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77713A1 - 블로어 - Google Patents

블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77713A1
WO2021177713A1 PCT/KR2021/002600 KR2021002600W WO2021177713A1 WO 2021177713 A1 WO2021177713 A1 WO 2021177713A1 KR 2021002600 W KR2021002600 W KR 2021002600W WO 2021177713 A1 WO2021177713 A1 WO 202117771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oor
upper body
slit
space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260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재혁
백승호
김기동
최석호
김후진
정혜인
이창훈
장호식
박기쁨
김용민
김재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02728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30059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02728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10112122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06627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44819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11446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22931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21764196.8A priority Critical patent/EP4116590A4/en
Priority to US17/908,625 priority patent/US20230122270A1/en
Publication of WO202117771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7771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6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 F04D29/462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10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direction of output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02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by varying geometry within the pumps, e.g. by adjusting 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03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by thrott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14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 F04F5/16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4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F5/02 - F04F5/42
    • F04F5/46Arrangements of nozzles
    • F04F5/461Adjustable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6Arrangements for air-circulation by means of induction, e.g. by fluid coupling or thermal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6Fan casings
    • F04D29/4246Fan casings comprising more than one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4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F5/02 - F04F5/42
    • F04F5/46Arrangements of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4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8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the Coanda effect

Abstract

블로어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블로어는,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팬; 상기 팬이 설치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고, 공기가 통과하는 흡입홀이 형성되는 로어 바디; 그리고, 상기 로어 바디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로어 바디의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어퍼 바디;로서, 전후방향에서, 상기 어퍼 바디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스페이스를 구비하는 어퍼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 바디는: 상기 어퍼 바디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어퍼 바디의 상기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스페이스로 토출하는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은: 상기 어퍼 바디의 후단에 인접하는 리어 슬릿; 그리고, 상기 어퍼 바디의 전단에 인접하는 프런트 슬릿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로어
본 개시는 블로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개시는 송풍방향 또는 송풍범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블로어에 관한 것이다.
블로어(blower)는 공기의 유동을 일으켜, 실내 공간에서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사용자를 향하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최근, 사용자에게 쾌적감을 줄 수 있는 블로어의 공기 토출 구조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KR2011-0099318, KR2011-0100274, KR2019-0015325, 및 KR2019-0025443는 송풍 장치 또는 코안다 효과를 이용하여 공기를 송풍시키는 팬을 개시한다.
한편, 종래의 송풍 장치는 송풍방향 또는 송풍범위를 조절하기 위해 송풍 장치 자체를 이동 또는 회전시키는 것이 필요하였다. 이로 인하여, 송풍세기 또는 송풍방향을 효과적으로 조절하기 어렵거나, 과도한 전력이 소비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코안다 효과를 이용하여 공기를 송풍시킬 수 있는 블로어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슬릿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혼합에 의해 직접풍 또는 간접풍의 기류를 형성할 수 있는 블로어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송풍방향 또는 송풍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공기가 토출되는 슬릿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를 구비하는 블로어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슬릿을 개폐하는 도어의 구동 메커니즘에 대한 다양한 예들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팬; 상기 팬이 설치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고, 공기가 통과하는 흡입홀이 형성되는 로어 바디; 그리고, 상기 로어 바디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로어 바디의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어퍼 바디;로서, 전후방향에서, 상기 어퍼 바디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스페이스를 구비하는 어퍼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 바디는: 상기 어퍼 바디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어퍼 바디의 상기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스페이스로 토출하는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은: 상기 어퍼 바디의 후단에 인접하는 리어 슬릿; 그리고, 상기 어퍼 바디의 전단에 인접하는 프런트 슬릿을 포함하는 블로어를 제공한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리어 슬릿은, 상기 스페이스를 향하며 전방으로 경사진 방향에서, 상기 어퍼 바디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프런트 슬릿은, 상기 스페이스의 전방을 향하며 전방으로 경사진 방향에서, 상기 어퍼 바디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어퍼 바디는: 상기 스페이스를 향하며, 상기 리어 슬릿과 상기 프런트 슬릿이 형성되는 이너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 패널의 표면은 상기 스페이스를 향해 볼록한 곡면일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어퍼 바디는: 상기 어퍼 바디의 상기 유로를 형성하는 이너 슬리브; 그리고, 상기 이너 슬리브를 둘러싸는 패널;로서, 상기 이너 패널과, 상기 이너 패널에 대향하는 아우터 패널을 구비하는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너 패널은, 상기 아우터 패널과 접하여 상기 어퍼 바디의 상기 전단과 상기 후단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어퍼 바디는: 상기 어퍼 바디의 상기 후단에 인접하고, 상기 이너 패널과 상기 아우터 패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개구;로서, 상기 어퍼 바디의 상기 유로에 위치하는 입구와, 상기 리어 슬릿을 형성하는 출구를 구비하는 개구; 그리고, 상기 어퍼 바디의 상기 전단에 인접하고, 상기 이너 패널과 상기 아우터 패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슬롯;으로서, 상기 어퍼 바디의 상기 유로에 위치하는 입구와, 상기 프런트 슬릿을 형성하는 출구를 구비하는 슬롯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너 슬리브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 또는 상기 슬롯 중 적어도 하나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어퍼 바디는: 상기 로어 바디의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제1 유로를 형성하는 제1 어퍼 바디; 그리고, 상기 제1 어퍼 바디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로어 바디의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제2 유로를 형성하는 제2 어퍼 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스는 상기 제1 어퍼 바디와 상기 제2 어퍼 바디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리어 슬릿은: 상기 제1 어퍼 바디의 후단에 인접하는 제1 리어 슬릿; 그리고, 상기 제2 어퍼 바디의 후단에 인접하는 제2 리어 슬릿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 슬릿은: 상기 제1 어퍼 바디의 전단에 인접하는 제1 프런트 슬릿; 그리고, 상기 제2 어퍼 바디의 전단에 인접하는 제2 프런트 슬릿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리어 슬릿과 상기 제1 프런트 슬릿은, 상기 제1 어퍼 바디의 상기 스페이스를 향하는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리어 슬릿과 상기 제2 프런트 슬릿은, 상기 제2 어퍼 바디의 상기 스페이스를 향하는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어퍼 바디는 상기 제2 어퍼 바디로부터 좌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 리어 슬릿은 상기 제2 리어 슬릿과 좌우로 대칭되며, 상기 제1 프런트 슬릿은 상기 제2 프런트 슬릿과 좌우로 대칭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어퍼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프런트 슬릿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1 도어 어셈블리; 상기 제2 어퍼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프런트 슬릿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2 도어 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제1 도어 어셈블리와 상기 제2 도어 어셈블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도어 어셈블리와 상기 제2 도어 어셈블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도어 어셈블리는 상기 제2 도어 어셈블리와 좌우로 대칭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도어 어셈블리는, 상기 제1 프런트 슬릿을 개폐하는 제1 도어; 그리고, 상기 제1 어퍼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도어에 동력을 제공하는 제1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제1 어퍼 바디의 내부에서, 슬라이딩되거나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어퍼 바디의 상기 스페이스를 향하는 표면은, 상기 스페이스를 향해 볼록한 곡면이고, 상기 제1 도어의 상기 스페이스를 향하는 표면은, 상기 제1 어퍼 바디의 상기 스페이스를 향하는 표면과 동일한 곡률을 가진 곡면일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제1 모터의 동작에 대응해, 상기 제1 어퍼 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제1 도어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1 프런트 슬릿을 개폐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제1 프런트 슬릿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제1 도어의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제1 도어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제1 도어 플레이트에서 돌출되는 제1 도어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어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되는 제1 피니언; 그리고, 상기 제1 피니언에 맞물리는 제1 랙을 구비하는 제1 링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제1 링크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랙의 이동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어 핀은 상기 제1 가이드 홈에 상기 제1 가이드 홈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도어 플레이트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도어 플레이트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어퍼 가이드; 그리고, 상기 제1 도어 플레이트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도어 플레이트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로어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제1 모터의 동작에 대응해, 상기 제1 어퍼 바디의 내부에서, 호(arc)를 그리며 이동하여, 상기 제1 프런트 슬릿을 개폐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제1 도어의 원주방향에서 상기 제1 프런트 슬릿에 삽입 가능한 전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어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모터의 동력을 상기 제1 도어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 그리고, 상기 제1 도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어퍼 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제1 도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도어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제1 모터의 동작에 대응해, 상기 제1 어퍼 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제1 프런트 슬릿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피벗(pivot)되어, 상기 제1 프런트 슬릿을 개폐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도어의 면적은 상기 제1 프런트 슬릿의 크기보다 크고,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제1 어퍼 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제1 프런트 슬릿을 덮거나 이로부터 떨어지는 제1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어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고, 상기 제1 도어의 피벗 중심을 형성하는 제1 도어축; 그리고, 상기 제1 도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도어축이 고정되는 제1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도어 어셈블리와 상기 제2 도어 어셈블리의 동작을 동기화(sync)하여, 상기 제1 프런트 슬릿의 개폐와 상기 제2 프런트 슬릿의 개폐를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도어 어셈블리와 상기 제2 도어 어셈블리의 동작을 다르게 제어하여, 상기 제1 프런트 슬릿의 개폐와 상기 제2 프런트 슬릿의 개폐를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블로어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코안다 효과를 이용하여 공기를 송풍시킬 수 있는 블로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다수의 슬릿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혼합에 의해 직접풍 또는 간접풍의 기류를 형성할 수 있는 블로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송풍방향 또는 송풍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공기가 토출되는 슬릿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를 구비하는 블로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슬릿을 개폐하는 도어의 구동 메커니즘에 대한 다양한 예들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로어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3은 도 1의 I-I'선 절단면이다.
도 4는 도 1의 II-II'선 절단면이다.
