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8054A - 송풍기 - Google Patents

송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8054A
KR20210098054A KR1020200011770A KR20200011770A KR20210098054A KR 20210098054 A KR20210098054 A KR 20210098054A KR 1020200011770 A KR1020200011770 A KR 1020200011770A KR 20200011770 A KR20200011770 A KR 20200011770A KR 20210098054 A KR20210098054 A KR 20210098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ischarge
blower
air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1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현
김기동
최석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1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8054A/ko
Publication of KR20210098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80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3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 E05F15/61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using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34Electromotors;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2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는, 흡입구가 형성되는 지지본체; 및 상기 지지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듀얼 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본체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케이스;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의 유동압력을 제공하는 팬; 상기 듀얼 토출부 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방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토출개구; 및 상기 토출개구를 순차적 또는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토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송풍기 {Blower}
본 발명은 송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풍기는 팬을 구동하여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기계장치이다. 일례로, 상기 송풍기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날개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는 상기 날개의 회전에 의하여 공기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송풍기는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에서 사용자와 상대적으로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송풍기는 보통 “선풍기”라고 이름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에 의해 발생된 공기 유동은 대류와 증발을 통해 상기 실내의 열기를 방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내의 사용자는 시원함과 쾌적감을 느낄 수 있다.
한편, 종래 송풍기는 상기 회전축에 붙은 날개가 시각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날개와 관련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자 케이지(cage) 등과 같은 보호망 기구를 함께 구비한다. 그러나 이러한 케이지와 날개는 쉽게 오염되고 관리가 불편하다. 따라서, 최근에는 송풍기의 날개가 사용자의 눈에 보이지 않는 다양한 송풍기(또는 선풍기)가 공개되고 있다.
또한, 종래 송풍기는 먼지 등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장치를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송풍기는 실내의 공기청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0274호(공개일자: 2011년 09월 09일)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15325호(공개일자: 2019년 02월 13일)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25443호(공개일자: 2019년 03월 11일)가 있다.
한편, 종래 송풍기는 소음 및 사용자에게 토출되는 풍속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팬 모터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팬 모터의 속도가 감소하면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풍속도 함께 약해지므로 적정한 공기청정 성능을 만족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송풍기는 토출구를 개폐하기 위해 다수의 도어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도어는 각각 연결링크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각각의 연결링크는 모터와 직접 연결된 모터링크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다수의 도어는 동시에 회동함으로써 상기 토출구를 개폐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도어의 개폐구조는 개방 면적을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즉, 다수의 도어가 전체적으로 개구를 개방시키거나 전체적으로 개구를 닫을 뿐 이다.
더하여, 각각의 도어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모터가 다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재료비 증가 등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송풍기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송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팬의 속도(RPM) 제어 없이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고, 공기청정 성능을 유지시킬 수 있는 송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방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세기를 조절하는 단수 조절이 가능하도록 후방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제어하는 다수의 도어가 순차적 및/또는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송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일의 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이중의 유로를 따라 상방으로 유동시켜서 다수의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송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는, 흡입구가 형성되는 지지본체; 및 상기 지지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듀얼 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본체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케이스;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의 유동압력을 제공하는 팬; 상기 듀얼 토출부 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방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토출개구; 및 상기 토출개구를 순차적 또는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토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개구로 공기가 토출되면, 상기 듀얼 토출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세기는 약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모듈이 상기 토출개구를 순차적으로 개방시키면, 상기 듀얼 토출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세기는 단계별로 약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모듈은, 상기 토출개구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의 일측 하단에 결합하며, 상기 도어의 회동시키는 도어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기어는, 둘레면의 일부에 기어 이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기어의 기어 이는, 상기 도어의 하면으로부터 중심각이 180°이하인 호(Arc)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모듈은, 상기 도어기어로 힘을 전달하는 도어모터; 상기 도어모터에 결합하여 회전하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운동을 수평운동으로 바꾸어주는 랙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랙은,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 공간에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직선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본체는, 상기 랙의 직선운동을 가이드하도록 돌출되는 랙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랙은 상기 랙가이드가 삽입되어 슬리아딩 이동하는 가이드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랙은,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모터치형; 및 상기 도어기어와 접촉할 수 있는 도어치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치형은, 상기 모터치형의 반대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치형은, 상기 모터치형의 길이 보다 짧은 소정의 길이만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길이는, 상기 도어기어의 기어 이가 형성되는 호의 길이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치형은 상기 랙의 상면의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모터치형은 상기 랙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치형은 상기 랙의 후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하 방향 또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며, 순차적으로 회동할 수 있는 다수의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도어에 구비되는 각각 도어기어는, 상기 랙의 접촉 여부에 따라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도어는, 상기 랙의 이동에 따라 순차적으로 회동하며, 상기 토출개구를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본체는, 상기 팬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듀얼 토출부로 가이드하는 분배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모터는 상기 분배덕트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모듈은, 상기 도어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회전축 고정부; 및 상기 회전축 고정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도어기어의 회전을 지지하는 도어 회전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기어는, 상기 도어 회전축이 중심에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모듈은, 상기 회전축 고정부의 반대 측에 형성되는 도어 고정부; 및 상기 도어 고정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도어의 회전을 지지하는 도어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개구는 전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개구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가이드그릴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듀얼 토출부는, 공기를 전방으로 토출시키는 한 쌍의 제 1 토출타워 및 제 2 토출타워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토출타워 및 상기 제 2 토출타워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인 토출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토출모듈이 토출개구를 개방시킴으로써 후방으로 기류를 토출시킬 수 있으므로, 팬의 속도(RPM) 제어 없이 소음을 낮출 수 있고, 공기청정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토출기류의 단수를 조절하기 위해 다수의 도어가 순차적 및/또는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다수의 도어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하나의 모터에 결합하는 하나의 랙이 구비되며, 다수의 도어에 구비되는 기어가 상기 랙의 접촉 여부에 따라 회동 가능하므로, 부품 수를 줄여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랙은 일 부분에만 형성되는 도어치형을 가지며, 상기 도어치형과 연결되지 않는 도어는 개방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도어치형과 연결되는 도어는 회동을 위해 힘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도어는 외각 또는 외측부터 순차적으로 열리면서 토출개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다수의 토출구 중 상대적으로 팬에 가깝게 위치하는 토출구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으므로, 공기청정 성능을 유지할 수 있고, 제품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1-1’ 단면도
도 5는 도 1의 2-2’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모듈의 랙을 보여주는 확대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모듈이 토출개구를 단계적으로 개방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보다 상세히,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전방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송풍기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1)는, 지지본체(10) 및 상기 지지본체(10)에 의해 지지되는 듀얼 토출부(50,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본체(10)는 상기 송풍기(1)의 하부를 형성하며, 상기 듀얼 토출부(50,60)는 상기 송풍기(1)의 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본체(10)와 상기 듀얼 토출부(50,60)는, 각각,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는 토출구(15,53,63)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본체(10)에는 후술할 토출개구(15)가 형성되며, 상기 듀얼 토출부(50,60)에는 후술할 토출슬릿(53,63)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본체(10)에 형성되는 토출구는 송풍기(1)의 후방부에서 상방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본체(10)에 형성되는 토출구는 토출모듈(10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듀얼 토출부(50,60)에 형성되는 토출구는 송풍기(1)의 전방부에서 전방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토출슬릿(53,63)은 “전방 토출구”로 이름할 수 있으며, 상기 토출개구(15)는 “후방 토출구”로 이름할 수 있다.
