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8058A - 송풍기 - Google Patents

송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8058A
KR20210098058A KR1020200011776A KR20200011776A KR20210098058A KR 20210098058 A KR20210098058 A KR 20210098058A KR 1020200011776 A KR1020200011776 A KR 1020200011776A KR 20200011776 A KR20200011776 A KR 20200011776A KR 20210098058 A KR20210098058 A KR 20210098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tower
discharge slit
sli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1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민
김후진
박형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1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8058A/ko
Publication of KR20210098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80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3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10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direction of output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703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specially for fan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는 흡입구가 형성되는 지지본체; 상기 지지본체의 상부에 결합하며, 대칭을 이루는 제 1 토출타워 및 제 2 토출타워를 포함하는 듀얼 토출부; 상기 제 1 토출타워와 상기 제 2 토출타워를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모듈; 상기 회전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 1 토출타워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공기를 토출시키는 제 1 토출슬릿; 및 상기 제 2 토출타워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공기를 토출시키는 제 2 토출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송풍기 {Blower}
본 발명은 송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풍기는 팬을 구동하여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기계장치이다. 일례로, 상기 송풍기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날개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는 상기 날개의 회전에 의하여 공기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송풍기는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에서 사용자와 상대적으로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송풍기는 보통 “선풍기”라고 이름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에 의해 발생된 공기 유동은 대류와 증발을 통해 상기 실내의 열기를 방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내의 사용자는 시원함과 쾌적감을 느낄 수 있다.
한편, 종래 송풍기는 상기 회전축에 붙은 날개가 시각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날개와 관련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자 케이지(cage) 등과 같은 보호망 기구를 함께 구비한다. 그러나 이러한 케이지와 날개는 쉽게 오염되고 관리가 불편하다. 따라서, 최근에는 송풍기의 날개가 사용자의 눈에 보이지 않는 다양한 송풍기(또는 선풍기)가 공개되고 있다.
또한, 종래 송풍기는 먼지 등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장치를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송풍기는 실내의 공기청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0274호(공개일자: 2011년 09월 09일)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15325호(공개일자: 2019년 02월 13일)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25443호(공개일자: 2019년 03월 11일)가 있다.
한편, 종래 송풍기는 실내에 다수의 사용자가 있는 경우 회전모드를 이용하여 바람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모드는 송풍기의 축을 반복적으로 회전 또는 틸팅시켜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가지는 토출기류를 여러 방향으로 보내주는 기능이다.
그러나 상기 회전모드는 다수의 사용자에게 연속적 또는 지속적으로 바람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다수의 사용자에게 충분한 쾌적감을 빠르게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세히, 종래 송풍기는 축이 특정 방향을 향할 때, 상기 특정 방향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가지도록 토출되는 기류의 영역에 위치하는 사용자들만이 순간적으로 바람을 제공받는 한계가 있다.
한편,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복수 개로 구비하는 경우, 각각의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 간에 부딪히는 각도에 따라, 최종적으로 혼합된 기류의 폭은 달라지는 문제가 있다.
상세히, 상기 각각의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각각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류의 폭은 상기 토출구로부터 1.5(m) 떨어진 거리에서 상기 기류가 도달되는 영역의 최대 폭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 간에 부딪히는 각도가 최적 값으로 설정되지 않는다면, 최종적으로 혼합된 기류의 폭은 1개의 토출구에서 토출된 기류의 폭과 큰 차이가 없다. 이에 의하면, 성능 대비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야기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송풍기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송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토출구를 구비하는 송풍기에서 토출되는 기류(“토출기류”)의 폭을 보다 넓게 형성할 수 있는 송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토출기류의 폭을 가장 넓게 형성할 수 있도록 복수의 토출구 중 각각의 토출구가 최적의 각도로 제어되는 송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회전모드 없이 토출기류의 폭을 보다 넓게 구현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그리고 지속적으로 바람을 맞을 수 있는 송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전하는 팬의 날개(또는 블레이드)가 비시각적으로 구비되는 히든(hidden) 송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일의 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이중의 유로를 따라 상방으로 유동시켜서 다수의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송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풍량을 유지하면서도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송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는 흡입구가 형성되는 지지본체; 상기 지지본체의 상부에 결합하며, 대칭을 이루는 제 1 토출타워 및 제 2 토출타워를 포함하는 듀얼 토출부; 상기 제 1 토출타워와 상기 제 2 토출타워를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모듈; 상기 회전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 1 토출타워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공기를 토출시키는 제 1 토출슬릿; 및 상기 제 2 토출타워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공기를 토출시키는 제 2 토출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토출슬릿 및 상기 제 2 토출슬릿에 의해 토출되는 듀얼토출기류가 상기 제 1 토출슬릿 또는 상기 제 2 토출슬릿으로부터 토출되는 단독토출기류 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와이드 기류를 생성하도록, 상기 제 1 토출슬릿의 회전각도와 상기 제 2 토출슬릿의 회전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폭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에서 0.2m/s 이상의 기류속도를 가지는 등고선의 최대 거리로 규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와이드 기류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에서 혼합된 단일의 기류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 1 토출슬릿의 회전각도와 상기 제 2 토출슬릿의 회전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토출슬릿의 회전각도와 상기 제 2 토출슬릿의 회전각도의 합을 이용하여 상기 와이드 기류의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토출슬릿의 회전각도는, 상기 제 1 토출슬릿이 정면을 바라보는 정위치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양의 각도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 2 토출슬릿의 회전각도는, 상기 제 2 토출슬릿이 정면을 바라보는 정위치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양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토출슬릿의 회전각도와 상기 제 2 토출슬릿의 회전각도의 합이 양의 값을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토출슬릿의 회전각도와 상기 제 2 토출슬릿의 회전각도의 합이 26°보다 크고 58°보다 작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와이드 기류의 중심지역의 기류속도가 가장 높게 유지되도록 상기 제 1 토출슬릿의 회전각도와 상기 제 2 토출슬릿의 회전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지역의 기류속도는 0.8m/s 이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토출슬릿의 회전각도와 상기 제 2 토출슬릿의 회전각도의 합이 58°보다 작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와이드 기류의 기류속도가 상기 단독토출기류의 기류속도 보다 빠르도록 상기 제 1 토출슬릿의 회전각도와 상기 제 2 토출슬릿의 회전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토출슬릿의 회전각도와 상기 제 2 토출슬릿의 회전각도의 합이 30°보다 크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본체의 상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토출타워가 결합하는 제 1 타워결합부; 상기 제 1 타워결합부에 설치되는 제 1 회전모듈; 상기 지지본체의 상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토출타워가 결합하는 제 2 타워결합부; 및 상기 제 2 타워결합부에 설치되는 제 2 회전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토출타워는, 상기 제 1 토출슬릿이 형성되는 제 1 타워케이스; 및 상기 제 1 타워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토출슬릿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상하 방향을 가이드하는 제 1 베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토출타워는, 상기 제 2 토출슬릿이 형성되는 제 2 타워케이스; 및 상기 제 2 타워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토출슬릿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상하 