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9356A - 에어클린팬 - Google Patents

에어클린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9356A
KR20210149356A KR1020200066278A KR20200066278A KR20210149356A KR 20210149356 A KR20210149356 A KR 20210149356A KR 1020200066278 A KR1020200066278 A KR 1020200066278A KR 20200066278 A KR20200066278 A KR 20200066278A KR 20210149356 A KR20210149356 A KR 20210149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er
air
disposed
discharge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8126B1 (ko
Inventor
김용민
김후진
박형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6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126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06627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58126B1/ko
Priority to US17/779,443 priority patent/US20220412603A1/en
Priority to PCT/KR2020/017112 priority patent/WO2021107696A1/en
Priority to JP2022531519A priority patent/JP2023503659A/ja
Priority to TW109141879A priority patent/TWI800771B/zh
Priority to EP20893007.3A priority patent/EP4065906A4/en
Priority to TW112112732A priority patent/TW202331107A/zh
Priority to CN202080094879.4A priority patent/CN115003966A/zh
Priority to CN202080085186.9A priority patent/CN114867944B/zh
Priority to PCT/KR2020/017873 priority patent/WO2021118208A1/ko
Priority to EP20898981.4A priority patent/EP4074980A1/en
Priority to PCT/KR2020/017875 priority patent/WO2021118210A1/ko
Priority to US17/783,385 priority patent/US20230051322A1/en
Priority to EP20899247.9A priority patent/EP4074981A4/en
Priority to US17/783,091 priority patent/US11959488B2/en
Priority to CN202080085128.6A priority patent/CN114829782B/zh
Priority to US17/190,692 priority patent/US11473593B2/en
Priority to EP22213299.5A priority patent/EP4184014A1/en
Priority to CN202110239083.XA priority patent/CN113357203B/zh
Priority to CN202110239555.1A priority patent/CN113357204B/zh
Priority to US17/191,873 priority patent/US11754090B2/en
Priority to EP21160599.3A priority patent/EP3875771B1/en
Priority to EP22202795.5A priority patent/EP4155552A1/en
Priority to EP21160594.4A priority patent/EP3875770B1/en
Priority to US17/197,918 priority patent/US11767852B2/en
Priority to EP21161800.4A priority patent/EP3879118B1/en
Priority to EP22199693.7A priority patent/EP4145001A1/en
Priority to CN202110266516.0A priority patent/CN113389758B/zh
Priority to TW110116978A priority patent/TWI810561B/zh
Priority to CN202110509728.7A priority patent/CN113669306B/zh
Priority to US17/318,222 priority patent/US11655826B2/en
Priority to EP21173601.2A priority patent/EP3922862B1/en
Priority to TW110117161A priority patent/TWI786630B/zh
Priority to TW111143609A priority patent/TW202311632A/zh
Priority to EP23170929.6A priority patent/EP4219951A3/en
Priority to EP21173607.9A priority patent/EP3922863B1/en
Priority to EP21173539.4A priority patent/EP3926176A1/en
Priority to US17/318,274 priority patent/US11624369B2/en
Priority to US17/318,242 priority patent/US11808274B2/en
Priority to CN202110521288.7A priority patent/CN113669308B/zh
Priority to CN202110521265.6A priority patent/CN113669307B/zh
Priority to JP2021082255A priority patent/JP7213912B2/ja
Priority to JP2021082126A priority patent/JP7181340B2/ja
Priority to US17/332,681 priority patent/US11739760B2/en
Priority to EP21176512.8A priority patent/EP3919750A1/en
Priority to CN202110590132.4A priority patent/CN113757188B/zh
Priority to TW111128195A priority patent/TW202246710A/zh
Priority to TW110119742A priority patent/TWI776532B/zh
Priority to US17/335,810 priority patent/US20210372437A1/en
Priority to EP21177155.5A priority patent/EP3919749B1/en
Priority to US17/335,856 priority patent/US11708997B2/en
Priority to EP21177210.8A priority patent/EP3919751B1/en
Priority to US17/335,902 priority patent/US11542956B2/en
Priority to CN202110608725.9A priority patent/CN113757189B/zh
Priority to JP2021092100A priority patent/JP7160996B2/ja
Priority to JP2021092096A priority patent/JP2021188619A/ja
Priority to CN202110613487.0A priority patent/CN113757190B/zh
Priority to CN202110613517.8A priority patent/CN113757142B/zh
Priority to EP21177442.7A priority patent/EP3919752A1/en
Priority to TW110120105A priority patent/TWI819315B/zh
Priority to CN202110613202.3A priority patent/CN113757141B/zh
Priority to US17/336,517 priority patent/US11536283B2/en
Priority to EP21177391.6A priority patent/EP3919754A3/en
Publication of KR20210149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9356A/ko
Priority to US17/939,837 priority patent/US11746800B2/en
Priority to JP2022164584A priority patent/JP7343674B2/ja
Priority to JP2022183992A priority patent/JP2023015323A/ja
Priority to US17/990,925 priority patent/US11802569B2/en
Priority to US18/072,908 priority patent/US11885336B2/en
Priority to JP2023004902A priority patent/JP2023053958A/ja
Priority to US18/115,449 priority patent/US11939986B2/en
Priority to US18/141,105 priority patent/US20230265860A1/en
Priority to US18/222,673 priority patent/US20230358251A1/en
Priority to US18/222,737 priority patent/US20230358244A1/en
Priority to KR1020240007263A priority patent/KR20240014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3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8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the Coanda effect

Abstract

본 발명은 블로잉스페이스를 향하게 배치된 제 1 내측벽 및 제 2 내측벽의 토출각도를 최적화하고, 가이드보드가 돌출되는 전단으로부터의 이격길이를 최적화하여 토출공기의 기류폭을 중심선 측으로 집중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에어클린팬{Air cean fan}
본 발명은 코안다효과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는 에어클린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풍기는 팬을 구동하여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기계장치이다. 종래 송풍기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팬를 구비하고, 모터가 상기 팬을 회전시켜 바람을 발생시킨다.
축류팬을 이용하는 종래 팬은 넓은 범위에 바람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지만, 좁은 영역에 집중적으로 바람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10-1331487호에는 코안다효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바람을 제공하는 팬이 기재되어 있다.
종래 팬은 코안다 효과를 이용하기 때문에 좁은 영역에만 집중적으로 바람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31487호
본 발명은 코안다효과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에어클린팬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평기류 또는 상승기류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에어클린팬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기류변환기를 통해 집중기류를 제공할 수 있는 에어클린팬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된 베이스케이스; 상기 베이스케이스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제 1 토출구를 포함하는 제 1 타워; 상기 베이스케이스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제 2 토출구를 포함하는 제 2 타워; 상기 제 1 타워 및 제 2 타워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토출구의 토출공기 및 제 2 토출구의 토출공기가 토출되는 블로잉스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타워는 상기 블로잉스페이스를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타워를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 제 1 내측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타워는 상기 블로잉스페이스를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타워를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 제 2 내측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토출공기의 진행방향에 상기 제 1 타워의 제 1 전단, 제 2 타워의 제 2 전단이 배치되고, 상기 토출공기의 진행 반대방향에 상기 제 1 타워의 제 1 후단, 제 2 타워의 제 2 후단이 배치되며, 상기 제 1 내측벽 및 제 2 내측벽의 최단거리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토출구 는 상기 제 1 전단 및 제 1 후단 중 제 1 전단에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토출구 는 상기 제 2 전단 및 제 2 후단 중 제 2 전단에 가깝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내측벽 및 제 2 내측벽은 상기 블로잉스페이스를 지나는 중심선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심선 및 제 1 전단에 대한 토출각(A)이 11.5도 내지 30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타워에 배치되고, 상기 블로잉스페이스로 돌출되는 제 1 가이드보드를 포함하는 제 1 기류변환기; 및 상기 제 2 타워에 배치되고, 상기 블로잉스페이스로 돌출되는 제 2 가이드보드를 포함하는 제 2 기류변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가이드보드는 상기 최단거리 및 제 1 전단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가이드보드는 상기 최단거리 및 제 2 전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가이드보드가 관통되는 제 1 보드슬릿; 및 상기 제 2 내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가이드보드가 관통되는 제 2 보드슬릿;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단 및 최단거리 사이에 상기 제 1 보드슬릿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전단 및 최단거리 사이에 상기 제 2 보드슬릿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단 및 제 1 보드슬릿의 이격길이는 5mm 내지 10mm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측벽 및 제 2 내측벽은 상기 블로잉스페이스를 지나는 중심선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중심선에 대한 상기 가이드보드의 돌출각도는 0도 내지 60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보드슬릿 및 제 2 보드슬릿은 상기 블로잉스페이스의 높이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보드슬릿은 상기 제 1 전단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2 보드슬릿은 상기 제 2 전단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보드슬릿이 상기 제 1 전단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보드슬릿이 상기 제 2 전단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단은 수직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보드슬릿은 상기 제 1 전단보다 수직방향에 대해 더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전단은 수직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보드슬릿은 상기 제 2 전단보다 수직방향에 대해 더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클린팬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블로잉스페이스를 향하게 배치된 제 1 내측벽 및 제 2 내측벽의 토출각도를 최적화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가이드보드가 돌출되는 전단으로부터의 이격길이를 최적화하여 토출공기의 기류폭을 중심선 측으로 집중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가이드보드의 돌출되는 각도를 최적화하여 토출공기의 기류폭을 중심선 측으로 집중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하나의 가이드보드가 반대쪽 타워에 밀착되어 블로잉스페이스를 가로막아서 수평기류를 상승기류로 전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가이드보드가 블로잉스페이스에서 서로 맞닿아 블로잉스페이스를 가로막고, 수평기류를 상승기류로 전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가이드보드를 타워 내부에 은닉할 수 있기 때문에, 블로잉스페이스로 유동되는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클린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우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제 2 타워 내부가 도시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우측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Ⅸ-Ⅸ를 따라 절단된 평면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3의 Ⅸ-Ⅸ를 따라 절단된 저면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에 기류변환기가 도시된 평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기류변환기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반대편에서 본 기류변환기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저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클린팬의 수평기류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클린팬의 상승기류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18은 토출각에 따른 기류폭이 도시된 그래프이다.
