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8471A - 코일부품 - Google Patents

코일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8471A
KR20210108471A KR1020217024313A KR20217024313A KR20210108471A KR 20210108471 A KR20210108471 A KR 20210108471A KR 1020217024313 A KR1020217024313 A KR 1020217024313A KR 20217024313 A KR20217024313 A KR 20217024313A KR 20210108471 A KR20210108471 A KR 20210108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magnetic core
wall portion
protrus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4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0368B1 (ko
Inventor
도시마사 몬마
신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스미다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다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다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08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01F27/2828Construction of conductive connections, of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7/292Surface mounted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2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Insulating Of Coils (AREA)

Abstract

코일부품(100)은, 심부(11)를 구비하는 자성코어(10)와, 자성코어(10)를 수용하고 있는 절연 프레임체(24)와, 절연 프레임체(24)에 설치되어 있는 전극단자부재(47)와, 절연피복되어 있는 도선(55)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전극단자부재(47)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적어도 1개의 코일(예를 들면 제1코일(56) 및 제2코일(57))을 구비하고, 적어도 1개의 코일은, 절연 프레임체(24)의 제2벽부(28)와 제5벽부(31)에 걸쳐서 접촉된 상태가 되도록 절연 프레임체(24) 및 심부(11)의 주위에 감겨 있는 권취부(58)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코일부품
본 발명은, 코일부품(coil部品)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코일부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있다.
특허문헌1의 코일부품은, E형의 제1자성코어(第1磁性core)와, 제1자성코어의 심부(心部)에 감긴 코일과, 제1자성코어 상에 배치되어 있는 I형의 제2자성코어와, 복수의 단자(端子)와, 단자를 지지하는 단자대(端子臺)를 구비하고, 제1자성코어와 제2자성코어에 의하여 폐자로(閉磁路)가 구성되어 있다.
: 일본국 공개실용신안 실개소63―102222호 공보
본 발명자 등의 검토에 의하면, 특허문헌1의 코일부품의 구조에서는, 단자와 코어 사이의 절연성능에 대하여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단자와 코어 사이의 절연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구조의 코일부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심부를 구비하는 자성코어와,
상기 자성코어를 수용하고 있는 절연 프레임체와,
상기 절연 프레임체에 설치되어 있는 전극단자부재와,
절연피복되어 있는 도선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전극단자부재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적어도 1개의 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1개의 코일은, 상기 절연 프레임체의 외면에 접촉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절연 프레임체 및 상기 심부의 주위에 감겨 있는 권취부를 구비하는 코일부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성코어를 수용하고 있는 절연 프레임체에 전극단자부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극단자부재와 자성코어 사이의 절연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도1] 실시형태에 관한 코일부품의 사시도이다.
[도2] 실시형태에 관한 코일부품을 바닥면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3] 실시형태에 관한 코일부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4] 실시형태에 관한 코일부품의 평면도이다.
[도5] 실시형태에 관한 코일부품의 측면도이다.
[도6] 실시형태에 관한 코일부품의 사시도로서, 자성코어, 절연 프레임체 및 금속단자부재만을 나타낸다.
[도7] 실시형태에 관한 코일부품의 평면도이다(단, 제2자성코어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8] 도4의 단면도이다(단, 코일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적절하게 설명을 생략한다.
도1∼도8 중의 어느 하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코일부품(coil部品)(100)은, 심부(心部)(11)(도3, 도6, 도7, 도8을 참조)를 구비하는 자성코어(磁性core)(10)(도3, 도6, 도7, 도8을 참조)와, 자성코어(10)를 수용하고 있는 절연 프레임체(絶緣 frame體)(24)와, 절연 프레임체(24)에 설치되어 있는 전극단자부재(電極端子部材)(47)와, 절연피복되어 있는 도선(導線)(55)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전극단자부재(47)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적어도 1개의 코일(54)(예를 들면, 제1코일(56)과 제2코일(57)의 2개의 코일(54))을 구비한다.
적어도 1개의 코일(54)은, 절연 프레임체(24)의 외면에 접촉된 상태가 되도록 절연 프레임체(24) 및 심부(11)의 주위에 감겨 있는 권취부(捲取部)(58)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코일부품(100)은, 자성코어(10)를 수용하고 있는 절연 프레임체(24)에 전극단자부재(47)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문에 전극단자부재(47)와 자성코어(10) 사이의 절연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코일부품(100)의 소형화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1개의 코일(54)의 권취부(58)는, 절연 프레임체(24)의 외면에 접촉된 상태가 되도록 절연 프레임체(24) 및 심부(11)의 주위에 감겨 있지만, 코일(54)을 구성하는 도선(55)은 절연피복되어 있다. 이에 따라 코일(54)의 권취부(58)가 자성코어(10)에 접촉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자성코어(10)와 코일(54) 사이의 절연, 나아가서는 자성코어(10)와 전극단자부재(47) 사이의 절연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하방향을 Z방향이라고 부른다. 하(하방(下方))는, 후술하는 실장단자(實裝端子)(50)가 배치되어 있는 측, 즉 코일부품(100)의 실장면 측이다. 단, 코일부품(100)의 제조 시 또는 사용 시에 있어서의 각 부의 위치관계(특히 상하의 위치관계)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위치관계에 한정되지 않는다.
심부(11)의 축방향은, Z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심부(11)의 축방향을 Y방향이라고 부르고, Y방향에 있어서의 일방(一方)을 전(전방(前方)), 타방(他方)을 후(후방(後方))라고 부른다.
또한 Y방향과 Z방향의 쌍방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X방향이라고 부르고, X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을 좌(좌방(左方)), 타방을 우(우방(右方))라고 부른다.
이들 방향에 대해서는, 각 도면에 나타내고 있다.
또한 Y방향에 있어서, 심부(11)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위치가 있는 측을 내방(內方)(내방측), 내방과는 반대측을 외방(外方)(외방측)이라고 부른다. 마찬가지로 X방향에 있어서, 심부(11)의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위치가 있는 측을 내방(내방측), 내방과는 반대측을 외방(외방측)이라고 부른다.
또한 Z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쪽(방향)을 수평(수평방향)이라고 부르고, Z방향을 따르는 쪽(방향)을 연직(연직방향)이라고 부른다.
또 심부(11)의 축방향은, 후술하는 1쌍의 돌출부(12) 상호간이 대향(對向)하는 방향과도 일치하고 있다. 심부(11)의 축방향은, 반드시 심부(11)의 길이방향과는 일치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심부(11)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당해 심부(11)의 치수보다 심부(11)의 좌우폭의 치수 쪽이 크다.
도3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성코어(10)는, 그 전체가 페라이트(ferrite) 등의 자성재료(磁性材料)에 의하여 일체(一體)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자성코어(10)는, 예를 들면 U코어이다. 자성코어(10)는, 심부(11)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심부(1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1쌍(전후 1쌍)의 돌출부(12)를 구비한다.
1쌍의 돌출부(12)의 각각은, 심부(11)의 축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심부(11)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심부(11)로부터 돌출부(12)가 돌출되어 있는 방향은, 심부(11)의 축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성분을 갖는 방향이면 좋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돌출부(12)는, 심부(1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12)는, 심부(11)로부터 좌우의 어느 일방 또는 양방(兩方)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1쌍의 돌출부(12)의 각각은,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심부(11)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어 있는 기부(基部)(16)와, 기부(16)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측방 돌출부(側方 突出部)(17)를 구비한다(도7을 참조).
더 상세하게는 1쌍의 돌출부(12)의 각각은, 기부(16)로부터 좌우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는 1쌍(좌우 1쌍)의 측방 돌출부(17)를 구비한다. 그리고 자성코어(10)는,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H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심부(11)는 돌출부(12)보다 잘록하게 되어 있다(X방향에 있어서의 치수가 작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심부(11)의 하면(11b)과 돌출부(12)의 하면(후술하는 제2면(14))은, 서로 동일한 높이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자성코어(10)의 하면(10a)(하면(11b)과 1쌍의 제2면(14)을 포함한다)은, 실질적으로 전체가 평탄하게 형성되고 또한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돌출부(12)가 심부(11)로부터 상방으로만 돌출되어 있어도 좋고, 상방으로는 돌출되지 않고 좌우의 어느 일방 또는 양방으로 돌출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돌출부(12)가 심부(1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어도 좋다.
심부(11)는, 예를 들면 상하치수가 작은(편평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심부(11)의 상면(11a) 및 하면(11b)은 각각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심부(11)는, 좌우 1쌍의 측면(11c)을 구비하고 있고, 이들 측면(11c)의 각각은 X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단, 심부(11)의 형상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심부(11)는, 1쌍의 돌출부(12) 상호간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 이들 돌출부(12) 상호간을 서로 연결하고 있으면 좋다.
1쌍의 돌출부(12)의 각각은, 심부(11)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외방을 향하는 제1면(13)과, 당해 돌출부(12)의 하면인 제2면(14)(도5)과, 당해 돌출부(12)의 측면인 제3면(15)을 구비한다.
전측(前側)의 돌출부(12)의 제1면(13)은, 당해 돌출부(12)에 있어서의 전면(前面)임과 아울러 자성코어(10)의 전면이다. 후측(後側)의 돌출부(12)의 제1면(13)은, 당해 돌출부(12)에 있어서의 배면(背面)임과 아울러 자성코어(10)의 배면이다.