방향을 가이드하는 제 2 베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베인 및 상기 제 2 베인은,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와이드 기류를 생성할 때 상기 제 1 베인 및 상기 제 2 베인을 수평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본체는, 공기의 유동압력을 제공하는 팬;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및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제 1 토출타워와 상기 제 2 토출타워로 분배하는 분배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듀얼 토출부가 각각 개별적으로 최적의 각도로 회전되어 공기를 토출시키기 때문에 종래보다 폭 넓은 기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복수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혼합함으로써 보다 넓은 영역에서 사용자가 쾌적감을 느낄 수 있는 풍속(기류속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실내에 다수의 사용자가 있는 경우 별도의 회전모드 없이 상기 다수의 사용자에게 동시에 그리고 지속적으로 바람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연속적인 토출기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상대적으로 많은 사용자들에게 빠른 쾌적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토출슬릿을 통해 토출되는 개별적인 공기가 혼합되어 최적의 확산 폭을 가지는 단일의 기류를 형성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복수의 토출슬릿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각도를 최적화함으로써, 하나의 기류(또는 바람)을 형성하면서도 폭 넓은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다수의 토출구 중 상대적으로 팬에 가깝게 위치하는 토출구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으므로, 공기청정 성능을 유지할 수 있고, 제품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1-1’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와이드 기류를 형성하기 위한 각도, 기준거리 및 폭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토출슬릿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단독토출기류”)의 속도 분포를 보여주는 실험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토출슬릿 및 제 2 토출슬릿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듀얼토출기류”)의 속도 분포를 보여주는 실험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토출슬릿 및 제 2 토출슬릿이 15도로 회전한 때, 듀얼토출기류의 속도 분포를 보여주는 실험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토출슬릿 및 제 2 토출슬릿이 23도로 회전한 때, 듀얼토출기류의 속도 분포를 보여주는 실험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토출슬릿 및 제 2 토출슬릿이 30도로 회전한 때, 듀얼토출기류의 속도 분포를 보여주는 실험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보다 상세히,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전방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송풍기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1)는, 지지본체(10) 및 상기 지지본체(10)에 의해 지지되는 듀얼 토출부(50,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본체(10)는 상기 송풍기(1)의 하부를 형성하며, 상기 듀얼 토출부(50,60)는 상기 송풍기(1)의 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본체(10)와 상기 듀얼 토출부(50,60)는, 각각,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는 토출구(15,53,63)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본체(10)에는 후술할 토출개구(15)가 형성되며, 상기 듀얼 토출부(50,60)에는 후술할 토출슬릿(53,63)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본체(10)에 형성되는 토출구는 송풍기(1)의 후방부에서 상방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본체(10)에 형성되는 토출구는 토출모듈(10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듀얼 토출부(50,60)에 형성되는 토출구는 송풍기(1)의 전방부에서 전방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토출슬릿(53,63)은 “전방 토출구”로 이름할 수 있으며, 상기 토출개구(15)는 “후방 토출구”로 이름할 수 있다.
상기 듀얼 토출부(50,60)는 상기 지지본체(10)의 상부에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듀얼 토출부(50,60)는 상기 지지본체(10) 보다 높은 위치에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듀얼 토출부(50,60)는 외관을 형성하는 타워케이스(51,61), 상기 타워케이스(51,61)에 소정의 폭을 가지는 개구를 형성하는 토출슬릿(53,63) 및 상기 토출슬릿(53,63)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상하 방향을 가이드하는 베인(55,6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슬릿(53,63)은 상기 케이스(51,61)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슬릿(53,63)을 통하여 송풍기(1)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상기 베인(55,65)은 상기 토출슬릿(53,63)의 연장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인(55,65)은 상기 타워 케이스(51,61)의 높이 방향으로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인(55,65)은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타워케이스(51,6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워케이스(51,61)로 유입된 공기는 상승하면서 상기 베인(55,65)의 하면의 가이드에 따라 상기 토출슬릿(53,63)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베인(55,65)은 상기 토출슬릿(53,63)으로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하면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인(55,65)의 전단 부분은, 상기 토출슬릿(53,63)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토출슬릿(53,63)과 맞닿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타워케이스(51,61)의 내부에서 상방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토출슬릿(53,63)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베인(55,65)의 가이드에 의해 차례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듀얼 토출부(50,60)는 이중(dual)의 토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듀얼 토출부(50,60)는 서로 대칭을 이루는 제 1 토출타워(50) 및 제 2 토출타워(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타워(50)와 제 2 토출타워(60)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상기 제 1 토출타워(50) 및 상기 제 2 토출타워(60)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설명은, 나머지 하나에 대한 설명에 원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타워(50)와 제 2 토출타워(60)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각각 상기 지지본체(10)의 상부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토출타워(50)와 상기 제 2 토출타워(60)는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토출타워(50) 및 상기 제 2 토출타워(6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는 각각의 회전을 통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타워(5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 1 타워케이스(51), 상기 제 1 타워케이스(51)에 형성되는 제 1 토출슬릿(53) 및 상기 제 1 토출슬릿(53)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상하 방향을 가이드하는 제 1 베인(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타워케이스(51)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타워케이스(51)는 상기 지지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슬릿(53)은 상기 제 1 타워케이스(51)의 상하 방향, 즉,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슬릿(53)은 상기 제 1 타워케이스(51)에 미리 설정된 폭을 가지는 개구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토출슬릿(53)은 상기 제 1 타워케이스(51)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인(55)의 단부는, 상기 제 1 토출슬릿(53)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 1 토출슬릿(53)의 내측에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베인(55)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베인(55)의 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토출슬릿(53)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전방으로 일 직선의 유동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제 1 베인(55)의 단부는 상기 제 1 토출슬릿(53)의 내측 면과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베인(55)은 상기 제 1 토출슬릿(53)과 접촉 점을 기준으로 상하로 회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제 1 토출슬릿(53)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상하 유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인(55)은 다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제 1 베인(55)은 상기 제 1 토출슬릿(53)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인(55)은 상기 제 1 타워케이스(51)의 내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타워케이스(51)의 내부 공간을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제 1 토출슬릿(53)으로 가이드하여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토출타워(6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 2 타워케이스(61), 상기 제 2 타워케이스(61)에 형성되는 제 2 토출슬릿(63) 및 상기 제 2 토출슬릿(63)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상하 방향을 가이드하는 제 2 베인(65)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타워케이스(61)는 상기 제 1 타워케이스(51)와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 타워케이스(51)와 동일한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슬릿(63)과 상기 제 2 베인(65)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제 1 토출슬릿(53)과 제 1 베인(55)에 대한 설명을 원용하도록 한다.
