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9562A - 식(iv) 화합물의 공정 경로와 결정형,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식(iv) 화합물의 공정 경로와 결정형,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9562A
KR20210109562A KR1020217022942A KR20217022942A KR20210109562A KR 20210109562 A KR20210109562 A KR 20210109562A KR 1020217022942 A KR1020217022942 A KR 1020217022942A KR 20217022942 A KR20217022942 A KR 20217022942A KR 20210109562 A KR20210109562 A KR 20210109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formula
crystalline form
solvent
mixed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2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3801B1 (ko
Inventor
지 루오
샤오린 리
야순 양
렐 양
펑 리
하이잉 헤
지안 리
슈후이 첸
Original Assignee
산동 단홍 파머수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동 단홍 파머수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산동 단홍 파머수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09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9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4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4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49/081,2,4-Triazoles; Hydrogenated 1,2,4-tr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961,2,4-Tri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13Crystalline forms, e.g. polymorph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IV) 화합물의 공정 경로와 결정형, 및 이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SSAO관련 질환 치료용 약물을 제조하기 위한 상기 결정형의 용도를 더 개시한다.
Figure pct00021

Description

식(IV) 화합물의 공정 경로와 결정형, 및 이의 제조 방법
본 출원은 다음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CN201811565301.3, 출원일 2018.12.20.
본 발명은 식(IV) 화합물의 공정 경로와 결정형, 및 이의 제조 방법을 개시했다. 또한 SSAO관련 질환 치료용 약물의 제조를 위한 상기 결정형의 용도를 더 포함한다.
인간을 포함하는 대부분의 생물체에 있어서, 두가지 패밀리의 포유류 아민 산화효소는 내인적으로 생성되거나 외래 공급원으로부터 흡수한 다양한 모노(mono)-, 디(di) 및 폴리아민(polyamines)을 대사시킨다. 이들은 대부분의 세포 형태의 미토콘드리아 내에 존재하며 공유 결합으로 결합된 플라빈 아데닌 뉴클레오티드(flavin adenine dinucleotide: FAD)를 보조인자로 하는 모노아민 옥시다아제(MAO-A 및 MAO-B)를 포함한다. 폴리아민 산화효소는 산화하여 탈아미노화하는 스페르민 및 스페르미딘의 다른 FAD-의존성 아민 옥시다아제이다. SSAO/VAP-1은 구리에 의존한 두 번째 패밀리에 속하고 있으며, 산화된 티로신 잔기(tyrosine residue)(TPQ 또는 LTQ로 약칭됨)와 같은 FAD를 제외한 다른 보조인자들을 이용한다. MAO 및 SSAO/VAP-1산화탈아미노기는 도파민, 티라민 및 벤질아민과 같은 모노아민의 일부 공통 기질을 포함한다. SSAO/VAP-1은 또한 내인성 메틸아민(methylamine) 및 아미노아세톤(aminoacetone)을 산화시킨다.
세미카바자이드 민감성 아민 산화효소(semicarbazide-sensitive amine oxidase: SSAO)는1차 아민 산화효소(amine oxidase), 혈장 아민 산화효소 및 벤질아민(benzylamine) 산화효소라고도 하며, 구조적으로 혈관 부착 단백질(vascular adhesion protein-1: VAP-1)과 동일하다. SSAO/VAP-1은 이러한 단백질을 설명하는데 사용된다.
처음에 이들 효소의 일부는 이의 효소 활성을 억제하는 특정 화합물의 능력에 의해 정의되었다. 예를 들면, MAO-A는 클로르질린(clorgyline)에 의해 선택적으로 억제되고, MAO-B는 L-데프레닐(deprenyl)에 의해 선택적으로 억제되지만, 클로르질린이나 L-데프레닐은SSAO/VAP-1의 아민 산화효소 활성을 억제할 수 없다. SSAO/VAP-1은 세미카바자이드 의해 억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세미카바자이드 민감성 아민 산화효소로 명명된다.
SSAO/VAP-1은 체외 효소이며, 매우 짧은 세포질 꼬리, 단일 막관통 도메인 및 상기 아민 산화효소 활성을 위한 활성 중심을 함유하는 큰 고도의 글리코실화 세포외 도메인을 포함한다. SSAO/VAP-1은 또한 일부 동물들의 혈장 내를 순환하는 가용성 형태로 존재한다. 이러한 형태가 막결합한 SSAO/VAP-1의 분리된 생성물임이 이미 입증되었다.
SSAO/VAP-1은 두 가지 생리적 기능을 가진 듯하며, 첫 번째는 상기 아민 산화효소 활성이고, 두 번째는 세포 부착 활성이다. 두 가지 활성은 감염 과정과 연관된다. SSAO/VAP-1은 염증 부위에서 순환되는 감염성 세포의 누출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VAP-1 항체는SSAO/VAP-1 단백질의 부착 부위를 차단함에 의해 감염 과정을 약화시키는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생체 외의 및 생체 내의 녹아웃된 대량의 증거를 제공하였다. 현재 SSAO/VAP-1이 염증의 중요한 세포 매개체인 점은 분명하다.
WO2013163675에서는 화합물 PXS-4728A를 보고했으며, 이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01
본 발명은 식(IV) 화합물의 A결정형을 제공하고, 이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은 9.05±0.2°, 12.34±0.2° 및 22.52±0.2°인 2θ 값에서 특징적 피크를 갖는다.
Figure pct00002
본 발명의 일부 방안에서, 상기 식(IV) 화합물의 A결정형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은 9.05±0.2°, 12.34±0.2°. 16.60±0.2°, 17.17±0.2°, 17.83±0.2°, 20.82±0.2°, 22.52±0.2° 및 26.03±0.2°인 2θ 값에서 특징적 피크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부 방안에서, 상기 식(IV) 화합물의 A결정형의 XRPD 스펙트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부 방안에서, 상기 식(IV) 화합물의 A결정형의 XRPD 스펙트럼 해석 데이터는 표 1에 표시된 바와 같다.
표 1 A 결정형의 XRPD 스펙트럼 해석 데이터
Figure pct00003
본 발명의 일부 방안에서, 상기 식(IV) 화합물의 A 결정형의 시차 주사 열량 곡선은 223.0℃±3.0℃에서 흡열 피크의 피크값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부 방안에서, 상기 식(IV) 화합물의 A 결정형의 DSC 스펙트럼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부 방안에서, 식(IV) 화합물의 A 결정형의 열 중량 분석 곡선은 150.0℃±3℃에서의 질량 손실이 3.78%이다.