상기 듀얼 토출부(50,60)는 상기 지지본체(10)의 상부에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듀얼 토출부(50,60)는 상기 지지본체(10) 보다 높은 위치에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듀얼 토출부(50,60)는 외관을 형성하는 타워케이스(51,61), 상기 타워케이스(51,61)에 소정의 폭을 가지는 개구를 형성하는 토출슬릿(53,63) 및 상기 토출슬릿(53,63)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상하 방향을 가이드하는 베인(55,6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슬릿(53,63)은 상기 케이스(51,61)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슬릿(53,63)을 통하여 송풍기(1)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상기 베인(55,65)은 상기 토출슬릿(53,63)의 연장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인(55,65)은 상기 타워 케이스(51,61)의 높이 방향으로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인(55,65)은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타워케이스(51,6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워케이스(51,61)로 유입된 공기는 상승하면서 상기 베인(55,65)의 하면의 가이드에 따라 상기 토출슬릿(53,63)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베인(55,65)은 상기 토출슬릿(53,63)으로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하면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인(55,65)의 전단 부분은, 상기 토출슬릿(53,63)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토출슬릿(53,63)과 맞닿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타워케이스(51,61)의 내부에서 상방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토출슬릿(53,63)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베인(55,65)의 가이드에 의해 차례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듀얼 토출부(50,60)는 상기 지지본체(10)에 대칭을 이루는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듀얼 토출부(50,60)는 이중(dual)의 토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듀얼 토출부(50,60)는 서로 대칭을 이루는 제 1 토출타워(50) 및 제 2 토출타워(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타워(50)와 제 2 토출타워(60)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토출타워(50) 및 상기 제 2 토출타워(60)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설명은, 나머지 하나에 대한 설명에 원용하도록 한다.
상기 제 1 토출타워(50)와 제 2 토출타워(60)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각각 상기 지지본체(10)의 상부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토출타워(50)와 상기 제 2 토출타워(60)는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토출타워(50) 및 상기 제 2 토출타워(6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는 각각의 회전을 통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타워(5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 1 타워케이스(51), 상기 제 1 타워케이스(51)에 형성되는 제 1 토출슬릿(53) 및 상기 제 1 토출슬릿(53)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상하 방향을 가이드하는 제 1 베인(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타워케이스(51)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타워케이스(51)는 상기 지지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슬릿(53)은 상기 제 1 타워케이스(51)의 상하 방향, 즉,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슬릿(53)은 상기 제 1 타워케이스(51)에 미리 설정된 폭을 가지는 개구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토출슬릿(53)은 상기 제 1 타워케이스(51)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인(55)의 단부는, 상기 제 1 토출슬릿(53)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 1 토출슬릿(53)의 내측에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베인(55)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베인(55)의 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토출슬릿(53)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전방으로 일 직선의 유동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제 1 베인(55)의 단부는 상기 제 1 토출슬릿(53)의 내측 면과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베인(55)은 상기 제 1 토출슬릿(53)과 접촉 점을 기준으로 상하로 회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제 1 토출슬릿(53)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상하 유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인(55)은 다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제 1 베인(55)은 상기 제 1 토출슬릿(53)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인(55)은 상기 제 1 타워케이스(51)의 내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타워케이스(51)의 내부 공간을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제 1 토출슬릿(53)으로 가이드하여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토출타워(6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 2 타워케이스(61), 상기 제 2 타워케이스(61)에 형성되는 제 2 토출슬릿(63) 및 상기 제 2 토출슬릿(63)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상하 방향을 가이드하는 제 2 베인(65)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타워케이스(61)는 상기 제 1 타워케이스(51)와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 타워케이스(51)와 동일한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슬릿(63)과 상기 제 2 베인(65)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제 1 토출슬릿(53)과 제 1 베인(55)에 대한 설명을 원용하도록 한다.
상기 송풍기(1)는 상기 듀얼 토출부(50,60)를 상기 지지본체(10)에 고정시키는 지지필러(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필러(80)는 상기 듀얼 토출부(50,60)의 상부에 결합하는 상부헤드(83) 및 상기 듀얼 토출부(50,60)이 사이에 결합하는 연장부(8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필러(80)는 상기 듀얼 토출부(50,60)가 형성하는 사이 공간에 끼워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필러(80)는 “T”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듀얼 토출부(50,60)는 상기 지지필러(80)와 결합에 의하여 상기 지지본체(10)와 일체감을 이루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필러(80)는 상기 듀얼 토출부(50,60)의 회전 축이 고정되도록 상부를 하방으로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헤드(83)는 상기 제 1 토출타워(50)의 상면과 상기 제 2 토출타워(6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부헤드(83)는 상기 제 1 토출타워(50)의 상면과 상기 제 2 토출타워(60)의 상면에 대응하여 두 개의 원이 이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연장부(85)는 상기 상부헤드(83)의 중심부로부터 상기 제 1 토출타워(60)와 상기 제 2 토출타워(60)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을 채워주도록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85)의 하단은 상기 지지본체(10)의 상면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85)는 양 측면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타워케이스(51)와 상기 제 2 타워케이스(61)가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도록 내측 면을 곡면으로 형성하거나 내부를 중공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 1 토출타워(50) 및 상기 제 2 토출타워(60)는, 상기 지지필러(80)와 상기 지지본체(1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 축이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본체(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케이스(11)와 후방케이스(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케이스(11)는, 상기 제 1 타워케이스(51) 및 상기 제 2 타워케이스(61)와 일체감을 가지는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방케이스(11)는 상기 제 1 타워케이스(51)의 곡률과 동일하게 상기 제 1 타워케이스(51)의 하단에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전방케이스(11)는 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제 2 타워케이스(61)의 곡률과 동일하게 상기 제 2 타워케이스(61)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케이스(1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두 곡면 사이에는, 상기 연장부(85)와 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송풍기(1)의 전면 외관은 상하 방향으로 일체감이 사용자에게 느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케이스(12)는 상기 전방케이스(11)의 후면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후방케이스(12)의 체적은 상기 전방케이스(11)의 체적 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후방케이스(12)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후방케이스(12)는 상기 전방케이스(11)의 일측 후단으로부터 타측 후단까지 설정된 곡률을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후방케이스(12)의 외주면에는 공기를 유입시키는 흡입구(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케이스(12)의 외주면, 즉, 후방케이스(12)의 둘레면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그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13)는 상기 그릴의 사이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방케이스(12)의 주위 공기는 상기 후방케이스(12)에 형성된 흡입구(13)를 통해 상기 후방케이스(12)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후방케이스(12)의 외주면에 흡입구(13)가 위치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흡입구(13)는 전방케이스(11)에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전방케이스(11)와 상기 후방케이스(12)에 형성된 흡입구(13)를 통해 내부의 필터(40)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후방케이스(12)의 상면(14)은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면(14)은 상기 전방케이스(11)가 위치하는 방향을 향할수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면(14)은 전방을 향할수록 높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상면(14)에 형성된 토출개구(15)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면(14)의 연직 하방에는 디퓨저(300)가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디퓨저(300)를 통과한 공기의 압력손실은 상대적으로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전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상면(14)에 의하면, 토출모듈(100)에 의해 상기 토출개구(15)가 닫힌(Close) 상태에서, 상기 디퓨저(300)를 통과한 공기는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듀얼 토출부(50,60)의 내부 공간(62)으로 매끄럽게(smooth) 유동할 수 있다.
