브래킷(8)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상태로 배치되고, 후방판부(37)가, 예를 들어 브래킷(8)의 설치부(8c)에 설치된다(도 4 참조). 백 섀시(4)의 후방면에 설치된 상측 스피커(13, 13)는 상면부(39)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덮이고, 상측 스피커(13)에 있어서의 음성 출력부(15, 15, 15)의 상단부의 전방측에 음성 통과 구멍(40a)과 상측 슬릿(42, 42, 42)이 위치된다(도 4 및 도 10 참조).
따라서, 음성 출력부(15, 15, 15)로부터 전방을 향해 출력된 음성은, 경사진 상태로 배치된 금속판(16)에 의해 상방측으로 반사되어 상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고, 또는 금속판(16)의 상측을 통해 전방을 향하고, 음성 통과 구멍(40a)과 상측 슬릿(42, 42, 42)을 통과하여 디스플레이(3)의 상측을 돌아 들어가 전방으로 방출된다(도 4에 나타내는 화살표 P 참조).
하부(31)는 상측에 위치된 제1 부분(43)과 제1 부분(43)의 하측에 위치된 제2 부분(44)이, 예를 들어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료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도 11 및 도 12 참조).
제1 부분(43)은 상하 방향을 향하는 저판부(45)와 저판부(45)의 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전후 방향을 향하는 전방판부(46)와 저판부(45)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전후 방향을 향하는 후방판부(47)와 전방판부(46)로부터 각각 전방으로 돌출된 차양부(48, 48, 48)를 갖고 있다. 차양부(48, 48, 48)는 상하로 이격하여 마련되고, 가장 하측의 차양부(48)가 전방판부(46)의 하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 부분(44)은 상하 방향을 향하는 하면부(49)와 하면부(49)의 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전후 방향을 향하는 전방면부(50)와 전방면부(50)로부터 각각 전방으로 돌출된 핀(51, 51, …)을 갖고 있다. 전방면부(50)의 상단부는 저판부(45)에 있어서의 후단 근방의 부분에 연속되어 있다. 핀(51, 51, …)은, 예를 들어 4개가 마련되고, 핀(51, 51, …) 사이의 간격은 동일하게 되고, 가장 상측에 위치된 핀(51)과 저판부(45) 사이의 간격도 핀(51, 51, …)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전방면부(50)에는 전후로 관통된 음성 통과 구멍(50a, 50a, …)이 형성되어 있다. 음성 통과 구멍(50a)은 하측 스피커(21, 21)의 전방측에 있어서 좌우로 배열하여 3개씩 형성되어 있다. 음성 통과 구멍(50a)은 하면부(49)와 저판부(45)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음성 통과 구멍(50a)의 전방측의 공간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핀(51, 51, …)과 저판부(45)에 의해 4개의 부분으로 구획되고, 이 구획된 4개의 부분이 하측 슬릿(52, 52, …)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하부(31)는 전방판부(46)가 디스플레이(3)의 외주부를 전방으로부터 덮고 저판부(45)가 홀더(7)와 브래킷(8)을 하방으로부터 덮는 상태로 배치되고, 후방판부(47)가, 예를 들어 브래킷(8)의 설치부(8c)에 설치된다(도 5 참조). 백 섀시(4)의 후방면에 설치된 하측 스피커(21, 21)는 하면부(49)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덮이고, 하측 스피커(21)에 있어서의 음성 출력부(23, 23, 23)의 하단부의 전방측에 하측 슬릿(52, 52, …)이 위치된다(도 5 및 도 11 참조).
따라서, 음성 출력부(23, 23, 23)로부터 전방을 향해 출력된 음성은, 금속판(24)에 의해 반사되고 하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거나, 또는 금속판(24)의 하측을 통해 전방을 향하고, 음성 통과 구멍(50a)과 하측 슬릿(52, 52, …)을 통과하여 디스플레이(3)의 하측을 돌아 들어가 전방으로 방출된다(도 5에 나타내는 화살표 Q 참조).