상기 송풍기(1)는 상기 듀얼 토출부(50,60)를 상기 지지본체(10)에 고정시키는 지지필러(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필러(80)는 상기 듀얼 토출부(50,60)의 상부에 결합하는 상부헤드(83) 및 상기 듀얼 토출부(50,60)이 사이에 결합하는 연장부(8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필러(80)는 상기 듀얼 토출부(50,60)가 형성하는 사이 공간에 끼워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필러(80)는 “T”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듀얼 토출부(50,60)는 상기 지지필러(80)와 결합에 의하여 상기 지지본체(10)와 일체감을 이루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필러(80)는 상기 듀얼 토출부(50,60)의 회전 축이 고정되도록 상부를 하방으로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헤드(83)는 상기 제 1 토출타워(50)의 상면과 상기 제 2 토출타워(6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부헤드(83)는 상기 제 1 토출타워(50)의 상면과 상기 제 2 토출타워(60)의 상면에 대응하여 두 개의 원이 이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연장부(85)는 상기 상부헤드(83)의 중심부로부터 상기 제 1 토출타워(60)와 상기 제 2 토출타워(60)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을 채워주도록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85)의 하단은 상기 지지본체(10)의 상면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85)는 양 측면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타워케이스(51)와 상기 제 2 타워케이스(61)가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도록 내측 면을 곡면으로 형성하거나 내부를 중공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 1 토출타워(50) 및 상기 제 2 토출타워(60)는, 상기 지지필러(80)와 상기 지지본체(1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 축이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본체(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케이스(11)와 후방케이스(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케이스(11)는, 상기 제 1 타워케이스(51) 및 상기 제 2 타워케이스(61)와 일체감을 가지는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방케이스(11)는 상기 제 1 타워케이스(51)의 곡률과 동일하게 상기 제 1 타워케이스(51)의 하단에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전방케이스(11)는 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제 2 타워케이스(61)의 곡률과 동일하게 상기 제 2 타워케이스(61)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케이스(1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두 곡면 사이에는, 상기 연장부(85)와 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송풍기(1)의 전면 외관은 상하 방향으로 일체감이 사용자에게 느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케이스(12)는 상기 전방케이스(11)의 후면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후방케이스(12)의 체적은 상기 전방케이스(11)의 체적 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후방케이스(12)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후방케이스(12)는 상기 전방케이스(11)의 일측 후단으로부터 타측 후단까지 설정된 곡률을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후방케이스(12)의 외주면에는 공기를 유입시키는 흡입구(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케이스(12)의 외주면, 즉, 후방케이스(12)의 둘레면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그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13)는 상기 그릴의 사이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방케이스(12)의 주위 공기는 상기 후방케이스(12)에 형성된 흡입구(13)를 통해 상기 후방케이스(12)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후방케이스(12)의 외주면에 흡입구(13)가 위치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흡입구(13)는 전방케이스(11)에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전방케이스(11)와 상기 후방케이스(12)에 형성된 흡입구(13)를 통해 내부의 필터(40)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후방케이스(12)의 상면(14)은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면(14)은 상기 전방케이스(11)가 위치하는 방향을 향할수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면(14)은 전방을 향할수록 높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상면(14)에 형성된 토출개구(15)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면(14)의 연직 하방에는 디퓨저(300)가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디퓨저(300)를 통과한 공기의 압력손실은 상대적으로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전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상면(14)에 의하면, 토출모듈(100)에 의해 상기 토출개구(15)가 닫힌(Close) 상태에서, 상기 디퓨저(300)를 통과한 공기는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듀얼 토출부(50,60)의 내부 공간으로 매끄럽게(smooth) 유동할 수 있다.
즉, 상기 디퓨저(300)를 통과한 공기는 경사진 상면(14)의 가이드에 따라 듀얼 토출부(50,6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므로 후술할 분배덕트(400)와 마찰 또는 충돌을 최소화할 수 있고, 상기 공기의 유동을 곡선의 경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후방케이스(12)의 상면(14)에는 상술한 토출구, 즉, 토출개구(15)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토출개구(15)는 상기 토출슬릿(53,63) 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개구(15)는 공기의 토출 방향이 상기 토출슬릿(53,63)의 공기 토출 방향과 다르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토출개구(15)는 상기 상면(14)의 상하 방향을 개방시키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토출개구(15)는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후방케이스(12)의 상면에는 상기 토출개구(15)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그릴(16)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그릴(16)은 상기 토출개구(15)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그릴(16)은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그릴(16)은 상기 토출개구(15)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상방으로 가이드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그릴(16)은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토출개구(15)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후방케이스(12)의 상단은 상기 전방케이스(11)의 상단 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케이스(12)의 상단과 상기 전방케이스(11)의 상단 사이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가이드하는 함몰 공간이 형성된 핸들케이스(1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케이스(11)와 후방케이스(12)를 통칭하여 “본체케이스(11,12)”라고 이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케이스(11,112)는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3)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1-1’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본체(10)는 상기 토출개구(15)를 개폐하는 토출모듈(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토출모듈(100)은 상기 토출개구(15)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모듈(100)은 상기 토출개구(15)를 단계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토출모듈(100)은 단계적으로 개방되는 면적이 늘어나거나 또는 줄어들도록 상기 토출개구(15)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토출모듈(100)은 일반 송풍 모드에서 상기 토출개구(15)를 닫아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반 송풍 모드는, 사용자가 위치할 수 있는 지역, 즉, 송풍기(1)의 전방으로 기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운전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일반 송풍 모드에서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하고 시원한 바람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토출슬릿(53,63)을 통해서만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토출모듈(100)은 상기 토출개구(15)를 개폐하는 도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슬라이딩 이동 또는 회전 방식으로 상기 토출개구(15)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토출모듈(100)은 소음과 풍속을 미리 설정된 값으로 낮추는 운전인 수면풍 모드에서 상기 토출개구(15)를 개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송풍기(1)는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수면풍 모드로 운전하는 경우 상기 도어가 이동 또는 회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수면풍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출개구(15)가 완전히 개방되도록 상기 도어의 이동 또는 회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지지본체(10)는 지면에 놓여지는 베이스(20), 상기 베이스(20)의 위에 배치되는 필터지지부(30) 및 상기 필터지지부(30)에 결합하는 필터(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는 상기 후방케이스(12)의 하측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20)는, 상기 후방케이스(12)의 하단의 내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13)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베이스(20)의 상측에 구비되는 필터(40)를 통과하여 중심의 흡입유로(45)로 유동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40)는 상기 흡입구(13)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또는 정화)할 수 있다.
상기 필터(40)는 중심축을 따라 개방되는 도넛 또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흡입구(1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원기둥 형상인 필터(40)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그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4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는, 필터링된 공기를 가이드하는 흡입유로(45)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40)를 통과한 공기는 흡입유로(45)를 따라 상기 팬(210)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필터지지부(30)는 상기 베이스(20)의 상면에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지지부(30)의 하면은 상기 베이스(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필터지지부(30)는 상기 필터(40)의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지지장치(31) 및 필터프레임(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장치(31)는 상기 필터지지부(30)의 하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프레임(35)은 상기 필터지지부(30)의 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장치(31)는 상기 필터(4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장치(31)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장치(31)의 내부 공간은, 상기 흡입유로(45)의 하부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필터(40)는 상기 지지장치(31)에 안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장치(31)의 상면은 상기 필터(40)가 안착되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장치(31)는 상기 필터(4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장치(31)의 내주면은, 상기 필터(40)의 탈착 또는 고정을 가이드하는 레버장치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필터프레임(35)은 상기 지지장치(31)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필터프레임(35)은 대략 링 형상을 가진다.
상기 필터프레임(35)의 내부 공간은, 상기 흡입유로(45)의 상부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프레임(35)의 상부는 후술할 팬하우징(200)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지지부(30)은, 지지장치(31)로부터 상기 필터프레임(35)을 향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필터기둥(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필터기둥에 의하여, 상기 지지장치(31)와 상기 필터프레임(35)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필터기둥은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지지장치(31)와 상기 필터프레임(35)의 테두리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장치(31), 필터프레임(35) 및 필터기둥(132)에 의하여, 상기 필터(40)의 장착공간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본체(10)는 상기 필터(40)의 상측에 위치하는 팬하우징(200), 상기 흡입구(13)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유동 압력을 제공하는 팬(210), 상기 팬(210)의 상측에 위치하는 디퓨저(300) 및 상기 디퓨저(300)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듀얼토출부(50,60)로 가이드하는 분배덕트(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200)은 상기 필터(40)의 출구측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200)은 상기 팬(210)을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하우징(200)은 상기 필터프레임(35)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200)의 하부에는, 상기 팬하우징(200)의 내부로 공기의 유입을 가이드 하는 유입그릴(205)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입그릴(205)은 상기 흡입유로(45)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유입그릴(205)은 그릴로 제공되므로 상기 필터(40)가 분리되었을 때, 사용자가 상기 팬하우징(200)의 내부로 손가락 등을 집어 넣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팬(210)은 회전을 통하여 공기의 유동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210)은 상기 유입그릴(205)의 상측에 놓여질 수 있다.
