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2122A - 송풍기 - Google Patents

송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2122A
KR20210112122A KR1020200027284A KR20200027284A KR20210112122A KR 20210112122 A KR20210112122 A KR 20210112122A KR 1020200027284 A KR1020200027284 A KR 1020200027284A KR 20200027284 A KR20200027284 A KR 20200027284A KR 20210112122 A KR20210112122 A KR 20210112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scharge port
tower
blower
valley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혁
이창훈
최석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7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2122A/ko
Priority to PCT/KR2020/005404 priority patent/WO2021177507A1/ko
Priority to EP21764196.8A priority patent/EP4116590A4/en
Priority to US17/908,625 priority patent/US20230122270A1/en
Priority to PCT/KR2021/002600 priority patent/WO2021177713A1/ko
Publication of KR20210112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1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3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01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703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specially for fan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14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 F04F5/16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는,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부 및 상기 흡입부로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상승하는 타워부; 및 상기 타워부의 중심축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는 공간인 밸리홈을 포함하며, 상기 타워부는, 상기 밸리홈을 규정하도록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마주보는 면으로 형성되는 대향면; 및 상기 밸리홈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대향면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송풍기 {Blower}
본 발명은 송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풍기는 팬을 구동하여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기계장치이다. 일례로, 상기 송풍기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날개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는 상기 날개의 회전에 의하여 공기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송풍기는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에서 사용자와 상대적으로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송풍기는 보통 “선풍기”라고 이름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에 의해 발생된 공기 유동은 대류와 증발을 통해 상기 실내의 열기를 방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내의 사용자는 시원함과 쾌적감을 느낄 수 있다.
한편, 종래 송풍기는 상기 회전축에 붙은 날개가 시각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날개와 관련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자 케이지(cage) 등과 같은 보호망 기구를 함께 구비한다. 그러나 이러한 케이지와 날개는 쉽게 오염되고 관리가 불편하다. 따라서, 최근에는 송풍기의 날개가 사용자의 눈에 보이지 않는 다양한 송풍기(또는 선풍기)가 공개되고 있다.
또한, 송풍기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송풍기는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청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송풍기의 공기청정 성능은, 토출되는 공기량(“토출용량”)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0274호(공개일자: 2011년 09월 09일)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15325호(공개일자: 2019년 02월 13일)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25443호(공개일자: 2019년 03월 11일)가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송풍기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이하, “토출기류”)가 직접적으로 사용자에게 닿도록 제공되는 직접풍을 선호할 수도 있고, 반대로, 토출기류가 공간에 확산됨으로써 은은하고 간접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간접풍을 선호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송풍기로부터 기대하는 쾌적감이 다를 수 있다.
종래 송풍기는, 상기 간접풍을 제공하기 위해 토출구 또는 송풍기 전체를 회전시킴으로써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또는 토출기류)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짧은 시간이라도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닿는 기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연속적으로 은은한 토출기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송풍기 전체 또는 토출구의 계속적인 회전을 위해 별도의 동력을 별도로 제공해야하므로 소비전력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송풍기는 실내 공간으로 공기를 확산시키거나, 특정 공간을 향하여 정화된 공기를 제공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송풍기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송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하는 팬의 날개(또는 블레이드)가 비시각적으로 구비되는 히든(hidden) 송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를 이용하여 서로 마주보는 면에 토출되는 공기가 용이하게 혼합되어 전방으로 유동할 수 있는 송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 간의 조합에 의해 직접풍 또는 간접풍을 생성할 수 있는 송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혼합함으로써 최종적인 방향이 결정되는 토출기류를 형성하는 송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혼합시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토출기류를 생성하고, 상기 토출기류가 커버하는 영역이 각각 토출되는 공기들의 혼합 수준에 따라 가변될 수 있는 송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로 마주보는 토출구로부터 각각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성을 일치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는 송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는,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부 및 상기 흡입부로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상승하는 타워부; 및 상기 타워부의 중심축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는 공간인 밸리홈을 포함하며, 상기 타워부는, 상기 밸리홈을 규정하도록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마주보는 면으로 형성되는 대향면; 및 상기 밸리홈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대향면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는, 상기 밸리홈을 향하여 사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는, 상기 대향면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후방토출구; 및 상기 대향면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전방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토출구는, 상기 후방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이 전방으로 집중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워부는, 상기 전방토출구를 개폐하는 전방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후방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밸리홈의 전방으로 집중시키고, 상기 전방도어가 폐쇄되면, 상기 후방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밸리홈의 전방에서 양 측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도어는 상기 후방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의 영역을 조절하기 위해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도어는 상기 전방토출구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후방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와 상기 전방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혼합 수준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토출구는 상기 밸리홈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후방토출구 및 제 2 후방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후방토출구와 상기 제 2 후방토출구는, 상기 밸리홈의 전방으로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토출구는 상기 밸리홈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전방토출구 및 제 2 전방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전방토출구와 상기 제 2 전방토출구는, 상기 밸리홈의 전방으로 유동하는 공기에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토출구와 상기 후방토출구는, 상기 밸리홈을 향하여 연장되는 경사 각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토출구는, 상기 전방토출구 보다 상기 경사 각도가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워부는, 상기 타워부의 내부에 상기 지지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가이드하는 토출유로를 형성하는 아웃가이드 및 이너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가이드는, 상기 대향면의 내측 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웃가이드는, 상기 전방토출구의 입구의 일측을 규정하는 가이드사선부; 및 상기 후방토출구의 입구의 일측을 규정하며,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휘어지는 가이드만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가이드는, 상기 전방토출구의 입구의 타측을 규정하도록 상기 가이드사선부에 이격 배치되는 전방사선부; 상기 후방토출구의 입구의 타측을 규정하도록 상기 가이드만곡부에 이격배치되는 후방만곡부; 및 상기 후방만곡부에 형성되며, 상기 후방토출구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밸리홈의 전방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코안다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는,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부 및 상기 흡입부로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분기되어 유입되는 타워부를 포함하며, 상기 타워부는, 중심축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는 공간인 밸리홈을 형성하는 대향면; 및 상기 대향면에 형성되고, 상기 분기된 공기를 상기 밸리홈으로 토출시키는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릿은 상기 타워부의 내부 공기를 상기 밸리홈으로 향하도록 유동 방향을 가이드하는 토출구의 출구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 및 상기 슬릿은, 상기 밸리홈을 향하여 동일한 경사를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릿은, 상기 타워부의 내부 공기를 상기 중심축의 전방에서 토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전방토출구의 출구를 형성하는 전방슬릿; 및 상기 타워부의 내부 공기를 상기 중심축의 후방에서 토출되도록 가이드하는 후방토출구의 출구를 형성하는 후방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토출구 및 상기 전방슬릿의 상기 밸리홈을 향하여 연장되는 경사 각도는, 상기 후방토출구 및 상기 후방슬릿의 상기 밸리홈을 향하여 연장되는 경사 각도 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릿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서 상기 밸리홈으로 토출되어 혼합 기류를 형성하고, 상기 혼합 기류는 전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릿은, 상기 대향면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전방슬릿; 및 상기 한 쌍의 전방슬릿 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한 쌍의 후방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후방슬릿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밸리홈에서 혼합기류를 형성하여 전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전방슬릿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혼합기류의 방향성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전방슬릿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혼합기류의 양측 방향에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워부는, 상기 밸리홈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제 1 타워 및 제 2 타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향면은, 상기 벨리홈을 사이로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제 1 타워에 형성되는 제 1 대향면 및 상기 제 2 타워에 형성되는 제 2 대향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대향면과 상기 제 2 대향면은, 상기 중심축에서 가장 근접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워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서부터 연속적으로 상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부는, 원주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타공되는 다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지지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타워부를 포함하며, 상기 타워부는, 상기 타워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타워케이스; 중심축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타워케이스에 형성되는 대향면; 및 상기 대향면에 위치하며, 상기 개방된 공간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한 쌍의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토출구는, 상기 대향면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전방토출구; 및 상기 대향면의 후방부에 위치하며, 코안다면에 의해 규정되는 후방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코안다면에 의해 