즉, 상기 디퓨저(300)를 통과한 공기는 경사진 상면(14)의 가이드에 따라 듀얼 토출부(50,60)의 내부 공간(62)으로 유입되므로 후술할 분배덕트(400)와 마찰 또는 충돌을 최소화할 수 있고, 상기 공기의 유동을 곡선의 경로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가 토출되기 위해 유동하는, 상기 듀얼 토출부(50,60)의 내부 공간(62)을 “토출유로”라고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유로는, 상기 듀얼 토출부(50,60)의 각각의 토출부, 즉, 제 1 토출타워(50)와 상기 제 2 토출타워(6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케이스(12)의 상면(14)에는 상술한 토출구, 즉, 토출개구(15)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토출개구(15)는 상기 토출슬릿(53,63) 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개구(15)는 공기의 토출 방향이 상기 토출슬릿(53,63)의 공기 토출 방향과 다르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토출개구(15)는 상기 상면(14)의 상하 방향을 개방시키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토출개구(15)는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후방케이스(12)의 상면에는 상기 토출개구(15)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그릴(16)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그릴(16)은 상기 토출개구(15)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그릴(16)은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그릴(16)은 상기 토출개구(15)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상방으로 가이드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그릴(16)은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토출개구(15)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후방케이스(12)의 상단은 상기 전방케이스(11)의 상단 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케이스(12)의 상단과 상기 전방케이스(11)의 상단 사이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가이드하는 함몰 공간이 형성된 핸들케이스(1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케이스(11)와 후방케이스(12)를 통칭하여 “본체케이스(11,12)”라고 이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케이스(11,112)는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3)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1-1’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2-2’ 확대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본체(10)는 상기 토출개구(15)를 개폐하는 토출모듈(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토출모듈(100)은 상기 토출개구(15)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모듈(100)은 상기 토출개구(15)를 단계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토출모듈(100)은 단계적으로 개방되는 면적이 늘어나거나 또는 줄어들도록 상기 토출개구(15)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토출모듈(100)은 사용자가 위치할 수 있는 송풍기(1)의 전방으로 기류를 집중시키기 위해 상기 토출개구(15)를 닫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송풍기(1)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하고 시원한 바람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토출슬릿(53,63)을 통해서만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토출모듈(100)은 상기 토출개구(15)를 개폐하는 도어(110,120,130), 상기 도어(110,120,130)의 이동을 위한 도어기어(115,125,135) 및 상기 도어기어(115,125,135)로 힘을 전달하는 도어모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110,120,130)는 슬라이딩 이동 또는 회전 방식으로 상기 토출개구(15)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110,120,130)는 상기 토출개구(15)의 하방에서 상기 토출개구(15)를 커버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어(110,120,130)는 상기 가이드그릴(16)의 연장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플레이트로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도어(110,120,130)는 사각 또는 반원 형상의 플레이트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110,120,130)는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도어(110,120,130)는 상기 후방케이스의 상면(14)의 경사 방향, 달리 표현하면, 전후 방향을 따라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도어(110,120,130)는 각각 개별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도어(110,120,130)는 순차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토출개구(15)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유량은, 팬(210)의 회전 속도가 일정한 경우에 순차적으로 늘어나거나 순차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송풍기(1)는 토출개구(15)로 토출되는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전방의 토출슬릿(53,63)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다수의 도어(110,120,130)의 회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송풍기(1)의 전방으로 토출되는 기류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도어(110,120,130)는 상기 전방으로 토출되는 기류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단수에 상응하는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방으로 토출되는 기류의 세기는 3단계로 줄일 수 있다면, 상기 도어(110,120,130)는 3개의 도어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모듈(100)은 3개의 도어(110,120,130)를 구비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물론, 상기 도어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한편, 3개의 도어(110,120,130)가 모두 닫힘 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토출개구(15)를 완전히 폐쇄되어 일반 송풍 모드로 운전될 것이다.
이후, 2개의 도어(120,13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1개의 도어(110)가 회동하여 열림 상태가 된다면, 상기 토출개구(15)의 일부 영역이 개방되어 상기 전방으로 토출되는 기류의 세기는 1 단계만큼 약화될 것이다. 이때,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통해 상기 일반 송풍 모드에서 약화된 3단으로 운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후, 1개의 도어(13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2개의 도어(110,120)가 열림 상태가 된다면, 상기 토출개구(15)의 개방 영역이 증가하므로 상기 전방으로 토출되는 기류의 세기는 2 단계만큼 약화될 것이다. 이때,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통해 상기 3단에서 약화된 2단으로 운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후, 3개의 도어(110,120,130)가 모두 열림 상태가 된다면, 상기 토출개구(15)는 완전히 개방되므로 상기 전방으로 토출되는 기류의 세기는 가장 약화될 것이다. 이때,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통해 상기 2단에서 약화된 1단으로 운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토출모듈(100)은 상기 도어(110,120,130)의 작동 또는 회동을 통하여 상기 토출개구(15)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송풍기(1)의 소음과 풍속을 미리 설정된 값으로 낮추는 운전인 수면풍 모드에서 상기 토출개구(15)는 완전히 개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면풍 모드는, 상술한 1단과 동일하게 제어되거나 상기 1단 상태에서 팬의 회전속도가 조금 낮아지도록 제어되는 운전 모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송풍기(1)는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수면풍 모드로 운전하는 경우 상기 도어(110,120,130)가 이동 또는 회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수면풍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출개구(15)가 완전히 개방되도록 상기 도어의 이동 또는 회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모듈(100)은 상기 토출개구(15)를 필요에 따라 단계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개방되는 토출개구(15)의 면적이 커질수록 상기 송풍기(1)의 전방으로 토출되는 기류의 세기는 작아질 것이며, 상기 송풍기(1)의 후방에서 상방으로 토출되는 기류의 세기는 커질 것이다.
상기 도어기어(115,125,135)는 상기 도어(110,120,130)의 일 측에 결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어기어(115,125,135)는 상기 도어(110,120,130)의 일 측 하단에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기어(115,125,135)는 도어모터(140)의 힘을 상기 도어(110,120,13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도어기어(115,125,135)는 상기 도어모터(140)의 힘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110,120,130)는 상기 도어기어(115,125,135)의 회전에 의하여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일례로, 도 5 기준, 상기 도어기어(115,125,13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도어(110,120,13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토출개구(15)를 개방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도어(110,120,130)와 상기 도어기어(115,125,135)의 회전축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도어기어(115,125,135)는 후술할 랙(160)과 접촉 여부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기어(115,125,135)는 랙(160)과 접촉을 유지할 때 상기 도어모터(140)의 힘을 전달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기어(115,125,135)는 상기 랙(160)과 비 접촉하는 순간, 그 회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110,120,130)는 상기 랙(160)과 연결될 때 회동할 수 있으며, 상기 랙(160)과 연결되지 않으면 현 회동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후술하겠으나, 상기 랙(160)과 상기 도어기어(115,125,135)가 접촉되는 치형은 상기 도어모터(140)에 결합된 피니언기어(150)와 상기 랙(160)이 접촉되는 치형의 맞은 편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도어기어(115,125,135)는 도어(110,120,130)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기어(115,125,135)는 상기 분배유로(410)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상기 분배덕트(400)의 일 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모터(140)는 상기 분배덕트(400)의 일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어모터(140)는 상기 후방케이스(13)의 내측과 상기 분배덕트(400)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모터(140)는 상기 분배유로(410)를 유동하는 공기의 저항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상기 분배덕트(400)의 외주면에 설치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도어모터(140)는 상기 분배유로(410) 상에 위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도어모터(140)는 스텝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모터(140)의 회전 축에는 피니언기어(150)가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토출모듈(100)은 상기 도어모터(140)에 결합하는 피니언기어(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150)는 상기 도어모터(140)의 회전 축이 중심에 결합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도어모터(140)의 작동에 따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150)는 후술할 랙(160)과 맞물리는 기어 이가 상기 회전 축의 반경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본체(10)는 지면에 놓여지는 베이스(20), 상기 베이스(20)의 위에 배치되는 필터지지부(30) 및 상기 필터지지부(30)에 결합하는 필터(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는 상기 후방케이스(12)의 하측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20)는, 상기 후방케이스(12)의 하단의 내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13)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베이스(20)의 상측에 구비되는 필터(40)를 통과하여 중심의 흡입유로(45)로 유동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40)는 상기 흡입구(13)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또는 정화)할 수 있다.