상기한 상측 스피커(13)와 하측 스피커(21)에 있어서는, 하측 스피커(21)에 있어서의 하측 슬릿(52)의 상하의 폭 B가 상측 스피커(13)에 있어서의 상측 슬릿(42)의 상하의 폭 A보다 크게 되어 있다(도 9 및 도 12 참조). 또한, 하측 슬릿(52)은 4개가 형성되고, 상측 슬릿(42)은 3개가 형성되어 있어, 하측 슬릿(52)의 수가 상측 슬릿(42)의 수보다 많게 되어 있다.
또한, 상측 슬릿(42)과 하측 슬릿(52)의 수는 각각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있으면 임의이고, 하측 슬릿(52)의 수가 상측 슬릿(42)의 수보다 많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에 있어서는, 상측 스피커(13)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이 디스플레이(3)보다 상측에 위치된 상측 슬릿(42)을 통과함과 함께 하측 스피커(21)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이 디스플레이(3)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상하의 폭 B가 상측 슬릿(42)에 있어서의 상하의 폭 A보다 크게 된 하측 슬릿(52)을 통과한다.
따라서, 상하의 폭 B가 상측 슬릿(42)에 있어서의 상하의 폭 A보다 크게 된 하측 슬릿(52)을 하측 스피커(21)로부터 출력된 음성이 통과하여 전방을 향해 방출되기 때문에, 저위치로부터의 음성의 안정된 출력 상태가 확보된다. 또한, 상측 스피커(13)로부터 출력된 음성이 상측으로부터 상측 슬릿(42)을 통과하여 전방을 향해 방출되고, 하측 스피커(21)로부터 출력된 음성이 하측으로부터 하측 슬릿(52)을 통과하여 전방을 향해 방출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3)의 중앙부에 음상이 정위되기 쉬워지고, 마치 시인 중인 디스플레이(3)의 중앙부로부터 음성이 출력되고 있는 것처럼 인식되고, 사용자(시인자)에게 있어서 화상이나 영상과 음성과의 일체감을 인식한 상태로 시청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측부(32, 32)는 디스플레이(3)나 백 섀시(4) 등의 좌우에 위치되고, 상단부가 상부(30)의 좌우 양단부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하부(31)의 좌우 양단부에 결합된다(도 1 내지 도 3 참조).
리어 커버(6)는 대략 전후 방향을 향하는 평판 형상의 폐색 면부(53)와 폐색 면부(53)의 외주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프레임 형상의 결합부(54)를 갖고 있다(도 2, 도 4 및 도 5 참조). 폐색 면부(53)에는 음성 출력 구멍(53a, 53a)이 상하로 이격하여 형성되어 있다.
리어 커버(6)는 결합부(54)가 외측 프레임(5)에 있어서의 후단부의 내주면에 결합된다. 따라서, 백 섀시(4)에 설치된 제어 기판(12, 12, …)이나 상측 스피커(13, 13)나 하측 스피커(21, 21)나 저음역 스피커(29, 29) 등의 각 부가 리어 커버(6)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덮인다.
리어 커버(6)가 외측 프레임(5)에 결합된 상태에 있어서는, 폐색 면부(53)의 음성 출력 구멍(53a, 53a)이 각각 저음역 스피커(29, 29)의 바로 뒤에 위치된다. 따라서, 저음역 스피커(29, 29)로부터 후방을 향해 출력된 음성은, 음성 출력 구멍(53a, 53a)을 통해, 주로, 상방과 하방을 향해 디스플레이(3)의 상측과 하측을 돌아 들어가 전방으로 방출된다.