도 19는 돌출각도와 이격길이에 대한 집중기류의 그래프이다.
도 20은 돌출각도와 이격길이에 대한 최고 기류속도의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클린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클린팬(1)은 외형을 제공하는 케이스(10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필터(200)가 설치되는 베이스케이스(150)와, 코안다효과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는 타워케이스(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타워케이스(140)는 2개의 기둥 형태로 분리되어 배치된 제 1 타워(110) 및 제 2 타워(1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타워(110)는 좌측에 배치되고, 제 2 타워(120)는 우측에 배치된다.
제 1 타워(110) 및 제 2 타워(120)는 이격되고, 상기 제 1 타워(110) 및 제 2 타워(120) 사이에 블로잉스페이스(105)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블로잉스페이스(105)은 전방, 후방 및 상방이 개구되고, 상기 블로잉스페이스(105)의 상단 및 하단의 간격이 같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타워, 제 2 타워 및 블로잉스페이스를 포함하는 타워케이스(140)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1 타워(110) 및 제 2 타워(120)에 각각 배치된 토출구(117)(127)은 상기 블로잉스페이스(105)로 공기를 토출한다. 토출구의 구분이 필요할 경우, 상기 제 1 타워(110)에 형성된 토출구를 제 1 토출구(117)라 하고, 상기 제 2 타워(120)에 형성된 토출구를 제 2 토출구(127)라 한다.
상기 제 1 토출구 및 제 2 토출구는 상기 블로잉스페이스의 높이 내에 배치되고, 상기 블로잉스페이스(105)를 가로지르는 방향을 공기 토출방향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 1 타워(110) 및 제 2 타워(120)가 좌우에 배치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토출방향은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블로잉스페이스(105)를 가로지르는 공기토출방향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1 공기토출방향(S1)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공기토출방향(S2)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공기토출방향(S1)으로 유동되는 공기를 수평기류라 하고, 제 2 공기토출방향(S2)으로 유동되는 공기를 상승기류라 한다.
상기 수평기류는 공기를 수평방향으로만 유동시킨다는 의미라기 보다는 수평방향으로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이 더 많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상승기류는 공기를 상측 방향으로만 유동시킨다는 의미라기 보다는 상측 방향으로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이 더 많아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블로잉스페이스(105)의 상단 간격과 하단 간격은 같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블로잉스페이스(105)의 상단 간격이 하단간격보다 좁게 형성되거나 넓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블로잉스페이스(105)의 좌우 폭을 일정하게 형성시킴으로써, 블로잉스페이스 전방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을 보다 균일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측의 폭과 하측의 폭이 다를 경우, 넓은 쪽의 유동속도가 낮게 형성될 수 있고,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속도의 편차가 발생될 수 있다. 상하 방향에 대해 공기의 유속편차가 발생될 경우, 공기의 도달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제 1 토출구 및 제 2 토출구에서 토출된 공기는 블로잉스페이스(105)에서 합류된 후, 사용자에게 유동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토출구(117)의 토출공기 및 제 2 토출구(127)의 토출공기가 개별적으로 사용자에게 유동되게 하지 않고, 제 1 토출구(117)의 토출공기 및 제 2 토출구(127)의 토출공기를 상기 블로잉스페이스(105)에서 합류시킨 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블로잉스페이스(105)는 토출공기들이 합류되어 믹스되는 공간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로잉스페이스(105)로 토출되는 토출공기에 의해 블로잉스페이스 후방의 공기도 블로잉스페이스로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구(117)의 토출공기 및 제 2 토출구(127)의 토출공기가 상기 블로잉스페이스에서 합류됨으로써 토출공기의 직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토출구(117)의 토출공기 및 제 2 토출구(127)의 토출공기를 상기 블로잉스페이스에서 합류시킴으로써, 제 1 타워 및 제 2 타워 주변의 공기도 공기 토출방향으로 간접유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공기토출방향(S1)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공기토출방향(S2)은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공기토출방향(S2)을 위해 상기 제 1 타워(110)의 상측단(111) 및 제 2 타워(120)의 상측단(121)이 이격된다. 즉, 상기 제 2 공기토출방향(S2)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에어클린팬(1)의 케이스와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 1 공기토출방향(S1)을 위해, 제 1 타워(110)의 전단(112) 및 제 2 타워(120)의 전단(122)이 이격되며, 제 1 타워(110)의 후단(113) 및 제 2 타워(120)의 후단(123)도 이격된다.
제 1 타워(110) 및 제 2 타워(120)에서 상기 블로잉스페이스(105)를 향하는 면은 내측면이라 하고, 상기 블로잉스페이스(105)를 향하지 않는 면을 외측면이라 한다.
상기 제 1 타워(110)의 외측벽(114) 및 제 2 타워(120)의 외측벽(124)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타워(110)의 내측벽(115) 및 제 2 타워(120)의 내측벽(125)은 서로 대향된다.
상기 내측벽(115)(125)의 구분이 필요할 경우, 제 1 타워의 내측면을 제 1 내측벽(115)이라 하고, 제 2 타워의 내측면을 제 2 내측벽(125)이라 한다.
상기 제 1 내측벽(115)은 상기 제 2 타워를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내측벽(125)는 상기 제 1 타워를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외측벽(114)(124)의 구분이 필요할 경우, 제 1 타워의 외측면을 제 1 외측벽(114)이라 하고, 제 2 타워의 외측면을 제 2 외측벽(124)이라 한다.
상기 제 1 타워(110) 및 제 2 타워(120)는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유선형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내측벽(115) 및 제 1 외측벽(114)은 전후 방향에 대해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내측벽(125) 및 제 2 외측벽(124)은 전후 방향에 대해 유선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토출구(117)는 상기 제 1 내측벽(115)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토출구(127)는 상기 제 2 내측벽(125)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내측벽(115) 및 제 2 내측벽(125)의 최단거리를 B0이라 한다. 상기 토출구(117)(127)은 상기 최단거리(B0) 보다 후방 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1 타워(110)의 전단(112) 및 제 2 타워(120)의 전단(122)의 이격거리를 제 1 이격거리 B1라 하고, 제 1 타워(110)의 후단(113) 및 제 2 타워(120)의 후단(123)의 이격거리를 제 2 이격거리 B2이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B1 및 B2는 동일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B1 또는 B2 중 어느 하나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 1 토출구(117) 및 제 2 토출구(127)는 상기 B0 및 B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토출구(117) 및 제 2 토출구(127)는 상기 B0 보다 상기 제 1 타워(110)의 후단(113) 및 제 2 타워(120)의 후단(123)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출구(117)(127)가 후단(113)(123)에 가깝게 배치될 수록 후술하는 코안다효과를 통한 기류제어에 용이하다.