상기 팬(210)은 축 방향으로 공기를 유입하여 사선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사류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팬(210)은 모터(미도시)의 축이 결합되는 허브(211), 상기 허브(211)와 이격 배치되는 쉬라우드(213) 및 상기 허브(211)와 상기 쉬라우드(213)의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블레이드(2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디퓨저(300)의 모터수용부(310)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의 축은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허브(211)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허브(211)는 상기 모터수용부(3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허브(211)는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보울(bowl)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허브(211)는, 상기 모터의 축이 결합되는 축 결합부(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축결합부는 상기 허브(211)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213)는 상기 유입그릴(205)을 통과한 공기가 흡입되는 중심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쉬라우드(213)는 상기 중심 개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블레이드(215)의 가이드에 의해 사선 방향으로 토출되는 외곽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외곽 개구는 상기 중심 개구 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215)의 일 면은 상기 허브(211)의 외주면에 결합할 수 있으며, 타 면은 상기 쉬라우드(213)의 내주면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215)는 상기 허브(211)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상기 필터(4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흡입유로(45)를 따라 상방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유입그릴(205)를 통하여 상기 팬하우징(2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하우징(200)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쉬라우드(213)가 형성하는 중심 개구(또는 축 방향)으로 유입되어 블레이드(215)를 거쳐 사선 방향을 토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외곽 개구를 통해 공기가 사선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215)는 축 방향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디퓨저(300)는 상기 팬(210)의 위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퓨저(300)는 상기 팬(21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상기 분배덕트(400)의 내부 공간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디퓨저(300)는 상기 팬하우징(200)의 상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디퓨저(300)는 상기 팬하우징(200)의 외경과 동일하도록 상기 팬하우징(200)에 적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퓨저(300)는 상기 팬(210)을 통과한 공기를 토출개구(50) 또는 토출슬릿(53,63)로 상승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디퓨저(300)는, 외곽 둘레를 형성하는 외벽(320) 및 상기 외벽(320)의 내측에 위치하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터수용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퓨저(300)는 상기 모터수용부(310)와 상기 외벽(320) 사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 개로 구비되는 가이드베인(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벽(320)의 직경은 상기 모터수용부(310)의 직경보다 크다. 즉, 상기 외벽(320)의 직경은 상기 디퓨저(300)의 외경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수용부(310)의 외주면의 직경은 상기 디퓨저(300)의 내경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외벽(320)은 상기 모터수용부(310)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외벽(320)의 내주면과 상기 모터수용부(310)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상기 팬(210)을 통과한 공기가 유동하는 가이드유로(33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유로(335)에는 공기를 상방으로 가이드하는 상기 가이드베인(33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수용부(310)는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수용부(310)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모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수용부(310)는 하부(315)는,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보울(bowl)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모터수용부(310)의 하부(315) 형상은, 상기 허브(211)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수용부(310)는 상기 허브(21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모터의 축은 상기 모터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모터 수용부(310)의 하부 중심에 형성된 모터결합구(318)를 관통하여 상기 허브(211)의 축 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모터수용부(310)의 하부(315)에는 타공 형성되는 다수의 흡음홀(316)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수용부(310)의 내측에는 상기 다수의 흡음홀(316)에 대응하여 흡음재(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흡음홀(316)은 상기 모터결합구(318)를 중심으로 상기 하면(315)의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다수의 흡음홀(316) 간의 간격은 8~14(mm)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모터수용부의 하면(315)과 상기 허브(211) 사이에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사이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면(315)과 상기 허브(211) 사이에 형성되는 사이 공간을 “에어 갭(Air gap)”으로 이름한다.
상기 에어 갭에는 상기 팬(210)을 통과한 공기 중 일부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에어 갭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팬(210)의 회전에 의한 압력에 의해 상기 에어 갭에서 마찰 및 충돌을 일으킬 수 있다. 결국, 상기 에어 갭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유동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흡음홀(316) 및 흡음재에 의하면, 상기 에어 갭에 의해 발생되는 유동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흡음홀(316)은 미리 설정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흡음홀(316)의 직경은 2(mm)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베인(330)은 상기 모터수용부(310)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외벽(320)의 내주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베인(330)는 다수 개가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베인(330)는 상기 팬(210을 거쳐 상기 디퓨저(300)의 가이드유로(335)로 유입된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흡입구(13)에 의해 유입되어 필터(4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팬(210)의 회전을 통해 발생되는 유동압력에 의하여 상방으로 유동한다. 상기 상방으로 유동한 공기는 팬하우징(200)으로 유입된 후 상기 팬(210)을 통과하면서 사선 방향으로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사선 방향으로 상승된 공기는 상기 디퓨저(300)의 가이드유로(335)로 유입되며, 상기 가이드유로(335)에 배치된 다수의 가이드베인(330)은 상기 가이드유로(33%)로 유입된 공기를 상방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215)를 거쳐 사선 방향으로 상승하는 공기는 대부분 원주 방향의 유동성분과 반경 방향의 유동성분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215)를 통과한 공기는 회전하는 소용돌이 기류를 형성하며 상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가이드베인(330)은 상기 소용돌이 기류를 형성하는 유동성분을 상쇄시켜 공기가 안정적으로 상승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베인(330)을 통과한 공기의 속도 성분은, 반경 방향 및 원주 방향 성분이 감소할 수 있다. 반면에, 상대적으로 축 방향 성분, 즉, 상방으로 향하는 속도 성분이 커질 수 있다.