도 5 내지 7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 및 9는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가 프런트 슬릿을 폐쇄함에 따라 형성되는 간접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 및 1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가 프런트 슬릿을 개방함에 따라 형성되는 직접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블로어의 내부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16은 본 개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가 프런트 슬릿을 폐쇄함에 따라 형성되는 간접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가 프런트 슬릿을 개방함에 따라 형성되는 직접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블로어의 내부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가 프런트 슬릿을 폐쇄함에 따라 형성되는 간접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가 프런트 슬릿을 개방함에 따라 형성되는 직접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 및 24는 본 개시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가 한쌍의 프런트 슬릿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되 다른 하나를 폐쇄함에 따라 형성되는 기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23은 우측 편향 기류를 도시하고, 도 24은 좌측 편향 기류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면에 표시된 상(U), 하(D), 좌(Le), 우(Ri), 전(F), 그리고 후(R)의 방향표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며, 이에 의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블로어(100, blower)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블로어(100)는 베이스(102), 로어 바디(110), 그리고 어퍼 바디(120, 130)를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102, 도 2 참조)는 블로어(100)의 하면을 형성하며, 실내 공간의 바닥에 놓일 수 있다. 베이스(102)는 전체적으로 원판(circular plat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바디(110)는 베이스(10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로어 바디(110)는 블로어(100)의 측면 하부를 형성할 수 있다. 로어 바디(110)는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어 바디(110)의 직경은 로어 바디(110)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로어 바디(110)의 직경은 상하방향에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흡입홀(112)은 로어 바디(110)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흡입홀들(112)은 로어 바디(110)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고르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공기는 복수개의 흡입홀들(112)을 통해 블로어(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어퍼 바디(120, 130)는 로어 바디(1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어퍼 바디(120, 130)는 로어 바디(11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어퍼 바디(120, 130)는 서로 이격되는 제1 어퍼 바디(120)와 제2 어퍼 바디(130)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어퍼 바디(120, 130)는 단일의 어퍼 바디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어퍼 바디(120, 130)는 로어 바디(110)의 상측에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거나, 원(타원), 또는 트랙(track) 모양의 링 또는 오픈 링(open ring)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바디(110)에 대한 단일의 어퍼 바디(120, 130)의 위치는 어퍼 바디(120, 130)의 형상, 어퍼 바디(120, 130)에 형성된 공기의 토출홀의 위치, 형상, 및 개수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하, 간략한 설명을 위하여 어퍼 바디(120, 130)가 제1 어퍼 바디(120)와 제2 어퍼 바디(130)를 구비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이에 대한 설명은 어퍼 바디(120, 130)의 개수가 2 개인 경우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닌 한 어퍼 바디(120, 130)가 단일의 어퍼 바디로 구비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 어퍼 바디(120)와 제2 어퍼 바디(130)는 로어 바디(1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어퍼 바디(120)와 제2 어퍼 바디(130)는 블로어(100)의 측면 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어퍼 바디(120)와 제2 어퍼 바디(13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좌우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스페이스(109)는 제1 어퍼 바디(120)와 제2 어퍼 바디(130) 사이에 형성되어, 공기의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스페이스(109)는 블로잉 스페이스(blowing space), 밸리(valley), 또는 채널(channel)이라 칭할 수 있다. 한편, 제1 어퍼 바디(120)는 제1 타워라 칭하고, 제2 어퍼 바디(130)는 제2 타워라 칭할 수 있다.
제1 어퍼 바디(120)는 제2 어퍼 바디(130)로부터 좌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어퍼 바디(12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어퍼 바디(120)는 제1 어퍼 바디(12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1 패널(121, 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너 패널(121)은 스페이스(109)를 향하며, 스페이스(109)의 경계의 일부를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이너 패널(121)의 표면은 제1 어퍼 바디(120)로부터 스페이스(109)를 향하는 방향 또는 우측으로 볼록한 곡면일 수 있다. 제1 아우터 패널(122)은 제1 이너 패널(121)에 대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아우터 패널(122)의 표면은 제1 어퍼 바디(120)로부터 스페이스(109)를 향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 또는 좌측으로 볼록한 곡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이너 패널(121)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아우터 패널(122)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선에 대해 스페이스(109)를 향하는 방향 또는 우측으로 일정 각도(예각)로 기울어져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1 아우터 패널(122)의 곡률은 제1 이너 패널(121)의 곡률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제1 이너 패널(121)은 제1 아우터 패널(122)과 만나 엣지(edge)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엣지는 제1 어퍼 바디(120)의 전단(120F)과 후단(120R)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단(120F)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선에 대해 후방으로 일정 각도(예각)로 기울어져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단(120R)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선에 대해 전방으로 일정 각도(예각)로 기울어져 연장될 수 있다.
제2 어퍼 바디(130)는 제1 어퍼 바디(120)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어퍼 바디(13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어퍼 바디(130)는 제2 어퍼 바디(13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2 패널(131, 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너 패널(131)은 스페이스(109)를 향하며, 스페이스(109)의 경계의 일부를 정의할 수 있다. 제2 이너 패널(131)의 표면은 제2 어퍼 바디(130)로부터 스페이스(109)를 향하는 방향 또는 좌측으로 볼록한 곡면일 수 있다. 제2 아우터 패널(132)은 제2 이너 패널(131)에 대향할 수 있다. 제2 아우터 패널(132)의 표면은 제2 어퍼 바디(130)로부터 스페이스(109)를 향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 또는 우측으로 볼록한 곡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이너 패널(131)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아우터 패널(132)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선에 대해 스페이스(109)를 향하는 방향 또는 좌측으로 일정 각도(예각)로 기울어져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2 아우터 패널(132)의 곡률은 제2 이너 패널(131)의 곡률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제2 이너 패널(131)은 제2 아우터 패널(132)과 만나 엣지(edge)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엣지는 제2 어퍼 바디(130)의 전단(130F)과 후단(130R)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단(130F)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선에 대해 후방으로 일정 각도(예각)로 기울어져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단(130R)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선에 대해 전방으로 일정 각도(예각)로 기울어져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제1 어퍼 바디(120)와 제2 어퍼 바디(130)는 스페이스(109)를 사이에 두고 좌우로 대칭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아우터 패널(122)의 표면과 제2 아우터 패널(132)의 표면은 로어 바디(110)의 외주면(111)을 따라서 연장되는 가상의 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아우터 패널(122)의 표면과 제2 아우터 패널(132)의 표면은 로어 바디(110)의 외주면(111)에 매끄럽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어퍼 바디(120)의 상면과 제2 어퍼 바디(130)의 상면은 수평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블로어(100)는 전체적으로 원뿔대(truncated con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블로어(100)가 외부 충격에 의하여 전도될 위험성이 낮아질 수 있다.
그루브(141)는 제1 어퍼 바디(120)와 제2 어퍼 바디(130) 사이에 위치하고,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그루브(141)는 아래로 오목한 곡면일 수 있다. 그루브(141)는 제1 이너 패널(121)의 하변과 연결되는 제1 변과, 제2 이너 패널(131)의 하변에 연결되는 제2 변을 가질 수 있다. 그루브(141)는 스페이스(109)의 경계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후술하는 팬(150)에 의해 로어 바디(110)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공기는 그루브(141)를 사이에 두고 제1 어퍼 바디(120)의 내부 공간과 제2 어퍼 바디(130)의 내부 공간으로 분배될 수 있다. 한편, 그루브(141)는 연결홈 또는 연결면으로 칭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15)는 로어 바디(110)의 전방부에 구비되어, 블로어(100)의 운전정보를 표시하거나,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디스플레이는 터치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로어 바디(110)는 후술하는 필터(103), 팬(150), 그리고 에어 가이드(160)가 설치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필터(103)는 로어 바디(110)의 내부 공간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필터(103)는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필터(103)는 필터(103)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홀(103P)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내기(indoor air)는 후술하는 팬(150)의 동작에 의해 흡입홀(112)을 거쳐 로어 바디(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로어 바디(110)의 내부로 유입된 내기는 필터(103)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으로 유동하며 정화되고, 홀(103P)을 거쳐 상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필터 서포터(103a)는 필터(103)의 하측에서 필터(103)에 결합되어, 필터(103)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터 서포터(103a)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는 필터 서포터(103a)에 내장될 수 있다. 필터 프레임(103b)은 필터(103)의 상측에서 필터(103)에 결합될 수 있다. 필터 프레임(103b)은 필터(103)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릴(150a)은 필터(103)와 팬(1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103)가 필터 프레임(103b)으로부터 분리되면, 그릴(150a)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팬(150)의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팬(150)은 로어 바디(11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필터(103)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팬(150)은 블로어(100)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블로어(100)로부터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일으킬 수 있다. 팬(150)은 팬 하우징(151), 팬 모터(미도시), 허브(153), 쉬라우드(154), 그리고 블레이드(15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팬(150)은 팬 어셈블리 또는 팬 모듈로 칭할 수 있다.
팬 하우징(151)은 팬(15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팬 하우징(151)은 팬 하우징(151)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흡입구(미부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구는 팬 하우징(151)의 하단에 형성되며, 벨 마우스(bell mouth)라 칭할 수 있다.
상기 팬 모터는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팬 모터는 원심팬 또는 사류팬 모터일 수 있다. 상기 팬 모터는 후술하는 모터 커버(16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팬 모터의 회전축은 상기 팬 모터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모터 커버(162)의 하면을 관통할 수 있다. 허브(153)는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쉬라우드(154)는 허브(153)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복수개의 블레이드들(155)은 쉬라우드(154)와 허브(15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팬 모터가 구동되면, 공기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팬 모터의 축 방향(즉,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유입되어, 상기 팬 모터의 반경방향 및 그 상측으로 토출될 수 있다.
에어 가이드(160)는 팬(150)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160P)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로(160P)는 환형의 유로일 수 있다. 에어 가이드(160)는 가이드 바디(161), 모터 커버(162), 그리고 베인(163, vane)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에어 가이드(160)는 디퓨저라 칭할 수 있다.
가이드 바디(161)는 에어 가이드(16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모터 커버(162)는 에어 가이드(160)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 바디(161)는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모터 커버(162)는 볼(bowl)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환형의 유로(160P)는 가이드 바디(161)와 모터 커버(16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베인(163)은 팬(150)으로부터 유로(160P)로 제공된 공기를 상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복수개의 베인들(163)은 환형의 유로(160P)에 배치되고, 가이드 바디(161)의 원주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베인들(163) 각각은 모터 커버(162)의 외면으로부터 가이드 바디(161)의 내주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분배 유닛(140)은 에어 가이드(160)의 상측에 위치하며, 로어 바디(110)와 어퍼 바디(120, 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분배 유닛(140)은 에어 가이드(160)를 통과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140P)를 제공할 수 있다. 에어 가이드(160)를 통과한 공기는 분배 유닛(140)을 통해 제1 어퍼 바디(120)와 제2 어퍼 바디(130)로 분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에어 가이드(160)는 팬(15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분배 유닛(140)으로 가이드하며, 분배 유닛(140)은 에어 가이드(160)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제1 어퍼 바디(120)와 제2 어퍼 바디(130)로 가이드할 수 있다. 전술한 그루브(141, 도 1 참조)는 분배 유닛(140)의 외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분배 유닛은 미들 바디, 이너 바디, 또는 타워 베이스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어퍼 바디(120)와 제2 어퍼 바디(130)는 좌우로 대칭될 수 있다.