본 발명의 일부 방안에서, 상기 식(IV) 화합물의 A결정형의 TGA 스펙트럼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또한, 식(IV) 화합물의 A 결정형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임의의 형태의 식(IV) 화합물을 에스테르계, 에테르계 유기혼합 용매에 넣고 슬러리화하여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슬러리화 온도는 20℃ 내지 40℃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부 방안에서, 상기 에스테르계 용매가 초산에틸에서 선택되고, 에테르계 용매는 메틸 tert-부틸에테르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부 방안에서, 상기 슬러리화 시간은 30시간 내지 60시간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부 방안에서, 상기 식(IV) 화합물 및 유기혼합 용매의 중량-체적비는 1:5 내지 40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은 또한, 식(IV) 화합물의 B 결정형을 제공하고, 이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은 11.27±0.2°, 21.44±0.2° 및 22.32±0.2°인 2θ 값에서 특징적 피크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부 방안에서, 상기 식(IV) 화합물의 B 결정형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은 11.27±0.2°, 12.46±0.2°, 18.44±0.2°, 21.44±0.2°, 22.32±0.2°, 25.51±0.2°, 25.94±0.2° 및 26.49±0.2°인 2θ 값에서 특징적 피크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부 방안에서, 상기 식(IV) 화합물의 B 결정형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은 11.27±0.2°, 12.46±0.2°, 18.44±0.2°, 20.03±0.2°, 21.44±0.2°, 22.32±0.2°, 23.37±0.2°, 24.19±0.2°, 25.51±0.2°, 25.94±0.2°, 26.49±0.2° 및 28.12±0.2°인 2θ 값에서 특징적 피크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부 방안에서, 상기 식(IV) 화합물의 B 결정형의 XRPD 스펙트럼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표 2 B 결정형의 XRPD 스펙트럼의 해석 데이터
Figure pct00004
본 발명의 일부 방안에서, 상기 식(IV) 화합물의 B 결정형의 시차 주사 열량 곡선은 221.9℃±3.0℃에서 흡열 피크의 피크값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부 방안에서, 상기 식(IV) 화합물의 B 결정형의 DSC 스펙트럼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부 방안에서, 식(IV) 화합물의 B 결정형의 열 중량 분석 곡선은 150.0℃±3℃에서의 질량 손실이 1.05%이다.
본 발명의 일부 방안에서, 상기 식(IV) 화합물의 B 결정형의 TGA 스펙트럼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또한, 식(IV) 화합물의 B 결정형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임의의 형태의 식(IV) 화합물을 에스테르계, 에테르계, 알코올계,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n-헵탄, 물, 유기혼합 용매 및 물과 유기혼합 용매에 넣어 슬러리화하여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슬러리화 온도는 40℃ 내지 60℃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부 방안에서, 상기 식(IV) 화합물의 B 결정형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에스테르계 용매는 초산에틸에서 선택되고, 에테르계 용매는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메틸 tert-부틸에테르에서 선택되고, 알코올계 용매는 에탄올에서 선택되고, 유기혼합 용매는 체적비가 95:5인 메틸 tert-부틸에테르와 메탄올의 혼합 용매 및 체적비가 95:5인 메틸 tert-부틸에테르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에서 선택되고, 물과 유기혼합 용매는 체적비가 5:95인 물과 아세톤의 혼합 용매, 체적비가 5:95인 물과 아세토니트릴의 혼합 용매 및 체적비가 5:95인 물과 테트라히드로푸란의 혼합 용매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부 방안에서, 상기 식(IV) 화합물의 B 결정형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슬러리화 시간은 30시간 내지 60시간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부 방안에서, 상기 식(IV) 화합물의 B 결정형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식(IV) 화합물 및 유기혼합 용매의 중량-체적비는 1:5 내지 40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은 또한, SSAO 관련 질환 치료용 약물의 제조를 위한 상기 A 결정형 또는 B 결정형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부 방안에서, 상기 SSAO 관련 질환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이다.
본 발명은 또한, 식(IV)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5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고,
Figure pct00006
여기서,
용매 a는 초산에서 선택되고,
시약 b는 염산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부 방안에서, 상기 식(IV)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용매 a 및 SM1의 체적:질량은 3.0 내지 3.5:1이며, 시약 b 및 SM1의 체적:질량은 3.0 내지 10:1이다.
본 발명의 일부 방안에서, 상기 식(IV)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반응 내부 온도를 75 내지 80℃로 조절한다.
본 발명의 일부 방안에서, 상기 식(IV) 화합물의 제조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하고,
Figure pct00007
본 발명의 일부 방안에서, 상기 식(IV)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시약 c는 피리딘에서 선택되고, 화합물 D의 제조는 염기성 조건에서의 가수분해 반응이며, 시약 d는 브롬화칼륨에서 선택되고, 시약 e는 차아염소산나트륨에서 선택되고, 시약 f는 아세트산은에서 선택된다.
[기술적 효과]
식(IV) 화합물의 A 결정형 및 B 결정형은 모두 우수한 안정성을 갖는다. 식(IV) 화합물 및 식(IV) 화합물의 B 결정형이 체외 테스트에서 인간 재조합 VAP-1/SSAO 효소의 활성에 대한 아주 강한 억제 효과 및 VAP-1/SSAO 세포의 활성에 대한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정의 및 설명]
다른 설명이 없는 한, 본문에서 사용된 하기 용어와 문구는 하기와 같은 의미를 갖는다. 하나의 특정된 용어 또는 문구는 특별이 정의되지 않는 상황에서 확정되지 않거나 명확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아니되며, 통상 적인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문에서 상품 명칭이 나타나면 이는 대응되는 상품 또는 이의 활성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중간체 화합물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숙지하고 있는 다양한 합성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고, 이하 예를 든 구체적인 실시형태, 이와 기타 화학합성 방법으로 결합된 실시형태 및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숙지하고 있는 등가적 대체방안,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의 화학 반응은 적합한 용매에서 완료되고, 상기 용매는 본 발명의 화학적 변화 및 이에 필요한 시약 및 물질에 적합해야 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획득하기 위해, 당업자는 기존의 실시 방식에 기초하여 합성 단계 또는 반응 과정을 변경하거나 또는 선택하는 것이 때로 필요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본 기술분야의 통사의 직식을 가진 자가 숙지하고 있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이의 구조를 확인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화합물의 절대적 배치가 기재되며, 상기 절대적 배치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수단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결정 X선 회절 방법(SXRD)은 배양된 단결정을 Bruker D8 venture 회절기로 회절 강도 테이터를 수집하고, 광원은 CuKα 선이며, 스캐닝 방식은 φ/ω 스캐닝이고, 관련 데이트를 수집한 후, 직접법(helxs97)으로 결정체 구조를 분석하여 이의 절대적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모든 용매는 시판되는 것이며, 추가 정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약어를 사용한다. DCM는 디클로로메탄을 나타내면, DMSO는 디메틸설폭시드를 나타내며, MeOH는 메탄올을 나타내며, MsOH는 메탄술폰산을 나타내며, EtOH는 에탄올을 나타내며, NaOH은 수산화나트륨을 나타내며, TEA는 트리에틸아민을 나타내며, HCl는 염산을 나타내며, Tol는 톨루엔을 나타내며, KOH는 수산화칼륨을 나타내며, TEBAC는 벤질트리에틸암모늄염화물, KBr는 브롬화칼륨을 나타내며, NaHCO3는 탄산수소나트륨을 나타내며, NaClO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을 나타내며, TEMPO는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옥실을 나타내며, Na2S2O3는 티오황산나트륨을 나타내며, AcOH는 초산을 나타내며, NMP은 N-메틸피롤리돈을 나타내며, AgOAc는 아세트산은을 나타내며, 2-MeTHF는 2-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을 나타내며, DAST는 디에틸아미노황트리플루오라이드를 나타내며, TBSCl는 tert-부틸디메틸클로로실란을 나타내며, DMP는 디메틸프탈레이트를 나타내며, NaHMDS는 나트륨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를 나타내며, TBAF는 테트라부틸암모늄플루오라이드를 나타내며, MgEtBr는 에틸브롬화마그네슘을 나타낸다.