상기 분배덕트(400)는 상기 디퓨저(300)의 위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배덕트(400)는 상기 디퓨저(300)를 통과하여 상승하는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분배덕트(400)는 상기 디퓨저(300)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분배덕트(400)의 하단 외경은, 상기 디퓨저(300)의 상단 외경과 동일할 수 있다. 즉, 상기 분배덕트(400)는 상기 디퓨저(300)의 외벽(320)과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배덕트(400)는 상기 외벽(320)으로부터 상기 듀얼 토출부(50,60)의 각각의 하단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분배덕트(400)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유동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분배덕트(400)는 상방을 향하여 유동 단면적 작아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배덕트(400)는 상기 듀얼 토출부(50,60)와 상기 디퓨저(300) 사이를 곡선의 공기 유동 흐름이 형성되도록 내주면을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후방케이스의 상면(14)은 상기 듀얼 토출부(50,60)를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기 때문에, 상기 분배덕트(400)는 상기 디퓨저(300)와 상기 토출개구(15)의 수직 거리(도4 기준)가 상기 듀얼 토출부(50,60)를 향할수록 늘어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퓨저(300)를 통과한 공기는 분배유로(410)를 따라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듀얼 토출부(50,60)에 충돌을 최소화하면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분배덕트(400)의 내부는 디퓨저(300)를 통과한 공기가 제 1 토출타워(50) 또는 제 2 토출타워(60)로 분기되는 분배유로(41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분배유로(410)는, 상기 제 1 토출타워(50)의 내부공간 및 상기 제 2 토출타워(60)의 내부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즉, 상기 분배덕트(400)는 상기 디퓨저(300)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제 1 토출타워(50)와 상기 제 2 토출타워(60)로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배덕트(400)는 상기 토출개구(15)에 대응되는 개구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분배덕트(400)는 상기 토출개구(15)의 연직 하방으로 대응되는 면적에 개구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토출모듈(100)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분배덕트(40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토출개구(15) 또는 상기 듀얼 토출부(50,60)의 토출슬릿(53,63)으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 면은 상기 토출개구(15)를 규정하는 상면(14)의 하단부와 접촉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면(14)의 하단부는 상기 분배덕트(400)의 개구 면도 규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방케이스(12)와 상기 분배덕트(400) 사이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본체(10)는 상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듀얼 토출부(50,60)를 지지하는 타워결합부(19) 및 상기 타워결합부(19)에 설치되는 회전모듈(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워결합부(19)는 상기 지지본체(10)의 상부에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워결합부(19)는 상기 분배유로(410)와 연통되는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타워결합부(19)는 상기 본체케이스(11,12)의 상면에 상기 제 1 토출타워(50)와 상기 제 2 토출타워(60)가 각각 삽입 또는 지지되는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타워결합부(19)는 상기 전방케이스(11)의 상면에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타워결합부(19)는 상기 후방케이스(12)의 상면(14) 보다 높거나, 같은 높이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타워결합부(19)는 상기 듀얼 토출부(50,60)의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타워결합부(19)는 상기 제 1 토출타워(50)가 삽입 또는 지지되는 제 1 타워결합부 및 상기 제 2 토출타워(60)가 삽입 또는 지지되는 제 2 타워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배덕트(400)는 상기 분배유로(410)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 1 토출타워(50)와 상기 제 2 토출타워(60)로 분기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분배덕트(400)는 상기 디퓨저(300)로부터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다가, 상기 제 1 타워결합부의 하단과 상기 제 2 타워결합부의 하단으로 각각 분기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회전모듈(500)은 상기 타워결합부(19)의 내측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모듈(500)은 상기 듀얼 토출부(50,60)와 결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전모듈(500)은 상기 제 1 타워결합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토출타워(50)와 결합하는 제 1 회전모듈 및 상기 제 2 타워결합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토출타워(60)와 결합하는 제 2 회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모듈(500)은 상기 듀얼 토출부(50,60)가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토출타워(50)와 상기 제 2 토출타워(60)는, 각각 결합된 회전모듈에 의하여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타워(50)는 상기 제 2 토출타워(60)와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모듈(500)은 상기 제 1 토출타워(50)와 상기 제 2 토출타워(60)가 서로 독립적인 회전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토출슬릿(53)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은, 상기 제 2 토출슬릿(63)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과 다르게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실내의 보다 많은 사용자에게 쾌적한 기류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송풍기(1)의 운전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보다 빠른 실내 공기순환을 수행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회전모듈(500)은 상기 제 1 토출타워(50)와 상기 제 2 토출타워(60)의 회전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토출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회전모듈(500)의 회전 방향 및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듀얼 토출부(50,60)에서 각각 토출되는 공기(이하, “토출기류”)의 범위와 세기(또는 풍속)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토출모듈의 회전 방향(예를 들어, 시계방향)을 상기 제 2 토출모듈의 회전 방향과 반대(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로 제어하고, 회전 각도를 미리 설정된 각도로 동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토출타워(50)의 제 1 토출슬릿(53)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와 상기 제 2 토출타워(60)의 제 2 토출슬릿(63)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서로 혼합되어 더 넓은 범위에서 더욱 강력한 세기의 토출기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회전모듈(500)은 상기 타워결합부(19)의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듀얼 토출부(50,60)와 결합하는 결합하우징(5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하우징(510)은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하우징(510)은 공기가 통과하는 연결유로(515)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로(515)는 상기 분배유로(4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듀얼 토출부(50,60)의 내부 공간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유로(515)는 상기 분배유로(410) 및 후술할 토출유로(62)와 연통할 수 있다.
상기 결합하우징(510)은 상기 분배덕트(400)의 상단에 결합 또는 지지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결합하우징(510)은 상기 제 1 타워결합부로 연장되는 상기 분배덕트(400)의 상단 및 상기 제 2 타워결합부로 연장되는 상기 분배덕트(400)의 상단에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하우징(510)은 상기 제 1 타워결합부에 수용되는 제 1 결합하우징 및 상기 제 2 타워결합부에 수용되는 제 2 결합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결합하우징은 상기 제 1 타워결합부로 연장되는 상기 분배덕트(400)의 상단과 결합하며, 상기 제 2 결합하우징은 상기 제 2 타워결합부로 연장되는 상기 분배덕트(400)의 상단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회전모듈(500)은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모터(미도시) 및 상기 회전모터와 연결되는 기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모터는 상기 듀얼 토출부(50,60)의 회전을 위한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회전모터는 스텝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모터는 상기 듀얼 토출부(50,60)의 각각의 토출타워를 독립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전모터와 상기 기어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각각의 토출타워(50,60)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어는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결합하우징(510)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모터의 작동에 따라, 상기 결합하우징(510)에 결합된 듀얼 토출부(50,60)는 회전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회전모터는 상기 제 1 토출타워(5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 1 회전모터 및 상기 제 2 토출타워(6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 2 회전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어는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제 1 토출타워(50)와 결합된 제 1 결합하우징 및 상기 제 2 토출타워(50)와 결합된 제 2 결합하우징에 독립적으로 전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토출타워(50)와 상기 제 2 토출타워(60)은 서로 독립적인 회전 방향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제 2 토출타워(60)의 구성이 도시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상기 제 2 토출타워(60)의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토출타워(50)에도 원용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케이스(61)의 내부에는 토출유로(6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듀얼 토출부(50,60)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토출슬릿(53,63)으로 공기를 가이드하는 토출유로(6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유로(62)는 상기 토출케이스(61)의 내부에 수용되는 토출하우징(미도시)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 2 토출타워(60)는 상기 제 2 토출케이스(61)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토출유로(62)를 형성하는 토출하우징(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토출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제 2 베인(65)이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하우징은 상기 제 2 토출슬릿(63)을 향할수록, 즉, 전방을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토출슬릿(63), 상기 토출하우징의 전단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토출유로(62)는 상기 연결유로(515)와 연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토출케이스(61)의 내부에 형성된 토출유로(62)는 상기 제 2 결합하우징이 형성하는 연결유로(515)와 연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배유로(410)에서 상기 제 1 결합하우징의 연결유로와 상기 제 2 결합하우징의 연결유로로 각각 분기된 공기는, 상기 제 1 토출케이스(51)의 내부에 형성된 토출유로와 상기 제 2 토출케이스(61)의 내부에 형성된 토출유로(62)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타워(60)는 상기 제 2 베인(65)의 회동을 가이드하는 베인링크(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타워(60)에 위치하는 베인링크(66)는 “제 2 베인링크”라고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토출타워(50)에 위치하는 베인링크는 “제 1 베인링크”라고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제 2 베인링크(66)는 상기 제 2 베인(65)의 회동을 위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베인링크(66)는 상기 제 2 베인(65)의 회동을 통하여 상기 제 2 토출슬릿(63)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상하 유동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타워(60)는 상기 제 2 토출케이스(61)의 내부에 설치되는 베인모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토출타워(60)에 위치하는 베인모터는 “제 2 베인모터”라고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토출타워(50)에 위치하는 베인모터는 “제 1 베인모터”라고 이름할 수 있다.