전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송풍기의 후방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토출되는 후방토출공기(FR)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각각 대향면을 따라 전방으로 유동하며 서로 혼합된 공기(이하, “혼합공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블레이드, 베인 등의 구성이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쾌적한 토출기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송풍기의 전방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토출되는 전방토출공기(FF)는 혼합공기에 부가 및/또는 혼합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토출기류의 방향과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토출기류가 보다 넓은 영역을 커버할 수 있고, 다양한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최종적인 토출기류를 형성하는 공기의 혼합 수준에 따라 상기 토출기류의 방향과 세기가 결정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한 쌍의 토출구가 송풍기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전방부 및 후방부에 위치하는 각각의 토출구는 공기를 전방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사선(Diagonal)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전방을 향하도록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송풍기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또는 후방토출공기)는 두 대향면이 형성하는 밸리홈을 따라 전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두 대향면은 송풍기의 중심축에서 가장 근접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를 이용하여 공기를 증폭시키고, 보다 빠르게 전방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송풍기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토출구의 개폐 정도에 따라 토출기류를 형성하는 공기들의 혼합 수준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송풍기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또는 전방토출공기)는 후방토출공기를 중앙으로 집중시켜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성향에 맞춰 직접풍 또는 간접풍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대향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은 코안다 효과에 의해 동일한 방향성을 가지도록 토출되므로 편향 및 유동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후방토출공기 간의 혼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코안다 효과에 의하여 표면을 따라 유동하는 두 공기가 혼합되어 전방으로 용이하게 가이드 할 수 있으므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가이드하는 별도의 베인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전체적인 송풍기의 구성이 최소화되므로 경제적으로 유리하고, 사용자에게 팬 리스(fan less) 구조를 가지는 송풍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송풍기가 보다 심플(simple)한 디자인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무게 중심이 하부에 형성되고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전도(顚倒) 위험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송풍기 전체의 회전 없이 직접풍 또는 간접풍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전력 소비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사용자가 장시간 바람에 노출되어도 드래프트가 없이 편안한 기류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Ⅰ-Ⅰ’단면도
도 3은 도 1의 Ⅱ-Ⅱ’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공기 유동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간접풍을 제공하기 위한 공기 유동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직접풍을 제공하기 위한 공기 유동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Ⅰ-Ⅰ’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Ⅱ-Ⅱ’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1)는, 지지부(10) 및 상기 지지부(10)에 의해 지지되는 타워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0)는 상기 송풍기(1)의 하부를 형성하며, 상기 타워부(100)는 상기 송풍기(1)의 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타워부(100)는 상기 지지부(10)의 상부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송풍기(1)는 상기 지지부(10)에서 주위 공기를 흡입하며, 상기 타워부(100)에서 정화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타워부(100)는 상기 지지부(10) 보다 높은 위치에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송풍기(1)는 상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송풍기(1)는 대략적으로 원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0) 및 상기 타워부(100)는 일체를 이루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타워부(100)는 상기 지지부(10)의 상단으로부터 직경이 연속적으로 작아지도록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10)와 타워부(100)는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매끈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타워부(100)는, 송풍기(1)의 중심축(O)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는 공간인 밸리홈(1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송풍기(1)의 중심축(O)은 상기 밸리홈(120)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리홈(120)은 상기 송풍기(1)의 전방과 후방을 연결하는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밸리홈(120)은 상기 타워부(100)의 전단에 소정의 폭을 가지는 개구를 정반대에 위치한 타워부(100)의 후단으로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밸리홈(120)은 후술할 대향면(111,112) 및 하부곡면(125)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향면(111,112)은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밸리홈(120)의 폭은 전후 방향으로 다를 수 있다.
상기 밸리홈(120)의 바닥은 하부곡면(125)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부곡면(125)은 하방으로 함몰된 곡면을 가지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리홈(120)은 상기 타워부(100)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밸리홈(120)은 상기 타워부(100)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타워부(100)를 수직 이등분하도록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타워부(100)는 상기 밸리홈(120)에 의하여 대칭을 이루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밸리홈(120)의 폭은, 전후 방향과 달리 상하 방향으로 일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리홈(120)의 상하 길이(또는 밸리홈의 깊이)는, 상기 지지부(10)의 상하 길이(또는 높이)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밸리홈(120)은 후술할 슬릿(131,132,141,142) 또는 토출구(133,134,143,144)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전방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 즉, 상기 밸리홈(120)은 상기 송풍기(1)의 전방으로 토출기류가 형성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지지부(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0)의 케이스(12)는 “본체 케이스”라고 이름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12)는, 상기 타워부(100)의 타워케이스(110)와 일체적 또는 연속적인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케이스(12)는 상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뿔대(Truncated con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타워케이스(110)의 하단은 상기 케이스(12)의 상단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2)의 전면에는, 상기 밸리홈(120)과 상하로 정렬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홈(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홈(15)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가 설치되는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디스플레이는 터치식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송풍기(1)의 다양한 운전모드를 사용자가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10)는 상기 케이스(12)에 형성되어 공기를 유입시키는 흡입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13)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흡입부(13)는 다수의 홀을 타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13)의 주변 공기는 상기 다수의 홀에 의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흡입부(13)는 그릴 형상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13)가 그릴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흡입부(13)의 주변 공기는, 그릴이 형성하는 사이 공간에 의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13)로 유입된 공기는 필터를 통과하면서 상기 타워부(100)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0)는 지면에 놓여지는 베이스(20), 상기 베이스(20)의 위에 배치되는 필터지지부(30) 및 상기 필터지지부(30)에 결합하는 필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는 상기 케이스(12)의 하단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20)는 상기 케이스(12)의 내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13)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베이스(20)의 상측에 구비되는 필터(미도시)를 통과하고, 상기 필터의 내측에 형성되는 흡입유로(45)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상기 흡입부(13)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또는 정화)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필터는 중심축을 따라 개방되는 도넛 또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부(13)로 유입된 공기는 원기둥 형상인 필터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상기 흡입유로(45)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흡입유로(45)는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유동하는 경로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는 흡입유로(45)를 따라 팬(210)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필터지지부(30)는 상기 베이스(20)의 상면에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지지부(30)의 하면은 상기 베이스(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필터지지부(30)는 상기 필터의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지지장치(31) 및 필터프레임(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장치(31)는 상기 필터지지부(30)의 하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프레임(35)은 상기 필터지지부(30)의 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장치(31)는 상기 필터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장치(31)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장치(31)의 내부 공간은, 상기 흡입유로(45)의 하부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상기 지지장치(31)에 안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장치(31)의 상면은 상기 필터가 안착되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장치(31)는 상기 필터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장치(31)의 내주면은, 상기 필터의 탈착 또는 고정을 가이드하는 레버장치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필터프레임(35)은 상기 지지장치(31)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필터프레임(35)은 대략 링 형상을 가진다.
상기 필터프레임(35)의 내부 공간은, 상기 흡입유로(45)의 상부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프레임(35)의 상부는 팬하우징(200)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지지부(30)은, 지지장치(31)로부터 상기 필터프레임(35)을 향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필터기둥(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필터기둥에 의하여, 상기 지지장치(31)와 상기 필터프레임(35)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필터기둥은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지지장치(31)와 상기 필터프레임(35)의 테두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장치(31), 필터프레임(35) 및 필터기둥은, 상기 필터의 장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0)는 상기 필터의 상측에 위치하는 팬하우징(200), 상기 흡입부(13)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유동압력을 제공하는 팬(210), 상기 팬(210)의 상측에 위치하는 디퓨저(300) 및 상기 디퓨저(300)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타워부(100)로 가이드하는 분배덕트(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200)은 상기 필터의 출구 측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200)은 상기 팬(210)을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하우징(200)은 상기 필터프레임(35)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200)의 하부에는, 상기 팬하우징(200)의 내부로 공기의 유입을 가이드 하는 유입그릴(205)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입그릴(205)은 상기 흡입유로(45)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유입그릴(205)은 그릴로 제공되므로 상기 필터가 분리되었을 때, 사용자가 상기 팬하우징(200)의 내부로 손가락 등을 집어 넣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팬(210)은 회전을 통하여 공기의 유동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210)은 상기 유입그릴(205)의 상측에 놓여질 수 있다.
