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2929B1 - 블로워 - Google Patents

블로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929B1
KR102622929B1 KR1020210117648A KR20210117648A KR102622929B1 KR 102622929 B1 KR102622929 B1 KR 102622929B1 KR 1020210117648 A KR1020210117648 A KR 1020210117648A KR 20210117648 A KR20210117648 A KR 20210117648A KR 102622929 B1 KR102622929 B1 KR 102622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er
board
guide
disposed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7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4640A (ko
Inventor
김재현
최석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7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929B1/ko
Publication of KR20230034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4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63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mounting fan or blower rotors on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3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01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20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로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로워는 로어케이스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타워와 제2타워를 포함하고, 팬의 회전으로 제1토출구와 제2토출구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를 제1타워와 제2타워의 사이공간을 통해 전방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블로워는, 상기 제1타워 내측에 배치되거나 돌출되는 제1기류변환기와, 상기 제2타워 내측에 배치되거나 돌출되는 제2기류변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기류변환기와 상기 제2기류변환기 각각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상부 및 하부와 연결되어 배치가 변경되는 가이드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로워{Blower}
본 개시는 블로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개시는 송풍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블로어에 관한 것이다.
블로어는 공기의 유동을 일으켜, 실내 공간에서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사용자를 향하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최근, 사용자에게 쾌적감을 줄 수 있는 블로어의 공기 토출 구조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블로워를 통해 사용자에게 직접적인 송풍을 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간접적인 송풍을 통해 사용자의 쾌적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KR2011-0099318, KR2011-0100274, KR2019-0015325, 및 KR2019-0025443는 송풍 장치 또는 코안다 효과를 이용하여 공기를 송풍시키는 팬을 개시한다.
상기 문헌에서 개시하는 송풍장치는 사용자에게 직접적인 송풍을 제공하는 기능을 개시하고 있어, 간접적인 송풍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송풍장치는 송풍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전체 구조물을 배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방향을 조절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전체 구조물의 배치를 변경하여 풍향을 조절하는 구조는, 송풍방향을 효과적이고도 단계적으로 조절하기 어렵거나, 과도한 전력이 소비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직접풍과 간접풍을 구현할 수 있는 블로워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간단한 구동장치로 블로워의 풍향을 조절하는 가이드보드의 배치를 변경할 수 있는 블로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워는 둘레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측이 개구된 로어케이스와, 상기 로어케이스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제1벽에 전방을 향해 개구된 제1토출구가 형성되는 제1타워와, 상기 로어케이스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벽으로부터 이격배치되고, 상기 제1벽과 마주하는 제2벽에 전방을 향해 개구된 제2토출구가 형성되는 제2타워와, 상기 로어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1타워와 상기 제2타워가 배치된 상측으로 유동시키는 팬을 포함하여, 제1토출구와 제2토출구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를 제1타워와 제2타워의 사이공간을 통해 전방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블로워는, 상기 제1토출구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타워 내측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1벽에서 상기 제2타워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기류변환기와, 상기 제2토출구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타워 내측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2벽에서 상기 제1타워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기류변환기를 포함하여, 전방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기류변환기와 상기 제2기류변환기 각각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상부 및 하부와 연결되어 배치가 변경되는 가이드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보드는, 상기 제1타워 또는 상기 제2타워 내부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1벽 또는 상기 제2벽을 관통하여 돌출되어, 전방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기류변환기와 상기 제2기류변환기 각각은, 상기 샤프트의 상부와 하부에 고정되게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보드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한 쌍의 구동기어와,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고, 상기 한 쌍의 구동기어 중 하나와 맞물리는 모터기어를 포함하여, 하나의 구동모터를 통해 가이드보드의 배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기류변환기와 상기 제2기류변환기 각각은, 상기 제1타워 또는 상기 제2타워에 고정되게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의 상단과 하단에서 상기 샤프트의 회전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를 포함하여, 가이드보드가 한 쌍의 지지대를 통해 안정적으로 배치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기류변환기와 상기 제2기류변환기 각각은, 상기 가이드보드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장착되고 상기 한 쌍의 구동기어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보드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한 쌍의 보드가이더를 포함하여, 가이드보드의 상부와 하부의 배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서포터 각각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한 쌍의 보드가이더 각각은, 상기 한 쌍의 지지대 각각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보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리브를 포함하여, 보드가이더는 가이드홈에 의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보드가이더는, 상기 가이드보드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어퍼가이더와, 상기 가이드보드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로어가이더를 포함한다. 상기 어퍼가이더는, 상기 가이드보드의 일측에 고정되는 어퍼보드마운터와, 상기 한 쌍의 구동기어 중 하나와 맞물리며 상기 어퍼가이더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어퍼보드기어와, 상기 어퍼지지대와 연결되어 상기 어퍼가이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어퍼가이드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로어가이더는, 상기 어퍼가이더와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보드에 고정되는 로어보드마운터와, 상기 한 쌍의 구동기어 중 다른 하나와 맞물리며 상기 로어가이더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로어보드기어와, 상기 로어지지대와 연결되어 상기 로어가이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로어가이드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어퍼가이드리브와 상기 로어가이드리브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어퍼가이드홈과 상기 로어가이드홈 각각에 삽입되어, 한 쌍의 보드가이더가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어퍼가이드리브는 상기 어퍼보드마운터와 상기 어퍼보드기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보드기어가 형성되는 면에서 돌출되어, 가이드보드의 이동이 안정적일 수 있다.
상기 로어보드마운터는, 상기 로어보드기어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로어보드마운터에는, 로어보드기어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에 배치되는 복수의 체결홀이 형성되어, 로어가이더가 가이드보드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로어가이드리브는 상기 로어보드마운터의 하단부에서 상기 보드기어가 형성되는 면의 반대면으로 연장되어, 가이드보드의 이동이 안정적일 수 있다.
상기 로어가이드리브는, 상기 로어보드마운터의 하단부에서 상기 로어지지대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로어수평리브와, 상기 로어수평리브의 단부에서 상하방향으로 돌출되는 로어수직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로어수평리브는, 상기 가이드보드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한 쌍의 지지대는, 상기 샤프트의 상단을 지지하는 어퍼지지대와, 상기 샤프트의 하단을 지지하는 로어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지지대에는 어퍼가이더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어퍼가이드홈이 상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로어지지대는 로어가이더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로어가이드홈이 하측으로 형성되어, 가이드보드가 상하방향으로 진동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어퍼지지대는, 상기 제1타워 또는 상기 제2타워 내측에 장착되는 어퍼고정바디와, 상기 어퍼고정바디와 결합되고, 상기 구동모터가 장착되는 어퍼체결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고정바디에는, 어퍼가이드리브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어퍼가이드홈이 형성된다.