상기 베인모터는 상기 제 2 베인링크(66)의 일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베인모터가 작동하면 상기 제 2 베인링크(66)는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 베인링크(66)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가 이격 배치되는 제 2 베인(65)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베인링크(66)는 다수 개의 제 2 베인(65)의 후단과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수 개의 제 2 베인(65)은 상기 제 2 베인링크(66)의 이동에 종속되어 회동할 수 있다.
상기 베인모터가 작동하여 상기 제 2 베인링크(66)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 2 베인(65)은 도 4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토출슬릿(63)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보다 하방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 2 베인링크(66)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 2 베인(65)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 2 토출슬릿(63)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보다 상방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토출타워(50)의 제 1 토출슬릿(53)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와 상기 제 2 토출타워(60)의 제 2 토출슬릿(63)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서로 혼합되어 더 넓은 범위에서 더욱 강력한 세기의 토출기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토출슬릿(53) 및 상기 제 2 토출슬릿(63)에 의해 각각 토출되는 공기가 하나로 혼합되며, 상기 제 1 토출슬릿(53) 또는 상기 제 2 토출슬릿(63)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폭 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토출기류를 “와이드 기류”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와이드 기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와이드 기류를 형성하기 위한 각도, 기준거리 및 폭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와이드 기류는 상기 송풍기(1)로부터 기준거리(Sd)만큼 떨어진 영역에 형성되는 토출기류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기준거리(Sd)는, 상기 송풍기(1)로부터 토출기류를 제공받는 사용자들이 위치할 수 있는 거리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준거리(Sd)는 1.5(m)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1)의 중심, 즉 상기 제 1 토출슬릿(53)과 상기 제 2 토출슬릿(63) 사이의 중점으로부터 상기 기준거리(Sd)만큼 떨어진 위치(P)를 기준점(P)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준점(P)은 후술할 폭(W)의 중점(Midpoint)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기준거리(Sd)는 상기 제 1 토출슬릿(53)과 상기 제 2 토출슬릿(63)의 중점과 상기 기준점(P)의 최소거리로 이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토출타워(50)는 상기 제 1 회전모듈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토출타워(60)는 상기 제 2 회전모듈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타워(50)의 회전각도, 즉, 상기 제 1 토출슬릿(53)의 회전각도(θ1)는 “제 1 각”이라 이름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토출타워(60)의 회전각도, 즉, 상기 제 2 토출슬릿(63)의 회전각도(θ2)는 “제 2 각”이라 이름한다.
도 5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토출타워(50)의 정위치는 상기 제 1 토출슬릿(53)이 정면을 바라보도록 위치할 때 이다. 따라서, 상기 제 1 각(θ1)은 상기 제 1 토출슬릿(53)이 정면을 바라볼 때 0°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토출타워(60)의 정위치는 상기 제 2 토출슬릿(63)이 정면을 바라보도록 위치할 때 이다. 따라서, 상기 제 2 각(θ2)은 상기 제 2 토출슬릿(63)이 정면을 바라볼 때 0°일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슬릿(53)은 상기 제 1 회전모듈의 작동에 따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토출슬릿(63)은 상기 제 2 회전모듈의 작동에 따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5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토출타워(50)의 회전은 반시계 방향이 정방향이며, 상기 제 2 토출타워(60)의 회전은 시계방향이 정방향이다.
따라서, 상기 제 1 각(θ1)은 상기 제 1 토출슬릿(53)의 정위치에서 정방향 회전, 즉,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양(+)의 각도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 2 각(θ2)은 상기 제 2 토출슬릿(63)의 정위치에서 정방향 회전, 즉,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양(+)의 각도를 가진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토출슬릿(53)이 30°정방향 회전하고, 상기 제 2 토출슬릿(63)이 30°역방향 회전하면, 상기 제 1 각(θ1)과 상기 제 2 각(θ2)의 합은 0°이다. 또한, 상기 제 1 토출슬릿(53)이 30°정방향 회전하고, 상기 제 2 토출슬릿(63)이 50°역방향 회전하면, 상기 제 1 각(θ1)과 상기 제 2 각(θ2)의 합은 -20°이다.
즉, 상기 제 1 토출슬릿(53)과 상기 제 2 토출슬릿(63)은, 서로 반대되는 회전방향을 정방향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와이드 기류는 상기 제 1 각(θ1)과 상기 제 2 각(θ2)의 합(θ1+θ2)의 합을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각과 상기 제 2 각의 합(θ1+θ2)의 합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만족하도록 상기 제 1 토출타워(50)와 상기 제 2 토출타워(6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와이드 기류를 생성하기 위한 상기 제 1 각(θ1)과 상기 제 2 각(θ2)의 합(θ1+θ2)은, “와이드 각도”라고 이름할 수 있다.
즉, 상기 와이드 기류는 상기 제 1 토출타워(50)와 상기 제 2 토출타워(60)가 미리 설정된 와이드 각도를 만족하도록 회전할 때 생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회전모듈과 상기 제 2 회전모듈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 1 토출타워(50)와 상기 제 2 토출타워(60)가 상기 와이드 각도를 만족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와이드 기류는 상기 와이드 각도의 범위로 규정할 수 있다. 후술하겠으나, 상기 와이드 기류는 상기 와이드 각도가 26°보다 크고 58°보다 작을 때 생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토출슬릿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단독토출기류”)의 속도 분포를 보여주는 실험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토출슬릿 및 제 2 토출슬릿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듀얼토출기류”)의 속도 분포를 보여주는 실험그래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 1 토출슬릿(53) 또는 상기 제 2 토출슬릿(63)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단독토출기류”라고 이름하며, 상기 제 1 토출슬릿(53) 및 상기 제 2 토출슬릿(63)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듀얼토출기류”라고 이름한다.
즉, 상기 단독토출기류는 상기 제 1 토출타워(50) 및 상기 제 2 토출타워(60) 중 어느 하나의 토출타워(50)만이 작동될 때 생성되는 기류이다. 따라서, 상기 단독토출기류는 상기 제 1 토출슬릿(53)과 상기 제 2 토출슬릿(63) 중 어느 하나의 토출슬릿으로 공기가 토출될 때 형성되는 기류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듀얼토출기류는 상기 제 1 토출타워(50) 및 상기 제 2 토출타워(60)가 모두 작동될 때 생성되는 기류이다. 따라서, 상기 듀얼토출기류는 상기 제 1 토출슬릿(53)과 상기 제 2 토출슬릿(63) 모두에서 공기가 토출될 때 형성되는 기류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드 기류는 상기 듀얼토출기류 중 상기 듀얼 토출부(50,60)의 회전 각도에 의해 규정되는 기류로 구분할 수 있다.
도 6의 실험은, 상기 제 1 각(θ1)이 0°로 정면으로 토출되는 단독토출기류일 때, 상기 기준거리(Sd)에서 형성되는 기류의 폭(W1)을 측정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단독토출기류의 폭(W1)은 0.2m/s 이상의 기류속도를 가지는 등고선의 최대 폭(또는 거리)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준거리(Sd)에서 상기 단독토출기류의 폭(W1)은 약 70cm이다.