상기 필터(40)는 중심축을 따라 개방되는 도넛 또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흡입구(1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원기둥 형상인 필터(40)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그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4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는, 필터링된 공기를 가이드하는 흡입유로(45)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40)를 통과한 공기는 흡입유로(45)를 따라 상기 팬(210)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필터지지부(30)는 상기 베이스(20)의 상면에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지지부(30)의 하면은 상기 베이스(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필터지지부(30)는 상기 필터(40)의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지지장치(31) 및 필터프레임(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장치(31)는 상기 필터지지부(30)의 하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프레임(35)은 상기 필터지지부(30)의 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장치(31)는 상기 필터(4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장치(31)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장치(31)의 내부 공간은, 상기 흡입유로(45)의 하부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필터(40)는 상기 지지장치(31)에 안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장치(31)의 상면은 상기 필터(40)가 안착되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장치(31)는 상기 필터(4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장치(31)의 내주면은, 상기 필터(40)의 탈착 또는 고정을 가이드하는 레버장치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필터프레임(35)은 상기 지지장치(31)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필터프레임(35)은 대략 링 형상을 가진다.
상기 필터프레임(35)의 내부 공간은, 상기 흡입유로(45)의 상부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프레임(35)의 상부는 후술할 팬하우징(200)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지지부(30)은, 지지장치(31)로부터 상기 필터프레임(35)을 향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필터기둥(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필터기둥에 의하여, 상기 지지장치(31)와 상기 필터프레임(35)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필터기둥은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지지장치(31)와 상기 필터프레임(35)의 테두리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장치(31), 필터프레임(35) 및 필터기둥(132)에 의하여, 상기 필터(40)의 장착공간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본체(10)는 상기 필터(40)의 상측에 위치하는 팬하우징(200), 상기 흡입구(13)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유동 압력을 제공하는 팬(210), 상기 팬(210)의 상측에 위치하는 디퓨저(300) 및 상기 디퓨저(300)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듀얼토출부(50,60)로 가이드하는 분배덕트(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200)은 상기 필터(40)의 출구측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200)은 상기 팬(210)을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하우징(200)은 상기 필터프레임(35)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200)의 하부에는, 상기 팬하우징(200)의 내부로 공기의 유입을 가이드 하는 유입그릴(205)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입그릴(205)은 상기 흡입유로(45)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유입그릴(205)은 그릴로 제공되므로 상기 필터(40)가 분리되었을 때, 사용자가 상기 팬하우징(200)의 내부로 손가락 등을 집어 넣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팬(210)은 회전을 통하여 공기의 유동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210)은 상기 유입그릴(205)의 상측에 놓여질 수 있다.
상기 팬(210)은 축 방향으로 공기를 유입하여 사선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사류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팬(210)은 모터(미도시)의 축이 결합되는 허브(211), 상기 허브(211)와 이격 배치되는 쉬라우드(213) 및 상기 허브(211)와 상기 쉬라우드(213)의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블레이드(2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디퓨저(300)의 모터수용부(310)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의 축은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허브(211)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허브(211)는 상기 모터수용부(3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허브(211)는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보울(bowl)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허브(211)는, 상기 모터의 축이 결합되는 축 결합부(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축결합부는 상기 허브(211)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213)는 상기 유입그릴(205)을 통과한 공기가 흡입되는 중심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쉬라우드(213)는 상기 중심 개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블레이드(215)의 가이드에 의해 사선 방향으로 토출되는 외곽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외곽 개구는 상기 중심 개구 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215)의 일 면은 상기 허브(211)의 외주면에 결합할 수 있으며, 타 면은 상기 쉬라우드(213)의 내주면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215)는 상기 허브(211)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상기 필터(4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흡입유로(45)를 따라 상방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유입그릴(205)를 통하여 상기 팬하우징(2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하우징(200)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쉬라우드(213)가 형성하는 중심 개구(또는 축 방향)으로 유입되어 블레이드(215)를 거쳐 사선 방향을 토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외곽 개구를 통해 공기가 사선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215)는 축 방향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디퓨저(300)는 상기 팬(210)의 위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퓨저(300)는 상기 팬(21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상기 분배덕트(400)의 내부 공간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디퓨저(300)는 상기 팬하우징(200)의 상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디퓨저(300)는 상기 팬하우징(200)의 외경과 동일하도록 상기 팬하우징(200)에 적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퓨저(300)는 상기 팬(210)을 통과한 공기를 토출개구(50) 또는 토출슬릿(53,63)로 상승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디퓨저(300)는, 외곽 둘레를 형성하는 외벽(320) 및 상기 외벽(320)의 내측에 위치하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터수용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퓨저(300)는 상기 모터수용부(310)와 상기 외벽(320) 사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 개로 구비되는 가이드베인(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벽(320)의 직경은 상기 모터수용부(310)의 직경보다 크다. 즉, 상기 외벽(320)의 직경은 상기 디퓨저(300)의 외경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수용부(310)의 외주면의 직경은 상기 디퓨저(300)의 내경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외벽(320)은 상기 모터수용부(310)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외벽(320)의 내주면과 상기 모터수용부(310)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상기 팬(210)을 통과한 공기가 유동하는 가이드유로(33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유로(335)에는 공기를 상방으로 가이드하는 상기 가이드베인(33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수용부(310)는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수용부(310)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모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수용부(310)는 하부(315)는,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보울(bowl)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모터수용부(310)의 하부(315) 형상은, 상기 허브(211)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수용부(310)는 상기 허브(21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모터의 축은 상기 모터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모터 수용부(310)의 하부 중심에 형성된 모터결합구(318)를 관통하여 상기 허브(211)의 축 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모터수용부(310)의 하부(315)에는 타공 형성되는 다수의 흡음홀(316)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수용부(310)의 내측에는 상기 다수의 흡음홀(316)에 대응하여 흡음재(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흡음홀(316)은 상기 모터결합구(318)를 중심으로 상기 하면(315)의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다수의 흡음홀(316) 간의 간격은 8~14(mm)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모터수용부의 하면(315)과 상기 허브(211) 사이에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사이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면(315)과 상기 허브(211) 사이에 형성되는 사이 공간을 “에어 갭(Air gap)”으로 이름한다.
