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7854A - 조절 가능한 노즐을 갖는 유도 젯트 팬 - Google Patents

조절 가능한 노즐을 갖는 유도 젯트 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7854A
KR20210107854A KR1020217024339A KR20217024339A KR20210107854A KR 20210107854 A KR20210107854 A KR 20210107854A KR 1020217024339 A KR1020217024339 A KR 1020217024339A KR 20217024339 A KR20217024339 A KR 20217024339A KR 20210107854 A KR20210107854 A KR 20210107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nozzle
air
steerable
ai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4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3020B1 (ko
Inventor
챨스 에드워드 푸제
조지 오람
제임스 그레고리 포레스트
스티븐 에드워드 피트
라일 뎀프시 플레처-윌모트
Original Assignee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247003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7420A/ko
Publication of KR20210107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7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10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direction of output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Discharge tong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541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545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14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 F04F5/16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4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F5/02 - F04F5/42
    • F04F5/46Arrangements of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4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F5/02 - F04F5/42
    • F04F5/46Arrangements of nozzles
    • F04F5/461Adjustable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4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F5/02 - F04F5/42
    • F04F5/46Arrangements of nozzles
    • F04F5/466Arrangements of nozzles with a plurality of nozzles arranged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parallelly-movabl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6Arrangements for air-circulation by means of induction, e.g. by fluid coupling or thermal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10Stators
    • F05D2240/12Fluid guiding means, e.g. vanes
    • F05D2240/128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팬 어셈블리가 제공되며, 이 팬 어셈블리는 팬 어셈블리를 통과하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배치되는 공기 유동 발생기; 및 팬 어셈블리로부터 공기 유동을 방출하도록 배치되는 노즐을 포함한다. 노즐은 노즐 본체 및 각기 공기 유동의 일부분을 방출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를 포함하며, 복수의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는 노즐 본체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조절 가능한 노즐을 갖는 유도 젯트 팬
본 발명은 팬 어셈블리 및 팬 어셈블리용 노즐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가정용 팬은 전형적으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는 일 세트의 블레이드 또는 베인, 및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그 일 세트의 블레이드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를 포함한다. 공기 유동의 운동 및 회전에 의해 "풍속 냉각" 또는 미풍이 발생되고, 결과적으로, 열이 대류 및 증발을 통해 소산됨에 따라 사용자는 냉각 효과를 경험하게 된다. 블레이드는 일반적으로 케이지 내부에 위치되고, 이 케이지는, 사용자가 팬의 사용 중에 회전하는 블레이드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공기 유동이 하우징을 통과할 수 있게 해준다.
US 2,488,467에는, 공기를 팬 어셈블리로부터 내보내기 위해 케이지식 블레이드를 사용하지 않는 팬이 기재되어 있다. 대신에, 팬 어셈블리는 공기 유동을 기부 안으로 흡인하기 위한 모터 구동식 임펠러를 수용하는 기부, 및 기부에 연결되어 있는 일련의 동심 환형 노즐을 포함하고, 이 노즐 각각은 팬으로부터 공기 유동을 배출하기 위해 노즐의 앞에 위치되는 환형 출구를 포함한다. 각 노즐은 보어 축선 주위에 연장되어 있어 보어를 형성하고, 이 보어 주위에 노즐이 연장되어 있다.
각 노즐은 에어포일의 형태이고, 그래서 노즐의 후방부에 위치되는 선두 가장자리, 노즐의 전방부에 위치되는 후미 가장자리, 및 선두 가장자리와 후미 가장자리 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현선(chord line)을 갖는다고 생각될 수 있다. US 2,488,467에는, 각 노즐의 현선은 노즐의 보어 축선에 평행하다. 공기 출구는 현선 상에 위치되고, 현선을 따라 노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공기 유동을 배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팬 어셈블리로부터 공기를 내보내기 위해 케이지식 블레이드를 사용하지 않는 다른 팬 어셈블리는 WO 2010/100451에 기재되어 있다. 이 팬 어셈블리는 주 공기 유동을 기부 안으로 흡인하기 위한 모터 구동식 임펠러를 수용하는 원통형 기부, 및 이 기부에 연결되어 있는 단일의 환형 노즐을 포함하며, 이 노즐은 주 공기 유동이 팬에서 배출될 때 통과하는 환형 입구/출구를 포함한다. 노즐은 개구를 형성하며, 팬 어셈블리의 국부적인 환경 내의 공기가 입구에서 배출되는 주 공기 유동에 의해 그 개구를 통해 흡인되어 주 공기 유동을 증대시키게 된다. 노즐은 코안다(Coanda) 표면을 포함하고, 입구는 주 공기 유동을 그 코안다 표면 위로 보내도록 배치된다. 코안다 표면은 개구의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연장되어 있어, 팬 어셈블리에 의해 발생된 공기 유동은 원통형 또는 절두 원추형 프로파일을 갖는 환형 젯트의 형태로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노즐을 진동시킬 필요 없이 노즐로부터 방출되는 공기 유동의 방향을 조종할 수 있는 팬 어셈블리용 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 1 양태에 따르면, 팬 어셈블리가 제공되며, 이 팬 어셈블리는 팬 어셈블리를 통과하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배치되는 공기 유동 발생기; 및 팬 어셈블리로부터 공기 유동을 방출하도록 배치되는 노즐을 포함하고, 노즐은 노즐 본체 및 각기 공기 유동의 일부분을 방출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를 포함한다. 각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는 노즐 본체의 대응 출구 부분 내에 있는 개구 및 이 개구를 실질적으로 막도록(즉, 채우도록) 배치되는 기다란 출구 본체를 포함하며, 출구 본체는 개구 내에서 출구 본체의 길이 방향 축선 주위로 회전하도록 배치되며, 각 출구 본체에는 출구 본체의 폭을 통해 연장되어 있는 공기 출구 채널이 제공되어 있다. 공기 출구 채널은 공기가 출구 본체를 통해 노즐 밖으로 흐를 수 있게 해준다. 공기 유동 발생기는 모터 구동식 임펠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는 노즐 본체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각 출구 본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형인 단면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이다.
각 출구 본체의 공기 출구 채널은 곧게 되어 있고 직경 방향으로 출구 본체를 통해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각 공기 출구 채널의 유입 단부에는 공기 출구 채널 안으로 흐르는 공기를 안내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벨 마우스가 제공되어 있다. 각 출구 본체는, 공기 출구 채널의 유입 단부가 공기 출구 채널의 유출 단부 보다 개구에 더 가깝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각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는 대응 출구 본체를 회전시키도록 배치되는 조향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출구 본체는 대응 조향 모터의 축에 부착될 수 있다. 팬 어셈블리는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를 제어하도록 배치되는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는 각 조향 모터(즉, 각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의 조향 모터)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각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는, 노즐 본체에 대한 출구 본체의 배향을 검출하도록 배치되는 출구 본체 배향 검출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출구 본체 배향 검출 시스템은 출구 본체가 현재 벡터링 범위의 두 부분 중 어느 부분에 있는지를 검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출구 본체 배향 검출 시스템은 노즐 본체에 제공되어 있는 광 차단기, 및 출구 본체가 벡터링 범위의 두 부분 중의 하나에 있을 때 광 차단기에 의해 검출되도록 배치되는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은 출구 본체의 회전 축선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고 또한 벡터링 범위의 두 부분 중의 한 부분을 가로질러/그 위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벡터링 범위의 실질적으로 한 절반부를 가로질러/그 위에서 연장되어 있다. 스크린은 회전 축선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2개의 가장자리를 가질 수 있다. 그래서 스크린은, 출구 본체가 벡터링 범위의 제 1 끝에서 배향될 때 스크린의 제 1 가장자리가 광 차단기로 검출되거나 그와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스크린은, 출구 본체가 벡터링 범위의 중간점으로부터 0 내지 10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도로 있을 때 스크린의 제 2 가장자리가 광 차단기로 검출되거나 그와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벡터링 범위의 중간점은 개구를 길이 방향으로 이등분하는 평면과 정렬될 수 있다.
노즐 본체는 각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의 출구 부분을 규정하는 케이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출구 부분은 케이싱에 의해 규정되는 내부 통로를 포함하고, 이 내부 통로는 노즐의 공기 입구로부터 공기를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에 전달하도록 배치된다.
노즐은 제 1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 및 제 2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 본체는 제 1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를 수용/내장하는 제 1 출구 부분 및 제 2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를 수용/내장하는 제 2 출구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는 제 1 출구 부분에 의해 규정되는 제 1 개구, 및 제 1 개구 내부에 배치되고 제 1 개구 내에서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제 1 출구 본체를 포함하고, 제 2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는 제 2 출구 부분에 의해 규정되는 제 2 개구, 및 제 2 개구 내부에 배치되고 제 2 개구 내에서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제 2 출구 본체를 포함한다.
노즐 본체는 기다란 환형 형상을 가지며, 제 1 및 제 2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 각각은 노즐 본체의 각각의 기다란 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노즐 본체는 대응적으로 성형된 중심 보어를 규정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 각각은 노즐의 전방부에서 중심 보어의 각각의 기다란 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노즐 본체는 중심 보어의 각각의 기다란 측부에 인접하는 2개의 평행한 곧은 측면 부분, 곧은 부분의 상단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상측 만곡 부분, 및 곧은 부분의 하단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하측 만곡 부분을 포함한다. 노즐 본체는 노즐 본체의 중심 보어 주위에 연장되어 있는 기다란 환형 케이싱을 포함할 수 있고, 케이싱은, 노즐의 공기 입구로부터 공기를 제 1 및 제 2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에 전달하도록 배치되는 내부 통로를 규정한다.
팬 어셈블리는 공기 유동 발생기를 수용하는 본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본체는 공기 입구를 포함하고, 공기 유동이 공기 유동 발생기에 의해 공기 입구를 통해 본체 안으로 끌려 들어가고, 본체는 공기 유동을 본체로부터 방출하기 위해 공기 유동 발생기의 하류에 있는 공기 출구/배출구를 또한 포함한다. 노즐은 공기 출구 위에서 본체에 장착될 수 있다. 노즐은 본체의 공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유동을 받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체는 팬 어셈블리를 표면 상에 지지하기 위한 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의 공기 출구는 본체의 상단부 및 본체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노즐에 제공될 수 있다. 노즐은 본체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목부/기부를 포함할 수 있고, 본체로부터 공기 유동을 받기 위한 공기 입구를 제공하는 개방 하단부를 갖는다. 본체는 공기 출구를 둘러싸는 환형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고, 노즐은 그 환형 플랜지 상에 지지될 수 있다. 환형 플랜지의 외측 가장자리는 본체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노즐의 기부/목부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면내에 있을 수 있다.