<정리>
이상에 기재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3)와 리어 커버(6) 사이에 배치되어 상하로 이격하여 위치된 상측 스피커(13)와 하측 스피커(21)를 구비하고, 상측 스피커(13)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의 통과 구멍으로서 기능하는 상측 슬릿(42)이 디스플레이(3)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하측 스피커(21)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의 통과 구멍으로서 기능하는 하측 슬릿(52)이 디스플레이(3)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하측 슬릿(52)에 있어서의 상하의 폭 B가 상측 슬릿(42)에 있어서의 상하의 폭 A보다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측 스피커(13)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이 디스플레이(3)보다 상측에 위치된 상측 슬릿(42)을 통과됨과 함께 하측 스피커(21)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이 디스플레이(3)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상하의 폭 B가 상측 슬릿(42)에 있어서의 상하의 폭 A보다 크게 된 하측 슬릿(52)을 통과한다. 이에 의해, 저위치로부터의 음성의 안정된 출력 상태가 확보된 상태로 디스플레이(3)의 중앙부에 음상이 정위되어, 화상이나 영상과 음성과의 일체감이 발생하는 양호한 시청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마치 시인 중인 디스플레이(3)로부터 음성이 출력되고 있는 것처럼 인식되기 때문에, 음상 정위 효과를 높여 화상이나 영상과 음성과의 일체감이 발생하는 양호한 시청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3)를 돌아 들어간 상측 스피커(13)로부터 출력된 음성과 디스플레이(3)를 돌아 들어간 하측 스피커(21)로부터 출력된 음성이, 사용자에게 있어서 마치 시인 중인 디스플레이(3)의 중앙부로부터 출력되고 있는 것처럼 인식되기 쉬워져, 화상이나 영상과 음성과의 일체감에 의해 임장감이 있는 시청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하측 슬릿(52, 52, …)의 수가 상측 슬릿(42, 42, 42)의 수보다 많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측 슬릿(42, 42, 42)과 하측 슬릿(52, 52, …)의 상하의 폭을 바꾸지 않고 하측 슬릿(52, 52, …)의 개구 면적을 상측 슬릿(42, 42, 42)의 개구 면적보다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저위치로부터의 음성의 안정된 출력 상태가 확보되어, 사용자에게 있어서 양호한 시청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특히, 하측 슬릿(52, 52, …)의 전체의 개구 면적을 상측 슬릿(42, 42, 42)의 전체의 개구 면적보다 크게 하는 것에 의해, 하측 스피커(21)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을 하측 슬릿(52, 52, …)으로부터 높은 음압으로 방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저위치로부터의 음성의 안정된 출력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3)를 외주측으로부터 덮는 외측 프레임(5)에 상측 슬릿(42)과 하측 슬릿(5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측 프레임(5)에 의해 디스플레이(3)가 외주측으로부터 덮임과 함께 외측 프레임(5)에 형성된 공간인 상측 슬릿(42)과 하측 슬릿(52)으로부터 음성의 출력이 행해지기 때문에, 전용의 부재를 마련하여 상측 슬릿(42)과 하측 슬릿(52)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부품 개수의 삭감에 의한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측 스피커(13)와 하측 스피커(21)가 각각 좌우로 이격하여 2개씩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하 좌우에 위치하는 상측 스피커(13, 13)와 하측 스피커(21, 21)로부터 각각 음성이 출력되기 때문에, 고위치 및 저위치로부터의 음성의 안정된 출력 상태가 확보되어, 사용자에게 있어서 더 양호한 시청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스테레오 음성을 출력하는 것이 가능해져, 사용자에게 있어서 임장감이 있는 시청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측 스피커(13, 13)의 적어도 일부가 디스플레이(3)의 상단부에 있어서의 배면측에 배치되고, 하측 스피커(21, 21)의 적어도 일부가 디스플레이(3)의 하단부에 있어서의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측 스피커(13, 13)의 상측 슬릿(42, 42, 42)에 대한 위치가 가까워짐과 함께 하측 스피커(21, 21)의 하측 슬릿(52, 52, …)에 대한 위치가 가까워지기 때문에, 상측 스피커(13, 13)로부터 출력되는 음성과 하측 스피커(21, 21)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에 관하여 다른 부품과의 간섭이 발생하기 어려워, 음성의 안정된 출력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측 스피커(13, 13)의 일부가 디스플레이(3)보다 상측에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측 스피커(13, 13)의 전체가 디스플레이(3)보다 상측에 위치되지 않기 때문에, 상측 스피커(13, 13)로부터의 음성의 양호한 출력 상태를 확보하는 것에 더하여 표시 장치(1)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측 스피커(13)는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15, 15, 15)와 음성 출력부(15, 15, 15)로부터의 음성의 출력 방향에 있어서 음성 출력부(15, 15, 15)에 대향하여 상측 슬릿(42)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금속판(16)을 갖고 있다.