상기 어퍼체결바디에는 상기 구동모터가 고정되는 모터장착부와, 상기 샤프트의 일단이 삽입되는 어퍼샤프트장착부가 배치되고, 상기 어퍼샤프트장착부는, 상기 샤프트의 상단이 삽입되고, 회전하는 어퍼샤프트홈이 형성되어, 모터를 고정하고, 샤프트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로어지지대는, 상기 제1타워 또는 상기 제2타워 내측에 장착되는 로어고정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로어고정바디에는, 상기 로어가이드리브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로어가이드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타워의 상기 제1벽에는 상기 제1기류변환기의 가이드보드가 관통하는 제1보드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타워의 상기 제2벽에는 상기 제2기류변환기의 가이드보드가 관통하는 제2보드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제1보드슬릿과 상기 제2보드슬릿은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보드가 돌출될 때, 서로 접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벽은 상기 제1토출구가 배치되는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보드슬릿이 배치되는 영역에서 상기 제2벽을 향해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벽은 상기 제2토출구가 배치되는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보드슬릿이 배치되는 영역에서 상기 제1벽을 향해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여, 제1토출구와 제2토출구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가 제1벽과 제2벽을 타고 유동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가이드보드는, 제1벽과 제2벽을 타고 유동하는 공기의 풍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제1토출구는, 상기 제1토출구에서 배출된 공기가 상기 제1벽을 따라 유동하도록 개구되고, 상기 제2토출구는, 상기 제2토출구에서 배출된 공기가 상기 제2벽을 따라 유동하도록 개구되어, 제1토출구와 제2토출구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가 제1벽과 제2벽을 타고 전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블로워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제1토출구와 제2토출구를 통해 전방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가이드보드를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직접풍이외에 간접풍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가이드보드는 샤프트와 샤프트의 상하로 연결되어, 하나의 구동모터를 가지고, 가이드보드의 배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는, 간단한 가이드보드가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구조일 경우에도, 하나의 모터를 사용하여 가이드보드를 안정적으로 배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블로워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블로워에서 제1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될 때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2b는 도 1의 블로워에서 제2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될 때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Ⅴ-Ⅴ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Ⅵ-Ⅵ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제 2 타워 내부가 도시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우측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Ⅸ-Ⅸ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3의 Ⅹ-Ⅹ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3의 ⅩⅠ-ⅩⅠ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타워 내부에 배치되는 기류변환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류변환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보드의 상부와 어퍼가이드, 어퍼지지대의 배치 및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어퍼가이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퍼가이더, 어퍼지지대, 및 구동모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퍼지지대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따른 가이드보드의 하부와 로어가이드, 로어지지대의 배치 및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로어가이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어가이더와 로어지지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어지지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 내지 도 12에서 표시된 상(U), 하(D), 좌(Le), 우(Ri), 전(F) 및 후(R)의 방향표시는,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준이 변경되면, 상기의 방향도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블로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전체구성>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블로워(1)는 외형을 제공하는 케이스(100)를 포함한다. 케이스(100)는 필터(200)가 설치되는 로어케이스(150)와, 코안다효과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는 어퍼케이스(140)를 포함한다.
어퍼케이스(140)는 2개의 기둥 형태로 분리되어 배치된 제 1 타워(110) 및 제 2 타워(120)를 포함한다. 제 1 타워(110)는 좌측에 배치되고, 제 2 타워(120)는 우측에 배치된다.
제 1 타워(110) 및 제 2 타워(120)는 이격배치된다. 제 1 타워(110) 및 제 2 타워(120) 사이에는 블로잉스페이스(105)가 형성된다. 블로잉스페이스(105)은 전방, 후방 및 상방이 개구된다.
제 1 타워, 제 2 타워 및 블로잉스페이스를 포함하는 어퍼케이스(140)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1 타워(110) 및 제 2 타워(120)에 각각 배치된 토출구(117)(127)는 블로잉스페이스(105)로 공기를 토출한다. 제 1 타워(110)에는, 제 1 토출구(117)가 형성되고, 제 2 타워(120)에는 제 2 토출구(127)가 형성된다.
제 1 토출구 및 제 2 토출구 각각은, 블로잉스페이스가 형성되는 위치에서 제 1 타워(110) 및 제 2 타워(120) 각각에 형성된다. 제 1 토출구(117) 또는 제 2 토출구(127)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블로잉스페이스(105)를 가로지르는 방향을 토출될 수 있다.
제 1 타워(110) 및 제 2 타워(12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공기토출방향은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블로잉스페이스(105)를 가로지르는 공기토출방향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1 공기토출방향(S1)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b를 참조하면, 블로잉스페이스(105)를 가로지르는 공기토출방향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공기토출방향(S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공기토출방향(S1)으로 유동되는 공기를 수평기류로, 제 2 공기토출방향(S2)으로 유동되는 공기를 상승기류로 정의될 수 있다.
수평기류는 주된 공기의 유동방향이 수평방향인 것으로, 수평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이 더 많이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승기류는 주된 공기의 유동방향이 상측방향인 것으로, 상측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이 더 많이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블로잉스페이스(105)는 제1타워(110)와 제2타워(120)에 의해 형성된다. 블로잉스페이스(105)는 제1타워(110)와 제2타워(120) 각각이 마주하는 면 사이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타워(110)에 제 1 토출구(117)와 제2타워(120)의 제 2 토출구(127)에서 토출된 공기는 블로잉스페이스(105)에서 합류되고, 이후 된 후, 전방이나 상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블로잉스페이스(105)에서 발생되는 코안다효과로 인한 수평기류의 형성으로 인해 외측벽(114)(124)에서도 간접적인 공기유동이 발생된다. 도 2a를 참조하면, 블로잉스페이스(105)로 토출되는 토출공기에 의해 블로잉스페이스 후방의 공기도 블로잉스페이스로 유동시킬 수 있다.
제 1 토출구(117)의 토출공기 및 제 2 토출구(127)의 토출공기가 블로잉스페이스에서 합류됨으로써 토출공기의 직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토출구(117)의 토출공기 및 제 2 토출구(127)의 토출공기를 블로잉스페이스에서 합류시킴으로써, 제 1 타워 및 제 2 타워 주변의 공기도 공기 토출방향으로 간접유동시킬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제 1 공기토출방향(S1)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형성되고, 도 2b를 참조하면, 제 2 공기토출방향(S2)은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2 공기토출방향(S2)을 위해 제 1 타워(110)의 상측단(111) 및 제 2 타워(120)의 상측단(121)이 이격된다. 즉, 제 2 공기토출방향(S2)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블로워(1)의 케이스와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공기토출방향(S1)을 위해, 제 1 타워(110)의 전단(112) 및 제 2 타워(120)의 전단(122)이 이격되며, 제 1 타워(110)의 후단(113) 및 제 2 타워(120)의 후단(123)도 이격된다.
제 1 타워(110) 및 제 2 타워(120)에서 블로잉스페이스(105)를 향하는 면은 내측면이라 하고, 블로잉스페이스(105)를 향하지 않는 면을 외측면이라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타워(110)의 외측벽(114) 및 제 2 타워(120)의 외측벽(124)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 1 타워(110)의 내측벽(또는 제1벽, 115) 및 제 2 타워(120)의 내측벽(또는 제2벽, 125)은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 1 내측벽(115)은 제 2 타워를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고, 제 2 내측벽(125)는 제 1 타워를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다.
제 1 타워(110) 및 제 2 타워(120)는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유선형으로 형성된다.
제 1 내측벽(115) 및 제 1 외측벽(114)은 전후 방향에 대해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제 2 내측벽(125) 및 제 2 외측벽(124)은 전후 방향에 대해 유선형으로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토출구(117)는 제 1 내측벽(115)에 배치되고, 제 2 토출구(127)는 제 2 내측벽(125)에 배치된다.
제 1 내측벽(115)의 중앙부(115a)와 제 2 내측벽(125)의 중앙부(125a)에서 제 1 내측벽(115)과 제 2 내측벽(125)이 최단거리(B0)로 이격된다. 제 1 내측벽(115)의 중앙부(115a)는 제 1 내측벽(115)의 전단(112)과 후단(113) 사이에 위치한 영역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내측벽(125)의 중앙부(125a)는 제 2 내측벽(125)의 전단(122)과 후단(123) 사이에 위치한 영역일 수 있다.
제 1 토출구(117)와 제 2 토출구(127) 각각은 제 1 내측벽(115)의 중앙부(115a)와 제 2 내측벽(125)의 중앙부(125a)보다 후방측에 배치된다. 즉, 제 1 토출구(117)는 제 1 내측벽(115)의 중앙부(115a)과 후단(113) 사이에 배치된다. 제 2 토출구(127)는 제 2 내측벽(125)의 중앙부(125a)과 후단(123) 사이에 배치된다.
중앙부(125a)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제 1 내측벽(115)과 제 2 내측벽(125) 사이의 이격거리가 커진다. 또한, 중앙부(125a)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제 1 내측벽(115)과 제 2 내측벽(125) 사이의 이격거리가 커진다.
제 1 타워(110)의 전단(112) 및 제 2 타워(120)의 전단(122) 사이의 이격거리를 제 1 이격거리(B1)라 한다. 제 1 타워(110)의 후단(113) 및 제 2 타워(120)의 후단(123) 사이의 이격거리를 제 2 이격거리(B2)이라 한다.