화합물은 수공 또는 ChemDraw® 소프트웨어로 명명하고, 시판되는 화합물은 공급 업체 목록 명칭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X선 분말 회절(X-ray powder diffractpmeter, XRPD)방법
기기 모델: Bruker D8 advance X-선 회절계
테스트 방법: XRPD 검출에 약 10 내지 20 mg의 샘플이 사용됨.
상세한 XRPD 매개 변수는 다음과 같다.
X선관:Cu, kα, (λ = 1.54056Å)
X선관 전압:40kV, 광파이프 전류:40mA
발산 슬릿: 0.60mm
탐지기 슬릿: 10.50mm
산란 방지 슬릿: 7.10mm
스캔 범위: 4 내지 40 deg
스텝 폭:0.02 deg
스텝 시간: 0.12초
샘플 트레이 회전속도: 15 rpm
본 발명의 시차 주사 열량 분석(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방법
기기 모델: TA Q2000 시차 주사 열량계
테스트 방법: 샘플(약 1mg)을 DSC 알루미늄 포트에 놓어 측정한다. 50mL/min N2의 조건 하에서, 샘플을 10℃/min의 승온속도로 30℃(실온)에서 300℃ (또는 350℃)까지 가열한다.
본 발명의 열중량 분석(Thermal Gravimetric Analyzer, TGA) 방법
기기 모델:TA Q5000IR 열중량 분석기
테스트 방법:샘플(2 내지 5mg)을 TGA 백금 포트에 넣어 측정한다. 25mL/min N2의 조건 하에서, 샘플을 10℃/min의 승온속도로 실온에서 350℃까지 또는, 질량 손실이 20%로 될 때까지 가열한다.
본 발명의 X선 단결정 회절 방법
기기 모델:Rigaku Oxford Diffraction XtaLAB Synergy-S
측정 방법:실온 조건 하에서, 샘플을 1mL의 염화메틸렌/메탄올(1:1)에 용해하였다. 샘플 용액을 4 mL의 반 밀봉 샘플병에 넣고, 실온에서 천천히 휘발시켰다. 다음날 무색 덩어리 형태의 결정체를 얻었다. 회절 실험 온도는 T = 99.99(11) K이다.
기기의 매개 변수:
Rigaku Oxford Diffraction XtaLAB Synergy four-circle diffractometer equipped with a HyPix-6000HE area detector.
Cryogenic system: Oxford Cryostream 800
Cu: λ=1.54184 Å, 50W, Micro focus source with multilayer mirror (μ-CMF).
Distance from the crystal to the CCD detector: d = 35 mm
Tube Voltage: 50 kV
Tube Current: 1 mA
도 1은 식(IV) 화합물의 A 결정형의 Cu-Kα선의 XRPD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2는 식(IV) 화합물의 A 결정형의 DSC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3은 식(IV) 화합물의 A 결정형의 TGA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4는 식(IV) 화합물의 B 결정형의 Cu-Kα선의 XRPD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5는 식(IV) 화합물의 B 결정형의 DSC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6은 식(IV) 화합물의 B 결정형의 TGA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7은 식(IV) 화합물의 입체 구조 타원체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내용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 설명하지만, 구체적인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내용에 대한 제한이 아니다.
실시예 1: 식(IV) 화합물의 제조
Figure pct00008
단계 1:
깨끗하고 건조한 50L의 삼구 플라스크(Three-mouth bottle)에 MeOH (2.5L)을 넣어 교반을 시작한 후 SMA(572g, 4.80mol)를 넣었다. 빙욕에서 반응계 온도를 0 내지 30℃로 조절하고, 반응계에 염화아세틸(2.26kg, 28.81mol, 2.06L)을 천천히 적가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방열이 심하여, 적가의 속도 조절에 주의하였다. 적가는 3시간 동안 적가하였으며, 첨가 완료 후, 빙욕을 제거하고, 반응계 온도를 20 내지 30℃로 조절하여 16시간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교반을 중지시키고, 반응액을 테이블 흡인여과기로 옮겨 증발 여과시키며, 1L의 MeOH로 한번 세척하여 여과 케이크를 수집하였다. 케이크를 증발시킨 후, 깨끗한 접시로 옮겨 실온에서 24시간을 넘게 방치하였다. 수집하여 화합물 A를 얻었다.
1H NMR (399 MHz, DMSO-d6) δ 11.18 (br s, 1H), 10.59 - 10.53 (m, 1H), 8.08 - 7.97 (m, 2H), 7.04 - 6.96 (m, 2H), 4.24 (s, 3H).
단계 2:
화합물 A (500g, 2.66mol의 HCl)를 DCM (3L)에 용해하였다. TEA (404.49g, 4.00mol, 556.39mL)를 넣어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상기 반응계에 피리딘(421.59g, 5.33mol, 430.19mL)을 넣었다. 반응계 온도를 10 내지 30℃로 조절하여 SMB (612.87g, 5.86mol, 532.93mL)를 천천히 적가하였다. 반응은 2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5L의 물을 넣고, 이어서 0.5M HCl(1.4L)을 넣어 반응계 pH를 5 내지 6으로 조절하고, 수층을 1.5L의 DCM으로 한번 추출하고, 유기층을 합치며, 4L의 물을 넣어 세척하고, 분층 유기층을 3L의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여 분층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하여 조제품을 얻었다. 조제품에 2200mL(n-헵탄: 초산에틸=10:1)를 넣고 25℃에서 4시간 동안을 슬러리화하고 여과하여 화합물 B를 얻었다.
1H NMR (400 MHz,CDCl3) δ 7.77 - 7.69 (m, 2H), 7.19 - 7.12 (m, 2H), 3.89 (s, 3H), 1.89 - 1.80 (m, 1H), 1.72 - 1.62 (m, 1H), 1.21 - 1.14 (m, 2H), 1.10 - 1.01 (m, 4H), 0.89 (qd, J = 3.7, 7.7 Hz, 2H).
단계 3:
건조한 삼구 플라스크(Three-mouth bottle)에 SMC(230.94g, 2.09mol) 및 톨루엔(3000mL)을 넣었다. 이어서 TEA(211.32g, 2.09mol, 290.67mL, 1 eq)를 넣고 교반을 시작하였으며 외부 온도를 80℃ 내지 90℃로 승온시키고, 내부 온도를 72℃로 유지시켰다. 배치로 나누어 화합물 B(600g, 2.09mol)를 넣고 (반 정도를 넣었을 때, 78℃로 승온), 원료를 추가하는 과정에서 온도를 70 내지 80℃로 조절하였다. 첨가 후에 내부 온도를 74℃로 유지시키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2L의 물을 넣고 분층하였다. 수층을 초산에틸(1L*2)로 추출하고 유기층과 합쳤다.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2L*2)로 세척하고 분층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하여 조제품을 얻었다. 조제품에 2L의 (n-헵탄: 초산에틸=10:1)을 넣고 25℃에서 2시간 동안을 슬러리화하였다. 화합물 C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7.93 (d, J = 8.6 Hz, 2H), 7.17 (d, J = 8.8 Hz, 2H), 4.90 - 4.77 (m, 1H), 2.22 - 2.12 (m, 1H), 1.95 - 1.83 (m, 1H), 1.46 (d, J = 6.6 Hz, 6H), 1.04 (dtd, J = 3.0, 5.0, 9.8 Hz, 6H), 1.00 - 0.96 (m, 2H).