상기 팬(210)은 축 방향으로 공기를 유입하여 사선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사류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팬(210)은 모터(미도시)의 축이 결합되는 허브(211), 상기 허브(211)와 이격 배치되는 쉬라우드(213) 및 상기 허브(211)와 상기 쉬라우드(213)의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블레이드(2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디퓨저(300)의 모터수용부(310)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의 축은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허브(211)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허브(211)는 상기 모터수용부(3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허브(211)는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보울(bowl)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허브(211)는, 상기 모터의 축이 결합되는 축 결합부(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축결합부는 상기 허브(211)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213)는 상기 유입그릴(205)을 통과한 공기가 흡입되는 중심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쉬라우드(213)는 상기 중심 개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블레이드(215)의 가이드에 의해 사선 방향으로 토출되는 외곽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외곽 개구는 상기 중심 개구 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215)의 일 면은 상기 허브(211)의 외주면에 결합할 수 있으며, 타 면은 상기 쉬라우드(213)의 내주면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215)는 상기 허브(211)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흡입유로(45)를 따라 상방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유입그릴(205)를 통하여 상기 팬하우징(2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하우징(200)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쉬라우드(213)가 형성하는 중심 개구(또는 축 방향)으로 유입되어 블레이드(215)를 거쳐 사선 방향을 토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외곽 개구를 통해 공기가 사선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215)는 축 방향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디퓨저(300)는 상기 팬(210)의 위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퓨저(300)는 상기 팬(21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상기 분배덕트(400)의 내부 공간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디퓨저(300)는 상기 팬하우징(200)의 상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디퓨저(300)는 상기 팬하우징(200)의 외경과 동일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팬하우징(200)에 적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퓨저(300)는 상기 팬(210)을 통과한 공기를 분배덕트(400)를 통과하여 타워부(100)로 상승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디퓨저(300)는, 외곽 둘레를 형성하는 외벽 및 상기 외벽의 내측에 위치하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터수용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퓨저(300)는 상기 모터수용부(310)와 상기 외벽 사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 개로 구비되는 가이드베인(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벽의 직경은 상기 모터수용부(310)의 직경보다 크다. 즉, 상기 외벽의 직경은 상기 디퓨저(300)의 외경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수용부(310)의 외주면의 직경은 상기 디퓨저(300)의 내경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외벽은 상기 모터수용부(310)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외벽의 내주면과 상기 모터수용부(310)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상기 팬(210)을 통과한 공기가 유동하는 가이드유로(33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유로(335)에는 공기를 상방으로 가이드하는 상기 가이드베인(33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수용부(310)는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수용부(310)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허브(211)와 연결되는 모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수용부(310)는 하부(315)는,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보울(bowl)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모터수용부(310)의 하부(315) 형상은, 상기 허브(211)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수용부(310)는 상기 허브(21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모터의 축은 상기 모터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모터 수용부(310)의 하부 중심에 형성된 모터결합구를 관통하여 상기 허브(211)의 축 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모터수용부(310)의 하부(315)에는 타공 형성되는 다수의 흡음홀(316)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수용부(310)의 내측에는 상기 다수의 흡음홀(316)에 대응하여 흡음재(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흡음홀(316)은 상기 모터결합구를 중심으로 상기 하부의 외주면(315)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다수의 흡음홀(316) 간의 간격은 8~14(mm)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모터수용부의 하부(315)의 외주면과 상기 허브(211) 사이에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사이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315)와 상기 허브(211) 사이에 형성되는 사이 공간을 “에어 갭(Air gap)”으로 이름한다.
상기 에어 갭에는 상기 팬(210)을 통과한 공기 중 일부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에어 갭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팬(210)의 회전에 의한 압력에 의해 상기 에어 갭에서 마찰 및 충돌을 일으킬 수 있다. 결국, 상기 에어 갭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유동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흡음홀(316) 및 흡음재에 의하면, 상기 에어 갭에 의해 발생되는 유동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흡음홀(316)은 미리 설정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흡음홀(316)의 직경은 2(mm)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베인(330)은 상기 모터수용부(310)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외벽의 내주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베인(330)는 다수 개가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베인(330)는 상기 팬(210을 거쳐 상기 디퓨저(300)의 가이드유로(335)로 유입된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13)에 의해 유입되어 필터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팬(210)의 회전을 통해 발생되는 유동압력에 의하여 상방으로 유동한다. 상기 상방으로 유동한 공기는 팬하우징(200)으로 유입된 후 상기 팬(210)을 통과하면서 사선 방향으로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사선 방향으로 상승된 공기는 상기 디퓨저(300)의 가이드유로(335)로 유입되며, 상기 가이드유로(335)에 배치된 다수의 가이드베인(330)은 상기 가이드유로(335)로 유입된 공기를 상방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215)를 거쳐 사선 방향으로 상승하는 공기는 대부분 원주 방향의 유동성분과 반경 방향의 유동성분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215)를 통과한 공기는 회전하는 소용돌이 기류를 형성하며 상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가이드베인(330)은 상기 소용돌이 기류를 형성하는 유동성분을 상쇄시켜 공기가 안정적으로 상승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베인(330)을 통과한 공기의 속도 성분은, 반경 방향 및 원주 방향 성분이 감소할 수 있다. 반면에, 상대적으로 축 방향 성분, 즉, 상방으로 향하는 속도 성분이 커질 수 있다.
상기 분배덕트(400)는 상기 디퓨저(300)의 위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배덕트(400)는 상기 디퓨저(300)를 통과하여 상승하는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분배덕트(400)는 상기 디퓨저(300)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분배덕트(400)의 하단 외경은, 상기 디퓨저(300)의 상단 외경과 동일할 수 있다. 즉, 상기 분배덕트(400)는 상기 디퓨저(300)의 외벽과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배덕트(400)는 상기 외벽으로부터 상기 타워부(100)의 하단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분배덕트(400)는 상기 케이스(12) 및/또는 상기 타워케이스(11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배덕트(400)는 상기 타워부(100)와 상기 디퓨저(300) 사이에 원활한 공기 흐름이 형성되는 내주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분배덕트(400)의 내부에는 디퓨저(300)를 통과한 공기를 타워부(100)의 내부공간으로 분기시키는 분배유로(4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배유로(410)는, 상기 타워부(100)의 제 1 토출유로(101a) 및 제 2 토출유로(102a)로 연통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분배유로(41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 1 토출유로(101a)와 상기 제 2 토출유로(102a)로 분기되어 유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제 1 토출유로(101a) 및 상기 제 2 토출유로(102a)는, 간단히 “토출유로(101a,102a)”라고 이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타워부(100)는 상기 밸리홈(120)을 기준으로 일 측에 위치하는 제 1 타워(101) 및 상기 제 1 타워(101)를 마주보도록 타 측에 위치하는 제 2 타워(102)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유로(101a)는 상기 제 1 타워(101)의 내부 공간으로 규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토출유로(101a)로 유입된 공기는 후술할 제 1 전방슬릿(131) 및/또는 제 1 후방슬릿(141)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유로(102a)는 상기 제 2 타워(102)의 내부 공간으로 규정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유로(102a)로 유입된 공기는 후술할 제 2 전방슬릿(132) 및/또는 제 2 후방슬릿(142)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즉, 상기 분배덕트(400)는 상기 디퓨저(300)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타워부(100)의 제 1 타워(101)와 상기 제 2 타워(102)로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10)는, 상기 타워부(100)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모듈(미도시)은, 상기 타워부(100)가 상기 지지부(10)를 지지한 상태로 360°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하부곡면(125)의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타워부(100)의 하단부가 상기 지지부(10)의 상단을 따라 회전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모듈은 회전모터(미도시), 상기 회전모터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는 다수의 롤러 및 상기 다수의 롤러가 소정의 길을 따라 구름 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롤러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롤러가 상기 롤러홈을 따라 구름 운동을 하는 경우, 상기 타워부(100)는 시계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타워부(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타워케이스(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타워케이스(110)는 상기 지지부(10)의 케이스(12)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횡단면의 전체 직경이 작아지도록 연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워케이스(110)는 중심축(O)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개방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방 공간은 상기 밸리홈(120)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상기 타워케이스(110)의 중심부에는 밸리홈(120)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타워부(100)는 상기 밸리홈(120)을 기준으로 대칭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타워부(100)는 상기 중심축(O)을 대칭축으로 하는 대칭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지지부(10)도 상기 중심축(O)을 대칭축으로 하는 대칭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중심축(O)을 타워부(100)의 전후 개방된 방향으로 지나는 가상의 수직선(L)을 정의한다. 이하에서, 상기 가상의 수직선(L)은 “기준선”으로 이름할 수 있다. 상기 기준선(L)은 상기 밸리홈(120)을 전후 방향으로 가로지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송풍기(1)는 상기 기준선(L)을 기준으로도 대칭을 이루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1)는 중심축(O) 또는 기준선(L)을 기준으로 균형을 이루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전도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타워케이스(110)는, 송풍기(1)의 반경 방향으로 외관을 형성하는 외면(115,116)과, 상기 밸리홈(120)을 형성하는 대향면(111,112) 및 하부곡면(1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면(115,116)은 상기 타워부(1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면(115,116)은 상기 타워케이스(110)의 바깥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외면(115,116)은 상기 지지부(10)의 케이스(12)부터 상방으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연장되는 타워케이스(110)의 원주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외면(115,116)은, 상기 밸리홈(120)을 기준으로 반원의 호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외면(115,116)은 상기 밸리홈(120)의 일 측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 1 외면(115) 및 상기 밸리홈(120)의 타 측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 2 외면(1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향면(111,112)과 상기 하부곡면(125)은, 상기 외면(115,116)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향면(111,112)과 상기 하부곡면(125)은, 상기 타워부(100)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워부(100)의 중심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밸리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대향면(111,112)은 상기 밸리홈(120)의 양 측면을 규정하며, 상기 하부곡면(125)은 상기 밸리홈(120)의 하면을 규정할 수 있다.