제 1 이격거리(B1)와 제 2 이격거리(B2)는, 최단거리(B0)보다 길게 형성된다. 제 1 이격거리(B1)와 제 2 이격거리(B2)는,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거나,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17)(127)가 후단(113)(123)에 가깝게 배치될 수록 후술하는 코안다효과를 통한 기류제어에 용이하다.
제 1 타워(110)의 내측벽(115) 및 제 2 타워(120)의 내측벽(125)은 코안다효과를 직접적으로 제공하고, 제 1 타워(110)의 외측벽(114) 및 제 2 타워(120)의 외측벽(124)은 코안다효과를 간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내측벽(115)(125)은 토출구(117)(127)에서 토출된 공기를 전단(112)(122)까지 직접적으로 가이드한다. 즉 내측벽(115)(125)은, 토출구(117)(127)에서 토출된 공기를 수평기류를 직접 제공한다.
블로잉스페이스(105)에서의 공기 유동으로 인해 외측벽(114)(124)에서도 간접적인 공기유동이 발생된다.
외측벽(114)(124)은 상기 간접적인 공기유동에 대해 코안다효과를 유발시키고, 간접 공기유동을 상기 전단(112)(122)으로 안내한다.
블로잉스페이스의 좌측은 제 1 내측벽(115)에 의해 막히고, 블로잉스페이스의 우측은 제 2 내측벽(125)에 의해 막히지만, 블로잉스페이스(105)의 상측은 개방된다.
후술하는 기류변환기가 블로잉스페이스를 통과하는 수평기류를 상승기류로 전환시킬 수 있고, 상승기류는 블로잉스페이스의 개방된 상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승기류는 토출공기가 사용자에게 직접 유동되는 것을 억제하고, 실내공기를 적극적으로 대류시킬 수 있다.
또한, 블로잉스페이스에서 합류된 공기의 유량을 통해 토출공기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블로잉스페이스의 좌우 폭(B0, B1, B2)보다 제 1 토출구(117) 및 제 2 토출구(127)의 상하 길이를 훨씬 길게 형성함으로써, 제 1 토출구의 토출공기 및 제 2 토출구의 토출공기가 블로잉스페이스에서 합류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블로워(1)의 케이스(100)는, 필터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로어케이스(150)와, 로어케이스(150) 상측에 배치되고, 로어케이스(150)에 지지되는 어퍼케이스(140)를 포함한다.
어퍼케이스(140)는 제 1 타워(110) 및 제 2 타워(120)를 포함한다.
제 1 타워(110) 및 제 2 타워(120)를 연결하는 타워베이스(130)가 배치되고, 타워베이스(130)가 로어케이스(150)에 조립된다. 타워베이스(130)는 제 1 타워(110) 및 제 2 타워(12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제 1 타워(110) 및 제 2 타워(120)는 타워베이스(130) 없이 로어케이스(150)에 직접 조립될 수 있고, 로어케이스(150)와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로어케이스(150)는 블로워(1)의 하부를 형성하고, 어퍼케이스(140)는 상기 블로워(1)의 상부를 형성한다.
블로워(1)은 로어케이스(150)에서 주위 공기를 흡입하고, 어퍼케이스(140)에서 여과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어퍼케이스(140)는 로어케이스(150) 보다 높은 위치에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블로워(1)는 상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블로워(1)은 전체적으로 원뿔 또는 원뿔대(Truncated cone) 형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블로워(1)은 2개의 타워가 배치된 형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형태가 아니어도 무방하다.
다만, 본 실시예와 같이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질 경우, 무게중심이 낮아지고 외부 충력에 의한 전도의 위험이 저감되는 장점이 있다.
조립의 편의성을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로어케이스(150) 및 어퍼케이스(140)로 분리하여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로어케이스(150) 및 어퍼케이스(14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어케이스 및 어퍼케이스가 일체로 제작된 프론트 케이스 및 리어 케이스 형태로 제작한 후 조립할 수도 있다.
로어케이스(150)는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된다. 어퍼케이스(140) 역시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된다.
로어케이스(150) 및 어퍼케이스(140)의 외측면은 역속되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타워베이스(130)의 하단과 로어케이스(150)의 상단이 밀착되고, 타워베이스(130)의 외측면과 로어케이스(150)의 외측면이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타워베이스(130)의 하단 직경은 로어케이스(150) 상단 직경과 같거나 약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타워베이스(130)는 로어케이스(150)에서 공급된 공기를 분배하고, 분배된 공기를 제 1 타워(110) 및 제 2 타워(120)에 제공한다.
타워베이스(130)는 제 1 타워(110) 및 제 2 타워(120)를 연결한다. 블로잉스페이스(105)는 타워베이스(130)의 상측에 배치된다.
또한, 타워베이스(130)의 상측에 토출구(117)(127)가 배치되고, 상승기류 및 수평기류는 타워베이스(130)의 상측에서 형성된다.
공기와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타워베이스(130)의 상측면(131)은 곡면으로 형성된다. 특히 상측면은 하측으로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측면(131)의 일측(131a)은 제 1 내측벽(115)에 연결되고, 상측면(131)의 타측(131b)은 제 2 내측벽(125)에 연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탑뷰로 볼 때, 제 1 타워(110) 및 제 2 타워(120)는 중심선 L-L'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된다. 특히 제 1 토출구(117) 및 제 2 토출구(127)는 중심선 L-L'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배치된다.
중심선 L-L'은 제 1 타워(110) 및 제 2 타워(120) 사이의 가상의 선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측면(131)을 지나가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제 1 타워(110) 및 제 2 타워(120)가 비대칭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러나 중심선 L-L'를 기준으로 제 1 타워(110) 및 제 2 타워(120)가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이 수평기류 및 상승기류의 제어에 보다 유리하다.
도 1, 도 5 또는 도 6을 참조하면, 블로워(1)는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된 필터(200)와, 케이스(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토출구(117)(127)로 유동시키는 팬장치(300)를 포함한다.
필터(200) 및 팬장치(300)은 로어케이스(150) 내부에 배치된다. 로어케이스(150)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측이 개구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로어케이스(150)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측이 개구된다. 필터(220)와 팬장치(300)를 포함하는 송풍유닛(200)은, 필터(220)와 팬장치(30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로어케이스(150)를 포함하고, 로어케이스(150)의 내외측을 연통시키는 복수개의 흡입구(155)가 로어케이스(150)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로어케이스(150)의 하측에는,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151)가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151)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로어케이스(150)는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된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로어케이스(150)는 2개의 파트로 분리되어 제작될 수 있고, 상기 2개의 파트가 조립되어 상술한 원뿔대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로어케이스(150)는, 블로워(1)의 일측으로 분리되는 제1로어케이스(150a)와, 상기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으로 분리되는 제2로어케이스(150b)로 구분될 수 있다. 제1로어케이스(150a)와 제2로어케이스(150b) 중 어느하나 또는 전체가 분리될 때, 로어케이스(150) 내부에 배치된 필터(200)를 인출할 수 있다.
로어케이스(150)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흡입구(155)가 반경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다만, 실시예와 다르게 로어케이스(150)에 복수의 홀 형태로 형성되는 흡입구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필터(200)는 내부에 상하 방향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필터(200)의 외측면은 로어케이스(150)에 형성되는 흡입구(155)와 마주하게 배치된다.
실내의 공기는 필터(20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어 유동되고, 이 과정에서 공기중의 이물질 또는 유해한 가스를 제거할 수 있다.
팬장치(300)는 필터(200)의 상측에 배치된다. 팬장치(300)는 필터(200)를 통과한 공기를 제 1 타워(110) 및 제 2 타워(120)로 유동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팬장치(300)는 팬모터(310)와, 팬모터(310)에 의해 회전되는 팬(320)을 포함하고, 로어케이스(150) 내부에 배치된다.
팬모터(310)는 팬(320) 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팬모터(310)의 모터축은 하측에 배치된 팬(320)에 결합된다. 팬(320)의 상측에 팬모터(310)가 설치되는 모터하우징(330)이 배치된다.