제 2 양태에 따르면, 팬 어셈블리용 노즐이 제공된다. 이 노즐은 팬 어셈블리로부터 공기 유동을 받기 위한 공기 입구; 및 노즐 본체와, 각기 공기 유동의 일부분을 방출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를 포함한다. 각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는 노즐 본체의 대응 출구 부분 내에 있는 개구 및 이 개구를 실질적으로 막도록(즉, 채우도록) 배치되는 기다란 출구 본체를 포함하며, 출구 본체는 개구 내에서 출구 본체의 길이 방향 축선 주위로 회전하도록 배치되며 각 출구 본체에는 출구 본체의 폭을 통해 연장되어 있는 공기 출구 채널이 제공되어 있다. 복수의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는 노즐 본체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노즐은 제 1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 및 제 2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 본체는 제 1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를 수용/내장하는 제 1 출구 부분 및 제 2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를 수용/내장하는 제 2 출구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는 제 1 출구 부분에 의해 규정되는 제 1 개구, 및 제 1 개구 내부에 배치되고 제 1 개구 내에서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제 1 출구 본체를 포함하고, 제 2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는 제 2 출구 부분에 의해 규정되는 제 2 개구, 및 제 2 개구 내부에 배치되고 제 2 개구 내에서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제 2 출구 본체를 포함한다.
노즐 본체는 기다란 환형 형상을 가지며, 제 1 및 제 2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 각각은 노즐 본체의 각각의 기다란 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노즐 본체는 대응적으로 성형된 중심 보어를 규정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 각각은 노즐의 전방부에서 중심 보어의 각각의 기다란 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노즐 본체는 중심 보어의 각각의 기다란 측부에 인접하는 2개의 평행한 곧은 측면 부분, 곧은 부분의 상단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상측 만곡 부분, 및 곧은 부분의 하단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하측 만곡 부분을 포함한다.
팬 어셈블리가 또한 제공되며, 이 팬 어셈블리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배치되는 공기 유동 발생기; 및 팬 어셈블리로부터 공기 유동을 방출하도록 배치되는 노즐을 포함한다. 노즐은 노즐 본체 및 각기 공기 유동의 일부분을 방출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조향 가능한/조종 가능한 공기 출구를 포함하며, 복수의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는 노즐 본체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배치된다. 각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는 노즐 본체의 대응 출구 부분 내에 있는 개구 및 이 개구 내에 배치되고 그 개구 내에서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출구 본체를 포함한다. 각 출구 본체에는 출구 본체의 폭을 통해 연장되어 있는 공기 출구 채널이 제공되어 있다. 공기 출구 채널은 공기가 출구 본체를 통해 노즐 밖으로 흐를 수 있게 해준다. 각 출구 본체는 대응 개구를 실질적으로 막도록(즉, 채우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단지 예로서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팬 어셈블리의 일 실시 형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팬 어셈블리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팬 어셈블리의 등각도이다.
도 4는 도 1의 팬 어셈블리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팬 어셈블리의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팬 어셈블리의 본체의 등각도이다.
도 7은 한 필터 어셈블리가 분리되어 있는 팬 어셈블리의 등각도이다.
도 8은 도 1의 팬 어셈블리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필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필터 어셈블리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0은 여기서 설명되는 팬 어셈블리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노즐의 일 실시 형태의 전방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노즐의 정상 단면도이다.
도 12a는 제 1 구성으로 있는 도 10의 노즐의 정상 단면도이다.
도 12b는 제 2 구성으로 있는 도 10의 노즐의 정상 단면도이다.
도 13은 여기서 설명되는 노즐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의 일 실시 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의 분해도이다.
도 15a는 제 3 구성으로 있는 도 10의 노즐의 정상 단면도이다.
도 15b는 제 4 구성으로 있는 도 10의 노즐의 정상 단면도이다.
도 16은 여기서 설명되는 노즐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밸브의 일 실시 형태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7은 제 5 구성으로 있는 도 10의 노즐의 정상 단면도이다.
이제, 노즐을 진동시킬 필요 없이 노즐로부터 방출되는 공기 유동의 방향을 조종할 수 있는 노즐을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가 설명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팬 어셈블리" 라는 용어는, 열적 편안함 및/또는 환경 또는 기후 제어의 목적으로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고 전달하도록 구성된 팬 어셈블리를 말한다. 이러한 팬 어셈블리는, 제습된 공기 유동, 가습된 공기 유동, 정화된 공기 유동, 여과된 공기 유동, 냉각된 공기 유동 및 가열된 공기 유동 중의 하나 이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팬 어셈블리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배치되는 공기 유동 발생기 및 팬 어셈블리로부터 공기 유동을 방출하도록 배치되는 노즐을 포함하고, 노즐은 노즐 본체 및 각기 공기 유동의 일부분을 방출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조향 가능한/조종 가능한 공기 출구를 포함한다.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는 노즐 본체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배치되며, 그래서, 노즐을 본체의 어떤 부분에 대해서도 회전시키지 않고도, 각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에 의해 방출되는 공기 유동의 일부분의 방향이 변화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공기 출구" 라는 용어는, 공기 유동이 노즐에서 빠져나갈 때 통과하는 노즐의 일부분을 말한다. 특히,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형태에서, 각 공기 출구는 공기 유동이 노즐에서 나갈 때 통과하는 공기 출구 채널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각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는 노즐 본체의 대응 출구 부분 내에 있는 개구 및 이 개구 내부에 배치되는 출구 본체를 포함하고, 출구 본체는 개구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배치된다. 각 출구 본체에는 출구 본체의 폭을 통해 연장되어 있는 공기 출구 채널이 제공되어 있고, 이 채널은 공기가 출구 본체를 통해 노즐 밖으로 유출할 수 있게 해준다. 각 출구 본체는 대응 개구를 실질적으로 막거나 채우도록 배치되며, 그래서 노즐 내부에 있다하더라도 매우 적은 공기가 출구 본체와 대응 개구 사이의 공간을 통해 누출될 수 있다.
도 1, 2 및 3은 팬 어셈블리(1000)의 일 실시 형태의 외부도이다. 도 1은 팬 어셈블리(1000)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2는 팬 어셈블리(1000)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3은 팬 어셈블리(100)의 등각도를 나타낸다. 팬 어셈블리(1000)는, 팬 어셈블리를 통과하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배치되는 모터 구동식 임펠러를 내장하는 본체 또는 스탠드(1100), 및 이 본체(1100)에 장착되고 팬 어셈블리(1000)로부터 공기 유동을 방출하도록 배치되는 노즐(1200)을 포함한다.
도 4는 팬 어셈블리(1000)의 측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5는 노즐(1200)이 없는 팬 어셈블리(1000)의 본체(1100)의 측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6은 노즐(1200)이 없는 팬 어셈블리(1000)의 본체(1100)의 등각도를 나타낸다.
팬 어셈블리(1000)의 본체(1100)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하측 본체 부분(1102)에 장착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상측 본체 부분(1101)을 포함한다. 하측 본체 부분(1102)은 팬 어셈블리(1000)가 안착되는 기부(1103)를 제공한다.
팬 어셈블리(1000)의 상측 본체 부분(1101)은 모터 구동식 임펠러(1104)를 내장/수용한다. 그러므로 상측 본체 부분(1101)에는 공기 입구(1105)가 제공되어있고, 모터 구동식 임펠러(1104)가 팬 어셈블리(1000)의 본체(1100)의 외부로부터 그 공기 입구를 통해 공기의 유동을 끌어들일 수 있고, 상측 본체 부분에는 또한 공기 출구(1106)가 제공되어 있으며, 모터 구동식 임펠러(1104)에 의해 발생된 공기 유동이 그 공기 출구를 통해 팬 어셈블리(1000)의 본체(1100)로부터 배출된다. 노즐(1200)이 상측 본체 부분(1101)의 상단부에 장착되며, 팬 어셈블리(1000)의 본체(1100)의 공기 출구(1106)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유동을 받도록 배치된다.
팬 어셈블리(1000)의 상측 본체 부분(1101)은 공기 입구(1105)의 상류에 있는 제거 가능한 필터 어셈블리(1107)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며, 그래서 모터 구동식 임펠러(1104)에 의해 공기 입구(1105)를 통해 끌려 들어오는 공기 유동이 팬 어셈블리(1000)의 본체(1100)에 들어가기 전에 여과된다. 그리고 상측 본체 부분(1101)에는, 필터 어셈블리(1107)를 유지하고 팬 어셈블리(1000)의 본체(1100)로부터 해제시키기 위한 기구가 또한 제공되어 있다. 그러므로 도 7은 팬 어셈블리(1000)의 등각도를 나타내고, 한 필터 어셈블리(1107b)는 분리되어 있고 다른 필터 어셈블리(1107b)는 상측 본체 부분(1101)의 먼 측에 장착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팬 어셈블림(1000)의 상측 본체 부분(1101)은 상측 본체 샤시(1108)를 포함한다. 모터 구동식 임펠러(1104)는, 상측 본체 샤시(1108)의 상단부 쪽에서 지지되는 임펠러 하우징(1109) 내부에 수용된다. 그래서 상측 본체 샤시(1108)는 임펠러 하우징(1109) 아래에서 공동부를 규정한다. 상측 본체 부분(1101)은 한쌍의 그릴 또는 그레이트(grate)(1110)를 더 포함하고, 이 그릴 또는 그레이트는 공동부 및 임펠러 하우징(1109)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상측 본체 샤시(1108)에 배치된다. 그릴(1110)은 상측 본체 부분(1101) 안으로 들어가는 공기 입구(1105)를 제공하며, 한쌍의 필터 어셈블리(1107)는 그릴(1110) 위에서 상측 본체 샤시(1108)에 해제 가능하게 유지된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상측 본체 샤시(1108)는 상측 본체 샤시(1108)의 하단부에 위치되는 하측 환형 플랜지(1111), 상측 본체 샤시(1108)의 상단부 쪽에/인접하여 위치되는 상측 환형 플랜지(1112), 및 하측 환형 플랜지(1111)와 상측 환형 플랜지(1112) 사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는 한쌍의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면 부분(1113)을 포함한다. 양 하측 환형 플랜지(1111)와 상측 환형 플랜지(1112)는 상측 본체 샤시(1108)의 길이 방향 축선(Z)으로부터 멀어지게 반경 방향으로/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다. 하측 환형 플랜지(1111)의 외측 가장자리는 하측 본체 부분(1102)의 주변/외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면내에 있으며, 상측 환형 플랜지(1112)의 외측 가장자리는, 상측 본체 샤시(1108)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노즐(1200)의 기부/목부(1201)의 외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면내에 있다.