상기 대향면(111,112)은 상기 기준선(L)이 지나는 개방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대향면(111,112)은 상기 타워부(100)의 중심 부에 형성된 공간(“밸리홈”)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대향면(111,112)은 상기 밸리홈(120)에서 서로 마주보는 제 1 대향면(111) 및 제 2 대향면(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대향면(111)은 상기 제 1 외면(115)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 2 대향면(112)은 상기 제 2 외면(116)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대향면(111)은 상기 제 1 외면(115)의 전단과 후단을 연결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제 2 대향면(112)은 상기 제 2 외면(116)의 전단과 후단을 연결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대향면(111,112)은 상기 중심축(O)을 향하여 돌출되는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대향면(111)과 상기 제 2 대향면(112)은,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소정의 간격(또는 폭)은 상기 중심축(O)에서 가장 가까우며, 상기 제 1 외면(115)과 상기 제 2 외면(116)의 전단 및 후단에서 가장 멀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후방토출구(143,144)로부터 토출되어 상기 대향면(111,112)을 따라 밸리홈(120)의 전방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중심축(O) 부근에서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에 의해 보다 빠르게 유동할 수 있으며, 송풍기(1)의 전방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보다 증폭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곡면(125)은 상기 제 1 대향면(111)의 하단과 상기 제 2 대향면(112)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곡면(125)은 기준선(L)을 향하여 오목하게 함몰된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타워부(100)는 상기 디퓨저(300)의 가이드유로(335)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전방토출구(133,134) 및 후방토출구(143,144)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전방토출구(133,134) 및 상기 후방토출구(143,144)는, 통칭하여 “토출구”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전방토출구(133,134)는 상기 타워부(100)의 전방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방토출구(133,134)는 상기 대향면(111,112)의 전방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방토출구(133,134)는 상기 밸리홈(120)의 전방부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전방토출구(133,134)는, 상기 제 1 대향면(111)에 위치하는 제 1 전방토출구(133) 및 상기 제 2 대향면(112)에 위치하는 제 2 전방토출구(13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전방토출구(133)와 상기 제 2 전방토출구(134)는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전방토출구(133)와 상기 제 2 전방토출구(134)는, 기준선(L)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한 쌍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후방토출구(143,144)는 상기 타워부(100)의 후방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후방토출구(143,144)는 상기 대향면(111,112)의 후방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방토출구(143,144)는 상기 밸리홈(120)의 후방부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후방토출구(143,144)는 상기 제 1 대향면(111)에 위치하는 제 1 후방토출구(143) 및 상기 제 2 대향면(112)에 위치하는 제 2 후방토출구(14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후방토출구(143)와 상기 제 2 후방토출구(144)는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후방토출구(143)와 상기 제 2 후방토출구(144)는, 기준선(L)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한 쌍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후방토출구(143)는 상기 제 1 전방토출구(133) 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후방토출구(143)는 중심축(O) 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후방토출구(144)는 상기 제 2 전방토출구(134) 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후방토출구(144)는 중심축(O) 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토출구(133,134) 및 상기 후방토출구(143,144)는, 상기 밸리홈(120)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전방토출구(133,134) 및 상기 후방토출구(143,144)는, 상기 밸리홈(120)을 향할수록 전방으로 경사지게 공기를 가이드하는 공간을 연장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할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에 의해 상기 후방토출구(143,144)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밸리홈(120)을 따라 전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전방토출구(133)와 상기 제 1 후방토출구(143)는 상기 제 1 토출유로(101a)의 공기를 밸리홈(120)으로 토출시키기 위한 가이드 공간을 사선 방향(Diagonal)으로 연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전방토출구(133) 및 상기 제 1 후방토출구(143)와 상기 기준선(L)을 기준으로 대칭 형성되는, 상기 제 2 전방토출구(134) 및 상기 제 2 후방토출구(144)는, 상기 제 2 토출유로(102a)의 공기를 밸리홈(120)으로 토출시키기 위한 가이드 공간을 사선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전방토출구(133,134) 및 상기 후방토출구(143,144)는, 상기 기준선(L, 도3)을 향하여 소정의 경사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전방토출구(133,134) 및 상기 후방토출구(143,144)는,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상기 기준선(L)과 소정의 경사 각도를 가지도록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토출구(133,134) 및 상기 후방토출구(143,144)는, 상기 기준선(L)으로부터 서로 다른 경사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방토출구(133,134)의 연장 방향을 따라 그어지는 가상의 직선과 상기 기준선(L)이 이루는 예각은, 상기 후방토출구(143,144)의 연장 방향을 따라 그어지는 가상의 직선과 상기 기준선(L)이 이루는 예각 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방토출구(133,134)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후방토출구(143,144) 보다 상대적으로 더욱 전방으로 편향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송풍기(1)는, 상기 후방토출구(143,144)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상기 전방토출구(133,134)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혼합 여부를 따라, 상기 송풍기(1)의 전방 영역으로 후술할 “직접풍” 또는 “간접풍”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토출구(133,134) 및 상기 후방토출구(143,144)는, 상기 대향면(111,112)에서 상기 송풍기(1)의 상하 방향을 따라 일 직선으로 연장되는 슬릿(slit)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타워부(100)는 상기 전방토출구(133,134)의 출구를 규정하는 전방슬릿(131,132) 및 상기 후방토출구(143,144)의 출구를 규정하는 후방슬릿(141,1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대향면(111,112)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전방슬릿(131,132) 및 후방슬릿(141,142)을 통하여, 상기 타워부(100)의 내부에 상승하는 공기는 상기 밸리홈(120)을 향해 토출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전방슬릿(131,132) 및 상기 후방슬릿(141,142)은 통칭하여 “슬릿”이라 할 수 있다.
후술하겠으나, 상기 전방토출구(133,134)는 전방가이드(151,161)와 이너가이드(170,180)에 의해 입구가 규정되며, 상기 후방토출구(143,144)는 후방가이드(155,165)와 이너가이드(170,180)에 의해 입구가 규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방토출구(133,134)는 입구에서 출구까지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연장되는 공간을 가지며,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토출구(133,134)의 연장 방향은 기준선(L)과 소정의 경사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후방토출구(143,144)는 입구에서 출구까지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연장되는 공간을 가지며, 상술한 바와 같이 후방토출구(143,144)의 연장 방향은 기준선(L)과 전방토출구(133,134)와 다른 소정의 경사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방슬릿(131,132)은 상기 전방토출구(133,134)의 일 부분(출구)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방슬릿(131,132)이 형성하는 개구는 상기 전방토출구(133,134)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후방슬릿(141,142)은 상기 후방토출구(143,144)의 일 부분(출구)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방슬릿(141,142)이 형성하는 개구는 상기 후방토출구(143,144)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장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전방슬릿(131,132)은 상기 전방토출구(131,132)에 대응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슬릿(141,142)은 상기 후방토출구(143,144)에 대응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방슬릿(131,132)은 상기 대향면(111,112)의 전방부에 상기 전방토출구(133,134)의 출구로써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슬릿(141,142)은 상기 대향면(111,112)의 후방부에 상기 후방토출구(143,144)의 출구로써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슬릿(131,132) 및 상기 후방슬릿(141,142)은, 상기 밸리홈(120)을 향하여 전후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방슬릿(131,132)은 상기 제 1 대향면(111)에 위치하는 제 1 전방슬릿(131) 및 상기 제 2 대향면(112)에 위치하는 제 2 전방슬릿(13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전방슬릿(131)과 상기 제 2 전방슬릿(132)은 상기 기준선(L)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전방슬릿(131)과 상기 제 2 전방슬릿(132)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슬릿(141,142)은 상기 제 1 대향면(111)에 위치하는 제 1 후방슬릿(141) 및 상기 제 2 대향면(112)에 위치하는 제 2 후방슬릿(14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후방슬릿(141)과 상기 제 2 후방슬릿(142)은 상기 기준선(L)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후방슬릿(141)과 상기 제 2 후방슬릿(142)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워부(100)는, 상기 타워케이스(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유로(335)를 의해 상승하는 공기를 상기 전방토출구(133) 또는 상기 후방토출구(143)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베인(135,14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인(135,145)은 상기 제 1 토출유로(101a)로 상승하는 공기의 유동을 상기 전방토출구(133)로 전환시키는 전방베인(135) 및 상기 후방토출구(143)로 전환시키는 후방베인(145)을 포함할 수 있다.(도 2 참고)
마찬가지로, 제 2 토출유로(102a)로 상승하는 공기의 유동을 전환시키기 위한 전방베인(미도시) 및 후방베인(미도시)은, 기준선(L)을 기준으로 상기 전방베인(135) 및 후방베인(145)과 대칭을 이루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토출유로(102a)로 유동하는 공기를 제 2 전방토출구(134)로 가이드하는 전방베인(미도시) 및 제 2 후방토출구(144)로 가이드하는 후방베인(미도시)에 대한 설명은, 상기 제 1 토출유로(101a)로 유동하는 공기를 제 1 전방토출구(133)로 가이드하는 전방베인(135) 및 제 1 후방토출구(143)로 가이드하는 후방베인(145)에 대한 설명을 원용하도록 한다.