모터하우징(330)은 팬모터(310) 전체를 감싸는 형상이다. 모터하우징(330)이 팬모터(310) 전체를 감싸기 때문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되는 공기와의 유동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모터하우징(330)은 팬모터(310)의 하부만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모터하우징(330)은 로어모터하우징(332) 및 어퍼모터하우징(334)을 포함한다. 로어모터하우징(332) 및 어퍼모터하우징(3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케이스(100)에 결합된다.
로어모터하우징(332) 상측에 팬모터(310)가 설치된 후, 어퍼모터하우징(334)을 덮어 팬모터(310)를 감싸는 구조일 수 있다. 팬모터(310)의 모터축은 로어모터하우징(332)을 관통하고, 하측에 배치된 팬(320)에 조립된다.
팬(320)은 팬모터의 축이 결합되는 허브, 상기 허브와 이격 배치되는 쉬라우드 및 허브 및 쉬라우드를 연결하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200)를 통과한 공기는 쉬라우드 내측으로 흡입된 후, 회전되는 상기 블레이드에 의해 가압되어 유동된다. 허브는 블레이드의 상측에 배치되고, 쉬라우드는 블레이드의 하측에 배치된다. 허브는 하측으로 오목한 보올(BOWL)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로어모터하우징(332)의 하측이 일부 삽입될 수 있다.
팬(320)은 사류팬이 사용된다. 사류팬은 축중심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반경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되, 토출되는 공기가 축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전체적인 공기 유동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원심팬과 같이 반경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경우, 유동방향 전환에 따른 유동손실이 크게 발생된다.
사류팬은 반경방향 상측으로 공기를 토출함으로써 공기의 유동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팬(320)의 상측에 디퓨져(34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디퓨져(340)는 팬(320)에 의한 공기유동을 상측 방향으로 가이드한다. 디퓨져(340)는 공기유동에서 반경방향 성분을 더욱 저감하고 상측 방향공기 유동성분을 강화시킬 수 있다.
모터하우징(330)은 디퓨져(340) 및 팬(320) 사이에 배치된다.
모터하우징의 상하 방향 설치높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모터하우징(330)의 하단은 팬(320)에 삽입되도록 배치된다. 모터하우징(330)의 하단은, 팬(320)과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모터하우징(330)의 상단은 디퓨져(340)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모터하우징(330)의 상단은 디퓨져(340)와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모터하우징(330)의 하단은 팬(320)의 하단보다 높게 배치되고, 모터하우징(330)의 상단은 디퓨져(340)의 상단 보다 낮게 배치된다.
모터하우징(330)의 설치위치를 최적화하기 위해, 모터하우징(330)의 상측은 타워베이스(130) 내부에 배치되고, 모터하우징(330)의 하측은 로어케이스(15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모터하우징(330)이 타워베이스(130) 또는 로어케이스(15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로어케이스(150)의 내부에 흡입그릴(350)이 배치될 수 있다. 흡입그릴(350)은 필터(200)가 분리되었을 때, 팬(320) 측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침입하는 것을 차단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 및 팬(320)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흡입그릴(350)의 하측에 필터(200)가 배치되고, 상측에 팬(320)이 배치된다. 흡입그릴(350)은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공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케이스(100) 내부에는, 흡입그릴(350)의 하측 공간을 필터(200)가 배치되는 필터설치공간(101)이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케이스(100) 내부에는, 흡입그릴(350) 및 토출구(117)(127) 사이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송풍공간(102)이 형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타워(110) 및 제 2 타워(120)의 내부에는, 상측으로 공기유동을 형성하고, 제 1 토출구(117) 또는 제 2 토출구 (127)로 공기가 유동하는 토출공간(103)이 형성된다. 여기서 송풍공간(102)은, 토출공간(103)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 공기는 흡입구(155)를 통해 필터설치공간(101)으로 유입된 후, 송풍공간(102) 및 토출공간(103)을 거쳐 토출구(117)(127)로 토출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토출공간(103)에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수평방향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에어가이드(160)가 배치된다. 에어가이드(160)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160)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되는 공기를 수평방향으로 방향전환시킨다. 에어가이드(160)는, 상측으로 유동되는 공기를 제 1 토출구(117) 또는 제 2 토출구(127)가 형성된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160)는 제 1 타워(110) 내부에 배치된 제 1 에어가이드(161)와 제 2 타워(120) 내부에 배치된 제 2 에어가이드(16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에어가이드(161)는 제 1 타워(110)의 내측벽 및/또는 외측벽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 에어가이드(161)는 전방 측 단(161a)이 제 1 토출구(117)에 근접되고, 후방 측 단(161b)은 제 1 타워(110)의 후단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하측에서 유동되는 공기를 제 1 토출구(117)로 안내하기 위해 제 1 에어가이드(161)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후방측 단(161b)이 전방측 단(161a) 보다 낮게 배치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에어가이드(161)의 좌측단(161c) 중 적어도 일부는 제 1 타워(110)의 좌측벽에 밀착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제 1 에어가이드(161)의 우측단(161d) 중 적어도 일부는 제 1 타워(110)의 우측벽에 밀착 또는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토출공간(103)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는 공기는 제 1 에어가이드(161)의 후단에서 전단으로 유동된다.
제 2 에어가이드(162)는 제 1 에어가이드(161)와 좌우 대칭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제 2 에어가이드(162)로 설명되는 제 2 에어가이드(162)의 구성 및 형태는 제 1 에어가이드(161)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 2 에어가이드(162)는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제 2 에어가이드(162-1, 162-2, 162-3, 16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에어가이드(162)는 하부에서 상부로 이격배치되는 제 2-1 에어가이드(162-1), 제 2-2 에어가이드(162-2), 제 2-3 에어가이드(162-3), 및 제 2-4 에어가이드(162-4)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 2 에어가이드(162-1, 162-2, 162-3, 162-4)는 상측에 배치될수록 제2타워(120)의 내측공간의 전후방향의 길이대비 형성된 길이비율이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 에어가이드(162-1, 162-2, 162-3, 162-4)는 상측에 배치될수록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곡면비율이 감소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2 에어가이드(162)는 제 2 타워(110)의 내측벽 및/또는 외측벽에 결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2 에어가이드(162)는 전방 측 단(162a)이 제 2 토출구(127)에 근접되고, 후방 측 단(162b)은 제 2 타워(120)의 후단과 이격된다.
하측에서 유동되는 공기를 제 2 토출구(127)로 안내하기 위해 제 2 에어가이드(162)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후방측 단(162b)이 전방측 단(162a) 보다 낮게 배치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2 에어가이드(162)의 좌측단(162c) 중 적어도 일부는 제 2 타워(120)의 좌측벽에 밀착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제 2 에어가이드(162)의 우측단(162d)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타워(110)의 우측벽에 밀착 또는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또는 8을 참조하면, 제 1 토출구(117) 및 제 2 토출구(127)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된다.
제 1 토출구(117)는 제 1 타워(110)의 전단(112) 및 후단(113) 사이에 배치된다. 제 1 토출구(117)는 전단(112)보다 후단(113)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 1 토출구(117)에서 토출된 공기는 코안다효과에 의해 제 1 내측벽(115)을 따라 유동될 수 있다. 제 1 내측벽(115)을 따라 유동되는 공기는, 전단(112)을 향해 유동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토출구(117)는 공기토출 측(본 실시예에서 전단)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제 1 보더(117a)와, 공기토출 반대측(본 실시예에서 후단)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제 2 보더(117b)와, 제 1 토출구(117)의 상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상측보더(117c)와, 제 1 토출구(117)의 하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하측보더(117d)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보더(117a) 및 제 2 보더(117b)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측보더(117c) 및 하측보더(117d)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보더(117a) 및 제 2 보더(117b)는 수직 방향(V)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또한, 제 1 타워(110)의 후단(113) 역시 수직방향(V)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토출구(117)의 기울기(a1)가 타워의 외측면 기울기 기울기(a2)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수직방향(V)에 대한 제 1 보더(117a) 및 제 2 보더(117b)의 기울기(a1)는 4도로 형성되고, 후단(113) 기울기(a2)는 3도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토출구(127)는 제 1 토출구(117)와 좌우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2 토출구(127)는 공기토출 측(본 실시예에서 전단)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제 1 보더(127a)와, 공기토출 반대측(본 실시예에서 후단)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제 2 보더(127b)와, 제 2 토출구(127)의 상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상측보더(127c)와, 제 2 토출구(127)의 하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하측보더(127d)를 포함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1 타워(110)의 제 1 토출구(117)는 제 2 타워(120)를 향하게 배치되고, 제 2 타워(120)의 제 2 토출구(127)는 제 1 타워(110)를 향하게 배치된다.