상기 제 1 타워(110)의 내측벽(115) 및 제 2 타워(120)의 내측벽(125)은 코안다효과를 직접적으로 제공하고, 상기 제 1 타워(110)의 외측벽(114) 및 제 2 타워(120)의 외측벽(124)은 코안다효과를 간접적으로 제공한다.
상기 내측벽(115)(125)은 토출구(117)(127)에서 토출된 공기를 상기 전단(112)(122)까지 직접적으로 가이드한다.
즉 상기 토출구(117)(127)에서 토출된 공기를 수평기류를 직접 제공한다.
상기 블로잉스페이스(105)에서의 공기 유동으로 인해 상기 외측벽(114)(124)에서도 간접적인 공기유동이 발생된다.
상기 외측벽(114)(124)은 상기 간접적인 공기유동에 대해 코안다효과를 유발시키고, 상기 간접 공기유동을 상기 전단(112)(122)으로 안내한다.
상기 블로잉스페이스의 좌측은 제 1 내측벽(115)에 의해 막히고, 상기 블로잉스페이스의 우측은 제 2 내측벽(125)에 의해 막히지만, 상기 블로잉스페이스(105)의 상측은 개방된다.
후술하는 기류변환기가 블로잉스페이스를 통과하는 수평기류를 상승기류로 전환시킬 수 있고, 상승기류는 상기 블로잉스페이스의 개방된 상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승기류는 토출공기가 사용자에게 직접 유동되는 것을 억제하고, 실내공기를 적극적으로 대류시킬 수 있다.
또한, 블로잉스페이스에서 합류된 공기의 유량을 통해 토출공기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블로잉스페이스의 좌우 폭(B0, B1, B2)보다 제 1 토출구(117) 및 제 2 토출구(127)의 상하 길이를 훨씬 길게 형성함으로써, 제 1 토출구의 토출공기 및 제 2 토출구의 토출공기가 블로잉스페이스에서 합류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클린팬(1)의 케이스(100)는, 필터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케이스(150)와, 상기 베이스케이스(150)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케이스(150)에 지지되는 타워케이스(140)를 포함한다.
상기 타워케이스(140)는 상기 제 1 타워(110) 및 제 2 타워(1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타워(110) 및 제 2 타워(120)를 연결하는 타워베이스(130)가 배치되고, 상기 타워베이스(130)가 상기 베이스케이스(150)에 조립된다. 상기 타워베이스(130)는 상기 제 1 타워(110) 및 제 2 타워(12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제 1 타워(110) 및 제 2 타워(120)는 상기 타워베이스(130) 없이 상기 베이스케이스(150)에 직접 조립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케이스(150)와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케이스(150)는 상기 에어클린팬(1)의 하부를 형성하며, 상기 타워케이스(140)는 상기 에어클린팬(1)의 상부를 형성한다.
상기 에어클린팬(1)은 상기 베이스케이스(150)에서 주위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타워케이스(140)에서 여과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타워케이스(140)는 상기 베이스케이스(150) 보다 높은 위치에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에어클린팬(1)은 상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기둥 형상이다. 상기 에어클린팬(1)은 전체적으로 원뿔 또는 원뿔대(Truncated cone) 형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에어클린팬(1)은 2개의 타워가 배치된 형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형태가 아니어도 무방하다.
다만, 본 실시예와 같이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질 경우, 무게중심이 낮아지고 외부 충력에 의한 전도의 위험이 저감되는 장점이 있다.
조립의 편의성을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케이스(150) 및 타워케이스(140)로 분리하여 제작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베이스케이스(150) 및 타워케이스(140)가 일체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베이스케이스 및 타워케이스가 일체로 제작된 프론트 케이스 및 리어 케이스 형태로 제작한 후 조립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케이스(150)는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타워케이스(140) 역시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케이스(150) 및 타워케이스(140)의 외측면은 역속되게 형성된다. 특히 상기 타워베이스(130)의 하단과 상기 베이스케이스(150)의 상단이 밀착되고, 타워베이스(130)의 외측면과 상기 베이스케이스(150)의 외측면이 연속된 면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타워베이스(130)의 하단 직경은 상기 베이스케이스(150) 상단 직경은 같거나 약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워베이스(130)는 상기 베이스(150) 타워에서 공급된 여과공기를 분배하고, 상기 분배된 공기를 상기 제 1 타워(110) 및 제 2 타워(120)에 제공한다.
상기 타워베이스(130)는 제 1 타워(110) 및 제 2 타워(120)를 연결하고, 상기 블로잉스페이스(105)는 상기 타워베이스(130)의 상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타워베이스(130)의 상측에 상기 토출구(117)(127)가 배치되고, 상기 상승기류 및 수평기류는 상기 타워베이스(130)의 상측에서 형성된다.
공기와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타워베이스(130)의 상측면(131)은 곡면으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상측면은 하측으로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상측면(131)의 일측(131a)은 상기 제 1 내측벽(115)에 연결되고, 상기 상측면(131)의 타측(131b)은 상기 제 2 내측벽(125)에 연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탑뷰로 볼 때, 상기 제 1 타워(110) 및 제 2 타워(120)는 중심선 L-L'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된다. 특히 상기 제 1 토출구(117) 및 제 2 토출구(127)는 상기 중심선 L-L'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배치된다.
상기 중심선 L-L'은 제 1 타워(110) 및 제 2 타워(120) 사이의 가상의 선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상측면(131)을 지나가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타워(110) 및 제 2 타워(120)가 비대칭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러나 중심선 L-L'를 기준으로 제 1 타워(110) 및 제 2 타워(120)가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이 수평기류 및 상승기류의 제어에 보다 유리하다.
도 5는 도 1의 우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정단면도이다.
도 1, 도 5 또는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에어클린팬(1)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된 필터(20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상기 토출구(117)(127)로 유동시키는 팬장치(3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200) 및 팬장치(300)은 상기 베이스케이스(15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케이스(150)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측이 개구된다.
상기 베이스케이스(150)는,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151)와, 상기 베이스(151) 상측에 결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흡입구(155)가 형성된 베이스아우터(152)를 포함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베이스(151)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151)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아우터(152)는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된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아우터(152)의 측면 일부는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아우터(152)의 개구된 부분을 필터삽입구(154)라 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필터삽입구(154)를 차폐하는 커버(15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커버(153)는 상기 베이스아우터(152)에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커버(153)에 상기 필터(200)가 거치 또는 조립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커버(153)를 분리하여 상기 필터(200)를 상기 케이스(100) 밖으로 인출할 수 있다.
상기 흡입구(155)는 상기 베이스아우터(152) 및 커버(1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구(155)는 베이스아우터(152) 및 커버(153)에 모두 형성되고, 케이스(100)의 주변 360 전 방향에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구(155)는 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155)의 형태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200)는 내부에 상하 방향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필터(200)의 외측면은 상기 흡입구(155)와 대향된다.
실내의 공기는 상기 필터(20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어 유동되고, 이 과정에서 공기중의 이물질 또는 유해한 가스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팬장치(300)는 상기 필터(200)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팬장치(300)는 상기 필터(200)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제 1 타워(110) 및 제 2 타워(120)로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팬장치(300)는 팬모터(310)와, 상기 팬모터(310)에 의해 회전되는 팬(320)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케이스(15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팬모터(310)는 상기 팬(320) 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팬모터(310)의 모터축은 하측에 배치된 팬(320)에 결합된다.
상기 팬(320)의 상측에 상기 팬모터(310)가 설치되는 모터하우징(330)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하우징(330)은 상기 팬모터(310) 전체를 감싸는 형상이다. 상기 모터하우징(330)이 팬모터(310) 전체를 감싸기 때문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되는 공기와의 유동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모터하우징(330)은 팬모터(310)의 하부만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하우징(330)은 로어모터하우징(332) 및 어퍼모터하우징(334)을 포함한다. 상기 로어모터하우징(332) 및 어퍼모터하우징(3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케이스(10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로어모터하우징(332)이 상기 케이스(100)에 결합된다. 상기 로어모터하우징(332) 상측에 팬모터(310)가 설치된 후, 상기 어퍼모터하우징(334)을 덮어 상기 팬모터(310)를 감싼다.