1쌍의 돌출부(12)의 각각은, 좌우 1쌍의 제3면(15)을 구비한다.
측방 돌출부(側方 突出部)(17)의 외면 중에서 제1면(13)과는 반대측을 향하는 면을 제4면(20)이라고 부른다. 1쌍의 돌출부(12)의 각각은 좌우 1쌍의 제4면(20)을 구비한다.
기부(16)에 있어서 심부(11)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은, 제1면(13)과는 반대측을 향하는 면을 구비한다. 이 면을 내방면(內方面)(16a)이라고 부른다.
측방 돌출부(17)의 제4면(20)은, 기부(16)의 내방면(16a)보다 Y방향에 있어서 외방으로 오프셋(offset)되어 있다. 즉, 전측의 돌출부(12)의 측방 돌출부(17)의 제4면(20)은, 전측의 돌출부(12)의 기부(16)의 내방면(16a)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고, 후측의 돌출부(12)의 측방 돌출부(17)의 제4면(20)은, 후측의 돌출부(12)의 기부(16)의 내방면(16a)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내방면(16a)과 각 제4면(20)의 경계에는, 측방을 향하는 단차면(段差面)(18)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좌측의 단차면(18)은 좌측을 향하고 있고, 우측의 단차면(18)은 우측을 향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전측의 돌출부(12)의 좌우 양단부(兩端部)에 있어서의 후단부(後端部)에는, 전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21)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후측의 돌출부(12)의 좌우 양단부에 있어서의 전단부(前端部)에는, 후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2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오목부(21)는, 돌출부(12)의 상단(上端)에서부터 하단(下端)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4면(20)과 단차면(18)에 의하여 획정(劃定)되어 있다. 따라서 전측의 돌출부(12)에 있어서의 좌측의 오목부(21)는 상방, 하방, 좌방 및 후방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고, 전측의 돌출부(12)에 있어서의 우측의 오목부(21)는 상방, 하방, 우방 및 후방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고, 후측의 돌출부(12)에 있어서의 좌측의 오목부(21)는 상방, 하방, 좌방 및 전방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고, 후측의 돌출부(12)에 있어서의 우측의 오목부(21)는 상방, 하방, 우방 및 전방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또한 1쌍의 돌출부(12)의 각각은, 상면(12a)을 구비한다.
1쌍의 돌출부(12)의 각각은, 예를 들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1쌍의 돌출부(12)의 각각은, 예를 들면 좌우로 장척(長尺)으로 형성되어 있다.
자성코어(10)는, 예를 들면 좌우대칭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자성코어(10)는, X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가상평면(假想平面)으로서 심부(11)의 축중심을 포함하는 가상평면(이하, 제1가상평면)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1쌍의 돌출부(12)의 각각이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각 돌출부(12)에 있어서의 좌우 1쌍의 측방 돌출부(17)가 서로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자성코어(10)는, 예를 들면 전후대칭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자성코어(10)는, Y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가상평면으로서 심부(11)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에 위치하는 가상평면(이하, 제2가상평면)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1쌍의 돌출부(12)는 서로 전후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1면(13)은 Y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2면(14)은 Z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즉 수평인) 평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3면(15)은 X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4면(20) 및 내방면(16a)의 각각은 Y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단차면(18)은 X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면(12a)은 Z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즉 수평인) 평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1면(13)에 대하여 상면(12a), 제2면(14) 및 좌우 1쌍의 제3면(15)의 각각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다(연접(連接)되어 있다).
좌측의 제3면(15)에 대하여 상면(12a), 제2면(14) 및 좌측의 제4면(20)의 각각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다(연접되어 있다). 우측의 제3면(15)에 대하여 상면(12a), 제2면(14) 및 우측의 제4면(20)의 각각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다(연접되어 있다).
좌측의 제4면(20)에 대하여 상면(12a), 제2면(14) 및 좌측의 단차면(18)의 각각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다(연접되어 있다). 우측의 제4면(20)에 대하여 상면(12a), 제2면(14) 및 우측의 단차면(18)의 각각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다(연접되어 있다).
좌측의 단차면(18)에 대하여 상면(12a), 제2면(14), 내방면(16a) 및 심부(11)의 좌측의 측면(11c)의 각각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다(연접되어 있다). 우측의 단차면(18)에 대하여 상면(12a), 제2면(14), 내방면(16a) 및 심부(11)의 우측의 측면(11c)의 각각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다(연접되어 있다).
내방면(16a)에 대하여 상면(12a) 및 심부(11)의 상면(11a)의 각각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다(연접되어 있다).
또 제1면(13)과 각 제3면(15)의 경계부, 각 제3면(15)과 대응하는 제4면(20)의 경계부, 및 각 단차면(18)과 내방면(16a)의 경계부는, 베벨링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제4면(20)과 당해 제4면(20)과 대응하는 단차면(18)의 경계부도 베벨링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상면(12a)은, 그 둘레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전체 면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면(12a)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제1면(13), 좌우 1쌍의 제3면(15), 좌우 1쌍의 제4면(20), 좌우 1쌍의 단차면(18) 및 내방면(16a)이 수하(垂下)하고 있다. 이때문에, 상면(12a)과 제1면(13)의 경계부, 상면(12a)과 좌우 1쌍의 제3면(15)의 각각의 경계부, 상면(12a)과 좌우 1쌍의 제4면(20)의 각각의 경계부, 상면(12a)과 좌우 1쌍의 단차면(18)의 각각의 경계부, 및 상면(12a)과 내방면(16a)의 경계부는, 각각 베벨링 형상으로는 되어 있지 않고, 가파르게 구부러진 모서리부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코일부품(100)은, 자성코어(10)와 함께 폐자로(閉磁路)를 구성하는 제2자성코어(23)를 더 구비하고 있다.
제2자성코어(23)는, 예를 들면 자성코어(10)와 동일한 재료(페라이트 등)에 의하여 그 전체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2자성코어(23)는, 예를 들면 판코어(板core)로서 평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2자성코어(23)는, 상하치수가 작은(편평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2자성코어(23)의 상면(23a) 및 하면(23b)은, 각각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2자성코어(23)의 측방 둘레면(23c)은, 예를 들면 상면(23a) 및 하면(23b)의 각각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는 연직면이고,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직사각형의 환상(環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면(23a)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측방 둘레면(23c)의 상측 가장자리의 환상의 경계부는, 전체 둘레에 걸쳐서 베벨링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하면(23b)은, 그 둘레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전체 면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측방 둘레면(23c)은, 하면(23b)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연직으로 기립(起立)하고 있다. 이때문에, 하면(23b)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측방 둘레면(23c)의 하측 가장자리의 경계부는, 베벨링 형상으로는 되어 있지 않고, 가파르게 구부러진 모서리부로 되어 있다.
제2자성코어(23)의 평면 형상은, 예를 들면 라운드 코너(round corner)의 직사각형 모양으로 되어 있다. 즉 예를 들면 측방 둘레면(23c)의 4개의 코너의 모서리부는, 각각 베벨링 형상부로 되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절연 프레임체(24)는 자성코어(10)를 수용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2자성코어(23)는 자성코어(10)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고 있다.
절연 프레임체(24)는, 자성코어(10)의 하면(10a)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면(10a)의 전체 면을 덮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절연 프레임체(24)는, 예를 들면 상방을 향하여 개방된 상자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당해 절연 프레임체(24)의 상측으로부터 자성코어(10)를 절연 프레임체(24) 내에 수용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절연 프레임체(24)는, 심부(11)를 수용하고 있는 중간부(26)와, 1쌍의 돌출부(12)의 각각을 수용하고 있는 1쌍(전후 1쌍)의 돌출부 수용부(突出部 收容部)(25)를 구비한다. 즉, 전측의 돌출부 수용부(25)가 전측의 돌출부(12)를 수용하고 있고, 후측의 돌출부 수용부(25)가 후측의 돌출부(12)를 수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자성코어(10)의 심부(11) 및 돌출부(12)를 각각 절연 프레임체(24)의 중간부(26) 및 돌출부 수용부(25)에 의하여 전극단자부재(47)로부터 절연할 수 있기 때문에, 전극단자부재(47)와 자성코어(10) 사이의 절연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 코일(54)의 권취부(58)는, 심부(11) 및 중간부(26)의 주위에 감겨 있음과 아울러, 중간부(26)의 외면에 접촉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권취부(58)는 제2자성코어(23)의 하면(23b)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1쌍의 돌출부 수용부(25)의 각각은, 돌출부(12)의 기부(16)를 수용하는 기부 수용부(基部 收容部)(40)와, 돌출부(12)의 좌우 1쌍의 측방 돌출부(17)의 각각을 수용하는 좌우 1쌍의 측방 돌출부 수용부(側方 突出部 收容部)(37)를 구비한다.