제 1 토출구(117)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코안다효과를 통해 제 1 타워(110)의 내측벽(115)을 따라 유동된다. 제 2 토출구(127)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코안다효과를 통해 제 2 타워(120)의 내측벽(125)을 따라 유동된다.
블로워(1)는, 제 1 토출케이스(170) 및 제 2 토출케이스(180)를 더 포함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1 토출구(117)는 제 1 토출케이스(170)에 형성된다. 제 1 토출케이스(170)는 제 1 타워(110)에 조립될 수 있다. 제 2 토출구(127)는 제 2 토출케이스(180)에 형성된다. 제 2 토출케이스(180)는 제 2 타워(120)에 조립될 수 있다.
제 1 토출케이스(170)는 제 1 타워(110)의 내측벽(115)을 관통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 2 토출케이스(180)는 제 2 타워(120)의 내측벽(125)을 관통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 1 타워(110)에 제 1 토출개구부(118)가 형성된 제 1 토출케이스(170)가 배치되고, 제 2 타워(120)에 제 2 토출개구부(128)가 형성된 제 2 토출케이스(180)가 배치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1 토출케이스(170)는 제 1 토출구(117)를 형성하고, 제 1 토출구(117)의 공기 토출측에 배치된 제 1 토출가이드(172)와, 제 1 토출구(117)를 형성하고, 제 1 토출구(117)의 공기 토출 반대측에 배치된 제 2 토출가이드(174)를 포함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 1 토출가이드(172) 및 제 2 토출가이드(174)의 외측면(172a)(174a)은 제 1 타워(110)의 내측벽(115) 중 일부를 제공한다.
제 1 토출가이드(172)의 내측은 제 1 토출공간(103a) 향하게 배치되고, 외측은 블로잉스페이스(105)를 향하게 배치된다. 제 2 토출가이드(174)의 내측은 제 1 토출공간(103a) 향하게 배치되고, 외측은 블로잉스페이스(105)를 향하게 배치된다.
제 1 토출가이드(172)의 외측면(172a)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토출가이드(172)의 외측면(172a)은 제 1 내측벽(115)과 연속된 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제 1 토출가이드(172)의 외측면(172a)은 제 1 내측벽(115)의 외측면과 연속된 곡면을 형성한다.
제 2 토출가이드(174)의 외측면(174a)은 제 1 내측벽(115)과 연속된 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제 2 토출가이드(174)의 내측면(174b)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토출가이드(174)의 내측면(174b)은 제 1 외측벽(115)의 내측면과 연속된 곡면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제 1 토출공간(103a)의 공기를 제 1 토출가이드(172) 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제 1 토출가이드(172) 및 제 2 토출가이드(174) 사이에 제 1 토출구(117)가 형성되고, 제 1 토출공간(103a)의 공기는 제 1 토출구(117)를 통해 블로잉스페이스(105)로 토출된다.
제 1 토출공간(103a)의 공기는 제 1 토출가이드(172)의 외측면(172a) 및 제 2 토출가이드(174)의 내측면(174b) 사이로 토출된다. 제 1 토출가이드(172)의 외측면(172a) 및 제 2 토출가이드(174)의 내측면(174b) 사이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채널(175)이 형성된다.
토출채널(175)은 입구(175a) 및 출구(175c)에 비해 중간 부분(175b)의 폭이 좁게 형성된다. 중간부분(175b)은 제 2 보더(117b)와 제 1 토출가이드(172) 외측면(172a)이 최단거리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토출채널(175)의 입구에서 중간부분(175b)까지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좁아지고, 중간부분(175b) 부터 출구(175c)까지 단면적이 다시 넓어질 수 있다. 중간부분(175b)은 제 1 타워(110)의 내측에 위치된다. 외부에서 볼 때, 토출채널(175)의 출구(175c)가 토출구(117)로 보일 수 있다.
코안다효과를 유발시키기 위해, 제 1 토출가이드(172)의 외측면(172a) 곡률반경보다 제 2 토출가이드(174)의 내측면(174b) 곡률반경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토출가이드(172) 외측면(172a)의 곡률중심은 외측면(172a) 보다 전방에 위치되고, 제 1 토출공간(103a)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토출가이드(174) 내측면(174b)의 곡률중심은 제 1 토출가이드(172) 측에 위치되고, 제 1 토출공간(103a) 내부에 형성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 2 토출케이스(180)는 제 2 토출구(127)를 형성하고, 제 2 토출구(127)의 공기 토출측에 배치된 제 1 토출가이드(182)와, 제 2 토출구(127)를 형성하고, 제 2 토출구(127)의 공기 토출 반대측에 배치된 제 2 토출가이드(184)를 포함한다.
제 1 토출가이드(182) 및 제 2 토출가이드(184) 사이에 토출채널(185)이 형성된다.
제 2 토출케이스(180)는 제 1 토출케이스(170)와 좌우 대칭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토출구(117)에 토출된 공기는 제 1 내측면(115)을 따라 제 1 전단(112)으로 유동될 수 있고, 제 2 토출구(127)에서 토출된 공기는 제 2 내측면(125)을 따라 제 2 전단(122)으로 유동될 수 있다.
코안다효과를 통해 토출공기를 전방으로 집중적으로 토출하기 위해 제 1 내측벽(115) 및 제 2 내측벽(125)의 최단거리(B0)가 결정될 수 있다.
최단거리(B0)가 길어질수록 코안다효과가 약해지는 대신 넓은 블로잉스페이스(105)를 확보할 수 있고, 최단거리(B0)가 짧아질수록 코안다효과가 강해지는 대신 블로잉스페이스(105)가 좁아진다.
최단거리(B0)는 20mm 내지 30mm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전단(112)(122) 전방의 1.5m 거리에서 1.2m의 기류폭(좌우폭)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토출공기가 좌우 확산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제 1 내측벽(115) 및 제 2 내측벽(125)의 토출각(A)을 설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내측벽(115)은 제1토출구(117)가 배치되는 영역으로부터 제1보드슬릿(119)이 배치되는 영역에서 제 2 내측벽(125)을 향해 볼록한 곡면을 형성한다. 또한, 제 2 내측벽(125)은 제2토출구(127)가 배치되는 영역으로부터 제2보드슬릿(129)이 배치되는 영역에서 제 1 내측벽(115)을 향해 볼록한 곡면을 형성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토출각(A)은 제 1 타워(110) 및 제 2 타워(120)의 중심선 (L-L')과 내측벽(115)(125)의 전단(112)(122)에서 형성되는 접선의 사이각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블로워(1)은 블로잉스페이스(105)의 공기유동방향을 바꾸는 기류변환기(400, air flow conver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류변환기>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21를 참조하여 상승기류를 형성시킬 수 있는 기류변환기(400)에 대해 설명한다.
기류변환기(400)는, 블로잉스페이스(105)를 통해 유동되는 수평기류를 상승기류로 전환시킬 수 있다.
기류변환기(400)는, 제 1 타워(110)에 배치된 제 1 기류변환기(401)와, 제 2 타워(120)에 배치된 제 2 기류변환기(402)를 포함한다. 제 1 기류변환기(401)와 제 2 기류변환기(402)는 좌우 대칭이고, 구성이 동일할 수 있다.