상측 본체 샤시(1108)는 상측 본체 샤시(1108)의 상단부에 제공되는 팬 마운트/시트 부분(1114)을 더 포함하며, 이는 임펠러 하우징(1109)을 상측 본체 부분(1101) 내부에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상측 본체 샤시(1108)의 팬 마운트 부분(1114)은 대략적으로 관형이며, 하단부에 있는 입구 벨 마우스(1115) 및 상단부에 있는 플레인 파이프 출구(1106)를 갖는다. 상측 유지 링(1116)이 관형 팬 마운트 부분(1114)의 상단부에 위치되며, 하측 유지 링(1117)이 관형 팬 마운트 부분(1114)의 하단부 쪽에/인접하여 위치된다. 임펠러 하우징(1109)은, 임펠러 하우징(1109)과 상측 유지 링(1116) 사이에 연결되는 제 1 세트의 인장 스프링(1118) 및 임펠러 하우징(1109)과 하측 유지 링(1117) 사이에 연결되는 제 2 세트의 인장 스프링(1119)에 의해 관형 팬 마운트 부분(1114) 내부에 지지된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임펠러 하우징(1109)은 모터 구동식 임펠러(1104) 주위에 연장되어 있고, 임펠러 하우징(1109)의 공기 입구(1120)를 규정하는 제 1 단부 및 제 1 단부의 반대편에 위치되고 임펠러 하우징(1109)의 공기 출구(1121)를 규정하는 제 2 단부를 갖는다. 임펠러 하우징(1109)은 팬 마운트 부분(1114)과 정렬되며, 그래서 임펠러 하우징(1109)의 길이 방향 축선은 팬 어셈블리(1000)의 본체(1100)의 길이 방향 축선(Z)과 공선적이고, 임펠러 하우징(1109)의 공기 입구(1120)는 공기 출구(1121) 아래에 위치된다. 임펠러 하우징(1109)은 대략적으로 절두 원추형인 하측 벽(1122) 및 대략적으로 절두 원추형인 상측 벽(1123)을 포함한다. 유입하는 공기 유동을 임펠러 하우징(1109) 안으로 안내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환형인 입구 부재(1124)가 임펠러 하우징(1109)의 하측 벽(1122)의 바닥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임펠러 하우징(1109)의 공기 입구(1120)는 임펠러 하우징(1109)의 개방 바닥 단부에 제공되어 있는 환형 입구 부재(1124)에 의해 규정되며, 임펠러 하우징(1109)의 이 공기 입구(1120)는 팬 마운트 부분(1114)의 하단부에 제공되어 있는 입구 벨 마우스(1115) 위쪽에 배치되고 그와 정렬된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임펠러(1104)는 혼합류 임펠러의 형태이고, 대략적으로 원추형인 허브, 이 허브에 연결되는 복수의 임펠러 블레이드, 및 허브와 블레이드를 둘러싸도록 블레이드에 연결되는 대략적으로 절두 원추형인 쉬라우드를 포함한다. 임펠러(1104)는, 임펠러 하우징(1109) 내부에 배치되는 모터 하우징(1127) 내부에 수용되는 모터(1126)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회전축(1125)에 연결된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모터는,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 입력에 응하여 제어 회로에 의해 변할 수 있는 속도를 갖는 DC 브러시레스 모터이다.
모터 하우징(1127)은 모터(1126)를 지지하는 대략적으로 절두 원추형인 하측 부분(1128) 및 이 하측 부분(1128)에 연결되는 대략적으로 절두 원추형인 상측 부분(1129)을 포함한다. 축(1125)은 모터 하우징(1127)의 하측 부분(1128)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을 통해 돌출하여, 임펠러(1108)가 그 축(1125)에 연결될 수 있다. 모터 하우징(1126)의 상측 부분(1129)은, 모터 하우징(1127)의 상측 부분(1129)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만곡된 블레이드 형태의 환형 확산기(1130)를 더 포함한다. 임펠러 하우징(1109)의 벽은 모터 하우징(1127)을 둘러싸고 그로부터 이격되어 있어, 임펠러 하우징(1109)과 모터 하우징(1127) 사이에는 임펠러 하우징(1109)을 통해 연장되는 환형 공기 유동 경로가 형성된다. 임펠러 하우징(1109)의 공기 출구(1121)(모터 구동식 임펠러(1104)에 의해 발생된 공기 유동이 그 공기 출구를 통해 배출됨)는 모터 하우징(1127)의 상측 부분(1129) 및 임펠러 하우징(1109)의 상측 벽(1123)에 의해 형성된다.
가요성 시일링 부재(1131)가 임펠러 하우징(1109)과 상측 본체 샤시(1108)의 팬 마운트 부분(1114)의 상단부사이에 부착된다. 가요성 시일링 부재(1131)는 공기가 임펠러 하우징(1109)의 외면 주위를 지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시일링 부재(1131)는 바람직하게는 고무로 형성되는 환형 립 시일을 포함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팬 어셈블리(1000)의 상측 본체 부분(1101)은 상측 본체 샤시(1108)의 상호 대향하는 개방 측면들에 배치되는 한쌍의 그릴 또는 그레이트(1110)를 더 포함한다. 각 그릴(1110)에는, 팬 어셈블리(1000)의 본체(1100)의 공기 입구(1105)로서 작용하는 구멍의 어레이가 제공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그릴(1110a)이 상측 본체 샤시(1108)의 제 1 개방 측면에 장착되며, 제 2 그릴(1110b)이 상측 본체 샤시(1108)의 제 2 개방 측면에 장착된다. 제 1 그릴(1110a)은 구멍의 어레이가 제공되는 관형 판의 형상을 가지며(즉, 아치형 단면을 가짐), 상측 환형 플랜지(1112)와 하측 환형 플랜지(1111) 사이 및 상측 본체 샤시(1108)의 제 1 및 제 2 측면 부분(1113) 사이에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제 2 그릴(1110b) 역시 구멍의 어레이가 제공되는 관형 판의 형상을 가지며(즉, 아치형 단면을 가짐), 상측 환형 플랜지(1112)와 하측 환형 플랜지(1111) 사이 및 상측 본체 샤시의 제 1 및 제 2 측면 부분(1113) 사이에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상측 본체 샤시(1108)의 측면 부분(1113) 각각은 한쌍의 필터 어셈블리(1107)를 그릴(1110) 위에서 상측 본체 샤시(1108)에 해제 가능하게 유지시키도록 상호 협력하는 한쌍의 필터 유지 어셈블리 중의 하나를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제 1 유지 어셈블리는 상측 본체 샤시(1108)의 제 1 측면 부분(1113a) 내부에 유지되며 제 2 유지 어셈블리는 상측 본체 샤시(1108)의 제 2 측면 부분(1113b) 내부에 유지된다. 제 1 유지 어셈블리는 제 1 필터 어셈블리(1107a)의 제 1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제 1 필터 어셈블리(1107a)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고 또한 제 2 필터 어셈블리(1107b)의 제 1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제 2 필터 어셈블리(1107b)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한다. 제 2 유지 어셈블리는 제 1 필터 어셈블리(1107a)의 제 2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제 1 필터 어셈블리(1107a)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고 또한 제 2 필터 어셈블리(1107b)의 제 2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제 2 필터 어셈블리(1107b)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한다. 제 1 필터 어셈블리(1107a)의 제 1 가장자리는 제 1 필터 어셈블리(1107a)의 제 2 가장자리의 반대편에 있다고 제 2 필터 어셈블리(1107b)의 제 1 가장자리는 제 2 필터 어셈블리(1107b)의 제 2 가장자리의 반대편에 있다. 필터 유지 어셈블리 및 필터 어셈블리는 GB1720055.1 및 GB1720057.7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고, 그래서 이는 참조로 관련되어 있다.
도 8은 도 1 내지 7의 팬 어셈블리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필터 어셈블리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각 필터 어셈블리(1107)는 하나 이상의 필터 매체(1133)를 지지하는 필터 프레임(1132)을 포함한다. 각 필터 프레임(1132)은 실질적으로 반원통 형상을 가지며, 이는 필터 프레임(1132)의 길이 방향 축선에 평행한 2개의 곧은 측부 및 필터 프레임(1132)의 길이 방향 축선에 수직인 2개의 만곡된 단부를 갖는다. 하나 이상의 필터 매체(1133)는 필터 프레임(1132)에 의해 규정되는 표면 영역을 덮도록 배치된다. 각 필터 어셈블리(1107)는 필터 프레임(1132)의 내주 전체 주위에 제공되어 있는 가요성 필터 시일(1134)을 더 포함하는데, 이 시일은 상측 본체 샤시(1108)와 결합하여, 공기가 필터 어셈블리(1107)의 가장자리 주위를 지나, 팬 어셈블리(1000)의 본체(1100)의 공기 입구(1105)를 제공하는 그릴(1110)로 가는 것을 방지한다. 가요성 필터 시일(1134)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호(arc)형 와이퍼 또는 립 시일의 형태를 취하는 하측 및 상측 만곡 시일 부분을 포함하고, 하측 시일 부분의 각 단부는, 각기 실질적으로 와이퍼 또는 립 시일의 형태를 취하는 2개의 곧은 시일 부분에 의해 상측 시일 부분의 대응 단부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상하측 만곡 시일 부분은 그릴(1110)의 위쪽과 아래쪽에 있는 상측 본체 샤시(1108)의 일부분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곧은 시일 부분은 상측 본체 샤시(1108)의 측면 부분(1113) 중의 하나 또는 다른 하나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필터 프레임(1132)에는 이 필터 프레임(1132)의 내주 전체 주위에 연장되어 있는 오목부(나타나 있지 않음)가 제공되어 있고, 이 오목부는 가요성 필터 시일(1134)을 수용하고 지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필터 매체(1133)는 필터 프레임(1132)의 외측 볼록 면에 지지된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각 필터 어셈블리(1107)는 화학적 필터 매체 층(1133a), 화학적 필터 매체 층(1133a)의 상류에 있는 미립자 필터 매체 층(1133b), 및 미립자 필터 매체 층(1133b)의 상류에 있는 외측 메쉬 층(1133c)을 포함한다.
천공된 쉬라우드(1135)가 각 필터 프레임(1132)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어, 팬 어셈블리(1000)의 본체(1100) 상에 위치될 때 필터 어셈블리(1107)를 덮는다. 그러므로 도 9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필터 어셈블리의 후방 사시도를 나타내며, 천공된 쉬라우드(1135)는 필터 프레임(1132)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각 천공된 쉬라우드(1135)는 사용시에 필터 어셈블리(1107)의 공기 입구(1136)로서 작용하는 구멍의 어레이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쉬라우드(1135)의 공기 입구(1136)는 쉬라우드(1135)의 창(window) 내부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그릴 또는 메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입구 어레이의 대안적인 패턴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가능함이 명백할 것이다. 쉬라우드(1135)는 필터 매체(1133)를 예컨대 이동 중에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고, 팬 어셈블리(1000)의 전체적인 외양과 맞는, 필터 어셈블리(1107)를 위한 시각적으로 보기 좋은 외면을 제공한다. 쉬라우드(1135)가 필터 어셈블리(1107)를 위한 공기 입구(1136)를 규정함에 따라, 구멍의 어레이는 더 큰 입자가 필터 어셈블리(1107)에 들어가 필터 매체(1133)를 막거나 그렇지 않으면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크기 결정된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천공된 쉬라우드(1135)는 실질적으로 반원통의 형상이며, 상측 환형 플랜지(1112)의 외측 가장자리와 하측 환형 플랜지(1111)의 외측 가장자리 사이 및 상측 본체 샤시(1108)의 제 1 및 제 2 측면 부분(1113)의 외면 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영역을 덮도록 배치된다.