단계 4:
배치로 나누어 건조한 50L의 고저온 순환 욕에 EtOH(10L)을 넣고, 반응기에 화합물 C(3.3kg, 10.6mol)를 넣고, 교반을 시작하였다. 내부 온도를 0 내지 40℃로 조절하고 NaOH(0.860kg, 21.5mol) 및 물(10L)의 혼합 용액을 넣었다. 원료를 첨가하는 과정에서 온도가 올라갔지만 심하지 않았다. 첨가 완료 후, 25 내지 35℃에서 17 내지 18시간 동안 교반 반응하였다. 반응액 온도를 조절하고, 반응액에 12N의 HCl을 넣어 pH=3 내지 4로 조절하였으며, 고체가 석출되었다. 반응액을 테이블 여과기로 옮겨 여과하고 케이크를 수집하여 조제품을 얻었다. 5그룹의 배치를 합하여 조제품 20kg을 얻었으며, 2배 체적의 아세토니트릴로 25℃에서 1시간 동안 슬러리화하고 정제하여, 혼합액을 테이블 여과기로 여과하고 여과 케이크를 아세토니트릴로 세척하여, 케이크를 수집하였다. 깨끗한 접시로 옮기고 자연에서 24시간을 넘게 건조시켜 화합물 D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9.60 (s, 1H), 7.73 (d, J = 8.7 Hz, 2H), 6.78 (d, J = 8.5 Hz, 2H), 4.81 (quin, J = 6.6 Hz, 1H), 2.20 - 2.09 (m, 1H), 1.44 (d, J = 6.5 Hz, 6H), 1.09 - 1.00 (m, 2H), 0.98 - 0.92 (m, 2H).
단계 5:
건조한 50L의 고저온 순환 욕에 에폭시클로로프로판(6.600kg)을 넣었다. 이어서 DMSO(6L)를 넣어 교반을 시작하였으며, 확합물 D(3.200kg)를 넣고 DMSO(3L)로 잔여 원료를 세척하였다. 내부 온도를 (20 내지 30)°C로 조절하고 KOH(0.889kg)를 넣었으며, 온도가 조금 올라갔지만 뚜렷하지는 않았다. 첨가 완료 후, 내부 온도를 (27 내지 30)℃로 유지하고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방출하고, 반응기에 8L의 물을 넣어 교반을 시작하였으며, 온도를 0 내지 30℃로 조절하고, 반은액을 연동 펌프를 통해 반응기로 천천히 옮겼다. 이어서 8L의 메틸 tert-부틸에테르를 넣고, 15분 동안 교반하고, 15분 동안 정치하여, 분층시키고 유기층을 수집하고, 수층을 다시 추출하여 유기층을 수집하였다. 두 번 추출한 유기층을 합쳤다. 교반하에 유기층에 1kg의 무수 황산 나트륨을 넣어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시켜 수욕의 온도를 45℃ 미만으로 조절하고, 회전증발 진공 상대압력을 -0.08MPa 미만으로 조절하여 농축하였다. 오일펌프로 한층 더 감압 농축시키고 수욕의 온도를 70℃ 미만으로 조절하였으며, 회전증발 진공 상대압력을 -0.08MPa미만으로 조절하여 농축하여, 이론적 양의 105%가 되게 하였으며, 농축액은 다음의 반응에서 직접 사용되었다. 화합물 E를 얻었다.
1H NMR (399 MHz, DMSO-d6) δ 7.88 - 7.80 (m, 2H), 6.99 (d, J = 8.8 Hz, 2H), 4.83 (quin, J = 6.6 Hz, 1H), 4.35 (dd, J = 2.6, 11.4 Hz, 1H), 3.85 (dd, J = 6.4, 11.2 Hz, 1H), 3.36 - 3.34 (m, 1H), 2.85 (t, J = 4.6 Hz, 1H), 2.72 (dd, J = 2.6, 4.8 Hz, 1H), 2.23 - 2.07 (m, 1H), 1.45 (d, J = 6.6 Hz, 6H), 1.07 - 1.00 (m, 2H), 0.99 - 0.94 (m, 2H).
단계 6:
화합물E(3.86kg)를 이소프로판올(15L)에 용해하고, 혼합 용액을 건조한 50L의 고저온 순환 욕에서 교반을 시작하였다. TEBAC (0.592kg)를 넣고, 이어서 SME (2.295kg)를 넣었으며, 최종적으로 5L의 이소프로판올을 넣고, 반응기의 벽을 세척하였다. 온도를 80 내지 90℃로 조절하여, 2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계에 15L의 n-헵탄을 넣고 교반 속도를 낮추고, 온도를 천천히 내려, 온도를 20 내지 25℃로 조절하여, 1시간 동안 교반시켜 고체를 석출하였다. 연동 펌프로 반응액을 테이블 여과기로 옮기고 흡인 여과하고, 여과 케이크를 5L의 n-헵탄으로 세척하였다. 여과 케이크를 수집하여 깨끗한 접시로 옮기며, 자연적으로 24시간 넘게 건조시켰다. 화합물 F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7.90 - 7.83 (m, 4H), 7.81 (d, J = 8.8 Hz, 2H), 6.90 (d, J = 8.9 Hz, 2H), 5.40 (d, J = 5.5 Hz, 1H), 4.88 - 4.75 (m, 1H), 4.25 - 4.11 (m, 1H), 3.99 (br s, 2H), 3.73 (s, 2H), 2.22 - 2.07 (m, 1H), 1.45 (d, J = 6.7 Hz, 6H), 1.07 - 1.00 (m, 2H), 0.96 (br s, 2H).
단계 7:
화합물 F(3.01kg)를 DCM(15L)에 용해하고, 혼합 용액을 건조한 고저온 순환 욕에 넣어 교반을 시작하였다. KBr(0.97kg)을 넣은 후 NaHCO3(2.83kg) 및 H2O (100mL)의 혼합 용액을 넣었으며, 다음 TEMPO(54.00g)를 넣었다. 내부 온도를 0 내지 5℃ 사이로 조절하여 NaClO(16.4kg, 6%질량 함량)를 적가하였다. 반응계의 온도를 20 내지 25℃ 이하로 조절하여,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지시켜 15분 동안 정치하고, 분층하여 유기층을 수집하였으며, 포화 Na2S2O3(aq)을 넣어 세척(15L)하였으며, 5분 동안 교반하고, 15분 동안 정치하여 분층시켰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하며 감압 농축하고, 수욕의 온도를 45℃ 미만으로 조절하며, 회전증발 진공 상대압력을 -0.08MPa미만으로 조절하여, 고체가 석출될 때까지 농축하였다. 5L의 초산에틸을 넣고 50L의 구형 반응기로 옮기고 나서, 10L의 n-헵탄을 넣고 16시간 동안 슬러리화하였다. 여과하고 여과 케이크를 수집하여 깨끗한 접시로 옮겨, 자연적으로 24시간 넘게 건조하였다. 화합물 G를 얻었다.