블로잉스페이스(105)를 유동하는 공기는, 제 1 토출구(117) 또는 제 2 토출구(127)로부터 블로잉스페이스(105)의 전방으로 유동한다. 즉, 블로잉스페이스(105)를 기준으로, 제 1 토출구(117)와 제 2 토출구(127)가 배치되는 부분을 블로잉스페이스(105)의 상류로 설정하고, 제 1 가이드보드(411)와 제 2 가이드보드(412)가 배치되는 부분을 블로잉스페이스(105)의 하류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가이드보드(410)는 제 1 타워(110)에 배치된 제 1 가이드보드(411)와, 제 2 타워(120)에 배치된 제 2 가이드보드(412)를 포함한다.
제 1 가이드보드(411)는 제 1 타워(110) 내부에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블로잉스페이스(105)로 돌출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보드(412)는 제 2 타워(120) 내부에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블로잉스페이스(105)로 돌출될 수 있다.
제 1 타워(110)의 내측벽(115)에는 제 1 보드슬릿(119)이 형성되고, 제 2 타워(120)의 내측벽(125)에는 제 2 보드슬릿(129)이 형성된다.
제 1 보드슬릿(119) 및 제 2 보드슬릿(129)은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다. 제 1 보드슬릿(119) 및 제 2 보드슬릿(129)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보드슬릿(119) 및 제 2 보드슬릿(129)은 수직방향(V)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보드(411)의 내측단(411a)은 제 1 보드슬릿(119)에 노출될 수 있고, 제 2 가이드보드(412)의 내측단(412a)은 제 2 보드슬릿(129)에 노출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보드(411)가 제 1 타워(110)의 내측에 배치될 때, 제 1 가이드보드(411)의 내측단(411a)은, 내측벽(115)에서 돌출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보드(412)가 제 2 타워(120)의 내측에 배치될 때, 제 2 가이드보드(412)의 내측단(412a)은, 내측벽(115)에서 돌출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제 1 보드슬릿(119)과 제 2 보스슬릿(129) 각각은 제 1 타워(110)의 전단(112) 또는 제 2 타워(120)의 전단(122) 보다 더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타워(110)의 전단(112)은 3도의 기울기로 형성되고, 제 1 보드슬릿(119)은 4도의 기울기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타워(120)의 전단(122)은 3도의 기울기로 형성되고, 제 2 보드슬릿(129)은 4도의 기울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보드(411)는 제 1 보드슬릿(119)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 2 가이드보드(412)는 제 2 보드슬릿(129)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가이드보드(410)는 평면 또는 곡면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보드(41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블로잉스페이스(105)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보드(410)는 블로잉스페이스(105)로 유동되는 수평기류를 가로막아 상측방향으로 방향전환시킬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 1 가이드보드(411)의 내측단(411a) 및 제 2 가이드보드(412)의 내측단(412a)이 맞닿거나 근접되어 상승기류를 형성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하나의 가이드보드(410)가 반대편 타워에 밀착되어 상승기류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도 2a와 같이, 블로워(1)가 수평기류를 형성할 때, 제 1 가이드보드(411)의 내측단(411a)이 제 1 보드슬릿(119)을 폐쇄하고, 제 2 가이드보드(412)의 내측단(412a)이 제 2 보드슬릿(129)를 폐쇄할 수 있다.
제 1 가이드보드(411)가 제 1 보드슬릿(119)을 폐쇄함으로써, 제 1 토출공간(103a)의 공기가 제 1 보드슬릿(119)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가이드보드(412)이 제 2 보드슬릿(129)을 폐쇄함으로써, 제 2 토출공간(103b)의 공기가 제 2 보드슬릿(129)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b와 같이, 블로워(1)가 상승기류를 형성할 때, 제 1 가이드보드(411)의 내측단(411a)이 제 1 보드슬릿(119)을 관통하여 블로잉스페이스(105)로 돌출되고, 제 2 가이드보드(412)의 내측단(412a)이 제 2 보드슬릿(129)을 관통하여 블로잉스페이스(105)로 돌출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보드(411) 및 제 2 가이드보드(412)는 회전 동작으로 블로잉스페이스(105)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제 1 가이드보드(411) 및 제 2 가이드보드(4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직선이동되어 블로잉스페이스(105)로 돌출되어도 무방하다.
도 11을 참조할 때, 제 1 가이드보드(411) 및 제 2 가이드보드(412)은 호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1 가이드보드(411) 및 제 2 가이드보드(412)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형성하고, 곡률중심은 블로잉스페이스(105)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21를 참조하여, 제1타워(110)에 배치되는 제 1 기류변환기(401)를 기준으로 기류변환기(400)의 구성을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기류변환기(400)는 제 2 기류변환기(402)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기류변환기(400) 각각의 구성은, 제1타워(110)에 배치되는 ‘제1’ 구성과, 제2타워(120)에 배치되는 ‘제2’구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기류변환기(400)는, 타워에 배치되고, 블로잉스페이스(105)로 돌출되는 가이드보드(410, guide board)와, 가이드보드(410)에 장착되고 가이드보드(410)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한 쌍의 보드가이더(420, 430)와, 제1타워(110) 또는 제2타워(120)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한 쌍의 보드가이더(420, 430)와 맞물리는 한 쌍의 구동기어(440, 442)와, 한 쌍의 구동기어(440, 442)를 연결하는 샤프트(444)와, 한 쌍의 구동기어(440, 442) 중 하나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470)를 포함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기류변환기(400)는, 제1타워(110) 또는 제2타워(120) 내측에 고정되게 배치되고, 한 쌍의 보드가이더(420, 430) 각각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지지대(450, 460)를 포함한다. 한 쌍의 지지대(450, 460)는, 샤프트(444)의 상단과 하단 각각에서 접촉하고, 샤프트(444)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기류변환기(400)는, 구동모터(470)에 연결되어 회전하고, 한 쌍의 구동기어(440, 442) 중 하나와 맞물리게 배치되는 모터기어(47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보드(410)는 타워 내부에 은닉되거나, 블로잉스페이스(105)으로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보드(41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한 쌍의 보드가이더(420, 430)는, 가이드보드(410)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어퍼가이더(420)와 가이드보드(410)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로어가이더(430)를 포함한다. 한 쌍의 구동기어(440, 442)는, 어퍼가이더(420)와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어퍼기어(440)와 로어가이더(430)와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로어기어(442)를 포함한다. 한 쌍의 지지대(450, 460)는, 어퍼가이더(4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어퍼지지대(450)와 로어가이더(43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로어지지대(460)를 포함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어퍼가이더(420)는 어퍼지지대(450)와 연결되고, 어퍼기어(440)와 맞물려 이동한다. 도 18를 참조하면, 로어가이더(430)는 로어지지대(460)와 연결되고, 로어기어(442)와 맞물려 이동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어퍼가이더(420)는, 어퍼가이더(420)를 가이드보드(410)의 일측에 고정시키는 어퍼보드마운터(422), 어퍼기어(440)와 맞물리며 어퍼가이더(420)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어퍼보드기어(424), 어퍼지지대(450)에 형성되는 어퍼가이드홈(미도시)에 삽입되어 어퍼가이더(4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어퍼가이드리브(426)를 포함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어퍼보드마운터(422)는, 어퍼보드기어(424)의 상측방향으로 연장되고, 가이드보드(410)에 연결되도록 어퍼체결홀(422a)이 형성된다. 어퍼체결홀(422a)은 하나 또는 2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어퍼체결홀(422a)은 상하방향으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어퍼체결홀(422a) 중 적어도 하나의 어퍼체결홀(422a)을 통해 어퍼가이더(420)와 가이드보드(410)가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어퍼가이더(420)의 이동에 따라 가이드보드(410)의 배치가 변경될 수 있다. 어퍼보드마운터(422)는, 어퍼보드기어(424)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어퍼보드기어(424)는, 어퍼보드마운터(422)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가이드보드(410)와 마주하는 반대면에 어퍼기어(440)와 맞물리는 기어가 배치된다. 어퍼보드기어(424)에 형성되는 기어는, 랙기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어퍼보드기어(424)와 어퍼기어(440)는 랙과 피니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어퍼기어(440)가 회전함에 따라 어퍼보드기어(424)는, 가이드보드(410)의 배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어퍼가이드리브(426)는 어퍼보드마운터(422)와 어퍼보드기어(42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어퍼가이드리브(426)는, 어퍼보드기어(424)가 형성되는 면에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어퍼가이드리브(426)는, 어퍼보드기어(424)와 어퍼보드마운터(422) 사이에서 어퍼지지대(450)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어퍼수평리브(426a)와, 어퍼수평리브(426a)의 단부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어퍼수직리브(426b)를 포함한다. 어퍼수직리브(426b)는, 어퍼지지대(450)의 어퍼가이드홈(미도시)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어퍼수직리브(426b)는, 상측에서 바라볼 때, 가이드보드(410)의 곡률중심과 동일한 곡률중심을 가지는 곡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어퍼지지대(450)에는, 어퍼가이드리브(426)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된 어퍼가이드홈이 형성된다. 어퍼지지대(450)는, 제1타워(110) 또는 제2타워(120)의 내측에 고정배치된다. 도 16를 참조하면, 어퍼지지대(450)는, 제1타워(110) 또는 제2타워(120)의 내측에 고정되는 어퍼케이스마운터(45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를 참조하면, 어퍼지지대(450)는, 제1타워(110) 또는 제2타워(120)의 내측에 장착되는 어퍼고정바디(452)와, 어퍼고정바디(452)와 결합되고, 구동모터(470)가 장착되는 어퍼체결바디(456)를 포함한다.