사용시에 모터(1126)에 의한 임펠러(1104)의 회전에 의해, 임펠러 하우징(1109)을 통과하는 공기 유동이 발생된다. 이 공기 유동에 의해, 공기 입구(1105) 위에 장착되는 필터 어셈블리(1107)를 통해 공기가 팬 어셈블리(1000)의 본체(1100) 안으로 끌려 들어가게 된다. 그런 다음에 공기 유동은 임펠러 하우징(1109)을 통과하며 또한 상측 본체 부분(1101)의 상단부에 제공되어 있는 공기 배출구/개구(임펠러 하우징(1109)의 공기 출구(1121)에 의해 제공됨)를 통해 팬 어셈블리(1000)의 본체(1100)에서 나가 노즐(1200) 안으로 들어간다.
공기 유동이 본체(1100)에서 나갈 때 통과하는 공기 배출구(1121) 위에서 노즐(1200)이 본체(1100)의 상단부에 장착된다. 노즐(1200)은 본체(1100)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목부/기부(1201)를 포함하고, 또한 본체(1100)로부터 공기 유동을 받기 위한 공기 입구(1202)를 제공하는 개방 하단부를 갖는다. 노즐(1200)의 기부(1201)의 외면은 상측 본체 샤시(1108)의 상측 환형 플랜지(1112)의 외측 가장자리와 실질적으로 동일 면 내에 있다. 그러므로 기부(1201)는 본체(1100)의 상측 표면에 제공되는 팬 어셈블리(1000)의 구성 요소를 덮고/에워싸는 하우징을 제공하며, 이 실시 형태에서 이는 상측 환형 플랜지(1112)의 상측 표면에 의해 제공된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다수의 제어 회로(1137)가, 상측 본체 부분(1101)의 상단부로부터 멀어지게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측 환형 플랜지(1112)의 상측 표면에 장착된다. 그러므로 이들 제어 회로(1137)는 노즐(1200)의 기부(1201) 내부에 수용된다. 추가로, 전자 디스플레이(1138)가 상측 본체 부분(1101)의 상측 환형 플랜지(1112)에 장착되고 그래서 노즐(1200)의 기부(1201) 내부에 수용되며, 디스플레이(1138)는 노즐(1200)의 기부(1201)에 제공되어 있는 개구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창을 통해 볼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전자 부품이 상측 환형 플랜지의 상측 표면에 장착될 수 있고 따라서 노즐(1200)의 기부(1201)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예컨대, 이들 추가적인 전자 부품은 Wi-Fi, 블루투스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모듈, 습도 센서, 적외선 센서, 먼지 센서와 같은 하나 이상의 센서, 및 관련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추가 전자 부품은 제어 회로 중의 하나 이상에 연결될 것이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노즐(1200)은 기다란 환형(종종 경기장 또는 양 단부가 반원형인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는 노즐 본체(1203)를 더 포함하고, 이 노즐 본체는 폭(노즐(1200)의 측벽 사이에서 연장되는 방향으로 측정됨) 보다 큰 높이(노즐(1200)의 상단부에서 노즐(1200)의 하단부까지 연장되는 방향으로 측정됨)를 갖는 대응적으로 성형된 보어(1204) 및 중심 축선(X)을 규정한다. 그러므로 노즐 본체(1203)는 보어(1204)의 각각의 기다란 측부에 인접하는 2개의 평행한 곧은 측면 부분(1205), 곧은 부분(1205)의 상단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상측 만곡 부분(1206), 및 곧은 부분(1205)의 하단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하측 만곡 부분(1207)을 포함한다.
도 10은 노즐(1200)의 특정 실시 형태의 전방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노즐 본체(1203)는 노즐(1200)의 중심 보어(1204) 주위에 연장되어 있는 기다란 환형 케이싱(1208)을 포함한다. 노즐 케이싱(1208)은, 노즐(1200)의 공기 입구(1202)로부터 공기를 하나 이상의 공기 출구(1210, 1211)에 전달하도록 배치되는 내부 통로(1209)를 규정한다. 케이싱(1208)에 의해 규정되는 내부 통로(1209)는 내부 보어(1204) 주위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부분을 포함한다고 생각될 수 있으며, 공기 입구(1202)를 통해 노즐(1200)에 들어가는 공기는 노즐 본체(1203)의 하측 만곡 부분(1207)에 들어가 2개의 공기 흐름물로 분할될 것이며, 각 공기 흐름물은 노즐 본체(1203)의 각각의 곧은 부분(1205) 안으로 유입하게 된다.
노즐 본체(1203)의 평행한 측면 부분(1205) 각각은 노즐의 개별적인 기다란 출구 부분(1212)을 형성하며, 이들 출구 부분(1212)은 실질적으로 측면 부분(1205)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각 출구 부분(1212)은 노즐(1200)로부터 공기의 일부분을 방출하도록 배치되는 조향 가능한/조종 가능한 공기 출구(1210)을 포함하며, 각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1210)는 노즐 케이싱(1208)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배치된다. 그러므로 노즐(1200)에 의해, 노즐(1200)을 본체(1100)의 어떤 부분에 대해서도 회전시킴이 없이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1210) 각각에 의해 방출되는 공기 유동의 일부분의 방향이 변화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노즐(1200)의 정상 단면도이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1210) 각각은 노즐 본체(1203)의 대응 출구 부분(1212)에 의해 규정되는 기다란 전향 개구(1213) 및 개구(1213) 내부에 배치되고 대략적으로 원통형인 기다란 배출/출구 본체(1214)를 포함하고, 이 본체는 개구(1213) 내부에서 출구 본체(1214)의 길이 방향 축선(B) 주위로 회전하도록 배치된다. 각 출구 본체(1214)에는, 출구 본체(1214)의 폭을 통해 연장되어 있는 공기 출구 슬롯 또는 채널(1215)이 제공되어 있으며, 그래서 이 슬롯 또는 채널은 공기가 출구 본체(1214)를 통해 노즐(1200) 밖으로 유출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므로 출구 본체(1214)가 개구(1213) 내부에서 회전하면, 노즐 본체(1203)에 대한 공기 출구 채널(1215)의 배향이 변경되며, 그래서 출구 본체(1214)를 통해 방출되는 공기 유동의 방향도 변하게 된다. 그러므로 노즐(1200)은, 각기 노즐(1200)의 전방에서 중심 보어(1204)의 각각의 기다란 측부에 위치되는 2개의 기다란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1210)를 포함한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2개의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1210) 각각은 출구 본체(1214)를 포함하고, 이 출구 본체는 대략적으로 원통형이며 그래서 원형 단면을 가지며, 공기 출구 채널(1215)은 곧게 되어 있고 출구 본체(1214)를 통해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1210)는, 출구 본체(1214)의 만곡된 외면의 일부분이 대응 개구(1213)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며, 공기 출구 채널(1215)의 유입 단부(1216)가 대응 출구 부분(1212)의 내부에 배치되는 출구 본체(1214)의 일부분에 제공되며, 공기 출구 채널(1215)의 유출 단부(1217)는 대응 출구 부분(1212)의 개구(1213)를 통해 노출되는 출구 본체(1214)의 일부분에 배치된다. 공기 출구 채널(1215)의 유입 단부(1216)에는, 노즐(1200)의 내부 통로(1209) 내에서 흐르는 공기를 공기 출구 채널(1215) 안으로 안내하는 것을 도와주는 벨 마우스가 제공된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1210) 각각은 대략 100도의 벡터링 범위(θV)를 갖도록 배치되며, 이 벡터링 범위는, 대응 출구 본체(1214)를 통해 노즐(1200)로부터 방출되는 공기 유동이 변할 수 있는 각도 범위이다. 예컨대, 도 12a는 벡터링 범위의 제 1 끝에 있는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1210)를 나타내고, 도 12b는 벡터링 범위의 반대편 제 2 끝에 있는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1210)를 나타낸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대략 100도의 벡터링 범위는, 출구 본체(1214)의 18% 내지 20%가 대응 개구(1213)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1210) 각각은 마찬가지로 45도 내지 180도의 벡터링 범위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고, 그래서 이는 출구 본체(1215)의 4% 내지 50%가 대응 개구(1213)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각 출구 본체(1214)의 벡터링 범위의 중심점/중간점은 대응 개구(1213)를 길이 방향으로 이등분하는 평면과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그 평면은 노즐 본체(1203)를 길이 방향으로 이등분하는 평면에도 평행할 것이다.
도 13은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1210)의 특정 실시 형태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14는 도 13의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1210)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기다란 출구 본체(1214)의 한 단부가 조향 모터(1218)의 축에 부착되며, 그래서 조향 모터(1218)가 작동하면 출구 본체(1214)가 노즐 케이싱(1208)에 의해 규정되는 기다란 개구(1213) 내부에서 회전된다. 출구 본체(1214)의 반대편 단부는 베어링(1219) 내부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대응 조향 모터(1218)를 제어해서 공기 출구 채널(1215)의 각도 배향을 조절하여,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1210) 각각으로부터 방출되는 공기 유동의 방향이 변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어 회로(1137) 중의 하나 이상은 각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1210)의 조향 모터(1218)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배치된다.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1210)는 확산 모드와 집속 모드 중의 어느 하나로 작동될 수 있다. 확산 모드일 때, 두 (좌우측)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1210)는 그의 중심 축선들이 수렴하지 않도록 배향된다. 예컨대, 확산 모드에서,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1210)의 출구 본체(1214)는 그의 공기 출구 채널(1215)의 중심 축선(Ca, Cb)이 평행하도록 배향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확산 모드에서,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1210)의 출구 본체(1214)는 그의 공기 출구 채널(1215)의 중심 축선(Ca, Cb)이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발산되도록 배향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5a는 도 10의 노즐(1200)을 통과한 정상 단면도를 나타내며, 여기서 출구 본체(1214)는 확산 모드로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두(좌우측) 조향 모터(1218)의 회전 속도가 동일하도록 보장함으로써, 두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1210)의 상대적인 배향은 노즐(1200)로부터 방출되는 공기 유동의 전체 방향의 변화 동안에 그리고/또는 노즐(1200)로부터 방출되는 공기 유동의 진동 동안에 유지될 수 있다.