상기 팬모터(310)의 모터축은 상기 로어모터하우징(332)을 관통하고, 하측에 배치된 팬(320)에 조립된다.
상기 팬(320)은 팬모터의 축이 결합되는 허브, 상기 허브와 이격 배치되는 쉬라우드 및 상기 허브 및 쉬라우드를 연결하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20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쉬라우드 내측으로 흡입된 후, 회전되는 상기 블레이드에 의해 가압되어 유동된다. 상기 허브는 블레이드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쉬라우드는 상기 블레이드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허브는 하측으로 오목한 보올(BOWL)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로어모터하우징(332)의 하측이 일부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팬(320)은 사류팬이 사용된다. 사류팬은 축중심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반경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되, 토출되는 공기가 축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전체적인 공기 유동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원심팬과 같이 반경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경우, 유동방향 전환에 따른 유동손실이 크게 발생된다.
상기 사류팬은 반경방향 상측으로 공기를 토출함으로써 공기의 유동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팬(320)의 상측에 디퓨져(34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퓨져(340)는 상기 팬(320)에 의한 공기유동을 상측 방향으로 가이드한다.
상기 디퓨져(330)는 공기유동에서 반경방향 성분을 더욱 저감하고 상측 방향공기 유동성분을 강화시키는 역할이다.
상기 모터하우징(330)은 상기 디퓨져(330) 및 팬(320) 사이에 배치된다.
모터하우징의 상하 방향 설치높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모터하우징(330)의 하단은 상기 팬(320)에 삽입되고, 상기 팬(320)과 오버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하우징(330)의 상단은 디퓨져(340)에 삽입되고, 상기 디퓨져(340)와 오버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터하우징(330)의 하단은 상기 팬(320)의 하단보다 높게 배치되고, 상기 모터하우징(330)의 상단은 디퓨져(340)의 상단 보다 낮게 배치된다.
상기 모터하우징(330)의 설치위치를 최적화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하우징(330)의 상측은 상기 타워베이스(130) 내부에 배치되고, 모터하우징(330)의 하측은 베이스케이스(150) 내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모터하우징(330)이 타워베이스(130) 또는 베이스케이스(15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케이스(150)의 내부에 흡입그릴(35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350)은 필터(200)가 분리되었을 때, 상기 팬(320) 측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침입하는 것을 차단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 및 팬(320)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흡입그릴(350)의 하측에 상기 필터(200)가 배치되고, 상측에 상기 팬(320)이 배치된다. 상기 흡입그릴(350)은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공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서, 상기 흡입그릴(350)의 하측 공간을 필터설치공간(101)으로 정의한다.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서 상기 흡입그릴(350) 및 토출구(117)(127) 사이의 공간을 송풍공간(102)으로 정의한다.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서 토출구(117)(127)가 배치된 상기 제 1 타워(110) 및 제 2 타워(120)의 내부 공간을 토출공간(103)으로 정의한다.
실내 공기는 상기 흡입구(155)를 통해 상기 필터설치공간(101)으로 유입된 후, 송풍공간(102) 및 토출공간(103)을 거쳐 토출구(117)(127)로 토출된다.
도 7은 도 1의 제 2 타워 내부가 도시된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우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토출공간(103)에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수평방향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에어가이드(160)가 배치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60)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160)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되는 공기를 수평방향으로 방향전환시키고, 방향전환된 공기는 상기 토출구(117)(127)로 유동된다.
에어가이드의 구분이 필요할 경우, 제 1 타워(110) 내부에 배치된 것을 제 1 에어가이드(161)라 하고, 제 2 타워(120) 내부에 배치된 것을 제 2 에어가이드(162)라 한다.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제 1 에어가이드(161)는 제 1 타워(110)의 내측벽 및/또는 외측벽에 결합될 수 있다.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 1 에어가이드(161)는 전방 측 단(161a)이 제 1 토출구(117)에 근접되고, 후방 측 단(161b)은 제 1 타워(110)의 후단과 이격된다.
하측에서 유동되는 공기를 제 1 토출구(117)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제 1 에어가이드(161)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방측 단(161b)이 전방측 단(161a) 보다 낮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에어가이드(161)의 좌측단(161c) 중 적어도 일부는 제 1 타워(110)의 좌측벽에 밀착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에어가이드(161)의 우측단(161d)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타워(110)의 우측벽에 밀착 또는 결합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토출공간(103)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는 공기는 상기 제 1 에어가이드(161)의 후단에서 전단으로 유동된다.
상기 제 2 에어가이드(162)는 상기 제 1 에어가이드(161)와 좌우 대칭된다.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제 2 에어가이드(162)는 제 2 타워(110)의 내측벽 및/또는 외측벽에 결합될 수 있다.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 2 에어가이드(162)는 전방 측 단(162a)이 제 2 토출구(127)에 근접되고, 후방 측 단(162b)은 제 2 타워(120)의 후단과 이격된다.
하측에서 유동되는 공기를 제 2 토출구(127)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제 2 에어가이드(162)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방측 단(162b)이 전방측 단(162a) 보다 낮게 배치된다.
상기 제 2 에어가이드(162)의 좌측단(162c) 중 적어도 일부는 제 2 타워(120)의 좌측벽에 밀착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에어가이드(162)의 우측단(162d)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타워(110)의 우측벽에 밀착 또는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또는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토출구(117) 및 제 2 토출구(127)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 1 토출구(117)는 상기 제 1 타워(110)의 전단(112) 및 후단(113)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후단(113)에 가깝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토출구(117)에서 토출된 공기는 코안다효과에 의해 상기 제 1 내측벽(115)을 따라 유동될 수 있고, 상기 전단(112)을 향해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구(117)는 공기토출 측(본 실시예에서 전단)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제 1 보더(117a)와, 상기 공기토출 반대측(본 실시예에서 후단)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제 2 보더(117b)와, 상기 제 1 토출구(117)의 상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상측보더(117c)와, 상기 제 1 토출구(117)의 하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하측보더(117d)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보더(117a) 및 제 2 보더(117b)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상측보더(117c) 및 하측보더(117d)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보더(117a) 및 제 2 보더(117b)는 수직 방향(V)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1 타워(110)의 후단(113) 역시 수직방향(V)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수직방향(V)에 대한 상기 제 1 보더(117a) 및 제 2 보더(117b)의 기울기(a1)는 4도로 형성되고, 상기 후단(113) 기울기(a2)는 3도로 형성된다. 즉, 상기 토출구(117)의 기울기(a1)가 타워의 외측면 기울기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토출구(127)는 상기 제 1 토출구(117)와 좌우 대칭이다.
상기 제 2 토출구(127)는 공기토출 측(본 실시예에서 전단)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제 1 보더(127a)와, 상기 공기토출 반대측(본 실시예에서 후단)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제 2 보더(127b)와, 상기 제 2 토출구(127)의 상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상측보더(127c)와, 상기 제 2 토출구(127)의 하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하측보더(127d)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보더(127a) 및 제 2 보더(127b)는 수직 방향(V)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타워(110)의 후단(113) 역시 수직방향(V)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127)의 기울기(a1)가 타워의 외측면 기울기(a2)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도 9는 도 3의 Ⅸ-Ⅸ를 따라 절단된 평면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3의 Ⅸ-Ⅸ를 따라 절단된 저면 단면도이다.
도 5, 도 9 또는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타워(110)의 제 1 토출구(117)는 상기 제 2 타워(120)를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타워(120)의 제 2 토출구(127)는 상기 제 1 타워(110)를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토출구(117)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코안다효과를 통해 상기 제 1 타워(110)의 내측벽(115)을 따라 공기가 유동되게 한다. 상기 제 2 토출구(127)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코안다효과를 통해 상기 제 2 타워(120)의 내측벽(125)을 따라 공기가 유동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토출케이스(170) 및 제 2 토출케이스(1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토출구(117)는 상기 제 1 토출케이스(170)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토출케이스(170)는 상기 제 1 타워(110)에 조립된다. 상기 제 2 토출구(127)는 상기 제 2 토출케이스(180)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토출케이스(180)는 상기 제 2 타워(120)에 조립된다.