상기 에어 갭에는 상기 팬(210)을 통과한 공기 중 일부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에어 갭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팬(210)의 회전에 의한 압력에 의해 상기 에어 갭에서 마찰 및 충돌을 일으킬 수 있다. 결국, 상기 에어 갭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유동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흡음홀(316) 및 흡음재에 의하면, 상기 에어 갭에 의해 발생되는 유동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흡음홀(316)은 미리 설정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흡음홀(316)의 직경은 2(mm)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베인(330)은 상기 모터수용부(310)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외벽(320)의 내주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베인(330)는 다수 개가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베인(330)는 상기 팬(210을 거쳐 상기 디퓨저(300)의 가이드유로(335)로 유입된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흡입구(13)에 의해 유입되어 필터(4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팬(210)의 회전을 통해 발생되는 유동압력에 의하여 상방으로 유동한다. 상기 상방으로 유동한 공기는 팬하우징(200)으로 유입된 후 상기 팬(210)을 통과하면서 사선 방향으로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사선 방향으로 상승된 공기는 상기 디퓨저(300)의 가이드유로(335)로 유입되며, 상기 가이드유로(335)에 배치된 다수의 가이드베인(330)은 상기 가이드유로(33%)로 유입된 공기를 상방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215)를 거쳐 사선 방향으로 상승하는 공기는 대부분 원주 방향의 유동성분과 반경 방향의 유동성분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215)를 통과한 공기는 회전하는 소용돌이 기류를 형성하며 상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가이드베인(330)은 상기 소용돌이 기류를 형성하는 유동성분을 상쇄시켜 공기가 안정적으로 상승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베인(330)을 통과한 공기의 속도 성분은, 반경 방향 및 원주 방향 성분이 감소할 수 있다. 반면에, 상대적으로 축 방향 성분, 즉, 상방으로 향하는 속도 성분이 커질 수 있다.
상기 분배덕트(400)는 상기 디퓨저(300)의 위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배덕트(400)는 상기 디퓨저(300)를 통과하여 상승하는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분배덕트(400)는 상기 디퓨저(300)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분배덕트(400)의 하단 외경은, 상기 디퓨저(300)의 상단 외경과 동일할 수 있다. 즉, 상기 분배덕트(400)는 상기 디퓨저(300)의 외벽(320)과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배덕트(400)는 상기 외벽(320)으로부터 상기 듀얼 토출부(50,60)의 각각의 하단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분배덕트(400)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유동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분배덕트(400)는 상방을 향하여 유동 단면적 작아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배덕트(400)는 상기 듀얼 토출부(50,60)와 상기 디퓨저(300) 사이를 곡선의 공기 유동 흐름이 형성되도록 내주면을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후방케이스의 상면(14)은 상기 듀얼 토출부(50,60)를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기 때문에, 상기 분배덕트(400)는 상기 디퓨저(300)와 상기 토출개구(15)의 수직 거리(도4 기준)가 상기 듀얼 토출부(50,60)를 향할수록 늘어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퓨저(300)를 통과한 공기는 분배유로(410)를 따라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듀얼 토출부(50,60)에 충돌을 최소화하면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분배덕트(400)의 내부는 디퓨저(300)를 통과한 공기가 제 1 토출타워(50) 또는 제 2 토출타워(60)로 분기되는 분배유로(41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분배유로(410)는, 상기 제 1 토출타워(50)의 내부 공간 및 상기 제 2 토출타워(6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즉, 상기 분배덕트(400)는 상기 디퓨저(300)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제 1 토출타워(50)와 상기 제 2 토출타워(60)로 가이드할 수 있다. 결국, 상기 분배덕트(400)는 상기 디퓨저(30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듀얼 토출부(50,60)에 분기되어 유입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배덕트(400)는 토출개구(15) 및 상기 듀얼 토출부(50,6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분배덕트(400)는 상기 토출개구(15)에 대응되는 개구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분배덕트(400)는 상기 토출개구(15)의 연직 하방으로 대응되는 면적에 개구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토출모듈(100)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분배덕트(40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토출개구(15) 또는 상기 듀얼 토출부(50,60)의 토출슬릿(53,63)으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 면은 상기 토출개구(15)를 규정하는 상면(14)의 하단부와 접촉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면(14)의 하단부는 상기 분배덕트(400)의 개구 면도 규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방케이스(12)와 상기 분배덕트(400) 사이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본체(10)는 상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듀얼 토출부(50,60)를 지지하는 타워결합부(19) 및 상기 타워결합부(19)에 설치되는 회전모듈(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워결합부(19)는 상기 지지본체(10)의 상부에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워결합부(19)는 상기 분배유로(410)와 연통되는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타워결합부(19)는 상기 본체케이스(11,12)의 상면에 상기 제 1 토출타워(50)와 상기 제 2 토출타워(60)가 각각 삽입 또는 지지되는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타워결합부(19)는 상기 전방케이스(11)의 상면에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타워결합부(19)는 상기 후방케이스(12)의 상면(14) 보다 높거나, 같은 높이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워결합부(19)는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타워결합부(19)의 후단은 상기 후방케이스(13)의 상면(14)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타워결합부(19)는 상기 듀얼 토출부(50,60)의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타워결합부(19)는 상기 제 1 토출타워(50)가 삽입 또는 지지되는 제 1 타워결합부 및 상기 제 2 토출타워(60)가 삽입 또는 지지되는 제 2 타워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배덕트(400)는 상기 분배유로(410)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 1 토출타워(50)와 상기 제 2 토출타워(60)로 분기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분배덕트(400)는 상기 디퓨저(300)로부터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다가, 상기 제 1 타워결합부의 하단과 상기 제 2 타워결합부의 하단으로 각각 분기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회전모듈(500)은 상기 타워결합부(19)의 내측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모듈(500)은 상기 듀얼 토출부(50,60)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회전모듈(500)은 상기 제 1 타워결합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토출타워(50)와 결합하는 제 1 회전모듈 및 상기 제 2 타워결합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토출타워(60)와 결합하는 제 2 회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회전모듈과 상기 제 2 회전모듈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회전모듈 및 상기 제 2 회전모듈은 “회전모듈(500)”로 통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즉, 후술할 상기 회전모듈(500)의 각 구성은, 상기 제 1 회전모듈과 상기 제 2 회전모듈에 각각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회전모듈(500)은 상기 듀얼 토출부(50,60)가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토출타워(50)와 상기 제 2 토출타워(60)는, 각각 결합된 회전모듈에 의하여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타워(50)는 상기 제 2 토출타워(60)와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모듈(500)은 상기 제 1 토출타워(50)와 상기 제 2 토출타워(60)가 서로 독립적인 회전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토출슬릿(53)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은, 상기 제 2 토출슬릿(63)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과 다르게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실내의 보다 많은 사용자에게 쾌적한 기류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송풍기(1)의 운전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보다 빠른 실내 공기순환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회전모듈(500)은 상기 타워결합부(19)의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듀얼 토출부(50,60)와 결합하는 결합하우징(5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하우징(510)은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하우징(510)의 내부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연결유로(515)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로(515)는 상기 분배유로(4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듀얼 토출부(50,60)의 내부 공간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유로(515)는 상기 분배유로(410) 및 토출유로(62)와 연통할 수 있다.