도 7의 실험은, 상기 제 1 각(θ1) 및 상기 제 2 각(θ2)이 0°로 정면으로 토출되는 듀얼토출기류일 때, 상기 기준거리(Sd)에서 형성되는 기류의 폭(W2)을 측정할 수 있다. 즉, 도 7의 실험은 도 6의 실험과 같은 조건에서, 제 2 토출슬릿(63)을 통해 토출되는 토출기류가 추가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듀얼토출기류의 폭(W2)은 약 70cm이다. 상세히, 상기 제 1 각과 상기 제 2 각이 모두 0°일때, 듀얼토출기류는 단독토출기류 보다 기류속도는 빨라지나 폭(W2)은 거의 동일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제 1 토출타워(50) 및 상기 제 2 토출타워(60)가 모두 작동하는 듀얼토출기류 일지라도, 단독토출기류 보다 폭 넓은 기류를 다수의 사용자에게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 1 각(θ1)과 상기 제 2 각(θ2)이 최적의 각도로 제어될 필요가 있다.
즉, 상기 와이드 기류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 1 각(θ1)과 상기 제 2 각(θ2)이 미리 설정된 각도로 제어되어야 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듀얼 토출부(50,60)의 각각의 토출슬릿(53,63)으로부터 토출되는 토출기류는, 상기 기준거리(Sd)에서 각각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토출기류는, 기류 간에 상호 부딪히는 각도(또는 상기 와이드 각도)가 최소 기준각도(a) 보다 작다면 상기 기준거리(Sd)에서의 폭이 하나의 토출기류가 가지는 폭과 거의 같을 수 있다. 즉, 단독토출기류 보다 큰 폭을 가지는 와이드 기류가 생성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최소 기준각도(a)는 26°미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듀얼 토출부(50,60)의 각각의 토출슬릿(53,63)로부터 토출되는 토출기류는, 기류 간에 상호 부딪히는 각도(또는 상기 와이드 각도)가 최대 기준각도(b) 보다 크면, 상기 기준거리(Sd)에서 하나의 기류로 합쳐진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두 개로 분리된 토출기류를 유지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두 개의 토출기류의 사이 공간에 위치한 사용자는 쾌적한 바람을 제공받지 못한다. 결국, 종래 보다 폭 넓은 하나의 영역 안을 차지하는 다수의 사용자에게 지속적인 바람을 제공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기준거리(Sd)에서 두 개의 토출기류가 합쳐져 단일의 기류로 제공되는 와이드 기류는 생성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최대 기준각도(b)는 58°일 수 있다.
결국, 상기 와이드 기류는, 듀얼 토출부(50,60) 중 어느 하나의 토출슬릿으로부터 토출되는 하나의 토출기류(또는 단독토출기류) 보다 큰 폭을 가져야 하는 제 1 조건과, 동시에 상기 듀얼 토출부(50,60)의 각각의 토출슬릿(53,63)로부터 토출되는 두 개의 토출기류가 기준거리(Sd)에서 분리되지 않고 하나로 합쳐진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제 2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와이드 기류의 두 조건을 만족할 수 있는 와이드 각도 및 최적의 와이드 각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토출슬릿 및 제 2 토출슬릿이 15도로 회전한 때, 듀얼토출기류의 속도 분포를 보여주는 실험그래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토출슬릿 및 제 2 토출슬릿이 23도로 회전한 때, 듀얼토출기류의 속도 분포를 보여주는 실험그래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토출슬릿 및 제 2 토출슬릿이 30도로 회전한 때, 듀얼토출기류의 속도 분포를 보여주는 실험그래프이다.
도 8 내지 도 10의 실험은, 토출풍량이 3.6CMM (RPM: 2330)이고, 제 1 베인(55) 및 제 2 베인(65)의 회동 각도가 0도(수평)인 동일한 조건에서 진행되었다.
도 8의 실험은, 상기 제 1 토출모듈(50)이 정방향으로 15° 및 상기 제 2 토출모듈(60)이 정방향으로 15°로 회전한 경우, 상기 기준거리(Sd)에서의 기류속도를 측정한 실험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각과 상기 제 2 각의 합(θ1+θ2)이 30°인 경우, 0.4m/s 이상의 기류속도 가지는 등고선의 최대폭(W)은 약 90cm이다. 즉, 단독토출기류의 경우 보다 폭이 넓어지고, 기류속도도 단독토출기류 보다 더욱 빨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단독토출기류 보다 넓은 영역에서 보다 쾌적한 바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제 1 각과 상기 제 2 각의 합(θ1+θ2)이 30°인 경우, 상기 기류의 폭(W)은 70cm를 초과하며, 상기 기준거리(Sd)에서 단일의 기류를 형성하므로 와이드 기류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각(θ1)이 13°이고 상기 제 2 각이 13°(θ)인 경우, 즉, 상기 제 1 각과 상기 제 2 각의 합(θ1+θ2)이 26°인 경우에 상기 기준거리(Sd)에서 0.2m/s 이상의 기류속도를 가지는 등고선의 최대폭은 약 75cm이다.
정리하면, 상기 와이드 각도의 최소 기준각도(a)는 26°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최적의 와이드 각도를 위한 최소 기준각도(a’)는 30°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최적의 와이드 각도는 단독토출기류 보다 넓은 폭(W)을 가지면서도, 사용자가 쾌적감을 느낄 수 있는 기류속도를 제공할 수 있는 각도로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쾌적감을 느낄 수 있는 기류속도는 최소 0.2m/s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에게 너무 빠른 기류속도를 가지는 바람(강한 바람)이 제공되면 불쾌감 및 불편한 호흡으로 오히려 쾌적감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사용자가 쾌적감 및 은은한 바람을 느낄 수 있는 기류속도(이하, “기준 기류속도”)는 0.8~1.2(m/s)로 설정할 수 있다.
도 9의 실험은, 상기 제 1 토출모듈(50)이 정방향으로 23° 및 상기 제 2 토출모듈(60)이 정방향으로 23°로 회전한 경우, 상기 기준거리(Sd)에서의 기류속도를 측정한 실험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각과 상기 제 2 각의 합(θ1+θ2)이 46°인 경우, 0.4m/s 이상의 기류속도를 가지는 등고선의 최대폭(W)은 약 125cm이며, 0.2m/s 이상의 기류속도를 가지는 등고선의 최대폭(W)은 약150cm 이다. 즉, 상기 최소 기준각도(a) 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제 1 각과 상기 제 2 각의 합(θ1+θ2)이 46°인 경우, 와이드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드 각도가 46°인 경우, 와이드 기류 영역 내에서 기류속도의 편차가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 1 각과 상기 제 2 각의 합(θ1+θ2)이 46°인 경우, 중심 지역에서 기류속도는 상대적으로 느려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와이드 각도가 26°인 경우 중심지역에서 기류속도는 최대 약 2.2m/s 이상이지만, 46°인 경우, 중심지역에서 기류속도는 최대 약 1.4 내지 1.6(m/s)이고, 최소 1.0m/s이다.