집속 모드일 때, 두 (좌우측)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1210)는 수렴 방향으로 겨냥된다. 다시 말해, 두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1210)는 그의 중심 축선(Ca, Cb)이 교차하도록 배향된다. 특히 집속 모드에서,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1210)의 출구 본체(1214)는 그의 공기 출구 채널(1215)의 중심 축선(Ca, Cb)이 수렴하도록 배향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5b는 도 10의 노즐(1200)을 통과한 정상 단면도를 나타내며, 여기서 출구 본체(1214)는 집속 모드로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집속 모드에서, 노즐(1200)은, 두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1210)의 중심 축선(Ca, Cb)이 수렴하는 노즐 본체(1203)의 전방면으로부터의 거리가 그의 배향에 무관하게 일정하도록 더 배치될 수 있다. 노즐(1200)로부터 방출되는 공기 유동의 전체 방향의 변화 동안에 그리고/또는 노즐(1200)로부터 방출되는 공기 유동의 진동 동안에 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시키는 경우, 두 (좌우측) 조향 모터(1218)는 서로 다른 회전 속도로 작동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제어 회로(1137)가 제 1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1210a)를 제 1 속도로 진동시키고 또한 동시에 제 2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1210b)를 제 1 속도와는 다른 제 2 속도로 진동시키도록 배치된다. 예컨대, 제어 회로(1137)는, 제 1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1210a)가 제 2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1210b)로부터 멀어지게 회전하고 있을 때 제 1 속도는 제 2 속도 보다 작고 또한 제 1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1210a)가 제 2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1210b) 쪽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는 제 1 속도가 제 2 속도 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각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1210)는, 노즐 본체(1203)에 대한 출구 본체(1214)의 배향을 검출하도록 배치되는 출구 본체 배향 검출 기구/시스템(1220)을 더 포함한다. 특히, 출구 본체 배향 검출 기구(1220)는 출구 본체(1214)가 현재 가용 회전 범위의 두 부분 중 어느 부분에 있는지를 검출하도록 배치된다. 출구 본체 배향 검출 기구(1220)는 대응 출구 부분(1212) 내에서 노즐 본체(1203)에 제공되어 있는 광 차단기(1221), 및 출구 본체(1214)가 회전 범위의 두 부분 중의 하나에 있을 때 광 차단기(1221)에 의해 검출되도록 배치되는 스크린(1222)을 포함한다. 이에 대해, 광 차단기는, 발광 요소 및 틈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정렬되는 수광 요소를 포함하는 광 센서이다. 그래서 광 차단기는, 목표물이 양 요소 사이에 올 때를 검출함으로써 작용하고, 발광 요소에서 나온 빛이 수광 요소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전형적으로, 적외선 방출기가 발광 요소로서 사용되고, 적외선 검출기가 수광 요소로서 사용된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광 차단기(1221)는, 발광 요소와 수광 요소 사이의 틈이 출구 본체(1214)의 회전 축선 및 대응 개구(1213)의 중심과 대략적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된다. 그래서 스크린(1222)은 출구 본체(1214)의 회전 축선(즉, 길이 방향/중심 축선)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고 회전 범위의 두 부분 중의 한 부분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그러므로 스크린(1222)은, 회전 축선으로부터 멀어지게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래서 삼각형 또는 원형 부채꼴 형상을 가질 수 있는 2개의 가장자리를 갖는다.
각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1210)의 광 차단기(1221)는, 제어 회로(1137)에 대한 입력으로서 출력을 제공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제어 회로(1137)는, 광 차단기(1221)로부터의 입력을 사용하여 각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1210)의 조향 모터(1218)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처음에 각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1210)의 광 차단기(1221)로부터 받은 입력은, 틈이 막혀 있고 그래서 대응 출구 본체(1214)가 회전 범위의 두 부분 중의 제 1 부분에 있음을 나타내거나, 또는 틈이 열려 있고 그래서 대응 출구 본체(1214)가 회전 범위의 두 부분 중의 제 2 부분에 있음을 나타낸다. 제어 회로(1137)는 각 출구 본체(1214)가 회전 범위의 원위 끝 쪽으로 회전되도록 각 조향 모터(1218)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출구 본체(1214)의 이 회전 동안에, 대응 스크린(1222)의 가장자리가 틈을 통과하여, 광 차단기(1221)가 차단 상태와 비차단 상태 사이에서 변할 것이며 그리하여 제어 회로(1137)는 회전 범위 내에서 출구 본체(1214)의 정화한 위치를 결정할 것이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각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1210)의 배향 검출 기구(1220)는, 대응 출구 본체(1214)가 벡터링 범위(가용 회전 범위와 일치하지 않음)의 제 1 끝에 배향될 때 스크린(1222)의 제 1 가장자리가 검출되거나 광 차단기(1221)와 정렬되도록 배치된다. 각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1210)의 배향 검출 기구(1220)는, 공기 출구 채널(1215)의 중심 축선이 노즐 본체(1203)를 길이 방향으로 이등분하는 평면 쪽으로 배향되어 있는 상태에서, 대응 출구 본체(1214)의 공기 출구 채널(1215)의 중심 축선이 벡터링 범위의 중간점으로부터(즉, 대응 개구(1214)를 길이 방향으로 이등분하는 평면으로부터) 대략 7도로 있을 때 스크린(1222)의 제 2 가장자리가 검출되거나 광 차단기(1221)와 정렬되도록 더 배치된다. 그러나, 배향 검출 기구(1220)는, 동등하게, 대응 출구 본체(1214)의 공기 출구 채널(1215)의 중심 축선이 벡터링 범위의 중간점으로부터 0도 내지 40도로 있을 때 스크린(1222)의 제 2 가장자리가 검출되거나 광 차단기(1221)와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각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1210)의 배향 검출 기구(1220)를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제어 회로(1137)는 양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1210)의 출구 본체(1214)가 수렴 방향으로 배향될 때를 검출할 수 있고, 그래서 그의 중심 축선이 노즐 본체(1203)를 길이 방향으로 이등분하는 평면과 교차한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기다란 환형 케이싱(1208)은 기다란 환형 외측 케이싱 부분(1223)을 포함하고, 이 케이싱 부분은 기다란 환형 내측 케이싱 부분(1224)과 동심이고 그 주위에 연장되어 있다. 이 예에서, 내측 케이싱 부분(1223)과 외측 케이싱 부분(1224)은 단일체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지만, 개별적인 부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환형 케이싱(1208)은 노즐 본체(1203)의 후방부를 형성하는 만곡된 후방 케이싱 부분(1225)을 더 포함하고, 만곡된 후방 케이싱 부분(1225)의 내측 단부는 내측 케이싱 부분(1224)의 후방 단부에 연결된다. 이 예에서, 내측 케이싱 부분(1224)과 만곡 후방 케이싱 부분(1225)은, 예컨대 스크류 및/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함께 연결되는 개별적인 부품일 수 있지만, 단일체로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만곡 후방 케이싱 부분(1225)은 노즐(1200)의 내측 보어(1204)의 중심 축선에 수직인 대략적으로 기다란 환형 단면 및 노즐(1200)의 내측 보어(1204)의 중심 축선에 평행한 대략적으로 반원형인 단면을 갖는다.
내측 케이싱 부분(1224)은 노즐(1200)의 내측 보어(1204)의 중심 축선에 수직인 대략적으로 기다란 환형 단면을 가지며, 노즐(1200)의 내측 보어(1204) 주위에 연장되어 있고 또한 그를 둘러싼다. 이 예에서, 내측 케이싱 부분(1224)은 내측 보어(1204)의 중심 축선(X)으로부터 멀어지게 내측 케이싱 부분(1224)의 후방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각져 있다. 그러므로 내측 케이싱 부분(1224)은 외측 케이싱 부분(1223)의 전방 단부 쪽으로 테이퍼져 있지만, 외측 케이싱 부분(1223)의 전방 단부와 만나지 않으며, 그래서 내측 케이싱 부분(1224)의 전방 단부와 외측 케이싱 부분(1223)의 전방 단부 사이에 틈/공간이 있다. 케이싱(1208)은, 내측 케이싱 부분(1224)의 전방 단부와 외측 케이싱 부분(1223)의 전방 단부 사이의 틈을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는 노즐 본체(1203)의 정상 및 바닥 만곡 부분(1206, 1207)에서 2개의 만곡 커버(1226)를 더 포함한다. 곧은 측면 부분(1205)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틈의 그 부분 각각은 두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1210)의 기다란 전향 개구(1213)를 규정하며, 출구 본체(1214)가 각 기다란 개구(1213) 내부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노즐(1200)은 노즐(1200)의 전방부에서 중심 보어(1204)의 각각의 기다란 측부(1205)에 위치되는 2개의 제 1 공기 출구(1210)를 포함하고, 이들 제 1 공기 출구(1210)는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이다.
외측 케이싱 부분(1223)은 노즐 본체(1203)의 전방부로부터 만곡 후방 케이싱 부분(1225)의 외측 단부 쪽으로 연장되어 있지만, 만곡 후방 케이싱 부분(1225)의 외측 단부와 만나지 않으며, 그래서 외측 케이싱 부분(1223)의 후방 단부와 만곡 후방 케이싱 부분(1225)의 외측 단부 사이에 틈/공간이 있다. 그러므로 외측 케이싱 부분(1223)의 후방 단부와 만곡 후방 케이싱 부분(1225)의 외측 단부 사이의 이 틈은 제 2 공기 출구(1211)를 제공하며, 이 공기 출구는 조향 가능한 제 1 공기 출구(1210)와는 개별적이고, 이 제 2 공기 출구(1211)는 노즐 본체(1203)의 최외측 표면(즉, 보어(1204)의 중심 축선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향하는 노즐(1200)의 외부 표면)의 일부분 주위에 연장되어 있다.
그러므로 외측 케이싱 부분(1223), 내측 케이싱 부분(1224) 및 만곡 후방 케이싱 부분(1225)은, 노즐(1200)의 공기 입구(1202)로부터 공기를 제 1 공기 출구(1210)와 제 2 공기 출구(1211) 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전달하기 위한 내부 통로(1209)를 규정한다. 다시 말해, 내부 통로(1209)는, 외측 케이싱 부분(1223), 내측 케이싱 부분(1224) 및 만곡 후방 케이싱 부분(1225)의 내부 표면에 의해 경계져 있다. 내부 통로(1209)는 보어(1204) 주위에서 각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부분을 포함한다고 생각될 수 있으며, 공기 입구(1202)를 통해 노즐(1200)에 들어가는 공기는 노즐 본체(1203)의 하측 만곡 부분(1207)에 들어가 2개의 공기 흐름물로 분할될 것이며, 각 공기 흐름물은 노즐 본체(1203)의 각각의 곧은 부분(1205) 안으로 유입하게 된다.
노즐 본체(1203)의 케이싱(1208)은 내부 통로(1209) 내부에 제공되는 배플(1227)을 더 포함하고, 이 배플은 내부 통로(1209) 내부의 공기 유동을 제 2 공기 출구(1211) 쪽으로 안내하도록 배치된다. 배플(1227)은 내부 통로(1209)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규정하는 노즐 본체(1203)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내부 통로(1209) 안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러므로 배플(1227) 및 제 2 공기 출구(1211)에 인접하는 노즐 본체(1203)의 내부 표면의 일부분에 의해 경계져 있는 내부 통로(1209)의 부분은, 노즐 본체(1203) 내의 공기가 제 2 공기 출구(1211) 쪽으로 보내질 때 통과하는 제 2 공기 출구(1211)의 공기 출구 채널(1228)을 규정한다.