제1 어퍼 바디(120)는 에어 가이드(160)를 통과한 공기의 일부가 유동하는 제1 유로(120P, 도 4 참조)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유로(120P)는 제1 어퍼 바디(12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어퍼 바디(130)는 에어 가이드(160)를 통과한 공기의 나머지가 유동하는 제2 유로(130P, 도 4 참조)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유로(130P)는 제2 어퍼 바디(13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120P)와 제2 유로(130P)는 분배 유닛(140)의 유로(140P) 및 에어 가이드(160)의 유로(160P)와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유로(120P) 및 제2 유로(130P) 각각에, 동작 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리어 베인(124)은 제1 어퍼 바디(120)의 내부에 설치되고, 후술하는 제1 리어 슬릿(120S)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리어 베인(124)은 제1 어퍼 바디(120)의 공기의 유동을 제1 리어 슬릿(120S)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리어 베인(124)은 제1 리어 슬릿(120S)을 따라서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제1 리어 베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프런트 베인(123)은 제1 어퍼 바디(120)의 내부에 설치되고, 후술하는 제1 프런트 슬릿(120H)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프런트 베인(123)은 제1 어퍼 바디(120)의 공기의 유동을 제1 프런트 슬릿(120H)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프런트 베인(123)은 제1 프런트 슬릿(120H)을 따라서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제1 프런트 베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 리어 베인(134)은 제2 어퍼 바디(130)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1 리어 베인(124)과 좌우로 대칭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프런트 베인(133)은 제2 어퍼 바디(130)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1 프런트 베인(123)과 좌우로 대칭될 수 있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중심축(O)은 스페이스(109)의 가운데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블로어(100)의 형상은 중심축(O)을 기준으로 대칭될 수 있다. 기준선(L)은 중심축(O)을 지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블로어(100)의 횡단면은 기준선(L)을 기준으로 좌우로 대칭될 수 있다.
제1 리어 슬릿(120S, a first rear slit)은 제1 이너 패널(121)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제1 유로(120P)를 유동하는 공기를 스페이스(109)로 토출할 수 있다. 제1 리어 슬릿(120S)은 제1 어퍼 바디(120)의 후단(120R)에 인접하고, 후단(120R)을 따라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리어 슬릿(120S)은 블로어(100)의 전방에서 후방을 바라보는 사용자의 시선으로부터 숨겨질 수 있다. 한편, 제1 리어 슬릿(120S)은 제1 리어 홀이라 칭할 수 있다.
제2 리어 슬릿(130S)은 제2 이너 패널(131)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제2 유로(130P)를 유동하는 공기를 스페이스(109)로 토출할 수 있다. 제2 리어 슬릿(130S)은 제2 어퍼 바디(130)의 후단(130R)에 인접하고, 후단(130R)을 따라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리어 슬릿(130S)은 블로어(100)의 전방에서 후방을 바라보는 사용자의 시선으로부터 숨겨질 수 있다. 한편, 제2 리어 슬릿(130S)은 제2 리어 홀이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리어 슬릿(120S)과 제2 리어 슬릿(130S)은 서로 마주하며, 좌우로 대칭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리어 슬릿(120S)은 제1 개구(L-O)의 출구로 구비되며, 제2 리어 슬릿(130S)은 제2 개구(R-O)의 출구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이너 슬리브(125, 126, a first inner sleeve)는 제1 패널(121, 122)의 내면에 결합되어, 제1 유로(120P)의 경계를 정의할 수 있다. 제1 이너 슬리브(125, 126)의 일단과 타단은 서로 이격되며, 제1 개구(L-O)는 제1 이너 슬리브(125, 126)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이너 슬리브(125, 126)는 제1 이너 월이라 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이너 슬리브(125, 126)는 제1 파트(125)와 제2 파트(1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125)는 제1 연장부(125a)와 제1 토출부(125b, 125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파트(126)는 제2 가이드부(126a), 제2 연장부(126b), 그리고 제2 토출부(126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부(125a)는 제1 이너 패널(121)의 내면(미부호)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연장부(125a)는 상기 내면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연장부(125a)는 제1 이너 패널(121)의 표면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토출부(125b, 125c)는 기준선(L)에 대해 예각을 이루며 제1 연장부(125a)로부터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토출부(125b, 125c)의 두께는 제1 연장부(125a)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제1 토출부(125b, 125c)는 대략적으로 에어포일(airfoil)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토출부(125b, 125c)는 제1 이너 슬리브(125, 126)의 일단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토출부(125b, 125c)는 제1 연장부(125a)의 내면에 연결되어 제1 연장부(125a)의 상기 내면과 함께 제1 유로(120P)의 경계를 정의하는 제1 가이드면(125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토출부(125b, 125c)는 제1 가이드면(125b)으로부터 굽어져 제1 개구(L-O)의 경계를 정의하는 제1 토출면(125c)을 포함할 수 있다. 기준선(L)에 대한 제1 가이드면(125b)의 각도는 기준선(L)에 대한 제1 토출면(125c)의 각도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가이드면(125b)과 제1 토출면(125c)은 곡면이거나 평면일 수 있다.
제2 가이드부(126a)는 전술한 제1 연장부(125a)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126a)는 제1 아우터 패널(122)의 내면(미부호)의 일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126a)는 상기 내면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126a)는 제1 아우터 패널(122)의 표면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126a)의 두께는 제1 연장부(125a)의 두께보다 크되, 제1 이너 패널(121)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제2 가이드부(126a)는 대략적으로 지느러미(fin)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가이드부(126a)의 일부는 제1 이너 패널(121)의 내면(미부호)의 일부에 결합되어, 제1 연장부(125a)에 접촉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제2 연장부(126b)는 제2 가이드부(126a)로부터 연장되어, 제1 아우터 패널(122)의 내면(미부호)의 일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연장부(126b)는 상기 내면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장부(126b)는 제1 아우터 패널(122)의 표면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장부(126b)의 두께는 제2 가이드부(126a)의 두께보다 작고, 제1 연장부(125a)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비슷할 수 있다. 이때, 제2 연장부(126b)의 내면은 제2 가이드부(126a)의 내면과 함께 제1 유로(120P)의 경계를 정의할 수 있다.
제2 토출부(126c)는 제2 연장부(126b)로부터 연장되어 제1 이너 패널(121)의 내면(미부호)의 일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토출부(126c)의 두께는 제2 연장부(126b)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제2 토출부(126c)는 제1 이너 슬리브(125, 126)의 타단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토출부(126c)의 내면은 제2 연장부(126b)의 내면에 연결되고, 제1 개구(L-O)의 경계를 정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토출부(126c)의 내면은 제1 토출면(125c)과 마주하며, 제1 개구(L-0)는 제2 토출부(126c)의 내면과 제1 토출면(125c)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개구(L-O)의 출구는 전술한 제1 리어 슬릿(120S)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제2 토출부(126c)의 내면은 제2 토출면이라 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유로(120P)를 유동하는 공기는 제1 개구(L-O)와 제1 리어 슬릿(120S)을 통해 스페이스(109)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1 이너 슬리브(125, 126)는 제1 유로(120P)의 경계를 형성하면서, 제1 유로(2OP)를 유동하는 공기를 제1 개구(L-O)로 부드럽게 가이드할 수 있다.
제2 이너 슬리브(135, 136, a second inner sleeve)는 제2 어퍼 바디(130)의 내면에 결합되어, 제2 유로(130P)의 경계를 정의할 수 있다. 제2 이너 슬리브(135, 136)의 일단과 타단은 서로 이격되며, 제2 개구(R-O)는 제2 이너 슬리브(135, 136)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이너 슬리브(135, 136)는 제2 이너 월이라 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이너 슬리브(135, 136)는 제1 파트(135)와 제2 파트(1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135)는 제1 연장부(135a)와 제1 토출부(135b, 135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파트(136)는 제2 가이드부(136a), 제2 연장부(136b), 그리고 제2 토출부(136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부(135a)는 제2 이너 패널(131)의 내면(미부호)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연장부(135a)는 상기 내면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연장부(135a)는 제2 이너 패널(131)의 표면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토출부(135b, 135c)는 기준선(L)에 대해 예각을 이루며 제1 연장부(135a)로부터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토출부(135b, 135c)의 두께는 제1 연장부(135a)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제1 토출부(135b, 135c)는 대략적으로 에어포일(airfoil)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토출부(135b, 135c)는 제2 이너 슬리브(135, 136)의 일단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토출부(135b, 135c)는 제1 연장부(135a)의 내면에 연결되어 제1 연장부(135a)의 상기 내면과 함께 제2 유로(130P)의 경계를 정의하는 제1 가이드면(135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토출부(135b, 135c)는 제1 가이드면(135b)으로부터 굽어져 제2 개구(R-O)의 경계를 정의하는 제1 토출면(135c)을 포함할 수 있다. 기준선(L)에 대한 제1 가이드면(135b)의 각도는 기준선(L)에 대한 제1 토출면(135c)의 각도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가이드면(135b)과 제1 토출면(135c)은 곡면이거나 평면일 수 있다.
제2 가이드부(136a)는 전술한 제1 연장부(135a)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136a)는 제2 아우터 패널(132)의 내면(미부호)의 일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136a)는 상기 내면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136a)는 제2 아우터 패널(132)의 표면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136a)의 두께는 제1 연장부(135a)의 두께보다 크되, 제2 이너 패널(131)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제2 가이드부(136a)는 대략적으로 지느러미(fin)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가이드부(136a)의 일부는 제2 이너 패널(131)의 내면(미부호)의 일부에 결합되어, 제1 연장부(135a)에 접촉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제2 연장부(136b)는 제2 가이드부(136a)로부터 연장되어, 제2 아우터 패널(132)의 내면(미부호)의 일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연장부(136b)는 상기 내면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장부(136b)는 제2 아우터 패널(132)의 표면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장부(136b)의 두께는 제2 가이드부(136a)의 두께보다 작고, 제1 연장부(135a)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비슷할 수 있다. 이때, 제2 연장부(136b)의 내면은 제2 가이드부(136a)의 내면과 함께 제2 유로(130P)의 경계를 정의할 수 있다.