따라서, 상측 스피커(13)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의 적어도 일부가 금속판(16)을 향하기 때문에, 상측 스피커(13)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이 흡수되기 어렵고, 상측 스피커(13)로부터의 음성의 양호한 출력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측 스피커(13)의 금속판(16)이 상방 경사 전방으로 경사지는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측 스피커(13)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의 일부가 금속판(16)에 의해 상측 슬릿(42)을 향해 유도되기 때문에, 음성의 흡수를 억제한 상태로 상측 스피커(13)로부터의 음성의 양호한 출력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하측 스피커(21, 21)의 일부가 디스플레이(3)보다 하측에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하측 스피커(21, 21) 전체가 디스플레이(3)보다 하측에 위치되지 않기 때문에, 하측 스피커(21, 21)로부터의 음성의 양호한 출력 상태를 확보하는 것에 더하여 표시 장치(1)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하측 스피커(21)는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23, 23, 23)와 음성 출력부(23, 23, 23)로부터의 음성의 출력 방향에 있어서 음성 출력부(23, 23, 23)에 대향하여 하측 슬릿(52)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금속판(24)을 갖고 있다.
따라서, 하측 스피커(21)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의 적어도 일부가 금속판(24)을 향하기 때문에, 하측 스피커(21)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이 흡수되기 어렵고, 하측 스피커(21)로부터의 음성의 양호한 출력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는, 하측 스피커(21)의 금속판(24)이 수직인 상태로 배치된 예를 나타냈지만, 금속판(24)은 하방 경사 전방으로 경사지는 상태로 되어 있어도 된다.
금속판(24)이 하방 경사 전방으로 경사지는 상태로 됨으로써, 하측 스피커(21)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의 일부가 금속판(24)에 의해 하측 슬릿(52)을 향해 유도되기 때문에, 음성의 흡수를 억제한 상태로 하측 스피커(21)로부터의 음성의 양호한 출력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측 스피커(13) 및 하측 스피커(21)보다 음성의 출력 대역이 낮은 저음역 스피커(29)가 디스플레이(3)와 리어 커버(6) 사이에 배치되고, 저음역 스피커(29)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측 스피커(13)와 하측 스피커(21)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저음역 스피커(29)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이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측 스피커(13)와 하측 스피커(21) 사이로부터 출력되기 때문에, 저음역 스피커(29)로부터 출력된 음성이 디스플레이(3)의 배면측을 돌아 들어가 디스플레이(3)의 표시면(3a)측으로 전달되고, 상측 스피커(13)와 하측 스피커(21)와 저음역 스피커(29)로부터 음성이 양호한 밸런스로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있어서 임장감이 있는 시청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측 스피커(13)와 하측 스피커(21)가 각각 좌우로 이격하여 2개씩 배치되고, 저음역 스피커(29)가 상하로 이격하여 2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2개의 저음역 스피커(29, 29)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이 디스플레이(3)의 배면측을 상방과 하방으로부터 각각 돌아 들어가 디스플레이(3)의 표시면(3a)측으로 전달되기 쉬워지고, 각각 2개씩의 상측 스피커(13, 13)와 하측 스피커(21, 21)와 저음역 스피커(29, 29)로부터 음성이 양호한 밸런스로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있어서 더 임장감이 있는 시청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기타>
상기에는, 저음역 스피커(29)의 음성 출력부(29a, 29a)가 좌우로 배열되는 상태로 된 예를 나타냈지만, 저음역 스피커(29)는, 예를 들어 음성 출력부(29a, 29a)가 상하로 배열되는 상태로 백 섀시(4)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도 14 참조). 이 경우에 2개의 저음역 스피커(29, 29)가, 백 섀시(4)의 상단측에 있어서 좌우로 이격하여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백 섀시(4)의 하단측 또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있어서 좌우로 이격하여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렇게 저음역 스피커(29)의 음성 출력부(29a, 29a)를 상하 또는 좌우로 배열되는 위치로 하거나, 저음역 스피커(29, 29)의 배치 위치를 좌우로 배열한 위치로 함으로써, 백 섀시(4)에 설치되는 제어 기판(12, 12, …) 등의 다른 부재와의 위치에 따라 스페이스의 유효 활용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져, 표시 장치(1)의 설계 자유도의 향상 및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저음역 스피커(29, 29)가 각각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측 스피커(13, 13)와 하측 스피커(21, 21) 사이에 위치되어 있어도 된다(도 15 참조).