어퍼고정바디(452)와 어퍼체결바디(456)는 서로 결합된다. 어퍼고정바디(452)는 어퍼체결바디(456)의 상측에 배치된다. 어퍼체결바디(456)는 어퍼가이더(420)의 어퍼수평리브(426a)를 지지하는 어퍼지지플레이트(457)를 포함하고, 어퍼고정바디(452)는 어퍼수직리브(426b)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어퍼가이드홈이 형성된다. 어퍼가이드홈은, 어퍼수직리브(426b)의 이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도 16를 참조하면, 어퍼체결바디(456)의 하측에는 구동모터(470)가 장착된다. 구동모터(470)는 어퍼체결바디(456)의 하측에 고정되게 배치된다. 도 16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어퍼체결바디(456)의 하부면에는 구동모터(470)가 고정되는 모터장착부(458)와, 샤프트(444)의 일단이 삽입되는 어퍼샤프트장착부(459)가 배치된다. 어퍼샤프트장착부(459)는, 샤프트(444)의 상단이 삽입되고, 회전할 수 있는 어퍼샤프트홈(459a)이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444)의 상단부에는 어퍼기어(440)가 배치된다. 어퍼기어(440)는 샤프트(444)에 고정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어퍼기어(440)가 회전하면 샤프트(444)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샤프트(444)는 지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가상의 축(Z)을 기준으로 설정각도(θ)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샤프트(444)는 제1내측벽(115) 또는 제2내측벽(125) 각각에 형성되는 제1보드슬릿(119)나 제2보드슬릿(129)가 형성되는 방향에 대응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어퍼기어(440)는, 구동모터(470)에 연결되는 모터기어(472)와 맞물리게 배치된다. 또한, 어퍼기어(440)는, 일측에서 모터기어(472)와 맞물려 회전할 때, 타측에서 어퍼가이더(420)의 어퍼보드기어(424)와 맞물려 어퍼보드기어(424)의 배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어퍼기어(440)는, 모터기어(472)와 맞물려 회전할 때, 샤프트(444)를 회전시켜, 샤프트(444)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로어기어(44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로어가이더(430)는 로어지지대(460)와 연결되고, 로어기어(442)와 맞물려 이동한다. 로어가이더(430)는 로어지지대(460)와 연결되고, 로어기어(442)와 맞물려 이동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로어가이더(430)는, 로어가이더(430)를 가이드보드(410)의 일측에 고정시키는 로어보드마운터(432), 로어기어(442)와 맞물리며 로어가이더(430)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로어보드기어(434), 로어지지대(460)에 형성되는 로어가이드홈(462a)에 삽입되어 로어가이더(43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로어가이드리브(436)를 포함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로어보드마운터(432)는, 로어보드기어(434)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된다. 로어보드마운터(432)는, 가이드보드(410)에 연결되도록 복수의 로어체결홀(432a)이 형성된다. 복수의 로어체결홀(432a)은 로어보드기어(434)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로어체결홀(432a) 중 적어도 하나의 로어체결홀(432a)을 통해 로어가이더(430)와 가이드보드(410)가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로어가이더(430)의 이동에 따라 가이드보드(410)의 배치가 변경될 수 있다. 로어보드마운터(432)는, 로어보드기어(434)의 상측과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로어보드기어(434)는, 로어보드마운터(432)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로어체결홀(432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로어보드기어(434)는, 가이드보드(410)와 마주하는 반대면에 로어기어(442)와 맞물리는 랙기어가 배치된다. 로어보드기어(434)와 로어기어(442)는 랙과 피니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로어기어(442)가 회전함에 따라 로어보드기어(434)는, 로어보드기어(434)가 형성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로어가이드리브(436)는 로어보드마운터(432)의 하단부에서 연장될 수 있다. 로어가이드리브(436)는, 로어보드기어(434)가 형성되는 면의 반대면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어퍼가이드리브(426)와 로어가이드리브(436)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진다.
로어가이드리브(436)는, 로어보드마운터(432)의 하단부에서 로어지지대(460)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로어수평리브(436a)와, 로어수평리브(436a)의 단부에서 상하방향으로 돌출되는 로어수직리브(436b)를 포함한다. 로어수평리브(436a)는, 가이드보드(410) 방향으로 돌출된다.
로어수직리브(436b)는, 로어지지대(460)의 로어가이드홈(462a)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로어수직리브(436b)는, 로어수평리브(436a)의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어퍼리브(436b2)와 로어수평리브(436a)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로어리브(436b1)를 포함한다.
로어수직리브(436b)는, 상측에서 바라볼 때, 가이드보드(410)의 곡률중심과 동일한 곡률중심을 가지는 곡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로어지지대(460)는, 로어가이드리브(436)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된 로어가이드홈(462a)이 형성된다. 로어가이드홈(462a)은 로어리브(436b1)가 삽입되는 로어가이드홈(462a)과 어퍼리브(436b2)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추가가이드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지지대(460)는, 제1타워(110) 또는 제2타워(120)의 내측에 고정배치된다. 로어지지대(460)는, 제1타워(110) 또는 제2타워(120)의 내측에 고정되는 로어케이스마운터(464)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지지대(460)는, 제1타워(110) 또는 제2타워(120)의 내측에 장착되는 로어고정바디(462)와, 로어고정바디(462)와 결합되는 로어체결바디(468)를 포함한다.
로어체결바디(468)와 로어고정바디(462)는 서로 결합된다. 로어체결바디(468)는 로어고정바디(462)의 상측에 배치된다. 로어고정바디(462)는 어퍼가이더(420)의 로어수평리브(436a)를 지지하는 로어지지플레이트(465)를 포함한다. 로어고정바디(462)에는 로어가이드리브(434)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된 로어가이드홈(462a)이 형성된다. 로어체결바디(468)에는 어퍼리브(436b2)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된 추가가이드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어퍼가이드리브(426)와 로어가이드리브(436)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어퍼가이드리브(426)의 어퍼수평리브(426a)는 가이드보드(4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도 19를 참조하면, 로어가이드리브(436)의 로어수평리브(436a)는 가이드보드(410)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도 15를 참조하면, 어퍼가이드리브(426)의 어퍼수직리브(426b)는 상측방향으로 연장되고, 도 19를 참조하면, 로어가이드리브(436)의 로어수직리브(436b)는 하측방향으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로어수직리브(436b)의 로어리브(436b1)는 하측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어퍼가이드홈은 상측으로 형성되고, 로어가이드홈(462a)는 하측으로 형성된다.