제2 토출부(136c)는 제2 연장부(136b)로부터 연장되어 제2 이너 패널(131)의 내면(미부호)의 일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토출부(136c)의 두께는 제2 연장부(136b)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제2 토출부(136c)는 제2 이너 슬리브(135, 136)의 타단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토출부(136c)의 내면은 제2 연장부(136b)의 내면에 연결되고, 제2 개구(R-O)의 경계를 정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토출부(136c)의 내면은 제1 토출면(135c)과 마주하며, 제2 개구(R-O)는 제2 토출부(136c)의 내면과 제1 토출면(135c)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개구(R-O)의 출구는 전술한 제2 리어 슬릿(130S)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제2 토출부(136c)의 내면은 제2 토출면이라 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유로(130P)를 유동하는 공기는 제2 개구(R-O)와 제2 리어 슬릿(130S)을 통해 스페이스(109)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2 이너 슬리브(135, 136)는 제2 유로(130P)의 경계를 형성하면서, 제2 유로(130P)를 유동하는 공기를 제2 개구(R-O)로 부드럽게 가이드할 수 있다.
전술한 제1 개구(L-O)와 제2 개구(R-O)는 스페이스(109)와 연통되고,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제1 유로(120P)를 통과한 공기는 제1 개구(L-O)의 입구로 제공되어 제1 개구(L-O)의 출구인 제1 리어 슬릿(120S)으로 토출될 수 있다. 이때, 제1 개구(L-O)의 입구는 제1 유로(120P)를 형성하는 제1 어퍼 바디(12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개구(L-O)는 스페이스(109)를 향하며 전방으로 경사지거나 굽어지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개구(L-O)는 제2 개구(R-O)의 전방을 향해 경사지거나 굽어지며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로(130P)를 통과한 공기는 제2 개구(R-O)의 입구로 제공되어 제2 개구(R-O)의 출구인 제2 리어 슬릿(130S)으로 토출될 수 있다. 이때, 제2 개구(R-O)의 입구는 제2 유로(130P)를 형성하는 제2 어퍼 바디(13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개구(R-0)는 스페이스(109)를 향하며 전방으로 경사지거나 굽어지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개구(R-O)는 제1 개구(L-O)의 전방을 향해 경사지거나 굽어지며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프런트 슬릿(120H, a first front slit)은 제1 이너 패널(121)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제1 유로(120P)를 유동하는 공기를 스페이스(109)로 토출할 수 있다. 제1 프런트 슬릿(120H)은 제1 어퍼 바디(120)의 전단(120F)에 인접하고, 전단(120F)을 따라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프런트 슬릿(120H)은 블로어(100)의 후방에서 전방을 바라보는 사용자의 시선으로부터 숨겨질 수 있다. 한편, 제1 프런트 슬릿(120H)은 제1 프런트 홀이라 칭할 수 있다.
제1 프런트 슬릿(120H)은 제1 슬롯(L-H)의 출구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슬롯(L-H)은 제1 이너 패널(121)과 제2 가이드부(126a)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슬롯(L-H)은 기준선(L)에 대해 예각을 이루며 제1 이너 패널(121)로부터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126a)의 일부(125d, 126d)는 사선으로 연장되며, 제1 슬롯(L-H)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슬롯(L-H)의 입구는 제1 유로(120P)를 형성하는 제1 어퍼 바디(12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슬롯(L-H)은 스페이스(109)의 전방을 향하며 전방으로 경사지거나 굽어지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프런트 슬릿(130H)은 제2 이너 패널(131)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제2 유로(130P)를 유동하는 공기를 스페이스(109)로 토출할 수 있다. 제2 프런트 슬릿(130H)은 제2 어퍼 바디(130)의 전단(130F)에 인접하고, 전단(130F)을 따라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프런트 슬릿(130H)은 블로어(100)의 후방에서 전방을 바라보는 사용자의 시선으로부터 숨겨질 수 있다. 한편, 제2 프런트 슬릿(130H)은 제1 프런트 홀이라 칭할 수 있다.
제2 프런트 슬릿(130H)은 제2 슬롯(R-H)의 출구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2 슬롯(R-H)은 제2 이너 패널(131)과 제2 가이드부(136a)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슬롯(R-H)은 기준선(L)에 대해 예각을 이루며 제2 이너 패널(131)로부터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136a)의 일부(135d, 136d)는 사선으로 연장되며, 제2 슬롯(R-H)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슬롯(R-H)의 입구는 제2 유로(130P)를 형성하는 제2 어퍼 바디(13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슬롯(R-H)은 스페이스(109)의 전방을 향하며 전방으로 경사지거나 굽어지며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팬(15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는 제1 유로(120P)와 제2 유로(130P)로 분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유로(120P)의 공기의 일부는 제1 리어 슬릿(120S)을 통해 스페이스(109)로 토출되고(FR 참조), 나머지는 제1 프런트 슬릿(120H)을 통해 스페이스(109)로 토출될 수 있다(FF 참조).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도어 어셈블리(180, 190)는 제1 어퍼 바디(120)와 제2 어퍼 바디(130)에 설치되어, 리어 슬릿(120S, 130S) 및/또는 프런트 슬릿(120H, 130H)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즉, 제1 도어 어셈블리(180)는 제1 어퍼 바디(120)에 설치되어 제1 리어 슬릿(120S) 및/또는 제1 프런트 슬릿(120H)을 개폐하고, 제2 도어 어셈블리(190)는 제2 어퍼 바디(130)에 설치되어 제2 리어 슬릿(130S) 및/또는 제2 프런트 슬릿(130H)을 개폐할 수 있다. 이하, 간략한 설명을 위하여, 도어 어셈블리(180, 190)가 프런트 슬릿(120H, 130H)을 개폐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면, 제1 도어 어셈블리(180)와 제2 도어 어셈블리(190)는 좌우로 대칭될 수 있다. 이하, 간략한 설명을 위하여, 제1 도어 어셈블리(180)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제2 도어 어셈블리(19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 도어 어셈블리(180)는 제1 이너 슬리브(125, 126)에 설치되어, 제1 어퍼 바디(12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도어 어셈블리(180)는 제1 도어(181), 제1 링크(182), 제1 모터(183), 그리고 제1 피니언(18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도어(181)는 제1 도어 플레이트(1811)와 제1 도어 핀(1812, 1813, 1814, a first door pin)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어 플레이트(1811)는 제1 프런트 슬릿(120H)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도어 플레이트(1811)의 스페이스(109)를 향하는 표면은 제1 이너 패널(121, 도 4 참조)의 표면과 동일한 곡률을 가진 곡면일 수 있다. 이때, 제1 도어 플레이트(1811)는 제1 도어 플레이트(1811)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도어 플레이트(1811)의 면적은 제1 슬롯(L-H)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도어 플레이트(1811)의 후면은 제2 가이드부(126a)의 일부(125d)로서 스페이스(109)의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과 동일하게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도어(181)가 제1 프런트 슬릿(120H)을 폐쇄하면, 제1 도어 플레이트(1811)의 후면은 제1 슬롯(L-H)의 경계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2 가이드부(126a)의 일부(125d)에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도어(181)가 제1 프런트 슬릿(120H)을 개방하면, 제1 도어 플레이트(1811)의 후면은 제1 슬롯(L-H)의 경계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2 가이드부(126a)의 일부(125d)로부터 이격되되 이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공기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도어 핀(1812, 1813, 1814)은 제1 도어 플레이트(1811)의 스페이스(109)를 향하는 표면에 반대되는 내면에서 제1 어퍼 바디(120)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도어 핀(1812, 18113, 1814)는 전체적으로 볼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도어 핀(1812, 1813, 1814)의 말단의 직경은 상기 말단과 제1 도어 플레이트(1811) 사이에 위치한 부분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도어 핀(1812, 1813, 1814)은 제1 도어 플레이트(1811)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제1 도어 핀들(1812, 1813, 1814)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도어 핀(1812)은 제1 도어 플레이트(1811)의 상단에 인접하고, 제3 도어 핀(1814)은 제1 도어 플레이트(1811)의 하단에 인접하며, 제2 도어 핀(1813)은 제1 도어 핀(1812)과 제3 도어 핀(18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링크(182)는 제1 도어(181)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링크(182)는 제1 링크 스틱(1821)과 제1 랙(182a), 그리고 제1 도어 가이드(1822, 1823, 18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 스틱(1821)은 제1 도어 플레이트(181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링크 스틱(1821)은 제1 도어 핀(1812, 1813, 1814)이 형성된 제1 도어 플레이트(1811)의 내면과 마주할 수 있다.
제1 랙(182a)은 제1 링크 스틱(1821)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랙(182a)의 폭은 제1 링크 스틱(1821)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제1 기어이들(182a1)은 제1 랙(182a)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어이들(182a1)은 제1 링크 스틱(182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도어 가이드(1822, 1823, 1824)는 제1 링크 스틱(1821)의 제1 도어 플레이트(1811)의 내면을 마주하는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도어 가이드(1822, 1823, 1824)는 제1 링크 스틱(1821)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도어 가이드(1822, 1823, 1824)는 제1 도어 핀(1812, 1813, 1814)와 마주하거나 대응되어, 제1 도어 핀(1812, 1813, 1814)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도어 가이드(1822, 1823, 1824)는 제1 도어 가이드(1822, 1823, 1824)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제1 도어 가이드(1822, 1823, 182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 홈(1822a, 1823a, 1824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홈(1822a, 1823a, 1824a)은 트랙(track)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도어 핀(1812, 1813, 1814)은 제1 가이드 홈(1822a, 1823a, 1824a)에 제1 도어 가이드(1822, 1823, 1824)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도어 가이드(1822, 1823, 1824)는 제1 링크 스틱(1821)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제1 가이드들(1822, 1823, 1824)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도어 핀(1812)은 제1 도어 가이드(182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도어 핀(1813)은 제2 가이드(1823)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3 도어 핀(1814)은 제3 가이드(1824)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도어 핀(1812, 1813, 1814)의 말단은 제1 링크 스틱(1821)과 제1 도어 가이드(1822, 1823, 1824) 사이에서 제1 도어 가이드(1822, 1823, 1824)에 걸릴 수 있다. 이때, 제1 도어 가이드(1822, 1823, 1824)의 제1 도어 핀(1812, 1813, 1814)의 말단이 걸리는 부분은 제1 이너 패널(121, 도 4 참조)의 표면과 동일한 곡률을 가진 곡면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도어 핀(1812, 1813, 1814)의 말단의 제1 도어 가이드(1822, 1823, 1824)에 걸리는 부분도 제1 이너 패널(121, 도 4 참조)의 표면과 동일한 곡률을 가진 곡면일 수 있다. 이로써, 제1 도어 플레이트(1811)는 제1 도어 플레이트(1811)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 모터(183)는 제1 도어(181)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모터(183)는 스텝 모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모터(183)는 제1 이너 슬리브(125, 126)의 상측에 위치하고, 제1 어퍼 바디(12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피니언(184)은 제1 모터(183)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제1 모터(183)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제1 피니언(184)은 제1 랙(812)의 제1 기어이들(182a)에 맞물릴 수 있다. 이로써, 제1 모터(183)가 구동되면, 제1 랙(182)은 제1 링크 스틱(182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도 7 참조).