이러한 배치 상태에 있어서는, 좌우의 한쪽의 상측 스피커(13)와 저음역 스피커(29)와 하측 스피커(21)로부터 우측 채널의 음성이 출력되고, 다른 쪽의 상측 스피커(13)와 저음역 스피커(29)와 하측 스피커(21)로부터 좌측 채널의 음성이 출력되어, 스테레오 모드의 음성 출력이 행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각 채널의 소리의 일체감이 높아지고, 스테레오 모드에 있어서의 양호한 음성의 출력 상태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져, 사용자에게 있어서 임장감이 있는 시청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본 기술>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1)
표시면에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측에 배치된 리어 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리어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하로 이격하여 위치된 상측 스피커 및 하측 스피커를 구비하고,
상기 상측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의 통과 구멍으로서 기능하는 상측 슬릿이 상기 디스플레이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하측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의 통과 구멍으로서 기능하는 하측 슬릿이 상기 디스플레이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하측 슬릿에 있어서의 상하의 폭이 상기 상측 슬릿에 있어서의 상하의 폭보다 크게 된
표시 장치.
(2)
상기 상측 슬릿 또는 상기 하측 슬릿의 적어도 한쪽이 상하로 이격하여 복수 형성되고,
상기 하측 슬릿의 수가 상기 상측 슬릿의 수보다 많게 된
상기 (1)에 기재된 표시 장치.
(3)
상기 디스플레이를 외주측으로부터 덮는 외측 프레임이 마련되고,
상기 외측 프레임에 상기 상측 슬릿과 상기 하측 슬릿이 형성된
상기 (1) 또는 상기 (2)에 기재된 표시 장치.
(4)
상기 상측 스피커와 상기 하측 스피커가 각각 좌우로 이격하여 2개씩 배치된
상기 (1) 내지 상기 (3)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표시 장치.
(5)
상기 상측 스피커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단부에 있어서의 배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측 스피커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단부에 있어서의 배면측에 배치된
상기 (1) 내지 상기 (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표시 장치.
(6)
상기 상측 스피커의 일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보다 상측에 위치된
상기 (1) 내지 상기 (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표시 장치.
(7)
상기 상측 스피커는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와 상기 음성 출력부로부터의 음성의 출력 방향에 있어서 상기 음성 출력부에 대향하여 상기 상측 슬릿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금속판을 갖는
상기 (6)에 기재된 표시 장치.
(8)
상기 상측 스피커의 금속판이 상방 경사 전방으로 경사지는 상태로 된
상기 (7)에 기재된 표시 장치.
(9)
상기 하측 스피커의 일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보다 하측에 위치된
상기 (1) 내지 상기 (8)의 어느 것에 기재된 표시 장치.
(10)
상기 하측 스피커는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와 상기 음성 출력부로부터의 음성의 출력 방향에 있어서 상기 음성 출력부에 대향하여 상기 하측 슬릿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금속판을 갖는
상기 (9)에 기재된 표시 장치.