상기 제 1 토출케이스(170)는 상기 제 1 타워(110의 내측벽(115)을 관통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2 토출케이스(180)는 상기 제 2 타워(120)의 내측벽(125)을 관통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 1 타워(110)에 상기 제 1 토출케이스(170)가 설치되는 제 1 토출개구부(118)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타워(120)에 상기 제 2 토출케이스(180)가 설치되는 제 2 토출개구부(128)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토출케이스(170)는 제 1 토출구(117)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토출구(117)의 공기 토출측에 배치된 제 1 토출가이드(172)와, 상기 제 1 토출구(117)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토출구(117)의 공기 토출 반대측에 배치된 제 2 토출가이드(17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토출가이드(172) 및 제 2 토출가이드(174)의 외측면(172a)(174a)은 상기 제 1 타워(110)의 내측벽(115) 중 일부를 제공한다.
상기 제 1 토출가이드(172)의 내측은 제 1 토출공간(103a) 향하게 배치되고, 외측은 상기 블로잉스페이스(105)를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2 토출가이드(174)의 내측은 제 1 토출공간(103a) 향하게 배치되고, 외측은 상기 블로잉스페이스(105)를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토출가이드(172)의 외측면(172a)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면(172a)은 상기 제 1 내측벽(115)과 연속된 면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외측면(172a)은 상기 제 1 내측벽(115)의 외측면과 연속된 곡면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토출가이드(174)의 외측면(174a)은 상기 제 1 내측벽(115)과 연속된 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가이드(174)의 내측면(174b)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내측면(174b)은 상기 제 1 외측벽(115)의 내측면과 연속된 곡면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제 1 토출공간(103a)의 공기를 상기 제 1 토출가이드(172) 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가이드(172) 및 제 2 토출가이드(174) 사이에 상기 제 1 토출구(117)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토출공간(103a)의 공기는 상기 제 1 토출구(117)를 통해 상기 블로잉스페이스(105)로 토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토출공간(103a)의 공기는 상기 제 1 토출가이드(172)의 외측면(172a) 및 제 2 토출가이드(174)의 내측면(174b) 사이로 토출되고, 상기 제 1 토출가이드(172)의 외측면(172a) 및 제 2 토출가이드(174)의 내측면(174b) 사이를 토출간격(175)으로 정의한다. 상기 토출간격(175)은 소정의 채널을 형성한다.
상기 토출간격(175)은 입구(175a) 및 출구(175c)에 비해 중간 부분(175b)의 폭이 좁게 형성된다. 상기 중간부분(175b)은 제 2 보더(117b) 및 외측면(172a)의 최단거리로 정의한다.
상기 토출간격(175)의 입구에서 중간부분(175b)까지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좁아지고, 상기 중간부분(175b) 부터 출구(175c)까지 단면적이 다시 넓어진다. 상기 중간부분(175b)은 제 1 타워(110)의 내측에 위치된다. 외부에서 볼 때, 상기 토출간격(175)의 출구(175c)가 토출구(117)로 보일 수 있다.
코안다효과를 유발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토출가이드(172)의 외측면(172a) 곡률반경보다 상기 제 2 토출가이드(174)의 내측면(174b) 곡률반경이 더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토출가이드(172) 외측면(172a)의 곡률중심은 상기 외측면(172a) 보다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토출공간(103a)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 2 토출가이드(174) 내측면(174b)의 곡률중심은 상기 제 1 토출가이드(172) 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토출공간(103a)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 2 토출케이스(180)는 제 2 토출구(127)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토출구(127)의 공기 토출측에 배치된 제 1 토출가이드(182)와, 상기 제 2 토출구(127)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토출구(127)의 공기 토출 반대측에 배치된 제 2 토출가이드(18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토출가이드(182) 및 제 2 토출가이드(184) 사이에 토출간격(185)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토출케이스(180)는 상기 제 1 토출케이스(170)와 좌우 대칭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도 4, 도 9, 도 10 또는 도 18을 참조하여, 코안다효과에 의한 기류폭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토출구(117)에 토출된 공기는 제 1 내측면(115)을 따라 제 1 전단(112)으로 유동될 수 있고, 제 2 토출구(127)에서 토출된 공기는 제 2 내측면(125)을 따라 제 2 전단(122)으로 유동될 수 있다.
코안다효과를 통해 토출공기를 전방으로 집중적으로 토출하기 위해 상기 제 1 내측벽(115) 및 제 2 내측벽(125)의 최단거리(B0)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최단거리(BO)가 길어질수록 코안다효과가 약해지는 대신 넓은 블로잉스페이스(105)를 확보할 수 있고, 상기 최단거리(BO)가 짧아질수록 코안다효과가 강해지는 대신 블로잉스페이스(105)가 좁아진다.
상기 최단거리(BO)는 20mm 내지 30mm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전단(112)(122) 전방의 1.5m 거리에서 1.2m의 기류폭(좌우폭)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토출공기가 좌우 확산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제 1 내측벽(115) 및 제 2 내측벽(125)의 토출각(A)을 설계할 수 있다.
상기 토출각(A)은 제 1 타워(110) 및 제 2 타워(120)의 중심선 L-L'과 내측벽(115)(125)의 사이각으로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단(112)(122)에서 상기 중심선 L-L'과의 사이각을 토출각(A)으로 특정한다.
도 18 또는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토출각(A)이 작을 수록 토출공기의 기류폭(좌우 방향)이 좁아지고, 상기 토출각(A)이 클 수록 토출공기의 기류폭이 넓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그래프를 참조하면, 상기 토출각(A)이 커질수록 기류폭이 증가하지만, 30도를 초과할 경우 기류폭이 다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토출각(A)은 20도 내지 25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에어클린팬(1)은 블로잉스페이스(105)의 공기유동방향을 바꾸는 기류변환기(400, air flow conver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에 기류변환기가 도시된 평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기류변환기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반대편에서 본 기류변환기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저면도이다.
도 7,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승기류를 형성시킬 수 있는 기류변환기(4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류변환기(400)는, 블로잉스페이스(105)를 통해 유동되는 수평기류를 상승기류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기류변환기(400)는, 상기 제 1 타워(110)에 배치된 제 1 기류변환기(401)와, 상기 제 2 타워(120)에 배치된 제 2 기류변환기(40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기류변환기(401) 및 제 2 기류변환기(402)는 좌우 대칭이고, 구성이 동일하다.
상기 기류변환기(400)는, 타워에 배치되고, 상기 블로잉스페이스(105)로 돌출되는 가이드보드(410, guide board)와, 상기 가이드보드(410)의 이동을 위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가이드모터(420)와, 상기 가이드모터(420)의 구동력을 상기 가이드보드(410)에 제공하는 동력전달부재(430)와, 상기 타워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보드(410)의 이동을 안내하는 보드가이더(440)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보드(410)는 상기 타워 내부에 은닉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모터(420)의 작동 시 상기 블로잉스페이스(105)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보드(410)는 제 1 타워(110)에 배치된 제 1 가이드보드(411)와, 상기 제 2 타워(120)에 배치된 제 2 가이드보드(41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가이드보드(411)는 제 1 타워(110) 내부에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블로잉스페이스(105)로 돌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가이드보드(412)는 제 2 타워(120) 내부에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블로잉스페이스(105)로 돌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타워(110)의 내측벽(115)을 관통하는 보드슬릿(119)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타워(120)의 내측벽(125)을 관통하는 보드슬릿(129)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 1 타워(110)에 형성된 보드슬릿(119)을 제 1 보드슬릿(119)이라 하고, 제 2 타워(120)에 형성된 보드슬릿을 제 2 보드슬릿(129)라 한다.