즉, 제1 모터(183)가 제1 방향(예: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랙(182)과 제1 링크 스틱(1821)은 제1 링크 스틱(1821)의 상단에서 하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모터(183)가 상기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예: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랙(182)과 제1 링크 스틱(1821)은 제1 링크 스틱(1821)의 하단에서 상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제1 링크 스틱(1821)의 이동에 대응하여, 제1 도어 핀(1812, 1813, 1814)과 제1 도어 플레이트(1811)는 제1 도어 가이드(1822, 1823, 1824)의 가이드에 의해 제1 도어 플레이트(1811)의 원주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제1 어퍼 가이드(127)는 제1 프런트 슬릿(120H)의 상측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어퍼 가이드(127)는 제1 도어 플레이트(1811)의 상단에 결합되어, 제1 도어(181)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어퍼 가이드(127)는 제1 도어 플레이트(1811)의 상단의 일부를 덮고, 제1 도어 플레이트(1811)의 상단은 제1 어퍼 가이드(127)의 하측에 형성된 홈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1 어퍼 가이드(127)의 표면과 상기 홈은 제1 이너 패널(121, 도 4 참조)의 표면과 동일한 곡률을 가진 곡면이거나 홈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도어 플레이트(1811)의 상단의 폭은 제1 도어 플레이트(1811)의 중심부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이로써, 제1 도어 플레이트(1811)의 상단은 제1 어퍼 가이드(127)의 상기 홈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1 로어 가이드(128)는 제1 프런트 슬릿(120H)의 하측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로어 가이드(128)는 제1 도어 플레이트(1811)의 하단에 결합되어, 제1 도어(181)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로어 가이드(128)는 제1 도어 플레이트(1811)의 하단의 일부를 덮고, 제1 도어 플레이트(1811)의 하단은 제1 로어 가이드(128)의 상측에 형성된 홈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1 로어 가이드(128)의 표면과 상기 홈은 제1 이너 패널(121, 도 4 참조)의 표면과 동일한 곡률을 가진 곡면이거나 홈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도어 플레이트(1811)의 하단의 폭은 제1 도어 플레이트(1811)의 중심부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이로써, 제1 도어 플레이트(1811)의 하단은 제1 로어 가이드(128)의 상기 홈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 등에 기초하여, 팬(150), 제1 도어 어셈블리(180), 및 제2 도어 어셈블리(190) 등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블로어(100)의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제1 도어 어셈블리(180)의 제1 모터(183)와 제2 도어 어셈블리(190)의 제2 모터(193)의 회전 동작을 제어하여, 제1 링크 스틱(1821)과 제2 링크 스틱(191)을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도 7의 V 참조). 이에 대응하여, 제1 도어(181)와 제2 도어(191)는 이너 패널(121, 131)의 원주방향에서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도 7의 M 참조).
이 경우, 제1 도어(181)는 제1 프런트 슬릿(120H)을 폐쇄하고, 제2 도어(191)는 제2 프런트 슬릿(130H)을 폐쇄할 수 있다.
제1 유로(120P)의 공기는 제1 리어 슬릿(120S)을 통해 스페이스(109)로 토출될 수 있다. 제2 유로(130P)의 공기는 제2 리어 슬릿(130S)을 통해 스페이스(109)로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로 인하여, 스페이스(109)로 토출된 공기는 제1 이너 패널(121)의 표면과 제2 이너 패널(131)의 표면을 따라서 전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도 8 및 9의 FR 참조). 이때, 제1 이너 패널(121)의 표면과 제2 이너 패널(131)의 표면 사이의 간격은 스페이스(109)의 후방부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좁아지고, 상기 중심부에서 스페이스(109)의 전방부로 갈수록 넓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페이스(109)의 공기는 좌우로 넓게 펴지며 전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기류를 확산풍 또는 간접풍이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공기의 유동은 어퍼 바디(120, 130) 주위의 공기가 스페이스(109)로 유입(entrainment)되거나 아우터 패널(122, 132)의 표면을 따라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블로어(100)는 사용자 등에게 풍부한 풍량의 기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 및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제1 도어 어셈블리(180)의 제1 모터(183)와 제2 도어 어셈블리(190)의 제2 모터(193)의 회전 동작을 제어하여, 제1 링크 스틱(1821)과 제2 링크 스틱(191)을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1 도어(181)와 제2 도어(191)는 이너 패널(121, 131)의 원주방향에서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도어(181)는 제1 프런트 슬릿(120H)을 개방하고, 제2 도어(191)는 제2 프런트 슬릿(130H)을 개방할 수 있다.
제1 유로(120P)의 공기는 제1 리어 슬릿(120S)과 제1 프런트 슬릿(120H)을 통해 스페이스(109)로 토출될 수 있다. 제2 유로(130P)의 공기는 제2 리어 슬릿(130S)과 제2 프런트 슬릿(130H)을 통해 스페이스(109)로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로 인하여, 제1 리어 슬릿(120S)과 제2 리어 슬릿(130S)에서 스페이스(109)로 토출된 공기는 제1 이너 패널(121)의 표면과 제2 이너 패널(131)의 표면을 따라서 전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도 10 및 11의 FR 참조). 그리고, 제1 프런트 슬릿(120H)과 제2 프런트 슬릿(130H)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제1 이너 패널(121)의 표면과 제2 이너 패널(131)의 표면을 따라서 유동하는 공기를 기준선(L, 도 4 참조)에 집중시킬 수 있다(도 10 및 11의 FF 참조).
이에 따라, 스페이스(109)의 공기는 전방을 향해 집중적으로 유동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기류를 집중풍 또는 직접풍이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공기의 유동은 어퍼 바디(120, 130) 주위의 공기가 스페이스(109)로 유입(entrainment)되거나 아우터 패널(122, 132)의 표면을 따라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블로어(100)는 사용자 등에게 풍부한 풍량의 기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제1 도어 어셈블리(180)의 제1 모터(183)와 제2 도어 어셈블리(190)의 제2 모터(193)의 회전 동작을 제어하여, 제1 프런트 슬릿(120H)과 제2 프런트 슬릿(130H)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1 프런트 슬릿(120H)과 제2 프런트 슬릿(130H)의 개도가 줄어들수록 상기 집중풍의 세기가 약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는 제1 도어 어셈블리(180)의 제1 모터(183)와 제2 도어 어셈블리(190)의 제2 모터(193)의 회전 동작을 동기화(sync)하여, 제1 프런트 슬릿(120H)과 제2 프런트 슬릿(130H)의 개도를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는 제1 도어 어셈블리(180)의 제1 모터(183)와 제2 도어 어셈블리(190)의 제2 모터(193)의 회전 동작을 서로 다르게 제어하여, 제1 프런트 슬릿(120H)과 제2 프런트 슬릿(130H)의 개도를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제1 프런트 슬릿(120H)의 개도가 제2 프런트 슬릿(130H)의 개도보다 크면, 블로어(100)는 우측으로 편향된 기류를 사용자 등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1 프런트 슬릿(120H)의 개도가 제2 프런트 슬릿(130H)의 개도보다 작으면, 블로어(100)는 좌측으로 편향된 기류를 사용자 등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2 및 13을 참조하면, 도어(210)를 구비하는 도어 어셈블리(200)는 어퍼 바디(120, 130)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 어셈블리(200)는 제1 어퍼 바디(120)에 설치되며 제1 도어(210a)를 구비하는 제1 도어 어셈블리(200a)와, 제2 어퍼 바디(130)에 설치되며 제2 도어(210b)를 구비하는 제2 도어 어셈블리(200b,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어 어셈블리(200a)와 제2 도어 어셈블리(200b)는 좌우로 대칭될 수 있다. 한편, 도어 어셈블리(200)는 기류 변환기(air flow converter)라 칭할 수 있다.
도어 어셈블리(200)는 전술한 도어(210)와 도어 가이드(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210)는 평평하거나 곡률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어(210)는 외측으로 볼록한 플레이트일 수 있다. 이 경우, 도어(210)는 내면(211)의 내측에 위치한 중심에 대하여 일정 곡률의 호(arc)를 그리며 연장될 수 있다. 도어(210)의 전단(210F)은 프런트 슬릿(120H, 130H)을 통과할 수 있다. 도어 가이드(240)는 도어(210)의 외면(212)에 결합되어, 도어(21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어 가이드(240)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서로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제1 도어 가이드(240a)와 제2 도어 가이드(240b)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어(210)는 보드(board)라 칭하고, 도어 가이드(240)는 보드 가이드(board guide)라 칭할 수 있다.
도 14 내지 16을 참조하면, 도어 어셈블리(200)는 전술한 도어(210)와 도어 가이드(240) 외에, 모터(220), 동력전달부재(230), 발광부재(250), 그리고 모터 마운트(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모터(220), 동력전달부재(230), 발광부재(250), 그리고 모터 마운트(260)는 전술한 제1 도어 가이드(240a)와 제2 도어 가이드(240b) 각각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모터(220)는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모터(220)는 회전방향, 회전속도, 및 회전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스텝모터일 수 있다. 모터(220)는 모터 마운트(260)에 고정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터 마운트(260)는 어퍼 바디(120, 130)의 내면에 고정되며, 모터(220)의 하측에 결합되어 모터(220)를 지지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230)는 피니언(231)과 랙(232)을 포함할 수 있다. 피니언(231)은 모터(220)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랙(232)은 피니언(231)에 맞물릴 수 있다. 랙(232)은 도어(210)의 내면(211)에 고정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랙(232)은 도어(21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랙(232)은 도어(210)의 곡률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큰 곡률로 호(arc)를 그리며 연장되며, 피니언(231)에 맞물리는 기어이는 어퍼 바디(120, 130)의 내부 공간을 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220)의 구동력은 동력전달부재(230)를 통해 도어(210)로 전달되어, 도어(210)는 도어(210)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어(210)는 투명 재질을 포함하며, 발광부재(250)는 도어(210)에 결합되어 빛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광부재(250)는 LED일 수 있다. 이 경우, 도어(21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발광부재(250)의 동작 여부 또는 발광 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어 가이드(240)는 이동 가이드(242), 고정 가이드(244), 그리고 마찰저감부재(24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가이드(242)는 도어(210) 및/또는 랙(232)에 결합되어, 도어(210) 및 랙(232)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가이드(242)는 도어(210)의 외면(212)에 고정되며, 도어(210)의 곡률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작은 곡률로 호(arc)를 그리며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이동 가이드(242)의 길이는 도어(210)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고정 가이드(244)는 이동 가이드(242)의 외측에서, 이동 가이드(242)에 결합되어 이동 가이드(242)를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가이드(242)는 도어(210)와 고정 가이드(24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홈(245)은 고정 가이드(244)의 내면에 형성되며, 이동 가이드(242)는 가이드 홈(245)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 홈(245)은 이동 가이드(242)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호(arc)를 그리며 형성되고, 가이드 홈(245)의 길이는 이동 가이드(242)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홈(245)의 일단(245a)은 이동 가이드(242)의 제1 방향으로의 회전 또는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방향은 도어(210)가 스페이스(109)를 향해 돌출되는 방향일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홈(245)의 타단(245b)은 이동 가이드(242)의 제2 방향으로의 회전 또는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서, 도어(210)가 스페이스(109)를 향해 돌출되는 방향의 반대일 수 있다.