절연 프레임체(24)는, 예를 들면 좌우대칭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절연 프레임체(24)는, 상기의 제1가상평면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1쌍의 돌출부 수용부(25)의 각각이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각 돌출부 수용부(25)에 있어서의 좌우 1쌍의 측방 돌출부 수용부(37)가 서로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절연 프레임체(24)는, 예를 들면 전후대칭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절연 프레임체(24)는, 상기의 제2가상평면을 기준으로 하여 대략 대칭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1쌍의 돌출부 수용부(25)는 서로 대략 전후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1쌍의 돌출부 수용부(25)의 각각은, 제1면(13)을 덮는 제1벽부(27)와, 제2면(14)을 덮는 제2벽부(28)와, 좌우 1쌍의 제3면(15)의 각각을 덮는 좌우 1쌍의 제3벽부(29)와, 좌우 1쌍의 제4면(20)의 각각을 덮는 좌우 1쌍의 제4벽부(30)를 구비한다. 즉 제4벽부(30)는, 측방 돌출부(17)의 외면 중에서 제1면(13)과는 반대측을 향하는 면인 제4면(20)을 덮고 있다.
절연 프레임체(24)가 제4벽부(30)를 구비하기 때문에, 돌출부(12)의 측방 돌출부(17)를 절연 프레임체(24)에 의하여 전극단자부재(47)로부터 절연할 수 있어, 전극단자부재(47)와 자성코어(10) 사이의 절연을 더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제1벽부(27)는, 제1면(13)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되어, 제1면(13)과 대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벽부(28)는, 제2면(14)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되어, 제2면(14)과 대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면(14)에 대하여 면접촉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3벽부(29)는, 제3면(15)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되어, 제3면(15)과 대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벽부(30)는, 제4면(20)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되어, 제4면(20)과 대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제1벽부(27)는 제1면(13)의 전체 면을 덮고 있고, 제2벽부(28)는 제2면(14)의 전체 면을 덮고 있고, 제3벽부(29)는 제3면(15)의 전체 면을 덮고 있다.
또한 제4벽부(30)는 적어도 제4면(20)의 하부를 덮고 있다. 제4벽부(30)는 단차면(18)의 적어도 하부도 덮고 있다.
여기에서, 전측의 돌출부 수용부(25)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후측의 돌출부 수용부(25)는, 전측의 돌출부 수용부(25)와 대략 전후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하게 생략한다.
전측의 돌출부 수용부(25)의 개략적인 평면 형상은, 전측의 돌출부(12)의 평면 형상과 대응하고 있고, 예를 들면 당해 돌출부(12)를 한 사이즈 크게 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2벽부(28)는, 돌출부 수용부(25)의 하단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2벽부(28)의 상면은, 예를 들면 그 전체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고,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벽부(27)는, 제2벽부(28)의 전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기립되어 있다. 제1벽부(27)의 두께방향은 Y방향이고, 예를 들면 X방향 및 Z방향에 있어서의 제1벽부(27)의 치수는, 당해 제1벽부(27)의 두께치수보다 크다.
좌측의 제3벽부(29)는, 제2벽부(28)의 좌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기립되어 있다. 좌측의 제3벽부(29)의 전측 가장자리부와 제1벽부(27)의 좌측 가장자리부가 서로 접속되어 있다.
우측의 제3벽부(29)는, 제2벽부(28)의 우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기립되어 있다. 우측의 제3벽부(29)의 전측 가장자리부와 제1벽부(27)의 우측 가장자리부가 서로 접속되어 있다.
좌우의 제3벽부(29)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각 제3벽부(29)의 두께방향은 X방향이고, 예를 들면 Y방향 및 Z방향에 있어서의 제3벽부(29)의 치수는, 당해 제3벽부(29)의 두께치수보다 크다.
좌측의 제4벽부(30)는, 제2벽부(28)에 있어서 좌측의 측방 돌출부(17)와 대응하는 부위에 있어서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기립되어 있다. 좌측의 제4벽부(30)의 좌측 가장자리부와 좌측의 제3벽부(29)의 후측 가장자리부가 서로 접속되어 있다. 좌측의 제4벽부(30)는, 제1벽부(27)의 좌단부(左端部)에 대하여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제4벽부(30)는, 제3벽부(29)에 인접하고 있음과 아울러 제1벽부(27)와 대향하고 있다.
우측의 제4벽부(30)는, 제2벽부(28)에 있어서 우측의 측방 돌출부(17)와 대응하는 부위에 있어서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기립되어 있다. 우측의 제4벽부(30)의 우측 가장자리부와 우측의 제3벽부(29)의 후측 가장자리부가 서로 접속되어 있다. 우측의 제4벽부(30)는, 제1벽부(27)의 우단부(右端部)에 대하여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전측의 돌출부 수용부(25)는, 상방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전측의 돌출부 수용부(25)는, 당해 돌출부 수용부(25)에 있어서의 외방측(즉 전측)의 외면인 외방면(外方面)(25a)과, 좌우 1쌍의 측면(25b)을 구비한다. 외방면(25a)은 전방을 향하는 연직면이고, 좌측의 측면(25b)은 좌방을 향하는 연직면이고, 우측의 측면(25b)은 우방을 향하는 연직면이다.
마찬가지로 후측의 돌출부 수용부(25)는, 당해 돌출부 수용부(25)에 있어서의 외방측(즉 후측)의 외면인 외방면(25a)과, 좌우 1쌍의 측면(25b)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돌출부 수용부(25)의 외면에 있어서, 외방면(25a)과 좌측의 측면(25b)의 경계부, 및 외방면(25a)과 우측의 측면(25b)의 경계부는, 각각 베벨링 형상부(33)로 되어 있다. 베벨링 형상부(33)는, 외방면(25a)과 측면(25b)의 쌍방에 대하여 경사진 연직면이다.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의 베벨링 형상부(33)의 위치는, 제1벽부(27)와 각 제3벽부(29)의 경계부와도 대응하고 있다. 이때문에 제1벽부(27)와 제3벽부(29)의 경계부에 있어서의 두께치수는, 제1벽부(27)에 있어서의 다른 부분의 두께치수 및 제3벽부(29)에 있어서의 다른 부분의 두께치수에 비하여 작게 되어 있다.
제1벽부(27)의 상단면(上端面)은, 예를 들면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고, 좌우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전측의 제1벽부(27)의 상단면과 후측의 제1벽부(27)의 상단면에는, 각각 후술하는 오목부(35, 3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3벽부(29)의 상단면은, 예를 들면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고, 전후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4벽부(30)의 상측 가장자리는, 예를 들면 좌우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에서, 돌출부 수용부(25)에 있어서 제1벽부(27)와 1쌍의 제3벽부(29)를 포함하는 부분의 상단면을 돌출부 수용부(25)의 상단면(25c)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면, 전측의 돌출부 수용부(25)의 상단면(25c)에는, 하방을 향하여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전측의 돌출부 수용부(25)의 상단면(25c)은, 오목부(35)의 형성장소를 제외하고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고,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후측의 돌출부 수용부(25)의 상단면(25c)에는, 하방을 향하여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36)가 형성되어 있다. 후측의 돌출부 수용부(25)의 상단면(25c)은, 오목부(36)의 형성장소를 제외하고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고,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오목부(35)는 전측의 제1벽부(27)의 상단면에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36)는 후측의 제1벽부(27)의 상단면에 형성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오목부(35) 및 오목부(36)의 각각은, 대응하는 제1벽부(27)의 상단면의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고, 당해 제1벽부(27)의 두께방향에 있어서의 전역(全域)(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전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5)와 오목부(36)에서는 좌우의 폭치수가 서로 다르게 되어 있어, 코일부품(100)의 전후방향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기부 수용부(40)는, 예를 들면 제1벽부(27)에 있어서의 좌우 양단부를 제외한 부위와, 제2벽부(28)에 있어서의 좌우 양단부를 제외한 부위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좌우의 측방 돌출부 수용부(37)는, 기부 수용부(40)의 좌우 양측에 각각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좌측의 측방 돌출부 수용부(37)는, 예를 들면 제1벽부(27)에 있어서의 좌단부와, 제2벽부(28)에 있어서의 좌단부와, 좌측의 제3벽부(29)와, 좌측의 제4벽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좌측의 측방 돌출부 수용부(37)는, 좌측의 베벨링 형상부(33)와 좌측의 측면(25b)을 포함하고 있다.
우측의 측방 돌출부 수용부(37)는, 예를 들면 제1벽부(27)에 있어서의 우단부와, 제2벽부(28)에 있어서의 우단부와, 우측의 제3벽부(29)와, 우측의 제4벽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우측의 측방 돌출부 수용부(37)는, 우측의 베벨링 형상부(33)와 우측의 측면(25b)을 포함하고 있다.
돌출부 수용부(25)의 좌측의 측면(25b)은 좌측의 측방 돌출부 수용부(37)의 측면이고, 돌출부 수용부(25)의 우측의 측면(25b)은 우측의 측방 돌출부 수용부(37)의 측면이고, 돌출부 수용부(25)의 외방면(25a)은 기부 수용부(40)의 외방면이다.
좌우의 측방 돌출부 수용부(37)의 각각은, 예를 들면 내방측을 향하는 연직면인 내방면(37c)을 구비한다. 내방면(37c)은, 예를 들면 Y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좌측의 내방면(37c)은, 좌측의 제4벽부(30)에 있어서의 내방면과 좌측의 제3벽부(29)에 있어서의 내방면을 포함한다. 우측의 내방면(37c)은, 우측의 제4벽부(30)에 있어서의 내방면과 우측의 제3벽부(29)에 있어서의 내방면을 포함한다.
좌우의 측방 돌출부 수용부(37)의 각각은, 하면(37b)을 포함한다. 각 하면(37b)은, 예를 들면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내방면(37c)과 하면(37b)의 경계부에는, 내방면(37c)과 하면(37b)의 쌍방에 대하여 경사진 베벨링 형상부(38)가 형성되어 있다.