상기 베인(135,145)은 상기 전방토출구(133) 또는 후방토출구(143)의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인(135,145)은 상기 타워케이스(110)의 높이 방향으로 다수 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인(135,145)의 하면은, 상기 가이드유로(335)를 통해 상기 타워케이스(1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승하는 공기를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전방토출구(133) 또는 후방토출구(143)로 가이드하기 위해 하면을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인(135,145)은, 상기 전방토출구(133) 또는 상기 후방토출구(143)의 상하 방향과 대략 수직한 방향(또는 수평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폭을 가진 하면이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인(135,145)의 미리 설정된 폭은, 토출유로(101a,102a)를 따라 상승하는 공기의 유동을 일부 유지하기 위해, 상기 토출유로(101a,102a)의 폭의 절반 보다 작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인(135,145)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전방토출구(133) 또는 상기 후방토출구(143)의 입구에 상기 수평 방향으로 맞닿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토출유로(101a) 및 제 2 토출유로(102a)로 상승하는 공기 중 일부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베인(135,145)의 하면에 차례로 부딪히게 되면서 유동방향을 전환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상기 전방토출구(133) 또는 상기 후방토출구(143)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전방토출구(133,143) 및 후방토출구(143,144)로부터 상대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균일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인(135,145)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베인(135,145)은 후측 단부를 회전 중심으로, 토출구(133,143)의 개방 방향에 대해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타워부(100)는 제 1 토출유로(101a)와 제 2 토출유로(102a)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시켜주는 히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미도시)는 가이드유로(335)로부터 제 1 토출유로(101a) 및 제 2 토출유로(102a)로 상승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타워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히터는 PTC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워부(100)는, 상기 제 1 토출유로(101a)와 제 2 토출유로(102a)를 형성하는 아웃가이드(150,160) 및 이너가이드(170,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아웃가이드(150,160) 및 이너가이드(170,180)는, 토출유로(101a,102a)를 형성하도록 상기 타워케이스(10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아웃가이드(150,160) 및 이너가이드(170,180)는, 상기 타워부(100)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토출유로(101a,102a)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아웃가이드(150,160) 및 이너가이드(170,180)는, 토출유로(101a,102a)가 규정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아웃가이드(150,160) 및 이너가이드(170,180)는, 횡단면이 대략 반원 형상을 가지는 공간을 둘러싸도록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원 형상의 공간은 제 1 토출유로(101a) 또는 제 2 토출유로(102a)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웃가이드(150,160) 및 상기 이너가이드(170,180)은, 후술할 후방토출구(143,144)의 입구 및 후술할 전방토출구(133,134)의 입구를 향할수록 공기의 유동 단면적이 작아지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웃가이드(150,160) 및 이너가이드(170,180)는 상기 타워케이스(100)의 내면(inner surface)에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가이드(150,160) 및 이너가이드(170,180)는 상기 타워케이스(10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웃가이드(150,160) 및 상기 이너가이드(170,180)는, 상기 중심축(O)을 지나는 상기 기준선(L)의 수선에서 토출유로(101a,102a)가 가장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가이드(150,160) 및 상기 이너가이드(170,180)는, 상기 기준선(L)의 수선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을 향할수록 점차 토출유로(101a,102a)의 폭이 작아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아웃가이드(150,160)는 상기 외면(115,116)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가이드(150,160)는 상기 외면(115,116)의 내주면(inner circumference surface)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웃가이드(150,160)는 제 1 토출유로(101a)를 형성하는 제 1 아웃가이드(150) 및 제 2 토출유로(102a)를 형성하는 제 2 아웃가이드(1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참고)
상기 제 1 아웃가이드(150)는 제 1 외면(115)의 내주면(inner circumference surface)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아웃가이드(160)는 제 2 외면(116)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아웃가이드(150)와 상기 제 2 아웃가이드(160)는, 상기 기준선(L)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한 쌍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서술하는 상기 아웃가이드(150,160)의 구조적 사양은, 상기 제 1 아웃가이드(150)와 상기 제 2 아웃가이드(160)에 공통된 구조적 사양을 설명하는 것임이 밝혀둔다.
상기 아웃가이드(150,160)는, 전방가이드(151,161) 및 상기 전방가이드(151,161)의 후단과 결합되어 일체로 연장되는 후방가이드(155,1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가이드(151,161)의 외주면은 상기 외면(115,116)의 내주면과 결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방가이드(151,161)의 외주면(outer circumference surface)은 상기 외면(115,116)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면(115,116)의 내주면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전방가이드(151,161)의 외주면은 제 1 곡률을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방가이드(151,161)의 내주면은, 토출유로(101a,102a)의 전방 부분을 규정할 수 있으며, 제 2 곡률을 가지도록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방가이드(151,161)의 내주면은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전방가이드(151,161)는 상기 토출유로(101a,102a)의 전방 부분의 공기가 부드럽게 전방토출구(133,134)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즉, 상기 전방가이드(151,161)는, 상기 토출유로(101a,102a)를 유동하는 공기가 전방토출구(133,134)로 부드럽게(smooth) 유동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방가이드(151,161)의 내주면은, 상기 전방가이드(151,161)의 외주면 보다 큰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곡률은 상기 제 2 곡률 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방가이드(151,161)는 내주면이 외주면 보다 더 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전방가이드(151,161)는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유선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전방가이드(151,161)는 상기 전방토출구(133,134)를 향할수록 횡단면의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전방가이드(151,16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토출구(133,134)가 후방토출구(143,144) 보다 낮은 경사 각도를 가지도록 연장되기 위한 최소 설계 치수(또는 공간)을 허용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전방가이드(151,161)는, 상기 제 1 아웃가이드(150)의 전방부를 구성하는 제 1 전방가이드(151) 및 상기 제 2 아웃가이드(160)의 전방부를 구성하는 제 2 전방가이드(161)로 구분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1 전방가이드(151)와 상기 제 2 전방가이드(161)는 기준선(L)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후방가이드(155,165)의 외주면은 상기 외면(115,116)의 내주면과 결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후방가이드(155,165)의 외주면은 상기 외면(115,116)의 내주면과 동일한 제 1 곡률을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후방가이드(155,165)의 내주면은 상기 토출유로(101a,102)의 후방 부분을 규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가이드(155,165)의 내주면은, 가이드만곡부(158,168)가 형성되는 후방부를 제외하고, 상기 제 1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가이드(155,165)의 폭은 후방부가 상대적으로 크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후방가이드(155,164)의 후방부는 상기 외면(115,116)과 상기 대향면(111,112)이 연결되는 사이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방가이드(155,165)의 내주면은, 상기 후방가이드(155,165)의 후방부에서 상기 제 1 곡률 보다 큰 제 3 곡률을 가지도록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곡률은 상기 제 2 곡률 보다 클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후방가이드(155,165)의 내주면은, 토출유로(101a,102a)의 공기를 상기 후방토출구(143,144)를 통과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결국, 상기 후방가이드(155,165)의 후방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만곡부(158,168)는 후술할 상기 이너가이드(170,180)의 후방부에 형성되는 상기 후방만곡부(175,185)와 함께 토출유로(101a,102a)의 공기가 상기 후방토출구(143,144)로 유입되도록 유동 단면적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후술할 코안다 효과에 기인하여 밸리홈(120)과 토출유로(101a,102a) 사이의 압력 차는 상기 후방토출구(143,144)로 공기의 유입을 가속시킬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상기 후방토출구(143,144)를 통과한 공기는, 밸리홈(120)의 전방부로 향하도록 유동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후방가이드(155,165)는 상기 제 1 아웃가이드(150)의 후방부를 구성하는 제 1 후방가이드(155) 및 상기 제 2 아웃가이드(160)의 후방부를 구성하는 제 2 후방가이드(165)로 구분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1 후방가이드(155)와 상기 제 2 후방가이드(165)는 기준선(L)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너가이드(170,180)는 상기 대향면(111,112)의 내측 면(inner surface)을 따라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가이드(170,180)는 상기 제 1 아웃가이드(150)와 함께 제 1 토출유로(101a)를 형성하는 제 1 이너가이드(170) 및 상기 제 2 아웃가이드(160)와 함께 제 2 토출유로(102a)를 형성하는 제 2 이너가이드(1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이너가이드(170)는 제 1 대향면(111)의 내측 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이너가이드(180)는 제 2 대향면(112)의 내측 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이너가이드(170)와 상기 제 2 이너가이드(180)는, 상기 기준선(L)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한 쌍으로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하에서 서술하는 상기 이너가이드(170,180)의 구조적 사양은, 상기 제 1 이너가이드(170)와 상기 제 2 이너가이드(180)에 공통된 구조적 사양을 설명하는 것임이 밝혀둔다.