(11)
상기 하측 스피커의 금속판이 하방 경사 전방으로 경사지는 상태로 된
상기 (10)에 기재된 표시 장치.
(12)
상기 상측 스피커 및 상기 하측 스피커보다 음성의 출력 대역이 낮은 저음역 스피커가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리어 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저음역 스피커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상측 스피커와 상기 하측 스피커 사이에 위치된
상기 (1) 내지 상기 (11)의 어느 것에 기재된 표시 장치.
(13)
상기 상측 스피커와 상기 하측 스피커가 각각 좌우로 이격하여 2개씩 배치되고,
상기 저음역 스피커가 상하로 이격하여 2개 배치된
상기 (12)에 기재된 표시 장치.
(14)
상기 상측 스피커와 상기 하측 스피커가 각각 좌우로 이격하여 2개씩 배치되고,
상기 저음역 스피커가 2개 배치되고,
상기 2개의 저음역 스피커가 각각 상기 상측 스피커와 상기 하측 스피커 사이에 위치된
상기 (12)에 기재된 표시 장치.
1: 표시 장치
3: 디스플레이
3a: 표시면
5: 외측 프레임
6: 리어 커버
13: 상측 스피커
15: 음성 출력부
16: 금속판
21: 하측 스피커
23: 음성 출력부
24: 금속판
29: 저음역 스피커
42: 상측 슬릿
52a: 하측 슬릿

Claims (14)

  1. 표시면에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측에 배치된 리어 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리어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하로 이격하여 위치된 상측 스피커 및 하측 스피커를 구비하고,
    상기 상측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의 통과 구멍으로서 기능하는 상측 슬릿이 상기 디스플레이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하측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의 통과 구멍으로서 기능하는 하측 슬릿이 상기 디스플레이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하측 슬릿에 있어서의 상하의 폭이 상기 상측 슬릿에 있어서의 상하의 폭보다 크게 된,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슬릿 또는 상기 하측 슬릿의 적어도 한쪽이 상하로 이격하여 복수 형성되고,
    상기 하측 슬릿의 수가 상기 상측 슬릿의 수보다 많게 된,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외주측으로부터 덮는 외측 프레임이 마련되고,
    상기 외측 프레임에 상기 상측 슬릿과 상기 하측 슬릿이 형성된,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스피커와 상기 하측 스피커가 각각 좌우로 이격하여 2개씩 배치된,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스피커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단부에 있어서의 배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측 스피커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단부에 있어서의 배면측에 배치된,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스피커의 일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보다 상측에 위치된,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스피커는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와 상기 음성 출력부로부터의 음성의 출력 방향에 있어서 상기 음성 출력부에 대향하여 상기 상측 슬릿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금속판을 갖는,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스피커의 금속판이 상방 경사 전방으로 경사지는 상태로 된,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스피커의 일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보다 하측에 위치된,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스피커는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와 상기 음성 출력부로부터의 음성의 출력 방향에 있어서 상기 음성 출력부에 대향하여 상기 하측 슬릿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금속판을 갖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스피커의 금속판이 하방 경사 전방으로 경사지는 상태로 된,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스피커 및 상기 하측 스피커보다 음성의 출력 대역이 낮은 저음역 스피커가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리어 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저음역 스피커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상측 스피커와 상기 하측 스피커 사이에 위치된,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스피커와 상기 하측 스피커가 각각 좌우로 이격하여 2개씩 배치되고,
    상기 저음역 스피커가 상하로 이격하여 2개 배치된, 표시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스피커와 상기 하측 스피커가 각각 좌우로 이격하여 2개씩 배치되고,
    상기 저음역 스피커가 2개 배치되고,
    상기 2개의 저음역 스피커가 각각 상기 상측 스피커와 상기 하측 스피커 사이에 위치된, 표시 장치.