상기 제 1 보드슬롯(119) 및 제 2 보드슬릿(129)은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보드슬롯(119) 및 제 2 보드슬릿(129)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 보드슬롯(119) 및 제 2 보드슬릿(129)은 수직방향(V)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보드(411)의 내측단(411a)은 상기 제 1 보드슬릿(119)에 노출될 수 있고, 상기 제 2 가이드보드(412)의 내측단(412a)은 상기 제 2 보드슬릿(129)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내측단(411a)(412a)은 내측벽(115)(125)에서 돌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단(411a)(412a)이 내측벽(115)(125)에서 돌출될 경우, 추가적인 코안다효과를 유발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타워(110)의 전단(112)은 수직방향을 0도로 할 때, 제 1 기울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보드슬릿(119)은 제 2 기울기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타워(120)의 전단(122) 역시 제 1 기울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보드슬릿(129)은 제 2 기울기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기울기는 수직방향 및 제 2 기울기 사이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2 기울기는 수평방향보다는 커야한다.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보드슬릿(119)(129)은 전단(112)(122) 보다 더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보드(411)는 제 1 보드슬릿(119)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가이드보드(412)는 제 2 보드슬릿(129)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보드(410)는 평면 또는 곡면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보드(41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블로잉스페이스(105)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보드(410)는 블로잉스페이스(105)로 유동되는 수평기류를 가로막아 상측방향으로 방향전환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가이드보드(411)의 내측단(411a) 및 제 2 가이드보드(412)의 내측단(412a)이 맞닿거나 근접되어 상승기류를 형성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하나의 가이드보드(410)가 반대편 타워에 밀착되어 상승기류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 기류변환기(400)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제 1 가이드보드(411)의 내측단(411a)이 제 1 보드슬릿(119)을 폐쇄하고, 상기 제 2 가이드보드(412)의 내측단(412a)이 제 2 보드슬릿(129)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기류변환기(400)가 작동될 경우, 상기 제 1 가이드보드(411)의 내측단(411a)이 제 1 보드슬릿(119)을 관통하여 블로잉스페이스(105)로 돌출되고, 상기 제 2 가이드보드(412)의 내측단(412a)이 제 2 보드슬릿(129)을 관통하여 블로잉스페이스(105)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보드(411)이 제 1 보드슬릿(119)을 폐쇄함으로써, 상기 제 1 토출공간(103a)의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보드(412)이 제 2 보드슬릿(129)을 폐쇄함으로써, 상기 제 2 토출공간(103b)의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가이드보드(411) 및 제 2 가이드보드(412)는 회전 동작으로 상기 블로잉스페이스(105)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가이드보드(411) 및 제 2 가이드보드(4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직선이동되어 블로잉스페이스(105)로 돌출되어도 무방하다.
탑뷰로 볼 때, 상기 제 1 가이드보드(411) 및 제 2 가이드보드(412)은 호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보드(411) 및 제 2 가이드보드(412)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형성하고, 곡률중심은 블로잉스페이스(105)에 위치된다.
상기 타워 내부에 상기 가이드보드(410)가 은닉된 상태일 때, 상기 가이드보드(410)의 반경방향 내측의 부피가 반경방향 외측의 부피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보드(41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보드(410)에 LED와 같은 발광부재(450)를 배치하고, 발광부재(450)에서 발생된 빛을 통해 가이드보드(410) 전체를 발광시킬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450)는 타워 내부의 토출공간(103)에 배치되고, 가이드보드(410)의 외측단(412b)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450)는 상기 가이드보드(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모터(420)는 상기 제 1 가이드보드(41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 1 가이드모터(421)와, 상기 제 2 가이드보드(412)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 2 가이드모터(42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가이드모터(421)는 제 1 타워 내에서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구분이 필요할 경우, 상측 제 1 가이드모터(421) 및 하측 제 1 가이드모터(421)로 구분할 수 있다. 상측 제 1 가이드모터는 제 1 타워(110)의 상측단(111) 보다 낮게 배치되고, 하측 제 1 가이드모터는 팬(320) 보다 높게 배치된다.
상기 제 2 가이드모터(422) 역시 제 2 타워 내에서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구분이 필요할 경우, 상측 제 2 가이드모터(422a) 및 하측 제 2 가이드모터(422b)로 구분할 수 있다. 상측 제 2 가이드모터는 제 2 타워(120)의 상측단(121) 보다 낮게 배치되고, 하측 제 2 가이드모터는 팬(320) 보다 높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가이드모터(421) 및 제 2 가이드모터(422)의 회전축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랙-피니언 구조가 사용된다.
상기 동력전달부재(430)는 상기 가이드모터(420)의 모터축에 결합된 구동기어(431)와, 상기 가이드보드(410)에 결합된 랙(432)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기어(431)는 피니언기어가 사용되고, 수평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랙(432)은 상기 가이드보드(410)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상기 랙(432)은 상기 가이드보드(4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랙(432)은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랙(432)의 치형은 타워의 내측벽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랙(432)은 상기 토출공간(103)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보드(410)와 함께 선회운동될 수 있다.
상기 보드가이더(440)는 가이드보드(410)의 선회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보드가이더(440)는 가이드보드(410)의 선회 운동 시 상기 가이드모드(410)를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보드(410)를 기준으로 상기 보드가이더(440)는 상기 랙(432)의 반대편에 배치된다. 보드가이더(440)는 상기 랙(432)에서 가해지는 힘을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보드가이더(440)에 가이드보드의 선회반경에 대응되는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을 따라 가이드보드가 이동되게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보드가이더(440)는 타워의 외측벽(114)(124)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보드가이더(440)는 가이드보드(410)를 기준으로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토출공간(103)을 유동하는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보드가이더(440)는 이동가이더(442)와, 고정가이더(444), 마찰저감부재(446)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가이더(442)는 가이드보드와 함께 이동되는 구조물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가이더(442)는 상기 랙(432) 또는 가이드보드(410)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랙(432) 또는 가이드보드(41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가이더(442)는 상기 가이드보드(410)의 외측면(410b)에 배치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이동가이더(442)는 호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이드보드(410)와 같은 곡률로 형성된다.
상기 이동가이더(442)의 길이는 상기 가이드보드(41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상기 이동가이더(442)는 상기 가이드보드(410) 및 고정가이더(444)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이동가이더(442)의 반경은 가이드보드(410)의 반경보다 크고 고정가이더(444)의 반경보다 작다.
상기 이동가이더(442)의 이동 시, 고정가이더(444)와 상호 걸림되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고정가이더(444)는 상기 이동가이더(442)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가이더(442)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가이더(444)는 상기 이동가이더(442)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가이드홈(445)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445)은 상기 이동가이더(442)의 회전반경 및 곡률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445)은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가이더(442)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다. 상기 가이드홈(445)은 하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445)에 상기 이동가이더(442)가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홈(445)이 상기 이동가이더(442)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이동가이더(442)의 회전 시, 상기 가이드홈(445)의 전방 측 단(445a)에 이동가이더(442)가 지지되어 상기 이동가이더(442)의 일측 방향(블로잉스페이스로돌출되는 방향)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이동가이더(442)의 회전 시, 상기 가이드홈(445)의 후방 측 단(445b)에 이동가이더(442)가 지지되어 상기 이동가이더(442)의 타측 방향(타워 내부로 수납되기 위한 방향)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찰저감부재(446)는 이동가이더(442)의 이동 시, 상기 이동가이더(442) 및 고정가이더(444)의 마찰을 저감한다.
본 실시예에서 마찰저감부재(446)는 롤러가 사용되고, 상기 이동가이더(442) 및 고정가이더(444) 사이에 구름마찰을 제공한다. 상기 롤러의 축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가이더(442)에 결합된다.
상기 마찰저감부재(446)를 통해 마찰 및 작동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마찰저감부재(446)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이동가이더(442)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마찰저감부재(446)는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반경방향에 대해 상기 고정가이더(444)에 탄성지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가이더(442) 대신 상기 마찰저감부재(446)가 고정가이더(444)를 탄성지지하고, 가이드보드(410)의 회전 시 마찰 및 작동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마찰저감부재(446)가 상기 가이드홈(445)의 전방 측 단(445a) 및 후방 측 단(445b)과 접촉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모터(420)를 지지하고, 상기 가이드모터(420)를 타워에 고정하기 위한 모터마운트(46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마운트(460)는 가이드모터(42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모터(420)를 지지한다. 상기 가이드모터(420)는 상기 모터마운트(460)에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마운트(460)는 타워의 내측벽(114)(125)에 결합된다. 상기 모터마운트(460)는 상기 내측벽(114)(124)과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도 4, 도 11, 도 19 또는 도 20을 참조하여, 기류변환기(400)를 이용한 집중기류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가이드보드가 은닉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와이드기류라 하고, 상기 와이드기류보다 중심선 L-L' 집중된 기류를 집중기류라 한다.
집중기류는 코안다효과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를 중심선 L-L' 측으로 집중시키고, 직진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이드보드(410)가 내측벽(115)(125)을 관통하여 블로잉스페이스(105) 측으로 돌출된 경우, 상기 가이드보드(410)가 추가적인 코안다효과를 발생시키고, 좌우방향으로 확산되는 공기를 중심선 L-L' 측으로 집중시킬 수 있다.