한편, 상기 아웃가이드(150,160)는, 상기 토출유로(101a,102a)와 연통되는 상기 전방토출구(133,134) 및 상기 후방토출구(143,144)를 형성하도록, 상기 이너가이드(170,180)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관련한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전방가이드(151,161)는, 상기 전방토출구(133,134)의 입구의 일측을 규정하는 가이드사선부(153,1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가이드(170,180)는, 상기 전방토출구(133,134)의 입구의 타측을 규정하는 전방사선부(171,18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사선부(153,163)는, 상기 전방가이드(151,161)에서 밸리홈(120)을 향하는 면과 상기 전방가이드(151,161)의 내주면이 접하는 모서리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사선부(153,163)는 상기 전방토출구(133,134)로 유입되는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둥그런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사선부(153,163)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모서리에 모따기(chamfering)를 수행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사선부(153,163)는 상기 제 1 전방가이드(151)에 형성되는 제 1 가이드사선부(153) 및 상기 제 2 전방가이드(161)에 형성되는 제 2 가이드사선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사선부(171,181)는, 상기 이너가이드(170,180)의 전단에 위치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전방사선부(171,181)는 상기 이너가이드(170,18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사선부(171,181)는 상기 전방슬릿(131,132)을 규정하는 대향면(111,112)의 일 모서리까지 연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방사선부(171,181)는 상기 전방슬릿(131,132)과 상기 기준선(L)에 대해 동일한 경사 각도를 가지도록 사선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사선부(171,181)는 상기 가이드사선부(153,163) 보다 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방사선부(171,181)는 상기 제 1 이너가이드(170)의 전단을 형성하는 제 1 전방사선부(171) 및 상기 제 2 이너가이드(180)의 전단을 형성하는 제 2 전방사선부(181)를 포함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전방토출구(133,134)는, 상기 가이드사선부(153,163) 및 상기 전방사선부(171,181)에 의해 입구가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방토출구(133,134)는 상기 전방슬릿(131,132)에 의해 출구가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전방토출구(133,134)를 정의하며, 상기 토출유로(101a,102a)의 공기를 상기 밸리홈(120)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사선부(153,163), 후술할 전방도어(154,164) 및 전방슬릿(131,132)은 연결되어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전방사선부(171,181) 및 상기 전방슬릿(131,132)은, 연결되어 반대측에 또 다른 하나의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사선부(153,163) 및 상기 전방사선부(171,181)가 상기 밸리홈(120)을 향하여 연장되는 경사 각도는, 전방도어(154,164) 및 상기 전방슬릿(131,132)이 상기 밸리홈(120)을 향해 연장되는 각도와 동일할 수 있다.(도 3 참고)
이에 의하면, 상기 전방토출구(133,134)의 가이드에 따라 상기 밸리홈(120)으로 유동하는 공기에 대한 저항은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후방가이드(155,164)는, 상기 후방토출구(143,144)의 입구의 일측을 규정하는 가이드만곡부(158,16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가이드(170)는, 상기 후방토출구(143,144)의 입구의 타측을 규정하는 후방만곡부(175,1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만곡부(175,185)와 상기 가이드만곡부(158,168)는, 함께 상기 토출유로(101a,102a)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후방토출구(143,144)로 부드럽게(smooth) 유입될 수 있도록 굽어진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만곡부(158,168)는 후방가이드(155.165)의 후방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만곡부(158,168)는 상기 외면(115,116)과 상기 대향면(111,112)이 연결되는 사이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만곡부(158,168)는 상기 후방가이드(155,165)의 내주면이 상기 제 3 곡률을 가지도록 연장되는 부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만곡부(158,168)는 후술할 코안다면(176,186)을 따라 공기가 효율적으로 흐를 수 있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3 곡률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만곡부(158,168)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토출유로(101a,102a)의 공기가 상기 후방토출구(143,144)로 향할 때, 후술할 후방만곡부(175,185)와 함께 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곡선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만곡부(158,158)는, 상기 후방슬릿(141,142)까지 연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만곡부(158,168) 및 상기 후방슬릿(141,142)은, 상기 후방토출구(143,144)로 유입된 공기를 밸리홈(120)으로 가이드하는 매끈한 일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후술할 코안다면(176,186)은 상기 후방슬릿(141,142)까지 연장되어, 반대편에 위치한 매끈한 일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만곡부(158,168)는 상기 제 1 후방가이드(155)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제 1 가이드만곡부(158) 및 상기 제 2 후방가이드(165)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제 2 가이드만곡부(16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만곡부(158) 및 상기 제 2 가이드만곡부(168)는 상기 기준선(L)에 대해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방만곡부(175,185)는 상기 이너가이드(170,180)의 후단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후방만곡부(175,185)는 상기 이너가이드(170,180)의 후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후반만곡부(175,185)는 상기 이너가이드(170,180)의 전방부 보다 두꺼운 폭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후방만곡부(175,185)는 후방을 향할수록 상기 기준선(L)에 대해 소정의 경사 각도를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후방만곡부(175,185)는 에어포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방만곡부(175,185)의 연장 단부는 뭉툭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후방만곡부(175,185)의 연장 단부는 저항을 최소화하고 공기의 유동 방향을 밸리홈(120)의 전방으로 향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기 위해 뭉툭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후방만곡부(175,185)는 상기 제 1 이너가이드(170)의 후단에 위치하는 제 1 후방만곡부(175) 및 상기 제 2 이너가이드(180)의 후단에 위치하는 제 2 후방만곡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후방만곡부(175) 및 상기 제 2 후방만곡부(185)는 상기 기준선(L)에 대해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후방만곡부(175)는 상기 기준선(L)에 대하여 상향 경사지게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후방만곡부(185)는 상기 기준선(L)에 대하여 하향 경사지게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후방토출구(143,144)는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밸리홈(120)의 전방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기준선(L)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후방토출구(143,144)를 정의하는 상기 후방만곡부(175,185) 및 상기 가이드만곡부(158,168)는, 상기 후방토출구(143,144)로 유입되는 공기가 밸리홈(120)의 전방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후방만곡부(175,185) 및 상기 가이드만곡부(158,168)는, 상기 밸리홈(120)을 향하여 휘어지는 형상을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만곡부(175,185)는 상기 후방토출구(143,144)로 유입된 공기를 전방으로 가이드하는 코안다면(176,18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안다면(176,186)은 상기 후방만곡부(175,185)의 연장 단부로부터 상기 후방슬릿(141,142)까지 연장되는 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코안다면(176,186)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안다면(176,186)은 상기 가이드만곡부(158,168)의 전방으로 이격 되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안다면(176,186)은 상기 가이드만곡부(158,168)와 마주보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안다면(176,186)과 상기 가이드만곡부(158,168)의 사이 공간은 후방토출구(143,144)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안다면(176,186)은 상기 가이드만곡부(158,168)와 함께 상기 기준선(L)에 대해 소정의 경사 각도를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경사 각도는 상기 전방토출구(133,134)가 상기 기준선(L)에 대해 가지는 경사 각도 보다 클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안다면(176,186)의 경사각도, 상기 코안다면(176,186)와 상기 가이드만곡부(158,168) 사이의 거리 등은, 미리 결정된 기준 속도와 유량을 만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안다면(176,186)은, 상기 제 1 후방만곡부(175)에 형성되는 제 1 코안다면(176) 및 상기 제 2 후방만곡부(185)에 형성되는 제 2 코안다면(18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코안다면(176)과 상기 제 2 코안다면(186)은 상기 기준선(L)에 대해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코안다면(176)과 상기 제 2 코안다면(186)은, 상기 밸리홈(120)을 향하여 토출되는 공기에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를 부여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안다 효과는 공기와 같은 유체가 고체의 표면에 들러붙어 흐르는 경향을 갖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후방토출구(143,144)로 유입된 공기는 곡면인 코안다면(176,186)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방토출구(143,144)로부터 토출되는 공기(FR, 도 5 참고)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증폭되어, 상기 밸리홈(120)의 전방을 향하도록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리홈(120)으로 토출된 상기 공기(FR)는 대향면(111,112)의 표면을 따라 가이드되어 전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밸리홈(120)의 양 면을 규정하는 대향면(111,112)은 중심축(O)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을 향할수록 멀어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후방토출구(143,144)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중심축(O)을 통과하면서 코안다 효과에 의하여 대향면(111,112)의 곡률을 따라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방토출구(143,144)에서 토출되는 공기만으로 상기 송풍기(1)의 토출기류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송풍기(1)의 전방에서 기류가 퍼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을 커버할 수 있는 토출 기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보다 강하고 직접적인 기류를 원하는 경우, 또는 상기 송풍기(1)의 전방에 상대적으로 좁은 역역을 커버하지만 보다 집중적인 토출기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송풍기(1)는 전방토출구(133,134)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타워부(100)는 상기 전방토출구(133,134)를 개폐하는 전방도어(154,1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 참고)