기부 수용부(40)는, 하면(40a)과 내방면(40b)을 구비한다.
내방면(40b)은, 예를 들면 내방측을 향하는 연직면이다. 내방면(40b)은, 예를 들면 Y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또 Y방향에 있어서, 전측의 내방면(37c)의 위치와 전측의 내방면(40b)의 위치는 서로 대략 같고, 후측의 내방면(37c)의 위치와 후측의 내방면(40b)의 위치는 서로 대략 같다.
좌우의 측방 돌출부 수용부(37)의 하면(37b)의 높이위치는, 기부 수용부(40)의 하면(40a)의 높이위치보다 높다(도2, 도5, 도8을 참조). 이때문에 하면(40a)과 좌우의 측방 돌출부 수용부(37)의 하면(37b)의 경계에는, 각각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하면(40a)은, 예를 들면 절연 프레임체(24)의 최하면이다.
하면(40a)은, 예를 들면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면(40a)에는, 예를 들면 하방을 향하도록 개방되어 있는 단자 돌출홀(端子 突出hole)(45)과, 척킹(chucking)용의 오목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전측의 기부 수용부(40)의 전단부에 있어서의 좌단부와 우단부에 각각 단자 돌출홀(45)이 형성되어 있고, 후측의 기부 수용부(40)의 후단부에 있어서의 좌단부와 우단부에 각각 단자 돌출홀(45)이 형성되어 있다.
전측의 기부 수용부(40)의 오목부(44)는, 당해 기부 수용부(40)의 뒷부분의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고, 하방 및 후방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후측의 기부 수용부(40)의 오목부(44)는, 당해 기부 수용부(40)의 앞부분의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고, 하방 및 전방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즉 오목부(44)는, 내방면(40b)에 있어서 개구되어 있다.
중간부(26)의 개략적인 평면 형상은, 심부(11)의 평면 형상과 대응하고 있고, 예를 들면 심부(11)를 좌우방향으로 한 사이즈 크게 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중간부(26)는, 심부(11)의 좌우 1쌍의 측면(11c)의 각각을 덮는 1쌍(좌우 1쌍)의 제5벽부(31)와, 심부(11)의 하면(11b)을 덮는 제6벽부(32)를 구비한다. 1쌍의 제5벽부(31)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5벽부(31)는, 측면(11c)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되어, 측면(11c)과 대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6벽부(32)는, 하면(11b)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되어, 하면(11b)과 대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면(11b)에 대하여 면접촉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더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제6벽부(32)는 하면(11b)의 전체 면을 덮고 있고, 각 제5벽부(31)는 각 측면(11c)의 적어도 하부를 덮고 있다.
제6벽부(32)의 전측 가장자리부는, 전측의 돌출부 수용부(25)의 제2벽부(28)에 있어서 전측의 돌출부(12)의 기부(16)와 대응하는 부위에 접속되어 있다. 제6벽부(32)의 후측 가장자리부는, 후측의 돌출부 수용부(25)의 제2벽부(28)에 있어서 후측의 돌출부(12)의 기부(16)와 대응하는 부위에 접속되어 있다.
좌측의 제5벽부(31)는, 제6벽부(32)의 좌측 가장자리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기립되어 있다. 좌측의 제5벽부(31)의 전측 가장자리부는, 전측의 돌출부 수용부(25)에 있어서의 좌측의 제4벽부(30)의 우측 가장자리부에 접속되어 있다. 좌측의 제5벽부(31)의 후측 가장자리부는, 후측의 돌출부 수용부(25)에 있어서의 좌측의 제4벽부(30)의 우측 가장자리부에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우측의 제5벽부(31)는, 제6벽부(32)의 우측 가장자리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기립되어 있다. 우측의 제5벽부(31)의 전측 가장자리부는, 전측의 돌출부 수용부(25)에 있어서의 우측의 제4벽부(30)의 좌측 가장자리부에 접속되어 있고, 우측의 제5벽부(31)의 후측 가장자리부는, 후측의 돌출부 수용부(25)에 있어서의 우측의 제4벽부(30)의 좌측 가장자리부에 접속되어 있다.
중간부(26)는, 상방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제5벽부(31)의 두께방향은 X방향이고, 예를 들면 Y방향 및 Z방향에 있어서의 제5벽부(31)의 치수는, 제5벽부(31)의 두께치수보다 크다.
제6벽부(32)의 두께방향은 Z방향이고, 예를 들면 Y방향 및 X방향에 있어서의 제6벽부(32)의 치수는, 제6벽부(32)의 두께치수보다 크다.
중간부(26)는, 좌우 1쌍의 측면(26a)과, 하면(26b)을 구비한다. 측면(26a)은, 제5벽부(31)의 외면이다. 측면(26a)은, 예를 들면 평탄한 연직면으로 되어 있고, X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하면(26b)은, 제6벽부(32)의 하면이다. 하면(26b)은, 예를 들면 평탄한 수평면으로 되어 있다.
제5벽부(31)의 상측 가장자리는, 전후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하면(26b)과 각 측면(26a)의 경계부, 및 제5벽부(31)의 상측 가장자리와 측면(26a)의 경계부는, 각각 베벨링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 및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면(26b)의 높이위치는, 기부 수용부(40)의 하면(40a)의 높이위치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절연 프레임체(24)의 개략적인 형상은, 자성코어(10)의 형상과 대응하고 있다. 즉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 프레임체(24)는,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H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간부(26)는, 돌출부 수용부(25)보다 잘록하게 되어 있다(X방향에 있어서의 치수가 작다).
여기에서, 전후 1쌍의 제2벽부(28)의 상면과 제6벽부(32)의 상면을 포함하는 면을 내부 바닥면(24b)이라고 부른다. 내부 바닥면(24b)은, 그 전체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고,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절연 프레임체(24)의 내주면 중에서 내부 바닥면(24b)을 제외한 부분을 내주 벽면(24a)이라고 부른다.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내주 벽면(24a)의 형상은, 자성코어(10)의 형상과 대응하고 있다. 내주 벽면(24a)의 각 부는, 평탄한 연직면으로 되어 있다.
중간부(26)의 내부공간과 전후 1쌍의 돌출부 수용부(25)의 내부공간을 합친 영역을 수용영역(46)(도3, 도5)이라고 부른다.
절연 프레임체(24)는, 예를 들면 수지 등의 절연재료에 의하여 그 전체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절연 프레임체(24)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자성코어(10)는, 당해 자성코어(10)의 하면(10a)이 내부 바닥면(24b)에 접촉한 상태로 수용영역(46)에 수용되어 있다. 예를 들면 자성코어(10)의 하면(10a)은, 내부 바닥면(24b)에 대하여 접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제2자성코어(23)의 적어도 하단부가 수용영역(46)에 수용되어 있다. 또 Y방향에 있어서의 제2자성코어(23)의 치수는, 전후의 돌출부(12)의 내방면(16a) 상호간의 대향간격보다도 크고, 전후의 제1벽부(27) 상호간의 대향간격보다 작다. X방향에 있어서의 제2자성코어(23)의 치수는, 좌우의 제3벽부(29) 상호간의 대향간격보다 작고, 바람직하게는 좌우의 단차면(18) 상호간의 거리보다 크다.
내주 벽면(24a)은, 자성코어(10)의 주위(측방 주위)를 둘러싸고 있음과 아울러, 제2자성코어(23)의 주위(측방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여기에서 1쌍의 돌출부(12)의 상면(12a) 상호간은, 서로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자성코어(23)는, 1쌍의 돌출부(12)의 상면(12a) 사이에 걸쳐서 수평으로 가설(架設)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1쌍의 돌출부(12)의 각각의 상면(12a)의 전체가, 제2자성코어(23)의 하면(23b)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면접촉하고 있다.
한편 제2자성코어(23)의 하면(23b)의 높이위치는, 심부(11)의 상면(11a) 및 제5벽부(31)의 상단(31a)의 높이위치보다 높고,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제2자성코어(23)의 하면(23b)과 심부(11)의 상면(11a) 및 제5벽부(31)의 상단(31a)의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하고 있다. 이 간극을 통하여 코일(54)이 감겨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제2자성코어(23)는, 접착제(71)에 의하여 절연 프레임체(24)에 고정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의 제2자성코어(23)의 4개의 코너가 각각 접착제(71)에 의하여 돌출부 수용부(25)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자성코어(10) 및 제2자성코어(23)의 제조공정은, 예를 들면 소성공정(燒成工程)을 포함하기 때문에, 자성코어(10) 및 제2자성코어(23)의 제조편차에 의한 치수공차를 무시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사정에 대하여,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주 벽면(24a)의 전역과 자성코어(10)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공극이 존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자성코어(10)의 제조편차가 발생하더라도, 자성코어(10)를 수용영역(46)에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내주 벽면(24a)과 제2자성코어(23)의 측방 둘레면(23c)의 사이에는, (접착제(71)의 형성장소를 제외하고) 공극이 존재하고 있어, 제2자성코어(23)의 제조편차가 발생하더라도, 제2자성코어(23)를 수용영역(46)에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극단자부재(47)는, 금속재료 등의 도전재료(導電材料)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극단자부재(47)는, 예를 들면 인서트 성형(insert 成形)에 의하여 절연 프레임체(24)에 매설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전극단자부재(47)는, 예를 들면 돌출부 수용부(25)에 있어서 내부 바닥면(24b)보다 하측의 부분(이하, 단자매설부(端子埋設部)(42)라고 부른다)에 매설되어 있다. 따라서 전극단자부재(47)는, 절연 프레임체(24)의 내면(내부 바닥면(24b) 및 내주 벽면(內周 壁面)(24a))에는 노출되지 않는다. 전극단자부재(47)는, 적어도 그 상면측이 절연 프레임체(24)를 구성하는 절연재료에 의하여 덮여 있다.