상기 결합하우징(510)은 상기 분배덕트(400)의 상단에 지지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결합하우징(510)은 상기 제 1 타워결합부로 연장되는 상기 분배덕트(400)의 상단 및 상기 제 2 타워결합부로 연장되는 상기 분배덕트(400)의 상단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하우징(510)은 각각의 토출타워(50,60) 마다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타워결합부에 수용되는 제 1 결합하우징 및 상기 제 2 타워결합부에 수용되는 제 2 결합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모듈(500)은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모터(520), 상기 회전모터(520)에 결합하는 모터기어(530) 및 상기 모터기어(530)와 맞물리는 구동기어(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모터(520)는 상기 듀얼 토출부(50,60)의 회전을 위한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전모터(520)는 스텝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모터(520)와 모터기어(530)는, 결합하우징(510)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회전모터(520)는 상기 지지본체(10)에 형성되는 소정의 공간에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본체(10)는 상기 회전모터(520) 및 모터기어(53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45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450)은 상기 듀얼 토출부(50,60) 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공간(450)은 상기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450)은, 상기 후방케이스(12)의 상면(14)과, 상기 분배덕트(400)의 상면에 사이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후방케이스(12)의 상면(14) 중 토출개구(15)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하방에는, 상기 분배덕트(400)의 상면이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배덕트(400)의 상면과 상기 후방케이스(12)의 상면(14) 사이에는 상기 회전모터(520)가 설치되는 수용공간(45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분배덕트(400)의 상면은 상기 토출개구(15)의 끝단 모서리에서부터 상기 지지본체(10)의 내측에서 상기 타워결합부(19)와 접촉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모터(520)는 상기 듀얼 토출부(50,60), 즉, 각각의 토출타워(50,60)를 독립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전모터(520)와 상기 모터기어(530)는 각각의 토출타워(50,60) 마다 구비되어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전모터(520)는 상기 제 1 토출타워(5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 1 회전모터 및 상기 제 2 토출타워(6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 2 회전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기어(530)는, 상기 회전모터(520)의 회전력을 상기 제 1 토출타워(50)와 결합된 제 1 결합하우징 및 상기 제 2 토출타워(50)와 결합된 제 2 결합하우징에 독립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회전모터에 결합하는 제 1 모터기어 및 상기 제 2 회전모터에 결합하는 제 2 모터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제 1 토출타워(50)와 상기 제 2 토출타워(60)은 서로 독립적인 회전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모터기어(530)는 상기 회전모터(520) 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기어(530)는 상기 회전모터(520)의 축에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모터기어(530)의 기어 이는, 상기 구동기어(540)의 기어 이와 맞물리도록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기어(530)는 상기 회전모터(520)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기어(54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구동기어(540)는 연결유로(515)가 형성되도록 중심이 개방되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동기어(540)는 상기 결합하우징(5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모터(520)의 작동에 따라 회전력이 상기 구동기어(540)로 전달되며, 상기 구동기어(540)에 결합된 상기 결합하우징(510)은 상기 듀얼 토출부(50,6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모듈(500)은 상기 제 1 토출타워(50)와 상기 제 2 토출타워(60)의 회전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토출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회전모듈(500)의 회전 방향 및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듀얼 토출부(50,60)에서 각각 토출되는 공기(이하, “토출기류”)의 범위와 세기(또는 풍속)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토출모듈의 회전 방향(예를 들어, 시계방향)을 상기 제 2 토출모듈의 회전 방향과 반대(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로 제어하고, 회전 각도를 미리 설정된 각도로 동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토출타워(50)의 제 1 토출슬릿(53)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와 상기 제 2 토출타워(60)의 제 2 토출슬릿(63)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서로 혼합되어 더 넓은 범위에서 더욱 강력한 세기의 토출기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제 2 토출타워(60)의 구성이 도시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상기 제 2 토출타워(60)의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토출타워(50)에도 원용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케이스(61)의 내부에는 토출유로(6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듀얼 토출부(50,60)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토출슬릿(53,63)으로 공기를 가이드하는 토출유로(6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유로(62)는 상기 토출케이스(61)의 내부에 수용되는 토출하우징(미도시)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 2 토출타워(60)는 상기 제 2 토출케이스(61)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토출유로(62)를 형성하는 토출하우징(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토출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제 2 베인(65)이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하우징은 상기 제 2 토출슬릿(63)을 향할수록, 즉, 전방을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토출슬릿(63), 상기 토출하우징의 전단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토출유로(62)는 상기 연결유로(515)와 연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토출케이스(61)의 내부에 형성된 토출유로(62)는 상기 제 2 결합하우징이 형성하는 연결유로(515)와 연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배유로(410)에서 상기 제 1 결합하우징의 연결유로와 상기 제 2 결합하우징의 연결유로로 각각 분기된 공기는, 상기 제 1 토출케이스(51)의 내부에 형성된 토출유로와 상기 제 2 토출케이스(61)의 내부에 형성된 토출유로(62)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타워(60)는 상기 제 2 베인(65)의 회동을 가이드하는 베인링크(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타워(60)에 위치하는 베인링크(66)는 “제 2 베인링크”라고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토출타워(50)에 위치하는 베인링크는 “제 1 베인링크”라고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제 2 베인링크(66)는 상기 제 2 베인(65)의 회동을 위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베인링크(66)는 상기 제 2 베인(65)의 회동을 통하여 상기 제 2 토출슬릿(63)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상하 유동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타워(60)는 상기 제 2 토출케이스(61)의 내부에 설치되는 베인모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토출타워(60)에 위치하는 베인모터는 “제 2 베인모터”라고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토출타워(50)에 위치하는 베인모터는 “제 1 베인모터”라고 이름할 수 있다.
상기 베인모터는 상기 제 2 베인링크(66)의 일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베인모터가 작동하면 상기 제 2 베인링크(66)는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 베인링크(66)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가 이격 배치되는 제 2 베인(65)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베인링크(66)는 다수 개의 제 2 베인(65)의 후단과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수 개의 제 2 베인(65)은 상기 제 2 베인링크(66)의 이동에 종속되어 회동할 수 있다.
상기 베인모터가 작동하여 상기 제 2 베인링크(66)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 2 베인(65)은 도 4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토출슬릿(63)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보다 하방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 2 베인링크(66)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 2 베인(65)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 2 토출슬릿(63)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보다 상방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토출모듈(10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모듈의 랙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토출모듈(100)은 상기 토출개구(15)를 개폐하는 도어(110,120,130), 상기 도어(110,120,130)의 이동을 위한 도어기어(115,125,135), 상기 도어기어(115,125,135)로 힘을 전달하는 도어모터(140) 및 상기 도어모터(140)에 결합하는 피니언기어(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110,120,130)는 상기 토출개구(15)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110,120,130)는 상기 가이드그릴(16)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도어(110,120,130)는 토출슬릿(53,63)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단수에 따라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어(110,120,130)는 제 1 도어(110), 제 2 도어(120) 및 제 3 도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110)는 상기 토출개구(15)의 최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20)는 상기 제 1 도어(110) 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3 도어(130)는 상기 제 2 도어(120) 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3 도어(130)는 상기 토출개구(15)의 최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제 1 도어(110)는 상기 토출개구(15)의 최하단으로부터 상기 토출개구(15)의 경사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20)는 상기 제 1 도어(110) 보다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도어(110)의 상단에서 상기 토출개구(15)의 경사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2 도어(120)의 하단은 상기 제 1 도어(110)의 상단과 접촉하지 않고, 상기 제 1 도어(110)와 상기 제 2 도어(1120)의 사이에 위치하는 가이드그릴(16)의 하단에 접촉할 수도 있다.