상기 전방도어(154,164)는 상기 대향면(111,112)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전방도어(154,165)는 사용자의 시선에서 숨겨지도록(hidden) 상기 타워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방도어(154,164)는, 상기 대향면(111,112)과 상기 전방가이드(151,161)의 사이 공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전방도어(154,164)는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상기 전방토출구(133,134)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도어(154,164)는 상기 전방슬릿(131,132)을 내측 방향에서 개폐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전방도어(154,165)는 사용자의 시선에서 숨겨진(hidden) 상태로 상기 전방슬릿(131,132)을 닫아주기 때문에 간접풍 또는 직접풍 생성시 깔끔하고 심미감 있는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방도어(154,164)는 상기 제 1 전방토출구(133)를 개폐하는 제 1 전방도어(154) 및 상기 제 2 전방토출구(134)를 개폐하는 제 2 전방도어(16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전방도어(154)는 제 1 전방가이드(151)와 제 1 전방슬릿(131)의 일측을 규정하는 제 1 대향면(111)의 사이 공간에 설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전방도어(164)는 제 2 전방가이드(161)와 제 2 전방슬릿(132)의 일측을 규정하는 제 2 대향면(112)의 사이 공간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1)는 상기 전방도어(154,164)의 개폐 동작으로 후술할 간접풍 또는 직접풍을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공기 유동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송풍기(1)의 하부에 형성된 흡입부(13)로 주위 공기(F)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공기는 필터(미도시)를 통과하여 흡입유로(45)로 유입되고, 유동압력을 제공하는 팬(210)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팬(210)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디퓨저(300)의 가이드유로(335)를 따라 상승하며, 상기 분배유로(410)를 통과하면서 제 1 타워(101)와 제 2 타워(102)로 분기될 수 있다.
상기 제 1 타워(101) 및 상기 제 2 타워(102)로 분기되어 상승하는 공기(점선)는, 상기 토출유로(101a,102a)를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유로(101a,102a)를 유동하는 공기 중 일부는 상기 가이드만곡부(158,168)와 상기 후방만곡부(175,185)의 가이드에 의해 후방토출구(143,144)로 토출(FR)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토출유로(101a,102a)의 후방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후방토출구(143,144)로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 공기는 상기 가이드사선부(153,163)와 상기 전방사선부(171,181)의 가이드에 의해 전방토출구(133,134)로 토출(FF)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토출유로(101a,102a)의 전방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전방토출구(133,134)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토출유로(101a,102a)를 유동하는 공기는, 전방베인(135)의 가이드에 따라 전방토출구(133,134)로 유동하거나 또는 후방베인(145)의 가이드에 따라 후방토출구(143,144)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상하 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다수 개의 전방베인(135) 또는 다수 개의 후방베인(145)의 가이드에 의하여, 상기 토출유로(101a,102a)를 유동하는 공기는 서로 다른 높이에서 상기 전방토출구(133,134)와 상기 후방토출구(143,144)를 통과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높이에서 상기 밸리홈(120)을 향하여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간접풍을 제공하기 위한 공기 유동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직접풍을 제공하기 위한 공기 유동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대향면(111,112)이 중심축(O)을 향하여 폭이 좁아지도록 연장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심축(O)에서 상기 대향면(111,112)의 전단을 향할수록 상기 대향면(111,112)이 형성하는 폭은 넓어질 수 있다.
이에 기인하여, 상기 후방토출구(143,144)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대향면(111,112)의 가이드를 따라 전방으로 유동하기 때문에, 상기 대향면(111,112)의 전단에서 폭 방향(또는 기준선(L)의 양측 방향)으로 넓게 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방토출구(143,144)에서 토출되는 공기(FR, “후방토출공기”)만이 혼합되어 사용자가 위치하는 송풍기(1)의 전방으로 제공되는 혼합기류는, 상기 송풍기(1)의 전방에서 보다 넓은 영역을 커버하도록 확산될 수 있다.
이에 기인하여, 상기 혼합기류는 상대적으로 보다 작은 풍속과 세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혼합기류는 사용자에게 은은한 기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혼합기류는 상기 송풍기(1)로부터 토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기류로서 “토출기류”라고 이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후방토출구(143,144)에서 토출되는 공기(FR)만이 혼합된 토출기류는, “간접풍”이라 이름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후방토출구(143,144)와 함께 상기 전방토출구(133,134)에서도 공기가 토출되는 경우, 상기 전방토출구(133,134)로부터 토출되는 공기(FF)는, 상기 후방토출구(143,144)로부터 토출되어 상기 밸리홈(120)의 전방으로 유동하는 공기(FR)의 바깥 부분에서 혼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방토출구(133,134)가 상기 후방토출구(143,144) 보다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기준선(L)과 서로 다른 경사 각도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전방토출구(133,134)로부터 토출되는 공기(FF, “전방토출공기”)는, 상기 밸리홈(120)의 전단 영역에서 상기 후방토출구(143,144)로부터 토출되는 공기(FR)의 직진 성분을 보다 강화시킬 수 있도록 혼합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술한 상기 전방토출구(133,134)와 후방토출구(143,144)의 경사 관계에 의하면, 상기 전방토출구(133,134)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FF)은, 상기 후방토출구(143,144)에서 토출되는 공기(FR)의 양측에서, 보다 상기 밸리홈(120)의 전방에 집중 또는 보다 전방으로 편향되는 혼합을 이룰 수 있다.
즉, 상기 전방토출구(133,134)로부터 토출되는 공기(FF)는, 상기 후방토출구(143,144)로부터 토출되는 공기(FR)의 전진 기류가 송풍기(1)의 전방으로 집중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전방토출구(133,134)로부터 토출되는 공기(FF)와 상기 후방토출구(143,144)로부터 토출되는 공기(FR)가 최종적으로 혼합된 기류는, 상기 후방토출구(143,144)로부터 토출되는 공기(FR)만이 혼합된 경우(간접풍) 보다 상대적으로 밸리홈(120)의 전방으로 집중된 혼합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강하고 빠른 기류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보다 피부에 맞닿는 전방 접중적인 기류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기 후방토출구(143,144)에서 토출되는 공기(FR) 및 상기 전방토출구(133,134)에서 토출되는 공기(FF)가 혼합된 토출기류는, “직접풍”이라 이름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송풍기(1)의 전방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토출되는 전방토출공기(FF)는, 상기 송풍기(1)의 후방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토출되는 후방토출공기(FR)의 전진 기류에 부가 및/또는 혼합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토출기류의 방향과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전방토출구(133,134) 또는 전방슬릿(131,141)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후방토출공기(FR)의 혼합기류에 방향성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1)는 대향면(111,112)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혼합시켜서, 전방 영역의 사용자에게 쾌적한 토출기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1)는 상기 토출기류가 커버할 수 있는 영역을 전방토출구(133,134) 및 후방토출구(143,144)에서 각각 토출되는 공기의 혼합 수준에 따라 가변시킬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송풍기(1)는, 전방토출구(133,134) 및 후방토출구(143,14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폐함으로써 상기 토출되는 공기의 혼합 수준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1)는 상기 전방토출구(133,134) 및 후방토출구(143,144)의 형성 위치, 기준선(L)과 경사 각도, 공기 가이드 방향, 연장 방향 등과 같은 구조적 사양에 기인하여, 상기 전방토출구(133,134)의 개폐 여부 또는 개폐의 정도에 따라 상기 토출되는 공기의 혼합 수준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1)는, 전방토출구(133,134)를 개폐하는 전방도어(154,164)가 구비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방토출구(133,134)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방도어(154,164)는 전방토출구(133,134)를 개폐시킬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전방도어(154,164)는, 상기 간접풍을 생성하기 위해 전방토출구(133,134)를 닫을(close)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도어(154,164)는 상기 직접풍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전방토출구(133,134)를 개방(open)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도어(154,164)는 상기 전방토출구(133,134)의 개방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직접풍 또는 상기 간접풍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방도어(154,164)는 상기 전방토출구(133,134)의 절반만 개방 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방토출구(133,134)로부터 토출되는 공기(FF)의 방향과 세기는 감소되어 보다 약한 직접풍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송풍기(1)는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전방도어(154,164)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세기 및 방향으로 직접풍 또는 간접풍을 제공할 수 있다.