이때문에 절연 프레임체(24)에 의하여, 자성코어(10)와 전극단자부재(47) 사이의 절연, 및 제2자성코어(23)와 전극단자부재(47) 사이의 절연을 보다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코일부품(100)은, 4개의 전극단자부재(47)를 구비하고 있다. 전극단자부재(47)는, 예를 들면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의 절연 프레임체(24)의 4개의 코너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전극단자부재(47)는, 예를 들면 금속편(金屬片)을 구부려서 형성함으로써 구성되어 있고, 실장단자(50)와 결체단자(結締端子)(52)를 일체적으로 구비한다. 실장단자(50)는 외부접속용의 단자이고, 결체단자(52)에는 코일(54)의 선단부(先端部)가 접속되어 있다.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극단자부재(47)의 평면 형상은, 예를 들면 U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U자 형상에 있어서의 일방의 반(半)의 선단부가 실장단자(50)를 구성하고 있고, 타방의 반의 선단부가 결체단자(52)를 구성하고 있다.
전극단자부재(47)에 있어서의 상기 타방의 반은, 그 전체가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결체단자(52)의 전체가, 기부 수용부(40)의 하면(40a)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도5를 참조).
전극단자부재(47)에 있어서의 상기 일방의 반은,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크랭크 모양으로 굴곡되어 있다(도5를 참조). 당해 굴곡된 부분은, 상단(上段)에 있어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수평부분과, 하단(下段)에 있어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2수평부분(제2수평부분이 실장단자(50)임)과, 제1수평부분과 제2수평부분을 서로 연결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하로 연장되어 있는 상하연장부분을 구비한다.
제1수평부분은, 단자매설부(42)에 매설되어 있다.
상하연장부분의 상부는 단자매설부(42)에 매설되어 있고, 상하연장부분의 하부는 단자매설부(42)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고 또한 단자 돌출홀(45)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수평부분(실장단자(50))은, 결체단자(52)보다 낮은 단(段)에 배치되어 있다(도5를 참조). 그리고 실장단자(50)의 적어도 일부분(적어도 하측 가장자리부)은, 절연 프레임체(24)의 최하면인 하면(40a)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전측의 2개의 전극단자부재(47)의 실장단자(50) 및 결체단자(52)는,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각각 절연 프레임체(24)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한편, 후측의 2개의 전극단자부재(47)의 실장단자(50) 및 결체단자(52)는,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각각 절연 프레임체(24)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각 전극단자부재(47)의 실장단자(50)와 결체단자(52) 중에서 실장단자(50)가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쪽에 배치되어 있고, 결체단자(52)가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실장단자(50)는, 예를 들면 X방향에 있어서 측방 돌출부 수용부(37)보다 중심 쪽에 배치되어 있다.
결체단자(52)는, 측방 돌출부 수용부(37)의 하단부에 있어서 하면(37b)보다 상방의 부위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결체단자(52)는, 베벨링 형상부(33)의 하단부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때문에,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벨링 형상부(33)로부터의 결체단자(52)의 돌출길이는 충분히 확보되더라도, 외방면(25a)보다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결체단자(52)의 돌출길이는 짧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코일부품(100)의 평면치수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Y방향에 있어서 실장단자(50)의 선단위치는, 결체단자(52)의 선단위치보다 외방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코일부품(100)은, 예를 들면 제1코일(56)과 제2코일(57)의 2개의 코일을 구비한다.
각 코일(제1코일(56), 제2코일(57))의 권취부(58)는, 절연 프레임체(24)의 중간부(26)의 주위에 감겨 있다. 중간부(26)에는 자성코어(10)의 심부(11)가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권취부(58)는 심부(11) 및 중간부(26)의 주위에 감겨 있다.
더 상세하게는, 권취부(58)에 있어서의 각 턴(turn)(1회 주회(周回)하는 부분의 각각)은, 심부(11)의 상면(11a), 중간부(26)의 일방의 측면(26a), 중간부(26)의 하면(26b), 및 중간부(26)의 타방의 측면(26a)을 따라 감겨 있다.
그리고 권취부(58)에 있어서의 어느 하나 이상의 턴은, 예를 들면 심부(11)의 상면(11a), 중간부(26)의 일방의 측면(26a), 중간부(26)의 하면(26b), 및 중간부(26)의 타방의 측면(26a)에 접촉한 상태로 감겨 있다.
여기에서 측방 돌출부 수용부(37)의 내방면(37c) 및 기부 수용부(40)의 내방면(40b)은, Y방향에 있어서의 권취부(58)의 단부(端部)의 위치를 획정하는 돌출부로서 기능한다(도1, 도2 등을 참조). 즉 권취부(58)의 전단부의 위치는, 전측의 돌출부 수용부(25)의 내방면(40b)과 좌우의 내방면(37c)에 의하여 획정(위치결정)되어 있다. 또한 권취부(58)의 후단부의 위치는, 후측의 돌출부 수용부(25)의 내방면(40b)과 좌우의 내방면(37c)에 의하여 획정(위치결정)되어 있다.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코일(제1코일(56), 제2코일(57))의 양단부(일단부(一端部)(59) 및 타단부(他端部)(60))는, Y방향에 있어서의 권취부(58)의 단부의 좌단부 또는 우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인출되어, 측방 돌출부 수용부(37)의 베벨링 형상부(38) 및 하면(37b)을 따라 결체단자(52) 측으로 인도되고 있다.
예를 들면 제1코일(56)의 일단부(59)는, 제1코일(56)의 권취부(58)의 전단부에 있어서의 좌단부로부터 인출되어, 좌측 앞쪽의 측방 돌출부 수용부(37)의 베벨링 형상부(38) 및 하면(37b)을 따라 좌측 앞쪽의 전극단자부재(47)의 결체단자(52) 측으로 인도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1코일(56)의 타단부(60)는, 예를 들면 제1코일(56)의 권취부(58)의 전단부에 있어서의 우단부로부터 인출되어, 우측 앞쪽의 측방 돌출부 수용부(37)의 베벨링 형상부(38) 및 하면(37b)을 따라 우측 앞쪽의 전극단자부재(47)의 결체단자(52) 측으로 인도되고 있다.
또한 제2코일(57)의 일단부(59)는, 예를 들면 제2코일(57)의 권취부(58)의 후단부에 있어서의 좌단부로부터 인출되어, 좌측 뒤쪽의 측방 돌출부 수용부(37)의 베벨링 형상부(38) 및 하면(37b)을 따라 좌측 뒤쪽의 전극단자부재(47)의 결체단자(52) 측으로 인도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2코일(57)의 타단부(60)는, 예를 들면 제2코일(57)의 권취부(58)의 후단부에 있어서의 우단부로부터 인출되어, 우측 뒤쪽의 측방 돌출부 수용부(37)의 베벨링 형상부(38) 및 하면(37b)을 따라 우측 뒤쪽의 전극단자부재(47)의 결체단자(52) 측으로 인도되고 있다.
이와 같이 각 코일의 양단부는, 베벨링 형상부(38)를 따라 대응하는 결체단자(52) 측으로 인도되어 있기 때문에, 도선(55)의 절연피막에 대한 대미지를 억제할 수 있다.
또 각 코일의 양단부는, 기부 수용부(40)의 하면(40a)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도5를 참조). 이때문에 코일부품(100)을 면실장(面實裝)하였을 때에 각 코일의 양단부와 기판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각 코일(제1코일(56), 제2코일(57))의 양단부는, 각 전극단자부재(47)의 결체단자(52)에 대하여 결체되고 또한 용접됨으로써, 대응하는 결체단자(52)에 대하여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제1코일(56)의 일단부(59)는 좌측 앞쪽의 전극단자부재(47)의 결체단자(52)에, 제1코일(56)의 타단부(60)는 우측 앞쪽의 전극단자부재(47)의 결체단자(52)에, 제2코일(57)의 일단부(59)는 좌측 뒤쪽의 전극단자부재(47)의 결체단자(52)에, 제2코일(57)의 타단부(60)는 우측 뒤쪽의 전극단자부재(47)의 결체단자(52)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5 및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벽부(29)의 상단(29a)의 높이위치보다 제5벽부(31)의 상단(31a)의 높이위치가 낮다. 이때문에, 심부(11)의 두께치수가 돌출부(12)의 높이치수보다 작은 경우 등과 같이, 상면(11a)의 높이위치가 상면(12a)의 높이위치보다 낮은 경우에 있어서, 심부(11)의 상면(11a)과 코일(54)의 권취부(58)의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거리를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도8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5벽부(31)의 상단(31a)의 높이위치보다 심부(11)의 상면(11a)의 높이위치가 높아서, 권취부(58)는 심부(11)의 상면(11a)에 접촉한 상태로 감겨 있다. 이때문에, 권취부(58)에 있어서 도선(55)이 공중배선(空中配線)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심부(11)의 두께치수(상하치수)는, 제5벽부(31)의 높이치수(제6벽부(32)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의 제5벽부(31)의 기립높이)보다 크다. 이때문에, 심부(11)의 하면(11b)이 제6벽부(32)의 상면에 접촉되어 있지만, 심부(11)의 상면(11a)의 높이위치가 제5벽부(31)의 상단(31a)의 높이위치보다 높다.