상기 제 3 도어(130)는 상기 제 2 도어(120) 보다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도어(120)의 상단에서 상기 토출개구(15)의 경사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3 도어(130)는 상기 토출개구(15)의 최상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토출모듈(100)은, 상기 도어(110,120,130)의 일측 하단으로 돌출되는 회전축 고정부(137) 및 상기 회전축 고정부(137)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110,120,130)의 회동을 지지하는 도어 회전축(1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 고정부(137)는 상기 도어기어(115,125,135)의 안정적인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 고정부(137)는 상기 도어(110,120,13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전축 고정부(135)는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도어 회전축(136)은 상기 회전축 고정부(137)의 측면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회전축(136)은 상기 회전축 고정부(137)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후방케이스(13)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리브(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어 회전축(136)은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도어기어(115,125,135)는 상기 회전축 고정부(137)의 일측에서 상기 도어회전축(136)이 중심에 삽입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기어(115,125,135)는 상기 도어회전축(136)을 중심으로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 고정부(137) 및 상기 도어 회전축(136)은, 다수의 도어(110,120,130)가 구비되는 경우, 각각의 도어(110,120,130) 마다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기어(115,125,135)는 일부 둘레 면을 따라 기어 이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기어(115,125,135)는 상기 도어 회전축(136)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기어 이를 일부만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도어기어(115,125,135)의 기어 이는 상기 도어기어(115,125,135)의 외곽 둘레를 따라 원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어기어(115,125,135)의 기어 이는, 상기 도어 회전축(136)을 기준으로, 180°이하의 중심각을 가지는 호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기어(115,125,135)의 기어 이는, 상기 도어(110,120,130)의 하면으로부터 따라 중심각이 180°이하인 호(Arc)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기어(115,125,135)의 기어 이는, 랙(160)의 도어치형(165)과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110,120,130)는 소정의 각도로만 회동할 수 있다.
상기 도어기어(115,125,135)의 기어 이가 형성되지 않은 둘레 면은, 상기 도어(110,120,130)의 하면에 결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어기어(115,125,135)는 대략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육면체의 둘레면 중 적어도 두 면은 원호를 그리는 방향으로 기어 이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 둘레면은 상기 도어(110,120,130)의 하면에 결합하도록 평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기어(115,125,135)는 상기 제 1 도어(110)에 결합하는 제 1 도어기어(115), 상기 제 2 도어(120)에 결합하는 제 2 도어기어(125) 및 상기 제 3 도어(130)에 결합하는 제 3 도어기어(1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기어(115) 내지 상기 제 3 도어기어(135)는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도어기어(115)는 상기 제 1 도어(110)의 하면에 결합되므로 상기 제 2 도어기어(125) 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제 3 도어기어(135)는 상기 제 3 도어(130)의 하면에 결합하므로 상기 제 2 도어기어(125) 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후술할 랙(160)은, 상기 제 1 도어기어(115) 내지 상기 제 3 도어기어(135)를 차례로 접촉 또는 비접촉 할 수 있다.
상기 토출모듈(100)은 상기 도어(110,120,130)의 타측 하단으로 돌출되는 도어 고정부(138) 및 상기 도어 고정부(138)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110,120,130)의 회동을 지지하는 도어축(13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고정부(138)와 상기 도어축(139)은, 상기 도어(110,120,130)의 안정적인 회전을 위하여, 상기 회전축 고정부(137)와 상기 도어 회전축(136)의 맞은 편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 고정부(138)는 상기 도어(110,120,130)의 타측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어 고정부(138)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39)은 상기 도어 고정부(138)의 측면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39)은 상기 도어 고정부(138)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후방케이스(13)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또 다른 리브(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어축(139)은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도어 고정부(138) 및 상기 도어축(139)은, 상기 회전축 고정부(137) 및 상기 도어 회전축(136)에 대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고정부(138) 및 상기 도어축(139)은, 다수의 도어(110,120,130)가 구비되는 경우, 각각의 도어(110,120,130) 마다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토출모듈(100)은 상기 피니언기어(150)의 회전운동을 수평운동으로 바꾸어주는 랙(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랙(160)은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스틱(Stick)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랙(160)은 폭과 높이가 상대적으로 작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랙(160)은 중심부에는 상기 랙(160)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 하는 가이드홀(16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161)은 상기 랙(160)의 양측 방향을 개방되는 홀이 상기 랙(160)의 장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161)에는 랙가이드(168, 도 8 참고)가 삽입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랙가이드(168)는 상기 후방케이스(13)의 내주면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랙가이드(168)는 상기 가이드홀(161)의 상하 방향을 접촉하며, 상기 가이드홀(161)의 연장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홀(161)에 삽입되는 랙가이드(168)에 의하여, 상기 랙(160)은 상기 후방케이스의 상면(14)의 경사 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랙(160)은 상기 도어기어(115,125,135)와 접촉할 수 있는 도어치형(162) 및 상기 피니언기어(150)와 접촉하는 모터치형(16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치형(162)은 상기 도어기어(115,125,135)에 형성되는 기어 이와 맞물리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치형(163)은 상기 피니언기어(150)의 기어 이와 맞물리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치형(162)은 상기 모터치형(163)의 반대편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어치형(162)은 상기 랙(16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터치형(163)은 상기 랙(16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치형(163)이 형성되는 길이는, 상기 제 1 모터기어(115)와 상기 제 3 모터기어(135)의 거리 보다 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랙(160)은 상기 피니언기어(150)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왕복 직선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랙(160)의 이동 거리는 상기 제 1 모터기어(115)와 상기 제 3 모터기어(135)의 거리 보다 길 수 있다.
즉, 상기 랙(160)은 상기 피니언기어(150)의 회전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랙(160)의 하면을 따라 형성된 모터치형(163)은 상기 피니언기어(150)의 기어 이와 맞물리면서 상기 후방케이스(13)의 상면(14)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랙(160)은 직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랙(160)의 이동에 의해, 상기 도어치형(162)은 상기 제 1 도어기어(115) 내지 상기 제 3 도어기어(135)를 순차적으로 접촉 및 맞물리면서 회전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랙(160)의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제 3 도어기어(135)가 먼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도어치형(162)은 상기 도어(110,120,130)의 회전 각도를 설정할 수 있는 소정의 길이(d)만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소정의 길이(d)는 상기 도어기어(115,125,135)의 기어 이가 형성되는 호의 길이에 대응하여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정의 길이(d)는 상기 모터치형(163)이 형성되는 길이 보다 작다.
상기 도어치형(165)은 상기 랙(160)의 상면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랙(160)의 왕복 운동에도 상기 도어(110,120,130)는 회동 후 상기 도어치형(165)과 접촉을 상실하여 이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치형(165)은 상기 랙(160)의 상면의 후단부에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도어치형(165)의 형성 위치를 전단부로 바꾸면 상기 도어(110,120,130)가 열리는 순서를 뒤바꿀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랙(160)이 최하단까지 이동한 경우, 상기 제 1 도어(110)부터 상기 제 3 도어(130) 순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토출개구(15)를 개방 면적을 순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토출모듈(100)이 상기 토출개구(15)를 개방하도록 열릴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랙(160)이 최상단까지 이동한 경우, 상기 제 3 도어(130)부터 상기 제 1 도어(110) 순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토출개구(15)의 개방 면적을 순차적으로 줄일 수 있다. 즉, 상기 토출모듈(100)이 상기 토출개구(15)를 폐쇄하도록 닫힐 수 있다.
한편, 상기 랙(160)은 상기 수용공간(450)의 일 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랙(160)은 상기 상면(14)의 경사진 연장 방향을 따라 왕복 직선운동을 할 수 있으므로, 상기 후방케이스(13)의 내부 공간은 상기 랙(160)의 이동시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자명할 것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모듈이 토출개구를 단계적으로 개방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상세히, 도 8은 제 1 도어(110), 제 2 도어(120) 및 제 3 도어(130)가 모두 닫혀진 상태로, 토출개구(15)가 폐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즉, 일반 송풍 모드로 상기 토출슬릿(53,63)을 통해 전방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전방토출기류”)가 가장 강하게 생성하는 상태로 이해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랙(160)은 최하단 또는 최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도어치형(165)은 상기 제 1 도어기어(115)와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기어(125) 및 상기 제 3 도어기어(135)는 상기 랙(160)의 상면에 위치하지만, 상기 도어치형(165)과는 비 접촉 상태이다.