마찰저감부재(246)는 고정 가이드(244)에 대한 이동 가이드(242)의 이동에 따른 마찰을 저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찰저감부재(246)는 상하방향에 나란한 중심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일 수 있다. 마찰저감부재(246)는 이동 가이드(242)에 결합되며, 마찰저감부재(246)의 적어도 일부는 이동 가이드(242)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고정 가이드(244)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찰저감부재(246)는 탄성력을 지니며, 고정 가이드(24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찰저감부재(246)는 이동 가이드(242)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마찰저감부재(246a)와, 타측에 결합되는 제2 마찰저감부재(246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 가이드(240)는 도어(210)와 이동 가이드(242)의 회전 또는 이동을 가이드하면서, 도어(210)와 이동 가이드(242)의 이동에 따른 마찰 또는 작동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 등에 기초하여, 팬(150)과 도어 어셈블리(200) 등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블로어(100')의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2 및 17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제1 도어 어셈블리(200a)의 제1 모터(220a)와 제2 도어 어셈블리(200b)의 제2 모터(220b)의 회전 동작을 제어하여, 제1 프런트 슬릿(120H)과 제2 프런트 슬릿(130H)을 폐쇄할 수 있다. 즉, 제1 도어(210a)의 일부가 제1 슬롯(L-H)에 삽입되어 제1 프런트 슬릿(120H)이 폐쇄되고, 제2 도어(210b)의 일부가 제2 슬롯(R-H)에 삽입되어 제2 프런트 슬릿(130H)이 폐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도어(210a)의 전단(210F)은 제1 이너 패널(121)의 표면에 연속적인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도어(210b)의 전단(210F)은 제2 이너 패널(131)의 표면에 연속적인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유로(120P)의 공기는 제1 리어 슬릿(120S)을 통해 스페이스(109)로 토출될 수 있다. 제2 유로(130P)의 공기는 제2 리어 슬릿(130S)을 통해 스페이스(109)로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로 인하여, 스페이스(109)로 토출된 공기는 제1 이너 패널(121)의 표면과 제2 이너 패널(131)의 표면을 따라서 전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도 17의 FR 참조). 이때, 제1 이너 패널(121)의 표면과 제2 이너 패널(131)의 표면 사이의 간격은 스페이스(109)의 후방부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좁아지고, 상기 중심부에서 스페이스(109)의 전방부로 갈수록 넓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페이스(109)의 공기는 좌우로 넓게 펴지며 전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기류를 확산풍 또는 간접풍이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공기의 유동은 어퍼 바디(120, 130) 주위의 공기가 스페이스(109)로 유입(entrainment)되거나 아우터 패널(122, 132)의 표면을 따라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블로어(100')는 사용자 등에게 풍부한 풍량의 기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2 및 18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제1 도어 어셈블리(200a)의 제1 모터(220a)와 제2 도어 어셈블리(200b)의 제2 모터(220b)의 회전 동작을 제어하여, 제1 프런트 슬릿(120H)과 제2 프런트 슬릿(130H)을 개방할 수 있다. 즉, 제1 도어(210a)가 제1 슬롯(L-H)으로부터 분리되어 제1 프런트 슬릿(120H)이 개방되고, 제2 도어(210b)가 제2 슬롯(R-H)으로부터 분리되어 제2 프런트 슬릿(130H)이 개방될 수 있다.
제1 유로(120P)의 공기는 제1 리어 슬릿(120S)과 제1 프런트 슬릿(120H)을 통해 스페이스(109)로 토출될 수 있다. 제2 유로(130P)의 공기는 제2 리어 슬릿(130S)과 제2 프런트 슬릿(130H)을 통해 스페이스(109)로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로 인하여, 제1 리어 슬릿(120S)과 제2 리어 슬릿(130S)에서 스페이스(109)로 토출된 공기는 제1 이너 패널(121)의 표면과 제2 이너 패널(131)의 표면을 따라서 전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도 18의 FR 참조). 그리고, 제1 프런트 슬릿(120H)과 제2 프런트 슬릿(130H)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제1 이너 패널(121)의 표면과 제2 이너 패널(131)의 표면을 따라서 유동하는 공기를 기준선(L-L')에 집중시킬 수 있다(도 18의 FF 참조).
이에 따라, 스페이스(109)의 공기는 전방을 향해 집중적으로 유동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기류를 집중풍 또는 직접풍이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공기의 유동은 어퍼 바디(120, 130) 주위의 공기가 스페이스(109)로 유입(entrainment)되거나 아우터 패널(122, 132)의 표면을 따라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블로어(100')는 사용자 등에게 풍부한 풍량의 기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제1 도어 어셈블리(200a)의 제1 모터(220a)와 제2 도어 어셈블리(200b)의 제2 모터(220b)의 회전 동작을 제어하여, 제1 슬롯(L-H)에 대한 제1 도어(210a)의 전단(210F)의 위치와 제2 슬롯(R-H)에 대한 제2 도어(210b)의 전단(210F)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는 제1 도어 어셈블리(200a)의 제1 모터(220a)와 제2 도어 어셈블리(200b)의 제2 모터(220b)의 회전 동작을 동기화(sync)하여, 제1 슬롯(L-H)에 대한 제1 도어(210a)의 전단(210F)의 위치와 제2 슬롯(R-H)에 대한 제2 도어(210b)의 전단(210F)의 위치를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는 제1 도어 어셈블리(200a)의 제1 모터(220a)와 제2 도어 어셈블리(200b)의 제2 모터(220b)의 회전 동작을 서로 다르게 제어하여, 제1 슬롯(L-H)에 대한 제1 도어(210a)의 전단(210F)의 위치와 제2 슬롯(R-H)에 대한 제2 도어(210b)의 전단(210F)의 위치를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리어 베인(rear vane)은 제1 어퍼 바디(120)의 내부 공간과 제2 어퍼 바디(13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리어 베인(124)은 제1 유로(120P)에서 상승하는 공기를 제1 리어 슬릿(120S)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리어 베인(124)은 제1 리어 슬릿(120S)에 인접하고, 제1 어퍼 바디(120)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리어 베인(124)은 위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리어 베인(124)은 상하방향에서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제1 리어 베인들(1241, 1242, 1243, 1244)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리어 베인들(1241, 1242, 1243, 1244) 각각은 제1 리어 슬릿(120S)에 이웃하는 일단을 가지며, 복수개의 제1 리어 베인들(1241, 1242, 1243, 1244)은 제1 리어 슬릿(120S)을 따라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리어 베인들(1241, 1242, 1243, 1244) 각각의 형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제1 리어 베인들(1241, 1242, 1243, 1244) 중에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한 리어 베인의 곡률은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한 리어 베인의 곡률보다 클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1 리어 베인들(1241, 1242, 1243, 1244) 중에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한 리어 베인의 상기 일단에 반대되는 타단의 위치는 상기 일단과 같거나 이보다 낮고,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한 리어 베인의 상기 일단에 반대되는 타단의 위치는 상기 일단과 같거나 이보다 높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리어 베인(124)은 제1 유로(120P)에서 상승하는 공기를 제1 리어 슬릿(120S)으로 원활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제2 리어 베인(134, 미도시)은 제2 유로(130P)에서 상승하는 공기를 제2 리어 슬릿(130S)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제2 베인(134)과 제1 베인(124)은 좌우로 대칭될 수 있다.
도 19 및 20을 참조하면, 도어 어셈블리(300)는 어퍼 바디(120, 130)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어퍼 바디(120)에 설치된 도어 어셈블리(300)는 제1 프런트 슬릿(120H)을 개폐할 수 있다. 제2 어퍼 바디(130)에 설치된 도어 어셈블리(300)는 제2 프런트 슬릿(130H)을 개폐할 수 있다. 한편, 도어 어셈블리(300)는 기류 변환기(air flow converter)라 칭할 수 있다.
도어 어셈블리(300)는 도어(310), 모터(320), 피니언(330), 기어(340), 도어축(341, door shaft), 그리고 커넥터(350, 360, 370, 3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310)는 제1 어퍼 바디(120)의 내부 공간 또는 제2 어퍼 바디(130)의 내부 공간에 회전 또는 피벗(pivot)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어(310)는 제1 프런트 슬릿(120H) 또는 제2 프런트 슬릿(130H)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플레이트일 수 있다. 도어(310)의 면적은 제1 슬롯(L-H) 또는 제2 슬롯(R-H)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한편, 도어(310)는 보드(board)라 칭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310)의 제1 면(310a)은 제1 이너 패널(121)의 표면 또는 제2 이너 패널(131)의 표면과 동일한 곡률을 가진 곡면일 수 있다. 도어(310)의 제2 면(310b)은 제1 면(310a)에 대향하고, 제1 어퍼 바디(120)의 내부 공간 또는 제2 어퍼 바디(130)의 내부 공간을 향할 수 있다.
도어(310)가 제1 프런트 슬릿(120H) 또는 제2 프런트 슬릿(130H)을 폐쇄하면, 도어(310)의 제3 면(310c)은 제1 프런트 슬릿(120H)의 전방 경계면 또는 제2 프런트 슬릿(130H)의 전방 경계면(130H1)에 접촉할 수 있다. 도어(310)의 제4 면(310d)은 제3 면(310c)에 대향할 수 있다. 도어(310)가 제1 프런트 슬릿(120H) 또는 제2 프런트 슬릿(130H)을 폐쇄하면, 도어(310)의 제4 면(310d)은 제1 프런트 슬릿(120H)의 후방 경계면 또는 제2 프런트 슬릿(130H)의 후방 경계면(130H2)에 접촉할 수 있다. 한편, 제3 면(310c)은 제1 보더(310c)라 칭하고, 제4 면(310d)은 제2 보더(310d)라 칭할 수 있다.