여기에서 심부(11)의 측면(11c)과 상면(11a)의 경계부는, 베벨링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때문에, 권취부(58)를 구성하는 도선(55)과 심부(11)의 접촉에 기인한 도선(55)의 절연피복에 대한 대미지를 억제할 수 있어, 절연피복의 절연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8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5벽부(31)의 상단(31a)의 높이위치는, 제4벽부(30)의 상단(30a)의 높이위치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낮다.
바꾸어 말하면, 상단(30a)의 높이위치가 상단(31a)의 높이위치와 동등 이상이다. 이때문에 제4벽부(30)에 의하여 제4면(20)을 보다 광범위하게 덮을 수 있으므로, 자성코어(10)(특히 측방 돌출부(17))와 전극단자부재(47) 사이의 절연을 더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제5벽부(31)의 상단(31a)의 높이위치는, 제4벽부(30)의 상단(30a)의 높이위치보다 낮다. 바꾸어 말하면, 상단(30a)의 높이위치가 상단(31a)의 높이위치보다 높다. 이때문에 제4벽부(30)에 의하여 제4면(20)을 더 광범위하게 덮을 수 있어, 자성코어(10)(특히 측방 돌출부(17))와 전극단자부재(47) 사이의 절연을 더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2자성코어(23)의 하면(23b)의 높이위치는, 제3벽부(29)의 상단(29a)의 높이위치보다 낮다. 즉 제2자성코어(23)의 적어도 하단부를 제3벽부(29)에 의하여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자성코어(23)와 전극단자부재(47) 사이의 절연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제2자성코어(23)의 적어도 하단부가 제1벽부(27)에 의해서도 덮여 있다.
더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예를 들면 도5 및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자성코어(23)의 상단부는, 제1벽부(27)의 상단(27a) 및 제3벽부(29)의 상단(29a)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제4벽부(30)의 상단(30a)의 높이위치는, 제2자성코어(23)의 하면(23b)의 높이위치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낮다.
이에 따라,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제2자성코어(23)가 제4벽부(30)와 포개질 정도로 제2자성코어(23)의 평면적(平面積)이 큰 경우에도(도7을 참조), 제4벽부(30)와 제2자성코어(23)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도8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4벽부(30)의 상단(30a)의 높이위치는, 제2자성코어(23)의 하면(23b)의 높이위치보다 낮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4벽부(30)의 상단(30a)의 높이위치는, 돌출부(12)의 상면(12a)의 높이위치보다 낮다.
또한 제4벽부(30)의 상단(30a)의 높이위치는, 제3벽부(29)의 상단(29a)의 높이위치보다 낮다. 이에 따라,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제2자성코어(23)가 제4벽부(30)와 포개질 정도로 제2자성코어(23)의 평면적이 큰 경우에도(도7을 참조), 제4벽부(30)가 제2자성코어(23)와 간섭하지 않고, 제2자성코어(23)의 적어도 하단부를 제3벽부(29)에 의하여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자성코어(23)와 전극단자부재(47) 사이의 절연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1쌍의 돌출부 수용부(25)의 각각은, 제2자성코어(23)의 적어도 하단부를 수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2자성코어(23)와 전극단자부재(47) 사이의 절연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돌출부(12)의 상면(12a)의 높이위치는, 제3벽부(29)의 상단(29a)의 높이위치보다 낮고, 제1벽부(27)의 상단(27a)의 높이위치보다 낮고, 제1벽부(27)의 오목부(35) 또는 오목부(36)의 바닥면의 높이위치보다 낮고, 제4벽부(30)의 상단(30a)의 높이위치보다 높다.
또한 돌출부(12)의 측방 돌출부(17)에 있어서의 제4벽부(30) 측의 부분에는, 심부(11)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외방을 향하여 기부(16)보다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21)가 형성되어, 제4면(20)은 기부(16)에 있어서의 내방측의 면(내방면(16a))보다 외방으로 오프셋되어 있다(도7을 참조). 그리고 오목부(21)에 제4벽부(30)가 들어가 있다.
이에 따라 1쌍의 돌출부 수용부(25)의 제4벽부(30) 상호간의 대향간격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심부(11)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권취부(58)의 형성범위를 보다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때문에 권취부(58)에 있어서의 도선(55)의 권수(捲數)(턴수(number of turns))를 충분히 확보하거나, 외경이 충분히 큰 도선(55)을 사용하거나 할 수 있다.
또 돌출부(12)의 측방 돌출부(17)에 있어서의 제4벽부(30) 측의 부분, 즉 측방 돌출부(17)에 있어서의 내방측의 단부에 있어서는, 자속밀도가 작아서, 당해 부분의 형상은 실효자로(實效磁路)에 주는 영향이 작다. 즉 코일부품(100)의 특성에 대한 영향이 작은 부분에 오목부(21)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21)에 제4벽부(30)를 배치함으로써 코일부품(100)의 특성을 적절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벽부(29)의 일부분(34)은, 돌출부(12)보다 심부(11)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내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4벽부(30)의 일부분(39)은, 돌출부(12)보다 심부(11)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내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7에 나타내는 직선(L1)은, 전측의 돌출부(12)에 있어서의 후단위치(내방면(16a)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전측의 제3벽부(29)의 일부분(34) 및 전측의 제4벽부(30)의 일부분(39)은, 직선(L1)보다 후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일부분(34) 및 일부분(39)은, 돌출부(12)보다 심부(11)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내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방면(37c)은, 내방면(16a)보다 내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방면(40b)도 내방면(16a)보다 내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측방 돌출부 수용부(37)의 내방면(37c) 및 기부 수용부(40)의 내방면(40b)은, Y방향에 있어서의 권취부(58)의 단부의 위치를 획정하는 돌출부로서 기능한다.
내방면(37c) 및 내방면(40b)이 내방면(16a)보다 내방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선(55)에 있어서 권취부(58)를 구성하는 부분과 돌출부(12)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12)와 도선(55)의 접촉에 기인한 도선(55)의 절연피복에 대한 대미지를 억제할 수 있어, 절연피복의 절연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성코어(10)의 제조편차에 의한 치수공차를 무시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지만, 자성코어(10)의 제조편차가 발생하더라도, 내방면(37c)이 내방면(16a)보다 내방측에 배치되도록 내방면(37c)의 설계상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절연 프레임체(24)가 구비하는 전후좌우의 4개의 제3벽부(29)의 일부분(34)의 각각 및 절연 프레임체(24)가 구비하는 전후좌우의 4개의 제4벽부(30)의 일부분(39)의 각각이, 돌출부(12)보다 심부(11)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내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돌출부(12)의 상면(12a)에 대하여 인접하는 각 면(제1면(13), 제3면(15), 제4면(20), 단차면(18) 및 내방면(16a))은, 상면(12a)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돌출부(12)의 상면(12a)과, 상면(12a)에 대하여 인접하는 각 면의 경계부는, 베벨링 형상으로는 되어 있지 않다.
이때문에 돌출부(12)의 상면(12a)의 면적은, 돌출부(12)의 평단면적(平斷面積)의 최대값과 같다. 따라서 돌출부(12)의 상면(12a)과 제2자성코어(23)의 하면(23b)의 접촉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코일부품(100)의 양호한 특성이 얻어진다.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제2자성코어(23)(판코어)가 자성코어(10)보다 한 사이즈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판코어(제2자성코어(23))의 외형선(도7에 있어서 2점쇄선으로 나타나 있다)의 내측에 자성코어(10)가 들어가 있다.
이때문에, 수평방향에 있어서 자성코어(10)에 대한 제2자성코어(23)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더라도, 돌출부(12)의 상면(12a)과 제2자성코어(23)의 하면(23b)의 접촉면적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코일부품(100)의 특성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위치 어긋남은, 제조편차 또는 온도변화 등의 환경요인에 의거하는 것 등을 가리킨다.
또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제1벽부(27)의 상단(27a)의 높이위치와 제3벽부(29)의 상단(29a)의 높이위치는 서로 같다. 단,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단(27a)의 높이위치는 상단(29a)의 높이위치보다 높아도 좋고, 상단(29a)의 높이위치보다 낮아도 좋다.
코일부품(100)의 조립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하여 할 수 있다.
우선, 각 전극단자부재(47)가 매설된 절연 프레임체(24)를 미리 준비한다.
다음에, 절연 프레임체(24)의 상방으로부터 자성코어(10)를 수용영역(46)에 삽입한다. 즉, 1쌍의 돌출부(12)의 각각은 1쌍의 돌출부 수용부(25)의 각각의 내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심부(11)는 중간부(26)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때에 예를 들면, 자성코어(10)의 하면(10a)을 절연 프레임체(24)의 내부 바닥면(24b)에 대하여 접착시켜서 고정한다.