사용자가 상기 전방토출기류의 세기를 줄이기 위해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단수를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전방토출기류의 세기를 1단계 낮출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의 입력을 전달받아 상기 도어모터(140)를 작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모터(140)에 결합된 피니언기어(15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니언기어(150)와 맞물려 있는 모터치형(163)은 힘을 전달받아 전방(또는 경사진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9는 상기 제 1 도어(110)가 회동되어 상기 제 1 도어(110)에 대응되는 토출개구(15)가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상기 랙(160)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도어치형(165)은 상기 제 1 도어기어(115)를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도어(110)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상부에 대응되는 면적의 토출개구(15)를 개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모터(140)는 상기 도어치형(165)이 상기 제 2 도어기어(125)에 접촉할 때까지 작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치형(165)이 상기 제 2 도어기어(125)에 접촉하는 순간 상기 도어모터(14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현재의 토출개구(15) 개방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디퓨저(300)를 통과한 공기는 개방된 토출개구(15)를 통해 토출되므로, 상기 토출슬릿(53,63)을 통해 생성되는 전방토출기류의 세기는 약화될 수 있다.
도 10은 제 1 도어(110) 및 제 2 도어(120)가 순차적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 1 도어(110) 및 상기 제 2 도어(120)에 대응되는 토출개구(15)가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전방토출기류의 세기를 2단계 낮추도록 상기 입력부(미도시)를 조작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모터(140)는 상기 도어치형(165)이 상기 제 3 도어기어(135)에 접촉할 때까지 작동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모터(140)의 작동을 따라, 상기 랙(160)은 전방으로 계속 이동하게 되며, 상기 도어치형(165)은 상기 제 2 도어기어(125)를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기어(125)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 2 도어(120)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방으로 대응되는 토출개구(15)를 개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도어(110) 및 상기 제 2 도어(120)의 회동으로, 상기 토출개구(15)의 개방 면적은 증가하게 되며, 상기 토출슬릿(53,63)을 통해 토출되는 전방토출기류는 더욱 약화될 수 있다.
도 11은 제 1 도어(110), 제 2 도어(120) 및 제 3 도어(130)가 순차적으로 회동되어, 토출개구(15) 전부가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즉, 사용자는 상기 전방토출기류의 세기를 3단계 낮추도록 상기 입력부(미도시)를 조작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모터(140)는 상기 도어치형(165)이 상기 제 3 도어기어(135)를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랙(160)이 최상단 또는 최전방 위치에 도달한 것을 감지하고, 상기 도어모터(140)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도어(110), 상기 제 2 도어(120) 및 상기 제 3 도어(130)가 모두 회동되어 상기 토출개구(15)를 개방시키므로 상기 토출슬릿(53,63)을 통해 토출되는 전방토출기류는 가장 약화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송풍기(1)의 전방으로 은은한 바람을 제공받을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송풍기(1)의 후방에서 상방으로 토출되는 바람에 의하여 실내 공기는 보다 효과적으로 순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팬(210)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지 않아도 상기 전방토출기류의 세기가 약해지도록 제어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달리 전방토출기류를 약화시키기 위해 팬의 회전속도를 줄여 공기청정 성능을 만족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도어(110,120,130)의 순차 열림 동작을 설명하였으나, 역순으로 상기 도어(110,120,130)의 순차 닫힘 동작을 설명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1: 송풍기
10: 지지본체
50,60: 듀얼 토출부
80: 지지필러

Claims (20)

  1. 흡입구가 형성되는 지지본체; 및
    상기 지지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듀얼 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본체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케이스;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의 유동압력을 제공하는 팬;
    상기 듀얼 토출부 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방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토출개구; 및
    상기 토출개구를 순차적 또는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토출모듈을 포함하는 송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개구로 공기가 토출되면, 상기 듀얼 토출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세기는 약해지는 송풍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모듈이 상기 토출개구를 순차적으로 개방시키면, 상기 듀얼 토출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세기는 단계별로 약해지는 송풍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모듈은,
    상기 토출개구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의 일측 하단에 결합하며, 상기 도어의 회동시키는 도어기어를 포함하는 송풍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기어는, 둘레면의 일부에 기어 이가 형성되는 송풍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기어의 기어 이는, 상기 도어의 하면으로부터 중심각이 180°이하인 호(Arc)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송풍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모듈은,
    상기 도어기어로 힘을 전달하는 도어모터;
    상기 도어모터에 결합하여 회전하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운동을 수평운동으로 바꾸어주는 랙을 더 포함하는 송풍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 공간에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직선운동하는 송풍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본체는, 상기 랙의 직선운동을 가이드하도록 돌출되는 랙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랙은, 상기 랙가이드가 삽입되어 슬리아딩 이동하는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송풍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모터치형; 및
    상기 도어기어와 접촉할 수 있는 도어치형을 포함하는 송풍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치형은, 상기 모터치형의 반대 면에 형성되며, 상기 모터치형의 길이 보다 짧은 소정의 길이만큼 형성되는 송풍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길이는, 상기 도어기어의 기어 이가 형성되는 호의 길이에 대응하는 송풍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치형은 상기 랙의 상면의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모터치형은 상기 랙의 하면에 형성되는 송풍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치형은 상기 랙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송풍기.
  1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하 방향 또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며, 순차적으로 회동할 수 있는 다수의 도어를 포함하는 송풍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도어에 구비되는 각각 도어기어는, 상기 랙의 접촉 여부에 따라 회동할 수 있는 송풍기.
  17.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본체는,
    상기 팬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듀얼 토출부로 가이드하는 분배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모터는 상기 분배덕트의 외측에 설치되는 송풍기.
  1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모듈은,
    상기 도어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회전축 고정부; 및
    상기 회전축 고정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도어기어의 회전을 지지하는 도어 회전축을 더 포함하는 송풍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모듈은,
    상기 회전축 고정부의 반대 측에 형성되는 도어 고정부; 및
    상기 도어 고정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도어의 회전을 지지하는 도어축을 더 포함하는 송풍기.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개구는 전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송풍기.
KR1020200011770A 2020-01-31 2020-01-31 송풍기 KR202100980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770A KR20210098054A (ko) 2020-01-31 2020-01-31 송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770A KR20210098054A (ko) 2020-01-31 2020-01-31 송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054A true KR20210098054A (ko) 2021-08-10

Family

ID=77315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770A KR20210098054A (ko) 2020-01-31 2020-01-31 송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805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720910B (zh) 空气净化器
US11767853B2 (en) Nozzle for a fan assembly
KR102342119B1 (ko) 공기조화기
CN112923544A (zh) 空调
CN110701770A (zh) 导风组件、空调器的无风感结构以及空调器
WO2020089580A1 (en) Adjustable fan nozzle
KR20100082626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170064778A (ko) 공기청정기
US11808274B2 (en) Blower
US20230088798A1 (en) Blower
KR20210098054A (ko) 송풍기
KR20210112123A (ko) 송풍기
KR20210098055A (ko) 송풍기
KR20130043989A (ko) 공기조화기
KR102492957B1 (ko) 공기청정기
KR20210098057A (ko) 송풍기
KR20210098058A (ko) 송풍기
CN211345544U (zh) 空调器
KR20050046082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130043984A (ko) 공기조화기
KR102630060B1 (ko) 송풍기
KR102650688B1 (ko) 송풍기
KR100947612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114651A (ko) 송풍기
KR101063526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