도어(310)가 제1 프런트 슬릿(120H) 또는 제2 프런트 슬릿(130H)을 폐쇄하면, 도어(310)의 상면은 제1 프런트 슬릿(120H)의 상측 경계면 또는 제2 프런트 슬릿(130H)의 상측 경계면(130H3)에 접촉하고, 도어(310)의 하면은 제1 프런트 슬릿(120H)의 하측 경계면 또는 제2 프런트 슬릿(130H)의 하측 경계면(130H4)에 접촉할 수 있다.
모터(320)는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모터(320)는 회전방향, 회전속도, 및 회전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스텝모터일 수 있다. 모터(320)는 모터 마운트(390)에 고정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터 마운트(390)는 어퍼 바디(120, 130)의 내면에 고정되며, 모터(320)를 지지할 수 있다.
피니언(330)은 모터(320)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기어(340)는 피니언(330)에 맞물릴 수 있다. 도어축(341)은 기어(340)에 고정되고, 도어(3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어축(341)은 도어(310)의 회전축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어축(341)은 회전축, 피벗축, 또는 힌지축이라 칭할 수 있다.
커넥터(350, 360, 370, 380)는 제1 보더(310c)에 구비될 수 있다. 도어축(341)은 커넥터(350, 360, 370, 380)에 삽입되고, 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보더(310c)의 회전 반경은 제2 보더(310d)의 회전 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넥터(350, 360, 370, 380)는 도어(31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커넥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350), 제2 커넥터(360), 제3 커넥터(370), 그리고 제4 커넥터(380)는 상하방향에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어축(341)이 관통하는 제1 축홀(351), 제2 축홀(361), 제3 축홀(371), 및 제4 축홀(381) 각각은 제1 커넥터(350), 제2 커넥터(360), 제3 커넥터(370), 및 제4 커넥터(380)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커넥터(350, 360)는 제3 및 제4 커넥터(370, 38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터(320)는 제1 및 제2 커넥터(350, 360)와 제3 및 제4 커넥터(370, 380)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모터(320)는 제1 및 제2 커넥터(350, 360)에 동력을 제공하는 어퍼 모터와, 제3 및 제4 커넥터(370, 380)에 동력을 제공하는 로어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 모터에 연결된 도어축(341)은 제1 및 제2 커넥터(350, 360)에 고정되고, 상기 로어 모터에 연결된 도어축(341)은 제3 및 제4 커넥터(370, 38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320)가 구동되면, 도어(310)는 도어축(34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 등에 기초하여, 팬(150)과 도어 어셈블리(300) 등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블로어(100'')의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제1 어퍼 바디(120)에 설치된 도어 어셈블리(300)의 제1 모터(320)와 제2 어퍼 바디(130)에 설치된 도어 어셈블리(300)의 제2 모터(320)의 동작을 제어하여, 제1 프런트 슬릿(120H)과 제2 프런트 슬릿(130H)을 폐쇄할 수 있다. 즉, 제1 어퍼 바디(120)에 설치된 도어 어셈블리(300)의 도어(310)가 제1 유로(120P)에서 제1 슬롯(L-H)을 덮어 제1 프런트 슬릿(120H)이 폐쇄되고, 제2 어퍼 바디(130)에 설치된 도어 어셈블리(300)의 도어(310)가 제2 유로(130P)에서 제2 슬롯(R-H)을 덮어 제2 프런트 슬릿(130H)이 폐쇄될 수 있다.
제1 유로(120P)의 공기는 제1 리어 슬릿(120S)을 통해 스페이스(109)로 토출될 수 있다. 제2 유로(130P)의 공기는 제2 리어 슬릿(130S)을 통해 스페이스(109)로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로 인하여, 스페이스(109)로 토출된 공기는 제1 이너 패널(121)의 표면과 제2 이너 패널(131)의 표면을 따라서 전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도 21의 FR 참조). 이때, 제1 이너 패널(121)의 표면과 제2 이너 패널(131)의 표면 사이의 간격은 스페이스(109)의 후방부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좁아지고, 상기 중심부에서 스페이스(109)의 전방부로 갈수록 넓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페이스(109)의 공기는 좌우로 넓게 펴지며 전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기류를 확산풍 또는 간접풍이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공기의 유동은 어퍼 바디(120, 130) 주위의 공기가 스페이스(109)로 유입(entrainment)되거나 아우터 패널(122, 132)의 표면을 따라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블로어(100'')는 사용자 등에게 풍부한 풍량의 기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제1 어퍼 바디(120)에 설치된 도어 어셈블리(300)의 제1 모터(320)와 제2 어퍼 바디(130)에 설치된 도어 어셈블리(300)의 제2 모터(320)의 동작을 제어하여, 제1 프런트 슬릿(120H)과 제2 프런트 슬릿(130H)을 개방할 수 있다. 즉, 제1 어퍼 바디(120)에 설치된 도어 어셈블리(300)의 도어(310)가 제1 슬롯(L-H)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프런트 슬릿(120H)이 개방되고, 제2 어퍼 바디(130)에 설치된 도어 어셈블리(300)의 도어(310)가 제2 슬롯(R-H)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프런트 슬릿(130H)이 개방될 수 있다.
제1 유로(120P)의 공기는 제1 리어 슬릿(120S)과 제1 프런트 슬릿(120H)을 통해 스페이스(109)로 토출될 수 있다. 제2 유로(130P)의 공기는 제2 리어 슬릿(130S)과 제2 프런트 슬릿(130H)을 통해 스페이스(109)로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로 인하여, 제1 리어 슬릿(120S)과 제2 리어 슬릿(130S)에서 스페이스(109)로 토출된 공기는 제1 이너 패널(121)의 표면과 제2 이너 패널(131)의 표면을 따라서 전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도 22의 FR 참조). 그리고, 제1 프런트 슬릿(120H)과 제2 프런트 슬릿(130H)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제1 이너 패널(121)의 표면과 제2 이너 패널(131)의 표면을 따라서 유동하는 공기를 스페이스(109)의 중심을 지나 전후로 연장되는 기준선에 집중시킬 수 있다(도 22의 FF 참조).
이에 따라, 스페이스(109)의 공기는 전방을 향해 집중적으로 유동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기류를 집중풍 또는 직접풍이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공기의 유동은 어퍼 바디(120, 130) 주위의 공기가 스페이스(109)로 유입(entrainment)되거나 아우터 패널(122, 132)의 표면을 따라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블로어(100')는 사용자 등에게 풍부한 풍량의 기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3 및 2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제1 어퍼 바디(120)에 설치된 도어 어셈블리(300)의 모터(320)와 제2 어퍼 바디(130)에 설치된 도어 어셈블리(300)의 모터(320)의 회전 동작을 제어하여, 제1 슬롯(L-H)에 대한 제1 도어(310)의 위치와 제2 슬롯(R-H)에 대한 도어(3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는 제1 어퍼 바디(120)에 설치된 도어 어셈블리(300)의 모터(320)와 제2 어퍼 바디(130)에 설치된 도어 어셈블리(300)의 모터(320)의 회전 동작을 동기화(sync)하여, 제1 슬롯(L-H)에 대한 도어(310)의 위치와 제2 슬롯(R-H)에 대한 도어(310)의 위치를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는 제1 어퍼 바디(120)에 설치된 도어 어셈블리(300)의 모터(320)와 제2 어퍼 바디(130)에 설치된 도어 어셈블리(300)의 모터(320)의 회전 동작을 서로 다르게 제어하여, 제1 슬롯(L-H)에 대한 도어(310)의 위치와 제2 슬롯(R-H)에 대한 도어(310)의 위치를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1 어퍼 바디(120)에 설치된 도어(310)는 제1 프런트 슬릿(120H)을 개방하되, 제2 어퍼 바디(130)에 설치된 도어(310)는 제2 프런트 슬릿(120H)을 폐쇄할 수 있다. 이 경우, 블로어(100'')는 우측으로 편향된 기류를 사용자 등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1 어퍼 바디(120)에 설치된 도어(310)는 제1 프런트 슬릿(120H)을 폐쇄하되, 제2 어퍼 바디(130)에 설치된 도어(310)는 제2 프런트 슬릿(120H)을 개방할 수 있다. 이 경우, 블로어(100'')는 좌측으로 편향된 기류를 사용자 등에게 제공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20)

  1.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팬;
    상기 팬이 설치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고, 공기가 통과하는 흡입홀이 형성되는 로어 바디; 그리고,
    상기 로어 바디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로어 바디의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어퍼 바디;로서, 전후방향에서, 상기 어퍼 바디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스페이스를 구비하는 어퍼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 바디는:
    상기 어퍼 바디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어퍼 바디의 상기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스페이스로 토출하는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은:
    상기 어퍼 바디의 후단에 인접하는 리어 슬릿; 그리고,
    상기 어퍼 바디의 전단에 인접하는 프런트 슬릿을 포함하는 블로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슬릿은,
    상기 스페이스를 향하며 전방으로 경사진 방향에서, 상기 어퍼 바디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프런트 슬릿은,
    상기 스페이스의 전방을 향하며 전방으로 경사진 방향에서, 상기 어퍼 바디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블로어.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바디는:
    상기 스페이스를 향하며, 상기 리어 슬릿과 상기 프런트 슬릿이 형성되는 이너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 패널의 표면은 상기 스페이스를 향해 볼록한 곡면인 블로어.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바디는:
    상기 어퍼 바디의 상기 유로를 형성하는 이너 슬리브; 그리고,
    상기 이너 슬리브를 둘러싸는 패널;로서, 상기 이너 패널과, 상기 이너 패널에 대향하는 아우터 패널을 구비하는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너 패널은,
    상기 아우터 패널과 접하여 상기 어퍼 바디의 상기 전단과 상기 후단을 형성하는 블로어.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바디는:
    상기 어퍼 바디의 상기 후단에 인접하고, 상기 이너 패널과 상기 아우터 패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개구;로서, 상기 어퍼 바디의 상기 유로에 위치하는 입구와, 상기 리어 슬릿을 형성하는 출구를 구비하는 개구; 그리고,
    상기 어퍼 바디의 상기 전단에 인접하고, 상기 이너 패널과 상기 아우터 패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슬롯;으로서, 상기 어퍼 바디의 상기 유로에 위치하는 입구와, 상기 프런트 슬릿을 형성하는 출구를 구비하는 슬롯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너 슬리브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 또는 상기 슬롯 중 적어도 하나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도어를 더 포함하는 블로어.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바디는:
    상기 로어 바디의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제1 유로를 형성하는 제1 어퍼 바디; 그리고,
    상기 제1 어퍼 바디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로어 바디의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제2 유로를 형성하는 제2 어퍼 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스는 상기 제1 어퍼 바디와 상기 제2 어퍼 바디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리어 슬릿은:
    상기 제1 어퍼 바디의 후단에 인접하는 제1 리어 슬릿; 그리고,
    상기 제2 어퍼 바디의 후단에 인접하는 제2 리어 슬릿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 슬릿은:
    상기 제1 어퍼 바디의 전단에 인접하는 제1 프런트 슬릿; 그리고,
    상기 제2 어퍼 바디의 전단에 인접하는 제2 프런트 슬릿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리어 슬릿과 상기 제1 프런트 슬릿은,
    상기 제1 어퍼 바디의 상기 스페이스를 향하는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리어 슬릿과 상기 제2 프런트 슬릿은,
    상기 제2 어퍼 바디의 상기 스페이스를 향하는 표면에 형성되는 블로어.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퍼 바디는 상기 제2 어퍼 바디로부터 좌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 리어 슬릿은 상기 제2 리어 슬릿과 좌우로 대칭되며,
    상기 제1 프런트 슬릿은 상기 제2 프런트 슬릿과 좌우로 대칭되는 블로어.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퍼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프런트 슬릿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1 도어 어셈블리;
    상기 제2 어퍼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프런트 슬릿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2 도어 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제1 도어 어셈블리와 상기 제2 도어 어셈블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도어 어셈블리와 상기 제2 도어 어셈블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블로어.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 어셈블리는 상기 제2 도어 어셈블리와 좌우로 대칭되는 블로어.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 어셈블리는,