즉, 상기 와이드 각도가 커질수록 중심지역의 기류속도도 점차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드 각도의 최대 기준각도(b)는 상기 중심지역의 기류속도가 상기 최저 기류속도 이하로 떨어질 때 각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최적의 와이드 각도는 상기 제 1 토출타워(50)와 상기 제 2 토출타워(60)에서 토출되는 듀얼토출기류가 더욱 빠르고 효과적인 기류 순환을 제공하기 위해, 중심지역이 가장 빠른 기류속도를 유지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최적의 와이드 각도는 상기 중심지역의 기류속도가 상기 기준 기류속도를 만족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10의 실험은, 상기 제 1 토출모듈(50)이 정방향으로 30° 및 상기 제 2 토출모듈(60)이 정방향으로 30°로 회전한 경우, 상기 기준거리(Sd)에서의 기류속도를 측정한 실험이다.
도 10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각과 상기 제 2 각의 합(θ1+θ2)이 60°인 경우, 상기 기준거리(Sd)에서 단일의 기류를 형성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두 개의 토출기류가 부딪히는 각도(또는 와이드 각도)가 최대 값 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기준거리(Sd)에서 단일의 기류가 형성되지 않고, 두 개의 토출기류가 유지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 1 각과 상기 제 2 각의 합(θ1+θ2)이 60°인 경우, 와이드 기류를 생성할 수 없다.
한편, 상기 제 1 각(θ1)이 29°이고 상기 제 2 각이 29°(θ)인 경우, 즉, 상기 제 1 각과 상기 제 2 각의 합(θ1+θ2)이 58°인 경우에 상기 중심지역의 기류속도는 0.2m/s 이다.
정리하면, 상기 와이드 각도의 최대 기준각도(b)는 58°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지역의 기류속도는 상기 와이드 각도가 52°일 때, 0.8m/s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최적의 와이드 각도를 위한 최대 기준각도(b’)는 52°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와이드 기류를 생성하기 위한 와이드 각도는, 26°보다 크고 58°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기준거리(Sd)에서 단독토출기류 보다 넓은 폭을 가지며, 동시에 단일의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송풍기(1)는 보다 넓은 영역으로 단일의 기류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보다 넓은 영역에 위치한 다수의 사용자에게 연속적으로 와이드 기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드 기류를 생성하기 위한 와이드 각도는 바람직하게, 30°보다 크고 52°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다수의 사용자에게 보다 균일하고 쾌적한 와이드 기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송풍기
10: 지지본체
50,60: 듀얼 토출부
80: 지지필러

Claims (18)

  1. 흡입구가 형성되는 지지본체;
    상기 지지본체의 상부에 결합하며, 대칭을 이루는 제 1 토출타워 및 제 2 토출타워를 포함하는 듀얼 토출부;
    상기 제 1 토출타워와 상기 제 2 토출타워를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모듈;
    상기 회전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 1 토출타워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공기를 토출시키는 제 1 토출슬릿; 및
    상기 제 2 토출타워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공기를 토출시키는 제 2 토출슬릿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토출슬릿 및 상기 제 2 토출슬릿에 의해 토출되는 듀얼토출기류가 상기 제 1 토출슬릿 또는 상기 제 2 토출슬릿으로부터 토출되는 단독토출기류 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와이드 기류를 생성하도록, 상기 제 1 토출슬릿의 회전각도와 상기 제 2 토출슬릿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송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폭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에서 0.2m/s 이상의 기류속도를 가지는 등고선의 최대 거리로 규정되는 송풍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와이드 기류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에서 혼합된 단일의 기류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 1 토출슬릿의 회전각도와 상기 제 2 토출슬릿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송풍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토출슬릿의 회전각도와 상기 제 2 토출슬릿의 회전각도의 합을 이용하여 상기 와이드 기류의 생성하는 송풍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토출슬릿의 회전각도는, 상기 제 1 토출슬릿이 정면을 바라보는 정위치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양의 각도를 가지며,
    상기 제 2 토출슬릿의 회전각도는, 상기 제 2 토출슬릿이 정면을 바라보는 정위치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양의 각도를 가지는 송풍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토출슬릿의 회전각도와 상기 제 2 토출슬릿의 회전각도의 합이 양의 값을 가지도록 제어하는 송풍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토출슬릿의 회전각도와 상기 제 2 토출슬릿의 회전각도의 합이 26°보다 크고 58°보다 작도록 제어하는 송풍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와이드 기류의 중심지역의 기류속도가 가장 높게 유지되도록 상기 제 1 토출슬릿의 회전각도와 상기 제 2 토출슬릿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송풍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지역의 기류속도는 0.8m/s 이상을 가지는 송풍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토출슬릿의 회전각도와 상기 제 2 토출슬릿의 회전각도의 합이 58°보다 작도록 제어하는 송풍기.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와이드 기류의 기류속도가 상기 단독토출기류의 기류속도 보다 빠르도록 상기 제 1 토출슬릿의 회전각도와 상기 제 2 토출슬릿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송풍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토출슬릿의 회전각도와 상기 제 2 토출슬릿의 회전각도의 합이 30°보다 크도록 제어하는 송풍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본체의 상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토출타워가 결합하는 제 1 타워결합부;
    상기 제 1 타워결합부에 설치되는 제 1 회전모듈;
    상기 지지본체의 상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토출타워가 결합하는 제 2 타워결합부; 및
    상기 제 2 타워결합부에 설치되는 제 2 회전모듈을 더 포함하는 송풍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토출타워는,
    상기 제 1 토출슬릿이 형성되는 제 1 타워케이스; 및
    상기 제 1 타워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토출슬릿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상하 방향을 가이드하는 제 1 베인을 포함하는 송풍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토출타워는,
    상기 제 2 토출슬릿이 형성되는 제 2 타워케이스; 및
    상기 제 2 타워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토출슬릿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상하 방향을 가이드하는 제 2 베인을 포함하는 송풍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인 및 상기 제 2 베인은,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송풍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와이드 기류를 생성할 때 상기 제 1 베인 및 상기 제 2 베인을 수평 상태로 제어하는 송풍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본체는,
    공기의 유동압력을 제공하는 팬;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및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제 1 토출타워와 상기 제 2 토출타워로 분배하는 분배덕트를 더 포함하는 송풍기.
KR1020200011776A 2020-01-31 2020-01-31 송풍기 KR202100980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776A KR20210098058A (ko) 2020-01-31 2020-01-31 송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776A KR20210098058A (ko) 2020-01-31 2020-01-31 송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058A true KR20210098058A (ko) 2021-08-10

Family

ID=77316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776A KR20210098058A (ko) 2020-01-31 2020-01-31 송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805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50416A1 (en) Fan assembly
RU2733158C2 (ru) Вентилятор
KR102499701B1 (ko) 팬 어셈블리용 노즐
KR102499685B1 (ko) 팬 어셈블리용 노즐
KR20170057028A (ko) 송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US11939986B2 (en) Blower
KR101912634B1 (ko) 공기조화기
US20230088798A1 (en) Blower
KR20220007360A (ko) 서큘레이터 및 서큘레이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102127843B1 (ko) 풍향조절장치
KR102630059B1 (ko) 송풍기
KR20210112122A (ko) 송풍기
JP5206365B2 (ja) 送風装置
KR20210098058A (ko) 송풍기
KR20210098055A (ko) 송풍기
KR20210098057A (ko) 송풍기
JP4760462B2 (ja) 送風装置
KR20210098054A (ko) 송풍기
KR102630060B1 (ko) 송풍기
KR20210114651A (ko) 송풍기
KR102650688B1 (ko) 송풍기
KR102644818B1 (ko) 송풍장치
KR102644819B1 (ko) 에어클린팬
KR20210114650A (ko) 송풍기
KR20220135567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