1: 송풍기
10: 지지부
100: 타워부
110: 타워케이스
120: 밸리홈
133,134: 전방토출구
143,144: 후방토출구

Claims (29)

  1.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부 및 상기 흡입부로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상승하는 타워부; 및
    상기 타워부의 중심축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는 공간인 밸리홈을 포함하며,
    상기 타워부는,
    상기 밸리홈을 규정하도록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마주보는 면으로 형성되는 대향면; 및
    상기 밸리홈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대향면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송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밸리홈을 향하여 사선으로 연장되는 송풍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대향면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후방토출구; 및
    상기 대향면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전방토출구를 포함하는 송풍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토출구는, 상기 후방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이 전방으로 집중되도록 가이드하는 송풍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타워부는, 상기 전방토출구를 개폐하는 전방도어를 더 포함하는 송풍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후방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밸리홈의 전방으로 집중시키고,
    상기 전방도어가 폐쇄되면, 상기 후방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밸리홈의 전방에서 양 측으로 확산되는 송풍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도어는 상기 후방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의 영역을 조절하기 위해 개폐되는 송풍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도어는 상기 전방토출구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후방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와 상기 전방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혼합 수준으로 조절하는 송풍기.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토출구는 상기 밸리홈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후방토출구 및 제 2 후방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후방토출구와 상기 제 2 후방토출구는, 상기 밸리홈의 전방으로 공기를 가이드하는 송풍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토출구는 상기 밸리홈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전방토출구 및 제 2 전방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방토출구와 상기 제 2 전방토출구는, 상기 밸리홈의 전방으로 유동하는 공기에 혼합되는 송풍기.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토출구와 상기 후방토출구는, 상기 밸리홈을 향하여 연장되는 경사 각도가 서로 다른 송풍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토출구는, 상기 전방토출구 보다 상기 경사 각도가 큰 송풍기.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타워부는,
    상기 타워부의 내부에 상기 지지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가이드하는 토출유로를 형성하는 아웃가이드 및 이너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너가이드는, 상기 대향면의 내측 면을 따라 연장되는 송풍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가이드는,
    상기 전방토출구의 입구의 일측을 규정하는 가이드사선부; 및
    상기 후방토출구의 입구의 일측을 규정하며,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휘어지는 가이드만곡부를 포함하는 송풍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가이드는,
    상기 전방토출구의 입구의 타측을 규정하도록 상기 가이드사선부에 이격 배치되는 전방사선부;
    상기 후방토출구의 입구의 타측을 규정하도록 상기 가이드만곡부에 이격배치되는 후방만곡부; 및
    상기 후방만곡부에 형성되며, 상기 후방토출구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밸리홈의 전방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코안다면을 포함하는 송풍기.
  16.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부 및 상기 흡입부로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분기되어 유입되는 타워부를 포함하며,
    상기 타워부는,
    중심축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는 공간인 밸리홈을 형성하는 대향면; 및
    상기 대향면에 형성되고, 상기 분기된 공기를 상기 밸리홈으로 토출시키는 슬릿을 포함하는 송풍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타워부의 내부 공기를 상기 밸리홈으로 향하도록 유동 방향을 가이드하는 토출구의 출구에 위치하는 송풍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 및 상기 슬릿은, 상기 밸리홈을 향하여 동일한 경사를 가지도록 연장되는 송풍기.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타워부의 내부 공기를 상기 중심축의 전방에서 토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전방토출구의 출구를 형성하는 전방슬릿; 및
    상기 타워부의 내부 공기를 상기 중심축의 후방에서 토출되도록 가이드하는 후방토출구의 출구를 형성하는 후방슬릿을 포함하는 송풍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토출구 및 상기 전방슬릿의 상기 밸리홈을 향하여 연장되는 경사 각도는, 상기 후방토출구 및 상기 후방슬릿의 상기 밸리홈을 향하여 연장되는 경사 각도 보다 작은 송풍기.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서 상기 밸리홈으로 토출되어 혼합 기류를 형성하고,
    상기 혼합 기류는 전방으로 유동하는 송풍기.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대향면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전방슬릿; 및
    상기 한 쌍의 전방슬릿 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한 쌍의 후방슬릿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후방슬릿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밸리홈에서 혼합기류를 형성하여 전방으로 유동하는 송풍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방슬릿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혼합기류의 방향성을 설정할 수 있는 송풍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방슬릿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혼합기류의 양측 방향에서 혼합되는 송풍기.
  25.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타워부는, 상기 밸리홈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제 1 타워 및 제 2 타워를 포함하며,
    상기 대향면은, 상기 벨리홈을 사이로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제 1 타워에 형성되는 제 1 대향면 및 상기 제 2 타워에 형성되는 제 2 대향면을 포함하는 송풍기.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대향면과 상기 제 2 대향면은, 상기 중심축에서 가장 근접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송풍기.
  2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연장되며,
    상기 타워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서부터 연속적으로 상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연장되는 송풍기.
  2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원주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타공되는 다수의 홀을 포함하는 송풍기
  29.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지지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타워부를 포함하며,
    상기 타워부는,
    상기 타워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타워케이스;
    중심축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타워케이스에 형성되는 대향면; 및
    상기 대향면에 위치하며, 상기 개방된 공간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한 쌍의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토출구는,
    상기 대향면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전방토출구; 및
    상기 대향면의 후방부에 위치하며, 코안다면에 의해 규정되는 후방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코안다면에 의해 전방으로 유동하는 송풍기.
KR1020200027284A 2020-03-04 2020-03-04 송풍기 KR20210112122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284A KR20210112122A (ko) 2020-03-04 2020-03-04 송풍기
PCT/KR2020/005404 WO2021177507A1 (ko) 2020-03-04 2020-04-24 송풍기
EP21764196.8A EP4116590A4 (en) 2020-03-04 2021-03-03 BLOWER
US17/908,625 US20230122270A1 (en) 2020-03-04 2021-03-03 Blower
PCT/KR2021/002600 WO2021177713A1 (ko) 2020-03-04 2021-03-03 블로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284A KR20210112122A (ko) 2020-03-04 2020-03-04 송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122A true KR20210112122A (ko) 2021-09-14

Family

ID=77613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284A KR20210112122A (ko) 2020-03-04 2020-03-04 송풍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112122A (ko)
WO (1) WO202117750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0301A (ko) * 2021-09-15 2023-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로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404B1 (ko) * 2020-12-28 2023-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로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82547A (en) * 2010-08-06 2012-02-08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with a heater
GB2482548A (en) * 2010-08-06 2012-02-08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with a heater
GB2511757B (en) * 2013-03-11 2016-06-15 Dyson Technology Ltd Fan assembly nozzle with control port
GB2540165B (en) * 2015-07-07 2019-09-11 Dyson Technology Ltd Humidifying apparatus
MX2018014265A (es) * 2016-05-18 2019-11-28 De Longhi Appliances Srl Ventilad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0301A (ko) * 2021-09-15 2023-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로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77507A1 (ko) 2021-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12122A (ko) 송풍기
CN113357204B (zh) 送风机
EP3875770B1 (en) Blower
US11939986B2 (en) Blower
KR20210112123A (ko) 송풍기
US20230088798A1 (en) Blower
KR101167907B1 (ko) 선풍기
KR20210098055A (ko) 송풍기
KR20210111994A (ko) 송풍기
KR20210114651A (ko) 송풍기
KR102650688B1 (ko) 송풍기
KR20210114650A (ko) 송풍기
KR20210114652A (ko) 송풍기
KR20210098058A (ko) 송풍기
KR20210098057A (ko) 송풍기
KR102658126B1 (ko) 에어클린팬
KR102630062B1 (ko) 송풍기
KR102630063B1 (ko) 송풍기
KR102630055B1 (ko) 에어클린팬
KR102658127B1 (ko) 에어클린팬
KR20210149356A (ko) 에어클린팬
KR20210149358A (ko) 에어클린팬
KR20210141860A (ko) 에어클린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