효과적인 집중기류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 1 보드슬릿(119) 및 제 2 보드슬릿(129)의 위치 및 상기 가이드보드(410)의 돌출각도(B)가 결정되어야 한다.
상기 돌출각도(B)는 가이드보드(410)의 외측면(410b)과 중심선 L-L' 의 사이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보드(410)가 곡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보드슬릿(119)(129)를 통과하는 지점의 접선과 중심선 L-L' 의 사이각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각도는 중심선 L-L'과 가이드보드(410)의 외측면(410b)에 대한 각도이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중심선 L-L'과 가이드보드(410)의 외측면(410b) 또는 중심에 대한 각도로 정의해도 무방하다.
도 20은 돌출각도와 이격길이에 대한 집중기류의 그래프이고, 도 21은 돌출각도와 이격길이에 대한 최고 기류속도의 그래프이다. 상기 전단(112)(122)에서 상기 보드슬릿(119)(129) 까지의 이격길이를 D라 한다.
도 20 또는 도 21을 참조하면, 돌출각도(B)가 동일할 때, 상기 이격길이(D)가 짧아질수록 기류의 최고속도는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이격길이(D)와 기류의 최고속도는 서로 반비례한다.
그리고 상기 돌출각도(B)가 동일할 때, 상기 이격길이(D)가 짧아질수록 기류의 상하 높낮이가 축소되고, 기류가 한 곳으로 수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이격길이(D)가 동일할 때, 돌출각도(B)가 작아질수록 기류의 최고속도가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돌출각도(B)와 기류의 최고속도는 서로 반비례한다.
그리고 상기 이격길이(D)가 동일할 때, 돌출각도(B)가 작아질수록 기류의 상하 높낮이가 축소되고, 기류가 한 곳으로 수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돌출각도(B)가 0도인 경우, 한 곳으로 수렴되던 기류가 다시 좌우 방향으로 확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집중기류를 형성하기 위해, 기류의 상하 높이 및 좌우 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격길이(D) 및 돌출각도(B)를 선택한다.
그래서 상기 전단(112)(122)에서 이격된 상기 보드슬릿(119)(129)의 이격길이(D)는 5mm 내지 10mm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격길이(D)는 토출공기와 직접적으로 맞닿는 가이드보드(410)의 내측면(410a)과 전단(112)(122) 사이의 길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각도(B)는 20도 내지 60도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클린팬의 수평기류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수평기류를 제공할 경우, 제 1 가이드보드(411)는 제 1 타워(110) 내부에 은닉되고, 제 2 가이드보드(412)는 제 2 타원(120) 내부에 은닉된다.
상기 제 1 토출구(117)의 토출공기와 제 2 토출구(127)의 토출공기는 블로잉스페이스(120)에서 합류되고, 상기 전단(112)(122)을 통과하여 전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로잉스페이스(105) 후방의 공기는 상기 블로잉스페이스(105) 내부로 유도된 후, 전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타워(110) 주변의 공기는 상기 제 1 외측벽(114)을 따라 전방으로 유동될 수 있고, 상기 제 2 타워(120) 주변의 공기는 상기 제 2 외측벽(124)을 따라 전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구(117) 및 제 2 토출구(127)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토출구(117) 및 제 2 토출구(127) 상측에서 유동되는 공기와 하측에서 유동되는 공기를 보다 균일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토출구 및 제 2 토출구에서 토출된 공기가 상기 블로잉스페이스에서 합류됨으로써 토출공기의 직진성을 향상시키고, 보다 먼 곳까지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클린팬의 상승기류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승기류를 제공할 경우, 제 1 가이드보드(411) 및 제 2 가이드보드(412)가 블로잉스페이스(105)로 돌출되고, 상기 블로잉스페이스(105)의 전방을 막는다.
작동예에 따라 상기 제 1 가이드보드(411) 및 제 2 가이드보드(412)의 내측단들(411a)(412a)이 밀착될 수도 있고, 약간 이격될 수도 있다.
제 1 가이드보드(411) 및 제 2 가이드보드(412)에 의해 상기 블로잉스페이스(105)의 전방이 막힘에 따라 상기 토출구(117)(127)에서 토출된 공기는 제 1 가이드보드(411) 및 제 2 가이드보드(412)의 후면을 따라 상승되고, 상기 블로잉스페이스(105)의 상부로 토출된다.
에어플린팬(1)에서 상승기류를 형성시킴으로서, 토출공기가 사용자에게로 직접 유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내공기를 순환시키고자할 때, 상기 에어클린팬(1)을 상승기류로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와 에어클린팬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 에어클린팬(1)을 상승기류로 작동시켜 실내공기의 대류를 촉진시킬 수 있고, 실내공기를 보다 신속하게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케이스 110 : 제 1 타워
120 : 제 2 타워 130 : 타워베이스
140 : 타워케이스 150 : 베이스케이스
200 : 필터 300 : 팬장치
400 : 기류변환기

Claims (13)

  1.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된 베이스케이스;
    상기 베이스케이스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제 1 토출구를 포함하는 제 1 타워;
    상기 베이스케이스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제 2 토출구를 포함하는 제 2 타워;
    상기 제 1 타워 및 제 2 타워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토출구의 토출공기 및 제 2 토출구의 토출공기가 토출되는 블로잉스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타워는 상기 블로잉스페이스를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타워를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 제 1 내측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타워는 상기 블로잉스페이스를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타워를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 제 2 내측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토출공기의 진행방향에 상기 제 1 타워의 제 1 전단, 제 2 타워의 제 2 전단이 배치되고, 상기 토출공기의 진행 반대방향에 상기 제 1 타워의 제 1 후단, 제 2 타워의 제 2 후단이 배치되며,
    상기 제 1 내측벽 및 제 2 내측벽의 최단거리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토출구 는 상기 제 1 전단 및 제 1 후단 중 제 1 전단에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토출구 는 상기 제 2 전단 및 제 2 후단 중 제 2 전단에 가깝게 배치되는 에어클린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측벽 및 제 2 내측벽은 상기 블로잉스페이스를 지나는 중심선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 에어클린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심선 및 제 1 전단에 대한 토출각(A)이 11.5도 내지 30도로 형성된 에어클린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워에 배치되고, 상기 블로잉스페이스로 돌출되는 제 1 가이드보드를 포함하는 제 1 기류변환기; 및 상기 제 2 타워에 배치되고, 상기 블로잉스페이스로 돌출되는 제 2 가이드보드를 포함하는 제 2 기류변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가이드보드는 상기 최단거리 및 제 1 전단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가이드보드는 상기 최단거리 및 제 2 전단 사이에 배치된 에어클린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가이드보드가 관통되는 제 1 보드슬릿; 및 상기 제 2 내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가이드보드가 관통되는 제 2 보드슬릿;를 더 포함하는 에어클린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단 및 최단거리 사이에 상기 제 1 보드슬릿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전단 및 최단거리 사이에 상기 제 2 보드슬릿이 배치된 에어클린팬.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단 및 제 1 보드슬릿의 이격길이는 5mm 내지 10mm로 형성된 에어클린팬.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측벽 및 제 2 내측벽은 상기 블로잉스페이스를 지나는 중심선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중심선에 대한 상기 가이드보드의 돌출각도는 0도 내지 60도로 형성된 에어클린팬.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드슬릿 및 제 2 보드슬릿은 상기 블로잉스페이스의 높이 내에 배치된 에어클린팬.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드슬릿은 상기 제 1 전단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2 보드슬릿은 상기 제 2 전단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에어클린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드슬릿이 상기 제 1 전단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보드슬릿이 상기 제 2 전단과 평행하게 배치된 에어클린팬.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단은 수직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보드슬릿은 상기 제 1 전단보다 수직방향에 대해 더 경사지게 배치된 에어클린팬.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단은 수직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보드슬릿은 상기 제 2 전단보다 수직방향에 대해 더 경사지게 배치된 에어클린팬.