1H NMR (399 MHz, DMSO-d6) δ 7.95 - 7.87 (m, 4H), 7.84 (d, J = 8.8 Hz, 2H), 7.00 (d, J = 8.8 Hz, 2H), 5.13 (s, 2H), 4.90 - 4.80 (m, 1H), 4.78 (s, 2H), 2.22 - 2.12 (m, 1H), 1.46 (d, J = 6.6 Hz, 6H), 1.08 - 1.01 (m, 2H), 1.00 - 0.93 (m, 2H).
단계 8:
0℃에서, SMF(46.31g, 191.23mmol, 38.92mL)의 2-MeTHF (200mL) 용액에 MgEtBr(3M, 63.74mL)를 넣고, 수득된 혼합물을 0 내지 10℃에서 20분 동안에 반응시킨 후, 화합물 G(50g, 112.49mmol)를 넣고, 첨가 완료 후, 반응액의 온도를 40℃까지 올려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에 포화 레몬산 용액(200mL)을 넣고, 10분 동안 교반하켜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유기층을 1M NaOH의 수용액으로 세척(200mL)하고, 10분 동안 교반하여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유기층을 스핀 건조시켜, 100mL의 메틸 tert-부틸에테르: 이소프로판올=1:1(2V)로 25℃에서 16시간 동안 슬러리화하고, 여과하여 케이크를 수집하였다(유기층을 직접 스핀 건조시켜 제품이 덩어리로 될 경우, 소량의 이소프로판올로 2-MeTH를 대체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음). SM1을 얻었다.
1H NMR (399 MHz, DMSO-d6) δ 7.87 - 7.79 (m, 4H), 7.73 (d, J = 8.8 Hz, 2H), 6.73 (d, J = 9.2 Hz, 2H), 4.98 (d, J = 0.9 Hz, 2H), 4.87 - 4.77 (m, 1H), 4.58 (d, J = 2.6 Hz, 2H), 4.26 (q, J = 7.0 Hz, 2H), 2.20 - 2.11 (m, 1H), 1.44 (d, J = 6.6 Hz, 6H), 1.22 (t, J = 7.0 Hz, 3H), 1.07 - 1.00 (m, 2H), 0.98 - 0.92 (m, 2H).
단계 9:
20 내지 25℃에서, AcOH (8L)를 건조하고 깨끗한 50L의 재킷 반응기에 넣고, 교반 하에 SM1 (2450g, 4.60mol)을 넣었으며, 반응계는 현탁계로 되었다. 상기 반응계에 제조된 6M HCl (8L) 용액을 넣어, 90 내지 95℃로 온도를 올려(내부 온도를 75 내지 80℃로 조절함), 상기 혼합액을 90 내지 95℃에서 1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세 목 플라스크를 0℃의 빙수욕으로 옮겨 내부 온도를 0 내지 10℃로 내렸다. 반응계를 테이블 여과기로 옮겨 흡인 여과하여, 여과 케이크를 얻어, 물(2L)로 케이크를 두 번 세척하였으며, 여과액이 없을 때까지 계속 흡인 여과하였다. 두번째로 상기 세 목 플라스크에 AcOH (12L)를 넣고, 교반을 시작한 후, 여과 케이크 및 제조된 6M HCl (12L) 용액을 넣고, 90 내지 95℃로 온도를 올려(내부 온도를 75 내지 80℃로 조절), 상기 혼합액을 90 내지 95℃에서 48시간 동안 반응시켜, 샘플을 취하고, SM1의 잔여량이 2.0%미만일 경우 반응을 중지시켰다. 반응액을 0 내지 10℃로 냉각시키고, 여과하고, 여과 케이크를 5L의 물로 두 번 세척하여 조제품을 얻었다. 조제품을 아세토니트릴(8L)에 넣고, 50내지 55℃로 온도를 올려,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식기 전에 여과하고 케이크를 수집하였으며, 케이크를 25 내지 30℃의 환기 후드에서 24시간 동안 건조시켜 화합물 1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7.86 - 7.80 (m, 4H), 7.80 - 7.75 (m, 2H), 6.76 (d, J = 8.8 Hz, 2H), 5.02 (s, 2H), 4.92 - 4.82 (m, 2H), 4.56 (d, J = 2.4 Hz, 2H), 2.28 - 2.15 (m, 1H), 1.45 (d, J = 6.5 Hz, 5H), 1.12 - 1.04 (m, 4H).
단계 10:
20 내지 25℃에서, NMP(1.34L)를 5L의 삼구 플라스크에 넣고, 교반 하에 화합물 1(1.34kg, 2.66mol)을 넣었으며, 반응계는 현탁계로 되었으며, 반응계의 온도를 135 내지 140℃(내부 온도를 120 내지 125℃로 조절)로 가열하였다. 상기 혼합액에 AgOAc(433.98g, 2.66mol)을 넣고, 수득 된 혼합물을 135 내지 140℃(내부 온도를 120 내지 125℃ 사이로 조절)로 유지시켜 1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추가로 0.2 eq AgOAc (88.80g, 0.48mol)을 넣고, 계속하여 135 내지 140℃(내부 온도를 120 내지 125℃ 사이로 조절)로 유지시켜 반응을 중지하였다. 반응액을 20 내지 25℃로 냉각시키고, 반응액에 초산에틸(6.85L)을 넣어 희석하고, 활성탄(543g) 및 규조토(543g)를 넣어, 20분 동안 교반 반응시킨 후 실리카겔(543g)을 받쳐 여과하고, 초산에틸(6.85L)로 여과 케이크를 세 번 세척하였다. 여과액을 10%의 티오황산나트륨 용액(6.85L)으로 두 번 세척하고, 0.5M의 수산화나트륨 용액(6.85L)으로 한 번 세척하며, 물(6.85L)로 두 번 세척하고, 유기층을 감압하에 스핀 건조하여 조제품을 얻었다. 20 내지 25℃에서, 초산에틸(2.64L), n-헵탄(13.2L)을 25L의 원형 드럼에 넣은 후, 조제품(2.64 kg, 5.73mol)을 넣고, 20 내지 25℃에서 슬러리화하며 16시간 동안 교반하여, 여과하고 케이크를 수집하여 화합물 2를 얻었다.
1H NMR (399 MHz, DMSO-d6) δ 7.91 - 7.79 (m, 4H), 7.70 (d, J = 8.8 Hz, 2H), 7.38 - 7.08 (m, 1H), 6.73 - 6.65 (m, 2H), 4.82 (quin, J = 6.6 Hz, 1H), 4.49 - 4.38 (m, 4H), 2.21 - 2.09 (m, 1H), 1.44 (d, J = 6.6 Hz, 6H), 1.06 - 1.00 (m, 2H), 0.97 - 0.91 (m, 2H).