배플(1227)은, 만곡 후방 케이싱 부분(1225)으로부터 내부 통로(1209) 안으로 연장되어 있는 배플 벽에 의해 제공된다. 배플 벽(1227)은 만곡 후방 케이싱 부분(1225)의 외측 단부에 연결되며, 전방 부분(1227a)과 후방 부분(1227b)을 갖는다. 배플 벽(1227)은 만곡 후방 케이싱 부분(1225)의 외측 단부로부터 보어(1204)의 중심 축선(X) 쪽으로 내측으로 각져 있고 또한 노즐 본체(1203)의 전방부 쪽으로 연장되어 있어, 배플 벽(1227)의 적어도 일부분은 외측 케이싱 부분(1223)의 인접 부분과 겹친다. 배플 벽(1227)의 전방 단부와 외측 케이싱 부분(1223)의 내측 표면에 의해 규정되는 제 2 공기 출구(1211)의 공기 출구 채널(1228)의 유입 단부는 노즐 본체(1203)에 의해 규정되는 보어(1204)의 중심 축선(X)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배플 벽(1227)은 내부 통로(1209)의 기다란 측부까지 그리고 상측 만곡 부분(1206) 주위로 연장되어 있다. 배플 벽(1227)의 기다란 측부는 대략적으로 곧으며, 배플 벽의 하단부는 내부 통로(1209)의 하측 만곡 부분(1207)의 내부 표면과 만날 때까지 부분적으로만 하측 만곡 부분(1207) 안으로 연장되어 있어, 노즐 본체(1203)에 들어가는 공기 유동은 이 하단부를 통해 제 2 공기 출구(1211)의 공기 출구 채널(1228)에 들어갈 수 없다. 추가로, 배플 벽(1227)은 상측 만곡 부분(1206)의 피크/중심에서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데, 이 돌출부는 배플 벽(1227)의 외향 표면으로부터 외측 케이싱 부분(1223)의 내측 표면까지 연장되어 있어, 제 2 공기 출구(1211)의 공기 출구 채널(1228)의 인접 부분을 내부 통로(1209)로부터 분리시키고 그리고 내부 통로(1209)로부터 제 2 공기 출구(1211)의 공기 출구 채널(1228) 안으로 들어가는 개구를 2개의 부분으로 분할하며, 개구의 각 부분은 상측 만곡 부분(1206)의 피크에 있는 돌출부에 도달할 때까지 기다란 측부(1205) 중의 하나를 따라 위로 연장되어 부분적으로 내부 통로(1209)의 상측 만곡 부분(1206) 주위에 연장되어 있다.
팬 어셈블리(1000)는, 제 2 공기 출구(1211) 밖으로 나가는 공기의 유동을 제어하도록 배치되는 밸브(1230)를 더 포함한다. 이를 위해, 밸브(1230)는 한쌍의 밸브 부재(1231)를 포함하고, 이들 밸브 부재는, 밸브 부재(1231)가 노즐(1200) 내부의 공기 유동이 제 2 공기 출구(1211)에 도달하는 것을 막거나 방지하는 제 1 끝 위치와 밸브 부재(1231)가 노즐(1200) 내부의 공기 유동이 제 2 공기 출구(1211)에 도달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 2 끝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된다. 밸브(1230)는 노즐(1200)의 내부 통로(1209) 내부에 제공된다. 따라서, 각 밸브 부재(1231)는, 제 1 끝 위치에 있을 때 공기 유동이 제 2 공기 출구(1211)의 공기 출구 채널(1228)에 들어가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도록 내부 통로(1209)의 나머지로부터 나가는 제 2 공기 출구(1211)의 공기 출구 채널(1228)의 유입 단부를 폐쇄하도록 배치된다.
그러므로 각 밸브 부재(1231)는, 제 1 끝 위치에서, 제 2 공기 출구(1211)에 인접하는 노즐 본체(1203)의 내부 표면 및 배플 벽(1227) 둘 모두에 밸브 부재(1231)가 접촉하거나 안착되어 내부 통로(1209)의 나머지로부터 제 2 공기 출구(1211)의 공기 출구 채널(1228) 안으로 들어가는 개구의 대응 부분을 실질적으로 폐쇄하도록 배치된다. 각 밸브 부재(1231)에는 시일링 요소(1232)가 제공되며, 이 시일링 요소는 밸브 부재(1231)가 제 1 끝 위치에 있을 때 밸브 부재(1231)과 배플 벽(1227) 사이에 형성되는 시일을 개선한다.
도 16은 여기서 설명되는 노즐(1200)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밸브(1230)의 일 실시 형태의 후방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각 밸브 부재(1231)의 형상은 내부 통로(1209)의 정렬된 섹션/부분의 형상에 실질적으로 대응하거나 그와 상호 관련된다. 그러므로 각 밸브 부재(1231)는 대략적으로 J-형이고, 기다란 부분 및 만곡 단부를 가지며, 또한 기다란 부분 및 만곡 단부를 포함하는 대략적으로 J-형인 단면을 갖는다.
밸브 부재(1231)를 제 1 끝 위치로부터 제 2 끝 위치로 움직이기 위해, 팬 어셈블리(1000)에는 밸브 모터(1233)가 제공되며, 이 밸브 모터는 제어 회로(1137)로부터 받은 신호에 응하여 밸브 부재(1231)의 운동을 일으키도록 배치된다. 밸브 모터(1233)는 만곡된 또는 호형 랙(1235)과 맞물리는 피니언(1234)을 회전시키도록 배치되며, 밸브 모터(1233)가 회전하면 피니언(1234)과 랙(1235) 둘 모두가 회전되며, 밸브(1230)는, 랙(1235)의 회전에 의해 밸브 부재(1231)의 운동이 일어나도록 구성된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밸브 모터(1233)는 상측 만곡 부분(1206)의 피크/중심에서 내부 통로(1209) 내부에서 배플 벽(1237)에 장착되며, 배플 벽(1227)은 후방 케이싱 부분(1225)에 부착된다. 밸브 모터(1233)의 회전축이 후방 케이싱 부분(1225) 쪽으로 돌출하고, 그 축의 회전 축선은 보어(1204)의 중심 축선에 평행하다. 피니언(1234)은 회전축 상에 장착되며, 피니언(1234)의 치부는 호형 랙(1235)과 맞물리며, 이 랙의 형상은 내부 통로(1209)의 상측 만곡 부분(1206)에 실질적으로 대응하거나 그와 상호 관련된다.
노즐 본체(1203)는 기다란 환형 형상을 가짐에 따라, 랙(1235)은 180도 미만의 각도를 끼고 있는 마이너 호(minor arc)의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호형 랙(1235)은 노즐 본체(1203)에 의해 규정되는 내부 통로(1209)의 상측 만곡 부분(1206)의 대부분 주위에 연장되어 있고, 호형 랙(1235)의 단부는 노즐 본체(1203) 내부에 장착될 때 내부 통로(1209)의 각각의 기다란 측부(1205)와 정렬된다.
제 2 공기 출구(1211)의 공기 출구 채널(1228) 안으로 들어가는 개구는 노즐(1200)의 보어(1204)의 중심 축선(X)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따라서, 제 1 끝 위치에 있을 때 밸브 부재(1231)가 제 2 공기 출구(1211)의 공기 출구 채널(1228)를 폐쇄하기 위해, 밸브 부재(1231) 각각은 보어(1204)의 중심 축선(X)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배치된다. 그러므로 밸브(1230)는, 랙(1235)의 회전이 보어(1204)의 중심 축선(X)에 평행한 방향으로 일어나는 밸브 부재(1231)의 운동으로 전환되도록 구성된다.
랙(1235)의 회전을 보어(1204)의 중심 축선(X)에 평행한 방향으로 일어나는 밸브 부재(1231)의 운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호형 랙(1235)에는, 보어(1204)의 중심 축선(X)에 평행한 방향으로 랙(1235)으로부터 돌출하는 한쌍의 표면이 제공되어 있고, 이들 돌출 표면 각각은 호형 랙(1235)의 곡률을 따르도록 만곡되어 있고, 랙(1235)은, 피니언(1234)이 랙(1235)에 맞물릴 때 한쌍의 돌출 표면이 피니언(1234)의 상호 반대 측들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들 돌출 표면 각각에는 캠 슬롯(1236)의 형태로 된 선형 캠이 제공되어 있고, 그 캠 슬롯은 랙(1235)의 회전 축선에 대해 대략 45도의 각도로 만곡 표면을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고, 또한 대응 밸브 부재(1231)로부터 돌출하는 종동자 핀(1237)과 결합하도록 배치되며, 양 돌출 표면에 제공되어 있는 캠 슬롯(1236)은 동일한 방향으로 각져 있다.
추가로, 한쌍의 밸브 액츄에이터 중의 제 1 밸브 액츄에이터(1238a)는 호형 랙(1235)의 제 1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부착되며, 한쌍의 밸브 액츄에이터 중의 제 2 밸브 액츄에이터(1238b)는 호형 랙(1235)의 반대편 제 2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부착된다. 각 밸브 액츄에이터(1238)는 기다랗고(내부 통로(1209)의 기다란 측부를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됨), 또한 밸브 액츄에이터(1238)의 상단부 쪽에 제공되는 상측 캠 슬롯(1239) 및 밸브 액츄에이터(1238)의 하단부 쪽에 제공되는 하측 캠 슬롯(1240)이 제공되어 있다. 상하측 캠 슬롯(1239, 1240)은 보어(1204)의 중심 축선(X)에 대해 대략 45도의 각도로 대응 밸브 액츄에이터(1238)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고, 각기 대응 밸브 부재(1231)로부터 돌출하는 종동자 핀(1241)과 결합하도록 배치된다. 제 1 밸브 액츄에이터(1238a)에 있는 캠 슬롯(1239a, 1240a)은, 캠 슬롯(1239a, 1240a)이 밸브 액츄에이터(1238a)의 후방부로부터 전방부로 연장되어 있음에 따라, 위쪽으로 각져있고, 제 2 밸브 액츄에이터(1238b)에 있는 캠 슬롯(1239b, 1240b)은, 캠 슬롯(1239b, 1240b)이 밸브 액츄에이터(1238b)의 후방부로부터 전방부로 연장되어 있음에 따라, 아래쪽으로 각져있다. 그러므로 각 밸브 부재(1231)는 3개의 종동자 핀(1237, 1241)을 포함하고, 이들 종동자 핀은, 랙(1235)의 대응 부분에 제공되어 있는 캠 슬롯(1236) 및 대응 밸브 액츄에이터(1238)에 제공되어 있는 상하측 캠 슬롯(1239, 1240)과 각각 결합하도록 배치된다.