다음에, 제1코일(56) 및 제2코일(57)을 심부(11) 및 중간부(26)의 주위에 감아서 각각 권취부(58)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1코일(56) 및 제2코일(57)의 양단부(일단부(59), 타단부(60))를, 각각 대응하는 결체단자(52)에 결체하고, 예를 들면 레이저를 사용한 용접에 의하여 결체단자(52)에 고정한다. 또 도3에 나타내는 결체단자(52)의 형상은 용접 전의 형상이고, 다른 도면에 나타내는 결체단자(52)는 용접 후의 형상이다.
다음에, 절연 프레임체(24)의 상방으로부터 제2자성코어(23)를 수용영역(46)에 삽입한다. 즉,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제2자성코어(23)의 양단부를, 각각 전후의 돌출부 수용부(25)의 상단부의 내부에 배치한다. 여기에서 제2자성코어(23)를 1쌍의 돌출부(12)의 상면(12a) 사이에 걸쳐서 가설한다.
다음에, 제2자성코어(23)를 돌출부 수용부(25)의 내주면에 대하여 접착제(71)에 의하여 고정한다.
이렇게 하여 코일부품(100)이 얻어진다.
일례로서, 코일부품(100)은 고내압(高耐壓)의 펄스 트랜스(pulse transformer)로서 사용할 수 있지만, 코일부품(100)의 용도는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예시이며, 상기 이외의 다양한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에 있어서는 코일부품(100)이 2개의 코일(제1코일(56)과 제2코일(57))을 구비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코일부품(100)이 구비하는 코일은 1개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는, 자성코어(10)가 1쌍의 돌출부(12)를 구비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1쌍의 돌출부(12) 중에서 일방의 돌출부(12)를 자성코어(10)가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타방의 돌출부(12)를 제2자성코어(23)가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즉 코일부품(100)은, 각각 L자 모양의 2개의 코어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는, 자성코어(10)가 구비하는 돌출부의 수가 2개인 예를 설명하였지만, 자성코어(10)는, 상기에서 설명한 1쌍의 돌출부(12)의 사이에 1개의 돌출부(제3돌출부)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 1쌍의 돌출부(12) 중에서 일방의 돌출부(12)와 제3돌출부의 사이 및 제3돌출부와 타방의 돌출부(12)의 사이에 있어서, 각각 코일이 감긴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는, 코일부품(100)이 2개의 자성코어(자성코어(10)와 제2자성코어(23))를 구비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코일부품(100)은 환상의 단일의 자성코어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는, 제2자성코어(23)의 적어도 하단부가 돌출부 수용부(25)에 의하여 덮여 있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제2자성코어(23)의 전체가 돌출부 수용부(25)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즉, 제2자성코어(23)의 하면(23b)의 높이위치는, 돌출부 수용부(25)의 상단의 높이위치보다 높아도 좋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는, 제2자성코어(23)가 복수 장소에 산재된 접착제(71)에 의하여 절연 프레임체(24)에 대하여 접착되어 고정되어 있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제2자성코어(23)의 측방 둘레면(23c)과 절연 프레임체(24)의 내주 벽면(24a)과의 간극의 전역에 접착제를 충전함으로써, 제2자성코어(23)를 절연 프레임체(24)에 접착하여 고정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제4벽부(30)의 상단(30a)은 제2자성코어(23)의 하면(23b)에 근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자성코어(23)를 절연 프레임체(24)에 대하여 고정하지 않고, 제2자성코어(23)의 하면(23b)을 돌출부(12)의 상면(12a)에 대하여 접착하여 고정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는, 전극단자부재(47)가 실장단자(50)와 결체단자(52)를 별개로 구비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결체단자(52)가 실장단자(50)를 겸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실장단자(50)는 핀 모양으로 형성된 핀 단자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는 이하의 기술사상을 포함한다.
(1) 심부를 구비하는 자성코어와,
상기 자성코어를 수용하고 있는 절연 프레임체와,
상기 절연 프레임체에 설치되어 있는 전극단자부재와,
절연피복되어 있는 도선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전극단자부재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적어도 1개의 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1개의 코일은, 상기 절연 프레임체의 외면에 접촉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절연 프레임체 및 상기 심부의 주위에 감겨 있는 권취부를 구비하는 코일부품.
(2) 상기 자성코어는, 상기 심부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심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1쌍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1쌍의 돌출부의 각각은, 상기 심부의 축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심부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절연 프레임체는, 상기 심부를 수용하고 있는 중간부와, 상기 1쌍의 돌출부의 각각을 수용하고 있는 1쌍의 돌출부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권취부는, 상기 심부 및 상기 중간부의 주위에 감겨 있음과 아울러, 상기 중간부의 외면에 접촉되어 있는 (1)에 기재되어 있는 코일부품.
(3) 상기 1쌍의 돌출부의 각각은, 상기 심부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외방을 향하는 제1면과, 상기 돌출부의 하면인 제2면과, 상기 돌출부의 측면인 제3면을 구비하고,
상기 절연 프레임체의 상기 1쌍의 돌출부 수용부의 각각은, 상기 제1면을 덮는 제1벽부와, 상기 제2면을 덮는 제2벽부와, 상기 제3면을 덮는 제3벽부와, 상기 제3벽부에 인접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1벽부와 대향하고 있는 제4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1쌍의 돌출부의 각각은,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상기 심부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어 있는 기부와, 상기 기부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측방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4벽부는, 상기 측방 돌출부의 외면 중에서 상기 제1면과는 반대측을 향하는 면인 제4면을 덮고 있는 (2)에 기재되어 있는 코일부품.
(4) 상기 중간부는, 상기 심부의 측면을 덮는 제5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벽부의 상단의 높이위치보다 상기 제5벽부의 상단의 높이위치가 낮은 (3)에 기재되어 있는 코일부품.
(5) 상기 제5벽부의 상단의 높이위치보다 상기 심부의 상면의 높이위치가 높고,
상기 권취부는, 상기 심부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로 감겨 있는 (4)에 기재되어 있는 코일부품.
(6) 상기 제5벽부의 상단의 높이위치는, 상기 제4벽부의 상단의 높이위치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낮은 (4) 또는 (5)에 기재되어 있는 코일부품.
(7) 상기 제5벽부의 상단의 높이위치는, 상기 제4벽부의 상단의 높이위치보다 낮은 (5) 또는 (6)에 기재되어 있는 코일부품.
(8) 상기 제4벽부의 상단의 높이위치는, 상기 제3벽부의 상단의 높이위치보다 낮은 (3)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되어 있는 코일부품.
(9) 상기 자성코어와 함께 폐자로를 구성하는 제2자성코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자성코어의 하면의 높이위치는, 상기 제3벽부의 상단의 높이위치보다 낮은 (3)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되어 있는 코일부품.
(10) 상기 자성코어와 함께 폐자로를 구성하는 제2자성코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4벽부의 상단의 높이위치는, 상기 제2자성코어의 하면의 높이위치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낮은 (3) 내지 (9)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되어 있는 코일부품.
(11) 상기 측방 돌출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4벽부 측의 부분에는, 상기 심부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외방을 향하여 상기 기부보다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4면은, 상기 기부에 있어서의 내방측의 면보다 외방으로 오프셋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에 상기 제4벽부가 들어가 있는 (3) 내지 (10)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되어 있는 코일부품.
(12) 상기 제3벽부의 일부분은, 상기 돌출부보다 상기 심부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내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3) 내지 (11)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되어 있는 코일부품.
(13) 상기 자성코어와 함께 폐자로를 구성하는 제2자성코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자성코어는, 상기 1쌍의 돌출부의 상면 사이에 걸쳐서 가설되어 있는 판코어이고,
상기 돌출부의 상기 상면의 면적은, 상기 돌출부의 평단면적의 최대값과 같은 (2) 내지 (12)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되어 있는 코일부품.
(14) 상기 자성코어와 함께 폐자로를 구성하는 제2자성코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자성코어는 판코어이고,
상기 1쌍의 돌출부 수용부의 각각은, 상기 제2자성코어의 적어도 하단부를 수용하고 있는 (2) 내지 (1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되어 있는 코일부품.
(15) 상기 자성코어와 함께 폐자로를 구성하는 제2자성코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자성코어는 판코어이고,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상기 판코어의 외형선의 내측에 상기 자성코어가 들어가 있는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되어 있는 코일부품.
(16) 상기 자성코어와 함께 폐자로를 구성하는 제2자성코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자성코어는,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절연 프레임체에 고정되어 있는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되어 있는 코일부품.
본 출원은, 2019년 2월 4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특원2019―17743호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된 모두를 여기에 포함시킨다.