단계 11:
20 내지 25℃에서 2-MeTHF 용액(6L)을 50L의 고저온 재킷 반응기에 넣고, 교반하에 화합물2(2kg, 4.343mol)를 넣고, 반응계가 투명하게 되면, 반응계에 물(3L) 및 에탄올아민(2.652kg, 43.43mol)을 넣고, 온도를 75 내지 80℃(내부 온도를 65 내지 70℃ 사이로 조절)로 승온시키고, 상기 혼합액을 75 내지 80℃(내부 온도를 65 내지 70℃ 사이로 조절)에서 1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20 내지 25℃로 냉각시키고, 분층하였으며, 유기층을 수집하고, 수층을 2-MeTHF 용액(6L)으로 한번 추출하고, 유기층을 합쳐 감압하에 스핀 건조하였다. 조제품을 3N의 염산(6L)으로 투명하게 하고, 수용액을 메틸 tert-부틸에테르(6L)로 한번 추출하고, 초산에틸(6L)로 두 번 추출하였다. 1M의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수용액의 pH를 10을 초과하게 조절하고, 메틸 tert-부틸에테르(6L)로 두 번 추출하여, 유기층을 합쳐, 유기층 중의 용해되지 않은 부분을 여과하고, 유기층을 감압하에 스핀 건조하였다. 유기층을 2-MeTHF 용액(6L)으로 투명하게 하고, 0.5M의 수산화나트륨 용액(6L)으로 한번 세척하고, 물(6L)로 두 번 세척하며, 유기층을 수집하고, 유기층을 감압하에 스핀 건조하였다. 조제품을 5L의 단구 플라스크에 넣은 후, 초산에틸(2.86L), 이소프로판올(2.86L)을 넣고, 외부 온도를 70 내지 75℃로 조절하고, 10분 동안 교반 용해시키고, 식기 전에 여과하고, 용해되지 않은 부분을 제거하고 여과액을 수집하였다. 70 내지 75℃에서 여과액에 초산에틸(1.43L), 이소프로판올(1.43L)을 넣고, 염산 이소프로판올 용액(1.086L)을 적가하고, 적가 완료 후, 온도를 50 내지 55℃로 내리고, 50 내지 55℃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을 중지시키고, 반응액을 20 내지 25℃로 냉각시켜, 여과하고, 여과 케이크를 초산에틸(1.43L)로 두 번 세척하여, 조제품을 얻었다. 20 내지 25℃에서 고체, 초산에틸(4.29L)을 3L의 삼구 플라스크에 넣고, 20 내지 2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여과하고 고체를 얻었다. 20 내지 25℃에서 고체, 초산에틸(2.15L) 및 메탄올(2.15L)을 3L의 삼구 플라스크에 넣고, 20에서 2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여과하여 식(IV)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46 (br s, 3H), 8.00 (d, J = 8.8 Hz, 2H), 7.47 - 7.19 (m, 1H), 7.10 (d, J = 8.9 Hz, 2H), 4.92 (td, J = 6.6, 13.1 Hz, 1H), 4.71 (d, J = 3.1 Hz, 2H), 3.59 (br d, J = 4.6 Hz, 2H), 2.36 - 2.26 (m, 1H), 1.47 (d, J = 6.5 Hz, 5H), 1.22 (br d, J = 2.6 Hz, 2H), 1.17 - 1.09 (m, 2H).
실시예 2: 식(IV) 화합물의 단결정 X선 회절 테스트 분석
단결정의 배양 과정: 시료를 실온 조건하에 1ml의 디클로로메탄/메탄올(1:1)에서 용해시켰다. 시료 용액을 4ml의 반밀봉 시료 병에 넣고, 실온에서 천천히 휘발시켰다. 다음날 무색 덩어리 결정형을 얻었다. 식(IV) 화합물의 입체 구조 타원체는 도 7에 나타냈다. 식(I) 화합물의 결정형 구조 테이터 및 매개 변수는 표 3, 4, 5, 6 및 7에 나타냈다.
표 3. 식(IV) 화합물의 결정형 테이터
Figure pct00009
표 4. 식(IV) 화합물의 결정형의 원자 좌표(×104)와 등가 각향 동성 전위의 매개 변수(Å2×103)
Figure pct00010
표 5. 식(IV) 화합물의 결합 길이(Å)
Figure pct00011
표 6. 식(IV) 화합물의 결합각(°)
Figure pct00012
표 7. 식(IV) 화합물의 회전 각도(°)
Figure pct00013
실시예 3: 식(IV) 화합물의 A 결정형의 제조
식(IV) 화합물(50mg)을 초산에틸(1mL)에 넣고, 40℃에서 48시간 동안 슬러리화하고, 온도를 20 내지 25℃로 내린 후 여과하고, 고체를 수집하며, 40℃에서 48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여, 식(IV) 화합물 A 결정형을 얻었다.
실시예 4: 식(IV) 화합물의 B 결정형의 제조
식(IV) 화합물(50mg)을 메틸 tert-부틸에테르(1mL)에 넣고, 50℃에서 48시간 동안 슬러리화하고, 온도를 20 내지 25℃로 내린 후 여과하고, 고체를 수집하며, 40℃에서 48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여, 식(IV) 화합물 B 결정형을 얻었다.
실시예 5: 식(IV) 화합물의 B 결정형의 안정성 연구
전자저울로 식(IV) 화합물의 B결정형의 각각 60mg의 시료(하나의 안정성 테스트 조건 당 3개의 시료를 칭량함)를 정확하게 칭량하여, 각각 건조하고 깨끗한 5mL의 비커에 넣고, 얇은 층으로 도포하였다. 알루미늄 호일에 작은 구멍을 뚫어, 비커 위에 덮고, 고무줄로 고정시켰다. 비커를 각 안정성 조건 환경에서, 테스트 시점을 기다려 샘플링하여 분석하였다. 시료에 대해 각각 60℃(5일, 10일), 25℃/92.5% RH(5일, 10일), 40℃/75% RH(1개월, 2개월, 3개월), 0℃/75% RH(1개월, 2개월) 및 광조사(10일) 등 조건에서 안정성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X선 분말 회절(XRPD)로 각 조건 하의 고체를 특징지었다.
표 8. 식(IV) 화합물의 B 결정형의 고체 안정성 테스트 결과
Figure pct00014
결론: 식(IV) 화합물의 B결정형은 고온, 고습, 강한 광조사 조건에서 양호한 안정성을 갖는다.
실험예 1: 체외평가
인간VAP-1 효소 활성 측정시험:
Amplex ® Red Monoamine Oxidase 시약 킷트(Invitrogen#A12214)를 이용하여 VAP-1 효소 활성에 시료의 억제 작용을 측정하였다. 384웰 플레이트에 100nL의 구배로 희석된 시험 화합물(용제는 DMSO임)을 넣고, 25μL 10nM VAP-1 효소 용액을 넣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배양하였다. VAP-1 효소의 기질 혼합물 (200μM Amplex Red, 1U/mL HRP, 1mM Benzylamine)을 넣고, 실온에서 60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에 효소 플레이트 리더기Envision로 형광 신호(여기 광 파장 530 내지 560nm, 발사 광 파장 590nm)를 리딩하였다. Prism소프트웨로 배경 신호를 제거한 후의 형광 신호 값을 분석하여, VAP-1 효소에 대한 시료의 IC50을 계산하였다.