밸브 부재(1231)를 제 1 끝 위치와 제 2 끝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기 위해, 제어 회로(1137)는 밸브 모터(1233)에 신호를 보내고, 이 신호에 의해 모터(1233)가 축을 한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에 의해 그 축에 제공되어 있는 피니언(1234)이 회전된다. 그러므로 피니언(1234)과 호형 랙(1235)의 맞물림에 의해 랙(1235)이 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므로 호형 랙(1235)의 회전에 의해, 랙(1235)으로부터 돌출하는 만곡 표면에 제공되어 있는 각진 캠 슬롯(1236)이 캠 슬롯(1236) 내부에 결합되는 대응 밸브 부재(1231)의 종동자 핀(1237)에 대해 움직이게 되며, 캠 슬롯(1236)의 각도에 의해 호형 랙(1235)의 회전 운동이 보어(1204)의 중심 축선(X)에 평행한 방향으로 일어나는 밸브 부재(1231)의 선형 운동으로 전환된다. 특히, 호형 랙(1235)의 회전에 의해 양 돌출 표면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것이다. 이에 대해, 랙(1235)으로부터 돌출하는 만곡 표면에 제공되어 있는 캠 슬롯(1236)이 동일한 방향으로 각져 있음에 따라, 그 만곡 표면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 밸브 부재(1231a)와 제 2 밸브 부재(1231b)가 동일한 방향으로 수평 운동을 하게 된다.
추가로, 호형 랙(1235)이 회전하면, 호형 랙(1235)의 제 1 및 제 2 단부의 수직 변위가 일어나고, 이에 의해, 호형 랙(123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밸브 액츄에이터(1238)의 수직 변위가 일어나게 된다. 특히, 호형 랙(1235)이 회전하면, 호형 랙(1235)의 제 1 및 제 2 단부 중의 하나 및 연결된 밸브 액츄에이터(1238a)가 위쪽으로 움직이게 되고 그리고 호형 랙(1235)의 제 1 및 제 2 단부 중의 다른 하나 및 연결된 밸브 액츄에이터(1238b)는 아래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밸브 액츄에이터(1238)의 수직 변위에 의해, 이 밸브 액츄에이터(1238)에 제공되어 있는 각진 캠 슬롯(1239, 1240)이 대응 밸브 부재(1231)의 각각의 종동자 핀(1241)에 대해 움직이게 되며, 캠 슬롯(1239, 1240)의 각도로 인해, 밸브 액츄에이터(1238)의 수직 변위가, 보어(1204)의 중심 축선(X)에 평행한 방향으로 일어나는 밸브 부재(1231)의 수평 운동으로 전환된다. 이에 대해, 제 1 밸브 액츄에이터(1238a)에 제공되어 있는 캠 슬롯(1239a, 1240a)이 제 2 밸브 액츄에이터(1238b)에 제공되어 있는 캠 슬롯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각져 있음에 따라, 서로 반대되는 수직 방향으로 일어나는 제 1 밸브 액츄에이터(1238a)와 제 2 밸브 액츄에이터(1238b)의 운동은, 동일한 방향으로 일어나는 제 1 밸브 부재(1231a)와 제 2 밸브 부재(1231b)의 수평 운동으로 전환된다.
팬 어셈블리(1000)를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버튼을 누른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팬 어셈블리(1000) 자체에, 관련된 원격 제어부(나타나 있지 않음)에 그리고/또는 팬 어셈블리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태블릿 또는 스마트폰(나타나 있지 않음)과 같은 무선 컴퓨팅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의 이 행위는 제어 회로(1137)에 전달되고, 이에 응하여 제어 회로(1137)는 팬 모터(1126)를 활성화시켜 임펠러(1104)를 회전시킨다. 임펠러(1104)의 회전에 의해 공기 유동이 필터 어셈블리(1107)를 경유해 공기 입구(1105)를 통해 본체(1100) 안으로 끌려 들어간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팬 모터(1126)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고, 그래서 공기가 공기 입구(1105)를 통해 본체 안으로 끌려 들어가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공기 유동은 필터 어셈블리(1107), 입구(1105), 임펠러 하우징(1109) 및 팬 어셈블리(1000)의 본체(1100)의 개방 상단부에 있는 공기 배출구(1121)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노즐(1200)의 기부(1201)에 위치되어 있는 공기 입구(1202)를 통해 노즐(1200)의 내부 통로(1209)에 들어가게 된다.
내부 통로(1209) 내에서, 공기 유동은, 각기 내부 통로(1209)의 각각의 곧은 부분(1205) 내에서 노즐(1200)의 보어(1204) 주위를 서로 반대되는 각도 방향으로 지나가는 2개의 공기 흐름물로 분할된다. 공기 흐름물이 내부 통로(1209)를 통과함에 따라, 각 조향 가능한 제 1 공기 출구(1210)의 출구 본체(1214)의 위치와 제 2 공기 출구(1211)의 밸브 부재(1231)의 위치에 따라 공기가 제 1 공기 출구(1210)와 제 2 공기 출구(1211) 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통해 방출된다.
내부 통로(1209)에 제공되어 있는 양 밸브 부재(1231)가 제 1 끝 위치에 있을 때, 밸브 부재(1231)에 제공되어 있는 시일링 요소(1232)의 기다란 부분이 배플 벽(1227)의 전방 단부 및 외측 케이싱 부분(1223)의 내부 표면의 겹침 부분과 접촉할 것이다. 그러므로 밸브 부재(1231)는, 공기 유동이 제 2 공기 출구(1211)의 공기 출구 채널(1228)에 들어가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제 2 공기 출구(1211)의 공기 출구 채널(1228) 안으로의 개구를 실질적으로 폐쇄한다. 그래서 노즐(1200) 내에 있는 공기 유동 전체는 조향 가능한 제 1 공기 출구(1210)를 통해서만 노즐(1200)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반대로, 내부 통로(1209)에 제공되어 있는 양 밸브 부재(1231)가 제 2 끝 위치에 있을 때, 제 2 공기 출구(1211)의 공기 출구 채널(1228) 안으로 들어가는 개구가 내부 통로(1209)의 나머지에 개방되어, 노즐(1200) 내의 공기 유동이 제 2 공기 출구(1211)를 통해 노즐(1200)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그런 다음에 제어 회로(1137)가 각 조향 가능한 제 1 공기 출구(1210)의 조향 모터(1218)를 제어하여 대응 출구 본체(1214)를 벡터링 범위의 끝 중의 하나를 넘어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래서 출구 본체(1214)의 공기 출구 채널(1215)의 유입 단부(1216)와 유출 단부(1217) 둘 모두가 대응 출구 부분(1212)의 내부 내에 배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조향 가능한 제 1 공기 출구(1210)가 폐쇄되는데, 대응 출구 본체(1214)의 공기 출구 채널(1215)을 통과하는 어떤 것도 노즐(1200) 내부에 남아 있을 것이고 노즐(1200)로부터 방출되지 않을 것이다. 노즐(1200) 내부의 공기 유동 전체는 제 2 공기 출구(1211)를 통해서만 노즐(1200)로부터 방출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도 17은 도 10의 노즐(1200)을 통과한 정상 단면도를 나타내며, 여기서 밸브(1230)는 개방되어 있고 출구 본체(1214)는 조향 가능한 제 1 공기 출구(1210)가 폐쇄되도록 배치된다.
전술한 개별적인 항목들은 단독으로 또는 도면에 나타나 있거나 설명부에 기재되어 있는 다른 항목과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동일한 단락 또는 서로 동일한 도에서 언급된 항목들은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필요는 없음을 알 것이다. 추가로, "수단" 이라는 표현은 바람직하다면 액츄에이터 또는 시스템 또는 장치로 대체될 수 있다. 추가로, "포함하는" 또는 "이루어지는" 이라고 말할 때, 이는 결코 한정적인 것이 아니고, 독자는 그에 따라 설명부와 청구 범위를 해석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에서 주어진 바와 같은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면에서 설명되었지만, 이들 실시 형태는 단지 실례적인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속한다고 생각되는 수정예와 대안예를 본 개시를 고려하여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당업자는, 전술한 발명은 단지 자유 직립형 팬 어셈블리에만 적용 가능한 것이 아니라 다른 종류의 환경 제어 팬 어셈블리에도 동등하게 적용 가능함을 알 것이다. 예컨대, 그러한 팬 어셈블리는 자유 직립형 팬 어셈블리, 천정 또는 벽 장착 팬 어셈블리 및 차량내 팬 어셈블리 중의 어떤 것이라도 될 수 있다.
추가로, 전술한 실시 형태 모두는 밸브의 밸브 부재의 운동을 일으키기 위한 밸브 모터를 제공하지만, 여기서 설명되는 노즐은 대안적으로 밸브 부재의 운동을 일으키기 위한 수동 기구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밸브 부재가 움직일 것이다. 예컨대, 이는 회전 가능한 다이얼 또는 휠 또는 슬라이딩 다이얼 또는 스위치의 형태를 취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다이얼이 회전 또는 슬라이딩되면 축, 피니언 및 랙이 회전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 각각은, 대략적으로 원통형이고 그래서 원형 단면을 갖는 출구 본체를 포함한다. 그러나,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 각각은 부분적으로만 원통형인 출구 본체를 포함하고, 원통형 부분은 출구 본체가 대응 개구 내에서 회전할 수 있게 하기에 충분하다. 예컨대,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의 출구 본체는 절두 원형, 원형 부채꼴, 눈물방울형 등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추가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의 출구 본체를 통과하는 공기 출구 채널은 곧으며 직경 방향으로 출구 본체를 통해 연장되어 있지만, 공기 출구 채널은 만곡되어 있을 수 있고, 출구 본체의 직경에 대해 각져 있거나 그로부터 오프셋되어 있을 수 있다.

Claims (16)

  1. 팬 어셈블리로서,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배치되는 공기 유동 발생기; 및
    팬 어셈블리로부터 공기 유동을 방출하도록 배치되는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노즐 본체 및 각기 상기 공기 유동의 일부분을 방출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를 포함하며,
    각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는 상기 노즐 본체의 대응 출구 부분 내에 있는 개구 및 이 개구를 실질적으로 막도록 배치되는 기다란 출구 본체를 포함하며, 출구 본체는 상기 개구 내에서 상기 출구 본체의 길이 방향 축선 주위로 회전하도록 배치되며,
    각 출구 본체에는 출구 본체의 폭을 통해 연장되어 있는 공기 출구 채널이 제공되어 있는, 팬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는 상기 노즐 본체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팬 어셈블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 출구 본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형인 단면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인, 팬 어셈블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출구 본체의 공기 출구 채널은 곧게 되어 있고 직경 방향으로 상기 출구 본체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팬 어셈블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는 대응 출구 본체를 회전시키도록 배치되는 조향 모터를 더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를 제어하도록 배치되는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하고, 제어 회로는 각 조향 모터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배치되는, 팬 어셈블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는, 노즐 본체에 대한 출구 본체의 배향을 검출하도록 배치되는 출구 본체 배향 검출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본체 배향 검출 시스템은 출구 본체가 현재 벡터링 범위의 두 부분 중 어느 부분에 있는지를 검출하도록 배치되는, 팬 어셈블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본체 배향 검출 시스템은 상기 노즐 본체에 제공되어 있는 광 차단기, 및 출구 본체가 회전 범위의 두 부분 중의 하나에 있을 때 상기 광 차단기에 의해 검출되도록 배치되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본체는 각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의 출구 부분을 규정하는 케이싱을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
  11. 제 10 항에 있어서,
    각 출구 부분은 상기 케이싱에 의해 규정되는 내부 통로를 포함하고, 이 내부 통로는 노즐의 공기 입구로부터 공기를 상기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에 전달하도록 배치되는, 팬 어셈블리.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제 1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 및 제 2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를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본체는 상기 제 1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를 제공하는 제 1 출구 부분 및 상기 제 2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를 제공하는 제 2 출구 부분을 제공하는, 팬 어셈블리.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는 상기 제 1 출구 부분에 의해 규정되는 제 1 개구, 및 제 1 개구 내부에 배치되고 제 1 개구 내에서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제 1 출구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는 상기 제 2 출구 부분에 의해 규정되는 제 2 개구, 및 제 2 개구 내부에 배치되고 제 2 개구 내에서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제 2 출구 본체를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본체는 기다란 환형 형상을 가지며, 제 1 및 제 2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 각각은 노즐 본체의 각각의 기다란 측부에 위치되는, 팬 어셈블리.