로어가이드홈(462a)과 은, 로어수직리브(436b)의 이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로어고정바디(462)는 샤프트(444)의 타단이 삽입되는 로어샤프트장착부(466)가 배치된다. 로어샤프트장착부(466)는 샤프트(444)의 하단이 삽입되고 회전할 수 있는 로어샤프트홈(466a)이 형성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케이스 105 : 블로잉 스페이스
110 : 제1타워 115 : 내측벽, 제1벽
117 : 제1토출구 119 : 제1보드슬릿
120 : 제2타워 125 : 내측벽, 제2벽
127 : 제2토출구 129 : 제2보드슬릿
200 : 필터 400 : 기류변환기
401 : 제1기류변환기 402 : 제2기류변환기
410 : 가이드보드 420 : 어퍼가이더
426 : 어퍼가이드리브 430 : 로어가이더
436 : 로어가이드리브 440 : 어퍼기어
442 : 로어기어 444 : 샤프트
450 : 어퍼지지대 460 : 로어지지대
470 : 구동모터 472 : 모터기어

Claims (18)

  1. 둘레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측이 개구된 로어케이스;
    상기 로어케이스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제1벽에 전방을 향해 개구된 제1토출구가 형성되는 제1타워;
    상기 로어케이스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벽으로부터 이격배치되고, 상기 제1벽과 마주하는 제2벽에 전방을 향해 개구된 제2토출구가 형성되는 제2타워;
    상기 로어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1타워와 상기 제2타워가 배치된 상측으로 유동시키는 팬;
    상기 제1토출구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타워 내측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1벽에서 상기 제2타워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기류변환기; 및
    상기 제2토출구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타워 내측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2벽에서 상기 제1타워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기류변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기류변환기와 상기 제2기류변환기 각각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상부 및 하부와 연결되어 배치가 변경되는 가이드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보드는, 상기 제1타워 또는 상기 제2타워 내부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1벽 또는 상기 제2벽을 관통하여 돌출되고,
    상기 제1기류변환기와 상기 제2기류변환기 각각은,
    상기 샤프트의 상부와 하부에 고정되게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보드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한 쌍의 구동기어; 및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고, 상기 한 쌍의 구동기어 중 하나와 맞물리는 모터기어를 포함하는 블로워.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류변환기와 상기 제2기류변환기 각각은,
    상기 제1타워 또는 상기 제2타워에 고정되게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의 상단과 하단에서 상기 샤프트의 회전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블로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류변환기와 상기 제2기류변환기 각각은, 상기 가이드보드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장착되고 상기 한 쌍의 구동기어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보드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한 쌍의 보드가이더를 포함하는 블로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대 각각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한 쌍의 보드가이더 각각은, 상기 한 쌍의 지지대 각각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보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리브를 포함하는 블로워.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보드가이더는, 상기 가이드보드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어퍼가이더와, 상기 가이드보드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로어가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가이더는, 상기 가이드보드의 일측에 고정되는 어퍼보드마운터와, 상기 한 쌍의 구동기어 중 하나와 맞물리며 상기 어퍼가이더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어퍼보드기어와, 상기 한 쌍의 지지대 중 상측에 배치되는 어퍼지지대와 연결되어 상기 어퍼가이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어퍼가이드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로어가이더는, 상기 어퍼가이더와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보드에 고정되는 로어보드마운터와, 상기 한 쌍의 구동기어 중 다른 하나와 맞물리며 상기 로어가이더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로어보드기어와, 상기 한 쌍의 지지대 중 하측에 배치되는 로어지지대와 연결되어 상기 로어가이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로어가이드리브를 포함하는 블로워.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가이드리브와 상기 로어가이드리브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어퍼지지대에 형성되는 어퍼가이드홈과 상기 로어지지대에 형성되는 로어가이드홈 각각에 삽입되는 블로워.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가이드리브는 상기 어퍼보드마운터와 상기 어퍼보드기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보드기어가 형성되는 면에서 돌출되는 블로워.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보드마운터는, 상기 로어보드기어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로어보드마운터에는, 상기 로어보드기어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에 배치되는 복수의 체결홀이 형성되는 블로워.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가이드리브는 상기 로어보드마운터의 하단부에서 상기 로어보드기어가 형성되는 면의 반대면으로 연장되는 블로워.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가이드리브는, 상기 로어보드마운터의 하단부에서 상기 로어지지대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로어수평리브와, 상기 로어수평리브의 단부에서 상하방향으로 돌출되는 로어수직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로어수평리브는, 상기 가이드보드 방향으로 돌출되는 블로워.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대는, 상기 샤프트의 상단을 지지하는 어퍼지지대와, 상기 샤프트의 하단을 지지하는 로어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지지대에는 어퍼가이더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어퍼가이드홈이 상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로어지지대는 로어가이더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로어가이드홈이 하측으로 형성되는 블로워.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지지대는, 상기 제1타워 또는 상기 제2타워 내측에 장착되는 어퍼고정바디와, 상기 어퍼고정바디와 결합되고, 상기 모터가 장착되는 어퍼체결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고정바디에는, 어퍼가이드리브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어퍼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블로워.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체결바디에는 상기 모터가 고정되는 모터장착부와, 상기 샤프트의 일단이 삽입되는 어퍼샤프트장착부가 배치되고,
    상기 어퍼샤프트장착부는, 상기 샤프트의 상단이 삽입되고, 회전하는 어퍼샤프트홈이 형성되는 블로워.
  1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지지대는, 상기 제1타워 또는 상기 제2타워 내측에 장착되는 로어고정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로어고정바디에는, 상기 로어가이드리브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로어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블로워.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워의 상기 제1벽에는 상기 제1기류변환기의 가이드보드가 관통하는 제1보드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타워의 상기 제2벽에는 상기 제2기류변환기의 가이드보드가 관통하는 제2보드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제1보드슬릿과 상기 제2보드슬릿은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는 블로워.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벽은 상기 제1토출구가 배치되는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보드슬릿이 배치되는 영역에서 상기 제2벽을 향해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벽은 상기 제2토출구가 배치되는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보드슬릿이 배치되는 영역에서 상기 제1벽을 향해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는 블로워.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구는, 상기 제1토출구에서 배출된 공기가 상기 제1벽을 따라 유동하도록 개구되고, 상기 제2토출구는, 상기 제2토출구에서 배출된 공기가 상기 제2벽을 따라 유동하도록 개구된 블로워.
KR1020210117648A 2021-09-03 2021-09-03 블로워 KR102622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648A KR102622929B1 (ko) 2021-09-03 2021-09-03 블로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648A KR102622929B1 (ko) 2021-09-03 2021-09-03 블로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4640A KR20230034640A (ko) 2023-03-10
KR102622929B1 true KR102622929B1 (ko) 2024-01-08

Family

ID=85570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648A KR102622929B1 (ko) 2021-09-03 2021-09-03 블로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92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6877265U (zh) * 2017-06-26 2018-01-12 华北电力大学(保定) 一种用于高性能cpu的新型无叶风扇散热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97387B (zh) * 2011-09-09 2015-05-1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立式空调器室内机
KR102032192B1 (ko) * 2015-10-23 2019-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6877265U (zh) * 2017-06-26 2018-01-12 华北电力大学(保定) 一种用于高性能cpu的新型无叶风扇散热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4640A (ko) 2023-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14544A (ko) 에어클린팬
KR20230098109A (ko) 블로워
KR102622929B1 (ko) 블로워
KR102658127B1 (ko) 에어클린팬
KR102658126B1 (ko) 에어클린팬
KR102630055B1 (ko) 에어클린팬
KR102375176B1 (ko) 에어클린팬
EP4332383A2 (en) Blower
KR102622931B1 (ko) 에어클린팬
KR102644819B1 (ko) 에어클린팬
KR102390681B1 (ko) 에어클린팬
KR102644818B1 (ko) 송풍장치
KR102553488B1 (ko) 블로어
KR102619416B1 (ko) 에어클린팬
KR20230033513A (ko) 블로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