표 9. 식(IV) 화합물의 체외 선별 시험 결과
Figure pct00015
결론: 식(IV) 화합물 및 식(IV) 화합물의 B 결정형은 체외 시험에서 인간 재조합 VAP-1/SSAO 효소 활성에 대해 강한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테스트 예2: VAP-1 세포 활성의 측정 시험
Amplex ® Red Monoamine Oxidase 시약 케이스(Invitrogen#A12214)를 이용하여 VAP-1 효소 활성에 대한 시료의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세포 준비
배양한 HUVEC 또는 CHO 세포를 0.8M/웰의 밀도로 6웰 플레이트에 펴고, 37℃, 5% CO2의 배양기에서 넣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Lipo2000 시약 및 VAP-1/pCDNA (3.1) 플라스미드로 세포에 형질주입하였다. 5시간 후에 세포의 액을 바꾸고(Lipo2000가 세포에 대해 독성이 있음), 24시간 후에 세포를 소화시켜 25μl, 10000 cells/웰의 밀도로 384웰 플레이트에서 도포하고, 6 내지 7시간 후에 FBS가 포함되지 않은 배지를 이용해 세포의 액을 바꾸고 세포 플레이트를 37℃, 5% CO2의 배양기에서 넣어 밤새 배양하였다.
화합물 반 억제 농도의 측정
1) 화합물의 희석: 100% DMSO를 이용해 4배의 구배로 연속 희석하여, 10개의 포인트로 하였으며, 시험 화합물의 개시 농도가 0.5mM이었다(최종 농도가 1μM임). ECHO로 100nl의 화합물 용액을 384웰의 세포 측정 플레이트에 옮겼다. 음성 대조웰: 100nl의 DMSO, 배경 대조웰: 100nl DMSO + 25μl의 배지.
2) 실온에서 광 차단하에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3) Amplex Red 시약 + HRP + 벤질아민 기질 작업액의 제조: Amplex Red 시약 + HRP + 벤질아민 기질 작업액(200μM Amplex Red 시약 + 1 U/mL HRP + 1mM 벤질아민): 45μl의 20mM Amplex Red 시약 모액, 22.5μl의 200U/ml 겨자무과산화효소(HRP) 모액 및 45μL의 100mM 벤질아민을 취해 4.3875ml의 1× 반응 완충 용액에 추가하였다.
4) 30분 후에, 25μL의 기질 작업액을 취해, 384웰 플레이트에서 추가하였으며, 최종 농도는 100μM Amplex Red 시약 + 0.5 U/mL HRP + 0.5mM 벤질아민이었다.
5) 실온에서 광 차단하에 60분 동안 반응시키고, Envision으로 형광값을 측정하였다: 여기 광 파장은 535nm이고, 발사 광 파장은 590nm이었다.
6) 억제율의 계산 공식: %억제율=(1-(배경 시험 웰 제거-배경의 양성 대조 웰 제거)/(배경의 음성 대조 웰 제거-배경의 양성 대조 웰 제거))*100
7) Prism으로 테이터를 분석하고, VAP-1 세포에 대한 시료의 IC50을 계산하였다.
표 10. 본 발명 화합물의 체외 선별 테스트 결과
Figure pct00016
결론: 식(IV) 화합물 및 식(IV) 화합물의 B 결정형은 체외 시험에서 VAP-1/SSAO 세포의 활성에 대해 아주 강한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Claims (30)

  1.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이 9.05±0.2°, 12.34±0.2° 및 22.52±0.2°인 2θ 값에서 특징적 피크를 갖는 식(IV) 화합물의 A 결정형.
    Figure pct00017
  2. 제1항에 있어서,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이 9.05±0.2°, 12.34±0.2°, 16.60±0.2°, 17.17±0.2°, 17.83±0.2°, 20.82±0.2°, 22.52±0.2° 및 26.03±0.2°인 2θ 값에서 특징적 피크를 갖는 식(IV) 화합물의 A 결정형.
  3. 제2항에 있어서,
    XRPD 스펙트럼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식(IV) 화합물의 A 결정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차 주사 열량 곡선이 223.0℃±3.0℃에서 흡열 피크의 피크값을 갖는 식(IV) 화합물의 A 결정형.
  5. 제4항에 있어서,
    DSC 스펙트럼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식(IV) 화합물의 A 결정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 중량 분석 곡선이 150.0℃±3℃에서의 질량 손실이 3.78%인 식(IV) 화합물의 A 결정형.
  7. 제6항에 있어서,
    TGA 스펙트럼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식(IV) 화합물의 A 결정형.
  8. 임의의 형태의 식(IV) 화합물을 에스테르계, 에테르계 용매에 넣어 슬러리화하여 제조하여 얻는 단계를 포함하되, 슬러리화 온도가 20℃ 내지 40℃에서 선택되는 식(IV) 화합물의 A 결정형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계 용매가 초산에틸에서 선택되고, 에테르계 용매가 메틸 tert-부틸에테르에서 선택되는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슬러리화 시간이 30시간 내지 60시간에서 선택되는 제조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식(IV) 화합물과 유기혼합 용매의 중량비가 1:5 내지 40에서 선택되는 제조방법.
  12.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이 11.27±0.2°, 21.44±0.2° 및 22.32±0.2°인 2θ 값에서 특징적 피크를 갖는 식(IV) 화합물의 B 결정형.
  13. 제12항에 있어서,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이 11.27±0.2°, 12.46±0.2°, 18.44±0.2°, 21.44±0.2°, 22.32±0.2°, 25.51±0.2°, 25.94±0.2° 및 26.49±0.2°인 2θ 값에서 특징적 피크를 갖는 식(IV) 화합물의 B 결정형.
  14. 제13항에 있어서,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이 11.27±0.2°, 12.46±0.2°, 18.44±0.2°, 20.03±0.2°, 21.44±0.2°, 22.32±0.2°, 23.37±0.2°, 24.19±0.2°, 25.51±0.2°, 25.94±0.2°, 26.49±0.2° 및 28.12±0.2°인 2θ 값에서 특징적 피크를 갖는 식(IV) 화합물의 B 결정형.
  15. 제14항에 있어서,
    XRPD 스펙트럼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식(IV) 화합물의 B 결정형.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차 주사 열량 곡선이 221.9℃±3.0℃에서 흡열 피크의 피크값을 갖는 식(IV) 화합물의 B 결정형.
  17. 제16항에 있어서,
    DSC 스펙트럼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식(IV) 화합물의 B 결정형.
  18.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 중량 분석 곡선이 150.0℃±3℃에서의 질량 손실이 1.05%인 식(IV) 화합물의 B 결정형.
  19. 제18항에 있어서,
    TGA 스펙트럼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식(IV) 화합물의 B 결정형.