    상기 제1 프런트 슬릿을 개폐하는 제1 도어; 그리고,
    상기 제1 어퍼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도어에 동력을 제공하는 제1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제1 어퍼 바디의 내부에서, 슬라이딩되거나 회전 가능한 블로어.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퍼 바디의 상기 스페이스를 향하는 표면은,
    상기 스페이스를 향해 볼록한 곡면이고,
    상기 제1 도어의 상기 스페이스를 향하는 표면은,
    상기 제1 어퍼 바디의 상기 스페이스를 향하는 표면과 동일한 곡률을 가진 곡면인 블로어.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제1 모터의 동작에 대응해, 상기 제1 어퍼 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제1 도어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1 프런트 슬릿을 개폐하는 블로어.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제1 프런트 슬릿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제1 도어의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제1 도어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제1 도어 플레이트에서 돌출되는 제1 도어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어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되는 제1 피니언; 그리고,
    상기 제1 피니언에 맞물리는 제1 랙을 구비하는 제1 링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제1 링크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랙의 이동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어 핀은 상기 제1 가이드 홈에 상기 제1 가이드 홈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블로어.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 플레이트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도어 플레이트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어퍼 가이드; 그리고,
    상기 제1 도어 플레이트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도어 플레이트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로어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블로어.
  15.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제1 모터의 동작에 대응해, 상기 제1 어퍼 바디의 내부에서, 호(arc)를 그리며 이동하여, 상기 제1 프런트 슬릿을 개폐하는 블로어.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제1 도어의 원주방향에서 상기 제1 프런트 슬릿에 삽입 가능한 전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어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모터의 동력을 상기 제1 도어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 그리고,
    상기 제1 도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어퍼 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제1 도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도어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블로어.
  17.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제1 모터의 동작에 대응해, 상기 제1 어퍼 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제1 프런트 슬릿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피벗(pivot)되어, 상기 제1 프런트 슬릿을 개폐하는 블로어.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의 면적은 상기 제1 프런트 슬릿의 크기보다 크고,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제1 어퍼 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제1 프런트 슬릿을 덮거나 이로부터 떨어지는 제1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어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고, 상기 제1 도어의 피벗 중심을 형성하는 제1 도어축; 그리고,
    상기 제1 도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도어축이 고정되는 제1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블로어.
  1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도어 어셈블리와 상기 제2 도어 어셈블리의 동작을 동기화(sync)하여, 상기 제1 프런트 슬릿의 개폐와 상기 제2 프런트 슬릿의 개폐를 동일하게 조절하는 블로어.
  2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도어 어셈블리와 상기 제2 도어 어셈블리의 동작을 다르게 제어하여, 상기 제1 프런트 슬릿의 개폐와 상기 제2 프런트 슬릿의 개폐를 다르게 조절하는 블로어.
PCT/KR2021/002600 2020-03-04 2021-03-03 블로어 WO2021177713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764196.8A EP4116590A4 (en) 2020-03-04 2021-03-03 BLOWER
US17/908,625 US20230122270A1 (en) 2020-03-04 2021-03-03 Blow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287A KR102630059B1 (ko) 2020-03-04 2020-03-04 송풍기
KR1020200027284A KR20210112122A (ko) 2020-03-04 2020-03-04 송풍기
KR10-2020-0027287 2020-03-04
KR10-2020-0027284 2020-03-04
KR10-2020-0066279 2020-06-02
KR1020200066279A KR102644819B1 (ko) 2020-06-02 2020-06-02 에어클린팬
KR10-2020-0114465 2020-09-08
KR1020200114465A KR102622931B1 (ko) 2020-09-08 2020-09-08 에어클린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77713A1 true WO2021177713A1 (ko) 2021-09-10

Family

ID=77612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2600 WO2021177713A1 (ko) 2020-03-04 2021-03-03 블로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22270A1 (ko)
EP (1) EP4116590A4 (ko)
WO (1) WO202117771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19783A1 (en) * 2020-12-28 2022-06-29 LG Electronics Inc. Blower
KR20230040080A (ko) * 2021-09-15 2023-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로어
KR20230057819A (ko) * 2021-10-22 2023-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로어
US11971049B2 (en) 2020-12-28 2024-04-30 Lg Electronics Inc. Blower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9318A (ko) 2009-03-04 2011-09-07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팬 어셈블리
KR20110099302A (ko) * 2009-03-04 2011-09-07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선풍기 조립체
KR20110100274A (ko) 2009-03-04 2011-09-09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선풍기
JP2013015114A (ja) * 2011-07-06 2013-01-24 Panasonic Corp 送風装置
KR101472758B1 (ko) * 2014-02-07 2014-12-15 이광식 환형 노즐용 스페이서
CN104863871A (zh) * 2014-05-06 2015-08-26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风扇
KR20190015325A (ko) 2016-05-18 2019-02-13 드롱기 어플라이언스 에스알엘 콘 유니코 소시오
KR20190025443A (ko) 2017-09-01 2019-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동 발생장치
JP2019100341A (ja) * 2017-12-01 2019-06-24 ダイソン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ファン組立体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119500D0 (en) * 2011-11-11 2011-12-21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GB2536767B (en) * 2013-03-11 2017-11-15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nozzle with control port
GB2528704A (en) * 2014-07-29 2016-02-03 Dyson Technology Ltd Humidifying apparatus
CN207064346U (zh) * 2016-08-15 2018-03-02 杨家宁 风扇
US20200318642A1 (en) * 2017-09-29 2020-10-08 Valeo Systemes Thermiques Ventila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heat exchange module with air guides for guiding the air flow passing through the air manifolds
GB2568979A (en) * 2017-12-01 2019-06-05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FR3081942B1 (fr) * 2018-05-31 2021-05-21 Valeo Systemes Thermiques Turbine pour ventilateur tangentiel destine a equiper un vehicule automobile, ventilateur tangentiel, dispositif de ventilation et module d’echange de chaleur pour vehicule automobile
GB201900025D0 (en) * 2019-01-02 2019-02-13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9318A (ko) 2009-03-04 2011-09-07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팬 어셈블리
KR20110099302A (ko) * 2009-03-04 2011-09-07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선풍기 조립체
KR20110100274A (ko) 2009-03-04 2011-09-09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선풍기
JP2013015114A (ja) * 2011-07-06 2013-01-24 Panasonic Corp 送風装置
KR101472758B1 (ko) * 2014-02-07 2014-12-15 이광식 환형 노즐용 스페이서
CN104863871A (zh) * 2014-05-06 2015-08-26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风扇
KR20190015325A (ko) 2016-05-18 2019-02-13 드롱기 어플라이언스 에스알엘 콘 유니코 소시오
KR20190025443A (ko) 2017-09-01 2019-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동 발생장치
JP2019100341A (ja) * 2017-12-01 2019-06-24 ダイソン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ファン組立体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4116590A4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19783A1 (en) * 2020-12-28 2022-06-29 LG Electronics Inc. Blower
US11971049B2 (en) 2020-12-28 2024-04-30 Lg Electronics Inc. Blower
KR20230040080A (ko) * 2021-09-15 2023-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로어
KR102585889B1 (ko) * 2021-09-15 2023-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로어
KR20230057819A (ko) * 2021-10-22 2023-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로어
KR102585888B1 (ko) * 2021-10-22 2023-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로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22270A1 (en) 2023-04-20
EP4116590A4 (en) 2024-03-20
EP4116590A1 (en) 2023-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77713A1 (ko) 블로어
WO2018044067A1 (en) Oven
WO2017146353A1 (ko) 공기 청정기
WO2021206231A1 (ko)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WO2019194637A1 (ko) 팬어셈블리 및 공기조화기
WO2017082601A1 (ko) 힌지축 구동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WO2018016883A1 (ko) 송풍기
AU2017385761B2 (en) Clothing drying apparatus
WO2018217068A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용 에어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WO2017082602A1 (ko) 섹터기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WO2021162310A1 (en) Humidification apparatus
WO2021182809A1 (ko) 블로어
WO2016043400A1 (ko) 기류제어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
WO2021153852A1 (ko) 송풍기
WO2021075896A1 (ko) 블로어
EP3317451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21177507A1 (ko) 송풍기
WO2021235619A1 (ko) 블로어
WO2023277317A1 (ko) 조리 기기
WO2019059516A1 (ko) 건조기
WO2023277318A1 (ko) 조리 기기
WO2022103168A1 (ko) 공기조화기
WO2015009034A1 (en) Clothes dryer
WO2021201587A1 (ko) 조리기기
WO2023106717A1 (ko) 헤어 드라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76419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764196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