10 : 자성코어
10a : 하면
11 : 심부
11a : 상면
11b : 하면
11c : 측면
12 : 돌출부
12a : 상면
13 : 제1면
14 : 제2면
15 : 제3면
16 : 기부
16a : 내방면
17 : 측방 돌출부
18 : 단차면
20 : 제4면
21 : 오목부
23 : 제2자성코어
23a : 상면
23b : 하면
23c : 측방 둘레면
24 : 절연 프레임체
24a : 내주 벽면
24b : 내부 바닥면
25 : 돌출부 수용부
25a : 외방면
25b : 측면
25c : 상단면
26 : 중간부
26a : 측면
26b : 하면
27 : 제1벽부
27a : 상단
28 : 제2벽부
29 : 제3벽부
29a : 상단
30 : 제4벽부
30a : 상단
31 : 제5벽부
31a : 상단
32 : 제6벽부
33 : 베벨링 형상부
34, 39 : 일부분
35, 36 : 오목부
37 : 측방 돌출부 수용부
37b : 하면
37c : 내방면
38 : 베벨링 형상부
40 : 기부 수용부
40a : 하면
40b : 내방면
42 : 단자매설부
44 : 오목부
45 : 단자 돌출홀
46 : 수용영역
47 : 전극단자부재
50 : 실장단자
52 : 결체단자
54 : 코일
55 : 도선
56 : 제1코일
57 : 제2코일
58 : 권취부
59 : 일단부
60 : 타단부
71 : 접착제
100 : 코일부품

Claims (16)

  1. 심부(心部)를 구비하는 자성코어(磁性core)와,
    상기 자성코어를 수용하고 있는 절연 프레임체(絶緣 frame體)와,
    상기 절연 프레임체에 설치되어 있는 전극단자부재(電極端子部材)와,
    절연피복되어 있는 도선(導線)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전극단자부재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적어도 1개의 코일(coil)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1개의 코일은, 상기 절연 프레임체의 외면에 접촉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절연 프레임체 및 상기 심부의 주위에 감겨 있는 권취부(捲取部)를 구비하는 코일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코어는, 상기 심부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심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1쌍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1쌍의 돌출부의 각각은, 상기 심부의 축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심부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절연 프레임체는, 상기 심부를 수용하고 있는 중간부와, 상기 1쌍의 돌출부의 각각을 수용하고 있는 1쌍의 돌출부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권취부는, 상기 심부 및 상기 중간부의 주위에 감겨 있음과 아울러, 상기 중간부의 외면에 접촉되어 있는 코일부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돌출부의 각각은, 상기 심부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외방(外方)을 향하는 제1면과, 상기 돌출부의 하면인 제2면과, 상기 돌출부의 측면인 제3면을 구비하고,
    상기 절연 프레임체의 상기 1쌍의 돌출부 수용부의 각각은, 상기 제1면을 덮는 제1벽부와, 상기 제2면을 덮는 제2벽부와, 상기 제3면을 덮는 제3벽부와, 상기 제3벽부에 인접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1벽부와 대향(對向)하고 있는 제4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1쌍의 돌출부의 각각은,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상기 심부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어 있는 기부(基部)와, 상기 기부로부터 측방(側方)으로 돌출되어 있는 측방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4벽부는, 상기 측방 돌출부의 외면 중에서 상기 제1면과는 반대측을 향하는 면인 제4면을 덮고 있는 코일부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는, 상기 심부의 측면을 덮는 제5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벽부의 상단(上端)의 높이위치보다 상기 제5벽부의 상단의 높이위치가 낮은 코일부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5벽부의 상단의 높이위치보다 상기 심부의 상면의 높이위치가 높고,
    상기 권취부는, 상기 심부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로 감겨 있는 코일부품.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5벽부의 상단의 높이위치는, 상기 제4벽부의 상단의 높이위치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낮은 코일부품.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5벽부의 상단의 높이위치는, 상기 제4벽부의 상단의 높이위치보다 낮은 코일부품.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벽부의 상단의 높이위치는, 상기 제3벽부의 상단의 높이위치보다 낮은 코일부품.
  9.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코어와 함께 폐자로(閉磁路)를 구성하는 제2자성코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자성코어의 하면의 높이위치는, 상기 제3벽부의 상단의 높이위치보다 낮은 코일부품.
  10.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코어와 함께 폐자로를 구성하는 제2자성코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4벽부의 상단의 높이위치는, 상기 제2자성코어의 하면의 높이위치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낮은 코일부품.
  11. 제3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돌출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4벽부 측의 부분에는, 상기 심부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외방을 향하여 상기 기부보다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4면은, 상기 기부에 있어서의 내방측의 면보다 외방으로 오프셋(offset)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에 상기 제4벽부가 들어가 있는 코일부품.
  12. 제3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벽부의 일부분은, 상기 돌출부보다 상기 심부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내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코일부품.
  13. 제2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코어와 함께 폐자로를 구성하는 제2자성코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자성코어는, 상기 1쌍의 돌출부의 상면 사이에 걸쳐서 가설(架設)되어 있는 판코어(板core)이고,
    상기 돌출부의 상기 상면의 면적은, 상기 돌출부의 평단면적(平斷面積)의 최대값과 같은 코일부품.
  14. 제2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코어와 함께 폐자로를 구성하는 제2자성코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자성코어는 판코어이고,
    상기 1쌍의 돌출부 수용부의 각각은, 상기 제2자성코어의 적어도 하단부(下端部)를 수용하고 있는 코일부품.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코어와 함께 폐자로를 구성하는 제2자성코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자성코어는 판코어이고,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상기 판코어의 외형선의 내측에 상기 자성코어가 들어가 있는 코일부품.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코어와 함께 폐자로를 구성하는 제2자성코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자성코어는,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절연 프레임체에 고정되어 있는 코일부품.
KR1020217024313A 2019-02-04 2020-01-30 코일부품 KR1026203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17743 2019-02-04
JP2019017743A JP7238440B2 (ja) 2019-02-04 2019-02-04 コイル部品
PCT/JP2020/003562 WO2020162334A1 (ja) 2019-02-04 2020-01-30 コイル部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471A true KR20210108471A (ko) 2021-09-02
KR102620368B1 KR102620368B1 (ko) 2024-01-02

Family

ID=71947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4313A KR102620368B1 (ko) 2019-02-04 2020-01-30 코일부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02050A1 (ko)
EP (1) EP3923306A4 (ko)
JP (1) JP7238440B2 (ko)
KR (1) KR102620368B1 (ko)
CN (1) CN113366592B (ko)
WO (1) WO20201623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57540A (zh) * 2020-02-07 2021-08-13 Tdk株式会社 复合线圈装置
US20220165471A1 (en) * 2020-11-24 2022-05-26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High current surface mount toroid inductor
JP2022170103A (ja) * 2021-04-28 2022-11-10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コイル部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7627A (ja) * 2007-11-07 2009-05-28 Tdk Corp 表面実装型コイル部品
JP2017143120A (ja) * 2016-02-09 2017-08-17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
JP2017168538A (ja) * 2016-03-14 2017-09-21 Tdk株式会社 コイル装置
JP2018174219A (ja) * 2017-03-31 2018-11-08 太陽誘電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回路基板。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3316A (ja) * 1982-12-06 1984-06-14 Kijima Musen Kk 電気巻線部品
JPS63102222A (ja) 1986-10-20 1988-05-07 Toshiba Corp エピタキシヤル成長方法
JP5597106B2 (ja) * 2010-11-19 2014-10-0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リアクトル
TWI433177B (zh) * 2010-12-22 2014-04-01 Delta Electronics Inc 變壓器結構
JP6303341B2 (ja) * 2013-09-03 2018-04-04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
KR101865345B1 (ko) * 2015-11-18 2018-06-07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초크 코일 및 그 제조 방법
US10559416B2 (en) * 2016-11-16 2020-02-11 Xfmrs, Inc. Electrical device with reinforced molded pins
JP6733580B2 (ja) * 2017-03-07 2020-08-0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イル部品
JP7046513B2 (ja) 2017-07-18 2022-04-04 リンナイ株式会社 食器洗浄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7627A (ja) * 2007-11-07 2009-05-28 Tdk Corp 表面実装型コイル部品
JP2017143120A (ja) * 2016-02-09 2017-08-17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
JP2017168538A (ja) * 2016-03-14 2017-09-21 Tdk株式会社 コイル装置
JP2018174219A (ja) * 2017-03-31 2018-11-08 太陽誘電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回路基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366592B (zh) 2023-08-04
EP3923306A1 (en) 2021-12-15
EP3923306A4 (en) 2022-11-23
US20220102050A1 (en) 2022-03-31
JP7238440B2 (ja) 2023-03-14
KR102620368B1 (ko) 2024-01-02
WO2020162334A1 (ja) 2020-08-13
CN113366592A (zh) 2021-09-07
JP2020126909A (ja) 202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08471A (ko) 코일부품
CN1885451B (zh) 线圈部件
EP2437273B1 (en) Magnetic element
JP5557343B2 (ja) 内燃機関用の点火コイル
JP2569556Y2 (ja) 大電流チョークコイル
JP2019169499A (ja)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
JP4290160B2 (ja) コイル部品及び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JP2012204961A (ja) アンテナ組立体
CN111383827B (zh) 线圈装置
JP6407769B2 (ja) カレントトランス
JP6623351B2 (ja) トランス
KR200497937Y1 (ko) 커먼모드 초크 코일
JP3430144B2 (ja) カバー付小型トランス
JP2014229807A (ja) トランスおよびトランス用ボビン
US9287037B2 (en) Transformer-bobbin and transformer
JP6388769B2 (ja) トランス
KR102601486B1 (ko) 보빈과 이를 포함하는 변압 장치
JP2013182927A (ja) コイル部品
JP2017163129A (ja) ラインフィルタ
JP2018133456A (ja) コイル装置
JP2024056378A (ja) コイル装置
JP2019204838A (ja) コイル部品
JP2021192459A (ja) リアクトル
JPH0563025U (ja) トランス構造
JP2014183081A (ja) 巻線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