  20. 임의의 형태의 식(IV) 화합물을 에스테르계, 에테르계, 알코올계,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n-헵탄, 물, 유기혼합용매 및 물과 유기혼합 용매에 넣어 슬러리화하여 제조하여 얻는 단계를 포함하되, 슬러리화 온도가 40℃ 내지 60℃에서 선택되는 식(IV) 화합물의 B 결정형의 제조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계 용매는 초산에틸에서 선택되고, 에테르계 용매가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메틸 tert-부틸에테르에서 선택되고, 알코올계 용매가 에탄올에서 선택되고, 유기혼합 용매는 체적비가 95:5인 메틸 tert-부틸에테르와 메탄올의 혼합 용매 및 체적비가 95:5인 메틸 tert-부틸에테르와 에탄올의 혼합 용매에서 선택되고, 물과 유기혼합 용매는 체적비가5:95인 물과 아세톤의 혼합 용매, 체적비가 5:95인 물과 아세토니트릴의 혼합 용매 및 체적비가 5:95인 물과 테트라히드로푸란의 혼합 용매에서 선택되는 식(IV) 화합물의 B 결정형의 제조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슬러리화 시간이 30시간 내지 60시간에서 선택되는 식(IV) 화합물의 B 결정형의 제조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식(IV) 화합물 및 유기혼합 용매의 중량-체적비가 1:5 내지 40에서 선택되는 식(IV) 화합물의 B 결정형의 제조방법.
  24. SSAO 관련 질환 치료용 약물의 제조를 위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A 결정형 또는 제12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B 결정형의 용도.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SSAO 관련 질환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인 용도.
  26. 식(IV) 화합물의 제조방법으로서,
    Figure pct00018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
    Figure pct00019

    여기서,
    용매 a는 초산에서 선택되고,
    시약 b는 염산에서 선택된다.
  27. 제26항에 있어서,
    용매 a 및 SM1의 체적:질량은 3.0 내지 3.5:1이며, 시약 b 및 SM1의 체적:질량은 3.0 내지 10:1인 식(IV) 화합물의 제조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반응 내부 온도를 75 내지 80℃로 조절하는 식(IV) 화합물의 제조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식(IV) 화합물의 제조 방법:
    Figure pct00020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시약 c는 피리딘에서 선택되고, 화합물 D의 제조는 염기성 조건에서의 가수분해 반응이며, 시약 d는 브롬화칼륨에서 선택되고, 시약 e는 차아염소산나트륨에서 선택되고, 시약 f는 아세트산은에서 선택되는 식(IV) 화합물의 제조방법.
KR1020217022942A 2018-12-20 2019-12-20 식(iv) 화합물의 공정 경로와 결정형,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838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1565301.3 2018-12-20
CN201811565301 2018-12-20
PCT/CN2019/127155 WO2020125776A1 (zh) 2018-12-20 2019-12-20 式(iv)化合物的工艺路线、晶型及其制备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562A true KR20210109562A (ko) 2021-09-06
KR102583801B1 KR102583801B1 (ko) 2023-09-26

Family

ID=71102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2942A KR102583801B1 (ko) 2018-12-20 2019-12-20 식(iv) 화합물의 공정 경로와 결정형,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024880A1 (ko)
EP (1) EP3901143B1 (ko)
JP (1) JP7245911B2 (ko)
KR (1) KR102583801B1 (ko)
CN (1) CN112823154A (ko)
AU (1) AU2019408509B2 (ko)
WO (1) WO20201257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80073B (zh) * 2020-12-02 2022-03-22 武汉药明康德新药开发有限公司 1-烷基-3,5-芳基取代的1,2,4三氮唑化合物的合成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3633A1 (zh) * 2017-06-20 2018-12-27 南京明德新药研发股份有限公司 Ssao 抑制剂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93548A1 (en) * 2006-03-31 2007-12-20 Wang Eric Y Inhibitors of semicarbazide-sensitive amine oxidase (SSAO) and VAP-1 mediated adhesion useful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diseases
SG10201707020TA (en) 2012-05-02 2017-10-30 Boehringer Ingelheim Int Substituted 3-haloallylamine inhibitors of ssao and uses thereof
BR112019017309B1 (pt) * 2017-03-01 2022-11-29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Método para a síntese de uma halo-olefina
WO2018196677A1 (zh) * 2017-04-28 2018-11-01 四川科伦博泰生物医药股份有限公司 氟代烯丙胺衍生物及其用途
CN110914234B (zh) * 2017-08-04 2023-06-23 广东东阳光药业有限公司 抑制ssao/vap-1的胺类化合物及其在医药上的应用
WO2019241751A1 (en) * 2018-06-15 2019-12-19 Metacrine, Inc. Ssao inhibitors and uses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3633A1 (zh) * 2017-06-20 2018-12-27 南京明德新药研发股份有限公司 Ssao 抑制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01143A1 (en) 2021-10-27
WO2020125776A1 (zh) 2020-06-25
AU2019408509B2 (en) 2022-02-10
JP7245911B2 (ja) 2023-03-24
US20220024880A1 (en) 2022-01-27
CN112823154A (zh) 2021-05-18
KR102583801B1 (ko) 2023-09-26
EP3901143A4 (en) 2022-09-14
EP3901143B1 (en) 2024-05-29
AU2019408509A1 (en) 2021-06-03
JP2022514714A (ja) 202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50616B2 (ja) トリテルペン誘導体
CA2776836C (fr) Procede de synthese de l'ergothioneine et analogues
EP0185387B1 (en) Novel, n,n'bis(sulfonyl) hydrazines having antineoplastic activity
Klimešová et al. Synthesis of 2-benzylthiopyridine-4-carbothioamide derivatives and their antimycobacterial, antifungal and photosynthesis-inhibiting activity
KR102583801B1 (ko) 식(iv) 화합물의 공정 경로와 결정형, 및 이의 제조 방법
JP3030780B2 (ja) 光学活性なケテンジチオアセタール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WO1991012236A1 (fr) Derive de sulfonanilide et medicament
EP0210140B1 (en) Inhibitors of benzylaminoxidases, selective with respect to other aminoxidases
NO329315B1 (no) Krystallmodifikasjon av forbindelse, farmasoytiske preparater inneholdende denne og anvendelse av krystallmodifikasjonen.
WO1995027706A1 (fr) Nouveaux composes de structure benzisoselen-azolin et -azin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s applications therapeutiques
US4892887A (en) N,N'-bis(sulfonyl)hydrazines having antineoplastic activity
JP4614885B2 (ja) 水溶性テトラゾリウム化合物
JPS62240689A (ja) Sf−2370物質誘導体及びその製法
JPH045287A (ja) ビタミンd類定量用試薬およびその製法
CA1292239C (en) Cycloalkyl-substituted 4-aminophenyl halo derivative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RU2523279C2 (ru) Новая кристаллическая форма соединения трициклического бензопирана и способ е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JP2852941B2 (ja) 殺菌組成物
JPS59222438A (ja) 芳香族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法
JPS6354351A (ja) 光学活性1−メチル−3−フエニルプロピルアジド及びその化合物を用いる光学活性アミンの製造法
US20100292324A1 (en) Multi-Substituted Diarylanilines as Non-Nucleoside HIV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s, and Preparation and Use Thereof
CA1265160A (en) Gem-dihalo and tetrahalo-1,12-diamino-4,9-diaza- dodecanes
WO1986002927A1 (en) 1,2,4-thiadiazole derivatives
Kundu New cyclopenta [a] naphthalene derivatives. Synthesis of 2-(carbamylmethyl)-8-hydroxy-3H-cyclopenta [a] naphthalene as a possible deoxyribonucleic acid binding agent
CN116178359A (zh) 一种基于杂环取代的二硫化物衍生物、其制备方法和用途
CN115947677A (zh) 一种药物前体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