  16. 팬 어셈블리용 노즐로서,
    팬 어셈블리로부터 공기 유동을 받기 위한 공기 입구; 및
    노즐 본체와, 각기 상기 공기 유동의 일부분을 방출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를 포함하고,
    각 조향 가능한 공기 출구는 상기 노즐 본체의 대응 출구 부분 내에 있는 개구 및 이 개구를 실질적으로 막도록 배치되는 기다란 출구 본체를 포함하며, 출구 본체는 상기 개구 내에서 상기 출구 본체의 길이 방향 축선 주위로 회전하도록 배치되며,
    각 출구 본체에는 출구 본체의 폭을 통해 연장되어 있는 공기 출구 채널이 제공되어 있는, 팬 어셈블리용 노즐.
KR1020217024339A 2019-01-02 2019-12-17 조절 가능한 노즐을 갖는 유도 젯트 팬 KR102633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7003399A KR20240017420A (ko) 2019-01-02 2019-12-17 조절 가능한 노즐을 갖는 유도 젯트 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1900025.6A GB201900025D0 (en) 2019-01-02 2019-01-02 A fan assembly
GB1900025.6 2019-01-02
GB1913181.2A GB2580465B (en) 2019-01-02 2019-09-12 A fan assembly
GB1913181.2 2019-09-12
PCT/GB2019/053587 WO2020141309A1 (en) 2019-01-02 2019-12-17 Induction jet fan with an adjustable nozzl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3399A Division KR20240017420A (ko) 2019-01-02 2019-12-17 조절 가능한 노즐을 갖는 유도 젯트 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7854A true KR20210107854A (ko) 2021-09-01
KR102633020B1 KR102633020B1 (ko) 2024-02-05

Family

ID=653646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3399A KR20240017420A (ko) 2019-01-02 2019-12-17 조절 가능한 노즐을 갖는 유도 젯트 팬
KR1020217024339A KR102633020B1 (ko) 2019-01-02 2019-12-17 조절 가능한 노즐을 갖는 유도 젯트 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3399A KR20240017420A (ko) 2019-01-02 2019-12-17 조절 가능한 노즐을 갖는 유도 젯트 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802571B2 (ko)
JP (1) JP7170877B2 (ko)
KR (2) KR20240017420A (ko)
CN (2) CN212106397U (ko)
GB (2) GB201900025D0 (ko)
WO (1) WO202014130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529908A (ja) * 2018-06-27 2021-11-04 ダイソン・テクノロジー・リミテッド ファン組立体用ノズル
JP2021530642A (ja) * 2018-06-27 2021-11-11 ダイソン・テクノロジー・リミテッド ファン組立体用ノズル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75063B (en) * 2018-06-27 2021-06-09 Dyson Technology Ltd A nozzle for a fan assembly
GB2575064B (en) * 2018-06-27 2021-06-09 Dyson Technology Ltd A nozzle for a fan assembly
GB201900025D0 (en) * 2019-01-02 2019-02-13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CN110486809A (zh) * 2019-08-22 2019-11-2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室内机
CN110486829B (zh) * 2019-08-22 2023-06-2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柜式空调室内机
CN110486821B (zh) * 2019-08-22 2023-06-2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柜式空调室内机
CN110486827B (zh) * 2019-08-22 2023-05-1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柜式空调室内机
CN110486820B (zh) * 2019-08-22 2023-06-2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柜式空调室内机
CN110486828B (zh) * 2019-08-22 2023-03-28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室内机
CN110486822B (zh) * 2019-08-22 2023-04-2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柜式空调室内机
CN110500660B (zh) * 2019-08-22 2023-06-0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柜式空调室内机
CN110486830B (zh) * 2019-08-22 2023-06-2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柜式空调室内机
CN110486812B (zh) * 2019-08-22 2023-06-2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室内机
CN110486807B (zh) * 2019-08-22 2023-06-2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柜式空调室内机
CN110486808A (zh) * 2019-08-22 2019-11-2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室内机
CN110486819B (zh) * 2019-08-22 2023-06-2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柜式空调室内机
CN110486831B (zh) * 2019-08-22 2023-06-2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柜式空调室内机
CN110657497B (zh) * 2019-08-22 2023-06-2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柜式空调室内机
CN110486813A (zh) * 2019-08-22 2019-11-2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柜式空调室内机
CN110486837B (zh) * 2019-08-22 2023-06-2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柜式空调室内机
CN110486823B (zh) * 2019-08-22 2023-04-18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柜式空调室内机
CN110486811A (zh) * 2019-08-22 2019-11-2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柜式空调室内机
CN110631133B (zh) * 2019-08-22 2023-06-2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柜式空调室内机
CN110486825B (zh) * 2019-08-22 2023-06-0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柜式空调室内机
CN110486814A (zh) * 2019-08-22 2019-11-2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柜式空调室内机
CN110500659B (zh) * 2019-08-22 2023-06-0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柜式空调室内机
CN110486824B (zh) * 2019-08-22 2023-03-2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柜式空调室内机
CN110486806B (zh) * 2019-08-22 2023-06-1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柜式空调室内机
CN110486810A (zh) * 2019-08-22 2019-11-2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柜式空调室内机
CN110486826B (zh) * 2019-08-22 2023-06-0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柜式空调室内机
CN110486815B (zh) * 2019-08-22 2023-11-17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柜式空调室内机
WO2021177713A1 (ko) * 2020-03-04 2021-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로어
US20210372437A1 (en) * 2020-06-02 2021-12-02 Lg Electronics Inc. Blower
KR102541404B1 (ko) * 2020-12-28 2023-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로어
KR102572842B1 (ko) * 2021-09-03 2023-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로워
EP4160100A1 (en) * 2021-09-30 2023-04-05 Philips Domestic Appliances Holding B.V. An air delivery system
GB2616304B (en) * 2022-03-04 2024-06-26 Dyson Technology Ltd Fan assembl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67399U (ko) * 1978-10-31 1980-05-09
JPS5864930U (ja) * 1981-10-26 1983-05-02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エバポレ−タ
JP2013113301A (ja) * 2011-11-24 2013-06-10 Dyson Technology Ltd ファン組立体
JP2017009202A (ja) * 2015-06-23 2017-01-12 シャープ株式会社 送風装置
JP2017198181A (ja) * 2016-10-25 2017-11-02 ツインバード工業株式会社 送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88467A (en) 1947-09-12 1949-11-15 Lisio Salvatore De Motor-driven fan
DE2933083C2 (de) * 1979-08-16 1983-04-07 Kessler & Luch Gmbh, 6300 Giessen Luftauslaß für Klimaanlagen
CN1662419A (zh) * 2002-06-28 2005-08-31 Vtol技术有限公司 管道式气流动力设备
JP2010177021A (ja) 2009-01-29 2010-08-12 Rohm Co Ltd 傾斜センサ
GB2476171B (en) 2009-03-04 2011-09-07 Dyson Technology Ltd Tilting fan stand
GB2493506B (en) * 2011-07-27 2013-09-11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WO2013035271A1 (ja) * 2011-09-06 2013-03-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送風装置
GB2511757B (en) * 2013-03-11 2016-06-15 Dyson Technology Ltd Fan assembly nozzle with control port
JP6383935B2 (ja) * 2013-12-19 2018-09-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送風装置
RU2017131800A (ru) 2015-02-13 2019-03-13 Дайсон Текнолоджи Лимитед Вентилятор в сборе
KR101837811B1 (ko) * 2015-12-03 2018-03-13 백상진 전동식 자동 풍향 조절 장치가 내장된 분리형 헤어드라이어 노즐
DE202016106540U1 (de) * 2016-11-23 2018-03-06 Caverion Deutschland GmbH Luftauslass zum Temperieren eines Raumes
CN107542692A (zh) 2017-09-30 2018-01-05 程凌军 一种无叶风扇
CN107542696A (zh) 2017-10-21 2018-01-05 王友宏 泵的填充密封结构
GB2568938B (en) 2017-12-01 2020-12-30 Dyson Technology Ltd A filter assembly
GB2568937B (en) 2017-12-01 2020-08-12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GB201900025D0 (en) 2019-01-02 2019-02-13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67399U (ko) * 1978-10-31 1980-05-09
JPS5864930U (ja) * 1981-10-26 1983-05-02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エバポレ−タ
JP2013113301A (ja) * 2011-11-24 2013-06-10 Dyson Technology Ltd ファン組立体
JP2017009202A (ja) * 2015-06-23 2017-01-12 シャープ株式会社 送風装置
JP2017198181A (ja) * 2016-10-25 2017-11-02 ツインバード工業株式会社 送風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529908A (ja) * 2018-06-27 2021-11-04 ダイソン・テクノロジー・リミテッド ファン組立体用ノズル
JP2021530642A (ja) * 2018-06-27 2021-11-11 ダイソン・テクノロジー・リミテッド ファン組立体用ノズ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580465B (en) 2021-09-22
GB201900025D0 (en) 2019-02-13
CN212106397U (zh) 2020-12-08
CN111396374A (zh) 2020-07-10
GB201913181D0 (en) 2019-10-30
JP2022510452A (ja) 2022-01-26
CN111396374B (zh) 2022-06-14
US20220074419A1 (en) 2022-03-10
GB2580465A (en) 2020-07-22
WO2020141309A1 (en) 2020-07-09
KR102633020B1 (ko) 2024-02-05
KR20240017420A (ko) 2024-02-07
US20240035483A1 (en) 2024-02-01
JP7170877B2 (ja) 2022-11-14
US11802571B2 (en) 202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3020B1 (ko) 조절 가능한 노즐을 갖는 유도 젯트 팬
US11022146B2 (en) Fan assembly
US20190170162A1 (en) Fan assembly
US11767859B2 (en) Fan assembly
US11767853B2 (en) Nozzle for a fan assembly
KR102499701B1 (ko) 팬 어셈블리용 노즐
CN211820129U (zh) 用于风扇组件的喷嘴和风扇组件
KR102499694B1 (ko) 팬 어셈블리용 노즐
JP6894510B2 (ja) 風向調整可能な空気清浄機
US20210270292A1 (en) Nozzle for a fan assembly
CN104165134B (zh) 风扇及其用于风扇的喷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