KR1020200066278A 2019-11-28 2020-06-02 에어클린팬 KR102658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278A KR102658126B1 (ko) 2020-06-02 에어클린팬
US17/779,443 US20220412603A1 (en) 2019-11-28 2020-11-27 Air conditioner
PCT/KR2020/017112 WO2021107696A1 (en) 2019-11-28 2020-11-27 Air conditioner
JP2022531519A JP2023503659A (ja) 2019-11-28 2020-11-27 空気調和機{Air conditioner}
TW109141879A TWI800771B (zh) 2019-11-28 2020-11-27 空氣調節機
EP20893007.3A EP4065906A4 (en) 2019-11-28 2020-11-27 AIR CONDITIONER
TW112112732A TW202331107A (zh) 2019-11-28 2020-11-27 空氣調節機
CN202080094879.4A CN115003966A (zh) 2019-11-28 2020-11-27 空调
CN202080085186.9A CN114867944B (zh) 2019-12-09 2020-12-08 送风机
PCT/KR2020/017873 WO2021118208A1 (ko) 2019-12-09 2020-12-08 블로어
EP20898981.4A EP4074980A1 (en) 2019-12-09 2020-12-08 Blower
PCT/KR2020/017875 WO2021118210A1 (ko) 2019-12-09 2020-12-08 블로어
US17/783,385 US20230051322A1 (en) 2019-12-09 2020-12-08 Blower
EP20899247.9A EP4074981A4 (en) 2019-12-09 2020-12-08 FAN
US17/783,091 US11959488B2 (en) 2019-12-09 2020-12-08 Blower
CN202080085128.6A CN114829782B (zh) 2019-12-09 2020-12-08 送风机
US17/190,692 US11473593B2 (en) 2020-03-04 2021-03-03 Blower comprising a fan installed in an inner space of a lower body having a first and second upper body positioned above and a space formed between the bodies wherein the bodies have a first and second openings formed through respective boundary surfaces which are opened and closed by a door assembly
EP22213299.5A EP4184014A1 (en) 2020-03-04 2021-03-04 Blower
CN202110239083.XA CN113357203B (zh) 2020-03-04 2021-03-04 送风机
CN202110239555.1A CN113357204B (zh) 2020-03-04 2021-03-04 送风机
US17/191,873 US11754090B2 (en) 2020-03-04 2021-03-04 Blower
EP21160599.3A EP3875771B1 (en) 2020-03-04 2021-03-04 Blower
EP22202795.5A EP4155552A1 (en) 2020-03-04 2021-03-04 Blower
EP21160594.4A EP3875770B1 (en) 2020-03-04 2021-03-04 Blower
US17/197,918 US11767852B2 (en) 2020-03-11 2021-03-10 Blower
EP21161800.4A EP3879118B1 (en) 2020-03-11 2021-03-10 Blower
EP22199693.7A EP4145001A1 (en) 2020-03-11 2021-03-10 Blower
CN202110266516.0A CN113389758B (zh) 2020-03-11 2021-03-11 送风机
TW110116978A TWI810561B (zh) 2020-05-14 2021-05-11 送風機
CN202110509728.7A CN113669306B (zh) 2020-05-14 2021-05-11 送风机
US17/318,222 US11655826B2 (en) 2020-05-14 2021-05-12 Blower
EP21173601.2A EP3922862B1 (en) 2020-05-14 2021-05-12 Blower
TW110117161A TWI786630B (zh) 2020-05-14 2021-05-12 送風機
TW111143609A TW202311632A (zh) 2020-05-14 2021-05-12 送風機
EP23170929.6A EP4219951A3 (en) 2020-05-14 2021-05-12 Blower
EP21173607.9A EP3922863B1 (en) 2020-05-14 2021-05-12 Blower
EP21173539.4A EP3926176A1 (en) 2020-05-14 2021-05-12 Blower
US17/318,274 US11624369B2 (en) 2020-05-14 2021-05-12 Blower
US17/318,242 US11808274B2 (en) 2020-05-14 2021-05-12 Blower
CN202110521288.7A CN113669308B (zh) 2020-05-14 2021-05-13 送风机
CN202110521265.6A CN113669307B (zh) 2020-05-14 2021-05-13 送风机
JP2021082255A JP7213912B2 (ja) 2020-05-14 2021-05-14 ブロアー
JP2021082126A JP7181340B2 (ja) 2020-05-14 2021-05-14 ブロワー
US17/332,681 US11739760B2 (en) 2020-06-02 2021-05-27 Blower
EP21176512.8A EP3919750A1 (en) 2020-06-02 2021-05-28 Blower
CN202110590132.4A CN113757188B (zh) 2020-06-02 2021-05-28 送风机
TW111128195A TW202246710A (zh) 2020-06-02 2021-05-31 空氣調節器用風扇裝置
TW110119742A TWI776532B (zh) 2020-06-02 2021-05-31 空氣調節器用風扇裝置
US17/335,810 US20210372437A1 (en) 2020-06-02 2021-06-01 Blower
EP21177155.5A EP3919749B1 (en) 2020-06-02 2021-06-01 Fan apparatus for air conditioner
US17/335,856 US11708997B2 (en) 2020-06-02 2021-06-01 Air conditioner
EP21177210.8A EP3919751B1 (en) 2020-06-02 2021-06-01 Fan apparatus for air conditioner
US17/335,902 US11542956B2 (en) 2020-06-02 2021-06-01 Blower
CN202110608725.9A CN113757189B (zh) 2020-06-02 2021-06-01 送风机
JP2021092100A JP7160996B2 (ja) 2020-06-02 2021-06-01 空気調和機用ファン装置
JP2021092096A JP2021188619A (ja) 2020-06-02 2021-06-01 送風機
CN202110613487.0A CN113757190B (zh) 2020-06-02 2021-06-02 空气调节器用风扇装置
CN202110613517.8A CN113757142B (zh) 2020-06-02 2021-06-02 空气调节器用风扇装置
EP21177442.7A EP3919752A1 (en) 2020-06-02 2021-06-02 Fan apparatus for air conditioner
TW110120105A TWI819315B (zh) 2020-06-02 2021-06-02 送風機
CN202110613202.3A CN113757141B (zh) 2020-06-02 2021-06-02 空气调节器用风扇装置
US17/336,517 US11536283B2 (en) 2020-06-02 2021-06-02 Air conditioner
EP21177391.6A EP3919754A3 (en) 2020-06-02 2021-06-02 Blower with filter
US17/939,837 US11746800B2 (en) 2020-03-04 2022-09-07 Blower comprising a fan installed in an inner space of a lower body having a first and second upper body positioned above and a space formed between the bodies wherein the bodies have a first and second openings formed through respective boundary surfaces which are opened and closed by a door assembly
JP2022164584A JP7343674B2 (ja) 2020-06-02 2022-10-13 空気調和機用ファン装置
JP2022183992A JP2023015323A (ja) 2020-05-14 2022-11-17 ブロワー
US17/990,925 US11802569B2 (en) 2020-06-02 2022-11-21 Air conditioner
US18/072,908 US11885336B2 (en) 2020-06-02 2022-12-01 Blower
JP2023004902A JP2023053958A (ja) 2020-05-14 2023-01-17 ブロアー
US18/115,449 US11939986B2 (en) 2020-05-14 2023-02-28 Blower
US18/141,105 US20230265860A1 (en) 2020-05-14 2023-04-28 Blower
US18/222,673 US20230358251A1 (en) 2020-03-04 2023-07-17 Blower
US18/222,737 US20230358244A1 (en) 2020-06-02 2023-07-17 Blower
KR1020240007263A KR20240014544A (ko) 2020-05-14 2024-01-17 에어클린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278A KR102658126B1 (ko) 2020-06-02 에어클린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9356A true KR20210149356A (ko) 2021-12-09
KR102658126B1 KR102658126B1 (ko) 2024-04-16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487B1 (ko) 2009-03-04 2013-11-20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팬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487B1 (ko) 2009-03-04 2013-11-20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팬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14544A (ko) 에어클린팬
KR20230098109A (ko) 블로워
KR102429658B1 (ko) 에어클린팬
KR20210149356A (ko) 에어클린팬
KR102658126B1 (ko) 에어클린팬
KR102375176B1 (ko) 에어클린팬
KR102658127B1 (ko) 에어클린팬
KR102390681B1 (ko) 에어클린팬
KR20210149358A (ko) 에어클린팬
KR20210149357A (ko) 에어클린팬
KR102622929B1 (ko) 블로워
KR102622931B1 (ko) 에어클린팬
EP4332383A2 (en) Blow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