KR1020217016858A 2018-12-26 2019-11-06 표시 장치 KR202101105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43649 2018-12-26
JP2018243649 2018-12-26
PCT/JP2019/043467 WO2020137177A1 (ja) 2018-12-26 2019-11-06 表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573A true KR20210110573A (ko) 2021-09-08

Family

ID=71126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6858A KR20210110573A (ko) 2018-12-26 2019-11-06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57298B2 (ko)
EP (1) EP3905711A4 (ko)
JP (1) JPWO2020137177A1 (ko)
KR (1) KR20210110573A (ko)
CN (1) CN113196796A (ko)
WO (1) WO202013717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9723A (ja) 2005-05-13 2006-11-24 Sanyo Electric Co Ltd 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1380A (en) * 1991-06-19 1994-11-01 Daewoo Electronics Co., Ltd. Woofer module for use in a television set
JP2001025080A (ja) * 1999-07-06 2001-01-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機器用音響レンズ付きスピーカ装置
WO2012153537A1 (ja) 2011-05-11 2012-11-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
JP5816811B2 (ja) 2011-05-18 2015-11-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スピーカ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移動体装置
JP2014131243A (ja) 2012-12-28 2014-07-10 Sharp Corp 表示装置
BR112015014834A2 (pt) * 2012-12-28 2017-07-11 Sony Corp dispositivo de exibição
JP6015497B2 (ja) 2013-03-01 2016-10-26 船井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WO2015060678A1 (en) 2013-10-24 2015-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sound through speaker
KR102077236B1 (ko) 2013-10-24 2020-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틈 스피커를 통해 음향을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
JP6010013B2 (ja) * 2013-12-05 2016-10-19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
KR102211341B1 (ko) * 2014-07-09 2021-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49453B1 (ko) * 2015-07-24 2022-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피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949057B2 (en) * 2015-09-08 2018-04-17 Apple Inc. Stereo and filter control for multi-speaker device
CN206196046U (zh) * 2016-09-30 2017-05-24 歌尔股份有限公司 扬声器模组
JP6824821B2 (ja) * 2017-05-29 2021-02-03 Toa株式会社 スピーカー
US20200099883A1 (en) * 2018-09-21 2020-03-26 Christopher Buck Television frame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9723A (ja) 2005-05-13 2006-11-24 Sanyo Electric Co Ltd 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0137177A1 (ja) 2021-11-18
CN113196796A (zh) 2021-07-30
EP3905711A4 (en) 2022-03-02
WO2020137177A1 (ja) 2020-07-02
US11457298B2 (en) 2022-09-27
EP3905711A1 (en) 2021-11-03
US20220053253A1 (en) 202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4476B2 (en) Display apparatus
US7280665B2 (en) Image display device with built-in loudspeakers
US9942640B2 (en) Sound output apparatus, sound output method and image display apparatus
JP2008167337A (ja) スピーカ装置及びスピーカ付表示装置
JP5626461B2 (ja) 映像表示装置
WO2011052543A1 (ja) スピーカシステム、映像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受像機
WO2020141581A1 (ja) 表示装置及びスピーカー
JP4923657B2 (ja) スピーカ装置およびこのスピーカ装置を用いた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009267577A (ja) 薄型表示装置
US8660290B2 (en) Display device
JP6612344B2 (ja) スピーカシステム、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210110573A (ko) 표시 장치
KR102663477B1 (ko) 표시 장치 및 스피커
US20110141374A1 (en) Backlight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CN113796095A (zh) 扬声器设备、扬声器和结构
JP6409913B2 (ja) 表示装置
JP7108762B2 (ja) スピーカシステム、表示装置、テレビジョン装置
JP7245306B2 (ja) 表示装置、テレビジョン装置
JP5260950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008153780A (ja) 大型平面型映像表示装置
JP2011087146A (ja) スピーカを備えた表示装置
JP2023071038A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020061636A (ja) 表示装置、スピーカ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20190261075A1 (en) Speaker device
WO2015015963A1 (ja) スピーカ装置用スタ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